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736A -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및 이미지 드럼 - Google Patents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및 이미지 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736A
KR20090048736A KR1020070114747A KR20070114747A KR20090048736A KR 20090048736 A KR20090048736 A KR 20090048736A KR 1020070114747 A KR1020070114747 A KR 1020070114747A KR 20070114747 A KR20070114747 A KR 20070114747A KR 20090048736 A KR20090048736 A KR 20090048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drum body
insulating layer
drum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6389B1 (ko
Inventor
윤응률
백계동
신규호
최진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4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389B1/ko
Priority to US12/133,414 priority patent/US8051561B2/en
Publication of KR20090048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3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1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relating to dr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 Y10T29/49139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by inserting component lead or terminal into base aper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47Assembling terminal to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69Assembling electrical component directly to terminal or elongated condu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227Insulator m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은,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슬롯을 구비한 원통형 드럼몸체를 준비하는 단계; 다수의 단자를 갖춘 제어회로기판의 단자들이 드럼몸체의 슬롯에 위치하도록 제어회로기판을 드럼몸체의 내부에 고정부재로 고정하는 단계; 드럼몸체의 외주면 전체에 감광제를 도포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어회로기판의 단자들이 위치하는 절연층 부분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으로 제거하여 연결부들을 형성하는 단계; 연결부들이 위치하는 드럼몸체의 외주면에 절연층을 기저부(베이스)로 하는 전극 형성용 홈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전극 형성용 홈들이 형성된 드럼몸체의 외주면에 유동성의 도전물질을 도포하여 도전물질이 모세관력(capillary force)에 의해 전극 형성용 홈들에 각각 스며들게 함으로써 연결부를 통해 제어회로기판의 단자와 연결되는 링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상, 이미지, 드럼, 링전극, 포토리소그래피, 모세관, 감광체, 절연

Description

이미 드럼 제조방법 및 이미지 드럼{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DRUM AND IMAGE DRUM}
본 발명은 다이렉트 프린팅 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이미지 드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미지 드럼에 관한 것이다.
다이렉트 프린팅 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이미지 드럼에 직접 이미지 신호를 인가하여 잠상을 형성한 후, 이를 현상하여 이미지를 형성한다. 따라서,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필요한 노광장치나 대전장치 등이 불필요하며, 프로세스적으로 안정된 특성을 가지고 있어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다이렉트 프린팅 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이미지 드럼은 원통 형상의 드럼몸체, 이 드럼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링전극 및 상기 드럼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회로기판 등을 구비한다.
상기 드럼몸체는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다. 다수의 링전극은 드럼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연층에 의해 이웃하는 전극끼리 절연되며, 또한 드럼몸체와도 절연된다. 상기 각각의 링전극은 드럼몸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제어회로기판에 마련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회로기판의 단자와 상기 각각의 링전극은 제브라 스트립(zebra-strip)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회로기판은 화상 정보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링전극에 적절한 전압을 인가하며, 이에 의해 이미지 드럼에는 소정의 잠상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이미지 드럼은 정밀한 표면처리, 레이저 빔, 전자 빔 또는 다이아몬드 절삭기구를 이용한 미세 패턴 가공과 드릴링, 에폭시 및 유전막 코팅, 도전성 입자 도포 공정 등을 필요로 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이미지 드럼은 제어회로기판을 구성하는 다층 PCB와 링전극을 드럼몸체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제브라 스트립으로 연결하고 있는데, 이는 본딩력이 낮을 뿐만 아니라 열적 스트레스를 유발함으로써 신뢰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이미지 드럼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어회로기판의 단자와 링전극 연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미지 드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은,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슬롯을 구비한 원통형 드럼몸체를 준비하는 단계; 다수의 단자를 갖춘 제어회로기판의 상기 단자들이 상기 드럼몸체의 슬롯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어회로기판을 상기 드럼몸체의 내부에 고정부재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드럼몸체의 외주면 전체에 제 1 절연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제 1 절연층의 상기 제어회로기판의 단자들이 위치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연결부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결부들이 위치하는 상기 드럼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제 1 절연층을 기저부(베이스)로 하는 전극 형성용 홈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 형성용 홈들이 형성된 드럼몸체의 외주면에 유동성의 도전물질을 도포하여 상기 도전물질이 모세관력(capillary force)에 의해 상기 전극 형성용 홈들에 각각 스며들게 함으로 써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단자와 연결되는 링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 형성용 홈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부가 형성된 드럼몸체의 상기 제 1 절연층 위에 제 2 절연층으로서의 포토레지스트를 코팅하는 단계; 패터닝된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의 전극 형성용 홈 영역을 노광하는 단계; 및 노광된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절연층은 