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405A -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405A
KR20150083405A KR1020140003091A KR20140003091A KR20150083405A KR 20150083405 A KR20150083405 A KR 20150083405A KR 1020140003091 A KR1020140003091 A KR 1020140003091A KR 20140003091 A KR20140003091 A KR 20140003091A KR 20150083405 A KR20150083405 A KR 20150083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user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3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3405A/ko
Priority to EP15150424.8A priority patent/EP2894828A1/en
Priority to US14/592,483 priority patent/US20150126115A1/en
Priority to CN201510013206.2A priority patent/CN104779981A/zh
Publication of KR20150083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45Managing the interface to the data source, e.g. choosing an interface for data re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04L63/049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by using a location-limited connec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or limited proximity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04N1/0034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 radio frequency tag transmitter or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0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 H04N1/32117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in a separate transmission or protocol signal prior to or subsequent to the image data transmission, e.g. in digital identification signal [DIS], in non standard setup [NSS] or in non standard field [NS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05Sharing resources or data with other data processing systems; Preparing such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6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e.g. an inductive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4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 H04N2201/0075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by a user operated remote control device, e.g. receiving instructions from a user via a computer terminal or mobile telephone hand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33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e.g. digital signature, waterma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기가 화상형성장치와 NFC-태깅을 통한 최초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수행하는 경우, 관리자 도움없이, 화상형성장치에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간소화된 방식으로 NFC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와 간소화된 방식으로 NFC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Method of registering a use of mobile terminal to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method of requesting to register a use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은 13.56MHz 주파수를 사용하여 10cm 이내의 짧은 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전자 기기들 간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으로, 2002년 네덜란드 NXP 반도체와 일본 소니에 의해 공동 개발되었다. NFC의 초당 전송 속도는 424 Kbps이며, 근접성의 특성과 암호화 기술로 보안성이 뛰어나고, 디바이스들끼리 인식하는데 복잡한 페어링 절차가 필요없이 1/10초 이하로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NFC는 RFID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카드식 비접촉 무선 통신 기술로, 스마트카드에 비하여 양방향성을 갖고, 저장 메모리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며, 적용 가능한 서비스의 폭이 넒은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상용화되고 있는 스마트 폰, PC 등과 같은 전자 기기들에는 이 기술이 채택되어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NFC 기능을 지원하는 외부 기기를 화상형성장치와 같은 기기에 사용 등록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관리자를 통하여 복잡한 절차에 따라 사용 등록을 수행하여야 한다.
간소화된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와 간소화된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 등록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NFC-태깅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NFC 모듈,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제어부,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및 상기 사용 등록 결과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 등록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식별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리지는 상기 사용자 인증에 이용되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에 이용되는 사용자 프로파일이 미리 저장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에 상기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FC 모듈이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과 다른 방식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수행할 무선통신 방식을 전송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송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NFC 모듈이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과 다른 방식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중단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소정의 거리를 벗어나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중단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NFC-태깅을 통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등록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는,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NFC-태깅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NFC 모듈, 및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 결과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 등록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식별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FC 모듈이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과 다른 방식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 간의 거리, 상기 사용 등록 정보의 데이터 레이트(data rate),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NFC 모듈과 상기 통신 모듈 중에서 통신을 수행할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수행할 무선통신 방식을 획득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통신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NFC 모듈이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과 다른 무선통신 방식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수행할 무선통신 방식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NFC 모듈이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과 다른 방식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중단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소정의 거리를 벗어나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중단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NFC-태깅을 통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가 화상형성장치와 NFC-태깅을 통한 최초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수행하는 경우, 관리자 도움없이, 간소화된 방식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에 기초한 서비스 사용이 확대될 수 있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와 모바일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의 3가지 통신 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화상형성장치에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결과를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화상형성장치와 모바일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및 다른 무선통신 방식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과 다른 무선통신 방식들의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 및 통신 거리(range)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을 요청하고,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을 요청하고,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을 요청하고,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을 요청하고,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을 요청하고,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의 제 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화상형성장치에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에 의해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는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도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실시예들은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와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와 모바일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이하, NFC라 한다)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100) 및 NFC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200)가 있다. 도 1에 도시한 화상형성장치(100)는 NFC 모듈이 미리 내장되어 있거나, 칩과 같은 형태의 NFC 모듈을 장착하여, NFC 모듈을 포함한 모바일 단말기(200)와 NFC 모듈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NFC 모듈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은 3가지 통신 모드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의 3가지 통신 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NFC의 주요 통신 모드들은 Peer-to-Peer 모드, Read/Write 모드 및 Card Emulation 모드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Peer-to-Peer 모드는 두 개의 NFC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 및 모바일 단말기(200)간의 링크 수준의 통신을 지원하는 모드이다. 연결 수립을 위하여, 클라이언트(NFC P2P initiator, 모바일 단말기(200))는 호스트(NFC P2P target, 화상형성장치(100))를 검색하고 NDEF(NFC Data Exchange Format) 메시지 포맷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Peer-to-Peer 모드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200)를 화상형성장치(10)에 접근시켜 NFC-태깅을 함으로써, 메일, 스케줄, 전화번호, XML 데이터 등의 정보 교환을 할 수 있다.
