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186B1 - 후드힌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후드힌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186B1
KR101705186B1 KR1020150164361A KR20150164361A KR101705186B1 KR 101705186 B1 KR101705186 B1 KR 101705186B1 KR 1020150164361 A KR1020150164361 A KR 1020150164361A KR 20150164361 A KR20150164361 A KR 20150164361A KR 101705186 B1 KR101705186 B1 KR 101705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link
bracket
point
hoo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4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9Elongate hinges, e.g. piano-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단이 차량의 후드에 결합되는 후드암과 차체에 고정 결합된 후드브라켓의 사이를 연결하는 후드힌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드브라켓의 일측에 장착되어 후드암과 후드브라켓의 사이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며 후드패널의 개폐에 따라 회동하는 작동부 및 일단이 작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후드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 결합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되, 차량의 후드패널 폐쇄 시, 상기 링크부의 일단은, 작동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과 링크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 사이를 잇는 가상의 선의 내측에 배치되고, 차량의 후드패널 개방 시, 상기 링크부의 일단은, 작동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과 링크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 사이를 잇는 가상의 선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후드패널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고 후드패널의 유동을 방지하여 이음을 저감시키는 후드힌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후드힌지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HOOD HINGE FOR VEHICLE}
본 발명은 선단이 차량의 후드에 결합되는 후드암과 차체에 고정 결합된 후드브라켓의 사이를 연결하는 후드힌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드패널 폐쇄 시에는 링크포인트가 사점라인의 내측에 위치하여 후드패널의 유동을 저감하고 차량의 후드패널 개방 시에는 링크포인트가 사점라인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후드패널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후드힌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앞 부분에 배치된 엔진룸에는 상측으로 후드(hood)가 장착되어 엔진룸의 소음을 차음 및 흡음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엔진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후드는 엔진의 배치 형태나 차종에 따라 다양한 모양 및 개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엔진룸 내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부품을 정비하거나 일상 점검을 위해서 후방 측이 후드암을 통하여 차체에 고정된 후드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 측이 들어 올려져 개방되는 구조를 갖되, 스트라이커와 래치의 결속에 의하여 회전이 단속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후드힌지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후드힌지 연결구조는 선단이 차량의 후드패널(1)에 결합된 후드암(2), 차체(3)에 고정 결합된 후드브라켓(4) 및 상기 후드암(2)과 후드브라켓(4)의 사이를 연결하는 후드힌지(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후드패널(1)과 차체(3) 사이에는 가스리프터(6)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가스리프터(6)는 후드패널(1)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도록 도와주고 후드패널의 하중을 지지하여 후드패널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 후드힌지 연결구조는 후드패널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스리프터를 필요로 하므로 가스리프터를 장착하기 위한 추가적인 장착 공간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생산원가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 후드힌지 연결구조는 가스리프터가 항상 후드패널을 개방시키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므로 차량의 주행 시 후드패널이 유동하여 주행 이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후드패널 개방 시, 링크부의 일단이 사점라인 외측으로 이동하여 후드패널의 개방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므로 후드패널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후드힌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후드패널 폐쇄 시, 링크부의 일단이 사점라인 내측에 위치하여 후드패널의 폐쇄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므로 차량 주행시 후드패널의 유동을 방지하여 이음을 저감시키는 후드힌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선단이 차량의 후드패널에 결합되는 후드암과 차체에 고정 결합된 후드브라켓의 사이를 연결하는 후드힌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후드브라켓의 일측에 장착되어 후드암과 후드브라켓의 사이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며 후드패널의 개폐에 따라 회동하는 작동부; 및 일단이 작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후드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 결합되는 링크부; 를 포함하되, 차량의 후드패널 폐쇄 시, 상기 링크부의 일단은, 작동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과 링크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 사이를 잇는 가상의 선의 내측에 배치되고, 차량의 후드패널 개방 시, 상기 링크부의 일단은, 작동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과 링크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 사이를 잇는 가상의 선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후드힌지 연결구조에서 상기 작동부는, 일단이 상기 후드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드암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롱링크; 및 일단이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드암의 후단에 연결되며, 중앙부는 후드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숏링크; 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은 숏링크의 중앙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후드힌지 연결구조에서 상기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숏링크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링크;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후드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 사이에 설치되어 제1링크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제1링크를 가압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은 제2링크의 타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후드힌지 연결구조에서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사이에는 보강핀이 