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5937A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5937A
KR20090075937A KR1020080001589A KR20080001589A KR20090075937A KR 20090075937 A KR20090075937 A KR 20090075937A KR 1020080001589 A KR1020080001589 A KR 1020080001589A KR 20080001589 A KR20080001589 A KR 20080001589A KR 20090075937 A KR20090075937 A KR 20090075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signal
latches
semiconductor memory
memo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5824B1 (ko
Inventor
이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80001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824B1/ko
Priority to US12/170,221 priority patent/US7894276B2/en
Priority to JP2008331201A priority patent/JP2009163865A/ja
Publication of KR20090075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Control signal in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06Address interface arrangements, e.g. address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8Address timing or clocking circuits; Address control signal generation or management, e.g. for row address strobe [RAS] or column address strobe [CAS]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ad Only Memory (AREA)
  • Dram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는 복수개의 외부 신호를 선택적으로 래치하여 출력하는 복수개의 래치; 및 상기 복수개의 외부 신호를 이용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래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래치 제어부를 구비한다.
커맨드, 어드레스, 칩 선택 신호, 래치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및 그 제어 방법{INPUT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 선택 신호 래치 회로(1), 제 1 커맨드/어드레스 래치 회로(2), 제 2 커맨드/어드레스 래치 회로(3) 및 제 3 커맨드/어드레스 래치 회로(4)를 구비한다.
상기 칩 선택 신호 래치 회로(1)는 클럭 신호(CLK)에 따라 칩 선택 신호(/CS)를 래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칩 선택 신호 래치 회로(1)는 CARR 래치를 구비한다. 상기 CARR 래치는 입력 신호를 상기 클럭 신호(CLK)의 라이징 엣지(Rising Edge)에서 래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커맨드/어드레스 래치 회로(2)는 상기 클럭 신호(CLK)에 따라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0:#>)를 래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커맨드/어드레스 래치 회로(2)는 상기 CARR 래치를 복수개 구비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종류에 따라 커맨드와 어드레스가 별도의 핀(Pin)을 통해 입력되거나, 공용 핀을 통해 입 력될 수도 있으며, 도 1의 회로는 커맨드와 어드레스가 공용 핀을 통해 입력되는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
상기 제 2 커맨드/어드레스 래치 회로(3)는 상기 클럭 신호(CLK)에 따라 상기 제 1 커맨드/어드레스 래치 회로(2)의 출력 신호(ICARR<0:#>)를 래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커맨드/어드레스 래치 회로(3)는 복수개의 CARF 래치를 구비한다. 상기 CARF 래치는 입력 신호를 상기 클럭 신호(CLK)의 폴링 엣지(Falling Edge)에서 래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3 커맨드/어드레스 래치 회로(4)는 상기 클럭 신호(CLK)에 따라 상기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0:#>)를 래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3 커맨드/어드레스 래치 회로(4)는 복수개의 CAFF 래치를 구비한다. 상기 CAFF 래치는 입력 신호를 상기 클럭 신호(CLK)의 폴링 엣지에서 래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입력 회로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신호(ICSBRR)를 보면, 상기 칩 선택 신호 래치 회로(1)가 상기 클럭 신호(CLK)의 라이징 엣지에서 상기 칩 선택 신호(/CS)를 래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신호(ICARR<0>)를 보면, 상기 제 1 커맨드/어드레스 래치 회로(2)가 상기 클럭 신호(CLK)의 라이징 엣지에서 상기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0>)를 래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신호(ICARF<0>)를 보면, 상기 제 2 커맨드/어드레스 래치 회로(3)가 상기 클 럭 신호(CLK)의 폴링 엣지에서 상기 제 1 커맨드/어드레스 래치 회로(2)의 출력 신호(ICARR<0>)를 래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신호(ICAFF<0>)를 보면, 상기 제 3 커맨드/어드레스 래치 회로(4)가 상기 클럭 신호(CLK)의 폴링 엣지에서 상기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0>)를 래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리드 또는 라이트 등과 같은 활성화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비동작(Non operation: NOP) 모드에서도 모든 래치 신호들이 토글링(Toggling) 하고 있다.
도 2의 도면은 전체 래치 신호 중 일부 래치 신호들(ICSBRR, ICARR<0>, ICARF<0>, ICAFF<0>)만을 도시한 것으로, 실제로는 모든 래치 신호들(ICSBRR, ICARR<0:#>, ICARF<0:#>, ICAFF<0:#>)이 토글링하고 있다.
