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6602A -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6602A
KR20130116602A KR1020120039144A KR20120039144A KR20130116602A KR 20130116602 A KR20130116602 A KR 20130116602A KR 1020120039144 A KR1020120039144 A KR 1020120039144A KR 20120039144 A KR20120039144 A KR 20120039144A KR 20130116602 A KR20130116602 A KR 20130116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period
card emulation
electronic device
rang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석
진병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9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6602A/ko
Priority to US13/854,247 priority patent/US9379782B2/en
Priority to EP13163685.4A priority patent/EP2654323B1/en
Publication of KR20130116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5Transpo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시간 내에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근거리 통신이 수행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행된 모드(mode)의 빈도를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과정; 및 상기 모드의 빈도에 따라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Card Emulation Mode)의 주기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는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CARD EMULATION MOD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의 기능이 빠른 속도로 향상되면서, 전자 장치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과 전자기 유도를 비롯한 공진 방식 등의 비접촉 충전 방식이 도입되고 있다.
근거리 통신은 13.56㎒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 10㎝ 이내의 거리에서 저 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RFID의 한 분야로서, ISO 18092에 표준이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Card Emulation Mode), 리드/라이트 모드(read/write mode) 및 P2P 모드(peer to peer mode)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모드는 설정된 주기만큼 순차적으로 반복된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때, 현재 전자 장치에 설정되어 있는 근거리 통신 모드와 수행되고 있는 근거리 통신 모드가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근거리 통신 모드의 주기가 현재 수행되고 있는 근거리 통신 모드와 일치할 때까지 기다려야했다.
상술한 문제점은 단순히 시간적인 지연이 발생한다는 것만이 아니라 사용자마다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는 모드의 사용 빈도를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인 주기가 적용되는 모드가 적용되고 있다는 문제점이 더 크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하여 수행된 근거리 통신 모드를 모니터링하여, 각각의 모드의 사용빈도에 따라 자동으로 모드의 주기가 조절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획일적인 근거리 통신 모드가 적용되지 않고, 사용자의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주는 사용자 기반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근거리 통신 모드 중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조절하여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인식속도를 향상시키고, 전자 장치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시간 내에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근거리 통신이 수행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행된 모드(mode)의 빈도를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과정; 및 상기 모드의 빈도에 따라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Card Emulation Mode)의 주기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근거리 통신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리드/라이트 모드(read/write mode) 및 P2P 모드(peer to peer mode)가 각각 설정된 주기만큼 순차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근거리 통신이 수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근거리 통신이 최초 수행될 때 상기 모드의 주기는 디폴트값(default value)으로 설정된 모드의 주기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행된 모드의 빈도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은, 설정된 시간 내에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의 수행된 빈도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의 빈도에 따라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모드의 주기 중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의 주기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바람직하게는, 상기 새로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는, 임계값의 최소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임계값의 최대값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설정된 시간 내에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이 수행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행된 모드(mode)의 빈도를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메모리; 및 상기 모드의 빈도에 따라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Card Emulation Mode)의 주기를 조절하는 프로세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근거리 통신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리드/라이트 모드(read/write mode) 및 P2P 모드(peer to peer mode)가 각각 설정된 주기만큼 순차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근거리 통신이 최초 수행될 때 상기 모드의 주기를 디폴트값(default value)으로 설정된 모드의 주기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리는, 설정된 시간 내에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의 수행된 빈도를 확인하는 모니터링 모듈(monitoring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모드의 주기 중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의 주기를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바람직하게는, 상기 새로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는, 임계값의 최소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임계값의 최대값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따르면, 획일적인 근거리 통신 모드가 적용되지 않고, 사용자의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주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모드의 주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조절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조절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조절하는 알고리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모드의 주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근거리 통신은 13.56㎒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 10㎝ 이내의 거리에서 저 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한 분야로서, ISO 18092에 표준이 규정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Card Emulation Mode, 101), 리드/라이트 모드(read/write mode, 102) 및 P2P 모드(peer to peer mode, 102)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모드는 설정된 주기만큼 순차적으로 반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통신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101),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102)의 3가지 모드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모드의 주기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각각의 모드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근거리 통신 모드 중 카드 에뮬레이션 모듈은 외부 결재기와 전자 장치 상호 간에 정보를 송수신할 때 사용되는 모드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교통 카드 기능이 구비된 전자 장치를 결재기에 근접시켜 교통 요금을 지불하거나, 출입카드 기능이 구비된 전자 장치를 가정이나 사무실의 출입문에 위치하고 있는 외부 인식장치에 근접시켜 입 출입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결재기는 전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RF(Radio Frequency) 자기장을 발생시키는데, 전자 장치는 외부 결재기가 발생시킨 RF 자기장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전자 장치에서는 외부 결재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많은 전력이 소모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근거리 통신 모드 중 리드/라이트 모드는 RFID 태그(tag)에 전자 장치를 근접시켜 RFID 태그에 소정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RFID 태그 정보를 인식할 수도 있는 모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가 RFID 태그에 소정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RFID 태그 정보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전자 장치에서 RF 자기장을 발생시켜야 한다. 