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6026A -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6026A
KR20090076026A KR1020080001749A KR20080001749A KR20090076026A KR 20090076026 A KR20090076026 A KR 20090076026A KR 1020080001749 A KR1020080001749 A KR 1020080001749A KR 20080001749 A KR20080001749 A KR 20080001749A KR 20090076026 A KR20090076026 A KR 20090076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
main body
coupled
vehicle managemen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1701B1 (ko
Inventor
김기용
김상열
Original Assignee
지엘시스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엘시스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엘시스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1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701B1/ko
Publication of KR20090076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individual parking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하고 고장 발생시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된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는 주차구역에 매립 설치되고, 승강구의 승하강 동작을 통해 차량의 무단 입출고를 관리하는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관리장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측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본체와 결합되는 승강구(20) 및, 상기 승강구(20)를 승강시키는 리프트(30)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리프트(30)는 리프트를 본체(10)의 밑판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31)과, 상기 브라켓과 X자형 링크(33)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승강판(32) 및, 상기 승강판(32)을 상측 및 하측으로 승강시키는 구동부(4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주차, 무인차단기, 승강구

Description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차량의 주차 관리를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차량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설치가 용이하고 고장 발생시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된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료 주차장이나 또는 개인용 주차지역 등에 있어서는 제3자가 무단으로 차량을 주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주차관리용 무인차단기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상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주차관리용 무인차단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장치는 승강판(1)의 양측 하부에 승강판(1)의 수직 승하강을 위한 브라켓(2)을 설치하고, 상기 승강판(1)의 하측 중앙부분에 실린더(3)의 로드(4)를 결합하여 실린더(3)의 작동에 따라 승강판(1)이 승강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게 된다.
즉,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승강판(1)을 지지하는 브라켓(20)을 수직방향으 로 안내하기 위해 비교적 정밀한 형태의 양측벽을 형성할 필요가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승강판(1)이 하측으로 강하된 상태에서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고장 수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장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장치에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장치는 장치를 주차장에 매립하기 위한 매립 공간이 깊게 구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주차공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고장 발생시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된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는 주차구역에 매립 설치되고, 승강구의 승하강 동작을 통해 차량의 무단 입출고를 관리하는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 있어서, 상기 차량관리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측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본체와 결합되는 승강구 및, 상기 승강구를 승강시키는 리프트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리프트는 리프트를 본체의 밑판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X자형 링크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승강판 및, 승강판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과 승강판에는 각각 가이드홀이 구비되며, 상기 X자형 링크는 각각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링크는 각각 일단이 승강판과 브라켓에 힌지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이 제2 및 제3 결합축에 의해 상기 가이드홀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 또는 제3 결합축에는 볼 스크류와 결합되는 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정역회전됨과 더불어 일단이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볼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에는 승강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지지판을 통해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승강구의 상기 스토퍼와 지지판의 결합위치에 대응되도록 작업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부가 하부에 비해 폭이 작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하측이 내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구는 몸체와 상판을 구비하여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상판은 몸체에 얹혀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승강판의 상측에 승강구를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결합축에는 승강판에 대하여 제2 결합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추가로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결합축에는 브라켓에 대하여 제3 결합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추가로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에는 비구동시에 회전축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가 추가로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가 용이하게 차량의 입출고를 확실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또한 유지보수성이 우수한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성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 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관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차량관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따른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는 본체(10)와, 이 본체(10)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구(20) 및, 본체(10)에 구비되어 승강구(20)를 승강시키는 리프트(3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본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본체(10)는 밑판(10a)과, 이 밑판(10a)에 결합되는 반원형상의 좌우 측판(10b) 및, 이들 측판(10b)의 상단에 결합되는 타원형상의 승강구 안착링(10c)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몸체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전후면의 개구부에는 예컨대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덮개(11)가 결합된다.
상기 덮개(11)의 하측에는 홀(11a)이 형성된다. 이 홀(11a)은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리프트(30)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선 등을 인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밑판(10a)의 상측에는 스토퍼(13)의 결합 및 지지를 위한 "U"자 형상으로 절곡된 지지판(12)이 설치된다. 이 지지판(12)은 하부 양측에 본 지지판(12)을 본체(1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12a)가 구비된다. 이 결합돌기(12a) 는 본체(10)의 밑판(10a)에 형성된 결합홈(10a1)에 끼워져서 결합된다.
또한, 이 지지판(12)의 상측에는 스토퍼(13)를 결합하기 위한 절곡부(12b)가 형성되고, 이 절곡부(12b)의 상단에 스토퍼(13)가 결합된다. 상기 스토퍼(13)는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승강구(20)가 본체(10)로부터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토퍼(13)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로서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람직하게는 나사와 같이 체결과 해제가 용이한 것이 사용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다수의 배수 구멍이 형성됨과 더불어, 리프트(30)를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된다.