포토레지스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 1 절연층의 포토레지스트는 상기 제 2 절연층의 포토레지스트보다 친수성(hydrophilic)이 더 좋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들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절연층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 1 절연층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패럴린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연결부들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절연층을 레이저 빔 또는 전자 빔(E-beam)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링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드럼몸체의 외주면에 유동성의 도전물질을 도포한 후 제 2 절연층 위에 존재하는 도전물질을 제거하는 블레이딩 과정과, 각 전극 형성용 홈에 충전된 도전물질을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링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후, 링전극이 형성된 상기 드 럼몸체의 외주면에 유전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드럼몸체의 재질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플라스틱계일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는 절연성의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은,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슬롯을 구비한 원통형 드럼몸체를 준비하는 단계; 다수의 단자를 갖춘 제어회로기판의 상기 단자들이 상기 드럼몸체의 슬롯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어회로기판을 상기 드럼몸체의 내부에 고정부재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드럼몸체의 외주면 전체에 절연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의 상기 제어회로기판의 단자들이 위치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연결부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들이 위치하는 상기 드럼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절연층을 기저부(베이스)로 하는 전극 형성용 홈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 형성용 홈들이 형성된 드럼몸체의 외주면에 유동성의 도전물질을 도포하여 상기 도전물질이 모세관력(capillary force)에 의해 상기 전극 형성용 홈들에 각각 스며들게 함으로써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단자와 연결되는 링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절연층은 포토레지스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전극 형성용 홈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패터닝된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의 전극 형성용 홈 영역을 노광하는 단계; 및 노광된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미지 드럼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아래에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드럼(1)은 원통형 드럼몸체(10), 상기 드럼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회로기판(20) 및 상기 드럼몸체(1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링전극(30) 등을 구비한다.
상기 드럼몸체(10)는 열전도도 및 기계적 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플라스틱계 등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드럼몸체(1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11)이 형성된다.
상기 제어회로기판(20)은 그 일측면에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단자(21)을 구비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어회로기판(20)에는 다수의 제어칩이 실장된다. 상기 다수의 단자(21)들이 상기 드럼몸체(10)의 슬롯(11)에 위치하도록 제어회로기판(20)은 상기 드럼몸체(10)의 내부에 고정부재(40)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40)로는 절연성의 에폭시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자(21)들은 제어회로기판(20)에 일정간격을 두고 미세패턴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이미지 드럼이 채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해상도와 후술되는 링전극에 대한 제조공정의 한계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단자(21)들의 피치는 20~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해상도가 600dpi인 경우 상기 단자(21)들의 피치는 42.3㎛이다.
상기 다수의 링전극(30)은 이웃하는 전극끼리의 절연 및 드럼몸체(10)와의 절연을 위하여 상기 드럼몸체(10)의 외주면에 코팅된 절연층(50)의 개재하에 드럼몸체(10)의 외주면에 상기 제어회로기판(20)의 단자(21)들과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자세히 후술되겠지만, 상기 각각의 링전극(30)들은 상기 절연층(50)의 일부분, 즉 상기 단자(21)들이 위치하는 절연층(50) 부분이 선택적으로 제거됨으로써 형성된 연결부(51)를 통하여 제어회로기판(20)의 단자(21)들과 일대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어회로기판(20)을 통한 각각의 링전극(30)으로의 개별적인 전압인가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시예에서는 단층구조의 제어회로기판(20)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어회로기판(20)은 2층 이상의 다층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다층구조의 제어회로기판은 다수의 단자들이 2열 이상으로 겹치지 않도록 엇갈리게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드럼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결부(51)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일괄적으로 형성하며, 이 연결부(51) 형성과 동시에 다수의 링전극 형성용 홈(52)을 드럼몸체(10)의 외주면에 일괄적으로 형성한다(도 4c 참조). 그리고, 다수의 링전극(30)을 형성함에 있어서도 드럼몸체(10)의 외주면에 유동성의 도전물질을 공급하여 이 도전물질이 다수의 링전극 형성용 홈(52)에 모세관력(capillary force)에 의해 스며들게 하여 일괄로 형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을 도 4a 내지 4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4a 내지 4f 각각에서 위쪽의 도면은 제어회로기판(20)의 단자와 드럼몸체(10)와의 관계를 보이기 위하여 드럼몸체(10)의 슬롯(11)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고, 아래쪽 도면은 드럼몸체(10)의 다른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의 첫 단계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슬롯(11)을 가지는 원통형 드럼몸체(10)를 준비하는 것이다. 이 때, 다수의 단자(21)들을 갖춘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의 제어회로기판(20)도 함께 준비한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드럼몸체(10)의 내부에 상기 제어회로기판(20)의 다수의 단자(21)들이 상기 드럼몸체(10)의 슬롯(11)에 위치하도록 제어회로기판(20)을 절연성의 에폭시 수지 등과 같은 고정부재(40)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한다.
