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072B1 - 차량의 후드힌지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드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072B1
KR101609072B1 KR1020140174275A KR20140174275A KR101609072B1 KR 101609072 B1 KR101609072 B1 KR 101609072B1 KR 1020140174275 A KR1020140174275 A KR 1020140174275A KR 20140174275 A KR20140174275 A KR 20140174275A KR 101609072 B1 KR101609072 B1 KR 101609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open
support
lock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주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4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072B1/ko
Priority to CN201510046490.3A priority patent/CN105986713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차량의 후드힌지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의 후드힌지는: 차량의 후드를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후드힌지부와, 후드힌지부에 설치되고, 후드힌지부에 후드를 개방시키는 상향력을 가하는 개방가압부와, 후드가 개방된 상태에서 후드힌지부의 회동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안전락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후드힌지{HOOD HING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후드힌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드를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차량의 후드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에 마련된 엔진룸을 개폐하는 후드는 후드힌지를 매개로 하여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드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개방유지장치로는 지지대를 이용하는 장치와 가스리프트를 이용하는 장치가 있다.
지지대를 이용하는 장치는 후드 스테이 로드를 사용해서 후드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장치로,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후드 스테이 로드를 후드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끼워서 후드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가스리프트를 이용하는 장치는 실린더부재를 사용해서 후드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장치로, 후드의 개방 시에 실린더부재가 개방력을 보조하게 되어 후드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31770호(1999.07.26. 공개, 고안의 명칭 : 자동차의 후드힌지)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적은 힘으로 후드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으면서도, 후드의 개방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차량의 후드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는: 차량의 후드를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후드힌지부; 상기 후드힌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후드힌지부에 상기 후드를 개방시키는 상향력을 가하는 개방가압부; 및 상기 후드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힌지부의 회동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안전락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드힌지부는, 상기 후드와 결합되는 상부지지대; 상기 상부지지대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와 결합되는 하부지지대; 상기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단부를 연결하는 서포트바; 및 상기 서포트바보다 연장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서포트바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를 연결하는 로드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드힌지부는, 상기 개방가압부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고정부; 및 상기 로드바상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가압부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고정부는, 상기 로드바와 상기 하부지지대를 연결하는 하부회전축부와 동축상에 설치되는 고정본체부; 상기 고정본체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가압부의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슬릿부; 및 상기 고정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개방가압부의 일단부가 상기 슬릿부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는 이탈방지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연결부는, 상기 로드바와 연결되고, 상기 개방가압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개방가압부의 타단부가 걸리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개방가압부의 타단부가 상기 로드바와의 사이에 구속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방가압부는, 금속재 띠가 권취되어 형성되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의 내측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고정부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권취부의 외측단부에서 상기 로드바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연결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락킹부는, 상기 상부지지대상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락킹핀부; 상기 로드바상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향 회동 시 상기 락킹핀부가 내부로 인입되어 걸리는 락킹홈부; 및 상기 락킹홈부로 진입된 상기 락킹핀부의 이동을 탄성적으로 구속하는 락킹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후드를 수동으로 개방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후드의 상측에서 손으로 후드의 개방단부를 당겨올리다가 후드의 개방단부가 팔꿈치보다 높아지면, 후드의 개방단부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동작을 연속하여 수행하게 된다. 후드의 상측에서 손으로 후드의 개방단부를 당겨올리는 동작을 수행하는 후드의 개방 초기에는, 후드의 개방단부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후드의 개방 후기에 비해 더 큰 힘이 소요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에 의하면, 개방가압부를 이용해, 특히 후드의 개방 초기 시 개방가압부의 탄성복원력을, 상향 회동력으로써 보조받아 후드의 개방단부를 보다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에 의하면, 락킹보강부를 이용해 후드를 설정 각도로 개방시킨 상태에서 후드와 연결된 상부지지대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드의 개방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후드가 열린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후드가 닫힌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의 개방가압부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의 안전락킹부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후드가 열린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후드가 닫힌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의 개방가압부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의 안전락킹부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1)는 후드힌지부(10), 개방가압부(20), 안전락킹부(30)를 포함한다.
후드힌지부(10)는 차량의 후드(2)를 차체(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드힌지부(10)는 상부지지대(11), 하부지지대(12), 서포트바(13), 로드바(14)를 포함하는 4절 링크 구조를 가진다.
