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379A - 스프링 바이어스된 지지암을 갖는 일체형 힌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스프링 바이어스된 지지암을 갖는 일체형 힌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3379A
KR20090033379A KR1020097002225A KR20097002225A KR20090033379A KR 20090033379 A KR20090033379 A KR 20090033379A KR 1020097002225 A KR1020097002225 A KR 1020097002225A KR 20097002225 A KR20097002225 A KR 20097002225A KR 20090033379 A KR20090033379 A KR 20090033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arm
pivot
assembly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6726B1 (ko
Inventor
크리스토퍼 에이. 마쉬
가브리엘 더블유. 사바티니
크리스토퍼 피. 니홀름
Original Assignee
워렌 인더스트리즈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워렌 인더스트리즈 엘티디. filed Critical 워렌 인더스트리즈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90033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215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anted-coil torsion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05D11/1057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07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positive 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4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double-acting springs, e.g. for closing and opening or checking and closing no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22Function thereof for opening
    • E05Y2201/424Function thereof for opening for the final open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Hing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피봇 이동가능한 클로저 판넬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클로저 판넬에 카운터밸런싱 힘을 제공하거나 상기 클로저 판넬을 가스 충전 스트러트 또는 지지 막대와 같은 별도의 지지 구성 요소의 필요없이 소정의 임계 클로저 힘에 대하여 개방 구조로 유지시키도록 작동가능하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하부 힌지 암을 구비하며, 이들은 힌지 피봇 축 주위로 피봇 운동을 위하여 서로에 대한 이동을 위하여 그들의 후방 말단을 향하여 피봇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연장된 가이드 슬롯이 상기 하부 힌지 암 내에 형성된다. 지지암이 상기 힌지 피봇 축으로부터 전방에서 상부 힌지 암의 전방부에 그 제1 말단에서 고정된다.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지지암의 제2 말단을 향하여 고정되고, 이는 힌지 암이 완전히 폐쇄된 포지션과 완전히 개방된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교차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슬롯을 맞물리게 한다. 상기 가이드 슬롯은 작동 섹션 및 맞물림 섹션을 포함한다. 탄력 바이어싱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맞물림 섹션을 통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맞물리게 하고 상기 가이드 슬롯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를 바이어스하는 반면,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가이드 슬롯의 작동 섹션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부재이 맞물림을 풀거나 이를 수동적으로 맞물리게 한다.
힌지 어셈블리, 힌지 암, 피봇 부재, 피봇 운동, 바이어싱 부재, 가이드 슬롯, 지지암, 슬라이딩 부재, 맞물림 부재, 스프링, 바이어스

Description

스프링 바이어스된 지지암을 갖는 일체형 힌지 어셈블리{INTEGRATED HINGE ASSEMBLY WITH SPRING BIASED PROP ARM}
관련 출원
본 출원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앞서 출원된, 2006. 7. 18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831,470 호; 2006. 9. 1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841,533 호; 2006. 9. 21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846,092 호; 2006. 12. 20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875,815 호; 및 2007. 1. 19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881,135 호에 대한 우선권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차량 후드 또는 트렁크, 비행기 문 또는 기타 클로저 판넬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클로저 판넬을 개방 포지션으로 고정하여 통상적인 가스-충전 스트러트 또는 지지 막대의 사용 없이 소정의 임계력 미만으로 선택되는 폐쇄힘에 대하여 힌지 암의 의도치 않은 폐쇄를 방지하도록 작동가능한 지지암을 포함한다.
자동차 제조에 있어서, 테일 게이트, 트렁크 리드, 본넷 및/또는 후드와 같은 클로저 판넬을 차량 프레임에 피봇 고정하기 위하여 또는 기타 다른 유형의 클로저에 힌지 어셈블리를 사용한다. 전형적인 차량 힌지는 하나 이상의 피봇에 의하 여 서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각각 클로저 판넬과 차량 프레임 중 하나에 볼트되는 한 쌍의 강철 힌지 암으로 구성된다. 차량 후드를 개방 포지션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예컨대 엔진의 정비를 위하여, 후드 힌지와 함께 보충 가스-충전 스트러트 또는 지지 막대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스-충전된 스트러트와 함께 힌지 메커니즘의 사용은 유리하게 후드가 사용자의 한 손만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후드가 개방됨에 따라, 스트러트 내의 가스 압력은 후드 중량에 대한 카운터밸런스로서 작용하며, 스트러트 내에 가스 압력에 의하여 생성되는 힘을 통하여 후드 중량을 지지함으로써 후드/클로저 판넬을 개방하고 개방을 유지하는 것을 보조한다. 후드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후드에 상기 스트러트의 저항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최고의 하향 압력을 가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가스 스트러트는 시간이 연장됨에 따라 마모 및 밀봉 실패로 인하여 효율성을 상실하고 대체를 필요로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제로, 가스 스트러트의 제조 비용 증가로 인하여 현재까지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특히, 가스 스트러트는 보다 고가의 고급 자동차, 스포트 유틸리티 차량 및/또는 최종 사용자가 그 클로저 판넬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것이 인간 환경 공학적으로 어렵게 고안된 차량에만 사용되고 있다.
보다 저비용의 차량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후드 힌지 어셈블리는 대부분 후드 밑에 차량 전방을 따라 힌지 장착되는 연장된 지지 막대와 함께 제공된다. 이러한 힌지 시스템은 양손 조작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사용시, 한 손으로 후드를 개방으로 유지한 다음, 다른 한 손으로 지지 막대를 릴리스하고 들어올리고 포지셔닝하여 전형적으로 지지 막대 말단을 상기 후드의 전방 밑면부에 형성된 오프닝 또는 슬롯 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후드의 폐쇄시에도, 한 손으로는 후드를 부분적으로 소정의 위치로 들어올려 지지 막대의 상부 말단이 상기 후드 슬롯으로부터 맞물림이 풀려지도록 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동시에 상기 지지 막대를 저장 위치로 낮추고 재배치하여야 하므로, 양 손을 다시 사용하여야 한다.
종래 장치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Schillaci et al.의 미국 특허 제 6,892,843 B2 호는 통상적인 지지 막대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 후드를 개방 위치로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지지 어셈블리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상기 특허에서는, 힌지 자체가 상부 말단에서 후드 힌지 암에 피봇 연결되는 강성 지지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 막대의 하부 말단은, 힌지 피봇으로부터 이격되어 차량 본체를 따라 경사진 위치로 연장하며 최근위부에 하향 연장하는 디텐트를 포함하는 가이드 슬롯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지지 막대의 하부 말단은 후드가 완전히 개방됨에 따라 상기 디텐트 내로 강하하여 힌지 암을 개방 위치로 유지한다.
상기 Schillaci의 장치는 힌지를 릴리스하고 후드를 폐쇄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힌지에 인접하여 차량 측면에 서야 하며, 릴리스 레버에 의하여 후드와 지지 막대 말단을 모두 디텐트로부터 수동적으로 들어올려야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장치는 폐쇄시에도 힌지 어셈블리의 양손 조작을 지속적으로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막대는 차량 옆에 서있는 사용자에 의하여 그 위치로부터 릴리스되며, 그러한 위치에서는 거의 모든 후드의 중량이 사용자로부터 전방을 향하기 때문에, 단신의 및/또는 신체적으로 약한 사용자는 차량 측면에 서서 후드를 들어 올리기 어렵다는 추가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지지 막대가 릴리스되면, 사용자는 차량 전방으로 이동한 다음 완전히 잠겨진 구조로 폐쇄된 후드를 고정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발명의 개요
종래 기술의 장치와 관련된 일부 단점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후드, 트렁크 또는 데크 리드, 해치백, 테일 및 테일게이트, 수하물 칸의 문, 비행기 문, 가구의 뚜껑 또는 기타 클로저 판넬(이하 일반적으로 클로저 판넬이라고 함)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힌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가스-충전 스트러트 또는 통상적인 지지 막대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자가 한 손만을 사용하여 들어올려진 클로저 판넬을 개방 포지션으로 선택된 소정의 임계력 미만의 클로저 또는 하향 힘에 대항하여 고정시키도록 작동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클로저 판넬을 오프닝 위로 개방 포지션으로 고정시키고, 한 손 조작을 통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원 위치로 록킹되고/되거나 릴리스될 수 있는 힌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후드 및/또는 트렁크를 우연한 폐쇄에 대항하여 개방 포지션으로 고정하도록 작동가능한 릴리스가능한 토글, 록킹 탭 부재 또는 폴(pawl)를 구비하는 지지암을 포함하며, 소정의 임계력보다 큰 하향 힘을 단순히 가함으로써 릴리스되어 차량 정면 또는 뒤에 서있는 사용자가 후드/트렁크를 최종적 고정으로 폐쇄할 수 있는 차량용 힌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지지암이 슬라이딩 가능하여 지지암을 맞물림 포지션으로 고정하는 것을 보조하는 스프링 바이어스된 가이드 핀, 이동가능한 폴 또는 탭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암이 우연한 힌지 폐쇄를 방지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핀,폴 또는 탭은 스프링이 힌지 조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클로저 판넬의 수동적 개폐를 통상적인 방식으로 허용하는 작동 섹션으로부터 맞물림 섹션 내로 가이드 트랙 또는 슬롯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은 상기 지지암에 적어도 부분적인 힘을 제공하여 상기 힌지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본넷, 후드, 트렁크 또는 데크 리드, 해치백, 리프트백, 리프트 또는 기타 클로저 판넬을 록킹된 개방 위치로 고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록킹 힌지 메커니즘으로서, 작동시 상향 카운터밸런싱 힘을 제공하여 상기 클로저 판넬의 중량을 통상적인 가스 스트러트와 유사한 방식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프셋하는 록킹 힌지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용 후드를 차량 프레임에 커플링하기 위한 한 쌍의 자동차 힌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작동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일단 상기 후드가 소정의 각도로 수동적으로 들어올려지면 차량 후드 중량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하향 힘 보다 큰 카운터밸런싱 힘을 제공하여, 최소의 추가적인 수동적 리프팅 힘으로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자에 의한 어떠한 추가적인 수동적 리프팅 힘도 필요로 하지 않고 후드의 추가적인 개방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쌍의 피봇 이동가능한 힌지 암 및 상기 힌지 암을 개방 위치로 고정시키기 위한 스프링 바이어스된 지지암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스프링이 상기 지지암에 가하여지는 스프링 힘의 조정을 허용하도록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저 판넬을 프레임에 연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힌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데크 리드 또는 테일게이트를 차량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다양한 상이한 자동차에서 가스 충전 스트러트와 유사한 방식의 카운터밸런싱 힘을 제공하도록 조정가능한 힌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로저 판넬을 록킹된 개방 위치로 고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단순화된 구조를 가지며, 소정의 최소 하향 임계힘의 한 손 적용에 의하여 언록킹되어 상기 클로저 판넬이 단순화된 하향 이동으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록킹 힌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 부재에 의하여 맞물려지는 한 쌍의 이동가능한 플레이트 또는 암 부재를 포함하는 바이어싱 또는 지지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바이어싱 메커니즘은 힌지, 텐셔너, 또는 지지 막대로 힘을 가하여 개방, 폐쇄 또는 텐셔닝 작동을 초래하는 기타 구조물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 메커니즘은 차량 후드 또는 트렁크, 비행기 또는 철도 차량 문, 또는 가구의 뚜껑 또는 구성 요소와 같은 피봇 이동가능한 클로저 판넬에 사용하기 위한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힌지 어셈블리가 상기 클로저 판넬을 프레임에 피봇 고정시켜, 이를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사용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카운터밸런싱 힘을 제공하여, 가스 충전 스트러트 또는 지지 막대와 같은 별도의 지지 구성 요소의 필요없이 상기 클로저 판넬을 소정의 임계 폐쇄 힘에 대하여 개방 구조로 록킹 또는 유지하도록 작동가능하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힌지 어셈블리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전체 카운터밸런싱 힘이 클로저 판넬의 중량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폐쇄 힘을 초과하도록 선택된다.
