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5735A - 의료의 세탁 방법 및 그것을 위한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의료의 세탁 방법 및 그것을 위한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5735A
KR20090075735A KR1020097010659A KR20097010659A KR20090075735A KR 20090075735 A KR20090075735 A KR 20090075735A KR 1020097010659 A KR1020097010659 A KR 1020097010659A KR 20097010659 A KR20097010659 A KR 20097010659A KR 20090075735 A KR20090075735 A KR 20090075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cleaning
chelating agent
liquid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요시 아라이
도모키 세오
료우스케 구로카와
Original Assignee
미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5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73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36Soil deposition preventing compositions; Antiredeposition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C11D3/222Natural or synthetic polysaccharides, e.g. cellulose, starch, gum, alginic acid or cyclodextrin
    • C11D3/225Natural or synthetic polysaccharides, e.g. cellulose, starch, gum, alginic acid or cyclodextrin etherified, e.g. CMC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53Polyvinylalcohol; Ethers or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5Bleaching agents
    • C11D3/3953Inorganic bleach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02In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02Inorganic compounds
    • C11D7/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7/10Salts
    • C11D7/14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7/265Carboxylic 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3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7/3245Aminoacids
    • C11D2111/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유기계 알칼리성 킬레이트제를 필수 성분으로 하고, 또한 재오염 방지제를 함유하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무인 의료용 세정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의료를 세탁한다.

Description

의료의 세탁 방법 및 그것을 위한 세정제 조성물{METHOD FOR WASHING CLOTHES AND DETERGENT COMPOSITION THEREFOR}
본 발명은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여 세탁하는 의료(衣料)의 세탁 방법 및 그것을 위한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의료의 세탁에 있어서 합성세제는 뛰어난 세정력이나 사용성의 편리함으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오고 있다. 그러나, 합성세제는 소비자에게 이익만을 주는 것은 아니다. 그 일례를 들면, 합성세제는 환경 호르몬의 혐의가 있는데 하나로서 수서(水棲) 생물에 대한 영향 문제도 제기되기 시작해 오고 있다. 또한, 합성세제에 포함되는 계면활성제는, 반복 헹굼을 행해도 의료(衣料)에 상당양 잔류하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며, 이러한 계면활성제가 피부를 통해서 인체에 무언가 영향을 미치고 있을 개연성은 부정할 수 없다.
계면활성제에 의한 뛰어난 세탁 성능은 널리 인지되고 있지만, 생물이나 환경에 대한 영향을 생각했을 때, 계면활성제 무첨가로서, 세탁 성능이나 사용성이 합성세제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상인 신규한 세정제의 출현이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배경 속에서, 본건 출원인은 실질적으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세정제 조성물로서, 종래의 계면활성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한 합성세제와 동등하거나 혹은 그 이상의 세탁 성능 및 사용성을 갖는, 알칼리 완충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세탁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특허 문헌 1 ).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발명에는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취지는 개시도 시사도 되어 있지 않다. 게다가, 동 특허 문헌 1에는 그 특허 공보의 단락 번호 0043에, 「이와 같이 본 세정제에 있어서는 그 주성분이 세정력 저해 요인이 되는 경도 성분과 반응하고 이것을 무효화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합성세제 성분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유기계의 킬레이트제나 수불용성의 제올라이트 등의 연수화제를 특히 더하지 않고 실용적인 연수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고, 원래 유기계 킬레이트제의 배합을 부정하는 취지의 기재가 있는 것을 감안해도, 특허 문헌 1의 발명은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본건 발명과는 완전히 상이한 것이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낮아도 세정력이 뛰어난 세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특정한 고알칼리·저경도화된 세정 조건 하에서 의료를 세탁하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2의 발명은 계면활성제의 사용을 전제로 하는 세탁 방법 등을 개시하는 것에 지나지 않고, 동 특허 문헌 2에는 본건 발명과 같이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세탁액에 의해 세탁하는 취지는 개시도 시사도 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1:일본 특허공보 제3481615호
특허 문헌 2: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32794호
본 발명은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나 환경 부하 저감의 관점으로부터 의문이 있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세정제 조성물로서, 종래의 계면활성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한 합성세제와 동등 이상의 세탁 성능, 사용성이 얻어지는,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세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특허 문헌 1에 따른 알칼리 완충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세정제의 개량에 몰두한 바, 동일 세정제에 어떤 종류의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배합시키면 세탁 성능이 현격히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고, 이러한 유기계 킬레이트제에 착안하여 예의 개발을 진행시킨 결과,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이하에서는, 「다가 양이온」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가능한 한 무효화(불활성화)하는 것이 의료(衣料)의 세탁 성능을 높이는데 있어서 극히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즉, 세탁의 메카니즘에 대해 설명하면, 기질(의료)과 오염을 끌어당기는 힘은 분자간력을 포함하여 그 대부분이 약한 정전기력에 의하는 것이다. 따라서, 세탁액 중에 있어서 기질과 오염 쌍방의 마이너스의 제타 전위를 높임으로써 상호의 반발력을 높여 줄 수 있으면, 나머지는 기계력에 의해 비교적 간단하게 오염을 기질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세탁액 중의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을 비롯한 다가 양이온(경도 성분)은 세탁액 중에 있어서, 표면이 마이너스로 대전한 기질과 오염의 쌍방에 중개를 하는(이른바 다가 양이온 브릿지) 형태로 양자를 끌어당기기 때문에, 오염의 기질로부터의 박리를 저해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 점에 착안하여 세탁액 중에서의 경도 성분의 무효화를 높은 수준으로 달성하는 것이 의료의 세탁 성능을 높이는데 있어서 극히 중요한 요소 라고 생각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러한 생각에 따라 열심히 개발을 진행시키고 있는 가운데, 본 발명자들은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은 단순히 세탁 용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것 뿐만 아니라, 의류나 오염, 나아가서는 세탁조에 부착되어 있는 것도 세탁의 과정에서 세탁액 중에 용출되고 있고, 그들 모두를 포함한 경도 성분이 세정력의 저해 요인이 되고 있는 실태를 알았다.
따라서, 이러한 세정력 저해 요인을 제거하고, 시장으로부터 요청되고 있는 세정력을 확보 가능한, 유기계 킬레이트제 주제 세정제 조성물을 얻을 목적으로, 그 조성 및 재오염 방지제에 대해서 검토하고, 또한 다소의 첨가제도 고려함으로써, 계면활성제를 일절 사용하지 않아도 종래의 계면활성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한 합성세제와 동등 이상의 세탁 성능이나 사용성이 얻어지는,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세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결국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1-1) 유기계 킬레이트제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중요 성분으로서 자리 매김되는 유기계 킬레이트제는 세탁액 중의 다가 양이온(경도 성분)과 화학 결합하여 금속 이온 착체를 형성함으로써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을 무효화한다는 메카니즘을 통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 세탁 작용 주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고, a) 킬레이트화 속도가 빠른 것, b) 킬레이트 처리 능력이 높은 것, c) 킬레이트 효과가 안정되어 있는 것, d) 안전성 이 높은 것, e) 생분해성이 양호한 것, f) 용해성이 양호한 것의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계 킬레이트제로서 사용 가능한 물질을 예시하면, 옥살산(OA:oxalic acid), 시트르산(CA:citric acid), 타르타르산(TA:tartaric acid), 글루콘산(GA:gluconic acid) 등의 유기 카르복실산의 나트륨염, 디히드록시에틸글리신(DEG:N-(2-hydroxylethyl)glycine), 트리에탄올아민(TEA:triethanolamine), N-(2-히드록시에틸)이미노2아세트산(HEIDA:N-(2-hydroxyethyl)iminodiacetic acid), 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HEDTA:N-(hydroxyethyl)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등의 나트륨염인 히드록시아미노카르복실산계 킬레이트제, 카르복시메틸타르트론산(CMT:O-carboxymethyltartronic acid), 카르복시메틸옥시숙신산(CMOS:O-carboxymethloxysuccinic acid) 등의 나트륨염인 에테르카르복실산계 킬레이트제, 폴리아크릴산과 아크릴산/말레산공중합체(코폴리머) 등의 나트륨염인 비닐형 고분자 전해질계 킬레이트제 및 NTA(니트릴로3아세트산:Nitrilo Triacetic Acid), DTPA(디에틸렌트리아민5아세트산:Diethylene Triamine Pentaacetic Acid), HEDTA(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3아세트산:Hydroxyethyl Ethylene Diamine Triacetic Acid), EDTA(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MGDA(메틸글리신2아세트산:MethylGlycineDiacetic Acid), GLDA(L글루타민산2아세트산:Dicarboxymethyle Glutamic Acid), ASDA(아스파라긴산2아세트산:Aspartate Diacetic Acid), EDDS(에틸렌디아민숙신산:Ethylenediamine Disuccinic Acid), HIDS(히드록시숙신산:Hydroxye Iminodisuccinic Acid), IDS(이미노디숙신산:lminodisuccinic Acid) 등의 나트륨염인 카르복실산계 킬레이트제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생분해성이 양호한 MGDA, GLDA, ASDA, EDDS, HIDS, IDS 등이 환경 부하 저감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유기계 킬레이트제란, 전술과 같은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양태 및 복수의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양태의 양자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이용하여 적합한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성능의 측면에서 선택할 때의 정량적 조건으로서는, (i) 그 1%수용액의 pH가 9이상, 바람직하게는 10~12.5의 범위에 있는 것, (ii) 최대 칼슘 착화능(pH11에서의 1g당 CaCO3 ㎎수)이 200㎎/g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g 이상인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정량적 조건을 만족하는 물질로서 특히,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4나트륨(이하, "EDTA-4Na"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 트릴론-B분체(등록상표, BASF사 제), 및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이하, "MGDA-3Na"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트릴론-M분말(등록상표, BASF사 제) 등의 유기계 알칼리성 킬레이트제를 들 수 있다. 덧붙여서, EDTA-4Na에서는 그 1%수용액의 pH는 10.5~12.5, 최대 칼슘 착화능은 225㎎/g이며, MGDA-3Na에서는, 그 1% 수용액의 pH는 10.5~12.5, 최대 칼슘 착화능은 327㎎/g이다.