그리고, Read/Write 모드는 NFC 모듈이 내장된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의 NFC 모듈의 태그를 읽는 리더(reader)로 동작하거나, 다른 디바이스의 NFC 모듈의 태그에 정보를 입력하는 라이터(writer)로 동작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모드이다.
마지막으로, Card Emulation 모드는 NFC 모듈이 내장된 모바일 디바이스가 스마트카드처럼 동작하는 모드이다.
한편, NFC의 3가지 통신 모드들이 유기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프로토콜이 표준화되어 있다. LLCP(Logical Link Control Protocol)는 계층간의 통신 연결 및 제어의 역할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이다. NDEF(NFC Data Exchange Format) 메시지는 NFC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기본 메시지 구조이다. NDEF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NDEF 레코드를 포함한다. NDEF 레코드는 유형, 길이, 및 옵션 식별자별로 설명된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한다. NDEF 페이로드는 NDEF 레코드 내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데이터를 의미한다. RTD(Record Type Definition)는 NDEF 레코드에 해당될 수 있는 레코드 유형 및 유형 이름을 정의한다.
NFC 모듈을 포함한 디바이스는 Peer-to-Peer 모드, Read/Write 모드 및 Card Emulation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NFC 모듈을 이용한 통신 모드를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NFC 모듈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이 수행할 수 있다. 다만, NFC 모듈을 포함한 디바이스들이 NFC 모듈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서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최초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시에,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를 다른 디바이스에 사용 등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다시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100)가 NFC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200)와 NFC-태깅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모바일 단말기(200)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사용 등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 과정은 두 디바이스들 간의 최초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수행 시 1회에 한해서만 이루어지면 되고, 이후 두 디바이스들 간의 NFC-태깅을 통한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수행할 때마다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최초 1회에 한해서만 그 사용 등록 과정이 이루어지면 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이 그 사용 등록 과정의 절차가 복잡하거나 어려워서 NFC 기능을 사용하는 것을 불편해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하, 간소화된 절차에 따라, NFC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200)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사용 등록하는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모바일 단말기(200)는 제어부(210), NFC 모듈(220),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어부(210)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 형태일 수 있다.
제어부(210)는 NFC 모듈(220)을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를 접근시켜 NFC-태깅을 수행하는 경우, NFC-태깅을 통한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화상형성장치(100)와 NFC-태깅을 통한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최초로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210)는 NFC 모듈(220)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에 필요한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210)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에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등록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NFC 모듈(220)을 이용하여, 사용 등록 정보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에 이용되는 사용 등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 등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판별하거나,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른 처리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에 출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사용 등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NFC 모듈(220)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에 표시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NFC 모듈(220)은 화상형성장치(100)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와 NFC-태깅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NFC 모듈(220)은 모바일 단말기(200)가 화상형성장치(100)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경우, 소정의 거리 내로 근접할 때에 화상형성장치(100)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 내의 NFC 모듈과 NFC-태깅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NFC 모듈(220)은 모바일 단말기(200)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소정의 거리 내로 접근하여, 최초로 NFC-태깅이 수행된 경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등록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NFC 모듈(220)은 사용 등록 정보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수행된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 결과를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30)는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3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는 모바일 단말기(200)에 마련된 정전식 또는 압전식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 패드, 키보드 등의 입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는 사용자로부터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에 관한 다양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화상형성장치에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결과를 설명하기 도면이다.
