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824B1 -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는 화상형성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는 화상형성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824B1
KR102077824B1 KR1020130063702A KR20130063702A KR102077824B1 KR 102077824 B1 KR102077824 B1 KR 102077824B1 KR 1020130063702 A KR1020130063702 A KR 1020130063702A KR 20130063702 A KR20130063702 A KR 20130063702A KR 102077824 B1 KR102077824 B1 KR 102077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nfc
tag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2095A (ko
Inventor
장우석
나빈 마헤쉬와리
이학주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30063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824B1/ko
Priority to US14/291,733 priority patent/US9977629B2/en
Priority to CN201710591332.5A priority patent/CN107329716B/zh
Priority to PCT/KR2014/004962 priority patent/WO2014196804A1/en
Priority to EP18188583.1A priority patent/EP3419255B1/en
Priority to CN201410242333.5A priority patent/CN104219414B/zh
Priority to CN201810573109.2A priority patent/CN108494989B/zh
Priority to EP14170858.6A priority patent/EP2811720B1/en
Publication of KR20140142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095A/ko
Priority to US15/978,050 priority patent/US1028935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B5/7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4Automatic configuration, e.g. by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04B5/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6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e.g. an inductive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제1 NFC 태깅을 통해 획득된 NFC 태그의 태그 정보 중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launch)하는 단계; 제2 NFC 태깅을 통해 상기 NFC 태그가 다시 검출되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될 작업(Job)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행될 작업(Job)은, 상기 제2 NFC 태깅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따라서 결정된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는 화상형성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forming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NFC)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과 화상형성장치 간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이동 통신 기술이 발전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가 보편화 됨에 따라서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 등의 모바일 단말이 과거 퍼스널 컴퓨터의 역할을 대체하고 있다. 프린터, 스캐너, 팩스, 복사기 또는 복합기(MFP) 등의 화상형성장치 분야에서도, 모바일 단말이 PC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기 위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단말의 인터페이스의 제약을 극복하고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화상형성장치와 모바일 단말 간의 통신은 무선을 지향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무선연결 프로세스는 복잡하고 번거로울 뿐 아니라 사용자에게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사전 지식이 요구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모바일 단말에서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종래의 PC 환경과 상이하므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에 친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화상형성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이, 제1 NFC 태깅을 통해 획득된 NFC 태그의 태그 정보 중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launch)하는 단계; 제2 NFC 태깅을 통해 상기 NFC 태그가 다시 검출되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될 작업(Job)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행될 작업(Job)은, 상기 제2 NFC 태깅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따라서 결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라서, 상술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근거리 무선 통신(NFC)의 읽기모드에서 제1 NFC 태깅을 통해 NFC 태그에 기록된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NFC 모듈; 상기 제1 NFC 태깅을 통해 획득된 태그 정보 중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NFC 모듈이 제2 NFC 태깅을 통해 상기 NFC 태그를 다시 검출하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될 작업(Job)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NFC 태깅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수행될 작업(Job)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모바일 단말, 화상형성장치 및 NFC 태그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NFC 태그에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가 포함된 제1 필드, 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가 포함된 제2 필드, 장치 식별자가 포함된 제3 필드, 무선연결 인증코드가 포함된 제4 필드, 장치 모델 명이 포함된 제5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가 기록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제1 NFC 태깅을 통해 획득된 상기 태그 정보 중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2 NFC 태깅을 통해 상기 NFC 태그가 다시 검출되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될 작업(Job)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수신된 작업의 데이터에 따라서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성을 훼손하지 않고 모바일 단말과 화상형성장치 간의 무선연결을 편리하게 수립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의 NFC 태깅만으로도 화상형성장치가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므로 모바일 단말의 조작에 관한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a는 NFC 및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의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 및 통신 거리(range)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NFC 기술과 관련된 표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NFC의 3가지 통신 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환경(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a와 유사한 NFC 환경(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 및 모바일 단말(20)이 존재하는 무선 통신 환경(2)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2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20)의 소프트웨어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W 제공서버(7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30)의 데이터 구조(8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설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NFC 태깅에 따른 이벤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모바일 단말(20)과 화상형성장치(10)의 무선연결 수립 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14e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NFC 태그(30)를 기록하는 과정의 G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초기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상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30)의 기록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30)의 기록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NFC 및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의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 및 통신 거리(range)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1a를 참고하면,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과 비교할 때, NFC는 약 10cm 내외의 거리에서만 동작할 수 있다.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까지 통신이 가능한 Bluetooth, Wi-Fi 등과는 달리 NFC는 극단적으로 짧은 거리(약 10cm 내외)에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NFC는, Bluetooth, Zigbee 등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과 표 1과 같이 비교될 수도 있다.
기술 사용 주파수 보안성 표준 범위 주 서비스 영역
NFC 13.56 MHz 암호화 적용 국제 표준 비접촉 결제, RFID,
파일 전송
Bluetooth 2.4 GHz 미적용 국제 표준 파일 전송
Zigbee 2.4 GHz 미적용 국제 표준 기기 제어, RFID
900MHz RFID 900 MHz 미적용 국내(KR) 표준 RFID
즉,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과 비교할 때, NFC는 10cm 이내의 거리에서만 동작되고 또한 암호화 기술이 적용되는바, 보안성이 높다. 따라서, 3G, 4G, Wi-Fi 등과 같은 고속의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과 결합되어 사용될 경우 디바이스들간에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기술과 Bluetooth 기술을 조합할 경우, NFC 기술은 디바이스들간의 연결(인증)에 사용되고, Bluetooth 기술은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됨으로써, 디바이스들은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1b는 NFC 기술과 관련된 표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를 참고하면, NFC 표준 기술은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를 따르면서 ISO 14443 비접촉식 카드(Proximity-card Standard) 표준을 확장한 것으로서, NFC IP-1(NFC Interface Protocol-1)(ISO/IEC 18092)과 NFC IP-2(ISO/IEC 21481)의 표준의 포함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ISO/IEC 14443 Type A 및 Type B, FeliCa, ISO/IEC 15693은 13.56MHz에서 동작하는 비접촉식 카드를 위한 4개 부문의 국제표준이다. 그리고, ISO/IEC 18092 표준은 NFC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에 대한 통신 모드를 정의한다.
도 2a 및 2b는 NFC의 3가지 통신 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고하면, NFC 포럼은 NFC의 주요 통신 모드들을 Reader/Writer 모드(301), P2P 모드(302) 및 Card Emulation 모드(303)의 3가지로 분류하여 표준화하고 있다. 요약하자면, NFC의 3가지 통신 모드들은 표 2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ISO/IEC 15693 ISO/IEC 18092 ISO/IEC 14443
동작 모드 리더/태그간 통신
(VCD2 mode)
기기간 통신
(P2P mode)
리더/태그간 통신
(PCD1 mode)
전력 공급 수동 능동 및 수동 수동
통신 범위 1m 10~20cm 10cm
데이터 속도 26kbps 이하 106, 212, 424Kbps 106Kbps
(PCD: Proximity Coupling Device, VCD: Vicinity Coupling Device)
먼저, Reader/Writer 모드(301)에 따르면, NFC 칩셋이 내장된 디바이스가 NFC 태그를 읽는 reader로 동작하거나 NFC 태그에 정보를 기록하는 writer로 동작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모드이다. 이때, NFC 칩셋이 내장된 디바이스와 NFC 태그는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NFC 태그는 Reader/Writer 모드로 동작하는 디바이스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NFC 태그는 다른 디바이스에 포함 또는 부착된 수동형 태그일 수 있다. 이 때, 다른 디바이스가 NFC 칩셋을 구비하지 않았다면, 다른 디바이스는 부착된 수동형 태그를 읽거나 기록할 수 없다. NFC 태그가 다른 디바이스에 포함된 능동형 태그라면, 다른 디바이스도 NFC 기능을 통해 NFC 태그를 읽고 쓰는 것이 가능하다. 능동형 태그는 NFC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디바이스에는 사후적으로 설치되기 어렵지만, 수동형 태그는 NFC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디바이스에도 스티커와 같이 사후적으로 탈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P2P 모드(302)는 두 개의 NFC 디바이스들 간의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모드이다. 연결 수립을 위하여, 클라이언트(NFC P2P initiator)는 호스트(NFC P2P target)를 검색하고 NDEF 메시지 포맷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P2P 모드(302)에 따르면, 디바이스들간에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나 데이터의 전송률이 최대 424Kbps 이하이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데이터 교환에 적절하다.
마지막으로, Card Emulation 모드(303)는 NFC 태그가 내장된 모바일 단말(20)이 스마트카드(ISO/IEC 14443)처럼 동작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비접촉식 카드의 국제표준인 ISO 14443은 물론, SONY의 펠리카(Felica)와 Philips의 마이페어(MiFare)와도 호환된다.
한편, NFC의 3가지 통신 모드들이 유기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도 2b와 같이 프로토콜이 표준화되어 있다. 도 2b를 참고하면, NFC 시스템에서의 S/W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LLCP(Logical Link Control Protocol)는 계층간의 통신 연결 및 제어의 역할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이다. NDEF(NFC Data Exchange Format) 메시지는 NFC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기본 메시지 구조이다. NDEF는 NFC 포럼에 호환되는 디바이스 및 태그간에 이뤄지는 메시지 교환에 대한 레코드 형식을 정의하는 것으로서,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스마트포스터 및 그 밖의 것에 대한 표준 교환 형식이다. NDEF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NDEF 레코드를 포함한다. NDEF 레코드는 유형, 길이 및 옵션 식별자별로 설명된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한다. NDEF 페이로드는 NDEF 레코드 내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데이터를 의미한다. RTD(Record Type Definition)는 NDEF 레코드에 해당될 수 있는 레코드 유형 및 유형 이름을 정의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환경(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NFC 환경(1)에는 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10) 및 NFC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20)이 존재한다. 도 3a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는 NFC 칩셋이 미리 내장되어 있어 모바일 단말(20)과 NFC 기능을 이용한 P2P 모드(302)로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도 3a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는 P2P 모드(302)는 물론이고, Reader/Writer 모드(301)와 Card Emulation 모드(303)로도 동작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a과 유사한 NFC 환경(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를 참고하면, 마찬가지로 NFC 환경(1)에는 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10) 및 NFC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20)이 존재한다. 특히, 도 3a과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면, 도 3a의 화상형성장치(10)에는 NFC 칩셋을 이용하고 있으나, 도 3b의 화상형성장치(10)은 NFC 태그(30)를 이용하고 있다. NFC 칩셋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NFC 태그(30)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예컨대, NFC 칩셋이 Card Emulation 모드(303)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NFC 태그(3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NFC 태그(30)의 기능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으로 NFC 태그(30)에 기록된 정보를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NFC 태그(30)는 모바일 단말(20) 또는 도 3b의 화상형성장치(10)에 의해 기록 및 수정될 수 있도록, 읽기 전용(read only, write once) 태그가 아니라 읽기/쓰기(read/write) 태그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읽기 전용(read only) 태그란, 한번 기록 후 수정될 수 없는 물리적 특성을 갖는 태그이고, 읽기/쓰기 태그란 한번 기록된 데이터를 writer가 삭제 및 수정할 수 있는 물리적 특성을 갖는 태그이므로, 전술한 수동형(passive), 능동형(active)의 태그의 분류와는 다른 개념이다.
