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4546A - 차량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546A
KR20090014546A KR1020070078591A KR20070078591A KR20090014546A KR 20090014546 A KR20090014546 A KR 20090014546A KR 1020070078591 A KR1020070078591 A KR 1020070078591A KR 20070078591 A KR20070078591 A KR 20070078591A KR 20090014546 A KR20090014546 A KR 20090014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topper
inertial load
vehicl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5825B1 (ko
Inventor
서창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8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825B1/ko
Priority to US11/942,567 priority patent/US7571948B2/en
Publication of KR20090014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07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positive 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22Inertia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트레이가 관성하중에 의해 급작스럽게 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트레이(20)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40); 상기 스프링(40)에 일단이 연결되어 트레이(20) 하부에 설치되며, 관성하중 작용시 타단이 스프링(40)의 탄성 복원력을 이기고 리드(10) 하단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스토퍼(30); 및 상기 트레이(20) 하면 및 상기 스토퍼(30) 상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호 치합 가능한 후진방지 톱니구조(16,32);를 포함한다.
관성하중, 트레이, 리드, 열림

Description

차량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a Receiving-Tray for a Vehicle from Accidentally Opening Caused by Inertia Load}
본 발명은 차량 트레이가 관성하중에 의해 급작스럽게 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에는 각종 물품의 수납을 위한 트레이가 마련되며, 이러한 트레이의 개구부에는 리드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대표적인 예로서는, 애쉬 트레이를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트레이(20)의 열림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통상적으로 트레이(20)의 개구부에 설치된 리드(10)는, 회동축(11)을 가지며, 토션 스프링(13)에 의해 개구부를 닫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받는다. 이 토션 스프링(13)으로 인해 리드(1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리드 상단에 설치되곤 하던 클립이나 체결구조는 생략될 수 있으며, 리드(10)를 후방으로 슬라이딩된 후, 토션 스프링(13)에 데드 포인트 이상의 힘을 가해지면 리드(10)가 후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이러한, 트레이(20)의 리드(10)는 평상시에는 물건의 수납에 아무런 지장이 없다. 그러나, 차량이 급출발하는 경우, 관성하중에 의해 토션 스프링(13)의 탄성력을 이기고 리드(10)가 열리면서, 트레이(20) 안에 수납된 물건들이 외부로 흘러 나오는 경우가 발생된다. 트레이가 설치된 방향에 따라서는, 급정지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 트레이가 관성하중에 의해 급작스럽게 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는, 트레이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일단이 연결되어 트레이 하부에 설치되며, 관성하중 작용시 타단이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이기고 리드 하단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스토퍼; 및 상기 트레이 하면 및 상기 스토퍼 상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호 치합 가능한 후진방지 톱니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의 무게 및 스프링 탄성계수는, 스토퍼가 관성하중 작용시 리드의 하단부를 가압하거나 적어도 접촉될 수 있는 정도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의 타단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후진방지 톱니구조는 단턱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에 따르면, 차량 트레이가 관성하중에 의해 급작스럽게 열리면서 안에 수납된 내용물 차량 실내로 쏟아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차량 트레이의 구조는 이미 널리 공지된 것인 바, 상세한 트레이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와 관련된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차량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는, 스프링(40)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 스토퍼(30)가 관성하중 작용시 전방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리드(10)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스프링(40)은 트레이(20) 하부에 설치된다. 관성하중의 속성상 스프링(40)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제공되도록 설치된다.
스토퍼(30)는 스프링(40)에 일단이 연결되어 트레이(20) 하부에 전후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40)과 실질적으로 동일 직선상에 배치된다. 스토퍼(30)는 관성하중 작용시 타단이 스프링(40)의 탄성 복원력을 이기고 리드(10) 하단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를 위하여는 스프링(40)의 탄성계수와 스토퍼(30)의 무게가 적절히 조절되어야 하는데, 그 조절은 리드(10)가 열리게 되는 관성하중을 측정함에 의해 비교적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2와 함께 도 3을 참조하여 후진방지 톱니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트레이 하면(15) 및 스토퍼(30)의 상면에는 각각 상호 치합 가능한 후진방지 톱니구조(16,32)가 마련된다. 특히 트레이 하면(15)에 마련된 톱니구조(16)는 스토퍼(30) 상면에 마련된 톱니구조(32) 보다 전방에 마련되도록 하여, 스토퍼(30)가 관성하중에 의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서야 비로서 각 톱니구조가 상호 치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후진방지 톱니구조란, 어느 일방으로만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은 서로 치합된 톱니구조에 의해 제한받도록 구성된 톱니구조를 말한다. 여기서는, 스토퍼(3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에는 트레이 하면(15)과 스토퍼(30)의 상면에 마련된 톱니가 서로 미끌어질 수 있으나, 스토퍼(3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은 제한된다. 도 2에 일례가 도시되어 있으나, 그 구체적인 형태는 다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후진방지 톱니구조(16,32)에 의하여, 관성하중 작용시 스토퍼(30)는 리드(10) 하단으로 슬라이딩되어 리드(10)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리드(10)가 회동되어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스토퍼(30)는 관성하중 작용시 리드(10)의 하단부를 가압하거나 적어도 접촉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스토퍼(30)의 무게 및 스프링 탄성계수의 조절을 통해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30)의 타단에는 단턱(31)이 형성되며, 후진방지 톱니구조(32)는 단턱(31)의 후방측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진방지 톱니구 조(16,32)로 인하여 스토퍼(3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 방해받는 것을 일부라도 경감시키고, 스토퍼(30)가 리드(10) 하단부에 설치된 다른 부재에 간섭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하고 공간활용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이 경우, 리드(10) 하단부에는 스토퍼(30)의 단턱(31)에 대응하는 단턱(14)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스토퍼(30)는 관성하중에 의해 전진한 후에는 후진방지 톱니구조(16,32)에 의해 후진이 제한되어 리드(10)의 열림작동이 불가능하므로, 이러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는 운전자가 후진방지 톱니구조(16,32)를 강제로 이격시켜, 스토퍼(30)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돌려 보내야 한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토퍼(30)의 하부에는 스토퍼(30)를 덮는 커버(50)가 설치된다. 이 커버(50)는, 베이스(51), 측부(52), 트레이 하면(15)에의 고정을 위하여 측부에 연장형성된 고정부(53)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트레이의 열림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주요 구성만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의 설명을 위한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의 후진방지 톱니구조의 설명을 위한 개략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의 스토퍼를 덮는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리드 11: 회동축
13: 토션 스프링 14, 31: 단턱
15: 트레이 하면 16, 32: 후진방지 톱니구조
20: 트레이 30: 스토퍼
40: 스프링 50: 커버
51: 베이스 52: 측부
53: 고정부

