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2930A -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2930A
KR20090072930A KR1020080083754A KR20080083754A KR20090072930A KR 20090072930 A KR20090072930 A KR 20090072930A KR 1020080083754 A KR1020080083754 A KR 1020080083754A KR 20080083754 A KR20080083754 A KR 20080083754A KR 20090072930 A KR20090072930 A KR 20090072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display
display panel
battery pack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9085B1 (ko
Inventor
가츠이치 고토
다이스케 미하라
가이고 다나카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2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58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the mounting of internal components, e.g. disc drive or any other functional mo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1Panel PC, e.g. single housing hosting PC and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의 소형·경량화와, 표시 화면의 대형화를 양립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제 1 영역에서는, 제 1 리브에 설치된 오목부에 제 2 리브에 설치된 돌출부가 삽입됨으로써, 제 2 리브를 내측으로 하여 제 1 리브와 제 2 리브가 중첩되고, 제 2 영역에서는, 제 1 리브를 내측으로 하여 제 1 리브와 제 2 리브가 중첩된다. 따라서, 전면 리브 및 후면 리브가 서로 중첩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기 때문에, 별도의 부재인 리브를 이용하지 않고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를 고정시킬 수 있어서, 장치의 소형·경량화와, 표시 화면의 대형화를 양립할 수 있다.
리브, 전지 팩, 본체부, 홈부, 돌기부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 표시 패널이 수용된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나 노트북형의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가 구비된 휴대형의 전자 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휴대형의 전자 기기에서는, 장치의 소형·경량화와, 표시 화면의 대형화의 양립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어, 박형(薄型)이고 경량인 액정 패널을 사용한 표시 장치를 적용하거나, 광원이나 제어 기판 등을 액정 패널의 옆쪽이 아니라 뒷쪽에 배치하여, 하우징과 액정 패널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 정도만큼 표시 화면을 넓히는 것 등이 행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하우징의 측면 부근에까지 표시 화면을 넓힌 와이드형의 전자 기기가 인기 상품으로 되고 있다.
와이드형의 전자 기기에서는, 액정 패널의 전면(前面) 가장자리를 덮는 전면 커버와, 액정 패널의 이면 측을 덮는 이면 커버가, 액정 패널의 측면 쪽에서 끼워 맞춰진 표시 하우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전자 기기를 더욱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전면 커버와 이면 커버의 감합(嵌合) 부분을 소형화할 필요가 있다.
전면 커버와 이면 커버를 끼워 맞춰지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특허문헌 1에, 전면 커버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구멍에 이면 커버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고정 클로(claw)를 삽입하여, 전면 커버와 이면 커버를 나사 고정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l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복수의 고정 클로 각각에 나사가 고정되기 때문에, 장치의 중량이 증가하게 되는 동시에, 제조 비용도 상승하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제 1 커버의 단면에 구멍을 뚫어서 제 2 커버의 단면에 설치된 돌기를 삽입하고, 또한, 제 1 커버의 내면 측에 고정된 리브(rib)에 외측으로 돌출한 돌기를 설치하여, 그 돌기를 제 2 커버에 설치된 구멍에 삽입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면, 제 1 커버 및 제 2 커버에 대하여 서로 교차하는 2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나사 고정을 하지 않고 2개의 커버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0-7114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2-24476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제 1 커버와 제 2 커버에 더하여, 별도의 부재인 리브가 더 설치되기 때문에, 표시 패널을 둘러싸고 있는 프레임의 폭이 넓어지게 되어, 표시 화면의 크기에 대하여 표시 하우징이 대형화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장치의 소형·경량화와, 표시 화면의 대형화를 양립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표시 장치의 기본 형태는, 전면(前面)에 표시 화면을 갖는 표시 패널과, 표시 화면을 노출시켜서 표시 패널 전면 가장자리를 덮는 전면(前面) 프레임과, 전면 프레임의 가장자리로부터 표시 패널의 전체 둘레에 걸쳐 표시 패널의 측면으로 돌아 들어간 전면 리브(rib)를 갖는 전방 커버, 및, 표시 패널 배면(背面)을 덮는 후면 플레이트(plate)와, 후면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표시 패널 전체 둘레에 걸쳐 표시 패널 측면으로 돌아 들어가서, 전면 리브와 공동으로 표시 패널의 측면을 덮는 후면 리브를 갖는 후방 커버로 이루어지는 표시 하우징을 구비하고, 전면 리브 및 후면 리브 중 한쪽의 제 1 리브가, 다른쪽의 제 2 리브에 대면한 제 1 단면(端面)과, 표시 패널의 측면을 따라 간격을 비워 복수 형성된, 상기 제 1 단면 및 내면 양쪽으로 개구(開口)된 오목부를 갖는 동시에, 제 2 리브가, 제 1 리브에 대면하는 제 2 단면과, 오목부에 대응하여 간격을 비워 복수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갖고, 오목부와 돌출부가 형성된, 표시 패널의 측면을 따른 복수의 제 1 영역에서는, 돌출부가 오목부에 삽입되는 동시에 제 1 단면과 제 2 단면이 서로 맞닿아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고, 표시 패널의 측면을 따른, 제 1 영역과 다른 제 2 영역에서는, 제 1 단면과 제 2 단면이 서로 맞닿는 동시에, 제 1 리브가 제 2 단면으로부터 제 2 리브의 내측으로 돌출하여 제 2 리브의 내측에 중첩되는 중첩부를 갖는다.
이 표시 장치의 기본 형태에 의하면, 제 1 영역에서는 제 1 리브에 설치된 오목부에 제 2 리브에 설치된 돌출부가 삽입됨으로써, 제 2 리브를 내측으로 하여 제 1 리브와 제 2 리브가 중첩되고 있고, 제 2 영역에서는 제 1 리브를 내측으로 하여 제 1 리브와 제 2 리브가 중첩되고 있다. 따라서, 전면 리브 및 후면 리브가 서로 중첩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기 때문에, 별도의 부재인 리브를 이용하지 않고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를 고정할 수 있어서, 장치의 소형·경량화와, 표시 화면의 대형화를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표시 장치의 기본 형태에 대하여, 상기 제 1 리브가 제 2 영역 중 일부 영역에서 중첩부의 선단 근방에 바깥쪽으로 돌출한 결합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 2 리브가 일부 영역에서, 결합 돌출부보다도 제 1 단면 측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 넣어지는 감입(嵌入) 돌출부를 갖는다고 하는 응용 형태는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응용 형태에 의하면,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의 전후 방향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표시 장치의 기본 형태에 대하여, 상기 제 2 영역 하나 분(分) 의, 표시 패널의 측면을 따른 방향의 폭이, 상기 제 1 영역 하나 분의, 표시 패널의 측면을 따른 방향의 폭 쪽보다도 광폭(廣幅)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하는 응용 형태는 바람직하다.