각각의 힌지 어셈블리는, 각각 클로저 판넬과 이에 인접하는 프레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커플링하기 위하여 일체화되거나 포지셔닝되는 상하부 힌지 브라켓, 플레이트 또는 암(이하 일반적으로 힌지 암이라 함)을 구비한다. 상기 상하부 힌지 암은 서로에 대한 이동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힌지 피봇 또는 핀에 의하여, 또는 힌지 피봇 축 주위로 복합적인 피봇 운동을 위하여 상기 힌지 암을 따르는 지점에서 서로 피봇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 암에 의하여 그들의 후방 말단을 향하여 피봇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연장된 슬롯, 트랙 또는 기타 가이드 부재(이하 총괄하여 일반적으로 가이드 슬롯이라 함)가 클로저 판넬 또는 프레임에 연결되는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 제2 힌지 암 위에 또는 그 안에 형성되고 힌지 어셈블리는 미리 제조된 일체형 장치로서 형성된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그 제1 말단을 향하여 클로저 판넬, 차량 또는 가구 프레임에 피봇 커플링되는 지지암을 추가로 포함한다. 그러나,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암의 제1 말단은 하나 이상의 힌지 피봇 축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spaced) 지점에서 상기 힌지 암 중 하나의 전방부에 피봇 고정된다. 가이드 핀, 보스, 탭 부재, 프롱(prong) 또는 폴(이하 집약적으로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부재라함)이 상기 지지암의 제2 말단을 향하여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힌지 암이 완전 폐쇄된 포지션과 완전 개방된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 슬롯을 따라 교차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슬롯을 맞물리게 한다.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대적으로 포지셔닝하여 정상적인 적재력 하에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를 개방 포지션으로 록킹하거나 자유 이동하도록 한다.
본 출원인은, 가이드 슬롯의 배향 및 곡률 및/또는 지지암의 피봇 커플링 포지션에 대한 약간의 변화를 도입함으로써 스프링 텐션을 변화 또는 변경시키지 않고 힌지 어셈블리를 조정할 수 있음을 인지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다양한 상이한 차량 모델 및/또는 구조에 대한 적합한 카운터밸런싱 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단순화된 디자인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클로저 판넬이 통상적인 방식으로 수동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힌지 어셈블리가 작동되는 자유 작동 섹션 및 힌지 어셈블리가 이동하여 클로저 판넬에 플러스의 카운터밸런싱 힘을 제공하여, 예컨대, 클로저 판넬이 그 자체의 중량하에 개방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맞물림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 섹션은 일반적으로 연장된 형상이며, 힌지 피봇 축을 향하여 이격된 최후방 바이트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그 최전방 말단에서 상기 맞물림 섹션과 병합된다. 상기 작동 섹션은 일직선이거나, 각을 이루거나, 및/또는 만곡되는 형태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 섹션은 평행한 면을 갖는 가이드 슬롯으로서 형성되며 이를 따라 슬라이딩 부재가 교차 운동할 수 있도록 배향된다. 바람직한 구조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의 맞물림 섹션은 일반적으로 아치형으로 또는 상기 작동 섹션을 부분적으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임의로, 상기 맞물림부는 또한 상부 및/또는 하부 디텐트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하부 디텐트부는 슬라이딩 부재가 그 안에서 이동하여 클로저 판넬이 보다 완전히 개방된 포지션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조함으로써 차량에 보다 큰 접근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가이드 슬롯에 대하여 전방으로 바이어싱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보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탄력 바이어싱 부재를 포함한다. 적합한 바이어싱 부재는 제한없이 전동기, 토션 스프링, 나선 압축 스프링, 연장 스프링, 코일 스프링, 또는 대안적인 구조에서 가스 충전 스트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슬라이딩 부재가 가이드 슬롯의 작동 섹션을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매우 수동적으로 맞물리게 하거나 이로부터 맞물림이 풀리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작동 섹션 내에 위치할 때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매우 전형적인 힌지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 섹션 내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예컨대 바이어싱 스프링 등을 오버텐셔닝하지 않도록 상기 바이어싱 부재에 대하여 증가된 응력(stress)을 가하지 않는다. 본 출원인은, 상기 작동 섹션 내에서 슬라이딩 부재에 대한 바이어싱 힘을 제한함으로써, 클로저 판넬이 상당한 응력하에 놓이지 않으며 따라서 예컨대 차량 후드, 리프트 게이트 등이 덜 강하고 보다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함을 인지하였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슬롯의 맞물림 섹션 내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능동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맞물리게 하여 이에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플러스의 바이어싱 힘을 가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부재 또는 스프링과 상기 지지암의 슬라이딩 가능한 제2 말단 사이의 바이어싱 힘으로 인하여 전방 힘이 야기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 힘은 클로저 판넬의 카운터밸런스 중량으로서 작용하도록 선택되는 지점까지 증가되고, 상기 클로저 판넬의 개방 구조로 및 이로부터의 이동을 보조한다.
또한, 보다 작은 스프링 구조물이 차동 코일 간격 및/또는 두께를 가지고 사용되어 가변적인 카운터밸런싱 효과를 제공하는, 예컨대 힌지 어셈블리가 소정의 임계 양을 지나쳐 및/또는 그 사이에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단순화된 구조에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차량 후드 힌지로서 사용된다. 가이드 슬롯이 피봇 축을 향하여 이격된 후방부로부터 최전방 말단부로 전방 연장하도록 하부 힌지 암에 형성되고, 지지암이 상부 힌지암의 전방 말단을 향하여 피봇 연결된다. 그러나, 힌지 어셈블리는 역배향으로, 지지암이 하부 힌지 암 또는 심지어 차량 프레임에 피봇 고정되고 가이드 슬롯이 상부 힌지 암의 길이를 따라 제공되거나 후드 내에 형성되도록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상기 후드가 들어올려지고 상기 상부 힌지 암이 힌지 피봇 및 피봇 축 주위로 하부 암에 대하여 피봇 이동되면, 상기 힌지 암의 상대 이동에 따라 지지암의 제2 말단과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가이드 슬롯의 작동 섹션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의 맞물림 섹션은 경로 축 주위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일반적으로 아치형의 곡선 경로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한다. 스프링 바이어스된 토글 암이 힌지 어셈블리에 고정된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토글 암은 상기 슬롯을 따라 교차 이동할 때 슬라이딩 부재와 맞물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일반적으로 비-선형의 또는 만곡의 맞물림 표면을 구비한다. 상기 토글 부재는, 상기 토글 암의 맞물림 표면이 가이드 슬롯의 작동 섹션의 측면에 인접하도록 이동하여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을 실질적으로 간섭하지 않는 초기 바이어스된 포지션과, 맞물림 표면이 슬롯의 연장 방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포지셔닝되는 맞물림 포지션 사이에서 탄력 이동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슬롯의 작동 섹션으로부터 맞물림 섹션 내로 이동하면, 상기 토글 부재의 회전 운동 및 상기 맞물림 표면과 슬라이딩 부재 사이의 접촉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증가하는 전방 힘을 가하여 소정의 힘에 도달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를 가이드 슬롯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가이드 부재의 전방 운동으로 인하여 상기 지지암이 힌지 암을 이격시키고 클로저 판넬을 개방 포지션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본 출원인은, 가이드 슬롯 경로의 곡률 또는 각도 및/또는 토글 부재의 접촉 표면의 형상 또는 피봇 암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상이한 용도 및/또는 상이한 차량 후드, 리프트 게이트 등에 사용하기 위한 힌지를 조정할 수 있음을 인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힌지 구조물은 스프링, 가이드 슬롯, 지지암 및/또는 토글 암과 같은 하나 이상의 힌지 구성 요소에 대한 약간의 변경에 의하여 동일한 힌지부가 다양한 상이한 차량 유형 또는 모델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큰 다양성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 슬롯의 맞물림 섹션은 그 최전방 말단에서 하부 연장 디텐트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 암이 완전히 개방된 포지션으로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디텐트와 일직선을 이루어, 상기 디텐트 안에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상기 후드가 정상적인 각도보다 큰 각도로 개방되어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가능한 구조에서, 키퍼 리세스, 캐치암, 록킹 후크 또는 다른 캐치 부재를 사용하여 가이드 부재가 슬롯의 전방 말단으로 이동할 때 이를 맞물리게 하여 힌지 암을 개방 구조로 록킹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차량 후드를 폐쇄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디텐트(존재한다면)와 일직선 밖으로 하향 이동시키고 슬롯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하며 토글 암에 대하여 가하여지는 카운터밸런싱 힘을 초과하는 수동적인 하향 힘을 후드에 가한다. 상부 힌지 암의 하향 운동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가 토글 및 스프링의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가이드 슬롯의 맞물림 섹션을 따라 후방으로 복귀한다. 슬라이딩 부재가 슬롯을 따라 운동하여, 가장 바람직하게 토글 암이 그 맞물림 표면이 슬롯의 섹션과 평행한 배향을 가지도록 재배치된다. 슬라이딩 부재가 슬롯의 작동 섹션을 향하여 복귀하면, 가장 바람직하게 토글 부재는 슬라이딩 부재에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전방 힘을 제공하여, 가장 바람직하게 슬라이딩 부재가 슬롯의 작동 섹션 내로 복귀하면 이에 대한 중립 또는 0의 전방 힘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포지셔닝되면, 슬라이딩 부재는 다시 수동적으로 맞물리게 되어 상당한 전방 힘을 받지 않으면서 슬롯의 작동 섹션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한다. 본 출원인은, 필수적이지는 않으나, 스프링의 가이드 핀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스프링을 오버텐셔닝할 필요가 없게 함으로써 스프링 수명이 연장됨을 인지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물은 종래의 스프링 유발 후드 릴리스 메커니즘과 대조적으로 유리하게 비교적 작은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힌지 어셈블리 전체가 전체적으로 보다 압축된 디자인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임의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시에 토글 암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접촉 힘으로부터 초래되는 임의의 마찰 마모를 최소화하는 라이브 베어링을 구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능한 구조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의 맞물림 섹션은 상하부 디텐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라인드 말단은 상기 작동 섹션의 연장 방향에 일반적으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일반적으로 타원 형상 및 가이드 슬롯 내에 또는 이를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선택되는 길이 및 너비를 갖는 록킹 폴(pawl)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 폴은 그 하나의 말단을 향하여 지지암의 제2 말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커플링되어 상기 폴이 가이드 슬롯의 최후방 바이트에 인접하여 포지셔닝되면 상기 지지암의 제2 말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폴은 슬롯의 블라인드 말단부 내에 완전히 포지셔닝 될 수 있도록 선택되는 전체적인 길이를 갖는 일반적으로 연장된 부재로서 제공된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상부 디텐트는 가이드 슬롯의 작동 섹션에 대하여 수직으로 상향 연장하고, 하부 디텐트는 그 아래로 하향 연장한다. 상기 폴 및 슬롯의 블라인드 말단의 상대적 크기는 상기 폴이 상기 블라인드 말단 내에 록킹 포지션으로 실질적으로 재배향됨에 따라 상기 폴이 상기 작동 섹션의 연장 방향과 실질적으로 각을 이루어 이동하도록 선택된다.
