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936B1 -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936B1
KR101146936B1 KR1020110111154A KR20110111154A KR101146936B1 KR 101146936 B1 KR101146936 B1 KR 101146936B1 KR 1020110111154 A KR1020110111154 A KR 1020110111154A KR 20110111154 A KR20110111154 A KR 20110111154A KR 101146936 B1 KR101146936 B1 KR 101146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support plate
biasing
adjustment
rack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훈
손창욱
이청신
이진웅
김제원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1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936B1/ko
Priority to US14/353,674 priority patent/US9321477B2/en
Priority to PCT/KR2012/007152 priority patent/WO2013062229A1/ko
Priority to CN201280052397.8A priority patent/CN103889822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6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the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3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pressure yo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6Racks
    • F16H55/28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 F16H55/283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using pressure yo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056Rotary to or from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Y10T74/18088Rack and pinion type
    • Y10T74/18096Shifting rack

Abstract

랙 바 지지 장치는 차량의 조향 장치의 랙 바(rack bar)를 피니언 샤프트(pinion shaft)를 향해 지지하며, 상기 랙 바에 접촉하도록 상기 피니언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랙 베어링(rack bearing), 그리고 상기 랙 베어링이 상기 랙 바를 밀어서 상기 랙 바가 상기 피니언 샤프트에 체결되도록 상기 랙 베어링을 바이어싱 축을 따라 상기 랙을 향해 미는 힘을 제공하는 바이어싱 어셈블리(biasing assembly)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어싱 어셈블리는, 바이어싱 축을 따라 복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어저스트먼트 플러그(adjustment plug), 상기 어저스트먼트 플러그에 대해 상기 랙 베어링을 향해 상기 바이어싱 축을 따라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어저스트먼트 멤버(adjustment member), 그리고 상기 어저스트먼트 멤버를 상기 어저스트먼트 플러그에 대해 상기 랙 베어링을 향해 밀리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상기 어저스트먼트 플러그와 상기 어저스트먼트 멤버에 각각 체결되는 제1 바이어싱 멤버(first biasing member)를 포함하는 어저스트먼트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어저스트먼트 멤버에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어저스트먼트 멤버와 상기 랙 베어링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랙 베어링을 상기 바이어싱 축을 따라 미는 힘을 제공하는 제2 바이어싱 멤버(second biasing member)를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랙 베어링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rack bar support device of steering gear}
본 발명은 차량의 조향 장치를 구성하는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를 지지하는 랙 바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랙 피니언 타입의 스티어링 기어를 구비하는 조향 장치의 경우 랙 바의 랙과 피니언 샤프트의 피니언 기어가 치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스티어링 기어의 경우 랙과 피니언의 견고한 치합을 유지시켜 조향 성능 및 조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랙 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랙 지지 구조는 랙 바에 접촉하는 랙 베어링(rack bearing)을 구비하고, 스티어링 기어 하우징에 장착된 어저스트먼트 플러그(adjustment plug)에 지지된 코일 스프링이 랙 베어링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랙 바 지지 장치는 장시간 작동에 의한 랙 및 피니언의 마모 등에 의해 랙 베어링과 어저스트먼트 플러그 사이에 유격이 커지게 되고 커진 유격은 래틀, 진동 등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조향 장치의 스티어링 기어의 장시간 사용에 의한 마모에 따라 유격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는 랙 바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른 랙 바 지지 장치는 차량의 조향 장치의 랙 바(rack bar)를 피니언 샤프트(pinion shaft)를 향해 지지하며, 상기 랙 바에 접촉하도록 상기 피니언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랙 베어링(rack bearing), 그리고 상기 랙 베어링이 상기 랙 바를 밀어서 상기 랙 바가 상기 피니언 샤프트에 체결되도록 상기 랙 베어링을 바이어싱 축을 따라 상기 랙을 향해 미는 힘을 제공하는 바이어싱 어셈블리(biasing assembly)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어싱 어셈블리는, 바이어싱 축을 따라 복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어저스트먼트 플러그(adjustment plug), 상기 어저스트먼트 플러그에 대해 상기 랙 베어링을 향해 상기 바이어싱 축을 따라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어저스트먼트 