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9789A - 염소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기체로부터 염소를 흡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염소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기체로부터 염소를 흡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9789A
KR20090019789A KR1020087028098A KR20087028098A KR20090019789A KR 20090019789 A KR20090019789 A KR 20090019789A KR 1020087028098 A KR1020087028098 A KR 1020087028098A KR 20087028098 A KR20087028098 A KR 20087028098A KR 20090019789 A KR20090019789 A KR 20090019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gas
sodium
carbon dioxide
reduc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8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리트헬름 캠퍼
게르하르트 모르만
리하르트 말호브
크누트 베르너
Original Assignee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filed Critical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90019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8Halogens or haloge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7/00Halogens; Halogen acids
    • C01B7/01Chlorine; Hydrogen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7/00Halogens; Halogen acids
    • C01B7/01Chlorine; Hydrogen chloride
    • C01B7/07Purification ;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7/00Halogens; Halogen acids
    • C01B7/01Chlorine; Hydrogen chloride
    • C01B7/07Purification ; Separation
    • C01B7/0743Purification ; Separation of gaseous or dissolved chlor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30Alkali metal compounds
    • B01D2251/304Alkali metal compounds of so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20Halogens or halogen compounds
    • B01D2257/202Single element halogens
    • B01D2257/2025Chlor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51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e.g.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소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기체로부터 염소를 흡수하는 방법, 특히 대량의 잉여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폐기체 스트림으로부터 소량의 염소를 제거하여 폐기체를 직접 대기 중으로 방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P1020087028098
염소, 폐기체, 환원제, 흡수 컬럼

Description

염소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기체로부터 염소를 흡수하는 방법{METHOD FOR ABSORBING CHLORINE FROM A GAS CONTAINING CHLORINE AND CARBON DIOXIDE}
본 발명은 염소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기체로부터 염소를 흡수하는 방법, 특히 대량의 잉여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폐기체 스트림으로부터 소량의 염소를 제거하여 폐기체를 직접 대기 중으로 방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US 3984523은 다수의 염소 흡수 단계에서 화학량론적 양의 알칼리 수산화물을 마지막 흡수 단계를 통해 항류로 주입함으로써 염소를 알칼리 탄산염이 없고 알칼리 염화물을 함유하는 알칼리 차아염소산염으로 전환하는, 이산화탄소 및 염소를 함유하는 기체 혼합물의 탈염소화 방법을 개시한다.
EP 04066751A1으로부터, CO2 함유 폐기체로부터 염소를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방법이 공지되었으며, 이 방법은 폐기체를 0.01 내지 10 중량%의 NaHCO3 및 0.01 내지 5 중량%의 NaHSO3를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A 2426056은 이산화탄소를 한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염소 함유 기체 혼합물을 압축한 후 냉각시켜 염소를 얻는 방법을 개시하며, 여기서는 약 7 내지 9 부피%의 비교적 높은 염소 함량을 갖는 폐기체가 정류 컬럼의 상부에서 형성된다.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기체 스트림으로부터 할로겐 기체를 제거하는 방법은 US-H1417로부터 공지되었다. 기체 스트림은 할로겐 함유 유기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쓰레기 소각 공장으로부터 나온 것이다(연도 가스). 