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7002A - 열간 압연 장치 - Google Patents

열간 압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7002A
KR20090077002A KR1020097011069A KR20097011069A KR20090077002A KR 20090077002 A KR20090077002 A KR 20090077002A KR 1020097011069 A KR1020097011069 A KR 1020097011069A KR 20097011069 A KR20097011069 A KR 20097011069A KR 20090077002 A KR20090077002 A KR 20090077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d
heated material
hot rolling
induction
i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1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8375B1 (ko
Inventor
테쯔지 도이자끼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7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2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 B21B1/2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by hot-rolling, e.g. Steckel hot m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21B2015/0014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transversely to the roll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71Levelling the rolled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04Heating the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피가열재(6)를 통과시킴으로써 이 피가열재(6)를 유도 가열하는 유도 가열 수단(2a, 2b)과, 유도 가열 수단(2a, 2b)에 의해 유도 가열된 피가열재(6)에 형상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이 형상 불량의 피가열재(6)를 유도 가열 수단(2a, 2b)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절단하는 재료 절단 수단(3a)을 구비한다.
Figure P1020097011069
열간 압연 장치, 피가열재, 재료 절단 수단, 마무리 압연기, 유도 가열기

Description

열간 압연 장치 {HOT ROLLING DEVICE}
본 발명은 반송하여 순차적으로 가열 압연하는 피가열재에 휨이나 비틀림 등의 형상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유도 가열기를 손상시키지 않고 피가열재를 신속하게 회수 제거할 수 있는 열간 압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열간 압연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314201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우선 조압연기에 의해 조압연한 피가열재를 반송하여, 유도 가열기에 의해 미리 소정의 온도로 가열한다. 계속해서 피가열재의 양단부를 엣지 히터로 가열함으로써 피가열재 전체를 균일한 온도로 유지한 후, 마무리 압연기를 사용하여 소정의 판 두께로 마무리 압연한다.
이와 같은 열간 압연을 행하는 열간 압연 장치에 있어서, 유도 가열기로 가열되어 반출된 피가열재는 고온으로 연화되어 있다. 그로 인해, 피가열재는 마무리 압연기에 의해 마무리 압연될 때까지의 동안에, 「휨」이나 「비틀림」 등의 형상 불량(이하, 단순히 형상 불량이라고 함)이 되는 경우가 있다. 피가열재에 이와 같은 형상 불량이 발생하면, 형상 불량의 피가열재를 불량품으로서 회수 제거해야만 한다. 그때, 형상 불량의 피가열재가 장치에 접촉하여 장치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었다.
한편,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123453호 공보)에는 유도 가열기로 가열된 고온 평판의 피가열재를 상하로부터 회전하면서 끼워 넣음으로써 절단하는 크롭 쉬어(crop shear)가 개시되어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123453호 공보)에 기재된 크롭 쉬어를 사용하여, 형상 불량의 피가열재를 절단한 후에 회수 제거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즉, 피가열재에 상술한 형상 불량이 발생한 경우, 일단 피가열재의 반송을 정지하고, 유도 가열기에 의해 마무리 압연기 사이에 설치된 크롭 쉬어에 의해 피가열재를 절단한다. 그리고, 절단된 마무리 압연기측의 피가열재를 마무리 압연기측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절단된 유도 가열기측의 피가열재를 유도 가열기측으로 역반송함으로써 절단한 피가열재를 회수 제거한다.
그러나,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12345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크롭 쉬어에서는 피가열재를 절단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통상, 피가열재에 상술한 형상 불량이 발생한 경우, 피가열재의 회수 제거에 긴 시간이 걸려, 형상 불량의 피가열재는 저온이 되어 크게 변형된 상태의 형상으로 경화된다. 그로 인해, 고온 평판재를 절단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크롭 쉬어는 크게 변형된 상태의 형상으로 경화된 피가열재를 절단할 수 없었다.