상술한 래치 신호들의 토글링은 결국, 모든 래치 회로(1 ~ 4)의 동작에 의한 것으로서, 커맨드/어드레스가 필요 없는 비동작 모드에서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동작 모드에서도 불필요하게 각종 신호들의 토글링이 발생하므로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소비 전력은 제품의 성능을 좌우할 뿐만 아니라, 동작 규격에 따라 엄격하게 규제되고 있으므로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력 소모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는 복수개의 외부 신호를 선택적으로 래치하여 출력하는 복수개의 래치; 및 상기 복수개의 외부 신호를 이용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래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래치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는 제어 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외부 신호를 선택적으로 래치하여 래치된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래치; 및 상기 래치된 신호를 이용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래치 제어부를 구비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는 칩 선택 신호를 제 1 타이밍에 래치하여 출력하는 제 1 래치; 커맨드 또는 어드레스를 상기 제 1 타이밍에 래치하여 출력하는 복수개의 제 2 래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커맨드 또는 어드레스를 상기 제 1 타이밍에 비해 늦은 제 2 타이밍에 래치하여 출력하는 복수개의 제 3 래치; 및 상기 제 1 래치의 출력 신호 및 상기 제 2 래치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래치 제어부를 구비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의 제어 방법은 외부 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복수개의 래치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신호를 이용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동작 모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래치를 선택적으로 동작 중지시키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상태에 맞도록 불필요한 신호의 토글링을 방지하므로 전력 소모를 줄여 제품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입력부(200), 제 2 입력부(300) 및 래치 제어부(40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입력부(200)는 상기 클럭 신호(CLK)에 따라 칩 선택 신호(/CS)를 래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입력부(200)는 CARR 래치(210)를 구비한다. 상기 CARR 래치(210)는 입력 신호를 상기 클럭 신호(CLK)의 라이징 엣지(Rising Edge)에서 래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입력부(300)는 서로 다른 타이밍에 상기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0:#>)를 래치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래치부(310 ~ 33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래치부(310)는 상기 클럭 신호(CLK)에 따라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0:#>)를 래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래치부(310)는 CARR 래치(311)를 복수개 구비한다. 상기 CARR 래치(311)는 상기 CARR 래치(210)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래치부(320)는 제어 신호(CAFFEN)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클럭 신호(CLK)에 따라 상기 제 1 래치부(310)의 출력 신호(ICARR<0:#>)를 래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래치부(320)는 복수개의 CARF 래치(321)를 구비한다. 상기 CARF 래치(321)는 입력 신호를 상기 클럭 신호(CLK)의 폴링 엣지(Falling Edge)에서 래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3 래치부(330)는 상기 제어 신호(CAFFEN)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클럭 신호(CLK)에 따라 상기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0:#>)를 래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3 래치부(330)는 복수개의 CAFF 래치(331)를 구비한다. 상기 CAFF 래치(331)는 입력 신호를 상기 클럭 신호(CLK)의 폴링 엣지에 래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래치 제어부(400)는 상기 제 1 입력부(200)의 출력 신호 즉, 래치된 칩 선택 신호(ICSBRR) 및 상기 제 1 래치부(310)의 출력 신호(ICARR<0:#>)를 이용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동작 모드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CAFFEN)를 비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4는 상기 제 1 래치부(310)의 복수개의 CARR 래치(311) 중에서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0>)를 입력 받는 CARR 래치(311)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CARR 래치(3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커플드 래치(312) 와 출력 회로(313)를 구비한다. 상기 크로스 커플드 래치(312)는 제 1 내지 제 9 트랜지스터(M1 ~ M9), 제 1 및 제 2 인버터(IV1, IV2)를 구비한다. 상기 제 5 및 제 6 트랜지스터(M5, M6)는 상기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0>)를 입력 받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 7 트랜지스터(M7)는 상기 클럭 신호(CLK)의 라이징 엣지에서 상기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0>)를 래치할 수 있도록 전류 패스를 개방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8 내지 제 10 트랜지스터(M8 ~ M10)는 상기 클럭 신호(CLK)의 로우 레벨 구간 동안 상기 크로스 커플드 래치(312)의 출력 신호 레벨을 프리차지(Pre charge) 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출력 회로(313)는 상기 크로스 커플드 래치(312)의 출력 신호 레벨이 변하기 전까지 CARR 래치(311)의 출력 신호(ICARR<0>)의 레벨을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출력 회로(313)는 제 11 및 제 12 트랜지스터(M11, M12) 및 제 3 및 제 4 인버터(IV3, IV4)를 구비한다.