이 방법은 연도 가스(flue gas)를 염기 및 환원제의 수용액을 함유하는 기체 세척기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소모된 흡수 액체는 기체 세척기로부터 영구적으로 제거하고 새로운 흡수 액체로 교체한다. 제거된 소모 흡수 액체를 그의 환원제 및 염기 잔류 함량에 대해 연속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라 이후 첨가되는 환원제 및 염기의 양을 조절한다. 50 내지 200 ppm (부피 기준)의 낮은 사용되는 폐기체 중 염소 함량에 따라, 이 방법은 염소 함량을 초기 값의 절반 미만으로 감소하는데 충분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방법은 특히 예컨대 DE-A-2426056에 따른 방법에서 형성된 것과 같이 보다 높은 염소 함량을 갖는 폐기체로부터 실질적으로 모든 염소를 제거하는데 부적합하다. 소모된 흡수 액체에 존재하는 환원제 및 염기의 양을 가능한 한 낮게 하기 위해서, 흡수 액체 중의 그의 정상 상태 농도를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US-H-1417에 기재된 시스템은 기체 중의 할로겐 농도가 변동할 경우 환원제 및 염기의 농도의 변화를 제공하지만, 이 절차는 염소가 기체 세척기의 상부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에는 - 특히 폐기체 중의 염소 기체 농도의 급작스런 변동 발생시 - 너무 느리며, 따라서 상당량의 염소가 환경으로 유출될 수 있다. 반면 흡수 액체 중의 환원제의 정상 상태 농도가 매우 높게 유지될 경우, 새로운 흡수 액체가 일정하게 공급되어야 하므로, 그의 상당량이 폐수로 유출된다. 이것은 경제적 및 생태적 관점에서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거되는 염소의 양에 비해 가능한 한 낮은 환원제 및 염기를 필요로 하고, 이와 동시에 높은 염소 농도를 갖는 기체로부터도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염소를 제거할 수 있고 염소 함량의 피크값에서도 염소가 흡수 컬럼의 상부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염소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기체로부터 염소를 흡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자들은 염소를 적어도 두 단계로 흡수하며, 제1 흡수 단계를 환원제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소비하면서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염소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기체로부터 염소를 흡수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제1 단계에서 염소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기체를 1종 이상의 염기 및 1종 이상의 환원제를 함유하는 제1 수용액과 접촉시키고, 제2 단계에서 제1 단계로부터 생성된 기체를 1종 이상의 염기 및 1종 이상의 환원제를 함유하는 제2 수용액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임의로는 또한 염소 세척 단계 및 다른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단지 언급된 2개의 염소 제거 단계만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염기는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및 탄산수소나트륨(NaHCO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환원제는 아황산나트륨, 과산화수소, 티오황산나트륨 및 중아황산나트륨(NaHSO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염기는 수산화나트륨이고, 환원제는 티오황산나트륨 또는 중아황산나트륨이다.
환원제는 바람직하게는 티오황산나트륨이다. 하기와 같이, 파괴할 염소 1몰 기준으로, NaHSO3에 비해 보다 적은 양의 환원제 및 수산화나트륨 용액이 필요하다.
NaHSO3에 의한 환원 Na2S2O3에 의한 환원
환원제의 몰 1 0.25
NaOH의 몰 3 2.5
즉, 특정하게 낮아진 염소의 몰당 환원제 및 NaOH의 소모가 티오황산나트륨에 의해 획득된다. 이것은 또한 성분들의 동일한 몰 농도에서 Na2S2O3 방법이 용액의 kg당 보다 높은 염소 파괴 능력을 갖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염소 피크값을 흡수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탄산수소나트륨/티오황산나트륨 시스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발생하는 반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산화나트륨 용액이 과량으로 존재하는 CO2와 반응하여 NaHCO3를 생성한다.
CO2 + NaOH → NaHCO3
이어서, 염소가 NaHCO3을 소모하면서 티오황산나트륨과 반응하며 CO2를 방출한다.
4 Cl2 + 10 NaHCO3 + Na2S2O3 → Na2SO4 + 8 NaCl + 10 CO2 + 5 H2O
두 반응식의 평형은 다음과 같다.
4 Cl2 + 10 NaOH + Na2S2O3 → Na2SO4 + 8 NaCl + 5 H2O
사용되는 기체로부터 염소를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발생하는 반응에 대한 상기 화학량론적 반응식에 따라, 공정에서 Cl2에 대한 티오황산나트륨의 몰비를 0.25 이상으로 조정한다. 두 단계 전체에서, 사용된 티오황산나트륨을 가능한 한 완전히 소모하기 위해 또는 티오황산나트륨이 폐수로 흘러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차를 가능한 한 화학량론적으로 실시한다.
유사하게, 수산화나트륨을 염기로서 사용할 경우, 공정에서 티오황산나트륨에 대한 수산화나트륨의 몰비는 위에 나타낸 화학량론적 반응식에 따라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으로 조정한다.
