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575A - 제1마개와 그에 결합되는 제2마개를 구비한 병마개 - Google Patents

제1마개와 그에 결합되는 제2마개를 구비한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575A
KR20090039575A KR1020080002984A KR20080002984A KR20090039575A KR 20090039575 A KR20090039575 A KR 20090039575A KR 1020080002984 A KR1020080002984 A KR 1020080002984A KR 20080002984 A KR20080002984 A KR 20080002984A KR 20090039575 A KR20090039575 A KR 20090039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ottle cap
stopper
bott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8437B1 (ko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김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훈 filed Critical 김상훈
Priority to JP2010529853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1500466A/ja
Priority to PCT/KR2008/006041 priority patent/WO2009051384A2/en
Priority to US12/738,441 priority patent/US20100213158A1/en
Priority to CN2008801121773A priority patent/CN101835693B/zh
Publication of KR20090039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65D41/48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non-metallic, e.g. made of paper or plastics
    • B65D41/485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non-metallic, e.g. made of paper or plastic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8Caps combined with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052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made in more than one piece
    • B65D39/0076Plastic closure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B65D39/0058 - B65D39/00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58Caps or cap-like covers combined with st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병마개는 제 1 마개와 제 1 마개의 홈부에 끼워맞춤되는 제 2 마개로 이루어진다. 제 1 마개는 병 개구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둘레부와,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둘레부의 상측에 형성된 상측부를 구비한다. 상측부는 개구부의 내주면에 기밀적으로 접촉되는 측벽을 형성하도록 하방으로 함몰된 홈부를 구비한다. 제 2 마개는 홈부에 삽입되는 끼움부 및, 끼움부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병마개는 병의 개구부 내측 및 외측과 병마개와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병, 마개, 병마개, 음료수, 이중구조

Description

제1마개와 그에 결합되는 제2마개를 구비한 병마개 {Bottle cap having a first cap member and a second cap member assembled thereto}
본 발명은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약액, 음료수나 주류 또는 기타 액체류 등을 수용하는 병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료수나 생수 등을 수용하는 병에는 내용물의 투입 후 유통 중에 수용된 내용물의 변질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병마개가 개폐수단으로서 채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채택되고 있는 병마개로는 나사식에 의한 개폐방식과 끼움식에 의한 개폐방식 등이 있다.
나사식의 병마개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개구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병에 결합되는 구성이므로, 밀폐성이 높아 탄산음료나 맥주 등과 같이 기밀이 요구되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병의 병마개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병마개는 병의 외주면에 나사산으로 결합된 구성이므로, 개봉시 상당한 힘이 필요하며, 병의 개봉시 병마개를 수회 반복해서 회전시켜야 하므로, 일시에 개봉하기 어렵다는 불편이 있다. 또한, 철재나 알루미늄 등의 고강도 금속재료의 병마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병마개의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과 철재 등의 채취를 위 한 환경파괴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병마개의 개봉후 병마개의 일부가 병에 남아 병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별도의 이탈작업이 필요하므로, 재활용시 분리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끼움식의 병마개는 병 개구부의 내주면에 끼워맞춤하는 구성이므로, 병마개의 개봉 및 폐쇄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병마개는 미약한 외력에 의해서 개봉될 뿐만 아니라 병마개의 밀폐성이 낮으므로, 특히 탄산음료나 맥주 등과 같이 기밀이 요구되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병의 병마개로 채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탄산음료 등을 수용하는 병에도 채용가능한 정도로 밀폐성이 높고, 간단한 동작으로 병마개의 개봉이 가능하고, 환경친화적이며 제조비용이 저렴한 병마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병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병마개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둘레부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둘레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 기밀적으로 접촉되는 측벽을 형성하도록 하방으로 함몰된 홈부가 형성된 상측부를 구비한 제 1 마개; 및 상기 제 1 마개의 상기 홈부에 끼워맞춤되는 제 2 마개;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병마개는 이중구조로 형성되어 병의 개구부 내측 및 외측과 병마개와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마개는 상기 홈부의 내측벽의 일 부위에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마개는 외주의 일 부위에 상기 제 1 걸림부에 걸어맞춤되는 제 2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마개와 제 2 마개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2 마개는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상부에 측방으로 연장된 부위를 갖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또 상기 끼움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측벽에 측방지지력을 가하는 지지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는 외주 의 일 부위에 탈거용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마개의 상기 홈부는 내측벽 상단에 상기 제 2 마개의 상기 연장부가 놓여지도록 단차지게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마개와 제 2 마개 사이의 탈착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마개는 상기 제 1 마개 보다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 1 마개에 대한 제 2 마개의 가압력이 용이하게 작용된다.