이 적합한 표시 장치의 응용 형태에 의하면, 오목부가 설치된 제 1 영역끼리의 사이의 거리가 넓게 열리는 것으로 되어, 표시 하우징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전자 기기의 기본 형태는, 상기의 어느 한쪽에 기재된 표시 장치와, 표시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 장치에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처리 회로를 구비하였다.
이 전자 기기의 기본 형태에 의하면,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의 감합 부분을 소형화할 수 있고, 장치의 소형·경량화와, 표시 화면의 대형화를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자 기기의 기본 형태에 대하여, 정보 처리 회로를 수용하는 본체 하우징과,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표시 하우징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응용 형태는 바람직하다.
표시 장체와 본체 하우징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전자 기기는 작게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운반되는 경우가 많아서, 장치의 소형·경량화와, 표시 화면의 대형화를 양립하는 것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전자 기기의 기본 형태에 의해,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의 기본 형태에 의하면, 장치의 소형·경량화와, 표시 화면의 대형화를 양립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기본 형태 및 응용 형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상술한 전자기기의 구체적인 제 1 실시예인 퍼스널 컴퓨터(10)의 외관도이다.
퍼스널 컴퓨터(10)는 본체 유닛(20)과 표시 유닛(30)을 구비하고 있고, 표시 유닛(30)은 힌지(hinge)부(40)에 의해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체 유닛(20)은 본 실시예에서의 본체부의 일례에 상당하고, 표시 유닛(30)은 본 실시예에서의 표시부의 일례에 상당하며, 힌지부(40)는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1에는, 표시 유닛(30)이 열린 상태의 퍼스널 컴퓨터(10)를 전방(前方)으로부터 본 도면이 나타내져 있다.
본체 유닛(20)은 각종 정보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고, 본체 하우징(28)의 내부에 CPU나 하드디스크 등이 수용되어 있다. 본체 하우징(28)은 고(高)강도인 금속제의 상부 케이스(28A)와 하부 케이스(28B)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28A)의 상면에는, 복수의 키(key)(21)가 나열된 키보드, 트랙 패드(22), 좌측 클릭 버튼(23), 및 우측 클릭 버튼(24) 등이 구비되어 있고, 또한, 상부 케이스(28A)의 전방에는, 손가락 끝을 스캔함으로써 지문 인증을 행하는 지문 센서(25)와, 소형 기록 매체가 장전되는 매체 장전구(26)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 유닛(30)은 본체 유닛(20)에서 실행된 정보 처리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표시 하우징(32)의 내부에, 박형(薄型)의 액정 패널이나, 액정 패널용의 제어 회로나, 통신용의 안테나 등이 수용되어 있다. 표시 하우징(32)은 전방 커버(32A) 및 후방 커버(32B)(도 2 참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액정 패널은 표시 화면(31)을 앞쪽으로 하여 전방 커버(32A) 및 후방 커버(32B)에 의해 전후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또한, 표시 유닛(30)은 각종 전자 부품을, 액정 패널의 옆쪽이 아니라 뒤쪽에 배치함으로써, 표시 하우징(32)의 측면 부근에까지 표시 화면(31)을 확장시킨 와이드(wide)형의 표시 장치이다.
도 2는 퍼스널 컴퓨터(10)의 한쪽 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체 유닛(20)의 한쪽 면에는, 와이어 케이블이 부착된 록(lock)용의 시큐리티 슬롯(security slot)(26a), 전원 모듈용의 커넥터(26b), 외부 부착 모니터용의 커넥터(26c), LAN 케이블용의 커넥터(26d), USB용의 커넥터(26e, 26f), 오디오 잭용의 커넥터(26g), 마이크로폰용의 커넥터(26h), 및 헤드폰용의 커넥터(26i)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퍼스널 컴퓨터(10)의 도 2와는 반대 측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체 유닛(20)의 도 2와는 반대 측의 측면에는, LAN 카드 등과 같은 기능 확장용의 확장 카드를 장전하기 위한 확장 카드 장전구(27a), CD나 DVD 등의 광 디스크를 장전하기 위한 광 디스크 장전구(27b), USB용의 커넥터(27c), 및 모뎀용의 커넥터(27d)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퍼스널 컴퓨터(10)의 배면도(背面圖)이다.
퍼스널 컴퓨터(10)의 배면에는, 전자 부품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放熱)하는 냉각 기구를 구성하는 흡기구(29a)와 배기구(29b)가 설치되어 있다. 흡기구(29a)가 배기구(29b)보다도 상측에 설치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10)의 저면 부근에 축적된 열이 흡기구(29a)로부터 흡입되게 되는 결함을 경감할 수 있고, 퍼스널 컴퓨터(10)를 계속 사용해도 방열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 유닛(20)에는, 전력 공급용의 전지 팩(50)이 끼워 맞춰져 있다. 전지 팩(50)은 본 실시예에서의 전지 팩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5는 퍼스널 컴퓨터(10)의 저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퍼스널 컴퓨터(10)에는, 프린터 등의 주변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나 확장용의 하드디스크 장치가 탑재되고, 퍼스널 컴퓨터(10)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포트 리플리케이터(port replicator)가 접속된다. 퍼스널 컴퓨터(10)의 저면에는, 도 4에도 나타낸 전지 팩(50)이 노출되어 있고, 본체 하우징(28)에 형성된 관통 구멍(61)으로부터는, 포트 리플리케이터의 커넥터와 접속되는 확장용 커넥터(60)가 노출되어 있다.
이어서, 퍼스널 컴퓨터(1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퍼스널 컴퓨터(10)의 내부 구성도이다.
