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9563A -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9563A
KR20090019563A KR1020070084096A KR20070084096A KR20090019563A KR 20090019563 A KR20090019563 A KR 20090019563A KR 1020070084096 A KR1020070084096 A KR 1020070084096A KR 20070084096 A KR20070084096 A KR 20070084096A KR 20090019563 A KR20090019563 A KR 20090019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d
lever
lifting plate
solenoid
suction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7425B1 (ko
Inventor
오장근
김민하
양동헌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4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425B1/ko
Priority to US12/070,756 priority patent/US7631394B2/en
Priority to RU2008123221/12A priority patent/RU2463945C2/ru
Priority to EP08010873A priority patent/EP2027805B1/en
Priority to JP2008161550A priority patent/JP5221218B2/ja
Publication of KR20090019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는, 상부케이싱; 상부케이싱에 고정결합되며 피청소면으로부터 오물이 흡입되는 흡입구 형성된 하부케이싱; 하부케이싱에 대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 사이에 설치되며 레버 삽입부가 형성된 승강판;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인지 카펫인지를 감지하는 피청소면 감지부; 승강판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일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일단이 레버 삽입부에 삽입되며 승강판을 하방으로 가압하고 타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일단이 레버 삽입부로부터 이탈되는 레버; 및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로 감지되면 레버를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며 피청소면이 카펫으로 감지되면 레버를 타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며, 하부케이싱은, 승강판이 하강함에 따라 피청소면에 밀착되고 승강판이 상승함에 따라 피청소면에 대해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공청소기, 흡입브러시, 하드 플로어, 카펫, 높이, 조절, 레버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A suction brush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인지 카펫인지 여부에 따라 흡입구가 형성된 하부케이싱과 피청소면 사이의 거리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진공원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을 이용하여 피청소면으로부터 오물을 흡입하여 수거하는 전기제품이다. 다양한 종류의 진공청소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의 하나인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는 일반적으로 본체와, 연결부와, 흡입브러시를 구비한다.
본체에는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모터와 같은 진공원이 내장되며 또한 흡입된 오물이 수거되는 집진부가 내장된다. 그리고 연결부는, 사용자가 핸들링하는 손잡이와, 손잡이와 흡입브러시를 연결하는 연장관과, 손잡이와 본체를 연결하는 플렉서블 호스를 구비한다. 또한 흡입브러시는 피청소면에 접촉되어 오물이 흡입되는 부분으로서 흡입브러시의 바닥면에는 오물이 흡입되는 흡입구가 마련된다.
진공청소기에 의해 청소가 수행되는 피청소면 중 대표적인 것으로 하드 플로 어(Hard Floor)와 카펫(Carpet)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하드 플로어는 석재, 목재 또는 장판재로 이루어진 바닥면이 매끄러운 피청소면을 총칭한다.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인 경우에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는 피청소면에 달라붙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이러한 경우 흡입브러시의 조작저항이 커서 사용자가 흡입브러시를 조작하는데 많은 힘이 소요될 수 있다. 반면 피청소면이 카펫인 경우에는 흡입브러시가 피청소면에 달라붙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한다. 그런데 피청소면이 카펫인 경우에는 카펫의 상면에 촘촘히 형성된 울(Wool) 사이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해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인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흡입력이 요구된다.
피청소면에 대한 흡입브러시의 조작저항과 흡입력은,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브러시의 바닥면과 피청소면 사이의 거리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 즉, 흡입브러시의 바닥면과 피청소면 사이의 거리가 작을수록 조작저항 및 흡입력이 커지며, 흡입브러시의 바닥면과 피청소면 사이의 거리가 클수록 조작저항 및 흡입력은 감소된다.
