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209A - 스텐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209A
KR20090038209A KR1020070103586A KR20070103586A KR20090038209A KR 20090038209 A KR20090038209 A KR 20090038209A KR 1020070103586 A KR1020070103586 A KR 1020070103586A KR 20070103586 A KR20070103586 A KR 20070103586A KR 20090038209 A KR20090038209 A KR 20090038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elastic member
woven
valleys
ridg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순
문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Priority to KR1020070103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8209A/ko
Publication of KR20090038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20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1Bile du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인체의 내강에 사용될 수 있으면서도 특히 간내 담도용 교차 지점에 스텐트를 교차하여 삽입하는데 유리한 복합구조의 스텐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산부들과 골부들이 서로 엮어지면서 원통형의 메쉬구조를 이루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제1 엮임부, 제1 엮임부에서 연장된 탄성부재가 교차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원통형의 메쉬구조를 이루는 교차부, 교차부에서 탄성부재가 연장되고 이 탄성부재가 이루는 산부들과 골부들이 서로 엮어지면서 원통형의 메쉬구조를 이루는 제2 엮임부를 포함한다.
담도, 교차, 스텐트, 메쉬, 꼬임, 복합

Description

스텐트{Stent}
본 발명은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의 내강에 사용될 수 있으면서도 특히 간내 담도용 교차 지점에 스텐트를 교차하여 삽입하는데 유리한 복합구조의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도계의 기능은 담즙이 간에서 장으로 배설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담즙의 흐름을 조절하는데 있다. 담즙은 간의 좌, 우 간관에서 담낭으로 이동한다. 담낭에서 농축된 담즙은 담관을 통하여 방출되어 총담관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장에 흘러 들어간다. 특히, 간내 담도의 교차부위에 암이 발생하는 경우 일차적으로 제1 스텐트를 교차부위의 일측에 삽입하고 제2 스텐트를 먼저 시술한 제1 스텐트의 몸체의 측면 일부를 관통하여 삽입한다. 그러나 이러한 간내 담도의 교차부위에 삽입되는 스텐트들은 통상 가늘고 긴 와이어 형태의 탄성부재가 서로 반복적으로 교차하여 원통형의 메쉬형태를 이루는 구조가 사용된다. 즉, 상술한 구조의 제1 스텐트를 담도의 일측에 삽입한 후 제1 스텐트의 측면을 관통시켜 제2 스텐트를 삽입한다. 이러한 제1 스텐트는 측면에서 단지 탄성부재들이 서로 교차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쉽게 탄성부재의 교차된 지점이 밀려 이동되면서 제2 스텐트가 제1 스텐트의 측면에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준다.
그러나 이러한 스텐트들은 탄성부재가 서로 반복적으로 교차되어 메쉬형태를 이루는 부분에 다른 스텐트가 관통되기에는 유리한 구조이지만 방사상 방향으로 팽창력이 약하여 내강에 설치된 후에 쉽게 변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텐트의 몸체의 측면을 관통하여 또 다른 스텐트가 교차 상태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 스텐트들이 교차하여 삽입된 상태에서도 방사상 방향으로 팽창력을 유지하여 내강을 확장한 상태를 유지하여 스텐트 시술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내 남도의 교차 부위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일반적인 인체의 내강에 설치할 수 있으며 팽창력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여 범용성을 가지는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부들과 골부들이 서로 엮어지면서 원통형의 메쉬구조를 이루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제1 엮임부, 상기 제1 엮임부에서 탄성부재가 연장되어 교차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원통형의 메쉬구조를 이루는 교차부, 상기 교차부에서 탄성부재가 연장되어 또 다른 산부들과 골부들이 서로 엮어지면서 원통형의 메쉬구조를 이루는 제2 엮임부를 포함하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엮임부 및 제2 엮임부는 상기 탄성부재가 지그재그 모양을 이루며 반복하여 원통형을 이루는 경로를 가지는 산부들과 골부들을 이루고, 상기 경로에서 겹쳐지는 연결부에서 탄성부재가 서로 감겨지며,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지 그재그 모양을 이루며 반복하여 원통형을 이루면서 상기 산부들 또는 상기 골부들과 엮어져 