상기 지지암은 그 제1 말단에서 상부 힌지 암의 최전방 말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므로, 클로저 판넬이 들어올려짐에 따라 다른 제2 말단과 록킹 폴이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다. 특히, 힌지 암이 개방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록킹 폴은 가이드 슬롯의 작동 섹션을 따라 최후방 바이트로부터 블라인드 말단 내로 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록킹 캠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작동 섹션으로부터 블라인드 말단 내로 이동하며, 상기 블라인드 말단에서 디텐트 측면과 록킹 폴 사이의 맞물림이 록킹 위치로 상기 폴을 재배치한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록킹 위치에서 상기 폴은 그 길이가 상기 가이드 슬롯의 작동 섹션 내에서의 포지셔닝에 대하여 90°±10°의 각도로 재배치된다.
상기 후드 또는 클로저 판넬을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단순히 상기 스프링 힘을 극복하고 록킹 폴을 슬롯의 작동 섹션과 실질적으로 일직선으로 재배치하기 위하여 필요한 소정의 최소의 임계력을 상기 판넬에 하향으로 가하면 된다. 바람직하게, 힌지 암이 폐쇄 위치로 됨에 따라, 가이드 슬롯 표면 사이의 맞물림은 상기 록킹 폴을 상기 작동 섹션의 종축과 일직선을 이루는 그 본래의 작동 구조로 되돌린다. 이러한 재배치에 따라 상기 록킹 폴은 최후방 바이트를 향하여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며, 힌지 암은 폐쇄 포지션으로 접힌다.
그러나, 상기 록킹 폴을 리셋하는 다른 수단 또한 가능하며, 이는 제한없이 플랜지, 디텐트 또는 기타 물리적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자동차 후드를 힌지 피봇 주위로 개방 및 폐쇄 포지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차량 프레임에 힌지 커플링 하기 위한 자동차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힌지 피봇을 향하여 이격된 각각의 근위 말단으로부터 이로부터 떨어진 원위 말단으로 각각 전방으로 연장함으로써, 상기 후드가 폐쇄 포지션으로 이동시 힌지 암의 원위 말단이 병렬 포지션으로 이동하고 개방 포지션에서 상기 원위 말단이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이동하도록 하는, 상기 후드와 상기 프레임 중 하나에 커플링되는 제1 힌지 암 및 상기 후드와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커플링되는 제2 힌지 암;
상기 제2 힌지 암 내에 형성되며, 최후방 작동 섹션과, 상기 작동 섹션으로부터 전방에 위치하며 포인트 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일반적으로 아치형의 경로를 따라 연장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맞물림 섹션을 포함하는 가이드 슬롯;
상기 힌지 피봇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피봇 지점에서 상기 제1 힌지 암에 그 제1 말단에서 피봇 커플링되는 지지암으로서, 상기 지지암의 제2 말단은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슬롯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게 하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개방 포지션으로의 상기 후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작동 섹션 내에 최후방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맞물림 섹션 내에 최전방 포지션으로 상기 슬롯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하는 지지암;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맞물림 접촉을 위하여 장착되고,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슬롯의 작동 섹션을 따르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후방 이동을 실질적으로 간섭하지 않는 릴리스 포지션과,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지지암을 맞물리게 하여 이에 전방 힘을 제공하여 상기 전방 포지션을 향하여 상기 맞물림 섹션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전방 이동을 보조하는 맞물림 포지션 사이에서 탄력 이동가능한 탄력 바이어스된 맞물림 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각각의 근위 말단으로부터 원위 자유 말단으로 연장하고, 힌지 암의 자유 말단이 병렬 위치로 이동하는 폐쇄 포지션과 상기 자유 말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하는 개방 포지션 사이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원위 말단을 향하여 이격된 힌지 피봇 주위로 서로에 대한 피봇 운동을 위하여 커플링되는 제1 및 제2 힌지 암;
상기 제2 힌지 암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힌지 암의 근위 말단을 향하여 이격된 최근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2 힌지 암의 자유 말단을 향하여 이격된 최원위 말단으로 전방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슬롯;
상기 힌지 피봇으로부터 제1 암 자유 말단을 향하여 이격된 피봇 지점에서 상기 제1 힌지 암에 그의 제1 말단에서 피봇 커플링되는 연장된 지지암으로서, 베어링 부재가 상기 지지암의 제2 말단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슬롯 내에 이를 따라 이동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됨에 따라, 폐쇄된 포지션으로부터 개방된 포지션으로의 힌지 암의 이동에 따라, 상기 베어링 부재가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최근위 말단을 향하여 이격된 제1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최원위 말단을 향하여 이격된 제2 포지션으로 전방 슬라이딩 운동이 실행되는 연장된 지지암; 및
상기 지지암과 맞물림되어 상기 베어링 부재를 상기 슬롯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탄력 바이어싱된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각각의 근위부로부터 원위부로 연장하며, 그들 각각의 근위부를 향하여 이격된 힌지 피봇 주위로 서로에 대한 피봇 운동을 위하여 커플링되는 제1 피봇 부재 및 제2 피봇 부재;
상기 제2 피봇 부재와 결합되고, 작동 섹션 및 맞물림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피봇 부재의 근위부를 향하여 이격된 최근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2 피봇 부재의 원위부를 향하여 이격된 최원위 말단으로 전방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긴 형상의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피봇 부재의 원위부를 향하여 상기 힌지 피봇으로부터 이격된 암 피봇 주위로 상기 제1 피봇 부재에 이에 대한 운동을 위하여 피봇 커플링되는 제1 암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1 피봇 부재가 상기 제2 피봇 부재에 대하여 상기 힌지 피봇 주위로 이동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제2 암 말단으로 연장되는 지지암; 및
상기 제2 암 말단이 상기 맞물림 섹션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암 말단을 상기 가이드 부재의 최원위 말단을 향하여 탄력 바이어싱하여, 소정의 임계력 부재시 상기 제2 암 말단의 상기 맞물림 섹션으로부터 상기 작동 섹션 내로의 복귀 운동을 제한하는, 상기 지지암을 맞물리게 하기 위한 바이어싱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클로저 판넬을 힌지 피봇 주위로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프레임에 힌지 커플링하기 위한 힌지 어셈블리로서,
상기 힌지 피봇을 향하여 이격된 각각의 근위부로부터 이로부터 떨어진 원위 말단으로 전방으로 각각 연장함으로써, 상기 판넬이 폐쇄 포지션으로 이동시 힌지 암의 원위 말단이 병렬 포지션으로 이동하고 개방 포지션에서 상기 원위 말단이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이동하도록 하는, 상기 클로저 판넬과 상기 프레임 중 하나에 커플링되는 제1 힌지 암 및 상기 판넬과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커플링되는 제2 힌지 암;
상기 제2 힌지 암 내에 형성되며, 최후방 작동 섹션과, 상기 작동 섹션으로부터 전방에 위치하며 경로 축 주위에 방사상으로 일반적으로 아치형의 경로를 따라 연장하는 맞물림 섹션을 포함하는 가이드 슬롯;
상기 힌지 피봇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는 피봇 지점에서 상기 제1 힌지 암에 그 제1 말단에서 피봇 커플링되는 지지암으로서, 상기 지지암의 제2 말단은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슬롯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게 하는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개방 포지션으로의 상기 후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베어링 부재가 상기 작동 섹션 내에 최후방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맞물림 섹션 내에 최전방 포지션으로 상기 슬롯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하는 지지암; 및
상기 베어링 부재와 선택적인 맞물림 접촉을 위하여 장착되는 토글 부재로서, 상기 토글 부재가 상기 슬롯을 따르는 상기 베어링 부재의 후방 운동을 실질적으로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베어링 부재를 수동적으로 맞물리게 하는 상기 슬롯에 대하여 이동되는 릴리스 포지션과, 상기 토글 부재가 상기 베어링 부재를 능동적으로 맞물리게 하여 이에 전방 힘을 제공하여 상기 전방 포지션을 향하여 슬롯을 따라 상기 베어링 부재가 전방으로 운동하는 것을 보조하는 맞물림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베어링 부재가 상기 맞물림 섹션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클로저 판넬의 중량에 의하여 상기 베어링 부재에 공급되는 후방 힘보다 크게 선택되는 소정의 최소 힘을 상기 베어링 부재에 가하도록 작동가능한 토글 부재를 포함하는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첨부하는 도면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한 쌍의 일체형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차에 사용되는 힌지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것 으로서, 완전히 개방된 포지션과 완전히 폐쇄된 포지션 사이에서 힌지 암의 상대적 이동 범위를 도시한다.
도 3은 힌지 암이 초기에 완전히 폐쇄된 위치로 포지셔닝되는 도 2의 힌지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힌지 암을 완전히 개방된 구조로 록킹하기 위하여 도 3의 힌지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토글 어셈블리와 지지암의 부분 분해 조립도이다.
도 5는 초기의 완전히 폐쇄된 위치로 포지셔닝되는 힌지 암을 갖는 도 3의 힌지 어셈블리의 개략적 제1 측면도이다.
도 6은 힌지 암이 초기의 부분적인 개방 포지션으로 이동하는 도 5의 힌지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7은 힌지 암이 임계의 개방 포지션을 넘어 이동하고 토글 어셈블리가 카운터밸런싱 개방 힘을 제공하는 도 5의 힌지 어셈블리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8은 힌지 암이 완전히 개방된 구조로 포지셔닝되는 도 5의 힌지 어셈블리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9는 힌지 암을 완전히 폐쇄된 포지션으로 도시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의 제1 측면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힌지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힌지 암과 록킹 폴의 완전히 개방된 록킹 포지션으로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의 제1 측면의 사시도로서, 힌지 암이 완전히 개방된 구조로 이동함을 도시한다.
도 1을 먼저 참조로 한다. 도 1은 차량 후드(12)를 그 측면에서 각각 차량 프레임(14)에 피봇 고정시키는데에 사용되는 한 쌍의 일체형 힌지 어셈블리(10)를 사용하는 차량(8)을 예시한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10)는 한 손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후드(12)를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프레임(14)에 대하여 완전히 개방된 포지션으로 들어올리고 고정시킴과 동시에, 소정의 최소 하향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차량(8)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후드(12)를 폐쇄하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가장 잘 도시되고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힌지 어셈블리(10)는, 상기 후드(12)(도 1)가 임계각 α까지 수동적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되면 상기 힌지 어셈블리(10)가 그 후 상기 후드(12)의 중량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하향 힘과 동등하거나 바람직하게 이보다 큰 결합된 카운터밸런싱 상향 힘을 제공하여 상기 후드(12)를 각 β의 완전히 개방된 포지션으로 자동적으로 들어올리거나 이를 보조하도록 제공된다. 그 결과, 상기 후드(12)가 임계각까지 들어올려지고, 바람직하게 임계각 α가 약 10 내지 40°, 바람직하게 약 12 내지 20°로 선택되면, 상기 힌지 어셈블리(10)가 단독으로 추가적인 수동적 노력 없이 또는 제조업자의 요구에 따라 수동적 노력으로 상기 후드(12)를 남은 거리(각 β)까지 들어올리도록 작동될 수 있다.