그래서, 피가열재의 형상 불량의 정도가 비교적 작아 피가열재를 절단하기 쉬운 유도 가열기의 근방에 크롭 쉬어를 설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상기한 크롭 쉬어는 회전하면서 피가열재를 상하로부터 끼워 넣으므로, 일정한 절단 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장치가 대형화된다. 또한, 크롭 쉬어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유도 가열기의 근방에 설치하면 유도 가열기로부터의 복사열이나 자장에 의해 모터 고장의 원인이 된다. 그로 인해, 크롭 쉬어를 유도 가열기의 근방에 설치하는 것은 곤란했다.
이와 같이, 형상 불량의 피가열재를 크롭 쉬어에 의해 절단하는 기술은 실용적이지 않아, 일반적으로는 형상 불량의 상태로 유도 가열기측으로 역반송시켜 피가열재를 회수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그로 인해, 회수 제거 시간이 대폭으로 길어져, 열간 압연 공장의 생산량의 저하를 야기하고 있었다. 또한, 피가열재를 형상 불량의 상태로 유도 가열기측으로 역반송시키면, 유도 가열기를 손상시켜 유도 가열기의 가동 시간의 저하와 메인터넌스 비용의 증대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반송하여 순차적으로 가열 압연하는 피가열재에 형상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유도 가열기를 손상시키지 않고 형상 불량이 발생한 피가열재를 신속하게 회수 제거할 수 있는 열간 압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유도 가열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유도 가열기의 유도 가열의 개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재료 절단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승강 기구가 구비된 반송기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구성》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100)는 조압연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반송된 피가열재(6)의 휨을 교정하는 휨 교정기(1)와, 피가열재(6)를 유도 가열하는 유도 가열기(2a, 2b)와, 유도 가열기(2a, 2b)에 의해 유도 가열된 피가열재(6)가 형상 불량이 된 경우에, 형상 불량의 피가열재(6)를 유도 가열기(2b)의 출구측에서 절단하는 재료 절단기(3a)와, 재료 절단기(3a)에 의해 절단된 피가열재(6)를 회수 제거하는 반송기(7a 내지 7c)와, 고온 평판의 피가열재(6)를 절단하는 크롭 쉬어(4)와, 소정의 판 두께로 마무리 압연하는 마무리 압연기(5)를 구비한다.
휨 교정기(1)는, 예를 들어 휨 교정기(1)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휨 검출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휨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휨의 정도에 따라서 조압연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반송된 피가열재(6)의 휨을 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휨 교정기(1)는 복수의 교정 롤러를 구비하여, 이 교정 롤러에 의해 피가열재(6)를 상하로부터 끼워 넣음으로써 교정한다.
다음에, 도 2 및 도 3을 사용하여, 유도 가열기(2a)의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유도 가열기(2a)와 유도 가열기(2b)는 동일 구성을 가지므로, 유도 가열기(2b)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유도 가열기(2a)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유도 가열기(2a)의 유도 가열의 개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도 가열기(2a)는, 예를 들어 인덕터(8)의 터널 형상으로 형성된 개구부 내에 피가열재(6)를 통과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도 가열기(2a)는 인덕터(8) 내의 유도 가열 코일(9)이, 피가열재(6)의 주위를 폭 방향으로 주회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도 가열기(2a)는 고주파 전원(10)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피가열재(6)를 유도 가열한다.
또한, 고주파 전원(10)은 가열용 컨트롤러(1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유도 가열 코일(9)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결정한다.
다음에, 도 4를 사용하여 재료 절단기(3a)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료 절단기(3a)는 대차(301)를 구비하고 있다. 대차(301)는 차륜(302)에 의해 레일(303) 상을 스톱퍼(304a)의 위치로부터 스톱퍼(304b)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대차(301) 상에는 감속기(305)와, 이 감속기(305)에 설치된 대차 위치 검출기(306)와, 대차 위치 검출기(306)에 의해 검출된 대차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륜(302)을 회전시킴으로써 대차(301)를 이동시키는 대차용 모터(30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대차(301) 상에는 아암(308)을 상하 이동시키는 잭(309a, 309b)과, 이 잭(309a, 309b)을 구동시키는 잭 모터(310)와, 잭(309a, 309b)에 의해 상하 이동된 아암(308)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높이 검출기(311)가 설치되어 있다.