(1-2) 유기계 알칼리성 킬레이트제의 세정력
EDTA-4Na 및 MGDA-3Na의 양자는, 하나의 제제로 킬레이트 작용과 알칼리 완충 작용을 겸비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 유기계 킬레이트제 및 알칼리 완충제로서의 두 가지 역할을 하나의 제제로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EDTA-4Na 및 MGDA-3Na의 양자에 대해서, 각 물질을 그 농도를 바꾸면서 세탁 용수에 각각 용해시켜 감으로써 농도별 복수의 각 세탁액을 얻었을 때의, 각 세탁액마다의 세정 결과를 조사해 보았다. 또한, 본 세정력 시험에서는 유기계 알칼리성 킬레이트제 본래의 실력을 판별하는 취지로부터, 피험 물질로서 킬레이트제만을 채용하고, 본 발명에 따른 재오염 방지제나 그 외의 첨가제는 일절 배합하고 있지 않다.
*여기서, EDTA-4Na 및 MGDA-3Na의 양자 모두 각 물질을, 그 농도를 바꾸면서 세탁 용수에 용해시켜 감으로써 농도별 복수의 세탁액을 얻었을 때에, 이들 농도별 복수의 세탁액 사이에서 그 pH 및 이 pH의 변화에 수반하여 킬레이트능이나 안정도 등이 변하고 있다. 그렇게 하면, 전술한 농도별 복수의 세탁액 사이에서의 세정력 비교를 행했다고 해도, 킬레이트제의 배합이 세정력의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이 문제를 제외하기 위해서, 전술한 각 세탁액에 수산화나트륨을 가함으로써 그 pH가 일정(pH11)해지도록 조정하였다.
시험 조건은 하기와 같다.
(시험 조건)
세척력 시험기를 사용하여 회전수 120rpm, 세탁 시간 10분, 헹굼 2회, 온도 30℃, 세탁 용수의 양 1리터에서, 표 1에 나타내는 물질 및 세제 농도로 세탁을 행 하였다. 세탁 용수는 정제수에 염화칼슘2수화물을 133㎎/L 농도로 용해시킴으로써 경도 90ppm의 물을 얻고 이것을 세탁 용수로서 이용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순서를 거쳐 얻은 물을 일본 표준 세탁 용수라고 한다.
(오염포)
인공 피지 오염이 부착된 습식 인공 오염포(재단법인 세탁 과학 협회 제)를 이용하였다.
(세정율의 산출)
세정율은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세정율%=(세탁 후 오염포의 백도(百度)-세탁 전 오염포의 백도)
÷(미오염 생지의 백도-세탁 전 오염포의 백도)×100
백도는 백도계(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제, CR-14, Whiteness Index Color Reader)를 이용하여, 각 오염포에서의 표리(表裏) 10점을 측정하고, 이 측정값을 평균함으로써 구하였다.
EDTA-4Na를, 그 농도를 바꾸면서 일본 표준 세탁 용수에 용해시켰을 때의, 농도별 각 세탁액마다의 세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31246706-PAT00001
EDTA-4Na의 pH11에서의 최대 칼슘 착화능은 225㎎/g이며, 일본 표준 세탁 용수(90㎎/리터의 경도 성분을 함유)에 포함되는 경도 성분을 완전히 무효화하기 위한 EDTA-4Na의 필요량(필요 농도)의 계산값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세탁 용수의 경도/사용하는 킬레이트제의 최대 칼슘 착화능
=90/225=0.4g/리터
여기서, 표 1의 시험 결과와 상기의 계산값을 비교하면, 계산값인 0.4g/리터 농도 주변에서 갑자기 세정력이 상승하기 시작하고(이 때의 세정율은 32.7%), 0.47g/리터 농도 주변에서 한계점이 되는(이 때의 세정율은 59.5%) 것을 알 수 있다. 덧붙여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판의 분말 합성세제를 표준 농도로 일본 표준 세탁 용수에 용해시킨 세탁액(어택 바이오 효소, 세정제 농도 0.67g/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제, 효소 및 형광 증백제 입)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은 50% 정도이기 때문에, EDTA-4Na의 단제 사용에 의한 세정력은 0.43g/리터 농도(이 때의 세정율은 48.4%)를 초과하는 사용 범위에서는 시판의 분말 합성세제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것을 초과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0.47g/리터 농도(이 때의 세정율은 59.5%)를 초과하는 사용 범위에서는, 시판의 분말 합성세제의 세정력(50% 정도)을 능가하고 있다.
다음에, MGDA-3Na를 그 농도를 바꾸면서 일본 표준 세탁 용수에 용해시켰을 때의, 농도별 각 세탁액 마다의 세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31246706-PAT00002
MGDA-3Na의 pH11에서의 최대 칼슘 착화능은 327㎎/g이며, 일본 표준 세탁 용수(90㎎/리터의 경도 성분을 함유)에 포함되는 경도 성분을 완전히 무효화하기 위한 MGDA-3Na의 필요량(필요 농도)의 계산값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세탁 용수의 경도/사용하는 킬레이트제의 최대 칼슘 착화능
=90/327=0.275g/리터
여기서, 표 2의 시험 결과와 상기의 계산값을 비교하면, 계산값인 0.275g/리터 농도 주변에서 갑자기 세정력이 상승하기 시작하고(이 때의 세정율은 25.7%), 0.37g/리터 농도 주변에서 한계점이 되는(이 때의 세정율은 59.9%) 것을 알 수 있다. 덧붙여서, 전술과 같이, 시판의 분말 합성세제를 표준 농도로 일본 표준 세탁 용수에 용해시킨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은 50% 정도이기 때문에, MGDA-3Na의 단일제 사용에 의한 세정력은, 0.33g/리터 농도(이 때의 세정율은 52.2%)를 초과하는 사용 범위에서는, 시판의 분말 합성세제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것을 초과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0.37g/리터 농도(이 때의 세정율은 59.9%)를 초과하는 사용 범위에서는, 시판의 분말 합성세제의 세정력(50% 정도)을 능가하고 있다. 게다가, 시판의 분말 합성세제와 동등한 세정력(50%정도)을 얻기 위한 하한 사용 농도에 주목해 보면, EDTA-4Na의 단일제 사용에서는 0.43g/리터 농도(이 때의 세정율은 48.4%), MGDA-3Na의 단일제 사용에서는 0.33g/리터 농도(이 때의 세정율은 52.2%)이다. 따라서, MGDA-3Na의 단일제 사용에서는 EDTA-4Na의 단일제 사용의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적은 사용량으로, 시판의 분말 합성세제와 동등 이상의 세정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 알칼리 완충제
본 발명에 따른 알칼리 완충제로서는, 본건 출원인이 먼저 출원하여 이미 등록되고, 인용에 의해 그 개시가 명세서 중에 삽입되는, 일본특허공보 제348161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탄산 알칼리 금속염, 붕산 알칼리 금속염, 인산 알칼리 금속염 등의 pH 완충 작용염과, 규산 알칼리 금속염, 탄산 알칼리 금속염 등의 알칼리 작용염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 이용된다.
이 중 특히,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의 단일제 사용, 또는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과 탄산수소나트륨의 조합에 따른 혼합물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알칼리 완충제의 작용은 세탁액 중에, 예를 들어 산성을 나타내는 오염이 혼입되는 등 세탁액의 pH를 변동시키고자 하는 외부 요인이 생긴 경우라도, 세탁액의 pH를 세정력, 킬레이트화 속도 및 킬레이트 안정능 등의 관점으로부터 세탁에 적합한 약알칼리성의 범위인 9~11, 바람직하게는 10~11로 수속 유지시키는 것에 있다. 이러한 알칼리성 세탁 환경이 유지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유기계 킬레이트제는, 그 경도 성분 포착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이것은, 의료를 넣었을 때에 세탁액이 충족해야 할 세탁 조건의 하나이다.
알칼리 완충제 중 특히, 결정성 층형상 알칼리 금속염(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은, 전술한 알칼리능, 알칼리 완충능에 더하여 경도 성분 포착능(이온 교환능)을 구비하고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유기계 킬레이트제가 발휘하는 경도 성분 포착능을 보충하는 목적으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 중에서의 유기물의 배합량을 줄이는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시장으로부터 요청되고 있는 세정력(예를 들어, 후술하는 세정 시험 그 1의 습식 인공 오염포에서의 세정력인, 일본 표준 세제의 40% 정도, 바람직하게는 시판의 분말 합성세제의 50% 정도)을 확보하는 것을 고려하면서, 유기계 킬레이트제의 일부를, 알칼리 완충제, 특히, 결정성 층형상 규산 알칼리 금속염(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에 치환하여 배합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 중에 유기계의 알칼리성 킬레이트제를 배합할 때에는, 알칼리 완충제의 배합을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유기계의 알칼리성 킬레이트제가 킬레이트제와 알칼리 완충제의 역할을 겸하게 된다.