멤버(adjustment member), 그리고 상기 어저스트먼트 멤버를 상기 어저스트먼트 플러그에 대해 상기 랙 베어링을 향해 밀리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상기 어저스트먼트 플러그와 상기 어저스트먼트 멤버에 각각 체결되는 제1 바이어싱 멤버(first biasing member)를 포함하는 어저스트먼트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어저스트먼트 멤버에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어저스트먼트 멤버와 상기 랙 베어링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랙 베어링을 상기 바이어싱 축을 따라 미는 힘을 제공하는 제2 바이어싱 멤버(second biasing member)를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랙 베어링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랙 베어링의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동 제한 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최초 장착 상태에서 상기 랙 베어링과 상기 이동 제한 멤버 중 어느 것과도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균형이 이루어져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최초 장착 상태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랙 베어링 사이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제한 멤버 사이에는 상기 바이어싱 축 방향을 따라 각각 간격이 존재하도록, 상기 랙 베어링과 상기 이동 제한 멤버 중 어느 것과도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이어싱 멤버는 토셔널 스프링(torsional spring)일 수 있고, 상기 어저스트먼트 플러그는 제1 캠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어저스트먼트 멤버는 상기 토셔널 스프링의 힘에 의해 상기 바이어싱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랙 베어링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캠 구조에 체결되는 제2 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바이어싱 멤버는 상기 랙 베어링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각각 탄성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제2 바이어싱 멤버는 상기 랙 베어링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각각 탄성 지지되는 접시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랙 베어링 사이에 오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어저스트먼트 어셈블리는 상기 어저스트먼트 멤버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조향 장치의 스티어링 기어의 장시간 사용에 의한 마모에 따라 유격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바 지지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차량의 스티어링 기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바 지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 바 지지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 바 지지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바 지지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바 지지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차량의 스티어링 기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바 지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바 지지 장치는 차량의 조향 장치의 스티어링 기어(steering gear)(10)의 랙 바(rack bar)(21)를 피니언 샤프트(pinion shaft)(23)를 향해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바 지지 장치는 스티어링 기어의 장시간 사용에 의해 랙 기어 및 피니언 기어의 마모에 의해 유격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발생된 유격이 소멸되도록 보상하는 기능을 갖는다.
피니언 샤프트(23)는 랙 바(21)에 치합되며, 피니언 샤프트(23)와 랙 바(2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30) 내에 배치된다. 피니언 샤프트(23)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랙 바(21)는 피니언 샤프트(23)의 회전에 대응하여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랙 베어링(100)은 랙 바(21)에 접촉하며 피니언 샤프트(23)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도면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랙 베어링(100)은 랙 바(2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함몰된 구조를 가지며, 이 함몰 구조에 랙 바(21)가 삽입된다. 그리고 랙 바(21)가 랙 베어링(100)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이 원활하도록 랙 바(21)가 접촉하는 부분에 라이닝(lining)(10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랙 베어링(100)의 외주면에는 그루브(104)가 형성되고 여기에 댐핑을 위한 오링(O-ring)(106)이 삽입될 수 있다.
바이어싱 어셈블리(biasing assembly)(200)는 랙 베어링(100)이 랙 바(21)를 밀어서 랙 바(21)가 피니언 샤프트(23)에 치합되도록 랙 베어링(100)을 바이어싱 축(biasing axis)를 따라 랙 바(21)를 향해 미는 힘을 제공한다. 즉, 바이어싱 어셈블리(200)가 랙 베어링(100)을 밀고 그에 따라 랙 베어링(100)에 의해 랙 바(21)가 밀림으로써, 랙 바(21)와 피니언 샤프트(23)가 양자 사이의 유격이 흡수되도록 견고하게 치합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바이어싱 어셈블리(200)는 어저스트먼트 플러그(adjustment plug)(210), 어저스트먼트 어셈블리(adjustment assembly)(230),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 어셈블리(support plate assembly)(250)를 포함할 수 있다.