퍼스널 컴퓨터(10)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101), 하드디스크 장치(103)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판독되어 CPU(101)에서의 실행을 위해 전개되는 주(主)메모리(102),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이 보존된 하드디스크 장치(103), 마이크로폰이나 스피커 등이 탑재된 오디오 디바이스(104),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인터페이스(105), 키보드나 트랙 패 드(22) 등을 포함하는 조작자(106), 표시 화면(21)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107), 도 1에도 나타낸 지문 센서(25), 소형 기록 매체(61)가 장전되고, 장전된 소형 기록 매체(61)를 액세스하는 소형 메모리 드라이브(109), CD-ROM(62)이나 DVD가 장전되고, 그 장전된 CD-ROM(62)이나 DVD를 액세스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110), 확장 카드(63)를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111), 및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112), 상술한 확장용 커넥터(60) 등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들 각종 요소는 버스(113)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퍼스널 컴퓨터(10)는, 장치의 소형·경량화와 내(耐)충격성의 향상을 실현하기 위한 수많은 연구가 실시되고 있다. 우선은, 본체 유닛(20)에서의 소형·경량화의 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전지 팩(50)을 분리한 경우의 퍼스널 컴퓨터(10)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체 하우징(28)의 하부 케이스(28B)에는, 퍼스널 컴퓨터(10)의 측면으로부터 저면에 걸친 노치(28a)가 형성되어 있다. 전지 팩(50)이 본체 하우징(28)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면에 복수의 키(21)가 나열된 키보드 등이 탑재되는 구획 판(75)이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노치(28a)에 의해 형성된 공간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용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전지 팩(50)은 본체 하우징(28)과 대향하는 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51)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돌기(52)가 설치되어 있다. 홈(51)은 본 실시예에서의 「전지 팩의 홈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본체 하우징(28)은 구획 판(75)의 하면에 전지 팩(50)의 홈(51)과 끼워 맞춰지는 돌기부(74)가 설치되어 있고, 노치(28a)의 한쪽 면 측에, 전지 팩(50)으로부터 전력을 입력하기 위한 전력 입력 단자(71)와, 전지 팩(50)의 돌기(52)가 삽입되는 오목부(72)가 형성되어 있으며, 노치(28a)의 다른 쪽 면 측에는, 전지 팩(50)에 설치된 클로(54)(도 10 참조)가 끼워 넣어지는 오목부(73)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하우징(28)의 돌기부(74)가 전지 팩(50)의 홈(51)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전지 팩(50)을 본체 하우징(28)에 대하여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전지 팩(50)의 장착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전지 팩(50)의 흔들림을 경감할 수 있다. 돌기부(74)는 본 실시예에서의 「전지 팩의 홈부와 끼워 맞춰지는 돌기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8은 전지 팩(50)을 분리한 상태에서의 하부 케이스(28B)의 저면도이다.
하부 케이스(283)에는 노치(28a)가 형성되어 있고, 전지 팩(50)은 이 노치(28a)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저면과 일 측면이 퍼스널 컴퓨터(10)의 외면에 노출된다. 이와 같이, 전지 팩(50)의 일부를 퍼스널 컴퓨터(10)의 외면에 노출시킴으로써, 노치(28a)에 상당하는 만큼의 본체 하우징(28)의 벽을 생략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9는 전지 팩의 투과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 팩(50)에는, 원통 형상을 갖는 복수의 셀(53)이 중심축을 화살표 A 방향으로 정렬하여 나란히 수용되어 있다. 셀(53)은 본 실시예에서의 셀의 일례에 상당한다. 전지 팩(50)의 내부에서는, 인접하는 셀(53) 사이에 간극이 생겨 있고, 전지 팩(50)의 외면에는, 그 간극에 대하여 오목한 홈(5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셀(53) 사이에 생긴 간극을 이용하여 홈(5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를 대형화하지 않고 충분히 깊게 긴 홈(51)을 형성할 수 있고, 전지 팩(50)의 흔들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홈(51)은 일단 측이 전지 팩(50)의 면 내에서 중단되어 있고, 그 일단 측의 내부 공간(P)에는, 전력 출력 단자(55)(도 10 참조)나 기판 등과 같은 전자 부품이 수용되어 있다. 한편, 홈(51)의 타단 측은 전지 팩(50)의 측면까지 연장되고, 홈(51)의 길이는 도 7에 나타낸 돌기부(74)보다도 길다. 홈(51)이 전지 팩(50)의 에지까지 연장됨으로써, 전지 팩(50)을 본체 하우징(28)에 장착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전지 팩(50)과 본체 하우징(28)의 결합 면적이 증가하여, 전지 팩(50)의 흔들림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0은 전지 팩의 한쪽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전지 팩의 도 10과는 반대 측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 팩(50)의 한쪽 면에는, 도 7에 나타낸 오목부(73)에 끼워 넣어지는 클로(54)가 설치되어 있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 팩(50)의 도 10과는 반대 측의 측면에는, 도 7에 나타낸 전력 입력 단자(71)와 접속되고, 퍼스널 컴퓨터(10)에 전력을 출력하기 위한 전력 출력 단자(55)와, 본체 하우징(28)의 오목부(72)에 삽입되는 돌기(52)가 설치되어 있다. 전력 출력 단자(55)는 본 실시예에서의 전력 출력 단자의 일례에 상당하고, 돌기(52)는 본 실시예에서의 「전지 팩에 설치된 돌기부」의 일례에 상당하며, 클로(54)는 본 실시예 에서의 가압 고정 클로의 일례에 상당한다. 전지 팩(50)의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측면에 클로(54)나 돌기(52)가 설치되고, 전지 팩(50)이 길이 방향의 양단 측에서 본체 하우징(28)에 대하여 고정됨으로써, 전지 팩(50)을 본체 하우징(28)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장치의 대형화나 중량의 증가를 억제하고, 전지 팩(50)을 올바르게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장착 후의 전지 팩(50)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에 나타낸 구획 판(75)의 상면 측에서의 장치의 소형·경량화의 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구획 판(75)의 상면에 설치되는 키보드와 조작자 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획 판(75)의 상면에는, 복수의 키(21)가 나열된 키보드(90)나, 각종 버튼이 나열된 조작자 보드(80)가 배치된다. 조작자 보드(80) 및 키보드(90)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전자 부품의 일례에 상당하는 동시에, 키보드(90)는 본 실시예에서의 키보드의 일례에도 상당한다.