도 5는 상기 제 2 래치부(320)의 복수개의 CARF 래치(321) 중에서 제 1 래치부(310)의 출력 신호(ICARR<0>)를 입력 받는 CARF 래치(321)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CARF 래치(3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커플드 래치(322)와 출력 회로(323)를 구비한다. 상기 크로스 커플드 래치(322)는 상기 도 4의 크로스 커플드 래치(312)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크로스 커플드 래치(322)는 상기 제 1 래치부(310)의 출력 신호(ICARR<0>)를 클럭 신호(CLK)의 폴링 엣지에 래치해야 하므로 클럭 신호(CLK) 입력단에 제 5 인버터(IV5)가 추가된다. 상기 출력 회로(323)는 상기 제어 신호(CAFFEN)가 비활성화된 구간동안 전류 패스 를 차단하여 상기 크로스 커플드 래치(322)의 출력 신호에 따라 CARF 래치(321)의 출력 신호(ICARF<0>)의 토글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출력 회로(323)는 상기 도 4의 출력 회로(313)의 구성에 제 13 및 제 14 트랜지스터(M13, M14)와 제 6 인버터(IV6)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CAFFEN)가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 6 인버터(IV6)가 상기 제 13 및 제 14 트랜지스터(M13, M14)를 턴 오프 시킴으로써, 출력 회로(323)의 전류 패스를 차단한다.
도 6은 상기 제 3 래치부(330)의 복수개의 CARF 래치(331) 중에서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0>)를 입력 받는 CAFF 래치(331)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CAFF 래치(3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커플드 래치(332) 및 출력 회로(333)를 구비한다. 상기 상기 CAFF 래치(331)는 상기 도 5의 CARF 래치(321)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래치 제어부(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된 칩 선택 신호(ICSBRR)와 상기 제 1 래치부(310)의 출력 신호(ICARR<0:#>) 중 일부(ICARR<0:2>)를 이용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동작 모드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CAFFEN)를 비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래치 제어부(400)는 제 1 및 제 2 인버터(IV11, IV12) 및 제 1 및 제 2 낸드 게이트(ND11, ND12)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인버터(IV11)는 상기 래치된 칩 선택 신호(ICSBRR)를 입력 받는다. 상기 제 1 낸드 게이트(ND11)는 상기 제 1 래치부(310)의 출력 신호(ICARR<0:2>)를 입력 받는다. 상기 제 2 낸드 게이트(ND12)는 상기 제 1 인버터(IV11)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1 낸드 게이트(ND11)의 출력 신호 를 입력 받는다. 상기 제 2 인버터(IV12)는 상기 제 2 낸드 게이트(ND12)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어 신호(CAFFEN)를 출력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동작 모드는 상기 칩 선택 신호(/CS)와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0: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칩 선택 신호(/CS)가 하이 레벨로 비활성화된 경우 또는 상기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0:2>)의 모든 비트가 특정 레벨 예를 들어, 하이 레벨인 경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리드 또는 라이트와 같은 어떠한 액티브 동작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0:#>)를 입력 받을 필요가 없다.
상기 칩 선택 신호(/CS) 및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0:2>)는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이다. 따라서 실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부의 동작모드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신호를 이용해야 한다. 또한 내부 신호 중에서도 가장 빠른 타이밍의 신호를 이용해야 동작 마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래치 제어부(400)가 내부 신호들 즉, 상기 칩 선택 신호(/CS)를 래치한 상기 래치된 칩 선택 신호(ICSBRR), 그리고 상기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0:2>)를 래치한 상기 제 1 래치부(310)의 출력 신호(ICARR<0:2>)의 조합에 따라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동작 모드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 신호(CAFFEN)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제어 신호(CAFFEN)에 따라 제 2 래치부(320) 및 제 3 래치부(330)에 래치된 신호의 토글링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기 래치된 칩 선택 신호(ICSBRR) 및 상기 제 1 래치부(310)의 출력 신호(ICARR<0:2>)에 따라 비동작 모드를 판단해야 하므로 상기 도 3의 제 1 입력부(200) 및 제 2 입력부(300)의 제 1 래치부(310)는 제어 신호(CAFFEN)에 상관없이 동작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의 동작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 신호(CAFFEN)가 활성화된 구간 동안 제 1 입력부(200) 및 제 2 입력부(300)는 모두 각각에게 입력된 신호를 래치하여 출력한다.