NFC 태그(30)가 도 3b의 화상형성장치(10)에 의해 기록 및 수정되기 위해서는 능동형 태그일 것이 요구된다. NFC 태그(30)가 능동형 태그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NFC 태그(30)의 IC와 도 3b의 화상형성장치(10)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송선로 또는 NFC 칩셋이 도 3b의 화상형성장치(10)에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송선로 또는 NFC 칩셋을 구비하지 않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NFC 태그(30)를 부착하면, NFC 태그(30)는 능동형 태그가 아니라 수동형 태그로 동작한다. NFC 태그(30)가 수동형 태그로 동작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20)은 NFC 태그(30)에 기록된 정보를 읽거나 수정할 수 있으나 도 3b의 화상형성장치(10)는 NFC 태그(30)에 기록된 정보를 읽거나 수정할 수 없다. NFC 태그(30)가 능동형 태그로 동작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20)과 도 3b의 화상형성장치(10)가 모두 NFC 태그(30)에 기록된 정보를 읽거나 수정할 수 있다. 능동형 태그가 수동형 태그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므로 기능면에서 유리하나, 수동형 태그는 능동형 태그에 비하여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3b의 화상형성장치(10)는 제조시 NFC 태그(30)가 내장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도 3b의 화상형성장치(10)는 추후에 NFC 태그(30)가 설치될 경우에만 모바일 단말(20)과 NFC 기능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다. 화상형성장치(10)에는 능동 또는 수동형의 NFC 태그(30)를 추후에 설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NFC 환경(1)의 동작은 도 3b의 화상형성장치(10)에 NFC 태그(30)가 추후에라도 능동형 태그로 설치된 경우라면, 도 3a와 마찬가지임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NFC 환경(1)에는 본 실시예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화상형성장치(10) 및 모바일 단말(20) 한 쌍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하겠으나, NFC 환경(1)에는 NFC 기능을 지원하는 다른 종류의 전자 기기들도 다수 존재할 수 있고 이들도 본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 및 모바일 단말(20)이 존재하는 무선 통신 환경(2)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를 참고하면, NFC 환경(1)과 함께 다른 주변 유/무선 네트워크들이 도시되어 있다. NFC 환경(1)은 Wi-Fi Direct, Bluetooth, Ethernet, 802.11a/b/g/n 등과 같은 주변 유/무선 네트워크와 함께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다. 무선 통신 환경(2)에서 화상형성장치(10)와 모바일 단말(20)과 WiFi Direct로 연결되거나 또는 WiFi AP (802.11a/b/g/n)을 경유하여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모바일 단말(2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단말(2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모바일 단말(2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랩탑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등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20)은 NFC 모듈(210), 무선통신모듈(220), 이동통신모듈(26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 제어부(240) 및 저장부(250)를 포함한다. 상기된 구성 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모듈, DMB 모듈, GPS 모듈, 영상 또는 음성처리 프로세서, 전원 공급부, 진동 모터, 스피커, 마이크, 메인보드 등의 범용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모바일 단말(2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모바일 단말(20)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단말(20)이 무선인터넷 전용 태블릿 PC인 경우, 이동통신모듈(260)은 생략될 수 있다.
NFC 모듈(210)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수행한다. NFC 모듈(210)은 안테나와 NFC 칩셋을 포함할 수 있다. NFC 칩셋은 Reader/Writer 모드(301), P2P 모드(302) 또는 Card Emulation 모드(303)로 동작하기 위한 회로 소자들을 포함한다. NFC 모듈(210)은 Reader/Writer 모드(301)에서 RF Field의 커버리지 내에 NFC 태그(30)가 위치하면(이하, NFC 태깅), NFC 태그(30)에 기록된 태그 정보를 독출하거나(읽기모드), NFC 태그(30)에 소정의 정보를 기록 또는 수정(기록모드)한다. 또한, NFC 모듈(210)이 NFC 칩셋을 포함하는 도 3a의 화상형성장치(10)와 근접하는 경우, P2P 모드(302)로 동작하여 양방향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모듈(210)은 Card Emulation 모드(303)로 동작하는 경우, 능동 또는 수동형의 NFC 태그(30)와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NFC 모듈(210)의 Reader/Writer 모드(301) 중 읽기모드 동작을 설명한다. NFC 모듈(210)은 NFC 태깅을 통해 NFC 태그(30)의 태그 정보를 획득한다. NFC 태그(30)의 태그 정보는 화상형성장치(1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태그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가 포함된 제1 필드, 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가 포함된 제2 필드, 장치 식별자가 포함된 제3 필드, 무선연결 인증코드가 포함된 제4 필드, 장치 모델 명이 포함된 제5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정보의 데이터 구조(80)를 도시한 도면이다. NFC 태그(30)에 기록된 태그 정보의 데이터 구조(80)는 NFC 태그의 플랫폼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각 필드들에 부여된 숫자는 데이터 구조(80) 내에서 필드의 기록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각 필드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나의 필드는 다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될 수 있고, 반대로 여러 필드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필드가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는 설명의 관점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NFC 태그(30)에 기록된 전체 태그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도시하나 편의상, 이를 태그 정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태그 정보의 데이터 구조(80)에는 Device Type(310), Application Type(340), DeviceName(350), MACAddress(360), EncryptedPIN(370)가 포함된다. 어플리케이션 식별자가 포함된 제1 필드, 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가 포함된 제2 필드는 Application Type(340)에 위치하고, 장치 식별자가 포함된 제3 필드는 MACAddress(360)에 위치하며, 무선연결 인증코드가 포함된 제4 필드는 EncryptedPIN(370)에 위치하고, 장치 모델 명이 포함된 제5 필드는 DeviceName(350)에 위치한다. Device Type(310)에는 화상형성장치(10)의 device capacity 정보가 포함된 제6 필드가 위치할 수 있으며, device capacity 정보로서는 예컨대, "Print Capacity: Color, Mono", "Scan Capacity: 300,600 DPI", "FAX Capacity: 33.6K bps" 등을 예시할 수 있다, Connectivity Type(330)에는 화상형성장치(10)의 무선연결 타입, 예컨대 WiFi / WiFi-Direct 인터페이스 등의 정보가 포함된 제7 필드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외에도, 화상형성장치의 시리얼 넘버, IP주소 등의 필드들이 상술된 데이터 구조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안드로이드 모바일 OS의 플랫폼에 따라서, 제1 필드의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는 "App ID: application/vnd.samsung.mobilePrint" , 제2 필드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는 "Type Information: android.com:pkg // Package Name: com.sec.print.mobileprint" 와 같이 예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필드의 장치 식별자는 화상형성장치(10)의 MAC Address이고, 제4 필드의 무선연결 인증코드는 WiFi / WiFi-Direct 연결을 위한 암호화된 인증코드(PIN) 일 수 있다. 제5 필드의 장치 모델 명은 화상형성장치(10)의 제조사에서 부여한 모델 번호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태그 정보의 데이터 구조(80)에 대한 정보는 모바일 단말(2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저장부(250)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Tag manager(511)는 데이터 구조(80)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Tag manager(511)는 읽기모드 또는 기록모드에서 저장된 데이터 구조(80)를 참조하여, 태그 정보를 파싱하거나 또는 기록한다.
NFC 모듈(210)은 제어부(240)의 요청에 따라서 읽기모드에서 기록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NFC 모듈(210)은 기록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NFC 태깅을 통해 NFC 태그(30)가 검출되면,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서 NFC 태그(30)에 태그 정보를 기록 또는 수정한다. NFC 태그(30)가 기록되는 경우에도, 데이터 구조(80)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태그 정보가 기록된다. NFC 모듈(210)의 읽기모드와 기록모드에서의 동작에 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무선통신모듈(220)은 화상형성장치(10)와 무선연결을 수립하고, 무선연결을 통해 화상형성장치(10)와 후술하는 화상형성작업에 필요한 데이터를 교환한다. 이하, 무선통신모듈(220)과 화상형성장치(10)의 무선연결 시그널링과 응답 시그널링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선연결은 WiFi 또는 WiFi-direct 연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WiFi-direct를 제외한다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WiFi가 WiFi-direct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먼저, 무선통신모듈(220)과 화상형성장치(10)의 WiFi-direct 연결 절차를 살펴본다. 무선통신모듈(220)은 WiFi-direct 연결 가능한 후보 장치를 탐색한다. 무선통신모듈(220)은 무선랜 패킷인 탐색 요청(probe request) 및 탐색 응답(probe response)을 통해 후보 장치들(미도시)의 MAC 주소, 장치의 타입(type), SSID(Service Set Identifier) 등의 정보를 수집한다.
무선통신모듈(220)은 제어부(240)의 요청에 따라서, 후보 장치들 중에서 선택된 화상형성장치(10)와 WiFi-direct 연결을 시도한다. 이때, 무선통신모듈(220)과 화상형성장치(10) 간에는 그룹 형성(group formation) 절차와 보안 연결(security connection)을 위한 인증 절차가 수행된다. 그룹 형성(group formation)이란 어떤 장치가 GO(Group Owner)가 되고 또는 어떤 장치가 클라이언트가 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형성된 그룹에 속하는 장치들은 서로 보안 연결(security connection)이 되어야 하는데, 이 때 사용되는 기술이 Wi-Fi Protected Setup(이하, WPS)이다. WPS에는 PIN(Personal Identificaion Number) 방식과 PBC(Push Button Configuration) 방식이 있는데 PIN 방식이란 미리 설정된 PIN 코드를 통해 인증을 하는 것이고, PBC 방식이란 GO 장치에 구비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 버튼을 눌러줌으로써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다. 인증이 성공하면, GO인 화상형성장치(10)는 모바일 단말(20)에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한다.
무선통신모듈(220)은 화상형성장치(10)가 할당한 IP 주소를 통해, 화상형성장치(10)에 get device capability 메세지를 전송하여 디바이스 성능 정보를 요청한다. 무선통신모듈(220)은 화상형성장치(10)로부터 Print/Scan/Fax 기능 구비 여부, Color/Mono 인쇄 가능여부, 사용되는 PCL 언어, Duplex/Simplex 인쇄 등의 정보를 수신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서, 화상형성장치(10)과 모바일 단말(20)과의 WiFi-Direct 연결이 수립된다.
WiFi-direct가 아닌 WiFi 연결의 경우, 무선통신모듈(220)은 AP(802.11 b/g/n)을 통해서 화상형성장치(10)와 동일한 인프라 네트워크에 속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는 동일한 인프라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장치들, 특정 IP를 갖는 장치, 특정 MAC을 갖는 장치 또는 화상형성장치(10) 내에 계정을 갖는 장치의 접근을 허락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220)이 화상형성장치(10)의 IP 주소로 데이터를 전송을 AP에 요청하면, AP는 ARP table을 참조하여 화상형성장치(10)로 데이터전송을 중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NFC 태그(30)의 태그 정보를 활용하여 모바일 단말(20)과 화상형성장치(10)의 무선연결 절차를 자동화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과 화상형성장치(10)의 연결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20)이 NFC 태그(30)와 NFC 태깅되면(읽기모드), 무선통신모듈(220)은 제어부(240)의 요청에 따라서 후보 장치들을 탐색한다. 무선통신모듈(220)은 태그 정보의 제3 필드 값(장치 식별자)을 통해서, 후보 장치들 중에서 화상형성장치(10)를 자동으로 선택한다. 장치 식별자가 MAC 주소인 경우, 무선통신모듈(220)은 탐색된 후보 장치들 중에서 NFC 태그(30)에서 획득된 MAC 주소를 갖는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을 수립한다. 특히, 무선통신모듈(220)은 태그 정보의 제4 필드 값(인증코드)를 화상형성장치(10)에 전송하여 인증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에 PIN 값을 입력하거나, 화상형성장치(10)의 WPS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무선연결이 수립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220)은 무선연결을 통해서, 화상형성장치(10)에서 수행될 작업(job)의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행된 작업의 결과를 화상형성장치(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작업(job)의 데이터란, 예컨대, PCL 언어의 인쇄 명령과 PDL 언어의 인쇄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작업의 데이터란, 스캔 명령, 팩스 명령일 수 있다. 수행된 작업의 결과는 예컨대, 스캔된 문서, 팩스 전송 결과 등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통신모듈(220)은 제어부(240)의 요청에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의 펌웨어(이하, FW)를 업데이트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화상형성장치(10)가 스스로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화상형성장치(10)를 설정할 수 있다.
