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4149A - 랙피니언식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랙피니언식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149A
KR20090014149A KR1020087026002A KR20087026002A KR20090014149A KR 20090014149 A KR20090014149 A KR 20090014149A KR 1020087026002 A KR1020087026002 A KR 1020087026002A KR 20087026002 A KR20087026002 A KR 20087026002A KR 20090014149 A KR20090014149 A KR 20090014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rack guide
circumferential surface
cylindric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9884B1 (ko
Inventor
히데토시 가이다
고이치 이나가키
Original Assignee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4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3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pressure yo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2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 of steering gear or particular application
    • B62D5/22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 of steering gear or particular application for rack-and-pin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6Racks
    • F16H55/28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 F16H55/283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using pressure yo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7Rack and pin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랙피니언식 조향장치(1)는 내부에 원주형 보유지지공(2)를 가지는 하우징(3)과, 하우징(3) 안에 베어링(4) 및 (5)를 사이에 두고 축심(O) 둘레로 방향(R)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피니언(6)과, 피니언(6)과 맞물린 랙기어(7)를 가짐과 동시에 방향(A)으로 이동 가능한 랙바(8)와, 하우징(3) 안의 보유지지공(2)에 방향(C)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랙바(8)를 방향(A)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는 랙가이드(9)와, 랙가이드(9)를 사이에 두고 랙바(8)의 랙기어(7)를 피니언(6)에 탄성적으로 압압하는 코일 스프링(10)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랙피니언식 조향장치{Rack and pinion type ste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랙피니언식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실용신안등록출원 소56-115067호의 마이크로 필름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 평6-239245호 공보
랙피니언식 조향장치는 일반적으로 도 15에 도시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도 15에 도시한 랙피니언식 조향장치(1)는, 조향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우징(3) 안에 베어링(4) 및 (5)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피니언(6)과, 피니언(6)의 회전에 의해 지면(紙面)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피니언(6)과 맞물린 랙기어(rack teeth)(7)를 가지는 랙바(8)와, 랙바(8)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하우징(3) 안의 횡방향(랙바(8)의 이동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형 보유지지공(2)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랙가이드(9)와, 하우징(3) 및 랙가이드(9) 사이에 배치되어, 랙가이드(9)를 사이에 두고 랙바(8)의 랙기어(7)를 피니언(6)에 탄성적으로 압압하는 코일 스프링(10)을 구비하고 있으며, 랙가이드(9)의 랙가이드 본체(22)의 외주면(31)과 보유지지공(2)을 규정하는 하우징(3)의 내주면(15) 사이에는 랙가이드(9)의 피니언(6)쪽으로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환형 간극(Δ)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랙피니언식 조향장치(1)에서는, 노면으로부터 차륜을 통해 작용하는 반력에 의해 랙바(8)는 그 축심선 둘레로 진동을 일으켜, 랙가이드 본체(22)의 외주면(31)과 하우징(3)의 내주면(15) 간의 환형 간극(Δ)이 크면, 보유지지공(2)의 직경 방향에 따른 랙가이드(9)의 움직임이 커져 랙가이드 본체(22)의 외주면(31)과 하우징(3)의 내주면(15)의 충돌음 및 랙기어(7)와 피니언(6)의 톱니간의 충돌음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랙피니언식 스티어링 장치(1)에서는, 최근 하우징(3)은 경량이면서 가공이 용이하도록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하우징(3)의 원주형 보유지지공(2)에 배치되어 있는 랙가이드 본체(22)도 경량이고 가공이 용이하면서도 저렴하도록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 및 랙가이드 본체(22)를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한 경우, 랙가이드 본체(22)의 외주면(31)과 하우징(3)의 내주면(15) 사이에 마련된 환형 간극(Δ)에 의해 