즉, 전자 장치는 RF 자기장을 발생시켜 RFID 태그에 소정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RFID 태그 정보를 인식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자 장치에서는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특징이 있다. 마지막으로, P2P 모드는 전자 장치 상호 간에 정보를 송수신할 때 사용되는 모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P2P 모드 역시 각각의 전자 장치에서 개별적으로 RF 자기장을 발생시켜야 하기 때문에 리드/라이트 모드와 마찬가지로 전자 장치에서는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특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모드는 설정된 주기만큼 순차적으로 반복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교통 요금을 지불하기 위하여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를 외부 결재기에 근접시키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근거리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자 장치는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가 순차적으로 설정된 주기에 따라 반복된다. 따라서, 상술한 예에서 근거리 통신 모드의 주기가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에 위치하고 있다면, 사용자는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가 시작될 때까지 기다려야만 한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RFID 태그에 소정의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 모드의 주기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및 P2P 모드에 위치하고 있다면, 사용자는 리드/라이트 모드의 주기가 시작될 때까지 기다려야만 한다. 즉, 종래에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때, 근거리 통신 모드가 획일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근거리 통신의 모드에 따라 모드의 주기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 내에 수행된 근거리 통신 모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효율적으로 모드의 주기를 조절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조절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최초 설정된 디폴트값에 따른 근거리 통신의 각각의 모드의 주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때 최초 설정된 디폴트값(default value)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드의 주기가 설정된다. 도 2의(a)에 도시된 도면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201)의 주기는 최초 디폴트값이 59t로,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202)의 주기는 최초 디폴트값이 1t로 설정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전체 주기는 60t이고, 전체 주기인 60t 중에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201)의 주기는 59t,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202)의 주기는 1t로 설정된 것이다. 즉,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통신 모드 중 60분의 59의 시간적 비율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201)의 주기에 해당하고, 60분의 1의 시간적 비율이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202)의 주기에 해당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시간적 지연없이 근거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비율은 60분의 59가 된다. 같은 의미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지연될 수 있는 시간적 비율은 60분의 1이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시간적 지연없이 근거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비율은 60분의 1이 된다. 같은 의미로,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지연될 수 있는 시간적 비율은 60분의 59가 된다.
도 2의(b)는 변화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주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때, 근거리 통신 모드가 획일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근거리 통신 모드에 따라 모드의 주기를 조절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수행된 근거리 통신 모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효율적으로 근거리 통신 모드의 주기를 조절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도 2의(b)에 도시된 도면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203)의 주기는 최초 설정된 디폴트값인 59t에서 119t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통신이 수행되었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수행된 근거리 통신 모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의 근거리 통신 모드의 사용빈도에 따라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도 2의(b)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사용빈도가 높음을 확인하여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최초 59t에서 119t로 조절한 것이다. 따라서, 전자 장치에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자동으로 59t에서 119t로 조절한 후, 전체 근거리 통신 모드의 주기를 시간적 비율로 환산해보면, 120분의 119의 시간적 비율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203)에 해당하고, 120분의 1의 시간적 비율이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204)에 해당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시간적 지연없이 근거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비율은 120분의 119가 된다. 같은 의미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지연될 수 있는 시간적 비율은 120의 1이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시간적 지연없이 근거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비율은 120분의 1이 된다. 같은 의미로,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지연될 수 있는 시간적 비율은 120분의 119가 된다. 그러나,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의 주기는 1t로 고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근거리 통신 모드 중에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만을 조절하고,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의 주기는 조절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근거리 통신이 수행될 때, 수행된 모드의 사용빈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각각의 모드의 주기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때 통신 지연이 발생할 확률이 매우 낮아지며,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가 증가한 경우에는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가 증가한 경우에도 임계값의 최대값보다 클 수 없음은 물론이다. 즉, 전자 장치에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사용빈도가 높다가 판단되었어도 최소한의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의 주기는 존재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조절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최초 설정된 디폴트값에 따른 근거리 통신 각각의 모드의 주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때 최초 설정된 디폴트값(default value)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드의 주기가 설정된다. 도 3의(a)에 도시된 도면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301)의 주기는 최초 디폴트값이 59t로,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302)의 주기는 최초 디폴트값이 1t로 설정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전체 주기는 60t이고, 전체 주기인 60t 중에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301)의 주기는 59t,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302)의 주기는 1t로 설정된 것이다. 즉,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통신 모드 중 60분의 59의 시간적 비율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301)의 주기에 해당하고, 60분의 1의 시간적 비율이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302)의 주기에 해당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시간적 지연없이 근거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비율은 60분의 59가 된다. 같은 의미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지연될 수 있는 시간적 비율은 60분의 1이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시간적 지연없이 근거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비율은 60분의 1이 된다. 반대로 같은 의미로,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지연될 수 있는 시간적 비율은 60분의 59가 된다.