상부지지대(11)는 후드(2)와 결합되는 링크부재이고, 하부지지대(12)는 상부지지대(11)의 하측에서 차체(3)와 결합되는 링크부재이다. 상부지지대(11)는 서포트바(13)와 로드바(14)를 매개로 하여 하부지지대(1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서포트바(13)는 상부지지대(11)와 하부지지대(12)의 단부를 연결하는 링크부재이다. 로드바(14)는 서포트바(13)보다 연장된 길이를 가지고 서포트바(13)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부지지대(11)와 하부지지대(12)를 연결하는 링크부재이다.
서포트바(13)의 일단부는 하부지지대(12)와 힌지연결되고, 그 타단부는 상부지지지대(11)와 힌지연결된다. 로드바(14)의 일단부는 서포트바(13)와 이격된 위치에서 하부회전축부(14a)에 의해 하부지지대(12)와 힌지연결되고, 그 타단부는 서포트바(13)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부회전축부(14b)에 의해 상부지지대(11)와 힌지연결된다.
후드(2)가 닫힌 상태에서 상부지지대(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회동된 상태가 된다. 후드(2)의 개방 시 상부지지대(11)는 서포트바(13)와 로드바(14)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후드(2)와 함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회동된다. 이때, 상부지지대(11)를 지지하는 서포트바(13)와 로드바(14)는 보다 직립되게 회동된다.
후드(2)의 폐쇄 시 상부지지대(11)는 서포트바(13)와 로드바(14)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후드(2)와 함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회동된다. 이때, 상부지지대(11)를 지지하는 서포트바(13)와 로드바(14)는 보다 눕혀지게 회동되고, 서포트바(13)는 스토퍼부(40)와 접하여 그 하향 회동이 구속된다.
스프링고정부(15)는 금속재 띠(band, ribbon)가 권취된 형상을 가지는 개방가압부(20)의 내측단부가 고정되는 부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고정부(15)는 고정본체부(151), 슬릿부(152), 이탈방지마개부(153)를 포함한다.
고정본체부(151)는 로드바(14)와 하부지지대(12)를 연결하는 하부회전축부(14a)와 동축상에 연결되고, 개방가압부(20)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슬릿부(152)는 개방가압부(20)의 내측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부분으로, 고정본체부(151)의 일측부상에 함몰되게 형성된다.
이탈방지마개부(153)는 개방가압부(20)의 내측단부가 슬릿부(152)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는 부재로, 고정본체부(151)의 일측부에 결합된다. 개방가압부(20)의 내측단부를 슬릿부(152)에 끼운 후, 이탈방지마개부(153)를 고정본체부(151)에 결합시킴으로써 개방가압부(20)의 이탈을 안정되게 구속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본체부(151)의 일측부에는 원(圓)기둥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슬릿부(152)는 돌출부를 가로질러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돌출부는 한 쌍의 반원(半圓)기둥이 슬릿부(152)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탈방지마개부(153)상에는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홀부가 형성된다. 개방가압부(20)의 내측단부를 슬릿부(152)에 끼운 후, 이탈방지마개부(153)의 홀부를 고정본체부(151)의 돌출부에 억지끼움함으로써, 개방가압부(20)의 이탈을 안정되게 구속할 수 있다.
스프링고정부(15)가 금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개방가압부(20)는 용접 등에 의해 스프링고정부(15)에 일체로 접합될 수 있다. 이때, 개방가압부(20)는 고정본체부(151)와 일체로 연결되어 그 이탈이 방지되므로, 이탈방지마개부(153)를 생략할 수도 있다.
스프링연결부(16)는 금속재 띠가 권취된 형상을 가지는 개방가압부(20)의 외측단부가 고정되는 부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연결부(16)는 지지부(161)와 걸림턱부(162)를 포함한다.
지지부(161)는 개방가압부(20)의 외측단부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로드바(14)상에 개방가압부(20)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개방가압부(20)의 외측단부는 지지부(161)에 걸려 정위치에 고정된다. 지지부(161)는 로드바(14)와 연결되어, 로드바(14)에 걸리는 하중을 명확하게 개방가압부(20)의 외측단부로 전달할 수 있고, 또한 개방가압부(20)의 복원력을 로드바(14)로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지지부(161)는 로드바(14)의 가장자리부를 개방가압부(20)측으로 벤딩시키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로드바(14)의 가장자리부를 개방가압부(20)측으로 벤딩시키는 것에 의해 지지부(161)를 형성하면, 로드바(14)와 지지부(161)가 자연히 일체로 연결되므로, 지지부(161)를 별도로 제작하여 로드바(14)에 결합시킬 필요가 없다.