그런 다음,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몸체(10)의 외주면 전체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여 소정두께의 절연층(50)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층(50)의 두께는 1~10㎛ 정도로 한다.
그런 다음, 도 4b 및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절연층(50)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연결부(51) 및 전극 형성용 홈(52)을 형성한다. 상기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사용되는 마스크(100)는 상기 절연층(50)의 연결부 형성 영역(51')과 전극 형성용 홈 형성 영역(52')을 노광할 수 있 도록 패터닝되어 있다. 상기 마스크(100)를 개재하여 절연층(50)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절연층(50)의 연결부 형성 영역(51')과 전극 형성용 홈 형성 영역(52')만이 노광되고, 다른 부분은 노광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노광된 절연층(50)을 현상하면,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positive photoresist)의 경우 노광된 절연층 부분이 제거됨으로써, 드럼몸체(10)에는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21)들이 노출된 연결부(51)와, 이 연결부(51)와 이어지는 전극 형성용 홈(52)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전극 형성용 홈(52)의 바닥에는 후술되는 링전극(30)과 드럼몸체(10)와의 절연을 위한 절연층이 존재하도록 노광시 파워를 조절하여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연결부(51)와 전극 형성용 홈(52)이 형성된 드럼몸체(10)의 외주에 유동성의 도전물질(30')을 공급하여 도포한다. 그러면,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동성의 도전물질(30')이 모세관력에 의해 연결부(51) 및 전극 형성용 홈(52)으로 스며들어 채워진다.
그런 다음, 블레이드(200)를 이용하여 드럼몸체(10)의 외주면을 블레이딩하면, 절연층(50) 위에 존재하는 도전물질이 제거됨으로써 절연층(50)에 의해 이웃하는 전극들끼리 및 드럼몸체(10)와는 절연된 상태로 상기 단자(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링전극(30)이 형성된다.
이후, 도 4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 형성용 홈(52)에 채워진 도전물질이 경화하도록 소정시간동안 경화시킨 다음, 도 4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링전극(30)이 형성된 드럼몸체(10)의 외주면에 최종적으로 유전물질을 도포하여 유전 층(70)을 형성하여 이미지 드럼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연결부(51) 및 전극 형성용 홈(52)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일괄로 형성하므로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어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종래 수 천개의 연결홀을 레이저 드릴로 일일히 가공하는 것에 비하여 제조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연결부(51)는 잔유물이 거의 존재하지 않으므로 단자(21)와 링전극(30) 연결의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h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은 유동성의 도전물질이 모세관력에 의해 절연층(50)의 전극 형성용 홈(52)에 스며들어 채워질 때 보다 효과적으로 잘 채워지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첫 단계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슬롯(11)을 가지는 원통형 드럼몸체(10)를 준비하는 것이다. 이 때, 다수의 단자(21)들을 갖춘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의 제어회로기판(20)도 함께 준비한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드럼몸체(10)의 내부에 상기 제어회로기판(20)의 다수의 단자(21)들이 상기 드럼몸체(10)의 슬롯(11)에 위치하도록 제어회로기판(20)을 절연성의 에폭시 수지 등과 같은 고정부재(40)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한다
그런 다음,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몸체(10)의 외주면 전체에 포토 레지스트를 도포하여 소정두께의 제 1 절연층(5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드럼몸체(10)의 외주면에 제 1 절연층(50')을 형성한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절연층(50')의 다수의 단자(21)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거하여 임시 연결부(51A)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임시 연결부(51A)를 형성하는 단계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절연층(50')으로 포토레지스트가 아닌 폴리카보네이트나 패럴린 등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 때에는 상기 제 1 절연층(50')을 레이저 빔이나 이-빔(E-beam) 등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임시 연결부(51A)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후, 임시 연결부(51A)가 형성된 제 1 절연층(50') 위에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절연층(5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절연층(50")에 비하여 상기 제 1 절연층(50')의 친수성(hydrophilic)이 더 우수하다. 이와 같이 친수 특성이 서로 다른 2개의 절연층을 형성하는 이유 및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와 같이 제 1 및 제 2 절연층(50')(50")을 형성한 다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절연층에 연결부(51) 및 전극 형성용 홈(52)을 형성한다. 이러한 과정은 도 4b 및 4c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도 5d 및 5e에서 상기와 같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으로 형성된 연결부(51) 및 전극 형성용 홈(52)을 보면, 일 실시예와는 다르게, 전극 형성용 홈(52)의 양측벽은 제 2 절연층(50")에 의해 이루어지고, 바닥은 제 1 절연층(50')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절연층(50')의 친수 특성이 좋으므로 도 5f에서와 같이 유동성의 도전물질을 공급하여 각각의 전극 형성용 홈(52)으로 모세관력에 의해 스며들게 할 때, 일 실시예에 비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잘 스며들어 충진될 수 있다.