염기로서 수산화나트륨의 사용과 관련하여, 수산화나트륨은 세척액 중에서 즉시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전환된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따라서, 수산화나트륨이 세척액에 주입되지만, 세척액 중에는 탄산수소나트륨이 존재한다.
다른 환원제 또는 염기에 대한 상응하는 바람직한 몰비는 화학량론적 반응식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제1 및/또는 제2 단계의 수용액의 pH값은 7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초과이다. 두 단계 모두 pH값은 바람직하게는 7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초과이다. 공정을 7 미만의 pH값에서 실시할 경우, 부반응의 위험이 있다. 언급한 pH값에서는 NaHCO3/CO2 완충 시스템이 형성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염소산염 형성이 발생하지 않으며, 염소 흡수의 효능이 보장된다. NaHCO3/CO2 완충 시스템을 통한 7 초과의 pH값의 확립은 또한 더 낮은 pH에서는 티오황산염의 분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황 침전물 형성을 방지한다.
종래기술의 방법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염소 함량이 높은 기체, 예를 들어 사용되는 기체 혼합물의 염소 농도가 99.9 부피% 이하인 것으로부터 염소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제거하는데 또한 적합하다. 염소 농도의 하한은 거의 전적으로 상응하는 법률적 제한에 의해 주어진다. 이것은 이미 법률적 제한 미만의 염소 함량을 갖는 폐기체로부터 염소를 제거하는 것은 경제적 관점에서 사리에 맞지 않음을 의미한다. 실제로는, 사용되는 염소- 및 CO2-함유 기체의 염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 부피% 미만, 특히 약 1 내지 10 부피%이다.
이 방법은 마찬가지로 이산화탄소 농도가 99.9 부피% 이하인 염소- 및 CO2-함유 기체의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기체 중의 이산화탄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80 부피%이다. 기체 혼합물 중의 나머지 기체는 일반적으로 질소, 산소 및 영족 기체를 포함한다. 사용되는 기체 혼합물 중의 다른 기체의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산소로 구성되며, 이것은 일반적으로 1 내지 50 부피%의 양으로 존재한다. 이어서 질소 및 영족 기체가 보다 적은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기체의 염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3 mg/㎥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 mg/㎥ 미만으로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사용되는 기체는 항류로 수용액에 유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1 및/또는 제2 단계는 세척 컬럼 및/또는 제트 기체 세척기에서 실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염소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디콘 공정(Deacon process)의 퍼지 기체(purge gas)로부터 염소를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소위 디콘 공정을 위한 통상적인 1종 이상의 촉매의 존재하에 산소에 의해 염화수소를 산화시켜 염소 및 물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이 방법은 소위 퍼지 기체로부터 염소를 분리하기 위해, 제1 단계에서 염소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폐기체 스트림을 1종 이상의 염기 및 1종 이상의 환원제를 함유하는 제1 수용액과 접촉시키고, 제2 단계에서 제1 단계에서 생성된 기체를 1종 이상의 염기 및 1종 이상의 환원제를 함유하는 제2 수용액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2단계의 염소 세척에 의해, 특히 기체상과 액체상의 항류 유도에 의해, 티오황산염 함량을 일반적으로 제1 단계에서 실질적으로 0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티오황산염 및 수산화나트륨 용액 소모의 최소화), 오직 제2 단계에서 신뢰할만한 염소 파괴가 이루어진다.
첨부 도면은 CO2 함유 폐기체 스트림으로부터 염소를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보여준다.
염소 함유 폐기체 스트림(1)을 제1 장치에 공급하며, 이 장치는 도면에서 충전 컬럼(12)의 형태로 나타나 있다. 충전 컬럼(12)은 충전재(11)을 함유하며, 이것은 구조화 충전재일 수도 있고 충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조화 충전재의 전형적인 예는 멜라팩(Mellapak), 몬츠-팩(Montz-Pak) 또는 플렉시팩(Flexipac)이다. 충전 물질의 전형적인 예는 폴링(pall ring), 라시히링(Raschig ring), 버얼 쌔들(berl saddle) 또는 텔러렛링(Tellerette ring)이다. 기체 분배기(10)을 충전 컬럼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기체 분배기(10)는 충전재 밑으로 유입되는 염소- 및 CO2-함유 폐기체 스트림을 컬럼 단면 전체에 고르게 분배한다. 컬럼에 세척액(9)를 주입하며, 이것은 마찬가지로 상부의 액체 분배기(17)로부터 충전재의 단면 전체에 고르게 유입될 수 있다.
