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235A - Ssd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Ssd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235A
KR20090038235A KR1020070103626A KR20070103626A KR20090038235A KR 20090038235 A KR20090038235 A KR 20090038235A KR 1020070103626 A KR1020070103626 A KR 1020070103626A KR 20070103626 A KR20070103626 A KR 20070103626A KR 20090038235 A KR20090038235 A KR 20090038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y
ssd
inspection
test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김태원
백종국
안계상
Original Assignee
(주) 핸들러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핸들러월드 filed Critical (주) 핸들러월드
Priority to KR1020070103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8235A/ko
Publication of KR20090038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56External testing equipment for static stores, e.g. automatic test equipment [ATE]; Interfa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SD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측에 설치되되, 다수의 SSD가 적재되고, 상기 적재된 SSD를 공급하기 위한 SSD공급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SSD공급부의 SSD를 픽업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SSD이송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측에 설치되되, 상기 SSD이송부에 의해 후방측으로 이송된 SSD가 장착되는 테스트트레이를 구비하여, 상기 테스트트레이에 장착된 SSD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SSD검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개의 SSD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으므로, SSD의 불량 검사시간이 단축되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SSD, 검사장치

Description

SSD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a solid state disk}
본 발명은 SSD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SSD의 공급, SSD의 이송 및 장착, SSD의 검사가 자동으로 진행되고, 다수개의 SSD를 테스트트레이에 장착시켜서 동시에 검사할 수 있으므로, SSD의 불량 여부 검사속도가 증대되어 생산성이 향상된 SSD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디스크(Solid State Disk, 이하, 'SSD'로 통칭함)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를 기존의 자기금속판을 대신하여 만든 디스크를 의미로서, 헤드나 플레터가 없기 때문에 상당히 빠른 속도를 보장받을 수 있다.
예컨대, SSD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에 비해 읽기 3배, 쓰기 1.5배의 고속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하고, 기계 동작이 없어서 발열, 소음, 전력 소모 등이 적으며, 물리적 충격에도 강하고, 소형 및 경량화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SSD는 제조한 후, 출하 전에 SSD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종래에는 하나의 SSD를 각각 검사하였는데, 이와 같은 방식으로 SSD를 검사하게 되면 다수개의 SSD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량이 저하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수의 SSD를 빠른 시간 내에 검사하여 생산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검사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수개의 SSD를 한번에 검사하여, SSD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SSD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측에 설치되되, 다수의 SSD가 적재되고, 상기 적재된 SSD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SSD공급부의 SSD를 픽업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측에 설치되되, 상기 SSD이송부에 의해 후방측으로 이송된 SSD가 장착되는 테스트트레이를 구비하여, 상기 테스트트레이에 장착된 SSD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는, 다수의 SSD가 수용되는 공정용트레이(Customer Tray 또는 C-Tray, 이하 '공정용트레이'로 통칭함)와, 상기 공정용트레이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상부에 구비된 배열테이블과, 상기 적재부의 공정용트레이를 픽업하여 상기 배열테이블로 이송하여 주고 배열테이블로 이송된 공정용트레이를 고정시켜 배열하기 위한 픽업배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픽업배열부는, 상기 적재부의 후방측에서 상하좌우로 이송가능한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1이송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공정용트레이의 양측면을 가압 하여 픽업하는 제1픽업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공급부의 상부와 상기 검사부의 상부에서 전후좌우 이송가능한 제2이송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배열테이블에 위치된 공정용트레이로부터 상기 SSD를 픽업하기 위해 상하 이송가능한 제2픽업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SSD가 장착된 테스트트레이가 안착되기 위한 트레이안착부와, 상기 트레이안착부로부터 상기 테스트트레이를 공급받아 수용하고 후기의 검사부에 공급하는 제1수납부와, 상기 제1수납부로부터 상기 테스트트레이를 공급받아 장착된 SSD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고 후기의 제2수납부로 이송하는 검사부와, 상기 검사부로부터 상기 테스트트레이를 공급받아 수용하고 상기 트레이안착부에 공급하기 위한 제2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SSD를 테스트트레이에 장착시켜서 동시에 검사할 수 있으므로, SSD의 불량 여부 검사속도가 증대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SSD의 공급, SSD의 이송 및 장착, SSD의 검사가 자동으로 진행되므로, 공급부에 SSD를 공급해주는 것만으로 SSD의 검사 공정이 자동화된다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SSD 검사장치는 크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 스프레임(10)과, SSD(도 2의 1)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100)와, 상기 공급부(100)의 SSD(1)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200)와, 상기 이송된 SSD(1)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공급부(100), 이송부(200)를 수용하기 위해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는 부분이고, 상기 공급부(100)는 베이스프레임(10)의 전방측에 설치되되, 다수의 SSD(1)가 적재되어 SSD(1)의 공급을 위한 부분이며, 상기 이송부(200)는 공급부(100)의 SSD(1)를 이송하여 검사부(300)로 공급하기 위한 부분이며, 상기 검사부(300)는 SSD(1)가 다수개 장착되는 테스트트레이(302)로 구비 되어지며, 이 테스트트레이(302)에 장착된 다수의 SSD(1)를 검사하기 위한 부분이다.
