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377A - 리튬 전지용의 정극 재료 - Google Patents

리튬 전지용의 정극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377A
KR20090071377A KR1020080121401A KR20080121401A KR20090071377A KR 20090071377 A KR20090071377 A KR 20090071377A KR 1020080121401 A KR1020080121401 A KR 1020080121401A KR 20080121401 A KR20080121401 A KR 20080121401A KR 20090071377 A KR20090071377 A KR 20090071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lectrode
electrode material
lithium
lithium oxide
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7899B1 (ko
Inventor
진-밍 천
치아-호 수
유-런 린
메이-후이 시아오
투 천
Original Assignee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써치 인스티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써치 인스티튜트 filed Critical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써치 인스티튜트
Publication of KR20090071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5Oxygenated metallic salts or polyanionic structures, e.g. borates, phosphates, silicates, oliv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다공성 리튬 산화물 미립자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용의 정극 재료가 제공된다. 상기 다공성 리튬 산화물 미립자는 내부에 제1도전층이 형성된 복수의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 상기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를 연결함으로써 규정된 공동; 상기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들 중 하나의 나노입자의 표면을 적어도 피복하고, 상기 제1도전층과 접촉하며, 또한 상기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들 간에 3차원 도전망을 형성하는 제2도전층; 및 상기 제2도전층과 연결되는 도전성 섬유를 포함한다.
리튬 전지, 정극 재료, 다공성 리튬 산화물 미립자, 도전층, 도전성 섬유

Description

리튬 전지용의 정극 재료{CATHODAL MATERIALS FOR LITHIUM CELLS}
본 발명은 전극 재료, 특히, 리튬 전지용의 정극 재료(cathodal material)에 관한 것이다.
리튬 전지는 리튬 합금 산화물의 정극(cathode), 액상 유기 전해질 용액/고상 전해질 및 탄소 재료의 부극(anode)으로 주로 구성된 이차 전지(충전가능한 전지)의 일종이다. 리튬 전지는 고전력 밀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휴대폰, 랩톱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및 비데오 카메라 등의 컴퓨터, 통신 및 소비자 가전(3C) 제품 응용에 주로 이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튬 전지 내의 정극 재료의 리튬 합금 산화물은 낮은 전도도 문제를 지니고, 또한 고전류의 방전 동안 불충분한 전위를 가지므로, 고전류 동작 동안 충/방전 능력 및 제품 수명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리튬 이차 전지는, 3C 제품과 비교할 경우, 제품이 보다 높은 전류를 필요로 하므로, 전기 자동차 및 수동 공구 등의 고전력 응용에 좀체로 이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제품 수명 및 리튬 이차 전지의 충/방전 능력을 증가시켜, 보다 고전력 응용에의 이용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전도도가 향상된 정극 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튬 이차 전지용의 정극 재료, 해당 정극 재료의 제조방법 및 해당 정극 재료를 이용하는 리튬 이차 전지가 제공된다.
예시적인 리튬 전지용의 정극 재료는 다공성 리튬 산화물 미립자를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리튬 산화물 미립자는 내부에 제1도전층이 형성된 복수의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nanoparticle); 상기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를 연결함으로써 규정된 공동(pore); 상기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들 중 하나의 나노입자의 표면을 적어도 피복하고, 상기 제1도전층과 접촉하며, 또한 상기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들 간에 3차원 도전망을 형성하는 제2도전층; 및 상기 제2도전층과 연결되는 도전성 섬유를 포함한다.
정극 재료를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은 리튬 이온 전구체, 인산염 전구체 및 철 이온 전구체로 구성된 혼합 분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 분말은 복수의 다공성 나노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 분말은 물과 혼합되어 제1슬러리를 형성한다. 상기 제1슬러리는 제립화(granulating)되고 소결되어 제1의 구형-유사 전구체(first sphere-like precursor)를 형성한다. 상기 제1의 구형-유사 전구체는 도전성 재료 및 물과 혼합되어 제2슬러리를 형성한다. 상기 제2슬러리는 제립화되고 소결되어 복수의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를 형성한다. 상기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는 도전성 탄소 및 결착제와 혼합되어 정극 재료를 형성한 다.
