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5776A -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5776A
KR20090045776A KR1020070111763A KR20070111763A KR20090045776A KR 20090045776 A KR20090045776 A KR 20090045776A KR 1020070111763 A KR1020070111763 A KR 1020070111763A KR 20070111763 A KR20070111763 A KR 20070111763A KR 20090045776 A KR20090045776 A KR 20090045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ylinder
cup
mixed powd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218B1 (ko
Inventor
안경준
한명근
전동술
김현종
최한신
김대욱
최상태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동신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동신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11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218B1/ko
Publication of KR20090045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02Compacting only
    • B22F3/03Press-mould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004Filling molds with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02Compacting only
    • B22F3/093Compacting only using vibrations or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5/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shape of the product
    • B22F2005/001Cutting tools, earth boring or grinding tool other than table 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분말의 계량에서부터 프레스 가공에 이르는 분말 성형을 자동화 및 기계화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혼합분말을 계량배럴 내부에 일정량만큼 자동 투입하여 이동호스 내부에 공급하고, 다수의 실린더 구동을 통해 분말컵조립체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분말컵에 혼합분말을 투입하여 하부성형금형에 혼합분말을 공급하며, 진동플레이트에 진동볼부재를 이송시켜 혼합분말을 균일하게 분산하고, 하부성형금형 중앙에 구비한 생크를 고정함과 동시에 하부성형금형 둘레에 공급한 혼합분말을 가압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대부분의 성형과정을 자동화 및 기계화하여 작업자가 입을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고, 필요한 인력의 수를 줄여 인건비를 절감하는 효과도 있으며, 또한 연속적인 성형체 제조 작업을 통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다이아몬드 공구, 혼합분말, 실린더, 생크, 진동.

Description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compression molding apparatus of powder material for manufacturing diamond tool}
본 발명은 다이아몬드 공구를 제조하기 위한 분말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혼합분말의 계량에서부터 프레스 가공에 이르는 일련의 분말 성형과정을 자동화 및 기계화하여 산업재해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 건설, 자동차 등의 각종 산업 현장에서 석재, 아스팔트, 금속, 세라믹 등의 재료를 절삭 및 연마하기 위해 다이아몬드 절삭 및 연마 공구를 이용한다.
이에, 상기 다이아몬드 절삭 및 연마 공구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면, 원재료인 다이아몬드 분말과 Co, Ni, Cu, W 등의 금속 분말을 혼합하는 혼합 공정과, 혼합된 분말을 성형 금형에 주입 후 가압 성형하여 성형체를 만드는 성형공정과, 성형체를 고온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분말을 단단하게 결합시키는 소결 공정과, 소결 후 고온의 제품을 냉각하는 냉각공정, 그리고 마지막으 로 기계가공 및 도장 등의 후처리 공정을 통하여 다이아몬드 절삭 및 연마 공구를 제조하게 된다.
도 1은 상기한 제조공정 중에서 성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성형공정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진으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된 혼합분말을 1회 작업에 필요한 만큼 계량하여 별도의 계량봉투 등에 담아 보관한다.
그리고, 다이아몬드 공구의 몸체인 생크를 하부성형금형 상면 중앙에 구비하고, 계량봉투에 담겨진 혼합분말을 하부성형금형 상면 둘레에 투입한다. 이 후, 하부성형금형에 투입된 혼합분말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게 평탄화작업을 실시하는데, 그 방법으로는 하부성형금형을 손으로 회전시키면서 동봉 등을 통해 상기 하부성형금형을 일정한 힘으로 타격함으로써, 진동을 가해 혼합분말을 분산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부성형금형 상부에 상부성형금형을 조립하고, 조립된 성형금형을 프레스 사이에 구비하여 혼합분말을 가압 성형한다. 이 후, 상부성형금형과 하부성형금형을 분해하여, 가압 성형된 성형체를 취출함으로써, 성형체의 제조를 완료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성형체 성형과정은 프레스성형을 제외한 일련의 성형과정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서 이루어짐으로써, 고 중량의 성형 금형을 작업자가 직접 이동하거나 조립 및 분해해야 하고, 이에 따라 높은 노동 강도로 손목, 어깨 등의 근골격계 질환을 입게 되거나, 프레스 작업 중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손가락 및 손의 절단와 골절 사고 등이 빈번히 발생하는 폐단이 있다.
뿐만 아니라, 유해한 미세한 중금속 분말 및 분진에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중금속 중독과 같은 산업 재해의 위험 요소가 다분하고, 이로 인해 작업자들로부터 직무기피요인으로 작용하여 작업자들이 기피하는 업무로 인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대부분의 성형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상, 제품의 생산 효율이 떨어짐은 물론이고, 고된 작업 환경으로 인해 충분한 인력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당한 인건비의 지출로 인해 기업 채산성 악화의 요인이 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이아몬드 공구를 제조하기 위한 혼합분말의 계량에서부터 프레스 가공에 이르는 일련의 분말 성형과정을 자동화 및 기계화하여 산업재해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혼합분말의 가압 성형 과정 중 발생하는 분진이 공중으로 부양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도모하고, 작업환경을 청결하게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이아몬드 공구를 제조하기 위해 혼합된 분말을 성형금형에 주입한 후 가압 성형하여 성형체를 만드는 분말 성형장치에 있어서, 호퍼를 통해 투입된 혼합분말을 계량배럴 내부에 일정량만큼 자동 투입하여 이동호스 내부에 공급하는 분말계량장치부와; 하부다이 일측에 구비한 다수의 실린더 구동을 통해 분말컵조립체를 회전시켜 위치 이동시킴과 아울러 이동호스로부터 분말컵에 혼합분말을 투입하고, 하부성형금형 둘레에 혼합분말을 공급하는 분말공급장치부와; 하부성형금형 둘레에 요철 성형된 진동플레이트에 진동볼부재가 진동을 발생하며 이송되어 혼합분말을 균일하게 분산하는 분말평탄화 장치부와; 상, 하부고정펀치 및 상, 하부가압펀치의 가압을 통해 하부성형금형 중앙에 구비한 생크를 고정함과 동시에 하부성형금형 둘레에 공급한 혼합분말을 가압 성형하는 가압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혼합분말의 계량에서부터 공급 및 평탄화 그리고, 프레스 가공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성형과정을 자동화 및 기계화함으로써,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및 손가락 절단사고 등과 같은 산업재해의 위험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직무기피 요인의 해소를 통해 인력의 확보가 용이하여 인력의 수를 절감하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업의 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자동화 및 기계화 작업을 통해 성형체 제조 작업을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제품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제품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품 성형 중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을 케이싱 및 집진기를 통해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자가 입을 수 있는 호흡기 질환 등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에 대해 도시 한 것으로, 크게 분말계량장치부와, 분말공급장치부와, 분말평탄화장치부와, 가압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분말계량장치부는 호퍼(200)를 통해 투입된 혼합분말을 계량배럴(210) 내부에 일정량만큼 투입하여 이동호스(250) 내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호퍼(200)와, 계량배럴(210)과, 이송실린더(220)와, 부피조절수단으로 구성된다.