즉, 제 1 입력부(200)는 클럭 신호(CLK)의 라이징 엣지에 상기 칩 선택 신호(/CS)를 래치하여 래치된 신호(ICSBRR)를 출력한다.
제 1 래치부(310)는 클럭 신호(CLK)의 라이징 엣지에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0>)를 래치하여 래치된 신호(ICARR<0>)를 출력한다.
제 2 래치부(320)는 클럭 신호(CLK)의 폴링 엣지에 상기 신호(ICARR<0>)를 래치하여 래치된 신호(ICARF<0>)를 출력한다.
제 3 래치부(330)는 클럭 신호(CLK)의 폴링 엣지에 상기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0>)를 래치하여 래치된 신호(ICAFF<0>)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어 신호(CAFFEN)가 비활성화된 구간 동안 제 2 래치부(320) 및 제 3 래치부(330)는 상기 제어 신호(CAFFEN)에 의해 전류 패스가 차단되므로 입력 신호의 레벨의 변동에 상관없이 자신들의 출력 레벨을 동일하게 유지시킨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 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의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의 동작 타이밍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의 블록도,
도 4는 도 3의 CARR 래치의 회로도,
도 5는 도 3의 CARF 래치의 회로도,
도 6은 도 3의 CARR 래치의 회로도,
도 7은 도 3의 래치 제어부의 회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제 1 입력부 300: 제 2 입력부
310: 제 1 래치부 320: 제 2 래치부
330: 제 3 래치부 400: 래치 제어부

Claims (23)

  1. 복수개의 외부 신호를 선택적으로 래치하여 출력하는 복수개의 래치; 및
    상기 복수개의 외부 신호를 이용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래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래치 제어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래치는 상기 복수개의 외부 신호를 서로 다른 타이밍에 래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래치는
    상기 래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류 패스가 차단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래치 중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래치를 제외한 래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제어부는 칩 선택 신호, 커맨드 또는 어드레스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제어부는
    상기 칩 선택 신호가 비활성화된 경우, 또는 상기 커맨드의 일부 비트 또는 상기 어드레스의 일부 비트가 특정 레벨인 경우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비동작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제어부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비동작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개의 래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중지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8. 제어 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외부 신호를 선택적으로 래치하여 래치된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래치; 및
    상기 래치된 신호를 이용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래치 제어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래치는
    상기 복수개의 외부 신호를 클럭 신호의 라이징 엣지 또는 폴링 엣지 중 어느 하나의 타이밍에 선택적으로 래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래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신호 출력단의 전류 패스가 차단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제어부는
    상기 래치된 신호 중 가장 빠른 타이밍에 래치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동작 모드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제어부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비동작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래치된 신호 중 상기 비동작 모드에서 사용되지 않는 래치된 신호를 출력하는 래치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제어부는
    칩 선택 신호가 비활성화되거나, 커맨드의 일부 비트 또는 어드레스의 일부 비트가 특정 레벨인 경우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비동작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제어부는
    상기 칩 선택 신호를 입력 받는 제 1 논리 소자,
    상기 커맨드의 일부 비트 또는 상기 어드레스의 일부 비트를 입력 받는 제 2 논리 소자, 및
    상기 제 1 논리 소자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논리 소자의 출력 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 3 논리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15. 칩 선택 신호를 제 1 타이밍에 래치하여 출력하는 제 1 래치;
    커맨드 또는 어드레스를 상기 제 1 타이밍에 래치하여 출력하는 복수개의 제 2 래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커맨드 또는 어드레스를 상기 제 1 타이밍에 비해 늦은 제 2 타이밍에 래치하여 출력하는 복수개의 제 3 래치; 및
    상기 제 1 래치의 출력 신호 및 상기 제 2 래치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래치 제어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이밍은 클럭 신호의 라이징 엣지에 동기되고, 상기 제 2 타이밍은 상기 클럭 신호의 폴링 엣지에 동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 3 래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신호 출력단의 전류 패스가 차단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제어부는
    상기 칩 선택 신호를 입력 받는 제 1 논리 소자,
    상기 커맨드의 일부 비트 또는 상기 어드레스의 일부 비트를 입력 받는 제 2 논리 소자, 및
    상기 제 1 논리 소자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논리 소자의 출력 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 3 논리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19. 외부 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복수개의 래치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신호를 이용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동작 모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래치를 선택적으로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의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신호는 칩 선택 신호, 커맨드 또는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의 제어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칩 선택 신호가 비활성화된 경우, 또는 상기 커맨드의 일부 비트 또는 상기 어드레스의 일부 비트가 특정 레벨로 된 경우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비동작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의 제어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래치를 선택적으로 동작 중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비동작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개의 래치 중 상기 비동작 모드에서 사용되지 않는 외부 신호를 래치하는 래치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의 제어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래치를 선택적으로 중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비동작 모드에서 사용되지 않는 외부 신호를 래치하는 래치의 전류 패스를 차 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의 제어 방법.
