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154B1 - 차량 테일게이트의 아웃 사이드 핸들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테일게이트의 아웃 사이드 핸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154B1
KR100868154B1 KR1020070079724A KR20070079724A KR100868154B1 KR 100868154 B1 KR100868154 B1 KR 100868154B1 KR 1020070079724 A KR1020070079724 A KR 1020070079724A KR 20070079724 A KR20070079724 A KR 20070079724A KR 100868154 B1 KR100868154 B1 KR 100868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gate
pivot
auxiliary gate
outer handle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순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9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nstructional details, e.g. about door frame, panels, materials used,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8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하 개폐되는 테일게이트의 하단 중앙에 아웃터 핸들이 구비된 보조게이트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테일게이트를 완전 개방 후 닫고자 할 때에 쉽게 아웃터 핸들을 잡고 개폐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테일게이트의 아웃터 핸들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일게이트의 하단 중앙에 아웃터 핸들이 구비된 보조게이트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테일게이트가 완전 개방되는 상태에서부터 자중에 의해 회동 되므로 미관상 보기 좋으며 틈새가 없어 손가락 등이 끼는 상해를 입지 않게 되며, 특히 상기 테일게이트가 완전 개방시에 사용자가 아웃터 핸들을 쉽게 잡을 수 있어 단 한 번의 동작으로 테일게이트를 닫을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차체, 힌지축, 리프터, 테일게이트, 개구부, 케이스, 장방형의 통공, 피벗, 로울러, 스프링, 보조게이트, 피벗홈, 가이드홈, 굴곡부, 아웃터 핸들

Description

차량 테일게이트의 아웃 사이드 핸들 구조{Mounting Structure for Grip of Automobile Tailgate}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하 개폐되는 테일게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일게이트의 하단 중앙에 아웃터 핸들이 구비된 보조게이트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테일게이트를 완전 개방 후, 닫고자 할 때에 쉽게 아웃터 핸들을 잡고 개폐 작동할 수 있도록 한 차량 테일게이트의 아웃터 핸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일게이트는 사람 및 화물의 입출입이 가능하도록 차량의 차체 후방에 설치되며 상단에 설치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하 개폐되게 된다.
또한, 상기 테일게이트는 차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리프터(lifter)와 연결되어 일정각도 개폐되는 것이며, 아울러 상기 테일게이트의 개폐는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한 닫힘 방향 모멘트와 리프터 내부에 충진된 기체의 팽창력의 상쇄/극복에 따라 원활하게 개폐되어 상품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테일게이트의 하단 외측면에는 테일게이트를 개폐 가능하도록 잠금 및 해제할 수 있게 하는 아웃터 핸들이 설치된다.
즉, 테일게이트의 개방시에는 테일게이트의 외측면에 설치된 아웃터 핸들을 잡아당겨 어느 정도의 외력을 가하여 약간 들어올리게 되면 리프터 내부 기체의 팽창력으로 테일게이트가 완전 개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완전 개방된 테일게이트를 닫고자 할 때에는 아웃터 핸들을 잡고 테일게이트를 하향 방향으로 끌어내려 테일게이트의 닫힘 모멘트에 의해 테일게이트를 닫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 테일게이트를 완전 개방 상태에서 닫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손을 최대한 뻗어도 아웃터 핸들을 잡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 과 같이, 편의를 위해 별도로 상기 테일게이트 내측면에 인너 핸들(500)(풀(pull) 타입의 핸들 또는 끈 형태의 핸들 등)을 더 구비하게 된다.