본 발명의 제 1 마개의 상기 홈부는 상기 측벽의 두께가 소정의 부위에서 타 부위 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벽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는 부위는 상기 측벽의 하부 영역이다. 또한, 상기 홈부의 상기 측벽은 그 내측면이 함몰됨으로써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따라서 홈부의 내벽에 대한 볼록부의 가압력이 용이하게 작용된다.
본 발명의 제 1 마개는 상기 둘레부의 내주면을 따라서 이탈방지용 환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마개는 상기 둘레부의 내주면을 따라서 이탈방지용 환형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마개는 상기 측벽의 외주면을 따라서 밀폐용 환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병의 개구부에 대한 제 1 마개의 이탈방지 및 밀폐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1 마개는 측벽의 하단부 영역과 상기 홈부의 저면을 연결하는 부위가 만곡되어 있다. 또한, 이 만곡된 부위에는 병마개의 개봉시 병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외부면에 상기 측벽의 하단부 영역과 상기 홈부의 저면을 연결하는 오목홈 형상의 공기통로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공기통로는 통로의 폭이 상기 홈부의 저면측 보다 상기 측벽의 하단부측 영역에서 넓게 형 성된다. 따라서 제 1 마개의 개봉시 홈부가 병 개구부의 내주면에서 용이하게 탈거된다. 또, 측벽의 하단부 외주영역에 하향 연장된 스커트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병의 개구부에 대한 제 1 마개의 밀폐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1 마개의 상기 둘레부의 하단부 영역이 상기 둘레부의 타 부위에 비해 외측이 함몰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시 다른 부재에 의한 제 1 마개의 의도되지 않은 탈거가 방지되며, 또한 기구나 손톱을 사용한 비정상적인 강제 개봉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 1 마개는, 상기 둘레부의 중앙부로부터 하단까지 연장형성된 복수개의 개봉 흔적 표시부; 상기 복수개의 개봉 흔적 표시부의 상단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접힘부; 상기 복수개의 개봉 흔적 표시부와 접힘부에 의해 구성되는 개봉 조각부; 상기 개봉 조각부의 외면에 그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개봉용 손잡이부; 및 상기 개봉 흔적 표시부의 파단에 의한 상기 개봉 조각부의 상향 운동시 그 개봉 조각부의 개봉용 손잡이부의 상면과 맞대어지도록 상기 접힘부의 상측에 돌출형성된 받침돌출턱부;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제 1 마개의 개봉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개봉 흔적 표시부는, 점선형태의 파단선 또는 타부위 보다 얇은 두께의 절취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봉 흔적 표시부의 파단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병마개는 이중구조로 형성되어, 병의 개구부 내측 및 외측과 병마개와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병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병마개의 개봉 후 재사용시에도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제 1 마개의 측벽의 하단부 영역과 홈부의 저면을 연결하는 부위가 만곡 형성되어, 병마개의 탈거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 1 마개와 제 2 마개에 밀폐용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병마개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취개봉부에 의해 간단한 동작으로 병마개의 개봉이 가능하게 되고, 병마개의 일부가 병에 남아 있지 않고 완전히 제거되므로, 재활용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 및 5는 도 3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제 2 마개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병마개는 제 1 마개(10)와 제 2 마개(20)의 이중구조로 형성된 병마개이다. 이러한 병마개는 병(100)의 개구부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밀착되어, 병(100)의 개구부를 폐쇄한다.
제 1 마개(10)는 둘레부(11), 상측부(12) 및 홈부(14)를 포함한다.
