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7767A - 하드 코팅 필름, 그의 제조 방법 및 반사 방지 필름 - Google Patents

하드 코팅 필름, 그의 제조 방법 및 반사 방지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7767A
KR20090077767A KR1020097006967A KR20097006967A KR20090077767A KR 20090077767 A KR20090077767 A KR 20090077767A KR 1020097006967 A KR1020097006967 A KR 1020097006967A KR 20097006967 A KR20097006967 A KR 20097006967A KR 20090077767 A KR20090077767 A KR 20090077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ard coat
hard
layer
coa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5242B1 (ko
Inventor
사또시 고지마
다까시 미무라
유 아베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7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2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sing multilayered plates or sheets
    • B29C55/02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sing multilayered plates or sheets of preformed plates or sheets coated with a solution, a dispersion or a melt of thermo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feed
    • B29C55/08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feed in several stretch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G02B1/105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31Refract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64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with transparent or protective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Surface property or characteristic of web, sheet or bloc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드 코팅층을 적층한 열가소성 필름에 있어서 표면 경도가 우수하면서, 간섭 무늬의 발생이 억제되고, 반사 방지 필름에 적용했을 때에 화상 선명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화면의 번쩍임이나 외광의 비침, 반사광의 착색 불균일이 억제된 하드 코팅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표면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하드 코팅층의 계면에 요철 구조를 갖는 하드 코팅층이 적층되고, 상기 하드 코팅층 표면의 3차원 표면조도매개변수에 있어서, 산술평균조도 Sa가 15 ㎚ 이상, 150 ㎚ 미만이고, 표면 높이 분포의 첨도 Sku가 1.5 이상,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팅 필름.
하드 코팅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요철 구조

Description

하드 코팅 필름, 그의 제조 방법 및 반사 방지 필름{HARD-COATING FILM,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ANTIREFLECTION FILM}
본 발명은 하드 코팅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나아가 이 하드 코팅 필름을 이용한 반사 방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용 반사 방지 필름이나 터치 패널용 필름에 적합한 하드 코팅 필름이며, 내찰상성이 우수하고, 간섭 무늬가 적고, 또한 표층에 반사 방지 가공을 했을 때의 반사광의 착색 불균일이 매우 적은 특징을 갖고,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텔레비젼의 필터에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이용했을 경우에 비침 방지 효과와 투과 화상 선명도, 화면의 번쩍임 감소를 부여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그의 기계 특성, 치수 안정성, 내열성, 투명성 및 전기 절연성 등이 우수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자기 기록 재료, 포장 재료, 전기 절연 재료, 각종 사진 용도, 그래픽 아트, 광학 표시 재료 등의 많은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표면 경도는 충분하지 않아, 다른 단단한 물질과의 접촉, 마찰, 긁힘 등에 의해 표면에 손상을 받기 쉽다는 결점을 갖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부터 각종 하드 코팅층을 적층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고도한 결정 배향성을 갖기 때문에 직접 하 드 코팅층을 설치하면 접착성이 불충분해지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접착층을 개재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방법, 또는 직접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하드 코팅층을 설치한 경우에는 하드 코팅층과 이와 접촉하는 층인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면이나 접착층면과의 면내 굴절률차가 생기기 때문에 광학 용도, 예를 들면 반사 방지 필름이나 터치 패널용 필름의 기재로서 이용한 경우에는 하드 코팅층의 두께 불균일에 대응하는 간섭 무늬가 발생한다.
간섭 무늬의 발생은 상기와 같은 용도에 이용한 경우,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현저히 저해한다. 이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도막 두께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거나 하드 코팅층의 굴절률을 높게 하여 기재 필름과의 굴절률차를 작게 하는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하기 특허 문헌 1). 또한, 기재 필름의 표면을 열 프레스법에 의해 엠보싱 가공하여 표면에 요철을 부여하고 그 면에 하드 코팅층을 설치하는 방법(하기 특허 문헌 2), 기재 필름을 용해시키는 용제를 이용한 하드 코팅층 형성 도료를 이용하여 도포시에 기재를 용해 또는 팽윤시키는 방법(하기 특허 문헌 3), 형상 부형 필름을 전사시키는 방법(하기 특허 문헌 4), 하드 코팅층에 입자를 첨가하여 요철 구조를 형성하여 빛을 산란시키는 방법(하기 특허 문헌 5)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하드 코팅층이나 접착층의 굴절률을 통상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면내 굴절률인 1.60 내지 1.65 정도에 맞추기에는 한계가 있어, 현재의 기술로는 만족스러운 것은 얻어지지 않고, 간섭 무늬를 완전히 소거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했다. 또한, 하드 코팅층의 두께를 간섭 무늬가 나오지 않는 정도까지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또한, 기재 필름의 표면을 열 프레스 등의 방법으로 요철을 형성하여 하드 코팅층을 설치하는 방법만으로는 간섭 무늬는 약간 보이기 어려워지지만, 비침 억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재 필름을 용해 또는 팽윤시키는 방법은 이축 배향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경우에는 내용제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적합한 용제가 거의 없고, 유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르토클로로페놀은 작업 환경을 나쁘게 하거나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기재 필름과 하드 코팅층의 계면에 혼재층이 형성됨으로써 헤이즈가 증대하여, 디스플레이에 이용한 경우에는 투과 화상의 선명도가 저하된다는 문제나 표면의 하드 코팅층은 비교적 평활해지기 때문에 외광의 비침의 개선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또한, 통상의 하드 코팅층은 매우 평활하기 때문에, 하드 코팅층 상에 반사 방지 가공을 했을 때, 반사 방지층 표면에서의 반사광 강도에 파장 의존성이 커져, 특정한 색이 강하게 보이거나, 반사 방지층의 도포 불균일에 의해 색 불균일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부형 필름의 요철 구조를 하드 코팅층에 전사하는 방법은, 부형 필름으로부터의 이물질의 혼입이 우려됨과 동시에 요철 구조의 경사각이 커져 화면의 번쩍임이 발생하기 쉽다. 하드 코팅층 중에 입자를 첨가하여 하드 코팅층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시키는 방법에서는 간섭 무늬나 비침 방지 효과는 발현되지만 화면의 번쩍임이 증대하여 시인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4152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8-197670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05563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41553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제2003-75604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반사 방지 필름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여, 간섭 무늬나 표면 반사광의 착색 불균일이 감소되고,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텔레비젼의 전면 필터에 이용한 경우, 화상이 선명하고, 화면의 번쩍임이 적고, 비침 방지 효과를 부여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즉,
(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표면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하드 코팅층의 계면에 요철 구조를 갖는 하드 코팅층이 적층되고,
상기 하드 코팅층 표면의 3차원 표면조도 매개변수에 있어서,
산술평균조도 Sa가 15 ㎚ 이상, 150 ㎚ 미만이고,
표면 높이 분포의 첨도(Kurtosis) Sku가 1.5 이상, 5 이하인 하드 코팅 필름,
(2) 하드 코팅층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계면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면에 요철 구조를 갖고, 상기 요철 구조의 볼록부의 단면 방향의 하드 코팅 표면 형상이 오목부인 청구항 1에 기재된 하드 코팅 필름,
(3) 하드 코팅층이 열경화에 의해 형성된 층인 (1) 또는 (2)에 기재된 하드 코팅 필름,
(4)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드 코팅 필름,
(5) 하드 코팅층의 요철 구조가 하드 코팅층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의 입자에 기인하여 형성된 것이 아닌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드 코팅 필름,
(6) 하드 코팅층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계면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면에 요철 구조를 갖고, 상기 요철 구조의 볼록부의 단면 방향의 하드 코팅 표면 형상이 볼록부이면서, 적어도 한 방향의 150℃, 30분의 열수축률이 0.8% 이하인 (1), (3), (4),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드 코팅 필름,
(7) 하드 코팅층 표면의 직교하는 2 방향 각각의 산술평균경사각 Δa1, Δa2의 평균치 Δa=(Δa1+Δa2)/2가 0.2 내지 1.0 deg인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드 코팅 필름,
(8) 하드 코팅층 표면의 3차원 표면조도 매개변수의 산술평균조도 Sa(Sa1)와 폴리에스테르와 하드 코팅층 계면의 Sa(Sa2)의 비 "Sa2/Sa1"이 2 이상 20 이하인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드 코팅 필름,
(9) 하드 코팅층의 Sku가 1.5 이상 3 이하인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드 코팅 필름,
(10) 하드 코팅 필름의 헤이즈가 3% 미만인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드 코팅 필름,
(11) (1)에 기재된 하드 코팅층 상에 굴절률 1.45 이하의 저굴절률층, 또는 굴절률 1.55 이상의 고굴절률층을 개재하여 굴절률 1.45 이하의 저굴절률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필름,
(12) 반사 방지 필름의 파장 380 ㎚에서의 투과율이 5% 이하이면서, 헤이즈가 4%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에 기재된 반사 방지 필름,
(13)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 공정 내의 길이 방향 연신 후에 하드 코팅 도포제를 도포하고, 그 후 연속적으로 텐터에 유도하여 폭 방향으로 1.1 내지 1.8배의 미세연신을 행한 후, 추가로 2.5 내지 3.5배의 연신을 행하고, 이어서 하드 코팅층을 열경화시키면서 3 내지 7%의 폭 방향의 이완 처리를 행하는 하드 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
(14) 상기 3 내지 7%의 이완 처리를 행한 후, 추가로 200℃ 내지 240℃에서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1.5 내지 15%의 이완 처리를 행하는 청구항 13에 기재된 하드 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