아암(308)에는 절곡 가능한 배관 배선 케이블(312)과, 가스 배관(313)과, 이들을 경유한 가스가 공급됨으로써 화염을 방출하는 버너(314)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재료 절단기(3a)는 대차(301)에 의해 피가열재(6)의 짧은 방향(폭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또한 잭(309a, 309b)에 의해 아암(308)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버너(314)로부터 방출하는 화염에 의해 피가열재(6)를 절단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재료 절단기(3a)의 반송 방향[피가열재(6)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좁아, 유도 가열기(2b)의 근방에 재료 절단기(3a)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재료 절단기(3a)는 잭(309a, 309b)을 사용하여 아암(308)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절단하므로, 모터 등의 구동 장치를 피가열재(6)의 짧은 방향(폭 방향)의 충분히 이격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 등의 구동 장치와 유도 가열기(2b) 사이에, 유도 가열기(2b)로부터의 복사열이나 자장의 영향을 낮게 억제하기 위해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가열재(6)가 마무리 압연기(5)의 앞에서 크게 변형되어, 변형된 상태로 경화된 경우에 있어서도, 유도 가열기(2a)의 근방에서는, 피가열재(6)는 비교적 평판에 근접한 상태이므로, 재료 절단기(3a)는 피가열재(6)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작용》
다음에,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100)의 작용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조압연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반송된 피가열재(6)는 휨 교정기(1)에 공급되어, 휨이 교정된다.
그리고, 휨 교정기(1)에 의해 교정된 피가열재(6)는 반송기(7a 내지 7c)에 의해 유도 가열기(2a, 2b)로 반송된다. 유도 가열기(2a, 2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도 가열 코일(9)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피가열재(6)를 유도 가열한다.
여기서, 유도 가열된 피가열재(6)는 고온 연화된 상태로 유도 가열기(2b)의 출구측으로부터 반출된다. 그로 인해, 처리 압연기(5)의 앞에서 크게 변형되어 형상 불량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피가열재(6)에 형상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는, 열간 압연 장치(100)는 감시하고 있는 운전원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반송 정지 신호를 접수하거나, 또는 어떠한 형상 불량을 검출하는 검출기에 의해 생성된 반송 정지 신호를 접수한 다. 그리고, 열간 압연 장치(100)는 이들의 반송 정지 신호에 의해 반송기(7a 내지 7c)의 반송을 정지한다.
다음에, 재료 절단기(3a)가, 운전원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피가열재(6)를 절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재료 절단기(3a)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차(301)에 의해 피가열재(6)의 짧은 방향(폭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또한 잭(309a, 309b)에 의해 아암(308)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버너(314)로부터 방출되는 화염에 의해 피가열재(6)를 절단한다.
이와 같이, 피가열재(6)가 마무리 압연기(5)의 앞에서 크게 변형되어, 변형된 상태로 경화된 경우에 있어서도, 유도 가열기(2a)의 근방에서는, 피가열재(6)는 비교적 평판에 근접한 상태이므로, 재료 절단기(3a)는 피가열재(6)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다음에, 반송기(7a 내지 7c)가, 운전원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역회전되어, 재료 절단기(3a)에 의해 절단된 유도 가열기(2a, 2b)측의 피가열재(6)를 휨 교정기(1)측으로 역반송한다.
