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279A - 광학 접속 구조 및 광학 접속 방법 - Google Patents

광학 접속 구조 및 광학 접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3279A
KR20090033279A KR1020097005174A KR20097005174A KR20090033279A KR 20090033279 A KR20090033279 A KR 20090033279A KR 1020097005174 A KR1020097005174 A KR 1020097005174A KR 20097005174 A KR20097005174 A KR 20097005174A KR 20090033279 A KR20090033279 A KR 20090033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fiber
connection
adhes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요시 스즈키
교이치 사사키
다츠시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86343A external-priority patent/JP40434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70679A external-priority patent/JP41096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1133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9359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Publication of KR20090033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8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 G02B6/382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with index-matching medium between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32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36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being groo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48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 G02B6/3652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the additional structures being prepositioning mounting areas, allowing only movement in one dimension, e.g. grooves, trenches or vias in the microbench surface, i.e. self aligning supporting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7Split sleeves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광화이버를 밀착시킨 상태로 유지하고, 또한 간편하게 장착, 착탈할 수 있고, 광학 안정성이 우수한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광학 접속 구조 및 광학 접속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는, 서로 대향하는 광전송 매체의 단면 사이, 또는 광전송 매체와 광학 부품 사이에, 굴절률 정합성을 갖는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가 단일 층으로서 개재된다.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는, 실리콘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화이버, 착탈, 광학 안정성, 접속, 광전송 매체, 정합성, 굴절률

Description

광학 접속 구조 및 광학 접속 방법{OPTICAL CONNECTION STRUCTURE AND OPTICAL CONNECTION METHOD}
본 발명은, 광전송 매체끼리, 또는 광전송 매체와 광학 부품을 접속시킨 광학 접속 구조, 및 그것을 형성하는 광학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화이버의 접속 방법으로는, 광화이버끼리, 또는 광화이버를 삽입한 페룰끼리를 맞댐으로써, 물리적으로 접속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그 경우의 예로서, 메커니컬 스프라이스, 광커넥터 등을 들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영구 접속인 경우에는 메커니컬 스프라이스가, 또한 착탈이 빈번히 행해지는 경우에는 광커넥터가 유효하고, 널리 이용되고 있다. 양자 모두 광화이버 단면 (端面) 에, 축 방향의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물리적으로 접속시키지만, 광커넥터 접속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는 광화이버가 무르고 약하기 때문에, 광화이버를 페룰에 삽입하여 보호하고, 그에 의해 광화이버의 단면의 물리적 접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물리적인 접속에 있어서, 광화이버의 위치 결정 정밀도나 단면 형상은, 접속 특성에 크게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단면의 각도 어긋남이나 단면 형상 이 거칠어져 있으면, 맞댄 광화이버 단부 사이에 공기가 들어감으로써, 접속 단면에서 프레넬 반사가 커지기 때문에, 접속 손실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것을 개량하는 방법으로서, 지금까지 여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하나로서, 예를 들어 광화이버의 단면 또는 광화이버의 단면과 페룰을 고도로 연마 처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연마 처리에는 막대한 시간과 경비가 필요하고, 범용적으로 행해지는 접속 방법으로서는 문제가 있어, 그 개선이 큰 과제로 되어 있었다.
또한, 연마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커트한 상태 그대로의 광화이버를 접속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그 하나로서, 광화이버의 접속 단면에 광화이버의 코어와 동등, 또는 근사한 굴절률을 갖는 액 형상 또는 그리스 형상의 굴절률 정합제를 개재시켜 접속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 방법은, 굴절률 정합제를 광화이버 단면에 도포하여 광화이버를 맞대는 것으로, 그에 따라 접속 단면에의 공기의 침입을 막고, 공기에 의하여 발생하는 프레넬 반사를 회피하여, 접속 손실을 저감시킨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일반적으로는 굴절률 정합제로서 실리콘계나 파라핀계의 액 형상 또는 그리스 형상인 것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매우 작은 면적인 광화이버 단면에 일정량의 굴절률 정합제를 도포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리고 만일 굴절률 정합제가 지나치게 도포되면, 접속부 주위의 오염이나, 그에 따른 먼지 등의 부착이 문제가 된다. 또한, 이 방법에 사용하는 굴절률 정합제는 일반적으로 흐르기 쉬운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접속부로부터 유출되어 광학적인 안정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추가로, 액 형상 또는 그리스 형상의 굴절률 정합제를 사용하여 광화이버를 착탈 가능하게 하면, 착탈할 때마다 굴절률 정합제의 닦아내기나, 재차 일정량 도포하는 작업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걸려, 작업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고체의 굴절률 정합 부재를 사용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광화이버의 단면에 투명한 정합재 필름을 접착층, 점착재층을 개재하지 않고 직접 밀착하도록 장착한 구조인 것 (특허 문헌 1), 또는 광화이버의 코어의 접속 단부에 코어의 굴절률과 근사한 굴절률을 갖는 유연한 광투과체 또는 탄성체를 개재시킨 구조인 것 (특허 문헌 2 및 3) 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는 정합재 필름에 밀착시키기 위한 광화이버의 가압력 조절이 어렵고, 지나친 가압력이 가해지면 광화이버에 균열이나 결함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었다. 후자에 있어서도 탄성체의 탄성력만으로는 충분한 밀착성을 얻을 수 없어, 결과적으로 지나친 가압력이 가해질 우려가 있었다. 또한 양자는, 광화이버 접속시의 고정 상태가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굴절률 정합 부재의 기계적 또는 열적인 요인에 의한 팽창, 수축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쉽고, 항상 안정된 접속 형태를 유지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한, 종래 사용되고 있는 액 형상 또는 그리스 형상의 굴절률 정합제 및 고체의 굴절률 정합 부재에서는, 광화이버 접속시의 고정 상태가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기계적 또는 열적인 요인에 의하여, 팽창, 수축에 의해 영향을 받기 쉽고, 항상 안정된 접속 형태를 유지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기계적 진동이나 팽창 수축에 의해, 광화이버의 간격이 미소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액 형상 또 는 그리스 형상의 굴절률 정합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굴절률 정합제가 그 간극으로부터 흘러나가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고체의 굴절률 정합 부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굴절률 정합 부재와 광화이버 단면 사이가 쉽게 떨어지기 때문에, 화이버 사이의 간극에 공기가 들어가고, 기포가 개재되어, 광학 특성을 불량하게 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광화이버의 접속부의 한 면에 점착재가 도포된 유전체막을 부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4). 이 방법에 의하면, 유전체막의 한 면이 점착성을 갖기 때문에 한 쪽의 광화이버와의 밀착성 및 유지력을 높일 수 있지만, 타방의 면의 밀착력이 충분하지 않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광화이버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점착재층과 유전체막의 2 층 구조이기 때문에, 각 층의 계면 사이에서도 반사가 일어나므로, 접속 손실이 일어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점착재층이 박막이기 때문에 점착재층 표면의 강도는 약하고, 맞댄 광화이버의 단면이나, 그 버에 의하여 흡집이 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추가로, 굴절률 정합성을 갖는 부재 (산화막) 를 광전송 매체에 밀착하 도록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광화이버의 코어 단면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입사하여 광출력 단면에 레이저광에 의한 열산화막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5). 이 경우, 레이저광의 강도 조절이나 산화막의 원재료의 공급량, 산화막 원료 액체의 온도에 의해 산화막 상태가 변화하기 때문에, 소정의 상태로 조절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생산 효율이 나빴다. 또한, 액 형상의 원료를 가스화하여 반응실에 보내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설비에 드는 비용으로부터 고비용을 야기하 고 있었다.
특허 문헌 1 : 특허 제2676705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24641호
특허 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34532호
특허 문헌 4 :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5-153912호
특허 문헌 5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157935호.
이상과 같이, 현재의 광화이버에 가압을 가하여 광화이버 단면끼리를 부딪치게 하여 접속하는 방법 및 굴절률 정합제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종래의 제안보다도 간단한 구조로, 광화이버를 밀착시킨 상태로 유지하고, 또한 간편하게 장착, 착탈할 수 있고, 광학 안정성이 우수한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광학 접속 구조 및 광학 접속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검토 결과,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광화이버 등의 광전송 매체끼리 또는 광전송 매체와 광학 부품의 광학 접속을 매우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는, 서로 대향하는 광전송 매체의 단면 사이, 또는 광전송 매체의 단면과 광학 부품 사이에, 굴절률 정합성을 갖는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가 단일 층의 상태에서 밀착하여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 란, 상온에 있어서, 정적인 상태에서 유동하지 않고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는 점착성 접속 부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성 접속 부재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접속 후의 두께, 즉, 서로 대향하는 광전송 매체의 단면 사이, 또는 광전송 매체의 단면과 광학 부품 사이에 개재되는 점착성 접속 부재의 두께가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성 접속 부재의 점착 유지 거리가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성 접속 부재는 실리콘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광전송 매체가 상기 점착성 접속 부재와 접촉하는 단면의 중심에서 그 점착성 접속 부재의 주연부까지의 거리의 최소값 D 와, 그 광전송 매체의 반경 R 이,
R < D ≤ 60R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성 접속 부재는, 그 주연부가 지지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의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광학 접속 구조는, 서로 대향하는 코어를 갖는 광전송 매체 사이, 또는 코어를 갖는 광전송 매체와 광학 부품 사이에, 굴절률 정합성을 갖는 단일 층으로 이루어지는 점착성 접속 부재가 협치 (挾置) 된 것으로서, 광전송 매체의 코어의 중심에서 점착성 접속 부재의 주연부까지의 거리의 최소값을 D1, 최대값을 D2, 광전송 매체의 반경을 R, 광전송 매체의 코어의 반경을 r 로 하였을 때, D1 ≥ r, 또한, D2 ≤ 1.5R 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의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광학 접속 구조 는 적어도 하나의 광화이버 정렬 구멍을 갖고, 그 광화이버 정렬 구멍 내에 광화이버를 고정시킨 한 쌍의 페룰끼리를, 또는, 그 페룰을 포함하는 한 쌍의 플러그끼리를, 굴절률 정합성을 갖는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사이에 끼우고 맞대어 광학 접속한 것으로서, 그 점착성 접속 부재로서, 단일 층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형상 점착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페룰끼리 또는 상기 플러그끼리를 위치 맞춤하기 위한 부재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위치 맞춤을 하기 위한 부재가 슬릿 슬리브이고, 그 슬릿 슬리브 내에서 페룰끼리 또는 플러그끼리가 상기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사이에 끼우고 맞대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광학 접속 구조에 있어서, 위치 맞춤을 하기 위한 부재가 가이드핀이고, 상기 페룰 또는 플러그가 가이드핀 구멍을 갖고, 마주 대하는 가이드핀 구멍에 가이드핀을 삽입함으로써 페룰 또는 플러그의 위치 맞춤이 행해진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광학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페룰 또는 플러그가 어댑터에 장착되고, 상기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가 어댑터 내부에 유지되어 있고, 그리고 페룰끼리 또는 플러그끼리가 어댑터 내부에서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사이에 끼우고 맞대어져 광학 접속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 점착성 접속 부재가 단독으로 어댑터에 유지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점착성 접속 부재가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에서 어댑터에 유지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상기 광학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점착성 접속 부재가 지지 부재 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어도 되고, 그리고 점착성 접속 부재를 지지하고 있는 상기 지지 부재는 슬릿 슬리브 내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점착성 접속 부재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 부재는 통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통 형상 부재의 일단에 점착성 접속 부재가 지지되고, 통 형상 부재의 타단이 상기 페룰 또는 어댑터에 끼워 맞춰지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의 또 다른 구체적 양태에 있어서, 광학 접속 구조는 적어도 한 쌍의 광전송 매체와, 정렬 홈을 갖는 정렬 부재와, 굴절률 정합성을 갖는 자유롭게 변형되는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와, 그 점착성 접속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정렬 부재의 정렬 홈 내에 적어도 한 쌍의 광전송 매체의 단면을 대향하여 탑재시키고, 상기 광전송 매체 사이의 정렬 홈 상부에 지지 부재를 탑재시켜,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사이에 끼우고 적어도 한 쌍의 광전송 매체가 광학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학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정렬 부재에는 정렬 홈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지 부재를 탑재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광학 접속 구조에 있어서, 지지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갖고, 그리고 정렬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갖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 정렬 부재의 구멍에 지지 부재의 돌기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지지 부재를 정렬 홈 상부에 탑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접속 방법의 제 1 양태는, 광전송 매체 및 광학 부품과 굴절률 정합성을 갖는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사용하여, 광전송 매체의 단면끼 리 또는 광전송 매체의 단면과 광학 부품을 접속시키는 방법으로서, 서로 대향하는 광전송 매체의 단면 사이, 또는 광전송 매체의 단면과 광학 부품 사이에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배치하는 공정과, 일방의 광전송 매체의 단면을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에 밀착될 때까지 이동시키는 공정과, 그 일방의 광전송 매체의 단면을, 상기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가 변형을 수반하여 타방의 그 광전송 매체 또는 광학 부품에 밀착될 때까지 추가로 이동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 접속 방법의 제 2 양태는, 광전송 매체의 단면을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에 세게 눌러 밀착시킨 채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광전송 매체에 대하여 광전송 매체의 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일부를 단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분리하는 공정 및 단면에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가 부착된 광전송 매체를, 다른 광전송 매체 또는 광학 부품과 접합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가 단면 처리 부재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단면 처리 부재는 광전송 매체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갖고, 단면 처리 부재의 일단에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가 관통 구멍을 막도록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광학 접속 방법에 관하여, 광전송 매체로서 단부를 피복 제거하고, 커트한 광화이버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광화이버의 단부가 상기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에 밀착될 때까지, 광화이버를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광화 이버를 추가로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일부가 광화이버의 단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되고, 광화이버 단면에 점착성 접속 부재가 부착되어, 광화이버의 단면 처리가 행해진다. 이 방법의 경우에는, 광화이버의 이동만으로 용이하게 광화이버 단부에 점착성 접속 부재를 부착시킬 수 있고, 복잡한 장치나 고액의 설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계속해서, 이 단면 처리된 광화이버를, 다른 광화이버 그 밖의 광학 부품과 맞대고 광학 접합하여,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가 제작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광전송 매체에 대하여 광전송 매체의 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란,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광화이버 중 어떤 것을 이동시켜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그 이동 속도나 이동 거리는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광학 접속 방법의 제 3 양태는, 적어도 한 쌍의 광전송 매체와, 정렬 홈을 갖는 정렬 부재와, 굴절률 정합성을 갖는 자유롭게 변형되는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와, 그것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사용하여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는 광학 접속 방법으로서, 상기 정렬 부재의 정렬 홈 내에 적어도 한 쌍의 광전송 매체의 단면을 대향하여 탑재시키는 공정과, 대향하는 광전송 매체 사이의 정렬 홈 위에 자유롭게 변형되는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를 지지한 지지 부재를 탑재시키는 공정과, 대향하는 광전송 매체를 상기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사이에 끼우고 맞대어 광학 접속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 되는 광전송 매체로서는, 상기한 광화이버 외에 광도파로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광을 전송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광화이버도 어떠한 한정도 되지 않고, 그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어, 석영,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광화이버를 사용할 수 있고, 홀리 화이버도 이용 가능하다. 또한 광도파로로는, 폴리이미드 광도파로, PMMA 광도파로, 에폭시 광도파로 등이 이용된다. 또한, 사용하는 두 개의 광전송 매체의 종류가 상이하더라도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의 젖음성에 의해 밀착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이한 외경의 광전송 매체라도, 코어 직경이 동일하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광화이버의 개수, 광도파로의 매수도 어떠한 한정도 되지 않고, 복수개의 광화이버로 이루어지는 광화이버 테이프 심선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전송 매체와 광학 접속되는 광학 부품으로는, 광학 렌즈, 필터 등을 들 수 있고, 그 종류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학 렌즈는, 예를 들어 양볼록, 양오목, 요철, 평볼록, 비구면 등의 각종 형상을 갖는 것이나, 콜리메이트 렌즈, 로드 렌즈 등을 들 수 있고, 필터로는, 예를 들어 일반 광통신용 필터 외에, 다층막 필터나 폴리이미드 필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는, 광전송 매체 또는 광학 부품에 접촉되었을 때에, 적절한 택성을 동반하고, 광전송 매체의 단부에 밀착되는 부재이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광전송 매체와의 사이에서 탈착성을 갖고, 응집 파괴되지 않고, 떼어낸 광전송 매체에 부착되지 않는 점착성 재료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고분자 재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에폭시계, 비닐계, 실리콘계, 고무계, 우레탄계, 메타크릴계, 나일론계, 비스페놀계, 디올계, 폴리이미드계, 불소화 에폭시계, 불소화 아크릴계 등의 각종 점착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들 중에서도, 내환경성, 접착성, 그 밖의 면에서 실리콘계 및 아크릴계 점착재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재료에 따라서는 다공 구조가 되는 경우도 있지만, 접속시에 점착성 접속 부재에 적당한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점착성 접속 부재를 압축하면, 공기를 없앨 수도 있고, 광손실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실리콘계 점착재란, 주쇄의 골격이 Si-O-Si 결합 (실록산 결합) 으로 이루어지는 점착재를 의미하고, 실리콘 고무 또는 실리콘 레진으로 구성된다. 그들은, 유기 용제가 용해된 상태에서 도포하여 고화 또는 성막된다. 실리콘 고무의 주폴리머는, 직쇄 형상의 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서, 메틸기의 일부를 페닐기나 비닐기로 치환한 것도 포함된다. 또한, 실리콘 레진은 복잡한 삼차원 구조를 가진 분자량 3000 ∼ 1 만 정도인 것이 사용되고, 고무계 점착재에 있어서의 접착 부여 수지의 역할을 한다. 또, 실리콘계 점착재에는, 가교제, 연화제, 점착 조정제, 그 밖의 첨가제를 첨가하고, 접착력, 젖음성을 조절하거나, 내수성, 내열성을 부여해도 된다.
