KR20090079220A - 복실 용기 - Google Patents

복실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220A
KR20090079220A KR1020097008814A KR20097008814A KR20090079220A KR 20090079220 A KR20090079220 A KR 20090079220A KR 1020097008814 A KR1020097008814 A KR 1020097008814A KR 20097008814 A KR20097008814 A KR 20097008814A KR 20090079220 A KR20090079220 A KR 20090079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bag
welding
compartments
peelable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8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6318B1 (ko
Inventor
야수히로 무라마츠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9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24Separating means having peelable seals

Abstract

본 발명은 복실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약제를 확실히 혼합시킨 다음 배출을 행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약제 백(10)의 내부 공동을 좌우의 격실(26-1, 26-2)로 분리하는 약 실(24)은 좌우의 격실(26-1, 26-2)의 사이를 연장하는 제 1 부분(24-1)과 배출구(12)의 앞의 갈래의 제 2 부분(24-2)으로 구성된다. 제 2 부분(24-2)으로부터 양측에 제 1 부분(24-1)에 직교하도록 부가적 강성 시일부(30-1, 30-2)가 약제 백 외주의 강성 시일부(14)까지 연장되어 있다. 격실(26-1, 26-2)의 가압시에 약제 백의 팽창 변형은 부가적 강성 시일부(30-1, 30-2)의 존재 때문에 제 1 부분(24-1)에 전달되고, 이 부분의 박리에 의해 격실(26-1, 26-2)의 약제가 혼합된다. 그 후에 제 2 부분(24-2)을 개통시키는 것으로 혼합 약제는 배출구(12)에 도입된다.
약제 백, 배출구, 용착부, 격실, 팽창 변형 전달 규제부, 복실 용기

Description

복실 용기{MULTICHAMBER CONTAINER}
본 발명은, 내부 공동(空洞)이 박리 가능 용착부에 의해서 분리됨으로써, 각각이 별개로 약액을 밀봉 수납하는 복수의 격실을 형성한 약제 백(bag)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격실로부터의 약액이 혼합된 후에 배출구로부터 배출시키도록 한 복실 용기에 관한 것이다.
수액용 복실 용기에 있어서는, 연질필름을 소재로 하는 약제 백의 대향면을 상대적으로 저온으로 용착하여 이루어지는 취약성(弱) 시일(seal)부(박리 가능 용착부)에 의해서 각각 다른 약액을 수용하는 복수의 격실로 분리한 것이 있다. 약제 백의 외주에는, 플라스틱 성형품으로서의 배출구가 형성되고, 배출구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 공동은 일단측에서 한쪽의 격실에 개구되어 있지만, 타단에는 고무마개가 형성되어 있다. 환자에 대한 약액의 투여 등의 약제 수송작업의 개시에 앞서 약제 백을 외측에서 가압함으로써 취약성 시일부가 박리 개통되고, 약제 백의 내부 공동은 1실이 되기 때문에 2종류의 약액은 혼합되고, 수액 세트의 천자침으로 고무마개를 천자하여, 약제 백으로부터의 약액의 투여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 종류의 의료용 혼합형 복실 용기에서는 약액의 투여에 앞서 취약성 시일부의 박리 개통에 의해 양 액을 혼합시키는 작업은 필수이고, 한편, 취약성 시일부 의 개통을 행하지 않은 채로 배출구에 있어서의 고무마개의 천자를 행하면, 배출구측의 격실에서의 약액만이 투여되어 버린다는 작업 오류의 가능성이 있었다. 이 문제점에 대처하는 종래 기술로서, 약제 백의 내부 공동을 2개의 격실로 분리하는 취약성 시일부의 형상을 배출구의 앞에서 두 갈래 형상 또는 A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배출구의 앞에 배출구와는 연통하지만 쌍방의 약액 수납 격실과는 분리한 제 3 실을 형성하고, 2개의 격실을 분리하는 취약성 시일부분에 박리 개통 촉진을 위한 V자형 부분을 형성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661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취약성 시일부는 약제를 수납한 격실의 사이를 약제 백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재한 다음 제 3 실을 형성하는 두 갈래 형상부분에 연속해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취약성 시일부의 이 형상은 개통시에 양 격실의 약제 혼합을 위한 격실 분리부분의 박리를 두 갈래 형상부분의 박리에 앞서 행하고, 약제의 혼합 이어서 혼합 약제의 배출이라는 2단계의 개통 조작의 확실을 의도한 것이다. 