Claims (3)

  1. 차량의 트레이(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리드(10)가 관성하중에 의해 급작스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로서,
    상기 트레이(20)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40);
    상기 스프링(40)에 일단이 연결되어 트레이(20) 하부에 설치되며, 관성하중 작용시 타단이 스프링(40)의 탄성 복원력을 이기고 리드(10) 하단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스토퍼(30); 및
    상기 트레이(20) 하면 및 상기 스토퍼(30) 상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호 치합 가능한 후진방지 톱니구조(16,32);를 포함하는 차량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0)의 무게 및 스프링 탄성계수는, 스토퍼(30)가 관성하중 작용시 리드(10)의 하단부를 가압하거나 적어도 접촉될 수 있는 정도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0)의 타단에는 단턱(32)이 형성되며, 후진방지 톱니구조(16,32)는 단턱(32)의 후방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
KR1020070078591A 2007-08-06 2007-08-06 차량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 KR100925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591A KR100925825B1 (ko) 2007-08-06 2007-08-06 차량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
US11/942,567 US7571948B2 (en) 2007-08-06 2007-11-19 Apparatus for preventing vehicle tray from being opened by inertia lo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591A KR100925825B1 (ko) 2007-08-06 2007-08-06 차량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546A true KR20090014546A (ko) 2009-02-11
KR100925825B1 KR100925825B1 (ko) 2009-11-06