랙바(8)에 축심선 둘레의 진동이 발생하여 랙가이드 본체(22)가 하우징(3)의 내주면(15)쪽으로 강하게 눌려지면, 코일 스프링(10)에 의한 압압력의 작용과 더불어 랙가이드 본체(22)와 하우징(3)의 양자간은, 이른바 「공통금속(common-metal)현상」되어 양자간의 마찰 저항이 증대되고, 나아가 양자간에 응착 마모가 야기되어 랙가이드(9)의 랙바(8)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해된다는 문제도 발생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랙가이드 본체(22)와 하우징(3) 사이에 고무 탄성체로 이루어진 0링을 개재시키고, 그 0링을 랙가이드 본체(22)의 외주면(31)과 하우징(3)의 내주면(15) 사이에 끼워넣음으로써 랙가이드(9)의 직경 방향에 따른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안(상기 특허문헌 1 기재), 혹은 랙가이드 본체(22)의 외주면(31)과 하우징(3)의 내주면(15)에 축방향으로 긴 탄성부재를 끼워넣음으로써 랙가이드(9)의 직경 방향에 따른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안(상기 특허문헌 2 기재)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그와 같은 0링이나 축방향으로 긴 탄성부재를 랙가이드 본체(22)의 외주면(31)과 하우징(3)의 내주면(15) 사이에 끼워넣으면, 그 O링이나 탄성부재와 하우징(3)의 내주면(15) 사이의 마찰에 의해 랙가이드(9)의 원활한 축방향 이동이 저해되기 때문에 피니언(6)과 랙바(8)의 랙기어(7)를 원활하게 맞물릴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모든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부분은, 노면으로부터 차륜을 통해 작용하는 반력에 의한 랙바의 축심선 둘레의 진동에 기인한 랙가이드 본체의 외주면과 하우징의 내주면간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고, 하우징 및 랙가이드 본체를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한 경우에 주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이른바 「공통금속현상」에 기인한 응착 마모를 일으키지 않고 랙가이드를 랙바 방향으로 항상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랙피니언식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랙피니언식 조향장치는, 내부에 원주형 보유지지공을 가지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 안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조향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과, 이 피니언과 맞물린 랙기어를 가지는 동시에 이동 가능한 랙바와, 하우징 내의 보유지지공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랙바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는 랙가이드와, 하우징 및 랙가이드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랙가이드를 사이에 두고 랙바의 랙기어를 피니언에 탄성적으로 압압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랙가이드는, 원통형 외주면, 이 외주면에 형성된 광폭의 환형 오목부, 이 광폭의 환형 오목부의 바닥면에 형성됨과 동시에 광폭의 환형 오목부보다 좁은 폭의 적어도 하나의 협폭의 환형 홈을 가지는 랙가이드 본체와, 이 랙가이드 본체에 고착됨과 동시에 랙바의 외면에 접촉하여 랙바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판 조각과, 랙가이드 본체의 협폭의 환형 홈에 상기 협폭의 환형 홈의 개구부보다 돌출되어 끼움부착된 무단(無端) 환형 탄성부재와, 외주면쪽은 랙가이드 본체의 광폭의 환형 오목부의 개구부보다도 돌출되어 있는 반면, 내주면에서 무단 환형 탄성부재의 외면에 맞닿아 광폭의 환형 오목부에 끼움부착됨과 동시에 하나의 분할 홈을 가지는 원통 부시(bush)를 구비하고 있으며, 원통 부시는, 하우징의 보유지지공에 체결여유를 두고 끼워짐과 동시에 하우징의 보유지지공을 규정하는 하우징의 원통형 내주면에 그 외주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접촉되어 있다.
본 발명의 랙피니언식 조향장치에 의하면, 광폭의 환형 오목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협폭의 환형 오목부에는 무단 환형 탄성부재가 끼움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광폭의 환형 오목부에는 무단 환형 탄성부재의 외면에 맞닿은 원통 부시가 끼움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랙가이드 본체의 외주면과 보유지지공을 규정하는 하우징의 내주면과의 충돌을 피할 수 있어 충돌음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으며, 게다가 랙기어와 피니언의 톱니간의 충돌음을 흡수하여 상기 충돌음을 줄일 수 있으며, 또 하우징 및 랙가이드 본체를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한 경우에 「공통금속현상」에 기인한 응착 마모를 일으키지 않고 랙가이드 본체의 외주면에 끼움부착된 원통 부시의 외주면과 하우징의 내주면의 슬라이딩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랙가이드의 랙바 방향으로의 이동을 항상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랙피니언식 조향장치에서, 광폭의 환형 오목부는 랙가이드 본체의 원통형 외주면에 그 둘레방향의 전역에 형성된 환형의 오목부를 가지고 있으며, 원통 부시는 하나의 분할 홈을 가짐과 동시에 환형의 오목부에 끼움부착된 원통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나아가 이러한 광폭의 환형 오목부는 환형의 오목부에 추가하여, 상기 환형의 오목부에 연속됨과 동시에 랙가이드 본체의 원통형 외주면에서 서로 대향하는 외주면부에 형성된 한쌍의 원호형 오목부를 더 가지고 있어도 좋고, 이 경우, 원통 부시는 원통부에 추가하여 분할 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상기 원통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한쌍의 원호형 오목부 각각에 끼움부착된 한쌍의 원호형 돌출부를 더 가지고 있어도 좋다.