이후의 공정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도 5g 및 5h에 대해서는 일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에서도, 연결부 및 전극 형성용 홈들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으로 일괄로 형성하므로 공정의 단순화 및 제조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친수성이 좋은 절연층을 전극 형성용 홈의 기저부(베이스)로 사용하므로 전극 형성용 홈에 도전물질이 보다 효과적으로 충진되는 등의 잇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드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제어회로기판의 단자와 링전극의 연결상태를 보인 상세도,
도 4a 내지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의 공정도, 그리고,
도 5a 내지 5h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드럼몸체 11;슬롯
20;제어회로기판 21;단자
30;링전극 40;고정부재
50,50',50";절연층 51;연결부
52;전극 형성용 홈 70;유전층
100;마스크 200;블레이드

Claims (16)

  1.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슬롯을 구비한 원통형 드럼몸체를 준비하는 단계;
    다수의 단자를 갖춘 제어회로기판의 상기 단자들이 상기 드럼몸체의 슬롯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어회로기판을 상기 드럼몸체의 내부에 고정부재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드럼몸체의 외주면 전체에 제 1 절연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제 1 절연층의 상기 제어회로기판의 단자들이 위치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연결부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결부들이 위치하는 상기 드럼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제 1 절연층을 기저부(베이스)로 하는 전극 형성용 홈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 형성용 홈들이 형성된 드럼몸체의 외주면에 유동성의 도전물질을 도포하여 상기 도전물질이 모세관력(capillary force)에 의해 상기 전극 형성용 홈들에 각각 스며들게 함으로써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단자와 연결되는 링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형성용 홈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부가 형성된 드럼몸체의 상기 제 1 절연층 위에 제 2 절연층으로서의 포토레지스트를 코팅하는 단계; 패터닝된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의 전극 형성용 홈 영역을 노광하는 단계; 및 노광된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하는 단 계;를 포함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는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층은 포토레지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절연층의 포토레지스트는 상기 제 2 절연층의 포토레지스트보다 친수성(hydrophilic)이 더 좋은 것을 이용하는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들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절연층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층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패럴린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들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절연층을 레이저 빔 또는 전자 빔(E-beam)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드럼몸체의 외주면에 유동성의 도전물질을 도포한 후 제 2 절연층 위에 존재하는 도전물질을 제거하는 블레이딩 과정과, 각 전극 형성용 홈에 충전된 도전물질을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 과정을 포함하는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후, 링전극이 형성된 상기 드럼몸체의 외주면에 유전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몸체의 재질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및 플라스틱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절연성의 에폭시 수지인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10.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슬롯을 구비한 원통형 드럼몸체를 준비하는 단계;
    다수의 단자를 갖춘 제어회로기판의 상기 단자들이 상기 드럼몸체의 슬롯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어회로기판을 상기 드럼몸체의 내부에 고정부재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드럼몸체의 외주면 전체에 절연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의 상기 제어회로기판의 단자들이 위치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연결부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들이 위치하는 상기 드럼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절연층을 기저부(베이스)로 하는 전극 형성용 홈들을 형성하는 단 계; 및
    상기 전극 형성용 홈들이 형성된 드럼몸체의 외주면에 유동성의 도전물질을 도포하여 상기 도전물질이 모세관력(capillary force)에 의해 상기 전극 형성용 홈들에 각각 스며들게 함으로써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단자와 연결되는 링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포토레지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 형성용 홈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패터닝된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의 전극 형성용 홈 영역을 노광하는 단계; 및 노광된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는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링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드럼몸체의 외주면에 유동성의 도전물질을 도포한 후 절연층 위에 존재하는 도전물질을 제거하는 블레이딩 과정과, 각 전극 형성용 홈에 충전된 도전물질을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 과정을 포함하는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링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후, 링전극이 형성된 상기 드럼몸체의 외주면 에 유전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몸체의 재질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및 플라스틱 수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절연성의 에폭시 수지인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16.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미지 드럼.