즉, 양 격실의 사이를 연장하고 있는 취약성 시일부분은 두 갈래 형상부분보다 장대하기 때문에, 약제 백 개통시에 큰 박리력이 생기기 쉽고, 박리 동작의 계기가 되는 V자형 부분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두 갈래 형상부분보다 먼저 박리가 생기는 것을 의도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한 실제의 테스트에 의하면, 최초의 개통이 취약성 시일부에서의 양 격실간의 분리부분에 야기되는 것에 한하지 않은 것을 알았다. 즉, 취약성 시일부의 박리는 약제 백을 외부로부터 가압함으로써 약제 백의 팽창 변형에 의해 야기되지만, 종래의 구조에서는 팽창 변형은 취약성 시일부에서의 격실 분리부분에도 두 갈래부분에도 마찬가지로 전파할 수 있기 때문에, 장대한 격실 분리부분으로 박리가 개시되는 경우가 많은 것은 그대로이지만, 가압 부위에 따라서는 두 갈래 형상부분에 박리가 최초에 행하여지는 것이 빈번하게 있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져 것으로, 미개통의 상태에서는 투여를 행할 수 없는, 다액 혼합형의 약제 백의 신규의 구조를 제공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또한 사용자측의 작업성이 양호함에도 불구하고, 오조작의 가능성을 더욱 확실히 배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복실 용기에 있어서는, 약제 백을 구성하는 가요성 필름의 대향면을 용착함으로써 약제 백의 내부에 각각의 약제의 수납을 위한 복수의 격실을 형성하는 박리 가능 용착부는, 복수의 격실의 중간을 약제 백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배출구의 앞의 부위까지 연장되는 박리 가능한 제 1 부분과, 제 1 부분으로부터 양측을 향하여 약제 백의 가장자리부까지 연장되도록 구성하는 등으로, 배출구에 개구되지만 상기 복수의 격실로부터는 분리된 중간실을 가요성 필름의 대향면간에 형성하는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제 2 부분은 제 1 부분으로부터 분리된 두 갈래 등의 형상을 하고, 배출구의 양측에서 약제 백 가장자리부까지 연재되어 있고, 제 2 부분은 제 1 부분의 박리에 의한 혼합 약제를 배출구에 연통시키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박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약제 백의 격실에 수납된 약액의 최초의 가압시에 박리 가능 용착부로의 약제 백의 팽창 변형의 전달을 제 1 부분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그대로, 제 2 부분에 대해서는 규제하는 팽창 변형 전달 규제부를 구비하고, 이 팽창 변형 전달 규제부를 구성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약제 백의 대향면을 박리 불능으로 용착하도록 제 2 용착부가 형성되고, 제 2 용착부는, 약제 백에 수용한 약액 가압시에서의 제 1 용착부의 제 2 부분으로의 약제 백의 팽창 변형의 전파를 규제한다. 제 2 용착부는 배출구의 양측에 약제 백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가로방향에 바람직하게는 제 1 부분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제 2 용착부가 약제 백의 대향면을 박리 불능으로 용착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 2 용착부는 제 1 용착부의 박리가 최초에 제 2 부분보다는 제 1 부분에 주로 야기되도록 팽창 방향의 전달방향을 규제한다.
발명의 효과
팽창 변형 전달 규제부 또는 제 2 용착부를 형성한 구성에 의해, 약제 백의 개통을 위한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한 약제 백의 팽창은 제 1 용착부에 집중하여 전파되도록 규제되고, 제 2 용착부에는 거의 전파되지 않기 때문에, 제 1 용착부가 최초에 박리되기 때문에, 약제의 혼합을 확실히 행하고 나서 박리 조작에 의해 제 2 용착부를 박리에 의한 배출구로의 혼합 약제의 유인을 행하게 하는 것으로, 약제의 혼합 이어서 혼합 약제의 배출이라는 2단계 조작을 더욱 확실화할 수 있고, 1액 상태로 작업에 들어가 버린다는 오조작의 방지를 확실히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실형 용기의 평면도.
