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666A -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666A
KR20090038666A KR1020070104087A KR20070104087A KR20090038666A KR 20090038666 A KR20090038666 A KR 20090038666A KR 1020070104087 A KR1020070104087 A KR 1020070104087A KR 20070104087 A KR20070104087 A KR 20070104087A KR 20090038666 A KR20090038666 A KR 20090038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 number
gesture
gesture information
function
number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167B1 (ko
Inventor
민경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4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167B1/ko
Publication of KR20090038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8Recognition of hand or arm movements, e.g. recognition of deaf sign langu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제어방법은 제스처를 통한 통화 발신 기능으로 설정하는 단계; 카메라 모듈을 통한 제스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스처 정보의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으면, 해당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발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지 않고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큰 동작 또는 간단한 손 모양(수화), 간단한 사물 인식 등을 통해 통화 발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Terminal and the control method that supply outgoing call function through gesture recogni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를 이용하지 않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특정 제스처를 통해 지정된 사람에게 통화 발신을 할 수 있는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단말기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기존에 음성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모션 센서를 이용한 통화 발신 기능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인식을 통해 지정된 사용자에게 통화를 발신하는 것과 같이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사람별로 제스처 정보를 저장하여 이를 인식하여 지정된 사람에게 통화 발신을 하도록 하는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스처 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전화번호 테이블; 및 제스처를 통한 통화 발신 기능으로 설정한 후 카메라 모듈을 통해 제스처 정보를 입력받게 되면 그 입력된 제스처 정보와 동일한 제스처 정보를 갖는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로부터 확인하고 해당 전화번호를 통해 통화 발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스처를 통한 통화 발신 기능으로 설정하는 기능 설정부; 카메라 모듈을 통한 제스처 정보를 인식하는 제스처 인식부;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등록 판단부; 및 상기 등록 판단부를 통해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으면, 해당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발신을 수행하는 통화 처리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등록 판단부를 통해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인식된 제스처 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하는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 수정 기능을 제공하는 제스처 등록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스처 인식부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제스처 정보를 입력받은 후 입력된 제스처 정보를 전화번호 생성/변경 기능을 통해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하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메모리에 기 저장된 제스처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제어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스처를 통한 통화 발신 기능으로 설정하는 단계; 카메라 모듈을 통한 제스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스처 정보의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으면, 해당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발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스처 정보의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인식된 제스처 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하는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 수정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카메라 모듈을 통해 제스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된 제스처 정보를 전화번호 생성/변경 기능을 통해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된 제스처 정보를 전화번호 생성/변경 기능을 통해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하는 단계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메모리에 기 저장된 제스처 정보를 이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지 않고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큰 동작 또는 간단한 손 모양(수화), 간단한 사물 인식 등을 통해 통화 발신을 수행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엔터테인먼트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 때, 아래에서 설명하는 시스템 구성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인용한 시스템으로써 아래 시스템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음을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 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는 카메라 모듈(10), 메모리(20), 전화번호 테이블(100)과 기능 설정부(210), 제스처 인식부(220), 등록 판단부(230), 통화 처리부(240), 그리고 제스처 등록부(250)를 구비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100)은 제스처 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모션, 이름, 휴대폰번호, 벨소리, 그룹, etc1 필드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제스처를 통한 통화 발신 기능으로 설정한 후 카메라 모듈(10)을 통해 제스처 정보를 입력받게 되면 그 입력된 제스처 정보와 동일한 제스처 정보를 갖는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100)로부터 확인하고 해당 전화번호를 통해 통화 발신을 수행한다.
즉, 상기 기능 설정부(210)는 제스처를 통한 통화 발신 기능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스처 인식부(220)는 카메라 모듈(10)을 통한 제스처 정보를 인식한다.
또한 상기 등록 판단부(230)는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100)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100)에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통화 처리부(240)는 해당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발신을 수행한다.
상기 제스처 등록부(250)는 인식된 제스처 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하는 전화번호 테이블(100)에 등록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 수정 기능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메 모리(20)에 저장된 제스처 정보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수정할 수 있다.
상기한 각 구성들에 대한 일반적인 기능 및 각각의 상세한 동작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에 상응하는 동작 위주로 그 동작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기능 설정부(210)를 통해 제스처를 통한 통화 발신 기능으로 설정한다.
이후, 상기 제스처 인식부(220)는 카메라 모듈(1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스처 정보를 입력받는다.
그러면, 상기 등록 판단부(230)는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100)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등록 판단부(230)를 통해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100)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스처 등록부(250)는 인식된 제스처 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하는 전화번호 테이블(100)에 등록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 수정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등록 판단부(230)를 통해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100)에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통화 처리부(240)는 해당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발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스처 등록부(250)는 인식된 제스처 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하는 전화번호 테이블(100)에 등록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 수정 기능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된 제스처 정보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수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제어방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스처를 통한 통화 발신 기능으로 설정한다(S1).
이어서, 카메라 모듈(10)을 통한 제스처 정보를 인식한다(S2).
그러면,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100)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3).
만약, 상기 제스처 정보의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에서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100)에 등록되어 있으면(YES), 해당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발신을 수행한다(S4).
반면에 상기 제스처 정보의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에서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100)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NO), 인식된 제스처 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하는 전화번호 테이블(100)에 등록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 수정 기능을 제공한다(S5). 상기 입력된 제스처 정보를 전화번호 생성/변경 기능을 통해 전화번호 테이블(100)에 등록하는 단계(S5)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 해 메모리(20)에 기 저장된 제스처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메라 모듈 20 : 메모리
200 : 전화번호 테이블 200 : 제어부
210 : 기능 설정부 220 : 제스처 인식부
230 : 등록 판단부 240 : 통화 처리부
250 : 제스처 등록부