먼저, 베이스프레임(1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공급부(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공급부(100)는 다수의 SSD(1)가 적재되고, 적재된 SSD(1)를 공급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베이스프레임(10)의 전방측에 위치되며, 공급부(100)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SSD(1)가 수용되는 공정용트레이(110), 이 공정용트레이(110)가 적재되는 적재부(120), 이 적재부(120)의 상부에 구비된 배열테이블(130), 적재부(120)의 공정용트레이(110)를 배열테이블(130)로 이송하여 배열하기 위한 픽업배열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급부(100)의 공정용트레이(110)는 다수의 SSD(1)가 여러 배열로 수용되도 록 수용공간을 갖는 구성요소로서, 예컨대, 8개의 SSD(1)가 4열로 배열될 수 있도록 4칸으로 구획된 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와 같은 공정용트레이(110)에 사용자가 SSD(1)를 배열하여 수용시킨 후 적재부(120)에 적재시키게 된다.
공급부(100)의 적재부(120)는 베이스프레임(10)의 전방측에 위치되며, 상세하게는, 베이스프레임(10)의 전방측에 다수개의 적재부(120)가 좌우로 배열되어 위치된다. 예컨대, 베이스프레임(10)의 전방측에 7개의 적재부(120)가 좌우로 배열되어 위치될 수 있으며, 7개의 적재부(120) 중 좌측 2~3개의 적재부(120)에는 다수의 SSD(1)가 수용된 공정용트레이(110)가 여러 층으로 적재되고, 그 이외의 적재부(120)에는 빈 공정용트레이(110)가 여러 층으로 일부만 적재된다. 이때, 공정용트레이(110)의 상하면은 적재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부(100)의 배열테이블(130)은 적재부(120)의 상부, 상세하게는, 적재부(120)에 적재된 다수의 공정용트레이(1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이 배열테이블(130)에는 후술하는 공급부(100)의 픽업배열부(140)에 의해 적재부(120)에 적재된 공정용트레이(110)가 선택적으로 픽업되어 배열되는 부분이다. 예컨대, 배열테이블(130)의 좌측에는 다수의 SSD(1)가 수용된 공정용트레이(110)가 배열되고, 우측에는 빈 공정용트레이(110)가 배열된다.
공급부(100)의 픽업배열부(140)는 적재부(120)에 적재된 다수의 공정용트레이(110)의 후방 부분에서 상하좌우로 이송가능하게 동작되는 제1이송유닛(142)과, 이러한 제1이송유닛(142)과 결합되어 공정용트레이(110)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픽업하기 위한 제1픽업유닛(144)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이송유닛(142)은 베이스프레 임(10)의 중앙부분에 구비된 중앙프레임(12)에 구비된 제1레일(21)과, 제1레일(21)을 따라 좌우 이송가능한 제2레일(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제1이송유닛(142)은 제2레일(22)을 따라서 상하로 이송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이송유닛(142)이 제2레일(22) 상에서 상하로 이송되고, 제2레일(22)이 제1레일(21) 상에서 좌우로 이송됨에 따라 제1이송유닛(142)은 상하좌우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제1이송유닛(142)에 결합된 제1픽업유닛(144)은 공정용트레이(110)를 선택적으로 픽업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다수의 SSD(1)가 수용된 공정용트레이(110) 또는 빈 공정용트레이(110)를 선택적으로 픽업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SSD(1)가 수용되는 공정용트레이(110)와, 이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120)와, 적재된 공정용트레이(110)를 픽업하여 이송하기 위한 픽업배열부(140) 및 공정용트레이(110)가 배열되는 배열테이블(130)로 구성된 공급부(100)에 의해서, 검사를 하기 위한 SSD(1)가 공정용트레이(110)에 수용되어 배열테이블(130)로 공급된다.
