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584A -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584A
KR20090061584A KR1020080123842A KR20080123842A KR20090061584A KR 20090061584 A KR20090061584 A KR 20090061584A KR 1020080123842 A KR1020080123842 A KR 1020080123842A KR 20080123842 A KR20080123842 A KR 20080123842A KR 20090061584 A KR20090061584 A KR 20090061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antenna
reader
writer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츠로 고토
타다시 후카미
아키라 엔도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61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3Multiple coils at eith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비접촉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통신 장치는: 대안테나와; 상기 대안테나를 이용하여 전자유도 방식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1의 무선 처리 수단과; 상기 대안테나의 내측에 배설된 소안테나; 및 상기 소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2의 무선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COMMUNICATION APPARATUS}
우선권 정보
본 발명은 2007년 12월 11일자로 일본특허청에 특허 출원된 일본특허원 제2007-319567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비접촉에 의해 근거리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스로 전파의 발생원을 갖지 않는 통신 단말(트랜스폰더)이 무선으로 통신 상대가 되는 장치(리더/라이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비접촉의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리더/라이터의 1차 코일과 트랜스폰더의 2차 코일로 구성되는 전자유도 방식의 비접촉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재 이미 확립하여 있는 NFC 통신 시스템과의 완전한 상위호환(上位互換)을 갖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스로 전파의 발생원을 갖지 않는 통신 단말이 무선으로 통신 상대가 되는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라고 불리는 비접촉 통신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RFID의 다른 호칭 방법으로서, ID 시스템, 데이터 캐리어 시스템 등이 있지만, 세계적으로 공통인 것이 RFID 시스템, 약칭하여 RFID이다.
RFID 시스템은 많은 비접촉 IC카드에 적용되고 있다. IC카드 시스템은, 트랜스폰더로서의 IC(Integrated Circuit)카드와, IC카드로부터의 정보의 판독이나, 또는 IC카드에의 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장치(이하, 「리더/라이터」라고 부른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IC카드 시스템은, IC카드와 리더/라이터 사이에서 비접촉에 의해 정보의 판독기록을 행하기 때문에, 편리성이 높고, 정기 승차권, 인증 카드 등, 종래의 자기식 카드에서의 용도, 또는 물류 시스템 등에 있어서, 그 이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RFID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비접촉 통신 방법에는, 정전결합 방식, 전자유도 방식, 전파통신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전자유도 방식의 RFID 시스템은, 리더/라이터의 1차 코일과 카드(또는 트랜스폰더)의 2차 코일로 구성되고, 이들 2개의 코일의 자기(磁氣)적인 결합에 의해 코일 경유로 데이터 통신이 행하여진다. 구체적으로는, 리더/라이터는, 1차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계를 진폭 변조함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고, 트랜스폰더에서는 이것을 검파(檢波)한다. 또한, 트랜스폰더는 2차 코일의 부하 전환(Load Switching : LS)에 의해 진폭 변조 등의 변조 처리를 행함으로써, 리더/라이터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트랜스폰더 및 리더/라이터의 각 코일은 LC 공진 회로로서 동작하고 있고, 일반적으로는, 이들 코일의 공진 주파수를, 통신에 이용하는 반송파의 반송파 주파 수로 조정하여 공진시킴에 의해, 트랜스폰더와 리더/라이터 사이의 적당한 통신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트랜스폰더 및 리더/라이터의 각 코일을 "안테나"라고도 부른다.
도 17에는, 트랜스폰더 및 리더/라이터로 이루어지는 전자유도 방식의 비접촉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트랜스폰더 및 리더/라이터가 각각 구비하는 안테나 공진 회로부가 전자 결합하여, 정보 신호의 수수(授受)가 행하여진다. 리더/라이터의 안테나 공진 회로부는, 저항(R1)과, 커패시터(C1)와, 코일(L1)로 이루어지고,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정보 신호를, 트랜스폰더에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 공진 회로부는, 트랜스폰더로부터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부에 공급한다. 또한, 안테나 공진 회로부의 고유한 공진 주파수는, 커패시터(C1)의 캐패시턴스와 코일(L1)의 인덕턴스에 의해, 미리 소정의 값으로 설정된다.
트랜스폰더의 안테나 공진 회로부는, 저항(R2)과, 커패시터(C2)와, 코일(L2)로 이루어지고, 처리부에 의해 생성되고, 부하 전환 변조 회로부에 의해 변조된 정보 신호를, 리더/라이터의 안테나에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 공진 회로부는, 리더/라이터로부터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부에 공급한다. 또한, 안테나 공진 회로부의 공진 주파수는, 커패시터(C2)의 캐패시턴스와 코일(L2)의 인덕턴스에 의해, 미리 소정의 값으로 설정된다.
RFID 통신 규격으로서, 소니와 필립스사가 개발한 NFC(Near Field Co㎜ unication)가 알려져 있고, 2003년 12월에 ISO/IEC IS 18092로서 국제 표준이 되었다. NFC는, 원래는 비접촉식 IC카드로서 널리 보급되어 있는 소니의 "FeliCa"나 필립스사의 "Mifare"에서 사용되고 있던 통신 방식이고, 13.56MHz의 전파를 사용하고, 10㎝ 정도의 극히 근거리에서의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다(NFC는, 카드와 리더/라이터 사이의 통신 외에, 리더/라이터끼리의 패시브형 통신을 규정하고 있다. NFC에는, ISO14443에서 규정한 TypeA 및 TypeB와, FeliCa가 포함된다. 이 중, TypeA는 필립스사의 Mifare에 상당한다. 또한, 스마트 카드로서의 카드, 리더/라이터는 ISO7816으로서 규격화되어 있다).
현재, NFC는, 개인 인증이나 전자 머니 결제 등에 왕성하게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패시브 모드 외에 액티브 모드를 구비하는 NFC 통신 장치에 관해 제안이 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5-168069호 공보 참조).
NFC IP-1(Interface and Protocol-1) 규격에 있어서의 전송 방향, 통신 모드마다의 통신 속도나 변조 방식, 부호화 방식을, 이하의 표 1에 표시하여 둔다.
전송 방향 A형 B형 FeliCa
통신 속도 106kbps 106kbps 212kbps 424kbps
리더/라이터 ↓ 카드 캐리어 주파수 13.56MHz 13.56MHz 13.56MHz
변조방식 100%ASK 10%ASK 8-30%ASK
코딩방식 변형 미러 NRZ 맨체스터
카드 ↓ 리더/라이터 서브캐리어 주파수 13.56MHz/16 13.56MHz/16 -
변조방식 부하변조 부하변조 >12%ASK 부하변조
코딩방식 맨체스터 BPSK-BRZ-L 맨체스터
상기 표 1의 NFC IP-1 규격에서 정해진 통신 속도는, 최대치라도 고작 424kbps이고, 다른 범용의 무선 통신(WiFi나 Bluetooth 등)에 비하면 매우 저속이다. 이 때문에, NFC를 화상이나 음성, 동화상 등의 대용량 데이터 통신에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캐리어 주파수 등의 물리적인 제약 때문에도, 실현 가능한 최고 통신 속도는 고작 848kbps까지이고, 금후의 비약적인 고속화를 기대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현재의 NFC 통신의 실제의 사용 용도는, 전자 머니나, 개인 인증(ID 카드나 티켓 등), 범용 무선 통신의 접속 확립 보조(핸드 오버), 또는, 값이 싼 태그를 이용한 극히 소용량의 데이터 송신(스마트포스터 등)만으로 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스로 전파의 발생원을 갖지 않는 트랜스폰더, 또는 트랜스폰더에 캐리어를 송출하는 리더/라이터로서, 비접촉 통신에 의해 알맞게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는, 우수한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리더/라이터의 1차 코일과 트랜스폰더의 2차 코일로 구성되는 전자유도 방식의 비접촉 통신을 알맞게 행할 수 있는, 우수한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현재 이미 확립하여 있는 NFC 통신 시스템과의 완전한 상위호환을 갖으면서,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우수한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접촉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통신 장치는: 대안테나와; 상기 대안테나를 이용하여 전자유도 방식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제 1의 무선 처리 수단과; 상기 대안테나의 내측에 배설된 소안테나; 및 상기 소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제 2의 무선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안테나를 구비하는 NFC 대응의 리더/라이터; 및 대안테나를 구비하는 NFC 대응의 카드 또는 카드 모드에서 동작하는 NFC 대응의 리더/라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리더/라이터와 상기 카드는 비접촉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한다. 상기 리더/라이터와 상기 카드 각각은 상기 대안테나 내측에 배설된 소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소안테나의 쌍을 이용하여 NFC 통신 이외의 다른 비접촉 통신 시스템을 통해 멀티 통신을 수행한다.