도 2a, 도 2b, 도 2c, 도 2d는 본 발명의 복실형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1에 있어서의, 각각, A-A선, B-B선, C-C선, D-D선에 따른 화살방향에서 본 단면도로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복실형 용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복실형 용기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더욱 별도의 실시형태의 복실형 용기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약제 백
12 : 배출구
14 : 강성(强) 시일부
20 : 고무마개
22 : 천자침
24 : 취약성 시일부(제 1 용착부)
24-1 : 취약성 시일부의 제 1 부분
24-2 : 취약성 시일부의 제 2 부분
26-1, 26-2 : 격실
30-1, 30-2 : 부가적 강성 시일부(제 2 용착부)
도 1에 있어서, 복실 용기는 약액의 수납을 위한 평탄형의 약제 백(10)과, 통 형상 배출구(12)로 구성된다. 약제 백(10)은 두께 200미크론의 폴리에틸렌필름 등의 다층 구조의 합성수지 연질필름(본 발명의 가요성 필름)을 소재로 한다. 약제 백(10)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연질필름은 한 쌍의 상하 절편 또는 상하층(10A, 10B)이 배출구(12)를 사이에 두고 겹치고(도 2d), 전체 외주부가 폴리에틸렌인 경우는 130℃와 같은 고온에서 용착되고, 통 형상 배출구(12)의 부위도 포함한 전체 둘레에 따른 강성(强) 시일부(14; 박리 불능 용착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자루형을 나타낸다. 강성 시일부(14)에서의 용착은 약제 백(10)의 개통을 위해서 가압하였을 때의 약제 백 내에 생기는 정도의 압력으로는 박리되지 않는 온도(폴리에틸렌의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130℃ 정도)로 행하여지고, 이것에 의해 외부에서의 물리적인 힘의 영향에 관계 없이, 약제 백(10) 내에 약액을 누설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통 형상 배출구(12)는 그 통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두께(강성)의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구성된다. 통 형상 배출구(12)는 도 1의 하단에서 약제 백(1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약제 백(1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통 형상 배출구(12)의 하단에, 수액시에 수액 세트의 천자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천자되는 고무마개(20)가 장착되어 있다. 약제 백(10)은 상하 필름 절편의 용착 구조 대신에 통 형상 필름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취약성 시일부(24; 본 발명의 박리 가능 용착부 또는 제 1 용착부)는 약제 백(10)의 폭의 중간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약제 백을 구성하는 상하의 2장의 합성수지 필름 절편(10A, 10B)을 박리 가능하게 용착하여, 약제 백 내부 공동 을 각각의 약제를 수용하는 좌우의 격실(26-1, 26-2)로 분리한다(도 2a). 취약성 시일부(24)에 있어서의, 약제 백(10)을 구성하는 상하의 합성수지 필름 절편의 용착은 가압 박리 가능하다. 가압 박리 가능하다는 것은, 약제 백(10)의 개통을 위해서 약제 백(10)을 손바닥 등으로 적당한 힘으로 가압하였을 때, 약제 백(10)의 내부에 약액이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약제 백(10)은 팽창때문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취약성 시일부(24)에 있어서 상하의 합성수지 필름 절편(10A, 10B)이 도 2a 내지 2c의 2점쇄선과 같이 박리되는 것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폴리에틸렌수지의 경우는 취약성 시일부(24)에서의 용착은 120℃(강성 시일부(14)를 얻기 위한 상기한 130℃와 같은 용착 온도보다 상당히 낮은 용착 온도)와 같은 온도로 행하여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취약성 시일부(24)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 백의 도시 상측 가장자리부[강성 시일부(14)]로부터 하향으로 좌우의 격실(26-1, 26-2)간을 배출구(12)의 개구단(12A)의 약간 앞까지 연장되는 제 1 부분(24-1)과, 제 1 부분(24-1)으로부터 양측을 향하여 약제 백의 하측 가장자리부까지 두 갈래로 연장되는 제 2 부분(24-2; 도 2b, 도 2c도 참조)으로 구성된다. 