실리콘계 점착재는 내열 유지력이 우수하고, 고온, 저온 환경 하에서도 접착력이 우수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실리콘계 점착재를 두 개의 광전송 매체 사이 또는 광전송 매체와 광학 부품 사이에 개재시킨 광학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고온 환경 하 (∼ 250℃), 또는 저온 환경하 (∼ -50℃) 에 있어서도 접속부의 밀착이 유지되어, 항상 안정된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고온을 이력한 후에도 경화되거나 황변되지 않고, 피착체로부터 양호하게 박리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계 점착재는, 전기 절연성, 내약품성, 내후성, 내수성이 우수하고, 광범위한 재료, 예를 들어 불소 수지로 제작된 플라스틱 광화이버나, 클래드층이 불소 수지로 코팅된 광화이버 등에 대해서도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광도파로나 광학 부품에 관해서도, 불소 폴리이미드 등의 불소 수지 베이스인 것에 대해서도 점착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점착재란, 그 기본 구조가 아크릴산의 탄소수 2 ∼ 12 의 알킬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의 탄소수 4 ∼ 12 의 알킬에스테르를 주모노머로 하여 구성된 폴리머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류,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주모노머와 공중합하는 모노머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아세트산비닐,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전송 매체에 밀착시키기 위해 필요한 응집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아크릴계 점착재에는 가교 구조를 갖게 할 수 있다. 그를 위해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히드록시에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의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를 소량 공중합시키면 된다. 이들의 조성과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점착성, 응집성, 택성 등의 물성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의 구체예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모노카르복실산, 말레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글루타콘산, 이타콘산 등의 다가 카르복실산 및 이들 산무수물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재에는, 제조시에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는 에멀전계 점착재와, 유기 용제를 사용하는 솔벤트계 점착재가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솔벤트계 점착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솔벤트계 점착재는 내수성이 우수하고, 투명한 점착재 피막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솔벤트계 점착재는, 예를 들어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 등의 케톤류 등의 유기 용제 중에서 모노머를 라디칼 중합시키거나, 또는 유화제의 존재 하에서 모노머의 유화 수분산체를 유화 중합시킴으로써 합성된다.
광학 접속 부품은, 광이 접속부를 통과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아크릴계 점착재는 투명성이 우수한 재료인 것이 필요하고, 사용하는 파장, 즉, 가시광 및 근적외 영역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이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재는, 가교제나 경화제를 조정함으로써, 비교적 용이하게 투명성을 낼 수 있는 재료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하는 파장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이 90% 이상인 것이다.
아크릴계 점착재는, 유리나 플라스틱 등에 대하여 양호하게 밀착됨과 함께, 내수성, 내약품성도 우수하다. 이것을 두 개의 광전송 매체 사이 또는 광전송 매체와 광학 부품 사이에 개재시킨 광학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접속부의 밀착을 유지하여, 항상 안정된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0℃ ∼ 80℃ 의 온도 범위에서 우수한 접착력을 갖기 때문에, 통상의 외기온 환경 하에서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내후성도 우수하고, 고무계의 점착재에 발생하기 쉬운 자외선 열화가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 중에 경화되거나 황변되는 일이 없고, 피착체로부터 양호하게 박리할 수 있다. 또한, 저렴하다는 이점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는, 상기 점착재를 필름화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이어도 되고, 또한, 정적인 상태에서 유동하지 않고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지만, 자유롭게 변형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가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인 경우,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접속부 주위의 환경이나 수단에 맞추어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어 원형상, 타원형상, 사각형상, 삼각형상 등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사이즈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는, 광전송 매체 상호 사이에서, 및 광전송 매체와 광학 부품 사이에서 굴절률 정합성을 갖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의 굴절률 정합성이란, 점착성 접속 부재의 굴절률과 광전송 매체 및 광학 부품의 굴절률과의 근사 정도를 말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점착성 접속 부재의 굴절률은, 광전송 매체 및 광학 부품의 굴절률에 가까운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프레넬 반사의 회피에 의한 전송 손실 면에서, 그들 굴절률의 차가 ± 0.1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 0.05 이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광전송 매체와 광학 부품의 굴절률의 차가 큰 경우에는, 광전송 매체와 광학 부품의 굴절률의 평균값과 점착성 접속 부재의 굴절률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접속 부품에 있어서, 광전송 매체의 단면 사이, 또는 광전송 매체의 단면과 광학 부품 사이에 개재하는 점착성 접속 부재의 두께는, 맞댈 때의 가압력에 의존하지만,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맞대어진 후의 두께가 50㎛ 보다 크면, 맞대어진 광전송 매체의 간격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광손실이 증대하여, 광전송용의 접속 구조로서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것은, 광전송 매체와 광학 부품 사이에서도 동일하다.
점착성 접속 부재의 교환은, 예를 들어 그 표면에 먼지, 또는 티끌이 부착된 등의 경우에 적절히 행하면 된다. 또한, 교환 전의 이물 혼입을 막기 위하여, 점착성 접속 부재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을 부착해 두어도 된다. 또, 광전송 매체 선단부를 점착성 접속 부재에 수 회 세게 누르거나, 문지름으로써, 광전송 매체 단부에 부착된 오염이나 티끌을 점착재에 부착시킨 후, 점착성 접속 부재를 교환하면, 광전송 매체의 청소 수단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가 단일 층 구조이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광의 반사가 일어나는 일이 없다. 또한, 액 형상의 굴절률 정합제에서 볼 수 있는, 홀리 화이버 공공부 (空孔部) 에의 굴절률 정합제의 침입과, 그에 따른 광화이버 전송 특성에 대한 악영향에 관해서는, 점착성 접속 부재에서는 전혀 인정되지 않는다. 또한, 점착성 접속 부재는 고형이기 때문에, 접속부 주위에 흘러 퍼짐에 의한 오염이나, 먼지의 부착이 일어나기 어려워져 취급성이 향상된다. 또한, 광전송 매체 단면에만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위를 오염시키지 않고, 주위로부터 오염되는 일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는, 접촉에 의하여 광전송 매체의 단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점착성 접속 부재를 유지하는 특별한 지지 수단이나 구조물을 새롭게 형성할 필요가 없고, 간단한 지지 부재로 지지할 수 있어, 스페이스 절감화가 도모된다. 또한,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는 자유롭게 내부 변형되기 때문에, 광전송 매체 단부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기 어려워지고, 연마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저손실로 접속이 가능하고, 또한 점착성 접속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복수 회 반복하여 광학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가 시트 형상인 경우, 광화이버 단면끼리의 간격을 균일하게, 또한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광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광전송 매체의 축 방향으로 신장하면서 평면으로부터 물결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광전송 매체에 지나친 가압력이 가해지기 어려워져, 광전송 매체가 파손되는 일이 없다. 또한, 다심 광화이버 테이프의 접속이라도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다. 즉, 점착성 접속 부재가 복수의 광화이버 각각에 대하여, 부딪치게 함에 따라 변형되기 때문에, 광화이버의 돌출량에 편차가 있는 경우라도, 광화이버가 파손되는 일이 없이, 안정적인 광학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렌즈나 필터를 광화이버와 접속시키는 경우에는, 최소 면적에서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점착성 접속 부재를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점착성 접속 부재가 지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점착성 접속 부재의 착탈시에 지지 부재를 이동시키면 되고, 점착성 접속 부재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어, 작업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접속 방법에 의하면, 광화이버의 상대적인 이동만으로 용이하게 광화이버 단면에 점착성 접속 부재를 밀착시킬 수 있어, 복잡한 장치나 고가의 설비를 사용하는 일이 없고, 또한 제조시에 있어서의 환경 조건을 엄밀히 설정하는 일이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 및 광학 접속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가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인 경우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23 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은 시트 형상의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사용한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의 기본적인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광전송 매체로서 광화이버를 사용하고 있다. 도 1 에 있어서, 광화이버 (10a) 와 광화이버 (10b) 의 접속 단면 사이에,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가 부착된 상태로 개재되어 있다. 2 개의 광화이버 (10a 및 10b) 는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를 통해 맞대어지고, 그에 따라 그들 광화이버가 광학적으로 접속된 접속 구조로 되어 있다. 또, 2 개의 광화이버 (10a, 10b) 는 선단으로부터 수 십 mm 부분의 피복이 제거되고, 그리고 선단이 커트되어 있다.
광전송 매체의 단면끼리 또는 광전송 매체와 광학 부품이 광학 접속하기 전의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두께 t 는, 1㎛ ≤ t ≤ 15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성 접속 부재의 두께가 1㎛ 보다 얇아지면 취급성이 매우 곤란해지고, 또한 유연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광전송 매체의 부딪침에 의해 광전송 매체 또는 광학 부품의 파손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대로 150㎛ 이상이면, 광전송 매체를 부딪치게 함에 따라 점착성 접속 부재를 변형시킨 경우라도 광전송 매체 단면끼리 또는 광전송 매체와 광학 부품의 간격이 지나치게 벌어지기 때문에 광손실이 커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t ≤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t ≤ 50㎛ 이고, 특히 5㎛ ≤ t ≤ 30㎛ 이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는, 단일 층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단일 층」 이란, 2 층, 3 층 구조와 같이 이종 (異種) 재료가 접하는 계면이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내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광의 파장 오더에 의해 균일하게 혼합된 계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는, 상기와 같이 점착성을 가지는 단일 층으로 이루어지는 매우 단순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 단일 층 구조의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광반사가 일어나지 않고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저손실의 접속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화이버의 단면에 버가 있더라도,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 또한, 표면이 젖음성을 가짐으로써, 맞대어지는 두 개의 광화이버의 단면에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고, 또한 그 접착력에 의해 광화이버와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동시에 굴절률 정합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양호한 광학 접속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는, 표면에 젖음성 및 접착력이 있기 때문에, 광화이버의 맞댐시에 지나친 가압을 가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광화이버의 절단이나 결함이 일어날 우려는 없다. 또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는, 점착재의 특성으로서 재박리성을 갖기 때문에, 복수 회의 착탈을 행하더라도 반복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는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사용한 경우의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광화이버 (10a) 와 광화이버 (10b) 의 접속 단면이, 유연성을 갖는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를 통해 맞대어지고, 그에 따라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가 변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유연성을 갖는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는, 그 막두께가 어느 정도 두꺼운 경우라도, 2 개의 광화이버 사이에서 내부 변형시켜 2 개의 광화이버를 근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막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어, 그 취급이 매우 간편해진다. 또한, 맞대어지는 2 개의 광화이버 단면의 각도의 어긋남이나 형상이 변형되어 있더라도,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가 광화이버의 단면에 밀착하면서 변형되기 때문에, 광화이버 단부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기 어려워지고, 고정밀도의 연마 기술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저손실인 광학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가 가지는 접착력에 의해, 광화이버에 진동, 또는 열적인 형상 변화가 있더라도, 광화이버를 안정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는, 그 표면이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맞대었을 때에 있어서의 광화이버 단면의 파손이 없고, 광학 접속시의 취급성이 매우 양호하다. 또한 추가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는 그 유연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기 때문에,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복수 회 사용하여, 광화이버의 광학 접속 구조로부터의 탈착을 반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 은 유연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사용한 경우의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도면의 경우,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의 양단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구성 부재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이 광학 접속 구조의 형성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단부를 피복 제거하고, 커트한 광화이버 (10a, 10b) 및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를 일정한 간격을 두어 설치시켜 두고, 일방의 광화이버 (10a) 를, 그 단면이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에 밀착될 때까지 이동시키고, 또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변형시키면서 타방의 광화이버 (10b) 에 밀착될 때까지 이동시킨다. 그에 따라, 광화이버 (10a, 10b) 가 기계적으로 광학 접속된 광학 접속 구조가 형성된다. 이 경우,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가 변형되고, 맞대기 전의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단면의 위치에 대하여, 맞대어진 광화이버 단면의 위치가 상이해지고,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형상이 평판에서 파형 형상으로 변형된다.
