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658A - 버퍼 회로 - Google Patents

버퍼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658A
KR20090059658A KR1020070126635A KR20070126635A KR20090059658A KR 20090059658 A KR20090059658 A KR 20090059658A KR 1020070126635 A KR1020070126635 A KR 1020070126635A KR 20070126635 A KR20070126635 A KR 20070126635A KR 20090059658 A KR20090059658 A KR 20090059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ignal
node
input
reference nod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70126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9658A/ko
Priority to TW097121071A priority patent/TW200926578A/zh
Priority to US12/137,127 priority patent/US20090146697A1/en
Priority to CNA2008101788628A priority patent/CN101453206A/zh
Publication of KR20090059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9/017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 H03K19/01707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in asynchronous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11C7/062Differential amplifiers of non-latching type, e.g. comparators, long-tailed pai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9/017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 H03K19/01707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in asynchronous circuits
    • H03K19/01721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in asynchronous circuits by means of a pull-up or down ele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07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21Interface arrangements of complementary type, e.g. CMOS
    • H03K19/018528Interface arrangements of complementary type, e.g. CMOS with at least one differential s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기준 전압과 입력 신호의 전위차를 감지하여 상기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기준 노드와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입력 노드를 차동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입력 노드의 전위를 출력하는 차동 증폭부; 및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기준 노드에 커플링하는 커플링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입력 신호 또는 기준 전압의 레벨이 낮더라도 버퍼 회로의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고, 버퍼 회로의 동작 속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버퍼 회로{CIRCUIT FOR BUFFERING}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 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는 데이터, 어드레스, 커맨드 등의 외부 신호를 수신하여 내부 로직에 적절한 신호로 변환시키는 버퍼 회로를 구비한다.
종래의 버퍼 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전압 VREF와 입력 신호 IN의 전위차를 감지 증폭하는 차동 증폭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두 PMOS 트랜지스터(P1,P2)가 커런트 미러 구조를 이루어 두 노드(ND1_OLD,ND2_OLD)에 동일 전류가 공급되고, NMOS 트랜지스터(N1,N2)로 각각 입력되는 기준 전압 VREF와 입력 신호 IN의 전위차에 의해 두 노드(ND1_OLD,ND2_OLD)가 차동 증폭된다. 그리고, 증폭된 노드(ND1_OLD)의 전위가 최종적으로 출력 신호 OUT_OLD로 출력된다. 참고로, NMOS 트랜지스터(N3)는 인에이블 신호 EN에 응답하여 바이어스 전류원으로 동작한다.
하지만, 입력 신호 IN의 레벨이 낮은 경우 커런트 미러 구조의 두 PMOS 트랜지스터(P1,P2)가 입력 신호 IN에 둔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특히, 고속 동작의 경 우 버퍼 회로에 구비되는 두 PMOS 트랜지스터(P1,P2)가 입력 신호 IN에 둔감하게 반응한다면, 버퍼 회로의 출력이 지연되어 동작 특성 열화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준 전압 VREF의 레벨이 낮은 경우(예컨대, NMOS 트랜지스터들(N1,N2)의 문턱 전압 레벨 근처인 경우), NMOS 트랜지스터들(N1,N2)이 정상적으로 턴 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NMOS 트랜지스터들(N1,N2)에 의해 흐르는 전류가 제한되어 버퍼 회로의 동작 속도가 느려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낮은 레벨의 입력으로도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한 버퍼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동작 속도가 향상된 버퍼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버퍼 회로는, 기준 전압과 입력 신호의 전위차를 감지하여 상기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기준 노드와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입력 노드를 차동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입력 노드의 전위를 출력하는 차동 증폭부; 및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기준 노드에 커플링하는 커플링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입력 신호로써 상기 기준 노드의 전위를 조절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입력 신호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 노드의 전류량을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입력단과 상기 기준 노드 사이에 커플링되는 최소한 하나의 