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133B1 - 입력 버퍼 회로 - Google Patents

입력 버퍼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133B1
KR100866133B1 KR1020060137172A KR20060137172A KR100866133B1 KR 100866133 B1 KR100866133 B1 KR 100866133B1 KR 1020060137172 A KR1020060137172 A KR 1020060137172A KR 20060137172 A KR20060137172 A KR 20060137172A KR 100866133 B1 KR100866133 B1 KR 100866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voltage
common node
enable signal
nod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7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1957A (ko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137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133B1/ko
Publication of KR20080061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4Data in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07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21Interface arrangements of complementary type, e.g. CMOS
    • H03K19/018528Interface arrangements of complementary type, e.g. CMOS with at least one differential s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기준 전압으로써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동 증폭 구조의 입력 버퍼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기준 전압의 레벨 변동에 대응되는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 및 입력 신호를 외부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출력하며,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출력이 제어되는 버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력 버퍼 회로{INPUT BUFFER CIRCUIT}
도 1은 종래의 입력 버퍼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입력 버퍼 회로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의 내부 기준 전압 생성부(11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도 2의 기준 전압 비교부(12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도 2의 버퍼(2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6a 및 도 6b는 내부 기준 전압 VINREF을 기준으로 외부 기준 전압 VEXTREF의 레벨 변동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본 발명은 입력 버퍼 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기준 전압으로써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동 증폭 구조의 입력 버퍼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력 버퍼 회로는 외부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내부에서 사용되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로직 레벨 등으로 바꾸는 회로이다.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입력되는 신호는 TTL(Transistor Transistor Logic) 레벨이고,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에서 사용되는 신호는 CMOS 레벨이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입력되는 신호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에서 그대로 사용될 수 없으므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전압 레벨을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에 맞는 전압 레벨로 변환해주는 입력 버퍼 회로가 사용된다.
종래의 입력 버퍼 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동 증폭 구조로 이루어지며,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 IN와 외부 기준 전압 VEXTREF을 비교하여 차동 이득만큼 증폭함으로써, 상기 증폭에 대응되는 CMOS 레벨의 신호 OUT를 출력한다.
도 1에서, 인에이블 신호 EN1는 동작 초기화와 입력 버퍼 회로의 구동 및 바이어스 전류량을 제어한다. 그리고, 외부 기준 전압 VEXTREF은 외부와의 인터페이스(interface) 상황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신호이다.
이러한 종래의 입력 버퍼 회로는 외부 기준 전압 VEXTREF의 레벨이 가변되는 경우, 인에이블 신호 EN1를 입력받는 MOS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메탈 옵션(MO)을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바이어스 전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외부 기준 전압 VEXTREF의 레벨이 가변되어 출력 신호 OUT의 특성이 나빠지는 경우, 메탈 옵션(MO)을 연결하여 이득을 증가시킴으로써 출력 신호 OUT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하지만, 외부 기준 전압 VEXTREF 레벨의 가변에 따른 메탈 옵션(MO)의 수정은 레이아웃 수정을 통해서만 가능하므로, 제조 시간 및 비용 측면에서 불리한 문 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아웃 수정 없이 기준 전압 특성을 개선하여 제조 시간 및 비용 낭비를 줄이고자 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입력 버퍼 회로는, 외부 기준 전압의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외부 기준 전압의 레벨 변동에 대응되는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 및 제 1 바이어스 전류로써 입력 신호를 외부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출력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류를 조절하여 상기 출력 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버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는, 외부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내부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내부 기준 전압 생성부; 및 상기 외부 기준 전압을 상기 내부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 전압 비교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의 구성에서, 상기 내부 기준 전압 생성부는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저항비로 분배하여 상기 내부 기준 전압으로 출력하는 분배 수단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준 전압 비교부는 상기 내부 기준 전압과 상기 외부 기준 전압을 차동 증폭하여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차동 증폭 수단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차동 증폭 수단은,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이 공급되는 라인과 연결되어 제 1 및 제 2 노드에 동일한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부하; 공통 노드와 접지 전압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제 2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전류원; 및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와 상기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내부 기준 전압과 상기 외부 