도 3의(b)는 변화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때, 근거리 통신 모드가 획일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근거리 통신 모드에 따라 모드의 주기를 조절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수행된 근거리 통신 모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효율적으로 근거리 통신 모드의 주기를 조절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도 3의(b)에 도시된 도면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303)의 주기는 최초 설정된 디폴트값이 59t에서 29t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통신이 수행되었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수행된 근거리 통신 모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의 근거리 통신 모드의 사용빈도에 따라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도 3의(b)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의 사용빈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여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최초 59t에서 29t로 조절한 것이다. 즉,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사용빈도가 높은 모드인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304)의 주기는 1t로 고정하였지만, 결과적으로 전체의 주기를 반으로 줄여서,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의 주기를 증가시켰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시간적 지연없이 근거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비율은 30분의 1이 된다. 같은 의미로,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지연될 수 있는 시간적 비율은 30분의 29가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시간적 비율은 30분의 29가 된다. 같은 의미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지연될 수 있는 시간적 비율은 30분의 1 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근거리 통신이 수행될 때, 수행된 모드의 사용빈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여기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가 감소한 경우에도 임계값의 최소값보다 작을 수 없음은 물론이다. 즉, 전자 장치에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사용빈도가 낮다고 판단되어도 최소한의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는 존재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조절하는 알고리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a)는 최초 설정된 디폴트값에 따른 근거리 통신 각각의 모드의 주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때 최초 설정된 디폴트값(default value)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드의 주기가 설정된다. 도 4의(a)에 도시된 도면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401)의 주기는 최초 디폴트값이 59t로,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402)의 주기는 최초 디폴트값이 1t로 설정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전체 주기는 60t이고, 전체 주기인 60t 중에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401)의 주기는 59t,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402)의 주기는 t로 설정된 것이다. 즉,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60분의 59의 시간적 비율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401)의 주기에 해당하고, 60분의 1의 시간적 비율이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402)의 주기에 해당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시간적 지연없이 근거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비율은 60분의 59가 된다. 같은 의미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지연될 수 있는 시간적 비율은 60분의 1이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시간적 지연없이 근거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비율은 60분의 1이 된다. 같은 의미로,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지연될 수 있는 시간적 비율은 60분의 59가 된다.