랙가이드 본체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철계 소결체로 이루어져 있으면 좋고, 또 무단 환형 탄성부재는 고무제 0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좋다.
원통 부시는, 자기(自己) 윤활성이 있는 폴리아세탈수지, 폴리아미드수지, 폴리부티렌텔레프탈레이트수지 등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은데, 이러한 합성수지에는 윤활유, 흑연, 이황화몰리브덴, 사불화에틸렌수지 등의 윤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또 원통 부시에는 강판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메탈과 상기 베이스메탈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된 다공질 소결 합금층과 상기 다공질 소결 합금층의 공극 및 표면에 충전 피복된 합성수지층으로 이루어진 판상체를, 상기 합성수지층을 바깥쪽으로 하여 원통형으로 감아 형성된 감김 부시를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랙피니언식 조향장치에서, 랙가이드 본체의 광폭의 환형 오목부의 바닥면과 원통 부시의 내주면간의 환형 간극은, 랙가이드 본체의 외주면과 원주형 보유지지공을 규정하는 하우징의 내주면간의 환형 간극의 직경 방향의 폭보다도 작은 직경 방향의 폭을 가지고 있으면 좋다.
랙가이드가 하우징의 원주형 보유지지공 안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랙가이드 본체의 광폭의 환형 오목부의 바닥면과 상기 광폭의 환형 오목부에 무단 환형 탄성부재를 덮어 끼움부착된 원통 부시의 내주면 사이의 환형 간극은, 랙가이드 본체의 외주면과 하우징의 원주형 보유지지공을 규정하는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의 환형 간극의 직경 방향의 폭보다도 작은 직경 방향의 폭을 가지고 있으면, 랙가이드 본체의 외주면과 하우징의 원주형 보유지지공을 규정하는 하우징의 내주면간의 충돌, 상기 충돌에 의한 충돌음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으며, 특히 하우징 및 랙가이드 본체를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상기에 추가하여 「공통금속현상」에 기인한 응착 마모를 일으키지 않고 랙가이드를 랙바 방향으로 항상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면으로부터 차륜을 통해 작용하는 반력에 의한 랙바의 축심선 둘레의 진동에 기인한 랙가이드 본체의 외주면과 하우징의 내주면간의 충돌을 피할 수 있어, 하우징 및 랙가이드 본체를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한 경우에 주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이른바 「공통금속현상」에 기인한 응착 마모를 일으키지 않고 랙가이드를 랙바 방향으로 항상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랙피니언식 조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 및 그 실시형태를, 도면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예의 단면 설명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랙가이드의 단면 설명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랙가이드의 정면 설명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랙가이드의 평면 설명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랙가이드에 끼움부착되는 원통 부시의 평면 설명도,
도 6은, 도 5의 VI-VI선의 단면 설명도,
도 7은, 도 1에 도시한 랙가이드 본체의 평면 설명도,
도 8은, 도 1에서의 주요부 확대 단면 설명도,
도 9는, 도 1에 도시한 랙가이드의 다른 태양을 도시한 단면 설명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랙가이드의 정면 설명도,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랙가이드에 끼움부착되는 원통 부시의 평면 설명도,
도 12는, 도 11의 XII-XII선의 단면 설명도,
도 13은, 도 9에 도시한 랙가이드에 끼움부착되는 원통 부시의 저면 설명도,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랙가이드의 다른 태양을 도시한 단면 설명도,