하지만, 이 또한 완전 개방된 테일게이트를 닫고자 할 때에는 초기에는 인너 핸들을 잡고 테일게이트를 하향 방향으로 끌어내리거나 상기 인너 핸들을 잡아 테일게이트를 당길 시에는 손목의 꺾임이 발생하며, 이후에 아웃터 핸들로 손을 바꾸어야하는 동작이 필요하여 매우 번거롭고, 또한 인너 핸들과 아웃터 핸들을 바꾸어 잡는 과정에서 "B" 지점에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테일게이트의 재차 상승하여 열려 자중에 의하여 상해를 입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가 아웃터 핸들을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테일게이트의 하단 중앙에 아웃터 핸들이 구비된 보조게이트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하여 단 한 번의 동작으로 테일게이트를 닫을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테일게이트가 완전 개방되는 상태에서부터 자중에 의해 회동 되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도록 하고 틈새에 손가락 등이 끼어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차량 테일게이트의 아웃터 핸들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가 완전 개방시에 사용자가 아웃터 핸들을 쉽게 잡아 단 한 번의 동작으로 테일게이트를 닫을 수 있게 테일게이트의 하단 중앙에 아웃터 핸들이 구비된 보조게이트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테일게이트가 완전 개방되는 상태에서부터 자중에 의해 회동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일게이트의 하단 중앙에 아웃터 핸들이 구비된 보조게이트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테일게이트가 완전 개방되는 상태에서부터 자중에 의해 회동 되므로 미관상 보기 좋으며 틈새가 없어 손가락 등이 끼는 상해를 입지 않게 되며, 특히 상기 테일게이트가 완전 개방시 에 사용자가 아웃터 핸들을 쉽게 잡을 수 있어 단 한 번의 동작으로 테일게이트를 닫을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에 참조되는 도면에 대하여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즉,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게이트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과 도 4 에는 도 2 의 연결 상태에 따른 연결장치의 요부를 보인 확대도와 연결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200)는 차량의 차체(100) 후방에 설치되며 상단에 설치된 힌지축(110)을 중심으로 상하 개폐되고 양측에 설치되는 리프터(120)(lifter)와 연결되어 일정각도 개폐되는 것이다.
아울러, 보조게이트(300)는 테일게이트(200)의 중앙 하단에 개구부(210)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210) 상단에 설치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더불어, 아웃터 핸들(400)은 보조게이트(300)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테일게이트(200)를 개폐 가능하게 잠금 및 해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 테일게이트(200)의 아웃터 핸들(400) 구조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200)에 마련된 개구부(210) 양측면에 장방형의 통공(221)이 형성된 케이스(220)가 부착 설치되되, 상기 케이스(220) 상단에 피벗(230)(Pivot)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장방형의 통공(221) 내부에 로울러(24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피벗(230)과 로울러(240)는 스프링(250)에 의해 연결 설치된다.
상기 보조게이트(300) 양측에 피벗홈(310)이 설치되어 피벗(230)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피벗홈(310) 하단에 소정거리의 동심원을 갖는 가이드홈(320)이 형성되어 로울러(240)가 삽입되되, 상기 가이드홈(320)의 하부 일측에 굴곡부(321)가 형성된 것이다.
아울러,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상기 아웃터 핸들(400)에 구비된 보조게이트(300)의 회동 구간은 로울러(240)가 가이드홈(32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구간까지이며, 자중에 의해 회동된다.
먼저, 상기에서 테일게이트(200)는 양측에 차체(100)와 리프터(120)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사용자가 어느 정도의 외력을 가하여 약간 들어올리거나 끌어내리게 되면 상기 테일게이트(200)의 열림 각도가 변경됨과 동시에 리프터(120)의 팽창력과 자중 모멘트의 상대적인 차이에 따라 테일게이트(200)가 열리는 방향 또는 닫히는 방향으로 작동된다.
한편, 상기에서 보조게이트는 개구부(210) 내측에 설치되는 피벗(230)으로 테일게이트(200)와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한 구조이며, 측면에 가이드홈(320)이 형성되어 테일게이트(200)의 로울러(240)가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홈(320)은 피벗(230)을 중심으로 동심원의 형태이며 가이드홈(320) 하부 일측에는 반경이 증가 된 굴곡부(321)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에서 로울러(240)는 피벗(230)에 연결된 스프링(250)을 통해 복원력을 가지게 되고 테일게이트(200)의 케이스(220)에 의해 스프링(250)의 인장/압축 방향 이외의 운동은 구속된다.