다음으로,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는 이송부(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송부(200)는 공급부(100)의 배열테이블(130)에 놓여진 공정용트레이(110)에 수용된 SSD(1)를 픽업하여 베이스프레임(10)의 후방측에 설치된 검사부(300)로 이송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서 전후좌우로 이송가능한 제2이송유닛(210)과, 이러한 제2이송유닛(210)과 결합되 어 공정용트레이(110)에 수용된 SSD(1)를 픽업하여 상하이송할 수 있도록 상하로 이송가능한 제2픽업유닛(220)으로 구성된다.
이송부(200)의 제2이송유닛(210)은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공간에 상측프레임(14)을 개재해서 설치된 제3레일(23)과, 제3레일(23)을 따라 좌우 이송가능한 제4레일(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제2이송유닛(210)은 제4레일(24) 상에 전후로 이송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2이송유닛(210)은 제4레일(24) 상에서 전후로 이송되고, 제4레일(24)이 제3레일(23) 상에서 좌우로 이송됨에 따라 전후좌우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이송부(200)의 제2픽업유닛(220)은 상술한 제2이송유닛(210)에 결합되어 공정용트레이(110)에 수용된 SSD(1)를 픽업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SSD(1)를 한번에 픽업하여 이송시키기 위해 다수의 픽킹유닛이 구비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제2픽업유닛(220)은 제2이송유닛(210)으로부터 하방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상하이송된다.
한편, 상술한 이송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서 전후좌우로 이송가능한 한 쌍의 제2이송유닛(210-1, 210-2)과, 이러한 한 쌍의 제2이송유닛(210-1, 210-2)과 결합되어 공정용트레이(110)에 수용된 SSD(1)를 픽업하여 상하이송할 수 있도록 상하로 이송가능한 한 쌍의 제2픽업유닛(220-1, 220-2)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일측의 제2이송유닛(210-1)과 이에 결합된 제2이송유닛(220-1)은 SSD(1)를 공정용트레이(110)로 로딩하기 위해 작동되고, 타측의 제2이송유닛(210-2)과 이 에 결합된 제2이송유닛(220-2)은 공정용트레이(110)에서 SSD(1)를 언로딩하기 위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공정용트레이(110)로 SSD(1)를 로딩시키는 유닛과 공정용트레이(110)로부터 SSD(1)를 언로딩시키는 유닛을 별개로 설치하여 SSD(1)의 로딩속도 및 언로딩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후좌우 이송가능한 제2이송유닛(210)과, 제2이송유닛(210)으로부터 상하이송되어 다수의 SSD(1)를 픽업하기 위한 제2픽업유닛(220)에 의해서, 공급부(100)의 배열테이블(130)에 위치된 공정용트레이(110)에 수용된 SSD(1)를 후방측에 위치된 검사부(300)에 공급하게 된다.