도 15는, 종래의 랙피니언식 조향장치를 도시한 단면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본 예의 랙피니언식 조향장치(1)는, 내부에 원주형 보유지지공(2)를 가지는 하우징(3)과, 하우징(3) 안에 베어링(4) 및 (5)를 사이에 두고 축심(O)의 둘레로 방향(R)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조향에 의해 방향(R)으로 회전되는 피니언(6)과, 피니언(6)의 방향(R)의 회전에 의해 도 1에서 지면(紙面)에 직교하는 방향(A)으로 이동되도록 피니언(6)과 맞물린 랙기어(7)를 가짐과 동시에 방향(A)으로 이동 가능한 랙바(8)와, 랙바(8)의 방향(A)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하우징(3) 안의 보유지지공(2)에 방향(A) 및 피니언(6)의 축방향(B)의 각각에 직교하는 방향(C)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랙바(8)를 방향(A)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는 랙가이드(9)와, 하우징(3) 및 랙가이드(9)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랙가이드(9)를 사이에 두고 랙바(8)의 랙기어(7)를 피니언(6)에 탄성적으로 압압하는 탄성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10)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은, 원통부(13)를 가지는 하우징 본체(14)와, 원통부(13)의 내주면(15)에 나사 고정된 뚜껑 부재(16)를 구비하고 있으며, 원통부(13)에 형성된 보유지지공(2)의 일단면을 폐쇄하는 뚜껑 부재(16)는, 원통부(13)로의 나사 결합 상태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로킹 너트(17)에 의해 원통부(13)에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3)을 관통하여 방향(A)으로 연장되어 있는 랙바(8)는 랙기어(7)가 형 성된 면과는 반대면에 원호 볼록면(19)을 가지고 있다.
랙가이드(9)는, 도 2 내지 도 7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단면(20)에 원호 오목면(21)을 가지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랙가이드 본체(22)와, 랙가이드 본체(22)의 원호 오목면(21)에 고착됨과 동시에 랙바(8)의 원호 볼록면(19)에 상대적으로 방향(A)으로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는 원호형 내면(23)을 가지고 랙바(8)를 방향(A)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조각(24)과, 랙가이드 본체(22)에 마련된 무단 환형 탄성부재로서의 고무제의 한쌍의 O링(25)과, 동일하게 랙가이드 본체(22)에 마련된 합성수지제의 원통 부시(26)를 구비하고 있다.
랙가이드 본체(22)는 원호 오목면(21)에 추가하여 원통형 외주면(31)과, 외주면(31)에 형성된 광폭의 환형 오목부(32)와, 환형 오목부(32)의 원통형 바닥면(33)에 형성됨과 동시에 랙가이드 본체(22)의 축방향, 즉 방향(C)에서 광폭의 환형 오목부(32)보다도 좁은 폭의 적어도 하나, 본 예에서는 2개의 협폭의 환형 홈(34)과, 원호 오목면(21)이 배치되는 한쪽 단면(20)에 대해 다른 쪽 단면(35)에 마련된 원주형 오목부(36)와, 한쪽에서는 오목부(36)에 연통되고 다른 쪽에서는 원호 오목면(21)에서 개구됨과 동시에 원호 오목면(21)의 중앙에 배치된 관통공(37)을 가지고 있다.
환형 오목부(32)는, 랙가이드 본체(22)의 외주면(31)에 그 둘레방향의 전역에 형성된 원환형의 오목부(41)로 이루어진다.
랙바(8)를 방향(A)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강판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메탈과 상기 베이스메탈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된 다공질 소결 합금층과 상기 다공질 소결 합금층의 공극 및 표면에 충전 피복된 합성수지층으로 이루어져 합성수지층쪽에서 원호형 내면(23)을 형성한 슬라이딩 조각(24)은, 랙바(8)의 원호 볼록면(19)과 상보적인 형상을 한 내면(23)에 추가하여, 랙가이드 본체(22)의 원호 오목면(21)과 상보적인 형상을 한 원호형 외면(42)과, 외면(42)의 중앙부에 형성된 바닥이 있는 원통부(43)를 가지고 있으며, 바닥이 있는 원통부(43)에서 랙가이드 본체(22)의 관통공(37)에 끼워맞춤되어 랙가이드 본체(22)의 원호 오목면(21)에 외면(42)으로 안착하여 고착되어 있다.