그런데 흡입브러시의 바닥면과 피청소면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흡입브러시를 사용하면,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인 경우에는 조작저항이 커서 사용자가 흡입브러시를 조작하는데 많은 힘이 소요되고, 피청소면이 카펫인 경우에는 흡입력이 약하여 카펫의 울 사이에 존재하는 오물들이 효과적으로 흡입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피청소면의 종류에 따라 흡입브러시의 바닥면과 피청소면 사이의 거리가 적절히 가변될 수 있는 흡입브러시가 종래에 개발되 었다. 이러한 흡입브러시의 상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는 레버가 노출되어 있다. 그리하여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인 경우에 사용자는 이러한 레버를 조작하여 흡입브러시의 바닥면과 피청소면 사이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이격시켜 조작저항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피청소면이 카펫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흡입브러시의 바닥면과 피청소면 사이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밀착시켜 흡입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레버를 조작하여 흡입브러시의 바닥면과 피청소면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것은, 피청소면이 바뀔 때마다 사용자가 레버를 수동으로 조작해주어야 하므로 번거로움을 느끼기 쉬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에서 카펫으로 전환되거나 또는 카펫에서 하드 플로어로 전환될 때 자동으로 흡입구가 형성된 바닥면과 피청소면 사이의 거리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부케이싱; 상기 상부케이싱에 고정결합되며 피청소면으로부터 오물이 흡입되는 흡입구 형성된 하부케이싱; 상기 하부케이싱에 대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 사이에 설치되며 레버 삽입부가 형성된 승강판; 상기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인지 카펫인지를 감지하는 피청소면 감지부; 상기 승강판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일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일단이 레버 삽입부에 삽입되며 승강판을 하방으로 가압하고 타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일단이 레버 삽입부로부터 이탈되는 레버; 및 상기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로 감지되면 레버를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며 피청소면이 카펫으로 감지되면 상기 레버를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케이싱은, 승강판이 하강함에 따라 피청소면에 밀착되고 승강판이 상승함에 따라 피청소면에 대해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중심부의 타 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레버 삽입부에 삽탈 가능하도록 마련된 승강판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는, 솔레노이드 본체; 상기 솔레노이드 본체에 의해 직선 구동되는 플렌저; 및 상기 플렌저의 일단에 상기 플렌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플렌저를 상기 레버의 연결부에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연결부에는 상기 연결핀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연결핀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판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레버의 중심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레버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레버를 지지하는 지지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피청소면 감지부는, 상기 피청소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수평 유지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배치되며 마이크로 스위치; 및 상기 고정판에 나란한 회전축을 가지도록 고정판에 설치되며, 일단에는 피청소면과 접촉하는 피청소면 접촉부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마이크로 스위치의 접촉단자에 접촉되는 스위치 접촉부가 구비된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에 의하면,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인지 카펫인지 여부에 따라 흡입구가 형성된 하부케이싱과 피청소면 사이의 거리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흡입브러시를 상부케이싱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흡입브러시에 구비된 피청소면 감지부가 하드 플로어 상에 놓여진 경우에 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흡입브러시에 구비된 피청소면 감지부가 카펫 상에 놓여진 경우에 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Ⅴ-Ⅴ선에 따른 절개 사시도로서,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인 경우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를 피청소면이 카펫인 경우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100)는, 상부케이싱(110)과, 하부케이싱(120)과, 승강판(130)과, 피청소면 감지부(150)와, 승강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케이싱(110)과 하부케이싱(120)은 서로 고정결합된다. 하부케이싱(120)은 피청소면을 청소하는 도중에 피청소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하부케이싱(120)의 중앙 영역에는 피청소면으로부터 오물이 흡입되는 흡입구(121)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121)를 통하여 흡입된 오물은 상부케이싱(110)에 형성된 가이드유로(미도시)를 통하여 연장관 커넥터(101) 측으로 안내된다.
상기 승강판(130)은 상부케이싱(110)과 하부케이싱(120) 사이에 배치되며, 하부케이싱(120)에 대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승강판(130)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리브(131)가 삽입 설치된다. 승강판(130)이 상승하는 경우 하부케이싱(120)은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피청소면에 밀착되며, 반대로 승강판(130)이 하강하는 경우 하부케이싱(120)은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피청소면에 대해 이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승강판(130)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요입된 레버 삽입부(132)가 형성되며, 이러한 레버 삽입부(132)에 후술하는 레버(180)의 승강판 가압부(183)가 삽탈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피청소면 감지부(150)는 한 쌍의 흡입브러시 바퀴(102) 사이의 영역에 설치되어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인지 카펫인지를 감지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피청소면 감지부(150)는, 고정판(151)과, 마이크로 스위치(152)와, 회전부재(15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판(151)은 피청소면으로부터 항상 일정 높이로 수평 유지된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52)는 고정판(151)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단에는 접촉단자(152a)가 회전부재(153)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스위치(152)는 후술하는 솔레노이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회전부재(153)는 고정판(151)에 설치되며 고정판(151)에 나란한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재(153)의 일단에는 피청소면에 접촉 가능한 피청소면 접촉부(153a)가 구비되며, 회전부재(153)의 타단에는 마이크로 스위치(152)의 접촉단자(152a)에 접촉 가능한 스위치 접촉부(153b)가 구비된다.