추가로 더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보강핀에 거치되며 양 끝단이 각각 제1링크에 돌출 형성된 제1돌출부와 제2링크에 돌출 형성된 제2돌출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후드힌지 연결구조에서 상기 링크부는, 중심부가 상기 후드브라켓에 장착되고 외곽 끝단은 숏링크의 일단에 결합되며, 외곽 끝단이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곽 끝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나선형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후드힌지 연결구조에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후드암의 후단에 배치되며 후드암이 후드브라켓에 회동 결합되도록 하는 작동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은 작동핀의 중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후드힌지 연결구조에서 상기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후드암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링크;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후드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 사이에 설치되어 제1링크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제1링크를 가압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은 제2링크의 타단인 것이 좋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후드힌지 연결구조에서 상기 링크부는, 중심부가 상기 후드브라켓에 장착되고 외곽 끝단은 후드암의 중앙부에 결합되며, 외곽 끝단이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곽 끝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나선형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차량의 후드패널 개방 시, 링크부의 일단이 사점라인(작동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과 링크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 사이를 잇는 가상의 선)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후드패널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후드패널의 오픈력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종래 후드힌지 연결구조에서 사용되는 가스리프터를 삭제하고서도 충분한 오픈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차량의 생산원가와 차체중량이 저감되며 가스리프터의 추가적인 장착공간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후드패널 폐쇄 시, 링크부의 일단이 사점라인의 내측에 배치되어 후드패널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후드패널의 유동이 저감되어 차량의 주행 시 이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활용하여 후드패널의 개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후드패널의 유동을 방지하므로 차량의 상품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후드힌지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패널 폐쇄 시, 후드힌지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패널 개방 시, 후드힌지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후드힌지 연결구조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패널 폐쇄 시, 후드힌지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패널 개방 시, 후드힌지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패널 폐쇄 시, 후드힌지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패널 개방 시, 후드힌지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후드힌지 연결구조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패널 폐쇄 시, 후드힌지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패널 개방 시, 후드힌지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패널 폐쇄 시, 후드힌지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패널 개방 시, 후드힌지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후드힌지 연결구조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드힌지 연결구조는, 선단이 차량의 후드패널(도 1의 1)에 결합되는 후드암(10) 및 차체(도 1의 3)에 고정 결합된 후드브라켓(11)을 포함하되, 상기 후드암(10)과 후드브라켓(11)의 사이에는 작동부(20)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부(20)와 후드브라켓(11)의 사이에는 링크부(30)가 설치된다.
상기 작동부(20)는 후드브라켓(11)의 일측에 장착되어 후드암(10)과 후드브라켓(11)의 사이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며 후드패널의 개폐에 따라 회동하고, 상기 링크부(30)는 일단이 작동부(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후드브라켓(11)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작동부(20)는, 일단이 상기 후드브라켓(11)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드암(10)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롱링크(21) 및 일단이 상기 링크부(30)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드암(10)의 후단에 연결되며, 중앙부는 후드브라켓(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숏링크(22)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후드암(10), 롱링크(21), 숏링크(22) 및 후드브라켓(11)은 4절 링크를 구성하고,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후드패널의 폐쇄 시 롱링크(21)와 숏링크(2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후드암(10)이 반시계방향(후드패널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후드패널의 개방 시 롱링크(21)와 숏링크(2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후드암(10)이 시계방향(후드패널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링크부(30)는, 일단이 상기 숏링크(22)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링크(31), 일단이 상기 제1링크(3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후드브라켓(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링크(32) 및 상기 제1링크(31)와 제2링크(32) 사이에 설치되어 제1링크가 펼쳐지는 방향(제1링크와 제2링크 사이의 각도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제1링크(31)를 가압하는 탄성부재(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숏링크(22)는 종래 숏링크가 단순히 후드암(10)과 후드브라켓(11)의 사이를 연결하는 것과 달리 제1링크(31)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어 끝단이 제1링크(31)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드패널 폐쇄 시, 상기 숏링크(22)와 연결된 제1링크(31)의 일단(즉, 도면부호 'B'로 표시되는 일명, 링크포인트)은 작동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도면부호 'C'로 표시)과 링크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도면부호 'A'로 표시) 사이를 잇는 가상의 선(도면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되는 일명, 사점라인)의 내측(사점라인을 기준으로 후드암의 선단과 동일한 쪽)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작동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C)은 숏링크(22)의 중앙부이고, 상기 링크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A)은 제2링크(32)의 타단이다.