둘레부(11)는 병(100) 개구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고, 둘레부(11) 내면에는 이탈방지용 환형 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부(12)는 병(100) 개구부의 상측을 밀폐하여 폐쇄하도록 둘레부(11)의 상측에 형성된다. 홈부(14)는 병(100) 개구부의 내주면에 기밀적으로 접촉되는 측벽을 형성하도록 상측부(12)에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홈부(14)의 내측벽 상단에는 단차지게 함몰된 함몰부(13)가 형성된다. 홈부(14)의 내측벽의 일 부위에는 돌기 형상의 제 1 걸림부(15)가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부(14)의 하부면에는 상방으로 볼록한 볼록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부(14)를 형성하는 측벽의 하부 부근의 내측면에는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14)에는 측벽의 외주면을 따라서 밀폐용 환형 돌기(1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마개(10)에는 측벽의 하단부 영역과 홈부(14)의 저면을 연결하는 부위가 만곡되어 있는 만곡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마개(10)의 재료로는 실리콘 고무(silicon rubber),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폴리에틸렌(P.E.; Poly Ethylene) 등과 같이 가압력에 의해 변형이 용이한 연질 수지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마개(20)는 제 1 마개(10)의 홈부(14)에 끼워맞춤되며, 끼움부(23)와 연장부(21)로 이루어진다.
끼움부(23)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끼움부(23)의 외주 일부위에는 돌기 형 상의 제 2 걸림부(24)가 형성된다. 끼움부(23)의 내주부에는 끼움부(23)의 내부의 수평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지대(23a)가 형성된다.
연장부(21)는 원형 테두리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부(23)의 상부에 측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부(21)의 외주 일부위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탈거용 돌기 또는 홈(22)이 형성된다. 또한, 연장부(21)는 원형 테두리 형상 외에도 별형상, 육각형상, 팔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마개(20)의 재료로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아크릴(acrylic),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폴리에틸렌(P.E.; Poly Ethylene) 등과 같은 경질 수지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일 장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100) 개구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제 1 마개(10)가 끼워맞춤되어 결합된다. 제 1 마개(10)의 홈부(14)에 제 2 마개(20)의 끼움부(23)가 끼워맞춤되어 결합된다. 제 1 걸림부(15)와 제 2 걸림부(24)의 걸어맞춤에 의해 끼움부(23)가 홈부(14) 내에 고정된다. 제 1 마개(10)의 둘레부(11)의 내주면을 따라 이탈방지용 환형 돌기(16)가 병(100) 개구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결합된다. 즉, 제 1 마개(10)에 제 2 마개(20)가 결합된 상태로 병의 개구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끼움부(23)가 홈부(14) 내에 결합됨으로써, 홈부(14)의 내벽이 외측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끼움부(23)가 홈부(14)에 측방으로 확장되는 방향의 가압력을 부여하므로 병(100) 개구부의 내주면과 제 1 마개(10) 사이의 밀폐성이 향상된다.
한편, 끼움부(23)의 내주부에 형성된 지지대(23a)는 그 평단면이 십자 형상을 갖도록 두 개의 플레이트가 기립상태로 상호 직교 배치된 형상을 갖는다. 이 지지대(23a)는 제 2 마개(20)의 제작시 제 2 마개(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 지지대(23a)는 제 2 마개(20)가 제 1 마개(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2 마개(20)의 끼움부(23)가 제 1 마개(10)의 홈부(14)에 의해 수축 압력을 받을 때, 제 2 마개(20)의 끼움부(23)에 대해 수축 압력에 저항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끼움부(23)의 내부 지지력이 향상되므로, 외측 측방으로의 확장 지지력도 향상되어 측벽에 측방 지지력을 가하는 상태가 견실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지지대(23a)는 그 단면이 십자형상, 방사상 형상, 벌집형상 등을 갖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마개(10)의 볼록부(18)에 탄산음료, 맥주 등의 가스압력에 의한 가압력이 상방으로 부여되면, 볼록부(18)가 홈부(14)의 측벽을 하단에서 상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홈부(14)의 측벽은 그 두께가 균일하지 않고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부위, 즉 오목부(17)가 형성된 부위에서 타 부위보다 두께가 얇게 되어 있다. 따라서, 그러면 볼록부(18)를 통해 측벽에 가해지는 상방 가압력에 의하여, 오목부(17)가 형성된 부위가 상방 가압력에 의해 수축되어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으로 돌출되는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홈부(14)의 측벽이 오목부(17)가 형성된 영역에서 측방으로 확장되어 병(100) 개구부 의 내주면과 강하게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병(100) 개구부의 내주면과 제 1 마개(10) 사이의 밀폐성이 더욱 향상된다.