상기의 경우,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가 광화이버의 축 방향으로 신장하면서 변형되기 때문에, 광화이버에 지나친 가압력이 가해지기 어려워져, 광화이버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일방의 광화이버를 고정시켜 두고, 타방의 광화이버를 상기와 같이 이동시키기 때문에, 미묘한 정밀도를 요하는 광화이버의 위치 맞춤이 불필요해지고, 실용상, 보다 신뢰성이 있는 광학 접속 구조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또한, 광화이버의 접속을 해제한 경우에는,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가 유연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형상도 변형 전의 형상으로 되돌아가, 다시 동일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되는 광화이버 단면의 주변 영역에 일정한 간격 또는 공간이 존재하면,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가 유연하게 신장하면서 평면 형상에서 파형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광화이버의 착탈을 반복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경우의 변형이란,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자체가 신장하면서 변형되는 것을 의미하지만, 도 2 와 같은 내부에 움푹 패이도록 압축되어 변형되어도 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에 있어서의, 광화이버 (10) 와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의 접속 부분을 광화이버의 축에 대하여 수직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 에 있어서, D 는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와 접촉하는 광전송 매체 (광화이버 (10)) 의 단면 (10c) 의 중심 (11) 에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주연부 (22) 까지의 거리의 최소값이고, R 은 광전송 매체의 반경이다.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가 상기와 같이 변형되기 위해서는, D 의 값과 R 의 값이 R < D ≤ 60R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a) ∼ (e) 는, 여러 형상의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에 대한 D 의 값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광화이버의 축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또한, 도 5 (f) 는 후술하는 광화이버의 단면에만 점착성 접속 부재를 형성한 경우의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5 (a) ∼ (e) 중, 10a 는 광전송 매체 (광화이버 (10)) 가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와 접촉하는 광전송 매체의 단면, 11 은 그 단면의 중심, 22 는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의 주연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e) 와 같이 다심의 광전송 매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D 는 근접하는 광전송 매체의 단부의 접촉 위치와 광화이버 중심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단, 후술하는 지지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경우나, 어떠한 고정 부재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고정시킨 경우에는, D 의 값은, 지지 부재, 또는 고정 부재가 접촉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주연부와 광화이버 중심의 최단 거리를 나타낸다.
도 5 (a) ∼ (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주변에 일정한 공간을 갖게 한 경우,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가 광화이버를 밀착 시킨 상태라도, 자유도를 갖고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D 의 값이 60R 보다 큰 경우에는, 광화이버의 돌출에 의해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변형량이 커지고, 전체적으로 이완이나 주름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가 찢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광화이버를 떼어냈을 때의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복원력도 약해지기 때문에, 재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D 가 R 과 동일한 경우에는, 광화이버를 맞대었을 때에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가 밀착되지만,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물결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없다. 또한 D 가 R 보다 작은 경우에는 광화이버 표면 전체에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가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공기에 접촉하여 광손실이 증대된다. 또한, D 의 범위는 2R ≤ D ≤ 30R 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광전송 매체가 광화이버와 같은 원주 형상이 아니고, 도파로와 같은 사각주 형상일 때는, R 의 값으로는 도파로 단면의 장방형의 대각선 절반의 길이를 R 의 값으로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내는 광학 접속 구조의 경우,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는 항상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지지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은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에 사용하는 시트 형상의 점착성 접속 부재의 주연부가 여러 지지 부재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a) ∼ (d) 및 (g)) 및 평면도 (도 6 (e) 및 (f)) 이다. 지지 부재 (31) 는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를 파지할 수 있고, 또한 적어도 그 양단을 고정시킬 수 있으면 되고, 그 형상은 도 6 (a) 와 같이 양단을 파지한 간이한 형상이거나, 도 6 (b) 와 같은 3 방향을 고정시킨 ㄷ 자 형상이어도 상관없지만, 상하 좌우 방향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도 6 (c) ∼ (g) 와 같은 창형 (窓型) 형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 6 (e), 도 6 (f) 와 같이 지지 부재를 유지하기 쉽게 유지부 (311) 를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은 유지부를 갖는 지지 부재의 경우에는, 후술하는 슬릿 슬리브를 사용한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에 있어서, 유지부를 파지하면서 지지 부재를 슬릿 슬리브에 삽입하고, 중앙 근방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부재의 개수에 관해서도 한정하지 않고, 안정화하기 위하여 도 6 (g) 와 같이 두 개의 지지 부재 (31a, 31b) 에 의해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끼운 구조이어도 상관없다. 또, 지지 부재의 사이즈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 환경 및 수단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지지 부재의 재료에 관해서도, 금속류, 플라스틱 재료, 고무 재료 등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지지 부재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고정시킴으로써,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가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테두리 형상의 지지 부재에 의하여 고정시킨 경우에는, 설치 작업에 있어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에 접촉하지 않고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표면의 오염이나 티끌 등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교환 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7 은 위치 맞춤 부재로서, 접속용 정렬 부재를 사용한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그 구성은 두 개의 광화이버 (10a, 10b), 접속용 정렬 부재 (40), 지지 부재 (31) 에 의해 지지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로 이루어진다. 접속용 정렬 부재 (40) 는, 중앙에 홈 (401) 을 갖고, 홈 (401) 을 사이에 끼운 양 측에 광화이버 소선 또는 광화이버 심선을 삽입하기 위한 한 쌍의 관통 구멍 (402a, 402b) 을 갖고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광학 접속 구조는, 관통 구멍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를 상기 홈 (401) 에 삽입하고, 이어서 상기 접속용 정렬 부재 (40) 의 관통 구멍 (402a, 402b) 에, 선단을 피복 제거하여 커트한 광화이버 심선 (10a, 10b) 을 삽입하고, 각 광화이버의 단면을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에 세게 누름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속용 정렬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광화이버끼리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접속용 정렬 부재의 홈에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접속용 정렬 부재 내에 수납할 수 있고, 취급성과 먼지·티끌의 부착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속용 정렬 부재에 의한 광화이버의 위치 맞춤 수단 및 방법은, 광화이버 단면이 동축 상에서 위치 맞춤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7 과 같이 관통 구멍을 사용하여 광화이버를 삽입하거나, 또는 V 홈 등의 정렬 홈 위에 광화이버를 탑재해도 된다. 또한, 접속용 정렬 부재의 사이즈는, 특별히 한 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화이버의 종류 또는 개수에 의하여 적절히 선택하면 되고, 그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반원주 형상, 직방체 형상 등의 형상을 들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의 구조 및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V 홈 기판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유리 등의 평판을 위에서 누르고, 그 둘러싸인 홈을 관통 구멍으로 해도 되고, 이 경우, 광화이버의 탑재를 상부로부터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어 MT 커넥터 페룰 등의 기존의 부재도, 상기 접속용 정렬 부재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접속용 정렬 부재를 구성하는 재료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수지와 같은 마찰 계수가 작은 재료나 열변형되기 어려운 등의 기계 특성이 양호한 재료, 스테인리스강, 삼불화에틸렌 수지,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수지 등의 부식되지 않는 재료, 또는 화학 물질이나 용제에 대하여 반응성이 작은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용 정렬 부재는 다수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삽입하는 홈을 갖는 부재와, 관통 구멍을 갖는 부재를 조합한 구조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관통 구멍을 갖는 두 개의 정렬 부재에 가이드핀 구멍 등을 형성하고 가이드핀을 삽입함으로써, 이들 정렬 부재끼리를 정확하게 위치 맞춤할 수 있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한, 관통 구멍 선단을 광화이버의 탑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콘 형상으로 하는 등의 가공을 실시해도 된다. 상기 접속용 정렬 부재에 형성된 점착성 접속 부재용의 홈은, 그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삽입하고, 고정시킬 수 있으면 되고, 그 형상이나 위치, 수에 관해서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8 은, 광화이버와 광학 부품을 접속시킨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도면의 경우, 광학 접속 구조는,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와 광화이버 (10) 및 광학 렌즈 (19) 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광화이버 (10) 의 단면이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에 밀착될 때까지 이동시킨 후, 추가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가 변형되어 광학 렌즈 (19) 에 밀착될 때까지 광화이버 (10) 를 이동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로부터 외주부를 향하여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볼록 형상의 광학 부품이라도, 본 발명에 의하면 용이하게 광학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하면, 광학 부품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안정적인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점착성 접속 부재는, 적어도 광화이버의 코어부만이 광학 렌즈에 밀착되도록 하면 된다. 따라서, 점착성 접속 부재를 용이하게 광학 렌즈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광학 렌즈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사용하여 광화이버의 단면 처리를 행하고, 단면에만 점착성 접속 부재를 형성한 광학 접속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7 은 그 경우에 관한 것이다.
도 9 는,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사용하여 제작된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의 다른 기본적인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즉, 2 개의 광화이버 (10a 와 10b) 가 점착성 접속 부재 (20) 를 통해 맞대어져 있고, 그에 따라 광화이 버가 광학적으로 접속된 광학 접속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 두 개의 광화이버는 선단으로부터 수 10mm 를 피복 제거하고, 선단이 커트되어 있다. 이 도면의 경우,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는, 후술하는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단면 처리법에 의하여 광화이버의 단면에만 형성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성 접속 부재를 단면에만 형성한 광학 접속 구조의 경우, D1 ≥ r, 또한 D2 ≤ 1.5R 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f) 는, 그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D 는 코어 (13) 와 클래드 (12) 로 이루어지는 광화이버 (10) 의 코어의 중심 (11) 에서 점착성 접속 부재 (20) 의 주연부까지의 거리, R 은 광화이버의 반경, r 은 코어의 반경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화이버 (10) 의 코어의 중심 (11) 에서 점착성 접속 부재 (20) 의 주연부까지의 거리 D 의 최소값 D1 은 코어의 반경 r 이상이고, 또한, 최대값 D2 는 광화이버의 반경 R 의 1.5 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경우, 점착성 접속 부재의 점유 범위를, 최소한 코어 (13) 전역을 덮을 수 있고, 최대한 광화이버 단면으로부터 1.5 배를 초과하여 과잉되게 밀려나오지 않을 정도로 함으로써, 점착성을 갖는 접속 부재가 광전송 매체의 단면 또는 단면 근방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먼지의 부착이 일어나기 어려워져, 취급성이 향상된다. 또한, 점착성 접속 부재를 유지하는 특별한 수단 또는 구조물을 새롭게 형성할 필요가 없고, 매우 단순한 접속 구조가 되어 스페이스 절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D1 이 광화이버의 코어의 반경 r 보다 작은 경우에는, 광이 전송하는 코어 부분에서 점착성 접속 부재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게 되어, 그 부분에서 광손실이 일어난다. 또한, D2 가 1.5R 보다도 큰 경우에는, 점착성 접속 부재의 광화이버 단면을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 커지고, 주위로부터의 티끌이나 먼지의 부착이 일어나기 쉬워지는 것이나, 점착성 접속 부재가 다른 부품과 접촉될 우려가 발생하기 때문에, 양호한 접속 성능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 광화이버에 가압을 가할 때에, 점착성 접속 부재에 균일하게 가압이 가해지도록 하기 위하여, 또한 광화이버 단면으로부터 점착성 접속 부재가 밀려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대략 D1 = D2 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D1 = D2 = r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경우, 점착성 접속 부재는 맞대어진 광화이버의 단부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광화이버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사이즈가 되고, 점착성 접속 부재의 점유 범위는 매우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매우 심플한 구조로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주위의 오염이나 티끌 등과 접촉하는 일도 없기 때문에 오염되는 일도 없고, 흘러 나오는 일도 없기 때문에 주위를 오염시키는 일도 없다.