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 및 반사 방지 필름은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간섭 무늬가 감소되고, 또한 반사 방지 가공 후 표면 반사광의 착색 불균일이 감소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용도 등에 적용한 경우, 시인성이 우수해지고,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전면 필터에 이용한 경우에는 비침 방지 효과를 가져 시인성이 우수하고, 화상이 선명하고, 화면의 번쩍임을 방지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하드 코팅층이 적층된 하드 코팅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반사 방지 필름이며, 상기 하드 코팅층 표면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하드 코팅층의 계면에 요철 구조를 갖고 상기 하드 코팅 표면의 3차원 표면조도 매개변수에 있어서, 산술평균조도 Sa가 15 ㎚ 이상, 150 ㎚ 미만이고, 표면 높이 분포의 첨도 Sku가 1.5 이상,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기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2종 이상이 혼합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이들과 다른 디카르복실산 성분이나 디올 성분이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일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결정 배향이 완료된 필름에 있어서, 그의 결정화도가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이상인 필름이 바람직하다. 결정화도가 25% 미만인 경우에는 치수 안정성이나 기계적 강도가 불충분해지기 쉽다. 결정화도는 밀도 구배법(JIS-K7112(1980))이나 라만 스펙트럼 분석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술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의 극한 점도(JIS K7367에 따라 25℃의 o-클로로페놀 중에서 측정한 값)는 0.4 내지 1.2 dl/g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8 dl/g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2층 이상의 적층 구조의 복합체 필름일 수도 있다. 복합체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내층부에 실질적으로 입자를 함유하지 않고, 표층부에 입자를 함유시킨 층을 설치한 복합체 필름을 들 수 있고, 내층부와 표층부가 화학적으로 이종인 중합체일 수도 있고, 동종인 중합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용도인 디스플레이용 반사 방지 필름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는 입자 등을 함유하지 않는 편이 내부 산란에 의한 헤이즈의 증대 등이 없어 광학 특성상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의 열 안정성, 특히 치수 안정성이나 기계적 강도를 충분하게 하고, 평면성을 양호하게 하는 측면에서, 하드 코팅층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이축 연신에 의해 결정 배향된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축 연신에 의해 결정 배향되어 있다고 함은, 결정 배향이 완료되기 전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각각 2.5 내지 5배 정도 연신하고, 그 후 열 처리에 의해 결정 배향을 완료시킨 것으로서, 광각 X선 회절로 이축 배향의 패턴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이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지만, 기계적 강도나 취급성 등의 면에서 10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 ㎛이다. 디스플레이용 반사 방지 필름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75 내지 200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각종 첨가제나 수지 조성물, 가교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내열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유기, 무기의 입자(예를 들면 예를 들면 실리카, 콜로이달 실리카, 알루미나, 알루미나 졸, 카올린, 탈크, 마이커, 탄산칼슘, 황산바륨, 카본 블랙, 제올라이트, 산화티탄, 금속 미분말 등), 안료, 염료, 대전 방지제, 핵제,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알키드 수지, 에폭시 수지, 요소 수지, 페놀 수지, 실리콘 수지, 고무계 수지, 왁스 조성물, 멜라민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메틸올화, 알킬올화된 요소계 가교제, 아크릴아미드, 폴리아미드, 에폭시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각종 실란 커플링제, 각종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 방지 필름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색 보정이나 근적외 차단 기능을 갖는 염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살리실산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벤조옥사지논계 화합물,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계 화합물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지만, 380 ㎚ 내지 390 ㎚에서의 자외선 커팅성, 색조 등의 면에서 벤조옥사지논계 화합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들 화합물은 1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HALS(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나 산화 방지제 등의 안정제의 병용은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재료인 벤조옥사지논계 화합물의 예로서는, 2-p-니트로페닐-3,1-벤조옥사진-4-온, 2-(p-벤조일페닐)-3,1-벤조옥사진-4-온, 2-(2-나프틸)-3,1-벤조옥사진-4-온, 2-2'-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2,6-나프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의 첨가량은 기재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0.5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우수한 내광성을 부여하기 위해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4량체 화합물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4량체 화합물은 기재 필름 중에 0.05 내지 2 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4량체 화합물이란, 시아노아크릴레이트의 4량체를 기본으로 하는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1,3-비스(2' 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로일옥시)-2,2-비스-(2' 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판)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것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자외선 흡수제는 기재 필름 중에 0.3 내지 3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 첨가에 의한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 및 본 하드 코팅 필름을 이용한 반사 방지 필름은 파장 380 ㎚에서의 투과율이 5%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부재에 적용한 경우, 자외선으로부터 기재 필름이나 염료 색소 등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투과율은 분광광도계 U-3410((주) 히따찌 세이사꾸쇼 제조)에 직경 60 mm의 적분구 130-063((주) 히따찌 세이사꾸쇼 제조) 및 10도 경사 스페이서를 부착한 상태에서 파장 380 ㎚의 투과율을 구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은 전체 광선 투과율이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4% 이상인 것이 좋다. 전체 광선 투과율이 90%에 미치지 않는 경우에는 반사 방지 필름으로 했을 때에 화상의 선명도가 저해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는 하드 코팅층이 적층되고, 상기 하드 코팅 표면의 3차원 표면조도 매개변수에 있어서, 산술평균조도 Sa가 15 ㎚ 이상, 150 ㎚ 미만이고, 표면 높이 분포의 첨도 Sku가 1.5 이상,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하드 코팅 표면의 3차원 표면조도는 하드 코팅 표면을 표면형상 측정장치 SP-500 또는 SP-700(도레이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계면 형상과 표면 형상을 비파괴로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장치)에 의해, 5배 대물 렌즈, 측정 모드 WSI로 측정했을 때에 얻어지는 하드 코팅 표면의 3차원 표면 형상으로부터 구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하드 코팅 표면의 3차원 표면조도 매개변수의 산술평균조도 Sa와 표면 높이 분포의 첨도 Sku란, SP-500 또는 SP-700에 의해 측정된 3차원 표면 형상을 나노스케일 3D 화상 처리 소프트웨어 SPIPTM(이미지 메트롤로지(Image Metrology) A/S사 제조)을 이용하여 해석하여 얻어지는 값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산술평균조도 Sa란, 이차원의 Ra를 삼차원으로 확장한 것으로, 표면 형상 곡면과 평균면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부피를 측정 면적으로 나눈 것으로서, 이하의 식으로부터 구해진다. 표면을 XY면, 높이 방향을 Z축으로 하고, 측정된 표면 형상 곡선에 있어서 k번째의 x의 값, l번째의 y의 값에서의 높이를 z(xk, yl)로 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20379532-PCT00001
또한, μ란 이하의 식으로부터 구해지는 평균면을 말한다.
Figure 112009020379532-PCT00002
표면 높이 분포의 첨도 Sku란, 표면 형상 곡면의 날카로움의 척도로, 표면 높이 분포의 퍼짐을 특징짓는 것으로서,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Figure 112009020379532-PCT00003
또한, Sq란 이차원의 Rq(RMS)를 삼차원으로 확장한 것으로서, 이는 통계학에서 표준 편차 σ를 나타내고 있다. 표면 형상 곡면과 평균면의 거리를 제곱한 곡면과, 평균면에 의해 끼워지는 부분의 부피를 측정 면적으로 나눈 후에 평방근을 구한 제곱 평균 평방근 편차로서, 이하의 식으로부터 구해진다.
Figure 112009020379532-PCT00004
또한, Sku=3일 때가 정규 분포임을 나타내고, 이 수치가 작아짐에 따라 표면 높이 분포가 완만한 형상을 하고 있고, 수치가 커짐에 따라 돌기가 날카로운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하드 코팅층 표면의 3차원 표면조도 매개변수의, 산술평균조도 Sa가 15 ㎚ 이상, 150 ㎚미만, 바람직하게는 Sa가 20 ㎚ 이상, 1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85 ㎚ 이하이면서, 표면 높이 분포의 첨도 Sku가 1.5 이상, 5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2.5 이하이다. Sa가 15 ㎚ 미만이면 하드 코팅층 표면이 너무 평활하기 때문에, 반사 방지 가공 후 표면 반사광에 색 불균일이 발생하거나, 형광등 등의 외광의 비침이 증대하여 외관 불량이나 시인성이 저하된다. 또한, Sa가 150 ㎚ 이상인 경우에는 하드 코팅 표면의 반사광이 산란됨으로써, 형광등 등의 외광의 비침 감소 효과는 얻어지지만, 백탁하거나 투과상이 크게 산란되기 때문에 선명성이 저하된다. 또한, 화면의 번쩍임이 눈에 띄게 된다.
여기서, Sku는 1 미만이 되는 것은 원리적으로 없다. 또한, 5보다 크면, 날카로운 돌기가 드문드문하게 존재한 표면이 되기 때문에, 반사 방지 가공 후의 반사광에 있어서 육안 관찰 가능한 색 불균일이나 화면의 번쩍임이 발생하여 외관 불량이 된다. Sku가 1.5 미만인 경우에는 돌기 형상이 완만해져, 외광이나 형광등의 비침이 커지는 경향이 된다.
본 발명의 특징인 하드 코팅 표면의 형상(Sa, Sku)을 달성시키는 수단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 공정 내에서 하드 코팅층을 설치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하드 코팅층 표면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하드 코팅층 계면으로의 형상 부여를 동시에 행할 수 있는 점, 청정도, 경제성 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따르면,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하드 코팅층 계면에 요철 구조가 형성되고, 또한 이것을 반영한 하드 코팅층 표면 요철 형상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포액의 점도, 하드 코팅층 도포 후의 폭 방향의 연신 방법, 하드 코팅층 경화시의 열이력, 하드 코팅층 경화 후의 이완 처리를 적정화함으로써 표면의 형상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드 코팅층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계면에 요철 구조가 존재하면, 종래에 발생하였던 하드 코팅층 표면과 하드 코팅층/기재 계면의 반사광의 간섭에 의한 간섭 무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계면에 존재하는 돌기는 동일한 광로차가 되는 빛이 반사되는 계면의 면적을 세분화할 수 있어, 간섭 무늬가 시인 불가 영역까지 세분화됨으로써 간섭 무늬가 감소하는 것이다. 또한, 이 구조의 형성에 의해 화면의 번쩍임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드 코팅층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계면의 요철 구조의 돌기(볼록부) 높이는 0.3 ㎛ 이상, 2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 1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 이상, 0.7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 높이가 2 ㎛보다 크면, 하드 코팅층 표면이 너무 거칠어지거나, 투과상 에 번쩍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서 언급하는 돌기 높이는 계면 형상 곡선에서의 최대 높이 Rz(JISB0601: '01)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드 코팅층 표면은 상기와 같이 특정한 Sa, Sku의 값을 갖지만, 이러한 요철 구조를 하드 코팅층 표면에 갖는 것은 간섭 무늬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하드 코팅 표층에 추가로 적층되는 반사 방지층에 의한 반사광의 착색의 감소, 착색 불균일의 감소, 나아가 화면의 번쩍임이 생기지 않고 외광의 비침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하드 코팅 표면에 존재하는 돌기는 반사 방지층의 두께에 미세한 불균일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유효하고, 이에 따라 가시광 영역에서의 반사광 강도가 평탄화되고, 파장 의존성이 감소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하드 코팅층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등의 접착층을 개재시킬 수도 있지만, 습열 하에서의 밀착성 유지나 간섭 무늬를 감소시키기 위해 접착층을 개재시키지 않고 기재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하드 코팅층을 견고하게 접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드 코팅층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계면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면에 요철 구조를 갖고, 상기 요철 구조의 볼록부의 단면 방향의 바로 위쪽의 하드 코팅 표면 형상을 오목부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의 역패턴인 계면의 볼록부와 하드 코팅층 표면의 볼록부를 일치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단면 방향이란 필름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하드 코팅 필름의 표면 조도 곡선의 오목부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하드 코팅층 계면의 조도 곡선의 볼록부와 단면 방향에 있어서 일치하고 있는 상태가 도 1이고, 그의 역패턴이 도 2이다.
