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874A -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음량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음량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874A
KR20090038874A KR1020097000873A KR20097000873A KR20090038874A KR 20090038874 A KR20090038874 A KR 20090038874A KR 1020097000873 A KR1020097000873 A KR 1020097000873A KR 20097000873 A KR20097000873 A KR 20097000873A KR 20090038874 A KR20090038874 A KR 20090038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recorded data
headphones
television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주노부 키무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38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발명의 과제는 TV 방송 시청 개시시나 헤드폰 삽입 또는 제거시에 자동적으로 음량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음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V 방송 데이터 수신부(100)에서 수신한 방송을 시청할 경우 또는 TV 방송 녹화 데이터 재생부(101)에서 녹화 데이터를 재생할 경우에 음성출력 관리부(109), 음량 관리부(110) 및 UI 관리부(111)에서, 통상 기동/매너 기동/헤드폰 사용 기동 등의 기동 모드를 명확히 관리하고, 음량변경, 헤드폰 삽입 또는 제거 등의 사용자 조작을 트리거로서, 각기동 모드 천이 및 기동 모드 천이 고유의 음량 제어를 자동적으로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 환경/사용 스타일에 의존하지 않는 TV 시청/녹화 데이터 재생이 가능해 지고, 종래 이상에 TV 방송 수신가능한 전자기기를 소유하는 사용자의 조작성,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음량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OUND VOLUM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TV 방송을 수신가능한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음량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로서, 고정세 액정, 고화질 촬상소자 등을 구비한 고성능의 휴대 단말이 보급되고, 거기에 호응하도록, 통상 통화에 더하여, 인터넷 접속, 메일 송수신, TV(텔레비젼) 전화, 아날로그 TV 방송 수신 등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게 되었다. 또한, 2006년부터 본 서비스가 개시된 휴대 단말 대상 지상 디지털 TV 방송의 수신/시청 기능도 탑재되기 시작하고, 이미 몇사에서 발매되어 있다. 더욱이, 지상 디지털 음성방송의 서비스 개시도 예정되고 있어, 해당 기능의 휴대 단말에의 탑재도 검토되어 있다.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1에 따르면, 지상 디지털 TV 방송 및 지상 디지털 음성방송을 수신가능한 휴대 수신기가 소개되어, 멀지않아 발매될 전망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전차내 등의 공공의 장소에 있어서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지상 디지털 TV 방송이나 지상 디지털 음성방송을 수신/시청하는 기회가 금후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때, 주위에 대한 배려가 필요한 것은 당연하다.
한편, 공공의 장소에서의 착신음 제어 등을 목적으로 한 매너 모드가 휴대전화에는 탑재되고 있어, 관련되는 제어 방법도 다수 소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 모드별로 착신음 뿐만 아니라 마이크 감도, 수화 음량 등을 미리 설정가능하고, 그 모드를 간단한 조작으로 절환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2에 따르면, 이동 속도로부터 자동적으로 매너 모드 ON/OFF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어, 고속 이동중의 사용자가 매너 모드를 설정할 필요성을 배제하고 있다. 모두, 일반적인 매너 모드 조작을 넘은 편리성을 사용자에 제공가능하다.
더욱이, 지상 디지털 TV 방송을 옥외나 전차내에서도 정보, 오락성을 손상하지 않고 시청가능한 휴대 단말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3에 따르면, 시청시의 주위의 환경음량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문자변환/자막표시하는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특개평10-262280호공보
특허문헌2:특개2001-157268호공보
특허문헌3:특개2005-64592호공보
비특허문헌1:News Topics, [online], 주식회사 피쿠세라, [2006년3월24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pixela.co.jp/news/2005/1216.html>
하지만, 종래의 TV 방송 수신가능한 휴대 단말에 있어서는, 전차내 등의 공공의 장소에서 TV 시청하는 것과 같은 경우, 전술한 특허문헌3과 같은 문자변환 등의 방법을 제외하면, 헤드폰을 사용하거나, 음량을 뮤트해서 시청하지 않을 수 없 는 경우가 많다. 이 때, TV 시청시의 음량은 전회 시청시의 최종설정값이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전회 시청한 상황에 따라서는 기동시에 예상외의 대음량으로 재생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기동 직후에 음량을 작게 해서 시청 개시했다고 하여도, 도중에 헤드폰으로 바꾸고 싶은 경우에는 장착후에 통상 음량으로 변경하는 등의 음량조절이 다시 필요해져 사용자에 의해 조작이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여기에서, 도 10에 나타낸 흐름도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동 도에 있어서, TV를 기동한(단계SlOOO) 때에, 그 직후에 의도하지 않은 음량으로 재생할 가능성이 있어, 주위에 폐를 끼치는 위험성이 있다. 그래서, 음량조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하고(단계SlOOl), 음량조정이 필요하면 음량조정을 실시한다(단계SlOO2). 이 때의 음량조정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행한다. 음량조정을 실시한 후, 헤드폰의 삽입 또는 제거가 있는 지를 판정하고(단계SlOO3), 헤드폰의 삽입 또는 제거가 있는 경우는 단계(SlOOl)로 돌아가고, 다시 음량조정이 필요한지를 판정한다. 헤드폰의 삽입 또는 제거가 없는 경우는 TV 수신이 정지인지를 판정하고(단계SlOO4), TV 수신 정지가 아니면 TV 수신이 종료할 때까지 사용자가 수동에서 음량 조정하는 흐름이 반복되게 된다. 음량조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lOOl)로부터 단계(SlOO3)로 나아간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TV 방송 시청 개시시나 헤드폰 삽입 또는 제거시에 자동적으로 음량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음량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하기 구성 또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1) 텔레비젼 방송파를 수신하는 텔레비젼 방송 수신 수단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텔레비젼 방송 시청 또는 녹화 데이터 재생에서의 기동 모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통상기동, 매너를 요하는 장소에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매너 기동, 헤드폰을 사용해서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헤드폰 사용 통상 기동, 매너를 요하는 장소에서 헤드폰을 사용해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의 각 기동 모드를 개별로 관리하고,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조작을 트리거로 하여, 상기 각 기동 모드의 천이, 및 해당 모드 천이 또는 천이처 모드에 고유한 음량제어를 행한다.