도 10 및 도 11 은, 도 9 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전송 매체의 단면 처리 방법의 일례의 공정도이고,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단면에만 부착시키는 기본적인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0 의 경우, 광전송 매체로서 광화이버가 사용되고 있다. 도 10 에 있어서, 단부를 피복 제거하고, 커트한 광화이버 (10) 의 측방에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가 설치되어 있 다.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양단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적절한 부재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우선, 광화이버 (10) 의 단면이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에 접촉될 때까지, 광화이버를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광화이버를, 추가로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일부가 광화이버의 단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되고, 광화이버 단면에 점착성 접속 부재 (20) 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1 에 있어서는, 광화이버 (10) 의 단부가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에 접촉될 때까지, 광화이버를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광화이버를 역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점착성 접속 부재의 점착성을 이용하여,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일부가 광화이버의 단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되어, 광화이버 단면에 점착성 접속 부재 (20) 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도 10 에 나타내는 방법보다도 광화이버의 이동 범위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 스페이스를 더욱 스페이스 절감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는 바람직한 일례를 설명하는 공정도로서, 접속용 정렬 부재를 사용하여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선단을 피복 제거하여 커트하고, 단면에 점착성 접속 부재 (20) 를 부착시킨 광화이버 (10a) 를, 관통 구멍을 갖는 접속용 정렬 부재 (41) 의 관통 구멍 (411) 에 삽입한다 (도 12 (a)). 다음으로 대향측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선단을 피복 제거하고, 커트한 광화이버 (10b) 를 삽입하고, 그 광화이버의 단면을 점착성 접속 부재에 세게 누름으로써, 광학적인 접속을 행한다 (도 12 (b)).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성 접속 부재는, 접속에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에서 광화이버 단면을 덮고 있기 때문에, 좁은 관통 구멍을 갖는 정렬 부재 내이더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성 접속 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특별한 부재는 필요로 되지 않기 때문에, 광화이버의 축 방향의 이동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부품의 실장시에는, 접속 상태를 유지한 채로 자유롭게 광화이버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접속용 정렬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점착성 접속 부재를 접속용 정렬 부재 내에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취급성과 먼지·티끌의 부착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기 위한, 광전송 매체의 단면 처리 방법의 다른 일례의 공정도로서, 1 장의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로부터 복수의 광화이버의 단면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을 피복 제거하고, 커트한 광화이버 테이프 심선 (15) 을 광화이버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광화이버 (101 ∼ 104) 의 단면을 도시되어 있지 않은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에 접촉시킨다 (도 13 (a)). 그리고, 추가로 이동시킴으로써,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일부가 광화이버의 단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되고, 각 광화이버 (101 ∼ 104) 의 단면에 점착성 접속 부재 (201 ∼ 204) 를 일괄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3 (b)). 이 경우, 광화이버 테이프 심선 (15) 의 광화이버 선단의 커트에 편차가 있더라도 그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각 광화이버에 동일하게 접속 부재를 밀착시킬 수 있다. 또, 도면에 있어서는 4 개의 광화이버를 나타내고 있지만, 그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 는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기 위한, 광전송 매체의 단면 처리 방법의 일례의 공정도로서, 단면 처리를 위하여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지지하는 단면 처리용 부재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단면 처리용 부재 (61) 는 1 개의 관통 구멍 (611) 을 갖고 있고, 관통 구멍은 광화이버 심선 또는 광화이버 소선을 삽입할 수 있다. 단면 처리용 부재의 한 면에는 관통 구멍을 덮도록 시트 형상 접착성 접속 부재 (21) 가 부착되어 있다. 선단을 피복 제거하고, 커트한 광화이버 (10) 를 관통 구멍 (611) 에 삽입하고 (도 14 (a)), 시트 형상 접착성 접속 부재와 광화이버 (10) 의 단면이 접촉될 때까지 이동시키고 (도 14 (b)), 추가로 광화이버를 이동시켜 관통 구멍을 관통함으로써,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일부가 광화이버의 단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되어, 광화이버 단면에 점착성 접속 부재 (20) 를 부착시킬 수 있다 (도 14 (c)). 이 도면에 나타내는 경우,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를 지지하는 단면 처리용 부재 (61) 를 형성함으로써,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분리를 광화이버의 형상에 맞추어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수율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각도를 갖고 있는 광화이버의 단면이더라도, 확실하게 점착성 접속 부재를 부착시킬 수 있다.
도 15 는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기 위한, 광전송 매체의 단면 처리 방법의 일례의 공정도로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지지하는 단면 처 리용 부재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 은 도 15 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의 경우, 단면 처리용 부재 (62) 는, 광화이버를 안내하는 V 자 형상 정렬 홈 (621) 을 갖는 하부 기판 (622) 위에, 유리 등의 상부 평판 (623) 을 탑재한 구조를 갖고 있고, 위치 맞춤 부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정렬 홈 (621) 과 상부 평판 (623) 에 의하여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단면 처리용 부재의 일단에는,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가 부착 고정되어 있다 (도 15 (a)). 이와 같은 단면 처리용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광화이버 (10) 를 정렬 홈에 탑재한 후, 상부 평판 (623) 을 하부 기판 (622) 위에 올리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 (a)). 그리고 정렬 홈에 탑재한 광화이버 (10) 는, 정렬 홈을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그 단면을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에 접촉시키고 (도 15 (b)), 추가로 이동시켜, 그 단면에 점착성 접속 부재 (20) 를 부착시킬 수 있다 (도 15 (c)). 또한, 관통 구멍을 관통한 후, 상부 평판 (623) 을 분리시킴으로써, 점착성 접속 부재를 형성한 광화이버 (10) 를 상방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도 15 (d)).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4 및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지지하는 단면 처리용 부재를 사용하여 단면 처리한 경우,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할 때의 광화이버끼리의 위치 맞춤 방법은, 광화이버 단면이 동축 상에서 위치 맞춤되어 있으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단면 처리용 부재의 사이즈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도 7 에 있어서 서술한 접속용 정렬 부재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도 17 은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기 위한, 광학 접속 방법의 일례의 공정도로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지지하는 접속용 정렬 부재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접속용 정렬 부재 (40) 는, 중앙 부근에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지지하는 깊은 홈 (403) 을 갖고, 또한, 그 깊은 홈을 사이에 끼운 양 측에는, 동축의 한 쌍의 관통 구멍 (402a, 402b) 을 갖고, 광화이버의 정렬 기능을 가짐과 함께,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지지하는 기능도 동시에 구비하고 있다 (도 17 (a)). 우선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를 관통 구멍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깊은 홈 (403) 에 삽입한다 (도 17 (b)). 다음으로 피복 제거하고, 커트한 광화이버 (10a) 를 관통 구멍 (402a) 에 삽입하고, 관통 구멍 내에서 광화이버의 단면을 시트재에 접촉시키고, 추가로 광화이버를 이동시켜, 타방의 관통 구멍 (402b) 에 삽입시킨다. 이에 따라,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일부가 분리되고, 광화이버의 단부에 점착성 접속 부재 (20) 가 부착된다 (도 17 (c)). 다음으로, 또 한 쪽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다른 광화이버 (10b) 를 삽입하고, 점착성 접속 부재에 밀착될 때까지 이동시킨다 (도 17 (d)). 이 도면에 나타내는 경우, 광화이버의 접속점의 위치는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취급성과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는 어댑터에 장착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지지 부재에 지지되어 슬릿 슬리브 내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도 18 내지 도 23 은 그들의 경우를 예시하는 것이다.
도 18 은, 광화이버를 정렬하여 파지하는 MT 페룰을 구비한 MPO 커넥터 플러 그 (71a, 71b) 가 어댑터 (50) 를 통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어댑터로서는, 예를 들어 도 19 및 도 20 에 나타내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9 의 경우, 어댑터 내의 MT 페룰이 맞대어지는 중심 근방에, 적당한 부재에 의해 상하 방향에서 파지되어 있는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가 배치되어 있다. 즉, 두 개로 분리된 MPO 어댑터의 일방 (511) 에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를 배치하고, 다른 일방 (512) 을 나사 등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내부에 점착성 접속 부재를 배치한 어댑터가 준비된다. 이와 같이, 미리 어댑터 내에 시트 형상 점착재로 이루어지는 접속 부재를 배치시키면, 접속 부재에 주위 환경으로부터의 오염이나 먼지 등의 부착이 발생되지 않고, 또한 페룰 단면에 접속 부재를 탑재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작업성도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도 20 의 경우, MPO 어댑터 (51) 는, MT 페룰이 맞대어지는 중심 근방에 상부가 개방된 홈 (513) 을 갖고 있다. 이 홈에, 상기 도 16 (c) 와 같은 상하 방향을 파지되어 있는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삽입한다. 이와 같이 어댑터 내에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된 점착 접속 부재를 장착하는 기구를 갖고 있으면,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 부재를 교환하는 것이 간단하여,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광학 접속에는 하나의 어댑터를 복수 회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을 FC 형 광커넥터에 적용하는 어댑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21 에 있어서, 어댑터 (52) 에는 슬릿 슬리브 (49) 가 장착되어 있고, 슬릿 슬리브는 중심 근방에,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가 배치되어 있다. 점 착성 접속 부재로는, 슬릿 슬리브를 어댑터에 장착하기 전에, 슬릿 슬리브의 슬릿 부분으로부터 경화 가능한 점착재를 흘려 넣고, 경화시켜 형성한 막 형상인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미리 어댑터 내의 슬릿 슬리브 내에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접속 부재를 확실하게 페룰 단면에 탑재시킬 수 있어, 작업성도 향상된다.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은, 상기와 같이 슬릿 슬리브 내에 경화에 의하여 고정시키는 등,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접속 부재가 항상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지지 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도 22 (a) 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가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지지 부재 (31) 는 페룰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원형이고,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의 외주를 파지하고 있다. 도 22 (b) 는, 도 22 (a) 에 나타내는 지지 부재에 의하여 지지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가 슬릿 슬리브 내에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지지 부재 (31) 에 의해 지지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를 슬릿 슬리브 (49) 에 대하여 수직으로 탑재하고, 이것을 슬릿 슬리브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통형 가압 부재 (91) 에 의해, 슬릿 슬리브 내에 밀어 넣고, 중앙 부근에 탑재한다. 상기와 같이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시킴으로써, 페룰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교환은, 페룰을 빼낸 후에 지지 부재를 가압 부재 (91) 에 의해 밀어 넣음으 로써, 슬릿 슬리브 내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기 때문에, 슬릿 슬리브나 어댑터를 그대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3 은 상기 슬릿 슬리브를 사용하여 페룰을 맞댄 경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 (31) 에 의하여 지지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가 장착된 슬릿 슬리브 (49) 에, 광화이버 (10a, 10b) 를 고정시킨 한 쌍의 페룰 (75a, 75b) 을 삽입한다. 이들 페룰은, 그 선단 형상이 볼록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때문에 광학 접속시에는, 그 맞대어진 페룰 선단의 볼록부와 볼록부 사이에 간극이 발생한다. 지지 부재 (31) 는,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와 페룰 단면의 접촉을 방해하는 일이 없도록, 발생된 페룰 사이의 간극에 위치하게 되고, 그에 따라 광학 접속 구조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점착성 접속 부재가 시트 형상이 아니라, 자유롭게 변형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4 내지 도 29 는 그 경우를 예시하는 것이다.
도 24 는 자유롭게 변형되는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사용하여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는 일례의 공정도이다. 도 24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광화이버 (10a, 10b) 와, 역삼각형을 한 V 자 형상의 정렬 홈 (421) 을 갖는 정렬 부재 (42) 와 지지 부재 (34) 를 준비한다. 지지 부재 (34) 는 원주 형상이고, 그 하부 외주부 (외주의 일부) 에는 굴절률 정합성을 갖고, 또한 자유롭게 변형되는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 (25) 가 도포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또한, 광화이버 (10a, 10b) 는 단부의 피복이 제거되고, 커트된 단면을 갖고 있다. 다음으로, 도 24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광화이버 (10a, 10b) 를 정렬 부재 (42) 의 V 홈 (421) 내에 상방으로부터 탑재한다. 그 경우, 광화이버 사이에 적당한 간격이 존재하도록 탑재한다. 다음으로, 도 24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 (34) 를 정렬 부재 (42) 상에, 지지 부재가 광화이버 (10a) 와 광화이버 (10b) 사이에 위치하도록 탑재하고, 이것을 도시하지 않은 점착재로 임시 고정시킨다. 그에 따라, 지지 부재 (34) 의 하부 외주부에 도포된 점착성 접속 부재 (25) 는, V 홈 (421) 의 내부에 늘어져 존재하게 된다. 이어서, 도 24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광화이버 (10a, 10b) 를 이동시켜 지지 부재 (34) 의 하방에서 맞댄다. 그에 따라, 광화이버 (10a, 10b) 의 선단이 점착성 접속 부재 (25) 에 접촉되고, 점착성 접속 부재가 변형되어 광화이버 (10a, 10b) 사이에 개재된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가 형성된다. 또, 도 24 (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화이버 (10a, 10b) 는 상부로부터 판 형상의 누름 부재 (81a, 81b) 등에 의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경우, 점착성 접속 부재 (25) 가 지지 부재 (34) 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 점착성 접속 부재 (25) 에 접촉하지 않고 광화이버 (10a, 10b) 를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일정량의 점착성 접속 부재 (25) 가 지지 부재 (34) 의 하부 외주부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광화이버 (10a, 10b) 의 접속 단면에만 접속 부재 (25) 를 장착할 수 있고, 접속부 주위에 오염이나 먼지 등의 부착의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또한 V 홈 (421) 상에서 위치 맞춤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광화이버 (10a, 10b) 의 광축에 어긋남을 일으키지 않고 광학 접 속을 행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정렬 부재 (42) 에는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렬 홈 (421) 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정렬 홈 (421) 의 깊이보다도 얕은 V 홈 (422) 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정렬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V 홈 (422) 상에 점착성 접속 부재가 지지된 지지 부재 (34) 를 탑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지지 부재 (34) 의 위치를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자유롭게 변형되는 점착성 접속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는, 그 재질 및 형상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6 (a) ∼ (f)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의 지지 부재 (34) 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막대 형상인 것 (도 26 (a)), 하나의 돌기물 (341) 을 형성한 L 자 형상이나 T 자 형상인 것 (도 26 (b), 도 26 (c)), 두 개의 돌기부 (341a, 341b) 를 형성한 것 (도 26 (d) ∼ 도 26 (f)) 등, 여러 형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또는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이어도 된다. 재질로서는 금속류, 유리류, 플라스틱류, 고무 재료 등,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 도 26 (f) 와 같이 상방에 유지부 (342a, 342b) 를 형성한 것은, 지지 부재를 파지하기 쉽게 하여, 장착할 때의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또, 상기 돌기부는, 지지 부재를 정렬 부재에 탑재할 때에, 정렬 부재에 형성한 구멍에 끼워 맞춰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지 부재를 안정화시키도록 작용한다.
도 27 은 도 26 (e) 에 나타내는 지지 부재를 사용하여 광접속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정렬 부재 (42) 에는, V 홈 (421) 및 그 양 측에 한 쌍의 구멍 (423a, 423b) 이 형성되어 있고, 점착성 접속 부재 (25) 를 유지한 지지 부재 (34) 의 돌기부 (341a, 341b) 가, 이 구멍 (423a, 423b) 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각 돌기부 (341a, 341b) 를 각 구멍 (423a, 423b) 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지지 부재 (34) 를 정렬 홈 (421) 상에 탑재하여, 간단하게 지지 부재 (34) 와 정렬 부재 (42) 의 위치 맞춤을 할 수 있고, 또한 광학 접속시에는 지지 부재 (34) 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점착성 접속 부재를 지지 부재에 형성하는 위치 및 형성하는 방법에는, 어떠한 한정은 없고, 점착성 접속 부재의 성상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점착성 접속 부재를 형성하는 위치에 관해서는, 도 28 (a), (d) 와 같이 지지 부재 (34) 의 외주부 전체면에 장착한 것이나, 도 28 (b), (c), (e) 와 같이 지지 부재 (34) 의 하부 외주부에 장착한 것 등, 정렬 홈의 위치, 사이즈에 맞추어 장착하면 된다.