도 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부다이(100a) 일측에 혼합분말을 투입하는 역할의 호퍼(200)를 장착하고, 상기 호퍼(200) 하단에는 상기 호퍼(200) 내부의 혼합분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계량배럴(210)을 연통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계량배럴(210)의 내부 공간은 가압 성형하고자 하는 1회분의 혼합분말을 충진할 수 있는 일정량의 부피로 조성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나 상기한 원통형의 형상 이 외에 다른 형상으로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고, 또한 상기 계량배럴(210) 일측 하단 일부에는 내부에 충진되는 혼합분말을 배출할 수 있게 배출홀(212)을 형성하며, 상기 배출홀(212) 하단에는 이동호스(250)의 단부를 연결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계량배럴(210) 단부에는 상기 혼합분말을 배출홀(212)로 이동 배출시키기 위한 이송실린더(220)를 장착하게 되는데, 상기 이송실린더(220)는 에어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양호하나, 이 외에도 동일 및 유사한 가압력을 발휘하는 다른 실린더의 사용 역시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계량배럴(210) 내부에 채워지는 혼합분말의 양은 부피조절수단에 의해 조절 가능한데, 상기 부피조절수단은 나사봉(230)과 조절마개(240)로 구성된다.
도 4를 통해 설명하면, 상기 이송실린더(220)의 로드에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봉(230)을 결합하고, 상기 나사봉(230)에는 조절마개(240)를 체결하여 상기 조절마개(240)를 계량배럴(210) 내벽면에 기밀 상태로 삽입한다. 즉, 상기 나사봉(230)을 따라 이동하는 조절마개(240)를 통해 조절마개(240)와 이송실린더(220) 사이의 공간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계량배럴(210) 내부에 채워지는 혼합분말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분말공급장치부는 하부다이(100b) 일측에 구비한 다수의 실린더 구동을 통해 분말컵조립체(300)를 회전시켜 위치 이동시킴과 아울러, 이동호스(250)로부터 분말컵(310)에 혼합분말을 투입하고, 하부성형금형(500b) 둘레에 혼합분말을 골고루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분말컵조립체(300)와, 틸팅 및 회전수단과, 분말투입수단과, 분말공급 및 선회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 및 도 9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분말컵조립체(300)는 회전플레이트기어(400) 상면 일부에 분말컵회전축(3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것으로, 상기 분말컵회전축(330) 상부 측면에 상, 하로 틸팅 가능하도록 연결플레이트(320)를 힌지 결합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320) 단부에 분말컵(310)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분말컵(310) 하단 일부에는 공급홀(312)을 중공 형성하여 분말컵(310)에 투입되는 혼합분말을 하부성형금형(500b) 위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틸팅 및 회전수단은 제1실린더(340)의 구동을 통해 상기 분말컵회전축(330)을 중심으로 상기 분말컵(310)을 상, 하로 틸팅시킴과 아울러, 제2,3실린더의 구동을 통해 상기 분말컵회전축(330) 하단에 치형으로 맞물려 상기 분말컵회전축(330)을 중심으로 상기 분말컵(310)을 회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틸팅플레이트(332)와, 제1실린더(340)와, 스프라켓(334)과, 제2실린더(350)와, 제3실린더(360)와, 리턴스프링(3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7c 및 도 9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분말컵회전축(330) 상부에 위치한 연결플레이트(320) 상단에는 원판형의 틸팅플레이트(332)를 고정 장착하고, 상기 틸팅플레이트(332) 상부에는 로드가 이송되어 상기 틸팅플레이트(332) 상단 일부를 가압함으로써, 연결플레이트(320)와 고정된 분말컵(310)을 상, 하로 틸팅시킬 수 있게 제1실린더(34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실린더(340)는 틸팅플레이트(332)의 편심된 상부 위치에 구비함으로써, 틸팅플레이트(332)의 가압에 따른 분말컵(310)의 틸팅작용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분말컵회전축(330) 하단에는 스프라켓(334)을 고정 장착하는데, 상기 스프라켓(334)의 치형은 체인(354)과 맞물려 회전되는 구간이 짧은 특성상, 스프라켓(334) 일부에만 국한하여 치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라켓(334)에 맞물려 분말컵회전축(330)을 회전시킬 수 있게 체인(354)을 내장한 체인하우징(352)을 상기 스프라켓(334)과 근접된 위치에 구비하되, 상기 체인하우징(352)은 제2실린더(350) 로드 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체인하우징(352)을 왕복 이 송 가능하게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2실린더(350)의 타단부는 하부다이(100b) 상면에 축 결합하여 그 단부를 중심으로 체인하우징(352)이 스프라켓(334) 방향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체인하우징(352)과 근접한 하부다이(100b) 상면 일부에는 제3실린더(360)를 설치하여 상기 체인하우징(352)을 가압하고, 이로 인해 상기 체인하우징(352) 내부의 체인(354)을 스프라켓(334)과 맞물린다. 그리고, 상기 제3실린더(360)의 가압작용 해제시 회전 이동한 체인하우징(352)을 회전하기 전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축 결합된 제2실린더(350)의 타단부 외측에 리턴스프링(356)을 장착한다.