(3) 재오염 방지제(재오염 방지 작용 성분)
본 발명에 따른 재오염 방지제로서는, 본건 출원인이 먼저 출원하여 이미 등록되고, 인용에 의해 그 개시가 명세서 중에 삽입되는, 일본특허공보 제348161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부분 비누화형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물질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 중 특히, 부분 비누화형 폴리비닐알코올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조합에 따른 혼합물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재오염 방지제의 작용은 주로 세탁액이 나타내는 표면 장력을 0.058N/m 이하로 저하시키는 것을 통해서, 친수성 섬유 및 소수성 섬유의 양자에서의 재오염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4) 의료용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세탁액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세정제 조성물은, 유기계 알칼리성 킬레이트제를 필수 성분으로 하고, 또한 재오염 방지제를 함유하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무인(無燐) 의료용 세정제 조성물, 또는, 유기계의 킬레이트제, 알칼리 완충제, 및 재오염 방지제를 함유하고,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무인 의료용 세정제 조성물인 것을 요지로 한다.
이것은, 실제의 세탁의 장면을 상정했을 때, 세탁 용수의 경도가 연수인가 경수인가?, 사용하는 세탁기의 종류가 펄세이터식/드럼식/교반식 중 어떤 것인가?, 피세탁물의 양, 오염의 종류·정도 등, 여러 가지 세탁 환경의 차이를 유연하게 흡수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고, 이러한 요청을 고려하면, 유기계 알칼리성 킬레이트제를 필수 성분으로 하고, 또한 재오염 방지제를 함유시키는지, 또는, 유기계의 킬레이트제, 알칼리 완충제 및 재오염 방지제의 삼자를 의료용 세정제 조성물의 필수 구성 성분으로 하는 것이 그 조성 설계 상 바람직한 것에 유래한다.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의 무효화를 위해서는 금속 이온 봉쇄제가 유효하지만, 그 중에서도 세탁액 중의 금속 이온과 화학 결합하여 금속 이온 착체를 형성함으로써,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을 무효화하는 기능을 갖는 유기계 킬레이트제는, 본 발명의 가장 중요 성분으로서 자리 매김된다.
세탁의 장면에서의 금속 이온 봉쇄제로서는 유기계 킬레이트제 이외에서는, 이온 교환체(예를 들어, 알루미노규산염(aluminosilicate)이나 결정성 층형상 규산염 등)가 이용되고 있지만, 이온 교환체의 경우, 이온 교환체와 세탁액 중의 금속 이온의 농도차에 따라서 이온 교환이 행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농도차가 평형 상태가 되는 농도 이하까지 세탁액 중의 금속 이온 농도를 낮출 수는 없다는 본질적인 문제가 존재한다.
*이것에 대해, 높은 세탁 성능을 얻을 목적에서는 세탁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사이,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이 거의 무효화된 상태(세탁액의 경도가 10ppm 이하)를 유지하는 것,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무효화된 상태(세탁액의 경도가 0ppm 이하)를 유지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게는 한층 완전히 무효화된 상태(세탁액의 경도가 0ppm 이하이며, 또한,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을 무효화하기 위한 경도 성분 포착능을 갖는 물질이 잉여로 존재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극히 중요하다.
그러한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에서는, 의료를 넣었을 때의 세탁 조건으로서 「세탁액의 pH가 9~11(바람직하게는, pH10~11), 또한,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을 무효화하기 위한 경도 성분 포착능을 갖는 물질이 동일 경도 성분을 거의 무효화할 수 있는 이상의 양(바람직하게는, 동일 경도 성분을 모두 무효화할 수 있는 이상의 양), 동일 세탁액 중에 존재한다」를 만족하는 세탁액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여기서, 「세탁액의 pH가 9~11, 또한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을 무효화하기 위한 경도 성분 포착능을 갖는 물질이 동일 경도 성분을 거의 무효화할 수 있는 이상의 양, 동일 세탁액 중에 존재한다」란, 세탁 조건으로서 세탁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사이, 세탁액의 pH를 유기계 킬레이트제가 갖는 본래의 경도 성분 포착능을 끌어 낼 수 있는 9~11의 범위로 유지함과 함께,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이 거의 무효화된 상태(세탁액의 경도가 10ppm 이하)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세탁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사이,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이 거의 무효화된 상태(세탁액의 경도가 10ppm 이하)를 유지한다」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는,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 포착능을 갖는 물질이, 유기계 킬레이트제와 알칼리 완충제 중 결정성 층형상 규산 알칼리 금속염(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의 혼합물인 양태를 상정하고 있다.
이 중, 유기계 킬레이트제의 사용 양태의 차이에 따라, 또한 두 가지의 실시양태가 존재한다. 즉, 제1 사용 양태는 유기계 킬레이트제(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 포착능을 갖는 물질)가 의료를 넣지 않을 때의 세탁액 중에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을 완전하게는 무효화할 수 없지만, 거의 무효화할 수 있는(세탁액의 경도를 10ppm 이하로 할 수 있는) 양 이상, 존재하고 있는 양태이며, 제2 사용 양태는 유기계 킬레이트제(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 포착능을 갖는 물질)가, 의료를 넣지 않을 때의 세탁액 중에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을 완전하게는 무효화할 수 있는(세탁액의 경도를 0ppm 이하로 할 수 있는) 양 이상, 존재하고 있는 양태이다.
상기 제1 사용 양태는 유기계 킬레이트제의 사용량이 세탁 용수에 포함되는 경도 성분을 완전히 무효화하기 위한 유기계 킬레이트제의 필요량 계산값을 하회하고 있는 사용 양태이며, 이 경우 유기계 킬레이트제의 경도 성분 포착능을 보충할 목적으로 결정성 층형상 규산 알칼리 금속염(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이 비교적 다량으로 사용된다. 또한, 후술하는 세정 시험에서의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4가 본 제1 사용 양태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 제2 사용 양태는 유기계 킬레이트제의 사용량이 세탁 용수에 포함되는 경도 성분을 완전히 무효화하기 위한 유기계 킬레이트제의 필요량 계산값과 동등 이상인 사용 양태이며, 이 경우, 유기계 킬레이트제의 경도 성분 포착능을 보충할 목적으로는, 결정성 층형상 규산 알칼리 금속염(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의 사용량은 제1 사용 양태와 비교하여 소량으로 좋다. 또한, 후술하는 세정 시험에서의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3, 8, 13, 14, 19 이외가 본 제2 사용 양태에 해당한다. 또한, 제2 사용 양태에서의 유기계 킬레이트제의 사용량은, 세탁 용수의 경도/양과 사용하는 유기계 킬레이트제의 킬레이트능(최대 칼슘 포착능)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세탁 용수의 경도/사용하는 유기계 킬레이트제의 킬레이트능(최대 칼슘 포착능)*세탁 용수의 양
게다가, 한층 더한 세탁 성능의 향상을 노려, 본 발명에서는 의료를 넣었을 때의 세탁 조건으로서 「세탁액의 pH가 9~11(바람직하게는, pH10~11), 또한,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을 무효화하기 위한 경도 성분 포착능을 갖는 물질이, 동일 경도 성분을 모두 무효화할 수 있는 이상의 양, 동일 세탁액 중에 존재한다」를 만족하는 세탁액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세탁액의 pH가 9~11, 또한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을 무효화하기 위한 경도 성분 포착능을 갖는 물질이, 동일 경도 성분을 모두 무효화할 수 있는 이상의 양, 동일 세탁액 중에 존재한다」란, 세탁 조건으로서 세탁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사이, 세탁액의 pH를 유기계 킬레이트제가 갖는 본래의 경도 성분 포착능을 끌어 낼 수 있는 9~11의 범위로 유지함과 함께,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이 모두 무효화된 상태(세탁액의 경도가 0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이 한층 완전히 무효화된 상태(세탁액의 경도가 0ppm 이하이며, 또한,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 포착능을 갖는 물질이, 잉여로 존재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의, 「세탁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사이,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이 모두 무효화된 상태(세탁액의 경도가 0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이 한층 완전히 무효화된 상태(세탁액의 경도가 0ppm 이하이며, 또한,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 포착능을 갖는 물질이 잉여로 존재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로서는, 세탁액 중의 경도 성분 포착능을 갖는 물질이, 유기계 킬레이트제 단독인 양태(후술하는 세정 시험에서의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3, 8, 13, 19가 본 사용 양태에 해당)와, 유기계 킬레이트제와 알칼리 완충제 중 결정성 층형상 규산 알칼리 금속염(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의 혼합물인 양태를 상정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 용수 중에 포함되는 것, 의료로부터 용출되어 오는 것 및 의료에 부착하고 있던 오염으로부터 용출되어 오는 것을 포함한 다가 양이온의 합계량이나, 사용하는 세탁기의 종류가 펄세이터식/드럼식/교반식 중 어떤 것인가?, 피세탁물인 의료의 양, 오염의 종류·정도 등의 세탁 환경의 변동 요인이 빠짐없이 고려된, 이른바 다가 양이온 브릿지 유래의 세정력 저하 요인을 제거한 이상적인 세탁 환경에서, 바꾸어 말하면, 완전한 연수화가 된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할 수 있으므로, 높은 세탁 성능을 얻을 수 있다.
(5) 의료용 세정제 조성 및 사용 농도의 고려
전술한 의료용 세정제 조성물을 시장에 제안할 때에 있어서, 그 세정제 조성 및 표준 사용량을 어떻게 설정해야 할 것인가가 문제가 된다.