캐패시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동 증폭부는, 상기 기준 노드와 상기 입력 노드로 동일 전류를 제공하며, 상기 기준 노드의 상태에 따라 상기 동일 전류량을 조절하는 능동 부하;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입력 신호의 전위차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 노드와 상기 입력 노드를 차동 증폭하고, 상기 입력 노드의 전위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차동쌍; 및 상기 증폭에 대한 인에이블 여부 및 동작 시점을 설정하는 바이어스 전류원;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입력 신호로써 상기 기준 노드에 대한 상기 능동 부하의 전류 공급 능력을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능동 부하는 상기 기준 노드의 전위에 따라 전원에서 상기 기준 노드 및 상기 입력 노드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커런트 미러 구조의 두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입력 신호로써 상기 두 트랜지스터 중 상기 기준 노드에 대응되는 트랜지스터의 전류 공급 능력을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버퍼 회로는, 기준 전압과 입력 신호의 전위차를 감지 증폭하는 차동 증폭부; 및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차동 증폭부로 피드백시켜 상기 증폭에 대한 바이어스를 조절하는 커플링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입력 신호의 상태가 변할 때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차동 증폭부로 피드백시켜 상기 바이어스를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동 증폭부는, 상기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기준 노드와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입력 노드로 동일 전류를 제공하며, 상기 기준 노드의 상태에 따라 상기 동일 전류량을 조절하는 능동 부하;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입력 신호의 전위차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 노드와 상기 입력 노드를 차동 증폭하고, 상기 입력 노드의 전위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차동쌍; 및 상기 증폭에 대한 인에이블 여부 및 동작 시점을 설정하는 바이어스 전류원;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입력 신호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여 상 기 바이어스를 결정하는 상기 기준 노드의 전류량을 조절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과 상기 기준 노드에 커플링된 최소한 하나의 캐패시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입력 신호로써 상기 기준 노드에 대한 상기 능동 부하의 전류 공급 능력을 조절하여 상기 바이어스를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능동 부하는 상기 기준 노드의 전위에 따라 전원에서 상기 기준 노드 및 상기 입력 노드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커런트 미러 구조의 두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입력 신호로써 상기 두 트랜지스터 중 상기 기준 노드에 대응되는 트랜지스터의 전류 공급 능력을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입력 신호로써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기준 노드의 전류를 보완함으로써, 입력 신호 또는 기준 전압의 레벨이 낮더라도 버퍼 회로의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입력 신호의 피드백을 통해 차동 증폭 동작에 대한 바이어스를 조절함으로써, 버퍼 회로의 동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입력 신호가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기준 노드에 커플링되어 차동 증폭에 대한 바이어스가 조절되는 버퍼 회로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버퍼 회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전압 VREF와 입력 신호 IN의 전위차를 감지 증폭하는 차동 증폭부(20), 및 입력 신호 IN을 기준 전압 VREF에 대응되는 기준 노드(ND1_NEW)에 커플링하는 커플링부(22)를 포함한다.
차동 증폭부(20)는 기준 전압 VREF와 입력 신호 IN의 전위차를 감지하여 기준 전압 VREF에 대응되는 기준 노드(ND1_NEW)와 입력 신호 IN에 대응되는 입력 노드(ND2_NEW)를 차동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입력 노드(ND2_NEW)의 전위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 신호 OUT_NEW로 출력한다.
이러한 차동 증폭부(20)는 능동 부하, 차동쌍, 및 바이어스 전류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능동 부하는 기준 노드(ND1_NEW)와 입력 노드(ND2_NEW)로 동일 전류를 제공하며, 기준 노드(ND1_NEW)의 상태에 따라 상기 동일 전류량을 조절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 예로서, 전원 전압단 VDD와 기준 노드(ND1_NEW) 사이에 연결되는 PMOS 트랜지스터(P3)와, 전원 전압단 VDD와 입력 노드(ND2_NEW) 사이에 연결되는 PMOS 트랜지스터(P4)를 포함하며, 두 PMOS 트랜지스터(P3,P4)의 게이트가 기준 노드(ND1_NEW)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구성이 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동쌍은 기준 전압 VREF와 입력 신호 IN의 전위차에 대응하여 기준 노드(ND1_NEW)와 입력 노드(ND2_NEW)를 차동 증폭하고, 입력 노드(ND2_NEW)의 전위에 대응되는 출력 신호 OUT_NEW를 출력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 예로서, 기준 전압 VREF을 게이트로 입력받고 기준 노드(ND1_NEW)와 공통 노드(ND_COM) 사이에 연결되는 NMOS 트랜지스터(N4)와, 입력 신호 IN을 게이트로 입력받고 입력 노드(ND2_NEW)와 공통 노드(ND_COM) 사이에 연결되는 NMOS 트랜지스터(N5)를 포함하 는 구성이 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이어스 전류원은 상기 증폭에 대한 인에이블 여부 및 동작 시점을 설정하며, 인에이블 신호 EN에 의해 상기 동작들이 제어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 예로서, 인에이블 신호 EN을 게이트로 입력받고 공통 노드(ND_COM)와 접지 전압단 VSS 사이에 연결되는 NMOS 트랜지스터(N6)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될 수 있다.