이동통신모듈(260)은 회선교환망과 패킷교환망에 접속하여 이동통신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패킷교환망을 통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20)을 조작하거나, 모바일 단말(20)에서 처리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LCD 또는 LED 등의 디스플레이에 2 또는 4 라인의 형태로 단순하게 구성되거나, 혹은 다양한 그래픽적 표현이 가능하도록 그래픽 UI(GUI)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정전식 또는 정압식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촉각 센서 또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H/W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250)는, 제어부(2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250)에는 모바일 OS(2501)가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240)는 모바일 OS(2501)를 실행함으로써, 모바일 단말(20)을 제어한다. 또한, 저장부(250)에는 화상형성장치(10)의 인쇄, 스캔, 팩스 등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모바일 프린팅 어플리케이션(이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이 저장될 수 있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은 화상형성장치(10)와 연동하여, 인쇄, 스캔, 팩스 등의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후술하는 NFC 태깅을 통해서 자동 설치될 수 있다.
저장부(2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2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2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통상적으로 모바일 단말(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컨텐트 캡쳐,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24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모바일 OS(2501)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를 실행하여, NFC 모듈(210), 무선통신모듈(220), 이동통신모듈(26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 및 저장부(250)를 제어한다. 제어부(240)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20)의 소프트웨어 블록들(5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도시된, 블록들(5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능적으로 구별된 것이므로, 블록들(50)이 반드시 독립된 프로그램 코드 단위를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블록들(50)은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으나 제어부(240)의 호출에 따라서 처리되므로, 각 블록들(50)의 동작은 특별한 설명이 없더라도 제어부(240)의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OS(2501)은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러(501), 어플리케이션 실행부(502),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504) 및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러(501)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설치 파일을 실행하여, 모바일 단말(20)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를 설치한다.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러(501)도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504)의 일종으로 볼 수 있지만, 혼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로 도시된 것이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502)는 모바일 OS(2501)의 요청 또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 조작에 따라서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504)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을 실행한다.
API(503)는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504)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이 모바일 OS(2501) 상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하는 함수의 집합을 말한다. API(503)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위한 API, WiFi 또는 WiFi-direct를 위한 API를 포함할 수 있다.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504)은 모바일 OS가 지원하는 기본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시계, 웹 브라우저, 주소록, 카메라, 파일 탐색기, 문서/이미지 뷰어, 음악/동영상 플레이어, 음성/영상 통화 소프트웨어 등을 예시할 수 있한다.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504)에는 NFC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504)는 NFC 기능을 지원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션으로서, 모바일 단말(20)에서 백그라운드로 동작중임을 가정하고 설명한다.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504)은 NFC 모듈(210)을 읽기모드로 구동하고, NFC 태깅을 통해 NFC 태그(30)의 태그 정보를 독출한다. 독출된 태그 정보에는 앞서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식별자) 및 제2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이 포함된다.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504)은 NFC 모듈(210)에 의해 독출된 태그 정보를 API(503)을 통해 모바일 OS(2501)에 제공한다.
모바일 OS(2501)는 독출된 태그 정보 중 제1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모바일 단말(20)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하면, 모바일 OS(2501)은 "App ID: application/vnd.samsung.mobilePrint"에서 "samsung.mobilePrint"라는 어플리케이션이 모바일 단말(20)에 설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samsung.mobilePrint"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다고 판단되면, 모바일 OS(2501)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502)를 통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제1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이고, 현재 모바일 단말(20)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이 설치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
모바일 OS(2501)가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러(501)를 통해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을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러(501)는 이동통신모듈(260) 또는 무선통신모듈(220)을 통해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한다. 이 때, 다운로드 페이지의 주소를 알 수 없다면 사용자가 탐색해야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러(501)는 태그 정보의 제2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 "Type Information: android.com:pkg // Package Name: com.sec.print.mobileprint" 를 이용하여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러(501)은 이동통신모듈(260) 또는 무선통신모듈(220)을 통해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설치 파일을 실행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을 설치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는 UI 구성부(506), 인쇄 에이전트(507), 스캔 에이전트(508), 팩스 에이전트(509), MFP 매니저(505), 태그 매니저(511), 렌더링 엔진(512), FW 관리부(521), PIN 관리부(522) 및 이벤트 컨트롤러(510)을 포함한다. 점선으로 도시된 블록들이 실시예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특히, 관리자 패키지(52)는 일반 사용자들에게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관리자 패키지(52)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에서 숨겨진 기능으로 존재하다가, 관리자 모드에서만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유사하게, 태그 매니저(511)는 일반사용자에게는 NFC 읽기모드만을 지원하다가, 관리자 모드에서만 NFC 태그 기록모드를 지원하도록 할 수 있다.
MFP 매니저(505)는 무선통신모듈(220)을 통해 화상형성장치(10)와 무선연결 및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한다. 또한, MFP 매니저(505)는 화상형성장치(10)의 상태 정보, 예컨대, 화상형성장치(10)의 소모품 정보, 등록된 인쇄 작업의 상태, 정상 작동/고장 여부 등의 상태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로부터 획득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이 실행되면, UI 구성부(506)는 MFP 매니저(505)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처음으로 표시되는 초기 페이지를 구성한다. 도 15의 좌측 이미지(1505)는 화상형성장치(10)와 무선연결 되지 않은 상태에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052)가 실행된 경우의 초기 페이지이고, 우측 이미지(1510)은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이 된 상태에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가 실행된 경우의 초기 페이지에 해당한다.
인쇄 에이전트(507)는 화상형성장치(10)의 인쇄 기능을 모바일 단말(20)에 제공한다. 인쇄 에이전트(507)는 모바일 단말(20)이 화상형성장치(10)의 인쇄 기능을 사용하도록 인쇄 작업 페이지를 모바일 단말(20)에 출력한다. 인쇄 대상 컨텐트는 인쇄 작업 페이지를 통해서 선택될 수 있으며, 선택된 컨텐트는 인쇄 작업 페이지내에 표시될 수 있다. 인쇄 작업 페이지에는, 인쇄의 세부 설정(인쇄매수, 양면/단면, 컬러/흑백, 배율, 용지 사이즈)을 위한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인쇄 에이전트(507)는 이벤트 컨트롤러(510)의 요청에 따라서, 인쇄 작업 데이터를 생성한다.
렌더링 엔진(512)는 인쇄 대상 컨텐트를 렌더링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렌더링 엔진(512)이 생략되고, 인쇄 대상 컨텐트의 원본 파일이 화상형성장치(10)에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OS(2501)에 렌더링 엔진(512)가 포함되고, 모바일 OS(2501)는 렌더링 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Print API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에 제공할 수 있다.
스캔 에이전트(508)와 팩스 에이전트(509)는 각각 화상형성장치(10)의 스캔 기능과 팩스 기능을 모바일 단말(20)에 제공한다. 스캔 에이전트(508)와 팩스 에이전트(509)는 각각 모바일 단말(20)이 화상형성장치(10)의 스캔 기능과 팩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스캔 작업 페이지 및 팩스 작업 페이지를 출력한다. 스캔 작업 페이지와 팩스 작업 페이지에는, 스캔과 팩스의 세부 설정을 위한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스캔 에이전트(508)와 팩스 에이전트(509)는 각각 이벤트 컨트롤러(510)의 요청에 따라서, 스캔과 팩스 작업 데이터를 생성한다.
UI 구성부(506)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GUI를 구성한다. UI 구성부(506)는 모바일 단말(20)과 무선연결된 화상형성장치(10)의 모델명 또는 디바이스 성능(device capacity)에 따라서 GUI를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UI 구성부(506)는 초기 페이지(1510)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의 이미지를 디바이스의 모델명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UI 구성부는(506)는 "Home" ,"Print", "Scan", "Fax" 메뉴항목 중에서 화상형성장치(10)가 지원하는 기능만이 활성화되도록 GUI를 구성할 수 있다.
태그 매니저(511)는 NFC 모듈(210)을 통해 NFC 태그(30)에 태그 정보를 기록하거나(기록모드) 또는 NFC 태그(30)에 기록된 태그 정보를 독출(읽기모드) 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실행전에는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504)가 NFC API를 호출하지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가 실행되면, NFC API는 태그 매니저(511)가 API를 호출한다. 따라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가 실행되면, NFC 모듈(210)의 제어권은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504)에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으로 넘어가게 된다.
태그 매니저(511)가 기록모드로 동작할지, 읽기모드로 동작할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4c의 기록 버튼(1401b)이 선택되는 경우, 태그 매니저(511)는 기록모드로 동작한다. 한편, 기록 버튼(1401b)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일반 사용자 모드가 아닌 관리자 모드에서만 제공될 수 있다.
FW 관리부(521)는 무선통신모듈(220)을 통해 화상형성장치(10)의 FW 정보를 획득하고, FW의 업데이트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FW 관리부(521)는 무선통신모듈(220) 또는 이동통신모듈(260)을 통해 FW 제공 서버(70)에 접속하여, 화상형성장치(10)의 모델명, MAC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고 FW 업데이트 데이터를 요청한다. FW 제공 서버(7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의 FW 업데이트 데이터가 수신되면, 무선통신모듈(220)을 통해 화상형성장치(10)의 FW를 업데이트 한다.
PIN 관리부(521)는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을 위한 인증코드를 관리한다. 읽기모드에서, NFC 태그(30)의 태그 정보의 제4 필드 값(인증코드)는 암호화되어 있을 수 있다. PIN 관리부(521)는 암호화된 인증코드를 복호화할 수 있다.
기록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규의 인증코드는 NFC 태그(30)에 기록되는데, PIN 관리부(52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규의 인증코드의 값이 유효한 형식을 갖는지 여부, 즉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된 인증코드에 포함된 패리티 비트를 이용하여 신규의 인증코드를 검증한다. 또한, PIN 관리부(521)는 신규의 인증코드가 NFC 태그(30)에 기록되는 경우, 신규의 인증코드를 암호화한다.
FW 제공 서버(70)에서 화상형성장치(10)의 인증코드를 생성하거나 관리하는 경우, PIN 관리부(521)는 FW 제공 서버(7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의 인증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PIN 관리부(521)는 FW 업데이트 데이터에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PIN 관리부(521)는 인증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이벤트 컨트롤러(510)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전반을 제어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실행 중에 발생되는 인터럽트, NFC 태깅과 사용자의 입력들을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에 따라서 소정의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이벤트 컨트롤러(510)는 읽기모드에서 NFC 태그(30)과의 NFC 태깅이 있으면, 현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상태에 따라서 다른 이벤트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상태란 초기 페이지,인쇄 작업 페이지, 스캔 작업 페이지 또는 팩스 작업 페이지가 표시된 GUI의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벤트 컨트롤러(510)는 NFC 태깅시 표시된 페이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페이지에 맵핑된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컨트롤러(510)는 NFC 태깅을 통해 검출된 NFC 태그(30)가 모바일 단말(20)과 연결된 화상형성장치(10)의 태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의 태그란, 태그가 화상형성장치(1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어도 무방하나, 그 태그 정보에는 화상형성장치(10)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어나, 기록될 예정인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20)과 화상형성장치(10) 간의 화상형성작업을 지원할 수 있는 태그를 말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NFC 태깅시 인쇄 작업 페이지가 표시되었다면, 이벤트 컨트롤러(510)는 인쇄 작업 페이지에서 선택된 인쇄 대상 컨텐트를 렌더링할 것을 렌더링 엔진(512)에 명령하고, 인쇄 에이전트(507)에 렌더링된 컨텐트 및 인쇄 명령을 포함하는 인쇄 작업 데이터를 생성할 것을 명령한다. 이벤트 컨트롤러(510)는 생성된 인쇄 작업 데이터를 무선통신모듈(220)을 통해 화상형성장치(10)에 전송한다. 이와 유사하게, 이벤트 컨트롤러는 NFC 태깅시 표시된 페이지에 따라서, 스캔 에이전트(508) 및 팩스 에이전트(509)에 스캔 작업 데이터 또는 팩스 작업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벤트 컨트롤러(510)는 읽기모드에서 NFC 태깅시에 좌측 초기 페이지(1505)가 표시된 경우, 획득된 태그 정보를 이용해 화상형성장치(10)와 무선연결을 수립한다. 이어서 이벤트 컨트롤러(510)는, 무선연결을 통해 화상형성장치(1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우측의 초기 페이지(1506)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벤트 컨트롤러(510)는 NFC 태깅시 우측 초기 페이지(1506)가 표시된 경우, 표시된 화상형성장치(10)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모바일 단말(20)의 하드웨어 구성요소와 소프트웨어 블록의 기본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화상형성방법 또는 NFC 태그(30)의 기록 방법을 통해서, 상기된 모바일 단말(20)의 동작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방법들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모든 스텝 마다 하드웨어 구성요소와 소프트웨어 블록이 지정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당업자라면 지금까지의 설명을 통해서 모바일 단말(20)의 어떠한 하드웨어 구성요소와 소프트웨어 블록이 해당 스텝을 수행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위에서 설명된 내용들은 본 실시예를 위하여 참조 될 수 있다.