(2) 상기 (1)에 기재한 기동 모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기동 조작, 음량변경 조작, 헤드폰 삽입 또는 제거 조작을 포함한다.
(3)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기동 모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젼 방송파를 수신하는 텔레비젼 방송 수신 수단을 구비한 전자기기가 휴대 단말이다.
(4) 텔레비젼 방송파를 수신하는 텔레비젼 방송 수신 수단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텔레비젼 방송 시청 또는 녹화 데이터 재생에서의 음량제어 방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통상 기동, 매너를 요하는 장소에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매너 기동, 헤드폰을 사용해서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헤드폰 사용 통상 기동, 매너를 요하는 장소에서 헤드폰을 사용해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의 각 기동 모드에 따라 상기 각 기동 모드 천이 직후의 음량 초기 값으로서, 해당 모드 천이 또는 천이처 모드에 고유한 고정값, 또는 동일 모드에서의 전회 기동시의 최종 설정값중 어느 하나의 설정을 사용자가 행하도록 한다.
(5) 상기 (4)에 기재한 음량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기동 모드에 따라 음량 뮤트시에 음성 복호화 처리를 정지할지 여부의 설정을 사용자가 행하도록 한다.
(6) 상기 (4) 또는 (5)에 기재한 음량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젼 방송파를 수신하는 텔레비젼 방송 수신 수단을 구비한 전자기기가 휴대 단말이다.
(7) 텔레비젼 방송파를 수신하는 텔레비젼 방송 수신 수단과, 녹화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녹화 데이터 재생 수단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조작 수단과,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통상기동, 매너를 요하는 장소에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매너 기동, 헤드폰을 사용해서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헤드폰 사용 통상 기동, 매너를 요하는 장소에서 헤드폰을 사용해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의 각 기동 모드를 개별로 관리하고,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한 사용자 조작을 트리거로 하여, 상기 각 기동 모드의 천이, 및 해당 모드 천이 또는 천이처 모드 고유의 음량제어를 행하는 기동 모드 관리 수단을 구비한다.
(8) 상기 (7)에 기재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기동 조작, 음량변경 조작, 헤드폰 삽입 또는 제거 조작을 포함한다.
(9) 상기 (7) 또는 (8)에 기재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동 모드 관리 수단은, 미기동에서 매너 기동 조작이 행하여지면 매너 기동 모드로 하고, 통상 기동 모드에서 기동 모드 절환 조작이 행하여지면 매너 기동 모드로 하고, 미기동에서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 조작이 행하여지면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 모드로 하고, 헤드폰 사용 통상 기동 모드에서 기동 모드 절환 조작이 행하여지면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 모드로 하고, 매너 기동 모드에서 헤드폰이 삽입되면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 모드로 하고,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 모드에서 헤드폰이 빠지면 매너 기동 모드로 한다.
(10) 상기 (7) 내지 (9)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통상기동, 매너를 요하는 장소에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매너 기동, 헤드폰을 사용해서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헤드폰 사용 통상 기동, 매너를 요하는 장소에서 헤드폰을 사용해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의 각 기동 모드에 따라 상기 각 기동 모드 천이 직후의 음량 초기 값으로서, 해당 모드 천이 또는 천이처 모드에 고유한 고정값, 또는 동일 모드에서의 전회 기동시의 최종 설정값중 어느 하나의 설정을 사용자가 행하도록 하는 음량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11) 상기 (10)에 기재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음량제어 수단은, 상기 각 기동 모드에 따라 음량 뮤트시에 음성 복호화 처리를 정지할지 여부의 설정을 사용자가 행하도록 한다.
(12) 상기 (7) 내지 (11)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젼 방송파를 수신하는 텔레비젼 방송 수신 수단과, 녹화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녹화 데이터 재생 수단을 구비한 전자기기가 휴대 단말이다.