기준 전압의 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1 차동쌍;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노드로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차동 증폭 수단의 구성에서, 상기 제 1 부하는 상기 전원 전압 라인과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 사이에 커런트 미러 구조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차동쌍은, 상기 내부 기준 전압에 의해 상기 제 1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외부 기준 전압에 의해 상기 제 2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퍼는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외부 기준 전압을 차동 증폭하며,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상기 출력 신호의 레벨이 조절되는 제 2 차동 증폭 수단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퍼의 구성에서, 상기 제 2 차동 증폭 수단은 상기 외부 기준 전압의 레벨이 상기 내부 기준 전압 레벨보다 상승하면,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상기 출력 신호를 상기 내부 기준 전압 레벨로 하강시킴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2 차동 증폭 수단은, 전원 전압 라인과 연결되어 제 3 및 제 4 노드에 동일한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부하; 공통 노드와 접지 전압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전류원; 상기 인에이블 신호로써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바이어스 조절 수단; 및 상기 제 3 및 제 4 노드와 상기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외부 기준 전압의 차에 대응하여 상기 제 3 및 제 4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2 차동쌍;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상기 제 4 노드로 상기 출력 신호를 출력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차동 증폭 수단의 구성에서, 상기 제 2 부하는 상기 전원 전압 라인과 상기 제 3 및 제 4 노드 사이에 커런트 미러 구조로 연결된 제 3 및 제 4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이어스 조절 수단은 상기 인에이블 신호로써 상기 공통 노드와 상기 접지 전압 라인 사이에 전류 패스를 형성하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차동쌍은, 상기 내부 기준 전압에 의해 상기 제 3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4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외부 기준 전압에 의해 상기 제 4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5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입력 버퍼 회로는, 외부 전원 전압을 분배하여 내부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내부 기준 전압 생성부; 외부 기준 전압을 상기 내부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차동 증폭 수단; 및 제 1 바이어스 전류로써 입력 신호를 상기 외부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출력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류를 조절하여 상기 출력 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제 2 차동 증폭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제 1 차동 증폭 수단은,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이 공급되는 라인과 연결되어 제 1 및 제 2 노드에 동일한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부하; 공통 노드와 접지 전압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제 2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전류원; 및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와 상기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내부 기준 전압과 상기 외부 기준 전압의 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1 차동쌍;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노드로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차동 증폭 수단의 구성에서, 상기 제 1 부하는 상기 전원 전압 라인과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 사이에 커런트 미러 구조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차동쌍은, 상기 내부 기준 전압에 의해 상기 제 1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외부 기준 전압에 의해 상기 제 2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차동 증폭 수단은 상기 외부 기준 전압의 레벨이 상기 내부 기준 전압 레벨보다 상승하면,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상기 출력 신호를 상기 내부 기준 전압 레벨로 하강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차동 증폭 수단은,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이 공급되는 라인과 연결되어 제 3 및 제 4 노드에 동일한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부하; 공통 노드와 접지 전압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전류원; 상기 인에이블 신호로써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바이어스 조절 수단; 및 상기 제 3 및 제 4 노드와 상기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외부 기준 전압의 차에 대응하여 상기 제 3 및 제 4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2 차동쌍;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상기 제 4 노드로 상기 출력 신호를 출력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차동 증폭 수단의 구성에서, 상기 제 2 부하는 상기 전원 전압 라인과 상기 제 3 및 제 4 노드 사이에 커런트 미러 구조로 연결된 제 3 및 제 4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이어스 조절 수단은 상기 인에이블 신호로써 상기 공통 노드와 상기 접지 전압 라인 사이에 전류 패스를 형성하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차동쌍은, 상기 내부 기준 전압에 의해 상기 제 3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4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외부 기준 전압에 의해 상기 제 4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5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입력 버퍼 회로는 외부 기준 전압의 레벨 변동을 검출하여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로써 출력 신호의 레벨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입력 버퍼 회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기준 전압 VEXTREF의 레벨 변동에 대응되는 인에이블 신호 EN2를 제공하는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100)와, 입력 신호 IN를 외부 기준 전압 VEXTREF과 비교하여 출력 신호 OUTN를 출력하고 인에이블 신호 EN2에 따라 출력 신호 OUTN의 레벨을 조절하는 버퍼(200)를 포함한다.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100)는 내부 기준 전압 VINREF을 생성하는 내부 기준 전압 생성부(110)와, 내부 기준 전압 VINREF과 외부 기준 전압 VEXTREF의 레벨을 비교하여 인에이블 신호 EN2를 생성하는 기준 전압 비교부(120)를 포함한다.