도 13은 퍼스널 컴퓨터(10)로부터 조작자 보드(80)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퍼스널 컴퓨터(10)로부터 조작자 보드(80)와 키보드(90)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퍼스널 컴퓨터(10)로부터 조작자 보드(80)나 키보드(90)를 분리하면, 구획 판(75)의 상면이 노출된다. 구획 판(75)의 상면에는, 스피커(210)가 설치되어 있 고, 스피커(210)는 케이블(211)에 의해 제어 회로(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스피커(210)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전자 부품의 일례에 상당하는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의 스피커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돌기부(74)는 구획 판(75)의 상면 측으로부터 내부가 관통되어 있고, 구획 판(75)의 상면 측에 오목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74')는 본 실시예에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오목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15는 오목부(74')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74')에는, 스피커(210)에 접속된 케이블(211)이 배열 설치되어 있고, 테이프(211')에 의해 케이블(211)이 오목부(7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211)은 조작자 보드(80) 및 키보드(90)에 의해 덮여, 오목부(74')에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지 팩(50)을 장착하기 위한 돌기(74)의 내부 공간이 관통된 오목부(74')를 이용함으로써, 케이블(211)을 배선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돌기(74)의 전지 팩(50)과 대향하는 면의 이면 측이 관통되어 케이블(211)이 배선됨으로써, 전지 팩(50)의 착탈 시에 케이블(211)을 손상시키게 되는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전지 팩(50)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돌기(74)의 내부 공간을 이용함으로써, 장치의 대형화나 중량의 증가를 억제하고, 케이블(211)을 배선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획 판(75)의 전지 팩(50)이 수용되어 있 는 부분에는, 복수의 탄성편(彈性片)(214)과 구멍(213)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구멍(213) 사이에 형성되는 하우징 부분(215)과 탄성편(214)은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탄성편(214)은 본 실시예에서 가리키는 탄성편의 일례에 상당하고, 하우징 부분(215)은 본 실시예에서 가리키는 「구멍 사이에 존재하는 하우징의 부분」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16은 구획 판(75)의 전지 팩(50)과 대향하는 하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전지 팩(50)이 수용된 상태에서의 구획 판(75)의 상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편(214) 및 하우징 부분(215)에는, 전지 팩(50)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 돌기(214', 215')가 설치되어 있고, 탄성편(214)의 돌기(214')는 하우징 부분(215)의 돌기(215')보다도 연장 돌출량이 크다. 탄성편(214)의 돌기(214')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돌기부의 일례에 상당하고, 하우징 부분(215)의 돌기(215')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돌기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편(214) 및 하우징 부분(215)은 각각으로부터 전지 팩(50)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 돌기(214', 215')를 구비하고 있고, 돌기(214', 215')는 전지 팩(50)이 수용된 상태에서 전지 팩(50)과 각각 소정의 간극이 생기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탄성편(214)의 돌기(214')는 하우징 부분(215)의 돌기(215')보다도 연장 돌출량이 크기 때문에, 전지 팩(5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하우징 부분(215)의 돌기(215')와 전지 팩(5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보다 좁아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전지 팩(50)은 제조 편차에 의해 그 외형 사이즈가 사양과 상이해진다. 이러한 제조 편차에 의해 전지 팩(50)의 외형 사이즈가 사양보다 약간 클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편(214)의 돌기(214')만이 전지 팩(50)에 접촉하고, 전지 팩(50)의 사이즈 오차를 흡수한 상태에서 적절하게 전지 팩(50)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 부분(215)과 전지 팩(50)이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전지 팩(50)이 하우징 부분(215)과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전지 팩(50)의 파손이나 퍼스널 컴퓨터(1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탄성편(214)의 돌기(214')가 전지 팩(50)을 가압함으로써, 전지 팩(50)의 흔들림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탄성편(214) 및 하우징 부분(215)의 상부에는, 도 12에 나타낸 키보드(9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 부분(215)에 전지 팩(50)이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탄성편(214)만으로 전지 팩(50)의 사이즈 오차를 흡수함으로써, 하우징 부분(215) 상에 탑재되는 키보드(90)를 조작하는 사용자에게 위화감이 없는 키의 두드림 감각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키보드는 탄성편(214)이 제한 없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전지 팩(50)의 외형 사이즈가 설계 사양보다 더 클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전지 팩(50)은 탄성편(214)과 하우징 부분(215)의 쌍방에 접촉하게 된다. 이 탄성편(214)은 구획 판(75)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그 일단 만이 구획 판(75)에 연결된 것이고, 그것에 대해, 하우징 부분(215)은 그 양단이 구획 판(75)에 연결된 것으로 된다. 따라서, 탄성편이 하우징 부분과 동일한 폭이면, 탄성편이 발생시키 는 탄성력은 작은 것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편(214)의 폭(W1)은 하우징 부분(215)의 폭(W2)보다도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탄성편(214)과 하우징 부분(215)이 균등하게 변형되어 양자(兩者)가 발생시키는 탄성력이 균등해지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 균등한 힘으로 전지 팩(50)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탄성편(214) 및 하우징 부분(215)은 키(21)를 하부로부터 지지하게 되어, 각 키(21)를 누른 때에 동일한 클릭감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지 팩의 사이즈 오차가 작을 경우에는, 구획 판(75)(하우징)과는 독립적으로 변형되는 탄성편(214)의 돌기(214')만이 전지 팩(50)에 접촉하여 그 사이즈 오차를 흡수함으로써, 키보드의 조작 시에 사용자가 느끼는 위화감을 배제하고 있다. 또한, 전지 팩(50)의 사이즈 오차가 클 경우에는, 탄성편(214)의 돌기(214') 및 하우징 부분(215)의 돌기(215')의 쌍방이 전지 팩(50)에 접촉함으로써, 강한 탄성력으로 전지 팩(50)에 대항하도록 기능하고, 사이즈 오차를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획 판(75)에는, 키보드(90)의 키(21)에 상당하는 위치에, 8각형의 구멍(212)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구멍(212)은 본 실시예에서의 「하우징의 구멍」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18은 키(21)와 구멍(212)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보드(90)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21)는 사각형을 갖고 있고, 구멍(212)은 8각형의 상하 2변을 각 키(21)의 상하 2변과 맞춰, 각 키(21)의 좌우 2변이 8각형의 중심 부분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인접하는 구멍(212) 사이에 존재하는 하우징 부분의 상부에 키(21)의 중심이 위치하게 되어, 강도를 유지하여 구획 판(75)을 경량화할 수 있는 동시에, 키(21)를 눌렀을 때의 클릭감을 유지하여 키보드(90)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키보드(90)를 고정하는 강도를 유지하고, 장치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획 판(75)은 이 8각형의 구멍(212)에 이어서 전지 팩(50)과 대향하는 하면 측에 구멍(212)과 동일한 형상의 8각형의 프레임을 구비한다. 이 8각형의 프레임은 하우징을 더 강도(强度)로 하여, 키보드(90)를 고정하는 강도의 증가에 기여한다.
이어서, 도 7에 나타낸 구획 판(75)의 하면 측에서의 각종 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획 판(75)의 키보드(90)가 탑재되는 상면 측의 이면인 하면 측에는, 전지 팩(50)이 탑재되는 동시에, CPU(101)나 하드디스크 장치(103) 등과 같은 각종 전자 부품이 탑재된다.