제 2 부분(24-2)에 의해서 격실(26-1, 26-2)로부터 분리되지만 배출구(12)에는 개구하는 제 3 실(28c)이 약제 백 대향 필름층간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통시의 약제 백의 팽창에 의한 외력이 취약성 시일부(24)에 있어서의 제 1 부분(24-1)에 주로 전파되고, 제 2 부분(24-2)에 거의 전파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본 발명의 팽창 변형 전달 규제부 또는 제 2 용착부로서의 부가적 강성 시일부(30-1, 30-2; 도 1 및 도 2b)가 배출구(12)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부가적 강성 시일부(30-1, 30-2)는 약제 백의 대향 필름층을 용착함으로써 형성되지만, 그 용착 온도는 약제 백 외주의 강성 시일부(14)의 용착시의 온도와 같은 정도이고, 약제 백 개통시의 약제 백의 팽창에 의한 외력에 의해서는 용착 필름층의 박리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부가적 강성 시일부(30-1, 30-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약성 시일부(24)의 약제 백 좌우 가장자리부[강성 시일부(14)]로부터 취약성 시일부[24; 제 1 부분(24-1)과 제 2 부분(24-2)의 접합 부위]의 앞의 위치까지 제 1 부분(24-1)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 위치로부터 직각으로 방향을 옮겨, 취약성 시일부(24)의 제 2 부분(24-2)과 교차한 후, 배출구(12)의 양측에서 약제 백 하측 가장자리부[강성 시일부(14)]까지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우의 부가적 강성 시일부(30-1, 30-2)는 배출구(12)의 부위에서는 도중에 끊겨 있기 때문에, 취약성 시일부(24)의 박리시에 배출구(12)로의 약제의 흐름은 저해되지 않는다. 부가적 강성 시일부(30-1, 30-2)에 의해 격실(26-1, 26-2)의 하측 부위가 각각 소실(小室, 32-1, 32-2; 도 2c)로서 분리된다. 소실(32-1, 32-2)은 링거 스탠드에 매달린 상태에서는 약제 백(10)의 하측의 양 코너에 격리 위치되고, 취약성 시일부(24) 개통에 의한 격실(26-1, 26-2) 연통 후의 배출구(12)를 항한 약액의 흐름은 저해하지 않기 때문에 약제 백에 수납된 약액을 모두 배출구(12)에 배출할 수 있어 잔액은 생기지 않는다
약제 백의 제조에 있어서는 상하의 필름 절편(10A, 10B)이 합쳐지고, 고온도로 용착함으로써 강성 시일부(14, 30-1, 30-2)가 형성되고, 그 후, 저온도 용착이 행하여지는 것으로, 취약성 시일부(24; 24-1, 24-2)가 형성된다. 약제 백 외주의 강성 시일부(14)에는 각 격실(26-1, 26-2)에 개구되는 충전 구멍(미용착부)을 구비하고, 이 개구부로부터 각 격실(26-1, 26-2)로의 약제의 주입 및 충전 구멍의 용착 실이 행하여진다. 또한, 배출구(12)가 개구되는 중간실(28)에도 충전 구멍이 형성되고 순수(純水)가 주입된 후 용착 시일(seal)되고, 중간실(28)에 주입된 순수는 배출구(12)에도 연통하기 때문에, 습열하에서의 배출구(12)의 효율적인 멸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약제 백의 개봉은 약제 백을 책상 등의 위에 재치하여, 약액이 수용된 격실(26-1, 26-2)의 한쪽 또는 쌍방을 화살표시 g(도 2a)와 같이 외부에서 손바닥으로 가압하여, 약액을 수용한 약제 백의 가압에 의해 약제 백은 팽창하고, 이 팽창이 취약성 시일부(24)에 전달되는 것으로, 취약성 시일부(24)를 구성하는 필름층(10A, 10B)이 서로 박리되는 것으로 행하여진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배출구(12)에 근접한 취약성 시일부(24)의 제 2 부분(24-2)의 양측에는 부가적 강성 시일부(30-1, 30-2)가 제 1 부분(24-1)에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격실(26-1, 26-2)을 가압한 경우의 약제 백의 팽창은 부가적 강성 시일부(30-1, 30-2)의 규제를 받는 것으로 화살표시 f(도면의 좌우방향)와 같이 격실(26-1, 26-2)의 사이의 제 1 부분(24-1)에 집중하여 전달되는 것으로 이 부위에 큰 박리력이 생성되고, 제 2 부분(24-2)에서의 박리력은 약해진다. 그 결과, 도 2a의 상상선 L1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24-1)의 박리가 선행하여 야기되고, 격실(26-1, 26-2)의 약제의 혼합이 행하여진다. 그 후, 약제 백의 가압을 계속하여, 제 2 부분(24-2)의 박리·개통을 하는 것으로, 혼합 약액을 배출구(12)로 유도할 수 있다. 즉, 제 1 부분(24-1)이 박리된 상태에서는 배출구(12)로부터 약액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미개통의 제 2 부분(24-2)의 박리 조작을 하도록 가압 조작이 더욱 재촉되고, 그 결과 제 2 부분(24-2)에 있어서의 상하 필름층(10A, 10B)이 도 2b 및 도 2c의 2점쇄선 L2와 같이 박리 개통되게 된다.