세척액은 컬럼 하단에서 액체 스트림(2)으로서 제거되고 회수 용기(5)에 수집된다. 회수 용기(5)의 액체 높이(4)는 예를 들어 익류관(overflow line)(3)을 통해 조정할 수 있다.
회수 용기(5)는 순환관(6)을 통해 액체 분배기(17)에 연결된다. 관(6)의 액체 순환은 펌프(7)에 의해 유지된다.
순환 액체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열교환기(8)를 순환관(6)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러한 장치의 전형적인 유형은 판형, 관다발형(tube-bundle), 나선형 또는 블록형 열교환기이다.
새로운 세척액(28)을 열교환기(8)의 하류에서 순환관(6)에 주입할 수 있다. 새로운 세척액(28)은 바람직하게는 새로운 티오황산나트륨 및 탄산수소나트륨을 함유하며 순환 액체와 혼합되어 액체 스트림(9)로서 컬럼(12)의 상부에 도입된다. 컬럼에서, 폐기체 중의 염소는 티오황산나트륨에 의해 염화물로 전환된다. 이를 위해 필요한 티오황산염은 황산염으로 전환되고, 탄산수소염은 CO2로 전환된다. 세척된 폐기체(18)는 대기에 직접 방출될 수 있을 정도로 낮은 농도의 염소를 함유한다.
티오황산염 및 탄산수소염이 고갈된 세척액(2)은 회수 용기(5)로 보내어진다. 새로운 세척액(28)을 공급하는 경우, 액체의 일부는 익류관(3)을 통해 회수 용기(5)로부터 방출된다. 세척할 폐기체 스트림에 맞추어진 특정된 양의 새로운 세척액(28)을 주입함으로써, 회수 용기(5) 및 그에 따른 익류관(3)에서의 티오황산염 농도를 가능한 한 최소량의 티오황산염이 익류관(3)을 통해 손실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한편으로는 티오황산염이 고가의 화학물질인 점 및 다른 한편으로는 폐수가 과도하게 오염되지 않는다는 점으로 인해, 경제적 및 생태학적 관점에서 최적의 공정이 보장된다.
최적의 공정을 보장하는 또 다른 가능성은 회수 용기(5)를 새로운 세척액(28)으로 채운 후, 회수 용기(5) 중의 티오황산염 농도가 가능한 한 낮은 값으로 떨어질 때까지 새로운 세척액을 공급하지 않고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다. 그 후, 공정을 새로운 세척액으로 채워진 제2 회수 용기로 전환하여 계속 진행한다.
지금까지, 공정은 단지 스트림(1) 중의 염소 함량에 큰 변동이 없는 경우에만, 대기에 직접 방출될 수 있는 폐기체 스트림(18)을 생성하였다.
그러나, 염소-함유 폐기체 스트림(1)이 나오는 플랜트의 시동 또는 정지시에는 상기한 큰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1) 중의 염소 함량이 매우 짧은 시간 동안에 상당히 증가한다면, 새로운 세척액(28)을 위한 주입 장치(metering device)는 증가된 염소 스트림을 세척하기에 충분한 새로운 세척액을 그 짧은 시간 안에 제공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회수 용기(5) 중의 세척액은 매우 낮은 티오황산염 함량만을 갖기 때문에, 세척된 폐기체 스트림(18)은 결국 대기에 방출될 수 없는 양의 염소를 여전히 함유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구성면에서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제2 장치를 제1 장치 하류에 제공한다.
세척된 폐기체 스트림(18)은 제2 컬럼(32)으로 보내어진다. 제2 컬럼은 충전재(31)을 함유하며, 이것은 마찬가지로 구조화 충전재가거나 충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체 분배기(30)가 또한 그 안에 설치될 수 있고, 이 기체 분배기(30)은 충전재의 밑으로 유입되는 폐기체 스트림(18)을 컬럼 단면 전체에 고르게 분배한다. 컬럼에 세척액(29)을 주입하며, 이것은 상부의 액체 분배기(33)을 통해 충전재 단면에 전체에 고르게 유입될 수 있다.