내부 기준 전압 생성부(110)는 전원 전압 VDD을 저항비로 분배하여 내부 기준 전압 VINREF을 생성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전압 VDD 라인과 접지 전압 VSS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된 두 저항(R1,R2)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준 전압 비교부(120)는 내부 기준 전압 VINREF과 외부 기준 전압 VEXTREF를 차동 증폭하여 인에이블 신호 EN2를 생성하며, 도 4와 같은 차동 증폭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준 전압 비교부(120)는 인에이블 신호 EN1로써 두 노드(ND1,ND2)를 초기화시키는 두 PMOS 트랜지스터(P1,P2), 두 노드(ND1,ND2)에 동일한 전류를 공급하는 두 PMOS 트랜지스터(P3,P4), 인에이블 신호 EN1로써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NMOS 트랜지스터(N1), 및 내부 기준 전압 VINREF과 외부 기준 전 압 VEXTREF의 차에 대응하여 두 노드(ND1,ND2)에서 공통 노드(ND_COMM1)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두 NMOS 트랜지스터(N2,N3)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두 PMOS 트랜지스터(P1,P2)는 전원 전압 VDD 라인과 노드(ND1) 사이, 그리고, 전원 전압 VDD 라인과 노드(ND2) 사이에 각각 연결되며, 인에이블 신호 EN1가 디스에이블될 때 두 노드(ND1,ND2)를 풀 업시킨다.
그리고, 두 PMOS 트랜지스터(P3,P4)는 전원 전압 VDD 라인과 노드(ND1) 사이, 그리고, 전원 전압 VDD 라인과 노드(ND2) 사이에 각각 연결되며, 노드(ND1)의 전위에 의해 커런트 미러로 동작한다.
또한, NMOS 트랜지스터(N1)는 공통 노드(ND_COMM1)와 접지 전압 VSS 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인에이블 신호 EN1가 인에이블될 때 일정한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으로 동작한다.
아울러, 두 NMOS 트랜지스터(N2,N3)는 노드(ND1)와 공통 노드(ND_COMM1), 그리고, 노드(ND2)와 공통 노드(ND_COMM1) 사이에 각각 연결되며, 내부 기준 전압 VINREF과 외부 기준 전압 VEXTREF에 의해 차동쌍으로 동작한다.
한편, 버퍼(200)는 입력 신호 IN와 외부 기준 전압 VEXTREF을 차동 증폭하며, 인에이블 신호 EN2에 의해 출력 신호 OUTN의 레벨을 조절하는 도 5와 같은 차동 증폭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버퍼(200)는 인에이블 신호 EN1로써 두 노드(ND3,ND4)를 초기화시키는 두 PMOS 트랜지스터(P5,P6), 두 노드(ND3,ND4)에 동일한 전류를 공급하는 두 PMOS 트랜지스터(P7,P8), 인에이블 신호 EN1로써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 는 NMOS 트랜지스터(N4), 인에이블 신호 EN2로써 상기 바이어스 전류를 조절하는 NMOS 트랜지스터(N5), 및 입력 신호 IN와 외부 기준 전압 VEXTREF의 차에 대응하여 두 노드(ND3,ND4)에서 공통 노드(ND_COMM2)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두 NMOS 트랜지스터(N6,N7)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두 PMOS 트랜지스터(P5,P6)는 전원 전압 VDD 라인과 노드(ND3) 사이, 그리고, 전원 전압 VDD 라인과 노드(ND4) 사이에 각각 연결되며, 인에이블 신호 EN1가 디스에이블될 때 두 노드(ND3,ND4)를 풀 업시킨다.