NFC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200)가 화상형성장치(100)와 NFC-태깅을 통한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최초로 수행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2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를 사용 등록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를 위하여, 모바일 단말기(200)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에 이용되는 사용 등록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에 이용되는 사용 등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200)는 사용 등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에 이용되는 사용 등록 정보에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와 모바일 단말기(200)를 식별하는 디바이스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에 그 인터페이스 화면(400)이 표시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에는 아이디(ID), 패스워드(Password), 패스코드(Passcode)가 포함될 수 있으며, 도메인(Domain) 정보도 필요에 따라 더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에 표시된 인터페이스 화면(400)의 각 영역에 자신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하여, 자신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 후 인터페이스 화면의 확인(OK) 버튼을 누르면, 아이디(ID), 패스워드(Password), 패스코드(Passcode), 도메인(Domain) 정보 각각에 대응하여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특정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단말기(200)를 식별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더 확인하여, 사용자 정보와 함께 암호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디바이스 정보는 사용자에게 입력받지 않고 미리 저장된 값을 확인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와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등록 정보는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되기 전에 암호화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제어부(110), NFC 모듈(120), 스토리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식에 따라 통신 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데이터 버스(data bus)(180)을 이용하여, 상호 간 각종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팩스 데이터로 만들거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팩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팩스부, 문서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캔부, 화상을 형성하여 복사 및 인쇄 데이터를 인쇄 용지와 같은 인쇄 매체에 출력하는 화상형성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각 기능에 따라 분리된 복수의 프로세서 모듈과 이들을 통합 관리하는 메인 프로세서 모듈로 나눌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NFC 모듈(120)을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 디바이스로 데이터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를 접근시켜 NFC-태깅을 수행하는 경우, NFC-태깅을 통한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모바일 단말기(2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모바일 단말기(200)와 NFC-태깅을 통한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최초로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NFC 모듈(120)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10)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에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등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NFC 모듈(120)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 결과를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스토리지(130)에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스토리지(130)로부터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다. 제어부(110)는 스토리지(130)로부터 읽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을 수행하거나, 데이터들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된 사용 등록 정보를 스토리지(130)에 저장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판별하거나,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른 처리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에 출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수행하고, 그 사용 등록 결과를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NFC 모듈(120)은 모바일 단말기(200)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와 NFC-태깅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모듈(120)은 모바일 단말기(200)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접근하는 경우, 소정의 거리 내로 근접할 때에 모바일 단말기(200)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 내의 NFC 모듈과 NFC-태깅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모듈(120)은 모바일 단말기(200)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사용 등록하기 위해 소정의 거리 내로 접근하여, 최초로 NFC-태깅이 수행된 경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등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NFC 모듈(120)은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수행된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 결과를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스토리지(13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에 따라 생성되거나,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시 사용되는 모든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13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 팩스 데이터, 스캔 데이터, 및 인쇄 데이터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에 이용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130)는 모바일 단말기(200)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 등록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130)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증에 사용되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13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어 사용 등록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마련된 정전식 또는 압전식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 패드, 키보드 등의 입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에 관한 다양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모바일 단말기(200)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 등록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받고, 사용자에게 사용 등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식에 따라 통신 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스토리지(13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고, 사용자 프로파일이 미리 저장된 외부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외부 서버와 사용자 인증을 위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NFC-모듈(120)과 다른 통신 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모듈(150)은 네트워크 망과의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모듈이 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통신 모듈(150)을 이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이 미리 저장된 외부 서버에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100) 및 모바일 단말기(2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였다
이상에서, 도 3 내지 도 5을 참고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의 NFC 모듈(22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의 NFC 모듈(120)로 사용 등록 정보가 전송되어,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100) 및 모바일 단말기(2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였다. 이하,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100) 및 모바일 단말기(20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본다.