세척액은 컬럼 하단에서 액체 스트림(22)로서 제거되고 회수 용기(23)에 수집된다. 회수 용기(23)의 액체 높이(24)는 예를 들어 액체 방출(28)을 통해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예를 들어 새로운 티오황산나트륨 용액(19), 수산화나트륨 용액(20) 및 희석용 수 스트림(21)을 회수 용기(23)에 주입한다.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공급으로 인해, 회수 용기(23) 중의 탄산수소나트륨과 탄산나트륨의 비율은 해리 평형에 따라 확립된다.
회수 용기(23)은 순환관(25)를 통해 액체 분배기(33)에 연결된다. 관(25) 중의 액체 순환은 펌프(26)에 의해 유지된다.
순환 액체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열교환기(27)를 순환관(25)에 설치할 수 있다.
액체의 일부는 열교환기(27)의 하류에서 제거되어 새로운 세척액(28)로서 제1 컬럼의 순환관(6)에 주입될 수 있다. 나머지 액체(29)는 컬럼(32)의 상부에 도입된다.
기체 스트림(18) 중의 CO2로 인해, 탄산나트륨은 컬럼에서 실질적으로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전환되고, 여전히 존재하는 임의의 염소는 티오황산나트륨에 의해 염화물로 전환된다. 이를 위해 사용된 티오황산염은 황산염으로 전환되고, 탄산수소염은 CO2로 전환된다. 사용되는 기체 중의 염소 함량에 큰 변동이 있는 경우일지라도, 배출되는 기체 스트림(34)는 대기에 직접 방출될 수 있을 정도로 낮은 농도의 염소를 함유한다.
제1 컬럼(12)을 조성이 매우 크게 변하지 않는 폐기체 스트림(1)으로 운전할 경우, 제2 컬럼(32)으로 보내어지는 기체 스트림(18)은 염소를 함유하지 않거나, 단지 소량의 염소만을 함유할 것이다. 결국, 제2 컬럼(32)에서는 티오황산나트륨이 거의 소모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높은 티오황산나트륨 함량이 회수 용기(23), 컬럼(32) 및 순환관(25)에서 확립된다. 회수 용기(23), 컬럼(32) 및 순환관(25)의 액체 내용물의 적당한 순환에 의해, 스트림(1) 중의 염소 함량의 급작스런 증가가 있을 경우 염소가 여전히 제2 컬럼(32)에서 신뢰할만한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양으로 티오황산나트륨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회수 용기(5) 및 순환관(6) 중에 유지되는 티오황산염의 양이 세척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염소를 제1 컬럼(12)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지라도, 염소를 신뢰할만하게 제거하기에 충분한 티오황산염이 제2 컬럼(32)와 그의 회수 용기(23) 및 그의 순환관(25)에 존재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컬럼(12) 영역의 티오황산염 또는 염소 함량의 연속적인 관찰에 의해, 스트림(1) 중의 염소 함량의 급작스런 증가를 제2 컬럼(32)에서 상쇄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얻어진다.

Claims (14)

  1. 제1 단계에서 염소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기체를 1종 이상의 염기 및 1종 이상의 환원제를 함유하는 제1 수용액과 접촉시키고, 제2 단계에서 제1 단계로부터 생성된 기체를 1종 이상의 염기 및 1종 이상의 환원제를 함유하는 제2 수용액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적어도 염소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기체로부터 염소를 흡수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염기가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및 탄산수소나트륨(NaHCO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환원제가 아황산나트륨, 과산화수소, 티오황산나트륨 및 중아황산나트륨(NaHSO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염기가 수산화나트륨이고, 환원제가 티오황산나트륨 또는 중아황산나트륨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원제가 티오황산나트륨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공정 중의 Cl2에 대한 티오황산나트륨의 몰비를 0.25 이상으로 조정하는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염기가 수산화나트륨이고, 공정 중의 티오황산나트륨에 대한 수산화나트륨의 몰비를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로 조정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또는 제2 단계의 수용액의 pH값이 7 초과, 바람직하게는 8 초과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체 혼합물 중의 염소 함량이 99.9 부피% 이하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체 혼합물 중의 이산화탄소 함량이 99.9 부피% 이하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염소 및 이산화탄소 이외에 1종 이상의 추가의 기체가 사용되는 기체 혼합물 중에 존재하며, 이 추가의 기체가 질 소, 산소 및 영족 기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체가 항류로(counter-currently) 수용액에 유도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정의 제1 및/또는 제2 단계를 세척 컬럼 또는 제트 세척기(jet washer)에서 실시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염소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기체가 디콘 공정(Deacon process)의 폐기체 또는 퍼지 기체(purge gas)인 방법.