또한, 상기에서 피벗(230)은 테일게이트(200)와 일체로 결합되며 보조게이트(300)와 연결되어 보조게이트(300)의 회전 축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테일게이트(200)의 보조게이트(300)에 마련된 아웃터 핸들(400)을 잡아당김과 동시에 상향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외력을 가하여 약간 들어올리게 되면 테일게이트(200)의 양측에 차체(100)와 연결 설치된 리프터(120) 내부 기체의 팽창력으로 테일게이트(200)가 완전 개방되게 된다.
이때, 테일게이트(200)의 열림 각도가 변경되면 도 5 내지 도 8 과 같이 "C" 지점에서부터 보조게이트(300)가 자중에 의해 피벗(230)을 중심으로 하향되어 회동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테일게이트(200)의 개방과 동시에 열림 각도가 변함에 따라 피벗(230)의 위치가 변하게 되며 이에 따라 피벗(230)을 축으로 하는 보조게이트(300)가 자중에 의한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피벗(230)에 스프링(250)으로 연결된 로울러(240)는 보조게이트(300)의 가이드홈(320)에 끼워져 스프링(250)의 복원력에 의해 마찰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홈(320)의 형상이 피벗(230)을 축으로 보조게이트(300) 가 움직이는 궤적과 동심원을 이루지만 상기 가이드홈(320)의 하부 일측에 굴곡된 굴곡부(321)가 형성되어 있어 리프터(120)가 팽창하기 시작하는 지점까지는 스프링(250)의 복원력이 마찰력으로 작용하여 굴곡부(321)를 회전하지 못하지만 테일게이트(200)의 열림이 계속 진행되어 피벗(230)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보조게이트(300)의 열림이 계속 진행되어 피봇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보조게이트(300)의 자중모멘트가 증가하면 스프링(250)의 탄성을 넘게 되어 보조게이트(300)가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테일게이트(200)가 완전 개방되면서 보조게이트(300)의 외측면에 마련된 아웃터 핸들(400)이 하향되어 사용자가 잡기 편리하도록 형성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완전 개방된 테일게이트(200)를 닫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아웃터 핸들(400)을 잡고 하향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외력을 가하여 약간 끌어내리게 되면 테일게이트(200)의 자중에 의한 닫힘 모멘트에 의해 테일게이트(200)를 닫을 수 있게 된다.
이때, 보조게이트(300)는 상기에서 나타낸 회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진행되어 원위치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에 내에 있게 된다.
도 1 은 종래의 테일게이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게이트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연결 상태에 따른 연결장치의 요부를 보인 확대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도.
도 6 은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의 개폐에 따른 보조게이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의 개폐에 따른 보조게이트의 무게중심 방향을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차체 110 : 힌지축
120 : 리프터 200 : 테일게이트
210 : 개구부 220 : 케이스
221 : 장방형의 통공 230 : 피벗
240 : 로울러 250 : 스프링
300 : 보조게이트 310 : 피벗홈
320 : 가이드홈 321 : 굴곡부
400 : 아웃터 핸들

Claims (2)

  1. 차량의 차체(100) 후방에 설치되며 상단에 설치된 힌지축(110)을 중심으로 상하 개폐되고 양측에 설치되는 리프터(120)(lifter)와 연결되어 일정각도 개폐되는 테일게이트(200);
    상기 테일게이트(200)의 중앙 하단에 개구부(210)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210) 상단에 설치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보조게이트(300);
    상기 보조게이트(300)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테일게이트(200)를 개폐 가능하게 잠금 및 해제하는 아웃터 핸들(400);로 이루어진 차량 테일게이트(200)의 아웃터 핸들(400) 구조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200)에 마련된 개구부(210) 양측면에 장방형의 통공(221)이 형성된 케이스(220)가 부착 설치되되, 상기 케이스(220) 상단에 피벗(230)(Pivot)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장방형의 통공(221) 내부에 로울러(24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피벗(230)과 로울러(240)는 스프링(250)에 의해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보조게이트(300) 양측에 피벗홈(310)이 설치되어 피벗(230)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피벗홈(310) 하단에 소정거리의 동심원을 갖는 가이드홈(320)이 형성되어 로울러(240)가 삽입되되, 상기 가이드홈(320)의 하부 일측에 굴곡부(3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일게이트의 아웃터 핸들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핸들(400)에 구비된 보조게이트(300)의 회동 구간은 로울러(240)가 가이드홈(32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구간까지이며 자중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일게이트의 아웃터 핸들 구조.