도 3에서처럼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인 경우, 회전부재(153)의 스위치 접촉 부(153b)는 접촉단자(152a)와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스위치 접촉부(153b)가 마이크로 스위치(152)의 접촉단자(152a)와 이격된 경우의 마이크로 스위치(152)의 상태를 편의상 마이크로 스위치(152)가 "열린" 상태로 표현하기로 한다.
반면 도 4에서처럼 피청소면이 카펫으로 전환되면, 회전부재(153)의 피청소면 접촉부(153a)는 카펫의 상면에 촘촘히 형성된 울(W, Wool)의 높이만큼 상승한다. 이때 회전부재(153)가 설치된 고정판(151)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회전부재(153)는 일정각 회전하게 된다. 같은 동안 회전부재(153)의 스위치 접촉부(153b)는 하강하여 마이크로 스위치(152)의 접촉단자(152a)를 접촉 가압한다. 이와 같이 스위치 접촉부(153b)가 마이크로 스위치(152)의 접촉단자(152a)를 접촉 가압하는 경우의 마이크로 스위치(152)의 상태를 편의상 "닫힌" 상태로 표현하기로 한다.
그리고 회전부재(153)의 회전축으로부터 스위치 접촉부(153b)까지의 거리(L1)는 회전부재(153)의 회전축으로부터 피청소면 접촉부(153a)까지의 거리보다 더 크게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부재(153)의 회전축으로부터 스위치 접촉부(153b)까지의 거리(L1)는 회전부재(153)의 회전축으로부터 피청소면 접촉부(153a)까지의 거리(L2)의 대략 5배가 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피청소면 접촉부(153a)가 1mm 정도만 상승하는 경우 스위치 접촉부(153b)는 5mm 까지 하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카펫에 형성된 울(W)의 높이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도 피청소면 감지부(150)는 피청소면이 카펫임을 섬세하게 감지해낼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판 구동부는,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로 감지된 경우 승강판(130)을 하강시키며 피청소면이 카펫으로 감지된 경우 승강판(130)을 상승시킨다.
이에 승강판 구동부는, 도 2, 5 및 6을 참조하면, 솔레노이드(170)와, 레버(180)를 구비한다.
상기 솔레노이드(170)는,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로 감지되면 레버(180)를 일방향(도 5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며, 피청소면이 카펫으로 감지되면 레버(180)를 타방향(도 6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그리고 레버(180)는, 승강판(130)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솔레노이드(170)에 의해 일방향(도 5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하단이 승강판(130)의 레버 삽입부(132)로부터 이탈되고 솔레노이드(170)에 의해 타방향(도 6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하단이 승강판(130)의 레버 삽입부(132)에 삽입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솔레노이드(170)는, 솔레노이드 본체(171)와, 플렌저(172)와, 연결핀(173)을 구비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본체(171) 내부에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으며, 일측이 솔레노이드 본체(171) 내에 삽입된 플렌저(172)는 코일이 발생시킨 자기장에 의해 직선 구동된다. 솔레노이드 본체(171) 내의 코일은 전술한 피청소면 감지부(150)의 마이크로 스위치(1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3에서처럼 마이크로 스위치(152)가 "열린" 상태에 있는 경우 즉 피청소면 이 하드 플로어로 감지된 경우, 코일은 도 5에서처럼 플렌저(172)가 솔레노이드 본체(171)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반면 도 4에서처럼 마이크로 스위치(152)가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 즉 피청소면이 카펫으로 감지된 경우, 코일은 도 6에서처럼 플렌저(172)가 솔레노이드 본체(171)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상기 연결핀(173)은 플렌저(172)의 일단에 플렌저(17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레버(180)는, 중심부(181)와, 연결부(182)와, 승강판 가압부(183)를 구비한다. 중심부(181)를 레버(180)의 회전축이 통과하며 중심부(181)의 일측으로부터 연결부(182)가 연장 형성되고 중심부(181)의 타측으로부터 승강판 가압부(183)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82)에는, 전술한 플렌저(172)의 일단에 마련된 연결핀(173)에 의해 관통되는 가이드홈(182a)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핀(173)은 플렌저(172)가 직선으로 구동됨에 따라 가이드홈(182a)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부(182)에 결합된다.
