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0993A - 기기 지지 스탠드 - Google Patents

기기 지지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0993A
KR20090060993A KR1020097004098A KR20097004098A KR20090060993A KR 20090060993 A KR20090060993 A KR 20090060993A KR 1020097004098 A KR1020097004098 A KR 1020097004098A KR 20097004098 A KR20097004098 A KR 20097004098A KR 20090060993 A KR20090060993 A KR 20090060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axis
support
shaft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6870B1 (ko
Inventor
유타카 니와이
마사유키 오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사타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사타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사타니
Publication of KR20090060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personal computers, e.g. laptops, note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5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 containment or dock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60R2011/0089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around three axes, i.e. universally mounted

Abstract

본 발명의 기기(機器) 지지 스탠드(1)는 피설치 기기에 고정하는 기대(2)와, 기대로부터 세워 설치된 제1 지축(6A)과, 제1 지축과 직교하는 선상(線上)에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축에 제1 가동부를 통하여 결합된 제2 지축(7AB)과, 제1 지축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개소에 배치된 제3 지축(6B)과, 제3 지축과 직교하는 선상에 연장되어 설치되며 제3 지축에 제2 가동부를 통하여 결합된 제4 지축(7CD)과, 제2, 제4 지축과 각각 제3, 제4 가동부를 통하여 결합된 한 쌍의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과, 제3 지축의 일단(一端)에 장착된 기기 장착용의 기기 고정 부재(10)를 구비하고, 제1, 제2 연결 프레임은, 제1~제4 가동부의 회동을 규제하도록 제1, 제2 연결 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 결합 수단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피설치 기기를 상하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동시에, 특히 높이가 낮은 위치로 각도를 이동하여 고정할 수 있는 기기 지지 스탠드를 제공할 수 있다.
지지 스탠드, 기대, 제1 지축, 제2 지축, 제3 지축, 연결 프레임, 피설치 기기

Description

기기 지지 스탠드{DEVICE SUPPORT STAND}
본 발명은 기기 지지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 텔레비전이나 차 내비게이션(car navigation) 등의 소형 전자 기기를, 예를 들어 자동차의 대쉬보드(dashboard)나 글로브 박스(glove box) 등에 간단하게 설치 고정하기 위한 지지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텔레비전, 라디오 및 스테레오 등의 전자 기기는 지금까지의 거치형인 것에 덧붙여서, 소형, 경량화되어 간편하게 운반을 할 수 있는 휴대형(portable)인 것이 개발·제품화되어 가정 내로부터 옥외로 가지고 나가, 이른바 아웃도어에서 사용, 예를 들어 자동차 내로 가지고 들어가 차내에서 텔레비전 관전이나 여러 가지의 정보 수집 등이 가능해지고 있다.
그러나, 차량 내에서 이와 같은 기기를 설치하고자 하면, 차내에는 이미 여러 가지의 기기가 탑재되어 있고, 게다가 좁기 때문에 그 설치 공간이 제한되며, 한편으로 운전석 근처에 설치하는 경우는, 운전자의 운전의 지장이 되지 않도록, 또한 동승자에게도 화면 등이 보이도록 해야 한다. 최근, 이러한 상황 및 조건을 만족하며, 게다가 설치가 간단하고 기기의 표시 화면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타입의 지지구가 개발되고 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2 참조).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지지구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上面)에 세워 설치되고 외주면에 요철(凹凸)이 형성된 원기둥 모양의 지주와, 이 지주의 요철부와 서로 맞물리는 요철부를 내주면에 가지며 원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한 쌍의 협지(挾持: 끼워지지함) 부재와, 이들 협지 부재 사이에 끼워져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 부재를 구비하며, 이 지지 부재의 기기에 장착되는 고정 부재가 설치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지지구는 지지 부재 및 협지 부재가 체결 볼트로 결합되고, 이 볼트에 장착된 조절 손잡이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소정 각도로 위치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동일한 지지구가 하기 특허문헌 2에도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도 6은 하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차재(車載)용 디스플레이 장치 설치구의 사시도이다.
이 차재용 디스플레이 장치 설치구(이하, 간단히 설치구라고 함)(20)는, 짧은 샤프트가 세워 설치된 기대(基臺)(21)와, 이 샤프트에 제1 가동부를 통하여 1개의 축의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수평 암과, 이 수평 암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한 쌍의 제2 가동부(22, 22)를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연결 플레이트(23, 23)와, 각 연결 플레이트(23, 23)의 각 선단부 사이에 제3 가동부(24, 24)를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가설된 디스플레이 장치 행거 부재(25)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 암은 중심부에 샤프트 삽입관통(揷通) 구멍 및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단부를 위쪽을 향하여 L자 모양으로 절곡된 한 쌍의 곡절부를 가지는 직사각형 모양 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제1~제3 가동부는 모두 프리 스톱(free stop) 기구를 가지는 것으로, 이 프리 스톱 기구는 폭이 넓은 와셔, 폭이 좁은 와셔, 록(lock) 부재, 접시형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설치구(20)에 의하면, 행거 부재(25)가 제1~제3 가동부를 통하여 기대(21)의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M)의 화면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는, 디스플레이 장치(M)를 손을 가지고 상하 좌우로 움직이는 것만으로 모든 방향을 향한 조절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091972호 공보(도 1, 단락〔0020〕, 〔0021〕)
특허문헌 2: 일본 특개2005-199845호 공보(도 1, 도 2, 단락〔0022〕~〔0040〕)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특허문헌 1의 지지구에 의하면, 기기(機器)를 임의의 각도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지지구는 한 쌍의 협지 부재가 세워 설치된 지주의 외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협지 부재의 위쪽 단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의 높이가 높아진다. 이렇기 때문에, 지지 부재에 설치되는 기기를 아래쪽으로 눌러 내리려고 하면, 지지 부재의 높이가 높기 때문에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이 지지구를 예를 들어 차의 대쉬보드나 글로브 박스에 설치하면, 그 설치 장소에 따라서는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우려가 있다. 또, 각도 조절시에 조절 손잡이를 지나치게 느슨하게 하면, 협지 부재, 지지 부재 및 지주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어 부품이 분해되어 버릴 우려가 있으며, 그렇게 되면 재차 조립 조절이 번거로워진다.
또, 상기 특허문헌 2의 설치구는, 행거 부재(25)가 제1~제3 가동부를 통하여 기대(21)의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M)를 낮은 위치에서 임의의 각도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설치구는 기대에 세워 설치된 샤프트에 고정된 직사각형 모양의 수평 암에 모든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샤프트 및 수평 암에는 강한 기계적 강도가 요구된다. 이 때문에, 행거 부재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무거워지면, 수평 암은 좌우 어느 방향인가로 경사지거나 강한 진동 등을 받으면 변형되어 버려 마찬가지로 어느 방향인가로 경사지게 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경사가 발생하면, 정규의 자세로 되돌리는 것이 어려우며, 경사진 채의 상태에서는 표시 화면을 보기 어려워진다.
또, 기대(21)의 샤프트와 행거 부재(25) 사이의 제1~제3 가동부는, 합계 5개소의 프리 스톱 기구로 이루어진 가동부로 구성되며, 이들 프리 스톱 기구가 각각 폭이 넓은 와셔, 폭이 좁은 와셔, 록 부재, 접시형 스프링 와셔, 로크너트(locknut) 및 비교적 긴 연결 부재(볼트) 등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가 많아져서, 부품의 고비용을 초래하며, 조립 공정수가 많아져서 작업 효율을 올리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이들 5개소의 가동부는 모두 독립된 기구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조절은 개개의 기구마다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각 프리 스톱 기구의 조절이 번거롭게 되어 있다.