또한, 마무리 압연기(5)가, 운전원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재료 절단기(3a)에 의해 절단된 마무리 압연기(5)측의 피가열재(6)를 마무리 압연기(5)측으로 반송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100)에 따르면, 반송하여 순차적으로 가열 압연하는 피가열재(6)에 형상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형상 불량의 피가열재(6)를 유도 가열기(2b)의 출구측에서 절단하여, 절단된 피가열재(6)를 반 송한다. 이에 의해, 열간 압연 장치(100)는 유도 가열기(2a, 2b)를 손상시키지 않고 절단된 피가열재(6)를 신속하게 회수 제거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구성》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100)는 유도 가열기(2a, 2b)에 의해 유도 가열된 피가열재(6)에 형상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형상 불량의 피가열재(6)를 유도 가열기(2b)의 출구측에서 절단하는 재료 절단기(3a)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한편,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료 절단기(3a)에 추가하여, 형상 불량의 피가열재(6)를 유도 가열기(2a)의 입구측에서 절단하는 재료 절단기(3b)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에 의해, 피가열재(6)가 마무리 압연기(5)의 앞에서 크게 변형되어, 변형된 상태로 경화된 경우에 있어서도, 유도 가열기(2a, 2b)의 근방에서는, 피가열재(6)는 비교적 평판에 근접한 상태이므로, 재료 절단기(3a, 3b)는 피가열재(6)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200)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100)와 비교하여, 재료 절단기(3a, 3b)에 의해 절단된 피가열재(6)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반송기(7a 내지 7c)에 의한 피가열재(6)의 회수 제거가 더욱 용이해져, 회수 제거 시간을 저감시킬 수 있다.
<작용>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200)의 작용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압연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반송된 피가열재(6)는 휨 교정기(1)를 경유하여 유도 가열기(2a, 2b)로 공급되고, 유도 가열기(2a, 2b)에 의해 유도 가열된다.
그리고, 유도 가열기(2a, 2b)에 의해 유도 가열된 피가열재(6)에 형상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열간 압연 장치(200)는 감시하고 있는 운전원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반송 정지 신호를 접수하거나, 또는 어떠한 형상 불량을 검출하는 검출기에 의해 생성된 반송 정지 신호를 접수한다. 그리고, 열간 압연 장치(200)는 이들의 반송 정지 신호에 의해 반송기(7a 내지 7c)의 반송을 정지한다.
다음에, 유도 가열기(2a)의 입구측에 설치된 재료 절단기(3b)가, 예를 들어 운전원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피가열재(6)를 절단한다.
또한, 유도 가열기(2b)의 출구측에 설치된 재료 절단기(3a)가, 예를 들어 운전원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피가열재(6)를 절단한다.
이와 같이, 피가열재(6)가 마무리 압연기(5)의 앞에서 크게 변형되어, 변형된 상태로 경화된 경우에 있어서도, 유도 가열기(2a, 2b)의 근방에서는, 피가열재(6)는 비교적 평판에 근접한 상태이므로, 재료 절단기(3a, 3b)는 피가열재(6)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다음에, 반송기(7a 내지 7c)가, 운전원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조작 신호 에 기초하여 재료 절단기(3b)에 의해 절단된 휨 교정기(1)측의 피가열재(6)를 휨 교정기(1)측으로 역반송한다.
그리고, 반송기(7a 내지 7c)가, 운전원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재료 절단기(3a) 및 재료 절단기(3b)에 의해 절단된 유도 가열기(2a, 2b) 상의 피가열재(6)를 휨 교정기(1)측으로 역반송한다.