예시적인 리튬 이차 전지는 정극, 부극 및 상기 정극과 부극 사이에 삽입된 이온-전도층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정극은 전술한 정극 재료를 포함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도도가 향상된 정극 재료를 제공함으로써, 제품 수명 및 리튬 이차 전지의 충방전 능력을 증가시켜, 보다 고전력 응용에의 이용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을 수행하는 최상으로 상정된 모드에 관한 것이다. 이 설명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예시할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일 뿐, 제한하는 의미에서 취해진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결정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정극판 구조체(14)의 개략 단면도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정극판 구조체(14)는 집전판(10) 위에 피복된 정극 재료층(12)을 포함한다. 상기 집전판(10)은 전자를 집전하기 위한 것으로, 알루미늄, 알루미늄/탄소 및 나노-알루미늄/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판일 수 있다. 상기 정극 재료층(12)은 리튬 산화물(16), 도전성 탄소 재료(17) 및 결착제(18)를 약 93:3:4 내지 75:10:15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리튬 산화물(16) 내의 다공성 리튬 산화물 미립자(20)의 예시적인 구조의 개략도가 예시되어 있다. 리튬 산화물(16)은 복수의 리튬 산화물 미립자(20)를 제립화함으로써 형성된다. 리튬 산화물 미립자(20)는, 평균 직경이 약 5 내지 20㎛, 표면적이 약 1 내지 50 ㎡/g, 다공도가 약 0.02 내지 0.12 c.c./g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략화를 위해서 다공성 리튬 산화물 미립자(20)만이 예시되어 있고, 다공성 리튬 산화물 미립자(20)는 복수의 다공성 리튬 나노입자(30)를 포함한다. 다공성 리튬 나노입자(30)의 평균 직경은 약 100 내지 500㎚이다.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30)는 각각 연결되어 있고, 이들 사이에는 복수의 공동(34)이 규정되어 있다. 공동(34)은 규칙적인 형태(ordered) 혹은 무질서한 형태(non-ordered)로 형성되어 있고 그 치수는 약 10 내지 30㎚이므로, 리튬 이차 전지의 작동 동안 전기화학적 반응용의 반응 영역과 전해질용의 습윤 개소를 제공함으로써, 그 안에서의 이온 전도도 속도를 증가시킨다.
또, 도전층(32)은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30)의 대부분의 표면에 걸쳐 더욱 제공된다. 다공성 리튬 산화물 미립자(20) 중 도전층(32)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은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30)는 도 2에 있어서 (30')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도전성 섬유(36)는 또한 다공성 리튬 산화물 미립자(20) 내에 구비되어 있고, 도전층(32)과 연결되어 있다. 도전성 섬유(36)는 다공성 리튬 산화물 미립자(20)의 표면 위로 돌출될 수 있고/있거나,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 자(30)/(30') 사이의 공동(34) 속으로 뻗어 다공성 리튬 산화물 미립자(20) 내부에 형성된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30)/(30')와 더욱 연결될 수 있다. 도전층(32)은 금속, 도전성 유기 재료 혹은 도전성 무기 재료(예를 들어, 도전성 탄소)를 포함할 수 있고, 그 두께는 약 3 내지 10㎚(나노미터)이다. 도전성 섬유(36)는 금속, 도전성 유기 재료 혹은 도전성 무기 재료(예를 들어, 도전성 탄소)를 포함할 수 있고, 그 두께는 약 0.5 내지 3㎛(마이크로미터)이다. 따라서, 도전층(32)과 도전성 섬유 그리고 이들의 가능한 연결부를 통해서, 3차원(3D) 도전망이 다공성 리튬 산화물 미립자(20) 내에 형성되고, 이것은 전자 전도에 유리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다공성 리튬 산화물 미립자(20) 내의 예시적인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30)를 나타낸 개략도가 예시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30)는 그 표면이 도전층(32)으로 피복되어 있고,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30)는 리튬 산화물의 복수의 나노결정(nanocrystal)(50)에 의해 규정된 공동(도시 생략)을 복수개 포함하고 있다. 나노결정(50) 사이에는 도전층(40)이 구비되어 있고, 해당 도전층(40)은 상기 도전층(32)과 접촉되는 동시에 연결되어 있다.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30) 내의 나노결정(50)은 약 10 내지 100㎚의 평균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전층(40) 및 (32)의 형성과 접속을 통해서, 3차원 도전망이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30) 내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안에서의 전자 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리튬 산화물 분말의 나노결정(50)은 층상 구조, 스피넬(spinel) 구조 혹은 올리빈(olivine) 구조의 리튬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층상 구조의 리튬 산화물로는 예를 들어 LiCoO2, LiNiO2, LiMnO2 또는 LiCoxNiyMnzO2(x+y+z=1)를 들 수 있다. 도 4a는 LiCoO2 나노결정으로 구성된 층상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스피넬 구조의 리튬 산화물로는 예를 들어 Li2Ti5O8 또는 LiMn2O4를 들 수 있고, 도 4b는 LiMn2O4 나노결정의 스피넬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올리빈 구조의 나노결정(50)으로는 예를 들어 LiFePO4/C, LiFePO4 또는 LixM1-(d+t+q+r)DdTtQqRr(XO4)(식 중, M은 Fe, Mn, Co, Ti, Ni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D는 Mg2+, Ni2+, Co2+, Zn2+, Cu2+ 및 Ti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T는 Al3+, Ti3+, Cr3+, Fe3+, Mn3+, Ga3+, Zn3+ 및 V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Q는 Ti4+, Ge4+, Sn4+ 및 V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은 V5+, Nb5+ 및 Ta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Si, S, P, V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0≤x≤1, 0≤d, t, q, r≤1이고, d, t, q 및 r 중의 적어도 하나는 0 이외의 값을 지님)를 들 수 있다. 