상기 승강판 가압부(183)는, 승강판(130)에 형성된 레버 삽입부(13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레버 삽입부(132)에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다.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인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솔레노이드(170)에 의해 레버(18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때 승강판 가압부(183)는 레버 삽입부(132)를 이탈하면서 승강판(130)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승강판(130)이 하방으로 가압되어 하강되면서 하부케이싱(120)은 피청소면인 하드 플로어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된다.
피청소면이 카펫인 경우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솔레노이드(170)에 의해 레버(18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때 승강판 가압부(183)는 레버 삽입부(132)에 삽입된다. 승강판 가압부(183)가 레버 삽입부(132)에 삽입되면서 승강판 가압부(183)가 승강판(130)에 가하던 가압력이 해제되고, 하부케이싱(120)은 피청소면인 카펫에 상대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승강판 구동부에 또한 승강판(130)의 상부에 승강판(130)과 나란하게 설치된 레버 지지축(190)이 구비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레버 지지축(190)의 일단(191)은 레버(180)의 중심부(181)에 삽입 설치되어 레버(180)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된다. 그리하여, 솔레노이드(170)에 의해 레버(180)가 회전될 때 레버(180)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흡입브러시(100)에는 솔레노이드(17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의 전원공급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흡입브러시(100)의 동작에 대하여, 청소 도중에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에서 카펫으로 전환되는 경우 및 청소 도중에 피청소면이 카펫에서 하드 플로어로 전환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청소 도중에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에서 카펫으로 전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하드 플로어 상에 본 실시예의 흡입브러시(100)를 접촉시켜 청소를 하는 중에, 피청소면 감지부(150)는 도 3에서처럼 마이크로 스위치(152)가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 5에서처럼, 솔레노이드(170)의 플렌저(172)는 솔레노이드 본체(171)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 있으며, 승강판 가압부(183)는 승강판(120)을 하방으로 가압하며 승강판(130)의 레버 삽입부(183)를 이탈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하여, 승강판(130)은 하방으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하부케이싱(120)은 피청소면과 상대적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흡입브러시(100)를 카펫 상으로 이동시켜 청소를 하게 되면, 피청소면 감지부(150)는 도 4에서처럼 마이크로 스위치(152)가 "닫힌" 상태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 본체(171)가 제공하는 자기장의 방향이 반전되어 플렌저(172)는 솔레노이드 본체(171)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직선 구동된다. 그리하여 레버(180)는 시계 반대 방향(도 6 기준)으로 회전하며 레버(180)의 승강판 가압부(183)는 승강판(130)의 레버 삽입부(132)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때 승강판 가압부(183)가 승강판(130)에 가하던 가압력이 해제되어 승강판(130)은 상방으로 이동하고 하부케이싱(120)은 반대로 하방으로 이동하여 피청소면인 카펫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청소 도중에 피청소면이 카펫에서 하드 플로어로 전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카펫 상에 본 실시예의 흡입브러시(100)를 접촉시켜 청소를 하는 중에, 피청소면 감지부(150)는 도 4에서처럼 마이크로 스위치(152)가 "닫힌" 상태 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 6에서처럼, 솔레노이드(170)의 플렌저(172)는 솔레노이드 본체(171) 밖으로 인출된 상태에 있으며, 승강판 가압부(183)는 승강판(130)의 레버 삽입부(183)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하여, 승강판(130)은 상방으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하부케이싱(120)은 피청소면에 상대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흡입브러시(100)를 하드 플로어 상으로 이동시켜 청소를 하게 되면, 피청소면 감지부(150)는 도 3에서처럼 마이크로 스위치(152)가 "열린" 상태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 본체(171)가 제공하는 자기장의 방향이 반전되어 플렌저(172)는 솔레노이드 본체(171)의 내부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구동된다. 그리하여 레버(180)는 시계 방향(도 5 기준)으로 회전하며, 레버(180)의 승강판 가압부(183)는 승강판(130)의 레버 삽입부(132)를 이탈하면서 승강판(130)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하여 승강판(130)은 하방으로 이동하고 하부케이싱(120)은 반대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피청소면인 하드 플로어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흡입브러시(100)에 의하면,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인 경우에는 하부케이싱(120)이 피청소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하여 하드 플로어 상에서의 조작저항이 감소되어 하부케이싱(120)이 하드 플로어에 달라 붙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반면, 피청소면이 카펫인 경우에는 하부케이싱(120)이 피청소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카펫의 울(W, Wool, 도 6 참조) 사이에 존재 하는 오물들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카펫에서의 흡입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흡입브러시를 상부케이싱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흡입브러시에 구비된 피청소면 감지부가 하드 플로어 상에 놓여진 경우에 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흡입브러시에 구비된 피청소면 감지부가 카펫 상에 놓여진 경우에 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Ⅴ선에 따른 절개 사시도로서,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인 경우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를 피청소면이 카펫인 경우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6)