먼저, 모바일 단말(20)은 제1 NFC 태깅을 통해 획득된 NFC 태그(30)의 태그 정보 중 제1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를 실행한다(910).즉, 모바일 단말(20)의 NFC 모듈(210)은 읽기모드로 동작하고 있으므로, 제1 NFC 태깅을 통해 태그 정보를 획득한다. 제어부(240)는 태그 정보 중의 제1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을 실행한다.
모바일 단말(20)은 제2 NFC 태깅을 통해 NFC 태그(30)가 다시 검출되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을 통해서, 화상형성장치(10)에서 수행될 작업의 데이터를 생성한다(915). 즉, 모바일 단말(20)의 NFC 모듈(210)은 여전히 읽기모드로 동작하고 있으므로, 제2 NFC 태깅을 통해 동일한 태그 정보를 다시 획득하게 된다. 수행될 작업(Job)은, 제2 NFC 태깅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상태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은 생성된 작업의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0)에 전송한다(920). 화상형성장치(10)는 수신한 작업의 데이터에 따라서, 인쇄, 팩스, 스캔 등의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위에서 설명된 내용들은 본 실시예를 위하여 참조 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은 읽기모드에서 제1 NFC 태깅을 통해서, NFC 태그(30)의 태그 정보를 획득한다(1000). 1000 단계에서는, 모바일 단말(20)에는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504)이 백그라운드로 동작하고 있으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은 실행되기 전인 것으로 가정한다. 제어부(240)는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504)을 실행하여, NFC 모듈(210)로부터 NFC 태그(30)의 태그 정보를 획득한다.
모바일 단말(20)은 태그 정보의 제1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모바일 단말(2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005). 모바일 단말(20)은 먼저 태그 정보를 파싱한다. 데이터 구조(80)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20)은 파싱된 태그 정보의 어느 영역이 제1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해당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바일 단말은 데이터 구조(80)을 참조하여, 제1 필드의 크기와 위치를 파악함으로서 제1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식별자)을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필드를 식별하기 위한 필드 네임,"APP ID"을 이용하여 제1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식별자)을 추출할 수 있다. 다른 필드 값들도 제1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식별자)과 유사하게 태그 정보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의 제어부(240)는 저장부(250)에 존재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중에서, 제1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식별자), "samsung.mobilePrint"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240)는 모바일 OS (2501)이 보존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참조하여 판단할 수 있다.
제1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모바일 단말(20)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20)은 태그 정보의 제2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을 설치한다(1035).
도 11을 참조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설치 과정을 살펴본다. 앞서 설명된 내용은 본 실시예를 이해하기 위하여 참조 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모바일 OS(2501)를 통해서, 태그 정보의 제1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없음이 확인되면,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러(501)를 실행한다(1100). 제어부(240)는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러(501)를 실행함과 동시에, 제2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러(501)에 제공한다.
모바일 단말(20)은 제2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한다(1105). 제어부(240)는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러(501)를 통해서, 무선통신모듈(220) 또는 이동통신모듈(260)을 구동한다. 무선통신모듈(220)을 통해서 무선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경우에는 이동통신모듈(260)에 우선하여 무선통신모듈(220)이 동작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러(501)는 제공받은 제2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 "Type Information: android.com:pkg // Package Name: com.sec.print.mobileprint"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페이지에 바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을 별도로 검색할 필요가 없다. 다운로드 페이지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설치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1110).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 페이지의 설치 버튼이 선택되면, 제어부(240)는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러(501)를 통해서, 무선통신모듈(220) 또는 이동통신모듈(260)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하도록 요청한다.
모바일 단말(20)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설치 파일을 실행한다(1115). 즉, 제어부(240)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설치 파일을 실행하여 저장부(250)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를 설치한다.
도 10으로 돌아가서, 모바일 어플리케리션의 설치가 완료되면, 모바일 단말(20)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을 실행한다(1040).
단계 1005에서 태그 정보의 제1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20)은 제1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1010).
제1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 아니라면, 모바일 단말(20)은 제1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1040). 즉, 제어부(24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502)를 통해서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로서 "samsung.mobilePrint"를 갖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를 실행한다.
이어서, 모바일 단말(20)은 태그 정보의 제3 필드 값(장치 식별자)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이 수립되었는지를 판단한다(1015).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 여부는 반드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실행을 전제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이 실행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모바일 OS(2501)를 통해서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무선통신모듈(220)이 다른 장치와 무선연결이 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무선통신모듈(220)이 다른 장치와 무선연결된 상태라면, 제어부(240)는 무선연결된 장치의 MAC 또는 IP 주소를 태그 정보의 제3 필드 값(장치 식별자)과 비교하여,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이 수립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1015 단계에서 태그 정보의 제3 필드 값(장치 식별자)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장치(10)과의 무선연결이 수립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20)는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을 수립한다(1045).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NFC 태깅이 있으면, 단계 1040에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이 실행된 이후에, 단계 1045에서 무선연결이 수립된다. 이와 달리, 제1 NFC 태깅이 있으면,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이 먼저 수립하고,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을 실행하여도 무방하다. 또 달리. 무선연결 수립과정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실행이 동시에 처리되어도 무방하며, 이상의 변형된 실시예들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균등한 범위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모바일 단말(20)과 화상형성장치(10)의 무선연결 수립 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무선연결 수립 과정은, 도 10의 1045 단계를 이해하는데 참조 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3의 무선연결 수립 과정이 반드시 도 10의 실시예에 종속적인 것은 아니며, 도 13의 무선연결 수립 과정은 도 10의 실시예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된 내용들은 본 실시예를 이해하기 위하여 참조 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20)은 태그 정보 중 제3 필드 값(장치 식별자)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 또는 화상형성장치(10)와 연결된 AP(Access Point)의 무선연결 시그널링을 식별한다. 모바일 단말(20)은 장치 탐색(device discovery)를 수행하여, 화상형성장치(10)가 송출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다수의 WiFi 또는 WiFi-direct 장치들(후보 장치들)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는, 후보 장치들 중에서 화상형성장치(10)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20)은 후보 장치들로부터 수집된 정보, IP 주소, MAC 주소 또는 장치 모델명을 각 후보 장치마다 정리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후보 장치를 선택하면, 선택된 후보 장치와 무선 연결을 시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20)은 태그 정보의 제3 필드 값(장치 식별자)를 이용하여, 다른 후보 장치들과 화상형성장치(10)를 구별할 수 있다. 예컨대, WiFi-Direct 연결의 경우, NFC 태그(30)에서 획득된 MAC 주소를 갖는 후보 장치를 선택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의 무선연결 시그널링을 식별할 수 있다. 제3 필드 값(장치 식별자)가 MAC 주소 또는 IP 주소인 경우, 모바일 단말(20)은 탐색된 WiFi-direct 후보 장치들 중에서, 제3 필드 값(장치 식별자)와 동일한 MAC 주소를 갖는 화상형성장치(10)가 송출한 WiFi-direct 신호를 식별할 수 있다. WiFi-direct 가 아닌 WiFi의 경우, 모바일 단말(20)은 AP(802.11 b/g/n)와 연결된 WiFi 후보 장치들 중에서 제3 필드 값(장치 식별자)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와 AP(802.11 b/g/n)를 통해 WiFi 연결 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20)은 AP(802.11 b/g/n)로부터 후보 장치들의 MAC 주소 또는 IP 주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AP(802.11 b/g/n)에 제3 필드 값(장치 식별자)와 동일한 MAC 주소 또는 IP 주소를 갖는 화상형성장치(10)가 AP(802.11 b/g/n)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20)은 태그 정보의 제3 필드 값(장치 식별자)와 함께, 제5 필드 값(장치 모델명)을 함께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 또는 AP(802.11 b/g/n)의 시그널링을 식별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20)은 식별된 무선연결 시그널링에 대한 응답 시그널링을 수행한다(1320). 즉, 모바일 단말(20)의 제어부(240)는 무선통신모듈(220)을 통해서, 응답 시그널링을 수행한다. 모바일 단말(20)은 응답 시그널링을 통해서,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에 필요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은 태그 정보의 제4 필드(인증코드)를 화상형성장치(10)에 전송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와의 WPS 인증을 수행한다. 화상형성장치(10)는, 화상형성장치(10)의 FW에 설정된 PIN 값을 모바일 단말(20)로부터 수신한 인증코드와 비교하여 WPS 인증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PIN을 입력하거나 또는 화상형성장치(10)의 WPS 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에 필요한 인증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3 필드(인증코드)는 소정의 방식으로 암호화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때 모바일 단말(20)은 암호화된 인증코드를 복호화할 수 있다. 한편, WiFi-direct가 아닌 WiFi의 경우, AP(802.11 b/g/n)에 무선연결을 위해서는 AP(802.11 b/g/n)와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은 인증 성공 메세지, 또는 인증 실패 메세지를 수신함으로써, 제3 필드(인증코드)를 이용한 인증에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한다(1325).
인증에 성공한 경우, 모바일 단말(20)은 화상형성장치(10)로부터 WiFi-direct 연결을 위한 IP 주소를 할당 받는다(1330). WiFi-direct가 아닌 WiFi의 경우, AP(802.11 b/g/n)로부터 IP 주소를 할당 받는다.
모바일 단말(20)은 획득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의 장치 성능(device capability) 정보를 획득한다(1340). 모바일 단말(20)의 제어부(240)는 무선통신모듈(220)을 통해서 장치 성능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메세진 "get device capability"를, 획득된 IP 주소를 통해 전송한다. 이어서, 모바일 단말(20)은 응답 메세지로서, device capability 정보를 획득하는데, 예를 들면, Print/Scan/Fax 기능 구비 여부, Color/Mono 인쇄 가능여부, 사용되는 PCL 언어, Duplex/Simplex 인쇄 등의 정보를 획득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서, 모바일 단말(20)은 무선연결 수립을 완료한다(1345).
1325 단계에서, 태그 정보의 제3 필드 값(인증코드)를 통한 무선연결 인증에 실패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20)은 신규의 인증코드를 입력받기 위한 다이알로그를 출력한다(1350). 즉, 제어부(240)는 UI 구성부(506)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에 신규의 인증코드를 입력받기 위한 다이알로그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14a의 GUI(150a)에는 다이알로그(1501a)가 표시된다. 모바일 단말(20)은 다이알로그(1501a)를 통해서, 신규의 인증코드를 입력받는다. 사용자가 신규의 인증코드를 획득하는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하는데, 화상형성장치(10)로부터 획득하는 방법, FW 제공서버(70)으로 획득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다이알로그(1501a)를 출력하는 동작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가관리자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일반 사용자를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에서는, 인증 실패 메세지만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20)은 입력받은 신규의 인증코드의 데이터 유효성을 검증한다(1355). 인증코드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서 생성될 수 있는데, 그 규칙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인증코드의 마지막 비트는 패리티 비트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20)은 인증코드에 포함된 패리티 비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신규의 인증코드가 소정의 생성 규칙을 만족시키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PIN 관리부(522)를 통해서, 신규의 인증코드의 데이터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은 입력받은 신규의 인증코드가 데이터 유효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1350 단계로 돌아간다. 이때, 인증코드의 형식에 오류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메세지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신규의 인증코드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20)은 신규의 인증코드들 화상형성장치(10)에 전송하여 무선연결 인증을 다시 시도한다(1360). WiFi-direct 가 아닌 WiFi의 경우, AP(802.11 b/g/n)과의 인증을 시도할 것임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1365 단계에서 무선연결을 위한 인증에 다시 실패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20)은 1350 단계로 돌아간다.