도 3 내지 8은 상기 후드(12)를 상기 차량 프레임(14)에 힌지 커플링시키는데에 사용되는 왼편 힌지 어셈블리(10)를 예시하며, 오른편 힌지 어셈블리는 거울 상 구조를 가지며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10)는 상기 후드(12)에 고정되는 상부 힌지 브라켓 또는 암(18)과 상기 차량 프레임(14)에 직접적인 장착을 위하여 제공되는 하부 힌지 브라켓 또는 암(20)을 포함한다. 상기 상하부 힌지 암(18, 20)은 바람직하게 강철, 알루미늄 또는 기타 적합한 금속 또는 합금으로 제조되고, 최후방 말단(22, 24)으로부터 최전방 말단(23, 25)으로 각각 연장한다. 상기 힌지 암(18, 20)은, 상기 후드(12)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힌지 축(AH-AH)(도 4) 주위로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힌지 피봇(26)에 의하여 그들 각각의 최후방 말단(22, 24)을 향하여 서로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피봇 커플링된다.
도 4의 분해 조립도에서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힌지 암(20)을 통하여 가이드 슬롯(3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슬롯(30)은 필수적은 아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 일반적으로 평행한 측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슬롯(30)은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성 성분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전체적인 힌지 어셈블리의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측면으로 연장하는 만곡된 모서리(3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슬롯(30)은 일반적으로 선형의 작동 섹션(30) 및 일반적으로 아치형의 맞물림 섹션(38)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 섹션(30)은 최후방 말단 또는 바이트(36)로부터 전방으로 및 각을 이루어 상향 연장되고 초기에 상향 및 전방으로 만곡된 아치형 섹션(38)을 갖는 그 최전방 말단에서 병합된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아치형 맞물림 섹션(38)은 경로 축(Ap)(도 4) 주위로 상기 슬롯(30)의 최전방 말단에서 최전방 상향 돌출 디텐트(40)까지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디텐트(40)는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리하게 차량 어셈블리 및 제조 동안에 상기 후드(12)가 보다 완전한 개방 포지션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도 3은 상기 힌지 어셈블리(10)가 강성 강철 지지암(prop arm)(54)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상기 지지암(54)은 지지암 피봇(62)에 의하여 상기 상부 힌지 암(18)의 최전방 말단(23)을 향하여 제1 말단 부분에서 피봇 고정된다. 가이드 베어링(64)이 상기 지지암(54)의 제2 말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 베어링(64)은 상기 가이드 슬롯(30)을 따르는 운동을 위하여 상기 가이드 슬롯(30)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규모가 정하여진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베어링(64)은 상기 가이드 슬롯(30)을 통하여 측면으로 연장하는 라이브(live) 베어링(66)을 구비한다.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라이브 베어링(66)은 어셈블리 내에서 상기 만곡된 모서리(32) 및/또는 토글 암(44)의 맞물림 표면(50)과 접촉하여 상기 힌지 암(18, 20)의 개방 및 폐쇄시 구성 성분의 마모를 최소화하도록 제공된다.
도 3 및 4는 상기 하부 힌지 암(20)이 이에 장착되는 토글 어셈블리(42)를 추가로 갖는 것을 가장 잘 도시한다. 상기 토글 어셈블리(42)는 토글 암(44), 코일 토션 스프링(46), 및 캡 플레이트(48)를 포함한다. 상기 토글 어셈블리(42)는 비-선형으로 연장하는 만곡 맞물림 표면(50)을 포함하는 돌출 핑거부를 구비한다. 상기 암(44)은, 상기 맞물림 표면(50)이 적어도 일반적으로 상기 슬롯(30)의 맞물림 섹션(38)과 일직선을 이루는 운동 경로 내에서 이동가능하면서 상기 가이드 베어링(64)과 접촉하도록, 일반적으로 상기 경로 축 Ap-Ap 주위로 피봇 운동을 위하여 상기 힌지 암(20)에 커플링된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상기 맞물림 표면(50)의 곡률은 상기 슬롯(30)의 맞물림 섹션(38)을 따라 상기 암(44)이 이동할 때 정상적으로 상기 맞물림 섹션을 향하도록 선택된다.
토션 코일 스프링(46)은 각각 상기 토글 암(44)을 맞물리게 하는 말단부 (52a, 52b) 및 상기 캡 플레이트(48)를 구비하여, 상기 토글 암(44)에 탄력 바이어싱 스프링 힘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스프링(46)은 상기 토글 암(44)을 화살표(100)(도 5) 방향으로 탄력 바이어싱하여, 상기 맞물림 표면(50)이 상기 슬롯(30)의 최전방 바이트(40) 및 능동적 맞물림 포지션을 향하여 탄력있게 전방으로 나아가도록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암(44)은 상기 맞물림 표면(50)이 상기 슬롯(30)의 작동 섹션(34)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이에 인접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수동적 맞물림 포지션(도 5에 도시함)과 상기 맞물림 표면(50)이 상기 맞물림 섹션(38)의 연장 방향에 적어도 가로지르도록 배향되어 상기 슬롯(30)을 따라 전방으로 상기 가이드 베어링(64)에 힘을 제공하는 능동적 맞물림 포지션(도 7에 도시함)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베어링(64)과 맞물림 접촉하여 상기 맞물림 표면(50)과 교차(reciprocal) 이동가능하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캡 플레이트(48)는 상기 힌지 암(20)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포지셔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 플레이트(48)의 포지션을 변경함으로써, 스프링(46)에 의하여 토글 암(44)에 가하여지는 텐션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 힘의 텐셔닝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힌지 어셈블리(10)가 상기 후드(12)에 가하여지는 카운터밸런싱 힘을 선택적으로 변화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10)는 상이한 크기 또는 중량의 차량 후드(12)에 사용되어 상이한 카운터밸런싱 힘을 제공하는데에 적합하다.
작동시, 상기 가이드 베어링(64)이 상기 슬롯(30)의 작동 섹션(34)으로부터 아치형 맞물림 섹션(38) 내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토글 어셈블리(42)는 상기 상부 힌지 암(18)에 상향 개방 힘을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도 5 내지 8은 상기 힌지 어셈블리(10)가 개방되고 폐쇄됨에 따라 상기 힌지 암(18, 20)의 최전방 말단(23, 25)이 상기 힌지 축 AH-AH 주위로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을 가장 잘 도시한다. 상기 힌지 암(18, 20)이 개방되고 폐쇄될 때에, 상기 지지암(54)이 상부 힌지 암(18)에 피봇 커플링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 베어링(64)이 상기 가이드 슬롯(30)을 따라 상기 지지암(54)을 연장 또는 접도록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5는 초기에 후드(12)가 완전히 폐쇄되고 힌지 암(18, 20)이 그들의 최전방 말단(23, 25)이 실질적으로 각도 0(도 2)으로 병렬로 정렬되어 있는 힌지 어셈블리(10)를 도시한다. 이러한 포지션에서, 지지암(54)은 일반적으로 힌지 암(18)과 일직선으로 정렬되며, 상기 지지암(54)의 가이드 베어링(64)은 가이드 슬롯(30)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여 후방 바이트(36)에 매우 인접하게 위치한다.
상기 후드(12)가 들어올려짐에 따라, 힌지 암(20)에 대한 힌지 암(18)의 상 향 피봇 운동으로 인하여 가이드 베어링(64)이 가이드 슬롯(30)의 작동 섹션(34)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상기 가이드 베어링(64)이 작동 섹션(34)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토글 암(42)의 맞물림 표면(50)은 상기 베어링(64)과의 맞물림에 의하여 상기 작동 섹션(34)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위치로 유지된다. 이러한 배향에서, 상기 토글 어셈블리(42)는 상기 가이드 베어링(64)에 상기 슬롯 방향에 평행하게 중립 또는 0의 전방 힘을 가하여 수동적으로 상기 가이드 베어링(64)을 맞물리게 하며, 후드(12)의 초기 개방에 대하여 유의한 저항력 또는 플러스의 힘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 결과, 상기 가이드 베어링(64)이 상기 작동 섹션(34) 내에 위치하는 동안, 그리고 상기 후드(12)가 임계각 α까지 들어올려질때까지, 상기 후드(12)는 사용자가 필요한 수동적 상향의 들어올리는 힘을 제공하여 전형적인 방식으로 들어올려지고 낮추어진다.
후드(12)를 지속적으로 상향으로 들어올려 후드(12)가 임계각 α까지 들어올려지면 가이드 베어링(64)이 아치형의 맞물림 섹션(38) 내로 이동하게 된다. 도 7 및 8에 가장 잘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베어링(64)이 상기 아치형 섹션(38) 내로 이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스프링(46)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상기 토글 암(44)이 경로 축 Ap 주위로 화살표(100)의 역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상기 맞물림 표면(50)이 상기 가이드 베어링(64)에 대하여 그 후방으로 이동하여, 이에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힘을 가하고, 상기 가이드 베어링(64)의 후면이 상기 토글 암(42)의 직접적인 전방이며 이에 의하여 맞물려지도록 상기 토글 암(42)이 상기 베어링(64)을 완전히 맞물리게 할 때 소정의 최소 힘에 도달한다. 이러한 위치에 서, 상기 토글 암(42)은 일반적으로 상기 가이드 슬롯과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베어링(64)에 전방 힘을 제공하여, 상기 가이드 베어링(64)이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전방으로 향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베어링(64)에 대한 전방 힘으로 인하여, 상기 베어링(64)이 상기 슬롯(30)의 전방 말단에 도달하고 상기 힌지 암(18, 20)이 완전히 개방된 각 β에 도달할때까지, 상기 지지암(54)이 상기 힌지 암(18)을 추가적으로 상향 이동시킨다. 상기 가이드 베어링(64)이 상기 슬롯(30)의 최전방 말단으로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 베어링(64)은 상기 디텐트(40)과 일직선을 이루어 배열된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스프링(46)은 스프링 텐션을 구비하며, 이는 상기 가이드 베어링(64)이 상기 토글 암(42)에 의하여 완전히 맞물려질 때 상기 힌지 암(20)의 가이드 베어링(64)과 상기 토글 암(44) 사이의 맞물림 접촉의 축적 힘이 일반적으로 상기 후드(12)의 하향 중량에 의하여 가이드 베어링(64)에 역방향으로 가하여지는 후방 힘과 동등하거나 이보다 크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10)의 스프링(46)은 상기 후드(12)를 단지 최소의 힘으로 수동적으로 들어올리게 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 상기 후드(12)가 임계 위치 α까지 수동적으로 들어올려지면 이를 도 1에 도시하는 완전히 개방된 포지션으로 스스로 들어올려지도록 한다.