KR1020087028098A 2006-05-19 2007-05-09 염소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기체로부터 염소를 흡수하는 방법 KR200900197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23939A DE102006023939A1 (de) 2006-05-19 2006-05-19 Verfahren zur Absorption von Chlor aus einem Chlor- und Kohlendioxid-enthaltenden Gas
DE102006023939.3 2006-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789A true KR20090019789A (ko) 2009-02-25

Family

ID=38171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098A KR20090019789A (ko) 2006-05-19 2007-05-09 염소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기체로부터 염소를 흡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70269358A1 (ko)
EP (1) EP2024058A1 (ko)
JP (1) JP2009537294A (ko)
KR (1) KR20090019789A (ko)
CN (1) CN101448560A (ko)
DE (1) DE102006023939A1 (ko)
RU (1) RU2008150040A (ko)
TW (1) TW200815092A (ko)
WO (1) WO20071347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7600A (ko) * 2004-12-13 2007-08-28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할로겐계 가스의 제거 방법 및 할로겐계 가스의 제거제
DE102007013964A1 (de) * 2007-03-23 2008-09-25 Bayer Materialscience Ag Prozess zur Entfernung und Rückführung kondensierbarer Komponenten aus chlorhaltigen Gasströmen
DE102008001795A1 (de) * 2008-05-15 2009-11-19 Wacker Chemie Ag Verfahren zur Absorption von Chlor aus Gasströmen
CN101322904B (zh) * 2008-07-16 2010-12-08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氯气洗消剂
CN101342449B (zh) * 2008-08-27 2011-07-20 攀钢集团钛业有限责任公司 含氯废气的综合回收方法
WO2012035000A1 (en) * 2010-09-15 2012-03-22 Solvay Sa Method for the removal of f2 and/or of2 from a gas
DE102011005897A1 (de) 2011-03-22 2012-09-27 Bayer Materialscienc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von Chlor für chemische Umsetzungen
EA201491197A1 (ru) 2011-12-20 2014-12-30 ЙИССУМ РИСЁЧ ДЕВЕЛОПМЕНТ КОМПЭНИ ОФ ДЗЕ ХЕБРЮ ЮНИВЁСИТИ ОФ ДЖЕРУСАЛЕМ ЭлТиДи. Получение водного реагента для абсорбции или разложения загрязняющих веществ
DE202012003482U1 (de) * 2012-04-05 2013-07-05 Witty-Chemie Gmbh & Co. Kg Suspendiereinrichtung zur Umsetzung von Calciumhypochlorit-Granulat in eine wässrige Suspension
CN104492239A (zh) * 2014-11-25 2015-04-08 中国海洋石油总公司 含co2、cl2和光气等有毒气体的尾气处理工艺及装置
CN104474869A (zh) * 2014-12-07 2015-04-01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含氯废气的吸收处理方法
DE102015101728A1 (de) * 2015-02-06 2016-08-11 Das Environmental Expert Gmbh Verfahren zum Entfernen von Fluor aus fluorhaltigen Abgasen
CN105664855A (zh) * 2016-04-12 2016-06-15 苏州工业园区安泽汶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可除氯气的空气净化材料及其制备方法
EP3813983A4 (en) * 2018-06-28 2022-03-23 Chemtreat, Inc. PROCESSES AND COMPOSITIONS FOR SCRUBBING CHLORINE-CONTAINING GASES
MY191552A (en) * 2018-07-02 2022-06-30 Top Glove Int Sdn Bhd Scrubber solution
CN110872651B (zh) * 2018-09-04 2021-01-08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采用流化床电极脱除含氯硫酸溶液中氯离子的方法
CN110947297A (zh) * 2019-12-23 2020-04-03 中国科学院青海盐湖研究所 一种含氯废气的绿色处理方法