단, 여기서 말하는 "시스템"이란, 각 장치나 기능 모듈이 단일한 몸체 내에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 없이, 복수의 장치(또는 특정한 기능을 실현하는 기능 모듈)의 논리적인 집합체를 나타낸다.
RFID라고 불리는 비접촉 통신 시스템이 알려저 있고, 그 이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전자유도 방식의 비접촉 통신 시스템으로서 13.56MHz의 전파를 사용하는 NFC 규격이 책정되어 있고, 10㎝ 정도의 극히 근거리에서의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NFC IP-1 규격에서 정해진 통신 속도는 최대치라도 고작 24kbps로, 다른 범용의 무선 통신에 비하면 매우 저속이고, 비약적인 고속화는 바랄 수 없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관한 통신 장치는, NFC 대응의 리더/라이터 또는 트랜스폰더에 상당하는 대안테나 및 제 1의 무선 처리 수단 외에, 종래형의 대안테나의 내측에 1 이상의 소안테나 및 제 2의 무선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개개의 소안테나의 쌍에 의해 고속 통신을 행하여, 시스템 전체로의 통신 속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또한, 대안테나는 종래의 NFC 규격과 완전한 호환성을 가지며, 소안테나끼리의 통신(이하, 멀티 통신)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는 종래의 NFC 통신을 행하는 능력 을 갖는다. 한편, 소안테나는, 데이터 통신만을 담당한다. 따라서 리더/라이터로부터 카드로의 전력 공급도 이 대안테나가 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통신 장치는, 현재 이미 확립하여 있는 NFC 통신 시스템의 완전 상위호환을 취하고, 상위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큰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통신 장치는, 현재 상태의 NFC 통신과 비교하여 비약적으로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멀티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제어를, 리더/라이터 및 카드의 각각에 포함된 CPU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른바 펌웨어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제어를 하드웨어(또는 마이크로프로그램)에 의해 물리층에서 실장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상에서는, 물리층에서 어떠한 통신을 행하고 있는지(즉 종래의 NFC 통신 또는 멀티 통신)를 의식하는 일 없이,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즉, 종래의 NFC 통신에 이용하고 있던 상층(上層)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일체 변경할 필요 없이, 멀티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리더/라이터의 송신 전파 및 복수의 소안테나 동작의 동기 제어를 행할 수 있으면, NFC IP-1 규격이 정하는 액티브형 상호 통신에도 본 발명에 관한 멀티 통신을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스로 전파의 발생원을 갖지 않는 트랜스폰더, 또는 트랜스폰더에 캐리어를 송출하는 리더/라이터로서, 비접촉 통신에 의해 알맞게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는, 우수한 통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더/라이터의 1차 코일과 트랜스폰더의 2차 코일로 구성되는 전자유도 방식의 비접촉 통신을 알맞게 행할 수 있는, 우수한 통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통신 장치는, 현재의 NFC의 리더/라이터 또는 트랜스폰더로서 사용하는 대안테나의 내측에 새롭게 1 이상의 소안테나를 일괄하여 형성하고, 복수의 안테나로 멀티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 이미 확립하여 있는 NFC 통신 시스템과의 완전한 상위호환을 갖을 수 있고, 상층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크게 변경할 필요는 없다. 또한, 종래의 NFC 통신과 비교하여 비약적으로 고속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른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한 보다 상세한 설명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13.56MHz대의 RFID 통신 규격으로서 NFC 규격이 확립되고, RFID 카드에 의한 개인 인증이나 전자 머니 결제 등에 왕성하게 이용되고 있다. NFC IP-1 규격에서는 전송 방향이나 통신 모드에 응하여 통신 속도, 변조 방식 및 코딩 방식이 규정되는데(표 1을 참조할 것), 최대 통신 속도는 Felica의 424Kbps이고, 다른 무선 통신(Bluetooth 통신이나, IEEE802.11)에 비하면 매우 저속이다.
한편, NFC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수많은 유리한 특성이 있다.
(1) 비접촉 인터페이스이고, 인터페이스의 형상을 묻지 않고, 접점의 마모· 열화가 없으며, 인터페이스의 포트에 있어서의 방진이나 방적(防滴) 등의 대책이 가능하다.
(2) 카드 등의 트랜스폰더는 패시브형이고, 무전원으로 할 수가 있다.
(3) 리더/라이터와 트랜스폰더 사이에서 전기적인 아이솔레이션을 취할 수 있다.
(4) 최대 신호 도달 거리가 고작 10㎝ 정도이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높은 보안성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우수한 특성은, 트랜스폰더로서의 카드를 스토리지화 한 경우(즉 USB 메모리와 같은 용도), 휴대 기기끼리의 화상이나 음성, 동화상 등의 대용량 데이터 통신의 용도에서도 대단히 매력적이고, 그 통신 속도 향상에의 기대가 커지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통신 장치는, NFC 대응의 리더/라이터 및 트랜스폰더에 상당하지만, 종래의 NFC 통신에 이용하는 대(大)안테나의 내측에 1 이상의 소(小)안테나를 어레이 형상으로 배치하여 일괄 형성하고, 개개의 소안테나의 쌍에 의해 고속 통신을 행하여, 시스템 전체로의 통신 속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통신 장치는, 현재 이미 확립하여 있는 NFC 통신 시스템의 완전 상위호환을 취하고, 상위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큰 변경을 강요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통신 장치는, 현재 상태의 NFC 통신과 비교하여 비약적으로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NFC 통신 시스템은, NFC 리더/라이터와 NFC 카드 사이의 통신, 또는 패시브 형 NFC 리더/라이터끼리의 상호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도 1에는, NFC 통신 시스템의 기본적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NFC 통신 시스템은, 통신을 시작하는 이니시에이터(Initiator)와, 그 통신의 대상이 되는 타겟(Target)으로 구성된다.
이니시에이터는, 구체적으로는 리더/라이터 모드로 동작하는 NFC 대응 리더/라이터(R/W)이다. 이니시에이터로서의 리더/라이터는, UART(Univer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 만능 비동기 송수신기) 등의 호스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호스트 기기에 접속되어 있다. 호스트 기기는, 퍼스널컴퓨터(PC)나 리더/라이터 내부의 처리 유닛(CPU)에 상당한다.