도 19는 구획 판(75)의 하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획 판(75)의 하면은 리브(rib) 등에 의해 전자 부품을 끼워 넣기 위한 스페이스가 구획되어 있고, 구획 판(75)의 하면에 전자 부품이 고정되어, 도 8에 나타낸 하부 케이스(28B)가 장착됨으로써 전자 부품이 수용된다. 구획 판(75)과 상부 케이스(28A)를 맞춘 것은 본 실시예에서의 하우징 프레임의 일례에 상당하고, 하부 케이스(28B)는 본 실시예에서의 하우징 커버의 일례에 상당한다. 구획 판(75)에는, 마더보드(300A)가 나사 고정되어 있고, 마더보드(300A)에는, 보조 기판(300B)이 중첩되어 있다. 또한, 마더보드(300A)에는, 냉각 팬(320), 하드디스크(310)(도 6에 나타낸 하드디스크 장치(103)를 구성함), 제어 회로(340), IC칩(330) 등이 탑재되어 있고, 보조 기판(300B)으로부터는, 도 5에도 나타낸 확장용 커넥터(60)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하드디스크(310)와 제어 회로(340)는 구부러진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50)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마더보드(300A) 상의 전자 부품과 보조 기판(300B) 상의 전자 부품도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3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 20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50) 부근의 확대도이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50)은 하드디스크(310)의 커넥터(도시 생략)에 접속되는 제 1 커넥터(도시 생략)를 갖고 있고, 또한, 제 1 커넥터가 하드디스크(310)에 접속된 상태에서 퍼스널 컴퓨터(10)의 배면 측으로 구부러진 광폭부(351)와, 광폭부(351)로부터 하드디스크(310)와의 접속 방향을 향하여 구부러지고, 광폭부(351)에 중첩되어 제어 회로(340)를 향하여 연장된 연장부(352)와, 제어 회로(340)의 커넥터와 접속되는 제 2 커넥터(353)와, 광폭부(351)로부터 연장부(352)와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판(354)을 갖고 있다. 하드디스크(310)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50)은 완충재(312)가 설치된 상자 형상의 플라스틱 케이스(311)에 수용되어 있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50)의 보강판(354) 및 연장부(352)는 플라스틱 케이스(311)의 상면과 측면의 경계선 상에 형성된 노치를 통하여 플라스틱 케이스(311)의 외측에 노출되고, 제어 회로(340) 등에 접속되어 있다. 플라스틱 케이스(311)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50)은 본 실시예에서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일례에 상당하고, 보강판(354)은 본 실시예에서의 보강판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21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50)의 보강판(354)을 젖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마더보드(300A)에는, 동일한 모델의 퍼스널 컴퓨터에 표준적으로 탑재되는 IC칩(330)에 더하여, 시큐리티 기능을 추가할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추가되는 추가 IC칩(360)도 탑재되어 있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50)의 보강판(354)에는, 마더보드(300A)에 실장된 커넥터(370)에 접속되는 제 3 커넥터(356)가 설치되어 있고, 보강판(354)은 제 3 커넥터(356)가 설치된 위치보다도 더 길게 연장되어 추가 IC칩(360) 상에 피복된다. 따라서, 나사나 땜납을 사용하여 추가 IC칩(360)을 고정하지 않아도, 추가 IC칩(36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마더보드(300A)에 실장된 커넥터(370)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접속부의 일례에 상당하고,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50)의 제 3 커넥터(356)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접속부의 일례에 상당하며, 추가 IC칩(360)은 본 실시예에서의 「기판에 선택적으로 탑재되는 부품」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22는 도 8에 나타낸 하부 케이스(28B)의 평면도이다.
하부 케이스(28B)의 상면에는, 상부 케이스(28A)에 장착된 때에, 마더보드(300A)의 커넥터(37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 2 돌기(382)와, 추가 IC칩(360)의 탑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 1 돌기(381)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돌기(381) 및 제 2 돌기(382)는 본 실시예에서의 「보강판에 맞닿는 돌기부 」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19에 나타낸 마더보드(300A)나 보조 기판(300B)은 하부 케이스(28B)의 상면에 설치된 나사 등에 의해 가압되어 있고, 각종 IC칩(330)은 그들 마더보드(300A)나 보조 기판(300B)에 납땜되어 있다. 옵션의 기능을 추가할 때에는, 추가 IC칩(360)이 마더보드(300A)에 접속되고,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50)의 보강판(354)이 피복된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28B)가 장착된다. 그 결과, 하부 케이스(28B)의 제 1 돌기(381)가 보강판(354)을 통하여 마더보드(300A)의 커넥터(370)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50)의 제 3 커넥터(356)를 가압하고, 하부 케이스(28B)의 제 2 돌기(382)가 보강판(354)을 통하여 추가 IC칩(360)을 가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 케이스(28B)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고 확실하게 추가 IC 칩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드디스크(310)는 완충재(312)가 설치된 상자 형상의 플라스틱 케이스(311)에 수용되어 있다. 플라스틱 케이스(311)는 본 실시예에서의 상자 형상 케이스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23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50)이 접속된 하드디스크(310)의 하부 케이스(28B)와 대향하는 하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4는 하드디스크(310)의 상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드디스크(310)에는, 구부러진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50)이 접속되어 있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50)은 하드디스크(310)의 하부 케이스(28B)와 대향하는 면에 광폭부(351)가 확장되고, 연장부(352)가 구부러져 광폭부(351)와 중첩되어 있으며, 보강판(354)이 연장부(352)와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광폭부(351)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부위의 일례에 상당하고, 연장부(352)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부위의 일례에 상당하며, 보강판(354)은 본 실시예에서의 제 3 부위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플라스틱 케이스(311)에는, 하드디스크(310)의 하면, 상면 각각과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완충재(312, 314)가 설치되어 있고, 하면 측에, 하드디스크의 커넥터가 설치된 한쪽 면(401) 측으로부터, 한쪽 면(401)과는 반대 측의 다른 쪽 면(402) 측을 향하여 젖혀 올리기 위한 노치(313)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313)가 형성됨으로써,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50)을 용이하게 플라스틱 케이스(311) 내에 수용할 수 있다. 하부 커버(32B)와 접촉하는 완충재(312)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완충재의 일례에 상당하고, 구획 판(75)과 대향하는 완충재(314)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완충재의 일례에 상당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드디스크(310)에 접속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50)이 하드디스크(310)와 하부 커버(32B) 사이에 구부러진 상태로 삽입되기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10)가 낙하된 경우 등에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50)이 쿠션으로 되어 충격을 흡수한다. 따라서, 대량의 완충재 등을 설치하지 않고, 하드디스크(310)에 가해지는 충격을 경감할 수 있어, 하드디스크(310)의 고장이나 파손과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9에 나타낸 확장용 커넥터(6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더보드(300A)에는, 보조 기판(300B)이 중첩되어 있고, 보조 기판(300B)으로부터 확장용 커넥터(60)가 돌출되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28)의 관통 구멍(61)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도 25는 확장용 커넥터(60)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더보드(300A)와 보조 기판(300B) 사이에는 단차(段差)가 설치되어 있고, 보조 기판(300B)은 마더보드(300A)에 비하여 하부 케이스(28B)에 가까운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26은 보조 기판(300B)의 하부 케이스(28B)와 대향하는 하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7은 보조 기판(300B)의 상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조 기판(300B)에는, 하면 측에 확장용 커넥터(60)가 실장되어 있고, 상면 측에 보조 기판(300B)을 삽입하여 확장용 커넥터(60)와 중첩되는 연결용 커넥터(410)가 실장되어 있다. 확장용 커넥터(60)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3 커넥터의 일례에 상당하고, 연결용 커넥터(410)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커넥터의 일례에 상당하며, 보조 기판(300B)은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기판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28은 마더보드(300A)의 보조 기판(300B)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마더보드(300A)의 하부 케이스(28B)와 대향하는 하면 측에는, 도 27에 나타낸 보조 기판(300B)의 연결용 커넥터(410)가 접속되는 본체 측 커넥터(420)가 실장되어 있다. 본체 측 커넥터(420)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커넥터의 일례에 상당하고, 마더보드(300A)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기판의 일례에 상당한다.