홈부(14)의 측벽의 두께가 얇게 형성된 부위가 측벽의 중간부 영역이나 측벽의 상단부 영역인 경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홈부(14)의 측벽은 외측면이 함몰됨으로써 측벽의 두께가 타 부위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으나, 볼록부(18)에 의한 가압력이 측벽의 외측으로 부여되도록 측벽의 내측면이 함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홈부(14)에는 측벽의 외주면을 따라 밀폐용 환형 돌기(14a)가 형성되어, 병(100) 개구부의 내주면과 제 1 마개(10) 사이의 밀폐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반드시 밀폐용 환형 돌기(14a)가 형성될 필요는 없다. 또한 밀폐용 환형돌기(14a)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이탈방지용 환형 돌기(16)는 병(100) 개구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결합됨으로써, 병(100) 개구부의 외주에서 제 1 마개(1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탈방지용 환형 돌기(16)는 병(100) 개구부의 외주와 제 1 마개(10) 사이의 밀폐성을 향상시키는 기능도 하게 된다. 또한, 이탈방지용 환형 돌기(16)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 반원형상, 삼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마개(10)의 개봉시 탈거를 용이하게 한다.
제 2 마개(20)는 제 1 마개(10) 보다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제 1 마개(10)가 제 2 마개(20)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경질소재의 끼움부(23)가 변형이 용이한 연질소재의 홈부(14)에 끼워맞춤되거나 탈거되 므로, 제 1 마개(10)에 대한 제 2 마개(20)의 끼워맞춤과 탈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 1 마개(10)와 제 2 마개(20)의 재질 및 강도는, 밀폐력 강화 및 개봉의 용이성을 위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홈부(14)에서 끼움부(23)를 탈거하는 경우, 연장부(21)의 일측에 형성된 탈거용 돌기 또는 홈(22)을 사용하여 탈거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통상 병(100)의 개구부에서 제 1 마개(10)를 기울인 상태로 탈거하게 되므로, 제 1 마개(10)의 만곡부(14b)에 의해 병(100) 개구부의 내주와 제 1 마개(1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제 1 마개(10)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1 마개(10)의 탈거시 제 1 마개(10)의 변형이 최소화되므로, 탈거작업에 필요한 작용력이 작아지게 되어 탈거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병(100)의 개구부에 제 1 마개(10)를 결합한 후 제 2 마개(20)를 제 1 마개(10)에 결합하나, 제 1 마개(10)에 제 2 마개(20)를 결합한 후 제 1 마개(10)를 병(100)의 개구부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다른 장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마개(10)의 둘레부(11)의 내주면을 따라서 이탈방지용 환형 홈(19)에 병(100) 개구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가 결합된다. 따라서, 병(100) 개구부의 외주에서 제 1 마개(1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탈방지용 환형 홈(19)은 병(100) 개구부의 외주와 제 1 마개(10) 사이의 밀폐성을 향상시키는 기능도 하게 된다. 또한, 이탈방지용 환형 홈(19)은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 상, 반원형상, 삼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마개(10)의 개봉시 탈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병마개의 개봉시에는 병의 개구부에서 제 2 마개(20)가 결합된 제 1 마개(10)를 상방으로 비스듬히 탈거하여 병의 개구부가 개봉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마개(10) 및 제 2 마개(20)가 병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우선 제 2 마개(20)를 탈거한 후 제 1 마개(10)를 탈거시켜 병을 개봉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일 장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다른 장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병마개는 절취개봉부(30)가 더 구비된 구성 외에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병마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 1 마개(10)에는 둘레부(11)의 일 부위에 본 발명자가 발명한 국제출원 PCT/KR2004/002165호에 개시된 절취개봉부(3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절취개봉부(30)는 개봉 흔적 표시부(31), 접힘부(32), 개봉 조각부(33), 개봉용 손잡이부(34) 및 받침돌출턱부(35)를 포함한다.
개봉 흔적 표시부(31)는 둘레부(11)의 중앙부로부터 하단까지 복수개가 연장형성된다. 접힘부(32)는 복수개의 개봉 흔적 표시부(31)의 상단을 일직선으로 연결한다. 개봉 조각부(33)는 복수개의 개봉 흔적 표시부(31)와 접힘부(32)에 의해 구성된다. 개봉용 손잡이부(34)는 개봉 조각부의 외면에 그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개봉 흔적 표시부(31)는 병마개의 최초 개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구조로서, 개봉 조각부(33)의 상향 운동시 파단이나 절취가 용이하도록 점선형태의 파단선 또는 타부위 보다 얇은 두께의 절취선으로 형성된다.