1365 단계에서 무선연결을 위한 인증에 성공하면, 모바일 단말(20)은 전술한 1330 단계를 진행한다. 이 때, 모바일 단말(20)은 인증에 성공한 인증코드를 NFC 태그(30)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b의 GUI(155a)에는 다이알로그(1551a)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올바른 인증코드 값을 NFC 태그(30)에 기록할지 여부를 입력받기 위하여 다이알로그(1551a)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이알로그(1551a)에서 "Cancle"을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20)은 기록모드로 전환되지 않고 읽기모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이알로그(1551a)에서 "ok"을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20)은 읽기모드에서 기록모드로 전환한다(1370).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다이알로그(1551a) 입력 값에 따라서 기록모드로 전환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알로그(1551a)의 표시 없이, 즉각적으로 기록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다.
즉, 모바일 단말(20)의 제어부(240)는 무선통신모듈(220)을 통해서, 인증 성공 메세지를 수신하게 되면, 태그 매니저(511)을 통해서 NFC 모듈(210)의 동작 모드를 읽기모드에서 기록모드로 전환한다. 기록모드로 전환되어, NFC 태그(30)를 쓰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모바일 단말(20)은 도 14b의 GUI(160a)를 출력하여 NFC 태깅을 안내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은 제3 NFC 태깅을 통해서 NFC 태그(30)가 검출되면, 제4 필드 값(인증코드)가 기록된 NFC 태그(30)의 위치에 신규의 인증코드를 기록한다(1375). 즉, 모바일 단말(20)의 제어부(240)는 데이터 구조(80)를 참조하여, 제4 필드가 NFC 태그(30)의 어느 위치에 기록되어야 하는지를 파악하고, NFC 모듈(210)을 통해서 올바른 인증코드를 파악된 위치엔 기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20)은 제3 NFC 태깅을 통해서 검출된 NFC 태그(30)가 화상형성장치(10)의 태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의 태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모바일 단말(20)은 제3 NFC 태깅을 통해서 검출된 NFC 태그(30)가 화상형성장치(10)의 태그라고 판단되면, 신규의 인증코드를 NFC 태그(30)에 기록하고, 화상형성장치(10)의 태그가 아니라면 기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4 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NFC 태그(30)의 제4 필드 값(인증코드)를 수정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20)의 GUI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모바일 단말(20)에서 사용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를 실행한다. 이 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인쇄 작업 페이지는 GUI(140a)와 같다.
모바일 단말(20)이 NFC 태깅을 통해 NFC 태그(30)가 검출되면, 모바일 단말(20)은 화상형성장치(10)과의 무선연결을 수립하기 위하여, 태그 정보의 제4 필드 값(인증코드)를 화상형성장치(10)에 전송한다. GUI(145a)는 모바일 단말(20)이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을 시도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모바일 단말(20)이 무선연결 인증에 실패하면, 신규의 인증코드를 입력받기 위하여 도 14b의 다이알로그(1501a)를 출력한다.
모바일 단말(20)은 신규의 인증코드를 통해서, 인증에 성공하고, 무선연결 수립이 완료되면, GUI(155a)에 포함된 다이알로그(1551a)를 출력한다. 사용자가 신규의 인증코드 값을 기록하기 원한다면, 다이알로그(1551a)의 ok 버튼을 선택한다.
모바일 단말(20)은 ok 버튼이 선택되면, 기록모드로 전환하고, 사용자에게 NFC 태깅을 안내하기 위하여, GUI(160a)를 출력한다.
도 10으로 돌아가서 설명한다. 1045 단계를 통해서,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의 수립이 완료되면, 모바일 단말(20)의 제어부(240)는 NFC 모듈(210)을 읽기모드로 유지한 상태로 대기시킨다. 모바일 단말(20)과 화상형성장치(10)와의 연결이 완료되면, 도 15의 우측 초기 페이지(1510)이 출력될 수 있다. 초기 페이지(1510)에는 화상형성장치(10)의 장치 모델명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표시된다. 또한, 초기 페이지(1510)에는, 화상형성장치(10)의 상태 정보, 예컨대, 잉크 카트리지 또는 토너의 잔량에 대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은 화상형성장치(10)의 상태 정보를 무선연결을 통해서 획득함으로써, 초기페이지(1510)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의 장치 성능(device capacity)에 대응하는 인쇄, 스캔, 팩스 메뉴만이 활성화될 수 있다. 장치 성능(device capacity)는 NFC 태깅을 통해서 획득될 수도 있지만, 무선연결 수립 과정을 통해서도 획득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을 조작하여, 인쇄, 스캔, 또는 팩스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4a의 GUI(140a)는 인쇄 작업 페이지를 도시한다. 인쇄 작업 페이지에는 "갤러리","카메라" 등의 아이콘이 표시되며, "갤러리" 아이콘을 통해서 모바일 단말(20)에 저장된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갤러리"의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서, 하위 페이지로 전환될 수 있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쇄 작업 페이지는 상위 페이지와 하위 페이지를 모두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초기 페이지(1510)에서, 인쇄 메뉴가 아닌, 스캔 또는 팩스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스캔 작업 페이지 또는 팩스 작업 페이지가 표시된다.
1045 단계 이후, 모바일 단말(20)은 제2 NFC 태깅을 통해서, NFC 태그(30)를 검출한다. 이 경우, NFC 모듈(210)은 읽기모드로 동작하고 있으므로, NFC 태그(30)로부터 태그 정보가 다시 독출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은 마지막으로 검출된 NFC 태그(30)가 화상형성장치(10)의 태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1020). 만약, 제1 NFC 태깅시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가 이미 실행중이고,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이 이미 수립되었다면, 모바일 단말(20)은 제1 NFC 태깅에 의해 검출된 NFC 태그(30)가 화상형성장치(10)의 태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달리, 1050 단계의 제2 NFC 태깅이 있는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20)은 제2 NFC 태깅에 의해 검출된 NFC 태그(30)가 화상형성장치(10)의 태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바일 단말(20)은 화상형성장치(10)의 태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NFC 태그(30)에서 획득된 태그 정보를 이용한다. 예컨대, 제1 NFC 태깅과 제2 NFC 태깅이 모두 있었다면, 제1 NFC 태깅으로 획득된 태그 정보와 제2 NFC 태깅으로 획득된 태그 정보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태그정보의 일부만을 비교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20)은 마지막으로 검출된 태그의 태그 정보를 무선연결된 화상형성장치(10)의 정보와 비교하여, 화상형성장치(10)의 태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에는, 화상형성장치(10)의 MAC 주소, IP 주소, 모델명, 무선연결 방식 등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가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 수립 과정에서 이미 수집되어 있거나, 또는 무선연결을 통해서 화상형성장치(10)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20)은 무선연결된 화상형성장치(10)의 디바이스 정보와 태그 정보의 제3 필드 값(장치 식별자), 제4 필드 값(인증 코드), 제5 필드 값(장치 모델명), 제6 필드 값(장치 성능), 제 7 필드 값(무선연결 타입)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의 태그가 맞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20)은 제2 NFC 태깅시에 NFC API를 호출한 객체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멀티 태스킹을 통해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이 아닌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이면, 제2 NFC 태깅시에 NFC API를 호출한 객체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이 맞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102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0)의 태그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20)은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1055). 즉, 제2 NFC 태깅을 통해 검출된 NFC 태그(30)가 다른 화상형성장치(미도시)의 태그라면,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을 종료하고, 다른 화상형성장치와의 무선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20)은, 무선연결 대상이 변경됨을 알리기 위한 메세지를 표시할 수 있다.
102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0)의 태그가 맞다고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20)은 화상형성장치(10)에서 수행될 작업의 데이터를 생성한다(1025). 수행될 작업(Job)은, 마지막 NFC 태깅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상태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선, 마지막 NFC 태깅이, 제2 NFC 태깅임을 가정하고 설명하기로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상태란, 초기 페이지,인쇄 작업 페이지, 스캔 작업 페이지 또는 팩스 작업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 즉 GUI의 상태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은, 제2 제2 NFC 태깅시 모바일 단말(20)에 표시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페이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페이지에 맵핑된 이벤트를 실행한다. 맵핑된 이벤트는 실시예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으며, 도 12는 예시적으로 각 페이지에 맵핑된 이벤트들을 열거하고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상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술된 내용들은 본 실시예를 이해하기 위하여 참조될 수 있다. 도 16에서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이 실행되고,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이 수립되었음을 가정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20)은 제2 NFC 태깅을 통해서, NFC 태그를 검출한다(1605).
모바일 단말(20)은 제2 NFC 태깅시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페이지가 초기 페이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1610). 만약,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페이지가 초기 페이지인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10)에 상태정보를 요청한다(1615). 상태정보란, 도 15에서 우측 초기페이지(1510)에 표시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만약,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초기페이지에 이미 상태정보가 표시되어 있었다면, 제2 NFC 태깅의 의미는 상태정보의 갱신으로 이해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은 무선연결을 통해서 화상형성장치(10)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모바일 단말(20)에 디스플레이한다(1620).
제2 NFC 태깅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페이지가 초기 페이지가 아니라면, 모바일 단말(20)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페이지가 인쇄 작업 페이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1625). 만약,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페이지가 인쇄 작업 페이지인 경우, 모바일 단말(20)은 인쇄 작업 페이지에서 선택된 컨텐트를 렌더링하여, 인쇄 작업 데이터를 생성한다(1630). 모바일 단말은 렌더링된 컨텐트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0)에 전송한다(1635).