또 다른 산부들과 골부들을 이루고, 상기 과정이 반복되어 원통형의 메쉬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하나 또는 두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탄성부재가 꼬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차부는 제1 엮임부 및 제2 엮임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차부는 상기 제1 엮임부 측에 산부들을 이루어 상기 제1 엮임부와 엮어지고, 상기 제2 엮임부 측에 골부들을 이루어 상기 제2 엮임부와 엮어지면서 그사이는 상기 탄성부재가 교차되는 구조의 원통형 메쉬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엮임부 및 제2 엮임부는 서로 교차되어 엮어지는 부분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1 엮임부와 제2 엮임부 사이에 탄성부재가 교차하여 원통형의 메쉬구조를 이루는 교차부가 제공되어 제1 엮임부 및 제2 엮임부를 통하여 스텐트 고유의 기능인 방사상 방향의 팽창력을 충분하게 유지하면서 교차부를 통하여 또 다른 스텐트를 끼워 넣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간내 담도 교차부위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어 스텐트 시술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스텐트는 간내 담도 교차 부위에 복수로 설치할 수 있 음은 물론 간내 담도외에 인체의 내강에도 적용할 수 있어 적용 범위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제조된 스텐트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제조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스텐트는 가늘고 길며 탄성력을 가지는 와이어 형태의 탄성부재에 의하여 제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탄성부재가 두개로 이루어지는 예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하나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여러 개의 탄성부재로 스텐트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제작되는 스텐트에 적용되는 탄성부재는, 간내 담도의 교차부위는 물론 인체의 내강 또는 혈관 등에 사용될 수 있도록 코팅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스텐트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1 엮임부(A), 교차부(B), 그리고 제2 엮임부(C)를 포함한다.
제1 엮임부(A) 및 제2 엮임부(C)는 방사상으로 팽창되는 팽창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구간으로 동일한 구조로 탄성부재가 엮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엮임부(A)는 탄성부재가 원통형으로 감기면서 산부(1)들과 골부(3)들을 이루면서 밴딩되어 원통형을 이룬다. 제1 엮임부(A)는 스텐트가 길이 방향으로 산부(1)와 골 부(3)가 인접하는 경우에는 서로 엮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산부(1)와 골부(3)가 서로 서로 엮어지는 구조로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 1에서는 산부(1)와 골부(3)를 확대하여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엮어져 결합된 예(도 1에서 D로 표시함)를 도시하고 있지만 제1 엮임부(A)는 전체적으로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산부(1)와 골부(3)들은 서로 엮어진 상태로 고정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제1 엮임부(A)의 산부(1)들과 골부(3)들이 엮어지는 부분은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엮임부(A)에서 산부(1)들과 골부(3)들이 엮어지는 부분은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치되는 예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지 산부(1)들과 골부(3)들이 엮어지는 것에 의하여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원통형을 이룰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그리고 교차부(B)는 상술한 제1 엮임부(A)에서 연장된 탄성부재의 산부와 골부들의 거리가 상술한 제1 엮임부(A)에서 탄성부재의 산부와 골부들이 이루는 거리보다 더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엮임부(A)는 산부와 골부가 이루는 거리(p1, p2)를 가진다면 교차부(B)는 하나로 이루어지는 산부와 골부가 이루는 거리(p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교차부(B)는 제1 엮임부(A)에 인접하는 부분은 산부들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교차부(B)는 제1 엮임부(A)가 이루는 골부들과 교차부(B)가 이루는 산부들이 엮임(도 1의 D 부분에 도시하고 있는 구조와 동일함)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이룬다. 교차부(B)는 가운데 부분의 탄성부재가 단지 교차(도 1에서 E로 표시하고 있음)하여 원통형의 메쉬구조 를 이룬다. 교차부(B)는 제2 엮임부(C)와 인접하는 부분이 골부들을 이룬다.