의료를 세탁할 때에 적절한 세정제 조성 및 사용량은, 세탁 용수의 경도에 의해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세정제 조성 및 사용량을 각국마다 상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일본국에서는 통상 70ppm 부근인데 대해, 미국에서는 110ppm 이상, 유럽에서는 180ppm를 초과하는 고경도의 물을 세탁 용수로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그러면, 세탁 용수의 경도에 따라 유기계 킬레이트제의 필요량이 변화해 감과 함께 표준 사용량도 가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A) 저경도로 경도 범위가 작은 지역(0~120ppm 정도)과 B) 고경도로 경도 범위가 큰 지역(120~350ppm)으로 나누어, 세정제 조성 및 표준 사용량을 각 지역별로 설정함으로써 세탁 용수의 경도 변화에 의한 세탁 사정의 차이에 기인한 상기의 문제를 흡수하는 것으로 하였다.
전자인 A 지역의 경우에는, 경도:90ppm의 일본 표준 세탁 용수를 이용하여 세정제 조성 및 표준 사용량을 설정하고, 극히 한정된 고경도 지역에 있어서는 사용량을 적절히 늘림으로써 대응하면 좋다.
후자인 B 지역의 경우에는, 유럽에서의 경도 분류의 타입 II(125-250ppm)를 상정하고, 경도:250ppm의 유럽 표준 세탁 용수를 이용하여 세정제 조성 및 표준 사용량을 설정함과 함께, 사용 지역에서의 경도 분류 및 오염의 정도에 따라 사용량을 적절히 증감시킴으로써 대응하면 좋다.
여기서, 표준적인 가정에서의 세탁 용수의 사용량을, 전자동 세탁기에서는 30L, 드럼식에서는 15~20L로 하여, 유기계 킬레이트제의 필요량(계산값)을 전술한 두 개의 대표적인 지역의 경도(90ppm/250ppm) 마다, 배합하고자 하는 킬레이트제의 킬레이트능(최대 칼슘 착화능)에 의거하여 구해 본다. 이렇게 하여 구한 킬레이트제의 필요량(계산값)이, 각 지역의 경도에 따른 킬레이트제의 최저 필요량이 된다.
그러나,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경도 성분은, 세탁 용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의료로부터 용출되어 오는 것, 및 의료에 부착되어 있던 오염으로부터 용출되어 오는 것, 나아가서는 세탁조로부터 용출되어 오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면, 실제의 킬레이트제의 필요량은, 상기의 최저 필요량보다도 많아지는 것이 세정 시험 등을 통해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실정에 맞춘 킬레이트제의 필요량을 배합하고자 하는 킬레이트제마다 적절히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준 사용량을 설정함에 있어서는, 세탁기의 종별에 따라 상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제의 킬레이트제의 필요량은, 욕비(浴比)가 큰(피세탁물의 양에 대해서 세탁 용수량이 많은) 교반식 세탁기의 경우에는, 최저 필요량의 105%~160%로 하고, 또한 욕비가 작은(피세탁물의 양에 대해서 세탁 용수량이 적은) 드럼식 세탁기의 경우에는, 최저 필요량의 210%~320%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을 세정 시험 등을 통해서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킬레이트능(최대 칼슘 착화능)이 200㎎/g인 킬레이트제를 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본 표준 세탁 용수(경도:90ppm)에서는, 하기 계산식에서 킬레이트제의 최저 필요량은 13.5g/30L(0.45g/L)가 된다.
세탁 용수의 경도/사용하는 유기계 킬레이트제의 킬레이트능(최대 칼슘 포착능)*세탁 용수의 양=90/200*30=13.5g/30L
따라서, 표준적인 사용량 설정으로서는, 교반식 세탁기에서는 14.1~21.6g/30L(0.47~0.72g/L)가 바람직하고,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19~21.6g/(15~20L)(0.95~1.44g/L)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표준적인 합성세제와 동등 이상의 세정력을 얻는다는 전제에서는, 전술한 킬레이트제의 사용 중 약 50% 정도를 상한으로 하여 킬레이트제의 일부를 알칼리 완충제, 특히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으로 치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세정제 조성물 중 재오염 방지제의 사용 농도는, 세탁 용수의 경도에 의하지 않고, 교반식 세탁기에서는 1.5~2g/30L(0.05~0.07g/L)이고,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3~4g/(15~20L)(0.15~0.27g/L)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수 구성 성분인, 유기계 킬레이트제, 알칼리 완충제, 및 재오염 방지제를 포함한 토탈에서의 사용 농도는, 교반식 세탁기에서는 15.6~23.7g/30L(0.52~0.79g/L)이고,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22~25.7g/(15~20L)(1.1~1.71g/L)이 된다.
한편, 유럽 표준 세탁 용수(경도:250ppm)의 사용을 상정한 경우에, 예를 들어 킬레이트능(최대 칼슘 착화능)이 200㎎/g인 킬레이트제를 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킬레이트제의 최저 필요량(농도)은 1.25g/L가 된다.
따라서, 일본 표준 세탁 용수의 예와 동일하게, 킬레이트제의 배합량 및 사용 농도를 구하면, 표준적인 농도 설정으로서는 드럼식 세탁기의 사용에서는, 2.63~4.0g/L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표준적인 합성세제와 동등 이상의 세정력을 얻는다는 전제에서는, 전술한 킬레이트제의 사용 중 약 50% 정도를 상한으로 하여 킬레이트제의 일부를 알칼리 완충제, 특히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으로 치환할 수도 있다.
드럼식 세탁기에서의 재오염 방지제의 사용 농도는 0.15~0.27g/L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필수 구성 성분인, 유기계 킬레이트제, 알칼리 완충제, 및 재오염 방지제를 포함한 토탈에서의 사용 농도는 2.83~4.27g/L가 된다.
마찬가지로, 킬레이트능(최대 칼슘 착화능)이 300㎎/g인 킬레이트제를 배합하고자 하는 경우 등도, 전술과 동일한 순서로 킬레이트제의 최저 필요량(농도)을 산출함과 함께, 이 산출 결과와, 전술한 세탁기의 종별마다의 킬레이트제의 할증에 관한 고려에 의거하여, 킬레이트제의 배합량 및 사용 농도나 각 필수 성분마다의 사용 농도를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전술한 세탁 용수의 경도 등의 차이를 고려했을 때의,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세정제 조성물의 사용 농도 범위는 0.5~10.5g/L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필수 구성 성분 외에, 예를 들어 세탁용 효소, 산소계 표백제, 살균제, 향료, 기포제 등의 첨가제를 가하는 경우에는, 가한 첨가제의 분 만큼 사용량을 늘리면 좋다.
(6) 첨가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세탁용 효소, 산소계 표백제, 살균제, 향료, 기포제 등 합성세제 등 종래형의 세제에 상용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물질을 더욱 포함해도 좋다.
이들 첨가제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세탁용 효소이다.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본 발명의 세탁계에서는 제거하기 어려운 오염 성분을 제거하기 때문에 유용하다. 세탁용 효소로서는, 단백질 분해 효소(프로테아제), 지방 분해 효소(리파아제), 셀룰로오스 분해 효소(셀룰라아제), 전분 분해 효소(아밀라아제) 등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프로테아제는 일상 오염에 대하여 특히 효과적이며, 셀룰라아제는 반복하여 세탁한 경우에 무명 섬유의 흰색 유지나 고체 입자 오염의 제거 등에 효과가 있어 실용성이 높다.
효소의 배합량은 세정제 조성물 총량에 대해서 1효소 당 대략 0.3%에서 3 중량% 정도가 좋다.
또한, 본 세정제의 액성은 약알칼리성이므로, 효소의 배합을 검토함에 있어서는 그 pH 범위에 있어서 활성값이 저하되지 않는 것을 선택해야 한다.
한편, 효소의 세정제에 대한 배합에 있어서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세탁액 중에서의 효소 활성의 안정성이며, 특히 세탁 용수 중에 포함되는 유효 유리 염소에 의한 실활에는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세정제 중으로의 배합에 있어서 효소와 환원제를 동시에 첨가할 필요가 있다. 환원제로서는 아황산염, 티오황산염이 적당하지만, 활성 염소를 트랩하여 효소의 실활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황산암모늄염 등의 암모늄염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이러한 배합량은 세정제 조성물 총량에 대해서 0.3%에서 3중량% 정도가 좋다.
산소계 표백제로서는 과탄산나트륨, 과붕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산소계 표백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종래의 계면활성제를 주제로 한 합성세제와 동등한 세정력을 발휘하지만, 표백제를 더함으로써 한층 더한 세탁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산소계 표백제를 채용함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 등의 표백제 활성화제를 병용하면, 한층 더한 세탁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살균제는 피세정물의 살균 외에, 유기물을 포함한 세정제 조성물의 부패나 곰팡이를 방지하는 효과를 목적으로 하여 배합되고, 염화 벤잘코늄이나 파라벤, 프로필렌글리콜 등 중에서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인체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면, 감귤류 과실의 종자로부터 추출한 추출액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감귤류 과실이란, 학술명이 시트러스파라디시(citrus paradisi)인, 그레이프후르츠이며, 추출액 자체는 고점성이기 때문에, 첨가할 때에는 물로 희석함과 함께, 천연의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분산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러스파라디시의 종자의 추출액은, 세균이나 미생물의 살균, 항균 등의 제균 효과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제균 첨가제로서 첨가하면, 피세정물의 제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 외의 살균제로서 차의 잎이나 대나무 등에서 얻어지는 천연 살균제를 배합해도 좋다.