상기 차량 후드(12)를 폐쇄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10)를 도 4의 초기 포지션으로 되돌리기 위하여, 사용자(도시하지 않음)는 소정의 최소 하향 힘을 상기 후드(12)에 가한다. 상기 하향 힘은 상기 가이드 베어링(64)을 상기 디텐트(40)와 일 직선 밖으로 상기 스프링(46)의 힘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토글 암(44)의 전방 상향 힘에 대항하여 화살표(100)의 역방향으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히 선택된다. 하향 힘이 가하여지면, 상기 가이드 베어링(64)과 상기 맞물림 표면(50) 사이의 맞물림이 상기 토글 어셈블리(42)를 상기 토션 스프링(46)의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역방향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토글 암(44)을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동 섹션(34)의 길이와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위치로 재배치한다. 폐쇄시, 상기 스프링(46)은 상기 차량 후드(12)의 중량에 대항하여 카운터밸런싱 힘을 유사하게 제공하고, 상기 토글 암(44)은 상기 가이드 베어링(64)에 감소하는 전방 힘을 반대의 방식으로 제공하여, 후드가 너무 빨리 내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다. 상기 후드(12)가 임계각 α까지 내려지고 이에 따라 상기 토글 암(44)이 다시 수동적으로 상기 가이드 베어링(64)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후드(12)는 전형적인 방식으로 중력을 통하여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섹션(34)을 각을 이루어 연장하는 선형 섹션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토션 스프링(46)의 오버-텐셔닝없이 상기 후드(12)가 완전히 폐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대안적인 구조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30)의 작동 섹션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곡선 또는 기타 아치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거나, 그 전체가 생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유사하게, 도 5 내지 8은 상기 가이드 슬롯(30)이 각을 이루어 연장한 다음 상향 곡선을 이루는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는 힌지 어셈블리가 토글 암(44)에 바이어싱 힘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토 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다양한 다른 유형의 바이어싱 장치 및/또는 부재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한 기구는 이에 제한됨이 없이 전동기 및 단일 또는 복수의 압축 및 텐션 코일 스프링, 리프 스프링, 가스 스프링, 가스 쇼크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안적인 힌지 어셈블리(10)를 예시하는 도 9 내지 11을 참조로 하며, 여기서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데에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9 및 10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30)은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연장하는 작동 섹션(34)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 섹션(34)은 최후방 말단 또는 바이트(36)로부터 전방으로 선형 슬롯으로서 연장하고, 최전방의 블라인드 말단 섹션(90)과 병합된다. 도 9에서, 슬롯(30)의 작동 섹션(34)은 힌지 암(20)의 연장 종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종축 AL-AL을 따라 연장한다. 도 10에서 가장 잘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99)이 바람직하게 최후방 바이트(36)와 블라인드 말단(90) 사이의 상부 측벽에 형성된다.
상기 블라인드 말단(90)은 상기 작동 섹션(34)의 종축 AL-AL에 일반적으로 가로질러 연장하는 축 AT-AT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하부 디텐트(92,94)를 구비한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 상기 상하부 디텐트(92, 94)는 상기 축 AL-AL로부터 각각 상하부 측면을 지나는 거리로 돌출 이격되며, 각각의 전후방 쇼울 더 표면에 의하여 측면으로 정의된다. 상기 하부 디텐트(94)는 상기 작동 섹션(34)에 대하여 하향 돌출하여 바람직하게 작동 섹션(34)과 하부 디텐트 사이의 교차점에서 각을 이룬 접합부로서 지렛점(105)을 정의한다.
도 9는 강성 강철 지지암(54)의 제1 말단부가 지지암 피봇(62)에 의하여 힌지 암(18)의 최전방 말단(23)을 향하여 고정되는 것을 가장 잘 도시한다. 상기 지지암(54)의 제2 말단에 이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캠 피봇(102)에 의하여 록킹 캠(110)이 피봇 고정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록킹 캠(110)은 바람직하게 일반적으로 평행한 면의 타원형상을 가지며 캠 축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캠(110)은 가이드 슬롯(3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선택되는 측면 두께를 가진다. 임의로, 상기 록킹 캠(110)은 상기 캠(110)을 상기 가이드 슬롯(3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데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확대된 유지 플랜지 표면 또는 면을 구비하여, 가이드 슬롯의 바깥으로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록킹 캠(110)은 상기 가이드 슬롯(30)의 작동 섹션(34)의 측면 두께보다 적게 선택되는 측면 두께, 및 상기 블라인드 말단(90)의 횡단 길이 보다 적게 선택되는 길이를 가진다. 상기 블라인드 말단(90)은 들어올려진 포지션에서 후드(12)의 선택적인 록킹 및 언록킹에 있어 록킹 캠(110)을 재배치할 수 있도록 선택되는 축 AL-AL 방향의 측면 두께, 높이 및 너비를 가진다.
코일 토션 스프링(146)이 지지 브라켓(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하부 힌지 암(20)에 일체로서 장착된다.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146)은 슬 롯(28) 내에서 전방으로 상기 록킹 캠(110)을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하고 바이어싱하고, 상기 후드(12)가 들어올려짐에 따라 상기 록킹 캠(110)의 상기 가이드 슬롯(28)의 블라인드 말단(34) 내로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말단 부재(146a)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146)은 유리하게 상기 캠(110)과 함께 작용하여 개방 포지션에서 소정의 하향 임계력보다 적게 선택되는 하향 폐쇄 힘에 대항하여 상기 힌지 어셈블리(10)를 록킹한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가장 바람직한 구조에서, 상기 스프링(146)은 조정가능한 스프링으로서 제공되어, 힌지 암(18, 20)의 상대적인 운동에 따라 지지암(45) 및/또는 록킹 캠(110)에 상이한 전방 힘을 발휘한다. 그러나, 연장 스프링,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다른 스프링 배치, 및 다른 유형의 바이어싱 메커니즘 및/또는 스프링 또한 차량 후드(12) 또는 프레임(14)의 일부로서 힌지 어셈블리(10)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캠(110)은 바람직하게, 힌지 어셈블리(10) 사용시 가이드 슬롯(30)의 측면과 접촉하여 캠(110)의 상대적인 재배치를 촉진시키는 만곡의 전방 모서리 표면(114)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캠(110)은 캠의 종축이 작동 섹션 축 AL-AL과 일직선을 이루는 작동 포지션과 캠 축이 횡축 AT-AT와 일직선을 이루는 록킹 포지션 사이에서 재배치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하부 디텐트(94)의 전방 쇼울더는 가장 바람직하게 초기에 전방 하향으로 상기 축AL-AL로부터 이탈하는 각을 이루고 그 후에 후방으로 만곡된 캐밍 표면으로서 형성되어 상기 캠 피봇 주위로 캠(110)의 회전 운동의 실행을 보조한다. 상기 하부 디텐트(94)의 후방 쇼울더는 가장 바람직 하게 캠(110)의 리드 모서리의 곡률에 상보적인 곡률을 가져, 록킹 위치에 있을때에 캠의 리드 모서리에 대항하는 네스팅 접촉을 촉진시킨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디텐트(94)의 후방 쇼울더는 작동 섹션(34)의 측면과 예각으로 병합되어, 캠(110)과 접촉시 그 종축을 슬롯 축 AL-AL과 다시 일직선을 이루도록 재배치를 실행하는 지렛점(105)을 정의한다.
도 9에 최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디텐트(92)의 전방 쇼울더는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캠 축이 상기 블라인드 말단 축 AT-AT와 일직선을 이룰때, 캠(110)의 후방 모서리가 이에 대항하여 배향되고, 가장 바람직하게 작동 섹션 축 AL-AL로 정상적으로 배향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후드가 초기에 폐쇄되어 있을 때에, 상하부 힌지 암(18, 20)은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거의 평행한 병렬 위치로 포지셔닝된다. 이러한 초기 포지션에서, 힌지 암(18, 20)의 평행 정렬로 인하여, 캠 피봇(102) 및 록킹 캠(110)은 가이드 슬롯(30)에 대하여 슬라이딩한다. 여기서, 상기 피봇(102)은 후방 바이트(36)에 매우 인접하는 배향을 가지며, 상기 캠(110)은 작동 포지션에서 이로부터 전방 돌출하며, 상기 캠 축은 축 AL-AL과 일직선을 이루어 이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록킹 캠(110)의 후방 운동으로 인하여 스프링 말단(146a)이 캠(110)의 측면과 접촉함에 의하여 상향 회전하여 이와 함께 맞물림 접촉을 통하여 홈(99) 내로 이동한다. 상기 스프링 말단(146a)의 홈(99) 내로의 재배치로 인하여, 상기 캠(110) 및 이를 통과하는 캠 피봇(102)의 실질적으로 방해되지 않고 바이어 스되지 않은 운동이 야기되어 상기 후드(102)가 그 자체의 중량 하에 개방 및 폐쇄되도록 한다.
상기 후드(12)가 완전히 개방된 포지션으로 이동함에 따라, 힌지 암(18, 20)의 힌지 피봇(26) 주위의 초기 운동으로 인하여 상기 록킹 캠(110)이 상기 슬롯(30)의 작동 섹션(34)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상기 캠 피봇(102)이 홈(99)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스프링(146)의 바이어싱 말단(146a)이 상기 캠(110)의 후방에 대항하여 하향 회전한다. 상기 스프링(146)의 압축력으로 인하여, 상기 스프링(146)과 캠(110) 사이의 맞물림 접촉이 상기 캠(11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스프링(146)의 말단의 상기 록킹 캠(110)에 대한 맞물림은 힌지 암(18)에 대한 카운터밸런싱 상향 힘을 생산하여, 힌지 어셈블리(10)의 개방 및 후드(12)의 들어올림을 보조한다.
상기 후드(12)가 지속적으로 들어올려짐에 따라, 상기 록킴 캠(110)의 전방 모서리(114)가 디텐트(94)의 각을 이룬 캐밍 쇼울더 표면에 대항하여 베어링 접촉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접촉은 스프링(146)의 말단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전방 힘과 결합되어 캠(110)이 그 최전방 모서리(114)는 하부 디텐트(94) 내로 하향 이동하면서 화살표(200)(도 10) 방향으로 피봇(102) 주위로 회전하도록 한다. 유사하게, 상기 캠(110)의 후방 말단과 캠 피봇(102)은 도 10에 도시하는 방식으로 상부 디텐트(92) 내로 상향 이동한다. 상기 후드(12)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를 가짐에 따라, 상기 캠(110)은 그 캠 종축이 횡축 AT-AT와 실질적으로 일직선을 이루어 피 봇(102)의 슬롯(30)의 작동 섹션(34) 내로의 복귀 운동을 제한하는 록킹 위치를 가지게 된다. 나아가, 상기 스프링(146)의 바이어싱 말단은 재배향된 록킹 캠(110)에 전방 힘을 가하여 임계 복귀력 미만에서 록킹된 포지션으로 유지됨을 보조한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스프링(146)은 원하는 최소 임계력 미만으로 선택되는 하향 적재력 하에서 재배치된 캠(110)에 전형적으로 후드(12)의 중량을 카운터밸런스하는데에 요구되는 힘 보다 큰 오프셋 전방 힘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후드(12)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단지 스프링(146)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소정의 최소 임계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하고 축 AL-AL과 일직선으로 캠(110)의 재배치를 실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하향 힘을 가하면 된다. 상기 후드(12)에 이와 같은 하향 힘을 가하면 힌지 암(18, 20)이 힌지 피봇(26) 주위로 이동한다. 힌지 암(18, 20)의 상대적인 운동으로 인하여 지지암(54)이 록킹 캠(110)을 지렛점(105)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접촉은 캠(110)을 축 AL-AL과 일직선으로 재배치시켜 상기 캠(110)과 캠 피봇(102)이 가이드 슬롯(30)의 작동 섹션(34) 내로 이를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캠(110)의 가이드 슬롯(30)을 따르는 지속적인 후방 운동은 초기에 스프링(146)의 바이어스에 대하여 이동시켜, 스프링이 캠(110)의 측면으로 홈(99) 내로 슬라이딩하는 지점까지 후드(12)의 중량에 카운터밸런싱 힘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후드(12)가 정상적인 폐쇄 위치에 있을때 스프링 말단(146a)을 홈(99) 내로 재배치함으로써, 예컨대 스프링(146)이 캠 부재(110)에 바이어싱 힘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경우와 대조적으로, 스프링(146)이 전형적으로 덜 뒤틀린 상태로 유지되어 스프링 수명을 연장시킴을 인지하였다.