도 6은 승강구의 분해사시도이다.
승강구(20)는 상하가 개방된 몸체(22)와, 이 몸체(22)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판(21)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몸체(22)는 반원형상의 좌우 측판(22a)과 이 측판(22a)에 결합되는 한쌍의 수직판(22b)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상기 몸체(22)는 하측에 비해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판(22a)의 하측에는 예컨대 나사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걸림편(24)이 설치된다. 이 걸림편(24)은 본 승강구(2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상술한 스토퍼(13)와 맞닿아서 승강구(20)가 더 이상 상측으로 상승할 수 없도록 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상기 걸림편(24)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몸체(22)의 측판(22a)의 하면이 스토퍼(13)에 걸리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상판(21)에는 몸체(22) 및 덮개(23)를 예컨대 나사 결합하기 위한 다수 의 결합홀(21a)이 구비된다. 또한 상판(21)의 양측 일정 위치에는 본 차량관리장치의 고장시에 작업자가 승강구(20)를 본체(10)로부터 이탈시키는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작업구(21b)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작업구(21b)는 지지판(12)과 스토퍼(13)의 결합부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본 차량관리장치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작업자는 상판(21)으로부터 덮개(23)를 제거하고 작업구(21b)를 통해 스토퍼(13)를 지지판(12)으로부터 분리한 후 승강구(2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해내게 된다.
그리고, 이상 상태를 해소한 후에는 상기와 역순으로 본체(10)내에 승강구(20)를 위치시키고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스토퍼(13)를 지지판(12)에 결합한 후, 상판(21)의 상측에 덮개(23)를 결합시키게 된다.
도 7은 리프트(3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리프트(30)의 분해사시도이다.
리프트(30)는 이를 본체(10)의 밑판(10a)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31)과, 상하 이송되는 승강판(32) 및, 상기 승강판(32)의 상측에 결합되어 승강구(20)를 지지하는 롤러(3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31)과 승강판(32)은 한쌍의 X자형 링크(33)를 통해 상호 결합되고, 상기 승강판(32)에는 X자형 링크(33)를 구동하여 승강판(32)을 상측 및 하측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구동부(40)가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31)의 상측에는 X자형 링크(33)를 결합하기 위한 한쌍의 제1 결합판(31a)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승강판(32)의 양측면에는 X자형 링크(33)를 결합 하기 위한 한쌍의 제2 결합판(32a)이 구비된다.
X자형 링크(33)는 각각 제1 링크아암(331)과 제2 링크 아암(332)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링크아암(331, 332)은 그 중앙 부분이 제1 결합축(330)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링크아암(331, 332)은 이 제1 결합축(330)을 중심으로 하여 양단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
제1 링크아암(331)은 일단이 제1 결합판(31a)에 힌지결합되고, 제2 링크아암(332)의 일단은 제2 결합판(32a)에 힌지결합된다. 제1 및 제2 결합판(31a, 32a)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31b, 32b)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링크아암(331)의 다른 단은 제2 결합축(340)에 의해 상기 가이드홀(32b)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제2 링크아암(332)의 다른 단은 제3 결합축(350)에 의해 상기 가이드홀(31b)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특히, 상기 제2 및 제3 결합축(340, 350)에는 각각 한쌍의 베어링(341, 351)이 결합된다. 베어링(351)은 각각 브라켓(31)의 상면의 상면에 대하여 제3 결합축(350)을 지지하여 제3 결합축(350)이 가이드홀(31b)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판(32) 밑면의 가이드홀(32b)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슬라이드 지지판(38)이 설치된다. 베어링(341)은 이 슬라이드 지지판(38)에 대하여 제2 결합축(340)을 지지하여 제2 결합축(340)이 가이드홀(32b)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2 결합축(36b)의 중앙 부분에는 너트(44)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홀(340a)이 형성된다. 상기 너트(44)에는 구동부(40)가 결합된다. 구동부(40)는 모터(41)와 모터(41)의 비구동상태에서 회전축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42) 및 모터(41)의 회전축에 커플러를 통해 결합되어 모터(41)에 의해 정역회전 구동되는 볼 스크류(4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볼 스크류(43)는 상기 너트(44)에 체결된다.
따라서, 모터(41)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고 이에 따라 볼 스크류(43)가 회전하게 되면, 너트(44)가 결합된 제2 결합축(340)이 볼 스크류(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송됨으로써 승강판(32)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승강된다.