  1. 상부케이싱;
    상기 상부케이싱에 고정결합되며 피청소면으로부터 오물이 흡입되는 흡입구 형성된 하부케이싱;
    상기 하부케이싱에 대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 사이에 설치되며 레버 삽입부가 형성된 승강판;
    상기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인지 카펫인지를 감지하는 피청소면 감지부;
    상기 승강판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일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일단이 레버 삽입부에 삽입되며 승강판을 하방으로 가압하고 타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일단이 레버 삽입부로부터 이탈되는 레버; 및
    상기 피청소면이 하드 플로어로 감지되면 레버를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며 피청소면이 카펫으로 감지되면 상기 레버를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케이싱은, 승강판이 하강함에 따라 피청소면에 밀착되고 승강판이 상승함에 따라 피청소면에 대해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중심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레버 삽입부에 삽탈 가능하도록 마련된 승강판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솔레노이드 본체;
    상기 솔레노이드 본체에 의해 직선 구동되는 플렌저; 및
    상기 플렌저의 일단에 상기 플렌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플렌저를 상기 레버의 연결부에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연결부에는 상기 연결핀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연결핀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레버의 중심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레버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레버를 지지하는 지지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브러시.
  5. 제1항에 있어서, 피청소면 감지부는,
    상기 피청소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수평 유지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배치되며 마이크로 스위치; 및
    상기 고정판에 나란한 회전축을 가지도록 고정판에 설치되며, 일단에는 피청소면과 접촉하는 피청소면 접촉부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마이크로 스위치의 접촉단자에 접촉되는 스위치 접촉부가 구비된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KR1020070084096A 2007-08-21 2007-08-21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KR101457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096A KR101457425B1 (ko) 2007-08-21 2007-08-21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US12/070,756 US7631394B2 (en) 2007-08-21 2008-02-21 Suction brush for vacuum cleaner
RU2008123221/12A RU2463945C2 (ru) 2007-08-21 2008-06-11 Всасывающая щетка для пылесоса
EP08010873A EP2027805B1 (en) 2007-08-21 2008-06-16 Suction brush for vacuum cleaner
JP2008161550A JP5221218B2 (ja) 2007-08-21 2008-06-20 真空掃除機用吸引ブラ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096A KR101457425B1 (ko) 2007-08-21 2007-08-21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563A true KR20090019563A (ko) 2009-02-25
KR101457425B1 KR101457425B1 (ko) 2014-11-06

Family

ID=3987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096A KR101457425B1 (ko) 2007-08-21 2007-08-21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31394B2 (ko)
EP (1) EP2027805B1 (ko)
JP (1) JP5221218B2 (ko)
KR (1) KR101457425B1 (ko)
RU (1) RU246394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68514B (en) 2009-03-12 2012-07-11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treating head
EP2442701B1 (en) 2009-06-17 2016-08-17 Dyson Technology Limited A tool for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0912356D0 (en) 2009-07-16 2009-08-26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head
AU2010272318B2 (en) 2009-07-16 2013-09-12 Dyson Technology Limited A surface treating head
USD741559S1 (en) * 2013-05-02 2015-10-20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Floor cleaning tool
USD778518S1 (en) * 2014-07-25 2017-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ake for cleaner
USD765324S1 (en) * 2014-08-05 2016-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CN104433961B (zh) * 2014-12-03 2017-10-10 苏州市宏伟电器有限公司 一种吸尘器地刷
USD769558S1 (en) * 2014-12-03 2016-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ush for vacuum cleaner
CN104433960B (zh) * 2014-12-03 2017-06-13 苏州市宏伟电器有限公司 吸尘器地刷
USD776380S1 (en) * 2014-12-05 2017-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ush for vacuum cleaner
JP1543696S (ko) * 2014-12-11 2018-01-29
USD768347S1 (en) * 2014-12-15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ush for a vacuum cleaner