또한, 마무리 압연기(5)가, 운전원 등의 조작에 의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재료 절단기(3b)에 의해 절단된 마무리 압연기(5)측의 피가열재(6)를 마무리 압연기(5)측으로 반송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200)에 따르면, 피가열재(6)를 재료 절단기(3a, 3b)에 의해 3분할로 절단함으로써 피가열재(6)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짧게 절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반송기(7a 내지 7c)에 의한 피가열재(6)의 회수 제거가 더욱 용이해져, 회수 제거 시간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구성》
도 6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100)는 형상 불량의 피가열재(6)를 유도 가열기(2b)의 출구측에서 절단하는 재료 절단기(3a)와, 절단된 유도 가열기(2a, 2b)측의 피가열재(6)를 휨 교정기(1)측으로 역반송하는 반송기(7a 내지 7c)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3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 단된 피가열재(6)를 반송기(7a 내지 7c)에 의해 역반송할 때에, 피가열재(6)의 형상 불량의 상태에 따라서 승강할 수 있는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13a 및 13b)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도 7은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13a)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또한,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13a)와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13b)는 동일 구성이므로,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13b)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13a)는 피가열재(6)를 유도 가열하는 인덕터(8)를 탑재한 대차(701)를 구비하고 있다. 대차(701)는 차륜(702)에 의해 레일(703) 상을 스톱퍼(704a)의 위치로부터 스톱퍼(704b)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그리고,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13a)는 대차(701) 상에 감속기(705)와, 이 감속기(705)에 접속된 피니언(706)의 회전에 의해 대차(701)의 위치를 검출하는 대차 위치 검출기(707)와, 검출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대차(701)를 이동시키는 대차용 모터(70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13a)는 인덕터(8)를 승강시키는 잭(709a, 709b)과, 잭(709a, 709b)을 구동시키는 잭 모터(710)와, 잭 모터(710)의 동력을 전달시키는 회전축(711)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잭(709a, 709b)에 의해 피가열재(6)를 유도 가열하는 인덕터(8)를 승강할 수 있다.
<작용>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300)의 작용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압연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반송된 피가열재(6)는 휨 교정기(1)를 경유하여 유도 가열기(13a, 13b)로 공급되고, 유도 가열기(13a, 13b)에 의해 유도 가열된다.
그리고,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13a, 13b)에 의해 유도 가열된 피가열재(6)에 형상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열간 압연 장치(300)는 감시하고 있는 운전원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반송 정지 신호를 접수하거나, 또는 어떠한 형상 불량을 검출하는 검출기에 의해 생성된 반송 정지 신호를 접수한다. 그리고, 열간 압연 장치(300)는 이들의 반송 정지 신호에 의해 반송기(7a 내지 7c)의 반송을 정지한다.
다음에,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13b)의 출구측에 설치된 재료 절단기(3a)가, 예를 들어 운전원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피가열재(6)를 절단한다.
이와 같이, 피가열재(6)가 마무리 압연기(5)의 앞에서 크게 변형되어, 변형된 상태로 경화된 경우에 있어서도, 유도 가열기(13a, 13b)의 근방에서는, 피가열재(6)는 비교적 평판에 근접한 상태이므로, 재료 절단기(3a)는 피가열재(6)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다음에, 반송기(7a 내지 7c)가 운전원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재료 절단기(3a)에 의해 절단된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13a, 13b)측의 피가열재(6)를 휨 교정기(1)측으로 역반송한다.
이때, 운전원 등이 형상 불량의 피가열재(6)와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13a, 13b)가 접촉하지 않도록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13a, 13b)를 승강 조작한다. 이 운전원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조작 신호를 받은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13a, 13b)가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승강 동작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조작 신호를 받은 잭 모터(710)가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잭(709a, 709b)을 구동시킴으로써, 인덕터(8)를 승강시킨다.