커플링부(22)는 입력 신호 IN을 기준 전압 VREF에 대응되는 기준 노드(ND1_NEW)에 커플링함으로써, 차동 증폭부(20)의 바이어스를 조절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커플링부(22)는 입력 신호 IN을 차동 증폭부(20)의 기준 노드(ND1_NEW)로 피드백시켜 기준 노드(ND1_NEW)의 전위를 조절하며, 특히, 입력 신호 IN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여 기준 노드(ND1_NEW)의 전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커플링부(22)는 차동 증폭부(20)가 앞서 살펴본 구조의 능동 부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능동 부하의 전류 공급 능력을 조절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커플링부(22)의 일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신호 IN이 입력되는 입력단과 기준 노드(ND1_NEW)에 커플링되는 최소한 하나의 캐패시터(CP)를 포함한다.
여기서, 캐패시터(CP)는 게이트로 입력 신호 IN를 입력받고 소오스 및 드레인이 기준 노드(ND1_NEW)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NMOS 트랜지스터형 캐패시터일 수 있으며, 캐패시터(CP)로서 상기 NMOS 트랜지스터형 캐패시터 뿐만 아니라 PMOS 트 랜지스터형 캐패시터 또는 다른 어떠한 종류의 캐패시터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퍼 회로의 동작을 도 1의 종래의 버퍼 회로와 비교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도 4는 시간 변화에 따른 기준 전압 VREF, 입력 신호 IN, 입력 노드(ND1_OLD,ND1_NEW), 및 출력 신호 OUT_OLD, OUT_NEW의 레벨 변화를 도시한다.
우선, 입력 신호 IN가 기준 전압 VREF보다 낮은 레벨로 입력되면, NMOS 트랜지스터들(N4,N5)의 상호 구동에 의해 기준 노드(ND1_NEW)는 논리 로우 레벨로 되고, 입력 노드(ND2_NEW)는 논리 하이 레벨로 된다.
이 상태에서, 입력 신호 IN의 레벨이 상승하는 경우, 커플링부(22)를 통해 입력 신호 IN에 대응되는 전원이 기준 노드(ND1_NEW)로 공급되어 기준 노드(ND1_NEW)로 흐르는 전류량이 종래의 기준 노드(ND1_OLD)에 비해 빠르게 상승한다. 그에 따라, 차동 증폭부(20)에 구비되는 두 PMOS 트랜지스터(P3,P4)의 구동 능력이 하강하며, 특히, PMOS 트랜지스터(P4)의 구동 능력이 하강함에 따라 입력 노드(ND2_NEW)의 전위가 빠르게 논리 로우 레벨로 하강한다.
즉, 입력 신호 IN가 기준 전압 VREF보다 낮은 소정 레벨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입력 신호 IN의 레벨이 상승하는 경우, 커플링부(22)를 통해 입력 신호 IN에 대응되는 전원이 기준 노드(ND1_NEW)로 공급됨에 따라 바이어스가 변하여 차동 증폭 동작 시점이 빨라진다. 그에 따라, 출력 신호 OUT_NEW가 종래의 출력 신호 OUT_OLD에 비해 빠르게 논리 로우 레벨로 하강한다.
이후, 입력 신호 IN가 기준 전압 VREF보다 높은 소정 레벨 상태로 유지되면, 커플링부(22)의 동작이 중지되어 입력 신호 IN에 대응되는 전원이 기준 노드(ND1_NEW)로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기준 노드(ND1_NEW)는 논리 하이 레벨로 유지되고, 입력 노드(ND2_NEW)는 논리 로우 레벨로 유지된다.
그리고 나서, 입력 신호 IN의 레벨이 하강하면, 커플링부(22)를 통해 입력 신호 IN에 대응되는 전원이 기준 노드(ND1_NEW)에 커플링되어 기준 노드(ND1_NEW)로 흐르는 전류량이 종래의 기준 노드(ND1_OLD)에 비해 빠르게 줄어든다. 그에 따라, 차동 증폭부(20)에 구비되는 두 PMOS 트랜지스터(P3,P4)의 구동 능력이 향상되며, 특히, PMOS 트랜지스터(P4)의 구동 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입력 노드(ND2_NEW)의 전위가 빠르게 논리 하이 레벨로 상승한다.