즉, 상기 제1실린더(340)의 구동을 통해 연결플레이트(320)를 틸팅시켜 분말컵(310)을 상, 하로 틸팅시킬 수 있고, 또한 제2,3실린더(350)(360)의 구동을 통해 분말컵조립체(300)를 회전 구동시켜 분말컵(310)을 하부다이(100b) 상부 위치나, 하부성형금형(500b) 상부 위치에 회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3실린더(340)(350)(360)는 에어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나, 상기한 에어실린더와 그 가압력이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을 구성함에 있어 자명한 사항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틸팅 및 회전수단을 통해 회전 이송되는 분말컵조립체(300)의 분말컵(310)은 하부다이(100b) 상부 위치로 회전 복귀되어 이동된 경우, 상기 하부다이(100b) 상면 위치에는 분말컵(3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위치감지센서(S1)를 더 구비한다.
분말투입수단은 제4실린더(370)의 구동을 통해 이동호스(250)에서 공급되는 혼합분말을 분말컵(310) 내부에 투입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동호스(250)와, 제4실린더(370)와, 회동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계량배럴(210)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분말을 이동시킬 수 있게 계량배럴(210) 하단에 위치한 이동호스(250)의 단부를 하부다이(100b) 상부 일부 위치에 구비하고, 상기 이동호스(250)의 단부에 가이드프레임(372)을 결합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372)에는 제4실린더(370)의 로드를 결합하여 상기 제4실린더(370)의 구동을 통해 이동호스(250)의 단부를 왕복 이송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호스(250)는 상기와 같이 제4실린더(370)의 구동에 따라 함께 이송되어야 하는 구조 특성상, 플렉시블한 재질로 성형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리고, 상기 제4실린더(370)의 로드 이송 중 상기 로드가 회전되어 이동호스(25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4실린더(370) 일측부에 회동방지수단을 설치한다.
상기한 회동방지수단은 로드블록(374)과, 가이드로드(376)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하 설명하면 상기 제4실린더(370) 단부 일측에 로드블록(374)을 고정 결합하고, 상기 로드블록(374) 중앙에 구멍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구멍을 따라 왕복 이송할 수 있게 가이드로드(376)를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로드(376) 단부는 가이드프레임(372) 일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프레임(372) 일측에 결합된 이동호스(250)의 이동 중 회전을 방지한다.
즉, 상기 제4실린더(370)의 구동을 통해 이동호스(250)의 단부를 분말 컵(310) 상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이동호스(250)를 통해 배출되는 혼합분말을 분말컵(310) 내부에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4실린더(370)는 제1,2,3실린더(340)(350)(360)와 같이 에어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나, 상기한 에어실린더와 그 가압력이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을 구성함에 있어 자명한 사항에 해당된다.
분말공급 및 선회수단은 회전플레이트기어(400)와 상기 분말컵조립체(300)를 함께 회전시켜 하부성형금형(500b)에 혼합분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분말컵(310)과, 회전플레이트기어(400)와, 베어링(440)과, 회전축기어(410)와, 모터(도시 생략)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0 및 도 13a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부다이(100b) 상면 중앙에 하부성형금형(500b)을 장착하고, 상기 하부성형금형(500b) 외측 둘레에 진동플레이트(430)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진동플레이트(430) 외측 둘레에는 외주면에 치형을 형성한 회전플레이트기어(400)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플레이트기어(400) 상면에 장착되는 분말컵조립체(300)의 분말컵(310)은 하부성형금형(500b) 둘레 상단 일부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말컵(310) 하단에 공급홀(312)을 중공 형성하여, 상기 분말컵(310)에 투입되는 혼합분말을 하부성형금형(500b) 둘레에 공급한다.
또한, 상기 회전플레이트기어(400)와 진동플레이트(430) 내부 사이에는 다수의 베어링(440)을 진동플레이트(430)에 위치 고정된 상태로 내장 장착하여, 상기 회전플레이트기어(400)는 진동플레이트(43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플레이트기어(400) 외측 일부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기어(4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기어(410)를 맞물리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기어(410) 중앙 하단에는 모터를 축결합하여 상기 회전축기어(410)를 회전시킨다.
즉, 모터의 구동을 통해 회전축기어(410)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축기어(410)의 회전을 통해 분말컵조립체(300)가 장착된 회전플레이트기어(400)를 선회시키므로, 분말컵(310)에서 배출되는 혼합분말을 하부성형금형(500b) 둘레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11과 같이 상기 분말컵조립체(300)를 구성하는 연결플레이트(320) 중간 하단에는 실리콘재질로 제조한 이탈방지편(322)을 더 장착함으로써, 회전플레이트기어(400)와 함께 회전하는 분말컵조립체(300)의 회전 중 분말컵(310)으로부터 공급되는 혼합분말이 하부성형금형(500b)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편(322)은 하부성형금형(500b)으로 공급되는 혼합분말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 특성상, 분말컵(310)이 하부성형금형(500b)에 이동하였을 때, 하부성형금형(500b) 직상방에 위치한 연결플레이트(320) 하단에 장착하는 것이 적절하다.
아울러, 도 10과 같이 상기 회전플레이트기어(400)의 회전수를 체크할 수 있게 상기 회전플레이트기어(400)와 근접된 하부다이(100b) 상면에는 체크센서(S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플레이트기어(400) 상면 일부에는 호 형태의 센서블록(420)을 설치하되, 상기 센서블록(420) 양단 상면에 감지센서(S3)를 각각 구비한다. 또한, 상기 체크센서(S2)와 근접된 하부다이(100b) 상면 일부에는 상기 감지센 서(S3)를 감지하여 회전플레이트기어(400)의 속도를 감속 제어할 수 있게 속도저감센서(S4)를 설치한다.
즉, 체크센서(S2)를 통해 회전플레이트기어(400)의 회전수를 체크하고, 정해진 회전수에 도달하면 속도저감센서(S4)가 구동하여 회전플레이트기어(400)의 속도를 저감 및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분말평탄화장치부는 하부성형금형(500b) 둘레에 요철 성형된 진동플레이트(430)에 진동볼부재(326)가 진동을 발생하며 이송되어 하부성형금형(500b)에 공급되는 혼합분말을 균일하게 분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진동플레이트(430)와, 고정플레이트(324)와, 진동볼부재(3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1 및 도 12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부성형금형(500b) 외측 둘레에 원판형의 진동플레이트(43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진동플레이트(430) 상면에는 요철부(432)를 연속적으로 성형한다. 그리고, 상기 요철부(432) 직상방에 위치하게 되는 연결플레이트(320) 하단에는 고정플레이트(324)를 고정 장착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324)에는 진동볼부재(326)를 하부로 돌출되게 고정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볼부재(326) 하단부는 대체적으로 반구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진동플레이트(430)에 형성된 요철부(432)의 산과 골을 타고 이송될 수 있게 구성한다.