본 발명의 구조는 유리하게 차량 또는 기타 클로저 판넬 적용에서 복수의 힌지 어셈블리(10)의 사용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힌지 어셈블리(10)가 차량 후드(12)의 고정에 사용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힌지 어셈블리(10)는 다른 용도에 동등하게 적합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비-제한적 실시예로써,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리프트 게이트, 해치백, 차량 문, 트렁크, 또는 트럭, 버스, 자동차, 항공기, 철도차량, 가구 등에 사용되는 기타 클로저 억세스 판넬의 힌지 커플링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순화된 구조의 제시로써 하부 힌지 암(20)에 가이드 슬롯(30)이 형성되는 것을 기재하나, 상기 가이드 슬롯(30)은 상부 힌지 암(18)에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별도의 부품 또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유사하게, 원한다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상기 지지암(54)을 후드(12) 또는 클로저 판넬에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클로저 판넬 요소에 상부 힌지 암(18)으로부터 이격시켜 피봇 고정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단순화를 위하여 일체형 힌지 어셈블리(10)가 상하부 힌지 암(18, 20)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힌지는 도시되는 것과 반대의 배치로 동등하게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힌지 어셈블리(10)가 두 개의 피봇 암(18, 20) 을 갖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피봇 연결된 결합 암을 갖는 것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힌지 바 구조물을 갖는 기타 힌지 어셈블리에도 동등하게 적용가능하다. 4-바 힌지 구조의 힌지 어셈블리(10)가 제공되는 도 11을 참조로 할 수 있다. 도 11에서, 한 쌍의 결합 암(202, 204)이 힌지 암(18, 20)을 서로에 대하여 피봇 운동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결합 암(202)은 상하부 힌지 암(18, 20)의 최후방 말단(22, 24)에 각각 피봇(210a, 210b)에 의하여 피봇 고정된다. 상기 결합 암(204)은 각각 피봇(210a, 210b)으로부터 전방의 지점에서 피봇(212a, 212b)에 의하여 상하부 힌지 암(18, 20)에 고정된다.
도 11에서, 교차 이동가능한 캐치 암(220)이 더욱 제공되어 개방 위치에서 암(18, 20)의 이동으로 힌지 어셈블리(10)를 록킹하는 것을 보조한다. 상기 캐치 암(220)은, 그 말단(224)이 가이드 베어링(64)과 맞물림 접촉되어 슬롯의 작동 섹션(34)을 따라 후방 바이트(36)를 향하여 복귀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려진 포지션과, 슬롯(30)을 따라 가이드 베어링(64)의 실직적인 자유 슬라이딩 운동을 허용하도록 선택되는 그 위로 올려진 포지션 사이에서, 암 피봇(226) 주위로 피봇 운동하는 갈고리 모양의 말단(224)을 포함한다.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바람직하게 가이드 베어링(64)을 슬롯(30)을 따라 전방으로 갈고리 모양의 암(220)과 맞물림 접촉하도록 탄력 바이어스하도록 제공된다. 크랭크 부재, 록킹 핀 또는 바이어싱 스프링이 제공되어, 후드의 폐쇄시 갈고리 모양의 말단(224)을 선택적으로 릴리스 포지션으로 유지하여 힌지 암(18, 24)의 접힘을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힌지 어셈블리(10)가 차량 후드(12) 및 프레임(14) 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되도록 제공되는 한 쌍의 힌지 암(18, 20)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10)는 힌지 암의 균등물로서 작용하는 상기 후드(12) 또는 프레임(14), 가이드 슬롯(30) 또는 이에 상응하는 가이드 홈 또는 그 안에 제공되는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차량(8)이 한 쌍의 일체형 힌지 어셈블리(10)를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대안적인 구조에서, 상기 차량(8)은 단지 하나의 힌지 어셈블리(10)만을 구비할 수 있고, 제2의 다른 표준 힌지가 프레임(14)에 대한 운동을 위하여 후드(12)를 피봇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세한 설명에는 다양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재되고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많은 변경 및 변화가 당업자에게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정의를 위하여, 첨부하는 청구항을 참조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클로저 판넬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힌지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가스-충전 스트러트 또는 통상적인 지지 막대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자가 한 손만을 사용하여 들어올려진 클로저 판넬을 개방 포지션으로 선택된 소정의 임계력 미만의 클로저 또는 하향 힘에 대항하여 고정시키도록 작동가능하다.

Claims (37)

  1. 각각의 근위부로부터 원위부로 연장하며, 각각의 근위부를 향하여 이격된 힌지 피봇 주위로 서로에 대한 피봇 운동을 위하여 커플링되는 제1 피봇 부재 및 제2 피봇 부재;
    상기 제2 피봇 부재와 결합되고, 작동 섹션 및 맞물림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피봇 부재의 근위부를 향하여 이격된 최근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2 피봇 부재의 원위부를 향하여 이격된 최원위 말단으로 전방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연장된 형상의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피봇 부재의 원위부를 향하여 상기 힌지 피봇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암 피봇 주위로 상기 제1 피봇 부재에 이에 대한 운동을 위하여 피봇 커플링되는 제1 암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1 피봇 부재가 상기 제2 피봇 부재에 대하여 상기 힌지 피봇 주위로 이동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제2 암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암; 및
    상기 제2 암 말단이 상기 맞물림 섹션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암 말단을 상기 가이드 부재의 최원위 말단을 향하여 탄력 바이어싱하여, 소정의 임계력 부재시 상기 제2 암 말단의 상기 맞물림 섹션으로부터 상기 작동 섹션 내로의 복귀 운동을 제한하는, 상기 지지암과 맞물리기 위한 바이어싱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어셈블리는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한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암 말단은 상기 작동 섹션으로 이동하여, 상기 바이어싱 어셈블리가 상기 가이드 부재에 대해 실질적으로 방해되지 않는 상기 제2 암 말단의 슬라이딩 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바이어싱 어셈블리가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맞물려지는 이동가능한 맞물림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스프링의 바이어스에 대하여 탄력 이동가능하고 상기 지지암의 적어도 일부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표면은 상기 가이드의 최원위 말단을 향하여 이격된 제1 포지션과 상기 최근위 말단을 향하여 이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는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2 암 말단이 상기 맞물림 섹션 내에 위치할 때 상기 맞물림 부재의 접촉 표면이 상기 지지암과 맞물림 가능하여 상기 제2 암 말단을 최원위 말단을 향하여 바이어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은 상기 제2 암 말단을 향해 이격된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맞물림 섹션은 포인트 축 주위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일반적으로 아치형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작동 섹션은 일반적으로 선형으로 연장되며,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포인트 축 주위로 회전가능한 연장된 접촉 표면을 포함하여, 제1 포지션에서 상기 접촉 표면은 작동 섹션의 길이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어, 상기 베어링 부재가 그 안에 위치할 때 베어링 부재와 수동적으로 맞물리게 하고,
    제2 포지션에서, 상기 접촉 표면은 상기 아치형 부분을 일반적으로 횡단하여 연장되어, 상기 베어링 부재를 능동적으로 맞물리게 하여 이를 최원위 말단을 향하여 탄력 바이어스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이 연장된 금속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제2 피봇 부재를 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이 최원위 말단에 일반적으로 인접하여 이격된 최전방 디텐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봇 부재가 일반적으로 연장된 제1 힌지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피봇 부재가 제2 힌지 암을 포함하고, 피봇 핀이 상기 제1 피봇 암의 근위부를 상기 제2 힌지 암의 근위부에 기계적으로 커플링시키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힌지 암 어셈블리가 차량 후드, 차량 트렁크, 데크 리드 및 차량 리프트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클로저 판넬을 차량 프레임에 피봇 고정하기 위한 차량 힌지 어셈블리이며, 상기 제1 피봇 암이 상기 클로저 판넬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피봇 암이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클로저 판넬이 폐쇄 포지션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및 제2 피봇 부재의 원위부가 병렬 포지션으로 이동하고, 개방 포지션에서 상기 원위부가 상대적으로 이격되도록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제2 힌지 암 내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 섹션이 포인트 축 주위로 방사상으로 일반적으로 아치형 경로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바이어싱 어셈블리가 상기 지지암에 장착되는 슬라이딩 부재와 맞물림 접촉을 위해 장착되는 이동가능한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슬롯의 작동 섹션을 따르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후방 운동을 실질적으로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작동 섹션 내에 위치하는 릴리스 포지션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맞물림 섹션 내에 위치하는 맞물림 포지션 사이에서 탄력 이동가능하며,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지지암을 맞물리게 하여 이에 소정의 최소 전방 힘을 제공하여, 상기 슬롯을 따르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전방 운동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맞물림 섹션이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아치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섹션이 상기 근위부에 가장 가까운 최후방 바이트로부터 전방으로 일반적으로 선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맞물림 섹션과 병합되고,
    상기 바이어싱 어셈블리가 상기 제2 피봇 부재에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고, 맞물림 부재가 상기 스프링에 커플링되고,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제2 피봇 암의 근위부를 향하여 이동하는 제1 포지션과 상기 제2 암의 원위부를 향하여 이격된 제2 포지션 사이에서 방사상 경로 주위로 상기 스프링의 바이어스에 대하여 교차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피봇 부재가 각각 제1 및 제2 피봇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피봇 암은 완전히 개방된 포지션과 완전히 폐쇄된 포지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며, 상기 완전히 개방된 포지션에서, 상기 제2 암 말단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최원위 말단을 향하여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피봇암의 원위부가 제1 거리를 두고 이격되고, 상기 폐쇄된 포지션에서, 상기 제2 암 말단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최근위 말단을 향하여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피봇암의 원위부가 상기 제1 거리 미만으로 선택되는 제2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보다 근접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힌지 암 어셈블리가 차량 후드를 차량 프레임에 피봇 고정하기 위한 차량 힌지 어셈블리이고, 상기 제1 힌지 암이 상기 차량 후드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피봇 부재가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 암에 가하여지는 후드의 중량이 상기 제2 암 말단에 후방 바이어싱 힘을 제공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2 암 말단이 상기 맞물림 섹션으로 이동할 때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제2 암 부재 내에 상기 후방 바이어싱 힘보다 큰 전방 바이어싱 힘을 제공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15. 각각의 근위 말단으로부터 원위 자유 말단으로 연장하고, 힌지 암의 자유 말단이 병렬 위치로 이동하는 폐쇄된 포지션과 상기 자유 말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하는 개방 포지션 사이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원위 말단을 향하여 이격된 힌지 피봇 주위로 서로에 대한 피봇 운동을 위하여 커플링되는 제1 및 제2 힌지 암;
    상기 제2 힌지 암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힌지 암의 근위 말단을 향하여 이격된 최근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2 힌지 암의 자유 말단을 향하여 이격된 최원 위 말단으로 전방 연장된 가이드 슬롯;
    상기 제1 암 자유 말단을 향하여 상기 힌지 피봇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피봇 지점에서 제1 힌지 암에 제1 말단에서 피봇 커플링되는 연장된 형상의 지지암으로서, 베어링 부재가 상기 지지암의 제2 말단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슬롯 내에 이를 따라 이동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됨으로써, 폐쇄된 포지션으로부터 개방된 포지션으로의 힌지 암의 이동에 따라, 상기 베어링 부재가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최근위 말단을 향하여 이격된 제1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최원위 말단을 향하여 이격된 제2 포지션으로 전방 슬라이딩 운동이 실행되는 지지암; 및
    상기 지지암과 맞물림되어 상기 베어링 부재를 상기 슬롯을 따라 전방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탄력 바이어싱된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베어링 부재와 맞물림 접촉하기 위한 접촉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표면은 일반적으로 방사상 경로를 따라 제1 포지션과 이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바이어싱된 제2 포지션 사이에서 교차 이동가능하고,
    상기 가이드 슬롯은 최전방의 방사상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 표면은 실질적으로 상기 방사상 부분을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접촉 표면을 탄력 바이 어싱하는 탄력 변형가능한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접촉 표면은 상기 제1 포지션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제2 포지션으로 상기 베어링 부재가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베어링 부재를 수동적으로 맞물리게 하고, 상기 제2 포지션에서 상기 접촉 표면은 상기 베어링 부재를 능동적으로 맞물리게 하여 이를 전방 힘을 이용하여 상기 슬롯을 따라 전방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토션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스프링에 커플링되고, 상기 맞물림 부재는 제1 포지션과 이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제2 포지션 사이에서 피봇 축 주위로 일반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경로 주위로 상기 스프링의 바이어스에 대하여 교차 이동가능하고,
    상기 슬롯의 전방부는 일반적으로 만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암 말단이 상기 만곡부 내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맞물림 부재와 상기 지지암 사이의 접촉이 상기 제2 말단을 상기 가이드 슬롯의 최원위 말단을 향하여 바이어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베어링 부재와 접촉하기 위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접촉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이 최원위 길이방향 섹션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 섹션 내에서 상기 베어링 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을 실질적으로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베 어링 부재가 상기 길이방향 섹션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접촉 표면은 상기 길이방향 섹션에 인접하는 포지션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을 상기 제2 힌지 암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 브라켓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힌지 암에 대한 상기 스프링의 선택적인 포지셔닝을 허용하여 상기 맞물림 부재에 대한 상기 스프링 텐션의 조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21.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가 라이브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힌지 암이 개폐됨에 따라 상기 라이브 베어링과 접촉하도록 포지셔닝되는 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봇 부재가 일반적으로 연장된 형상의 피봇 암을 포함하고, 피봇 핀이 상기 제1 피봇 암의 근위부를 상기 제2 피봇 부재의 근위부에 기계적으로 커플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23.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힌지 암이 폐쇄 포지션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 섹션이 전방으로 상기 제1 힌지 암을 향하여 각을 이루어 상향 연장하는 특징으로 하는 힌지 암 어셈블리.