(7) 의료용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그 원료가 거의 모두 분말 혹은 입상물(粒狀物)이며, 그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기만 하면 좋기 때문에, 여러 가지의 방법으로 여러 가지의 제형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하고 경제적인 제조 방법은, 그들 분체 원료를 공지의 배치식의 혼합기로 교반 혼합하는 방법이며, 이것에 의해 분말 또는 입자형상의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사용성의 요청으로부터 1회 사용량마다의 정제형이나 시트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은, 분체 원료와 물을 혼합하여 농축 액체형의 세정제로서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나 환경 부하 저감의 관점으로부터 의문이 있는, 종래에서는 고정 관념으로서 당연하게 사용되어 온 계면활성제를 일절 함유하지 않은 세정제 조성물로서, 합성세제와 동등 이상의 높은 세탁 성능과 사용성을 구비한,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의 세탁 방법, 및 의료용 세정제 조성물에 의하면, 불결을 싫어하는 청결 지향과 세제 성분의 의료에 대한 잔류를 싫어하는 건강 지향의, 일견 모순되는 현대 일본의 소비자 요구의 양자를 극히 높은 수준으로 충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 혹은 세탁액의 세탁 성능을 종래의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세탁액과 비교한 구체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 나타내는 구체적 수치는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의 사용에 의해 얻어지는 세탁 성능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개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개시한 세정력 시험에 따른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세정력에 대해서는, 사용하는 오염포의 로트 번호의 차이에 따라 바뀌어 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오염포의 로트 번호가 서로 상이한 시험 사이에서의 세정력을 비교할 때에는, 참고 정도로 그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부언해 둔다.
세정력 시험 1
(시험 조건)
세탁기는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제의 전자동 세탁기(NW-7P5 CP, 7㎏ 타입, 수위 설정 30리터, 부하로서 타올 1.5㎏)를 이용하여 수온 25℃의 수돗물(후지사와시 수도, pH7.5, 전체 경도 60ppm)로 세탁을 8분, 헹굼을 2회, 탈수를 5분 실시하였다.
오염포는 인공 피지 오염이 부착된 습식 인공 오염포(재단법인 세탁 과학 협회 제)를 주로 이용하였다. 이 때에, 상이한 제조 로트 사이에서 생기는 세정율의 차분을 평균화할 목적으로, 서로 제조 로트가 상이한 두 개의 오염포를 준비하고, 이러한 오염포 각 5매(합계 10매)를 타올에 꿰매어 세탁하였다. 이 습식 인공 오염포에 더하여, 일부의 시험에서는 광물유와 카본블랙이 부착된 오염포(EMPA101), 올리브유와 카본블랙이 부착된 오염포(EMPA106), 혈액이 부착된 오염포(EMPA 111), 단백질인 카카오가 부착된 오염포(EMPA112), 붉은 와인이 부착된 오염포(EMPA114) 및 혈액과 우유와 카본블랙이 부착된 오염포(EMPA116)를 이용하였다. 이 때에, EMPA 오염포 각 3매(합계 18매)를 타올에 꿰매어 세탁하였다.
(세정율의 산출)
세정율은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세정율%=(세탁 후 오염포의 백도-세탁전 오염포의 백도)
÷(미오염 생지의 백도-세탁전 오염포의 백도)×100
백도는 백도계(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제, CR-14, Whiteness Index Color Reader)를 이용하여, 각 오염포에서의 표리 10점을 측정하고, 이 측정값을 평균함으로써 구하였다.
(세탁액의 pH)
세탁액의 pH는 세탁 용수에 세정제 조성물을 첨가하고, 유리 전극 pH계(호리바세이사쿠쇼 제)에 의해 25℃에서 측정하였다. 이 때, 나타난 값이 충분히 안정된 값을 갖기 때문에 세탁액의 pH로 하였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개시하고 있는 세정력 시험은 특별히 부정하지 않는 한 본 시험 조건에 준거하여 실시되고 있다.
실시예 1
수돗물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10.5g,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 2.9g, 탄산수소나트륨 1.6g, 폴리비닐알코올(이하, 「PVA」라고 생략함) 1.3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이하, 「CMC」라고 생략함)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16.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0.55g/L, pH가 10.0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수돗물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12g,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 2g, 탄산수소나트륨 1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16.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0.55g/L, pH가 10.0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수돗물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15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16.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0.55g/L, pH가 10.0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수돗물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8g,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 7.8g, 탄산수소나트륨 4.2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21.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0.72g/L, pH가 10.3의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수돗물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10g,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 6.5g, 탄산수소나트륨 3.5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21.5g의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0.72g/L, pH가 10.3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수돗물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12g,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 륨 5.2g, 탄산수소나트륨 2.8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21.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0.72g/L, pH가 10.3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수돗물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16g,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 2.6g, 탄산수소나트륨 1.4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21.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0.72g/L, pH가 10.3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수돗물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20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21.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0.72g/L, pH가 10.3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수돗물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7.5g,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 12.3g, 탄산수소나트륨 5.2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26.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0.88g/L, pH가 10.5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수돗물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10g,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 10.6g, 탄산수소나트륨 4.4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26.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0.88g/L, pH가 10.5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수돗물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15g,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 7.2g, 탄산수소나트륨 2.8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26.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0.88g/L, pH가 10.5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수돗물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20g,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 3.8g, 탄산수소나트륨 1.2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26.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0.88g/L, pH가 10.5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수돗물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25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26.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0.88g/L, pH가 10.5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31246706-PAT00003
실시예 14
수돗물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3g,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 19g, 탄산수소나트륨 8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31.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1.05g/L, pH가 10.6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수돗물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6g,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 17g, 탄산수소나트륨 7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31.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1.05g/L, pH가 10.6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16
수돗물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12g,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 13g, 탄산수소나트륨 5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31.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1.05g/L, pH가 10.6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17
수돗물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18g,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 8.8g, 탄산수소나트륨 3.2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31.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1.05g/L, pH가 10.6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18
수돗물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24g,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 4.4g, 탄산수소나트륨 1.6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31.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1.05g/L, pH가 10.6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19
수돗물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30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31.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1.05g/L, pH가 10.6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20
수돗물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10g,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 7.2g, 탄산수소나트륨 0.8g, PVA 1.3g, CMC 0.2g, 프로테아제 0.2g, 아황산 나트륨 0.3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20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0.67g/L, pH가 10.5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 및 EMPA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4,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 내지 20의 비교예로서 수돗물 30리터에,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 9.2g, 탄산수소나트륨 5.8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16.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0.55g/L, pH가 10.0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1 내지 20의 비교예로서 수돗물 30리터에,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 12.8g, 탄산수소나트륨 7.2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21.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0.72g/L, pH가 10.3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실시예 1 내지 20의 비교예로서 수돗물 30리터에,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 17g, 탄산수소나트륨 8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26.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0.88g/L, pH가 10.5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실시예 1 내지 20의 비교예로서 수돗물 30리터에,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 21.2g, 탄산수소나트륨 8.8g, PVA 1.3g, CMC 0.2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31.5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1.05g/L, pH가 10.6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비교예 5
실시예 1 내지 20의 비교예로서 단순히 수돗물 30리터를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 및 EMPA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4,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6
재단법인 일본 규격 협회에 의해서 규격화되어 있는 합성세제 시험 방법(규격 번호 JIS K3362:1998)에는, 세정력 판정용 지표 세제(본 명세서에서는 일본 표준 세제라고 함)로서 직쇄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규산나트륨, 탄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및 황산나트륨을 15:5:7:1:55로 혼합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20의 비교예로서 전술의 일본 표준 세제를 표준 농도로 수돗물 30리터에 용해시킨 세탁액(세정제 농도 1.33g/L)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 및 EMPA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4,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7
실시예 1 내지 20의 비교예로서 시판의 분말 합성세제를 표준 농도로 수돗물 30리터에 용해시킨 세탁액(어택 바이오 효소, 세정제 농도 0.67g/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제, 효소 및 형광 증백제 입)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 및 EMPA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4,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31246706-PAT00004
Figure 112009031246706-PAT00005
(세정력 시험 1:세정 시험 결과, 및 그 고찰)
실시예 1~20의 세정율과, 비교예 6~7의 세정율을 비교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세탁액에서는, 시판의 계면활성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합성세제와 거의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세정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 중, 표 3을 참조하면서 실시예 20과 비교예 6~7을 비교해 보면, 효소 및 환원제를 추가로 첨가한 실시예 20의 것은, 인공 피지 오염(인공 오염포)을 비롯하여, 광물유와 카본블랙의 복합 오염(EMPA101), 올리브유와 카본블랙의 복합 오염(EMPA106), 혈액(EMPA111), 단백질(EMPA112), 붉은 와인(EMPA114), 및 혈액과 우유와 카본블랙의 복합 오염(EMPA116) 등, 모든 종류의 오염의 모두에 대해서, 종래의 합성세제를 초과하는 세탁 성능을 나타내고 있고, 확실히 만능의 세정력을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세정제 농도의 관점에서 실시예 20과 비교예 6~7을 비교해 보면, 실시예 20의 세정제 농도는 0.67g/L, 비교예 6의 세정제 농도는 1.33g/L, 비교예 7의 세정제 농도는 0.67g/L이며, 세정제의 사용량을 보아도 실시예 20의 것은, 비교예 6의 일본 표준 세제와 비교해서 약 절반으로 되고, 또한 비교예 7의 시판 분말 합성세제와 동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에 따른 세탁액이,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것이라는 근거에 대해 언급한다. 한편, 세탁 작용 주제란, 어떤 세정제 조성물의 구성 성분 중 세정력(세정율)의 향상에 주로 공헌하는 성분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세정력(세정율)의 향상에 주로 공헌한다는 것은, 소량의 배합으로 세정력(세정율)이 향상되는 경우와, 그것을 배합함으로써 세정력(세정율)이 고수준으로 끌어 올려지는(예를 들어, 비교예 7의 세정율과 동등 이상) 경우의 양자를 포함한 개념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액이,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것임을 밝히기 위해서, 세정제 사용량·농도, pH 등의 세탁 조건을 동일하게 맞춘 세탁액으로서, 그 조성이 상이한 3종류의 것을 서로 비교해 보았다.