어저스트먼트 플러그(210)는 바이어싱 축을 따라 복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됩니다. 예를 들어, 어저스트먼트 플러그(2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211)이 형성되고, 이 나사산(211)이 통해 하우징(30)에 형성된 나사산을 가지는 통공에 나사 결합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어저스트먼트 플러그(210)는 회전 정도에 따라 바이어싱 축을 따른 위치가 가변될 수 있고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어저스트먼트 어셈블리(230)는 어저스트먼트 멤버(adjustment member)(231), 그리고 제1 바이어싱 멤버(first biasing member)(235)를 포함할 수 있다.
어저스트먼트 멤버(231)는 어저스트먼트 플러그(210)에 대해 랙 베어링(100)을 향해 바이어싱 축을 따라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저스트먼트 멤버(231)는 중심부에 바이어싱 축을 따른 통공이 형성된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이어싱 멤버(235)는 어저스트먼트 멤버(231)를 어저스트먼트 플러그(210)에 대해 랙 베어링(100)을 향해 밀리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어저스트먼트 플러그(210)와 어저스트먼트 멤버(231)에 각각 체결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이어싱 멤버(235)는 토셔널 스프링(torsional spr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어저스트먼트 플러그(210)는 토셔널 스프링(235)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될 수 있으며, 토셔널 스프링(235)의 한 쪽 끝단은 어저스트먼트 플러그(210)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은 어저스트먼트 멤버(231)에 고정된다. 그리고 어저스트먼트 플러그(210)와 어저스트먼트 멤버(231)는 각각 캠 구조(212, 232)를 구비하고, 토셔널 스프링(235)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어저스트먼트 멤버(231)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캠 구조(212, 232)에 의해 어저스트먼트 멤버(231)가 어저스트먼트 플러그(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지지 플레이트 어셈블리(250)는 지지 플레이트(251), 그리고 제2 바이어싱 멤버(second biasing member)(253)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51)는 어저스트먼트 멤버(231)에 지지되는 상태로 어저스트먼트 멤버(231)와 랙 베어링(100)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도 2에서 지지 플레이트(251)의 우측 면이 어저스트먼트 멤버(231)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제2 바이어싱 멤버(253)는 지지 플레이트(251)에 대해 랙 베어링(100)을 바이어싱 축을 따라 미는 힘을 제공한다. 즉, 랙 베어링(100)은 지지 플레이트(251)에 지지된 제2 바이어싱 멤버(253)의 힘에 의해 랙 바(21)를 향해 밀리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바이어싱 멤버(253)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253)은 랙 베어링(100)의 일측에 형성된 함몰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251)와 랙 베어링(100) 사이에는 간격(d1)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랙 바(21)를 통해서 아주 큰 충격이 전달되지 않는 이상 지지 플레이트(251)가 랙 베어링(100)에 직접 부딪히지 않게 되어 소음, 충격 등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지지 플레이트 어셈블리(250)는 지지 플레이트(251)가 랙 베어링(10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동 제한 멤버(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제한 멤버(255)는 랙 베어링(100)에 체결될 수 있으며, 머리(256)를 가지는 볼트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볼트(255)의 나사산은 랙 베어링(100)에 체결되며, 머리(256)는 지지 플레이트(251) 너머에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플레이트(251)의 중심부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볼트(255)의 나사산이 통공을 통과하여 랙 베어링(100)에 체결된다. 