도 6은 화상형성장치와 모바일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및 다른 무선통신 방식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100) 및 NFC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200)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0) 및 모바일 단말기(200)와 차이점을 보면, 도 6의 화상형성장치(100)와 모바일 단말기(200)는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뿐만 아니라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와 같은 다른 무선통신 방식을 더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7은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과 다른 무선통신 방식들의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 및 통신 거리(range)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다른 무선통신 방식들과 달리, NFC는 약 10cm 내외의 통신 거리에서만 동작할 수 있다.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까지 통신이 가능한 ZigBee, Bluetooth, Wi-Fi 등과는 달리 NFC는 극단적으로 짧은 거리(약 10cm 내외)에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NFC는, Bluetooth, Wi-Fi 등과 같은 다른 무선통신 방식들과 비교할 때,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가 낮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NFC는 10cm 이내의 거리에서만 동작되고 또한 암호화 기술이 적용되어, 보안성이 높다. 따라서,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을 다른 무선통신 방식과 함께 이용하는 경우 디바이스들 간에 보다 효율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모바일 단말기(200)는 제어부(210), NFC 모듈(220),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 통신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모바일 단말기(200)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그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모바일 단말기(200)의 통신 모듈(250)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무선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8에 도시한 모바일 단말기(200)는 NFC 모듈(220)과 통신 모듈(250) 총 2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의 제어부(210)는 NFC 모듈(220) 및 통신 모듈(25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 등록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의 제어부(21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모바일 단말기(200) 간의 거리, 사용 등록 정보의 데이터 레이트(data rate), 화상형성장치(100)와 모바일 단말기(200)의 통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NFC 모듈(220)과 통신 모듈(250) 중에서 통신을 수행할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의 제어부(210)는 사용 등록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하기 위하여, NFC 모듈(220) 및 통신 모듈(250)을 모두 이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하여 사용 등록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하는 과정에서 NFC 모듈(220) 및 통신 모듈(250) 모두가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200)의 제어부(210)는 NFC 모듈(220)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와 수행할 무선통신 방식을 획득하고, 통신 모듈(250)을 이용하여, 획득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사용 등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200)의 제어부(210)는 NFC 모듈(220)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통신을 요청하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NFC 모듈(220)이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과 다른 무선통신 방식을 수신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0)와 수행할 무선통신 방식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200)의 제어부(210)는 NFC 모듈(220)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중단된 경우, 통신 모듈(250)을 이용하여, 사용 등록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의 제어부(210)는 모바일 단말기(200)가 소정의 거리를 벗어나 NFC 모듈(220)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중단된 경우, 통신 모듈(250)을 이용하여, 사용 등록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제어부(110), NFC 모듈(120), 스토리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 통신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서 도 5에서 설명한 화상형성장치(100)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그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화상형성장치(100)의 통신 모듈(150)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무선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9에 도시한 화상형성장치(100)는 NFC 모듈(120)과 통신 모듈(150) 총 2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10)는 NFC 모듈(120) 및 통신 모듈(15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 등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사용 등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기 위하여, NFC 모듈(120) 및 통신 모듈(150)을 모두 이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하여 사용 등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에서 NFC 모듈(120) 및 통신 모듈(150) 모두가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10)는 NFC 모듈(120)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와 수행할 무선통신 방식을 전송하고, 통신 모듈(150)을 이용하여, 전송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사용 등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10)는 NFC 모듈(120)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중단된 경우, 통신 모듈(150)을 이용하여, 사용 등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모바일 단말기(200)가 소정의 거리를 벗어나 NFC 모듈(120)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중단된 경우, 통신 모듈(150)을 이용하여, 사용 등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 8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100) 및 모바일 단말기(2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였다. 이하,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로 사용 등록 정보가 전송되어, 화상형성장치(1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도 10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을 요청하고,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형성장치(100)와 모바일 단말기(200)는 각각 NFC 모듈(120, 220)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고, 두 디바이스 간의 최초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수행시에 모바일 단말기(200)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사용 등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용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스토리지(130)에 사용자 프로파일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S 1005) 사용자 프로파일은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한 절차에서 사용자 인증 수행 시 필요한 데이터로써,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이 허용된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 1010)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에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 1015)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하여, 자신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면, 아이디(ID), 패스워드(Password), 패스코드(Passcode), 도메인(Domain) 정보 각각에 대응하여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특정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단말기(200)를 식별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더 확인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함께 암호화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등록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200)를 식별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되기 전에 암호화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NFC 모듈(220)을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등록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 1020) 즉, 화상형성장치(100)는 NFC 모듈(120)을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등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 1025) 이를 위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실행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암호화된 사용 등록 정보를 복호화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스토리지(13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에 이용되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에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스토리지(13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한다면,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이 허용된 사용자이므로,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이 허용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 등록 정보를 스토리지(130)에 저장할 수 있다.