도 4c는 LiFePO4의 올리빈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부극(106)과 정극(104)이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는 기둥 형상을 지닌 리튬 이차 전지(100)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기 부극(106)과 정극(104)은 이온 전도층(ionic conductor layer)(102)에 의해 단리되어 있다. 부극(106), 정극(104) 및 이온 전도층(102)은 하우징(108)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정극(104)과 부극(106)은 각각 부극 단자(112) 및 정극 단자(110)와 접속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리튬 이차 전지에 있어서, 정극(104)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극 재료층(12)을 이용하고, 부극(106)은 탄소, 그래파이트, 메조카본 마이크로비드(MCMB: mesocarbon microbead) 또는 리튬 등의 재료를 포함하며, 이온 전도층(102)은 절연막 혹은 겔 전해질을 함유하는 리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극 재료층(12)을 이용함으로써, 리튬 이차 전지(100)는 고충/방전 전력 제품 응용에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코인 형상을 지닌 다른 예시적인 리튬 이차 전지(2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해당 리튬 이차 전지는 정극 재료층의 정극(204) 및 부극 재료층의 부극(208)을 포함한다. 정극(204)은 적층되어 있고, 부극(208)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온 전도층(202)은 부극(208)과 정극(204)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적층된 정극(204), 이온 전도층(202) 및 정극층(204)은 정극 쪽에서는 정극 케이스(206)에 의해, 그리고 부극 쪽에서는 부극 케이스(210)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정극 케이스(206) 및 부극 케이스(210)는 각각 정극 단자 및 부극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개스킷(250)은 정극 케이스(206)의 일부 내에 매립되어 리튬 이차 전지(200) 내의 재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리튬 이차 전지에 있어서, 정극(204)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극 재료층(12)을 이용하고, 부극(208)은 탄소, 그래파이트, 메조카본 마이크로비드(MCMB) 또는 리튬 등의 재료를 포함하며, 이온 전도층(202)은 절연막 혹은 겔 전해질을 함유하는 리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극 재료층(12)을 이용함으로써, 리튬 이차 전지(200)는 고충/방전 전력 제품 응용에 적용할 수 있다.
또, 이하의 단계를 포함하는 정극 재료를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이 제공된다:
(a) 우선, 예컨대 LiOH, Li2O3 또는 C2H5COOLi를 포함하는 이온 전구체, 예컨대 (NH4)2HPO4, NH4H2PO4, H3PO4 또는 (NH4)3PO4를 포함하는 인산염 전구체 및 예컨대 FeC2O4×2H2O, Fe, Fe2(C2O4)3 또는 Fe(C2H5COO)2를 포함하는 철 이온 전구체의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이와 같이 준비된 혼합 분말은 복수의 다공성 나노입자를 포함함);
(b) 이어서, 상기 혼합 분말을 물과 함께 혼합하여 제1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혼합 분말 중의 상기 전구체의 혼합비는 약 1:1:1(몰비)임);
(c) 다음에, 상기 제1슬러리를 제립화하고 소결하여 제1의 구형-유사 전구체를 형성하는 단계;
(d) 그 후, 상기 제1의 구형-유사 전구체를 도전성 재료 및 물과 혼합하여 제2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e) 다음에, 상기 제2슬러리를 제립화하고 소결하여 복수의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f) 그 후, 상기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를 도전성 탄소 및 결착제와 혼합하여 리튬 전지용의 정극판 구조체에 적용가능한 정극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계들에 있어서, 단계 (b)에 있어서의 제1슬러리 내의 전구체 분말과 물의 혼합비는 약 20:80 내지 60:40(중량%)이다. 단계 (d)에 있어서 상기 제2슬러리 내의 제1의 구형-유사 전구체, 도전성 탄소 및 물의 혼합 비율은 약 46:4:50 내지 40:10:50(중량%)이다. 단계 (f)에 있어서의 다공성 리튬 산화물 미립자, 도전성 탄소 및 결착제의 혼합 비율은 약 93:3:4 내지 75:10:15(중량%)이고, 이와 같이 형성된 정극 재료를 이어서 집전기(예를 들어, 알루미늄박) 위에 피복하여 리튬 이차 전지용의 정극 전극판을 형성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계 (d)에 있어서의 도전성 분말은 예를 들어 금속, 도전성 유기 재료 또는 도전성 무기 재료(예를 들어, 도전성 탄소), 예컨대 도전성 탄소 분말 또는 금속 분말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의 구형-유사 전구체는 1-스텝 분무 열분리법에 의해 또는 분무 건조 공정과 소결 공정을 포함하는 2-스텝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단계 (c)에서의 제립화 및 소결은 약 200 내지 400℃의 온도 하에 수행될 수 있고, 단계 (e)에서의 제립화 및 소결은 약 600 내지 850℃의 온도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1 :
우선, 전구체 분말 750g을 준비하고 물 750g과 교반하에 혼합함으로써, 제1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얻어진 제1슬러리를 제립화하고 소결하여 분말 형태의 제1의 구형-유사 전구체를 형성하였다. 상기 제1슬러리는 열분무 분리를 포함하는 1- 스텝 공정 또는 분무-건조 단계에 이은 소결 단계를 포함하는 2-스텝 공정으로 제립화되고 소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러리는 약 250℃의 온도 하에 제립화되고 소결될 수 있다.