랙 베어링(100)에 대해 볼트(255)의 머리(256)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지 플레이트(251)가 코일 스프링(253)에 의해 밀리더라도 지지 플레이트(251)가 볼트(255)의 머리(256)에 접촉하게 되는 위치 이상으로 더 밀려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251)의 한 쪽 면은 어저스트먼트 멤버(231)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쪽 면은 코일 스프링(253)에 의해 지지되는데, 이때 초기 장착 상태(즉, 랙 및 피니언의 마모가 일어나기 전 최초 상태)에서 지지 플레이트(251)가 랙 베어링(100)과 이동 제한 멤버(255) 중 어느 것과도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균형이 이루어져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251)와 랙 베어링(100) 사이에 간격(d1)이 존재하고 또한 지지 플레이트(251)와 볼트(255)의 머리(256) 사이에도 간격(d2)이 존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열은 코일 스프링(253)의 탄성력, 토셔널 스프링(235)의 탄성력, 그리고 캠 구조를 포함하는 어저스트먼트 플러그(210)의 위치 등을 조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251)가 어저스트먼트 멤버(231)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되기 전, 즉, 랙 베어링(100)과 이에 체결된 지지 플레이트 어셈블리(250)가 단품인 상태로 있는 경우에는, 지지 플레이트(251)와 랙 베어링(100) 사이의 간격이 도 2에서의 d1이 아니라 d1과 d2의 합에 해당하는 값이 된다. 즉, 이 경우 지지 플레이트(251)는 코일 스프링(253)에 의해 최대한 랙 베어링(100)에서 멀어져 있는 상태, 즉 지지 플레이트(251)가 볼트(255)의 머리(256)에 접촉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지지 플레이트(251)는 어저스트먼트 멤버(231)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되기 전에는 랙 베어링(100)으로부터 d1과 d2의 합만큼 랙 베어링(100)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가 설치 과정에서 어저스트먼트 멤버(251)에 의해 눌리면서 랙 베어링(100)으로부터 d1만큼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251)는 볼트(255)의 머리(256)로부터 d2만큼 이격되게 된다.
예를 들어, 어저스트먼트 어셈블리(230)는 어저스트먼트 플러그(210)와 어저스트먼트 멤버(231)가 토셔널 스프링(235)에 의해 꼬여진 상태로 조립되는데, 이때 어저스트먼트 플러그(210)에 형성된 구멍과 어저스트먼트 멤버(231)에 형성된 구멍(234)을 통해 핀(pin)(216)(도 3 참조)을 삽입하여 꼬여진 상태가 유지되게 한 상태에서 조립될 수 있다. 즉, 어저스트먼트 어셈블리(230)는 최소 높이를 가지는 상태로 조립되어 하나의 어셈블리가 되고, 어저스트먼트 어셈블리(230)는 어저스트먼트 플러그(210)의 나사 체결에 의해 하우징(30)에 체결되며, 어저스트먼트 멤버(231)가 지지 플레이트 어셈블리(250)와 접촉하여 적절한 d1, d2가 형성될 수 있도록 조립이 완료되면 핀(216)을 뽑아 토셔널 스프링(235)에 의한 어저스트먼트 멤버(231)의 회전이 일어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토셔널 스프링(235)에 의한 회전이 조립 과정 중에는 일어나지 않고 최종 조립된 후에 일어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플레이트(251)와 랙 베어링(100) 사이에 오링(O-ring)(238)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링(238)은 지지 플레이트(251)를 마주하는 랙 베어링(100)의 한 면(105)에 설치될 수 있다. 오링(238)이 설치됨으로써 큰 충격이 전해지는 경우 랙 베어링(100)과 지지 플레이트(251)가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격 및 소음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랙 바 지지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최초 설치된 상태에서 조향 장치가 장시간 사용되어 랙 및 피니언 등의 마모에 의해 유격이 발생하는 경우, 지지 플레이트(251)에 지지된 코일 스프링(253)의 미는 힘에 의해 랙 베어링(100)이 랙 바(21)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유격이 흡수된다. 이때, 랙 베어링(100)에 체결된 볼트(255)도 랙 베어링(100)과 함께 바이어싱 축을 따라 랙 바(21)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일정 정도 지속되어 볼트(255)가 d2만큼 이동하게 되면, 볼트(255)의 머리(256)가 지지 플레이트(251)에 접촉하게 된다. 그 이후에 마모가 더 발생하여 다시 랙 및 피니언에 유격이 발생하면, 발생된 유격을 흡수하는 방향으로 토셔널 스프링(235)의 힘에 의해 어저스트먼트 멤버(231)가 회전하면서 바이어싱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지지 플레이트(251)도 함께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코일 스프링(253)이 랙 베어링(100)을 밀어 이동시키면서 유격이 보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두 단계의 유격 흡수 메커니즘이 작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유격 보상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 바 지지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바이어싱 멤버가 코일 스프링 대신에 접시 스프링(353)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시 스프링(353)은 랙 베어링(100)과 지지 플레이트(251)에 각각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 바 지지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어저스트먼트 어셈블리(230)는 어저스트먼트 멤버(231)와 지지 플레이트(251)에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2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의 설명에서 어저스트먼트 멤버(231)의 힘은 스러스트 베어링(258)을 통해서 지지 플레이트(231)로 전해진다. 