(S 1030) 사용 등록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모바일 단말기(200)를 식별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정보는 서로 대응시켜 스토리지(130)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 등록 정보를 스토리지(130)에 저장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이 이루어지면, 이후부터 화상형성장치(100)와 모바일 단말기(200)는 NFC-태깅을 통한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 등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S 1035)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여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기(200)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사용 등록되었다는 확인 메시지를 표시하고,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이 허용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가 아니라는 에러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NFC 모듈(120)을 이용하여, 사용 등록 결과를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S 1040) 즉, 모바일 단말기(200)는 NFC 모듈(220)을 이용하여, 사용 등록 결과를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는 사용 등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S 1045)
도 11은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을 요청하고,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제 1 실시예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와 모바일 단말기(200)는 두 디바이스간의 최초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수행시에 모바일 단말기(200)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사용 등록하기 위하여 사용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도 10의 제 1 실시예와 달리, 제 2 실시예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100) 외부의 서버(300)를 이용하므로,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부분에 차이점이 있다. 도 10의 제 1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된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하거나 간단히 기술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서버(300)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S 1105) 사용자 프로파일은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한 절차에서 사용자 인증 수행 시 필요한 데이터로써,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이 허용된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제 1 실시예와 달리, 제 2 실시예는 사용자 인증 수행 시 필요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웹상의 서버(300)에서 저장하여 관리하는 경우이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 1110)
모바일 단말기(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 1115)
모바일 단말기(200)는 NFC 모듈(220)을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등록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 1120) 즉, 화상형성장치(100)는 NFC 모듈(120)을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등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사용자 인증에 이용되는 사용자 프로파일이 미리 저장된 외부 서버(300)에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S 1125) 이를 위하여, 화상형성장치(100)는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는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 1130) 구체적으로, 서버(300)에 수신된 사용자 정보와 서버(30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한다면,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이 허용된 사용자이므로, 사용자 인증에 성공할 수 있다.
서버(3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사용자 인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S 1135) 다시 말해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 등록 정보를 스토리지(130)에 저장할 수 있다.(S 1140)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 등록 정보를 스토리지(130)에 저장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 등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S 1145)
화상형성장치(100)는 NFC 모듈(120)을 이용하여, 사용 등록 결과를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S 1150) 즉, 모바일 단말기(200)는 NFC 모듈(220)을 이용하여, 사용 등록 결과를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S 1155)
도 12는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을 요청하고,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달리, 이하, 제 3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화상형성장치(100)로 사용 등록 정보를 전송하는데 있어, NFC 모듈(120, 220) 뿐만 아니라 통신 모듈(150, 250)을 더 이용하는 실시예들이다. 이때, 통신 모듈(150, 250)은 NFC 모듈(120, 220)이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과 다른 방식의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도 10의 제 1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된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하거나 간단히 기술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스토리지(130)에 사용자 프로파일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S 1205)
모바일 단말기(2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 1210)
모바일 단말기(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 1215)
모바일 단말기(200)는 NFC 모듈(220)과 통신 모듈(250) 중에서 화상형성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S 1220)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기(200)의 제어부(21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모바일 단말기(200) 간의 거리, 사용 등록 정보의 데이터 레이트(data rate), 화상형성장치(100)와 모바일 단말기(200)의 통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NFC 모듈(220)과 통신 모듈(250) 중에서 통신을 수행할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NFC 모듈(220) 및 통신 모듈(25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 등록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 1225) 다시 말해서, 화상형성장치(100)는 NFC 모듈(120) 및 통신 모듈(15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 등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 1230) 화상형성장치(100)에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스토리지(13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한다면,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이 허용된 사용자이므로,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이 허용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 등록 정보를 스토리지(130)에 저장할 수 있다.(S 1235)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 등록 정보를 스토리지(130)에 저장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 등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S 1240)
화상형성장치(100)는 NFC 모듈(120) 및 통신 모듈(15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 등록 결과를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S 1245) 즉, 모바일 단말기(200)는 NFC 모듈(220) 및 통신 모듈(25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 등록 결과를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는 사용 등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S 1250)
도 13은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을 요청하고,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제 1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된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하거나 간단히 기술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스토리지(130)에 사용자 프로파일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S 1305)
모바일 단말기(2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 1310)
모바일 단말기(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 1315)