한편, 타겟은, NFC 대응 카드 등의 트랜스폰더, 또는, 카드 모드로 동작하는 NFC 대응 리더/라이터이다(이하, 이들을 통합하여, 타겟을 단순히 "카드"라고도 부른다). 카드는 독립형(standalone basis)이거나 다른 호스트 기기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호스트 기기와 접속된 리더/라이터는, 호스트 기기로부터 통신 시작 커맨드를 받으면(도 1중의 (1)), 우선 캐리어 전파를 송출한다. 그 후, NFC 대응 리더/라이터는, 통신 가능 공간에 NFC 대응 카드(또는 카드 모드로 동작하는 다른 NFC 대응 리더/라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규격에 정해진 방법(캐리어 주파수, 데이터 변조 속도, 데이터 내용)에 의해, 응답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도 1중의 (2)).
이에 대해, 카드는, 우선 리더/라이터가 송출하는 캐리어의 유도 기전력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어 기동하여 수신 가능 상태가 되고, 그 후, 리더/라이터로부터 보내져 오는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응답 요구 신호가 자신의 타입에 합치하는 신호라면, 카드는, 규격에 정해진 방법(데이터 변조 속도, 회신 타이밍, 데이터 내용)으로 자신의 식별 정보(Card ID)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리더/라이터로부터의 캐리어에 부하 변조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응답한다(도 1중의 (3)).
그리고, 리더/라이터는, 카드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그 정보를 호스트 기기에 전달한다(도 1중의 (4)). 호스트 기기는, 통신 가능 공간에 존재하는 카드의 매수 및 각각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면, 동작 프로그램(펌웨어)에 따라 특정한 카드와의 통신 단계로 이행한다. 이로써, 리더/라이터와 카드 사이의 통신(또는 패시브형 NFC 대응 리더/라이터 상호 통신)이 확립한다. 통신이 확립한 후는, 이니시에이터가 되는 리더/라이터는 필요한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 항상 캐리어 전파를 계속하여 전송하여, 타겟인 카드에 대해 필요한 전력을 보낸다.
상술한 응답 요구 동작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통신시에도, 리더/라이터로부터 카드에 캐리어 전파의 강도 변조, 카드로부터 리더/라이터에 무변조 캐리어의 부하 변조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행한다. 단, 코딩 방식은 통신 모드에 응하여 다르기 때문에, 표 1을 참조하길 바란다.
도 2에는, 일반적인 NFC 대응 카드의 안테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는 안테나 형상은, FeliCa나 RC-S860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ISO/IEC 7816-2, JIS 6301-2 규격 등이 정하는 85.6㎜×54.0㎜의 일반적인 IC카드 형상중에, 가능한 한 큰 전력을 확보하기 위해 카드의 외주에 따라 직사각 형의 안테나 코일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ISO14443 규격에서는, 안테나 코일의 형상이나 코일의 권수(卷數)에 관해 특히 규정되어 있지 않다. ISO/IEC 7816-2 규격이 정하는 접촉형 IC카드의 콘택트가 존재하는 장소를 둘러싸서 형성하는 것이 추천되어 있다.
이에 대해, 도 3에는, 본 발명을 적용한 NFC 대응 카드 및 리더/라이터의 안테나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형의 큰 안테나(이하, "대안테나"라고 부른다)의 중심에 소형의 안테나(이하, "소안테나"라고 부른다)를 배치하고, 제어 IC 칩과 접속하고 있다.
대안테나는 종래의 NFC 규격과 완전한 호환성을 가지며, 소안테나끼리의 통신(이하, 멀티 통신)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는 종래의 NFC 통신을 행하는 능력을 갖는다. 따라서 리더/라이터로부터 카드에의 전력 공급도 이 대안테나가 행한다.
한편, 소안테나는, 데이터 통신만을 담당한다. 대안테나끼리의 통신과의 상호 간섭, 및 대안테나에 의한 리더/라이터로부터 카드에의 전력 공급의 장애가 되지 않도록, 제어 IC 칩과의 접속선도 포함한 물리적 배치나, 캐리어 전파의 주파수, 리더/라이터의 캐리어 출력 등이 적절하게 조정되고, 대안테나와는 독립하여 소안테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능력을 갖는다.
도 4에는, 카드의 안테나와 리더/라이터의 안테나가 대향하여, 대안테나끼리의 통신과 소안테나끼리의 통신으로 이루어지는 멀티 통신을 행하는 양상을 도시하고 있다.
리더/라이터는, 대안테나와 마찬가지로 소안테나에서도 스스로 캐리어 전파 를 송출하고, 캐리어 전파에 변조함에 의해 카드에 신호를 보낸다. 이에 대해, 카드는 자신의 전력을 이용하는 일 없이 리더/라이터에 회답 신호를 보낸다. 따라서 카드는, 소안테나의 쌍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도, 종래의 NFC 대응 카드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전원을 갖출 필요가 없다.
여기서, 소안테나끼리의 통신은, 종래의 13.56MHz대 NFC 통신 규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대안테나에 의한 NFC 통신 및 전력 공급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한, 캐리어 주파수대, 통신 방식, 전달 거리 등이 다른 별개의 무선 통신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소안테나끼리의 통신에 적용하는 무선 통신 기술의 한 예로서, 본 발명자들은, 전파통신 방식의 RFID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통신 시스템에서는, 카드 등의 트랜스폰더는 무변조 캐리어에 대해 변조 처리를 시행한 반사파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반사기를 구비하고, 리더/라이터는 반사기로부터의 변조 반사파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반사파 판독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반사기는, 반사파 판독기로부터 무변조 캐리어가 전송되어 오면, 안테나 부하 임피던스의 전환 조작 등에 의거하여 그 반사파에 변조를 시행하고 송신 데이터를 중첩하여 "백스캐터"라고도 불리는 반사파 전송을 행한다.
도 5에는, 대안테나의 쌍을 이용하여 NFC 통신을 행함과 함께, 대안테나의 내측에 배설된 소안테나의 쌍을 이용하여 반사파 전송을 행하는 멀티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드는, NFC 대응의 대안테나와, NFC 대응 RF 기능부와, 소안테나와, 백스캐터용 RF 기능부와, 상 위 프로토콜에 상당하는 처리부로 구성된다. 또한, 리더/라이터도, NFC 대응의 대안테나와, NFC 대응 RF 기능부와, 소안테나와, 백스캐터용 RF 기능부와, 상위 프로토콜에 상당하는 처리부로 구성된다.
카드 및 리더/라이터의 NFC 대응 RF 기능부의 구성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음으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는, 카드 및 리더/라이터의 백스캐터용 RF 기능부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전파의 주파수로서 2.4GHz대를 이용한다.
카드의 백스캐터용 RF 기능부(308)는, 안테나(309)와, 안테나 스위치(310)와, 안테나 부하(311)와, 밴드 패스 필터(312)와, ASK 검파부(313)로 구성된다.
반사파 전송을 행하는 경우, 처리부로부터 수취한 송신 데이터의 비트 이미지에 따라 안테나(309)에 접속된 안테나 스위치(310)의 온/오프 동작을 행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가 1일 때는 안테나 스위치(310)를 온으로, 데이터가 0일 때 오프로 한다. 안테나 스위치(310)는 예를 들면 갈륨 비소의 IC로 구성되고, 온/오프 조작할 때의 소비 전력은 수 십㎼ 이하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 스위치(310)가 온일 때는, 안테나(309)는 50Ω의 안테나 부하(311)로 종단되고, 오프일 때는, 안테나(309)는 오픈이 된다. 이 동작은, 전송처로부터 도래하는 전파에 대해, 온일 때는 종단, 오프일 때는 반사의 행동을 하기 때문에, 리더/라이터에서는, 송신 전파의 반사를 검출함에 의해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이 경우의 반사파 신호는 ASK 변조파와 등가이지만, PSK나 FSK 변조 방식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밴드 패스 필터(BPF)(312)와 ASK 검파부(313)는, 리더/라이터로부터 ASK 변조된 송달 확인 신호의 수신시 등에 이용한다.