마더보드(300A)에 보조 기판(300B)이 접속될 때에는, 마더보드(300A)의 본체 측 커넥터(420)에 보조 기판(300B)의 연결용 커넥터(410)가 장착됨으로써, 본체 측 커넥터(420), 보조 기판(300B), 및 확장용 커넥터(60)가 중첩되어 결합되게 되고, 마더보드(300A)와 포트 리플리케이터를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긴 커넥터를 특별히 제조할 필요가 없으며, 비용을 억제하여 포트 리플리케이터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도 29는 확장용 커넥터(60)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더보드(300A)와 보조 기판(300B)에는, 본체 측 커넥터(420), 보조 기판(30OB), 및 확장용 커넥터(60)에 더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30)을 사용하여, 각각의 기판 상에 실장된 전자 부품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431, 432)가 설치되어 있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30)은 본 실시예에서의 신호선의 일례에 상당한다.
마더보드(300A) 및 보조 기판(300B) 각각에 탑재된 전자 부품 사이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30)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30은 포트 리플리케이터(500)의 외관도이고, 도 31은 포트 리플리케이터(500)에 퍼스널 컴퓨터(10)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트 리플리케이터(500)의 상면에는, 퍼스널 컴퓨터(10)가 장착된 때에 퍼스널 컴퓨터(10)의 확장용 커넥터(60)와 결합되는 커넥터(510)가 돌출되어 있다. 커넥터(510)는 본 실시예에서의 외부기기 측 커넥터의 일례에 상당한다. 포트 리플리케이터(500)에 대하여 퍼스널 컴퓨터(10)를 착탈할 때에는, 확장용 커넥터(60)가 강한 힘에 의해 가압 인장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 측 커넥터(420), 보조 기판(300B), 및 확장용 커넥터(60)가 중첩되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가 높아지고 있고, 퍼스널 컴퓨터(10)를 반복 착탈하는 것에 의한 확장용 커넥터(60)의 흔들림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어서, 표시 유닛(30)에서의 소형·경량화의 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2는 표시 유닛(30)의 측면도이다.
표시 유닛(30)은 전방 커버(32A)와 후방 커버(32B) 사이에 액정 패널(610)이 수용되어 있다. 전방 커버(32A)는 본 실시예에서의 전방 커버의 일례에 상당하고, 후방 커버(32B)는 본 실시예에서의 후방 커버의 일례에 상당하며, 액정 패널(610)은 본 실시예에서의 표시 패널의 일례에 상당한다.
전방 커버(32A)는 액정 패널(610)의 전면(前面) 측의 가장자리를 덮는 전면(前面) 프레임부(610A)와, 액정 패널(610)의 측면 측으로 돌아 들어간 전면 리브부(610B)로 구성되어 있고, 전면 리브부(610B)의 후방 커버(32B)와 대면하는 후단(後端) 면에는, 서로 거리를 두고 복수의 돌기(630)가 설치되어 있다. 전면 프레임부(610A)는 본 실시예에서의 전면 프레임의 일례에 상당하고, 전면 리브부(610B)는 본 실시예에서의 전면 리브의 일례에 상당하며, 돌기(630)는 본 실시예에서의 「오목부에 삽입되는 돌출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전면 리브부(610B)가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리브의 일례에 상당하는 동시에, 전방 커버(32A)의 후단 면은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단면의 일례에 상당한다.
후방 커버(32B)는 전면 리브부(610B)와 결합으로써 액정 패널(610)의 측면 및 배면을 덮고 있다. 전면 리브부(610B)와 대면(對面)하는 전단 면은 액정 패널(610)에 가까운 내측이 높은 단차로 형성되어 있고, 단차의 상단 부분(640)에, 하단 부분보다도 오목하게 전면 리브부(610B)의 돌기(630)가 삽입되는 오목부(650)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650)는 본 실시예에서의 오목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이 예에서는, 후방 커버(32B)의 액정 패널(610)의 측면을 덮는 부분이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리브의 일례에 상당하는 동시에, 후방 커버(32B)의 전단 면은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단면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33은 후방 커버(32B)에 부착된 액정 패널(6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커버(32B)의 오목부(650)는 후방 커버(32B)의 측변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고, 전단 면 및 내면의 쌍방으로 개구(開口)되어 있다.
도 34는 전방 커버(32A)와 후방 커버(32B)의 결합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2에도 나타낸 전방 커버(32A)의 돌기(630)에는, 중앙 부분에 선(線) 형상 돌기(631)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650)의 치수 오차를 흡수하고 있다. 전방 커버(32A)는 프레임 부분(660)이 후방 커버(32B)의 전단 면에 형성된 단차의 하단 부분에 맞닿고, 프레임 부분(660)의 내측에 후방 커버(32B)의 상단 부분(640)이 삽입된다. 상단 부분(640)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볼록부(641)가 설치되어 있고, 프레임 부분(660)에 설치된 볼록부(661)(도 37 참조)와 끼워 맞춰진다. 또한, 전방 커버(32A)의 돌기(630)는 후방 커버(32B)의 오목부(650)에 삽입된다.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650)의 폭(W3)은 상단 부분(640)의 폭(W4)보다도 좁기 때문에, 표시 하우징(32)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5는 후방 커버(32B)의 상단 부분(640)에 볼록부(64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제 1 영역에서의 표시 유닛(30)의 단면도이다.