도 4의(b)는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듬이 적용된 후 변화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404)의 주기는 최초 설정된 디폴트값인 t로 고정되어 있고,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403)의 주기는 (59t+60k)t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변화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는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결정된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t는 설정된 단위시간을 나타낸 것이고, CN은 단위 시간당 카드 모드의 동작 횟수를 나타낸 것이고, RWN은 단위 시간당 리드/라이트 모드의 동작 횟수를 나타낸 것이며, K는 보정 상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b)에 도시된 새로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는 아래와 같은 예를 통하여 도출된 것이다. 즉, 이전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는 59이고, △t는 60이며, 단위 시간당 카드 모드의 동작 횟수가 2이고, 단위 시간당 카드 모드의 동작 횟수가 1로 가정했을 때 도출된 값이다. 만약, 단위 시간에 근거리 통신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 새로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는 상술한 <수학식 1>에 따라 이전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t(k)로 도출되어, 결국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는 보정 상수인 k값에 의존하여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때, 근거리 통신 모드가 획일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근거리 통신 모드에 따라 모드의 주기를 조절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 내에 수행된 근거리 통신 모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수학식 1>에 따른 수식에 따라 새로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조절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시간 내에 근거리 통신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한다(501). 먼저, 근거리 통신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모드는 설정된 주기만큼 순차적으로 반복된다. 본 발명에서는 근거리 통신 모드 중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므로 전자 장치는 설정된 시간 내에 근거리 통신이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근거리 통신이 수행되었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수행된 근거리 통신의 빈도를 모니터링한다(502).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통신이 수행된 근거리 통신 모드의 사용빈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의 사용빈도를 반영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변화시킨다. 즉, 종래와 같이 각각의 근거리 통신 모드의 주기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근거리 통신 모드의 사용빈도를 반영하여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변화시킨다. 따라서, 전자 장치에서 수행된 근거리 통신의 사용빈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에 의하여 수행된 근거리 통신의 사용빈도를 모니터링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설정된 알고리듬으로 계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의 주기를 고정시키고,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변화시켜 전체적인 근거리 통신 모드의 주기를 조절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이 주로 수행되었다고 모니터링 하였다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증가시켜 근거리 통신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지연시간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전력소모가 많은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의 주기가 전체적으로 감소하여 전력 감소의 효과도 있다.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설정된 알고리듬으로 계산한 전자 장치는 변경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적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504).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알고리듬으로 계산된 새로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근거리 통신 모드의 주기로 적용시켜 근거리 통신을 계속 수행한다. 즉, 전자 장치는 종래와 같이 고정된 획일적인 근거리 통신 모드의 주기를 사용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통신환경을 반영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준다.
만약, 상술한 과정(501)에서,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근거리 통신이 수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근거리 통신이 최초 수행될 때 모드의 주기를 디폴트값으로 설정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505).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때 최초 설정된 디폴트값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드의 주기가 설정된다. 즉, 전자 장치에서 아직 수행된 근거리 통신을 모니터링하지 못했기 때문에 최초 설정된 디폴트값으로 근거리 통신 모드의 주기가 설정되어 근거리 통신이 수행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600)이다. 이러한 전자 장치(600)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600)는 메모리(6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620), 제1 무선통신 서브시스템(630), 제2 무선통신 서브시스템(631), 외부 포트(660), 오디오 서브시스템(650), 스피커(651), 마이크로폰(652), 입출력(IO, Input Output) 시스템(670), 터치스크린(680) 및 기타 입력 또는 제어 장치(690)를 포함한다. 메모리(610)와 외부 포트(660)는 다수 개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6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62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622)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62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프로세서 유닛(620) 전체를 프로세서로 칭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프로세서 유닛(620)은, 근거리 통신 모드의 빈도에 따라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Card Emulation Mode)의 주기를 조절하고, 근거리 통신이 최초 수행될 때 모드의 주기를 디폴트값(default value)으로 설정된 모드의 주기에 따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며, 근거리 통신 모드 중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의 주기를 고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 유닛(620)은 근거리 통신이 수행된 경우,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의 사용빈도를 파악하여, 각각의 모드의 주기를 실시간으로 조절한다. 즉, 최초 설정된 디폴트 값에서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사용빈도를 모니터링하여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의 주기는 고정하고,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조절하여 전체적인 모드의 주기를 조절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유닛(620)은 카드 에뮬레시션 모드의 주기를 설정된 알고리듬으로 계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 유닛(620)은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의 주기를 고정시키고,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변화시켜 전체적인 근거리 통신의 주기를 조절한다. 즉, 프로세서 유닛(620)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가 필요한 근거리 통신이 주로 수행되었다고 모니터링 하였다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증가시켜 근거리 통신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지연시간을 방지한다. 프로세서(62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6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프로세서(622)는 메모리(61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즉, 프로세서(622)는 메모리(6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연동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방법을 수행한다.
프로세서(622)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은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623)는 전자 장치(600)의 입출력 서브시스템(670) 및 여러 가지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622) 및 메모리(610)(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에 연결시킨다.
전자 장치(6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참조번호 미기재) 또는 스트림 선(참조번호 미기재)에 의해 결합될(coupled) 수 있다.