하드 코팅 필름의 표면조도 곡선의 오목부가 그 직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하드 코팅층 계면의 조도 곡선의 볼록부와 일치하고 있는 상태는 종래의 입자 첨가나 형상 전사법, 코팅 방식 등에서는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제막 공정 도중에 하드 코팅층 형성 도포액을 도포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었던 것으로서, 추가로 이 기술의 연장상에서 그 역패턴의 형성도 가능함을 발견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는 필름 단면을 잘라내어 현미경 관찰에 의해 하드 코팅층 표면의 형상선과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하드 코팅층 계면의 형상선을 구하는 방법, 표면형상 측정장치 SP-500 또는 SP-700(도레이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여 표면과 계면의 조도 곡선을 동시에 측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측정 정밀도 면에서 표면형상 측정장치 SP-500 또는 SP-700(도레이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계면 형상과 표면 형상을 비파괴로 동시에 측정할 수 있음)을 이용하여 구조확인을 하는 방법이 가장 좋다.
본 발명에서의 하드 코팅층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계면은 요철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그의 수단으로서는 후술과 같이 연신 배향 완료 전의 열가소성 필름의 연신시에 필름 표면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조건으로 하드 코팅층 형성 도포액을 도포하고, 연신 공정에서 계면에 돌기를 형성하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인 하드 코팅 표면의 형상(Sa, Sku)을 달성시킬 목적으로, 하드 코팅층 형성 도포액 도포 후부터 도막의 경화까지의 동안에 미경화 도막 표면의 레벨링성을 조정하기 위해, 폭 방향 연신시의 온도를 내림으로써 레벨링성을 저하시키고, 가온 레벨링 영역을 설치함으로써 레벨링성을 향상시켜 표면의 요철 구조를 제어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결정하면 되는 데, 통상 0.5 ㎛ 내지 30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15 ㎛이다. 하드 코팅층의 두께가 0.5 ㎛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히 경화되었더라도 너무 얇기 때문에 표면경도가 충분하지 않아 흠집이 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두께가 3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화시에 컬링되거나 절곡 등의 응력에 의해 경화막에 균열이 들어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구조의 하드 코팅 필름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우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층되는 하드 코팅층 형성 조성물은, 예를 들면 아크릴계, 우레탄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멜라민계, 유기 실리케이트 화합물계, 실리콘계 및 금속 산화물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들 중에서도 열이나 활성선으로 경화되는 아크릴계가 바람직하고,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화합물로 구성되는 경화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주성분이란 하드 코팅층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란, 1분자 중에 3(보다 바람직하게는 4, 더욱 바람직하게는 5)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단량체 또 는 올리고머, 예비중합체이며, 1분자 중에 3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단,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란, "…아크릴… 또는 …메트아크릴…"을 생략하여 표시한 것임)를 갖는 단량체, 올리고머, 예비중합체를 말한다. 이러한 조성물로서는 1분자 중에 3개 이상의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의 상기 수산기가 3개 이상의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테르화물로 되어 있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우레탄 예비중합체,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우레탄 예비중합체,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우레탄 예비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1분자 중에 3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단량체, 올리고머, 예비중합체의 사용 비율은 하드 코팅층 구성 성분 총량에 대하여 50 내지 90 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중량%이다.
상기 화합물 이외에 하드 코팅층의 강직성을 완화시키거나, 경화시의 수축을 완화시키거나, 도포액의 점도를 조정할 목적으로 1 내지 2관능의 아크릴레이트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분자 중에 1 내지 2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단량체로서는, 라디칼 중합성이 있는 통상의 단량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분자 내에 2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서는 하기 (a) 내지 (f)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a) 탄소수 2 내지 12의 알킬렌글리콜의 (메트)아크릴산 디에스테르류: 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
(b)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의 (메트)아크릴레이트산 디에스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
(c) 다가 알코올의 (메트)아크릴산 디에스테르류: 펜타에리트리톨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
(d) 비스페놀 A 또는 비스페놀 A의 수소화물의 에틸렌옥시드 및 프로필렌옥시드 부가물의 (메트)아크릴산 디에스테르류: 2,2'-비스(4-아크릴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아크릴옥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 등,
(e)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2개 이상의 알코올성 수산기 함유 화합물을 미리 반응시켜 얻어지는 말단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화합물에, 추가로 알코올성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류 등, 및
(f)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에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류 등.
분자 내에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서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 및 i-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 sec-, 및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N-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N-비닐-3-메틸피롤리돈, N-비닐-5-메틸피롤리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단량체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1분자 중에 1 내지 2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단량체의 사용 비율은, 하드 코팅층 구성 성분 총량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이다. 아크릴올리고머란, 아크릴계 수지 골격에 반응성의 아크릴기가 결합된 것,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 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등이고, 또한 멜라민이나 이소시아누르산 등의 강직한 골격에 아크릴기를 결합한 것 등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재료에 의해 구성된 도포제의 점도는 1000 내지 5000 mPa·s(25℃), 가온시에는 50 내지 200 mPa·s(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가온시(100℃)의 점도가 50 내지 200 mPa·s이면, 하드 코팅층 표면의 형상을 제어하기 쉬워진다.
가온(100℃)시의 도포액 점도가 50 mPa·s 미만이면, 도포액의 유동성이 너무 높기 때문에, 하드 코팅층-기재 계면의 요철 구조를 반영한 표면으로 할 수 없어 평탄화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가온(100℃)시의 도포액 점도가 200 mPa·s보다 크면, 도포액의 유동성이 너무 낮아, 목적하는 표면 형상으로 하기 위해 긴 레벨링 시간을 설치해야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도포액 점도란 E형 점도계로 구해진 것으로서, 도포제 중에 100℃ 이하에서 휘발되는 물질이 있는 경우에는 도포제를 해방계에서 100℃에서 10분 가열하여 얻어진 잔류물의 점도를 측정하여 얻어진 값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적절히 반응성 희석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성 희석제란, 도포제의 매체로서 도포 공정에서의 저점도화의 기능을 담당함과 동시에, 그 자체가 일관능성 또는 다관능성의 아크릴올리고머와 반응하는 기를 가져, 도막의 공반응 성분이 되는 것이다.
이들 아크릴올리고머, 반응성 희석제 등의 구체예는 문헌 [야마시타 신조, 가네코 토우스케 편, "가교제 핸드북", 다이세이샤 1981년 발행, 제267 페이지 내지 제275 페이지, 제562 페이지 내지 제593 페이지를 참고로 할 수 있다. 또한, 시판되고 있는 다관능 아크릴계 경화 도료로서는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상품명 "다이어빔" 시리즈 등), 나가세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상품명 "데나콜" 시리즈 등), 신나카무라 가부시끼가이샤; (상품명 "NK 에스테르" 시리즈 등), 다이닛본 잉크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상품명 "UNIDIC" 시리즈 등), 도야 고세이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상품명 "아로닉스" 시리즈 등), 닛본 유시 가부시끼가이샤; (상품명 "브렘머" 시리즈 등), 닛본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상품명 "KAYARAD" 시리즈 등), 교에이샤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상품명 "라이트 에스테르" 시리즈,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시리즈 등) 등의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드 코팅층의 개질제로서 도포성 개량제, 소포제, 증점제, 대전 방지제, 무기계 입자, 유기계 입자, 유기계 윤활제, 유기 고분자 화합물,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염료, 안료 또는 안정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은 활성선 또는 열에 의한 반응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하드 코팅층을 구성하는 도포층의 조성물 성분으로서 사용되고, 용도에 따라 하드 코팅층의 특성을 개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팅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활성선으로서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이나 고온 가열법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드 코팅 조성물에 광중합 개시제 또는 열중합 개시제 등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p-디메틸아세토페논, p-디메틸아미노프로피오페논, 벤조페논, 2-클로로벤조페논, 4,4'-디클로로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미힐러 케톤, 벤질,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메틸벤조일포르메이트, p-이소프로필-α-히드록시이소부틸페논, α-히드록시이소부틸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카르보닐 화합물,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술피드, 테트라메틸티우람디술피드,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등의 황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광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열중합 개시제로서는 벤조일퍼옥시드 또는 디-t-부틸퍼옥시드 등의 퍼옥시드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 또는 열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하드 코팅층 형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가 적당하다. 전자선 또는 감마선을 경화 수단으로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중합 개시제를 첨가할 필요는 없다. 또한, 200℃ 이상의 고온에서 열경화시키는 경우에는 열중합 개시제의 첨가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하드 코팅층 형성 조성물에는 제조시의 열중합이나 저장 중의 암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 또는 2,5-t-부틸하이드로퀴논 등의 열중합 방지제를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중합 방지제의 첨가량은 하드 코팅층 형성 조성물총 중량에 대하여 0.005 내지 0.05 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하드 코팅층을 직접 접착시키기 위해 하드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도포제 중에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나 멜라민계 가교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2,4- 및/또는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라 약칭), 폴리메릭 MDI, 1,5-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라 약칭),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라 약칭), 수소 첨가 XDI, 수소 첨가 MDI,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트리스(이소시아네이트페닐)티오포스페이트 등의 단량체, 2량체 이상의 것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할 수도 있다. 또한, 멜라민계 가교제의 종류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멜라민,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를 축합하여 얻어지는 메틸올화 멜라민 유도체, 메틸올화 멜라민에 저급 알코올을 반응시켜 부분적 또는 완전히 에테르화된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멜라민계 가교제로서는 단량체, 2량체 이상의 다량체를 포함하는 축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에테르화에 사용하는 저급 알코올로서는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n-프로필 알코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관능기로서는 이미노기, 메틸올기, 또는 메톡시메틸기나 부톡시메틸기 등의 알콕시메틸기를 1분자 중에 갖는 것으로, 이미노기형 메틸화 멜라민, 메틸올기형 멜라민, 메틸올기형 메틸화 멜라민, 완전 알킬형 메틸화 멜라민 등이다. 그 중에서도 메틸올 화 멜라민, 완전 알킬화 멜라민이 접착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멜라민계 가교제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드 코팅 형성 도포제 고형분 중에서 2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인 것이 접착성과 경도의 균형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멜라민의 경화를 촉진할 목적으로 산 촉매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 촉매로서는 p-톨루엔술폰산, 도데실벤젠술폰산, 디메틸피로인산, 스티렌술폰산 및 이들의 유도체(예를 들면 디메틸에탄올아민 등의 블록제 부가물)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산 촉매의 첨가량은 멜라민 가교제에 대하여 고형분비로 0.05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멜라민계 가교제를 첨가하는 경우, 도포제 조성물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하나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접착성 향상 면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 형성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 표면을 적절히 평활화하기 위해 레벨링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표적인 레벨링제로서는 실리콘계, 아크릴계, 불소계 등을 들 수 있지만, 평활성만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실리콘계가 소량의 첨가로 유효하다. 실리콘계 레벨링제로서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기본 골격으로 하고, 폴리옥시알킬렌기를 부가한 것(예를 들면 도레이 다우코닝 실리콘(주) 제조의 SH190)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팅층 상에 추가로 적층막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적층막의 도포성, 접착성을 저해하지 않을 필요가 있고, 그 경우에는 아크릴계 레벨링제를 이용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레벨링제로서는 "ARUFON-UP1000 시리즈, UH2000 시리즈, UC3000 시리즈(상품명): 도아 고세이 가가꾸(주) 제조"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벨링제의 첨가량은 하드 코팅층 형성 조성물 중에 0.01 내지 5 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장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하드 코팅층 계면 및 하드 코팅층 표면의 돌기 형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돌기 형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자외선 흡수제 함유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용융 압출하고, 정전 인가 장치를 이용하여 경면 드럼 상에 캐스팅하여 시트형으로 성형한다. 상기 성형 시트를 길이 방향으로 3 내지 4.5배의 연신을 행한다. 이 때, 길이 방향의 아베법에 의한 굴절률이 1.62 내지 1.68, 하드 코팅제 도포면측의 라만법에 의한 결정화도가 11 내지 25% 정도가 되도록 연신시에 라디에이션 히터에 의한 가열 연신을 행한다.