KR1020070079724A 2007-08-08 2007-08-08 차량 테일게이트의 아웃 사이드 핸들 구조 KR100868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724A KR100868154B1 (ko) 2007-08-08 2007-08-08 차량 테일게이트의 아웃 사이드 핸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724A KR100868154B1 (ko) 2007-08-08 2007-08-08 차량 테일게이트의 아웃 사이드 핸들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154B1 true KR100868154B1 (ko) 2008-11-12

Family

ID=4028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724A KR100868154B1 (ko) 2007-08-08 2007-08-08 차량 테일게이트의 아웃 사이드 핸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1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8969A (zh) * 2019-12-27 2020-04-10 郑州日产汽车有限公司 辊压式背门结构及其制造方法
KR20200068427A (ko) 2018-12-05 2020-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형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 핸들 스위치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644U (ko) * 1997-07-18 1999-02-18 박병재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개폐장치
JP2001138743A (ja) * 1999-11-12 2001-05-22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バックド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644U (ko) * 1997-07-18 1999-02-18 박병재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개폐장치
JP2001138743A (ja) * 1999-11-12 2001-05-22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バックドア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427A (ko) 2018-12-05 2020-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형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 핸들 스위치 어셈블리
US10814703B2 (en) 2018-12-05 2020-10-27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outside handle switch assembly for a tail gate
CN110978969A (zh) * 2019-12-27 2020-04-10 郑州日产汽车有限公司 辊压式背门结构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202B1 (ko) 스윙 타입 테일게이트 체커 구조
KR20090064667A (ko) 히든타입 아웃사이드핸들
ITMI20040198U1 (it) Anta con apertura a pressione
KR100868154B1 (ko) 차량 테일게이트의 아웃 사이드 핸들 구조
KR101795383B1 (ko) 테일게이트의 팝업구조
KR101327034B1 (ko) 히든 타입 아웃사이드 핸들
KR101664747B1 (ko) 자동차의 연료도어 팝업장치
KR100911572B1 (ko) 테일게이트 글래스의 힌지장치
KR100526814B1 (ko)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도어 핸들의 조립 구조
CN206264762U (zh) 一种锁止结构及汽车
KR100410819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글래스 힌지구조.
JP2005263237A (ja) 蓋付ボックスの蓋開閉機構
KR100513224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100534355B1 (ko) 자동차의 도어체커
KR100550041B1 (ko) 다기능 오버 헤드 콘솔
KR100803840B1 (ko) 그립타입 아웃사이드 핸들
JPH0535911Y2 (ko)
JP2007198051A (ja) 中間ストッパ機構を有するスライドドア
KR100844667B1 (ko) 버스 플랩도어의 핸들구조
KR200289312Y1 (ko) 차량용 창문잠금장치
KR100534277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의 열림량 조절장치
JPH07317410A (ja) 車両のバックドア開度規制装置
KR100580692B1 (ko) 도어 인사이드 핸들구조
KR100471487B1 (ko) 자동차용 트렁크리드 고정장치
KR101827011B1 (ko) 손잡이 일체형 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