  24. 자동차 후드를 힌지 피봇 주위로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차량 프레임에 힌지 커플링시키기 위한 자동차 힌지 어셈블리로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후드와 상기 프레임 중 하나에 커플링되는 제1 힌지 암 및 상기 후드와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커플링되는 제2 힌지 암으로서, 상기 힌지 암 각각은 상기 힌지 피봇을 향하여 이격된 각각의 근위 말단으로부터 이로부터 떨어진 원위 말단까지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드가 폐쇄 포지션으로 이동시 힌지 암의 원위 말단은 병렬 포지션으로 이동하고, 개방 포지션에서 상기 원위 말단은 상대적으로 이격되도록 이동하는, 제1 힌지 암 및 제2 힌지 암;
    상기 제2 힌지 암 내에 형성되며, 최후방 작동 섹션과, 상기 작동 섹션으로부터 전방에 위치하며 포인트 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일반적으로 아치형의 경로를 따라 연장하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맞물림 섹션을 포함하는 가이드 슬롯;
    상기 힌지 피봇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피봇 지점에서 상기 제1 힌지 암에 제1 말단에서 피봇 커플링되는 지지암으로서, 상기 지지암의 제2 말단은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슬롯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게 하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개방 포지션으로의 상기 후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작동 섹션 내에 최후방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맞물림 섹션 내에 최전방 포지션으로 상기 슬롯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하는 지지암;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맞물림 접촉을 위하여 장착되고,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슬롯의 작동 섹션을 따르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후방 이동을 실질적으로 간섭하지 않는 릴리스 포지션과,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지지암을 맞물리게 하여 이에 전방 힘을 제공하여 상기 전방 포지션을 향하여 상기 맞물림 섹션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전방 이동을 보조하는 맞물림 포지션 사이에서 탄력 이동가능한 탄력 바이어스된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힌지 어셈블리.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부재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가하여지는 전방향 힘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초기에 상기 맞물림 섹션을 따라 전방 이동함에 따라 소정의 힘으로 증가하며, 상기 소정의 힘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맞물림 섹션 내에 있을 때에 상기 후드의 중량에 의하여 제공되는 슬라이딩 부재에 대한 후방 힘과 일반적으로 동등하거나 이보다 크게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힌지 어셈블리.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 암에 장착되는 토션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는 일반적으로 상기 포인트 축 주위로 방사상 운동을 위하여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바이어스되는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힌지 어셈블리.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을 상기 제2 힌지 암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 브라켓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힌지 암에 대한 상기 스프링 의 선택적 포지셔닝을 허용하여 상기 맞물림 부재에 대한 스프링 텐션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힌지 어셈블리.
  28.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작동 섹션이 상기 제1 힌지 암을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된 일반적으로 선형의 연장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후드가 상기 폐쇄 포지션으로 이동될 때,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슬롯의 작동 섹션 내로 후방 이동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릴리스 포지션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힌지 어셈블리.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섹션은 최전방 블라인드 말단까지 상기 제1 힌지 암을 향하여 전방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힌지 어셈블리.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라이브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후드의 개폐에 따라 상기 라이브 베어링과 접촉하기 위하여 포지셔닝되는 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힌지 어셈블리.
  31. 클로저 판넬을 힌지 피봇 주위로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프레임에 힌지 커플링시키기 위한 힌지 어셈블리로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클로저 판넬과 상기 프레임 중 하나에 커플링되는 제1 힌지 암 및 상기 판넬과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커플링되는 제2 힌지 암으로서, 상기 힌지 피봇을 향하여 이격된 각각의 근위 말단으로부터 이로부터 떨어진 원위 말단으로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판넬이 폐쇄 포지션으로 이동시 힌지 암의 원위 말단이 병렬 포지션으로 이동하고, 개방 포지션에서 상기 원위 말단이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이동하는, 제1 힌지 암 및 제2 힌지 암;
    상기 제2 힌지 암 내에 형성되며, 최후방 작동 섹션과, 상기 작동 섹션으로부터 전방에 위치하며 경로 축 주위로 방사상으로 일반적으로 아치형의 경로를 따라 연장하는 맞물림 섹션을 포함하는 가이드 슬롯;
    상기 힌지 피봇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이격된 피봇 지점에서 상기 제1 힌지 암에 제1 말단에서 피봇 커플링되는 지지암으로서, 상기 지지암의 제2 말단은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슬롯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게 하는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개방 포지션으로의 상기 후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베어링 부재가 상기 작동 섹션 내에 최후방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맞물림 섹션 내에 최전방 포지션으로 상기 슬롯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하는 지지암; 및
    상기 베어링 부재와 선택적인 맞물림 접촉을 위하여 장착되는 토글 부재로서, 상기 슬롯을 따르는 상기 베어링 부재의 후방 운동을 실질적으로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토글 부재가 상기 베어링 부재를 수동적으로 맞물리게 하는 상기 슬롯에 대하여 이동되는 릴리스 포지션과, 상기 토글 부재가 상기 베어링 부재를 능동적으로 맞물리게 하여 이에 전방 힘을 제공하여 전방 포지션을 향하여 슬롯을 따라 상 기 베어링 부재가 전방 운동하는 것을 보조하는 맞물림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베어링 부재가 상기 맞물림 섹션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클로저 판넬의 중량에 의하여 공급되는 상기 베어링 부재에 대한 후방 힘보다 크게 선택되는 소정의 최소 힘을 상기 베어링 부재에 가하도록 작동가능한 토글 부재를 포함하는 힌지 어셈블리.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 암에 장착되는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토글 부재는 일반적으로 상기 경로 축 주위로 방사상 운동을 위하여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 바이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어셈블리.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을 상기 제2 힌지 암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착 브라켓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장착 브라켓은 스프링의 선택적인 텐셔닝을 허용하여 상기 토글 부재에 대한 바이어싱 텐션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어셈블리.
  34.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작동 섹션은 상기 제1 힌지 암을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하는 일반적으로 선형 연장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클로저 판넬이 상기 폐쇄 포지션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토글 부재는 상기 슬롯의 작동 섹션에 인접하여 이동하는 상기 릴리스 포지션으로 포지셔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어셈블리.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섹션이 상기 제1 힌지 암의 최원위 말단을 향하여 최전방 디텐트로 전방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어셈블리.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가 라이브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토글 부재는 상기 베어링 부재가 상기 슬롯에 대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라이브 베어링과 접촉을 위하여 포지셔닝되는 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어셈블리.
  37.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가 차량 힌지 어셈블리이고, 상기 클로저 판넬이 차량 후드, 차량 트렁크 및 차량 리프트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어셈블리.