(13) 텔레비젼 방송 시청 또는 녹화 데이터 재생을 행하는 전자기기를 원격제어가능한 컨트롤러에 있어서, 매너 기동을 행하기 위한 키 입력 수단과,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통상기동, 매너를 요하는 장소에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상기 매너 기동, 헤드폰을 사용해서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헤드폰 사용 통상 기동, 매너를 요하는 장소에서 헤드폰을 사용해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의 각 기동 모드를 개별로 관리하고, 미기동에서 매너 기동 조작이 행하여지면 매너 기동 모드로 하고, 통상 기동 모드에서 기동 모드 절환 조작이 행하여지면 매너 기동 모드로 하고, 미기동에서 헤드폰 매너 사용 기동 조작이 행하여지면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 모드로 하고, 헤드폰 사용 통상 기동 모드에서 기동 모드 절환 조작이 행하여지면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 모드로 하고, 매너 기동 모드에서 헤드폰이 삽입되면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 모드로 하고,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 모드에서 헤드폰이 빠지면 매너 기동 모드로 하는 기동 모드 관리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1)에 기재한 기동 모드 관리 방법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조작을 트리거로서 자동적으로 음량을 제어하기 때문에, 전차내 등의 공공의 장소에서 텔레비젼 방송이나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는 경우에, 주위에 대한 배려로 헤드폰을 사용하거나, 음량을 뮤트해서 시청하지 않을 수 없는 경우라도 단일 조작으로 매너 기동을 행할 수 있다. 즉, 시청 환경이나 시청 스타일에 의존한 번거로운 음량 조작을 행하지 않고 항상 정확한 음량으로 텔레비젼 시청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상기 (2)에 기재한 기동 모드 관리 방법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기동 조작, 음량변경 조작, 헤드폰 삽입 또는 제거 조작을 포함하고, 상기 (1)에 의한 효과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3)에 기재한 기동 모드 관리 방법에서는, 텔레비젼 방송파를 수신하는 텔레비젼 방송 수신 수단을 구비한 전자기기가 휴대 단말이며, 상기 (1)에 의한 효과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4)에 기재한 음량제어 방법에서는, 통상 기동/매너 기동/헤드폰 사용 기동 등의 각 기동 모드에 따라 기동 모드 천이 직후의 음량 초기값으로서, 해당 모드 천이 또는 천이처 모드에 고유한 고정값, 또는 동일 모드에서의 전회 기동시의 최종 설정값중 어느 하나의 설정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행할 수 있다.
상기 (5)에 기재한 음량제어 방법에서는, 통상 기동/매너 기동/헤드폰 사용 기동 등의 각 기동 모드에 따라 음량 뮤트시에 음성 복호화 처리를 정지할지 여부의 설정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행할 수 있고, 더욱이 음성 복호화 처리를 정지하는 설정을 행함으로써 성전력화가 도모된다.
상기 (6)에 기재한 음량제어 방법에서는, 텔레비젼 방송파를 수신하는 텔레비젼 방송 수신 수단을 구비한 전자기기가 휴대 단말이며, 상기 (4)에 의한 효과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7)에 기재한 전자기기에서는, 텔레비젼 방송/녹화 데이터 시청 개시시나 헤드폰 삽입 또는 제거시에 자동적으로 음량을 제어함으로써, 전차내 등의 공공의 장소에서 텔레비젼 방송이나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는 경우에, 주위에 대한 배려로 헤드폰을 사용하거나, 음량을 뮤트해서 시청하지 않을 수 없는 경우라도 단일 조작으로 매너 기동을 행할 수 있다. 즉, 시청 환경이나 시청 스타일에 의존한 번거로운 음량 조작을 행하지 않고 항상 정확한 음량으로 텔레비젼 시청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8)에 기재한 전자기기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기동 조작, 음량 변경 조작, 헤드폰 삽입 또는 제거 조작을 포함하고, 상기 (7)에 의한 효과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9)에 기재한 전자기기에서는, 통상 기동/매너 기동/헤드폰 사용 기동 등을 단일 조작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10)에 기재한 전자기기에서는, 통상 기동/매너 기동/헤드폰 사용 기동 등의 각 기동 모드에 따라 기동 모드 천이 직후의 음량 초기값으로서, 해당 모드 천이 또는 천이처 모드에 고유한 고정값, 또는 동일 모드에서의 전회 기동시의 최종 설정값중 어느 하나의 설정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행할 수 있다.
상기 (11)에 기재한 전자기기에서는, 통상 기동/매너 기동/헤드폰 사용 기동 등의 각 기동 모드에 따라, 음량 뮤트시에 음성 복호화 처리를 정지할지 여부의 설정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행할 수 있고, 더욱이 음성 복호화 처리를 정지하는 설정을 행함으로써 성전력화가 도모된다.
상기 (12)에 기재한 전자기기에서는, 텔레비젼 방송파를 수신하는 텔레비젼 방송 수신 수단과, 녹화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녹화 데이터 재생 수단을 구비한 전자기기가 휴대 단말이며, 상기 (7)에 의한 효과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13)에 기재한 컨트롤러에서는,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통상 기동/매너 기동/헤드폰 사용 기동 등을 단일 조작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로서는, 상술한 휴대 단말 외,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퍼스널 컴퓨터, 휴대 텔레비젼, 거치형 텔레비젼, 거치형 텔레비젼의 리모컨 등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서의 모드관리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설치된 음량 관리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모드 천이시의 제어(통상기동)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모드 천이시의 제어(매너기동)의 일예 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모드 천이시의 제어(통상기동(HP))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모드 천이시의 제어(매너기동(HP))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모드 천이시의 제어(공통 후처리)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로서의 휴대단말의 이미지도.