지지 부재에 점착성 접속 부재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액 형상의 점착성 접속 부재를 스프레이나 브러시 등으로 도포하여 고화시키는 방법, 점착성 접속 부재를 필름화하여, 지지 부재의 외주에 둘러감거나 (도 28 (d)), 외주의 일부에 부착하는 방법 (도 28 (e))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지지 부재 (34) 의 직하에 있어서 광화이버 (10a, 10b) 가 접속된 것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화이버의 단면이 지지 부재가 탑재된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접속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도 29 에 나타내는 경우, 광화이버 (10a, 10b) 를 정렬 부재 (42) 의 정렬 홈 (421) 에 배치하여 (도 29 (a)) 좌측의 광화이버 (10a) 를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단면을 지지 부재 (34) 에 형성한 변형 가능한 점착성 접속 부재 (25) 에 접촉시키고, 추가로 광화이버 (10a) 를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좌측의 광화이버 (10b) 의 단면에 부딪치게 하면 된다 (도 29 (b)). 그에 따라, 광화이버 (10a 와 10b) 사이에 점착성 접속 부재 (25) 가 밀착된 상태에서 개재되는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가 형성된다. 또, 이 경우, 도 29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 (81) 로 지지 부재 (34) 를 아래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광화이버 (10a) 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렬 부재 (42) 의 사이즈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화이버의 종류, 또는 개수에 의하여 선택하면 되고, 그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정렬 홈 (421) 의 개수도 광화이버의 개수에 의해 선택하면 되고, 광화이버가 복수개이더라도, 정렬 홈 (421) 의 간격은 수단에 의해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또한 정렬 홈 (421) 의 단면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V 자 형상 외에 타원형상, 원형상, 직사각형 형상 등이어도 상관없다. V 홈 형상, 직사각형 형상과 같이, 광화이버 단면 근방에 정렬 홈 공간이 존재하면, 점착성 접속 부재 (25) 가 변형되어 접속되는 경우에, 밀려나온 재료가 그 정렬 홈 공간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보다 광화이버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어, 광손실도 작아진다. 또한, 점착성 접속 부재가 광화이버 단면 전체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광화이버의 광학 접속을 안정시킬 수 있다. 특히 V 홈은, 광화이버를 탑재하기 쉽고, 안정화시키기 쉽기 때문에, 가장 알맞은 구조이다. 또한, 정렬 부재의 재료에 관해서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도 7 의 정렬 부재에 관하여 서술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성 접속 부재의 점착 유지 거리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점착성 접속 부재의 점착 유지 거리는 23 ± 1℃, 습도 45% 의 조건 하에서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한 값이다.
도 30 은 점착 유지 거리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31 은 점착성 접속 부재를 부착시킨 상태의 MT 페룰의 사시도이고, 도 32 는 도 30 의 광화이버의 접속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T 페룰 (75a ; 시로야마 제작소 제조, 8 심, 재질 PPS) 의 단면에, 두께 50㎛ 의 점착층을 형성한 두께 100㎛ 의 플라스틱 필름 (91 ; 91a, 91b ; 사이즈 0.5mm × 7mm) 을 관통 구멍 (751a, 751b) 의 상하에 각각 부착하고, 그 두 개의 필름의 중앙을 연결하도록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 사이즈 2mm × 3mm × 두께 25㎛) 를 부착하였다 (도 31). 그리고 MT 페룰 (75b) 을 MT 페룰 (75a) 의 단면에 마주보게 하여 배치하고, 가이드핀을 통해 위치 맞춤하고, MT 페룰 (75a) 과 MT 페룰 (75b) 의 단면 간격을 1mm 로 하여 고정시켰다 (도 30 (a)).
다음으로, 페룰 (75a) 의 관통 구멍에, 선단의 피복을 제거하고 클리브한 광화이버 (10a ; 클래드 직경 125㎛, 싱글 모드 화이버, 후루카와 전공 제조) 를 삽입하여, 광화이버의 단면을 점착성 접속 부재에 접촉시키고 (도 30 (b)), 또한 접촉된 위치로부터 250㎛ 밀어낸 위치에서 광화이버 (10a) 를 고정시켰다 (도 30 (c)).
다른 일방의 MT 페룰 (75b) 의 관통 구멍에 동종의 광화이버 (10b) 를 삽입하고, 광화이버 (10b) 의 단면을 점착성 접속 부재에 접촉될 때까지 이동시켰다. 이 접촉 위치를 원점 G 로 한다. 또한, 원점 G 와 광화이버 (10b) 의 단면의 간격이 10㎛ 가 되는 위치까지 광화이버 (10b) 를 이동시킨 (화살표 방향) 후, 광화이버 (10b) 를 그 상태에서 2 초간 유지시켰다 (도 32 (a)).
그 후, 광화이버 (10b) 를 화살표 방향으로 10㎛/sec 의 속도로 서서히 되돌려 (도 30 (e)) 코어로부터 점착성 접속 부재가 박리될 때까지 광화이버 (10b) 를 이동시켰다. 그리고, 코어로부터 점착성 접속 부재가 박리된 위치와 원점 G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고, 이 거리 H 를 점착 유지 거리로 하였다 (도 32 (b)).
이하,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 및 그것을 형성하기 위한 광학 접속 방법을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제작예 1
n-부틸아크릴레이트/메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배합비 = 82/15/2.7/0.3) 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수지의 30% 아세트산에틸 용액 100 부에, 콜로네이트 L (닛폰 폴리우레탄 공업사 제조,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어덕트) 1.0 부를 배합하여 혼합하였다. 얻어진 아크릴계 점착재 도포액을, 이형재를 도포한 플라스틱 필름의 일면에, 건조 후의 막두께가 100㎛ 가 되도록 도공하여 아크릴계 점착재층을 제막하였다. 사용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으로부터 박리하였다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1)). 또, 이 때에 아크릴계 점착재에 관하여, 분광 광도계로 1300 ∼ 1320nm 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93.5% 이었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재의 굴절률을 아베 굴절률계로 측정한 결과, 1.465 이었다.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제작예 2
SD4590/BY24-741/SRX212/톨루엔 (= 100/1.0/0.9/50 (중량부)) 으로 이루어지는 부가형 실리콘계 점착재 도포액 (모두 도레·다우코닝사 제조 ; SD4590 을 주제로 하고, BY24-741 및 SRX212 를 경화제로 하는 부가형 실리콘계 점착재이다.) 을 준비하였다. 이 부가형 실리콘계 점착재를, 이형재를 도포한 두께 100㎛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일면에, 건조 후의 막두께가 50㎛ 가 되도록 도공하여 부가형 실리콘 점착재층을 제막하였다. 사용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부터 박리하였다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
실시예 1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1) 를 사용하여, 도 3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였다. 우선, V 홈을 갖는 2 개의 정렬 부재 (43a, 43b ; 사이즈 5mm × 10mm) 의 V 홈 단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위치 맞춤하고, 이어서 유리 기판 (80) 에 형성한 0.05mm 의 슬릿 (801) 으로부터 0.2mm 의 위치에 V 홈 단부를 맞추어, 정렬 부재를 유리 기판 (80) 에 접착제로 고정시켰다. 그 후, 상기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를 유리 기판의 슬릿에 삽입하고, 유리 기판 표면에 수직으로 배치하였다. 그 후, 양방의 정렬 부재 (43a, 43b) 의 V 홈 내에 광화이버 (10a, 10b) 를 배치하였다. 광화이버로는, 석영 광화이버 심선 (후루카와 전공사 제조, 직경 250㎛, 싱글 모드) 을 사용하여, 피복을 단부로부터 25mm 만 화이버 스트립퍼로 제거하고, 광화이버 소선을 노출시켜, 단부로부터 10mm 의 지점에서 광화이버 소선을 화이버 커터로 커트한 것을 사용하였다. 광화이버 (10b) 를 V 홈을 따라 평행 이동시키고,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광화이버 소선의 단부가 V 홈 기판으로부터 벗어난 적당한 위치에 올 때까지 이동시킨 후, 광화이버 (10b) 를 평면판 (85b) 과 정렬 부재 (43b) 사이에 끼워 넣고, UV 접착제로 정렬 부재 상에 고정시켰다 (도 33 (a)). 이어서 다른 일방의 광화이버 소선 (10a) 을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에 밀착될 때까지 이동시키고 (도 33 (b)), 또한 광화이버 소선 (10a) 을, 그 단면에 밀착된 시트 형상 점착성 접합 부재가 광화이버 (10b) 에 맞대어질 때까지 광학 접속 부재를 밀었다. 맞대어진 후의 시트 형상 점착성 접합 부재의 두께는 10㎛ 이었다. 또, R = 62.5㎛, D = 1.5mm, D = 24R 이었다. 그 후, 광화이버 (10a) 를 평면판 (85a) 과 정렬 부재 (43a) 사이에 끼워 넣고, 광화이버 고정 지그 (94) 로 고정시켰다 (도 33 (c)).
접속된 광화이버의 접속 손실을 1300nm 의 파장으로 측정한 결과, 0.2dB 이하이고, 또한 반사 감쇠량을 측정한 결과, 50.3dB 로 양호한 광학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25℃ 에서 70℃, 500 회의 온도 사이클 시험을 행한 결과, 광손실 변동은 0.2dB 이하이고, 또한 광학 접속을 탈리 후에 점착성 접속 부재를 관찰한 결 과, 외관 상의 이상은 인정되지 않았다.
실시예 2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 를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였다. 접속된 광화이버의 접속 손실을 측정한 결과 0.4dB 이하이고, 양호한 광학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상기 광학 접속 구조체를 125 ± 2℃ 환경 하에 방치하는 내열성 시험 (JIS C 0021 에 준거), 및 -40℃ 에서 75℃, 500 회의 온도 사이클 시험을 행한 결과, 광손실 변동은 0.4dB 이하이고, 또한 광학 접속을 탈리 후에 점착성 접속 부재를 관찰한 결과, 고화나 황변은 보이지 않고, 광학 접속 부품으로서 충분히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도 34 는 4 심 광화이버 테이프 심선을 접속시킨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4 개의 광화이버끼리의 광학 접속을 실현함에 있어서, 2 개의 4 심 광화이버 테이프 심선 (15a ; 이 테이프 심선 중의 광화이버는 101 ∼ 104 와 15b), 및 유리 기판 (80) 상에 고정된 4 개의 V 홈을 가지는 두 개의 정렬 부재 (43a, 43b)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접속 조작을 행하고, 1 장의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를 사용하여, 4 개의 광화이버를 간단하게 광학 접속시킬 수 있었다. 또한, 커트한 광화이버의 길이를 계측한 결과, 4 개의 광화이버 소선 사이에서 ± 10㎛ 정도의 편차가 있었지만,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가 유연하게 변형되어 각각의 광화이버에 밀착,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광 화이버 소선 사이의 광손실 변동의 편차도 작고, 100 회의 착탈 시험에 있어서, 광손실 변동은 각 심선에서 0.3dB 이하이고, 동일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사용하여, 항상 안정적인 출력을 유지할 수 있고, 광학 접속 구조로서 충분히 사용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도 35 는 광화이버와 로드 렌즈를 접속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광화이버 소선 (10) 을 유리 기판 (80) 상의 정렬 부재 (43) 의 V 홈에 설치하였다. 한편, 로드 렌즈 (17 ; mflends 사 제조 외경 2mmφ) 를 2.1mmφ 의 관통 구멍 (441) 을 갖는 로드 렌즈용 정렬 부재 (44 ; 사이즈 5mm × 5mm × 10mm) 에 관통시키고, 로드 렌즈 단면을 로드 렌즈용 정렬 부재 단면으로부터 적당한 거리에 위치시켜 접착제로 고정시키고, 로드 렌즈가 V 홈과 위치 맞춤된 상태로 하고, 또한 유리 기판 (80) 의 슬릿 (801) 으로부터 0.05mm 의 위치에 정렬 부재 (43) 및 로드 렌즈용 정렬 부재 (44) 를 유리 기판 표면에 접착제로 고정시켰다. 그 후,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를 슬릿에 삽입하여 설치하였다 (도 35 (a)). 다음으로, 광화이버를 V 홈에 붙어서 진행하도록 이동시키고, 광화이버의 단면을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에 부딪치게 하고 (도 35 (b)), 추가로 이동시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변형시킴으로써, 그 부재의 반대측을 로드 렌즈에 밀착시켰다. 그 후, 광화이버 (10) 를 평면판 (85) 과 정렬 부재 (43) 사이에 끼워 넣고, 추가로 광화이버 고정 지그 (94) 사이에 그들을 끼워 넣어 고정시켰다 (도 35 (c)). 상기와 같이, 광화이버와 렌즈와 같 이 사이즈가 상이한 광전송 매체 사이의 접속이더라도, 광화이버를 세게 밀어 점착성 접속 부재를 변형시킴으로써, 렌즈와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는 최소한의 면적으로 밀착되기 때문에, 양자의 떼어냄 작업시에는 간단하게 박리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실시예 5
도 3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광화이버의 단면 처리를 행하였다. 즉, 광학 부재의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로서, 굴절률 1.46 으로 조절한 아크릴계 점착재를 시트화하고, 두께 25㎛, 사이즈 8mm × 16mm 인 시트를 사용하였다. 이것을 시트와 동등한 사이즈의 U 자형의 지지 부재 (31) 에 주름이 없도록 부착하였다 (도 36 (a)). 다음으로, 1 개의 광화이버 (10 ; 후루카와 전공 제조, 외경 250㎛, 클래드 직경 125㎛, 코어 직경 10㎛) 의 피복을 단부로부터 20mm 제거하고, 광화이버 소선을 노출시켜, 단부로부터 10mm 지점에서 광화이버 소선을 커트하였다. 다음으로, 지지 부재에 부착한 시트재를 광화이버 소선의 단면에 밀착시켜 배치하였다 (도 36 (b)). 그리고, 광화이버 단면에 접촉하여 밀착되는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비접촉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광화이버 (10) 를 이동시켰다 (도 36 (c)). 이어서, 단면에 점착성 접속 부재 (20) 가 부착된 광화이버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광화이버를 시트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31) 로부터 떼어냈다 (도 36 (d)). 이 경우, 광화이버에 접하는 면에 있어서의 점착성 접속 부재의 주변부는, 코어의 중심으로부터 50㎛ ∼ 65㎛ 정도였다.