그리고, 두 PMOS 트랜지스터(P7,P8)는 전원 전압 VDD 라인과 노드(ND3) 사이, 그리고, 전원 전압 VDD 라인과 노드(ND4) 사이에 각각 연결되며, 노드(ND3)의 전위에 의해 커런트 미러로 동작한다.
또한, NMOS 트랜지스터(N4)는 공통 노드(ND_COMM2)와 접지 전압 VSS 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인에이블 신호 EN1가 인에이블될 때 일정한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으로 동작한다.
그리고, NMOS 트랜지스터(N5)는 공통 노드(ND_COMM2)와 접지 전압 VSS 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인에이블 신호 EN2에 의해 공통 노드(ND_COMM2)와 접지 전압 VSS 라인 사이에 전류 패스를 형성시킨다.
아울러, 두 NMOS 트랜지스터(N6,N7)는 노드(ND3)와 공통 노드(ND_COMM2), 그리고, 노드(ND4)와 공통 노드(ND_COMM2) 사이에 각각 연결되며, 입력 신호 IN와 외부 기준 전압 VEXTREF에 의해 차동쌍으로 동작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본 발명의 입력 버퍼 회로의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 와 같다.
우선, 내부 기준 전압 생성부(110)은 외부 전원 전압 VDD을 분배하여 타겟 전압인 내부 기준 전압 VINREF을 생성한다. 만약, 저항(R1)이 0.3*R이고 저항(R2)이 0.7*R 이라면, 내부 기준 전압 VINREF은 0.7*VDD 레벨을 갖는다.
이하 설명에서는 슈도 오픈 드레인(pseudo open drain) 방식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준 전압인 0.7*VDD 레벨을 내부 기준 전압 VINREF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기준 전압 비교부(120)는 도 6a와 같이 외부 기준 전압 VEXTREF의 레벨이 내부 기준 전압 VINREF의 레벨보다 낮으면 인에이블 신호 EN2를 디스에이블시키고, 도 6b와 같이 외부 기준 전압 VEXTREF의 레벨이 내부 기준 전압 VINREF의 레벨보다 높으면 인에이블 신호 EN2를 인에이블시킨다.
즉, 외부 기준 전압 VEXTREF이 0.7*VDD에서 (0.7-X)*VDD 레벨로 하강하면, 기준 전압 비교부(120)의 차동 증폭 동작에 의해 인에이블 신호 EN2는 접지 전압 VSS 레벨로 하강한다.
그리고, 외부 기준 전압 VEXTREF이 0.7*VDD에서 (0.7+X)*VDD 레벨로 상승하면, 기준 전압 비교부(120)의 차동 증폭 동작에 의해 인에이블 신호 EN2는 전원 전압 VDD 레벨로 상승한다.
이와 같이 인에이블 신호 EN2가 디스에이블되면 버퍼(200)에서 NMOS 트랜지스터(N7)가 턴 오프되어 NMOS 트랜지스터(N6)에 의한 바이어스 전류가 그대로 사용되고, 인에이블 신호 EN2가 인에이블되면 버퍼(200)에서 NMOS 트랜지스터(N7)가 턴 온되어 상기 바이어스 전류량을 증가시킨다.
즉, NMOS 트랜지스터(N6)가 턴 온된 상태에서 인에이블 신호 EN2가 인에이블되면, NMOS 트랜지스터(N7)에 의해 공통 노드(ND_COMM2)와 접지 전압 VSS 라인 사이에 전류 패스가 하나 더 형성되므로, 공통 노드(ND_COMM2)에서 접지 전압 VSS 라인으로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의 양이 증가한다.