그리고 제2 엮임부(C)는 교차부(B)에서 탄성부재가 연장되어 지그재그로 원통형을 따라 밴딩되면서 메쉬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제2 엮임부(C)는 교차부(B)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산부들이 교차부(B)에 제공된 골부들과 엮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엮임부(C)는 제1 엮임부(A)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상술한 제1 엮임부(A)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스텐트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 2 내지 도 110을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스텐트들은 스텐트 제작틀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스텐트 제작틀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방사상 방향으로 등간격의 다수의 핀 홀이 제공되고, 이 핀 홀에 핀이 끼워지는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이러한 스텐트 제작틀을 펼쳐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임의로 정한 18 줄의 핀(위에서부터 x1, x2, x3,..., x18)이 배치되며, 스텐트 제작틀의 원주 방향으로는 각각 같은 간격으로 10개의 핀(왼쪽에서부터 y7, y8, y9, y10, y1, y2,..., y7)이 고정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텐트 제작틀에 제공되는 핀들의 배치 위치 및 개수를 설명의 편의상 임의의 수로 정하였으며, 다양한 위치 및 수를 이루는 핀을 이용하여 스텐트를 제작할 수 있다. 도 2에서 구간 A는 제1 엮임부이고, 구간 B는 교차부이며, 구간 C는 제2 엮임부를 의미한다.
우선 제1 탄성부재(5)는,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핀 x1y5에서 시작하여 스텐트 제작틀의 외주면을 따라 산부들과 골부들을 이루며 지그재그로 경 로(화살표 방향)를 가지면서 x1줄에서 x5줄까지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밴딩이 이루어진다. 즉, 제1 탄성부재(5)는 핀 x1y5, x3y3, x1y1, x3y9, x1y7, x3y5, x1y3, x3y1, x1y9, x3y7, x1y5 들을 거치면서 밴딩된다. 계속해서 제1 탄성부재(5)는, 핀 x1y5와 핀 x3y3이 이루는 구간에서는 중복된 경로(화살표 방향)를 가지면서 제1 탄성부재가 서로 감겨져 고정되면서 일종의 지주대를 이룰 수 있다. 제1 탄성부재(5)가 핀 x3y3에서 x5y1 위치로 이동되면서 밴딩된다.
그리고 제2 탄성부재(7)는,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핀 x1y10에서 시작하여 스텐트 제작틀의 외주면을 따라 산부들과 골부들을 이루며 지그재그로 경로(화살표 방향)를 가지면서 x1줄에서 x5줄까지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밴딩된다. 즉, 제2 탄성부재(7)는 핀 x1y10, x2y9, x1y8, x2y7, x1y6, x2y5, x1y4, x2y3, x1y2, x2y1, x1y10 들을 지나면서 밴딩된다. 이때 핀 x1y10과 핀 x2y9 구간에서는 중복된 경로를 가지면서 제2 탄성부재(7)가 서로 감겨져 고정되면서 일종의 지주대를 이루는 구간이다. 제2 탄성부재(7)는 핀 x2y9에서 핀 x4y7, x2y5, x4y3, x2y1, x4y9, x2y7, x4y5, x2y3, x4y1, x2y9 위치로 이동되면서 밴딩된다. 계속해서 핀 x2y9에서 핀 x4y7 구간에서는 제2 탄성부재(7)가 서로 꼬여지면서 견고하게 결합되어 일종의 지주대를 이룬다. 이때 제2 탄성부재(7)는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산부들과 골부들이 서로 엮어지는 모양(도 1에서 D부분으로 표시하고 있음)으로 밴딩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탄성부재(7)가 이루는 제1 엮임부(A)는 산부들과 골부들이 서로 엮어지는 모양으로 밴딩되어 결합되면서 원통형의 메쉬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제1 엮임부(A)는 방사상 방향으로 우수한 팽창력을 갖게된다. 또 한, 이러한 제1 엮임부(A)로 인하여 길이 방향의 신축력이 증대되므로 스텐트를 삽입하는 삽입장치의 굵기를 줄일 수 있다.
제1 탄성부재(5)는,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핀 x5y1에서 핀 x3y9, x5y7, x3y5, x5y3, x3y1, x5y9, x3y7, x5y5, x3y3들을 지나면서 산부와 골부를 이루도록 밴딩된다. 계속해서 핀 x3y3에서 핀 x5y1 구간에서는 제1 탄성부재(5)가 서로 꼬여지면서 견고하게 결합되어 일종의 지주대를 이룬다. 이때 제1 탄성부재(5)는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산부들과 골부들이 서로 엮어지는 모양(도 1에서 D부분으로 표시하고 있음)으로 밴딩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탄성부재(5)가 이루는 제1 엮임부(A)는 산부들과 골부들이 서로 엮어지는 모양으로 밴딩되어 결합되면서 원통형의 메쉬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제1 엮임부(A)는 방사상 방향으로 우수한 팽창력을 갖게된다. 계속해서 제1 탄성부재(5)는 핀 x5y1에서 핀 x14y7로 이동 경로를 가지면서 핀에 의하여 밴딩된다.