CN114832607A (zh) * 2022-05-19 2022-08-02 无锡海飞凌半导体材料有限公司 一种尾气高效除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603140A (ko) * 1968-07-10 1971-03-22
JPS5425519B2 (ko) * 1973-05-31 1979-08-28
US3896213A (en) * 1973-07-05 1975-07-22 Olin Corp Process for disposing of off-gases containing carbon dioxide and chlorine
US3923955A (en) * 1973-08-02 1975-12-02 Ciba Geigy Corp Process for deodorising waste or exhaust gases
DE2413358C3 (de) * 1974-03-20 1978-04-13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Entchlorung von Kohlendioxid und Chlor enthaltenden Gasgemischen
US5565180A (en) * 1987-03-02 1996-10-15 Turbotak Inc. Method of treating gases
US5254323A (en) * 1988-02-16 1993-10-19 Mitsui Toatsu Chemicals, Incorporated Industrial process for the separation and recovery of chlorine
DE3921714A1 (de) * 1989-07-01 1991-01-10 Hoechst Ag Verfahren zur selektiven absorption von chlor aus co(pfeil abwaerts)2(pfeil abwaerts)-haltigen abgasen
USH1417H (en) * 1993-01-27 1995-02-07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removing halogen gases from a gas stream containing carbon dioxide
AT399516B (de) * 1993-07-21 1995-05-26 Andritz Patentverwaltung Verfahren zur regeneration von salzsäure aus beizanla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34717A8 (de) 2008-12-04
US20070269358A1 (en) 2007-11-22
WO2007134717A1 (de) 2007-11-29
JP2009537294A (ja) 2009-10-29
DE102006023939A1 (de) 2007-11-22
TW200815092A (en) 2008-04-01
RU2008150040A (ru) 2010-06-27
CN101448560A (zh) 2009-06-03
EP2024058A1 (de)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9789A (ko) 염소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기체로부터 염소를 흡수하는 방법
ES2337997T3 (es) Proceso para reduccion del nivel nox en corrientes de gases residuales por utilizacion de clorito de sodio.
CA1041275A (en) Process for deodorising waste or exhaust gases
US10246330B2 (en) Systems and processes for removing hydrogen sulfide from gas streams
JP2010536549A (ja) 排ガスの浄化法
JP5573460B2 (ja) コークス炉ガス脱硫装置
JPH0280310A (ja) 三弗化窒素ガスの精製方法
JP4553674B2 (ja) 塩素ガスの除害方法
JP2008110339A (ja) 塩素ガスの除害方法
KR101249533B1 (ko) 가스 흐름으로부터 염소를 흡수하는 방법
KR100830843B1 (ko) 알칼리용융염을 이용한 할로겐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처리방법
KR20230014117A (ko) 탈황 및 탈질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JPS5913889B2 (ja) 洗浄装置
KR100945520B1 (ko) 악취 가스 제거 방법
US20070122329A1 (en) Purification of raw hydrogen
JP2006231105A (ja) 酸化性ガスの除去方法
USH1417H (en) Process for removing halogen gases from a gas stream containing carbon dioxide
JP2006320889A (ja) フロン分解ガスの無害化処理装置
KR102526870B1 (ko) 탈황 및 탈질을 동시에 수행하는 장치 및 탈황 및 탈질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조성물
US20030044336A1 (en) Process for reducing elementary halogen in a gaseous effluent from a halogenated residues combustion furnace and installation for its implementation
JP2009196826A (ja) 塩素の製造方法
JP2567023B2 (ja) 塩素の除害方法
CN109316904A (zh) 一种含氯废气的处理方法
JPH02280815A (ja) 弗素、臭素および沃素の除害方法
KR20090057494A (ko) 배기가스의 처리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