또한, 상기 모터(41)는 브라켓(45)에 의해 승강판(32)에 결합된다. 또한, 볼 스크류(43)는 베어링(46,47)에 양측 끝단이 승강판(32)에 지지 결합된다.
상기 승강판(32)의 상측에는 승강구(20)를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34)가 구비된다. 이들 롤러(34)는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승강구(20)의 상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이 구동부(4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낸 차량관리장치에서 승강구가 상측으로 작동된 상태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대응되는 차량관리장치의 개략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용 차량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상술한 구조로 된 차량관리장치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한 차량관리장치는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공간에 설치된다. 본 차량관리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주차공간의 바닥면에 본 차량관리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깊이 및 넓이로 구덩이를 조성한 후 본 차량관리장치를 수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시예에 따른 차량관리장치는 승강구(20)가 본체(10) 내측에서 승하강 동작을 실행하게 되므로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무인차단장치와는 달리 수납공간을 정밀하게 조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이때 본체(10)의 덮개(11)에 구비된 홀(11a)을 통해 전원선(도시되지 않음)과 모터(41)를 결합시킨다. 이때 전원선은 주차지역 지하 또는 지상에 적절하게 배설된다. 또한, 만일 차량관리장치 내에 콘트롤러나 다른 전자 장치가 구비되는 경우 그 신호선도 상기 전원선과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된다.
본 차량관리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해당 주차공간에 차량이 입고되면, 통상적인 감지장치에 의해 차량 입고신호가 콘트롤러로 인가되고, 콘트롤러는 리프트(30)의 모터(41)를 구동하게 된다.
리프트(30)의 모터(41)가 일측 방향, 즉 승강구(20)를 상측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모터(41)의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볼 스크류(43)가 회전함으로써 너트(44)와 결합된 제2 결합축(340)이 볼 스크류(43)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 결합축(340)은 모터(41)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 제2 링크 아암(332)의 다른 단이 결합되는 제3 결합축(350)도 가이드 홀(31b)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2 및 제3 결합축(340, 350)이 모터(41)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 및 제2 링크 아암(331, 332)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게 됨으로써 승강판(32)이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구(20)가 상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구(20)는 상측으로의 상승시 지면으로부터 최고점까지의 높이, 즉 도 10에 단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구(20)가 최대한 상승하여 본체(10)의 스토퍼(13)와 승강구(20)의 걸림편(13)이 맞닿은 상태에서 지면으로부터 덮개(23)까지의 높이가 예컨대 290mm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는 현재 A사의 RV카의 지상고가 250mm이고, B사의 트럭 지상고가 240mm인 것을 감안하여, 최대 지상고를 갖는 차량이 입고되더라도 승강구(20)가 차량의 하부면에 맞닿을 때까지 상승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승강구(20)의 최대 상승 높이는 특정한 값에 한정되지 않고 입고되는 차량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것이다.
승강구(20)가 상승하여 승강구(20)의 상면이 차량의 바닥에 닿게 되면 더 이상 승강구(20)가 상승하지 못한다. 즉, 모터(41)의 가동이 강제적으로 중지된다. 모터(41)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모터의 가동이 강제적으로 정지되면 모터(40)에 과부하가 발생되게 된다.
모터(41)의 과부하가 일정 이상이 되면 통상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콘트롤러가 모터(41)로 공급되는 전력를 차단하여 모터(41)의 구동이 정지되고, 이와 동시에 브레이크(42)에 전력이 공급되어, 모터의 회전축을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강구(2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하부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정지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차량을 임의적으로 출고하는 것이 불가능하 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적법한 방법, 즉 주차요금을 정산한 후 차량을 출고하는 경우에는 콘트롤러는 브레이크(42)에 인가된 전원을 차단하여 모터(41)의 회전축의 차단을 해제한후 승강구(20)의 상승시와 반대 방향으로 모터(41)를 구동하게 된다. 모터(4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너트(44)가 결합된 제2 결합축(340)이 가이드홀(32c)을 따라 모터(41)측과 반대방향으로 이송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구(20)가 하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어, 승강구(20)의 하강이 완료되면 운전자는 차량을 주차 공간 외부로 출고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운전자가 주차요금을 정산하지 않고 예컨대 승강구(20)를 발로 누르는 등의 방법으로 승강구(20)에 부적절하게 외력을 가하여 승강구(20)를 강제적으로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는 승강구(20)가 리프트(30)의 승강판(32)의 상측에 결합된 롤러(34)에 얹혀져서 설치된다. 또한, 승강구(20)의 몸체(22)는 하측에 비해 상측이 폭이 좁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구(2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해지는 외력이 승강구(20)의 정중앙부분에 가해지지 않고 어느 한쪽에 가해지게 되면 해당 가해진 외력에 의해 승강구(20)가 롤러(34)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는 측으로 미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승강구(20)의 상측에 가해진 힘이 모터(41)에 그대로 전달되지 않고 롤러(34)에 의해 힘이 가해진 쪽으로 분산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구(20)가 본체(10)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경사진 상태로 놓이게 된다.