따라서, 외부 기준 전압 VEXTREF이 (0.7+X)*VDD 레벨로 상승하더라도 NMOS 트랜지스터(N7)에 의해 바이어스 전류량이 증가하여 출력 전압 OUTN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력 버퍼 회로는 외부 기준 전압 VEXTREF의 레벨 변동을 감지하여 인에이블 신호 EN2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킴으로써, 버퍼(200)의 차동 증폭에 이용되는 바이어스 전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입력 버퍼 회로는 레이아웃 변경 없이 외부 기준 전압 VEXTREF의 레벨 변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바이어스 전류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외부 기준 전압 VEXTREF과 출력 전압 OUTN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이아웃 수정 없이 내부 기준 전압 VINREF과 외부 기준 전압 VEXTREF의 레벨 비교를 통해 출력 전압 OUTN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레이아웃 수정에 따른 제조 시간 및 비용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22)

  1. 외부 기준 전압의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외부 기준 전압의 레벨 변동에 대응되는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 및
    제 1 바이어스 전류로써 입력 신호를 외부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출력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류를 조절하여 상기 출력 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버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는,
    외부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내부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내부 기준 전압 생성부; 및
    상기 외부 기준 전압을 상기 내부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 전압 비교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기준 전압 생성부는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저항비로 분배하여 상기 내부 기준 전압으로 출력하는 분배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 비교부는 상기 내부 기준 전압과 상기 외부 기준 전압을 차동 증폭하여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차동 증폭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동 증폭 수단은,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이 공급되는 라인과 연결되어 제 1 및 제 2 노드에 동일한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부하;
    공통 노드와 접지 전압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제 2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전류원; 및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와 상기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내부 기준 전압과 상기 외부 기준 전압의 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1 차동쌍;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노드로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하는 상기 전원 전압 라인과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 사이에 커런트 미러 구조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동쌍은,
    상기 내부 기준 전압에 의해 상기 제 1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외부 기준 전압에 의해 상기 제 2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는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외부 기준 전압을 차동 증폭하며,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상기 출력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제 2 차동 증폭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동 증폭 수단은 상기 외부 기준 전압의 레벨이 상기 내부 기준 전압의 레벨보다 상승하면,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상기 출력 신호의 레벨을 상기 내부 기준 전압의 레벨로 하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동 증폭 수단은,
    전원 전압 라인과 연결되어 제 3 및 제 4 노드에 동일한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부하;
    공통 노드와 접지 전압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전류원;
    상기 인에이블 신호로써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바이어스 조절 수단; 및
    상기 제 3 및 제 4 노드와 상기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외부 기준 전압의 차에 대응하여 상기 제 3 및 제 4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2 차동쌍;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상기 제 4 노드로 상기 출력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하는 상기 전원 전압 라인과 상기 제 3 및 제 4 노드 사이에 커런트 미러 구조로 연결된 제 3 및 제 4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조절 수단은 상기 인에이블 신호로써 상기 공통 노드와 상기 접지 전압 라인 사이에 전류 패스를 형성하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동쌍은,
    상기 내부 기준 전압에 의해 상기 제 3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4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외부 기준 전압에 의해 상기 제 4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5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14. 외부 전원 전압을 분배하여 내부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내부 기준 전압 생성부;
    외부 기준 전압을 상기 내부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차동 증폭 수단; 및
    제 1 바이어스 전류로써 입력 신호를 상기 외부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출력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류를 조절하여 상기 출력 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제 2 차동 증폭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동 증폭 수단은,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이 공급되는 라인과 연결되어 제 1 및 제 2 노드에 동일한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부하;