다음에, 제1의 구형-유사 전구체 100g을 준비하고, 도전성 재료 6g 및 용제 100g과 혼합하여, 제2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이 제2슬러리를 약 600 내지 850℃의 온도 하에 제립화하고 소결하여, 복수의 다공성 미립자를 지닌 리튬 이온 인산염 정극 재료를 형성하였다. 상기 리튬 이온 인산염 정극 재료는 도 1에 예시된 리튬 이온 인산염 정극 재료와 유사한 다공성 미립자에 의해 형성되었고, 상기 도전성 재료는 예컨대 도전성 탄소일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리튬 이온 인산염 정극 재료를 도전성 탄소 및 폴리비닐리덴과 약 84:7:9의 혼합비로 혼합하고, 이어서, 소정량의 N-메틸-2-피롤리돈(NMP)을 준비하여 혼합함으로써, 제3슬러리를 형성하였다. 다음에, 상기 제3슬러리를 알루미늄박 위에 120㎛의 스크레이퍼(scraper)를 이용해서 약 20㎛의 두께로 피복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3슬리러가 위에 피복되어 있는 알루미늄박을 예를 들어 진공 건조 공정에 의해 가열 건조시켜, NMP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정극판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상기 전극판을 연마해서 약 12㎜의 직경을 가진 코인 형상 전극판을 형성하고 부극으로서 리튬 전극을 이용하였다. 그 후, 정극으로서의 상기 코인 형상 전극판을 구성함으로써 코인형상 전지를 얻었고, LiPF6(1M),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및 다이에틸 카보네이트(DEC)를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을 약 3:5:2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를 위해서, 리튬 이온 인산염 정극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은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였다. 그러나, 비교예용의 리튬 이온 인산염 정극 재료의 형성 동안 도전성 재료는 제공되지 않았고, 이에 따라, 그 안에 3D 도전망 없이 비교예의 리튬 이온 인산염 정극 재료를 얻었다.
이어서, 상기 비교예의 리튬 이온 인산염 정극 재료를 제공하였고, 비교예의 코어 형상 전지는, 그 제조 동안 도전성 재료가 제공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동일한 제조 단계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도 7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X-선 회절 분석결과를 각각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극 재료의 X-선 회절 분석결과를 나타낸 선도(diagram)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정극 재료의 X-선 회절 분석결과는 유사한 프로파일을 보이지만 이들 사이에 강도 레벨차를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결과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정극 재료의 리튬 이온 인산염 구조가 그 안에 올리빈 구조 및 결정 구조를 유지하고 실시예 1에 개시된 공정에 의해 변화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한편, 이하의 표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리튬 이온 인산염의 조사된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다.
리튬 이온 인산염의 물리적 특성
시험예 탄소 함량 (중량%) 탭 밀도 (g/c.c.) 진 밀도 (g/c.c.) 탭 저항 (Ω) 극판 저항 (mΩ) BET 표면적 (㎡/g) BET 평균 공동 직경 (㎚) BJH 단점 총 공동 체적 (c.c/g)
실시예 2~3 0.79 3.31 0.67K 0.67 30.3 2.06 0.06
비교예 0 0.65 3.59 2*109 1.57 14.61 2.06 0.03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비교에 1의 리튬 이온 인산염은 진 밀도(true density)가 3.59g/c.c, 탭 밀도(tap density)가 0.65g/c.c였다. 비교예 1에서는 제로 탄소 함량이 조사되었으므로, 이것은 리튬 이온 인산염의 표면 위에 탄소 형성을 보이지 않았다. 시트 저항은 4-점 테스트에 의해 조사되지 않았고, 표 1의 데이터는 문헌[Solid State Ionics 176 (2005), 1801]에 기재된 데이터이다. 그의 잉곳 저항(ingot resistance)은 109Ω이었고, 그의 극판 저항(plate resistance)은 1.57mΩ이었다. 또한, 비교예 1에서의 리튬 이온 인산염의 g당의 표면적은 14.61 c㎡/g(BET법에 의해 측정됨)이었고, 그의 공동 직경 2.06㎚ 및 다공도 0.03c.c/g이 측정되었다.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의 리튬 이온 인산염은 진밀도가 3.31g/c.c이었고, 탭 밀도는 0.79g/c.c였다. 실시예 1에서는, 약 2 내지 3%의 탄소 함량이 조사되었으므로, 이것은 리튬 이온 인산염의 표면 위에 탄소 재료 형성을 나타내었다. 0.67 kΩ의 시트 저항이 4-점 테스트에 의해 조사되었다. 그의 극판 저항은 0.67 mΩ이었다. 또한, 실시예 1에서의 리튬 이온 인산염의 g당의 표면적은 30.3 c㎡/g(BET법에 의해 측정됨)이었고, 그의 공동 직경 2.06㎚ 및 다공도 0.06c.c/g이 측정되었다.