Claims (8)

  1. 제스처를 통한 통화 발신 기능으로 설정하는 단계;
    카메라 모듈을 통한 제스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스처 정보의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으면, 해당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발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정보의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인식된 제스처 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하는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 수정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카메라 모듈을 통해 제스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된 제스처 정보를 전화번호 생성/변경 기능을 통해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제스처 정보를 전화번호 생성/변경 기능을 통해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하는 단계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메모리에 기 저장된 제스처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5.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단말기에 있어서,
    제스처 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전화번호 테이블; 및
    제스처를 통한 통화 발신 기능으로 설정한 후 카메라 모듈을 통해 제스처 정보를 입력받게 되면 그 입력된 제스처 정보와 동일한 제스처 정보를 갖는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로부터 확인하고 해당 전화번호를 통해 통화 발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스처를 통한 통화 발신 기능으로 설정하는 기능 설정부;
    카메라 모듈을 통한 제스처 정보를 인식하는 제스처 인식부;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등록 판단부; 및
    상기 등록 판단부를 통해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으면, 해당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발신을 수행하는 통화 처리부를 포함하는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판단부를 통해 인식된 제스처 정보가 기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인식된 제스처 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하는 전화번호 테이블에 등록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 수정 기능을 제공하는 제스처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인식부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메모리에 기 저장된 제스처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070104087A 2007-10-16 2007-10-16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KR101442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087A KR101442167B1 (ko) 2007-10-16 2007-10-16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087A KR101442167B1 (ko) 2007-10-16 2007-10-16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666A true KR20090038666A (ko) 2009-04-21
KR101442167B1 KR101442167B1 (ko) 2014-09-18

Family

ID=40762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087A KR101442167B1 (ko) 2007-10-16 2007-10-16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1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7641A (zh) * 2020-09-23 2022-03-29 阿瓦亚管理有限合伙公司 基于手势的呼叫中心代理状态更改控制
KR102509749B1 (ko) * 2022-12-20 2023-03-14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근접 사용자와의 무선통화 기능을 갖는 헬멧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920A (ko) * 2004-01-12 2005-07-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용 단말기에서 눈동자 위치 정보를 이용한 통화 연결방법
KR100724939B1 (ko) * 2005-06-20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부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통신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7641A (zh) * 2020-09-23 2022-03-29 阿瓦亚管理有限合伙公司 基于手势的呼叫中心代理状态更改控制
KR102509749B1 (ko) * 2022-12-20 2023-03-14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근접 사용자와의 무선통화 기능을 갖는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167B1 (ko)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957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службы передачи речи
WO2015131743A1 (zh) 来电处理方法、装置及终端
JP2007208863A (ja) ボタン電話装置
US20100029257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20090038666A (ko)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KR20160000822A (ko) 위치 확정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12887195B (zh) 语音呼叫方法、语音呼叫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5682202A (zh) 通话方法、装置及智能手机
CA2807781C (en)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presenting incoming-call identifiers
KR101493088B1 (ko) 하나의 카테고리에 등록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 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통신 단말기
KR20030045893A (ko) 전화단말기에서 그룹을 이용한 단축다이얼 방법
JP5136907B2 (ja) 電話装置の着信表示制御方法
JP2015103838A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プログラム
KR20050000143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동작방법
JP2015027059A (ja) 通信機器
JPH07245654A (ja) 電子交換機
CN102695140B (zh) 来电图像显示的方法
KR100608828B1 (ko) 단축다이얼 전화번호 등록방법
JP2011205163A (ja) 電話交換機システム、そのダイヤルイン着信方法、及びそのダイヤルイン着信用プログラム
JP2008172382A (ja) 電話機及びそれを用いる通信システム並びにそれらに用いる発着信履歴登録/表示方法
KR100651491B1 (ko) 화상통화를 위한 전화번호 목록을 관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그에 따른 방법
US8996070B2 (en)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telephone number display formatting
JP4967169B2 (ja) 交換システム及び交換システムにおけるpcと電話機との連携方法
JP2017038096A (ja) 個人情報付加システムおよび個人情報付加方法ならびに個人情報付加プログラム
JP2004297122A (ja) 携帯通信方法、携帯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携帯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