즉, 차량의 후드패널 폐쇄 시, 상기 제1링크의 일단(B)은 사점라인(A 지점과 C 지점을 잇는 선)을 기준으로 내측에 배치되며, 이때 상기 탄성부재(33)는 제1링크(31)의 일단을 수직 외측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후드암(10)의 후단에 연결된 숏링크(22)의 타단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후드암(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차량의 후드패널은 더욱 견고히 폐쇄되어 주행시 유동이 저감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드패널 개방 시, 상기 숏링크(22)와 연결된 제1링크의 일단(링크포인트, B)은 사점라인(일점쇄선으로 표시된 A 지점과 C 지점을 잇는 선)의 외측(사점라인을 기준으로 후드암의 선단과 반대편 쪽)에 배치된다.
즉, 차량의 후드패널 개방 시, 상기 제1링크의 일단(B)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점라인의 외측으로 이동하며, 이때 상기 탄성부재(33)는 제1링크(31)의 일단을 수직 외측방향으로 가압하고, 숏링크(22)의 타단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후드암(10)이 시계방향(후드패널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된 제1링크(31), 제2링크(32) 및 탄성부재(33)를 이용하여 링크포인트가 사점라인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후드패널의 유동을 저감함과 동시에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31)의 외측면에는 제1돌출부(31a)가 형성되고 제2링크(32)의 외측면에는 제2돌출부(32a)가 형성되며 제1링크(31)와 제2링크(32)의 사이에는 보강핀(34)이 추가로 설치되는데, 상기 탄성부재(33)는 중앙부가 보강핀(34)에 거치된 상태에서 양 끝단이 각각 제1돌출부(31a)와 제2돌출부(32a)에 결합되어 제1링크(3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패널 폐쇄 시, 후드힌지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패널 개방 시, 후드힌지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후드힌지 연결구조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기본적으로 4절 링크로 구성되어 후드패널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도 상기 작동부(20)는 롱링크(21)와 숏링크(22)를 포함하고, 후드패널을 폐쇄 시 롱링크(21)와 숏링크(2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후드암(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후드패널의 개방 시 롱링크(21)와 숏링크(2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후드암(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링크부(30)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링크부가 제1링크, 제2링크 및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과 달리, 중심부가 상기 후드브라켓(11)에 장착되고 외곽 끝단은 숏링크(22)의 일단에 결합되며, 외곽 끝단이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곽 끝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나선형 스프링(35)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링크부(30)는 단면이 일정한 가늘고 긴 띠 모양의 강(steel)을 태엽처럼 나선형으로 감은 스프링(35)이고, 상기 링크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A)은 나선형 스프링(35)의 중심부이며, 작동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C)은 숏링크(22)의 중앙부이고, 링크부의 일단(B)은 나선형 스프링(35)의 외곽 끝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드패널 폐쇄 시, 상기 숏링크(22)와 연결된 나선형 스프링의 외곽 끝단(링크포인트, B)은 나선형 스프링의 중심부(A)와 숏링크(22)의 중앙부(C) 사이를 있는 가상의 선(도면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사점라인)의 내측(사점라인을 기준으로 후드암의 선단과 동일한 쪽)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나선형 스프링(35)은 외곽 끝단이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곽 끝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숏링크(22)의 타단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후드암(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차량의 후드패널은 더욱 견고히 폐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드패널 개방 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외곽 끝단(B)은 사점라인(A 지점과 C 지점을 잇는 선)을 통과하여 외측(사점라인을 기준으로 후드암의 선단과 반대편 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나선형 스프링(35)은 외곽 끝단이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곽 끝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숏링크(22)의 타단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후드암(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차량의 후드패널은 개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패널 폐쇄 시, 후드힌지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패널 개방 시, 후드힌지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후드힌지 연결구조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작동부(20)는, 상기 후드암(10)의 후단에 배치되며 후드암(10)이 후드브라켓(11)에 회동 결합되도록 하는 작동핀(23)으로 이루어진다.