받침돌출턱부(35)는 개봉 흔적 표시부(31)의 파단에 의한 개봉 조각부(33)의 상향 운동시 그 개봉 조각부(33)의 개봉용 손잡이부(34)의 상면과 맞대어지도록 상기 접힘부(32)의 상측에 돌출형성된다.
사용자가 병마개의 하측을 한 손으로 쥐고 엄지 손가락 등에 의해 접힘부(32)를 축으로 개봉 조각부(33) 하단을 상향 운동시키는 동작을 취하여 개봉 흔적 표시부(31)가 파단된다. 그 다음에, 병마개가 병(100)의 개구부로부터 이탈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제 1 마개(10)를 병(100)의 개구부에서 한손에 의해서 개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병마개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마개(10)의 둘레부(11)의 내주면을 따라서 이탈방지용 환형 돌기(16) 또는 이탈방지용 환형 홈(19)이 형성되어, 병(100) 개구부의 외주에서 제 1 마개(1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본 실시예의 병마개의 개봉예에 대한 작동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개봉예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마개(10)와 제 2 마개(20)가 병의 개구부에 끼워맞춤되어 밀폐시키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개봉 조각부(33)의 개봉용 손잡이부(34)에 엄지 손가락의 단부를 접촉하고 이를 상향 운동시킨다. 그러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봉 흔적 표시부(31)의 파단이 일어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봉 조각부(33)와 받침돌출턱부(35)가 맞대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엄지 손가락의 바닥부가 개봉용 손잡이부(34)의 파단부에 접촉된다. 그러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에 의한 상향력이 병마개 전체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병의 개구부를 개봉시킨다.
특히, 제 1 마개(10)에는 측벽의 하단부 영역과 홈부(14)의 저면을 연결하는 부위가 만곡되어 있는 만곡부(14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병마개의 개봉시 홈부(14)의 외벽 하단부 영역이 병의 개구부에서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병마개의 개봉시에는 병의 개구부에서 제 2 마개(20)가 결합된 제 1 마개(10)의 절취개봉부(30)를 사용하여 상방으로 비스듬히 탈거하여 병의 개구부가 개봉된다.
또한, 제 1 마개(10)가 제 2 마개(20)에 의해 병의 개구부에 끼워맞춤되어 있으므로, 우선 제 2 마개(20)를 탈거한 후 절취개봉부(30)를 사용하여 제 1 마개(10)를 탈거시켜 병을 개봉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20 내지 도 22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병마개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0은 제 1 마개(10)의 공기통로(14c)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21은 제 1 마개(10)의 공기통로(14c)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B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부(14)의 측벽의 하단부 영역과 홈부(14)의 저면을 연결하는 만곡부(14b)의 외부면에는 병마개의 개봉시 병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측벽의 하단부 영역과 홈부(14)의 저면을 연결하는 오목홈 형상의 공기통로(14c)가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통로(14c)는 통로의 폭이 일정하게 형성된 일자형의 공기통로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절취개봉부(30)에 의해 병 개구부를 개봉하는 과정에서 병마개가 일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전술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만곡부(14b)가 병의 내주부와 밀착되어 밀폐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만곡부(14b)가 병의 내주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도 20 내지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공기통로(14c)가 형성된 경우 공기통로(14c)를 통해 병 내부의 탄산가스가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병 내부의 탄산가스가 배출되는 개봉음이 발생하고 또한 사용자는 개봉시 탄산가스의 배출을 손가락으로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병마개의 개봉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자신의 개봉이 최초의 개봉임을 알 수 있 고, 또한 개봉음에 의해 청량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탄산가스가 함유된 음료 또는 맥주 등의 경우에는 최초 개봉시 내용물이 넘칠 수 있으나, 이러한 공기통로(14c)에 의해 내부의 공기를 서서히 배출하므로, 내용물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병마개는 절취개봉부(30)에 의해서 개봉되므로, 병마개의 개봉위치가 절취개봉부(30)의 최근접 위치로 한정되어, 이 부분의 공기통로(14c)에서 내부의 공기가 배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통로(14c)가 개봉용 손잡이부(34)의 최근접 위치에 하나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통로(14c)를 제 1 실시예의 병마개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병마개의 개봉 위치가 특정 지점으로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공기통로(14c)를 만곡부(14b)에 방사형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공기통로(14c)의 변형예로서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통로의 폭이 홈부의 저면 보다 상기 측벽의 하단부 영역에서 넓게 형성된 확장형 공기통로(14d)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기통로(14d)의 경우에는, 공기통로(14d)의 상부가 확장되어, 개봉위치와 공기통로(14d)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공기통로(14d)의 확장부에 의해서 내부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개봉위치와 공기통로(14d)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개봉음이 발생하여 병마개의 최초 개봉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봉음에 의해 청량감을 느낄 수 있게 되고, 내용물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공기통로(14d)가 만곡부(14b)에 방사형상으로 배치되면, 제 1 실시예의 병 마개에 공기통로(14d)의 적용시 더욱 유효하게 된다.