걸림턱부(162)는 개방가압부(20)의 외측단부가 지지부(16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는 부분으로, 개방가압부(20)가 걸리는 지지부(161)의 일단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개방가압부(20)의 외측단부가 지지부(161)에 걸린 상태에서 개방가압부(20)는 로드바(14)와 걸림턱부(162)의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개방가압부(20)는 로드바(14)와 걸림턱부(162)에 의해 측방향 이동이 구속된다. 이에 따라 로드바(14)의 회동 시에도 개방가압부(20)의 외측단부는 지지부(161)에 걸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개방가압부(20)는 후드힌지부(10)에 후드(2)를 개방시키는 상향력을 가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가압부(20)는 금속재 띠가 권취된 형상을 가지고, 로드바(14)를 직립시키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가압부(20)는 권취부(22), 고정부(21), 연장부(23), 연결부(24)를 포함한다.
권취부(22)는 금속재 띠가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형성된다. 고정부(21)는 권취부(22)의 내측단부에 절곡 형성되고, 스프링고정부(15)에 결합된다. 고정부(21)는 권취부(22)의 내측단부를 절곡(切曲)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연장부(23)는 권취부(22)의 외측단부에서 로드바(14)측으로 연장된다. 연결부(24)는 연장부(23)의 단부에 형성되고, 스프링연결부(16)에 결합된다. 연결부(24)는 연장부(23)의 단부를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개방가압부(20)의 내측단부는 로드바(14)의 하부회전축부(14a)와 동축상에 위치되고, 개방가압부(20)의 외측단부는 로드바(14)에 고정된다. 이때, 개방가압부(20)는 로드바(14)가 눕혀질수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측단부가 당겨지는 탄성변형을 하도록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2)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가압부(20)는 최대로 탄성변형된 상태가 되고, 개방가압부(20)와 연결된 로드바(14)는 직립되는 방향으로의 탄성가압력을, 즉 개방가압부(20)의 복원력을 지속적으로 받게된다. 따라서, 후드(2)가 닫힌 상태에서 후드래치가 해제되면, 개방가압부(20)의 복원력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드(2) 및 상부지지대(11)의 상향 회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후드(2)를 수동으로 개방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후드(2)의 상측에서 손으로 후드(2)의 개방단부를 당겨올리다가 후드(2)의 개방단부가 팔꿈치보다 높아지면, 후드(2)의 개방단부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동작을 연속하여 수행하게 된다. 후드(2)의 상측에서 손으로 후드(2)의 개방단부를 당겨올리는 동작을 수행하는 후드(2)의 개방 초기에는, 후드(2)의 개방단부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후드(2)의 개방 후기에 비해 더 큰 힘이 소요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가압부(20)에 의하면, 특히 후드(2)의 개방 초기 시 개방가압부(20)의 복원력을, 상향 회동력으로써 보조받아 후드(2)의 개방단부를 보다 용이하게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안전락킹부(30)는 후드(2)가 개방된 상태에서 후드힌지부(10)의 회동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락킹부(30)는 락킹핀부(31), 락킹홈부(32), 락킹보강부(33)를 포함한다.
락킹핀부(31)는 상부지지대(11)의 일단부상에 로드바(14)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락킹홈부(32)는 로드바(14) 중 락킹핀부(31)와 마주하는 일측부상에 함몰되게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2)가 설정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 락킹핀부(3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홈부(32)의 내부로 인입되어 걸린다.
락킹보강부(33)는 락킹홈부(32)로 진입된 락킹핀부(31)의 이동을 탄성적으로 구속하는 부재이다. 락킹보강부(33)는 금속재 띠를 다단으로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킹보강부(33)는 본체부(34), 제1락킹부(37), 진입안내부(38)를 포함한다.