이 필름의 상기 하드 코팅 도포제 도포면에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2 내지 3관능의 아크릴레이트, 멜라민계 가교제 및 그의 경화 촉매, 레벨링제 등으로부터 조정된 하드 코팅 도포제를 약 10 내지 20 ㎛ 두께로 도포한다. 도포된 필름은 연속적으로 텐터 내로 유도되어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폭 방향으로 연신된다. 여기서 텐터 내에서 우선 60 내지 80℃로 예열되고, 그 후 70 내지 85℃에서 폭 방향으로 1.1 내지 1.8배의 미세연신을 행한다. 이 미세연신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결정 배향한 필름 표면에 미세한 균열이 생긴다. 이 균열 내에 하드 코팅 도포제의 일부가 침투한다. 침투한 부분의 하드 코팅층 표면은 오목 구조가 된다. 한편 으로 침투부는 주위의 PET의 결정성을 상승시킨다. 미연신 후의 도포 필름을 추가로 폭 방향으로 85 내지 100℃에서 2.5 내지 3.5배의 연신을 행함으로써, 결정성이 향상된 하드 코팅제 침투부는 잘 신장하지 않고, 부풀어 오른 완만한 돌기를 형성한다. 그의 계면의 돌기 바로 위쪽의 하드 코팅층 표면은 연신에 의해 완만한 오목 구조가 되고, 계면 볼록부에 대응한 바로 위쪽의 하드 코팅 표면은 오목 구조가 형성된다. 이 필름을 연속적으로 200 내지 235℃의 열 처리 영역으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3 내지 7%의 이완 처리를 행하면서 하드 코팅층을 열경화시킨다. 열경화 후, 추가로 긴장 상태에서 220 내지 240℃에서 열 처리를 행하여, 기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배향 결정화를 완료시킨다.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하드 코팅 필름은 계면이 볼록이고 두께 방향으로 대응하는 위치의 하드 코팅 표면이 오목이 되는 패턴의 구조가 되며, 하드 코팅 표면의 Sa는 15 내지 70 ㎚ 정도가 된다.
한편, 더욱 Sa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열경화 후의 필름을 추가로 200 내지 235℃에서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합계 1.5 내지 15%의 이완 처리를 행함으로써 50 내지 200 ㎚ 정도의 Sa로 할 수 있다. 이 이완율을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의 범위의 Sa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드 코팅층 경화 후의 이완에 의한 Sa 상승 방법을 이용한 경우에는, 기재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하드 코팅층 계면의 볼록 구조의 위치가 두께 방향의 하드 코팅층 표면의 볼록 구조와 일치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하드 코팅층 경화 후의 이완에 의해 기재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수축되고, 볼록부가 더욱 부풀어 오르기 때문에, 그 바로 위쪽에 있는 하드 코팅층 오목 부가 부풀어 올라 볼록형으로 변형함에 따른 것이다. 즉 상기 Sa 상승 방법을 취함으로써, Sa, Sku를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계면 구조와 표면 구조의 관계가 역전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표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기재 필름 및 하드 코팅층의 요철 구조가 입자에 기인하여 형성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입자에 의한 광산란이 없어, 화면의 번쩍임이 거의 없는 것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계면이 볼록이고, 그 바로 위쪽의 하드 코팅층이 오목의 관계에 있는 경우에는, 화상의 선명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외광의 비침, 특히 정면으로부터의 비침의 감소 효과가 크고, 화면의 번쩍임도 없는 것으로 할 수 있고, 반대로 계면이 볼록이고, 그 바로 위쪽의 하드 코팅층 표면이 볼록의 관계에 있는 경우에는 Sa의 상승 효과와의 상승(相乘) 효과도 있어, 형광등 등의 강한 외광의 비침의 감소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충분한 이완이 행해짐으로써 그의 150℃ 30분의 열수축률을 0.8% 이하로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후의 반사 방지 가공 공정 등에서의 가열에 의한 치수 안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가장 바람직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하드 코팅 필름은 계면 및 하드 코팅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지만, 앞서 정의한 Sa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 표면의 Sa(Sa1)가 15 ㎚ 이상 150 ㎚ 미만이고, 계면의 Sa(Sa2)와의 비(Sa2/Sa1)가 2 이상,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상 15 이하인 것이 화상 선명성, 화면의 번쩍임의 균형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에 정의되는 하드 코팅층 표면의 산술평균경사 (Δa)가 0.2 내지 1.0 de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7 deg인 것이 비침 방지성과 화면의 번쩍임의 균형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하드 코팅층 표면의 산술평균경사 (Δa)는 하드 코팅 표면을 표면 형상 측정 장치 SP-500 또는 SP-700(도레이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계면 형상과 표면 형상을 비파괴로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장치)에 의해, 5배 대물 렌즈, 측정 모드 WSI로 측정했을 때에 얻어지는 하드 코팅 표면의 3차원 표면 형상으로부터 구하는 것이다. 직교하는 2 방향에 있어서 3차원 표면 형상 측정에서의 측정 곡면을 각각 측정하고, 각각의 측정 곡면으로부터 얻어지는 측정 곡선을 일정 간격으로 가로 방향(X축 방향)으로 구획짓고, 각 구간에서의 측정 곡선의 시종점을 연결하는 선분의 기울기(각도)의 절대치를 구하고, 모든 측정 곡선으로부터 얻어진 값을 평균한 것(Δa1, Δa2)을 추가로 평균한 것(Δa=(Δa1+Δa2)/2)이다. 도 3에 Δa를 구하는 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는 이하의 식으로부터 구해진다. 표면을 XY면, 높이 방향을 Z축으로 하고, 측정된 표면 형상 곡선에 있어서 k번째의 x의 값, l번째의 y의 값에서의 높이를 z(xk, yl)로 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20379532-PCT00005
표면의 산술평균경사 (Δa)가 0.2 deg 미만이면, 표면에 비친 화상이 명확히 보이게 되어 시인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표면의 산술평균경사 (Δa)가 1.0 deg보다 커지면, 투과 화상에 번쩍임, 화상의 백화가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표면의 산술평균경사는 표면에서의 확산 반사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산술평균경사 Δa가 0 deg일 때에는 표면에서는 경면 반사되어, 반사상은 명확히 시인할 수 있지만, 산술평균경사 Δa가 커지면 확산 반사가 많아지기 때문에 반사상이 흐려진다. 또한, 더욱 산술평균경사 Δa가 커지면, 표면에서 다중 반사가 발생하게 되어 빛이 산란하기 때문에 화상의 백화가 발생한다. 산술평균경사 Δa를 목적하는 범위 내로 함으로써, 반사상을 조금씩 어긋나게 하여 경면 반사상과 겹침으로써 흐려진 화상으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의 JIS K7136에서 규정하는 헤이즈값은 3% 미만, 바람직하게는 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이즈가 3% 이상이면, 투과 화상의 시인성이나 선명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헤이즈 조정은 제막시의 연신 온도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연신 온도를 낮게 하면 헤이즈는 내려가고, 높게 하면 헤이즈를 높게 할 수 있어, 연신 온도를 조정함으로써 헤이즈를 상기 범위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은 제막 공정 내에서 한꺼번에 하드 코팅층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좋고, 표면 경도가 높고,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이접착층을 개재하지 않고 하드 코팅층과 기재 필름과의 밀착성이 우수하면서, 간섭 무늬가 억제되어 시인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용 반사 방지 필름 기재, 터치 패널용 기재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하드 코팅층 형성 도포제의 도포 수단으로서는 각종 도포 방법, 예를 들면 리버스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로드 코팅법, 바 코팅법, 다이 코팅법 또는 분무 코팅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 코팅층의 열경화에 필요한 열로서는, 스팀 히터, 전기 히터, 적외선 히터 또는 원적외선 히터 등을 이용하여 온도를 적어도 140℃ 이상으로 가온된 공기, 불활성 가스를, 슬릿 노즐을 이용하여 기재, 도막에 분사함으로써 부여되는 열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200℃ 이상으로 가온된 공기에 의한 열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으로 가온된 질소에 의한 열인 것이 경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을 각종 방법으로 각종 기능 필름 등과 접합시켜 이용할 수도 있고, 다른 쪽 면에 점착층을 적층하거나 도전층을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의 하드 코팅층을 설치한 것과는 반대면에 각종 점착제를 이용하여 상대재와 접합시키고, 이 상대재에 내마모성이나 내찰상성 등의 하드 코팅층의 기능을 부여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이용되는 점착제로서는 고무계, 아크릴계, 실리콘계 또는 폴리비닐에테르계 등을 포함하는 점착제(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는 용제형 점착제와 무용제형 점착제의 2개로 대별된다. 건조성, 생산성, 가공성에 있어서 우수한 용제형 점착제는 여전히 주류이지만, 최근 들어 공해, 에너지 절약, 자원 절약, 안전성 등의 면에서 무용제형 점착제로 옮겨가고 있는 중이다. 그 중에서도 활성선을 조사함으로써 초단위로 경화되고, 가요성, 접착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점착제인 활성선 경화형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선 경화형 아크릴계 점착제의 구체예는 문헌 [일본 접착학회 편집, "접착제 데이터북", 닛칸 고교 신문사 1990년 발행, 제83 페이지 내지 제88 페이지]를 참고로 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판품으로서 다관능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 도료로서 히타치 가세이 폴리머 가부시끼가이샤; (상품명 "XY" 시리즈 등), 도호 가세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상품명 "하이록" 시리즈 등),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상품명 "쓰리본드" 시리즈 등), 도아 고세이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상품명 "알론타이트" 시리즈 등), 세메다인 가부시끼가이샤; (상품명 "세메록스 수퍼" 시리즈 등) 등의 제품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종류의 점착제는 통상의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한 경우에는 접착성이 불충분해져, 각종 프라이머 처리,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을 포함하는 적층막을 설치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점착제층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한쪽 면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고, 그 반대면에 이들 점착제층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수 있지만, 이 프라이머층은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열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할 때에 동시에 그 이면에 도포하고, 건조, 경우에 따라는 연신을 행하여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표면의 반사율을 내릴 목적으로 하드 코팅층 상에 굴절률 1.45 이하의 저굴절률층을 설치하는 방법, 또한 하드 코팅층 상에 굴절률 1.55 이상의 고굴절률을 설치하고, 추가로 그 위에 굴절률 1.45 이하의 저굴절률층을 설치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고굴절률층으로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굴절률 1.55 내지 1.70 정도의 것으로서, 적층 두께를 0.03 내지 0.15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굴절률층은 결합제 성분 중에 금속 화합물 입자를 미분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결합제 성분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우레탄, 에폭시 등 범용의 수지나 본 발명에서 기재된 하드 코팅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 화합물 입자로서는 그 자체가 굴절률이 높은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주석 함유 산화안티몬 입자, 아연 함유 산화안티몬 입자, 주석 함유 산화인듐 입자, 산화아연/산화알루미늄 입자, 산화안티몬 입자, 산화티탄 입자, 산화지르코늄 입자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대전 방지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주석 함유 산화인듐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금속 화합물 입자는 평균일차입경(BET법에 의한 구 상당 직경)이 0.5 ㎛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3 ㎛의 입경의 것이 투명성을 유지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금속 화합물에 추가로 도전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등의 유기 도전 재료를 첨가할 수도 있다.