도 10은 종래의 휴대단말에서의 텔레비젼 기동수순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TV 방송 데이터 수신부
101 TV방송 녹화 데이터 재생부
102 TV방송 데이터 분리부
103 TV방송 데이터 복호화부(Data)
104 TV방송 데이터 복호화부(Video)
105 TV방송 데이터 복호화부(Audio)
106 표시 출력 제어부
107 동기 제어부
108 음성출력 제어부
109 음성출력 관리부
110 음량관리부
111 UI 관리부
112 입출력 제어부
900 휴대 단말
901 TV통상 기동키
902 TV매너 기동키
903 TV기동 모드 절환키
904 LCD 표시부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도다. 동 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전자기기는, 텔레비젼(TV)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며, TV 방송은 지상 디지털 TV 방송을 상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자기기는 휴대 단말을 상정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전자기기는, TV방송 수신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데이터 인터페이스로서, TV 방송국으로부터 데이터 패스(113) 경유로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의 베이스밴드계 처리 등을 행하는 TV방송 데이터 수신부(100) 및 메모리 등에서 데이터 패스(114) 경유로 입력되는 녹화 데이터의 제어를 행하는 TV방송 녹화 데이터 재생부(101)를 구비한다. 수신 데이터는 TV방송 데이터 분리부(102)에서 스트림 분리되어, 데이터 방송계의 데이터 가 TV방송 데이터 복호화부(Data)(103)에 입력되고, 비디오계의 데이터가 TV방송 데이터 복호화부(Video)(104)에 입력되고, 오디오계의 데이터가 TV방송 데이터 복호화부(Audio)(105)에 입력된다.
TV 방송 데이터 복호화부(103)로부터의 데이터 방송계의 복호화 데이터와 TV방송 데이터 복호화부(104)로부터의 비디오계의 복호화 데이터가 표시 출력 제어부(106)를 경유해서 데이터 패스(121)에 의해 입출력 제어부(112)에 이른다. 한편, 오디오계의 복호화 데이터는 음성출력 제어부(108)를 경유해서 데이터 패스(122)에 의해 입출력 제어부(112)에 이른다. 표시 출력 제어부(106)는, 표시계 데이터의 작성, 버퍼링, 출력 타이밍 제어 등을 행한다. 음성출력 제어부(108)는, 음성계 데이터의 작성, 버퍼링, 출력 타이밍 제어 등을 행한다. 표시계/음성계 데이터의 출력 동기는 동기 제어부(107)가 관리하고, 제어 데이터 패스(115)에 의해, 각 TV방송 데이터 복호화부(103~105)를 제어함으로써 실현한다. 입출력 제어부(112)는, LCD(액정) 제어, 카메라 제어, 마이크 제어, 스피커 제어, 헤드폰 검출, 키 제어의 각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음성출력 관리부(109)는, 음량관리부(110) 및 UI(User Interface) 관리부(111)와 연계해서 음량제어/기동모드 등의 전체 관리를 행한다. 음량관리부(110)는, 음량관리 테이블에 의해 현재의 음량 및 차회 기동시의 음량을 관리하고, 음성출력 관리부(109)에 대하여 데이터 패스(118) 경유로 적절한 정보를 통지한다. 또한, 음량관리부(110)는, 음량 뮤트 시의 성전력 설정 테이블도 관리하고 있어, 음성출력 관리부(109)가 데이터 패스(117) 경유로 TV방송 데이터 복호화부(Audio)(105)에 통지하여 복호화 처리의 정지/재개가 가능하다. UI 관리부(111)는, 키 조작 등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변화를 관리하고 있어, 헤드폰 삽입 또는 제거나 키 조작이 발생한 경우는 데이터 패스(123,124) 경유로 입출력 관리부(112)에서 통지를 받고, 데이터 패스(119) 경유로 음성출력 관리부(109)에 통지한다. 또한, 음성출력 관리부(109)에서 결정되는 음량/기동 모드는 데이터 패스(120) 경유로 표시 출력 제어부(106)에 통지되기 때문에, LCD(Liduid Crystal Display: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시킬 수 있다.
다음에, 기동 모드의 관리 방법 및 모드 천이시의 음량제어 방법에 대해서, 도2, 도3, 도4, 도5, 도6,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음성출력 관리부(109)에서의 모드 관리의 일예이다. TV 시청/재생이 기동하고 있지 않은 미기동(200)으로부터 개시되어, 통상 기동(201), 매너 기동(202), 통상 기동(HP:Head Phone)(203), 매너 기동(HP:Head Phone)(204)을 포함하는 전 5 모드를 천이한다. 통상 기동(201) 및 통상 기동(HP)(203)은, 일반적인 TV기동 모드이며, 헤드폰 장착 유무로 모드가 다르다. 매너 기동(202) 및 매너 기동(HP)(204)은, 공공의 장소 등에서 사용하는 매너 모드이며, 상기와 같이 헤드폰 장착 유무로 모드가 다르다. 또한, 모드 천이는, 사용자의 모드 선택/변경 조작 또는 헤드폰 삽입 또는 제거를 트리거로 하고 있다. 음량 변경만의 경우는 동일 모드로 천이한다.
통상 기동(201)은, 미기동(200)으로부터의 TV기동 키 누름 등에 의한 통상 기동 선택(209)에 의해 천이하는 것 이외에, 매너 기동(202)으로부터의 모드 절환 키 누름 등에 의한 모드 절환(205) 또는 통상기동(HP)(203)으로부터의 헤드폰 삽입 또는 제거 등에 의한 HP 삽입 또는 제거(208)에서도 천이가능하다. 매너 기동(202)은, 미기동(200)으로부터의 TV매너 기동 키 누름 등에 의한 매너 기동 선택(210)에 의해 천이하는 것 이외에, 통상 기동(201)으로부터의 모드 절환 키 누름 등에 의한 모드 절환(205) 또는 매너 기동(HP)(204)으로부터의 헤드폰 삽입 또는 제거 등에 의한 HP 삽입 또는 제거(206)에서도 천이가능하다.