도 24 및 도 2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부(14)의 측벽의 하단부 외주영역의 둘레에 하향 연장된 스커트부(14e)가 형성된다. 이 스커트부(14e)는 병 개구부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밀착된다. 따라서 특히 탄산음료, 맥주 등 내용물의 가스압력이 병 개구부를 향해 상방으로 부여될 때 스커트부(14e)는 외측으로 확장되는 압력을 받게 되어 병(100) 개구부의 내주면과 밀착하는 힘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병(100) 개구부의 내주면과 제 1 마개(10) 사이의 밀폐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러한 스커트부(14e)는 도 20 내지 도 22에 나타낸 변형예와 함께 적용이 가능하고, 제 2 실시예 뿐만 아니라 제 1 실시예의 병마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 둘레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마개(10)의 둘레부(11)의 하단부 영역이 둘레부(11)의 타 부위에 비해 외측이 함몰되어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부(11)의 하단부 영역은 외측이 함몰되어 단차부(11a)로 형성되거나,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만곡부(11b)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마개(10)는 둘레부(11)의 하단부 영역의 외측이 함몰되어 있으므로, 병마개가 미개봉된 상태로 병을 운반하거나 휴대하는 경우에 운반상자나 손가락 등에 병마개의 둘레부(11)가 걸려서 탈거되지 않고 미끄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함몰된 둘레부(11)의 하단부 둘레 영역은 병의 운반 및 휴대시 병마개의 의도하 지 않은 탈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함몰된 둘레부(11)가 형성된 병마개는 절취개봉부(30)의 개봉에 의해서만 탈거가 가능하므로, 운반 및 휴대시 병마개의 의도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이 더욱 향상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절취개봉부(3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병마개가 절취개봉부(30)에 의한 개봉 시도 이외의 다른 요인에 의해서는 개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하부 영역이 함몰된 둘레부(11)는 다른 기구나 손톱 등을 이용한 비정상적인 방법의 개봉 시도시에도 병마개가 용이하게 개봉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함몰된 둘레부(11)는 제 2 실시예의 병마개 뿐만 아니라 제 1 실시예의 병마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제 2 마개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일 장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다른 장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개봉예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일 장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다른 장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개봉예를 나타 내는 상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2는 도 21의 B부 대한 상세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5는 도 24의 C부 대한 상세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제 1 마개의 둘레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제 1 마개의 둘레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Claims (20)

  1. 병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병마개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둘레부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둘레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 기밀적으로 접촉되는 측벽을 형성하도록 하방으로 함몰된 홈부가 형성된 상측부를 구비한 제 1 마개; 및
    상기 제 1 마개의 상기 홈부에 끼워맞춤되는 제 2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개는 상기 홈부의 내측벽의 일 부위에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마개는 외주의 일 부위에 상기 제 1 걸림부에 걸어맞춤되는 제 2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개는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상부에 측방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측벽에 측방지지력을 가하는 지지대가 형성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외주의 일 부위에 탈거용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개의 상기 홈부는 내측벽 상단에 상기 제 2 마개의 상기 연장부가 놓여지도록 단차지게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개는 상기 제 1 마개 보다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개의 상기 홈부는 상기 측벽의 두께가 소정의 부위에서 타 부위 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는 부위는 상기 측벽의 하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상기 측벽은 그 내측면이 함몰됨으로써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개는 상기 둘레부의 내주면을 따라서 이탈방지용 환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개는 상기 둘레부의 내주면을 따라서 이탈방지용 환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개는 상기 측벽의 외주면을 따라서 밀폐용 환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하단부 영역과 상기 홈부의 저면을 연결하는 부위가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부위에는 개봉시 병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외부면에 상기 측벽의 하단부 영역과 상기 홈부의 저면을 연결하는 오목홈 형상의 공기통로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6. 