즉, 상기 진동볼부재(326)는 상기 요철부(432)에 접촉되면서 회전됨으로써, 상기 진동볼부재(326)는 상, 하로 연속적으로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진동볼부재(326)와 연결된 연결플레이트(320) 및 분말컵(310)에 진동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진동볼부재(326)의 구성은 경우에 따라 고정플레이트(324)에 하나 이상 다수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가압장치부는 상, 하부고정펀치(510a)(510b) 및 상, 하부가압펀치(530a)(530b)의 가압을 통해 하부성형금형(500b) 중앙에 구비한 생크를 고정함과 동시에 하부성형금형(500b) 둘레에 공급한 혼합분말을 가압 성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상, 하부고정펀치(510a)(510b)와, 상, 하부고정실린더(520a)(520b)와, 상, 하부가압펀치(530a)(530b)와, 상, 하부가압실린더(540a)(54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3a 내지 도 13c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부다이(100a)와 하부다이(100b)의 네 모서리 사이에 컬럼을 장착하고, 상기 하부다이(100b) 상면 중앙에 하부성형금형(500b)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성형금형(500b) 중앙에 구비되는 생크를 상, 하에서 각각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상부성형금형(500a) 상면 중앙에 상부고정펀치(510a)를 결합 설치하고, 상기 하부성형금형(500b) 하면 중앙에 하부고정펀치(510b)를 결합 설치한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펀치(510a)와 하부고정펀치(510b)를 상, 하로 왕복 이송시켜 생크를 가압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상부고정펀치(510a) 상단에 상부고정실린더(520a)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고정펀치(510b) 하단에 하부고정실린더(520b)를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성형금형(500b) 둘레에 공급되는 혼합분말을 가압할 수 있게 상부성형금형(500a) 둘레 상면에 상부가압펀치(530a)를 결합 설치하고, 상기 하부성형금형(500b) 둘레 하면에 하부가압펀치(530b)를 결합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압펀치(530a)와 하부가압펀치(530b)를 상, 하로 왕복 이송시켜 상기 혼합분말을 가압 성형할 수 있게 상기 상부가압펀치(530a) 상면에 상부가압실린더(540a)를 설치하고, 하부가압펀치(530b) 하면에 하부가압실린더(540b)를 설치한다.
즉, 성형금형 중앙 상, 하부 위치에는 고정펀치를 구비하고, 성형금형 둘레 상, 하부 위치에는 가압펀치를 각각 구비하므로, 상기 상, 하부고정실린더(520a)(520b)를 통해 생크를 고정시키고, 상, 하부가압실린더(540a)(540b)를 통해 혼합분말을 가압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압실린더(540a)는 상부다이(100a)에 결합 설치되고, 하부가압실린더(540b)는 하부다이(100b)에 결합 설치됨으로써, 상기 상, 하부가압실린더(540a)(540b)를 견고하게 지지 설치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상, 하부고정실린더(520a)(520b)는 에어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고, 상기 상, 하부가압실린더(540a)(540b)는 다소 큰 가압력을 갖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나, 상기한 에어실린더나 유압실린더 이 외에도, 동일 또는 유사한 가압력을 갖는 다른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을 구성함에 있어 자명한 사항에 해당된다.
한편, 도 14와 같이 상기한 상부다이(100a)와 하부다이(100b) 사이 둘레에는 아크릴소재의 투명한 재질로 케이싱(600)을 밀폐되게 더 커버 설치 가능하여, 상기 하부성형금형(500b)에 공급되는 혼합분말이 케이싱(600)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케이싱(600) 전면에는 상기 하부성형금형(500b) 상면에 생크를 투입하거나, 별도의 정비를 위해 개폐도어(610)를 설치하고, 상기 개폐도어(610)에는 접지센서(S5)를 장착하여 개폐도어(610) 개방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모든 장치가 일시적으로 정지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600) 측면 일부에는 상기 케이싱(600) 내부와 연통되게 집진기(도시 생략)와 후드(도시 생략)를 더 설치하여, 케이싱(600) 내부에 부양되는 분진 등을 흡입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다이(100b) 일측 일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성형장치를 조작 및 제어하거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컨트롤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분말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에 필요한 성형체를 가압 성형하기 위해서는, 먼저 호퍼(200)에 원료금속 및 다이아몬드 분말이 혼합된 혼합분말을 투입한다.
이처럼, 혼합분말이 투입되면, 상기 혼합분말은 계량배럴(210) 내부에 투입되어 성형체 제조에 필요한 1회분의 혼합분말이 충진되고, 이어 도 3의 (b)와 같이 이송실린더(220)가 구동되어, 상기 계량분말 내부의 혼합분말을 배출홀(21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배출홀(212)을 통해 혼합분말을 이동호스(250) 내부로 떨어뜨려, 상기 혼합분말을 하부의 분말컵(310) 내부에 투입한다. 여기서, 상기 1회분의 혼합분말의 양은 계량배럴(210) 내부에 결합된 조절마개(240)의 좌, 우 이동을 통해 간편하게 조절 가능함으로써, 제조하고자 하는 성형체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다만, 상기 이동호스(250) 내부에 혼합분말이 투입되기 이 전에, 다수의 실린더를 구동하여 분말컵(310)을 하부다이(100b) 위에서 하부성형금형(500b) 상부 위치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b와 같이 제3실린더(360)를 구동하여 상기 제3실린더(360)의 로드를 통해 제2실린더(350) 단부의 체인하우징(352)을 가압하듯이 민다. 그렇게 되면, 상기 체인하우징(352) 내부의 체인(354)이 분말컵회전축(330) 하단의 스프라켓(334)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면서 스프라켓(334)에 체인(354)이 맞물리게 된다.