도 1에 있어서 부가적 강성 시일부(30-1, 30-2)의 상측 가장자리 위치로서는, 취약성 시일부(24)에 있어서의 제 1 부분(24-1)으로부터 제 2 부분(24-2)으로의 이행부와 실질적으로 면일(面一)의 위치이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도시하는 위치보다 얼마쯤 내려도 좋고, 요는, 격실(26-1, 26-2)에 수용된 약액 가압시의 팽창 변형이 제 2 부분(24-2, 24-2)으로 전파되는 것을 규제하도록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약제 백(10)을 외주 가장자리의 강성 시일부(14)가 도 1의 부가적 강성 시일부(30-1, 30-2)에 일치하는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이 경우 강성 시일부(14) 자체를 약액 부가시의 팽창 변형이 제 2 부분(24-2)으로 전파되는 것을 규제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약제 백으로 본 발명의 부가적 강성 시일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발명자에 의한 수명의 모니터에 의한 개통 테스트의 실시결과에 의하면, 가압 부위는 취약성 시일부(24)의 제 1 부분에 거리적으로는 가까운 한 쪽의 격실(26-1)의 중앙 부위 P로서 피험자에게 지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약제 백의 팽창 방향의 전파방향의 규제가 없기 때문에 개통 부위의 a, b, c의 3부위로서의 컨트롤 불능의 격차가 있었다. 최초의 개통이 a, b의 부위이면, 격실(26-1, 26-2)의 2액 의 혼합은 행하여지지만, 일정한 비율로 c의 부위에서 최초로 개통되어 버리고, 이 경우는 미 혼합 또는 불충분한 혼합 상태로 수액이 행하여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부가적 강성 시일부(30-1, 30-2)를 형성하는 것으로, 박리를 최초는 제 1 부분(24-1)에서 야기되고, 수액에 앞선 약제의 확실한 혼합을 기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용착부는 제 1 부분(124-1)과 제 2 부분(124-2)으로 구성된다. 제 1 부분(124-1)은 약제 백(10)의 상측 가장자리부[강성 시일부(14)]로부터 좌우의 격실(126-1, 126-2)간을 배출구(12)의 앞 근방 위치까지 연재되어 있고, 전체가 박리 가능(취약성 시일부)하다. 제 2 부분(124-2)은 제 1 부분(124-1)으로부터 좌우로 연장되는 박리 가능부분(124-2'; 취약성 시일부)과 박리 가능부분(124-2')으로부터 배출구(12)의 양측을 약제 백의 하측 가장자리부[강성 시일부(14)]까지 연장되는 박리 불능부분(124-2"; 강성 시일부)으로 구성된다. 약제 백 개통시의 약제 백의 팽창이 제 1 부분(124-1)에 화살표시 f와 같이 집중시키는 부가적 강성 시일부(130-1, 130-2; 본 발명의 제 2 용착부)는 박리 가능부분(124-2')의 연장으로서 최초는 상방에 이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격실(126-1, 126-2)과도, 중간실(128)과도 분리한 소실(32-1, 132-2)을 형성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약제 백의 제조에 있어서 고온도에 의한 용착이 시일부(14, 124-2", 130-1, 130-2)에 관해서 행하여지고, 박리 불능의 용착부(강성 시일부)가 형성된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강성 시일부를 위한 용착구는 제 1 용착부의 박리 불능부분(124-2")과 제 2 용착부로서의 부가적 강성 시일부(130-1, 130-2)를 동시 형성하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 후, 저온도에 의한 용착이 시일부(124-1, 124-2')에 관해서 행하여지고, 박리 가능한 용착부가 형성된다. 부가적 강성 시일부(130-1, 130-2)가 배출구의 양측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격실(126-1, 126-2)의 가압시의 약제 백의 변형(팽창)은 화살표시 f와 같이 격실(126-1, 126-2)을 좌우로 가로막는 취약성 시일부(124-1)에 주로 전파되기 때문에, 취약성 시일부(124-1)의 박리가 최초에 야기되고, 격실(126-1, 126-2)의 약제의 혼합이 행하여진다. 그 후, 약제 백의 가압에 의해 취약성 시일부(124-2')의 박리가 야기되고, 혼합 약제를 배출구(12)로 유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취약성 시일부(24)는, 도 1의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약제 백의 도시하는 상측 가장자리부[강성 시일부(14)]로부터 하향에 좌우의 격실(26-1, 26-2)간을 배출구(12)의 개구단(12A)의 약간 앞까지 연장되는 제 1 부분(24-1)과, 제 1 부분(24-1)으로부터 양측을 향하여 약제 백의 하측 가장자리부까지 두 갈래형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24-2)으로 구성된다. 부가적 강성 시일부(230-1, 230-2)는 배출구(12)의 양측에 약제 백 상하층을 박리 불능으로 용착하도록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부가적 강성 시일부(230-1, 230-2)는 비교적 길이가 짧고, 약제 백(10)의 외주의 강성 시일부(14)로부터도 제 1 용착부(24)로부터도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와 같은 격실(26-1, 26-2)로부터도 배출구(12)에 연통하는 제 3 실(28)로부터도 격리한 소실(32-1, 32-2)은 이 실시형태에서는 형성되지 않고, 그 만큼 격실(26-1, 26-2)의 약제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부가적 강성 시일부(230-1, 230-2)는 약제 백(10)의 개통시, 격실(26-1, 26-2)의 한쪽의 약액을 가압한 경우에 있어서의 취약성 시일부(24)의 제 2 부분(24-2)으로의 약제 백의 팽창의 전파를 규제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도 5의 예에서는 격실(26-1)의 중앙부분 P를 손바닥으로 가압하고 있고, 라인 L은 약제 백의 팽창의 전파가 부가적 강성 시일부(230-1)까지 도래하였을 때의 최전선을 나타낸다. 