O링(25)은 협폭의 환형 홈(34) 각각에 상기 협폭의 환형 홈(34)의 개구부보다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끼움부착되어 랙가이드 본체(22)에 설치되어 있다.
원통 부시(26)는 자기(自己) 윤활성이 있는 폴리아세탈수지, 폴리아미드수지, 폴리부티렌텔레프탈레이트수지 등의 열가소성 합성수지, 나아가서는, 이들 열가소성 합성수지에 윤활유, 흑연, 이황화몰리브덴, 사불화에틸렌수지 등의 윤활성 물질을 함유시켜 이루어진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하나의 분할 홈(45)을 가지고, 외주면(46)쪽은 환형 오목부(32)의 오목부(41)의 개구부보다도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반면, 내주면(47)에서 O링(25)의 외면에 맞닿도록 광폭의 환형 오목부(32)의 오목부(41)에 끼움부착되어 랙가이드 본체(22)에 마련되어 있는 원통부(48)를 구비하고 있다.
랙가이드(9)가 보유지지공(2)에 장착되기 전에는 분할 홈(45)에서의 원통부(48)의 단면(端面)간에는 간극이 확보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원통 부시(26)에는 그 직경 방향의 내외 방향으로 변형의 자유도가 부여되어 있다.
원통 부시(26)는, 보유지지공(2)에 체결여유를 두고 끼워넣어짐과 동시에 보유지지공(2)을 규정하는 원통부(13)의 내주면(15)에 그 외주면(46)에서 방향(C)으로 이동 가능하게 접촉되어 있다.
랙가이드(9)가 하우징(3)의 원주형 보유지지공(2) 안에 체결여유를 두고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오목부(41)의 바닥면(33)과 원통부(48)의 내주면(47) 간의 환형 간극(50)은, 랙가이드 본체(22)의 외주면(31)과 원통부(13)의 내주면(15) 간의 환형 간극(51)의 직경 방향의 폭(Δ)보다도 작은 직경 방향의 폭(d)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랙피니언식 조향장치(1)에 의하면, 오목부(41)의 바닥면(33)에 형성된 환형 오목부(34)에는 O링(25)이 끼움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오목부(41)에는 O링(25)의 외면에 맞닿은 원통부(48)를 가지는 원통 부시(26)가 끼움부착되어 있는 데다가 특히 환형 간극(50)이 환형 간극(51)의 직경 방향의 폭(Δ)보다도 작은 직경 방향의 폭(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랙가이드 본체(22)의 외주면(31)과 보유지지공(2)을 규정하는 원통부(13)의 내주면(15)간의 충돌을 피할 수 있어 충돌음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랙가이드 본체(22)와 원통부(13)의 「공통금속현상」에 기인한 응착 마모를 일으키지 않고 랙가이드(9)를 랙바(8) 방향으로 항상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게다가 랙기어(7)와 피니언(6)의 톱니와의 충돌음을 흡수하여 상기 충돌음도 줄일 수 있다.
또 랙피니언식 조향장치(1)에 의하면, 합성수지제의 원통부(48)가 랙가이드 본체(22)의 외주면(31)에 끼움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원통부(48)의 외주면(46)과 원통부(13)의 내주면(15)간의 슬라이딩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는 결과, 랙가이드(9) 의 랙바(8) 방향으로의 이동을 더욱더 항상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랙가이드(9)는, 랙가이드 본체(22)의 외주면(31)에 그 둘레방향의 전역에 형성된 원환형의 오목부(41)로 이루어진 환형 오목부(32)와, 환형 오목부(32)의 오목부(41)에 끼움부착된 원통부(48)로 이루어진 원통 부시(26)와, 2개의 협폭의 환형 홈(34)과, 환형 홈(34)의 각각에 배치된 O링(25)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들 대신에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41)에 추가하여 오목부(41)에 연속됨과 동시에 랙가이드 본체(22)의 외주면(31)에서 서로 대향하는 외주면부(60)에 형성된 한쌍의 원호형 오목부(52)를 더 가지는 광폭의 환형 오목부(32)와, 원통부(48)에 추가하여 분할 홈(45)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원통부(48)에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한쌍의 원호형 오목부(52)의 각각에 끼움부착된 합성수지제의 한쌍의 원호형 돌출부(53)를 더 가지는 원통 부시(26)와, 하나의 협폭의 환형 홈(34)과, 환형 홈(34)에 배치된 하나의 O링(25)을 구비해도 좋다.