이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300)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100)와 비교하여, 피가열재(6)의 형상 불량의 상태에 따라서,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13a 및 13b)를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하면서, 절단된 피가열재(6)를 역반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13a, 13b)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확실하게 피가열재(6)를 회수 제거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구성》
도 8은 제4 실시 형태인 열간 압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100)는 재료 절단기(3a)에 의해 절단된 유도 가열기(2a, 2b)측의 피가열재(6)를 휨 교정기(1)측으로 역반송하는 반송기(7a 내지 7c)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4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된 유도 가열기(2a, 2b)측의 피가열재(6)를 휨 교정기(1)측으로 역반송할 때에, 형상 불량의 상태에 따라서 승강하는 승강 기구가 구비된 반송기(14a 내지 14c)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도 9는 승강 기구가 구비된 반송기(14a)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또한, 승강 기구가 구비된 반송기(14a 내지 14c)는 동일 구성이므로, 승강 기구가 구비된 반송기(14b, 14c)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기구가 구비된 반송기(14a)는 테이블 롤러 베이스(90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테이블 롤러 베이스(901) 상에는 테이블 롤러(902)를 승강시키는 롤러 잭(903a, 903b)과, 롤러 잭(903a, 903b)을 구동시키는 잭 모터(904)와, 잭 모터(904)의 동력을 롤러 잭(903a, 903b)으로 전달시키는 회전축(90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 기구가 구비된 반송기(14a)는 테이블 롤러(902)를 회전시키는 테이블용 모터(908)와, 테이블용 모터(908)의 토대가 되는 모터 베이스(909)와, 테이블용 모터(908)의 동력을 전달시키는 회전축(910)과, 테이블용 모터(908)의 축과 회전축(910)을 접속하는 자유 조인트(911a)와, 회전축(910)과 테이블 롤러(902)의 축을 접속하는 자유 조인트(911b)와, 테이블 롤러(902)의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912a, 912b)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테이블용 모터(908)의 회전에 의해 테이블 롤러(902)를 회전시키면서, 롤러 잭(903a, 903b)에 의해 피가열재(6)를 반송하는 테이블 롤러(902)를 승 강할 수 있다.
《작용》
다음에,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400)의 작용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압연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반송된 피가열재(6)는 휨 교정기(1)를 경유하여 유도 가열기(2a, 2b)로 공급되고, 유도 가열기(2a, 2b)에 의해 유도 가열된다.
그리고, 유도 가열기(2a, 2b)에 의해 유도 가열된 피가열재(6)에 형상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열간 압연 장치(400)는 감시하고 있는 운전원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반송 정지 신호를 접수하거나, 또는 어떠한 형상 불량을 검출하는 검출기에 의해 생성된 반송 정지 신호를 접수한다. 그리고, 열간 압연 장치(400)는 이들의 반송 정지 신호에 의해 반송기(14a 내지 14c)의 반송을 정지한다.
다음에, 유도 가열기(2b)의 출구측에 설치된 재료 절단기(3a)가, 예를 들어 운전원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피가열재(6)를 절단한다.
이와 같이, 피가열재(6)가 마무리 압연기(5)의 앞에서 크게 변형되어, 변형된 상태로 경화된 경우에 있어서도, 유도 가열기(2b)의 근방에서는, 피가열재(6)는 비교적 평판에 근접한 상태이므로, 재료 절단기(3a)는 피가열재(6)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다음에, 승강 기구가 구비된 반송기(14a 내지 14c)가, 운전원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재료 절단기(3a)에 의해 절단된 유도 가열 기(2a, 2b)측의 피가열재(6)를 휨 교정기(1)측으로 역반송한다.
이때, 운전원 등이, 형상 불량의 피가열재(6)와 유도 가열기(2a, 2b)가 접촉하지 않도록 승강 기구가 구비된 반송기(14a 내지 14c)를 승강 조작한다. 이 운전원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조작 신호를 받은 반송기(14a 내지 14c)가,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승강 동작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신호를 받은 잭 모터(904)가,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롤러 잭(903a, 903b)을 구동시킴으로써, 피가열재(6)를 반송하는 테이블 롤러(902)를 승강시킨다.