도 35에 나타낸 제 1 영역에서는, 전방 커버(32A)의 프레임 부분(660)이 후방 커버(32B)의 단차의 하단 부분에 맞닿고, 또한, 후방 커버(32B)의 상단 부분(640)이 전방 커버(32A)의 프레임 부분(660)보다도 내측으로 삽입되어 중첩되어 있다.
도 36은 전방 커버(32A)의 돌기(630)가 설치된 제 2 영역에서의 표시 유닛(30)의 단면도이다.
도 36에 나타낸 제 2 영역에서는, 전방 커버(32A)의 프레임 부분(660)이 후방 커버(32B)의 단차의 하단 부분에 맞닿는 동시에, 후방 커버(32B)의 내측에 하단 부분보다도 더 오목한 오목부(65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오목부(650)에, 전방 커버(32A)의 프레임 부분(660)보다도 내측에 설치된 돌기(630)가 삽입되어 있다. 그 결과, 전방 커버(32A)의 돌기(630)가 후방 커버(32B)의 오목부(650)의 내측에 삽입되어 중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35에 나타낸 제 1 영역에서는, 후방 커버(32B)를 내측으로 하여 전방 커버(32A)와 후방 커버(32B)가 중첩되어 있고, 도 36에 나타낸 제 2 영역에서는, 전방 커버(32A)를 내측으로 하여 전방 커버(32A)와 후방 커버(32B)가 중첩되어 있다. 따라서, 전방 커버(32A)와 후방 커버(32B)가 서 로 중첩 방향의 이동을 서로 규제하여 맞추기 때문에, 별도의 부재인 리브를 사용하지 않고 전방 커버(32A)와 후방 커버(32B)를 고정할 수 있으며, 장치의 소형·경량화와, 표시 화면의 대형화를 양립할 수 있다.
도 37은 후방 커버(32B)의 상단 부분(640)에 볼록부(641)가 설치된 제 3 영역에서의 표시 유닛(30)의 단면도이다.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영역에서는, 도 35에 나타낸 제 1 영역과 비교하여, 후방 커버(32B)의 상단 부분(640)에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641)가 설치되어 있고, 전방 커버(32A)의 프레임 부분(660)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661)가 설치되어 있다. 그들 볼록부(641, 661)가 맞물림으로써, 전방 커버(32A)와 후방 커버(32B)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후방 커버(32B)의 볼록부(641)는 본 실시예에서의 결합 돌출부의 일례에 상당하고, 전방 커버(32A)의 볼록부(661)는 본 실시예에서의 감입(嵌入) 돌출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 하우징(32)의 액정 패널(610)의 에지를 둘러싸는 부분의 폭을 좁힐 수 있어, 장치의 소형·경량화와, 표시 화면의 대형화를 양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에서는, 「과제 해결 수단」에서 설명한 전자기기의 일례로서 퍼스널 컴퓨터가 나타내져 있지만, 이 전자기기는 노트북형 컴퓨터, PDA, 게임기, 텔레비전, 및 휴대 전화기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표시 패널로서 액정 패널을 예로 했지만, 액정 패널에 한하지 않고, 플라스마 디스플레이나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 그 표시 패널의 종류는 관계없다.
또한, 상기에서는, 키보드를 지지하는 구획 판의 복수의 키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8각형의 구멍을 뚫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어 원형의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퍼스널 컴퓨터에 설치된 키보드에서는, 키의 형상이 사각형인 것이 일반적이고, 구획 판에 8각형의 구멍이 형성됨으로써, 8개의 구멍의 에지 중 4개의 에지가 키를 구성하는 4개의 변 각각에 평행해지기 때문에, 강도를 유지하여 효율적으로 하우징을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구부려 하드디스크의 파손을 방지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실시예에에서 가리키는 제 1 전자 부품은 하드디스크 이외의 기계 구동식 전자 부품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기록 매체용의 드라이브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퍼스널 컴퓨터가 포트 리플리케이터에 접속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실시예에서 가리키는 기능 확장 장치로서는, 포트 리플리케이터뿐만 아니라, 광 디스크 드라이브나 확장 배터리 등을 내장하는 확장 스테이션이나 도킹 스테이션, 퍼스널 컴퓨터에 통신 기능을 부가하는 외부 부착 어댑터 등일 수도 있다.
도 1은 전자기기의 구체적인 제 1 실시예인 퍼스널 컴퓨터의 외관도.
도 2는 퍼스널 컴퓨터의 한쪽 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퍼스널 컴퓨터의 도 2와는 반대 측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퍼스널 컴퓨터의 배면도.
도 5는 퍼스널 컴퓨터의 저면도.
도 6은 퍼스널 컴퓨터의 내부 구성도.
도 7은 전지 팩을 분리한 경우의 퍼스널 컴퓨터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전지 팩을 분리한 상태에서의 하부 케이스의 저면도.
도 9는 전지 팩의 투과도.
도 10은 전지 팩의 한쪽 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전지 팩의 도 10과는 반대 측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구획 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키보드와 조작자 보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조작자 보드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조작자 보드와 키보드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오목부 부근의 확대도.
도 16은 구획 판의 전지 팩과 대향하는 저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전지 팩이 수용된 상태에서의 구획 판의 상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키와 구멍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구획 판의 하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부근의 확대도.
도 21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보강판을 젖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하부 케이스의 상면도.
도 23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 접속된 하드디스크의 하부 커버와 대향하는 하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하드디스크의 상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확장용 커넥터 부근의 확대도.
도 26은 보조 기판의 하부 커버와 대향하는 하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보조 기판의 상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마더보드의 보조 기판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확장용 커넥터 부근의 확대도.
도 30은 포트 리플리케이터의 외관도.
도 31은 포트 리플리케이터에 퍼스널 컴퓨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2는 표시 유닛의 측면도.
도 33은 후방 커버에 부착된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
도 34는 전방 커버와 후방 커버의 결합 부분의 확대도.
도 35는 후방 커버의 상단 부분에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제 1 영역에서의 표시 유닛의 단면도.
도 36은 전방 커버의 돌기가 설치된 제 2 영역에서의 표시 유닛의 단면도.