제2 NFC 태깅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페이지가 인쇄 작업 페이지가 아니라면, 모바일 단말(20)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페이지가 스캔 작업 페이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1640). 만약,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페이지가 스캔 작업 페이지인 경우, 모바일 단말(20)은 스캔 작업 페이지에서 설정된 세부 설정, 예컨대 스캔 사이즈, 해상도 등에 따른 스캔 명령을 생성하고, 스캔 명령을 포함하는 스캔 작업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0)에 전송한다(1645). 화상형성장치(10)는 스캔 작업 데이터에 따라서, 문서를 스캔하고, 모바일 단말(20)에 무선연결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화상형성장치(10)는 스캔 해상도를 낮추고 신속히 스캔을 수행하여 preview 스캔 이미지를 모바일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1655). 모바일 단말(20)의 사용자는 preview 스캔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은 NFC 태깅을 통해 NFC 태그(30)가 다시 검출되면(1660), 화상형성장치(10)에 full 스캔 이미지를 요청한다. 화상형성장치(10)는 full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한다(1665).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1655 단계와 166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제2 NFC 태깅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페이지가 스캔 작업 페이지가 아니라면, 모바일 단말(20)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페이지가 펙스 작업 페이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1670).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페이지가 팩스 작업 페이지인 경우, 모바일 단말(20)은 팩스 작업 페이지내에서 모바일 단말(20)의 컨텐트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1675). 만일, 팩스 작업 페이지내에서 모바일 단말(20)의 컨텐트가 선택되었다면, 선택된 컨텐트 및 팩스 세부 설정(목적지 주소, 전송 속도 등)을 포함하는 팩스 작업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0)에 전송한다(1680). 팩스 작업 페이지내에서 모바일 단말(20)의 컨텐트가 선택되지 않았다면, 화상형성장치(10)의 로컬문서의 팩스 전송 명령을 포함하는 팩스 작업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0)에 전송한다(1685). 로컬문서는, 스캔을 통해서 생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로컬문서는, 화상형성장치(10)의 저장부에 저장된 문서일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는 팩스 전송 결과를 모바일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1675 단계 및 1685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1675 단계 및 1680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도 16의 설명에서 모바일 단말(20)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각 페이지에 맵핑된 이벤트를 즉각 실행하는 경우, 1610,1625,1640 및 1670 단계의 판단 과정이 생략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0으로 돌아가서, 모바일 단말(20)은 생성된 작업의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0)에 전송한다(1030). 화상형성장치(10)는 작업의 데이터에 따라서, 스캔, 팩스, 인쇄 등의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화상형성장치(10)의 기능이 스캔 팩스 또는 인쇄인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다른 기능들이 더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제1 NFC 태깅 이전에, 모바일 단말(20)에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를 이미 실행 중이고, 또한 화상형성장치(10)과의 무선연결이 미리 수립되어 있는 경우, 모바일 단말(20)의 동작은 1000 단계, 1020 단계, 1025 단계 및 1030 단계로 축약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모바일 단말(20)은 제1 NFC 태깅을 통해, NFC 태그(30)에 기록된 태그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NFC 태그(30)가 모바일 단말(20)과 연결된 화상형성장치(10)의 태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NFC 태그(30)가 상기 화상형성장치(10)의 태그라고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20)에 디스플레이된 페이지에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에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전술한 모바일 단말(20)의 동작을 살펴보면, 모바일 단말(20)은 화상형성장치(10)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NFC 태그(30)와의 NFC 태깅을 검출하고, 모바일 단말(20)의 NFC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한 객체의 작업 환경에 따라서, NFC 태깅에 의해 실행될 이벤트를 결정하고, 독출된 화상형성장치(1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이벤트를 실행한다. 여기서, 객체란, 모바일 OS(2501)의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504)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를 의미하고, 객체의 작업 환경은, 모바일 단말(20)과 화상형성장치(10) 간의 무선연결 수립 여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설치 또는 실행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NFC 태그(30)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30)에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가 포함된 제1 필드, 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가 포함된 제2 필드, 장치 식별자가 포함된 제3 필드, 무선연결 인증코드가 포함된 제4 필드 및 장치 모델 명이 포함된 제5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가 데이터 구조(80)에 따라서 기록되어 있고, NFC 태그(30)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20)의 NFC 태깅에 따라서 태그 정보를 모바일 단말(20)에 제공하고, 태그 정보 중 제1 필드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는, 모바일 단말(20)에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이 실행(launch)되도록 한다. 태그 정보 중 제 2 필드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이 설치되도록 하는 필드이고, 태그 정보 중 제3 필드와 제4 필드는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을 자동화하는 필드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30)의 기록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된 설명들이 본 실시예를 이해하기 위하여 참조 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20)은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 수립 절차에서 수집된 정보로부터, NFC 태그(30)의 데이터 구조(80)에 대응되는 소정의 필드 값을 추출한다(1705). 모바일 단말(20)과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 수립 과정은, 사용자의 수동적인 조작에 따라서도 형성될 수 있으며, WiFi-direct 뿐 아니라, AP(802.11 b/g/n)을 통한 연결을 포함한다. 무선연결 수립과정에서 수집되는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의 IP 주소, MAC 주소, 장치 성능(device capacity), 무선연결 타입의 정보, 장치 모델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WPS 인증이 사용자의 PIN 입력을 통해서 수행되었다면, PIN 정보도 무선연결 수립과정에서 수집될 수 있다.
하지만, 도 14e의 GUI(17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WPS 인증이 화상형성장치(10)에 구비된 WPS 버튼을 통해서 수행되었다면, 모바일 단말(20)은 화상형성장치(10)의 PIN 정보는 수집하지 못할 수 있다. PIN 정보가 수집되지 못한 경우, 무선연결 수립 이후에 화상형성장치(10)에 PIN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지만, 보안상 PIN 정보는 무선연결을 통해서 수집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20)이 수집한 정보는 전술한 정보들 이외에도, WiFi 또는 WiFi-direct 프로토콜에 따라서 교환되는 정보들이 더 포함된다.
모바일 단말(20)은 수집된 정보들 중에서 NFC 태그(30)에 기록될 의미 있는 정보만을 추출하여야 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20)은 데이터 구조(80)를 참조하여, NFC 태그(30)에 기록될 태그 정보의 필드 값을 추출한다.
모바일 단말(20)은 데이터 구조(80)에 따라서 추출된 소정의 필드 값을 배열하여, 소정의 필드 값을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생성한다(1710). 추출된 필드 값들은 NFC 태그(30)의 데이터 구조(80)에 따라서 기록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추출된 필드 값들의 순서가 뒤섞여 NFC 태그(30)에 기록되지 않도록, 추출된 필드 값들을 데이터 구조(80)에 따라서 정렬한다.
한편, 무선연결 수립 절차에서 수집된 정보만으로는 태그 정보의 모든 필드 값들을 획득하지 못할 수도 있다. 예컨대, 태그 정보에 제1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식별자) 또는 제2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가 포함되는 실시예에서, 제1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식별자)과 제2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은 화상형성장치(10)가 별도로 전송하도록 설계되지 않는다면, 무선연결 수립 절차에서 획득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화상형성장치(10)는 모바일 단말(20)과의 무선연결 수립 절차에서, 제1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식별자)과 제2 필드 값(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를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하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모바일 단말(20)가 무선연결 수립 절차에서 수집되지 않는 정보를 더 획득하여 태그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후술하는 설명을 참조한다.
모바일 단말(20)은 NFC 태깅을 통해, 생성된 태그 정보를 NFC 태그(30)에 기록한다(1715). 즉, 모바일 단말(20)의 NFC 모듈(210)은 기록모드로 동작하여, NFC 태그(30)에 태그 정보를 기록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30)의 기록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된 내용들은 본 실시예를 이해하기 위하여 참조 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20)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을 실행한다(1805). 여기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는 일반 사용자가 모드 아닌 관리자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관리자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사용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에 관리자 인증키를 입력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일반 사용자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관리자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일반 사용자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면서, NFC 태그(30)의 기록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NFC 태그(30)의 기록 기능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에는, 도 14c의 GUI(14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C 태그(30)의 기록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록 버튼(1401b)가 제공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서, 기록 버튼(1401b)를 선택받는다(1810). 모바일 단말(20)은 NFC 모듈(210)을 읽기모드에서 기록모드로 전환한다.
모바일 단말(20)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과 연동하여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후보 장치들을 탐색한다(1815). 모바일 단말(20)은 탐색된 후보 장치들을 도 14c의 GUI(145b)와 같이 디스플레이한다. 모바일 단말(20)은 후보 장치들의 탐색을 통해서, 후보 장치들과 연결된 AP(802.11 b/g/n) 또는 후보 장치들의 무선연결 시그널링에 따라서 후보 장치들의 IP 주소, 장치 모델명 및 MAC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는 후보 장치들 탐색 과정에서 수집된 정보 중 장치 모델명 또는 장치 성능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과 연동 가능한 후보 장치들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WiFi/WiFi-direct 장치들이 모바일 단말(20)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단말(20)은 탐색된 후보 장치들 중에서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을 수립한다(1820). 도 14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20)에 디스플레이된 후보 장치들에서 WiFi 연결 버튼(1451b) 또는 WiFi-direct 연결 버튼(1452b)를 선택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후보 장치(화상형성장치(10))를 선택할 수 있다. 무선연결의 수립 과정에서, 모바일 단말(20)은 화상형성장치(10)와 연결된 AP(802.11 b/g/n) 또는 화상형성장치(10)의 무선연결 시그널링에 대하여 장치 성능 요청(get device capability)을 포함하는 응답 시그널링을 수행한다. 이어서, 모바일 단말(20)은 화상형성장치(1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의 장치 성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무선연결을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앞서 설명된바 있다.
모바일 단말(20)은 화상형성장치(10)와의 무선연결 수립 절차에서 수집된 정보로부터 NFC 태그의 데이터 구조(80)에 대응하는 소정의 필드 값을 추출한다(1825). 모바일 단말(20)은 태그 정보의 제3 필드에 포함되는 장치 식별자, 제5 필드에 포함되는 장치 모델명, 제6 필드에 포함되는 장치 성능(device capacity) 및 제7 필드에 포함되는 무선 연결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를 통해 추출된 소정의 필드 값과는 다른 필드 값을 획득한다(1830). 여기서, 다른 필드 값이란, 태그 정보의 제1 필드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및 제2 필드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20)은 현재 실행 중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의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와 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를 추출한다.
태그 정보의 제4 필드에 포함되는 인증코드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20)에 직접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20)은, 인증코드를 입력받기 위한 다이알로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만약, 인증코드가 입력되었다면, 모바일 단말(20)은 입력된 인증코드의 데이터 유효성을 검사 후 인증코드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인증코드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0)의 설정값을 확인할 수 있는 print report 기능을 활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에 설정된 PIN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20)이 FW 제공 서버(7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의 인증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20)은 FW 업데이트를 수행시 FW 업데이트 데이터에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모바일 단말(20)은 인증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코드를 제외하고 NFC 태그(30)의 기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증코드를 제외한 NFC 태그(30)의 기록이 1차로 수행되고 나서,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서, 2차로 NFC 태그(30)의 인증코드가 기록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20)은 데이터 구조(80)에 따라서 소정의 필드 값과 다른 필드 값을 배열하여 태그 정보를 생성한다(1835). 예를 들면, 태그 정보의 제1 필드에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제2 필드에는 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 제3 필드에는 장치 식별자, 제5 필드에는 장치 모델명, 제6 필드에는 장치 성능, 제7 필드에는 무선 연결 타입에 대한 정보를 배열함으로써 태그 정보를 생성한다. 다만, 모바일 단말(20)이 알 수 없는 필드 값이 존재한다면, 해당 필드는 랜덤 값 또는 null 값으로 처리할 수 있다.
태그 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20)은 도 14d의 GUI(155b)와 같이 NFC 태깅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은 NFC 태깅을 통해서, 태그 정보를 NFC 태그(30)에 기록한다(1840). 이 때, 모바일 단말(20)의 NFC 모듈(210)은 기록모드로 동작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모바일 단말(20)은 태그 정보 중 제4 필드 값(인증코드)을 알 수 없는 경우, 기록을 건너 띄거나, 랜덤 값을 기록하거나 또는 null 값을 기록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은 NFC 태그(30)의 기록이 완료되면 기록모드에서 읽기모드로 전환한다(1845). 도 14d의 GUI(16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20)은 기록을 완료하였음을 알리고, "ok" 버튼이 선택되면 읽기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은 태그 정보 중 제4 필드 값(인증코드)을 알 수 없어, 기록을 건너 띄거나, 랜덤 값을 기록하거나 또는 null 값을 기록한 경우, 도 13의 과정을 수행하여 제4 필드 값(인증코드)를 기록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가 WPS 버튼을 통한 인증만을 지원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0)가 PIN 인증을 지원하도록 화상형성장치(10)의 FW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화상형성장치(10)가 PIN 인증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NFC 태그(30)을 이용하더라도 모바일 단말(20)과 화상형성장치(10)간의 무선연결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화상형성장치(10)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화살표는 실시예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실행되거나 생략될 수 있는 스텝에 해당한다. 예컨대, 화상형성장치(10)는 FW 제공서버(70)과 직접 FW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상형성장치(10)의 FW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단말(20)의 제어하에, 화상형성장치(10)의 FW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먼저, 모바일 단말(20)과 화상형성장치(10)는 화상형성장치의 FW에 대한 정보를 교환한다(1901). 1901 단계의 아래에 도시된 점선은, 모바일 단말(20)이 개입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한다.