부가적 강성 시일부(230-1)를 형성함으로써, 이 이상의 취약성 시일부(24)의 제 2 부분(22-2)으로의 팽창의 전파는 실질적으로 저지된다. 한편, 취약성 시일부(24)의 제 1 부분(24-1)으로는 팽창 변형은 그대로 전파되기 때문에, 약제 백의 개통을 취약성 시일부(24)의 제 1 부분(24-1)에서 최초에 야기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좌우의 격실(26-1, 26-2)의 개통에 의해 약제의 혼합을 최초에 야기시키고, 그 후 약액의 가압을 더욱 계속시키는 것으로 제 2 부분(24-2)도 박리 개통시켜, 혼합 약제를 배출구(12)로 유도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액 가압시의 팽창 변형의 전달의 규제수단으로서 약제 백의 대향면의 용착부에 의해 구성하였지만, 다른 수단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9)

  1. 약제 백과, 약제 백에 장착된 약제의 배출구와, 약제 백을 구성하는 가요성 필름의 대향면을 용착함으로써 약제 백의 내부에 각각의 약제의 수납을 위한 복수의 격실을 형성하는 박리 가능 용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박리 가능 용착부는, 상기 격실간을 연설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배출구에 연통하지만 상기 각각의 격실과는 분리되는 중간실을 가요성 필름의 대향면간에 형성하는 제 2 부분으로 구성되고, 또,
    약제 백의 격실에 수납된 약액의 최초의 가압시에 박리 가능 용착부로의 약제 백의 팽창 변형의 전달을 제 1 부분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그대로 제 2 부분에 대해서는 규제하는 팽창 변형 전달 규제부를 구비한 복실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변형 전달 규제부는 약제 백을 구성하는 가요성 필름의 대향면을 가압 박리 불능으로 용착하는 용착부인 복실 용기.
  3. 약제 백과, 약제 백에 장착된 약제의 배출구와, 약제 백을 구성하는 가요성 필름의 대향면을 용착함으로써 약제 백의 내부에 각각의 약제의 수납을 위한 복수의 격실을 형성하는 제 1 용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용착부는, 복수의 격실의 중간을 약제 백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배출구의 앞의 부위까지 연장되는 박리 가능한 제 1 부분과, 제 1 부분으로부터 양측 을 향하여 약제 백의 가장자리부까지 연장되고, 배출구에 개구되지만 상기 복수의 격실로부터는 분리된 중간실을 가요성 필름의 대향면간에 형성하고, 제 1 부분의 박리에 의한 혼합 약제를 배출구에 연통시키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박리 가능한 제 2 부분으로 구성되고, 또,
    약제 백의 격실에 수납된 약액을 가압시에 제 1 용착부의 제 2 부분을 항한 약제 백의 팽창 변형의 전달을 규제하도록 가요성 필름 대향면을 박리 불능으로 용착하는 제 2 용착부를 구비한 복실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착부는 배출구(12)를 사이에 두고 각각의 격실에 형성되는 복실 용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착부는 제 1 용착부에 대하여 교차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는 복실 용기.
  6. 약제 백과, 약제 백에 장착된 약제의 배출구와, 약제 백을 구성하는 가요성 필름의 대향면을 용착함으로써 약제 백의 내부에 각각의 약제의 수납을 위한 복수의 격실을 형성하는 제 1 용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용착부는, 복수의 격실의 중간을 약제 백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배출의 앞의 부위까지 연장되는 박리 가능한 제 1 부분과, 제 1 부분으로부터 양측을 향하여 약제 백의 가장자리부까지 연장되고, 배출구에 개구되지만 상기 복수의 격 실로부터는 분리된 중간실을 가요성 필름의 대향면간에 형성하고, 제 1 부분의 박리에 의한 혼합 약제를 배출구에 연통시키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박리 가능한 제 2 부분으로 구성되고, 또,
    배출구를 사이에 두고 제 1 용착부의 제 2 부분의 양측에서 약제 백의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용착부의 제 1 부분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가요성 필름 대향면을 박리 불능으로 용착하는 제 2 용착부를 구비한 복실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2 용착부는 제 1 용착부의 제 1 부분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실 용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착부는 제 1 용착부와의 이격측 말단부가 약제 백의 가장자리부까지 연설되어 있는 동시에, 제 1 용착부와의 근접측 말단부가 제 1 용착부의 제 2 부분까지 연설되어 있고 상기 격실 및 중간실로부터 분리된 소실을 형성하고 있는 복실 용기.