우선, 세정제 사용량을 16.5g(세정제 농도:0.55g/L)로 하고, pH를 10.0으로 동일 조건으로 맞춘 3종류의 세탁액이, 비교예 1에서는 알칼리 완충제 15g을, 실시예 3에서는 유기계 킬레이트제 15g을, 그리고 실시예 1에서는 유기계 킬레이트제 10.5g과 알칼리 완충제 4.5g을, 각각 공통의 재오염 방지제 1.5g과 함께 수돗물 30리터 중에 용해시킴으로써 얻어지고 있다. 여기서, 실시예 1, 3과 비교예 1을 대비해 보면, 알칼리 완충제 단독(비교예 1)에서는 세정율 28.9%로 크게 열등하지만, 유기계 킬레이트제 단독(실시예 3)에서는 세정율 52.2%, 유기계 킬레이트제와 알칼리 완충제의 조합에 따른 조성(실시예 1)에서는 세정율 48.9%로 양자 모두 높은 세정율이 얻어지고 있고, 이 경우, 유기계 킬레이트제가 세정력(세정율)의 향상에 주로 공헌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기 때문에, 실시예 1, 3에 따른 세탁액은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세정제 사용량을 21.5g(세정제 농도:0.72g/L)로 하고, pH를 10.3으로 동일 조건으로 맞춘 3종류의 세탁액이, 비교예 2에서는 알칼리 완충제 20g을, 실시예 8에서는 유기계 킬레이트제 20g을, 그리고 실시예 5에서는 유기계 킬레이트제 10g과 알칼리 완충제 10g을, 각각 공통의 재오염 방지제 1.5g과 함께 수돗물 30리터 중에 용해시킴으로써 얻어지고 있다. 여기서, 실시예 5, 8과 비교예 2를 대비해 보면, 알칼리 완충제 단독(비교예 2)에서는 세정율 36.5%로 열등하지만, 유기계 킬레이트제 단독(실시예 8)에서는 세정율 56.2%, 유기계 킬레이트제와 알칼리 완충제의 조합에 따른 조성(실시예 5)에서는 세정율 53.6%로 양자 모두 높은 세정율이 얻어지고 있고, 이 경우, 유기계 킬레이트제가 세정력(세정율)의 향상에 주로 공헌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실시예 5, 8에 따른 세탁액은,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세정제 사용량을 26.5g(세정제 농도:0.88g/L)로 하고, pH를 10.5로 동일 조건으로 맞춘 3종류의 세탁액이, 비교예 3에서는 알칼리 완충제 25g을, 실시예 13에서는 유기계 킬레이트제 25g을, 그리고 실시예 10에서는 유기계 킬레이트제 10g과 알칼리 완충제 15g을, 각각 공통의 재오염 방지제 1.5g과 함께 수돗물 30리터 중에 용해시킴으로써 얻어지고 있다. 여기서, 실시예 10, 13과 비교예 3을 대비해 보면, 알칼리 완충제 단독(비교예 3)에서는 세정율 39.5%로 열등하지만, 유기계 킬레이트제 단독(실시예 13)에서는 세정율 56.5%, 유기계 킬레이트제와 알칼리 완충제의 조합에 따른 조성(실시예 10)에서는 세정율 54.6%로 양자 모두 높은 세정율이 얻어지고 있고, 이 경우, 유기계 킬레이트제가 세정력(세정율)의 향상에 주로 공헌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실시예 10, 13에 따른 세탁액은,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세정제 사용량을 31.5g(세정제 농도=1.05g/L)로 하고, pH를 10.6으로 동일 조건으로 맞춘 3종류의 세탁액이, 비교예 4에서는 알칼리 완충제 30g을, 실시예 19에서는 유기계 킬레이트제 30g을, 그리고 실시예 16에서는 유기계 킬레이트제 12g과 알칼리 완충제 18g을, 각각 공통의 재오염 방지제 1.5g과 함께 수돗물 30리터 중에 용해시킴으로써 얻어지고 있다. 여기서, 실시예 16, 19와 비교예 4를 대비해 보면, 알칼리 완충제 단독(비교예 4)에서는 세정율 47.1%로 약간 뒤떨어지지만, 킬레이트제 단독(실시예 19)에서는 세정율 56.5%, 유기계 킬레이트제와 알칼리 완충제의 조합에 따른 조성(실시예 16)에서는 세정율 57.1%로 양자 모두 높은 세정율이 얻어지고 있고, 이 경우, 유기계 킬레이트제가 세정력(세정율)의 향상에 주로 공헌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므로, 실시예 16, 19에 따른 세탁액은,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1, 3, 5, 8, 10, 13, 16, 19 이외의 예에서도,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배합함으로써 세정력(세정율)의 향상, 또는 세정력(세정율)의 고수준으로의 끌어올림이 실현되고 있다.
따라서, 실시예 1~20에 따른 세탁액은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세정력 시험 1:정리)
세정력 시험 1의 실시예 1~20에서는, 유기계 킬레이트제로서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MGDA-3Na, pH11에서의 최대 칼슘 착화능은 327㎎/g)을 사용하고 있지만, 본 시험에서 사용한 세탁 용수(60㎎/리터의 경도 성분을 함유, 세탁 용수량:30리터)에 포함되는 경도 성분을 완전히 무효화하기 위한 MGDA-3Na의 필요량 계산값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60/327*30=약 5.5g
표 3,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20에 대해서 MGDA-3Na의 사용량이 5.5g을 하회하는 것은 실시예 14뿐이고, 동 실시예 14를 제외하면, MGDA-3Na의 사용량 범위는 6~30g가 되고, 모든 예에서 유기계 킬레이트제(MGDA-3Na)는 필요량 계산값을 초과한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4에서는 유기계 킬레이트제(MGDA-3Na)의 사용량이 3g(세정제 총량 중의 배합 비율에서는 9.5%)과 필요량 계산값(5.5g)을 하회하고 있지만,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의 사용량이 19g(세정제 총량 중의 배합 비율에서는 60.3%)으로 다량으로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의 다량 사용이 유기계 킬레이트제(MGDA-3Na)의 경도 성분 포착능을 보충함으로써 시판 합성세제와 동등한 높은 세정력이 유지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다음에, 일본 시장을 대상으로 한 세정제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비교예와 대비하면서 세정력 시험 2에 개시한다.
세정력 시험 2
시험 조건에 대해서는, 전술한 세정력 시험 1과 거의 공통이기 때문에, 그 차이점에 대해 언급하면, 본 세정력 시험 2에서는, 세척력 시험기(Tergot-O-Meter)를 사용하여 회전수 120rpm, 세탁 시간 10분, 헹굼 2회, 온도 30℃, 세탁 용수(일본 표준 세탁 용수)의 양 1리터에서,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나타내는 물질 및 세제 농도에서 세탁을 행하였다.
실시예 21
일본 표준 세탁 용수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10g,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 3.5g, 탄산수소나트륨 1.5g, PVA 1.3g, CMC 0.2g, 프로테아제 0.2g, 아황산나트륨 0.3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17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0.57g/L, pH가 10.5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 및 EMPA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6, 표 7에 나타낸다.
실시예 22
일본 표준 세탁 용수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12g,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 2g, 탄산수소나트륨 1g, PVA 1.3g, CMC 0.2g, 프로테아제 0.2g, 아황산나트륨 0.3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17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0.57g/L, pH가 10.5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 및 EMPA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6, 표 7에 나타낸다.
실시예 23
일본 표준 세탁 용수 3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15g, PVA 1.3g, CMC 0.2g, 프로테아제 0.2g, 아황산나트륨 0.3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17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0.57g/L, pH가 10.5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 및 EMPA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6, 표 7에 나타낸다.
비교예 8
실시예 21 내지 23의 비교예로서 시판의 분말 합성세제를 표준 농도로 일본 표준 세탁 용수 30리터에 용해시킨 세탁액(어택 바이오 효소, 세정제 농도 0.67g/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제, 효소 및 형광 증백제 입)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 및 EMPA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6, 표 7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31246706-PAT00006
Figure 112009031246706-PAT00007
(세정력 시험 2:세정 시험 결과, 및 그 고찰)
실시예 21~23의 세정율과, 비교예 8의 세정율을 비교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세탁액에서는, 시판의 계면활성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합성세제를 능가하는 세정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 중, 표 7을 참조하면서 실시예 21~23과 비교예 8을 비교해 보면, 실시예 21~23의 세정율은 인공 피지 오염(인공 오염포)을 비롯하여, 광물유와 카본블랙의 복합 오염(EMPA101), 올리브유와 카본블랙의 복합 오염(EMPA106), 혈액(EMPA111), 단백질(EMPA112), 붉은 와인(EMPA114) 및 혈액과 우유와 카본블랙의 복합 오염(EMPA116) 등, 모든 종류의 오염의 모두에 대해서, 종래의 합성세제를 초과하는 세탁 성능을 나타내고 있고, 확실히 만능의 세정력을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세정제 농도의 관점에서 실시예 21~23과 비교예 8을 비교해 보면, 실시예 21~23의 세정제 농도는 0.57g/L, 비교예 8의 세정제 농도는 0.67g/L이며, 세정제의 사용량을 보아도, 실시예 21~23의 것은 비교예 8의 시판 분말 합성세제보다도 적어도 되어 세탁 성능뿐만 아니라 컴팩트화의 관점에서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6을 참조하면서 실시예 21~23을 비교해 보면, 실시예 21, 22, 23의 순서로 유기계 킬레이트제의 배합 비율이 낮기 때문에, 세정제 조성물 중에서의 유기물의 배합량을 줄이는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실시예 24의 조성을 채용하면 좋다.