이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400)는 피가열재(6)의 형상 불량의 상태에 따라서, 승강 기구가 구비된 반송기(14a 내지 14c)를 승강하면서, 절단된 유도 가열기(2a, 2b)측의 피가열재(6)를 역반송한다. 이에 의해, 열간 압연 장치(400)는 유도 가열기(2a, 2b)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피가열재(6)를 확실하게 회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400)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300)에 비교하여,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300)의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13a)의 중량은 약 20t 정도인 것에 비해,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400)의 승강 기구가 구비된 반송기(14a)의 중량은 약 2t 정도이다. 그로 인해, 승강시키기 위한 잭 모터(902) 등의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어, 공간 절약화 및 비용 저감이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에 있어서, 유도 가열기(2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널 형상으로 형성된 인덕터(8)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는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도 가열기(2a)는 반송되는 피가열재(6)의 상부에 유도 가열 코일(9)을 배치한 상부 인덕터 및 반송되는 피가열재(6)의 하부에 유도 가열 코일(9)을 배치한 하부 인덕터를 구비하고, 이들 유도 가열 코일(9)을 통전함으로써 피가열재(6)를 유도 가열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300)의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13a)는 인덕터(8) 전체를 승강하는 잭(709a, 709b)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는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13a)에 있어서, 상부 인덕터 및 하부 인덕터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상부 인덕터 또는 하부 인덕터를 승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반송되는 피가열재(6)의 상부에 유도 가열 코일(9)을 배치한 상부 인덕터 및 반송되는 피가열재(6)의 하부에 유도 가열 코일(9)을 배치한 하부 인덕터를 갖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잭(709a, 709b)에 의해, 상부 인덕터 또는 하부 인덕터를 피가열재(6)의 형상 불량의 상태에 따라서 승강한다. 이에 의해,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13a)는 상부 인덕터와 하부 인덕터의 간격을 충분 히 취할 수 있어, 승강 기구가 구비된 유도 가열기(13a, 13b)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확실하게 피가열재(6)를 회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너(314)에 의해 피가열재(6)를 절단하는 재료 절단기(3a)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열간 압연 장치는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버너(314) 대신에, 절단 날을 갖고, 이 절단 날에 의해 기계적으로 피가열재(6)를 절단하는 재료 절단기(3a)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Claims (4)

  1. 가열 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인덕터를 구비하여, 이 가열 코일을 통전함으로써 반송되는 피가열재를 유도 가열하는 유도 가열 수단과,
    상기 유도 가열 수단에 의해 유도 가열된 피가열재에 형상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이 형상 불량의 피가열재를 상기 유도 가열 수단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절단하는 재료 절단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수단은,
    반송되는 피가열재의 주위를 폭 방향으로 주회하도록 가열 코일을 배치한 인덕터, 또는 이 피가열재의 상면측에 가열 코일을 배치한 상부 인덕터 및 이 피가열재의 하면측에 가열 코일을 배치한 하부 인덕터를 갖고,
    외부로부터 접수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제1 모터와,
    상기 제1 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기 유도 가열 수단의 상기 인덕터, 상기 상부 인덕터, 또는 상기 하부 인덕터를 승강시키는 제1 잭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수단의 입구측 및/또는 출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피가열재의 하면측에 설치된 반송 롤러가 상기 피가열재의 하면에 접하면서 정회전함으로써 상기 피가열재를 상기 재료 절단 수단측으로 반송하거나, 또는 상기 반송 롤러가 상기 피가열재의 하면에 접하면서 역회전함으로써 상기 피가열재를 역반송하는 반송 수단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접수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제2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기 반송 롤러를 승강시키는 제2 잭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장치.