최근, 이런 종류의 지지구는 차의 대쉬보드나 글로브 박스에 설치했을 때에, 이 지지구에 고정되는 전자 기기 등에 의해서 운전자의 시야가 가려져서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전자 기기를 낮은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 차내에 장착되는 경우는, 강한 진동을 받으므로 높은 내진성이 요구되는 동시에, 기기의 위치 조절이 간단하며 게다가 장식품으로서의 디자인성도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 및 요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被)설치 기기를 상하좌우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동시에, 특히 높이가 낮은 위치로 이동하여 고정할 수 있는 기기 지지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지축(支軸)을 한 개소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피설치 기기의 각도의 변경을 용이하게 한 기기 지지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지축 사이의 결합 면적을 크게 하여 기계적 강도의 향상을 도모한 기기 지지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하여 부품수를 줄여서 조립이 간단한 기기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기 지지 스탠드는, 차량 등의 피설치 기기에 고정하는 설치 부재와,
이 설치 부재로부터 세워 설치된 제1 지축과,
이 제1 지축과 직교하는 선상(線上)에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축에 제1 가동부를 통하여 결합된 제2 지축과,
상기 제1 지축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개소에 배치된 제3 지축과,
이 제3 지축과 직교하는 선상에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3 지축에 제2 가동부를 통하여 결합된 제4 지축과,
상기 제2, 제4 지축과 각각 제3, 제4 가동부를 통하여 결합된 한 쌍의 제1, 제2 연결 부재와,
상기 제3 지축의 일단에 장착된 기기 장착용의 기기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제1~제4 가동부의 회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제1, 제2 연결 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결합 수단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제1 지축으로부터 떨어진 개소에 이 제1 지축과 직각으로 제3 지축을 배치하고, 이들 제1, 제3 지축과 직각으로 제2, 제4 지축을 결합하며, 이들 제3, 제4 지축 사이에 한 쌍의 제1, 제2 연결 부재를 각각 결합함으로써, 제1~제4 지축 및 연결 부재는 설치 부재에 대해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제3 지축에 설치하는 기기를 낮은 위치로 이동시켜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 기기 지지 스탠드를, 예를 들어 자동차의 대쉬보드에 설치하더라도 카 내비게이션 등의 기기를 낮은 위치에 이동·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 제1, 제2 지축 및 제3, 제4 지축을 제1, 제2 가동부를 통하여 결합하는 동시에, 제2, 제4 지축을 제3, 제4 가동부를 통하여 제1, 제2 연결 부재로 결합하고, 제1, 제2 연결 부재를 제1~제4 가동부의 회전 각도 및 마찰력을 조절하는 조절·결합 수단으로 결합했기 때문에, 단일한 조절· 결합 수단의 조작에 의해 4개의 지축, 즉 제1~제4 가동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에 의해 제3 지축에 설치하는 기기를 임의의 각도로 간단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기기의 방향이나 배치를 4축 제어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 각도 조절의 자유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차량의 대쉬보드 등 디자인 형편상 경사지거나 만곡해 있는 위치나, 지금까지 사용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설치할 수 없었던 위치에 설치하더라도 적절히 각도 조절을 행함으로써 적합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기 지지 스탠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제3 지축은 각각 소정 굵기 및 길이를 가지는 원주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제4 지축은 한 쌍의 제1, 제2 T형축으로 이루어지며, 각 한 쌍의 T형축은 모두 상기 제1, 제3 지축의 원주축의 실질적으로 반원주면에 맞닿게 되는 반통(半筒) 모양부와 이 반통 모양부의 외면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한 통 모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지축의 외주면에 상기 제2 지축의 제1, 제2 T형축의 한 쌍의 반통 모양부가 제1 가동부를 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3 지축의 외주면에 상기 제4 지축의 제1, 제2 T형축의 한 쌍의 반통 모양부가 제2 가동부를 통하여 결합되고, 각 T형축 사이의 대향하는 통 모양부의 단부가 각각 상기 제3, 제4 가동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제2 연결 부재에 결합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제1, 제3 지축을 원주축, 제2, 제4 지축을 각각 제1, 제2 지축의 원주축의 대략 반원주면에 맞닿게 되는 반통 모양부로 이루어진 한 쌍의 T형축으로 구성함으로써, 제1 지축과 제2 지축 및 제3 지축과 제4 지축 사이의 제1~제4 가동부의 접촉 면적이 커지고, 이들 가동부에 의해 제1~제4 지축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기계적 강도가 강고해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기기 지지 스탠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지축과 제3 지축 및 상기 제2 지축과 제4 지축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지축으로 형성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제1 지축과 제3 지축 및 제2 지축과 제4 지축은, 각각 동일한 구성의 지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어 부품의 품종이 줄어들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부품의 구별이나 방향의 확인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립이 간단해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기 지지 스탠드에 있어서는, 상기 조절·결합 수단은, 상기 제1, 제2 연결 부재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제1~제4 가동부의 회전 각도 및 마찰력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과, 상기 조절 수단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제2 연결 부재의 적어도 한쪽을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하는 결합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조절 수단이 느슨해졌을 때에, 상기 제1, 제2 연결 부재의 조립체가 해체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빠짐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기 지지 스탠드에 있어서는,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제1, 제2 연결 부재의 어느 한쪽의 연결 부재에 설치된 양 연결 부재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선단에 설치된 상기 빠짐 방지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제1, 제2 연결 부재의 어느 한쪽의 연결 부재에 설치된 조절 나사와, 다른 연결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 나사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 수단에 의한 조절시에, 상기 조절 나사가 상기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제2 연결 부재의 간극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조절 수단이 과도하게 느슨해지더라도 결합 수단의 빠짐 방지 부재에 의해 제1, 제2 연결 부재가 분해되지 않도록 유지되므로 안심하고 조절 수단의 조작을 할 수 있다. 또, 제1, 제2 연결 부재가 분해되어 뿔뿔이 흩어지지 않기 때문에 조절 수단을 느슨하게 한 후의 제1~제4 지축의 재차 고정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기 지지 스탠드에 있어서는, 상기 가이드 부재는 2개의 가이드 돌출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가이드 돌출봉은 상기 연결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2개의 가이드 돌출봉 사이에 상기 조절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를 2개의 가이드 돌출봉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연결 부재의 간격 조정을 안정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2개의 가이드 돌출봉 사이에 조절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간격 조정을 안정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기 지지 스탠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1~제4 가동부는 서로 기어 톱니가 서로 맞물려 이루어진 기어 부재 또는 서로 소정의 마찰력으로 결합되어서 이루어진 마찰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제1~제4 가동부를 서로 기어 톱니가 서로 맞물려지는 기어 부재 또는 서로 소정의 마찰력으로 결합되는 마찰 부재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높은 기계적 강도 및 내진성을 구비한 가동부로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설치구의 가동부 기구와 비교해도, 부품 점수가 적고 조립이 간단해지며 간극 조절도 용이해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기 지지 스탠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3, 제4 가동부 사이에는 압축 탄성 부재가 개재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제3, 제4 가동부에 스프링 등의 압축 탄성 부재를 개재시키는 것에 의해 가동부력의 조절이 원활해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기 지지 스탠드에 있어서는, 상기 설치 부재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 모양의 기대 또는 협지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설치 부재를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 모양의 기대 혹은 협지 부재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평탄한 장소에서도 요철 등이 있는 장소에서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기 지지 스탠드에 있어서는, 상기 기대는 소정 크기로 이루어진 판 모양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이면(裏面)에 고정된 양면 점착 테이프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점착(貼着)된 화장(化粧) 플레이트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며, 이 적층체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제1 지축을 장착하는 설치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기대를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판 모양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이면에 고정된 양면 점착 테이프와,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점착된 화장 플레이트와의 적층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평탄한 설치 장소, 예를 들어 자동차의 대쉬보드나 글로브 박스 등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 화장 플레이트로 덮음으로써 미관이 좋아진다.