도 5에는 제2 바이어싱 멤버가 접시 스프링인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2 바이어싱 멤버가 코일 스프링인 경우에도 스러스트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258)이 구비됨으로써 어저스트먼트 멤버(258)가 회전하면서 지지 플레이트(231)를 밀 때 마찰이 감소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작동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21: 랙 바 23: 피니언 샤프트
30: 하우징 100: 랙 베어링
200: 바이어싱 어셈블리
210: 어저스트먼트 플러그 230: 어저스트먼트 어셈블리
250: 지지 플레이트 어셈블리
231: 어저스트먼트 멤버 235: 제1 바이어싱 멤버
251: 지지 플레이트 253: 제2 바이어싱 멤버
255: 이동 제한 멤버
353: 접시 스프링 258: 스러스트 베어링

Claims (8)

  1. 차량의 조향 장치의 랙 바(rack bar)를 피니언 샤프트(pinion shaft)를 향해 지지하는 랙 바 지지 장치로서,
    상기 랙 바에 접촉하도록 상기 피니언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랙 베어링(rack bearing), 그리고
    상기 랙 베어링이 상기 랙 바를 밀어서 상기 랙 바가 상기 피니언 샤프트에 체결되도록 상기 랙 베어링을 바이어싱 축을 따라 상기 랙을 향해 미는 힘을 제공하는 바이어싱 어셈블리(biasing assembly)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어싱 어셈블리는
    바이어싱 축을 따라 복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어저스트먼트 플러그(adjustment plug),
    상기 어저스트먼트 플러그에 대해 상기 랙 베어링을 향해 상기 바이어싱 축을 따라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어저스트먼트 멤버(adjustment member), 그리고 상기 어저스트먼트 멤버를 상기 어저스트먼트 플러그에 대해 상기 랙 베어링을 향해 밀리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상기 어저스트먼트 플러그와 상기 어저스트먼트 멤버에 각각 체결되는 제1 바이어싱 멤버(first biasing member)를 포함하는 어저스트먼트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어저스트먼트 멤버에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어저스트먼트 멤버와 상기 랙 베어링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랙 베어링을 상기 바이어싱 축을 따라 미는 힘을 제공하는 제2 바이어싱 멤버(second biasing member), 그리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랙 베어링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동 제한 멤버를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최초 장착 상태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랙 베어링 사이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제한 멤버 사이에는 상기 바이어싱 축 방향을 따라 각각 간격이 존재하도록, 상기 랙 베어링과 상기 이동 제한 멤버 중 어느 것과도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랙 바 지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제1 바이어싱 멤버는 토셔널 스프링(torsional spring)이고,
    상기 어저스트먼트 플러그는 제1 캠 구조를 가지며,
    상기 어저스트먼트 멤버는 상기 토셔널 스프링의 힘에 의해 상기 바이어싱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랙 베어링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캠 구조에 체결되는 제2 캠 구조를 가지는 랙 바 지지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제2 바이어싱 멤버는 상기 랙 베어링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각각 탄성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인 랙 바 지지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제2 바이어싱 멤버는 상기 랙 베어링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각각 탄성 지지되는 접시 스프링인 랙 바 지지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랙 베어링 사이에 오링이 설치되는 랙 바 지지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어저스트먼트 어셈블리는 상기 어저스트먼트 멤버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을 더 포함하는 랙 바 지지 장치.