표 1 및 전술한 비교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서의 개질된 리튬 이온 인산염은 표면적의 증가, 직경의 감소, 저항의 감소 및 보다 양호한 도전성 재료 피복성을 보였다. 그 결과, 그의 리튬 이온 인산염 구조의 전자 전도도가 얻어지고, 또한, 리튬 이온용의 확산 경로를 개선시켜, 그 안에서의 이온 전도를 용이하게 하는 한편 그 내부의 공동에 전해질 용액을 채워, 반응 표면 및 증가된 표면적을 통한 반응 기회를 증대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극 재료의 전기화학 분석결과를 나타낸 선도이며,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리튬 이차 전지의 충/방전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튬 이차 전지는 0.1C, 0.2C, 1C, 3C, 5C, 8C 및 12C의 조건 하에 방전되었다. 리튬 이차 전지는 0.2C/0.2C(충/방전)의 조건 하에 50회 시험되었고, 140 mAh/g의 나머지 전기 용량이 얻어졌다. 다음에, 리튬 이차 전지는 0.5C/0.1C(충/방전)의 조건 하에 50회 시험되었고, 132 mAh/g의 나머지 전기 용량이 얻어졌다. 또한, 리튬 이차 전지는 1C/3C(충/방전)의 조건 하에 50회 시험되었고, 121 mAh/g의 나머지 전기 용량이 얻어졌다. 이와 같이 해서, 다공성 리튬 금속 산화물 미립자를 지닌 정극 재료로 구성된 리튬 이차 전지는 보다 큰 성능을 제공하였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극 재료의 전기화학 분석결과를 나타낸 선도로서, 각각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있어서의 리튬 이차 전지의 충/방전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리튬 이차 전지는 먼저 0.1C의 조건 하에 충방전되었고, 약 152/141(충/방전) mAh/g의 전기 용량이 얻어져, 11 mAh/g(약 7.3% 손실)의 비가역량을 보였고, 약 132 mAh/g의 전기 용량이 남은 한편, 실시예 1의 리튬 이차 전지는 0.2C의 조건 하에 방전시켰으므로, 0.1C 방전속도 하에 9 mAh/g 손실을 보였다. 실시예 1의 리튬 이차 전지는 3C 방전 속도 하에 약 100 mAh/g의 전기 용량을 보였고, 12C 방전 속도 하에 약 80 mAh/g의 전기 용량을 보였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의 리튬 이차 전지를 먼저 0.1C의 조건 하에 충방전시켜, 약 155/141(충/방전) mAh/g의 전기 용량이 얻어졌고, 이것은 14 mAh/g(약 9% 손실)의 비가역량을 보였으며, 약 118 mAh/g의 전기 용량이 남은 한편, 비교예의 리튬 이차 전지는 0.2C의 조건 하에 방전되었다. 비교예 1의 리튬 이차 전지는 1C 방전 속도 하에 약 17 mAh/g의 나머지 전기 용량을 보였다.