저굴절률층으로서는 굴절률이 1.30 내지 1.4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층 두께는 0.01 내지 0.15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굴절률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공지된 재료를 적용할 수 있고, 불소 화합물이나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화합물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제 수지 중에 중공미세 입자를 충전시킴으로써 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중공 입자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33611호 공보, J. AM. Chem. soc. 2003, 125, 316-317 등의 공지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반사 방지 필름의 파장 380 ㎚에서의 투과율은 5% 이하이면서, 헤이즈가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장 380 ㎚에서의 투과율이 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장기간의 사용에 있어서 필터 구성 중의 근적외 차단 염료나 기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열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특성은 상기한 기재 폴리에스테르 중으로의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에 의해 달성할 수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점착제층 등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것일 수도 있다. 반사 방지 필름의 헤이즈가 4%를 초과하면 화상 선명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하드 코팅 필름 및 그 위에 도포하는 고굴절률층이나 저굴절률층은 가능한 한 헤이즈를 상승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 방법은 도포에 한정하지 않지만,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그라비아 리버스 코팅, 그라비아 리버스 코팅, 다이 코팅, 콤마 코팅, 키스 코팅, 모세관 코팅, 와이어바 코팅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그라비아 리버스 코팅이 도포 두께 정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성의 측정 방법 및 효과의 평가 방법]
본 발명에서의 특성의 측정 방법 및 효과의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3차원 표면 형상 측정 및 산술 평균 표면조도 Sa(Sa1, Sa2)와 표면 높이 분포의 첨도 Sku, 산술평균경사 Δa의 측정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하드 코팅층 계면의 형상, 계면 돌기 높이의 측정
하드 코팅 표면을 표면 형상 측정 장치 SP-500(도레이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에 의해, SP-500에 부속된 표준 카메라를 사용하여, 5배 대물 렌즈, 측정 모드 WSI로 측정한 하드 코팅 표면의 3차원 표면 형상으로부터 구한다. 본 측정으로 얻어지는 데이터는 시야 크기 0.80 mm×0.72 mm, 면 방향 분해능 1.6 ㎛, 높이 방향 분해능 1 ㎚의 것으로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하드 코팅 표면의 3차원 표면조도 매개변수의, 산술평균조도 Sa와 표면 높이 분포의 첨도 Sku는 SP-500에 의해 측정된 3차원 표면 형상을 나노스케일 3D 화상 처리 소프트웨어 SPIPTM(이미지 메트롤로지 A/S사 제조)를 이용하여 해석하여 얻어지는 값이다.
산술평균경사 Δa는 이하의 방법으로 구하였다.
표면 형상 측정 장치 SP-500(도레이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에 의해, 직교하는 2 방향 각각의 3차원 표면 형상을 상술한 조건으로 측정하고, 얻어진 각각의 표면 형상에 있어서 "결과 표시"-"조도 계측"을 선택하고, 계측 영역 모두를 선택, "계측"을 선택하여 구한 값(Δa1, Δa2)을 평균한 것 Δa=(Δa1+Δa2)/2 이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하드 코팅층 계면의 형상 측정도 마찬가지로 표면형상 측정장치 SP-500(도레이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에 의해, 5배 대물 렌즈, 측정 모드 WSI로 측정하고, "굴절률"을 1.52, "데이터 가공"-"가우스 필터"-"고주파 차단" 30 ㎛로 얻어지는 화상의 "이면"을 선택하여 계면의 형상을 구한다.
얻어진 표면 형상 곡선과 계면 형상 곡선을 상하에 배열하고, 요철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계면의 10개의 볼록부에 대하여 표면의 오목부가 7개 이상 대응하였던 경우, 하드 코팅 표면의 오목부의 바로 아래에 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의 볼록부가 존재하는 구조로 하였다.
마찬가지로 계면의 10개의 볼록부에 대하여 표면의 볼록부가 7개 이상 대응하였던 경우, 하드 코팅 표면의 볼록부의 바로 아래에 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의 볼록부가 존재하는 구조로 하였다.
계면 돌기 높이는 이하의 방법으로 구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계면 형상 곡선에 있어서, "결과 표시"-"조도 계측"을 선택하고, 계측 영역 모두를 선택, "계측"을 선택하여 구해지는 Rz의 값을 높이로 하였다.
(2) 내마모성
스틸울 #0000으로 하드 코팅층 표면을 하중을 변경하고, 각각의 하중에 있어 서 일정 하중하에서 10 왕복(속도 10 cm/s) 마찰시켜 내상성(흠이 가지 않았음)이 있었던 최대 하중을 측정하였다. 2 kg/cm2이 실용상 문제없는 레벨로서, 합격으로 하였다.
(3) 헤이즈
스가 시켕키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직독 헤이즈 컴퓨터를 이용하고, JIS K-7136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4) 150℃×30분의 열수축률(%)
하드 코팅 필름을 폭 10 mm 길이 200 mm의 스트립형으로 잘라내어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100 mm의 기준선을 긋고, 150℃의 열풍 오븐 내에 길이 방향의 하부에 1 g의 하중을 걸어 매단다. 그 상태에서 30분간 방치하고 꺼낸다. 원래의 기준선간의 길이(L1)와 150℃ 30분 처리 후의 샘플의 기준선의 길이(L2)를 0.1 mm 단위로 정확하게 측정하고, {(L1-L2)/L1}×100을 그 샘플의 열수축률로 하였다.
또한, 측정은 하드 코팅 필름 제조시의 길이 방향과 이와 직교하는 방향의 각각에 대하여 10점의 측정을 행하고, 그의 평균치로 하였다.
(5) 간섭 무늬의 유무
이면 반사의 영향을 없애기 위해, 표면 반사율 및 평균 기복 진폭 측정시와 동일하게 측정면(하드 코팅층면측)의 이면을 240번의 샌드 페이퍼로 조면화한 후, 흑색 매직 잉크로 착색하여 조정한 샘플을, 암실에서 3파장 형광등(내셔널 파루크 3파장형 주백색(F.L 15 EX-N 15W))의 직하 30 cm에 두고, 시점을 바꾸면서 샘플을 육안 관찰했을 때에, 홍채 모양을 시인할 수 있는지 아닌지로 평가하였다.
홍채 모양이 보이지 않음: A 순위
매우 약한 홍채 모양이 보임: B 순위
약한 무지개색 모양이 보임: C 순위
강한 무지개색 모양이 분명히 보임: D 순위
(6)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반사 방지 필름은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반사 방지 필름 A
하드 코팅 필름 표면에 주석 함유 산화인듐 입자(ITO)를 포함하는 도료(고형분 35.7%, 다관능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ITO 입자(평균일차입경 30 ㎚)=18/82)(다이닛본 도료(주) 제조, EI-3) 3부를, 10부의 n-부틸알코올, 7부의 이소프로필알코올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교반하여 얻은 도포액을, 하드 코팅층의 면 상에 와이어바를 이용하여 도공하고, 80℃에서 건조한 후, 자외선 1.0 J/cm2을 조사하여 도공층을 경화시켜 두께 약 0.1 ㎛, 굴절률 n=1.68의 고굴절률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불소 함유계 공중합체(플루오로올레핀/비닐에테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도료(고형분 3%)(JSR(주) 제조, JN-7215) 40부,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평균일차입경 13 ㎚, 고형분 30%, 메틸이소부틸케톤 분산액) 1부,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평균일차입경 100 ㎚, 고형분 30%, 메틸이소부틸케톤 분산액) 0.1부를 교반함으로써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이 도포액을 도전층 (4) 위에 와이어바를 이용하여 도공하고, 150℃에서 건조, 경화시켜 두께 약 0.1 ㎛, 굴절률 n=1.42의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여 반사 방지 가공 필름을 제조하였다.
·반사 방지 필름 B
상기 반사 방지 필름 A에서 사용한 저굴절률층 형성 도포제를 이용하여 하드 코팅 필름 상에 건조하여 경화 후의 두께가 0.1 ㎛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반사 방지 필름 C
고굴절률층, 저굴절률층을 설치하지 않고 하드 코팅 필름만을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이용하였다.
(7) 표면 반사율
상기 (6)에서 제조한 반사 방지 필름을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히따찌 세이사꾸쇼 제조의 60 mmφ 적분구를 장비한 U-3410형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입사각 10도에서의 반사율을 측정하고, 파장 400 내지 750 ㎚에서의 가장 낮은 반사율을 표면 반사율로 하였다.