도 1의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기기 지지 스탠드의 외관 사시도, 도 1의 1B는 도 1A의 지지 스탠드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기 지지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2 연결 프레임을 제1, 제2 지축에 설치하고 제1 연결 프레임을 제1, 제2 지축에 설치하는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지지 스탠드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지지 스탠드를 바닥부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의 설치구의 외관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기기 지지 스탠드
2: 기대(基臺)
3: 베이스 플레이트
4: 양면 접착 테이프
5: 화장(化粧) 커버
6A: 제1 지축(支軸)
6B: 제3 지축
7a: 반통(半筒) 모양부
7b: 소경 통(小徑筒) 모양부
61, 71, 72, 132, 142 :기어 톱니
7AB: 제2 지축
7CD: 제4 지축
7A~7D: 제1~제4 T형축
8A, 8B: 볼트
8C: 조정 나사
8D: 고정 나사
9A, 9B: 너트
10: 기기 고정 부재
11: 커버체
12: 걸림 부재
13: 제1 연결 프레임
13a, 14a: 제1 대경 통(大徑筒) 모양부
13b, 14b: 제2 대경 통 모양부
13c, 13d: 가이드 돌출봉
14: 제2 연결 프레임
16: 연결 부재
S1: 압축 스프링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기기 지지 스탠드를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이 기기 지지 스탠드로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그 외의 실시형태의 것도 동일하게 적응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기기 지지 스탠드를 나타내며, 도 1의 1A는 외관 사시도, 도 1의 1B는 도 1A의 기기 지지 스탠드를 다른 각도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기기 지지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기기 지지 스탠드(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크기를 갖는 판 모양의 기대(2)와, 이 기대(2)의 대략 중심부로부터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 소정 길이의 제1 지축(6A)과, 이 제1 지축과 대략 직각 방향으로 제1 가동부를 통 하여 연결된 제2 지축(7AB)과, 제1 지축(6A)과 떨어진 개소에 있고 이 지축과 대략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제3 지축(6B)과, 제3 지축(6B)과 대략 직각 방향으로 제2 가동부를 통하여 연결된 제4 지축(7CD)을 구비하며, 이들 제2, 제4 지축(7AB, 7CD)은 각각 제3, 제4 가동부를 통하여 소정 길이의 연결 부재(16)로 연결되며, 제3 지축(6B)의 단부에 기기 고정 부재(10)가 장착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하, 이들 기대, 제1~제4 지축, 제1~제4 가동부 및 기기 고정 부재의 구성을 차례차례 설명한다.
기대(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대쉬보드, 글로브 박스 등의 비교적 평탄한 장소에 재치(載置)하여 고정할 수 있는 크기의 대략 타원 형상의 판 모양 베이스 플레이트(3)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3)의 이면에 고정된 양면 접착 테이프(4)와, 베이스 플레이트(3)의 상면에 점착된 화장 커버(5)를 적층한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는 대략 중심부에 위쪽으로 산 모양으로 융기한 융기부(30)가 형성되며, 이 융기부(30)의 중심에 나사 구멍(31)이 마련되고 금속 판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 플레이트(3)는 융기부(30)의 기슭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슬릿(32)으로 구분된 플레이트 편(3a, 3b, 3c, ···, 3n)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슬릿(32)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각 플레이트 편(3a~3n)의 굴곡이 가능해져서 재치 고정면에 대한 부착이 용이해진다.
양면 점착 테이프(4)는 베이스 플레이트(3)와 대략 같은 형상을 가지며, 표 면 및 이면에 각각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이 점착 테이프(4)는 베이스 플레이트(3)의 슬릿(32)에 대응한 개소에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슬릿(41)이 마련되어 복수의 테이프 편(4a, 4b, 4c, ···, 4n)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 융기부(30)에 대응한 개소에는, 이 융기부(30)의 바닥면을 노출시킬 크기의 개구(40)가 형성되어 있다.
또, 화장 커버(5)는 베이스 플레이트(3)의 표면을 덮는 화장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있다. 또, 융기부(30)에 대응한 개소에는, 이 융기부(30)를 노출시킬 크기의 개구(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화장 커버(5)로 베이스 플레이트(3)를 덮음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의 슬릿(32)이 은폐되어 미관이 좋아진다. 이 화장 커버(5)는 기기 지지 스탠드(1)가 재치 고정되는 면에 합치된 색, 모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기대(2) 대신에, 다른 설치 부재, 예를 들어, 클립 등의 협지(挾持) 부재나 흡반(吸盤)을 사용해도 된다.
제1 지축(6A)은 길이 방향의 중심부에 볼트 삽입관통 구멍(60)을 가지는 소정 굵기 및 길이의 원기둥 모양의 지주(支柱)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위는 그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기어 톱니(61)를 형성한 기어부와 소정 길이의 기어 톱니를 마련하지 않는 비(非)기어부(62)로 구분되며, 금속재 또는 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다. 기어 톱니(61)는 지축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피치의 톱니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제2 지축(7AB)의 기어 톱니(71, 71)와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 제1 지축(6A)은 볼트 삽입관통 구멍(60)에 볼트(8A)를 삽입관통하여 기대(2)의 나사 구멍(31)에 삽입하며, 기대(2)의 아래쪽으로부터 평 와셔(plain washer)(81) 및 스프링 와셔(82)를 개재시켜 너트(9A)에 의해서 단단히 조여져 고정된다.