모바일 단말기(200)는 NFC 모듈(220)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와 수행할 무선통신 방식을 획득하고, 통신 모듈(250)을 이용하여, 획득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등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기(200)는 NFC 모듈(220)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통신을 요청할 수 있다.(S 1320)
화상형성장치(100)는 NFC 모듈(120)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와 수행할 무선통신 방식을 전송할 수 있다.(S 1325) 즉, 모바일 단말기(200)는 통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써, NFC 모듈(220)이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과 다른 무선통신 방식을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통신 모듈(250)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사용 등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 1330) 즉,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모듈(150)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전송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사용 등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모듈(150, 250)은 NFC 모듈(120, 220)이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과 다른 방식의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 1335) 화상형성장치(100)에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스토리지(13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한다면,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이 허용된 사용자이므로,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이 허용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 등록 정보를 스토리지(130)에 저장할 수 있다.(S 1340)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 등록 정보를 스토리지(130)에 저장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 등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S 1345)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모듈(150)을 이용하여, 사용 등록 결과를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S 1350) 즉, 모바일 단말기(200)는 통신 모듈(250)을 이용하여, 사용 등록 결과를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는 사용 등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S 1355)
도 14는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을 요청하고,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의 제 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제 1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된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하거나 간단히 기술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스토리지(130)에 사용자 프로파일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S 1405)
모바일 단말기(2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 1410)
모바일 단말기(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 1415)
모바일 단말기(200)는 NFC 모듈(220)을 이용하여, 사용 등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 1420) 즉, 화상형성장치(100)는 NFC 모듈(120)을 이용하여, 사용 등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NFC 모듈(120, 220)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로 사용 등록 정보가 전송되는 도중에,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NFC 모듈(120, 220)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중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200)가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이 가능한 소정의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 NFC 모듈(120, 220)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중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와 모바일 단말기(200) 간의 NFC 모듈(120, 220)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이 중단되어, NFC 모듈(120, 220)을 이용한 사용 등록 정보의 송수신이 완료되지 못한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와 모바일 단말기(200)는 통신 모듈(150, 250)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모듈(150, 250)은 NFC 모듈(120, 220)이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과 다른 방식의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통신 모듈(250)을 이용하여, 사용 등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 1425) 즉,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모듈(150)을 이용하여, 사용 등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50, 250)을 이용한 사용 등록 정보 전송은 NFC 모듈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중단된 부분부터 다시 전송되거나, 사용 등록 정보의 처음부터 전송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 1430) 화상형성장치(100)에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스토리지(13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한다면,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이 허용된 사용자이므로,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이 허용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 등록 정보를 스토리지(130)에 저장할 수 있다.(S 1435)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 등록 정보를 스토리지(130)에 저장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 등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S 1440)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모듈(150)을 이용하여, 사용 등록 결과를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S 1445) 즉, 모바일 단말기(200)는 통신 모듈(250)을 이용하여, 사용 등록 결과를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는 사용 등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S 1450)
도 12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제 3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과 사용자 인증 수행이 제 2 실시예와 같이 외부의 서버(30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5는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이상에서 화상형성장치(100) 및 모바일 단말기(200)에 대하여 기술한 내용은 모바일 단말기(200)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단계 1510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모바일 단말기(200)와 NFC-태깅을 통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등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 등록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를 식별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에 NFC 모듈(120)이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과 다른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150)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사용 등록 정보를 수신함에 있어서, 통신 모듈(150)을 더 이용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NFC 모듈(120) 및 통신 모듈(15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 등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NFC 모듈(120) 및 통신 모듈(150) 중 어느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만을 이용하거나, NFC 모듈(120) 및 통신 모듈(150) 모두를 사용 등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는 NFC 모듈(120)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와 수행할 무선통신 방식을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통신 모듈(150)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전송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사용 등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는 NFC 모듈(120)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이 중단된 경우, 통신 모듈(150)을 이용하여, 사용 등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 1520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에 이용되는 사용자 프로파일은 화상형성장치(100) 또는 외부의 서버(3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에 이용되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에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미리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한다면,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이 허용된 사용자이므로,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이 허용될 수 있다.