Family

ID=40345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591A KR100925825B1 (ko) 2007-08-06 2007-08-06 차량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71948B2 (ko)
KR (1) KR1009258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0042B2 (ja) * 2006-12-21 2012-07-18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収納ボックスの蓋体ロック構造
US8215684B2 (en) 2010-01-20 2012-07-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towage assembly having electromagnetic closure
FR2961757B1 (fr) * 2010-06-28 2012-07-0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lancher de vehicule empechant la remontee d'une assise de siege en cas de choc frontal
US8191953B2 (en) * 2010-07-02 2012-06-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inertial lock and latch for console lid
US10577837B2 (en) * 2014-05-28 2020-03-03 U-Shin France Lock for a motor vehicle
US9714530B2 (en) 2015-09-15 2017-07-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ertia lock for a console armrest
FR3047211B1 (fr) * 2016-01-28 2018-03-02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Dispositif ouvrant comprenant un dispositif de blocage de securite
DE102017102029B4 (de) * 2017-02-02 2023-06-15 Lisa Dräxlmaier GmbH Sperranordnung für ein staufach eines kraftfahrzeugs
KR101906724B1 (ko) * 2017-04-28 2018-12-05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트레이용 지센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650U (ja) * 1983-06-22 1985-01-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に設けられる小物収納ボツクス
JPS6181244A (ja) * 1984-09-27 1986-04-24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収納体装置における自動突出し装置
JPH077225Y2 (ja) * 1989-10-18 1995-02-22 株式会社ニフコ 車載移動体の閉位置係止装置
JPH0575003U (ja) * 1992-03-16 1993-10-12 加藤発条株式会社 安全機能付き自動車用収納装置
JPH0575004U (ja) * 1992-03-16 1993-10-12 加藤発条株式会社 安全機能付き自動車用収納装置
JPH08184237A (ja) * 1994-12-28 1996-07-16 Nifco Inc 回動蓋のロック機構
KR200153512Y1 (ko) * 1996-11-28 1999-08-02 양재신 자동차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 장치
JP4462768B2 (ja) * 2001-01-19 2010-05-12 株式会社ニフコ 安全機能付ロック装置及び乗物用収納装置
DE20116159U1 (de) * 2001-10-02 2002-02-21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Verriegelungsvorrichtung
JP3874260B2 (ja) * 2002-04-10 2007-01-31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用引き出し装置
US6899364B2 (en) * 2003-10-17 2005-05-31 Hyundai Mobis Co., Ltd. Stopper structure in a glove box
US7121605B2 (en) * 2004-03-17 2006-10-17 Lear Corporation Glove box with sensor
KR100550625B1 (ko) * 2004-06-11 2006-02-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 수납구조
US7475929B2 (en) * 2004-09-15 2009-01-13 Piolax Onc. Lid open-clos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71948B2 (en) 2009-08-11
KR100925825B1 (ko) 2009-11-06
US20090038225A1 (en)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4546A (ko) 차량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
JP4980042B2 (ja) 車両用収納ボックスの蓋体ロック構造
US7506406B2 (en) Door checker for automobile
JP4672486B2 (ja) 車両用収納装置のリッド開閉機構
TWI363008B (ko)
US5690194A (en) One-way pivoting gear damper
US9151320B2 (en) Vehicle handle with improved unlocking mechanism
KR101457717B1 (ko) 안전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손잡이
US5839548A (en) Motion control device for rotary dampers
KR100836121B1 (ko) 차량 도어의 열림 방지 도어래치 어셈블리
JP5096724B2 (ja) 車室内収納ケース
EP4043288B1 (en) Vehicle article storage structure
JP2007261435A (ja) アームレスト
EP0610882A2 (en) Storage device with safety function
JP2004009809A (ja) 車両のフューエルフィラーリッド構造
JP5459167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6306490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2005343367A (ja) フューエルリッドの取付構造
JP7187426B2 (ja) シートヒンジ
JPH0755162Y2 (ja) グラブボックス
JP6886373B2 (ja) ロック装置
JP4113492B2 (ja) ダンパー付き耐振ラッチ
JP4093081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S5820056Y2 (ja) 安全機構を有する自動車用物入れ
KR101707778B1 (ko) 시트에 장착되는 트레이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