이 점착성 접속 부재 (20) 를 구비한 광화이버 (10a) 를 도 3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정렬 부재 (45) 를 사용하여 광학 접속하였다. 즉, 폭이 250㎛, 높이 250㎛ 의 V 자 형상 정렬 홈 (451) 을 중앙에 갖는 하부 기판 (452 ; 10mm × 40mm × 10mm) 의 V 자 형상 정렬 홈 내에, 선단을 피복 제거하고, 커트한 광화이버 (10a) 를 탑재하고, 한편, 동일한 광화이버 (10b) 를 대향하도록 탑재하였다. 두 개의 광화이버 (10a 및 10b) 를 V 자 형상 정렬 홈을 따라, 점착성 접속 부재 (20) 에 접촉될 때까지 근접시켜 밀착시켰다. 이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유리제의 상부 평판 (453) 을 V 자 형상 정렬 홈을 갖는 하부 기판 (452) 에 올려 고정시켰다.
이상과 같이 하여, 두 개의 광화이버를 V 자 형상 정렬 홈 내에서 주위의 오염이 발생되지 않고 간단하게 접속시킬 수 있었다. 또한, 점착성 접속 부재의 유연성에 의해 광화이버의 단면 주변의 자유도가 증가되기 때문에 광화이버에 지나친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고, 그 결과, 광화이버의 파손이 일어나지 않고, 매우 양호한 취급성으로 광학 접속을 행할 수 있었다. 또한, 점착성 접속 부재의 점착성에 의해 광화이버 단면이 밀착되기 때문에 접속 손실이 0.3dB 로 작았다. 형성된 광화이버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 D1 은 50㎛, D2 는 65㎛ 이었다.
또한, 도 36 에 나타내는 광화이버의 단면 처리 방법은, 광화이버를 이동시킬 뿐으로, 간단하게 지지 부재에 고정시킨 접속 부재를 광화이버 단면에 부착시킬 수 있어, 취급성이 양호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점착성 접속 부재의 광화이버 단면에 대한 부착을 행하였다. 광학 접속 공정에 있어서, 광화이버와 광화이버의 단면끼리가 점착성 접속 부재를 통해 맞대어질 때에, 점착성 접속 부재가 두께 10㎛ 가 될 때까지 광화이버를 세게 밀어, 내부 변형시키는 공정을 채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광화이버를 광학적으로 접속시켰다. 이 때, 접속 손실을 측정한 결과, 0.2dB 이었다. 이상과 같이 점착성 접속 부재를 변형시킴으로써, 광화이버의 단면끼리를 더욱 근접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저손실인 접속을 실현할 수 있었다. 이 실시예의 경우, D1 은 화이버 클래드 직경보다 작고 (실측 불능), D2 는 약 85㎛ 이었다.
실시예 7
도 3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광화이버의 광학 접속을 행하였다. 접속용 정렬 부재 (46 ; 사이즈 10mm × 20mm × 40mm) 는, 중앙에 폭 0.25mm 의 깊은 홈 (461) 과 한 쌍의 관통 구멍 (462a, 462b) 을 갖고 있었다. 한편,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를, 중앙에 공동을 갖는 투명한 플라스틱 수지의 두 개의 지지 부재 (31a, 31b ; 가로 세로 2mm 두께 0.1mm) 로 끼워 넣고,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내포한 카트리지를 제작하였다. 이 카트리지를 도 38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용 정렬 부재의 깊은 홈 (461) 에 장착하였다. 선단 25mm 를 피복 제거하고, 커트한 광화이버 (10a, 10b) 를 관통 구멍에 각각 삽입하고, 일방의 광화이버 (10a) 를 카트리지에 내포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에 접촉시키고 (b), 추가로 천천히 밀어 넣음으로써, 점착성 접속 부재 (20) 가 광화이버의 단면에 부착되도록 하였다 (c). 이 광화이버를 적당한 위치까지 이동시켜, 접속용 정렬 부재에 접착제로 고정시켰다. 다음으로 대향하는 다른 일방의 광화이버 (10b) 를 이동시켜, 점착성 접속 부재에 밀착시켰다 (d). 그 후, 이 광화이버를 접속용 정렬 부재에 접착제로 고정시켰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접속용 정렬 부재 내에서 점착성 접속 부재의 시트재를 내포하고, 또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로부터 그 일부를 분리하여 그대로 광학 접속함으로써, 점착성 접속 부재의 부착에서 광화이버의 접속까지를 하나의 부재에 의하여 행할 수 있었다. 그 결과,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광학 접속이 가능해지고, 광학 접속 구조의 제작 후에, 점착성 접속 부재에 오염이나 티끌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이 향상되었다. 이 경우, D1 은 화이버 클래드 직경보다 작고 (실측 불능), D2 는 약 65㎛ 이었다.
실시예 8
도 39 는, 단심 광화이버를 접속시키는 경우의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 (광커넥터) 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9 (a) 는 광학 접속 구조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 도 39 (b) 는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선단을 피복 제거하고, 클리브한 광화이버 (10) 를 FC 커넥터 플러그 (72) 에 형성한 FC 커넥터의 페룰 (76) 의 관통 구멍 (761) 에 삽입하고, 페룰 단면 (762) 과 광화이버 단부가 거의 일치하도록 위치를 조정하여, 관통 구멍 내에 접착제로서 에폭시 수지 (Epoxy Technology Inc. 제조 에포텍 353) 를 흘려 넣고 열경화시킴으로써, 광화이버를 고정시켰다. 다음으로 페룰 단면에, 막두께 25㎛ 의 아크릴계 점착 수지를 사용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를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밀착시켜 탑재하고, 이것을 페룰 직경에 대응한 직경의 슬릿 슬리브 (49) 내에 삽입하고, 반대측으로부터 마주 대하는 페룰을 맞댐으로써 페룰끼리를 접속시켜,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였다 (도 39 (b)).
실시예 9
도 40 은, 다심 광화이버를 접속시키는 경우의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 (광커넥터) 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40 (a) 는 광학 접속 구조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 도 40 (b) 는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1 (a) ∼ (c) 는 도 40 의 광커넥터의 접속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 본 도면에서는 4 심의 광화이버 테이프 심선을 사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광화이버 개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광화이버 테이프 심선 (15a, 15b) 의 선단의 피복을 제거하고, 클리브한 각 4 개의 광화이버 (101a ∼ 104a, 101b ∼ 104b) 를, 각 MT 페룰 (75a, 75b) 의 관통 구멍에 각각 삽입하고, 페룰 단면 (753) 과 광화이버 단부가 거의 일치하도록 위치를 조정하여, 접착제 도포 구멍 (752a, 752b) 으로부터 에폭시 수지를 흘려 넣어 경화시킴으로써, 광화이버를 고정시켰다 (도 41 (a)).
다음으로, 일방의 MT 페룰의 두 개의 가이드핀 구멍 (751a, 751a) 에 가이드 핀 (47a, 47b) 을 삽입하고,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를 그 MT 페룰의 단면 (753) 에 탑재하였다 (도 41 (b)). 다음으로, 그 MT 페룰 (75a) 과 타방의 MT 페룰 (75b) 을 가이드핀 (47a, 47b) 을 통해 접속시켜,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였다 (도 40 (b), 도 41 (c)).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는 한 장의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광화이버를 일괄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모든 광화이버에 대해서 양호한 광학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는, 통상적인 커넥터 접속에 사용되고 있는 광화이버의 단면을 연마한 페룰에 관해서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41 로 설명하면, MT 페룰 단면 (753) 및 각 광화이버의 단면을 연마한 것을 사용하여 접속을 행하더라도 양호한 광학 특성을 얻을 수 있어, 특별한 설계나 가공을 실시하지 않고 기지의 페룰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10
도 42 는 본 발명을 MPO 형 광커넥터에 적용한 경우의 광학 접속 구조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3 은 도 42 의 MPO 형 광커넥터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43 (a) 는 접속 전의 상태, 도 43 (b) 는 접속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MPO 형 광커넥터 이외에도 기존의 다심 커넥터인 MT-RJ, MPX, Mini-MT, Mini-MPO 등의 MT 페룰을 포함한 어댑터 및 커넥터 플러그에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2 및 도 43 에 있어서, MPO 형 광커넥터는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광화이버 테이프 심선 (15a, 15b), 광화이버를 정렬하여 파지하는 MT 페룰 (75a, 75b) 및 푸시 풀 기구에 의해 착탈을 행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MPO 커넥터 플러그 (71a, 71b) 와, 한 쌍의 MPO 커넥터 플러그를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용 어댑터 (50)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광화이버의 접속은, 우선,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를 MT 페룰 (75a) 의 단면에 탑재하고, MPO 커넥터 플러그 (71a) 에 고정된 MT 페룰 (75a) 단면의 가이드핀 구멍에 가이드핀 (47a, 47b) 을 삽입한다 (도 43 (a)). 이어서, 마주 대하는 MT 페룰 (75b) 의 가이드핀 구멍에 가이드핀을 삽입시킴으로써 MT 페룰 (75b) 과 위치 맞춤을 행하면서, 상기 하우징에 의해 MPO 커넥터 플러그 (71a, 71b) 와 접속용 어댑터 (50) 를 접속시킨다 (도 43 (b)). 또, MT 페룰 단면은 연마 처리를 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광학 접속시에는, 어댑터 내부에서 MT 페룰 단면끼리가 점착성 접속 부재를 통해 밀착되어 광학 접속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MPO 커넥터 플러그를 사용한 경우에 관해서도 연마 처리를 행하지 않고 저손실인 접속이 가능해진다. 또한, MPO 커넥터 플러그는 푸시 풀 형식이기 때문에 착탈도 간단하다.
상기의 경우, 어댑터로서 상기 도 19 및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가 배치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11
도 44 (a) ∼ (d) 는 본 발명에 의한 MT 페룰을 사용한 광학 접속 구조 (광커넥터) 의 경우에서, 지지 부재를 구비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사용하였 을 때의 접속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45 는 도 44 에 나타내는 접속 공정에 사용하는 가이드핀 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44 (a) 및 도 4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가이드핀 (47a, 47b) 은 가이드핀 지지 부재 (57) 에 의해 파지되어 있고, 그리고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의 양단이 각 가이드핀의 중앙 근방에 설치되어, 그에 따라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가 두 개의 가이드핀 (47a, 47b) 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핀 지지 부재 (57) 는 도 4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가이드핀 삽입 홈 (571a, 571b) 을 갖고 있고, 양 측면으로부터 가이드핀 삽입 홈에 연이어 통해지는 슬릿 형상 구멍에 돌기 평판 (95a, 95b) 이 자유 자재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가이드핀을 가이드핀 삽입 홈 내에 탑재한 후에 돌기 평판을 누르면, 가이드핀 삽입 홈 내에 돌기 평판이 밀어 넣어지고, 그 홈부를 돌기 평판에 의하여 둘러쌈으로써, 가이드핀이 파지된다. 또, 가이드핀 지지 부재 (57) 는 내부에 공동 (572) 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가이드핀을 탑재하면, 그 공동에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가 위치하게 되고, 가이드핀 지지 부재가 접속 부재에 접촉되는 일은 없다.
이어서, 이 가이드핀 지지 부재에 파지된 가이드핀의 양단을, 광화이버 (10a, 10b) 를 고정시킨 한 쌍의 MT 페룰 (75a, 75b) 의 가이드핀 삽입 구멍 (751a, 751b) 에 삽입하고, 가이드핀 지지 부재 (57) 에 접촉될 때까지 MT 페룰을 밀어 넣는다 (도 44 (b)). 이에 따라 가이드핀에 의해 마주 대하는 MT 페룰 (75a, 75b) 이 위치 맞춤되기 때문에, 가이드핀 지지 부재의 돌기 평판을 떼어냄으로써 가이드핀 지지 부재를 가이드핀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도 44 (c)), 마주 대하 는 MT 페룰을 맞대어 접속시킨다 (도 44 (d)). 상기와 같이 하여, 가이드핀에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지지시킴으로써, 가이드핀의 삽입시에 가이드핀의 선단에서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흠집 낼 우려가 없고, 또한, 먼지나 티끌의 부착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12
도 46 (a) ∼ (c) 는 본 발명을 4 심 MT 페룰에 사용한 광커넥터의 구성 요소 및 접속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6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 (32) 는 MT 페룰의 외주와 거의 동일 형상인 테두리 형상의 공동을 갖는 통 형상의 부재로서, 그 일단의 중앙 근방에 횡폭이 1.5mm 인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타단은 해방단으로 되어 있고, 통 형상 부재의 내부가 공동으로 되어 있어, 광화이버를 고정시킨 MT 페룰 (75a) 을 그 공동에 끼워 넣음으로써, MT 페룰 (75a) 의 단면에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1) 가 탑재된다 (도 46 (b)). 그리고, 페룰에 집어 넣은 지지 부재를 페룰 측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마주 대하는 MT 페룰 (75b) 과 맞대어, 커넥터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한다 (도 46 (c)). 이와 같이, 지지 부재를 페룰에 끼워 넣음으로써, 용이하게 접속 부재를 MT 페룰에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접속 종료 후에는 지지 부재를 MT 페룰로부터 분리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간단하게 탈리할 수 있다.
실시예 13
상기 도 24 에 나타내는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기 위하여, 단면이 한 변 0.3mm 인 정삼각형의 V 자형의 정렬 홈 (421) 을 갖는 정렬 부재 (42 ; 사이즈 5mm × 12mm × 3mm), 판 형상의 상판 2 장 (81a, 81b ; 사이즈 5mm × 5mm × 3mm), 선단을 피복 제거하고, 커트한 광화이버 심선 (직경 0.25mm ; 10a, 10b), 지지 부재 (34) 에 유지된 점착성 접속 부재 (25) 를 준비하였다. 지지 부재 (34) 는 직경 0.1mm 길이 3mm 인 원주 형상 핀을 사용하고, 또한 점착성 접속 부재 (25) 는 굴절률 1.46 으로 조정한 우레탄 엘라스토머계 수지를 사용하여, 핀 외주에 막두께가 0.1mm ∼ 0.4mm 정도가 되도록 접속 부재를 도포하여 부착시켰다.
상기 각 부재를 사용하여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우선, 정렬 홈 (421) 에 광화이버 (10a, 10b) 를 탑재하고, 일방의 광화이버 (10a) 를 광화이버 (10b) 로부터 2mm 정도 떨어진 위치에 탑재하였다. 다음으로, 광화이버 (10a, 10b) 단면에 끼인 정렬 부재 (42) 의 정렬 홈 (421) 상부의 거의 중앙에 지지 부재 (34) 를 탑재하였다. 이 때, 도시하지 않지만, 지지 부재 (34) 가 쉽게 떠오르지 않도록, 위에서 용수철로 지지 부재 (34) 를 가볍게 눌렀다.