단계 1530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 등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 등록 정보를 스토리지(130)에 저장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단계 1540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사용 등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은 화상형성장치에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이상에서 화상형성장치(100) 및 모바일 단말기(200)에 대하여 기술한 내용은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단계 161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200)에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단계 162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모바일 단말기(200)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200)에 저장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기(200)를 식별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정보와 함께 사용 등록 정보가 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되기 전에 암호화될 수 있다.
단계 163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NFC-태깅을 통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등록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가 NFC 모듈(220)이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과 다른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250)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 등록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통신 모듈(250)을 더 이용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NFC 모듈(220) 및 통신 모듈(25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 등록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NFC 모듈(220) 및 통신 모듈(250) 중 어느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만을 이용하거나, NFC 모듈(220) 및 통신 모듈(250) 모두를 사용 등록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200)는 NFC 모듈(220)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와 수행할 무선통신 방식을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획득하고, 통신 모듈(250)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획득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화상형성장치(100)로 사용 등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200)는 NFC 모듈(220)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이 중단된 경우, 통신 모듈(250)을 이용하여, 사용 등록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모바일 단말기(200)가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벗어나 NFC 모듈(220)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중단된 경우, 통신 모듈(250)을 이용하여, 사용 등록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64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는 사용 등록 정보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 등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제까지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개시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개시된 실시예들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화상형성장치
110 ... 제어부
120 ... NFC 모듈
130 ... 스토리지
14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50 ... 통신 모듈
200 ... 모바일 단말기
210 ... 제어부
220 ... NFC 모듈
230 ...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24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50 ... 통신 모듈

Claims (20)

  1.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 등록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NFC-태깅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NFC 모듈;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제어부;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및
    상기 사용 등록 결과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등록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식별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는 상기 사용자 인증에 이용되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에 이용되는 사용자 프로파일이 미리 저장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에 상기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FC 모듈이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과 다른 방식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수행할 무선통신 방식을 전송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송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수신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FC 모듈이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과 다른 방식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중단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소정의 거리를 벗어나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중단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화상형성장치.
  10.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NFC-태깅을 통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사용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등록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
  11.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NFC-태깅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NFC 모듈; 및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 결과를 수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등록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식별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NFC 모듈이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과 다른 방식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 결과를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 간의 거리, 상기 사용 등록 정보의 데이터 레이트(data rate),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NFC 모듈과 상기 통신 모듈 중에서 통신을 수행할 모듈을 결정하는 모바일 단말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수행할 무선통신 방식을 획득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통신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NFC 모듈이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과 다른 무선통신 방식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수행할 무선통신 방식을 획득하는 모바일 단말기.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NFC 모듈이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과 다른 방식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중단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 결과를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소정의 거리를 벗어나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중단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
  20. 화상형성장치에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NFC-태깅을 통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등록 정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
KR1020140003091A 2011-12-12 2014-01-09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KR2015008340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091A KR20150083405A (ko) 2014-01-09 2014-01-09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EP15150424.8A EP2894828A1 (en) 2014-01-09 2015-01-08 Method of registering use of mobile terminal to image forming apparatu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method of requesting registration of us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US14/592,483 US20150126115A1 (en) 2011-12-12 2015-01-08 Method of registering use of mobile terminal to image forming apparatu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method of requesting registration of us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CN201510013206.2A CN104779981A (zh) 2014-01-09 2015-01-09 注册移动终端的使用的成像设备、方法和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091A KR20150083405A (ko) 2014-01-09 2014-01-09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405A true KR20150083405A (ko) 2015-07-17