도 9 및 10에 예시된 비교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인산염 재료가 없는 리튬 이차 전지(비교예 1)는 그 내부의 리튬 이온 인산염 정극 재료가 도 10에 있어서의 전기 화학 분석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고전류 방전 조건의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고, 따라서, 가능한 고전력 제품 응용을 저하시켰다. 한편,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인산염 재료를 이용하는 리튬 이차 전지(실시예 1)는, 그 안의 리튬 이온 인산염 정극 재료가, 도 9의 전기화학 분석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0에 예시된 것보다 고전류 방전 조건 하에 비교적 양호하게 수행됨으로써 가능한 고전력 제품 응용을 증가시키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또한 개질된 리튬 이온 인산염 정극 재료가 양호한 전도도를 제공하고, 그 안의 전자 및 리튬 이온의 양호한 도전성에 의해 리튬 이온 인산염 결정을 남길 수 있게 된 것을 나타내었다. 게다가, 다공성 구조에 의해, 개질된 리튬 이온 인산염 재료가 더 많은 표면을 제공하여, 리튬 이온의 삽입(intercalating) 혹은 탈리(deintercalation)의 더 많은 기회를 증가시켰다. 이것은 고전류 방전 동작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관점에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는 것임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에 반해서, 각종 변형예 및 유사한 구성(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은 것)을 커버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이러한 변형 및 유사한 구성을 모두 망라하도록 최광의의 해석에 따를 필요가 있다.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정극판 구조체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극 재료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정극 재료의 도전성 입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a, 도 4b 및 도 4c는 각각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른 결정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를 나타낸 개략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를 나타낸 개략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극 재료의 X-선 회절 분석결과를 나타낸 선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극 재료의 전기화학 분석결과를 나타낸 선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극 재료의 전기화학 분석결과를 나타낸 선도;
도 10은 본 발명의 비교 실시형태에 따른 정극 재료의 전기화학 분석결과를 나타낸 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집전판 12: 정극 재료층
14: 정극판 구조체 16: 리튬 산화물
17: 도전성 탄소 재료 18: 결착제
20: 리튬 산화물 미립자 30: 다공성 리튬 나노입자
30': 도전층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은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
32: 도전층 34: 공동
36: 도전성 섬유 40: 도전층
50: 나노결정 100, 200: 리튬 이차 전지
102, 202: 이온 전도층 104, 204: 정극
106, 208: 부극 108: 하우징
110: 정극 단자 112: 부극 단자
204: 정극층 206: 정극 케이스
208: 부극 210: 부극 케이스
250: 개스킷

Claims (20)

  1. 다공성 리튬 산화물 미립자를 포함하되,
    상기 다공성 리튬 산화물 미립자는
    내부에 제1도전층이 형성된 복수의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nanoparticle);
    상기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를 연결함으로써 규정된 공동(pore);
    상기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들 중 하나의 나노입자의 표면을 적어도 피복하고, 상기 제1도전층과 접촉하며, 또한 상기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들 간에 3차원 도전망을 형성하는 제2도전층; 및
    상기 제2도전층과 연결되는 도전성 섬유를 포함하는, 리튬전지용의 정극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리튬 산화물 미립자의 평균 직경은 1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인 것인, 리튬전지용의 정극 재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의 평균 직경은 100 내지 500 ㎚(나노미터)인 것인, 리튬전지용의 정극 재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리튬 산화물 미립자는 0.02 내지 0.12 c.c./g 의 다공도로 형성되는 것인, 리튬전지용의 정극 재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는 층상 구조, 스피넬(spinel) 구조 혹은 올리빈(olivine) 구조로 형성된 것인, 리튬전지용의 정극 재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는 LiCoxNiyMnzO2로 구성된 층상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식에 있어서 x+y+z=1인 것인, 리튬전지용의 정극 재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는 LiMn2O4 또는 LiTi5O8로 구성된 스피넬 구조로 형성된 것인, 리튬전지용의 정극 재료.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는 LiFePO4/C, LiFePO4, LixM1-(d+t+q+r)DdTtQqRr(XO4)를 포함하는 올리빈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식 중, M은 Fe, Mn, Co, Ti, Ni 및 이들이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D는 Mg2+, Ni2+, Co2+, Zn2+, Cu2+ 및 Ti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T는 Al3+, Ti3+, Cr3+, Fe3+, Mn3+, Ga3+, Zn3+ 및 V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Q는 Ti4+, Ge4+, Sn4+ 및 V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은 V5+, Nb5+ 및 Ta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Si, S, P, V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0≤x≤1, 0≤d, t, q, r≤1이고, d, t, q 및 r 중의 적어도 하나는 0 이외의 값을 지니는 것인, 리튬전지용의 정극 재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금속, 도전성 유기 재료 또는 도전성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리튬전지용의 정극 재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층은 약 3 내지 1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인, 리튬전지용의 정극 재료.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규칙적인 형태 혹은 무질서한 형태의 개방 공동(ordered or non-ordered open pore)인 것인, 리튬전지용의 정극 재료.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약 10 내지 30㎚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인, 리튬전지용의 정극 재료.
  13. 리튬 이온 전구체, 인산염 전구체 및 철 이온 전구체로 구성되며 또한 복수의 다공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혼합 분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혼합 분말을 물과 혼합하여 제1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슬러리를 제립화(granulating)하고 소결하여 제1의 구형-유사 전구체(first sphere-like precursor)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의 구형-유사 전구체를 도전성 재료 및 물과 혼합하여 제2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슬러리를 제립화하고 소결하여 복수의 다공성 리튬 산화물 미립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공성 리튬 산화물 미립자를 도전성 탄소 및 결착제와 혼합하여 정극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전지용의 정극 재료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러리 중의 혼합 분말 및 물은 약 20:80 내지 60:40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인, 리튬전지용의 정극 재료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러리 중의 제1의 구형-유사 전구체, 도전성 탄소 및 물은 약 46:4:50 내지 40:10:50(중량%)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인, 리튬전지용의 정극 재료의 제조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극 재료 중의 다공성 리튬 산화물 나노입자, 도전성 탄소 및 결착제는 약 93:3:4 내지 75:10:15(중량%)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인, 리튬전지용의 정극 재료의 제조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분말은 도전성 탄소 분말 또는 금속 분말인 것인, 리튬전지용의 정극 재료의 제조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구형-유사 전구체는 열분무 분리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리튬전지용의 정극 재료의 제조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분말 중의 리튬 이온 전구체는 LiOH, Li2CO3 및 C2H5COOL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인산염 전구체는 (NH4)2HPO4, NH4H2PO4, H3PO4 및 (NH4)3PO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철 이온 전구체는 FeC2O4×2H2O, Fe, Fe2(C2O4)3 및 Fe(C2H5CO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리튬전지용의 정극 재료의 제조방법.