통상 기동(HP)(203)은, 헤드폰 장착시에 미기동(200)으로부터의 TV기동 키 누름 등에 의한 통상기동 선택(HP장착시)(212)에 의해 천이하는 것 이외에, 매너 기동(HP)(204)으로부터의 모드 절환 키 누름 등에 의한 모드 절환(207) 또는 통상 기동(201)으로부터의 헤드폰 장착 등에 의한 HP 삽입 또는 제거(208)에서도 천이가능하다. 매너 기동(HP)(204)은, 헤드폰 장착시에 미기동(200)으로부터의 TV매너 기동 키 누름등에 의한 매너 기동 선택(HP 장착시)(211)에 의해 천이하는 것 이외에, 통상 기동(HP)(203)으로부터의 모드 절환 키 누름 등에 의한 모드 절환(207) 또는 매너 기동(202)으로부터의 헤드폰 장착 등에 의한 HP 삽입 또는 제거(206)에서도 천이가능하다.
미기동(200)은, 다른 4 모드에서 텔레비젼 기능 정지 등에 의해 천이한다.
예를 들면, 전차내에서 음량 뮤트에 의해 시청을 시작했지만, 도중에 헤드폰으로 바꾸어서 시청 계속해서 종료할 경우, 미기동(200)→ 매너 기동(202)→ 매너 기동(HP)(204)→ 미기동(200)의 순서대로 모드가 천이한다.
도 3의 (a)~(c)는, 음성출력 관리부(109) 또는 음량관리부(110)가 관리하는 음량관리 테이블의 일예이다. (a)의 음량관리 테이블에는, 현재의 기동 모드(300)로 선택되어 있는 음량(301)이 격납되어 있어, 모드 천이/음량 변경에 따라 갱신된다. 음량관리부(110) 및 UI 관리부(111)의 정보를 받아 음성출력 관리부(109)에서 관리한다.
도 3의 (b)의 음량관리 테이블에는, 각 기동 모드(302)에서의 음량의 초기 값(304)과 전회 설정값(305)이 관리되어 있다. 초기값 고정 플래그(303)는, 모드 천이시에 선택되는 음량 초기값에 고정 값을 설정할지, 동일 모드에서 전회 기동했을 때의 최종 설정값을 설정할지를 결정하는 플래그이며, 사용자가 모드별로 미리 설정가능하다. 음량의 초기값(304)에 대해서는 초기값 고정 플래그가 ON인 경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값인채로 갱신되지 않는다. 초기값 고정 플래그가 OFF인 경우, 해당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로 천이할 때에 전회 설정값(305)과 동일한 값으로 갱신된다. 당연한 것이지만, 사용자가 초기값 고정 플래그(303)를 변경할 때에도 플래그가 ON이면 고정값으로, OFF이면 해당 모드의 전회 설정값과 동일한 값으로 갱신된다. 음량의 전회 설정값(305)에 대해서는 해당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천이할 때에 갱신된다. 예를 들면, (b)에서는 통상 기동 모드에서는 초기값 고정 플래그(303)는 OFF이기 때문에, 음량의 전회 설정값과 초기값이 같은 「4」로 되어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음량 4을 선택한 상태에서 다른 모드로 천이했기 때문에, 차회 통상 기동 모드의 음량 초기값도 4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통상 기동(HP)모드에서는 초기값 고정 플래그(303)가 ON이 되어 있기 때문에, 전회 설정값은 「6」이지만, 차회 통상 기동(HP) 모드에서의 음량 초기값은 사용자 지정 의 고정값 5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의 (c)의 음량관리 테이블에는, 각 기동 모드(306)에 있어서의 음량 뮤트(음량 제로)때의 성 전력설정 플래그(307)가 격납되어 있어, 사용자가 미리 설정가능하다. 본 플래그(307)가 ON인 경우, 음량 0이 선택되면, 음성출력 관리부(109)가 TV방송 데이터 복호부(Audio)(105)에 대하여 복호화 처리를 정지시킴으로써 성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4 ~ 도 8은 모드 천이시의 제어 흐름의 일예이다. 도 4는, 통상 기동 모드로 천이한 경우의 제어 흐름도이다. 동 도에 있어서, 통상 기동 모드로 천이하면 (단계S400), 천이원의 모드 확인을 순차 행한다(단계S401, 단계S402). 천이원이 통상 기동 모드, 즉 동일 모드이면 음량 변경에 의해, 요구된 음량으로 변경한다(단계S403). 천이원이 통상 기동(HP) 모드이면 음량관리 테이블에 격납되어 있는 초기 값(304)에의 음량변경 및 헤드폰 유무에 의한 음특성 변경을 행한다(단계S404). 그 이외의 경우는 음량변경에 의해, 음량관리 테이블에 격납되어 있는 초기값(304)으로 음량을 변경한다(단계S405). 어느쪽의 경우도, 공통 후처리(단계S406)를 실시하고 종료한다.