KR1020070114747A 2007-11-12 2007-11-12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및 이미지 드럼 KR101436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747A KR101436389B1 (ko) 2007-11-12 2007-11-12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및 이미지 드럼
US12/133,414 US8051561B2 (en) 2007-11-12 2008-06-05 Method of manufacturing an image dr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747A KR101436389B1 (ko) 2007-11-12 2007-11-12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및 이미지 드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736A true KR20090048736A (ko) 2009-05-15
KR101436389B1 KR101436389B1 (ko) 2014-09-02

Family

ID=40622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747A KR101436389B1 (ko) 2007-11-12 2007-11-12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및 이미지 드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51561B2 (ko)
KR (1) KR1014363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387B1 (ko) * 2007-10-05 2014-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드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0838A (ko) * 2008-07-23 2010-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드럼 및 그 제조 방법
JP2015518181A (ja) * 2012-04-19 2015-06-25 オセ−テクノロジーズ ビーブイ 直接画像形成要素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CN111604246A (zh) * 2020-05-11 2020-09-01 国网电力科学研究院武汉南瑞有限责任公司 带可替换式纳米改性铝合金金具头绝缘操作杆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8727A (en) * 1991-05-08 1996-04-16 Imagin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attern generation on a dielectric substrate
NL9201892A (nl) * 1992-10-30 1994-05-16 Oce Nederland B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beeldregistratie-element.
KR100701295B1 (ko) * 2005-07-29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드럼 및 그 제작방법
KR100728054B1 (ko) * 2005-12-15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드럼 및 이미지 드럼의 제작방법
KR100785474B1 (ko) * 2005-12-19 2007-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드럼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0728051B1 (ko) * 2005-12-28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드럼 및 이미지 드럼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51561B2 (en) 2011-11-08
KR101436389B1 (ko) 2014-09-02
US20090119917A1 (en) 200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18354B (zh) 配线基板及其制造方法
KR20090048736A (ko) 이미지 드럼 제조방법 및 이미지 드럼
US9326389B2 (en) Wiring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880014666A (ko) 다층 상호접속 시스템 층 제조방법
US10187997B2 (en) Method for making contact with a component embedd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JP2011049316A (ja) 配線回路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73914A (ja) 電気結線基板用コアおよびコアを備えた電気結線用基板、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100275235B1 (ko) 프린트 회로기판 및 프린트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JP2007158249A (ja) 配線回路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828707B2 (en) Image drum for selectively absorbing toner thereon
KR100701295B1 (ko) 화상 드럼 및 그 제작방법
KR101436387B1 (ko) 이미지 드럼 및 그 제조방법
JP2008085238A (ja) 貫通電極付き基板の製造方法、及び貫通電極付き基板
JP2625968B2 (ja) 印刷配線板
JP5513637B2 (ja) 配線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2007141975A (ja) プリント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30913B1 (ko)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0151065B1 (ko) 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H04352387A (ja) 多層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12602B1 (ko) 메탈 제브라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JP5791080B2 (ja) 遺伝子解析用配線基板の製造方法
KR20090056004A (ko) 이미지형성체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이미지형성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미지형성장치
KR100505476B1 (ko) 애블레이션을 이용한 표면실장형 전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667010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ircuit board having conductive via
JPS611237A (ja) シ−トコイ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