한편, 리더/라이터의 백스캐터용 RF 기능부(400)는, 2.4GHz대의 안테나(401)와, 서큘레이터(402)와, 수신부(403)와, 송신부(406)와, 주파수 신디사이저(409)로 구성된다. 수신부(403)는, 직교검파부(404)와 AGC 앰프(405)로 구성되고, 송신부(406)는, 믹서(408)와 파워 앰프(407)로 구성된다.
무변조 캐리어를 송신할 때, 믹서(408)에 일정한 직류 전압을 인가한다. 송신하는 무변조 캐리어의 주파수는, 통신 제어부(410)에서 제어되는 주파수 신디사이저의 주파수로 정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2.4GHz대를 이용하고 있다. 믹서(408)로부터 출력되는 무변조 캐리어는, 파워 앰프(407)에서 소정의 레벨까지 증폭되고, 서큘레이터(402) 경유로 안테나(401)로부터 송출된다.
카드의 백스캐터용 RF 기능부(300)로부터 전송된 반사파 신호는 무변조 캐리어의 주파수와 같다. 이 반사파 신호는, 안테나(401)에서 수신되고, 서큘레이터(402) 경유로 수신부(403)에 입력된다. 직교검파부(404)에는, 송신과 같은 로컬 주파수가 입력되기 때문에, 직교검파부(404)의 출력에는, 화상 전송 장치(300)에서 걸려진 ASK 변조파가 나타나게 된다. 단, 수신한 신호는 로컬 신호와 위상이 다르기 때문에, I축 신호와 Q축 신호에는, 그 위상차에 따른 변조 신호가 나타난다. AGC 앰프부(405)에서는, 최적치로 게인이 제어되고, 그 출력 신호는 처리부에 건네진다. 그리고, 처리부에서는, I축 및Q 축의 각 신호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로의 복조를 행하고, 올바른 데이터가 처리부에 전송된다.
NFC 통신 시스템에서는 수MHz 내지 수백MHz(예를 들면 13.56MHz)의 주파수를 이용함에 대해, 도 6에 도시한 반사파 전송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ISM(Industrory Science and Medical Band)이라고 불리는 2.4GHz대(마이크로파)의 고대역을 이용한 Mbps 정도의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대안테나의 쌍으로 NFC 통신을 행함에 병행하여 소안테나로 멀티 통신을 행함에 의해, NFC 통신의 비약적인 통신 속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파 전송 시스템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본 출원인에게 이미 양도되어 있는 일본 특개2005-136666호 공보, 일본 특개2005-136943호 공보, 일본 특개2005-323267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각 소안테나의 통신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통신의 독립성이 유지되고, 대안테나의 NFC 통신 및 전력 공급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한, 대안테나의 내부에 복수의 소안테나를 배치할 수도 있다. 도 7에는, 복수의 소안테나를 구비한 NFC 대응 카드의 안테나 형상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리더/라이터 안테나에 관해서는, 안테나 면적을 충분 넓게 취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다수의 소안테나를 어레이 형상으로 나열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다수의 소안테나를 어레이 형상으로 나열한 NFC 대응 리더/라이터의 안테나 형상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리더/라이터 및 카드는 통신하여야 할 데이터를 각 소안테나에 적정하게 분배하여 송신하고, 또는 각 소안테나의 수신 데이터를 적정하게 통합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각 소안테나의 쌍에 있어서 독립한 통신을 병행하여 행함에 의해, 보다 고속의 멀티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도 9에는, 카드 및 리더/라이터 사이에서 멀티 통신을 행할 때에, 통신에 이용하는 소안테나를 선택하는 처리 순서를 도해(圖解)하고 있다.
리더/라이터 및 카드는, 멀티 통신 시작 전에 각 소안테나가 상대측과 통신 가능한지의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정하는 수단을 가지며, 통신 불능한 소안테나를 서스펜드 상태로 하고 통신 가능한 안테나 쌍만을 이용하여 멀티 통신을 행할 수 있다(도 9의 (1)을 참조할 것).
이 때, 리더/라이터 또는 카드의 복수의 소안테나가 상대측의 동일한 소안테나와 통신 가능해지는 경우에는(도 9의 (2)를 참조할 것), 가장 통신 상태가 양호한 소안테나를 하나 선택하고, 그 밖의 소안테나는 서스펜드 상태로 한다(도 9의 (3)을 참조할 것).
도 10에는, 리더/라이터와 카드의 물리적 배치에 응하여 통신에 이용하는 안테나를 선택하는 처리 순서를 도해하고 있다.
리더/라이터에 부속한 카드 홀더 등에 의해 리더/라이터와 카드의 물리적 배치가 이상적으로 유지된 경우에는, 그 리더/라이터 및 카드의 대가 갖는 능력의 최고 속도에 의해 멀티 통신을 행한다(도 10의 (1)을 참조할 것).
한편, 유저가 손으로 카드를 지지하거나 리더/라이터 부근에 배치하거나 한 경우 등, 리더/라이터와 카드의 물리적 배치가 양호지 않은 때에는, 그 상황에서 가능한 최고 속도에 의해 멀티 통신을 행한다(도 10의 (2)를 참조할 것).
또한, 모든 소안테나 쌍가 통신 불능한 경우에는, 대안테나를 이용한 종래형 NFC 통신을 행한다(도 10의 (3)을 참조할 것).
이와 같은 통신 안테나 선택 처리의 사이도, 대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대안테나를 통하여 리더/라이터로부터 카드에의 전력 공급을 행한다.
도 11에는, 리더/라이터와 카드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 리더/라이터가 실행하는 처리 순서를 플로우 차트의 형식으로 도시하고 있다. 단, 동 도면중의 점선으로 둘러싼 처리 스텝은, 멀티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신규의 처리에 상당한다.
리더/라이터는, 전원이 투입되면(스텝 S1), UART 등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호스트로부터 리더/라이터 시작 커맨드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2).
호스트로부터 리더/라이터 시작 커맨드가 도달하면, 리더/라이터는, 대안테나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 범위 내의 NFC 대응 카드에 대한 응답 요구 신호를 송신하고(스텝 S3), NFC 대응 카드로부터의 리스폰스의 수신을 대기한다(스텝 S4). 카드로부터의 리스폰스를 대기중에 타임 아웃하면, 스텝 S2로 되돌아와, 호스트로부터 리더/라이터 시작 커맨드를 수신할 때까지 재차 대기한다.
한편, NFC 대응 카드로부터 응답 요구 신호에 대한 리스폰스를 수신할 수 있는 때에는, 계속해서, 리더/라이터는, 동 카드에 대해, 소안테나를 통하여 고속 통신이 가능한지, 즉 멀티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멀티 통신 대응 판정 신호를 대안테나로부터 송신한다(스텝 S5). 그리고, 카드로부터의 리스폰스를 대기한다(스텝 S6).
여기서, 카드로부터의 리스폰스를 대기중에 타임 아웃하면, 카드와의 멀티 통신을 단념하고, 대안테나만을 이용한 NFC 통신 모드로 설정하고(스텝 S12), 카드에 대해 NFC 통신 커맨드를 대안테나로부터 송신한다.