    공통 노드와 접지 전압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제 2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전류원; 및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와 상기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내부 기준 전압과 상기 외부 기준 전압의 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1 차동쌍;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노드로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하는 상기 전원 전압 라인과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 사이에 커런트 미러 구조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동쌍은,
    상기 내부 기준 전압에 의해 상기 제 1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외부 기준 전압에 의해 상기 제 2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동 증폭 수단은 상기 외부 기준 전압의 레벨이 상기 내부 기준 전압 레벨보다 상승하면,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상기 출력 신호를 상기 내부 기준 전압 레벨로 하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동 증폭 수단은,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이 공급되는 라인과 연결되어 제 3 및 제 4 노드에 동일한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부하;
    공통 노드와 접지 전압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전류원;
    상기 인에이블 신호로써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바이어스 조절 수단; 및
    상기 제 3 및 제 4 노드와 상기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외부 기준 전압의 차에 대응하여 상기 제 3 및 제 4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2 차동쌍;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상기 제 4 노드로 상기 출력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하는 상기 전원 전압 라인과 상기 제 3 및 제 4 노드 사이에 커런트 미러 구조로 연결된 제 3 및 제 4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조절 수단은 상기 인에이블 신호로써 상기 공통 노드와 상기 접지 전압 라인 사이에 전류 패스를 형성하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동쌍은,
    상기 내부 기준 전압에 의해 상기 제 3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4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외부 기준 전압에 의해 상기 제 4 노드에서 상기 공통 노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 5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KR1020060137172A 2006-12-28 2006-12-28 입력 버퍼 회로 KR100866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172A KR100866133B1 (ko) 2006-12-28 2006-12-28 입력 버퍼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172A KR100866133B1 (ko) 2006-12-28 2006-12-28 입력 버퍼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957A KR20080061957A (ko) 2008-07-03
KR100866133B1 true KR100866133B1 (ko) 2008-10-31

Family

ID=39814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7172A KR100866133B1 (ko) 2006-12-28 2006-12-28 입력 버퍼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1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935B1 (ko) * 2009-06-05 2012-04-2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658B1 (ko) 2008-11-13 2010-11-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버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334A (ko) * 2002-03-29 2003-10-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차동증폭형 입력 버퍼
KR20060026509A (ko) * 2004-09-20 2006-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준 전압 변화에 따른 출력 특성 보정이 가능한 입력버퍼 및 출력 특성 보정이 가능한 입력 버퍼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334A (ko) * 2002-03-29 2003-10-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차동증폭형 입력 버퍼
KR20060026509A (ko) * 2004-09-20 2006-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준 전압 변화에 따른 출력 특성 보정이 가능한 입력버퍼 및 출력 특성 보정이 가능한 입력 버퍼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935B1 (ko) * 2009-06-05 2012-04-2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957A (ko)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9365B2 (en) Signal determining apparatus including amplifier circuit with variable response speed
US7642810B2 (en) Input circuit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8405460B2 (en) Circuitry for biasing amplifiers
US8130034B2 (en) Rail-to-rail amplifier
US6836155B2 (en) Current sense amplifier
KR100866133B1 (ko) 입력 버퍼 회로
US7768307B2 (en) Current mode logic-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onverter
US8878609B2 (en)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US20090146697A1 (en) Circuit for buffering having a coupler
US20070024367A1 (en) Operational amplifier and constant-current generation circuit using the same
US7944240B2 (en) Buffer of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US7710162B2 (en) Differential amplifier
KR100748459B1 (ko) 반도체 메모리의 벌크 전압 레벨 감지 장치
US20210305954A1 (en) Differential amplifier
US7030696B2 (en) Differential amplifier and semiconductor device
KR20170094683A (ko) 버퍼 회로
US7071772B2 (en) Differential amplifier
KR100833186B1 (ko) 증폭 회로, 및 증폭 회로의 바이어스 전압 발생 방법
KR100598017B1 (ko) 기준 전압 변화에 따른 출력 특성 보정이 가능한 입력버퍼 및 출력 특성 보정이 가능한 입력 버퍼링 방법
KR20080003048A (ko) 기준 전압 발생 회로
US9673758B2 (en)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TWI739489B (zh) 輸入接收器
JP2006050638A (ja) 対称パルス信号発生器
US8081012B2 (en) Semiconductor buffer circuit with variable driving capability according to external voltage
KR20110098038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버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