이 후, 도 6과 같이 제1실린더(340)를 구동하여 틸팅플레이트(332) 상면 일부를 가압함으로써, 연결플레이트(320)에 의해 상기 틸팅플레이트(332)와 연결된 분말컵(310)은 상부로 들어 올려지는 틸팅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7c와 같이 제2실린더(350)의 구동을 통해 체인하우징(352)을 이동시켜 상기 스프라켓(334)과 맞물린 체인(354)을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스프라켓(334)이 회전되고, 이와 함께 상기 스프라켓(334)과 축 고정된 분말컵회전축(330)이 회전되면서, 하부다이(100b) 상부에 위치한 분말컵(310)을 하부성형금형(500b) 둘레의 상부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 후, 상기 틸팅플레이트(332)를 가압하고 있는 제1실린더(340)를 복귀 구동시켜 상부로 들어 올려진 분말컵(310)을 하부로 내리는 틸팅작용을 수행하고, 제2실린더(350)의 체인하우징(352)을 가압하고 있는 제3실린더(360)의 로드를 복귀 이송시켜 스프라켓(334)과 체인(354)의 맞물림 작용을 해제시킨다. 여기서, 상기 체인하우징(352)의 복귀 이송은 제2실린더(350) 단부에 장착된 리턴스프링(356)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제4실린더(370)를 구동하여 가이드프레임(372)과 결합된 이동호스(250)의 단부를 분말컵(310) 상부에 위치시키게 되는데, 이때 계량배럴(210) 단부의 이송실린더(220)를 구동하여 상기 이동호스(250)로 혼합분말을 떨어뜨리고, 상기 제4실린더(370)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며, 이로 인해 상기 이동호스(250)로부터 분말컵(310)에 혼합분말을 투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분말컵(310)이 하부성형금형(500b) 상부에 위치하고, 분말컵(310) 내부에 혼합분말이 투입되면, 모터의 구동을 통해 축결합된 회전축기어(410)를 회전 구동시키고, 상기 회전축기어(410)의 선회 구동을 통해 이와 맞물린 회전플레이트기어(40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플레이트기어(400) 상면에는 상기 분말컵(310)을 갖는 분말컵조립체(300)가 장착되고, 상기 분말컵(310) 하단에는 혼합분말을 공급하는 역할의 공급홀(312)이 중공 형성되므로, 상기 회전플레이트기어(400)와 분말컵(310)이 함께 회전하면서 혼합분말을 하부성형금형(500b) 둘레에 전반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성형금형(500b) 둘레에 공급되는 혼합분말은 그 둘레에 균일하게 공급되어야 함으로써, 상기 혼합분말을 공급하는 분말컵(310)에 진동을 주어 하부성형금형(500b)에 공급되는 혼합분말을 평탄화 상태로 공급한다.
즉, 진동플레이트(430) 상면의 요철부(432)에 접촉 상태로 진동볼부재(326)가 구비되고, 이 상태로 회전플레이트기어(400)와 함께 진동볼부재(326)가 요철부(432) 상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진동볼부재(326)에 진동을 일으키게 되며, 이 로 인해 상기 진동볼부재(326)와 연결된 분말컵(310)에 진동을 가하여 혼합분말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혼합분말을 하부성형금형(500b)에 공급하는 작용은 회전플레이트기어(400)의 회전작용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회전플레이트기어(400)의 회전수 및 회전속도는 모터 제어를 통해 가능하고, 이는 공급되는 혼합분말의 양과 종류에 따라 간단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기어(400)의 회전수는 성형조건에 따라 정해져 있는 바, 체크센서(S2)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기어(400)의 최종 회전 완료시에는 회전플레이트기어(400)에 장착된 센서블록(420)을 속도저감센서(S4)가 감지하여 속도를 저감한 상태로 정지시킨다.
즉,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블록(420) 중 회전 진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단부에 위치한 감지센서(S3)가 속도저감센서(S4)를 지나칠 때, 속도저감센서(S4)가 이를 감지하여 회전플레이트기어(400)의 회전을 천천히 저감하기 시작하여, 센서블록(420) 중 후방 단부에 위치한 감지센서(S3)가 속도저감센서(S4)를 지나치면, 속도저감센서(S4)가 이를 감지하여 회전플레이트기어(40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회전플레이트기어(400)의 회전을 정지하여 하부성형금형(500b)에 혼합분말의 공급이 완료되면, 하부성형금형(500b) 상부에 위치한 분말컵(310)을 하부다이(100b) 상부 위치에 복귀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는 분말컵(310)을 하부성형금형(500b) 상부에 위치시킨 전술한 작용과 역순으로 작용이 이루어진다.
즉, 제3실린더(360)를 구동하여 제2실린더(350) 단부의 체인하우징(352)을 밀게 되면, 상기 체인하우징(352) 내부의 체인(354)이 분말컵회전축(330) 하단의 스프라켓(334)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면서 스프라켓(334)에 체인(354)이 맞물리게 된다.
이 후, 제1실린더(340)를 구동하여 틸팅플레이트(332) 상면 일부를 가압하여, 연결플레이트(320)와 연결된 분말컵(310)을 상부로 들어올리는 틸팅작용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2실린더(350)의 구동을 통해 체인하우징(352)을 이동시켜 상기 스프라켓(334)과 맞물린 체인(354)을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스프라켓(334)이 회전되고, 이와 함께 상기 스프라켓(334)이 고정된 분말컵회전축(330)이 회전되면서, 하부성형금형(500b) 상부에 위치한 분말컵(310)을 하부다이(100b) 상부 위치에 복귀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 후, 상기 틸팅플레이트(332)를 가압하고 있는 제1실린더(340)를 복귀 구동시켜 상부로 들어 올려진 분말컵(310)을 하부로 내리는 틸팅작용을 수행하고, 제2실린더(350)의 체인하우징(352)을 가압하고 있는 제3실린더(360)의 로드를 복귀 이송시켜 스프라켓(334)과 체인(354)의 맞물림 작용을 해제시킨다.
이처럼, 상기 분말컵(310)의 복귀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하부성형금형(500b)에 공급된 혼합분말의 가압 성형작업이 수행되는데, 다만 가압 성형작업 이 전에 상기 분말컵(310)이 복귀된 하부다이(100b) 위치에 위치감지센서(S1)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위치감지센서(S1)에 복귀된 분말컵(310)이 감지되지 않게 되면 혼합분말의 가압작용을 계속해서 진행시키지 않는다.