볼트(8A)에는 두부(頭部)에 소정 크기의 칼라(8A0)가 붙은 칼라부착 볼트가 사용된다. 칼라(8A0)의 직경은 제1 지축(6A)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칼라부착 볼트를 사용함으로써, 제1 지축(6A)의 두부가 넓은 면적으로 눌려지게 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 칼라(8A0)의 직경을 제1 지축(6A)의 직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후술하는 제2 지축(7AB)의 빠짐 방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칼라부탁 볼트 대신에, 소정 지름을 가지는 와셔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 이 지축(6A)은 기대(2)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어 고정되지만, 기대(2)에 대해서 회동하지 않도록 도시하지 않은 회전 방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지축(7AB)은 한 쌍의 제1, 제2 T형축(7A, 7B)으로 분할되며, 이들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제1, 제2 T형축(7A, 7B)은 모두 원기둥 모양의 제1 지축(6A)의 대략 반주면(半周面)에 맞닿게 될 크기의 반통 모양부(7a)와, 이 반통 모양부(7a)의 외벽면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한 소경 통 모양부(7b)로 이루어지며, 반통 모양부(7a)의 내측에는 제1 지축(6A)의 기어 톱니(61)와 서로 맞물리는 기어 톱니(7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소경 통 모양부(7b)에는, 그 내부에 압축 스프링(S1) 이 삽입되는 공동(空洞) 구멍(7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동 구멍(70)의 둥근 고리 모양의 개구면에는 기어 톱니(7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2 T형축(7A, 7B)의 기어 톱니(71, 71)와 제1 지축(6A)의 외주면의 기어 톱니(61)로 각각 제1 가동부를 구성하고 있다. 각 기어 톱니(61, 71)의 맞물림은 압축 스프링(S1)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조절된다. 각 T형축(7A, 7B)의 각 반통 모양부(7a, 7a)는 제1 지축(6A)의 기어 톱니(61)와 맞물림, 즉 제1 지축(6A)을 그 길이 방향의 넓은 범위로 덮도록 기어 톱니(61)와 서로 맞물려지므로 제1 지축(6A)과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된다. 이 각 T형축(7A, 7B)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축(6A)에 결합됨으로써, 기대(2)로부터 세워 설치된 제1 지축(6A)의 주위를 기대(2)면에 근접한 위치, 즉 기대(2)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낮은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3 지축(6B)은 제1 지축(6A)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조립시에는 제1 지축(6A)과 다른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제1 지축(6A)은 기대(2)에 대략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지만, 제3 지축(6B)은 이 제1 지축(6A)에 대해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제4 지축(7CD)은 한 쌍의 제3, 제4 T형축(7C, 7D)으로 분할되어 있다. 각 제3, 제4 T형축(7C, 7D)은 제1, 제2 T형축(7A, 7B)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제1, 제3 지축(6A, 6B)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제3, 제4 T형축(7C, 7D)은 제1, 제2 T형축(7A, 7B)에 대해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제3, 제4 T형축(7C, 7D)의 기어 톱니(71, 71)와 제3 지축(6B)의 기어 톱니(61)로 각각 제2 가동부를 구성하고 있다. 각 기어 톱니(61, 71)의 맞물림은, 제3, 제4 T형축(7C, 7D)의 공동(空洞) 구멍(70) 내에 수납된 압축 스프링(S1)에 의해서 조절된다. 각 T형축(7C, 7D)의 각 반통 모양부(7a, 7a)도 제3 지축(6B)의 기어 톱니(61)와 길이 방향의 넓은 범위로 덮여 기어 톱니(61)와 서로 맞물려지므로, 제2 지축과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된다. 이 제4 지축(7CD)은 제3 지축(6B)에 서로 맞물려지며, 제3 지축(6B)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제3 지축(6A, 6B)을 같은 구성으로 하고, 마찬가지로 제2, 제4 지축(7AB, 7CD)을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부품의 공통화를 가능해져서, 부품의 품종이 줄어들어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이 간단해진다.
연결 부재(16)는 한 쌍의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들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은 소정의 폭 넓이, 높이 및 길이를 가지는 직육면체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제1~제4 T형축(7A~7D)을 수용하고 외벽면이 화장면으로 되어 수지 성형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 프레임(13)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단부에 제1, 제3 T형축(7A, 7C)의 각 반통 모양부(7a, 7a)가 삽입되는 제1, 제2 대경 통 모양부(13a, 13b)가 마련되며, 이 제1, 제2 대경 통 모양부(13a, 13b) 사이에 제2 연결 프레임(14)과 결합하는 제1 결합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대경 통 모양부(13a)는 제1 T형축(7A)의 소경 통 모양부(7b)가 삽입되는 공동 구멍(130)을 가지며, 이 공동 구멍(130)은 안벽이 제1 연결 프레임(13)의 외벽으로 막히며, 이 안벽으로부터 압축 스프링(S1)이 장착되는 통 모양 돌기(131)가 돌출되어 있다. 이 통 모양 돌기(131)는 공동 구멍(1310)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며, 이 돌기의 외주위에 제1 T형축(7A)의 기어 톱니(72)와 서로 맞물리는 기어 톱니(13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대경 통 모양부(13b)도 제1 대경 통 모양부(13a)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제1 결합 수단은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부에 마련한 나사 구멍(133)과, 이 나사 구멍(133)의 양 사이드에 프레임면으로부터 돌출한 2개의 가이드 돌출봉(13c, 13d)과, 조정 나사(8C)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13)의 표면은 나사 구멍(133)의 주위에 조정 나사(8C)의 두부가 수용되는 함몰부(13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함몰부(133')를 형성함으로써, 조정 나사(8C)의 두부가 프레임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아 손가락 등의 걸림이 없어져서 미관이 좋아진다. 조정 나사(8C)는 제2 연결 프레임(14)에 나사 결합되며,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 사이의 간극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 손잡이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그 두부에 코인 등을 삽입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가는 홈(8C0)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각 가이드 돌출봉(13c, 13d)의 선단부에는 암나사 구멍(13c', 13d')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연결 프레임(14)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단부에 제2, 제4 T형축(7B, 7D)의 각 소경 통 모양부(7b, 7b)가 삽입되는 제3, 제4 대경 통 모양부(14a, 14b) 및 제1 연결 프레임(13)과 결합하는 제2 결합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제3, 제4 대경 통 모양부(14a, 14b)는 제1, 제2 대경 통 모양부(13a, 13b)와 대략 같은 구조이며, 제2, 제4 T형축(7B, 7D)의 소경 통 모양부(7b)가 삽입되는 공동 구멍(140)을 가지며, 이 공동 구멍(140)은 안벽이 제2 연결 프레임(14)의 외벽으로 막히며, 이 안벽으로부터 압축 스프링(S1)이 장착되는 돌기(141)가 돌출되어 있다. 