외부 포트(660)는, 휴대용 전자 장치(미도시)를 다른 전자 장치로 직접 연결되거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인트라넷, 무선 LAN 등)를 통하여 다른 전자 장치로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외부 포트(660)는, 예를 들면,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FIREWIRE 포트 등을 말한다.
움직임 센서(691) 및 제1 광 센서(692)는 주변장치 인터페이스(623)에 결합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센서(691) 및 광 센서(692)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623)에 결합되어 각각 전자 장치의 움직임 감지 및 외부로부터의 빛 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위치측정 시스템, 온도센서 또는 생체 센서 등과 같은 기타 센서들이 주변장치 인터페이스(623)에 연결되어 관련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서브시스템(693)은 사진 및 비디오 클립 레코딩과 같은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광 센서(692)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630, 631)을 통해 통신 기능이 수행된다.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630, 631)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수신기 및 송수신기 및/또는 광(예컨대, 적외선) 수신기 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서브시스템(630)과 제2 통신 서브 시스템(631)은 전자 장치(600)가 통신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 WiMax 네트워크 또는/및 Bluetooth네트워크 등을 통해 동작하도록 설계되는 통신 서브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를 통한 WiFi 통신이 필요하므로, 도 6에서, 제1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630)과 제2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631) 중 하나는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630)과 제2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631)은 합하여 하나의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오디오 서브시스템(650)이 스피커(651) 및 마이크로폰(652)에 결합되어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전화 기능과 같은 오디오 스트림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서브시스템(650)은 스피커(speaker)(651) 및 마이크로폰(652)을 통해 사용자와 소통한다(communicate). 오디오 서브시스템(650)은 프로세서 유닛(620)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623)를 통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스트림을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전기 스트림(electric signal)는 스피커(651)로 전달된다. 스피커(651)는 전기 스트림을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로폰 (652)은, 사람이나 기타 다른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650)은 마이크로폰(652)으로부터 변환된 전기 스트림을 수신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650)은 수신한 전기스트림을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주변 인터페이스 (623)로 전송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650)은 탈부착 가능한(attachable and detachable)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I/O, Input/Output) 서브시스템(670)은 터치 스크린 제어기(671) 및/또는 기타 입력 제어기(67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제어기(671)는 터치 스크린(680)에 결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680) 및 터치 스크린 제어기(671)는, 이하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터치 스크린(680)과의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결정하기 위한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들뿐만 아니라 기타 근접 센서 배열 또는 기타 요소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멀티 터치 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접촉 및 움직임 또는 이들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제어기(672)는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690)에 결합될 수 있다.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690)에 하나 이상의 버튼, 로커(rocker) 스위치, 섬 휠(thumb-wheel), 다이얼(dial), 스틱(stick), 및/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포인터 장치 등 일수 있다.
터치스크린(680)은 전자 장치(600)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터치스크린(68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자 장치(600)에 전달한다. 또한 전자 장치(600)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이다. 즉, 터치스크린 (680)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각적 출력(visual output)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난다.
터치스크린(680)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를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61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621)에 결합될 수 있다. 메모리(61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NAND, NOR)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10)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모듈(611), 통신 모듈(612), 그래픽 모듈(613),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614) 및 MPEG 모듈(615), 카메라 모듈(616),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모듈(617), 모니터링 모듈(618), 알고리듬 결정 모듈(619) 등을 포함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인 모듈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모듈을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모듈은 또한 프로그램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611)[예를 들어,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는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통신 모듈(612)은, 무선통신 서브시스템(630, 631)이나 외부 포트(660)를 통해 컴퓨터, 서버 및/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래픽 모듈(613)은 터치스크린(68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터치 스크린(680)은, 스마트 회전 기능의 설정 여부에 관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메시지에 포함된 임의의 영역을 선택받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6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코덱(CODEC) 모듈(615)은 비디오 파일의 인코딩 및 디코딩 관련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코덱 모듈은 MPEG 모듈 및/또는 H204 모듈과 같은 비디오 스트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덱 모듈은 AAA, AMR, WMA 등 여러 가지 오디오 파일용 코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덱 모듈(615)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대응하는 명령어 세트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616)은 카메라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관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모듈(617)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짓(wid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포함한다.
모니터링 모듈(618)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 내에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의 수행된 빈도를 확인한다.