반면, 상기 위치감지센서(S1)에서 복귀된 분말컵(310)을 감지하면, 상부가압실린더(540a)와 하부가압실린더(540b)가 구동되어 상부성형금형(500a)과 하부성형금형(500b) 사이의 간격을 좁히게 되고, 일정 간격 이하로 간격이 좁아지게 되면, 도 13b와 같이 상부고정실린더(520a)와 하부고정실린더(520b)가 구동되어, 상부고정펀치(510a)와 하부고정펀치(510b)가 상, 하로 이송되어 1차적으로 하부성형금형(500b) 중앙에 구비된 생크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생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도 13c와 같이 상부가압실린더(540a)와 하부가압실린더(540b)가 구동되어 상부가압펀치(530a)와 하부가압펀치(530b)가 상, 하로 이송되어 2차적으로 하부성형금형(500b) 둘레에 공급된 혼합분말을 가압 성형한다. 이 후, 상기 상, 하부가압실린더(540a)(540b)의 가압작용을 해제시키게 됨으로써, 생크 둘레에 혼합분말을 가압성형한 성형체를 제조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는 혼합분말의 계량에서부터 혼합분말의 공급 및 평탄화 및 프레스 가공에 이르기까지 성형체 가압 성형에 필요한 대부분의 공정을 자동화 및 기계화함으로써, 수작업으로 발생될 수 있는 제반 문제점 즉,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및 손가락 절단사고 등과 같은 신체 부상의 위험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인력의 확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필요한 인력의 수를 감소시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업의 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자동화 및 기계화 작업을 통해 성형체 제조 작업을 연 속적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제품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제품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제품 성형 중 하부다이(100b) 측면에 장착된 케이싱(600)을 통해 혼합분말 공급 중에 발생하는 분진이 케이싱(600)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와 더불어 케이싱(600)에 연통 장착된 집진기를 통해 케이싱(600) 내부의 비산 먼지를 흡입 제거함으로써, 중금속 분진 등으로 인해 작업자가 입을 수 있는 호흡기 질환과 산업질환을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도모하고, 작업장의 환경 또한 청결하게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성형체 제품을 완료하면 다음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가압성형된 제품을 취출한 후, 새로운 생크를 하부성형금형(500b) 중앙에 구비하여야 하는데, 제품 취출과 생크 구비를 위해 개폐도어(610)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개폐도어(610)에 장착된 접지센서(S5)가 이를 감지하여 전체적인 장치를 구동 정지시키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수작업에 의한 분말 가압성형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말 성형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말계량장치부의 작동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분말계량장치부의 부피조절수단의 계량 조절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말공급장치부의 제1,2,3,4실린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린더를 통해 분말컵이 틸팅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a, 7b, 7c는 본 발명의 제2,3실린더를 통해 분말컵을 회전 이동시키는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린더를 통해 분말컵 상부에 이동호스의 단부를 이동시키는 작용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6 내지 도 8의 제1,2,3,4실린더의 구성을 통해 분말컵을 하부성형금형 상부 위치에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분말컵조립체를 선회시키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이탈방지편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볼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a, 13b, 13c는 본 발명에 의한 가압장치부의 가압성형 작용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싱 형상 및 개폐도어에 장착된 접지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a, 100b : 상, 하부다이 200 : 호퍼
210 : 계량배럴 212 : 배출홀
220 : 이송실린더 230 : 나사봉
240 : 조절마개 250 : 이동호스
300 : 분말컵조립체 310 : 분말컵
312 : 공급홀 320 : 연결플레이트
322 : 이탈방지편 324 : 고정플레이트
326 : 진동볼부재 330 : 분말컵회전축
332 : 틸팅플레이트 334 : 스프라켓
340 : 제1실린더 350 : 제2실린더
352 : 체인하우징 354 : 체인
356 : 리턴스프링 360 : 제3실린더
370 : 제4실린더 372 : 가이드프레임
374 : 로드블록 376 : 가이드로드
400 : 회전플레이트기어 410 : 회전축기어
420 : 센서블록 430 : 진동플레이트
432 : 요철부 440 : 베어링
500a, 500b : 상, 하부성형금형 510a, 510b : 상, 하부고정펀치
520a, 520b : 상, 하부고정실린더 530a, 530b : 상, 하부가압펀치
540a, 540b : 상, 하부가압실린더 600 : 케이싱
610 : 개폐도어 S1 : 위치감지센서
S2 : 체크센서 S3 : 감지센서
S4 : 속도저감센서 S5 : 접지센서

Claims (16)

  1. 다이아몬드 공구를 제조하기 위해 혼합된 분말을 성형금형에 주입한 후 가압 성형하여 성형체를 만드는 분말 성형장치에 있어서,
    호퍼(200)를 통해 투입된 혼합분말을 계량배럴(210) 내부에 일정량만큼 자동 투입하여 이동호스(250) 내부에 공급하는 분말계량장치부와;
    하부다이(100b) 일측에 구비한 다수의 실린더 구동을 통해 분말컵조립체(300)를 회전시켜 위치 이동시킴과 아울러 이동호스(250)로부터 분말컵(310)에 혼합분말을 투입하고, 하부성형금형(500b) 둘레에 혼합분말을 공급하는 분말공급장치부와;
    하부성형금형(500b) 둘레에 요철 성형된 진동플레이트(430)에 진동볼부재(326)가 진동을 발생하며 이송되어 혼합분말을 균일하게 분산하는 분말평탄화장치부와;
    상, 하부고정펀치(510a)(510b) 및 상, 하부가압펀치(530a)(530b)의 가압을 통해 하부성형금형(500b) 중앙에 구비한 생크를 고정함과 동시에 하부성형금형(500b) 둘레에 공급한 혼합분말을 가압 성형하는 가압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분말계량장치부는,
    혼합분말이 공급되는 호퍼(200)와;
    상기 호퍼(200) 하단에 연통 결합되어 일정량의 혼합분말을 충진하고, 하단 일부에 혼합분말을 배출하는 배출홀(212)을 형성한 계량배럴(210)과;
    상기 계량배럴(210) 단부에 장착되어 내부의 혼합분말을 일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실린더(220)와;
    상기 이송실린더(220)의 로드에 결합되어 계량배럴(210) 내부에 채워지는 혼합분말의 양을 조절 가능한 부피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피조절수단은 이송실린더(220)의 로드에 결합한 나사봉(230)과;