  9. 약제 백과, 약제 백에 장착된 약제의 배출구와, 약제 백을 구성하는 가요성 필름의 대향면을 용착함으로써 약제 백의 내부에 각각의 약제의 수납을 위한 복수의 격실을 형성하는 제 1 용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용착부는, 복수의 격실의 중간을 약제 백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배출구의 앞의 부위까지 연장되는 박리 가능한 제 1 부분과, 제 1 부분으로부터 양측을 향하여 약제 백의 가장자리부까지 연장되 고, 배출구에 개구되지만 상기 복수의 격실로부터는 분리된 중간실을 가요성 필름의 대향면간에 형성하고, 제 1 부분의 박리에 의한 혼합 약제를 배출구에 연통시키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박리 가능한 제 2 부분으로 구성되고, 또, 가요성 필름 대향면을 박리 불능으로 용착하는 제 2 용착부를 구비한 복실 용기를 준비하고,
    약제 수송 개시에 앞서 복수의 격실의 적어도 한쪽을 가압하고, 제 2 용착부에 의해 제 1 용착부의 제 2 부분으로의 약제 백의 팽창의 전파를 규제함으로써 최초에 제 1 용착부의 제 1 부분을 박리 개통시킴으로써 약제를 혼합하고,
    약제의 혼합 후에 제 1 용착부의 제 2 부분을 박리 개통시킴으로써 혼합 약제를 배출구에 개구시켜, 마개 전체를 천자 개통시킴으로써 배출구로부터의 혼합 약제의 수송을 개시하도록 한 약제 수송방법.
KR1020097008814A 2006-11-06 2007-11-02 복실 용기 KR101426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99822 2006-11-06
JP2006299822 2006-11-06
PCT/JP2007/071387 WO2008056605A1 (fr) 2006-11-06 2007-11-02 Récipient à multiples chambr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341A Division KR20140063908A (ko) 2006-11-06 2007-11-02 복실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220A true KR20090079220A (ko) 2009-07-21
KR101426318B1 KR101426318B1 (ko) 2014-08-06

Family

ID=393644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341A KR20140063908A (ko) 2006-11-06 2007-11-02 복실 용기
KR1020097008814A KR101426318B1 (ko) 2006-11-06 2007-11-02 복실 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341A KR20140063908A (ko) 2006-11-06 2007-11-02 복실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35101B2 (ko)
EP (1) EP2082719B1 (ko)
JP (1) JP4993220B2 (ko)
KR (2) KR20140063908A (ko)
AT (1) ATE551986T1 (ko)
WO (1) WO20080566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5447A (ja) * 2016-03-16 2017-09-21 オリヒロ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フィルム包装袋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3805B2 (en) 2005-04-22 2013-12-10 Hyclone Laboratories, Inc. Gas spargers and related container systems
KR101395209B1 (ko) * 2006-12-07 2014-05-15 감브로 룬디아 아베 다중격실 용기
JP5365871B2 (ja) * 2007-07-17 2013-12-11 味の素株式会社 複室容器
US20100290718A1 (en) * 2009-05-15 2010-11-18 Amber Laubacher Frangible seals for multiple compartment bags, multiple compartment bags incorporating the same,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EP2386284A1 (en) * 2010-05-10 2011-11-16 B. Braun Melsungen AG Shape
AU2012271925B2 (en) 2011-06-22 2014-07-17 Gambro Lundia Ab Container with sub-chambers separated by peelable seal
CN106635740B (zh) 2011-09-30 2019-03-15 生命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膜喷洒器的容器
KR101350305B1 (ko) 2012-11-07 2014-01-10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더블 챔버형 주사제 용기 및 더블 챔버형 일회용 주사기
US9079690B1 (en) 2014-06-26 2015-07-14 Advanced Scientifics, Inc. Freezer bag,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freezing
KR101620076B1 (ko) * 2014-10-28 2016-05-23 씨앤텍 주식회사 가압 개방되는 비접합선을 가진 2중 파우치
JP6859018B2 (ja) * 2015-02-24 2021-04-14 株式会社Mizkan Holdings 包装物品
DE102016116133B3 (de) * 2016-08-30 2018-01-25 i.GLUESYSTEMS GmbH Mehrkammerbeutel
WO2018102566A1 (en) 2016-12-01 2018-06-07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Microcarrier filter bag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US10369077B2 (en) * 2017-05-31 2019-08-06 Adienne Pharma & Biotech Sa Multi chamber flexible bag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1654085B2 (en) 2018-05-18 2023-05-23 Baxter International Inc. Method of making dual chamber flexible container
USD900311S1 (en) 2018-05-18 2020-10-27 Baxter International Inc. Dual chamber flexible container
WO2020109195A1 (en) * 2018-11-26 2020-06-04 F. Hoffmann-La Roche Ag Manufacturing a flexible container
WO2021054212A1 (en) * 2019-09-19 2021-03-25 Terumo Kabushiki Kaisha Flow path sealing structure, bag-shaped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39613A (ko) * 2019-10-02 2021-04-12 이시정 복수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파우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6778A5 (fr) * 1987-05-29 1996-06-28 Vifor Medical Ag Récipient destiné au stockage séparé de composés actifs et à leur mélange subséquent.