본체부(34)는 락킹홈부(32)의 내면부에 대응되는 ㄷ자 형상을 가지고, 락킹홈부(32)의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락킹홈부(32)의 내면부에 대응되는 ㄷ자 형상을 가진다는 것은, 락킹홈부(32)의 내면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락킹홈부(32)의 개방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방단부를 가지고, 락킹홈부(32)의 폐쇄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폐쇄단부를 가지는 ㄷ자 형상을 가지는 것임을 밝혀둔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34)는 핀수용부(35)와 제2락킹부(36)를 포함한다.
핀수용부(35)는 락킹홈부(32)로 인입된 락킹핀부(31)가 끼워지는 부분으로, 락킹홈부(32)의 내면부를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고,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가진다. 핀수용부(35)는 본체부(34)의 폐쇄단부측에 형성된다.
제2락킹부(36)는 락킹홈부(32)의 개방단부측에 락킹핀부(31)보다 좁은 너비로 형성된다. 제2락킹부(36)는 본체부(34)를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개방단부측으로 갈수록 그 너비가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제2락킹부(36)는 락킹핀부(31)와 탄성접촉되어 락킹핀부(31)의 이동을 간섭한다. 락킹보강부(33) 중 제2락킹부(36)가 형성된 부분은 락킹핀부(31)의 직경(d)보다 작은 너비(d2)를 가지게 된다.
제1락킹부(37)는 핀수용부(35)에 끼워진 상태의 락킹핀부(31)와 탄성접촉되어 락킹핀부(31)의 이동을 간섭하는 부분이다. 제1락킹부(37)는 본체부(34)상에, 보다 구체적으로 핀수용부(35)와 제2락킹부(36)의 사이에 락킹홈부(32)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락킹보강부(33) 중 제1락킹부(37)가 형성된 부분은 락킹핀부(31)의 직경(d)보다 작은 너비(d1)를 가지게 된다.
진입안내부(38)는 락킹핀부(31)를 락킹홈부(32)로 안내하는 안내면을 이루는 부분으로, 본체부(34)의 개방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진입안내부(38)는 락킹홈부(32)의 외부에서 락킹홈부(32)의 내부를 향하는 경사면 또는 곡면을 이루도록 연장된다.
후드(2)의 개방 시, 락킹핀부(31)는 상부지지대(11)의 상향 회동에 연동하여 락킹홈부(32)측으로 이동되고, 진입안내부(38)와 접한 후 진입안내부(38)를 타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홈부(32) 및 본체부(34)의 내부로 진입된다. 락킹홈부(32)로 진입된 락킹핀부(31)는 제1락킹부(37)에 걸려 락킹홈부(32) 외부로의 이탈이 구속된다. 제2락킹부(36)는 제1락킹부(37)와 함께 락킹핀부(31)의 이탈을 다단으로 간섭, 구속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락킹보강부(33)에 의하면 후드(2)를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각도로 개방시킨 상태에서 후드(2)와 연결되는 상부지지대(11)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드(2)의 개방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의 후드힌지 2 : 후드
3 : 차체 10 : 후드힌지부
11 : 상부지지대 12 : 하부지지대
13 : 서포트바 14 : 로드바
14a : 하부회전축부 14b : 상부회전축부
15 : 스프링고정부 16 : 스프링연결부
20 : 개방가압부 21 : 고정부
22 : 권취부 23 : 연장부
24 : 연결부 30 : 안전락킹부
31 : 락킹핀부 32 : 락킹홈부
33 : 락킹보강부 34 : 본체부
35 : 핀수용부 36 : 제2락킹부
37 : 제1락킹부 38 : 진입안내부
40 : 스토퍼부 151 : 고정본체부
152 : 슬릿부 153 : 이탈방지마개부
161 : 지지부 162 : 걸림턱부

Claims (7)

  1. 차량의 후드를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후드힌지부;
    상기 후드힌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후드힌지부에 상기 후드를 개방시키는 상향력을 가하는 개방가압부; 및
    상기 후드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힌지부의 회동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안전락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힌지부는,
    상기 후드와 결합되는 상부지지대;
    상기 상부지지대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와 결합되는 하부지지대;
    상기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단부를 연결하는 서포트바;
    상기 서포트바보다 연장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서포트바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를 연결하는 로드바;
    상기 개방가압부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고정부; 및
    상기 로드바상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가압부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고정부는,
    상기 로드바와 상기 하부지지대를 연결하는 하부회전축부와 동축상에 설치되는 고정본체부;
    상기 고정본체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가압부의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슬릿부; 및
    상기 고정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개방가압부의 일단부가 상기 슬릿부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는 이탈방지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연결부는,
    상기 로드바와 연결되고, 상기 개방가압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개방가압부의 타단부가 걸리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개방가압부의 타단부가 상기 로드바와의 사이에 구속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가압부는,