    상기 나사봉(230)에 체결되어 계량배럴(210) 내벽면에 끼워진 조절마개(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공급장치부는,
    연결플레이트(320) 양단에 틸팅플레이트(332)와 분말컵(310)을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플레이트(320)를 분말컵회전축(330)에 힌지 결합하며, 회전플레이트기어(400) 상면 일부에 분말컵회전축(330)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분말컵조립체(300)와;
    제1실린더(340)의 구동을 통해 상기 분말컵회전축(330)을 중심으로 상기 분말컵(310)을 상, 하로 틸팅시킴과 아울러, 제2,3실린더(350)(360)의 구동을 통해 상기 분말컵회전축(330) 하단에 치형으로 맞물려 상기 분말컵회전축(330)을 중심으로 상기 분말컵(310)을 회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분말컵회전축(330)과 근접된 하부다이(100b) 상면에 설치한 틸팅 및 회전수단과;
    제4실린더(370)의 구동을 통해 이동호스(250)에서 공급되는 혼합분말을 분말컵(310) 내부에 투입하는 분말투입수단과;
    회전플레이트기어(400)와 상기 분말컵조립체(300)를 함께 회전시켜 하부성형금형(500b)에 혼합분말을 공급할 수 있게 하부성형금형(500b) 둘레에 설치한 분말공급 및 선회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및 회전수단은,
    연결플레이트(320) 단부 상면에 고정한 틸팅플레이트(332)와;
    상기 틸팅플레이트(332) 상단 일부를 가압하여 분말컵(310)을 틸팅시킬 수 있게 틸팅플레이트(332) 상부에 설치한 제1실린더(340)와;
    분말컵회전축(330) 하단에 고정 장착한 스프라켓(334)과;
    상기 스프라켓(334)에 맞물려 분말컵회전축(330)을 회전시킬 수 있게 체인(354)을 내장한 체인하우징(352)을 로드 단부에 장착하고,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다이(100b) 상면 일부에 축 결합한 제2실린더(350)와;
    상기 체인하우징(352)을 밀어 체인(354)을 스프라켓(334)에 맞물릴 수 있게 하부다이(100b) 상면에 결합한 제3실린더(360)와;
    상기 제3실린더(360)의 가압작용 해제시 회전 이동한 제2실린더(350)를 복귀시킬 수 있도록 제2실린더(350) 타단부에 장착한 리턴스프링(3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컵(310)이 회전 복귀되는 하부다이(100b) 상면 위치에는 분말컵(3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감지센서(S1)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투입수단은,
    계량배럴(210)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분말을 이동시키는 이동호스(250)와;
    가이드프레임(372)을 통해 로드의 단부와 상기 이동호스(250)의 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이동호스(250)를 분말컵(310) 상부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4실린더(370)와;
    상기 제4실린더(370)의 구동을 통한 이동호스(250) 이동 중 상기 이동호스(25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4실린더(370) 일측에 설치한 회동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방지수단은,
    중앙에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제4실린더(370) 단부에 고정 결합한 로드블록(374)과;
    가이드프레임(372)에 결합되어, 상기 구멍을 따라 왕복 이송하는 가이드로드(3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공급 및 선회수단은,
    하단에 공급홀(312)을 중공 형성하여 하부성형금형(500b) 둘레에 위치하는 분말컵(310)과;
    상기 하부성형금형(500b) 외측에 설치된 진동플레이트(430) 외측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회전플레이트기어(40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기어(400)와 진동플레이트(430) 사이에 장착한 다수의 베어링(440)과;
    상기 회전플레이트기어(400) 일부에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회전축기어(410)와;
    상기 회전축기어(410)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기어(400)의 회전 중 하부성형금형(500b)에 공급되는 혼합분말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연결플레이트(320) 하단에 이탈방지편(322)을 더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기어(400)와 근접된 하부다이(100b) 상면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기어(400)의 회전수를 체크할 수 있도록 체크센서(S2)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기어(400) 상면 일부에는 양측에 감지센서(S3)를 구비한 센서블록(420)을 설치하며, 체크센서(S2)와 근접된 하부다이(100b) 상면에는 상기 감지센서(S3)를 감지하여 회전플레이트기어(400)의 속도를 감속 제어할 수 있게 속도저감센서(S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평탄화장치부는,
    상면에 요철부(432)를 성형하여 하부성형금형(500b) 외측 둘레에 고정 설치한 진동플레이트(430)와;
    분말컵조립체(300)의 연결플레이트(320) 하부에 장착한 고정플레이트(324)와;
    상기 고정플레이트(324) 하단에 돌출 장착한 진동볼부재(3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부는,
    하부성형금형(500b) 중앙 상면에 구비한 생크를 고정시킬 수 있게 상부성형금형(500a) 중앙 상단과 하부성형금형(500b) 중앙 하단에 설치한 상부고정펀 치(510a) 및 하부고정펀치(510b)와;
    상기 상부고정펀치(510a)와 하부고정펀치(510b) 상, 하단에 각각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어 생크를 고정시키는 상부고정실린더(520a) 및 하부고정실린더(520b)와;
    상기 하부성형금형(500b) 둘레에 공급되는 혼합분말을 가압할 수 있게 상부성형금형(500a) 둘레 상단과 하부성형금형(500b) 둘레 하단에 설치한 상부가압펀치(530a) 및 하부가압펀치(530b)와;
    상기 상부가압펀치(530a)와 하부가압펀치(530b) 상, 하단에 각각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어 혼합분말을 가압 성형하는 상부가압실린더(540a) 및 하부가압실린더(54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다이(100b) 상부 둘레에는 하부성형금형(500b)에 공급되는 혼합분말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케이싱(600)을 더 커버 설치하고, 상기 케이싱(600) 전면에는 개폐도어(61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600) 외부에는 케이싱(600) 내부와 관통되게 집진기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610)에는 접지센서(S5)를 장착하여 개폐도어(610) 개방시 장치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KR1020070111763A 2007-11-02 2007-11-02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KR100947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763A KR100947218B1 (ko) 2007-11-02 2007-11-02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763A KR100947218B1 (ko) 2007-11-02 2007-11-02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776A true KR20090045776A (ko) 2009-05-08