즉, 승강구(20)의 일측 몸체(22) 외벽이 본체(10)의 내벽에 접촉되고, 이 외벽에 대향하는 타측 상면이 차량(100)의 하부면에 접촉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승강구(20)에 가했던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승강구(20)의 무게 중심이 양 롤러(34)의 중앙 위치에서 일측 롤러(34)의 중심으로 이동된 상태이기 때문에 승강구(20)는 경사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부적절하게 승강구(20)에 외력을 가하여 차를 출고하고자 하는 시도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항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차관리장치는 승강구(20)이 내려간 상태에서의 침수시에는 주차관리장치 내부에 설치된 수위센서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의 양을 체크하여 일정한 이상의 물이 유입되면 센서에 의해 구동부(40)에 전원을 인가하여 승강판(32)이 상승하도록 설정된다. 이는 승강판(32)의 하부에 구비된 구동부(40)가 물에 의해 고장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주차관리장치는 고장 발생시에 작업자가 승강구(20)를 본체(1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승강구(20)의 상판(21)에 작업구(21b)가 마련되어 있다. 본 차량관리장치에 이상이 발생되면 작업자는 상판(21)으로부터 덮개(23)를 제거하고 작업구(21b)를 통해 스토퍼(13)를 지지판(12)으로부터 분리한 후 승강구(2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해내게 된다. 그리고, 이상 상태를 해소한 후에는 상기와 역순으로 본체(10)내에 승강구(20)를 위치시키고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스토퍼(13)를 지지판(12)에 결합한 후, 상판(21)의 상측에 덮개(23)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는 본체(10)와 승강구(20)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구(20)는 본체(10) 내측에서 승하강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관리장치의 설치를 위하여 그 설치 장소를 정밀하게 조성할 필요성이 제거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승강구(20)가 리프트(30)의 승강판(32)의 상측에 결합된 롤러(34) 상측에 얹혀지면서 설치되고, 승강구(20)는 몸체(22)의 하측에 비해 상측이 폭이 작게 설정된다. 따라서, 부적절한 외력에 의해 승강구(20)가 하측으로 강하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차량의 불법 출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승강구(20)의 상판(21)에 작업구(21b)가 설치되어 승강구(20)를 본체(1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차량관리장치의 유지보수성이 향상되고 고장 발생시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성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터(41)를 포함하는 구동부(40)를 제2 결합축(340)에 결합하여 리프트(30)를 구동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구동부(40)를 제3 결합축(350)에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리프트(30)를 구동하는 것 도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주차관리용 무인차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차량관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은 도 2에 나타낸 차량관리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체(10)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승강구(20)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리프트(30)의 사시도.
도 8은 리프트(30)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2에 나타낸 차량관리장치에서 승강구가 상측으로 작동된 상태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대응되는 차량관리장치의 개략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 본체, 20 : 승강구,
30 : 리프트, 34 : 롤러,
40 : 구동부.