이에 대해, 멀티 통신 대응 판정 신호에 대한 리스폰스를 카드로부터 수신할 수 있었던 때에는, 리더/라이터는, 이번에는 소안테나를 이용하여, 동 카드에 대해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를 일제히 송신하고(스텝 S7), 카드로부터의 리스폰스를 대기한다(스텝 S8). 각 소안테나로부터 송신한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에는, 어느 소안테나로부터 보내진 것인지를 나타내는 ID 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카드로부터의 리스폰스를 대기중에 타임 아웃하면, 리더/라이터는, 멀티 통신을 단념하고, 대안테나만을 이용한 NFC 통신 모드로 설정하고(스텝 S12), 카드에 대해 NFC 통신 커맨드를 대안테나로부터 송신한다.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에 대한 리스폰스에는, 카드의 어느 소안테나로부터 보내졌는지를 나타내는 ID 번호가 포함되어 있다(후술). 리더/라이터는, 어느 하나의 소안테나로 카드로부터의 멀티 통신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었던 때에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없었던 소안테나를 서스펜드 상태로 한다(스텝 S9). 또한, 리더/라이터는, 각 소안테나로 수신한 응답 신호 내의 ID 번호를 비교하고, 복수의 소안테나가 동일한 ID 번호를 갖는 멀티 통신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10), 그중에서 가장 통신 상태가 좋은 소안테나를 선택하고, 그 밖의 소안테나를 서스펜드 상태로 한 후, 스텝 S7로 되돌아와, 나머지 소안테나로부터 재차 일제히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이와 같은 멀티 통신 응답 요구 동작을 카드와의 사이에서 반복하여 실행함에 의해, 리더/라이터와 카드 사이에서 소안테나의 중복이 없는 1대1의 통신 가능한 소안테나의 쌍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소안테나로 수신한 응답 신호 내에 동일한 ID 번호가 없는 때는(즉, 동일한 ID 번호를 갖는 멀티 통신 응답 신호를 복수의 소안테나로 수신하지 않게 된 때), 리더/라이터는, 대안테나를 이용한 NFC 통신과 함께, 소안테나를 이용한 고속 통신을 행하는 멀티 통신 모드로 이행한다. 이 경우, 리더/라이터는, 통신 가능한 소안테나로부터, 카드에 대해 멀티 통신 커맨드를 송신한다(스텝 S11).
또한, 도 12에는, 리더/라이터와 카드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 카드가 실행하는 처리 순서를 플로우 차트의 형식으로 도시하고 있다. 단, 동 도면중의 점선으로 둘러싼 처리 스텝은, 멀티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신규의 처리에 상당한다.
카드는, 전원이 투입되면(스텝 S21), 통신 가능 범위의 NFC 대응 리더/라이터로부터의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스텝 S22). 그리고, 카드는, 리더/라이터로부터의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고, 이에 대한 리스폰스를 대안테나로부터 송신한다(스텝 S23). 그리고, 카드는, 동 리더/라이터와의 사이에서 NFC 통신, 또는 소안테나를 이용한 고속 통신을 병행하여 행하는 멀티 통신중 어느것을 행할지를 선택하는 선택 상태로 이행한다(스텝 S24). 이 선택 상태에서 타임 아웃한 때에는, 카드는, 멀티 통신을 단념하고, 대안테나만을 이용한 NFC 통신 모드로 설정한다(스텝 S31).
또한, 선택 상태에서, 리더/라이터로부터 멀티 통신 대응 판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었던 때에는, 카드는, 스스로 멀티 통신에 대응하고 있다는 것을 리더/라 이터기에 통지하기 위한 리스폰스를, 대안테나로부터 송신한다(스텝 S25). 그리고, 동 리더/라이터로부터의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스텝 S26). 이 대기 상태에서 타임 아웃한 때에는, 카드는, 멀티 통신을 단념하고, 대안테나만을 이용한 NFC 통신 모드로 설정한다(스텝 S31).
카드는, 리더/라이터로부터의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한 때에는, 소안테나로부터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이 때, 리더/라이터로부터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없었던 소안테나를 서스펜드 상태로 한다(스텝 S27). 또한, 카드는, 각 소안테나로 수신한 응답 요구 신호내의 ID 번호를 비교하고, 동일한 ID 번호를 갖는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를 복수의 소안테나 신호가 수신하는 지를 판단한다. 동일한 ID 번호를 갖는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를 어떠한 두개의 소안테나도 수신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한 모든 소안테나로부터 응답 신호를 일제히 송신한다(스텝 S28). 한편, 복수의 안테나가 동일한 ID 번호를 갖는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있다고 판정되면, 그중에서 가장 통신 상태가 좋은 소안테나를 선택함과 함께, 그 밖의 소안테나를 서스펜드 상태로 한 후(스텝 S27), 나머지 소안테나로부터 응답 신호를 일제히 송신한다(스텝 S28). 각 소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응답 신호에는, 카드의 어느 소안테나로부터 보내졌는지를 나타내는 ID 번호를 포함한다. 그리고, 멀티 통신의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스텝 S29).
이 대기 상태에서 타임 아웃한 때(또는 리더/라이터에서 NFC 통신 커맨드를 수신한 때)에는, 카드는, 멀티 통신을 단념하고, 대안테나만을 이용한 NFC 통신 모 드로 설정한다(스텝 S31).
또한, 이 대기 상태의 사이에, 리더/라이터에서 멀티 통신 커맨드를 수신할 수 있었던 때에는, 카드는, 대안테나를 이용한 NFC 통신과 함께, 소안테나를 이용한 고속 통신을 행하는 멀티 통신 모드로 이행한다(스텝 S30).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처리 순서의 제어는, 리더/라이터를 UART 경유로 접속하는 호스트 기기, 및 카드에 포함된 CPU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른바 펌웨어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제어를 하드웨어(또는 마이크로프로그램)에 의해 물리층에서 실장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상에서는, 물리층에서 어떠한 통신을 행하고 있는지(즉 종래의 NFC 통신 또는 멀티 통신)를 의식하는 일 없이,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즉, 종래의 NFC 통신에 이용하고 있던 상층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일체 변경하는 일 없이, 멀티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처리 순서에서는, 리더/라이터 및 카드 사이에서 멀티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서로 확인하기 위해, 멀티 통신 대응 판정 신호와 이에 대한 리스폰스를 교환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이에 대해, 종래의 NFC 통신에서의 응답 요구 신호 및 응답 신호 내의 현재 비사용 비트(RFU)의 중에 멀티 통신의 대응/비대응 정보를 격납할 수 있으면, 멀티 통신 대응을 확인하는 순서를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는, NFC 통신에서의 응답 요구 신호 및 응답 신호 내의 현재 비사용 비트(RFU)중에 멀티 통신의 대응/비대응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의, 리더/ 라이터와 카드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 리더/라이터 및 카드가 실행하는 처리 순서를 플로우 차트의 형식으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단, 동 도면중의 점선으로 둘러싼 처리 스텝은, 멀티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신규의 처리에 상당한다.
리더/라이터는, 전원이 투입되면(스텝 S41), UART 등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호스트로부터 리더/라이터 시작 커맨드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42).
호스트로부터 리더/라이터 시작 커맨드가 도달하면, 리더/라이터는, 대안테나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 범위 내의 NFC 대응 카드에 대한 응답 요구 신호를 송신하고(스텝 S43), NFC 대응 카드로부터의 리스폰스의 수신을 대기한다(스텝 S44). 응답 요구 신호 내의 현재 비사용 비트(RFU)중에는, 스스로 멀티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카드로부터의 리스폰스를 대기중에 타임 아웃하면, 스텝 S2로 되돌아와, 호스트로부터 리더/라이터 시작 커맨드를 수신할 때까지 재차 대기한다. 또한, NFC 대응 카드로부터 응답 요구 신호에 대한 리스폰스를 수신할 수 있었던 때에는, 이 리스폰스 내의 현재 비사용 비트(RFU)중에 카드가 멀티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격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45). 멀티 통신 대응 판정 신호의 송신 동작이 생략한다.