모바일 단말(20)은 화상형성장치(10)의 FW의 업데이트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1905). 즉, 모바일 단말(20)은 화상형성장치(10)의 FW 버전을 확인하고, 화상형성장치(10)의 FW가 PIN 인증을 지원하는 버전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화상형성장치(10)가 PIN 인증을 지원하지 않는 버전이면, 모바일 단말(20)은 FW 제공서버(70)에 FW 업데이트 데이터를 요청한다(1910). 모바일 단말(20)은 FW 업데이트 데이터를 요청시, 화상형성장치(10)의 MAC 주소, 장치 모델 명에 대한 정보를 FW 제공서버(70)에 전송할 수 있다.
FW 제공서버(70)는 FW 업데이트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하고(1925), 모바일 단말(20)은 수신한 FW 업데이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의 FW를 업데이트 한다(1935). 1925 단계의 아래에 도시된 점선은, 모바일 단말(20)이 개입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한다.
화상형성장치(10)의 FW가 업데이트 되면, 화상형성장치(10)는 무선연결의 인증에 사용될 PIN 값을 설정받는다(1940). 화상형성장치(10)의 PIN 값을 설정하는 방법으로는, 화상형성장치(10)에 내장된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화상형성장치(10)에 내장되 웹 서버가제공하는 시스템 설정 웹페이지에 접속한다. 사용자는 시스템 설정 웹페이지에서 PIN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단말(20)을 통해서 시스템 설정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PIN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FW 업데이트 데이터에 PIN 값이 이미 포함되어 있고, FW 업데이트시 PIN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FW 업데이트 데이터에 PIN 값이 포함된 실시예에 따르면, FW 제공서버(70)는 화상형성장치(10)의 MAC 주소 또는 장치 모델명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PIN 값을 생성한다. 생성된 PIN 값은 FW 제공서버(70)에 저장될 수 있다.
FW 업데이트 데이터에 PIN 값이 포함된 경우, 모바일 단말(20)은 FW 업데이트 데이터에서 PIN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PIN 은 전술한 NFC 태그(30)의 기록에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를 이해하기 위하여 참조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형성장치(10)는, MFP 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단일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린터, 스캐너, 팩시밀리, 복사기도 화상형성장치(10)가 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는 기능모듈(110), 웹브라우져(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무선통신모듈(1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 ethernet controller(170) 및 NFC 모듈(180)을 포함한다. 점선으로 도시된 구성들은 실시예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기능모듈(110)은 인쇄모듈(1101), 팩스 모듈(1102), 스캔 모듈(1103), 복사 모듈(1104)을 포함하며, 각각은 인쇄 기능, 팩스 송수신, 문서 스캔과 복사를 수행한다.
이더넷 컨트롤러(170)는 IEEE 802.3에 따라 유선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무선통신모듈(150)은 모바일 단말(20)과 AP를 경유한 WiFi 또는 WiFi-direct 무선연결을 수립한다. 무선통신모듈(150)은 모바일 단말(20)의 무선통신모듈(220)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웹브라우져(120)는 무선통신모듈(150) 또는 이더넷 컨트롤러(170)를 통해서 웹페이지에 접속한다. 웹브라우져(120)는 시스템 설정을 위하여 FW 관리부(1303)가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설정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웹브라우져(120)를 통해서 전술한 PIN 값을 설정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인쇄 데이터, 팩스 문서, 스캔 문서, 이메일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140)에는 화상형성장치(10)의 파일 서버 기능에 따라서 생성된 폴더(이하, 문서 박스)가 존재할 수 있다. 문서 박스는 사용자별로 생성된 개인화 박스와 모든 사용자들의 사용이 허락된 공용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문서 박스에 저장될 수 있는 파일에는 전술한 팩스 문서, 스캔 문서, 이메일과 함께 프린트 잡(print job), PDL 언어의 인쇄 데이터, 랜더링된 인쇄 데이터, 이미지 파일, 워드 문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저장부(140)는 화상형성장치(10)의 FW를 저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0)의 정보를 확인하고 화상형성장치(10)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하드웨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모바일 단말(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NFC 모듈(180)은 모바일 단말(20)의 NFC 모듈(210)과 같이, NFC 칩셋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형성장치(10)와 모바일 단말(20)이 P2P 모드로 동작하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른 실시예에서, NFC 모듈(180)은 NFC 태그(30)의 장착을 위한 슬롯을 포함하며, NFC 태그(30)가 능동형 태그로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화상형성장치(10)가 NFC 태그(30)를 스스로 읽고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NFC 모듈(180)은 실시예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저장부(140)에는 제어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고 필요할 때에 읽힌다. 제어부(130)는 잡 컨트롤러(1301), PIN 관리부(1302) 및 FW 관리부(1303)를 포함한다.
잡 컨트롤러(1301)는 모바일 단말(20)로부터 수신된 작업의 데이터에 따라서 인쇄, 스캔 또는 팩스 작업을 등록하고 수행한다.
FW 관리부(1303)는 화상형성장치(10)의 저장부(140)에 저장된 FW를 관리한다. FW 관리부(1303)는 모바일 단말(20)을 통해서 FW를 업데이트 하거나 또는 FW 제공서버(70)에 직접 접속하여 FW를 업데이트 한다. FW 관리부(1303)는 웹 서버 기능을 포함하여, 시스템 설정을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PIN 관리부(1302)는 화상형성장치(10)에 설정된 PIN을 관리한다. PIN 관리부(1302)는 FW를 업데이트 함에 따라서 추가될 수 있다. PIN 관리부(1302)는 모바일 단말(20)과 무선연결 수립시, WPS 인증을 수행한다. WPS 인증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앞서 설명한 내용들을 참조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W 제공서버(7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FW 제공서버(70)는 FW 관리부(710), PIN 생성부(720), 제어부(7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50) 및 저장부(760)를 포함한다.
FW 관리부(710)는 모바일 단말(20) 또는 화상형성장치(10)의 요청에 따라서, 저장부(760)에 저장된 FW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한다. FW 관리부(710)는 화상형성장치(10)의 장치 모델명 또는 MAC 주소를 참조하여, 화상형성장치(10)에 적합한 FW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40)는 모바일 단말(20) 또는 화상형성장치(10)와 유/무선의 연결을 수립하고, FW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50)는 HID(human interface device) 또는 모니터와 연결될 수 있는 I/O 포트를 제공한다.
PIN 생성부(720)는 FW 업데이트를 요청받으면, 화상형성장치(10)에 설정될 PIN 값을 생성한다. PIN 생성부(720)는 화상형성장치(10)의 MAC 주소, 장치 모델명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PIN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PIN 값은 저장부(760)에 저장될 수 있다. PIN 생성부(720)는 생략될 수 있다.
제어부(730)는 FW 제공서버(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저장부(760)에는 제어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고 필요할 때에 읽힌다.
도 14c 내지 도 14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30)기록방법에서 모바일 단말(20)의 GUI를 설명한다.
먼저, 도 14c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20)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가 실행중이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502)에는 인쇄 작업 페이지가 선택된 상태이다. GUI(140b)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NFC 태그(30)의 기록을 위한 기록버튼(1401b)가 포함된다.
기록버튼(1401b)가 선택되면, 모바일 단말(20)은 후보장치들을 탐색하고, 탐색한 후보 장치들을 GUI(145b)에 표시한다. GUI(145b)에는 WiFi 장치와 "CLX-4190 Series" 와 WiFi-direct 장치 "Direct90dMCLX-4190 Series"가 후보장치로 표시된다. GUI(145b)에는 각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들(1451b, 1452b)이 포함된다.
사용자가 버튼(1451b)를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20) WiFi를 통해서 "CLX-4190 Series"의 디바이스 성능을 획득하고, 도 14d의 GUI(150b)를 출력한다.
이어서, 태그 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모바일 단말(20)은 도 14d의 GUI(155b)를 통해서, NFC 태깅을 안내한다. NFC 태그(30)에 기록이 완료되면, 모바일 단말(20)은 GUI(160b)를 출력한다.
만약, 도 14c에서 버튼(1452b)가 선택되면, 모바일 단말(20)은, 도 14e의 GUI(165b)를 출력하고, WiFi-direct 를 통해서 "Direct90dMCLX-4190 Series"에 무선연결을 시도한다. 이어서, "Direct90dMCLX-4190 Series"와 WPS 인증이 필요하므로, 모바일 단말(20)은 "Direct90dMCLX-4190 Series"의 WPS 버튼의 누름을 안내하기 위해, GUI(170b)를 출력한다. WPS 버튼이 눌러지면, 모바일 단말(20)은 GUI(175b)를 출력하고, 무선연결을 수립한다. 이후에는, 앞서 설명한 WiFi 연결의 GUI와 유사하게, "Direct90dMCLX-4190 Series"의 디바이스 성능을 획득하고, 도 14d의 GUI(150b)를 출력한다. 이어서, 태그 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모바일 단말(20)은 도 14d의 GUI(155b)를 통해서, NFC 태깅을 안내한다. NFC 태그(30)에 기록이 완료되면, 모바일 단말(20)은 GUI(160b)를 출력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3)

  1.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제1 NFC 태깅을 통해 획득된 NFC 태그의 태그 정보 중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launch)하는 단계;
    제2 NFC 태깅을 통해 상기 NFC 태그가 다시 검출되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될 작업(Job)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될 작업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NFC 태깅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페이지에 맵핑된 이벤트를 실행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가 포함된 제1 필드, 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가 포함된 제2 필드, 장치 식별자가 포함된 제3 필드, 무선연결 인증코드가 포함된 제4 필드 및 장치 모델 명이 포함된 제5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태그 정보 중 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 페이지로부터 획득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에 포함된 장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AP(Access Point) 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무선연결 시그널링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무선연결 시그널링에 대한 응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무선연결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에 포함된 인증코드를 전송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무선연결 수립에 요구되는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실패 메세지가 수신되면, 신규의 인증코드를 입력받기 위한 다이알로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이알로그에 입력된 상기 신규의 인증코드를 전송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무선연결을 수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의 인증코드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성공 메세지가 수신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읽기모드에서 기록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제3 NFC 태깅을 통해 상기 NFC 태그가 다시 검출되면, 상기 인증코드가 기록된 상기 NFC 태그의 위치에 상기 신규의 인증코드를 암호화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의 인증코드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신규의 인증코드의 데이터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펌웨어에 기록된 PIN 값을 상기 인증코드와 비교하여 WPS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WPS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모바일 단말과의 무선연결을 위한 IP 주소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NFC 태깅을 통해 검출된 NFC 태그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태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태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NFC 태깅을 통해 획득된 태그 정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무선연결을 통해 획득된 디바이스 정보와 비교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태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NFC 태깅과 상기 제2 NFC 태깅을 통해 각각 획득된 태그 정보를 서로 비교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NFC 태깅을 통해 검출된 NFC 태그가 다른 화상형성장치의 태그라고 판단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무선연결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NFC 태깅을 통해 획득된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화상형성장치와의 무선연결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는 초기 페이지, 인쇄 작업 페이지, 스캔 작업 페이지 및 팩스 작업 페이지 중 어느 하나인,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태그 정보 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무선연결을 통해 획득된 디바이스 정보에 따라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방법.