KR100947218B1 KR100947218B1 (ko) 2010-03-11

Family

ID=40855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763A KR100947218B1 (ko) 2007-11-02 2007-11-02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218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879B1 (ko) * 2013-06-04 2013-12-10 박승복 롤러머신 이물질제거용 지르코니아 세라믹 나이프 제조방법
WO2014092438A1 (ko) * 2012-12-13 2014-06-19 (주)창성 공정 단계별 집진이 가능한 분말 성형 장치 및 그 방법
KR101413742B1 (ko) * 2013-04-10 2014-08-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분말조제 계량을 위한 용량 조절 장치 및 방법
CN105172149A (zh) * 2015-10-24 2015-12-23 党金行 滑芯送粉式3d打印机供粉装置
WO2017200151A1 (ko) * 2016-05-16 2017-11-23 (주)우정테크 그라데이션 파우더 화장품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1866837B1 (ko) * 2017-11-28 2018-06-14 주식회사 태동씨앤에스 연마패드 제조 방법
CN108303299A (zh) * 2018-02-05 2018-07-20 深圳市周大福珠宝制造有限公司 机械自动压铅机
CN114453582A (zh) * 2021-12-27 2022-05-10 安徽超宇磁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卸载功能的磁铁磁坯压制装置
CN114905790A (zh) * 2022-04-21 2022-08-16 徐家东 一种粉末状药剂打包用原料压片装置
CN117259751A (zh) * 2023-11-22 2023-12-22 烟台东星大韩粉末冶金有限公司 一种粉末冶金成型加工设备及方法
CN117340245A (zh) * 2023-11-09 2024-01-05 安徽众成合金科技有限公司 基于运行反馈的合金粉末挤压成型装置及方法
CN117564270A (zh) * 2024-01-12 2024-02-20 辽宁宏拓新材料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金属粉末冶金用冲压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185B1 (ko) * 2017-01-02 2019-01-16 김은기 다단적층형 디스크성형체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8604A (ja) * 1993-08-02 1995-02-21 Inter Metallics Kk 圧粉成型体成型装置
JP2006136924A (ja) * 2004-11-12 2006-06-01 Mitsubishi Materials Techno Corp 粉末成形装置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2438A1 (ko) * 2012-12-13 2014-06-19 (주)창성 공정 단계별 집진이 가능한 분말 성형 장치 및 그 방법
KR101419211B1 (ko) * 2012-12-13 2014-08-13 (주)창성 공정 단계별 집진이 가능한 분말 성형 장치 및 그 방법.
KR101413742B1 (ko) * 2013-04-10 2014-08-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분말조제 계량을 위한 용량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1339879B1 (ko) * 2013-06-04 2013-12-10 박승복 롤러머신 이물질제거용 지르코니아 세라믹 나이프 제조방법
CN105172149A (zh) * 2015-10-24 2015-12-23 党金行 滑芯送粉式3d打印机供粉装置
WO2017200151A1 (ko) * 2016-05-16 2017-11-23 (주)우정테크 그라데이션 파우더 화장품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1866837B1 (ko) * 2017-11-28 2018-06-14 주식회사 태동씨앤에스 연마패드 제조 방법
CN108303299B (zh) * 2018-02-05 2024-04-05 深圳市周大福珠宝制造有限公司 机械自动压铅机
CN108303299A (zh) * 2018-02-05 2018-07-20 深圳市周大福珠宝制造有限公司 机械自动压铅机
CN114453582A (zh) * 2021-12-27 2022-05-10 安徽超宇磁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卸载功能的磁铁磁坯压制装置
CN114453582B (zh) * 2021-12-27 2023-08-04 安徽超宇磁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卸载功能的磁铁磁坯压制装置
CN114905790A (zh) * 2022-04-21 2022-08-16 徐家东 一种粉末状药剂打包用原料压片装置
CN117340245A (zh) * 2023-11-09 2024-01-05 安徽众成合金科技有限公司 基于运行反馈的合金粉末挤压成型装置及方法
CN117259751A (zh) * 2023-11-22 2023-12-22 烟台东星大韩粉末冶金有限公司 一种粉末冶金成型加工设备及方法
CN117259751B (zh) * 2023-11-22 2024-02-06 烟台东星大韩粉末冶金有限公司 一种粉末冶金成型加工设备及方法
CN117564270A (zh) * 2024-01-12 2024-02-20 辽宁宏拓新材料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金属粉末冶金用冲压设备
CN117564270B (zh) * 2024-01-12 2024-03-15 辽宁宏拓新材料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金属粉末冶金用冲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218B1 (ko)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218B1 (ko) 다이아몬드 공구 제조를 위한 분말 성형장치
CN106827220A (zh) 一种建筑材料成型生产线
KR20140142439A (ko) 사형의 연속 자동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6827229A (zh) 一种建筑材料成型装置
CN106626007A (zh) 一种自动下料的建筑材料成型装置
CN112171876A (zh) 一种免烧砖的混凝土定量浇注机构
CN115007282A (zh) 化工原料的研磨装置及其研磨方法
CN114193609B (zh) 一种混凝土预制件成型装置
CN112676016B (zh) 一种建筑废料粉碎装置
CN212576371U (zh) 一种高效的陶瓷废料破碎机
CN211307551U (zh) 一种适用于金刚石刀头模具的自动拆模、装模生产线
CN112476786A (zh) 一种用于建筑石料切割以及废石料破碎的装置
JPH07299599A (ja) 砥粒を含む圧粉体成形方法
KR100691422B1 (ko)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황토블럭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황토벽돌의 제조방법
TW202330374A (zh) 化妝料之製造方法
CN212144171U (zh) 一种具备输送机构的冲压模具
CN213137232U (zh) 一种日用陶瓷加工用成型设备
CN214081981U (zh) 一种六孔砖头制作装置
KR102000969B1 (ko) 인테리어용 세라믹 타일 제조장치
CN103963154B (zh) 一种压机线
CN106670400B (zh) 自动脱模装置
CN111842910A (zh) 一种基于大数据分析的粉末冶金设备及数据分析方法
KR20100037708A (ko) 접착식 보.차도 블럭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09902647U (zh) 一种生铁铸件去毛刺装置
CN220941169U (zh) 一种叶蜡石加工用破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