여기서, 카드로부터 수신한 리스폰스 내의 현재 비사용 비트(RFU)에 의거하여 해당 카드가 멀티 통신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정되지 않으면, 카드와의 멀티 통신을 단념하고, 대안테나만을 이용한 NFC 통신 모드로 설정하고(스텝 S51), 카드에 대해 NFC 통신 커맨드를 대안테나로부터 송신한다.
한편, 카드로부터 수신한 리스폰스 내의 현재 비사용 비트(RFU)에 의거하여해당 카드가 멀티 통신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정되면, 리더/라이터는, 이번에는 소안테나를 이용하여, 동 카드에 대해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를 일제히 송신하고(스텝 S46), 카드로부터의 리스폰스를 대기한다(스텝 S47). 각 소안테나로부터 송신한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에는, 어느 소안테나로부터 보내진 것인지를 나타내는 ID 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카드로부터의 리스폰스를 대기중에 타임 아웃하면, 리더/라이터는, 멀티 통신을 단념하고, 대안테나만을 이용한 NFC 통신 모드로 설정하고(스텝 S51), 카드에 대해 NFC 통신 커맨드를 대안테나로부터 송신한다.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에 대한 리스폰스에는, 카드의 어느 소안테나로부터 보내졌는지를 나타내는 ID 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리더/라이터는, 어느 하나의 소안테나로 카드로부터의 멀티 통신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었던 때에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없었던 소안테나를 서스펜드 상태로 한다(스텝 S48). 또한, 리더/라이터는, 각 소안테나로 수신한 응답 신호 내의 ID 번호를 비교하고, 동일한 ID 번호를 갖는 멀티 통신 응답 신호를 복수의 소안테나로 수신하고 있을 때에는(스텝 S49), 그중에서 가장 통신 상태가 좋은 소안테나를 선택하고, 그 밖의 소안테나를 서스펜드 상태로 한 후, 스텝 S46로 되돌아와, 나머지 소안테나로부터 재차 일제히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이와 같은 멀티 통신 응답 요구 동작을 카드와의 사이에서 반복하여 실행함에 의해, 리더/라이터와 카드 사이에서 소안테나의 중복이 없는 1대1의 통신 가능한 소안테나의 쌍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소안테나로 수신한 응답 신호 내에 동일한 ID 번호가 없는 때는(즉, 동일한 ID 번호를 갖는 멀티 통신 응답 신호를 복수의 소안테나로 수신하지 않게 된 때), 리더/라이터는, 대안테나를 이용한 NFC 통신과 함께, 소안테나를 이용한 고속 통신을 행하는 멀티 통신 모드로 이행한다. 이 경우, 리더/라이터는, 통신 가능한 소안테나로부터, 카드에 대해 멀티 통신 커맨드를 송신한다(스텝 S50).
한편, 카드에서는, 전원이 투입되면(스텝 S61), 통신 가능 범위의 NFC 대응 리더/라이터로부터의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스텝 S62). 그리고, 카드는, 리더/라이터로부터의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수신 신호 내의 현재 비사용 비트(RFU)중에 카드가 멀티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격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나서, 이에 대한 리스폰스를 대안테나로부터 송신하고(스텝 S63), 동 리더/라이터로부터의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스텝 S64). 응답 요구 신호에 대한 리스폰스 내의 현재 비사용 비트(RFU)중에 카드가 멀티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NFC 통신/멀티 통신의 선택 대기 상태와 멀티 통신 대응 판정 신호의 리스폰스를 송신하는 처리는 생략한다.
리더/라이터로부터의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대기 상태에서 타임 아웃한 때에는, 카드는, 멀티 통신을 단념하고, 대안테나만을 이용한 NFC 통신 모드로 설정한다(스텝 S69).
카드는, 리더/라이터로부터의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한 때에는, 소안테나로부터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이 때, 리더/라이터로부터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없었던 소안테나를 서스펜드 상태로 한다(스텝 S65). 또한, 카드는, 각 소안테나로 수신한 응답 요구 신호 내의 ID 번호를 비교하고, 복수의 소안테나가 동일한 ID 번호를 갖는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지를 판정한다. 동일한 ID 번호를 갖는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를 복수의 소안테나로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한 모든 소안테나로부터 응답 신호를 일제히 송신한다(스텝 S66). 한편, 동일한 ID 번호를 갖는 멀티 통신 응답 요구 신호를 복수의 소안테나에서 수신한다고 판정되면, 그중에서 가장 통신 상태가 좋은 소안테나를 선택함과 함께, 그 밖의 소안테나를 서스펜드 상태로 한 후(스텝 S65), 나머지 소안테나로부터 응답 신호를 일제히 송신한다(스텝 S66). 각 소안테나로부터 송신한 응답 신호에는, 카드의 어느 소안테나로부터 보내졌는지를 가리키는 ID 번호를 포함한다. 그리고, 멀티 통신의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스텝 S67).
이 대기 상태에서 타임 아웃한 때(또는 리더/라이터로부터 NFC 통신 커맨드를 수신한 때)에는, 카드는, 멀티 통신을 단념하고, 대안테나만을 이용한 NFC 통신 모드로 설정한다(스텝 S69).
또한, 이 대기 상태의 사이에, 리더/라이터에서 멀티 통신 커맨드를 수신할 수 있었던 때에는, 카드는, 대안테나를 이용한 NFC 통신과 함께, 소안테나를 이용한 고속 통신을 행하는 멀티 통신 모드로 이행한다(스텝 S68).
멀티 통신 모드하에서는, 리더/라이터와 카드 사이에서는, 대안테나를 이용한 NFC 통신 및 리더/라이터로부터 카드에의 전력 공급을 행함과 함께, 대안테나의 내측에 형성된 소안테나의 쌍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소안테나의 쌍에 의한 통신으로서, 예를 들면 2.4GHz대를 사용하는 반사파 전송을 적용함으로써, 대안테나에 의한 NFC 통신과는 간섭하는 일 없이, 또한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상,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해 상세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해당 실시예의 수정이나 대용을 해낼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리더/라이터와 카드 사이의 비접촉 통신에 주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요지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NFC IP-1 규격이 정하는 리더/라이터끼리의 패시브형 상호 통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단, 소안테나의 통신 형태에 있어서 전술한 반사파 전송 방식의 통신 기술과 같이, 리더/라이터와 카드의 구성이 비대칭인 경우(안테나 형상이나 특성이 다른 경우)에는, 리더/라이터 및 카드의 안테나 배치를 궁리할 필요가 있다. 도 15에는, 리더/라이터와 카드의 안테나 형상이나 특성이 다른 경우의 안테나 배치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리더/라이터끼리에서 멀티 통신을 행할 때에는, 리더/라이터끼리의 위치 관계(방향)에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도 16에는, 리더/라이터 사이에서 멀티 통신을 행할 때의, 각 리더/라이터의 안테나끼리의 겹치는 방식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리더/라이터의 송신 전파 및 복수의 소안테나 동작의 동기 제어를 행할 수 있으면, NFC IP-1 규격이 정하는 액티브형 상호 통신에도 본 발명에 관한 멀티 통신을 응용할 수 있다.