이 돌기(141)는 공동 구멍(140)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며, 이 돌기(141)의 외주위에 제2, 제4 T형축(7B, 7D)의 기어 톱니(72)와 서로 맞물리게 되는 기어 톱니(1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어 톱니(142)는 도 2 중에서는 숨겨져 있기 때문에 점선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 제2 결합 수단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부에 프레임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한 돌출봉(14e)과, 이 돌출봉(14e)의 양 사이드에 마련된 2개의 소경 통 모양부(14c, 14d)와, 2개의 고정 나사(8D, 8D)로 구성되어 있다. 돌출봉(14e)의 선단부에는 암나사 구멍(143)이 형성되며, 이 암나사 구멍(143)에는 조정 나사(8C)가 나사 결합된다. 이 돌출봉(14e)에 나사 결합되는 조정 나사(8C)의 나사 결합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의 간극 거리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 조절을 하기 위해서, 각 가이드 돌 출봉(13c, 13d)은 제2 연결 프레임(14)의 소경 통 모양부(14c, 14d) 내에서 유동(遊動)된다. 즉,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의 결합시에는, 제1 연결 프레임(13)의 가이드 돌출봉(13c, 13d)이 제2 연결 프레임(14)의 소경 통 모양부(14c, 14d) 내에 끼워 넣어지고, 각 가이드 돌출봉(13c, 13d)의 선단부에 마련된 암나사 구멍(13c', 13d')에 후술하는 함몰 구멍(144, 144)을 통하여 고정 나사(8D, 8D)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고정된다. 또한, 고정 나사(8D, 8D)를 완전히 나사 결합시킨 상태에 있어서도, 이 고정 나사(8D, 8D)의 두부와 각 가이드 돌출봉(13c, 13d)은 소정 거리 떨어지게 되어 있다. 자세한 것은,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을 서로 고정했을 때의 고정 나사(8D, 8D)의 두부와 함몰 구멍(144, 144)의 바닥부 사이에 소정 길이의 간극(예를 들어 3.0㎜ 정도)이 형성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고정 나사(8D, 8D)를 나사 결합한 후에도, 조정 나사(8C)를 느슨하게 하면, 이들 소경 통 모양부(14c, 14d) 내에서 각 가이드 돌출봉(13c, 13d)이 여유를 가지고 결합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각 소경 통 모양부(14c, 14d)는 내부에 각 돌출봉(13c, 13d)이 끼워 넣어질 크기를 가지며, 내벽면에는 각 가이드 돌기(13c1, 13d1)가 삽입될 가이드 홈(14c1, 14d1)이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가이드 돌기(13c1, 13d1) 및 가이드 홈(14c1, 14d1)을 형성함으로써,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을 위치 결정하여 결합할 수 있으므로 양쪽 부재의 잘못된 결합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연결 프레임(14)은, 각 소경 통 모양부(14c, 14d)가 형성된 벽면과 반대측, 즉 제2 연결 프레임(14)의 외벽면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소경 통 모양부(14c, 14d)에 대응하는 개소에 제2 연결 프레임(14)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인입(引入)되어 각 소경 통 모양부(14c, 14d)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지름, 자세하게는 고정 나사(8D, 8D)의 두부를 수납할 수 있을 크기의 지름을 가지는 함몰 구멍(144, 1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함몰 구멍(144, 144)은 바닥부 중앙에 개구를 가지며, 이 개구가 각 소경 통 모양부(14c, 14d)의 관통 구멍에 연통되어 있다. 각 함몰 구멍(144, 144)은, 각각 고정 나사(8D, 8D)가 장착된 상태에서, 또한 각 돌출봉(13c, 13d)이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고정 나사(8D, 8D)의 머리가 돌출되지 않을 깊이로 되어 있다.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과 제2, 제4 지축(7AB, 7CD)은, 제3, 제4 가동부를 통하여 각각 연결되어 있다. 즉, 제1 연결 프레임(13)의 제1 대경 통 모양부(13a)의 기어 톱니(132)와 제2 지축(7AB)의 제1 T형축(7A)의 기어 톱니(72) 및 제2 연결 프레임(14)의 제3 대경 통 모양부(14a)의 기어 톱니(142)와 제2 지축(7AB)의 제2 T형축(7B)의 기어 톱니(72)로 제3 가동부를 형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연결 프레임(13)의 제2 대경 통 모양부(13b)의 기어 톱니(132)와 제4 지축(7CD)의 제3 T형축(7C)의 기어 톱니(72) 및 제2 연결 프레임(14)의 제4 대경 통 모양부(14b)의 기어 톱니(142)와 제4 지축의 제4 T형축(7D)의 기어 톱니(72)로 제4 가동부를 형 성하고 있다. 각 기어 톱니(72, 132, 142)의 맞물림은 압축 스프링(S1)에 의해서 조절된다.
기기 고정 부재(10)는 소형 전자 기기 등에 장착되는 도시하지 않은 소형 전자 기기 본체(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부재이며, 제3 지축(6B)에 고정된다. 이 고정 부재(1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판 모양부(10a)와, 이 판 모양부(10a)의 길이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도 2 중의 앞 방향으로 기립된 한 쌍의 측판부(10b, 10c)와, 입설(立設) 상태에 있어서의 하부에 각 측판부(10b, 10c)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시킨 비교적 긴 저판부(底板部)(10d)를 가지며, 이들은 일체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판 모양부(10a)는 그 위쪽 배면에 제3 지축(6B)의 비(非)기어부(62)가 삽입되는 통 모양부(10e)가 형성되며, 이 통 내에 제3 지축(6B)을 고정하는 볼트(8B)가 삽입관통되는 개구(100)가 형성되어 있다. 판 모양부(10a)는 개구(100)의 전방 외주위가 고정 부재, 즉 와셔(81), 스프링 와셔(82) 및 너트(9B)를 수용하고 표면에 돌출하지 않는 함몰부(101)로 되어 있다. 또, 이 함몰부(101)에는 고정 부재를 체결한 후에, 이들을 은폐하는 가림 플레이트(15)가 장착된다. 또, 이 판 모양부(10a)는, 그 아래쪽 배면에 걸림 부재(12)의 걸림 래치(12a)(후술)가 수용되는 함몰 구멍(10f)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함몰 구멍(10f)의 안벽에 스프링(S2) 장착용의 소돌기(10f')가 형성되어 있다. 저판부(10d)에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으로 한 쌍의 가이드 돌기(102, 102)와 길이 방향 양단부 부근에 한 쌍의 장착 돌기(103, 103)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돌기(102, 102)는 함몰 구멍(10f) 내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대치하고 있다.
걸림 부재(12)는 저판부(10d)의 폭 길이보다 약간 긴 기대부(12c)와, 이 기대부(12c)의 후방의 일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 갈고리 모양의 걸림 래치(12a)를 가지며, 대략 L자 모양을 이루어 수지재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대부(12c)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102, 102) 사이에 삽입되는 폭 길이로 되어 있다. 이 걸림 부재(12)는 커버체(11)로 고정된다. 이 커버체(11)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걸림 부재(12)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오목한 모양의 홈(110)과, 커버체(11)의 상면에 설치되며 그 길이 방향 양단부에 암나사 구멍이 형성된 직사각형 모양의 함몰 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다. 함몰 구멍(111) 내에는 고정 나사(8E, 8E)의 단부를 숨기는 플레이트(11A)가 장착된다.
저판부(10d)로의 걸림 부재(12)의 설치는 함몰 구멍(10f) 내의 소돌기(10f')에 코일 스프링(S2)을 장착하고, 한 쌍의 가이드 돌기(102, 102) 사이에 걸림 부재(12)의 기대부(12c)를 끼워 넣고 위쪽을 커버체(11)로 덮으며, 이 커버체(11)를 고정 나사(8E, 8E)로 저판부(10d)의 아래쪽면으로부터 고정하고, 함몰 구멍(111) 내에 가림용 플레이트(11A)를 장착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조립에 의해, 걸림 부 재(12)는 저판부(10d)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걸림 부재(12)의 단부(12b)를 눌러 이동시킴으로써 걸림 래치(12a)의 함몰 구멍(10f) 내로부터의 출입이 가능하다. 이 걸림 래치(12a)에는 도시하지 않은 소형 전자 기기 본체가 장착된다. 또한, 이 기기 고정 부재(10)는 소형 전자 기기 본체의 형상·구조에 따라 이에 적합한 구조의 것으로 변경된다.