계속해서 제2 탄성부재(7)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핀 x4y7에서 핀 x5y6, x4y5, x5y4, x4y3, x5y2, x4y1, x5y10, x4y9, x5y8, x4y7로 이동 경로를 가지면서 핀에 의하여 밴딩된다. 그리고 제2 탄성부재(7)는 핀 x5y6으로 이동되면서 서로 감겨져 지주대를 이룬다. 제2 탄성부재(7)는 핀 x14y2로 이동되면서 밴딩된다.
제1 탄성부재(5)는,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핀 x14y7, x5y3, x14y9, x5y5, x14y1, x5y7, x14y3, x5y9, x14y5, x5y1로 이동되어 밴딩된다. 이때에도 제1 엮임부(A)의 골부(예를 들면 핀 x5y3)와 교차부(B)의 산부(예를 들면 핀 x5y3)가 만나는 부분에서 제1 탄성부재(5)는 엮어져 밴딩되는 것이다. 즉, 교차부(B)가 이루는 산부들과 제1 엮임부(A)가 이루는 골부들은 서로 엮임에 의하여 고정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제1 탄성부재(5)는 핀 x5y1, x14y7, x15y6을 지나는 이동 경로를 가지며 밴딩된다. 제1 탄성부재(5)는 이 구간에서는 서로 교차(도 1에 E로 표시함)되는 구조를 이루며 원통형이 메쉬 모양을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교차부(B)에서는 제1 탄성부재(5)들이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쉽게 밀리면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스텐트를 측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제2 탄성부재(7)는, 도 7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핀 x14y2, x5y8, x14y4, x5y10, x14y6, x5y2, x14y8, x5y4, x14y10, x5y6의 경로를 가지면서 이동되어 밴딩된다. 이때에도 제1 엮임부(A)의 골부(예를 들면 핀 x5y8)와 교차부(B)의 산부(예를 들면 핀 x5y8)가 만나는 부분에서 제2 탄성부재(7)는 엮어지면서 밴딩되는 것이다. 즉, 교차부(B)가 이루는 산부들과 제1 엮임부(A)가 이루는 골부들은 서로 엮임에 의하여 결합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제2 탄성부재(5)는 핀 x14y2, x16y10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가지며 밴딩된다.
제2 탄성부재(7)는 교차부(B) 구간에서는 서로 교차(도 1에 E로 표시함)되는 구조를 이루며 원통형이 메쉬 모양을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교차부(B)에서는 제2 탄성부재(7)들이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쉽게 밀리면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스텐트를 측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탄성부재(5)는,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핀 x15y6에서 핀 x14y5, x15y4, x14y3, x15y2, x14y1, x15y10, x14y9, x15y8, x14y7의 경로를 지나면서 밴딩된다. 제1 탄성부재(5)는 핀 x14y7 구간에서 핀 x15y6 사이 구간에서는 서로 꼬임에 의하여 지주대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제1 탄성부재(5)는, 핀 x17y4, x15y2, x17y10, x15y8, x17y6, x15y4, x17y2, x15y10, x17y8, x15y6, x18y3의 경로를 지나면서 밴딩된다. 제1 탄성부재(5)는 핀 x15y6에서 x17y4가 이루는 구간에서는 서로 꼬임에 의하여 고정된다.
제2 탄성부재(7)는, 도 9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핀 x16y10, x14y8, x16y6, x14y4, x16y2, x14y10, x16y8, x14y6, x16y4, x14y2의 경로를 지나면서 산부들과 골부들을 이루면서 밴딩된다. 그리고 제2 탄성부재(7)는 핀 x14y2 에서 x16y10이 이루는 구간에서 서로 꼬임에 의하여 고정된다. 물론 이러한 꼬임은 스텐트를 지지하는 일종의 지주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제2 탄성부재(7)는 핀 x16y10, x18y8, x16y6, x18y4, x16y2, x18y10, x16y8, x18y6, x16y4, x18y2, x16y10의 경로를 지나면서 밴딩된다. 그리고 제2 탄성부재(7)는 핀 x16y10에서 핀 x18y8이 이루는 구간에서 서로 꼬임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되어 지주대를 이룬다. 이러한 제2 탄성부재(7)로 이루어지는 제2 엮임부(C)는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산부들과 골부들이 엮이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1 엮임부(A)와 동일한 구조는 가진다.