다음으로, 베이스프레임(10)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검사부(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검사부(300)는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다수의 SSD(1)가 장착되는 테스트트레이(302)가 구비되며, 이 테스트트레이(302)에 장착된 다수의 SSD(1)를 동시에 검사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검사부(300)의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트레이(302)가 안착되는 트레이안착부(310), 트레이안착부(310)로부터 테스트트레이(302)를 공급받아 수용하고 후기의 검사부(330)에 공급하는 제1수납부(320), 제1수납부(320)로부터 테스트트레이(302)를 공급받아 장착된 SSD(1)의 불량 여부를 검사한 후 후기의 제2수납부(340)에 공급하는 검사부(330), 검사부(330)로부터 테스트트레이(302)를 공급받아 수용하고 트레이안착부(310)에 공급하기 위한 제2수납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검사부(300)의 테스트트레이(302)는 검사를 하기 위한 다수의 SSD(1)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예컨대, 16개의 SSD(1)가 4열로 배열될 수 있도록 4칸으로 구획된 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테스트트레이(302)가 장착되는 하면은 개구되어 SSD(1)의 불량 여부 검사를 위한 SSD(1)의 접속단자가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테스트트레이(302)에 SSD(1)를 장착하는 것은 상술한 이송부(200), 상세하게는, 이송부(200)의 제2이송유닛(210)에 결합된 제2픽업유닛(220)의 다수의 픽킹유닛에 의해 이루어진다.
검사부(300)의 테스트트레이(302)는 최초에 트레이안착부(310)에 위치되고, 이후 순차적으로 제1수납부(320), 검사부(330), 제2수납부(340)를 거쳐서 최초의 트레이안착부(310)에 복귀된다. 이때, 트레이안착부(310)에는 테스트트레이(302)에 SSD(1)가 장착되었는지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수단 및 테스트트레이의 고유넘버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테스트트레이(302)에 SSD(1)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검사부(300)의 테스트트레이(302)는 다수개가 구비되며, 다수개의 테스트트레이(302)는 순차적으로 트레이안착부(310), 제1수납부(320), 검사부(330), 제2수납부(340)를 거쳐서 트레이안착부(310)로 복귀되는 것이다. 즉, 제1테스트트레이(미도시)가 트레이안착부(310)에 위치되고, 제2테스트트레이(302a)가 제1수납부(320)에 위치되며, 제3테스트트레이(302b)가 검사부(330)에 위치되고, 제4테스트트레이(302c)가 제2수납부(340)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테스트트레이(미도시)가 트레이안착부(310)에서 제1수납부(320)로 이송됨과 동시에 제2테스트트레이(302a)는 제1수납부(320)에서 검사부(330)로 이송되고, 제3테스트트레이(302b)는 검사부(330)에서 제2수납부(340)로 이송되며, 제4테스트트레이(302c)는 제2수납부(340)에서 트레이안착부(310)로 이송되는 순환시스템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테스트트레이(302)의 순환시스템을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트레이안착부(310)에 위치된 테스트트레이(302)에 SSD(1)의 장착이 완료되면, 슬라이딩이동수단(b)에 의해 테스트트레이(302)가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 트레이안착부(310)의 우측에 위치한 테스트트레이(302)도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트레이안착부(310)에 위치된다.
한편, 트레이안착부(310)의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테스트트레이(302)는 제1회전수단(c)에 의해서 하방으로 90도 회전하게 되고, 이처럼 90도 회전된 상태로 제1수납부(320)로 수용된다. 이때, 제1수납부(320)에 위치된 다수의 테스트트레이(302)는 순차적으로 밀려서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수납부(320)에 위치된 다수의 테스트트레이(302) 중에서 가장 후방에 위치된 테스트트레이(302)는 측면에 위치된 검사부(330)로 이동됨과 동시에 검사부(330)에 위치하고 있던 테스트트레이(302)는 제2수납부(340)의 가장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검사부(330)에 위치된 테스트트레이(302)는 검사장치(도 1의 a)와의 접촉을 통해 테스트트레이(302)에 장착된 다수의 SSD(1)의 불량 여부를 동시에 검 사하게 되며, 검사가 완료된 테스트트레이(302)가 제2수납부(340)의 가장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제2수납부(340)로 이동된 테스트트레이(302)는 순차적으로 전방을 향하여 밀려나오게 되며, 제2수납부(340)의 가장 전방에 위치된 테스트트레이(302)는 제2회전수단(d)에 의해서 상방으로 90도 회전하게 되고, 이처럼 90도 회전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딩이동수단(b)에 의해 트레이안착부(310)로 위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테스스트레이의 순환시스템은, 모든 테스트트레이(302)가 전체적으로 순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테스트트레이(302)가 계속 순환하면서 검사부(330)로 순환되어 공급되는 테스트트레이(302)에 장착된 SSD(1)가 검사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부(100), 이송부(200), 검사부(300)로 구성된 SSD 검사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공정용트레이(110)에 다수의 SSD(1)를 수용하여 베이스프레임(10)의 전방측 하부에 배열된 7개의 적재부(120) 중 좌측 2~3개의 적재부(120)에 적재하고, 나머지 우측의 적재부(120)에는 빈 공정용트레이(110)가 일부만 적재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공급부(100)의 픽업배열부(140)가 작동하여 배열테이블(130)의 좌측에는 SSD(1)가 수용된 공정용트레이(110)가 배열되고, 우측에는 빈 공정용트레이(110)가 배열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이송부(200)가 배열테이블(130)의 좌측에 위치된 공정용트레이(110)로부터 SSD(1)를 픽업하여 트레이안착부(310)에 위치된 테스트트레이로(302a)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픽업배열부(140)는 이송부(200)에 의해 SSD(1)의 픽업이 완료된 상태의 빈 공정용트레이(11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적재부(120)에 적재된 SSD(1)가 수용된 수용프레임을 배열테이블(130)의 좌측을 기준하여 순차적으로 위치시킨다.