    금속재 띠가 권취되어 형성되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의 내측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고정부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권취부의 외측단부에서 상기 로드바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연결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락킹부는,
    상기 상부지지대상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락킹핀부;
    상기 로드바상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향 회동 시 상기 락킹핀부가 내부로 인입되어 걸리는 락킹홈부; 및
    상기 락킹홈부로 진입된 상기 락킹핀부의 이동을 탄성적으로 구속하는 락킹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
KR1020140174275A 2014-12-05 2014-12-05 차량의 후드힌지 KR101609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275A KR101609072B1 (ko) 2014-12-05 2014-12-05 차량의 후드힌지
CN201510046490.3A CN105986713B (zh) 2014-12-05 2015-01-29 用于车辆的发动机罩铰链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275A KR101609072B1 (ko) 2014-12-05 2014-12-05 차량의 후드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072B1 true KR101609072B1 (ko) 2016-04-04

Family

ID=5579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275A KR101609072B1 (ko) 2014-12-05 2014-12-05 차량의 후드힌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09072B1 (ko)
CN (1) CN10598671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186B1 (ko) * 2015-11-24 2017-0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드힌지 연결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8707A (zh) * 2018-10-16 2020-04-2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的发动机罩铰链以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99967A (en) * 1950-01-06 1953-11-18 Briggs Mfg Co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hinge means for hingedly connecting a swinging closure to a vehicle body
GB688591A (en) * 1950-04-04 1953-03-11 Briggs Mfg Co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eck lid hinges for vehicle bodies
JPS56108356A (en) * 1980-01-31 1981-08-27 Nissan Motor Co Ltd Lid member opening/closing device
DE102004004268A1 (de) * 2004-01-28 2005-09-01 Trw Automotive Gmbh Motorhauben-Scharniermechanismus
KR20050113961A (ko) * 2004-05-31 2005-12-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힌지의 결합구조물
KR101456726B1 (ko) * 2006-07-18 2014-10-31 워렌 인더스트리즈 엘티디. 스프링 바이어스된 지지암을 갖는 일체형 힌지 어셈블리
KR100946502B1 (ko) * 2008-09-08 2010-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후드스테이로드 겸용 후드힌지
JP5460464B2 (ja) * 2010-05-24 2014-04-02 株式会社城南製作所 蓋の開閉リンク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186B1 (ko) * 2015-11-24 2017-0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드힌지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86713B (zh) 2018-03-30
CN105986713A (zh)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072B1 (ko) 차량의 후드힌지
EP3844029B1 (en) Gripping arm for a bicycle carrier with a ratcheting mechanism
JP2005187071A (ja) ラチェット式結束工具
JP2008072928A (ja) 結束機
JP2018099034A (ja) ロープ取付具
KR101493143B1 (ko) 도어 힌지
AU2004315115A1 (en) Corkscrew
KR20160009454A (ko) 차량의 빗물 차단장치
KR101492094B1 (ko) 도어 힌지
KR101842662B1 (ko)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KR101601858B1 (ko) 도어 힌지
KR100868154B1 (ko) 차량 테일게이트의 아웃 사이드 핸들 구조
JP2013167324A (ja) バンド締付具
JP2016223126A (ja) 車両用ドアのドアチェック機構
WO2011013325A1 (ja) 植物栽培用紐巻き器
KR20070030971A (ko) 자동차의 후드 스테이 로드장치
JPH0355724Y2 (ko)
JP2018202943A5 (ko)
JP3140023U (ja) ポリ袋挟む要具付きゴミ容器
JP2000345783A (ja) 梯子の固定装置
JP3105688U (ja) ロープ掛け装置
IT201800002186A1 (it) Dispositivo di serraggio
JP3213843U (ja) 自転車用錠
JP4753671B2 (ja) ドア開放装置
JP2000337055A (ja) 建物その他の物品の開口部の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