즉, 입력 신호 IN가 기준 전압 VREF보다 높은 소정 레벨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입력 신호 IN의 레벨이 하강하는 경우, 커플링부(22)를 통해 입력 신호 IN에 대응되는 전원이 기준 노드(ND1_NEW)에 커플링됨에 따라 바이어스가 변하여 차동 증폭 동작 시점이 빨라진다. 그에 따라, 출력 신호 OUT_NEW가 종래의 출력 신호 OUT_OLD에 비해 빠르게 논리 하이 레벨로 상승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퍼 회로는 입력 신호 IN의 상태가 변할 때 입력 신호 IN에 대응되는 전원을 기준 노드(ND1_NEW)로 공급함으로써, 기준 노드(ND1_NEW)의 전위를 빠르게 변화시킨다.
따라서, 입력 신호 IN 또는 기준 전압 VREF의 레벨이 낮더라도 기준 노드(ND1_NEW)가 정상적인 전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버퍼 회로의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퍼 회로는 입력 신호 IN의 상태가 변할 때 입력 신호 IN를 차동 증폭부(20)의 기준 노드(ND1_NEW)로 피드백시켜 차동 증폭 동작에 대한 바이어스를 순간적으로 변화시킨다.
이때, 바이어스가 변함에 따라 차동 증폭부(20)의 증폭 동작 시점이 빨라지므로, 버퍼 회로의 동작 속도가 향상되어 출력 신호 OUT_NEW가 타겟 레벨로 빠르게 증폭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버퍼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퍼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도 2의 커플링부(22)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퍼 회로의 동작을 종래의 버퍼 회로와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Claims (14)

  1. 기준 전압과 입력 신호의 전위차를 감지하여 상기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기준 노드와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입력 노드를 차동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입력 노드의 전위를 출력하는 차동 증폭부; 및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기준 노드에 커플링하는 커플링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입력 신호로써 상기 기준 노드의 전위를 조절하는 버퍼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입력 신호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 노드의 전류량을 조절하는 버퍼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입력단과 상기 기준 노드 사이에 커플링되는 최소한 하나의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버퍼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증폭부는,
    상기 기준 노드와 상기 입력 노드로 동일 전류를 제공하며, 상기 기준 노드의 상태에 따라 상기 동일 전류량을 조절하는 능동 부하;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입력 신호의 전위차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 노드와 상기 입력 노드를 차동 증폭하고, 상기 입력 노드의 전위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차동쌍; 및
    상기 증폭에 대한 인에이블 여부 및 동작 시점을 설정하는 바이어스 전류원;을 포함하는 버퍼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입력 신호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능동 부하의 전류 공급 능력을 조절하는 버퍼 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부하는 상기 기준 노드의 전위에 따라 전원에서 상기 기준 노드 및 상기 입력 노드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커런트 미러 구조의 두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입력 신호로써 상기 두 트랜지스터의 전류 공급 능력을 조절하는 버퍼 회로.
  8. 기준 전압과 입력 신호의 전위차를 감지 증폭하는 차동 증폭부; 및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차동 증폭부로 피드백시켜 상기 증폭에 대한 바이어스를 조절하는 커플링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입력 신호의 상태가 변할 때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차동 증폭부로 피드백시켜 상기 바이어스를 조절하는 버퍼 회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증폭부는,
    상기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기준 노드와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입력 노드로 동일 전류를 제공하며, 상기 기준 노드의 상태에 따라 상기 동일 전류량을 조절하는 능동 부하;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입력 신호의 전위차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 노드와 상기 입력 노드를 차동 증폭하고, 상기 입력 노드의 전위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차동쌍; 및
    상기 증폭에 대한 인에이블 여부 및 동작 시점을 설정하는 바이어스 전류원;을 포함하는 버퍼 회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입력 신호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바이어스를 결정하는 상기 기준 노드의 전류량을 조절하는 버퍼 회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과 상기 기준 노드에 커플링된 최소한 하나의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버퍼 회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입력 신호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능동 부하의 전류 공급 능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바이어스를 조절하는 버퍼 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부하는 상기 기준 노드의 전위에 따라 전원에서 상기 기준 노드 및 상기 입력 노드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커런트 미러 구조의 두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입력 신호로써 상기 두 트랜지스터에 대응되는 트랜지스터의 전류 공급 능력을 조절하는 버퍼 회로.