제1 탄성부재(5)는, 도 10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핀 x18y3, x17y2, x18y1, x17y10, x18y9, x16y7, x17y8, x18y7, x17y6, x18y5, x17y4, x18y3의 경로를 지나면서 밴딩된다. 그리고 탄성부재(5)가 x17y4, x18y3 구간에서 꼬임에 의하 여 엮어지면서 서로 고정된다. 물론 이때에도 제3 엮임부(C)가 이루는 산부들은 교차부(B)가 이루는 골부들과 엮임으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다. 그리고 이러한 제3 엮임부(C)는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산부들과 골부들이 엮어져 밴딩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상술한 제1 엮임부(A)에서 형성된 구조와 동일하다.
도 11은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제작된 스텐트가 간내 담도의 교차부위에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우선 제1 스텐트(11)를 좌측의 담도에 설치한다. 제1 스텐트(11)는 통상의 카테터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텐트(11)의 몸체 측면(상술한 설명에서 교차부(B)부분)을 관통시키면서 제2 스텐트(13)를 우측 담도에 카테터를 이용하여 삽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스텐트는 교차부(B)의 탄성부재가 서로 교차하는 구조로 배치되므로 이부분을 통하여 다른 스텐트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 엮임부(A) 및 제2 엮임부(C)는 방사상으로 우수한 팽창성을 가지므로 시술된 스텐트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간내 담도의 교차 부위에 스텐트를 교차하는 상태로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스텐트는 간내 담도의 교차 부위에도 사용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혈관 등 인체의 내강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엮임부(A) 및 제2 엮임부(C)는 스텐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산부들과 골부들이 연속하여 엮어져 결합되는 엮임부가 배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스텐트의 유연성이 뛰어나고 팽창성이 우수하여 삽입기구의 사이즈(굵기)를 줄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스텐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1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스텐트를 만드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2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스텐트를 만드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가 연속적으로 감기면서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제조된 스텐트의 사용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Claims (7)

  1. 산부들과 골부들이 서로 엮어지면서 밴딩되고 원통형의 메쉬구조를 이루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제1 엮임부;
    상기 제1 엮임부에서 탄성부재가 연장되어 교차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원통형의 메쉬구조를 이루는 교차부;
    상기 교차부에서 탄성부재가 연장되어 산부들과 골부들이 서로 엮어지면서 밴딩되어 원통형의 메쉬구조를 이루는 제2 엮임부;
    를 포함하는 스텐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엮임부 및 제2 엮임부는
    상기 탄성부재가 지그재그 모양을 이루며 반복하여 원통형을 이루는 경로를 가지는 산부들과 골부들을 이루고,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경로 중에서 겹쳐지는 부분에서 서로 감겨져 연결부를 이루며,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지그재그 모양을 이루며 반복하여 원통형을 이루면서 상기 산부들 또는 상기 골부들과 엮어져 또 다른 산부들과 골부들을 이루고, 상기 과정이 반복되어 원통형의 메쉬구조를 이루는 스텐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하나 또는 두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스텐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탄성부재가 꼬임으로 이루어지는 스텐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차부는 제1 엮임부 및 제2 엮임부 사이에 배치되는 스텐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차부는
    상기 제1 엮임부 측에 산부들을 이루어 상기 제1 엮임부와 엮어지고, 상기 제2 엮임부 측에 골부들을 이루어 상기 제2 엮임부와 엮어지면서 그사이는 상기 탄성부재가 교차되는 구조의 원통형 메쉬구조로 이루어지는 스텐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엮임부 및 제2 엮임부는
    서로 교차되어 엮어지는 부분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KR1020070103586A 2007-10-15 2007-10-15 스텐트 Ceased KR200900382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586A KR20090038209A (ko) 2007-10-15 2007-10-15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586A KR20090038209A (ko) 2007-10-15 2007-10-15 스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209A true KR20090038209A (ko) 2009-04-20

Family

ID=40762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586A Ceased KR20090038209A (ko) 2007-10-15 2007-10-15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820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3500A1 (ko) * 2009-10-07 2011-04-14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2096497A3 (ko) * 2011-01-14 2012-11-22 (주)태웅메디칼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KR101488972B1 (ko) * 2014-09-12 2015-02-02 (주)시지바이오 스텐트 및 이 스텐트의 제조방법
KR20160026385A (ko) * 2014-09-01 2016-03-09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 방법
WO2016039557A1 (ko) * 2014-09-11 2016-03-17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스텐트