도 5는, 매너 기동 모드로 천이한 경우의 제어 흐름이다. 동 도에 있어서, 매너 기동 모드로 천이하면(단계S500), 천이원의 모드 확인을 순차 행한다(단계S5Pl, 단계S502). 천이원이 매너 기동 모드, 즉 동일 모드이면 음량변경에 의해, 요구된 음량으로 변경한다(단계S503). 천이원이 매너 기동(HP) 모드이면 음량관리 테이블에 격납되어 있는 초기값(304)에의 음량변경 및 헤드폰 유무에 의한 음특성 변경을 행한다(단계S504). 그 이외의 경우는 음량변경에 의해, 음량관리 테이블에 격납되어 있는 초기값(304)으로 음량을 변경한다(단계S505). 어느쪽의 경우도, 공통 후처리(단계S506)를 실시하고 종료한다.
도 6은, 통상 기동(HP)모드로 천이한 경우의 제어 흐름이다. 동 도에 있어서, 통상 기동(HP) 모드로 천이하면(단계S600), 천이원의 모드 확인을 순차 행한다 (단계S601, 단계S602, 단계S603). 천이원이 통상 기동(HP) 모드, 즉 동일 모드이면 음량변경에 의해, 요구된 음량으로 변경한다(단계S604). 천이원이 통상 기동 모드이면 음량관리 테이블에 격납되어 있는 초기값(304)에의 음량변경 및 헤드폰 유무에 의한 음특성 변경을 행한다(단계S605). 천이원이 미기동 모드이면 음량 변경에 의해, 음량관리 테이블에 격납되어 있는 초기값(304)으로 음량을 변경한다(단계S606). 그 이외, 즉 천이원이 매너 기동(HP) 모드의 경우는 음량 변경하지 않는다.이것은 헤드폰을 사용중이라고 하는 상황이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음량변경의 필요성이 없기 때문이다. 어느쪽의 경우도, 공통 후처리(단계S607)를 실시하고 종료한다.
도 7은, 매너 기동(HP)모드로 천이한 경우의 제어 흐름도이다. 동 도에 있어서, 매너 기동(HP) 모드로 천이하면(단계S700), 천이원의 모드 확인을 순차 행한다 (단계S701, 단계S702, 단계S703). 천이원이 매너 기동(HP)모드, 즉 동일 모드이면 음량변경에 의해, 요구된 음량으로 변경한다(단계S704). 천이원이 매너 기동 모드이면 음량관리 테이블에 격납되어 있는 초기값(304)에의 음량변경 및 헤드폰 유무에 의한 음특성 변경을 행한다(단계S705). 천이원이 미기동 모드이면 음량변경에 의해, 음량관리 테이블에 격납되어 있는 초기값(304)으로 음량을 변경한다(단계S706). 그 이외, 즉 천이원이 통상 기동(HP) 모드의 경우는 음량변경하지 않는다.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음량변경의 필요성이 없기 때문이다. 어느쪽의 경우도, 공통 후처리(단계S707)를 실시하고 종료한다.
도 8은, 도 4 ~ 도 7에 있어서의 공통 후처리 단계(S406,S506,S607,S707)의 상세 흐름도이다. 동 도에 있어서, 공통 후처리(단계S800)에서는, 우선 음량관리 테이블 갱신을 행한다(단계S801). 구체적으로는 도3의 (a)에 나타낸 음량관리 테이블내의 현재의 모드/음량을 갱신하는 동시에, 도 3의 (b)에 나타낸 음량관리 테이블에서 천이원 모드의 음량 초기값/전회 설정값을 갱신한다. 다음에, 성전력 플래그 확인(단계S802)의 결과에 따라, TV 방송 데이터 복호부(Audio)(105)에 대한 복호화 정지 요구를 행하거나(단계S803) 또는 개시 요구를 행한다(단계S804). 최후에 현재 모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 통지하기 위하여 표시 출력 제어부(106)에 대한 모드 정보표시 요구를 발행한다(단계S805).
이상에 의해, 기동 모드 관리/음량제어를 비교적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 환경, 사용 스타일에 의존하는 음량변경 등의 번거로움으로부터 해방된다.
최후에, TV 매너 기동 가능한 휴대 단말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TV 매너 기동키를 탑재한 휴대 단말의 일예이다. 본 휴대단말(900)에는 TV 통상 기동키(901), TV 매너 기동키(902), 기동 모드 절환키(903)가 탑재되어 있다.
텔레비젼 기능 정지 상태에서 TV 통상 기동키(901)를 누르면, 통상 기동 모드로 천이한다. 도 2에서는 미기동(200)→ 천이 패스(209)→ 통상 기동(201)으로 천이한다. TV 기능 정지 상태에서 TV매너 기동키(902)를 누르면, 매너 기동 모드로 천이한다. 도 2에서는 미기동(200)→ 천이 패스(210)→ 매너 기동(202)으로 천이한다. 어느쪽인가의 모드에서 기동하고 있을 때에 기동 모드 절환키(903)를 누르면, 반대 모드로 천이한다. 도 2에서는 천이 패스(205)에 상당한다. 헤드폰을 장착하고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통상 기동(HP)(203), 매너 기동(HP)(204)을 천이한다. 또한, 각각을 전용 키로 할 필요는 없고, 단일 키에서의 짧은 누름/긴 누름 조작으로 구별해도 무방하고, 메뉴 선택 방식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모드 정보/음량정보를 LCD 표시부(904)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도 향상된다.