측정 샘플은 이면 반사의 영향을 없애기 위해, 측정면(하드 코팅층면측)의 이면을 240번의 샌드 페이퍼로 조면화한 후, 파장 400 내지 600 ㎚의 가시광선 평균 투과율이 5% 이하가 되도록 흑색 매직 잉크로 착색하였다. 이면 반사의 영향 유무의 판정은 처리 후의 이면의 광택도(입사각 60°, 수광각 60°)가 10 이하이면, 이면 반사의 영향은 없다고 판단하였다. 광택도는 디지탈 변각 광택도계 UGV-5B(스가 시켕키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여 JIS Z 8741에 따라 측정하였다.
(8) 반사광에서의 착색 불균일
제조한 반사 방지 필름을 이용하여 상기 (5) 간섭 줄무늬 유무의 평가 방법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반사광의 착색 불균일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착색 불균일이 없음: 착색 변화가 50 cm 사방의 평가 영역에서 보이지 않음: 우수
미묘한 착색 불균일: 착색 변화가 30 cm 사방 이상, 50 cm 사방 미만의 평가 영역에서 보임: 양호
약한 착색 불균일: 착색 변화가 10 cm 사방 이상, 30 cm 사방 미만의 평가영역에서 보임: 가능
강한 착색 불균일: 착색 변화가 10 cm 사방 미만의 평가 영역에서 보임: 불가
(9) 시인성(투과 화상 선명성)
A4 크기로 잘라낸 반사 방지 필름을 반사 방지면을 시인측으로 하여 암실에 둔 PDP 텔레비젼(TH-42PX500: 마쓰시타 덴끼(주) 제조)의 화면 표면에 네 귀퉁이를 셀로판 테이프로 고정하여 접착한다. 텔레비젼에 화상을 비추고, 반사 방지 필름 접착부와 미접착부의 투과 화상을 텔레비젼 정면 1.5 m의 위치에서 관찰 비교하여 투과 화상의 열화 상태를 조사하였다.
투과 화상에 열화가 없이 선명히 보임: 우수
투과 화상이 조금 흐려짐: 양호
투과 화상이 흐려져 잘 보이지 않음: 가능
투과 화상이 보이지 않음: 불가
(10) 380 ㎚의 투과율
분광광도계 U-3410((주) 히따찌 세이사꾸쇼 제조)에 Φ60 적분구 130-063((주) 히따찌 세이사꾸쇼 제조) 및 10도 경사 스페이서를 부착한 상태에서 반사 방지 필름의 380 ㎚의 투과율을 구하고, 10점 측정의 평균치로 하였다.
(11) 비침 억제 효과-1
A4 크기로 잘라낸 반사 방지 필름을 반사 방지면을 시인측으로 하여 PDP 텔레비젼(TH-42PX500: 마쓰시타 덴끼(주) 제조)의 화면 표면에 네 귀퉁이를 셀로판 테이프로 고정하여 접착한다. 실내 조명을 400 내지 500 lx로 하고, 텔레비젼의 전원을 넣지 않고 텔레비젼으로부터의 거리 1.5 m의 위치에서 텔레비젼 전면에 비친 자기의 상을 관찰한다.
반사 방지 필름 접착 부분과 미접착 부분을 비교하여,
관찰자의 눈의 윤곽을 시인할 수 없음: 우수
관찰자의 눈의 윤곽을 그럭저럭 시인할 수 있지만, 미접착과 비교하면 사상(寫像)이 불선명: 양호
관찰자의 눈의 윤곽을 시인할 수 있음: 불가
(12) 비침 억제 효과-2
상기 (11)과 동일하게 하여 실내에 점등한 형광등의 화면으로의 비침에 대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형광등의 윤곽이 완전히 흐려짐: 우수
형광등의 주위는 흐려짐: 양호
형광등의 흐려짐이 없고, 윤곽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음: 불가
(13) 화면의 번쩍임
상기 (11)과 동일한 세트로 텔레비젼의 전원을 넣어 "녹색"의 패턴을 비추게 하고, 정면에서 관찰했을 때의 화면의 번쩍임 정도를 이하의 기준으로 육안 관찰로 평가하였다.
화면의 번쩍임이 없음: 양호
화면이 약간 번쩍임: 양호
명확히 화면이 번쩍임: 불가
다음으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드 코팅층 형성 도포제로서 이하의 조합을 행하였다.
<H-1>
(주요제)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와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KAYARAD-DPHA: 닛본 가야꾸(주) 제조) 70 중량%
·트리메틸올프로판·에틸렌옥시드 변성 트리아크릴레이트(아로닉스 M-350: 도아 고세이 가가꾸(주) 제조) 10 중량%
·완전 알킬화 멜라민(사이멜 303: 닛본 사이텍(주) 제조) 20 중량%
주요제를 100 중량부로 하여
·촉매: 카탈리스트 602(닛본 사이텍(주) 제조) 1 중량부
·레벨링제: 알폰 UP1000(도아 고세이 가가꾸(주) 제조) 0.2 중량부
도포액 점도 25℃ 2000 mPa·s
100℃ 150 mPa·s
<H-2>
(주요제)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와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KAYARAD-DPHA: 닛본 가야꾸(주) 제조) 40 중량%
·트리메틸올프로판·에틸렌옥시드 변성 트리아크릴레이트(아로닉스 M-350: 도아 고세이 가가꾸(주) 제조) 40 중량%
·완전 알킬화 멜라민(사이멜 303: 닛본 사이텍(주) 제조) 20 중량%
(첨가제)
주요제를 100 중량부로 하여
·촉매: 카탈리스트 602(닛본 사이텍(주) 제조) 1 중량부
·레벨링제: 알폰 UP1000(도아 고세이 가가꾸(주) 제조 0.2 중량부
도포액 점도 25℃ 800 mPa·s
100℃ 60 mPa·s
<H-3>
(주요제)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와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KAYARAD-DPHA: 닛본 가야꾸(주) 제조) 20 중량%
·트리메틸올프로판·에틸렌옥시드 변성 트리아크릴레이트(아로닉스 M-350: 도아 고세이 가가꾸(주) 제조) 60 중량%
·완전 알킬화 멜라민(사이멜 303: 닛본 사이텍(주) 제조) 20 중량%
(첨가제)
주요제를 100 중량부로 하여
·촉매: 카탈리스트 602(닛본 사이텍(주) 제조) 1 중량부
·레벨링제: 알폰 UP1000(도아 고세이 가가꾸(주) 제조 0.2 중량부
도포액 점도 25℃ 600 mPa·s
100℃ 40 mPa·s
<H-4>
(주요제)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와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KAYARAD-DPHA: 닛본 가야꾸(주) 제조) 60 중량%
·트리메틸올프로판·에틸렌옥시드 변성 트리아크릴레이트(아로닉스 M-350: 도아 고세이 가가꾸(주) 제조) 10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아로닉스 M240: 도아 고세이 가가꾸(주) 제조) 10 중량%
·완전 알킬화 멜라민(사이멜 303: 닛본 사이텍(주) 제조) 20 중량%
(첨가제)
주요제를 100 중량부로 하여
·촉매: 카탈리스트 602(닛본 사이텍(주) 제조) 1 중량부
·레벨링제: 알폰 UP1000(도아 고세이 가가꾸(주) 제조 0.2 중량부
도포액 점도 25℃ 1300 mPa·s
100℃ 100 mPa·s
(실시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 극한 점도 0.65 dl/g) 칩을 180℃에서 3시간 충분히 진공 건조한 후, 용융 압출기에 공급하고, 285℃에서 용융한 후, T자형 구금으로부터 시트형으로 압출하고, 정전 인가 캐스팅법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표면 온도 20℃의 경면 캐스팅 드럼 상에서 냉각 고화시켜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미연신 시트를 연속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신을 행하였다. 길이 방향의 연신은 연속적으로 배치된 롤군에서 우선 75℃로 예열을 행하고, 그 후 95℃의 롤로 가열하고, 라디에이션 히터로 필름면을 가열하면서 3.5배의 연신을 행하였다. 이 필름의 드럼면측의 길이 방향의 굴절률은 1.645, 라만법에 의한 표면 결정화도는 19%였다. 이 필름의 드럼면측에 하드 코팅층 형성 도포제 (H-1)을 메타바 방식에 의해 20 ㎛ 두께로 도포하였다. 이 필름의 양끝을 파지하면서 연속적으로 텐터 내로 유도하고, 70℃에서 15초간 예열한 후, 75℃에서 폭 방향으로 1.2배 미세연신하고, 그 후 95℃에서 폭 방향으로 3.3배의 연신을 행하였다. 그 후, 연속적으로 220℃의 열 처리 영역에서 도포층을 경화시키면서 5%의 이완 처리를 행하 면서 25초간의 열 처리를 행하였다.
얻어진 하드 코팅 필름은 하드 코팅층의 두께가 5 ㎛였다.
이 하드 코팅 필름은 하드 코팅 표면, 하드 코팅층과 접촉하는 PET 필름 표면은 모두 요철 구조를 갖고, 하드 코팅층 표면의 볼록부가 PET 필름 표면의 오목부와 일치하였다. 또한, 하드 코팅면의 Sa는 41 ㎚, Sku는 2.2였다.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하드 코팅 필름은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간섭 무늬가 전혀 없는 것이었다. 이 하드 코팅 필름의 하드 코팅면에 상기 "특성의 측정 방법 및 효과의 평가 방법"의 (6)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에 준하여 반사 방지 필름 A를 제조하였다.
이 반사 방지 필름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색 불균일이 없고, 시인성이 우수하고, 화면의 번쩍임의 없는 것으로, 비침 억제의 효과도 갖고 있었다.
(실시예 2, 3)
실시예 1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 형성 도포제를 H-2(실시예 2), H-4(실시예 3)로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하드 코팅 필름의 하드 코팅면은 Sa 18 ㎚, Sku 1.6(실시예 2), Sa 56 ㎚, Sku 1.9이고, 실시예 2에서는 약간 표면 경도, 간섭 무늬에서 떨어졌지만 충분히 실용적으로 문제가 없는 것이었다. 이들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반사 방지 필름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색 불균일, 시인성, 화면의 번쩍임, 비침 억제에 있어서 충분히 실용적인 특성을 갖는 것이었다.
또한, 실시예 3의 하드 코팅 필름을 이용하여 반사 방지 필름 B 및 C를 제조 하였다. 이 반사 방지 필름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침 억제에 있어서 약간 효과가 감소했지만 실용적으로는 문제가 없는 것이었다.