WO2017142253A1 (ko) * 2016-02-15 2017-08-24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WO2020159002A1 (ko) * 2019-01-28 2020-08-06 이재희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WO2024099161A1 (zh) * 2022-11-11 2024-05-16 神途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编织结构以及医用支架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3500A1 (ko) * 2009-10-07 2011-04-14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US9320624B2 (en) 2011-01-14 2016-04-26 Taewoong Medical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t having superior bending characteristics, and stent manufactured thereby
WO2012096497A3 (ko) * 2011-01-14 2012-11-22 (주)태웅메디칼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KR101330825B1 (ko) * 2011-01-14 2013-11-15 신경민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JP2014512195A (ja) * 2011-01-14 2014-05-22 テウン 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屈曲特性の良好なステン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ステント
KR20160026385A (ko) * 2014-09-01 2016-03-09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 방법
WO2016039557A1 (ko) * 2014-09-11 2016-03-17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스텐트
KR101488972B1 (ko) * 2014-09-12 2015-02-02 (주)시지바이오 스텐트 및 이 스텐트의 제조방법
WO2016039533A1 (ko) * 2014-09-12 2016-03-17 주식회사 시지바이오 스텐트 및 이 스텐트의 제조방법
CN106714739A (zh) * 2014-09-12 2017-05-24 Cg生物技术有限公司 支架和用于制造支架的方法
EP3192474A4 (en) * 2014-09-12 2018-04-11 CG Bio Co., Ltd. S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nt
WO2017142253A1 (ko) * 2016-02-15 2017-08-24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JP2019504701A (ja) * 2016-02-15 2019-02-21 テウン 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形状記憶合金ワイヤーを用いたステントの製造方法、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ステント、及びこれを製造するためのジグ
US10806612B2 (en) 2016-02-15 2020-10-20 Taewoong Medical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nt using shape memory alloy wire, stent manufactured thereby, and jig for manufacturing same
WO2020159002A1 (ko) * 2019-01-28 2020-08-06 이재희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US12115088B2 (en) 2019-01-28 2024-10-15 Sewoon Medical Co., Ltd. S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24099161A1 (zh) * 2022-11-11 2024-05-16 神途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编织结构以及医用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8209A (ko) 스텐트
AU775113B2 (en) Braided branching stent, method for treating a lumen therewith, and process for manufacture thereof
KR100847432B1 (ko) 내강 확장용 스텐트
US7300458B2 (en) Medical implant having a curlable matrix structure
EP0645125B1 (en) Intraluminal stent
EP1903984B1 (en) S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398807B1 (en) Braided branching stent, method for treating a lumen therewith, and process for manufacture therefor
KR101320480B1 (ko) 플렉서블 스텐트
US932062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t having superior bending characteristics, and stent manufactured thereby
KR20170115574A (ko) 혈관내 폐색물을 제거하는 시스템 및 방법
DE4424242A1 (de) In den Körper eines Patienten perkutan implantierbare Endoprothese
JP2009533083A (ja) 動脈瘤を閉塞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974308B1 (ko) 스텐트
KR101123921B1 (ko) 스텐트
KR101796430B1 (ko) 스텐트 및 스텐트 그래프트
KR20130097889A (ko) 돌출형 부분이중구조 스텐트
US20190247051A1 (en) Active textile endograft
KR20110003886A (ko) 스텐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5553972A (zh) 一种胆道支架制造方法及胆道支架
JP7385043B2 (ja) 胆管用ステントおよびその製作方法
CN108495605A (zh) 支架和医疗机器
KR102428729B1 (ko)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1504407A (ja) 円筒形ステント
KR20170012975A (ko) 미끄럼 방지 기능이 향상된 스텐트
JP7252671B2 (ja) ステントおよびその製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9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3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9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0318

Appeal identifier: 2009101009411

Request date: 20091013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101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13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51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912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013

Effective date: 20110318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031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91013

Decision date: 20110318

Appeal identifier: 2009101009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