즉, 새롭게 배열되는 SSD(1)가 수용된 공정용트레이(110)가 배열테이블(130)의 좌측을 기준하여 순차적으로 위치됨과 동시에 배열테이블(130)에 위치된 모든 공정용트레이(110)는 순차적으로 우측으로 이송되며, 공급부로 활용된 배열테이블(130)상의 수용트레이(110)가 공급을 모두 마칠 경우, 사용자 지정에 따라 임의의 적재부(120)로 픽업배열부(140)가 작동하여 적재되어 진다.
다음으로, 이송부(200)에 의해 검사부(300)로 이송된 SSD(1)는 트레이안착부(310)에 위치된 테스트트레이(302)에 각각 장착된다. 여기서, 테스트트레이(302)의 순환시스템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테스트트레이(302)의 순환시스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트레이안착부(310)에 위치된 테스트트레이(302)에 SSD(1)의 장착이 완료되면, 제1수납부(320), 검사부(330), 제2수납부(340)를 거처 테스트트레이(302)에 장착된 SSD(1)의 불량 여부 검사가 이루어지며, 검사가 완료된 테스트트레이(302)는 트레이안착부(310)로 복귀된다.
다음으로, 검사가 완료되어 트레이안착부(310)로 복귀된 테스트트레이(302) 에 장착된 SSD(1) 중 정상제품과 불량제품을 배열테이블(130)에 우측에 위치된 빈 공정용트레이(110)에 분배하여 수용하게 된다. 이때, 정상제품과 불량제품을 선별하여 공정용트레이(110)에 분배하는 것은 이송부(2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귀된 테스트트레이(302)에서 SSD(1)가 빈 공정용트레이(110)로의 분배가 완료되면, 다시 이송부(200)에 의해서 배열테이블(130)의 좌측에 위치된 공정용트레이(110)로부터 검사를 하기 위한 SSD(1)를 픽업하여 테스트트레이(302)에 장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부(200)는 검사가 완료된 테스트트레이(302)에 장착된 SSD(1)를 픽업하여 배열테이블(130)의 우측에 위치된 빈 수용트레이(110)로 이송하는 동작과 배열테이블(130)의 좌측에 위치된 수용트레이(110)로부터 SSD(1)를 픽업하여 테스트트레이(302)에 장착하는 동작을 함께하게 된다.