다음에, 도 1~도 4를 참조하여, 기기 지지 스탠드(1)의 조립 및 그 사용법을 설명한다. 또한, 도 3은 제2 연결 프레임을 제1, 제3 지축에 설치하고, 제1 연결 프레임을 제1, 제3 지축에 설치하기 전의 조립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지지 스탠드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지지 스탠드를 바닥부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우선, 미리 베이스 플레이트(3)의 표면 및 이면에 각각 양면 점착 테이프(4) 및 화장 플레이트(5)를 장착하여 기대(2)를 작성해 두고, 이 기대(2)에 제1 지축(6A)을 고정한다. 이 제1 지축(6A)의 고정은 볼트 삽입관통 구멍(60) 및 기대(2)의 나사 구멍(31)에 볼트(8A)를 삽입관통하고, 이 볼트(8A)의 단부에 평 와셔(81) 및 스프링 와셔(82)를 설치한 후, 너트(9A)를 기대(2)의 바닥부로부터 체결함으로써 고정한다.
볼트(8A)의 두부에는 제1 지축(6A)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지름의 칼라(8A0)가 붙어 있기 때문에, 제1 지축(6A)은 그 꼭대기부가 넓은 면적으로 눌려져서 기대(2) 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 이 볼트(8A)의 칼라(8A0)는 제2 지축(7AB)의 각각의 반통 모양부(7a, 7a)를 제1 지축(6A)의 외주면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그 상단에 맞닿기 때문에, 제2 지축(7AB)이 제1 지축(6A)의 위쪽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일이 없다. 한편, 제3 지축(6B)은 제1 지축(6A)과 떨어진 개소에 이 지축과 직각으로 배치해 둔다.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은 각 대경 통 모양부(13a, 13b) 및 대경 통 모양부(14a, 14b) 내의 통 모양 돌기(131, 131) 및 돌기(141, 141)에 각각 압축 스프링(S1)을 장착하고, 이들 대경 통 모양부(13a, 13b) 및 대경 통 모양부(14a, 14b)에 제1~제4 T형축(7A~7D)의 각각의 소경 통 모양부(7b)를 삽입한다. 이 삽입에 의해, 각 압축 스프링(S1)은 각 소경 통 모양부(7b)의 공동 구멍(70)에 삽입된다.
이어서, 제1~제4 T형축(7A~7D)의 각 소경 통 모양부(7b)를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의 제1, 제2 대경 통 모양부(13a, 13b) 및 제 3, 4 대경 통 모양부(14a, 14b)에 삽입한 상태에서, 각 T형축(7A~7D)의 반통 모양부(7a)를 제1, 제3 지축(6A, 6B)의 외주면에 맞닿게 하고, 고정 나사(8D, 8D)를 이용하여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을 고정한다. 이 고정은, 제1 연결 프레임(13)의 가이드 돌출봉(13c, 13d)을 제2 연결 프레임(14)의 소경 통 모양부(14c, 14d) 내에 삽입하며, 이들 소경 통 모양부(14c, 14d) 내에서 각 가이드 돌출봉(13c, 13d)이 여유를 가지고 결합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 나사(8D, 8D)의 두부와 함몰 구멍(144, 144)의 바닥부 사이에 소정의(예를 들어 3.0㎜의) 간극이 생기도록 고정 나사(8D, 8D)를 나사 결합시켜서 고정한다. 그 후, 제1 연결 프레임(13)의 나사 구멍(133)에 조정 나사(8C)를 삽입하여 제2 연결 프레임(14)의 돌출봉(14e)의 암나사 구멍(143)에 나사 결합한다. 이 조정 나사(8C)의 나사 결합에 의해,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은 간극이 없게 고정된다. 또한, 조정 나사(8C)의 나사 결합을 느슨하게 하면, 고정 나사(8D, 8D)의 두부와 함몰 구멍(144, 144)의 바닥부 사이의 간극 거리만큼 제2 연결 프레임(14)이 제1 연결 프레임(13)에 대해서 이동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이 고정 나사(8D, 8D)와 조정 나사(8C)의 2개의 나사에 의해서 고정되고 있으면, 비록 조정 나사(8C)를 지나치게 느슨해져 빠져 버렸다 하더라도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 사이의 부품이 해체되어 뿔뿔이 흩어지게 되는 일이 없다.
이 고정에 의해, 제1 지축(6A)의 외주면에 제1, 제2 T형축(7A, 7B)의 반통 모양부(7a, 7a)가 맞닿게 되는 것에 의해서, 각각의 부재에 형성된 기어 톱니(61, 71)가 서로 맞물려서 제1 가동부가 형성되고,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면, 제1, 제2 T형축(7A, 7B)이 지축(6A)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제3 지축(6B)에 제3, 제4 T형축(7C, 7D)의 각 반통 모양부(7a, 7a)가 맞닿게 됨으로써, 각각의 부재에 형성된 각 기어 톱니(61, 71)가 서로 맞물려 제2 가동부가 형성되고,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면, 제3, 제4 T형축(7A, 7B)이 제3 지축(6B)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과 제1, 제2 T형축(7A, 7B) 사이에서는, 제1, 제2 T형축(7A, 7B)의 각 소경 통 모양부(7b, 7b)의 각 기어 톱니(72)와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의 제1, 제3 대경 통 모양부(13a, 14a)내의 기어 톱니(132, 142)가 서로 맞물려 제3 가동부가 형성되고,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면,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이 제1, 제2 T형축(7A, 7B)의 소경 통 모양부(7b, 7b)를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과 제3, 제4 T형축(7C, 7D) 사이에서는, 제3, 제4 T형축(7C, 7D)의 각 소경 통 모양부(7b, 7b)의 각 기어 톱니(72)와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의 제2, 제4 대경 통 모양부(13b, 14b) 내의 기어 톱니(132, 142)가 서로 맞물려서 제4 가동부가 형성되고,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면,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이 제3, 제4 T형축(7C, 7D)의 소경 통 모양부(7a, 7a)를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해진다. 또한, 각 기어 톱니(61, 71, 72, 132, 142)의 맞물림은 압축 스프링(S1)에 의해서 조절되기 때문에, 그 맞물림이 원활해지는 동시에, 제1~제4 가동부에서의 회동시에는 적당한 스냅 액션을 얻을 수도 있다.
그리고, 제3 지축(6B)의 비기어부(61)에 조립한 고정 부재(10)를 설치한다. 이 설치는 제3 지축(6B)의 볼트 삽입관통 구멍(60)에 볼트(8B)를 삽입관통시키고, 기기 고정 부재(10)의 개구(100)에 통과시킨 후, 함몰부(101) 내에 수납하도록 평 와셔(81), 스프링 와셔(82)를 볼트(8B)를 장착하여 너트(9B)로 고정한다. 그리고, 함몰부(101)를 가림 플레이트(15)로 덮는다.
이와 같이 구성한 기기 지지 스탠드(1)에 있어서는, 조정 나사(8C)를 체결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제1~제4 가동부를 형성하는 각 기어 톱니(61, 71, 72, 132, 142)끼리는 강고하게 맞물려 있으며, 기기 지지 스탠드(1)는 어느 쪽으로도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다. 그리고, 조정 나사(8C)의 체결을 해제, 즉 조정 나사(8C)를 느슨하게 하면,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1~제4 가동부를 형성하는 각 기어 톱니(61, 71, 72, 132, 142)끼리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복수의 가동부마다 다른 축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대(2)에 대한 기기 고정 부재(10)의 방향이나 각도 등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간단한 조작으로 4축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기기의 설치 각도의 미조정이 가능해져서 자유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설치 장소의 자유도도 향상된다.