또한, 도 9는 휴대전화를 이미지하고 있지만, PDA, 퍼스널 컴퓨터, 휴대 텔레비젼, 거치형 텔레비젼, 거치형 텔레비젼의 리모컨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즉, 전원 ON시에 음량 뮤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발명의 모드 관리/음량제어를 실장하고, 매너 기동 버튼을 탑재함으로써 해결가능하다.
본 발명을 상세히 특정 실시예를 참조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본 출원은, 2006년 8월 4일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특원2006-212987)에 기초한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TV 방송 시청 개시시나 헤드폰 삽입 또는 제거시에 자동적으로 음량을 제어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지며, 텔레비젼 수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 PDA, 퍼스널 컴퓨터, 휴대 텔레비젼, 거치형 텔레비젼, 거치형 텔레비젼의 리모컨 등의 전자기기에의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13)

  1. 텔레비젼 방송파를 수신하는 텔레비젼 방송 수신 수단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텔레비젼 방송 시청 또는 녹화 데이터 재생에서의 기동 모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통상기동, 매너를 요하는 장소에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매너 기동, 헤드폰을 사용해서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헤드폰 사용 통상 기동, 매너를 요하는 장소에서 헤드폰을 사용해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의 각 기동 모드를 개별로 관리하고,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조작을 트리거로 하여, 상기 각 기동 모드의 천이, 및 해당 모드 천이 또는 천이처 모드에 고유한 음량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동 모드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기동 조작, 음량변경 조작, 헤드폰 삽입 또는 제거 조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동 모드 관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젼 방송파를 수신하는 텔레비젼 방송 수신 수단을 구비한 전자기기가 휴대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동 모드 관리 방법.
  4. 텔레비젼 방송파를 수신하는 텔레비젼 방송 수신 수단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텔레비젼 방송 시청 또는 녹화 데이터 재생에서의 음량제어 방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통상기동, 매너를 요하는 장소에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매너 기동, 헤드폰을 사용해서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헤드폰 사용 통상 기동, 매너를 요하는 장소에서 헤드폰을 사용해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의 각 기동 모드에 따라 상기 각 기동 모드 천이 직후의 음량 초기값으로서, 해당 모드 천이 또는 천이처 모드에 고유의 고정값, 또는 동일 모드에서의 전회 기동시의 최종 설정값중 어느 하나의 설정을 사용자가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동 모드에 따라 음량 뮤트시에 음성 복호화 처리를 정지할지 여부의 설정을 사용자가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제어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젼 방송파를 수신하는 텔레비젼 방송 수신 수단을 구비한 전자기기가 휴대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제어 방법.
  7. 텔레비젼 방송파를 수신하는 텔레비젼 방송 수신수단과, 녹화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녹화 데이터 재생 수단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조작수단; 및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통상기동, 매너를 요하는 장소에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매너 기동, 헤드폰을 사용해서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헤드폰 사용 통상 기동, 매너를 요하는 장소에서 헤드폰을 사용해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의 각 기동 모드를 개별로 관리하고,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한 사용자 조작을 트리거로 하여, 상기 각 기동 모드의 천이, 및 해당 모드 천이 또는 천이처 모드 고유의 음량제어를 행하는 기동 모드 관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기동 조작, 음량변경 조작, 헤드폰 삽입 또는 제거 조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모드 관리 수단은, 미기동에서 매너 기동 조작이 행하여지면 매너 기동 모드로 하고, 통상 기동 모드에서 기동 모드 절환 조작이 행하여지면 매너 기동 모드로 하고, 미기동에서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 조작이 행하여지면 헤드폰 사 용 매너 기동 모드로 하고, 헤드폰 사용 통상 기동 모드에서 기동 모드 절환 조작이 행하여지면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 모드로 하고, 매너 기동 모드에서 헤드폰이 삽입되면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 모드로 하고,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 모드에서 헤드폰이 빠지면 매너 기동 모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통상기동, 매너를 요하는 장소에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매너 기동, 헤드폰을 사용해서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헤드폰 사용 통상 기동, 매너를 요하는 장소에서 헤드폰을 사용해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의 각 기동 모드에 따라 상기 각 기동 모드 천이 직후의 음량 초기값으로서, 해당 모드 천이 또는 천이처 모드에 고유한 고정값, 또는 동일 모드에서의 전회 기동시의 최종 설정값중 어느 하나의 설정을 사용자가 행하도록 한 음량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제어 수단은, 상기 각 기동 모드에 따라 음량 뮤트시에 음성 복호화 처리를 정지할지 여부의 설정을 사용자가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젼 방송파를 수신하는 텔레비젼 방송 수신 수단과, 녹화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녹화 데이터 재생 수단을 구비한 전자기기가 휴대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텔레비젼 방송 시청 또는 녹화 데이터 재생을 행하는 전자기기를 원격 제어가능한 컨트롤러에 있어서,
    매너 기동을 행하기 위한 키 입력 수단; 및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통상 기동, 매너를 요하는 장소에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상기 매너 기동, 헤드폰을 사용해서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헤드폰 사용 통상 기동, 매너를 요하는 장소에서 헤드폰을 사용해서 텔레비젼 또는 녹화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의 각 기동 모드를 개별로 관리하고, 미기동에서 매너 기동 조작이 행하여지면 매너 기동 모드로 하고, 통상 기동 모드에서 기동 모드 절환 조작이 행하여지면 매너 기동 모드로 하고, 미기동에서 헤드폰 매너 사용 기동 조작이 행하여지면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 모드로 하고, 헤드폰 사용 통상 기동 모드에서 기동 모드 절환 조작이 행하여지면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 모드로 하고, 매너 기동 모드에서 헤드폰이 삽입되면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 모드로 하고, 헤드폰 사용 매너 기동 모드에서 헤드폰이 빠지면 매너 기동 모드로 하는 기동 모드 관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KR1020097000873A 2006-08-04 2007-07-02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음량제어 방법 KR200900388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12987 2006-08-04
JPJP-P-2006-212987 2006-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874A true KR20090038874A (ko) 2009-04-21

Family

ID=38997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873A KR20090038874A (ko) 2006-08-04 2007-07-02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음량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262955A1 (ko)