즉,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와 달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작동부(20)는 1 포인트(point) 힌지 연결구조로서, 후드패널의 폐쇄 시 후드암(10)은 작동핀(23)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후드패널의 개방 시 후드암(1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링크부(30)는 제1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와 유사하게 일단이 상기 후드암(10)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링크(31), 일단이 상기 제1링크(3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후드브라켓(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링크(32) 및 상기 제1링크(31)와 제2링크(32) 사이에 설치되어 제1링크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제1링크(31)를 가압하는 탄성부재(33)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제1링크(31)는 후드암(10)의 중앙부에 직접 연결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이때, 상기 링크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A)은 제2링크(32)의 타단이고, 작동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C)은 작동핀(23)의 중심이며, 링크부의 일단(B)은 제1링크(31)의 일단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드패널 폐쇄 시, 상기 후드암(10)과 연결된 제1링크의 일단(링크포인트, B)은 A 지점과 C 지점 사이를 잇는 가상의 선(사점라인)의 내측(이때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달리 사점라인을 기준으로 후드암의 선단과 반대편 쪽)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차량의 후드패널 폐쇄 시, 상기 탄성부재(33)는 제1링크(31)의 일단을 수직 외측방향으로 가압하고, 후드암(1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후드패널은 더욱 견고히 폐쇄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드패널 개방 시, 상기 제1링크의 일단(B)은 사점라인을 통과하여 외측(사점라인을 기준으로 후드암의 선단과 동일한 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탄성부재(33)는 제1링크(31)의 일단을 수직 외측방향으로 가압하여 후드암(10)과 후드패널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패널 폐쇄 시, 후드힌지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패널 개방 시, 후드힌지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후드힌지 연결구조에서 상기 작동부(20)는 전술한 제3실시예와 유사하게 기본적으로 1 포인트(point) 힌지 연결구조로 구성되어 작동핀(2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링크부(30)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유사하게 중심부가 상기 후드브라켓(11)에 장착되고 외곽 끝단은 후드암(10)의 중앙부에 결합되며, 외곽 끝단이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곽 끝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나선형 스프링(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링크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A)은 나선형 스프링(35)의 중심부이고, 작동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C)은 작동핀(23)의 중심이며, 링크부의 일단(B)은 나선형 스프링(35)의 외곽 끝단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드패널 폐쇄 시, 상기 후드암(10)과 연결된 나선형 스프링의 외곽 끝단(링크포인트, B)은 나선형 스프링의 중심부(A)와 작동핀(23)의 중심(C) 사이를 있는 가상의 선(도면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사점라인)의 내측(사점라인을 기준으로 후드암의 선단과 반대편 쪽)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나선형 스프링(35)은 외곽 끝단이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곽 끝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후드암(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차량의 후드패널은 더욱 견고히 폐쇄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드패널 개방 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외곽 끝단(B)은 사점라인(A 지점과 C 지점을 잇는 선)을 통과하여 외측(사점라인을 기준으로 후드암의 선단과 동일한 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나선형 스프링(35)은 외곽 끝단이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곽 끝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후드암(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차량의 후드패널은 개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후드힌지 연결구조는, 차량의 후드패널 개방 시, 링크부의 일단이 사점라인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후드패널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므로 후드패널의 오픈력이 저감되는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차량의 후드패널 폐쇄 시, 링크부의 일단이 사점라인 내측에 배치되어 후드패널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므로 차량의 주행 시 후드패널의 유동이 저감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후드암
11 : 후드브라켓
20 : 작동부
21 : 롱링크
22 : 숏링크
23 : 작동핀
30 : 링크부
31 : 제1링크
31a : 제1돌출부
32 : 제2링크
32a : 제2돌출부
33 : 탄성부재
34 : 보강핀
35 : 나선형 스프링

Claims (8)

  1. 선단이 차량의 후드패널에 결합되는 후드암과 차체에 고정 결합된 후드브라켓의 사이를 연결하는 후드힌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후드브라켓의 일측에 장착되어 후드암과 후드브라켓의 사이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며 후드패널의 개폐에 따라 회동하는 작동부; 및 일단이 작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후드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 결합되는 링크부; 를 포함하되,
    차량의 후드패널 폐쇄 시, 상기 링크부의 일단은, 작동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과 링크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 사이를 잇는 가상의 선의 내측에 배치되고,
    차량의 후드패널 개방 시, 상기 링크부의 일단은, 작동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과 링크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 사이를 잇는 가상의 선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힌지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일단이 상기 후드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드암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롱링크; 및