또 상기 랙가이드(9)는, 원호 오목면(21)을 가지는 랙가이드 본체(22)와, 랙바(8)의 원호 볼록면(19)과 상보적인 형상을 한 내면(23)을 가짐과 동시에 원호 오목면(21)에 상보적인 형상을 한 외면(42)를 가지는 슬라이딩 조각(24)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대신에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단면(20)쪽에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평탄면(61)과 한쌍의 평탄면(61) 각각으로부터 서로 대향하여 일체적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경사면(62)과 한쌍의 평탄면(61)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관통공(37)이 배치된 바닥 평탄면(63)을 가지는 오목면(64)을 구비한 랙가이드 본체(22)와, 오목면(64)과 마찬가지의 형상을 한 외면(71) 및 내면(72)을 가지는 슬라이딩 조각(24)을 구비해도 좋고, 이 경우, 슬라이딩 조각(24)은 그 바닥이 있는 원통부(43)에서 랙가이드 본체(22)의 관통공(37)에 끼워맞춤되어 랙가이드 본체(22)의 오목면(64)에 외면(71)으로 안착하여 고착되어 있으며, 내면(72)에서의 한쌍의 경사면(73)에서 랙바(8)의 원호 볼록면(19)에 상대적으로 방향(A)으로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한 랙가이드 본체(22) 및 슬라이딩 조각(24)을 구비한 랙가이드(9)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호 볼록면(19)을 가지는 랙바(8) 대신에 한쌍의 경사면(73)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랙바(8)를 사용해도 좋다.

Claims (7)

  1. 내부에 원주형 보유지지공을 가지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 안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조향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과, 이 피니언과 맞물린 랙기어를 가지는 동시에 이동 가능한 랙바와, 하우징 내의 보유지지공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랙바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는 랙가이드와, 하우징 및 랙가이드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랙가이드를 사이에 두고 랙바의 랙기어를 피니언에 탄성적으로 압압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랙가이드는 원통형 외주면, 이 외주면에 형성된 광폭의 환형 오목부, 이 광폭의 환형 오목부의 바닥면에 형성됨과 동시에 광폭의 환형 오목부보다 좁은 폭의 적어도 하나의 협폭의 환형 홈을 가지는 랙가이드 본체와, 이 랙가이드 본체에 고착됨과 동시에 랙바의 외면에 접촉하여 랙바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판 조각과, 랙가이드 본체의 협폭의 환형 홈에 상기 협폭의 환형 홈의 개구부보다 돌출되게 끼움부착된 무단 환형 탄성부재와, 외주면은 랙가이드 본체의 광폭의 환형 오목부의 개구부보다도 돌출되어 있는 반면, 내주면에서 무단 환형 탄성부재의 외면에 맞닿도록 광폭의 환형 오목부에 끼움부착됨과 동시에 하나의 분할 홈을 가지는 원통 부시를 구비하고 있으며, 원통 부시는, 하우징의 보유지지공에 체결여유를 두고 끼워넣어짐과 동시에 하우징의 보유지지공을 규정하는 하우징의 원통형 내주면에 그 외주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피니언식 조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광폭의 환형 오목부는, 랙가이드 본체의 원통형 외주면에 그 둘레방향의 전역에 형성된 환형의 오목부를 가지고 있으며, 원통 부시는, 하나의 분할 홈을 가짐과 동시에 환형의 오목부에 끼움부착된 원통부를 가지고 있는 랙피니언식 조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광폭의 환형 오목부는, 환형의 오목부에 추가하여 상기 환형의 오목부에 연속됨과 동시에 랙가이드 본체의 원통형 외주면에서 서로 대향하는 외주면부에 형성된 한쌍의 원호형 오목부를 더 가지고 있으며, 원통 부시는, 원통부에 추가하여 분할 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상기 원통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한쌍의 원호형 오목부 각각에 끼움부착된 한쌍의 원호형 돌출부를 더 가지고 있는 랙피니언식 조향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랙가이드 본체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랙피니언식 조향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단 환형 탄성부재는 고무제의 0링으로 이루어진 랙피니언식 조향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통 부시는 폴리아세탈수지, 폴리아미드수지, 폴리부티렌텔레프탈레이트수지 등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랙피니언식 조향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랙가이드 본체의 광폭의 환형 오목부의 바닥면과 원통 부시의 내주면간의 환형 간극은, 랙가이드 본체의 외주면과 원주형 보유지지공을 규정하는 하우징의 내주면간의 환형 간극의 직경 방향의 폭보다도 작은 직경 방향의 폭을 가지고 있는 랙피니언식 조향장치.