(실시예 4 내지 6, 비교예 1)
실시예 3에 있어서 열 처리 영역에서 5%의 이완 처리를 행하면서 하드 코팅층을 경화시킨 후, 추가로 연속적으로 230℃에서 15초간, 3%(실시예 4), 5%(실시예 5), 7%(실시예 6), 10%(비교예 1)의 이완 처리를 행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하드 코팅 필름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완 처리의 정도에 따라 하드 코팅층 표면의 Sa가 변화되었고, 10%의 이완 처리에서는 163 ㎚가 되었다. 또한, 하드 코팅 표면의 볼록부가 PET 필름 표면의 볼록부와 일치하는 구조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하드 코팅 필름은 충분한 내마모성을 갖고, 간섭 줄무늬 모양이 없는 것이었다. 이들 하드 코팅 필름을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 준하여 반사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하드 코팅층 표면의 Sa 및 Sku가 본 발명의 범위인 실시예 4 내지 6은 비침 억제 효과가 특히 우수하였다. 하드 코팅층 표면의 Sa가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한 경우(비교예 1)는 헤이즈가 상승하여, 투과 화상이 약간 불선명해졌고, 화면의 번쩍임이 눈에 띄는 것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 형성 도포제를 H-3으로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하드 코팅 필름은 요철 구조가 형성되었지만, 도포제 조성물에 기인한 Sa, Sku가 작은 것이고, 또한 표면 경도가 불충 분하고, 간섭 무늬가 보이는 것이었다.
이 하드 코팅 필름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 필름 A를 제조하였다.
이 반사 방지 필름은 착색 불균일이 눈에 띄고, 비침 억제 효과도 불충분한 것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미연신 온도를 95℃로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하드 코팅 필름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드 코팅층 표면, PET 필름 표면에 요철 구조가 없고, Sa, Sku가 본 발명의 범위보다 작고, 간섭 무늬가 확실히 보이는 것이었다. 이 하드 코팅 필름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 필름 A를 제조하였다. 이 반사 방지 필름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색 불균일이 크고, 비침이 큰 것이었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 경화시의 열 처리 영역에서의 이완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필름은 하드 코팅층의 경화 수축에 대응하는 이완 처리를 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하드 코팅층에 균열이 발생하여 실용상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비교예 5)
이접착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미러 U46: 도레이(주) 제조)을 이용하고, 이하의 하드 코팅층 형성 도포제를 도포한 후, 80℃에서 1분간 건조하고, 추가로 350 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하드 코팅층 두께 5 ㎛의 하드 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하드 코팅층 형성 도포제>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와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KAYARAD-DPHA: 닛본 가야꾸(주) 제조) 30 중량%
·트리메틸올프로판·에틸렌옥시드 변성 트리아크릴레이트(아로닉스 M-350: 도아 고세이 가가꾸(주) 제조) 15 중량%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아로닉스 M7100: 도아 고세이 가가꾸(주) 제조) 4 중량%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184: 시바 스페셜리티 케미컬즈 제조)
1 중량%
·톨루엔 25 중량%
·메틸에틸케톤 25 중량%
이 하드 코팅 필름은 하드 코팅층 표면, PET 필름 표면 모두 편평하고, 하드 코팅층 표면의 Sa, Sku 모두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하회하는 것으로, 분명한 간섭 무늬가 관찰되었다. 또한, 이 하드 코팅 필름을 이용하여 실시예 1에 준하여 반사 방지 필름 A를 제조하였다. 이 반사 방지 필름은 착색 불균일, 비침 특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6, 7)
비교예 5에 있어서 하드 코팅 형성 도포제 중에 평균 입경 5 ㎛, 입자 굴절률 1.52의 스티렌-아크릴 가교 유기 입자를 용제를 제외한 하드 코팅층 형성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비교예 6), 5 중량부(비교예 7) 첨가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하드 코팅 필름은 하드 코팅층 내의 입자에 의한 돌기가 형성되고, 그의 Sa는 351(비교예 6), 260 ㎚(비교예 7), Sku는 2.9(비교예 6), 6.5(비교예 7)가 되었다. 이 하드 코팅 필름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 필름 A, B, C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반사 방지 필름의 특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및 비교예 7의 하드 코팅 필름을 이용한 반사 방지 필름은 그의 구성에 상관없이 모두 화면의 번쩍임이 큰 것이었다.
또한, 입자의 첨가량이 많은 비교예 7의 하드 코팅 필름을 이용한 반사 방지 필름은 헤이즈가 커져 투과 화상이 불선명해졌다.
(실시예 7, 8, 비교예 8, 9)
실시예 1에 있어서 세로 연신시의 연신 배율, 연신 온도를 변경하여 굴절률 1.615, 결정화도 12%(비교예 8), 굴절률 1.625, 결정화도 18%(비교예 9), 굴절률 1.637, 결정화도 17%(실시예 7), 굴절률 1.655, 결정화도 22%(실시예 8)의 세로 연신 필름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에서는 표면, 계면의 요철 구조가 형성되지 않고, 비교예 9에서는 요철 구조는 형성되지만, 충분한 하드 코팅 표면의 Sa, Sku가 얻어지지 않아, 모두 간섭 무늬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었다. 한편, 실시예 7 및 8의 조건으로 제조한 하드 코팅 필름은 충분한 요철 구조를 갖고, Sa, Sku 모두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 시키는 것이었다. 이들 하드 코팅 필름을 이용하여 실시예 1에 준하여 반사 방지 필름 A를 제조하였다. 이 반사 방지 필름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Sa, Sku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비교예 8, 9에서는 착색 불균일, 비침 억제 효과가 불충분한 것이었다. 한편, Sa, Sku가 본 발명의 범위인 실시예 7, 8의 하드 코팅 필름을 이용한 경우에는 어느 특성이든 실용적으로 문제가 없는 것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의 PET 칩 대신에 자외선 흡수제로서 사이아소르브 3638(사이텍(주)사 제조) 0.8 중량%를 첨가한 PET(극한 점도 0.63 dl/g) 칩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제조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하드 코팅 필름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드 코팅면에 충분한 Sa, Sku를 갖고, 또한 파장 380 ㎚에서의 투과율이 2.6%였다.
이 하드 코팅 필름을 이용하여 실시예 1에 준하여 반사 방지 필름 A를 제조하였다.
이 반사 방지 필름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특성이든 실용 레벨이었고, 또한 자외선을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었다.
Figure 112009020379532-PCT00006
Figure 112009020379532-PCT00007
본 발명의 필름은 하드 코팅층과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간섭 무늬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나아가 내광성도 우수한 하드 코팅 필름으로서,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이용한 경우, 화상 선명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화면의 번쩍임이나 외광의 비침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액정, 플라즈마 등의 디스플레이용 반사 방지 필름용 기재, 터치 패널용 창 부착재, 태양 전지 부재, 명판 등의 기재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도 1은 PET와 하드 코팅층 계면 및 하드 코팅층 표면의 요철 구조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하드 코팅층 표면의 볼록부와 하드 코팅층 계면의 폴리에스테르 필름면의 볼록부가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PET와 하드 코팅층 계면 및 하드 코팅층 표면의 요철 구조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하드 코팅층 표면의 오목부와 하드 코팅층 계면의 폴리에스테르 필름면의 볼록부가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산술평균경사 (Δa)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하드 코팅 표면
2: 폴리에스테르면

Claims (14)

  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표면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하드 코팅층의 계면에 요철 구조를 갖는 하드 코팅층이 적층되고,
    상기 하드 코팅층 표면의 3차원 표면조도 매개변수에 있어서,
    산술평균조도 Sa가 15 ㎚ 이상, 150 ㎚ 미만이고,
    표면 높이 분포의 첨도 Sku가 1.5 이상, 5 이하인
    하드 코팅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계면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면에 요철 구조를 갖고, 상기 요철 구조의 볼록부의 단면 방향의 하드 코팅 표면 형상이 오목부인 하드 코팅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이 열경화에 의해 형성된 층인 하드 코팅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하드 코팅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의 요철 구조가 하드 코팅층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의 입자에 기인하여 형성된 것이 아닌 하드 코팅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계면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면에 요철 구조를 갖고, 상기 요철 구조의 볼록부의 단면 방향의 하드 코팅 표면 형상이 볼록부이면서, 적어도 한 방향의 150℃, 30분 열수축률이 0.8% 이하인 하드 코팅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 표면의 직교하는 2 방향 각각의 산술평균경사 Δa1, Δa2의 평균치 Δa=(Δa1+Δa2)/2가 0.2 내지 1.0 deg인 하드 코팅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 표면의 3차원 표면조도 매개변수의 산술평균조도 Sa(Sa1)와 폴리에스테르와 하드 코팅층 계면의 Sa(Sa2)의 비 "Sa2/Sa1"이 2 이상 20 이하인 하드 코팅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의 Sku가 1.5 이상 3 이하인 하드 코팅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하드 코팅 필름의 헤이즈가 3% 미만인 하드 코팅 필름.