제 1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공기통로는 통로의 폭이 상기 홈부의 저면측 보다 상기 측벽의 하단부측 영역에서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하단부 외주영역에 하향 연장된 스커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개의 상기 둘레부의 하단부 영역이 상기 둘레부의 타 부위에 비해 외측이 함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개는,
    상기 둘레부의 중앙부로부터 하단까지 연장형성된 복수개의 개봉 흔적 표시부;
    상기 복수개의 개봉 흔적 표시부의 상단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접힘부;
    상기 복수개의 개봉 흔적 표시부와 상기 접힘부에 의해 구성되는 개봉 조각부;
    상기 개봉 조각부의 외면에 그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개봉용 손잡이부; 및
    상기 개봉 흔적 표시부의 파단에 의한 상기 개봉 조각부의 상향 운동시 그 개봉 조각부의 개봉용 손잡이부의 상면과 맞대어지도록 상기 접힘부의 상측에 돌출형성된 받침돌출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흔적 표시부는, 점선형태의 파단선 또는 타부위 보다 얇은 두께의 절취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KR1020080002984A 2007-10-17 2008-01-10 제1마개와 그에 결합되는 제2마개를 구비한 병마개 KR100938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529853A JP2011500466A (ja) 2007-10-17 2008-10-14 第1キャップ部材とそれに結合される第2キャップ部材とを有する瓶のキャップ
PCT/KR2008/006041 WO2009051384A2 (en) 2007-10-17 2008-10-14 Bottle cap having a first cap member and a second cap member assembled thereto
US12/738,441 US20100213158A1 (en) 2007-10-17 2008-10-14 Bottle cap having a first cap member and a second cap member assembled thereto
CN2008801121773A CN101835693B (zh) 2007-10-17 2008-10-14 具有第一盖件和装配在第一盖件上的第二盖件的瓶盖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4434 2007-10-17
KR1020070104434 2007-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575A true KR20090039575A (ko) 2009-04-22
KR100938437B1 KR100938437B1 (ko) 2010-01-25

Family

ID=4076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984A KR100938437B1 (ko) 2007-10-17 2008-01-10 제1마개와 그에 결합되는 제2마개를 구비한 병마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213158A1 (ko)
JP (1) JP2011500466A (ko)
KR (1) KR100938437B1 (ko)
CN (1) CN1018356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2165B2 (en) 2011-11-22 2014-03-18 Spherical Precision, Inc. Containers with dispensing cap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3410792A (zh) * 2013-08-19 2013-11-27 樊书印 一种风扇
USD732972S1 (en) 2013-08-22 2015-06-30 Natura Cosmeticos S.A. Flask
USD734668S1 (en) 2014-02-17 2015-07-21 Steven Epstein Fitment adaptor
AU2016251726B2 (en) * 2015-04-21 2020-05-28 Carlsberg Breweries A/S A container assembly for accommodating a beverage, a preform assembly for producing a container assembly and a method of producing a container assembly
DE102016124071B3 (de) * 2016-12-12 2018-04-05 Schütz GmbH & Co. KGaA Spundstopfenverschluss
KR20180107536A (ko) * 2017-03-22 2018-10-02 씨제이제일제당 (주) 냉장 또는 냉동 제품의 운송용 포장방법 및 포장박스
USD879564S1 (en) * 2018-01-12 2020-03-31 Klean Kanteen, Inc. Canister
CN108357775B (zh) * 2018-01-26 2024-02-09 惠州市凯瑞科技有限公司 一种无螺纹插扣式容器盖
CN110386582B (zh) * 2019-08-07 2023-11-24 河北凯诺制药有限公司 能够防止中药液洒出的中药溶液罐装方法
USD966828S1 (en) * 2019-08-07 2022-10-18 Lekue, S.L. Cooking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4914A (en) * 1965-10-19 1967-10-03 Dental Design Systems Mixing capsule
US3411659A (en) * 1967-10-02 1968-11-19 Seifert Arthur Garbage can cover