KR1020097002225A 2006-07-18 2007-07-10 스프링 바이어스된 지지암을 갖는 일체형 힌지 어셈블리 KR101456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3147006P 2006-07-18 2006-07-18
US60/831,470 2006-07-18
US84153306P 2006-09-01 2006-09-01
US60/841,533 2006-09-01
US84609206P 2006-09-21 2006-09-21
US60/846,092 2006-09-21
US87581506P 2006-12-20 2006-12-20
US60/875,815 2006-12-20
US88113507P 2007-01-19 2007-01-19
US60/881,135 2007-01-19
PCT/CA2007/001210 WO2008009100A1 (en) 2006-07-18 2007-07-10 Integrated hinge assembly with spring biased prop a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379A true KR20090033379A (ko) 2009-04-02
KR101456726B1 KR101456726B1 (ko) 2014-10-31

Family

ID=3895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225A KR101456726B1 (ko) 2006-07-18 2007-07-10 스프링 바이어스된 지지암을 갖는 일체형 힌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45053B2 (ko)
EP (1) EP2044282B1 (ko)
JP (1) JP2009543724A (ko)
KR (1) KR101456726B1 (ko)
CN (1) CN101512091B (ko)
WO (1) WO20080091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7351B1 (fr) * 2008-02-13 2012-04-06 Plastic Omnium Cie Ensemble d'une caisse en blanc et d'un hayon de vehicule automobile
BRPI0907282B1 (pt) * 2008-04-13 2019-04-16 Hari Prasad "sistema de travamento"
KR100962134B1 (ko) * 2008-05-16 2010-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팝업 기능을 갖는 트렁크 힌지장치
US20090288271A1 (en) * 2008-05-21 2009-11-26 Kmieciak Ryan F Over center sprung hood hinge for use with active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US7987939B2 (en) * 2008-12-04 2011-08-02 Honda Motor Co., Ltd. Hood system with multiple open positions
US8322783B2 (en) * 2009-02-03 2012-12-04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Roof assembly for a vehicle
US8372495B2 (en) * 2010-05-26 2013-02-1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enclosure using sandwich construction
US8300394B2 (en) 2010-06-15 2012-10-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rack guided hing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1915038A (zh) * 2010-06-30 2010-12-15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前罩铰链
US8469130B2 (en) * 2011-02-18 2013-06-25 Deere & Company Cab stay
US8893354B2 (en) 2011-07-29 2014-11-25 M&C Corporation Active hinge with reset mechanism
US8544590B2 (en) * 2011-07-29 2013-10-01 M&C Corporation Active hinge with reset mechanism
US9673598B2 (en) * 2012-11-28 2017-06-06 Hubbell Incorporated Cover assembly for an electrical box
WO2014186872A1 (en) * 2013-05-23 2014-11-27 Magna Closures Inc. Mechanical assist mechanism for active pedestrian safety latch
WO2015048876A1 (en) 2013-10-01 2015-04-09 Warren Industries Ltd. Vehicle door control system
DE102013226331B3 (de) * 2013-12-18 2015-07-09 Robert Bosch Gmbh Spielausgleichende Befestigung für Verstellantriebe
US10017975B2 (en) 2014-01-30 2018-07-10 Warren Industries Ltd. Vehicle door control system with dynamic obstacle detection
EP2907704B1 (en) * 2014-02-18 2017-01-04 Volvo Car Corporation An arrangement comprising a pyrotechnical device and a first mechanical structure
CN106471198B (zh) * 2014-07-09 2018-08-07 沃伦工业股份有限公司 用于车门限位臂组件的限位臂定位器的改进结构
US20160060915A1 (en) * 2014-08-29 2016-03-0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Door Latch
KR101571676B1 (ko) * 2014-09-19 2015-1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리드의 힌지장치
KR101609072B1 (ko) * 2014-12-05 2016-04-04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의 후드힌지
KR20160092217A (ko) * 2015-01-27 2016-08-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텐트후드힌지
US9701277B2 (en) * 2015-02-25 2017-07-11 Magna Closures Inc. Active hinge with deployed position latch
DE102015103234A1 (de) * 2015-03-05 2016-09-08 Hettich-Oni Gmbh & Co. Kg Haushaltsgerät und Scharnier eines Haushaltsgeräts
KR101776374B1 (ko) 2015-03-18 201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패시브 후드 힌지 장치
CN105275288B (zh) * 2015-10-28 2018-01-26 北京长安汽车工程技术研究有限责任公司 汽车及其前罩支撑装置
TWI598022B (zh) * 2015-11-16 2017-09-01 Compal Electronics Inc 電子裝置及其樞軸機構
KR101705186B1 (ko) * 2015-11-24 2017-0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드힌지 연결구조
CN105649446B (zh) * 2016-01-04 2018-06-08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前罩自支撑铰链结构
US9970223B2 (en) * 2016-05-17 2018-05-15 David R. Hall Articulating prop
CN106193864B (zh) * 2016-07-24 2017-11-03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一种可实现行人保护的前盖铰链
US10315612B2 (en) * 2016-08-24 2019-06-11 Honda Motor Co., Ltd. Vehicle hood lift system
CN109906177B (zh) * 2016-09-22 2020-08-21 均胜安全系统收购有限责任公司 发动机罩升降组件
CN107131204B (zh) * 2017-06-29 2023-03-14 中国工程物理研究院总体工程研究所 一种用于保护罩的无销轴式铰链被动解脱机构
DE202017106060U1 (de) * 2017-10-06 2017-12-01 S-Fasteners Gmbh Scharnier mit spannbarem Federelement
EP3476715A1 (fr) * 2017-10-26 2019-05-01 Pa.Cotte Sa Mécanisme d'ouverture/fermeture d'un ouvrant par rapport à un dormant
CN107781288B (zh) * 2017-12-02 2023-10-27 江苏森森水族用品有限公司 一种旋转式连接装置
CN110454016B (zh) * 2018-05-07 2021-08-17 港威奥图亚有限公司 用于模型轿车的门的铰链机构
US11391074B2 (en) * 2018-06-04 2022-07-19 Viking Range Llc Door hinge and storage unit including such a door hinge
DE102019132161A1 (de) * 2018-11-27 2020-05-28 Magna Closures Inc. AKTIVES FUßGÄNGER-MOTORHAUBENSCHARNIER MIT INTEGRIERTERVERRIEGELUNGSANORDNUNG
CN111270938B (zh) * 2018-12-05 2022-04-08 麦格纳博科股份有限公司 具有单独的弹簧组件的铰链组件
CN109606618B (zh) * 2018-12-14 2021-12-28 中航沈飞民用飞机有限责任公司 一种舱门分时驱动机构及其应用
CN113474530B (zh) * 2019-02-22 2023-05-09 索斯科公司 分体结构平衡系统
WO2020237376A1 (en) * 2019-05-30 2020-12-03 Magna Closures Inc. Compliant hinge for motor vehicle
US11572724B2 (en) * 2019-11-06 2023-02-0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ollision energy absorbing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CN113790209B (zh) * 2021-09-01 2022-11-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壳组件和电子设备
USD1004516S1 (en) * 2021-09-30 2023-11-14 Ringbrothers, Llc Automobile hood hinge
USD998531S1 (en) * 2021-11-03 2023-09-12 Ringbrothers, Llc Automobile hood hinge
US20230294774A1 (en) * 2022-03-18 2023-09-21 Nissan North America, Inc. Hinge assembly for vehicle hood
WO2023211436A1 (en) * 2022-04-28 2023-11-02 Handicapped Pets, Inc. Wheelchair device for mobility-challenged quadrupeds with user-actuated sit-down action
US20240010161A1 (en) * 2022-07-05 2024-01-11 Hyundai Motor Company Active Hoo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13836A (en) * 1928-11-16 1929-06-20 Herbert David Jackso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tays for the hinged lids or covers of gramophones, boxes, and the like
US2272230A (en) * 1939-01-23 1942-02-10 Harold E Van Voorhees Counterbalanced lid support
US2210762A (en) * 1939-09-18 1940-08-06 Itzigson Samuel Antiglare device
US2308759A (en) * 1940-05-20 1943-01-19 Ferro Stamping & Mfg Company Hinge construction
US2435670A (en) * 1945-05-05 1948-02-10 Eastern Steel Products Ltd Closure for hoppers and the like
US2612651A (en) * 1947-01-16 1952-10-07 Marvel Equipment Corp Deck lid hinge
US2639462A (en) * 1949-03-21 1953-05-26 Ferro Stamping Co Hinge construction
US2702401A (en) * 1950-01-06 1955-02-22 Briggs Mfg Co Deck lid hinge
US2720676A (en) * 1950-07-22 1955-10-18 Briggs Mfg Co Hinge device
US2751625A (en) * 1951-02-23 1956-06-26 Chrysler Corp Deck lid hinge
US2908934A (en) * 1954-11-23 1959-10-20 Gen Motors Corp Hinge counterbalance and hold-open
DE1166041B (de) * 1956-05-31 1964-03-19 Gen Motors Corp Feststeller fuer Fluegel, insbesondere von Automobiltueren
US3069720A (en) * 1960-10-03 1962-12-25 Otto C Gessler Automobile body closure hinge
US3388417A (en) * 1965-06-28 1968-06-18 Gen Motors Corp Closure hinge
FR2396147A2 (fr) * 1977-06-30 1979-01-26 Renault Dispositif d'articulation de panneaux mobiles
DE2733927A1 (de) * 1977-07-27 1979-02-08 Gronbach Wilhelm Scharnier mit druckfeder zum gewichtsausgleich von fluegeln
US4206944A (en) * 1977-09-08 1980-06-10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Lid device for use in a motorcar
JPS5828145B2 (ja) * 1978-07-17 1983-06-1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リツド装置
JPS572869U (ko) * 1980-06-05 1982-01-08
LU82577A1 (fr) * 1980-07-01 1982-02-17 Devilca Fb Nv Sa Charniere a ouverture limitee pour portes ou portieres
JPS57101062U (ko) * 1980-12-12 1982-06-22
JPS592869U (ja) * 1982-06-29 1984-01-10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リッドのヒンジ
JPS596178U (ja) * 1982-07-02 1984-01-14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リツドのヒンジ構造
JPS6057114U (ja) * 1983-09-26 1985-04-2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トランス
JPS60155680U (ja) * 1984-03-28 1985-10-17 株式会社 大井製作所 自動車のトランクリツド開閉装置
JPS61173676U (ko) * 1985-04-16 1986-10-29
US5062182A (en) * 1990-01-16 1991-11-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Three link, six point hinge assembly for deck lid
US5050270A (en) * 1990-08-15 1991-09-24 Atwood Industries, Inc. Hinge for an automobile trunk lid
US5169221A (en) * 1990-09-04 1992-12-08 General Devices Co., Inc. Pivotable drawer slide mount with pivot controlling guide slot
US5235725A (en) * 1991-12-19 1993-08-17 Itt Corporation Closure panel hinge
DE4240790C1 (de) * 1992-12-04 1994-02-24 Daimler Benz Ag Scharnier für eine hochschwenkbare Abdeckhaube eines Kraftwagens
JPH10131591A (ja) * 1996-11-05 1998-05-19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開閉体のヒンジ機構
US6269521B1 (en) * 1998-09-14 2001-08-07 Davis Industries Three link, plural axes hinge system for upward rotational and translational opening of a closure panel
DE19922107C1 (de) * 1999-05-17 2001-01-18 Edscha Ag Fronthaubenanordnung
KR100320837B1 (ko) * 1999-12-29 2002-01-18 이계안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힌지 구조
JP2004502889A (ja) * 2000-06-14 2004-01-29 ドファス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動車用フードに用いるステーアセンブリ
BR0204073B1 (pt) * 2001-02-15 2012-08-07 dobradiÇa para uma portinhola de fogço e portinhola de fogço.
WO2003082653A1 (en) * 2002-03-29 2003-10-09 Dofasco Inc. Vehicle hood safety prop
US20050172453A1 (en) * 2004-02-09 2005-08-11 M & C Corporation Single pivot hinge with integral coil spring assi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12091B (zh) 2012-10-31
EP2044282B1 (en) 2014-01-01
WO2008009100A1 (en) 2008-01-24
US7845053B2 (en) 2010-12-07
US20080016651A1 (en) 2008-01-24
CN101512091A (zh) 2009-08-19
EP2044282A1 (en) 2009-04-08
KR101456726B1 (ko) 2014-10-31
JP2009543724A (ja) 2009-12-10
EP2044282A4 (en) 201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3379A (ko) 스프링 바이어스된 지지암을 갖는 일체형 힌지 어셈블리
US20200399942A1 (en) Four-bar linkage hinge
US8904709B2 (en) Movable holder
US7774900B2 (en) Hinge for a motor vehicle
US6161336A (en) Hinged and sliding door assembly for vehicles
US6386613B1 (en) Truck rear door opening mechanism
US20110162282A1 (en) Motor Vehicle Having a Mechanism for Moving a Panel or Door
HU219781B (hu) Visszatartó rögzítőszerelvény vízszintes forgástengely körül csuklósan elfordítható billenőajtó felszereléséhez egy szekrény tetőlapjára
US9506282B2 (en) Tumble-home extending sliding door system
US20120049577A1 (en) Independent opposing-hinged access door
EP3736215B1 (en) Dampening hinges and table assemblies including the same
EP1612356B1 (en) Hing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GB2416189A (en) Stay with slidable supports and independent slidable restricting body
CN112211519A (zh) 具有螺纹式连接的闭合面板平衡机构
JPH01503377A (ja) 自動車、特に乗用車のスライドドア
US20040239217A1 (en) Storage system
GB2442004A (en) A rear doo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7997028B2 (en) Internal swivel door for compartment of a vehicle
US20170022741A1 (en) Door assembly for vehicles
EP1693541A2 (en) Support and guide for sliding doors in wardrobes
JP3099221B2 (ja) オーバーヘッドドア
JP3072499B2 (ja) オーバーヘッドドア
CN217461813U (zh) 一种铰链及锁紧装置
US20130088021A1 (en) Vehicle Door Mechanism
JP3631485B2 (ja) 折れ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