  11. 제1항에 기재된 하드 코팅층 상에 굴절률 1.45 이하의 저굴절률층, 또는 굴절률 1.55 이상의 고굴절률층을 개재하여 굴절률 1.45 이하의 저굴절률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반사 방지 필름의 파장 380 ㎚에서의 투과율이 5% 이하이면서, 헤이즈가 4%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13.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 공정 내의 길이 방향 연신 후에 하드 코팅 도포제를 도포하고, 그 후 연속적으로 텐터에 유도하여 폭 방향으로 1.1 내지 1.8배의 미세연신을 행한 후, 추가로 2.5 내지 3.5배의 연신을 행하고, 이어서 하드 코팅층을 열경화시키면서 3 내지 7%의 폭 방향의 이완 처리를 행하는 하드 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3 내지 7%의 이완 처리를 행한 후, 추가로 200℃ 내지 240℃에서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1.5 내지 15%의 이완 처리를 행하는 하드 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097006967A 2006-10-06 2007-08-31 하드 코팅 필름, 그의 제조 방법 및 반사 방지 필름 KR101425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74832 2006-10-06
JP2006274832 2006-10-06
PCT/JP2007/066966 WO2008044398A1 (fr) 2006-10-06 2007-08-31 film pour revêtement dur,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et film antiref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767A true KR20090077767A (ko) 2009-07-15
KR101425242B1 KR101425242B1 (ko) 2014-08-01

Family

ID=3928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967A KR101425242B1 (ko) 2006-10-06 2007-08-31 하드 코팅 필름, 그의 제조 방법 및 반사 방지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09202B2 (ko)
JP (1) JP5211696B2 (ko)
KR (1) KR101425242B1 (ko)
CN (1) CN101522767B (ko)
TW (1) TW200831574A (ko)
WO (1) WO2008044398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6918A (ko) * 2012-02-25 2014-12-01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도포 필름
KR20170018092A (ko) * 2014-02-21 2017-02-1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광학 부재 세트 및 터치 입력식 화상 표시 장치
WO2017159992A1 (ko) * 2016-03-14 2017-09-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159991A1 (ko) * 2016-03-14 2017-09-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54156B1 (ko) * 2015-07-10 2018-06-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00044058A (ko) * 2017-10-25 2020-04-28 주식회사 다이셀 저마찰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성형체 그리고 손가락 미끄럼성 향상 방법
KR20210082063A (ko) * 2019-12-23 2021-07-02 창 춘 플라스틱스 컴퍼니, 리미티드 액정 폴리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KR20210085841A (ko) * 2019-12-31 2021-07-0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KR20220162895A (ko) * 2021-05-31 2022-12-09 김성준 저반사형 플라스틱 칠판의 제조방법
US11608410B2 (en) 2019-12-23 2023-03-21 Chang Chun Plastics Co., Ltd. Liquid crystal polymer film and laminate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9832B2 (en) * 2004-05-13 2013-08-06 Baker Hughes Incorporated Re-use of surfactant-containing fluids
US9096921B2 (en) * 2008-09-26 2015-08-04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ouch panel
JP4678437B2 (ja) * 2008-12-29 2011-04-27 ソニー株式会社 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CN101817245B (zh) * 2009-02-27 2013-06-26 E.I.内穆尔杜邦公司 太阳能电池组件
US8962741B2 (en) * 2010-08-12 2015-02-24 Lg Chem, Ltd. Thermally 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protective film
JP5691322B2 (ja) * 2010-09-10 2015-04-01 東レ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用二軸配向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GB2483638A (en) * 2010-09-10 2012-03-21 Innovia Films Sarl Authentication of articles having a polymeric film by measuring thickness of film or layer within film by white light interferometry and/or by birefringence
JP5619802B2 (ja) * 2011-03-09 2014-11-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
JP2012212121A (ja) * 2011-03-18 2012-11-01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子保護フィルム
JP2013037323A (ja) * 2011-08-11 2013-02-21 Lintec Corp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WO2013118932A1 (ko) * 2012-02-10 2013-08-15 (주)앤디포스 산화방지 효과가 우수한 고투명성 솔라필름
CN103245981B (zh) * 2012-02-14 2017-03-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层叠体、偏振片和图像显示装置
JP6208695B2 (ja) * 2012-03-01 2017-10-0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連続多層フィルムを形成する方法
JP5608199B2 (ja) * 2012-08-20 2014-10-15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167487B2 (ja) * 2012-08-29 2017-07-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102128297B1 (ko) * 2012-10-31 2020-06-30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기 필름을 사용한 적층체, 및 상기 적층체와 실란트층을 포함하는 구성체
US9574028B2 (en) * 2013-04-09 2017-02-21 Solutia Inc. Embossed polymer sheet
US9250744B2 (en) 2013-04-18 2016-02-02 Dell Products, Lp Edge to edge touch screen
DE102013012110A1 (de) 2013-07-12 2015-01-15 e.solutions GmbH Berührungsempfindlicher Bildschirm insbesondere zur Verwendung in einem Kraftfahrzeug
KR102267204B1 (ko) * 2013-10-02 2021-06-2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제1 미세구조화 층 및 코팅을 포함하는 미세구조화 확산기, 광학 적층체, 및 방법
US9277749B2 (en) 2014-02-07 2016-03-08 Gojo Industri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with efficacy against spores and other organisms
JP2016136254A (ja) * 2015-01-20 2016-07-2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表面微細凹凸体
KR102635617B1 (ko) * 2015-05-27 2024-02-08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박막, 및 적층 박막의 제조 방법
JP6485274B2 (ja) * 2015-07-18 2019-03-2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11884576B2 (en) 2015-09-11 2024-01-30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Display cover memb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6752112B2 (ja) * 2015-10-30 2020-09-09 住友化学株式会社 フィルム製造方法、フィルム製造装置、およびフィルム
KR101951864B1 (ko) 2016-03-14 2019-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1604514B2 (en) 2016-04-14 2023-03-14 Apple Inc. Substrate having a visually imperceptible texture for providing variable coefficients of friction between objects
TWI732892B (zh) * 2016-07-26 2021-07-11 日商松下知識產權經營股份有限公司 透視型電極用積層板、透視型電極素材、組件及透視型電極用積層板之製造方法
US20200319378A1 (en) * 2016-07-28 2020-10-08 Lg Chem, Ltd. Optical film for protecting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1236211B2 (en) * 2017-03-08 2022-02-01 Toray Industries, Inc. Foam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2237613B1 (ko) * 2019-07-23 2021-04-0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CN110515141A (zh) * 2019-08-19 2019-11-29 扬州霞光光学仪器有限公司 碳化硅光学镜的镀膜工艺
KR102363360B1 (ko) 2019-12-06 2022-02-1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KR102363361B1 (ko) 2019-12-31 2022-02-1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KR102332194B1 (ko) 2020-02-27 2021-11-2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CN113088211B (zh) * 2021-04-29 2022-08-23 江西昊泽光学膜科技有限公司 一种无极度可热弯聚酯保护膜、制备方法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4712A (en) * 1985-01-22 1987-06-23 The Boeing Company Double-lobe fuselage composite airplane
JPH028030A (ja) 1988-06-27 1990-01-11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積層体の製造方法
WO1995031737A1 (fr) 1994-05-18 1995-11-23 Dai Nippon Printing Co., Ltd. Film anti-reflechissant
JP2004341553A (ja) 1994-05-18 2004-12-02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眩性フィルム
JPH08197670A (ja) 1995-01-27 1996-08-06 Dainippon Printing Co Ltd 表面保護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6105902A (en) * 1997-07-15 2000-08-22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Aircraft fuselage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2001301095A (ja) 2000-04-26 2001-10-30 Toray Ind Inc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2241527A (ja) 2001-02-14 2002-08-28 Oike Ind Co Ltd 透明ハードコート層保有フイルム
JP2003075604A (ja) 2001-09-03 2003-03-12 Nitto Denko Corp 反射防止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素子、画像表示装置
JP4135364B2 (ja) 2002-01-16 2008-08-20 凸版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I274662B (en) * 2002-03-29 2007-03-01 Toray Industries Laminated film, filter for display and display
JP4023219B2 (ja) * 2002-05-29 2007-12-19 東洋紡績株式会社 プリズムレンズシート用易接着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475016B2 (ja) * 2003-06-30 2010-06-09 東レ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165829B2 (ja) * 2004-02-26 2013-03-21 日東電工株式会社 ロール状ウエハ加工用粘着シート
JP4432544B2 (ja) * 2004-03-09 2010-03-17 東レ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多層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建材窓ガラス、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US7261257B2 (en) * 2004-11-23 2007-08-28 Helou Jr Elie Cargo aircraft
US7531238B2 (en) * 2004-11-29 2009-05-12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Laminated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laminated thermoplastic resin film roll
JP2006257402A (ja) * 2005-02-21 2006-09-28 Fuji Photo Film Co Ltd 低屈折率層形成塗布組成物、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6231846A (ja) * 2005-02-28 2006-09-07 Toray Ind Inc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6231845A (ja) * 2005-02-28 2006-09-07 Toray Ind Inc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6918A (ko) * 2012-02-25 2014-12-01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도포 필름
KR20170018092A (ko) * 2014-02-21 2017-02-1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광학 부재 세트 및 터치 입력식 화상 표시 장치
KR101854156B1 (ko) * 2015-07-10 2018-06-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US11112599B2 (en) 2016-03-14 2021-09-07 Lg Chem, Ltd. Antireflection film having hard coating lay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7159992A1 (ko) * 2016-03-14 2017-09-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159991A1 (ko) * 2016-03-14 2017-09-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08027455A (zh) * 2016-03-14 2018-05-11 株式会社Lg化学 减反射膜和显示装置
CN108027455B (zh) * 2016-03-14 2020-04-21 株式会社Lg化学 减反射膜和显示装置
US10689523B2 (en) 2016-03-14 2020-06-23 Lg Chem, Ltd. Antireflection film and display device
KR20230026531A (ko) * 2017-10-25 2023-02-24 주식회사 다이셀 저마찰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성형체 그리고 손가락 미끄럼성 향상 방법
KR20220039828A (ko) * 2017-10-25 2022-03-29 주식회사 다이셀 저마찰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성형체 그리고 손가락 미끄럼성 향상 방법
KR20220039829A (ko) * 2017-10-25 2022-03-29 주식회사 다이셀 저마찰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성형체 그리고 손가락 미끄럼성 향상 방법
KR20200044058A (ko) * 2017-10-25 2020-04-28 주식회사 다이셀 저마찰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성형체 그리고 손가락 미끄럼성 향상 방법
KR20230026532A (ko) * 2017-10-25 2023-02-24 주식회사 다이셀 저마찰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성형체 그리고 손가락 미끄럼성 향상 방법
KR20210082063A (ko) * 2019-12-23 2021-07-02 창 춘 플라스틱스 컴퍼니, 리미티드 액정 폴리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US11608410B2 (en) 2019-12-23 2023-03-21 Chang Chun Plastics Co., Ltd. Liquid crystal polymer film and laminate comprising the same
US11926698B2 (en) 2019-12-23 2024-03-12 Chang Chun Plastics Co., Ltd. Liquid crystal polymer film and laminate comprising the same
US11945907B2 (en) 2019-12-23 2024-04-02 Chang Chun Plastics Co., Ltd. Liquid crystal polymer film and laminate comprising the same
KR20210085841A (ko) * 2019-12-31 2021-07-0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KR20220162895A (ko) * 2021-05-31 2022-12-09 김성준 저반사형 플라스틱 칠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22767B (zh) 2012-08-22
KR101425242B1 (ko) 2014-08-01
US20100028600A1 (en) 2010-02-04
WO2008044398A1 (fr) 2008-04-17
CN101522767A (zh) 2009-09-02
JP5211696B2 (ja) 2013-06-12
TW200831574A (en) 2008-08-01
US8309202B2 (en) 2012-11-13
JPWO2008044398A1 (ja) 201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1696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反射防止フィルム
JP5252811B2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8238646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反射防止フィルム
JP4475016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7182080A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816183B2 (ja) 光学用積層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100852562B1 (ko)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광학 소자,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06205545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7334064A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80056642A (ko)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 하드 코트 필름, 편광판 및화상 표시 장치
JP2009150998A (ja) 防眩フィルム、防眩性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10025146A (ko)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장치
KR20210143822A (ko) 반사 방지용 원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1224241B1 (ko) 광학 적층체
JP5266827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反射防止フィルム
WO2006014002A1 (en) Anti-reflection film,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JP2007261140A (ja) 積層フィルム
KR20130054314A (ko) 대전 방지층용 경화성 수지 조성물, 광학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패널
JP2007223193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20120106585A (ko) 편광자 보호 필름
JP5640417B2 (ja) 硬化性樹脂積層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765651B2 (ja) 積層フィルム
JP2007055064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118209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7152937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