다음에, 실시예 21~23에 따른 세탁액이,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것인지 여부를 검토해 보면, 실시예 21~23이 모두 유기계 킬레이트제로서의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이, 조성물 중의 배합 비율로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이러한 50% 이상에 이르는 배합 비율로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서, 세정력(세정율)의 비약적인 향상이 실현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21~23에 따른 세탁액은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세정력 시험 2 : 정리)
세정력 시험 2의 실시예 21~23에서는, 유기계 킬레이트제로서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MGDA-3Na, pH11에서의 최대 칼슘 착화능은 327㎎/g)을 사용하고 있지만, 본 시험에서 사용한 세탁 용수(90㎎/리터의 경도 성분을 함유, 세탁 용수량:1리터)에 포함되는 경도 성분을 완전히 무효화하기 위한 MGDA-3Na의 필요량 계산값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90/327*1=약 0.28g
표 6을 참조하면, MGDA-3Na의 사용량은, 실시예 21에서는 0.33g, 실시예 22에서는 0.4g, 실시예 23에서는 0.5g이며, MGDA-3Na의 사용량 범위는 0.33~0.5 g(세탁 용수량이 30리터에서는 10~15g)가 되고, 모든 예에서 유기계 킬레이트제(MGDA-3Na)는, 필요량 계산값(약 0.28g)을 초과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유럽 등의 비교적 세탁 용수의 경도가 높은 시장을 대상으로 한 세정제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비교예와 대비하면서 세정력 시험 3에 개시한다.
세정력 시험 3
시험 조건에 대해서는, 전술한 세정력 시험 1과 거의 공통이기 때문에, 그 차이점에 대해 언급하면, 본 세정력 시험 3에서는 밀레사 제의 드럼식 세탁기(W901, Cotton60° C코스, 부하로서 타올 3㎏)를 이용하여 동 세탁기의 코스 프로그램에 따라서 60℃로 가온된 세탁 용수(수량은 15~20리터의 범위)로,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나타내는 물질 및 세제 농도로 세탁을 행하였다. 세탁 용수는 정제수에 염화칼슘2수화물을 369㎎/L 농도로 용해시킴으로써 경도 250ppm의 물을 얻고, 이것을 세탁 용수로서 이용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순서를 거쳐 얻은 물을, 유럽 표준 세탁 용수라고 한다.
실시예 24
유럽 표준 세탁 용수 15-2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27g, 탄산수소나트륨 3g, PVA 2.6g, CMC 0.4g, 효소로서 토탈라아제(totalase) 1g, 효소 안정화제로서 아황산나트륨 0.5g, 그 외의 첨가제인 표백제로서 과탄산나트륨 15g, 동일 표백제의 활성화제로서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 2.5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52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2.6-3.5g/L, pH가 10.0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 및 EMPA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8, 표 9 에 나타낸다.
실시예 25
유럽 표준 세탁 용수 15-20리터에,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 30g, PVA 2.6g, CMC 0.4g, 효소로서 토탈라아제 1g, 효소 안정화제로서 아황산나트륨 0.5g, 그 외의 첨가제인 표백제로서 과탄산나트륨 15g, 동일 표백제의 활성화제로서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 2.5g의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성분 총량이 52g인 세정제를 용해하여 세정제 농도가 2.6-3.5g/L, pH가 10.0인 세탁액을 얻었다. 이 세탁액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 및 EMPA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8, 표 9에 나타낸다.
비교예 9
실시예 24 내지 25의 비교예로서 시판의 분말 합성세제를 표준 농도로 유럽 표준 세탁 용수 15-20리터에 용해시킨 세탁액(퍼실 메가펄스:Persil MEGAPEALS(등록상표) 센서티브:Sensitiv, 세정제 농도 3.8-5g/L, 헨켈사 제, 제올라이트 및 표백제 입)을 이용하여 세탁했을 때의, 세탁 전후에서의 습식 인공 오염포, 및 EMPA 오염포의 세정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8, 표 9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31246706-PAT00008
Figure 112009031246706-PAT00009
(세정력 시험 3:세정 시험 결과, 및 그 고찰)
실시예 24, 25의 세정율과, 비교예 9의 세정율을 비교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세탁액에서는, 시판의 계면활성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합성세제와 동등 이상의 세정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 중, 표 9를 참조하면서 실시예 24, 25와 비교예 9를 비교해 보면, 실시예 24, 25의 세정율은 인공 피지 오염(인공 오염포)을 비롯하여 광물유와 카본블랙의 복합 오염(EMPA101), 올리브유와 카본블랙의 복합 오염(EMPA106), 혈액(EMPA111), 단백질(EMPA112), 붉은 와인(EMPA114), 및 혈액과 우유와 카본블랙의 복합 오염(EMPA116) 등, 모든 종류의 오염의 모두에 대해서 종래의 합성세제를 초과하는 세탁 성능을 나타내고 있고, 확실히 만능의 세정력을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세정제 농도의 관점에서 실시예 24, 25와 비교예 9를 비교해 보면, 실시예 24, 25의 세정제 농도는 2.6-3.5g/L, 비교예 9의 세정제 농도는 3.8-5g/L이며, 세정제의 사용량을 보아도 실시예 24, 25의 것은, 비교예 9의 시판 분말 합성세제보다도 약 3할 정도 적어도 되어, 세탁 성능뿐만 아니라 컴팩트화의 관점에서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8을 참조하면서 실시예 24와 25를 비교해 보면, 실시예 24에서는 유기계 킬레이트제의 배합 비율이 낮기 때문에, 세정제 조성물 중에서의 유기물의 배합량을 줄이는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실시예 24의 조성을 채용하면 좋다.
다음에, 실시예 24, 25에 따른 세탁액이,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것인지 여부를 검토해 보면, 실시예 24, 25의 모두 유기계 킬레이트제로서의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이, 조성물 중의 배합 비율로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이러한 50% 이상에 이르는 배합 비율로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세정력(세정율)의 비약적인 향상이 실현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24, 25에 따른 세탁액은,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세정력 시험 3:정리)
세정력 시험 3의 실시예 24~25에서는, 유기계 킬레이트제로서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MGDA-3Na, pH11에서의 최대 칼슘 착화능은 327㎎/g)을 사용하고 있지만, 본 시험에서 사용한 세탁 용수(250㎎/리터의 경도 성분을 함유, 세탁 용수량:15-20리터)에 포함되는 경도 성분을 완전히 무효화하기 위한 MGDA-3Na의 필요량 계산값은 다음 식으로 부여된다.
15리터:250/327*15=11.47g
20리터:250/327*20=15.29g
표 8을 참조하면, MGDA-3Na의 사용량은, 실시예 24에서는 27g, 실시예 25에서는 30g이며, MGDA-3Na의 사용량 범위는 27~30g이 되고, 모든 예에서 유기계 킬레이트제(MGDA-3Na)는, 필요량 계산값(세탁 용수량:20리터인 경우에서 약 15g)을 초과하여 약 2배량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 약제의 특정)
본 명세서 중에서 개시한 사용 약제에 대해서는 하기의 것을 사용하였다.
1. 결정성 층형상 규산나트륨:프리피드 F품(도쿠야마실텍사 제)
2. 중탄산나트륨:E그레이드품(도쿠야마사 제)
3. 폴리비닐알코올(PVA):포발 JP-05S(재팬뱀앤포발사 제)
4.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셀로겐 BSH-12(다이이치고교세이야쿠사 제)
5. 효소:프로테아제 Properase1000E(나가세켐텍스사 제)
6. 효소:토탈라아제(노보자임사 제)
7. 효소 안정화제:아황산나트륨:정제 무수 아황산소다(다이토가가꾸사 제)
8. 표백제:과탄산나트륨(아사히덴카고교사 제)
9. 표백제 활성화제: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클라리언드재팬사 제)
10.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EDTA-4Na):트릴론-B분체(등록상표, BASF사 제)
11.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MGDA-3Na)=트릴론-M분말(등록상표, BASF사 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세탁 작용 주제로 하고,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세정제 조성물로서, 종래의 계면활성제를 주제로 한 합성세제와 동등 이상의 세정력 및 사용성을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분명하게 동일성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 다종 존재한다. 그러한 다양성은 발명의 의도 및 범위로부터 벗어난 것이라고는 간주할 수 없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그러한 모든 변경은 본 발명에 따른 청구의 범위의 기술적 사정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10)

  1. 세탁 작용 주제로서의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함유하고, 세탁 작용 성분으로서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은 무인(無燐) 세정제 조성물을 용해시켜 세탁액을 조제하는 세탁액 조제 공정과,
    상기 세탁액을 이용하여 의료를 세탁하는, 세척, 헹굼, 탈수로 이루어지는 세탁 공정을 구비하는 세탁 방법으로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을 0.5~10.5g/L의 농도로 용해시킨 경우에, 상기 유기계 킬레이트제 또는 알칼리 완충제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용을 통해서,
    상기 세탁액의 pH가 9~11이며,
    상기 세정제 조성물을 용해시켜 세탁 용수의 경도 성분이 무효화되어 있고,
    상기 세탁 공정 중 세척의 종료 시점에서의 상기 세탁액의 경도 성분(상기 세탁 용수의 경도 성분과 세탁 용수 이외로부터 용출된 경도 성분의 합)이, 1O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의 세탁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재오염 방지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의 세탁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알칼리 완충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의 세탁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세탁용 효소 및 이 효소의 실활을 막기 위한 환원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의 세탁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산소계 표백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의 세탁 방법.