또,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지축(6A)으로부터 떨어진 개소에 이 제1 지축(6A)과 직각으로 제3 지축(6B)을 배치하고, 이들 제1, 제3 지축(6A, 6B)에 대해서 직각으로 제2, 제4 지축(7AB, 7CD)을 각각 결합하고, 이들 제2, 제4 지축(7AB, 7CD)에 한 쌍의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을 각각 결합했기 때문에, 제1~제4 지축(6A, 6B, 7AB, 7CD) 및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은 차량의 대쉬보드 등에 대해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제2 지축(7AB)에 설치하는 카 네비게이션 등의 기기를 낮은 위치로 이동시켜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 기기 지지 스탠드(1)를 예를 들어 자동차의 대쉬보드에 설치하더라도, 기기를 낮은 위치에 이동·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제1, 제3 지축(6A, 6B)을 원기둥 모양의 축으로 하고, 제2, 제4 지축(7AB, 7CD)을 각각 제1, 제3 지축(6A, 6B)의 대략 반원 주위면에 맞닿게 되는 반통 모양부(7a, 7a)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1, 제2 T형축(7A, 7B) 혹은 제3, 제4 T형축(7C, 7D)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제1 지축(6A)과 제2 지축(7AB) 및 제3 지축(6B)과 제4 지축(7CD) 사이의 제1~제4 가동부의 면적이 커지며, 이들 가동부에 의해 제1~제4 지축(6A, 6B, 7AB, 7CD)이 서로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기계적 강도가 강고해진다. 게다가, 제1 지축(6A)과 제3 지축(6B) 및 제2 지축(7AB)과 제4 지축(7CD)은 각각 같은 구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어 부품의 품종이 줄어들어 비용 저감 및 조립이 간단해진다.
게다가 또, 조절 수단인 조정 나사(8C)가 과도하게 느슨해져도 고정 나사(8D, 8D)에 의해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이 분해되지 않도록 유지되고 있으므로, 안심하고 조정 나사(8C)의 조작을 할 수 있어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이 분해되어 뿔뿔이 흩어지게 되지 않기 때문에, 제1~제4 가동부에서의 회동 조작이나 제1~제4 지축(6A, 6B, 7AB, 7CD)의 고정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가이드 부재를 2개의 가이드 돌출봉(13c, 13d)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의 간격 조정을 안정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2개의 가이드 돌출봉(13c, 13d) 사이에 조절 기구(조정 나사(8C))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제1, 제2 연결 프레임(13, 14) 사이의 간격 조정도 안정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제4 가동부에 기어 톱니(61, 71, 72, 132, 142)를 이용하여 서로 맞물리게 하였으나, 서로 소정의 마찰력으로 결합되는 마찰 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기어 톱니를 사용했을 경우는 물론, 마찰 부재를 사용했을 경우에도 높은 기계적 강도 및 내진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덧붙여서, 본 발명의 기기 지지 스탠드(1)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4축 제어에 의해서 높은 각도 조정의 자유도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기대(2) 대신에, 다른 설치 부재, 예를 들어 클립 등의 협지 부재나 흡반을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설치 장소나 설치할 대상을 가리지 않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만하다.

Claims (10)

  1. 차량 등의 피설치 기기(機器)에 고정하는 설치 부재와,
    이 설치 부재로부터 세워 설치된 제1 지축과,
    이 제1 지축과 직교하는 선상(線上)에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축에 제1 가동부를 통하여 결합된 제2 지축과,
    상기 제1 지축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개소에 배치된 제3 지축과,
    이 제3 지축과 직교하는 선상에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3 지축에 제2 가동부를 통하여 결합된 제4 지축과,
    상기 제2, 제4 지축과 각각 제3, 제4 가동부를 통하여 결합된 한 쌍의 제1, 제2 연결 부재와,
    상기 제3 지축의 일단(一端)에 장착된 기기 장착용의 기기 고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제1~제4 가동부의 회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제1, 제2 연결 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 결합 수단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지지 스탠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3 지축은 각각 소정 굵기 및 길이를 가지는 원주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제4 지축은 한 쌍의 제1, 제2 T형축으로 이루어지며, 각 한 쌍의 T형축은 모두 상기 제1, 제3 지축의 원주축의 실질적으로 반원주면에 맞닿게 되는 반통 모양부와 이 반통 모양부의 외면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한 통 모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지축의 외주면에 상기 제2 지축의 제1, 제2 T형축의 한 쌍의 반통 모양부가 제1 가동부를 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3 지축의 외주면에 상기 제4 지축의 제1, 제2 T형축의 한 쌍의 반통 모양부가 제2 가동부를 통하여 결합되고, 각 T형축 사이의 대향하는 통 모양부의 단부가 각각 상기 제3, 제4 가동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제2 연결 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지지 스탠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축과 제3 지축 및 상기 제2 지축과 제4 지축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지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지지 스탠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결합 수단은, 상기 제1, 제2 연결 부재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제1~제4 가동부의 회전 각도 및 마찰력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과, 상기 조절 수단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제2 연결 부재의 적어도 한쪽을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결합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조절 수단을 느슨해졌을 때에, 상기 제1, 제2 연결 부재의 조립체가 해체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빠짐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지지 스탠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제1, 제2 연결 부재의 어느 한쪽의 연결 부재에 설치된 양 연결 부재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선단에 설치된 상기 빠짐 방지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제1, 제2 연결 부재의 어느 한쪽의 연결 부재에 설치된 조절 나사와 다른 연결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 나사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구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 수단에 의한 조절시에, 상기 조절 나사가 상기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제2 연결 부재의 간극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지지 스탠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2개의 가이드 돌출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가이드 돌출봉은 상기 연결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2개의 가이드 돌출봉 사이에 상기 조절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지지 스탠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제4 가동부는 서로 기어 톱니가 서로 맞물려 이루어진 기어 부재 또는 서로 소정의 마찰력으로 결합되어서 이루어진 마찰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지지 스탠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제4 가동부 사이에는 압축 탄성 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지지 스탠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 부재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 모양의 기대 또는 협지(挾持)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지지 스탠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기대는 소정 크기로 이루어진 판 모양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이면에 고정된 양면 점착 테이프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첩착된 화장 플레이트와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며, 이 적층체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제1 지축을 장착하는 설치 부분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지지 스탠드.