그 후, 광화이버 (10a, 10b) 를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점착성 접속 부재 (25) 와 접촉시키고, 또한 이동시킴으로써 광화이버 (10a, 10b) 의 단면끼리를 광학 접속시켰다. 이 때, 광화이버 (10a, 10b) 를 밀어 넣음으로써, 광축 상의 지지 부재 (34) 에 지지된 점착성 접속 부재 (25) 가 광화이버 (10a, 10b) 의 단면에 부착되고, 또한, 추가로 밀어 넣음으로써 광화이버 (10a, 10b) 끼리가 접속되었다 (도 24 (a) ∼ (d) 참조).
본 발명의 광전송 매체의 접속 방법에 의하면, 점착성 접속 부재 (25) 를 구비한 지지 부재 (34) 를 V 홈 상에 탑재함으로써, 광화이버 (10a, 10b) 단면에 필 요량의 점착성 접속 부재를 공급할 수 있었다. 또한 얻어진 광학 접속 구조는 상방으로부터 점착성 접속 부재 (25) 를 탑재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기판 상에서의 작업시에 도포하는 등의 번잡한 작업을 행하지 않고 접속시킬 수 있었다. 또한 점착성 접속 부재 (25) 는 필요량만 정렬 홈 (421) 내에 공급되기 때문에, 주위의 오염이 일어나는 일도 없고, 점착성 접속 부재 기인의 축 어긋남에 의한 광손실도 일어나지 않았다. 게다가, 점착성 접속 부재 (25) 를 분리시킬 때에는, 지지 부재 (34) 를 떼어내기만 하면 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었다. 또, 이 때의 접속 손실은 0.3dB 이하이고, 광학 특성도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14
도 47 에 나타내는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기 위하여, 실시예 13 에서 사용한 정렬 부재 (42) 로서, 정렬 홈 (421) 에 대하여 교차하는, 한 편이 0.1mm 인 정삼각형의 홈 (422) 을 갖는 것을 사용하고, 또한 누름 부재 (81) 로서, 정렬 부재 (42) 의 홈 (422) 이 대응하는 위치에 한 편이 0.2mm 인 정삼각형의 홈을 갖는 것을 한 장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 과 동일한 부재를 사용하여 광학 접속을 행하였다.
상기 각 부재를 사용하여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47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3 과 마찬가지로 정렬 홈 (421) 에 광화이버 (10a, 10b) 를 탑재하고, 다음으로 정렬 부재 (42) 의 홈 (422) 에 지지 부재 (34) 를 탑재하였다. 그리고, 도 47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누름 부재 (81) 를 지지 부재 (34) 가 홈에 들어가도록 올려 광화이버 (10a, 10b) 가 떠오르지 않도록 하였다.
그 후, 도 47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화이버 (10a, 10b) 를 이동시켜 점착성 접속 부재 (25) 와 접촉시켰다. 그리고, 광화이버 (10a, 10b) 를 밀어 넣음으로써, 광축 상의 지지 부재 (34) 에 지지된 점착성 접속 부재 (25) 가 광화이버 (10a, 10b) 단면에 부착되고, 또한 도 47 (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가로 밀어 넣어, 광화이버 (10a, 10b) 끼리를 점착성 접속 부재 (25) 를 통해 광학 접속시켰다. 동시에 지지 부재 (34) 는 상방으로 이동시켜, 광화이버 (10a, 10b) 의 접속을 방해하는 일이 없고, 또한 광화이버 (10a, 10b) 의 단면을 흠집내는 일도 없었다.
이 실시예의 광전송 매체의 접속 구조에 의하면, 정렬 부재 (42) 에 정렬 홈 (421) 에 교차하는 홈 (422) 을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지지 부재 (34) 를 탑재할 수 있어, 간단하게 위치 맞춤할 수 있었다. 게다가, 점착성 접속 부재 (25) 를 분리시킬 때에는, 지지 부재 (34) 를 떼어내기만 하면 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었다. 또, 100 회의 반복 접속을 행하였지만, 광화이버 (10a, 10b) 는 흠집이 나는 일은 없었다. 또, 이 때의 접속 손실은 0.2dB 이하이고, 광학 특성도 문제가 없었다.
도 27 에 나타내는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기 위하여, 두 개의 원통형의 돌기부 (길이 3mm, 직경 0.15mm) 를 갖는 U 자 형상의 지지 부재 (폭 2mm) 에 유지된 접속 부재 (길이 3mm) 를 준비하였다. 정렬 부재에는 정렬 홈의 양 측에 두 개의 구멍 (423a, 423b ; 직경 0.15mm, 깊이 3mm) 을 갖고, 이 구멍에 지지 부재 (34) 의 돌기부 (341a, 341b) 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부재를 사용하여 광학 접속을 행하였다. 지지 부재 (34) 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였다. 이것에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점착성 접속 부재 (25) 를 지지 부재 (34) 의 외주부 하부에 브러시로 도포하여 부착시켰다.
상기 각 부재를 사용하여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우선, 정렬 홈 (421) 상의 지지 부재 (34) 의 양 측에 단면이 마주보도록 하여 광화이버 (10a, 10b) 를 탑재한 후, 정렬 부재 (42) 의 두 개의 구멍 (423a, 423b) 에 점착성 접속 부재 (25) 를 구비한 지지 부재 (34) 의 돌기부 (341a, 341b) 를 삽입하여, 지지 부재 (34) 를 정렬 부재 (42) 의 정렬 홈 (421) 상에 정렬 홈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탑재하였다. 다음으로, 도시하지 않는 상판을 각각의 광화이버 (10a, 10b) 상에 올려 각 광화이버를 눌렀다.
그 후, 광화이버 (10a, 10b) 를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각 광화이버의 선단을 점착성 접속 부재 (25) 에 접촉시키고, 또한 이동시킴으로써, 광화이버 (10a, 10b) 의 단면끼리를 광학 접속시켜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였다 (도 27 참조).
이 실시예의 광학 접속 방법에 의하면, 지지 부재 (34) 의 돌기부 (341a, 341b) 를 정렬 부재 (42) 에 형성한 구멍 (423a, 423b) 에 삽입하는 것 만으로, 간단하게 정렬 부재 (42) 와 지지 부재 (34) 를 위치 맞춤하여 장착할 수 있었다. 또, 이 때의 접속 손실은 0.2dB 이하이고, 광학 특성도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15
도 4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였다. 즉, 우선, 실시예 14 의 지지 부재 (34) 를 사용하여, 도 28 (d) 와 같이 지지 부재 (34) 의 외주에 필름 형상의 점착성 접속 부재 (25) 를 폭 2mm 의 범위에서 둘러 감았다. 한바퀴 감은 지점에서 점착성 접속 부재끼리를 맞추어, 외주 하부에 점착성 접속 부재가 0.2mm 정도 늘어진 상태로 하였다. 상기와 같이 점착성 접속 부재 (25) 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34)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4 와 동일한 부재를 사용하여 광학 접속을 행하였다. 또한, 상기 점착성 접속 부재의 필름으로서, 아크릴계 점착 수지 (굴절률 1.467) 를 필름화하여, 두께를 25㎛ 로 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각 부재를 사용하여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와 같이 필름화된 점착성 접속 부재 (25) 가 균일한 두께를 갖기 때문에, 광화이버 (10a, 10b) 에 대하여 균일하게 가압이 가해지게 되어, 광손실이 0.18dB 이하인 안정적인 광학 접속을 할 수 있었다. 또한, 점착성 접속 부재 (25) 의 탈리도 필름을 박리하기만 하면 완료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점착성 접속 부재 (25) 는 점착성의 수지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그 수지의 젖음성에 의해 용이하게 광화이버 (10a, 10b) 의 단면에 밀착되고, 또한 그 접착력에 의해 적당한 가압력으로 광화이버 (10a, 10b) 와 점착성 접속 부재 (25) 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점착성 접속 부재 (25) 는 유연하기 때문에, 광화이버 (10a, 10b) 단면이 파손되는 일도 없고, 매우 양호한 취급성으로 광학 접속할 수 있었다. 또한 재박리성을 갖기 때문에, V 홈이나 광화이버 (10a, 10b) 에 부착된 점착성 접속 부재 (25) 는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을 교환하여 재접속할 수 있었다.
실시예 16
도 48 에 나타내는 광학 접속 구조는 광화이버 고정 부재 (86a, 86b) 와, 정렬 부재 (42) 와, 핀 형상의 지지 부재 (34) 와, 핀 형상 도입 부재 (82) 와, 광화이버 (10a, 10b) 와, 가압 부재 (87) 를 구비하고 있다. 우선, 광화이버 (10a) 의 선단부를 일방의 광화이버 고정 부재 (86a) 의 고정 부위 (861a) 에 끼워 넣어 유지함과 함께, 광화이버 (10b) 의 선단부를 타방의 광화이버 고정 부재 (86b) 의 고정 부위 (861b) 에 집어 넣어 유지하였다. 이 때, 광화이버 (10a, 10b) 의 단면을 고정 부위 단면에 대하여 1.1mm 돌출되도록 하였다. 지지 부재 (34) 와 핀 형상 도입 부재 (82) 에 위에서 가압을 가하기 위한 가압 부재 (87) 의 가압 돌기 (871) 에 탄성체 (아크릴계 점착재 ; 95) 를 부착하였다.
상기 각 부재를 사용하여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우선, 정렬 부재 (42) 상에 광화이버 (10a, 10b) 를 유지한 광화이버 접속 부재 (86a, 86b) 를 각각 장착하고, 그 때, 정렬 부재 (42) 의 정렬 홈 (421) 에 광화이버 (10a, 10b) 가 탑재하도록 임시 고정시켰다. 이 때, 도 48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화이버의 선단부가 정렬 홈 (421) 에 탑재된 상태가 되어 있지만, 광화이버 (10b) 의 선단에 있어서는 정렬 홈 (421) 으로부터 0.3mm 정도 떠올라 있었다.
다음으로, 도 48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렬 부재 (42) 상에 있어서 광화이버 고정 부재 (86a, 86b) 사이에 φ1mm 의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핀 형상 도입 부재 (82) 및 지지 부재 (34) 를 탑재하였다. 그 때, 지지 부재 (34) 의 외주부 하부에는, 점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속 부재 (25) 가 도포되어 있었다. 그 후, 도 48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87) 의 래치부 (872) 를 정렬 부재 (42) 의 걸어맞춤 부위 (424) 에 걸어맞춤시키고, 정렬 부재 (42) 에 가압 부재 (87) 를 상방으로부터 꽉 누름으로써 핀 형상 도입 부재 (82) 및 지지 부재 (34) 를 정렬 홈 (421) 상에 꽉 눌렀다. 이 경우, 핀 형상 도입 부재 (82) 가 광화이버 고정 부재 (86a) 로부터 밀려나와 있는 광화이버 (10a) 의 선단부를 정렬 홈 내에 세게 밀은 상태가 되고, 우측의 화이버 고정 부재 (86b) 로부터 광화이버 (10b) 의 선단부가 정렬 홈 (421) 으로부터 밀려나온 상태로 되어 있다.
그 후, 도 48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의 화이버 고정 부재 (86b) 를 전진 이동시켰다. 광화이버 (10b) 를 전진시키면, 광화이버 (10b) 는 그 선단이 지지 부재 (34) 의 하부 외주부와 접촉되고, 하부 외주부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정렬 홈 (421) 에 도입된다. 이 때, 지지 부재 (34) 의 외주부 하부의 점착성 접속 부재 (25) 가 광화이버 (10b) 단면에 접촉됨으로써, 광화이버 단면에 점착성 접속 부재가 부착되었다. 또한, 광화이버 (10b) 가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광화이버 (10a, 10b) 가 서로 위치 맞춤되었다. 추가로 광화이버 (10b) 를 전진시키면, 쌍방의 광화이버 (10a, 10b) 의 선단이 맞대어져 접속됨으로써,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가 제작되었다.
본 실시예에 의하여 얻어진 광학 접속 구조에서는, 지지 부재 (34) 가 점착 성 접속 부재 (25) 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지지 부재 (34) 를 아래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광화이버 (10a, 10b) 의 위치 맞춤도 행할 수 있었다.
도 1 은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의 기본적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에 있어서의 광화이버와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의 부착 부분을 광화이버의 축에 대하여 수직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 (a) ∼ (e) 는 여러 형상의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광화이버의 단면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광화이버의 축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5 (f) 는 광화이버의 단면에만 점착성 접속 부재를 형성한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에 사용하는 점착성 접속 부재의 주연부가 여러 지지 부재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또는 평면도이다.
도 7 은 접속용 정렬 부재를 사용한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 은 광화이버와 광학 부품을 접속시킨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는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사용하여 제작된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의 기본적인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전송 매체의 단면 처리 방법의 일례의 공정도이다.
도 11 은 도 9 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전송 매체의 단면 처리 방법의 다른 일례의 공정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는 바람직한 일례를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기 위한, 광전송 매체의 단면 처리 방법의 일례의 공정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기 위한, 광전송 매체의 단면 처리 방법의 일례의 공정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기 위한, 광전송 매체의 단면 처리 방법의 일례의 공정도이다.
도 16 은 도 15 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광학 접속 방법의 일례의 공정도이다.
도 18 은 광화이버를 접속한 MT 페룰을 구비한 MPO 커넥터 플러그의 측면도이다.
도 19 는 MPO 형 광커넥터용 어댑터의 일례의 사시도이다.
도 20 은 MPO 형 광커넥터용 어댑터의 다른 일례의 사시도이다.
도 21 은 FC 형 광커넥터에 적용하는 어댑터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2 (a) 는 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가 지지된 지지 부재의 평면도, 도 22 (b) 는 도 22 (a) 의 지지 부재를 슬릿 슬리브 내에 장착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3 은 도 22 (b) 의 슬릿 슬리브를 사용하여 페룰을 맞댄 경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는 일례의 공정도이다.
도 25 는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로서, 정렬 부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은 자유롭게 변형되는 점착성 접속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7 은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28 은 지지 부재에 자유롭게 변형되는 점착성 접속 부재가 지지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9 는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는 일례의 공정도이다.
도 30 은 점착 유지 거리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1 은 도 30 (a) 의 사시도이다.
도 32 는 도 30 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33 은 실시예 1 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도이다.