한편, 공급부(100)의 픽업배열부(140)는 SSD(1, 정상제품과 불량제품 선별된 것)가 수용된 공정용트레이(110)를 픽업하여 우측의 적재부(120)에 이동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SD 검사장치의 전체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SD 검사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SD 검사장치의 공급부의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SD 검사장치의 이송부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SD 검사장치의 검사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SD 검사장치의 공정용트레이 및 테스트트레이의 순환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SSD 10:베이스프레임
100:공급부 110:공정용트레이
120:적재부 130:배열테이블
140:픽업배열부 142:제1이송유닛
144:제1픽업유닛 200:이송부
210:제2이송유닛 220:제2픽업유닛
300:검사부 302:테스트트레이
310:트레이안착부 320:제1수납부
330:검사부 340:제2수납부

Claims (5)

  1.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측에 설치되되, 다수의 SSD가 적재되고, 상기 적재된 SSD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공급부의 SSD를 픽업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측에 설치되되, 상기 이송부에 의해 후방측으로 이송된 SSD가 장착되는 테스트트레이를 구비하여, 상기 테스트트레이에 장착된 SSD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D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다수의 SSD가 수용되는 공정용트레이와, 상기 공정용트레이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상부에 구비된 배열테이블과, 상기 적재부의 공정용트레이를 상기 배열테이블로 이송하여 배열하기 위한 픽업배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D 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배열부는,
    상하좌우로 이송가능한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1이송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공정용트레이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픽업하는 제1픽업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D검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공급부의 상부와 상기 검사부의 상부에서 전후좌우 이송가능한 제2이송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에 결합되어 상하이송가능하며 상기 공급부의 SSD를 픽업하기 위한 제2픽업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D검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SSD가 장착된 테스트트레이가 안착되기 위한 트레이안착부와, 상기 트레이안착부로부터 상기 테스트트레이를 공급받아 수용하고 후기의 검사부에 공급하는 제1수납부와, 상기 제1수납부로부터 상기 테스트트레이를 공급받아 장착된 SSD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고 후기의 제2수납부에 공급하는 검사부와, 상기 검사부로부터 상기 테스트트레이를 공급받아 수용하고 상기 트레이안착부에 공급하기 위한 제2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D 검사장치.
KR1020070103626A 2007-10-15 2007-10-15 Ssd 검사장치 KR20090038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626A KR20090038235A (ko) 2007-10-15 2007-10-15 Ssd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626A KR20090038235A (ko) 2007-10-15 2007-10-15 Ssd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235A true KR20090038235A (ko) 2009-04-20

Family

ID=40762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626A KR20090038235A (ko) 2007-10-15 2007-10-15 Ssd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82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1389B2 (en) 2013-09-17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modu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olid state drives (SSD)
KR102091943B1 (ko) * 2018-10-31 2020-03-20 정택열 Pba 검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1389B2 (en) 2013-09-17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modu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olid state drives (SSD)
KR102091943B1 (ko) * 2018-10-31 2020-03-20 정택열 Pba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8641B2 (en) Handling mechanism of trays with which electronic parts are fed and inspection device of the electronic parts using the mechanism
US6313652B1 (en) Test and burn-in apparatus, in-line system using the test and burn-in apparatus, and test method using the in-line system
TWI583970B (zh) A handling device, and an electronic component transfer device
JP4545776B2 (ja) バーンインソー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バーンインソート方法
JP4202498B2 (ja) 部品ハンドリング装置
JP2011507147A (ja) ディスクドライブテスト
KR20090039442A (ko) Ssd 검사장치
KR101205950B1 (ko) 메모리카드용 테스트 핸들러
JP2012524361A (ja) 格納装置テスト
KR100833716B1 (ko) 반도체 소자 비전 검사 시스템
KR101134985B1 (ko) 비전검사장치
CN111009485A (zh) 基板仓库、基板处理系统和基板检查方法
KR20090038235A (ko) Ssd 검사장치
KR100815131B1 (ko) 트레이 로딩/언로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핸들러
KR20100083885A (ko) 반도체 패키지 분류장치 및 그 방법
JP2012073155A (ja) 磁気ディスク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102024942B1 (ko)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 및 그 제어방법
KR100904750B1 (ko) 에스에스디(ssd) 테스트 핸들러
JP2016223828A (ja) 電子部品搬送装置および電子部品検査装置
KR20020083742A (ko) 반도체 소자 검사장치
KR20110038658A (ko) 비전검사장치
KR101214808B1 (ko) 전자부품 이송과 적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부품 시험장치
JPH08233901A (ja) Icテスタ用分離型ハンドラシステム
JP2000329819A (ja) 電子部品基板の試験装置および試験方法
TWI423370B (zh) A test tray and an electronic component testing device having the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