USD778018S1 (en) * 2014-12-15 2017-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ush for vacuum cleaner
USD781016S1 (en) * 2014-12-18 2017-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ake for cleaner
DE102016101040A1 (de) * 2016-01-21 2017-07-27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augdüse für ein Saugreinigungsgerät
CN105640432A (zh) * 2016-03-28 2016-06-08 苏州凯弘橡塑有限公司 风动地刷
EP3809938B1 (en) 2018-06-19 2023-12-13 Arçelik Anonim Sirketi A vacuum cleaner with cleaning head
CN213850490U (zh) 2019-07-29 2021-08-03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机器人清洁器
KR102204555B1 (ko) 2019-08-30 2021-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지테이터를 구비하는 청소용 유닛
CN113069038B (zh) * 2021-03-31 2023-04-25 北京顺造科技有限公司 吸尘器用地刷及吸尘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9563A (en) * 1942-03-03 1943-09-14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Suction cleaning apparatus
US4706327A (en) * 1986-05-30 1987-11-17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vacuum nozzle height adjustment system for vacuum cleaner
US5269042A (en) * 1992-01-10 1993-12-14 Royal Appliance Mfg. Co. Height adjustment system for vacuum cleaner
JPH05220076A (ja) * 1992-02-13 1993-08-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の吸込具
JPH05220075A (ja) * 1992-02-13 1993-08-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の吸込具
JPH05245072A (ja) * 1992-03-09 1993-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床ノズル
JPH07289481A (ja) * 1994-04-28 1995-11-07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JPH08173356A (ja) * 1994-12-21 1996-07-09 Tec Corp 電気掃除機
JPH10243901A (ja) * 1997-03-07 1998-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3855578B2 (ja) * 2000-03-01 2006-12-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GB2374523A (en) * 2001-04-17 2002-10-23 Hoover Ltd Vacuum cleaner suction head
JP2003290101A (ja) * 2002-04-02 2003-10-14 Sharp Corp 電気掃除機
KR100481666B1 (ko) 2003-04-03 2005-04-14 주식회사 한울로보틱스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 청소로봇의 흡입장치
KR100517942B1 (ko) 2003-12-22 200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흡입헤드 높이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63547A (ko) * 2003-12-22 2005-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그 운전방법
US7203993B2 (en) * 2003-12-23 2007-04-17 The Hoover Company Suction nozzle height adjustment and control arrangement
US7316051B2 (en) * 2004-07-01 2008-01-08 The Hoover Company Suction nozzle height adjustment control circuit
KR100582519B1 (ko) * 2004-07-09 2006-05-2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DE102005061646A1 (de) * 2005-12-22 2007-06-28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odendüse, sowie Bodendüse für einen Staubsau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45440A (ja) 2009-03-05
EP2027805A3 (en) 2010-04-07
US20090049642A1 (en) 2009-02-26
US7631394B2 (en) 2009-12-15
RU2463945C2 (ru) 2012-10-20
EP2027805A2 (en) 2009-02-25
RU2008123221A (ru) 2009-12-20
KR101457425B1 (ko) 2014-11-06
JP5221218B2 (ja) 2013-06-26
EP2027805B1 (en)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9563A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KR101487787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KR101322247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및 그 높이조절방법
EP2096971B1 (en) A floor tool has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such as a vacuum cleaner
KR20040023879A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KR102015320B1 (ko) 청소기
JP2017035459A (ja) 掃除機および掃除機の駆動方法
KR20190081047A (ko) 로봇 청소기
KR101003601B1 (ko) 진공 청소기
KR101052161B1 (ko) 진공 청소기
KR101616533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
JP3630146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EP4144272A1 (en) Setting a position of at least one working member in a nozzle arrangement
KR200172944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KR20080043641A (ko) 로봇청소기
KR20110077611A (ko)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코드릴 동작구조
US20110209302A1 (en) Vacuum cleaner
EP4395618A1 (en) Setting a position of at least one working member in a nozzle arrangement
JPH05146383A (ja) 電気掃除機
KR20090044701A (ko) 진공청소기
KR20070034245A (ko) 물청소 겸용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