    일단이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드암의 후단에 연결되며, 중앙부는 후드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숏링크; 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은 숏링크의 중앙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힌지 연결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숏링크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링크;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후드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 사이에 설치되어 제1링크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제1링크를 가압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은 제2링크의 타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힌지 연결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사이에는 보강핀이 추가로 더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보강핀에 거치되며 양 끝단이 각각 제1링크에 돌출 형성된 제1돌출부와 제2링크에 돌출 형성된 제2돌출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힌지 연결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중심부가 상기 후드브라켓에 장착되고 외곽 끝단은 숏링크의 일단에 결합되며, 외곽 끝단이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곽 끝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나선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힌지 연결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후드암의 후단에 배치되며 후드암이 후드브라켓에 회동 결합되도록 하는 작동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은 작동핀의 중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힌지 연결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후드암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링크;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후드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 사이에 설치되어 제1링크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제1링크를 가압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가 후드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은 제2링크의 타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힌지 연결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중심부가 상기 후드브라켓에 장착되고 외곽 끝단은 후드암의 중앙부에 결합되며, 외곽 끝단이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곽 끝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나선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힌지 연결구조.
KR1020150164361A 2015-11-24 2015-11-24 후드힌지 연결구조 KR101705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361A KR101705186B1 (ko) 2015-11-24 2015-11-24 후드힌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361A KR101705186B1 (ko) 2015-11-24 2015-11-24 후드힌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186B1 true KR101705186B1 (ko) 2017-02-09

Family

ID=5815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361A KR101705186B1 (ko) 2015-11-24 2015-11-24 후드힌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1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427A (ko) 2017-07-27 2019-02-11 (주) 아산금창 자동차용 다절링크 구조를 갖는 후드힌지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726B1 (ko) * 2006-07-18 2014-10-31 워렌 인더스트리즈 엘티디. 스프링 바이어스된 지지암을 갖는 일체형 힌지 어셈블리
KR101592792B1 (ko) * 2014-12-09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힌지 장치
KR101609072B1 (ko) * 2014-12-05 2016-04-04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의 후드힌지
KR20160062903A (ko) * 2014-11-26 2016-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단형 후드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726B1 (ko) * 2006-07-18 2014-10-31 워렌 인더스트리즈 엘티디. 스프링 바이어스된 지지암을 갖는 일체형 힌지 어셈블리
KR20160062903A (ko) * 2014-11-26 2016-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단형 후드 힌지장치
KR101609072B1 (ko) * 2014-12-05 2016-04-04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의 후드힌지
KR101592792B1 (ko) * 2014-12-09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힌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427A (ko) 2017-07-27 2019-02-11 (주) 아산금창 자동차용 다절링크 구조를 갖는 후드힌지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8484B2 (en) Hinge
JP2010505690A5 (ko)
JP5487745B2 (ja) 扉開閉装置
ATE481544T1 (de) Türscharniervorrichtung mit einem drehpunkt in einer variablen position
JP2001164819A (ja) 窓障子用ステ−
KR101705186B1 (ko) 후드힌지 연결구조
US9650806B2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2004346732A (ja) 扉付き骨格構造部材
US10138657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CN106168091B (zh) 大开度暗铰链
CN209398125U (zh) 隐形合页
KR20020044359A (ko) 백도어의 힌지구조
CN205558573U (zh) 一种车门固定旋转装置
KR100705131B1 (ko) 도어힌지구조
KR20080034571A (ko) 차량의 연료도어힌지구조
KR100726500B1 (ko) 자동차 선글라스 케이스
KR100792865B1 (ko) 상용 차량의 플랩도어 힌지장치
CN110952853A (zh) 一种大角度开合自锁铰链
KR20160042696A (ko) 차량용 후드힌지 장치
KR100812427B1 (ko) 차량용 연료도어
JP2014237932A (ja) 車両用開閉サポート部材、フードおよび車両
JP3767485B2 (ja) 建設機械のキャビンのリンク式ドアの開閉機構
KR200376907Y1 (ko) 경첩
JP2000270419A (ja) 垂直自立盤
KR200304803Y1 (ko) 건설장비용 도어 힌지 로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