KR1020097011069A 2006-10-31 2006-10-31 열간 압연 장치 KR101148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21712 WO2008053522A1 (fr) 2006-10-31 2006-10-31 Dispositif de laminage à chau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002A true KR20090077002A (ko) 2009-07-13
KR101148375B1 KR101148375B1 (ko) 2012-05-24

Family

ID=3934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069A KR101148375B1 (ko) 2006-10-31 2006-10-31 열간 압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913822B2 (ko)
KR (1) KR101148375B1 (ko)
CN (1) CN101528373B (ko)
TW (1) TW200819217A (ko)
WO (1) WO20080535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561B1 (ko) * 2010-12-21 2013-01-10 주식회사 포스코 불량재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3269B (zh) * 2012-08-16 2014-07-23 广西柳州银海铝业股份有限公司 板材轧制输送装置及其控制方法
CN104492824B (zh) * 2014-11-26 2017-05-31 河南万达铝业有限公司 2400热连轧机机内辊道及消除热连轧铝板印痕的方法
JP2018518369A (ja) * 2015-05-11 2018-07-12 エス・エム・エス・グループ・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鋳造圧延方式において、金属的なストリップ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6988277B2 (ja) * 2017-08-31 2022-0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ート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5512B2 (ja) * 1992-01-23 1998-03-11 日本鋼管株式会社 エッジヒータによる鋼板加熱時に発生する電気スパーク防止方法
CN1205918A (zh) * 1993-06-15 1999-01-27 川崎制铁株式会社 金属板的连续热轧中使用的装置
KR100249664B1 (ko) * 1993-06-15 2000-04-01 에모또 간지 금속편의 연속열간압연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하는 금속편의 접합장치, 금속편의 반송용 테이블롤라, 금속편의 접합불량부 제거장치 및 금속편의 냉각장치
JP3368573B2 (ja) * 1996-05-31 2003-01-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連続熱間圧延設備
JP3581973B2 (ja) * 1996-09-25 2004-10-27 北芝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JPH10291016A (ja) * 1997-02-21 1998-11-04 Nkk Corp 熱間圧延設備列及び熱延鋼帯の圧延方法
JPH11169903A (ja) * 1997-12-04 1999-06-29 Nkk Corp 熱間圧延設備列及び熱延鋼帯の圧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561B1 (ko) * 2010-12-21 2013-01-10 주식회사 포스코 불량재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17659B (ko) 2009-12-01
CN101528373B (zh) 2012-07-18
JP4913822B2 (ja) 2012-04-11
CN101528373A (zh) 2009-09-09
TW200819217A (en) 2008-05-01
JPWO2008053522A1 (ja) 2010-02-25
WO2008053522A1 (fr) 2008-05-08
KR101148375B1 (ko)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375B1 (ko) 열간 압연 장치
TWI584887B (zh) 冷軋設備及冷軋方法
KR101759043B1 (ko) 냉간 압연 설비
US6332492B1 (en) Method to control the axial position of slabs emerging from continuous casting and relative device
KR102111386B1 (ko) 가스절단장치
JP4964653B2 (ja) 圧延方法及び圧延設備
KR100805066B1 (ko) 적치소재 위치 교정이 가능한 파일링 테이블 장치
KR101746981B1 (ko)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설비
WO1992002313A1 (fr) Procede et dispositif d&#39;assemblage de billettes
WO2000010744A1 (en) Adjustable side guide with quick change strip heater assembly
KR101220561B1 (ko) 불량재 처리 장치
KR200204804Y1 (ko) 스트립 선,후단 불량시트 처리장치
JP2007216278A (ja) 鋼材の圧延設備
JP5899976B2 (ja) ガラス板の曲げ成形装置及び曲げ成形方法
KR101159776B1 (ko) 소재 상향 방지 장치
JP2887734B2 (ja) 鍛造素材の加熱装置
KR101755385B1 (ko) 주편 스카핑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35059B1 (ko) 소재의 처짐방지장치
KR101370505B1 (ko) 가열로 추출 슬라브의 위치 교정 장치
JP5551504B2 (ja) 鋼板の端面加熱装置
KR100563261B1 (ko) 변형된 열연강편 슬래브의 스케일 제거장치
KR20110120529A (ko) 회전부를 포함하는 슬라브 추출장치
KR20180065774A (ko) 주편 그라인딩 설비 및 주편 그라인딩 방법
KR102111387B1 (ko) 마킹 기능을 가지는 가스절단장치
KR20160079948A (ko) 가열로의 소재 장입 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