Family

ID=5244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091A KR20150083405A (ko) 2011-12-12 2014-01-09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126115A1 (ko)
EP (1) EP2894828A1 (ko)
KR (1) KR20150083405A (ko)
CN (1) CN1047799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9675B2 (ja) 2012-03-30 2016-11-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機能実行装置
JP6019676B2 (ja) 2012-03-30 2016-11-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KR20130116602A (ko) * 2012-04-16 2013-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5867319B2 (ja) 2012-07-03 2016-02-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5958161B2 (ja) 2012-08-03 2016-07-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5900226B2 (ja) 2012-08-03 2016-04-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5900228B2 (ja) 2012-08-06 2016-04-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6172954B2 (ja) * 2013-01-25 2017-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179157B2 (ja) * 2013-03-27 2017-08-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通信端末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プログラム
JP6123416B2 (ja) * 2013-03-28 2017-05-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6098396B2 (ja) * 2013-06-28 2017-03-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端末装置とプリンタ
JP6070466B2 (ja) 2013-07-31 2017-02-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端末装置とプリンタ
JP6264815B2 (ja) 2013-09-30 2018-0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6546372B2 (ja) * 2014-01-27 2019-07-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JP6333032B2 (ja) * 2014-04-09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方法、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6402494B2 (ja) 2014-05-30 2018-10-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機能実行システム、機能実行装置、及び、通信端末
JP2016012910A (ja) * 2014-06-06 2016-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79767B2 (ja) 2014-07-11 2018-08-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端末装置、プリンタ、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511926B2 (ja) * 2015-04-09 2019-05-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582977B2 (ja) * 2015-12-28 2019-10-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9514141A (ja) * 2016-02-23 2019-05-30 ウォルマート アポロ,エルエルシー 周辺デバイス実装システムおよび関連する方法
JP6700969B2 (ja) * 2016-05-20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766469B2 (ja) * 2016-06-24 2020-10-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526102B2 (ja) * 2017-05-12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885326B2 (ja) * 2017-12-26 2021-06-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装置
US10931814B2 (en) * 2019-05-28 2021-02-23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Service recommendation
JP2021158629A (ja) * 2020-03-30 2021-10-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無線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2164A (ja) * 2003-07-11 2005-0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認証システムならびに認証装置、サーバ装置、登録装置および端末装置
US7657255B2 (en) * 2005-06-23 2010-02-02 Microsoft Corporation Provisioning of wireless connectivity for devices using NFC
CN101201887A (zh) * 2006-12-15 2008-06-18 王耀 身份证在身份识别系统中的应用方法
JP5098487B2 (ja) * 2007-07-26 2012-12-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認証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1770665A (zh) * 2009-12-23 2010-07-07 潘铁军 一种基于ic卡身份证的一卡通系统
JP5521577B2 (ja) * 2010-01-27 2014-06-18 株式会社リコー 周辺機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処理方法、及び通信処理制御プログラム
JP5458990B2 (ja) * 2010-03-16 2014-04-02 株式会社リコー 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アソシエーション情報設定方法
CN202019354U (zh) * 2010-07-07 2011-10-26 王树敏 一种基于nfc手机的物品身份验证及防伪系统
CN101958026B (zh) * 2010-09-15 2014-05-2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用户认证模块的设置方法和设置系统
JP2013214807A (ja) * 2012-03-30 2013-10-17 Brother Ind Ltd 画像出力装置、通信装置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管理装置
KR102077824B1 (ko) * 2013-06-03 2020-02-14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는 화상형성방법 및 장치
JP6300467B2 (ja) * 2013-08-20 2018-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4828A1 (en) 2015-07-15
CN104779981A (zh) 2015-07-15
US20150126115A1 (en)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3405A (ko)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US20210192090A1 (en) Secure data storage device with security function implemented in a data security bridge
CN107341387B (zh) 用于安全增强的电子图章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223609B1 (ko) 전자 기기간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
CA2926206C (en) A system and method for nfc peer-to-peer authentication and secure data transfer
EP2949103B1 (en) Providing an encrypted account credential from a first device to a second device
US20160054962A1 (en) Method of setting wireless connection via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216877B1 (ko) 전자장치에서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장치
US9860738B2 (en) Method for processing multiple pieces of SIM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2017503427A (ja) モバイルアプリケーションの安全性を確保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93074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NFC peer-to-peer authentication and secure data transfer
US9538370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for terminal perform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terminal thereof
KR102544488B1 (ko)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463449B2 (en) Authentication for key access
CN103957105A (zh) 用户身份认证方法和sim卡
JP6553810B2 (ja) モバイル端末のための支払い認証方法及び装置並びにモバイル端末
US20170034218A1 (en) Network node security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US11727741B2 (en) Read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ader
KR101321875B1 (ko) 엔에프씨 보안 프린트 시스템 및 방법
CN111630813A (zh) 电子设备、外部电子设备及包括电子设备和外部电子设备的系统
EP366448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306866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882637B2 (ja) シンクライアント型の読書装置、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868721A (zh) 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JP2007282030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データ取得装置およびデータ取得方法、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