알고리듬 결정 모듈(619)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조절한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그리고 이하에서 언급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600)의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스트림 프로세싱(processing)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카드 에뮬레이션 모듈 102: 리드/라이트 및 P2P 모드
201: 카드 에뮬레이션 모듈 202: 리드/라이트 및 P2P 모드
203: 카드 에뮬레이션 모듈 204: 리드/라이트 및 P2P 모드
301: 카드 에뮬레이션 모듈 302: 리드/라이트 및 P2P 모드
303: 카드 에뮬레이션 모듈 304: 리드/라이트 및 P2P 모드
401: 카드 에뮬레이션 모듈 402: 리드/라이트 및 P2P 모드
403: 카드 에뮬레이션 모듈 404: 리드/라이트 및 P2P 모드
600: 전자장치 610: 메모리
611: 운영체제 모듈 612: 통신모듈
613: 그래픽 모듈 614: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615: CODEC 모듈 616: 카메라 모듈
617: 애플리케이션 618: 모니터링 모듈
619: 알고리듬 결정 모듈 620: 프로세서 유닛
621: 메모리 인터페이스 622: 프로세서
623: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 630: 제1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
631: 제2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 650: 오디오 서브 시스템
651: 스피커 652: 마이크로폰
660: 외부 포트 670: 입출력 시스템
671: 터치 스크린 제어기 672: 기타 입력 제어기
680: 터치 스크린 690: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
691: 움직임 센서 692: 광 센서
693: 카메라 서브 시스템

Claims (14)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시간 내에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근거리 통신이 수행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행된 모드(mode)의 빈도를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과정; 및
    상기 모드의 빈도에 따라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Card Emulation Mode)의 주기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리드/라이트 모드(read/write mode) 및 P2P 모드(peer to peer mode)가 각각 설정된 주기만큼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이 수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근거리 통신이 최초 수행될 때 상기 모드의 주기는 디폴트값(default value)으로 설정된 모드의 주기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된 모드의 빈도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은,
    설정된 시간 내에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의 수행된 빈도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의 빈도에 따라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모드의 주기 중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의 주기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pat00004

    여기서, △t는 설정된 단위시간을 나타낸 것이고, CN은 단위 시간당 카드 모드의 동작 횟수를 나타낸 것이고, RWN은 단위 시간당 리드/라이트 모드의 동작 횟수를 나타낸 것이며, K는 보정 상수를 나타낸 것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는,
    임계값의 최소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임계값의 최대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전자 장치에 있어서,
    설정된 시간 내에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이 수행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행된 모드(mode)의 빈도를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메모리; 및
    상기 모드의 빈도에 따라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Card Emulation Mode)의 주기를 조절하는 프로세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리드/라이트 모드(read/write mode) 및 P2P 모드(peer to peer mode)가 각각 설정된 주기만큼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근거리 통신이 최초 수행될 때 상기 모드의 주기를 디폴트값(default value)으로 설정된 모드의 주기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설정된 시간 내에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의 수행된 빈도를 확인하는 모니터링 모듈(monitoring modu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모드의 주기 중 리드/라이트 모드 및 P2P 모드의 주기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Figure pat00005

    여기서, △t는 설정된 단위시간을 나타낸 것이고, CN은 단위 시간당 카드 모드의 동작 횟수를 나타낸 것이고, RWN은 단위 시간당 리드/라이트 모드의 동작 횟수를 나타낸 것이며, K는 보정 상수를 나타낸 것이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의 주기는,
    임계값의 최소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임계값의 최대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20039144A 2012-04-16 2012-04-16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30116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144A KR20130116602A (ko) 2012-04-16 2012-04-16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3/854,247 US9379782B2 (en) 2012-04-16 2013-04-01 Method of adjusting a card emulation mod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for
EP13163685.4A EP2654323B1 (en) 2012-04-16 2013-04-15 Method of adjusting a card emulation mod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144A KR20130116602A (ko) 2012-04-16 2012-04-16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602A true KR20130116602A (ko) 2013-10-24

Family

ID=48182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144A KR20130116602A (ko) 2012-04-16 2012-04-16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79782B2 (ko)
EP (1) EP2654323B1 (ko)
KR (1) KR201301166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14902A1 (en) * 2014-12-08 2019-04-18 Beth Lazarski Handheld emergency communications and location in-formation systems
CN112395894B (zh) * 2019-08-16 2022-09-09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nfc的通信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8139B2 (ja) * 2004-04-13 2010-11-10 富士通株式会社 所定の情報を受信する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記憶媒体および方法
EP1684238A1 (de) * 2005-01-21 2006-07-26 Swisscom Mobile AG Identifikationsverfahren und System und dafür geeignete Vorrichtung
US7720438B2 (en) 2005-03-30 2010-05-18 Nokia Corporation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eader associated with a mobile terminal