도 1은 NFC 통신 시스템의 기본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NFC 대응 카드의 안테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NFC 대응 카드 및 리더/라이터의 안테나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카드의 안테나와 리더/라이터의 안테나가 대향하여, 대안테나끼리의 통신과 소안테나끼리의 통신으로로 이루어지는 멀티 통신을 행하는 양상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대안테나의 쌍을 이용하여 NFC 통신을 행함과 함께, 대안테나의 내측에 배설된 소안테나의 쌍을 이용하여 반사파 전송을 행하는 멀티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카드 및 리더/라이터의 백스캐터용 RF 기능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복수의 소안테나를 구비한 NFC 대응 카드의 안테나 형상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다수의 소안테나를 어레이 형상으로 나열한 NFC 대응 리더/라이터의 안테나 형상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카드 및 리더/라이터 사이에서 멀티 통신을 행할 때에, 통신에 이용하는 소안테나를 선택하는 처리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리더/라이터와 카드의 물리적 배치에 응하여 통신에 이용하는 안테나를 선택하는 처리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리더/라이터와 카드 사이에서 멀티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 리더/라이터가 실행하는 처리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2는 리더/라이터와 카드 사이에서 멀티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 카드가 실행하는 처리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3은 리더/라이터와 카드 사이에서 멀티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 리더/라이터가 실행하는 처리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4는 리더/라이터와 카드 사이에서 멀티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 카드가 실행하는 처리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5는 리더/라이터와 카드의 안테나 형상이나 특성이 다른 경우의 안테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리더/라이터 사이에서 멀티 통신을 행할 때의, 각 리더/라이터의 안테나끼리의 겹치는 방식을 예시한 도면.
도 17은 트랜스폰더 및 리더/라이터로로 이루어지는 전자유도 방식의 비접촉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Claims (18)

  1. 비접촉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로서,
    대안테나와;
    상기 대안테나를 이용하여 전자유도 방식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1의 무선 처리 수단과;
    상기 대안테나의 내측에 배설된 소안테나; 및
    상기 소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2의 무선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무선 처리 수단은, 상기 대안테나를 이용하여, NFC(Near Field Co㎜unication)에서의 리더/라이터 또는 카드의 어느 한쪽으로서 동작하고, 카드 또는 리더/라이터로서 동작하는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무선 처리 수단이 상기 소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가 없을 때, 상기 제 1의 무선 처리 수단은 상기 대안테나만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무선 처리 수단은, 무변조 캐리어에 대해 변조 처리를 시행한 반사파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반사기, 또는 상기 반사기로부터의 변조 반사파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반사파 판독기로서 동작하고, 상기 소안테나를 이용하여 반사파 전송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안테나의 내측에 복수의 소안테나를 어레이 형상으로 일괄 형성하고,
    상기 제 2의 무선 처리 수단은 통신하여야 할 데이터를 각 소안테나에 적정하게 분배하여 송신하거나, 또는 각 소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한 단위로 적정하게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무선 처리 수단이 상기 소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가 없을 때, 상기 제 1의 무선 처리 수단은 상기 대안테나만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무선 처리 수단은, 상기 소안테나의 쌍을 이용하는 멀티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각 소안테나가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 가능한지의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정하는 수단을 가지며, 통신 불능한 것으로 판정된 소안테나를 서스펜드 상태로 하고, 통신 가능한 것으로 판정된 안테나 쌍만을 이용하여 멀티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무선 처리 수단은, 복수의 소안테나가 다른 통신 장치의 동일한 소안테나와 중복하여 통신 가능하게 될 때는, 가장 통신 상태가 양호한 소안테나를 하나 선택하고, 그 밖의 중복되는 소안테나는 서스펜드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무선 처리 수단은, 상기 다른 통신 장치가 소안테나를 이용하여 멀티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대안테나를 이용하고,
    상기 제 2의 무선 처리 수단은, 상기 다른 통신 장치가 소안테나를 이용하여 멀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만, 소안테나를 이용하여 멀티 통신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무선 처리 수단이 리더/라이터로서 동작할 때, 상기 제 1의 무선 처리 수단이 상기 대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카드로서 동작하는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해, 항상 대안테나를 이용하여 전력 공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1. 대안테나를 구비하는 NFC 대응의 리더/라이터; 및
    대안테나를 구비하는 NFC 대응의 카드 또는 카드 모드에서 동작하는 NFC 대응의 리더/라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리더/라이터와 상기 카드는 비접촉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고,
    상기 리더/라이터와 상기 카드 각각은 상기 대안테나 내측에 배설된 소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소안테나의 쌍을 이용하여 NFC 통신 이외의 다른 비접촉 통신 시스템을 통해 멀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는 상기 소안테나로 수신한 무변조 캐리어에 대해 변조 처리를 시행한 반사파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반사기를 포함하고,
    상기 리더/라이터는 상기 소안테나로 수신한 변조 반사파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반사파 판독기를 포함하고,
    상기 리더/라이터 및 상기 카드는 상기 소안테나의 쌍을 이용하여 반사파 전 송을 통한 멀티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라이터와 상기 카드는, 상기 소안테나의 쌍을 이용하는 멀티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대안테나의 쌍을 이용하는 NFC 통신을 통하여, 상기 소안테나의 쌍을 이용하는 멀티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서로 확인하고, 상기 리더/라이터와 상기 카드가 상기 소안테나의 쌍을 이용하여 멀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만, 상기 소안테나의 쌍을 이용하는 멀티 통신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라이터 또는 상기 카드중 적어도 한쪽에서,
    상기 소안테나는 상기 대안테나의 내측에 어레이 형상으로 일괄 형성된 복수의 소안테나로 구성되고, 통신하여야 할 데이터는 각 소안테나에 적정하게 분배되어 상기 소안테나 각각을 통해 송신되거나, 또는 각 소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는 적정하게 하나의 단위로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대안테나의 내측에 어레이 형상으로 일괄 형성된 복수의 소안테나를 갖는 상기 리더/라이터 또는 상기 카드는, 상기 소안테나의 쌍을 이용하는 멀티 통신 을 시작하기 전에, 각 소안테나가 상대측과 통신 가능한지의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정하고, 통신 불능한 소안테나를 서스펜드 상태로 하고, 통신 가능한 안테나 쌍만을 이용하여 멀티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대안테나의 내측에 어레이 형상으로 일괄 형성된 복수의 소안테나를 갖는 상기 리더/라이터 또는 상기 카드는, 복수의 소안테나가 통신 상대가 되는 통신 장치측의 동일한 소안테나와 중복하여 통신 가능하게 될 때는, 가장 통신 상태가 양호한 소안테나를 하나 선택하고, 그 밖의 중복되는 소안테나는 서스펜드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라이터와 상기 카드는, 상기 소안테나의 쌍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가 없을 때, 상기 대안테나의 쌍만을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라이터는, 상기 대안테나의 쌍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카드에 대해 항상 대안테나를 이용하여 전력 공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080123842A 2007-12-11 2008-12-08 통신 장치 KR200900615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19567A JP5125465B2 (ja) 2007-12-11 2007-12-11 通信装置
JPJP-P-2007-319567 2007-1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584A true KR20090061584A (ko) 2009-06-16

Family

ID=40428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842A KR20090061584A (ko) 2007-12-11 2008-12-08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146796A1 (ko)
EP (1) EP2071734A2 (ko)
JP (1) JP5125465B2 (ko)
KR (1) KR20090061584A (ko)
CN (1) CN1014587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4779A1 (en) * 2012-06-29 2014-01-03 Intel Corporation Spiral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oil for consistent coupling with different tags and devices
KR20180087915A (ko) * 2017-01-25 2018-08-03 전자부품연구원 백스캐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6716A1 (en) 2008-12-23 2011-12-29 George Allan Mackay Low power wireless parking meter and parking meter network
JP5525035B2 (ja) * 2010-03-12 2014-06-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回路システム、電子回路デバイス、および無線通信デバイス
US20120203620A1 (en) 2010-11-08 2012-08-09 Douglas Howard Dobyns Techniqu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Proximity Based Marketing
CN102609738A (zh) * 2011-01-25 2012-07-25 上海互惠信息技术有限公司 Rfid多天线读写器
CA3178279A1 (en) 2011-03-03 2012-09-03 J.J. Mackay Canada Limited Parking meter with contactless payment