DE4410876A1 (de) 1994-03-29 1995-10-05 Fresenius Ag Medizinischer Mehrkammerbeute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4236131B2 (ja) * 1996-06-13 2009-03-11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容器
JP2002136570A (ja) * 2000-08-24 2002-05-14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医療用複室容器
JP4081650B2 (ja) * 2001-09-13 2008-04-30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医療用複室容器
ES2384513T3 (es) * 2002-02-14 2012-07-06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Recipiente médico dotado de múltiples cámaras
JP2005143594A (ja) 2003-11-11 2005-06-09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医療用複室容器
JP4481708B2 (ja) * 2004-04-05 2010-06-16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複室容器
JP4868285B2 (ja) 2004-04-08 2012-02-01 味の素株式会社 薬剤収納封止体
JP2005318997A (ja) * 2004-05-07 2005-11-17 Kimitaka Nishino 輸液パック
ES2346235T3 (es) * 2004-05-28 2010-10-13 Ajinomoto Co., Inc. Bolsa de almacenamiento obturada de estructura de compartimentos multiples.
JP5088604B2 (ja) 2004-07-09 2012-12-05 味の素株式会社 薬剤収納封止体
WO2006013934A1 (ja) 2004-08-04 2006-02-09 Ajinomoto Co., Inc. 2以上の容器を連通させるために使用する連通針
JP4953018B2 (ja) 2005-03-15 2012-06-13 味の素株式会社 薬剤移送具
JP2006280390A (ja) * 2005-03-31 2006-10-19 Terumo Corp 医療用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5447A (ja) * 2016-03-16 2017-09-21 オリヒロ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フィルム包装袋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56605A1 (fr) 2008-05-15
US20090254032A1 (en) 2009-10-08
JP4993220B2 (ja) 2012-08-08
KR101426318B1 (ko) 2014-08-06
KR20140063908A (ko) 2014-05-27
US7935101B2 (en) 2011-05-03
ATE551986T1 (de) 2012-04-15
EP2082719B1 (en) 2012-04-04
EP2082719A4 (en) 2010-11-24
EP2082719A1 (en) 2009-07-29
JPWO2008056605A1 (ja) 201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9220A (ko) 복실 용기
US5176634A (en) Flexible multiple compartment drug container
JP4096200B2 (ja) 医療用複室容器及びこれを収容する収容袋
KR101395209B1 (ko) 다중격실 용기
WO2004047714A1 (en) Multiple-chamber medical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057172B2 (ja) 複室容器
KR101360596B1 (ko) 약액을 수용하는 다구획 용기
CN103429287A (zh) 无菌盒和配药器装置
JP2006263261A (ja) 複室容器及び内容物排出方法
JP2007190161A (ja) 複室容器
JP4535840B2 (ja) 医療用複室容器の製造方法
JP5257358B2 (ja) 複室容器
JP4822860B2 (ja) 医療用複室容器
JP7367179B2 (ja) 袋状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962733B2 (ja) 複室容器
JP3903522B2 (ja) 複数室分離容器
JP2008061669A (ja) 複室容器
JP2016131577A (ja) 医療用複室容器
JP3932427B2 (ja) 医療用複室容器の製造方法
JP2007185418A (ja) 複室容器
KR101964383B1 (ko) 의료용 수액백
JP5223244B2 (ja) 複室容器
JP4962734B2 (ja) 複室容器
JP2005318997A (ja) 輸液パック
JP2006136744A (ja) 医療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