도 34 는 실시예 3 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5 는 실시예 4 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도이다.
도 36 은 실시예 5 의 단면 처리를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37 은 실시예 5 에 사용한 접속용 정렬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 는 측면도, (b) 는 B-B 선 단면도이다.
도 38 은 실시예 7 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도이다.
도 39 는 실시예 8 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도이다.
도 40 (a) 는 광커넥터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 도 40 (b) 는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 은 실시예 9 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도이다.
도 42 는 실시예 10 의 광학 접속 구조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3 은 실시예 10 의 광학 접속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4 는 실시예 11 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도이다.
도 45 는 도 44 의 광학 접속 구조에 사용하는 가이드핀 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46 은 실시예 12 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도이다.
도 47 은 실시예 14 및 15 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도이다.
도 48 은 실시예 16 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a, b)···광화이버,
11···광화이버 (코어) 의 중심,
12···클래드,
13···코어,
15 (a, b)···광화이버 테이프 심선,
17···로드 렌즈,
19···광학 렌즈,
20···점착성 접속 부재,
21···시트 형상 점착성 접속 부재,
25···점착성 접속 부재,
31, 32, 34···지지 부재,
40, 41, 42, 43, 44, 45, 46···정렬 부재 (접속용 정렬 부재),
47 (a, b)···가이드핀,
49···슬릿 슬리브,
50···어댑터,
51···MPO 어댑터,
61, 62···단면 처리용 부재,
71 (a, b)···MPO 커넥터 플러그,
72···FC 커넥터 플러그,
75 (a, b)···MT 페룰,
76···FC 커넥터 페룰,
80···기판 (유리 기판).

Claims (4)

  1. 서로 대향하는 광전송 매체의 단면 사이, 또는 광전송 매체의 단면과 광학 부품 사이에, 굴절률 정합성을 갖는 고형의 점착성 접속 부재가 단일 층의 상태에서 밀착하여 개재되고,
    상기 점착성 접속 부재가 광전송 매체의 단면에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광전송 매체가, 정렬 부재의 관통 구멍 내에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광전송 매체의 단면 사이, 또는 광전송 매체의 단면과 광학 부품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점착성 접속 부재의 두께가 1㎛ 이상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접속 부재의 점착 유지 거리가 10㎛ 이상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접속 부재가 실리콘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구조.
KR1020097005174A 2003-11-19 2004-11-17 광학 접속 구조 및 광학 접속 방법 KR200900332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388707 2003-11-19
JP2003388707 2003-11-19
JP2004086343A JP4043448B2 (ja) 2004-03-24 2004-03-24 光学接続構造とその作製方法、および光伝送媒体の端面処理方法
JPJP-P-2004-086343 2004-03-24
JP2004170679A JP4109653B2 (ja) 2004-06-09 2004-06-09 光コネクタ、およびそれに用いる接続用割スリーブ、支持部材およびアダプタ
JPJP-P-2004-170679 2004-06-09
JP2004211337A JP3993590B2 (ja) 2004-07-20 2004-07-20 光学接続構造とその作製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支持部材
JPJP-P-2004-211337 2004-07-2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579A Division KR20080067015A (ko) 2003-11-19 2004-11-17 광학 접속 구조 및 광학 접속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279A true KR20090033279A (ko) 2009-04-01

Family

ID=3462390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579A KR20080067015A (ko) 2003-11-19 2004-11-17 광학 접속 구조 및 광학 접속 방법
KR1020087002906A KR100867261B1 (ko) 2003-11-19 2004-11-17 광학 접속 구조 및 광학 접속 방법
KR1020067012149A KR100820524B1 (ko) 2003-11-19 2004-11-17 광학 접속 구조 및 광학 접속 방법
KR1020097005174A KR20090033279A (ko) 2003-11-19 2004-11-17 광학 접속 구조 및 광학 접속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579A KR20080067015A (ko) 2003-11-19 2004-11-17 광학 접속 구조 및 광학 접속 방법
KR1020087002906A KR100867261B1 (ko) 2003-11-19 2004-11-17 광학 접속 구조 및 광학 접속 방법
KR1020067012149A KR100820524B1 (ko) 2003-11-19 2004-11-17 광학 접속 구조 및 광학 접속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22375B2 (ko)
EP (4) EP1686402B1 (ko)
KR (4) KR20080067015A (ko)
CN (1) CN102213801A (ko)
HK (1) HK1128332A1 (ko)
WO (1) WO20050502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7177A (ja) * 2006-04-28 2007-11-15 Tomoegawa Paper Co Ltd 屈折率整合テープ貼着装置
JP4933181B2 (ja) * 2006-07-19 2012-05-16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付き光ファイバ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775726B2 (en) * 2007-02-16 2010-08-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te grip optical fiber connector
US7628548B2 (en) 2007-10-01 2009-12-08 Corning Cable Systems Llc Index-matching gel for nanostructure optical fibers and mechanical splice assembly and connector using same
US7742670B2 (en) 2007-10-01 2010-06-22 Corning Cable Systems Llc Index-matching gel for nanostructure optical fibers and mechanical splice assembly and connector using same
JP2009122451A (ja) 2007-11-15 2009-06-04 Hitachi Chem Co Ltd 光学接続構造
JP5059735B2 (ja) * 2007-11-29 2012-10-31 株式会社巴川製紙所 光学接続部品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製造装置
US8157455B2 (en) * 2008-02-15 2012-04-17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Optical connector
US8611712B2 (en) 2008-03-31 2013-12-17 Tomoegawa Co., Ltd. Rubber member, adhesive connecting member, and optical connection structure
JP2009251224A (ja) * 2008-04-04 2009-10-29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モジュール及びその組立方法
EP2131221A1 (en) * 2008-06-04 2009-12-09 Comoss Electronic Co. Ltd. Method for Plastic Optical Fiber Alignment
JP5574960B2 (ja) * 2008-06-18 2014-08-20 株式会社巴川製紙所 光伝送媒体、フェルール及び光終端コネクタ
JP2010107935A (ja) 2008-10-28 2010-05-13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平板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00124394A1 (en) * 2008-11-19 2010-05-20 David Wayne Meek Process for connecting fibers and connected optical assembly
WO2010092654A1 (ja) 2009-02-12 2010-08-19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US8135254B2 (en) * 2009-06-08 2012-03-13 Corning Incorporated Microstructured transmission optical fiber
JP2011154107A (ja) * 2010-01-26 2011-08-11 Sumitomo Electric Ind Ltd プラスチッククラッド光ファイバ
US8366327B2 (en) * 2010-03-30 2013-02-0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ommunication media connector
US8693828B2 (en) * 2010-05-11 2014-04-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Space Administration Photonic choke-joints for dual polarization waveguides
US8280205B2 (en) * 2010-07-23 2012-10-0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Fiber optic connector and alignment mechanism for single lens multi-fiber connector
JP5734709B2 (ja) * 2011-03-17 2015-06-17 富士通株式会社 光コネクタ及び電子情報機器
WO2013172072A1 (ja) * 2012-05-18 2013-11-21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システム、光装置及び光接続方法
EP3633428A1 (en) * 2013-03-12 2020-04-08 Commscope Technologies LLC Optical waveguide module, system and method
US11156781B2 (en) * 2013-06-14 2021-10-26 Chiral Photonics, Inc. Passive aligning optical coupler array
US10564348B2 (en) * 2013-06-14 2020-02-18 Chiral Photonics, Inc. Passive aligning optical coupler array
US10838155B2 (en) 2013-06-14 2020-11-17 Chiral Photonics, Inc. Multichannel optical coupler
US10914891B2 (en) * 2013-06-14 2021-02-09 Chiral Photonics, Inc. Multichannel optical coupler
US10162127B2 (en) 2013-10-15 2018-12-25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Expanded beam array for fiber optics
JP2015169761A (ja) * 2014-03-06 2015-09-28 ソニー株式会社 光コネクタとケーブルおよび光通信装置
EP3121629A4 (en) * 2014-03-17 2018-02-21 Fujikura Lt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connector,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fiber insertion device
WO2015150149A1 (en) * 2014-03-31 2015-10-08 Koninklijke Philips N.V. Optical connector for sterile applications
JP2015206912A (ja) * 2014-04-21 2015-11-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接続アダプタおよび内視鏡装置
JP5923548B2 (ja) * 2014-04-22 2016-05-24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接続器、メカニカルスプライスおよび光ファイバ接続方法
US9784924B2 (en) 2014-06-30 2017-10-10 Ultra 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end-face transparent protector
US20160011367A1 (en) * 2014-07-08 2016-01-14 Digital Sign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erminating an Array of Optical Fibers
WO2016063786A1 (ja) 2014-10-22 2016-04-28 株式会社フジクラ 光導波路と光ファイバとの接続方法、半導体光デバイス、および光ファイバが接続された半導体光デバイスの製造方法
US20170052321A1 (en) 2015-08-23 2017-02-23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Fused expanded beam connector
JP2019028214A (ja) * 2017-07-28 2019-02-2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結合具、光装置、光送信器、光受信器、光送受信器及び光ファイバを接合する方法
US20190233321A1 (en) 2018-01-26 2019-08-01 Corning Incorporated Liquid-assisted laser micromachining of transparent dielectrics
JP7118691B2 (ja) * 2018-03-29 2022-08-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学接続部品
JP7281479B2 (ja) * 2018-10-26 2023-05-25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ファイバ構造体、パルスレーザ装置、スーパーコンティニューム光源、及びファイバ構造体の製造方法
CN109799587A (zh) * 2018-11-22 2019-05-24 深圳阿珂法先进科技有限公司 一种对裸光纤或光器件进行临时或永久固定的方法
US10605995B1 (en) * 2018-11-26 2020-03-31 Ultra Communications, Inc. Single-use disposable pod for application of an optical fiber protection device
US20220196924A1 (en) * 2020-12-22 2022-06-23 Intel Corporation Pierceable protective cover for photonic connectors
CN114167552B (zh) * 2021-11-27 2024-01-05 深圳市源国科技有限公司 一种非接触多芯光纤连接器
WO2023176771A1 (ja) * 2022-03-17 2023-09-21 住友電工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位置決め部品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86060A1 (fr) * 1977-03-28 1978-10-27 Connexion Ste Nle Connecteur a tampon interfacial en elastomere pour conducteurs optiques
JPS55153912A (en) 1979-05-17 1980-12-0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matching agent
US4255016A (en) * 1979-07-02 1981-03-10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Fiber optic connector
DE3241155A1 (de) 1982-11-08 1984-05-1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Anordnung zur verbindung eines lichtwellenleiters mit einem bauteil
JPS6239660A (ja) 1985-08-14 1987-02-20 Toshiba Silicone Co Ltd 光学的接合用ゲル組成物
JP2620276B2 (ja) * 1988-01-08 1997-06-1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H02209641A (ja) 1989-02-03 1990-08-21 Sugatsune Ind Co Ltd 粘性流体を用いた多板式ダンパーの抵抗力調整方法
US4991929A (en) * 1989-05-12 1991-02-12 Amp Incorporated Index matching film
JP2676705B2 (ja) * 1989-12-05 1997-11-1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コネクタ
JPH0534532A (ja) * 1991-07-31 1993-02-12 Hitachi Ltd 光フアイバの接続器
JPH05157935A (ja) 1991-12-03 1993-06-25 Hitachi Cable Ltd 先端成形光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先端成形光導波路型合分波器、並びに先端成形光導波路型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FR2736442B1 (fr) * 1995-07-03 1997-08-22 Proptic Dispositif pour connecter des fibres optiques
JPH0921931A (ja) * 1995-07-05 1997-01-21 Fujitsu Ltd 光モジュール接続装置
US6059462A (en) * 1998-02-24 2000-05-09 Finak; Jozef Optical coupling system
JP3653402B2 (ja) * 1998-05-27 2005-05-25 シャープ株式会社 光送受信モジュール
JP2000298224A (ja) * 1999-04-13 2000-10-24 Mitsubishi Rayon Co Ltd 光ファイバの端面処理方法
JP2001124958A (ja) * 1999-10-27 2001-05-11 Yasuhiro Koike 光ファイバと受光半導体装置との接続方法
JP2001324641A (ja) 2000-05-17 2001-11-22 Yasuhiro Koike 光ファイバの接続部品
US20030002548A1 (en) * 2000-12-21 2003-01-02 Bogie Boscha Laser-diode assembly with external bragg grating for narrow-bandwidth light and a method of narrowing linewidth of the spectr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86402A1 (en) 2006-08-02
US7422375B2 (en) 2008-09-09
EP2418524A1 (en) 2012-02-15
KR100820524B1 (ko) 2008-04-11
KR20080021160A (ko) 2008-03-06
EP1686402B1 (en) 2013-07-24
WO2005050273A1 (ja) 2005-06-02
KR100867261B1 (ko) 2008-11-06
HK1128332A1 (en) 2009-10-23
US20070086707A1 (en) 2007-04-19
KR20060105786A (ko) 2006-10-11
EP2392954A1 (en) 2011-12-07
KR20080067015A (ko) 2008-07-17
CN102213801A (zh) 2011-10-12
EP2400326A1 (en) 2011-12-28
EP1686402A4 (en)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261B1 (ko) 광학 접속 구조 및 광학 접속 방법
JP2006221031A (ja) 光学接続構造
JP4332490B2 (ja) 光学接続構造およびその光学接続方法
US7985461B2 (en) Adhesive connecting member, optical connecting structure used therewith, and jig for attaching adhesive connecting member
US20070196055A1 (en) Optical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optical fibers
US20080304794A1 (en) Optical connector
WO2009153930A1 (ja) 光伝送媒体、フェルール、光終端コネクタ、光学構造及び光学機器
JP4109653B2 (ja) 光コネクタ、およびそれに用いる接続用割スリーブ、支持部材およびアダプタ
US6623174B2 (en) Optical connector
JP4043448B2 (ja) 光学接続構造とその作製方法、および光伝送媒体の端面処理方法
JP2007093647A (ja) 光学接続構造及び光学接続方法
EP1312955B1 (en) Process for coupling optical fibres
JP4252884B2 (ja) 光学接続構造および光学接続方法
JP4167498B2 (ja) 光伝送部品の接続構造および光学接続方法
JP2009244545A (ja) 光学接続構造および光学接続方法
CN100456067C (zh) 光学连接结构以及光学连接方法
JP2006030754A (ja) 光学接続構造とその作製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支持部材
JP2009244556A (ja) 光学接続構造および光学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