  6. 세탁 작용 주제로서의 유기계 킬레이트제를 함유하고,
    세탁 작용 성분으로서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은 무인 의료(衣料)용 세정제 조성물로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을 0.5~10.5g/L의 농도로 용해시킨 경우에, 상기 유기계 킬레이트제 또는 알칼리 완충제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용을 통해서, 그 세탁액의 pH가 9~11이며, 또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을 용해시켜 세탁 용수의 경도 성분이 무효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세정제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재오염 방지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세정제 조성물.
  8. 청구항 6에 있어서,
    알칼리 완충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세정제 조성물.
  9. 청구항 6에 있어서,
    세탁용 효소 및 이 효소의 실활을 막기 위한 환원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세정제 조성물.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산소계 표백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세정제 조성물.
KR1020097010659A 2005-07-01 2006-07-03 의료의 세탁 방법 및 그것을 위한 세정제 조성물 KR200900757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94266 2005-07-01
JPJP-P-2005-194266 2005-07-0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685A Division KR20080033330A (ko) 2005-07-01 2006-07-03 의료의 세탁 방법 및 그것을 위한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735A true KR20090075735A (ko) 2009-07-08

Family

ID=376044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659A KR20090075735A (ko) 2005-07-01 2006-07-03 의료의 세탁 방법 및 그것을 위한 세정제 조성물
KR1020087002685A KR20080033330A (ko) 2005-07-01 2006-07-03 의료의 세탁 방법 및 그것을 위한 세정제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685A KR20080033330A (ko) 2005-07-01 2006-07-03 의료의 세탁 방법 및 그것을 위한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89460B2 (ko)
EP (1) EP1908817A4 (ko)
JP (2) JP4372823B2 (ko)
KR (2) KR20090075735A (ko)
CN (1) CN101248168A (ko)
WO (1) WO20070046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9460B2 (en) * 2005-07-01 2013-03-05 Miz Co., Ltd. Clothes washing method and surfactant-free detergent composition used for the same
US20140014137A1 (en) 2009-09-18 2014-01-16 Ecolab Usa Inc. Treatment of non-trans fats with acidic tetra sodium l-glutamic acid, n, n-diacetic acid (glda)
CN107502477B (zh) 2009-09-18 2021-04-06 埃科莱布美国股份有限公司 用螯合剂处理非反式脂肪、脂肪酸和遮光剂污点
CN102010802B (zh) * 2010-12-13 2012-06-27 陈继峰 浓缩型多酶洗涤液及其制备方法
US10253281B2 (en) 2012-08-20 2019-04-09 Ecolab Usa Inc. Method of washing textile articles
US9394508B2 (en) 2012-10-26 2016-07-19 Ecolab Usa Inc. Phosphorus free low temperature ware wash detergent for reducing scale build-up
JP6111774B2 (ja) * 2013-03-22 2017-04-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記録装置および記録物
CN104178363A (zh) * 2013-05-23 2014-12-03 海安县国力化工有限公司 一种洗衣粉
ES2628161T3 (es) * 2013-05-27 2017-08-01 Basf Se Soluciones acuosas que contienen un agente complejante en alta concentración
WO2016054768A1 (en) * 2014-10-08 2016-04-1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leaning formulation for in-place cleaning of membrane filter module incorporated within washing machine
EP3026100B1 (en) * 2014-11-26 2018-07-2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leaning pouch
AU2016212004B2 (en) 2015-01-29 2019-12-05 Ecolab Usa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ment of stains in textiles
US9890350B2 (en) 2015-10-28 2018-02-13 Ecolab Usa Inc. Methods of using a soil release polymer in a neutral or low alkaline prewash
EP3693450A1 (en) * 2019-02-08 2020-08-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treating fabrics with automated pre-treatment of water
CN114471872B (zh) * 2021-12-21 2023-05-05 浙江永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天然抗菌消炎的杭菊花酵素内衣手洗衣液及其提取制备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32037A (ko) * 1969-01-10
JPS601918B2 (ja) * 1980-04-26 1985-01-18 ライオン株式会社 再汚染の少ない無燐洗剤組成物
GB8311865D0 (en) * 1983-04-29 1983-06-02 Procter & Gamble Ltd Bleach compositions
JPS6320397A (ja) * 1986-07-14 1988-01-28 日本パ−オキサイド株式会社 炭酸水素ナトリウムを主基材とする顆粒物
JPH07278597A (ja) * 1994-04-14 1995-10-24 Kao Corp 粉末漂白剤組成物
DE69532586T3 (de) * 1994-09-13 2014-03-13 Kao Corp. Waschverfahren
JP2949272B2 (ja) * 1994-09-13 1999-09-13 花王株式会社 洗濯方法
JPH0987678A (ja) * 1995-09-19 1997-03-31 Eco Japan:Kk 衣料用洗浄組成物
TW370561B (en) * 1996-03-15 1999-09-21 Kao Corp High-density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 for clothes washing
GB2311536A (en) * 1996-03-29 1997-10-01 Procter & Gamble Dishwashing and laundry detergents
DE19646866A1 (de) * 1996-11-13 1998-05-14 Henkel Ecolab Gmbh & Co Ohg Gewerbliches Waschverfahren unter Einsatz von schmutzablösevermögendem Polymer
JP3181927B2 (ja) * 1998-01-22 2001-07-03 ミズ株式会社 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JPH11256192A (ja) * 1998-03-12 1999-09-21 Mizu Kk 洗浄剤
US20030104969A1 (en) * 2000-05-11 2003-06-05 Caswell Debra Sue Laundry system having unitized dosing
AU2002221061A1 (en) * 2000-12-05 2002-06-18 Miz Co., Ltd. Method of laundering clothes and detergent composition therefor
JP2004002869A (ja) * 2000-12-05 2004-01-08 Mizu Kk 衣料の洗濯方法及びそのための洗浄剤組成物
DE10123621B4 (de) * 2001-05-15 2006-12-07 Henkel Kga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Wasserenthärtertablette
US6835704B2 (en) * 2001-09-14 2004-12-28 Clean Control Corporation Surfactant-free cleaning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the use thereof
US7229505B2 (en) * 2001-09-14 2007-06-12 Clean Control Corpor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surfactant-free cleaning
US8375494B2 (en) * 2001-09-14 2013-02-19 Clean Control Corporation Cleaning compositions containing a corrosion inhibitor
JP4069443B2 (ja) 2002-11-26 2008-04-02 栗田工業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またはアルミニウム合金を含む金属表面のスケール洗浄剤及びそれを用いたアルミニウムまたはアルミニウム合金を含む金属表面のスケール洗浄方法
DE10336044A1 (de) * 2003-08-01 2005-02-17 Beiersdorf Ag Tensidfreie Rasierhilfszubereitung
US8389460B2 (en) * 2005-07-01 2013-03-05 Miz Co., Ltd. Clothes washing method and surfactant-free detergent composition use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32934A (ja) 2009-06-18
US20090119847A1 (en) 2009-05-14
CN101248168A (zh) 2008-08-20
EP1908817A4 (en) 2008-08-13
KR20080033330A (ko) 2008-04-16
JPWO2007004622A1 (ja) 2009-01-29
EP1908817A1 (en) 2008-04-09
JP4372823B2 (ja) 2009-11-25
US8389460B2 (en) 2013-03-05
WO2007004622A1 (ja)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5735A (ko) 의료의 세탁 방법 및 그것을 위한 세정제 조성물
US8153573B2 (en) Development of an aluminum hydroxycarboxylate builder
EA017243B1 (ru) Композиция моющего компонента
JP2016191052A (ja) カルシウム封鎖組成物
KR100533123B1 (ko) 의료의 세탁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제 조성물
JP5385521B2 (ja) 液体除菌洗浄剤組成物
JP2009019130A (ja) 洗浄剤組成物及びそれを使用した食器類の洗浄方法
JP3269748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3253271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3962113B2 (ja) 洗浄剤組成物
JP2008163240A (ja) 有機系キレート剤を主剤とした洗浄剤組成物
WO2010061239A1 (en) Method for formulating a branded cleaning product
JPH1053799A (ja) 粉末洗剤組成物
JP2004002869A (ja) 衣料の洗濯方法及びそのための洗浄剤組成物
JPH1053798A (ja) 粉末洗剤組成物
JP2006176663A (ja) 洗浄剤組成物及び洗浄方法
JP2022036520A (ja) 衣料用液体洗浄剤組成物
KR20050001541A (ko) 세탁조 세정제 조성물
JP2009161581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S63256700A (ja) ポリヒドロキシアルキルアミン‐n,n‐ジアルキルカルボン酸またはそれらの塩を含む洗浄剤および清浄剤用のビルダー
JP2003105390A (ja) 泥汚れ用前処理剤組成物、泥汚れ洗浄方法及び泥汚れ用洗浄剤
JP2007137929A (ja) 衣料用洗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