  17. 근거리 무선 통신(NFC)의 읽기모드에서 제1 NFC 태깅을 통해 NFC 태그에 기록된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NFC 모듈;
    상기 제1 NFC 태깅을 통해 획득된 태그 정보 중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NFC 모듈이 제2 NFC 태깅을 통해 상기 NFC 태그를 다시 검출하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될 작업(Job)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NFC 태깅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페이지에 맵핑된 이벤트를 실행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될 작업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바일 단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가 포함된 제1 필드, 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가 포함된 제2 필드, 장치 식별자가 포함된 제3 필드, 무선연결 인증코드가 포함된 제4 필드, 장치 모델 명이 포함된 제5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저장부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모바일 단말.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저장부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태그 정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설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모듈 또는 상기 모바일단말의 이동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 또는 상기 모바일단말의 이동통신모듈이 상기 다운로드 페이지로부터 획득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태그 정보에 포함된 장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AP(Access Point) 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무선연결 시그널링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무선연결 시그널링에 대한 응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무선연결을 수립하는 모바일 단말.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태그 정보에 포함된 인증코드를 전송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무선연결 수립에 요구되는 인증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상기 인증코드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실패 메세지를 수신하면, 신규의 인증코드를 입력받기 위한 다이알로그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다이알로그에 입력된 상기 신규의 인증코드를 전송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무선연결을 수립하는 모바일 단말.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NFC 모듈은,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상기 신규의 인증코드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성공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읽기모드에서 기록모드로 전환하고, 제3 FC 태깅을 통해 상기 NFC 태그가 다시 검출되면 상기 인증코드가 기록된 상기 NFC 태그의 위치에 상기 신규의 인증코드를 기록하는 모바일 단말.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규의 인증코드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신규의 인증코드의 데이터 유효성을 판단하는 모바일 단말.
  2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NFC 태깅을 통해 검출된 NFC 태그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태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바일 단말.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NFC 태깅을 통해 획득된 태그 정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무선연결을 통해 획득된 디바이스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2 NFC 태깅을 통해 검출된 NFC 태그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태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바일 단말.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NFC 태깅과 상기 제2 NFC 태깅을 통해 각각 획득된 태그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제2 NFC 태깅을 통해 검출된 NFC 태그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태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바일 단말.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제2 NFC 태깅을 통해 검출된 NFC 태그가 다른 화상형성장치의 태그라고 판단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무선연결을 종료하고, 상기 제2 NFC 태깅을 통해 획득된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화상형성장치와의 무선연결을 수립하는 모바일 단말.
  30. 제 17 항에 있어서,
    초기 페이지, 인쇄 작업 페이지, 스캔 작업 페이지 및 팩스 작업 페이지 중 어느 하나인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3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 정보 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무선연결을 통해 획득된 디바이스 정보에 따라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모바일 단말.
  32. 모바일 단말, 화상형성장치 및 NFC 태그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NFC 태그에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가 포함된 제1 필드, 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가 포함된 제2 필드, 장치 식별자가 포함된 제3 필드, 무선연결 인증코드가 포함된 제4 필드, 장치 모델 명이 포함된 제5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가 기록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제1 NFC 태깅을 통해 획득된 상기 태그 정보 중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2 NFC 태깅을 통해 상기 NFC 태그가 다시 검출되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될 작업(Job)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수신된 작업의 데이터에 따라서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
  33. 제 1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30063702A 2013-06-03 2013-06-03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는 화상형성방법 및 장치 KR102077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702A KR102077824B1 (ko) 2013-06-03 2013-06-03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는 화상형성방법 및 장치
US14/291,733 US9977629B2 (en) 2013-06-03 2014-05-30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PCT/KR2014/004962 WO2014196804A1 (en) 2013-06-03 2014-06-03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EP18188583.1A EP3419255B1 (en) 2013-06-03 2014-06-03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N201710591332.5A CN107329716B (zh) 2013-06-03 2014-06-03 使用近场通信的方法和图像形成装置
CN201410242333.5A CN104219414B (zh) 2013-06-03 2014-06-03 使用近场通信的方法和图像形成装置
CN201810573109.2A CN108494989B (zh) 2013-06-03 2014-06-03 使用近场通信的方法和图像形成装置
EP14170858.6A EP2811720B1 (en) 2013-06-03 2014-06-03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15/978,050 US10289351B2 (en) 2013-06-03 2018-05-11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702A KR102077824B1 (ko) 2013-06-03 2013-06-03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는 화상형성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095A KR20140142095A (ko) 2014-12-11
KR102077824B1 true KR102077824B1 (ko) 2020-02-14

Family

ID=5106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702A KR102077824B1 (ko) 2013-06-03 2013-06-03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는 화상형성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977629B2 (ko)
EP (2) EP2811720B1 (ko)
KR (1) KR102077824B1 (ko)
CN (3) CN104219414B (ko)
WO (1) WO2014196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405A (ko) * 2014-01-09 2015-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KR20150114765A (ko) 2014-04-02 2015-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nfc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
EP2605607B1 (en) 2011-12-12 2018-11-07 HP Printing Korea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peer-to-peer connection and method of managing channel thereof
US9270344B2 (en) * 2013-02-01 2016-02-23 Creating Revolutions, LLC Combination process interaction
JP6271876B2 (ja) * 2013-06-19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088018B1 (ko) 2013-09-03 202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간 연동 방법 및 장치
CN104598174A (zh) * 2013-10-30 2015-05-06 诚研科技股份有限公司 打印装置及其操作方法
JP6204882B2 (ja) * 2014-07-16 2017-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0110767B2 (en) 2014-12-22 2018-10-23 S-Printing Solution Co., Ltd. Method of generating workform by using BYOD service and mobile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60076371A (ko) 2014-12-22 201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WO2016105044A1 (en) 2014-12-22 2016-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establishing connection between mobil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bile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CN106034361A (zh) 2015-03-19 2016-10-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据传输系统及通信方法
JP6487737B2 (ja) * 2015-03-19 2019-03-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07863B2 (ja) 2015-06-03 2019-05-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10390246A1 (en) * 2015-07-11 2021-12-16 Thinxtream Technologies Ptd.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ual service delivery via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JP6532333B2 (ja) * 2015-07-21 2019-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70356B2 (ja) * 2015-07-21 2019-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70355B2 (ja) 2015-07-21 2019-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925431B (zh) * 2015-09-04 2021-01-05 索尼公司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7061175A1 (ja) * 2015-10-05 2017-04-13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の制御方法
JP6630255B2 (ja) * 2016-09-30 2020-01-15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6834459B2 (ja) * 2016-12-21 2021-02-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6872528A (zh) * 2017-01-22 2017-06-20 南京大学 基于nfc标签的无源无线气体传感器及其制备方法
JP6800808B2 (ja) * 2017-05-23 2020-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027084B2 (ja) 2017-09-14 2022-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114911B2 (ja) * 2018-01-25 2022-08-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21846A (ko) 2018-08-21 2020-03-02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전자 장치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이용에 따른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
CN109861880B (zh) * 2019-01-23 2021-03-12 四川虹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通讯模块的生产检测方法及装置
US10728403B1 (en) * 2019-02-06 2020-07-2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7322432B2 (ja) * 2019-03-06 2023-08-0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0201802A (ja) * 2019-06-12 2020-12-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及び情報処理装置
CN111242006B (zh) * 2020-01-10 2021-04-09 长江水利委员会长江科学院 一种将基于Mask R-CNN的遥感影像地物检测实现为地理WPS服务的方法
US11849085B2 (en) * 2020-12-10 2023-12-19 Xerox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scanned documents from multi-function devices to personal devices
CN114330396B (zh) * 2021-12-31 2023-10-13 福建新大陆支付技术有限公司 基于Android平台的外接密码键盘与身份证信息交互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5578A (ja) * 2007-07-31 2009-03-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印刷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241114A (ja) * 2009-03-18 2010-10-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3082A1 (en) * 2001-12-27 2003-07-03 Hall David M.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rint software from a printing device to a computing device
JP2006001063A (ja) 2004-06-16 2006-01-05 Fuji Photo Film Co Ltd ダイレクト・プリント・システム
US20090103124A1 (en) * 2005-08-31 2009-04-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70095505A (ko) 2005-10-15 2007-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시스템, 호스트디바이스,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이용한 화상형성방법
KR101179677B1 (ko) 2005-12-02 2012-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방법
JP4423275B2 (ja) 2006-07-14 2010-03-0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周辺装置及び権限制御システム
KR20070054172A (ko) 2007-05-11 2007-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시스템, 호스트디바이스,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이용한 화상형성방법
EP2026615B1 (en) 2007-07-30 2014-10-29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product
US8274669B2 (en) 2007-07-31 2012-09-25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8068607B2 (en) 2007-07-31 2011-11-29 Ricoh Company, Limite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8218568B2 (en) * 2008-07-11 2012-07-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of RF module activities
EP2302560B1 (en) 2009-09-24 2016-06-22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associated nfc tag using plurality of nfc tags associated with location or devices to communicate with communications device
JP5521577B2 (ja) * 2010-01-27 2014-06-18 株式会社リコー 周辺機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処理方法、及び通信処理制御プログラム
US8886124B2 (en) * 2010-07-12 2014-11-1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5240264B2 (ja) * 2010-09-17 2013-07-1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情報処理装置、画像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754128B2 (ja) * 2010-12-20 2015-07-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07286B1 (ko) 2011-02-11 2017-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KR20120097008A (ko) * 2011-02-24 2012-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 획득 방법 및 장치
US20120264372A1 (en) * 2011-04-14 2012-10-18 I O Interconnect, Lt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rinting job and printer
US9189903B2 (en) * 2011-05-25 2015-11-17 Sony Corporation Extended user assistance
WO2012177697A2 (en) 2011-06-20 2012-12-27 ITN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event management
KR101860027B1 (ko) * 2011-07-13 2018-07-06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모바일 장치, 화상형성장치, 통지 서버 및 그 제어방법
US20130038896A1 (en) 2011-08-08 2013-02-14 Xerox Corporation Direct printing from mobile devices us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KR101372667B1 (ko) * 2011-08-24 2014-03-11 주식회사 팬택 응용 프로그램 자동 실행 시스템 및 방법
US20130094047A1 (en) * 2011-10-14 2013-04-18 Global Graphics Software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inting documents using a mobile device
JP6006508B2 (ja) * 2012-03-05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13214806A (ja) * 2012-03-30 2013-10-17 Brother Ind Ltd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端末の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CN103379482A (zh) * 2012-04-26 2013-10-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在通话过程中防止录音的方法及装置
JP6089540B2 (ja) * 2012-09-27 2017-03-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機能実行装置
JP6142495B2 (ja) * 2012-10-11 2017-06-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6361099B2 (ja) * 2012-12-11 2018-07-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ステム
US9270344B2 (en) * 2013-02-01 2016-02-23 Creating Revolutions, LLC Combination process interaction
JP6135208B2 (ja) * 2013-03-12 2017-05-3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の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用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5578A (ja) * 2007-07-31 2009-03-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印刷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241114A (ja) * 2009-03-18 2010-10-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095A (ko) 2014-12-11
US9977629B2 (en) 2018-05-22
CN108494989B (zh) 2020-12-04
CN107329716A (zh) 2017-11-07
EP2811720A2 (en) 2014-12-10
EP2811720B1 (en) 2018-10-10
CN104219414B (zh) 2018-07-06
CN104219414A (zh) 2014-12-17
US10289351B2 (en) 2019-05-14
WO2014196804A1 (en) 2014-12-11
EP3419255B1 (en) 2020-12-09
EP2811720A3 (en) 2015-04-01
US20180260167A1 (en) 2018-09-13
CN107329716B (zh) 2020-11-10
EP3419255A1 (en) 2018-12-26
US20140355063A1 (en) 2014-12-04
CN108494989A (zh)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9351B2 (en)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2039522B1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한 nfc 태그의 기록방법 및 장치
KR102064500B1 (ko) 화상형성장치의 서비스 제공 제어 방법 및 서비스 제공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US962897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ustomizing configuration of printing application
US1047002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produc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9489163B2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mobile printing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2041452B1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nfc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작업의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
US9612777B2 (en) Pull print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150138597A1 (en) Mobile terminal,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storing a program
US20150248265A1 (en) System and method of mobile printing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150114765A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nfc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
KR20150001186A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nfc 디바이스에 커스터마이즈된 유저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KR20150014319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JP5338466B2 (ja) 画像形成装置、カスタマイズ画面の更新方法、及びカスタマイズ画面更新プログラム
CN110221793B (zh) 搜索图像形成设备的方法、移动终端和计算机可读介质
US10218875B2 (en)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NFC standard
JP2014209342A (ja) 近距離無線通信用機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近距離無線通信処理制御方法、及び近距離無線通信処理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