US9268976B2 (en) * 2005-07-25 2016-02-23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al near-field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several data formats
US7852216B2 (en) * 2007-08-21 2010-12-14 Sirit Technologies Inc. Backscattering different radio frequency protocols
US20090143104A1 (en) * 2007-09-21 2009-06-04 Michael Loh Wireless smart card and integrated personal area network,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contactless payment system
JP5125465B2 (ja) * 2007-12-11 2013-01-23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
CN102177497B (zh) * 2008-07-15 2016-05-04 Opto电子有限公司 用于电子货架标签等的电力管理系统
US8058995B2 (en) * 2008-09-16 2011-11-15 Lexmark International, Inc. Multi-frequency RFID image forming techniques
US20100082485A1 (en) * 2008-09-30 2010-04-01 Apple Inc. Portable point of purchase devices and methods
JP5304513B2 (ja) * 2009-07-24 2013-10-0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式の判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473257B (en) * 2009-09-07 2016-11-02 Broadcom Innovision Ltd NFC communicators and NFC communications enabled devices
US8983371B2 (en) * 2010-08-16 2015-03-17 Blackberry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provided enhanced switching between active and power sav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odes and related methods
US8718546B2 (en) * 2010-08-16 2014-05-06 Blackberry Limited Near-field communication (NFC) system providing low power peer-to-peer recognition mode and related methods
US8643409B2 (en) * 2011-07-01 2014-02-04 Rambus Inc. Wide-range clock multiplier
US8942628B2 (en) * 2011-11-28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power consumption for connection establishment in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s
KR20150083405A (ko) * 2014-01-09 2015-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US8880028B2 (en) * 2012-02-08 2014-11-04 Blackberry Limite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ccessory providing enhanced data transfer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WO2013126591A1 (en) * 2012-02-21 2013-08-29 Zih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with a printer
US9020427B2 (en) * 2012-02-29 2015-04-28 Verifone, Inc. Point of sa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9054750B2 (en) * 2012-04-23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F discovery for peer mode communications
US8923761B2 (en) * 2012-05-17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NFC RF discovery loop tuning based on device sensor measurements
US20140101755A1 (en) * 2012-10-10 2014-04-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providing security features based upon wearabl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and related methods
EP2740459A1 (en) * 2012-12-10 2014-06-11 Evondos Oy Method for dispensing medications, and medication dispenser
US9270319B2 (en) * 2013-09-13 2016-02-23 Voll, Inc. Mobile device utilizing time of flight for personal security and local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71269A1 (en) 2013-10-17
EP2654323A1 (en) 2013-10-23
EP2654323B1 (en) 2018-08-08
US9379782B2 (en) 201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771B1 (ko) 저 전력으로 지오 펜스 서비스를 제공받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69863B1 (ko) 입력 수단의 결제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40037673A (ko)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6313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with information received by electronic device
KR102076280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통신 수행 방법 및 장치
EP2882234B1 (en) Method, apparatus, equipment and system for controlling turn-on and turn-off of wireless network
US101045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device management service
US102116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fer therefor
KR20130108745A (ko) 폴더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70063140A1 (en) Method of charging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KR20140047887A (ko) 메모 기능 수행 시 모드 전환이 가능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151135B1 (ko) 전력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20130219192A1 (en) Contents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50045637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142577A (ko) 액세서리의 충전 여부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40025940A (ko) 터치 시간에 따라 컨텐츠의 페이지 수를 이동시키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42211B1 (ko) 벤딩 상태에 따라 오브젝트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30120704A (ko) 통신 시스템에서 최적의 핑 주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30116602A (ko)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30136188A (ko) 가성 터치를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185204B1 (ko) 적외선을 이용한 센서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50102670A1 (en) Method for operating boot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244040B1 (ko)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80139335A1 (en) Method for identifying data usage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20130101630A (ko) 전자장치에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