KR1020080001589A 2008-01-07 2008-01-07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KR100915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589A KR100915824B1 (ko) 2008-01-07 2008-01-07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US12/170,221 US7894276B2 (en) 2008-01-07 2008-07-09 Apparatus and methods for an input circuit for a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JP2008331201A JP2009163865A (ja) 2008-01-07 2008-12-25 半導体記憶装置の入力回路およびその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589A KR100915824B1 (ko) 2008-01-07 2008-01-07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937A true KR20090075937A (ko) 2009-07-13
KR100915824B1 KR100915824B1 (ko) 2009-09-07

Family

ID=40844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589A KR100915824B1 (ko) 2008-01-07 2008-01-07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94276B2 (ko)
JP (1) JP2009163865A (ko)
KR (1) KR1009158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7036A (zh) * 2010-09-21 2011-02-16 四川和芯微电子股份有限公司 高速锁存电路
KR102222968B1 (ko) 2014-09-01 202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드레스 정렬기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9120B2 (ja) * 1994-02-17 2002-08-26 富士通株式会社 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US6621761B2 (en) * 2000-05-31 2003-09-16 Advanced Micro Devices, Inc. Burst architecture for a flash memory
JP2002074952A (ja) * 2000-08-31 2002-03-15 Fujitsu Ltd 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入力回路の制御方法
JP4190140B2 (ja) * 2000-09-04 2008-12-03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同期式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入力情報のラッチ制御方法
KR100401490B1 (ko) * 2000-10-31 2003-10-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로오 버퍼를 내장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4726334B2 (ja) * 2001-06-13 2011-07-2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4768163B2 (ja) * 2001-08-03 2011-09-07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
KR100557590B1 (ko) * 2002-12-26 2006-03-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오토 리프레시 제어회로
KR100543915B1 (ko) * 2003-05-16 2006-01-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메모리소자의 데이터 입력장치
KR100518608B1 (ko) * 2004-01-08 2005-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스트로브 입력 버퍼 및 이를 포함하는 동기식반도체 메모리 장치
JP2007012128A (ja) * 2005-06-29 2007-01-18 Seiko Epson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100650844B1 (ko) * 2005-12-07 2006-11-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터 입력 마진을 보장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입력 회로 및 그 데이터 입력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5824B1 (ko) 2009-09-07
US7894276B2 (en) 2011-02-22
US20090175091A1 (en) 2009-07-09
JP2009163865A (ja) 200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923B1 (ko) 리셋 기능을 갖는 메모리 및 메모리집적회로, 메모리 리셋방법
KR100638748B1 (ko) 반도체메모리소자
US7053686B2 (en) Data strobe circuit using clock signal
US7061826B2 (en) Command decoder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GB2373905A (en) Controlling buffers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91582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KR100873617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액티브 드라이버 제어 회로
KR100853469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0748461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회로 및 방법
KR100363481B1 (ko) 입력 버퍼 제어 장치
US812716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internal control signal
KR100324820B1 (ko) 싱크로너스 메모리 소자
JP2002246891A (ja) 入力バッファ回路および半導体装置
KR100477838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069551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6335902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provided with generating means for internal clock signal for special mode
KR100656469B1 (ko) 반도체 메모리의 파워다운 제어장치
KR100400310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버퍼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3857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861365B1 (ko) 테스트모드 제어회로
US7263025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stably controlling power mode at high frequency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mode thereof
US8169840B2 (en) Address latch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80014544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버퍼 제어 회로
KR100979353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 장치
KR101033467B1 (ko) 반도체 집적 회로의 클럭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