KR1020097004098A 2006-09-28 2007-09-25 기기 지지 스탠드 KR101376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66067 2006-09-28
JP2006266067A JP4902306B2 (ja) 2006-09-28 2006-09-28 機器支持スタン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993A true KR20090060993A (ko) 2009-06-15
KR101376870B1 KR101376870B1 (ko) 2014-03-20

Family

ID=3923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098A KR101376870B1 (ko) 2006-09-28 2007-09-25 기기 지지 스탠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76863B2 (ko)
JP (1) JP4902306B2 (ko)
KR (1) KR101376870B1 (ko)
CN (1) CN101516679B (ko)
TW (1) TWI395681B (ko)
WO (1) WO200803862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3979A2 (ko) * 2011-05-09 2012-11-15 (주)하이텍파츠 볼 조인트 및 이를 구비한 장치 거치대
KR102141335B1 (ko) * 2020-04-23 2020-08-05 주식회사 엠티오메가 다용도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3286B2 (ja) * 2007-10-12 2013-02-27 三洋電機株式会社 機器支持スタンド
JP2010038317A (ja) * 2008-08-07 2010-02-18 Funai Electric Co Ltd 支持装置
GB2464352A (en) * 2008-10-17 2010-04-21 Native Design Ltd Media player support
CA2836585A1 (en) * 2011-05-19 2012-11-22 Ergotron, Inc. Display mounting interface system and method of connecting an electronic display to a support
US8857687B1 (en) * 2011-08-11 2014-10-14 Byungseol An Car mount for an electronic device
JP6379376B2 (ja) * 2012-03-07 2018-08-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情報表示システム
US8807409B2 (en) * 2012-12-12 2014-08-19 Htc Corporation Car holder
US9271561B2 (en) * 2013-02-08 2016-03-01 David Chang Apparatus for improving the interchangeability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mongst various supports and related methods
US9468122B2 (en) * 2013-03-13 2016-10-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rtable device holding apparatus
JP5565713B2 (ja) * 2013-04-08 2014-08-06 株式会社ユピテル 車載機器の取り付け具
CN104141868B (zh) * 2013-05-08 2016-04-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车载固定支架
AU357601S (en) * 2014-04-18 2014-09-23 Tomtom Int Bv Mount
CN104442249A (zh) * 2014-12-08 2015-03-25 陈焕祥 一种加气混凝土摆渡车所用车轮支撑架
US9540065B2 (en) * 2015-01-22 2017-01-10 Kevin Stageberg Motorized vehicle mounting device
US9707901B2 (en) * 2015-06-12 2017-07-18 High Gear Specialties, Inc. Portable device support
CN206458971U (zh) * 2016-11-10 2017-09-01 丽宝大数据股份有限公司 固定结构
CN107404328B (zh) * 2017-08-03 2023-02-21 宽兆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窗式无线终端装置
CN107856744B (zh) * 2017-11-09 2020-03-17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车载终端安装结构及车辆
CN112025586A (zh) * 2019-06-03 2020-12-04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旋转装置
CN112180802B (zh) * 2020-10-14 2023-06-23 洁华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多能互补建筑节能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90227A (en) * 1923-12-10 1926-06-29 Clara Gilmer Support for nursing bottles
US1932697A (en) * 1931-01-27 1933-10-31 Jankovic Caroline Mirror supporting device
CH549260A (de) * 1973-05-04 1974-05-15 Baitella Carlo Stativ, insbesondere fuer fuehlhebelmessuhren.
US4836485A (en) * 1987-01-30 1989-06-06 Alliance Research Corporation Universally adjustable mounting device
US4953822A (en) * 1987-05-26 1990-09-04 Eldon Industries, Inc. Adjustable arm structures
JP2513327Y2 (ja) * 1989-10-13 1996-10-02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光学要素切換スライダ―
JPH0391972U (ko) * 1990-01-09 1991-09-19
JPH03116100U (ko) * 1990-03-12 1991-12-02
US5275465A (en) * 1991-11-07 1994-01-04 Chrysalis Incorporated Adjusting mechanism for a chair-mounted computer input device
US5845885A (en) * 1993-12-14 1998-12-08 National Products, Inc. Universally positionable mounting device
US5443237A (en) * 1994-05-06 1995-08-22 Stadtmauer; Seymour H. Computer keyboard support system
JPH08181935A (ja) * 1994-12-22 1996-07-12 Nitto Seiko Co Ltd モニタ設置用スタンド
JP3260589B2 (ja) * 1995-05-23 2002-02-2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取り付け装置
US5566030A (en) * 1995-09-27 1996-10-15 Yue; Chin-Chuan Adjustable mirror support
JP3058611U (ja) 1998-10-21 1999-06-22 株式会社慶洋エンジニアリング 車両用物品支持具
US6173933B1 (en) * 1998-12-09 2001-01-16 Garmin Corporation Multi-position articulating mounting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evice
CN2381095Y (zh) * 1999-06-04 2000-05-31 莹隆光电股份有限公司 可调角度的车用电视架
US6113046A (en) * 1999-08-26 2000-09-05 Wang; James Angle-adjustable, auto-locking apparatus support
JP3511506B2 (ja) * 2000-11-08 2004-03-29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の支持装置
CN2485898Y (zh) * 2001-06-14 2002-04-10 莹隆光电股份有限公司 吸顶式电视架
JP3091972U (ja) 2002-08-07 2003-02-21 株式会社慶洋エンジニアリング 車両用物品支持具
US6672553B1 (en) * 2002-08-26 2004-01-06 Chin-Chih Lin Suspension arm
JP3828086B2 (ja) * 2003-01-10 2006-09-27 株式会社錦織 車載画像表示装置用の取付け具
JP4243551B2 (ja) * 2004-01-15 2009-03-25 ヤック株式会社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の取付け具
JP3116100U (ja) 2005-08-25 2005-11-24 株式会社慶洋エンジニアリング モニタースタンド
JP3116110U (ja) * 2005-08-26 2005-11-24 株式会社創和 ペット用タオ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3979A2 (ko) * 2011-05-09 2012-11-15 (주)하이텍파츠 볼 조인트 및 이를 구비한 장치 거치대
WO2012153979A3 (ko) * 2011-05-09 2013-01-24 (주)하이텍파츠 볼 조인트 및 이를 구비한 장치 거치대
KR102141335B1 (ko) * 2020-04-23 2020-08-05 주식회사 엠티오메가 다용도 거치대
WO2021215587A1 (ko) * 2020-04-23 2021-10-28 주식회사 엠티오메가 다용도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16679A (zh) 2009-08-26
US8276863B2 (en) 2012-10-02
TW200827205A (en) 2008-07-01
CN101516679B (zh) 2011-06-22
WO2008038621A1 (fr) 2008-04-03
KR101376870B1 (ko) 2014-03-20
JP2008081056A (ja) 2008-04-10
JP4902306B2 (ja) 2012-03-21
US20100187273A1 (en) 2010-07-29
TWI395681B (zh) 201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6870B1 (ko) 기기 지지 스탠드
US20110001328A1 (en) Quick release fasteners for a vehicle console
JP2005308221A (ja) 多段組み立て補助ファスナ
EP1514798B1 (en) Fixture device
US20040239574A1 (en) Positioning device for adjustable housing
GB2407121A (en) Glass fixing grommet
JP2008531370A (ja) 構成要素の固定具および固定具の取り付け
US6959943B2 (en) Deflectable airbag housing mounting tabs
JP4130431B2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のモニター取付支持具
JP4708160B2 (ja) 機器取付けスタンド
JP4056516B2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またはテレビのモニターの取付支持具
CN216733915U (zh) 车辆驾驶舱模块组件和滑动齿轮模块
JP2013177086A (ja) 車載ディスプレイ装置の取付構造
JP4217110B2 (ja) 車両用ディスプレイ装置の取付け具
KR20210102702A (ko) 차량용 거치대
CN111391765A (zh) 一种车载计算机显示器安装结构
JP5153286B2 (ja) 機器支持スタンド
CN214492543U (zh) 一种汽车中控表用盖板
JP2764783B2 (ja) 車載用スタンド
JP2006142974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のモニター取付支持具
JP4237548B2 (ja) 車載モニタスタンド、及び、車載モニタ装置
JP2541915B2 (ja) 車載用電気電子機器の操作部の取付構造
JPH0937191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の転倒防止装置
JPH0449000Y2 (ko)
CN218228861U (zh) 姿态调节组件、车载显示终端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