  20. 제1항에 따른 정극 재료를 포함하는 정극;
    부극; 및
    상기 정극과 부극 사이에 삽입된 이온-전도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080121401A 2007-12-27 2008-12-02 리튬 전지용의 정극 재료 KR101077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6150514A TWI369019B (en) 2007-12-27 2007-12-27 Cathodal materials for lithium cells, methods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cells using the same
TW96150514 2007-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377A true KR20090071377A (ko) 2009-07-01
KR101077899B1 KR101077899B1 (ko) 2011-10-31

Family

ID=40430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21401A KR101077899B1 (ko) 2007-12-27 2008-12-02 리튬 전지용의 정극 재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86890B2 (ko)
EP (1) EP2075864B1 (ko)
JP (1) JP5072110B2 (ko)
KR (1) KR101077899B1 (ko)
CA (1) CA2644302C (ko)
TW (1) TWI36901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2930A3 (ko) * 2010-04-21 2012-03-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5080302A1 (ko) * 2013-11-26 2015-06-0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리튬복합인산염계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7682A1 (ja) * 2009-09-03 2011-03-10 株式会社 村田製作所 二次電池用電極活物質の製造方法と二次電池用電極活物質の前駆体
WO2011057646A1 (en) * 2009-11-10 2011-05-19 Rockwood Italia S.P.A. Hydrothermal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ifepo4 powder
EP2523239B1 (en) * 2010-01-07 2018-04-11 LG Chem, Ltd. Cathode active material containing lithium manganese oxide that exhibits excellent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in 4v and 3v regions
EP2355214B1 (fr) * 2010-01-28 2013-12-25 Prayon Accumulateurs au lithium à base de phosphate de fer lithié et de carbone
DE102010021804A1 (de) * 2010-05-27 2011-12-01 Süd-Chemie AG Verbundmaterial enthaltend ein gemischtes Lithium-Metallphosphat
US9023526B2 (en) * 2010-06-13 2015-05-05 Samsung Sdi Co., Ltd. Positiv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SG187660A1 (en) * 2010-08-20 2013-03-28 Univ Singapore Mesoporous metal phosphate materials for energy storage application
JP2012054077A (ja) * 2010-08-31 2012-03-15 Gs Yuasa Corp 二次電池用活物質及び二次電池用活物質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RU2453950C1 (ru) * 2011-03-28 2012-06-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Завод автономных источников тока" Катодный активный материал на основе литированного фосфата железа с модифицирующей добавкой марганца
KR101227107B1 (ko) 2011-06-13 2013-01-28 한국과학기술원 2단계 결정화 공정을 통한 마이크로 크기의 다공성 LiFePO4/C복합체 제조방법 및 리튬이온전지 양극재로의 이용방법
US9065136B2 (en) 2011-09-14 2015-06-23 Samsung Sdi Co., Ltd. Positive electrode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10170762B2 (en) * 2011-12-12 2019-01-01 Zenlabs Energy, Inc. Lithium metal oxides with multiple phases and stable high energy electrochemical cycling
KR101323104B1 (ko) * 2011-12-13 2013-10-30 한국세라믹기술원 리튬이온전지용 리튬인산철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US9070489B2 (en) 2012-02-07 2015-06-30 Envia Systems, Inc. Mixed phase lithium metal oxide compositions with desirable battery performance
JP5821722B2 (ja) * 2012-03-15 2015-11-24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材料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電池
JP6088923B2 (ja) * 2012-09-04 2017-03-01 日本碍子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又はその前駆体の製造方法
TWI485917B (zh) * 2012-12-13 2015-05-21 Univ Feng Chia 鋰離子電池正極及其製作方法
US9306212B2 (en) * 2013-07-19 2016-04-05 Samsung Sdi Co., Ltd. Positiv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positive electrode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105826555B (zh) * 2016-03-17 2017-04-05 贵州安达科技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制备磷酸铁锂和正极材料的方法
JP6949297B2 (ja) * 2016-12-13 2021-10-13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遷移金属含有複合水酸化物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とその製造方法
TWI685996B (zh) * 2018-06-13 2020-02-21 金碳洁股份有限公司 可充電電池及其電極
JP2021153014A (ja) * 2020-03-24 2021-09-3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16344763B (zh) * 2023-03-24 2024-06-21 广州凌顶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碳包覆氧化锂复合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以及包含该正极材料的正极片和电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3090B2 (ja) * 1998-09-18 2003-05-06 キヤノン株式会社 多孔質構造の金属酸化物、電極構造体、二次電池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4710136B2 (ja) 1999-04-06 2011-06-29 ソニー株式会社 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製造方法