IT994127B (it) * 1973-08-03 1975-10-20 Sigma Tau Ind Farmaceuti Dispositivo per la chiusura ermetica di contenitori dotato di perforatore e di goccimetro
JPS5149345U (ko) * 1974-10-08 1976-04-14
US4218599A (en) * 1977-11-30 1980-08-19 Steelcase Inc. Polymer spring
JPS56115351U (ko) * 1980-02-05 1981-09-04
JPS56115358U (ko) * 1980-02-06 1981-09-04
US4413748A (en) * 1982-07-22 1983-11-08 Kessler Products Co., Inc. Pinch cap
DE3426739A1 (de) * 1984-07-20 1986-01-30 Robert Finke KG, 5950 Finnentrop Zwei-komponenten-packung
JPS62192281U (ko) * 1986-05-27 1987-12-07
US4903865A (en) * 1988-09-19 1990-02-27 Janowitz C Michael Push button cap containing an additive for containers
US5181626A (en) * 1991-03-28 1993-01-26 Dart Industries, Inc. Closure assembly for containers
JP2538950Y2 (ja) * 1991-04-30 1997-06-18 昭和プロダクツ株式会社 缶用金属蓋
US5201431A (en) * 1991-06-19 1993-04-13 Joshua Berger Fragrance bottle having removably affixed jewelry timepiece
JP3463329B2 (ja) * 1993-10-01 2003-11-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ノード
KR960011006U (ko) * 1994-09-28 1996-04-15
EP0764119B1 (en) * 1995-04-10 1999-12-29 Eisai Co., Ltd. Container with screw cap
JPH0948446A (ja) * 1995-08-10 1997-02-18 Toppan Printing Co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
KR0132659Y1 (ko) * 1995-11-29 1998-12-01 이원명 자동밀폐 기능을 갖는 냄비
US5799813A (en) * 1996-03-25 1998-09-01 Letica Corporation Plug closure with integral pull ring
US5868273A (en) * 1996-10-11 1999-02-09 Dart Industries Inc. Canister with pressure resistant sealing lid
US5772017A (en) * 1996-10-25 1998-06-30 Kang; Heung Sun Beverage mixing dispenser device
US5950819A (en) * 1998-05-08 1999-09-14 Sellars; Andy Storage, admixing, and dispensing system
DE19838685C1 (de) * 1998-08-26 1999-11-25 Henkel Ecolab Gmbh & Co Ohg Vorrichtung zum Entleeren von mit Flüssigkeiten gefüllten Behältern
US6307193B1 (en) * 2000-08-02 2001-10-23 Microwave Magic Company, Inc. Cooking vessel with adjustable ventilation system
JP4646387B2 (ja) * 2000-12-01 2011-03-09 セレック株式会社 食品保存用容器
US20020157970A1 (en) * 2001-04-26 2002-10-31 Carlson Stephen G. Beverage flavor dispensing cap
ATE377563T1 (de) * 2003-07-11 2007-11-15 Rodriguez Jose Luis Galaz Behälter zum lagern und mischen von zwei verschiedenen getrennten produkten
KR200336235Y1 (ko) * 2003-08-30 2003-12-18 김상훈 병마개 및 이를 구비한 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35693B (zh) 2012-03-14
US20100213158A1 (en) 2010-08-26
CN101835693A (zh) 2010-09-15
JP2011500466A (ja) 2011-01-06
KR100938437B1 (ko) 201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437B1 (ko) 제1마개와 그에 결합되는 제2마개를 구비한 병마개
US3200982A (en) Bottle cap
NO311340B1 (no) Plastlokk for beholdere
MXPA06009299A (es) Cierre dosificador.
JP4979128B2 (ja) 開口容易缶蓋
JP2008539132A (ja) 飲料容器
JP5362457B2 (ja) 分別廃棄性に優れたヒンジキャップ
JP2007084074A (ja) 中栓、中栓付複合容器蓋及びワンピースキャップ
JP2017132510A (ja) 打栓式樹脂キャップ
KR101641376B1 (ko) 병마개
JP6196046B2 (ja) 容器蓋
JP4707793B2 (ja) 分別廃棄可能なキャップ
JP4915964B2 (ja) 容器蓋
WO2017126555A1 (ja) 打栓式樹脂キャップ
US3250418A (en) Container
JP5388276B2 (ja) 容器と金属キャップとオーバーキャップとの組み合わせ
WO2009051384A2 (en) Bottle cap having a first cap member and a second cap member assembled thereto
JPH11130113A (ja) 分別機能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EP1945526B1 (en) Beverage container
KR200335171Y1 (ko) 병마개
JP2006044752A (ja) 開口時の液飛びが防止された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6632889B2 (ja) 打栓式樹脂キャップ
JP2005320046A (ja) 簡易開口式容器
JP3537736B2 (ja) ラムネびん及びその開栓具
JP2005178905A (ja) プラスチック製押外し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