KR1020087026002A 2006-04-24 2007-04-20 랙피니언식 조향장치 KR101279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19661A JP4367432B2 (ja) 2006-04-24 2006-04-24 ラックピニオン式舵取装置
JPJP-P-2006-119661 2006-04-24
PCT/JP2007/000435 WO2007125647A1 (ja) 2006-04-24 2007-04-20 ラックピニオン式舵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149A true KR20090014149A (ko) 2009-02-06
KR101279884B1 KR101279884B1 (ko) 2013-06-28

Family

ID=38655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002A KR101279884B1 (ko) 2006-04-24 2007-04-20 랙피니언식 조향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15204B2 (ko)
JP (1) JP4367432B2 (ko)
KR (1) KR101279884B1 (ko)
CN (1) CN101432182B (ko)
BR (1) BRPI0711410A2 (ko)
RU (1) RU2427493C2 (ko)
WO (1) WO20071256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6524A (ja) 1997-12-24 1999-07-0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32914A (ko) * 2004-01-26 2006-12-22 슈미터샤시스 게엠베하 차량 조향 기어에 있어서 웨지식 변위되어 조절 가능한베어링
JP5025194B2 (ja) * 2006-09-08 2012-09-12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ラックガイド及びこのラックガイドを備える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892714B1 (ko) 2007-11-19 2009-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JP5126883B2 (ja) * 2007-11-30 2013-01-23 大同メタル工業株式会社 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の摺動受板及びラックガイド
JP5141339B2 (ja) * 2008-03-31 2013-02-13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ブッシュ軸受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のラック−ピニオン式操舵装置
FR2934228B1 (fr) * 2008-07-23 2010-07-30 Jtekt Europe Sas Dispositif de poussoir a exentrique pour direction a cremaillere de vehicule automobile
US8714042B2 (en) * 2010-06-14 2014-05-06 Honda Motor Co., Ltd. Controllable steering rack guide system and method
CN102730051A (zh) * 2011-03-31 2012-10-17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用转向装置
KR101271294B1 (ko) * 2011-06-20 2013-06-04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US9174671B2 (en) * 2011-07-01 2015-11-03 Scalid Pty Ltd Steering system arrangement with releasable connection means
DE102011109878A1 (de) * 2011-08-10 2013-02-14 Thyssenkrupp Presta Ag Zahnstangenlenkgetriebe
KR101146936B1 (ko) * 2011-10-28 2012-05-22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US8863599B2 (en) * 2011-11-08 2014-10-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Yoke assembly for power steering rack and pinion gear set
KR101206836B1 (ko) * 2012-03-14 2012-11-30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US9010208B2 (en) * 2012-07-13 2015-04-21 Trw Automotive U.S. Llc Yoke assembly for a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DE102012107501A1 (de) 2012-08-16 2014-05-22 Zf Lenksysteme Gmbh Druckvorrichtung für eine Zahnstange in einem Lenkgetriebe
MX356919B (es) * 2012-09-30 2018-06-20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 Montaje de horquilla direccional.