CA2270771A1 (fr) * 1999-04-30 2000-10-30 Hydro-Quebec Nouveaux materiaux d'electrode presentant une conductivite de surface elevee
JP3068092B1 (ja) * 1999-06-11 2000-07-24 花王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用正極の製造方法
CA2320661A1 (fr) * 2000-09-26 2002-03-26 Hydro-Quebec Nouveau procede de synthese de materiaux limpo4 a structure olivine
EP1244168A1 (en) * 2001-03-20 2002-09-25 Francois Sugnaux Mesoporous network electrode for electrochemical cell
JP4784085B2 (ja) * 2004-12-10 2011-09-28 新神戸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材料とその製造法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667555B1 (ko) 2004-12-14 2007-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방법
JP4684727B2 (ja) 2005-04-20 2011-05-18 日本コークス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4991706B2 (ja) * 2005-06-06 2012-08-01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リチウム再充電可能電気化学セル
JP2007048692A (ja) 2005-08-12 2007-02-22 Hitachi Vehicle Energy 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材料、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板及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KR20130106440A (ko) 2006-02-28 2013-09-27 프리메트 프리시젼 머테리알스, 인크. 리튬계 화합물 나노입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0364154C (zh) 2006-04-21 2008-01-23 北京工业大学 一种微米级高功率球形钴酸锂材料的制备方法
CA2569991A1 (en) 2006-12-07 2008-06-07 Michel Gauthier C-treated nanoparticles and agglomerate and composite thereof as transition metal polyanion cathode materials and process for making
CN100454615C (zh) * 2007-03-12 2009-01-21 胜利油田华鑫石油材料有限公司 水热合成制备均分散磷酸铁锂纳米晶的方法
US8338037B2 (en) * 2007-12-13 2012-12-25 Uchicago Argonne, Llc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 batter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2930A3 (ko) * 2010-04-21 2012-03-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02834957A (zh) * 2010-04-21 2012-12-19 株式会社Lg化学 二次电池用正极活性材料和包含所述正极活性材料的锂二次电池
US9065135B2 (en) 2010-04-21 2015-06-23 Lg Chem, Ltd. Cathode activ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WO2015080302A1 (ko) * 2013-11-26 2015-06-0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리튬복합인산염계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0421664B2 (en) 2013-11-26 2019-09-24 Sk Innovation Co., Ltd. Lithium composite phosphate-based compou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29662A (en) 2009-07-01
JP5072110B2 (ja) 2012-11-14
EP2075864B1 (en) 2014-04-02
TWI369019B (en) 2012-07-21
US20090170003A1 (en) 2009-07-02
US8986890B2 (en) 2015-03-24
CA2644302C (en) 2016-06-28
JP2009158489A (ja) 2009-07-16
KR101077899B1 (ko) 2011-10-31
CA2644302A1 (en) 2009-06-27
EP2075864A2 (en) 2009-07-01
EP2075864A3 (en) 201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899B1 (ko) 리튬 전지용의 정극 재료
KR102591512B1 (ko)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이차 전지, 및 상기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CN101399336B (zh) 电极用复合颗粒和电化学器件
KR102220904B1 (ko) 전극 구조체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102240980B1 (ko) 리튬 망가니즈 복합 산화물, 이차 전지, 및 이들의 제조 방법
EP1777761B1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EP2113955B1 (en)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the same
JP5333184B2 (ja) 全固体二次電池
JP5331627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EP3576192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de for all-solid-stat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all solid-state-battery
KR102425828B1 (ko) 양극 활물질, 이를 채용한 양극 및 리튬 전지, 및 상기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KR20000029812A (ko) 그라파이트입자및그를케소드물질로이용하는리튬2차전지
KR102195730B1 (ko) 전극 구조체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CN101499522B (zh) 锂电池正极材料、其制造方法及应用此材料的锂二次电池
KR20210040810A (ko) 구형화된 카본계 음극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20170034606A (ko) 3차원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제조방법
WO2020059550A1 (ja) 全固体二次電池用積層部材の製造方法及び全固体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20110002793A (ko) 전극 재료 및 리튬 이온 2차 전지
KR20210058172A (ko)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20230223535A1 (en) Negative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110056911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00084591A (ko)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50348A (ko)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CN114696019B (zh) 电池模块
EP4439698A1 (en)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