EP (1) EP2048879A1 (ko)
JP (1) JPWO2008015864A1 (ko)
KR (1) KR20090038874A (ko)
CN (1) CN101502101A (ko)
WO (1) WO20080158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3262B (zh) * 2010-01-08 2015-04-29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视机音量调控装置和方法
CN102377965B (zh) * 2010-08-18 2013-05-08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音量控制方法及具有自动音量调整功能的电子装置
US20120170666A1 (en) * 2010-12-29 2012-07-05 Sankaranarayanan Venkatasubramanian Power optimization for special media playback scenarios
JP5076014B1 (ja) 2011-06-10 2012-11-21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装置、電子機器の制御方法
US9055265B2 (en) * 2012-12-07 2015-06-09 Sony Corporation Accessibility improvement for hearing impaired
CN103106060A (zh) * 2013-02-04 2013-05-15 苏州三星电子电脑有限公司 计算机音量调节方法
AU2014262796A1 (en) 2013-05-06 2015-12-24 Green Revolution Cooling, Inc. System and method of packaging computing resources for space and fire-resistance
CN103544958B (zh) * 2013-11-04 2018-02-27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切换音频输出时控制音频啸叫的方法和装置
US9401686B2 (en) 2014-07-18 2016-07-26 Paul Bell Volume control assembly
KR20160050879A (ko) * 2014-10-31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원격 제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4714624B (zh) * 2015-03-23 2018-01-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节省功耗的方法及装置
US10321057B2 (en) 2015-09-07 2019-06-11 Sony Corporation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5828135B (zh) * 2016-03-22 2019-04-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音视频播放系统中的播放控制方法、装置及播放设备
CN106201422A (zh) * 2016-06-30 2016-12-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量调节方法以及电子设备
US11736688B2 (en) * 2019-06-21 2023-08-22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loop filter signalli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8255A (ja) * 1996-09-25 1998-04-24 Matsushita Commun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
JP3606348B2 (ja) 1997-03-18 2005-0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JP2000138877A (ja) * 1998-08-24 2000-05-16 Hitachi Ltd デジタル放送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6504826B1 (en) * 1998-08-24 2003-01-07 Hitachi, Ltd.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JP3475809B2 (ja) * 1998-10-14 2003-12-10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型テレビ無線電話
US6606506B1 (en) * 1998-11-19 2003-08-12 Albert C. Jones Personal entertainment and communication device
JP2001157268A (ja) 1999-11-30 2001-06-08 Nec Telecom Syst Ltd 自動マナーモード切替システム
JP2005064592A (ja) 2003-08-14 2005-03-10 Fuji Photo Film Co Ltd 携帯通信端末
JP4453367B2 (ja) * 2004-01-13 2010-04-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テレビ放送受信装置
JP4119870B2 (ja) * 2004-06-25 2008-07-16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6074477A (ja) * 2004-09-02 2006-03-16 Pioneer Electronic Corp 通信用端末装置、通信用端末装置の機能設定変更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747537B2 (ja) * 2004-09-07 2011-08-1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携帯端末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224447B2 (ja) * 2004-09-27 2009-02-12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6173970A (ja) * 2004-12-15 2006-06-29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12987A (ja) 2005-02-04 2006-08-17 Kuraray Co Ltd 転写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48879A1 (en) 2009-04-15
US20090262955A1 (en) 2009-10-22
CN101502101A (zh) 2009-08-05
WO2008015864A1 (fr) 2008-02-07
JPWO2008015864A1 (ja)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8874A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음량제어 방법
US9554204B2 (en) Mobile terminal devic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data signal
JP4402677B2 (ja) 通信装置
KR100781266B1 (ko) 통신 기기 및 처리 방법
US7221903B2 (en) Communications terminal device allowing content reception and voice communication
KR20050083086A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US8736771B2 (en) Display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displaying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WO2005060245A1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テレビ番組視聴システム
US20050266878A1 (en) Multi-func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evice
KR100751859B1 (ko) 디지털 방송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장치 및 방법
US20070171307A1 (en) Media playback system with real-time camera image display and method thereof
JP4768554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028492A (ja) 液晶テレビ
JP2008042234A (ja) テレビ放送視聴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67805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영상의 퀵 뷰어 실행방법
JP2010004545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2006173970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333551A (ja) Tv受信機
JP2007074744A (ja) 通信装置
KR20060040762A (ko) 디지털 텔레비전에서의 인터넷 폰 기능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90074626A (ko) 어학용 방송 프로그램 재생 방법
US201300078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ndering messaging content while contemporaneously rendering multimedia content
KR20050117400A (ko)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수단을 구비한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처리 방법
JP2005123756A (ja) 携帯情報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放送録画録音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H02193486A (ja) テレビ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