JP6112350B2 (ja) * 2013-05-16 2017-04-1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ラックガイド装置及びこれを含むステアリング装置
JP5934733B2 (ja) * 2014-03-06 2016-06-1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CN105564496B (zh) * 2016-01-05 2018-11-23 深圳市蓝希领地科技有限公司 地面移动运载工具及其转向系统
CN106080747A (zh) * 2016-06-04 2016-11-09 芜湖世特瑞转向系统有限公司 用于提高齿轮齿条式转向器使用寿命的装置及方法
JP7145974B2 (ja) * 2018-12-11 2022-10-03 日立Astemo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19109651A1 (de) * 2019-04-11 2020-10-15 Zf Automotive Germany Gmbh Vorrichtung für eine Lenkung eines Kraftfahrzeugs
RU205851U1 (ru) * 2021-06-08 2021-08-11 Сергей Николаевич Калашников Опора зубчатой рейки рулевого механизма
CN117208069A (zh) * 2023-11-09 2023-12-12 豫北转向系统(新乡)股份有限公司 一种转向器调整体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873U (ja) * 1981-07-31 1983-02-07 マツダ株式会社 ラツ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S5997163U (ja) * 1982-12-21 1984-07-02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ラツ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H01149870U (ko) * 1988-04-08 1989-10-17
JPH0556744U (ja) * 1992-01-15 1993-07-27 光洋精工株式会社 ラック・ピニオン式舵取装置
JPH06239245A (ja) * 1993-02-16 1994-08-30 Koyo Seiko Co Ltd 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H10217984A (ja) * 1997-02-07 1998-08-18 Toyota Motor Corp ステアリングギヤボックス構造
DE19749274C1 (de) * 1997-11-07 1999-04-15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Zahnstangen-Lenkgetriebe
WO2001068434A2 (en) * 2000-03-10 2001-09-20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rack and pinion steering
US6539821B2 (en) * 2001-03-09 2003-04-01 Trw Inc.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with low friction yoke assembly
US6591706B2 (en) * 2001-05-01 2003-07-15 Trw Inc.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with a unitized yoke assembly
DE10126423A1 (de) * 2001-05-31 2002-12-05 Zf Lenksysteme Gmbh Lenkung für Kraftfahrzeuge
JP4214752B2 (ja) * 2002-10-07 2009-01-2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舵取装置
DE60333788D1 (de) * 2002-11-18 2010-09-23 Oiles Industry Co Ltd Verfaren zur herstellung eines zahnstangenbasiskörpers in einer zahnstangenlenkung und zahnstangenführung
JP2005132287A (ja) * 2003-10-31 2005-05-26 Koyo Seiko Co Ltd ラック軸支持装置並びに封止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8144467A (ru) 2010-05-27
WO2007125647A1 (ja) 2007-11-08
JP2007290502A (ja) 2007-11-08
JP4367432B2 (ja) 2009-11-18
US20090174164A1 (en) 2009-07-09
US7815204B2 (en) 2010-10-19
CN101432182A (zh) 2009-05-13
BRPI0711410A2 (pt) 2011-11-01
RU2427493C2 (ru) 2011-08-27
CN101432182B (zh) 2010-12-15
KR101279884B1 (ko) 201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884B1 (ko) 랙피니언식 조향장치
KR101322344B1 (ko) 랙가이드 및 이 랙가이드를 구비한 랙피니언식 스티어링 장치
JP4935080B2 (ja) ブッシュ軸受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のラック−ピニオン式操舵装置
US5058448A (en) Rack and pinion steering device
KR101706074B1 (ko) 조향 요크 조립체
JP2005254880A (ja) 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用のラックガイド
JP2000027861A (ja) 潤滑プレートを備えた直動案内ユニット
WO2015159495A1 (ja) ラックガイド及びこのラックガイドを具備した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4278659B2 (ja) 軸受潤滑装置
JP5025194B2 (ja) ラックガイド及びこのラックガイドを備える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4178321B2 (ja) ラックアンド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7176975B2 (ja) ラックガイドおよびギア機構
JP6661867B2 (ja) ラックガイドおよび当該ラックガイドを備えるラックピニオン式舵取り装置
JP2010254080A (ja) ラック軸支持装置
KR20180138304A (ko) 부시 베어링
WO2023127457A1 (ja) ラックガイドおよびギア機構
JP2002079946A (ja) 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4351996A (ja) 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203836A (ja) ラックガイド及びそれを用いた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9100542A (ja) オートテンショナ
JP5205879B2 (ja) プランジャポンプ
JP4470660B2 (ja) 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6298336A (ja) ラックガイド及びこのラックガイドを具備した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080983A (ja) ラックガイド及びこのラックガイドを備える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2029428A (ja) 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