KR1020070126635A 2007-12-07 2007-12-07 버퍼 회로 KR20090059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635A KR20090059658A (ko) 2007-12-07 2007-12-07 버퍼 회로
TW097121071A TW200926578A (en) 2007-12-07 2008-06-06 Circuit for buffering having a coupler
US12/137,127 US20090146697A1 (en) 2007-12-07 2008-06-11 Circuit for buffering having a coupler
CNA2008101788628A CN101453206A (zh) 2007-12-07 2008-12-04 具有耦接器的缓冲电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635A KR20090059658A (ko) 2007-12-07 2007-12-07 버퍼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658A true KR20090059658A (ko) 2009-06-11

Family

ID=4072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635A KR20090059658A (ko) 2007-12-07 2007-12-07 버퍼 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146697A1 (ko)
KR (1) KR20090059658A (ko)
CN (1) CN101453206A (ko)
TW (1) TW20092657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101B1 (ko) * 2010-10-12 2012-02-24 주식회사 에이디텍 전원공급장치의 소프트 스타트 회로
TWI499883B (zh) * 2014-03-13 2015-09-11 Himax Tech Ltd 電壓緩衝器
KR20160068562A (ko) * 2014-12-05 2016-06-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증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버퍼 회로
US11025241B2 (en) * 2018-12-20 2021-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arator circuit and mobile device
KR102618526B1 (ko) * 2019-06-21 2023-12-2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수신기, 이를 포함하는 수신 회로,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7685A (en) * 1983-10-21 1985-10-15 Advanced Micro Devices, Inc. Sense amplifier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ies
US5483494A (en) * 1993-04-07 1996-01-09 Kabushiki Kaisha Toshib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reduced delay in reading data after changing from standby to an operation mode
KR100256120B1 (ko) * 1993-09-22 2000-05-15 김영환 고속 감지 증폭기
US5568438A (en) * 1995-07-18 1996-10-22 Analog Devices, Inc. Sense amplifier with offset autonulling
US5847581A (en) * 1996-12-31 1998-12-08 Intel Corporation Low power CMOS precision input receiver with integrated reference
US6122212A (en) * 1998-05-01 2000-09-19 Winbond Electronics Corporation Sense amplifier with feedbox mechanism
US6774721B1 (en) * 2003-03-07 2004-08-10 Quake Technologies, Inc. High speed logic circuits
US7187196B2 (en) * 2003-11-18 2007-03-06 Infineon Technologies Ag Low rise/fall skewed input buffer compensating process variation
US7154318B2 (en) * 2003-11-18 2006-12-26 Stmicroelectronics Pvt. Ltd. Input/output block with programmable hysteresis
US7298180B2 (en) * 2005-11-17 2007-11-2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Latch type sense ampl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53206A (zh) 2009-06-10
US20090146697A1 (en) 2009-06-11
TW200926578A (en) 200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5300B2 (ja) 内部降圧回路
JPH11231954A (ja) 内部電源電圧発生回路
JP2009290844A (ja) 増幅器、オフセット調整回路
KR100718044B1 (ko) 반도체 장치의 입력회로
KR20090059658A (ko) 버퍼 회로
US20080174290A1 (en) Voltage generation circuit
US8130034B2 (en) Rail-to-rail amplifier
KR100925368B1 (ko) 센스앰프 전압 공급 회로 및 그의 구동 방법
US7944300B2 (en) Bias circuit and amplifier providing constant output current for a range of common mode inputs
WO2017051490A1 (ja) 通信ノード
US7710162B2 (en) Differential amplifier
TW201715326A (zh) 具有經調節偏壓電流放大器的穩壓器
US11489500B2 (en) Differential amplifier
US6586986B2 (en) Circuit for generating internal power voltage in a semiconductor device
US7573755B2 (en) Data amplifying circuit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100866133B1 (ko) 입력 버퍼 회로
KR100833186B1 (ko) 증폭 회로, 및 증폭 회로의 바이어스 전압 발생 방법
JP3968818B2 (ja) アンプ
KR20150025780A (ko) 반도체 장치의 증폭 회로
JP5402368B2 (ja) 差動増幅装置
KR100365426B1 (ko) 고이득 저전류 센스 증폭기
KR20070115054A (ko) 반도체 메모리의 차동 증폭기
KR10076638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증폭 회로
KR100920833B1 (ko) 반도체 집적 회로의 입력 버퍼
KR100771547B1 (ko) 반도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626

Effective date: 2010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