Claims (7)

  1. 주차구역에 매립 설치되고, 승강구의 승하강 동작을 통해 차량의 무단 입출고를 관리하는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관리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측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본체와 결합되는 승강구 및,
    상기 승강구를 승강시키는 리프트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리프트는 리프트를 본체의 밑판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X자형 링크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승강판 및, 승강판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과 승강판에는 각각 가이드홀이 구비되며,
    상기 X자형 링크는 각각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링크는 각각 일단이 승강판과 브라켓에 힌지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이 제2 및 제3 결합축에 의해 상기 가이드홀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 또는 제3 결합축에는 볼 스크류와 결합되는 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정역회전됨과 더불어 일단이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볼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에는 승강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지지판을 통해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승강구의 상기 스토퍼와 지지판의 결합위치에 대응되도록 작업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부가 하부에 비해 폭이 작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하측이 내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는 몸체와 상판을 구비하여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상판은 몸체에 얹혀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승강판의 상측에 승강구를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축에는 승강판에 대하여 제2 결합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추가로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축에는 브라켓에 대하여 제3 결합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추가로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는 비구동시에 회전축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가 추가로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
KR1020080001749A 2008-01-07 2008-01-07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 KR100941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749A KR100941701B1 (ko) 2008-01-07 2008-01-07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749A KR100941701B1 (ko) 2008-01-07 2008-01-07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026A true KR20090076026A (ko) 2009-07-13
KR100941701B1 KR100941701B1 (ko) 2010-02-12

Family

ID=41333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749A KR100941701B1 (ko) 2008-01-07 2008-01-07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70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424B1 (ko) * 2009-09-23 2010-03-19 (주)디엔비건축사사무소 외부침입방지용 공동주택펜스
KR100948422B1 (ko) * 2009-09-23 2010-03-19 (주)디엔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보안형 담 구조물
CN107165457A (zh) * 2017-06-23 2017-09-15 芜湖恒天易开软件科技股份有限公司 无车自动升锁式地锁
WO2018043798A1 (ko) * 2016-09-05 2018-03-08 유재홍 지정 주차지역의 무단주차 방지장치
CN109403238A (zh) * 2018-10-26 2019-03-01 绵阳皓丹曦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停车锁结构
CN109881603A (zh) * 2019-03-29 2019-06-14 刘斌 一种全自动太阳能智能车位锁
CN109944489A (zh) * 2019-03-20 2019-06-28 南通帕哥智能科技有限公司 泊位控制器
CN112160269A (zh) * 2020-10-17 2021-01-01 杭州醉夕风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升降式停车地锁
CN112726461A (zh) * 2020-12-14 2021-04-30 浙江浙里停科技有限公司 一种可以无人管理的车位锁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373B1 (ko) 2021-06-24 2021-12-13 아소르주식회사 무인주차 관리용 차량 통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450Y1 (ko) * 1999-10-12 2000-03-15 김의환 차량 차단기
JP2004197433A (ja) 2002-12-19 2004-07-15 San Nisuka:Kk 車両ロック装置および駐車管理システム
KR20040084035A (ko) * 2003-03-26 2004-10-06 주식회사 한국알에프 유료주차장용 자동차 잠금장치
KR200396011Y1 (ko) 2005-06-30 2005-09-14 김출 주차금지 표시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424B1 (ko) * 2009-09-23 2010-03-19 (주)디엔비건축사사무소 외부침입방지용 공동주택펜스
KR100948422B1 (ko) * 2009-09-23 2010-03-19 (주)디엔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보안형 담 구조물
WO2018043798A1 (ko) * 2016-09-05 2018-03-08 유재홍 지정 주차지역의 무단주차 방지장치
CN107165457A (zh) * 2017-06-23 2017-09-15 芜湖恒天易开软件科技股份有限公司 无车自动升锁式地锁
CN109403238A (zh) * 2018-10-26 2019-03-01 绵阳皓丹曦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停车锁结构
CN109944489A (zh) * 2019-03-20 2019-06-28 南通帕哥智能科技有限公司 泊位控制器
CN109881603A (zh) * 2019-03-29 2019-06-14 刘斌 一种全自动太阳能智能车位锁
CN112160269A (zh) * 2020-10-17 2021-01-01 杭州醉夕风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升降式停车地锁
CN112726461A (zh) * 2020-12-14 2021-04-30 浙江浙里停科技有限公司 一种可以无人管理的车位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1701B1 (ko) 201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701B1 (ko)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
CN108349691B (zh) 具有安全配置的升降机和用于在升降机井道的上部部分中建立安全工作空间的方法
EP1332999A1 (e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KR20150095918A (ko) 리프트의 설치 방법
KR100941700B1 (ko) 무인 주차관리용 공압 링크식 차량관리장치
JP5951104B2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KR101351329B1 (ko) 차량 차단기용 게이트 바의 구동장치
KR20160132178A (ko) 하부 구동 타워형 주차장치
EP3385209B1 (en) Hoist machine and elevator
KR100857558B1 (ko) 주차관리용 무인차단장치
JP2007039240A (ja) エレベータのカウンタクリアランス測定装置およびその測定方法
CN105800418A (zh) 电梯对重搬出搬入装置
JP2013010604A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8408540B (zh) 曳引机和电梯
KR200465699Y1 (ko) 차량 차단기용 게이트 바의 구동장치
KR200444238Y1 (ko) 캔버스 도어의 승/하강 안내장치
JP2007261692A (ja) マンコンベアの制御盤用昇降装置
CN211254898U (zh) 一种浅底坑用电梯
CN111453583B (zh) 电梯的张紧轮的清扫装置
JP4226712B2 (ja) 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装置
AU739925B2 (en) Lift with control box
JP3531496B2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装置
US9968974B2 (en) Assembly and method for removing a robot from an enclosure
JP6062750B2 (ja) 駐車装置用リフト装置
CN217627017U (zh) 用于电梯系统的可移动止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