도 37은 후방 커버의 상단 부분에 볼록부가 설치된 제 3 영역에서의 표시 유닛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퍼스널 컴퓨터 20: 본체 유닛
21: 키 22: 트랙 패드
23: 좌측 클릭 버튼 24: 우측 클릭 버튼
25: 지문 센서 25a: 가이드
26: 매체 장전구 26a: 시큐리티 슬롯
26b, 26c, 26d, 26e, 26f, 26g, 26h, 26i, 27c, 27d: 커넥터
27a: 확장 카드 장전구 28: 본체 하우징
28A: 상부 케이스 28B: 하부 케이스
30: 표시 유닛 31: 표시 화면
32: 표시 하우징 32A: 전방 커버
32B: 후방 커버 40: 힌지부
101: CPU 102: 주메모리
103: 하드디스크 장치 104: 오디오 디바이스
105: 입력 인터페이스 106: 조작자
107: 표시 장치 109: 소형 메모리 드라이브
110: 광 디스크 드라이브 111: 통신 인터페이스
112: 출력 인터페이스 113: 버스
200: 액정 패널

Claims (5)

  1. 전면(前面)에 표시 화면을 갖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화면을 노출시켜서 상기 표시 패널 전면 가장자리를 덮는 전면(前面) 프레임과, 상기 전면 프레임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의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으로 돌아 들어간 전면 리브(rib)를 갖는 전방 커버, 및, 상기 표시 패널 배면(背面)을 덮는 후면 플레이트(plate)와, 상기 후면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표시 패널 측면으로 돌아 들어가서, 상기 전면 리브와 공동으로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덮는 후면 리브를 갖는 후방 커버로 이루어지는 표시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 리브 및 상기 후면 리브 중 한쪽의 제 1 리브가, 다른쪽의 제 2 리브에 대면한 제 1 단면(端面)과,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따라 간격을 비워 복수 형성된, 상기 제 1 단면 및 내면 양쪽으로 개구(開口)된 오목부를 갖는 동시에, 상기 제 2 리브가, 상기 제 1 리브에 대면하는 제 2 단면과,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여 간격을 비워 복수 형성된,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와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따른 복수의 제 1 영역에서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단면과 상기 제 2 단면이 서로 맞닿아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고,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따른, 상기 제 1 영역과 다른 제 2 영역에서는, 상기 제 1 단면과 상기 제 2 단면이 서로 맞닿는 동시에, 상기 제 1 리브가 상기 제 2 단면으로부터 상기 제 2 리브의 내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 2 리브의 내측에 중첩되는 중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브가 상기 제 2 영역 중 일부 영역에서 상기 중첩부의 선단 근방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결합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 2 리브가 상기 일부 영역에서, 상기 결합 돌출부보다도 상기 제 1 단면 측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 넣어지는 감입(嵌入)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 하나 분(分)의,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따른 방향의 폭이, 상기 제 1 영역 하나 분의,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따른 방향의 폭 쪽보다도 광폭(廣幅)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와,
    표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처리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회로를 수용하는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표시 하우징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80083754A 2007-12-28 2008-08-27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0989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339260 2007-12-28
JP2007339260A JP4888383B2 (ja) 2007-12-28 2007-12-28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930A true KR20090072930A (ko) 2009-07-02
KR100989085B1 KR100989085B1 (ko) 2010-10-25

Family

ID=40797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754A KR100989085B1 (ko) 2007-12-28 2008-08-27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07230B2 (ko)
JP (1) JP4888383B2 (ko)
KR (1) KR100989085B1 (ko)
CN (1) CN10147100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028A (ko) * 2014-04-24 201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임 결합 구조 및 그것이 적용된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6908A (ja) * 2009-05-29 2010-12-09 Victor Co Of Japan Ltd 筐体構造及び画像表示装置
US8456586B2 (en) 2009-06-11 2013-06-04 Apple Inc. Portable computer display structures
US8199477B2 (en) * 2009-06-11 2012-06-12 Apple Inc. Portable computers with spring-mounted displays
US8743309B2 (en) 2009-11-10 2014-06-03 Apple Inc. Methods for fabricating display structures
JP5494157B2 (ja) * 2010-04-12 2014-05-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用電気接続箱
CN102695016A (zh) * 2012-06-14 2012-09-26 昆山维金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屏固定条
JP6007000B2 (ja) * 2012-06-21 2016-10-12 矢崎総業株式会社 表示機器
US9176537B2 (en) 2013-03-15 2015-11-03 Intel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JP2015082638A (ja) * 2013-10-24 2015-04-27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JP6517490B2 (ja) * 2014-10-15 2019-05-22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住宅用分電盤ケース
CN110570760B (zh) * 2019-08-13 2022-01-0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柔性显示装置
JP7394340B2 (ja) * 2019-10-03 2023-1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US11637919B2 (en) 2019-12-03 2023-04-25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11522983B2 (en) 2019-12-03 2022-12-06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12003657B2 (en) 2021-03-02 2024-06-04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7542A (ja) 1996-05-09 1997-11-18 Toshiba Corp 表示装置およびこの表示装置を有する携帯形機器
JPH10301095A (ja) * 1997-04-23 1998-11-13 Citizen Watch Co Ltd 液晶表示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3348214B2 (ja) 1998-03-25 2002-11-20 株式会社ケンウッド Lcd取り付け構造及びそれに使用するlcdホルダ
KR100304256B1 (ko) * 1998-08-26 2002-07-18 윤종용 액정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 조립방법
JP2000071145A (ja) 1998-08-31 2000-03-07 Digital Electronics Corp タッチスクリーン付きfaコンピュータ
WO2000026888A1 (fr) * 1998-10-30 2000-05-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ositif d'affichage a panneau a plasma
JP2001021882A (ja) 1999-07-05 2001-01-26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1264732A (ja) 2000-03-16 2001-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色成形型液晶ホルダー
JP2002244767A (ja) 2001-02-21 2002-08-30 Sharp Corp ノート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2004133241A (ja) 2002-10-11 2004-04-30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744839B2 (ja) 2004-10-18 2011-08-10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572828B2 (ja) * 2005-12-08 2010-11-0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028A (ko) * 2014-04-24 201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임 결합 구조 및 그것이 적용된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71000B (zh) 2010-09-29
US7907230B2 (en) 2011-03-15
JP4888383B2 (ja) 2012-02-29
KR100989085B1 (ko) 2010-10-25
CN101471000A (zh) 2009-07-01
US20090167978A1 (en) 2009-07-02
JP2009163297A (ja) 200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085B1 (ko)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090072928A (ko) 전자기기
KR101009628B1 (ko) 전자기기
KR20090072929A (ko) 전자기기
JP4911152B2 (ja) 電子機器
JP2010067192A (ja) 電子機器
US8797734B2 (en) Electronic apparatus
JP4998417B2 (ja) 電子機器
US20090154087A1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90168316A1 (en) Electronic apparatus
JP4621243B2 (ja) 電子機器
US8848353B2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JP4551444B2 (ja) 電子機器
JP2009163290A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
JP5056410B2 (ja) 電子機器
WO2011024317A1 (ja) 電子機器
US20090154081A1 (en) Electronic apparatus
US20090154085A1 (en) Electronic apparatus
JP2007234357A (ja) カードコネクタ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