US8929809B2 (en) 2011-03-22 2015-01-06 Radeum, Inc. Techniqu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proximity based content
US8880100B2 (en) 2011-03-23 2014-11-04 Radium, Inc. Proximity based social networking
DE102011076135A1 (de) * 2011-05-19 2012-11-22 Endress + Hauser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mmunikation mittels eines Transformators
JP5790200B2 (ja) * 2011-06-27 2015-10-07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並びに通信システム
JP5928768B2 (ja) * 2011-08-10 2016-06-01 ソニー株式会社 非接触通信装置
US9253340B2 (en) * 2011-11-11 2016-02-02 Intellectual Ventures Fund 83 Llc Wireless camera with image sharing prioritization
JP5967980B2 (ja) * 2012-03-05 2016-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システム、記録装置、及び通信方法
JP2013214909A (ja) * 2012-04-03 2013-10-17 Denso Corp 車両用携帯機
KR20130116602A (ko) * 2012-04-16 2013-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8905317B1 (en) 2012-06-07 2014-12-09 Amazon Technologies, Inc. Co-located passive UHF RFID tag and NFC antenna in compact electronic devices
US9112543B2 (en) * 2012-12-27 2015-08-18 Cambridge Silicon Radio Limited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US9496927B1 (en) * 2013-01-21 2016-11-15 Google Inc. Interrupt base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pairing
US20150244422A1 (en) * 2014-02-26 2015-08-27 Kabushiki Kaisha Toshiba Memory device including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KR101762778B1 (ko) 2014-03-04 2017-07-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 그리고 무선 충전 및 통신 장치
JP5849194B1 (ja) * 2014-07-31 2016-01-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取引端末装置
US9621228B2 (en) 2014-08-29 2017-04-11 Freelinc Technologies Spatially aware communications using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s standards
US10164685B2 (en) 2014-12-31 2018-12-25 Freelinc Technologies Inc. Spatially aware wireless network
CA3176773A1 (en) 2015-08-11 2017-02-11 J.J. Mackay Canada Limited Single space parking meter retrofit
EP3214768B1 (en) * 2016-03-03 2019-08-28 Nxp B.V. Nfc power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US10403960B2 (en) * 2016-03-31 2019-09-03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antenna optimization
US11922756B2 (en) 2019-01-30 2024-03-05 J.J. Mackay Canada Limited Parking meter having touchscreen display
CA3031936A1 (en) 2019-01-30 2020-07-30 J.J. Mackay Canada Limited Spi keyboard module for a parking meter and a parking meter having an spi keyboard module
KR102594118B1 (ko) * 2019-02-22 2023-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드를 감지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
US10862542B1 (en) * 2019-09-11 2020-12-08 Nxp B.V. Near-field converte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628Y2 (ja) * 1986-08-05 1994-06-0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伝送媒体対称配置形情報カ−ド
JP2529436B2 (ja) * 1989-11-28 1996-08-28 三菱電機株式会社 非接触型icカ―ドシステム
US6304169B1 (en) * 1997-01-02 2001-10-16 C. W. Over Solutions, Inc. Inductor-capacitor resonant circuits and improved methods of using same
US5874724A (en) * 1997-01-10 1999-02-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ight selectabl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and method therefor
JP4035873B2 (ja) * 1997-11-21 2008-01-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Icカード及びicカードシステム
US7076168B1 (en) * 1998-02-12 2006-07-11 Aqu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multicarrier interferometry to enhance optical fiber communications
FR2812482B1 (fr) * 2000-07-28 2003-01-24 Inside Technologies Dispositif electronique portable comprenant plusieurs circuits integres sans contact
US6552661B1 (en) * 2000-08-25 2003-04-22 Rf Code, Inc. Zone base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JP3695466B2 (ja) 2002-12-17 2005-09-14 ソニー株式会社 近接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2004240899A (ja) * 2003-02-10 2004-08-26 Totoku Electric Co Ltd ハイブリッド型非接触icカード
US6903656B1 (en) * 2003-05-27 2005-06-07 Applied Wireless Identifications Group, Inc. RFID reader with multiple antenna selection and automated antenna matching
JP4196871B2 (ja) 2003-10-10 2008-12-17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GB2406023B (en) * 2003-10-29 2005-08-10 Innovision Res & Tech Plc RFID apparatus
JP2005136666A (ja) 2003-10-30 2005-05-26 Sony Corp 無線通信装置
JP4345567B2 (ja) 2004-05-11 2009-10-14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JP2005333169A (ja) * 2004-05-18 2005-12-02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JP4199164B2 (ja) * 2004-06-29 2008-12-17 株式会社日立情報システムズ Rfidタグシステム
US7375616B2 (en) * 2004-09-08 2008-05-20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near field communication enabled multifunctional device and method of its operation
US20070126585A1 (en) * 2005-12-06 2007-06-07 Symbol Technologies, Inc. System integration of RFID and MIMO technologies
US7954722B2 (en) * 2006-05-30 2011-06-07 Hitachi, Ltd. IC tag and inlet for IC tag
JP2007319567A (ja) 2006-06-02 2007-12-13 Sekisui House Ltd テーブル
TW200835186A (en) * 2006-11-15 2008-08-16 Nxp Bv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ctivation
US20090009295A1 (en) * 2007-03-30 2009-01-08 Broadcom Corporation Transceiver with far field and near field operat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4779A1 (en) * 2012-06-29 2014-01-03 Intel Corporation Spiral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oil for consistent coupling with different tags and devices
US9934895B2 (en) 2012-06-29 2018-04-03 Intel Corporation Spiral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oil for consistent coupling with different tags and devices
KR20180087915A (ko) * 2017-01-25 2018-08-03 전자부품연구원 백스캐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58761A (zh) 2009-06-17
US20090146796A1 (en) 2009-06-11
JP5125465B2 (ja) 2013-01-23
EP2071734A2 (en) 2009-06-17
JP2009147423A (ja)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5465B2 (ja) 通信装置
US9497588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data processing apparatus
EP254179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FC secure application support in battery-off mode when no nonvolatile memory write access is available
US9087281B2 (en) Dual-frequency RFID tag with isolated inputs
EP1732032B1 (en) Non-contact 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102017438B (zh) 射频通信设备以及操作这种射频通信设备的方法
JP4661952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並びに通信システム
US90987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presence recognition of a second portable data carrier by a first portable data carrier
US20090073070A1 (en) Dual band antenna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KR101316679B1 (ko) 데이터 통신 시스템, ic 카드 기능을 실행하는 디바이스및 그 제어 방법, 및 정보 처리 단말기
US20090009295A1 (en) Transceiver with far field and near field operat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KR20130138355A (ko) 카드 에뮬레이션에서 근거리 필드 통신 어플리케이션 아이덴티피케이션 라우팅
JP2010130242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並びに通信システム
JP4692807B2 (ja) 接触式データ通信装置、送受信装置、および送受信方法
JP2006245656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非接触式icカードリーダライタ装置
KR100474473B1 (ko) 능동형 비접촉 식별장치
JP2003168088A (ja) 非接触icカード
JP2000216715A (ja) 非接触情報媒体を利用する通信システム及びかかる通信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通信補助装置
JP3966340B2 (ja) 非接触idシステム
KR101382940B1 (ko) 스마트 카드
JP2005004471A (ja) Icカード用リーダライタ
WO2008150083A1 (en) Electronic card terminal apparatus
WO2012074484A1 (en) A multiple antenna interface adap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