KR1020110111154A 2011-10-28 2011-10-28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KR101146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154A KR101146936B1 (ko) 2011-10-28 2011-10-28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US14/353,674 US9321477B2 (en) 2011-10-28 2012-09-06 Rack bar support device of a steering gear
PCT/KR2012/007152 WO2013062229A1 (ko) 2011-10-28 2012-09-06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CN201280052397.8A CN103889822B (zh) 2011-10-28 2012-09-06 转向器的齿条拉杆支撑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154A KR101146936B1 (ko) 2011-10-28 2011-10-28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936B1 true KR101146936B1 (ko) 2012-05-22

Family

ID=46272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154A KR101146936B1 (ko) 2011-10-28 2011-10-28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21477B2 (ko)
KR (1) KR101146936B1 (ko)
CN (1) CN103889822B (ko)
WO (1) WO201306222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20619A1 (en) * 2012-03-14 2015-01-22 Korea Delphi Automotive Systems Corporation Rack bar supporting device for steering gear
KR20150080223A (ko) * 2013-12-31 2015-07-09 주식회사 센트랄 자동 유격 보상이 가능한 랙바 지지 장치
KR20160112849A (ko) * 2015-03-20 2016-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용 랙 서포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0851A1 (de) * 2012-02-02 2013-08-08 Zf Lenksysteme Gmbh Vorrichtung zum Andrücken eines Übertragungselements
JP2014020452A (ja) * 2012-07-17 2014-02-03 Jtekt Corp ラック軸支持装置および車両用操舵装置
JP6137537B2 (ja) * 2013-05-16 2017-05-3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ラックガイド装置及びこれを含むステアリング装置
JP6112350B2 (ja) * 2013-05-16 2017-04-1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ラックガイド装置及びこれを含む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096989B1 (ko) * 2013-11-04 2020-04-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요크유격보상장치
JP6181092B2 (ja) * 2015-02-05 2017-08-16 株式会社ショーワ ラックピニオン機構
CN108313122B (zh) * 2017-01-16 2023-05-09 浙江师范大学 一种用于循环球液压转向器支撑调整塞摇臂轴式输出结构
KR101858391B1 (ko) * 2017-03-08 2018-05-15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20200066807A (ko) *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CN112298339A (zh) * 2019-07-30 2021-02-02 株式会社万都 一种转向机齿条间隙补偿机构、转向机及车辆
KR20210069227A (ko) * 2019-12-03 2021-06-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링 장치
USD937159S1 (en) * 2020-09-19 2021-11-30 Ray Shane Jumper Steering rack
DE102022207303A1 (de) 2022-07-18 2024-01-18 Zf Automotive Germany Gmbh Vorrichtung zum Andrücken einer Zahnstange an ein Ritzel, Lenkvorrichtung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Vorrichtung und/oder Lenkvorrich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4717A (en) * 1986-09-02 1988-02-16 Nippon Seiko Kabushiki Kaisha Rack shaft supporting device
JPH11286277A (ja) * 1998-02-05 1999-10-19 Oiles America Corp 分割ロ―ララックバ―支持体を具備したラック及びピニオン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70092018A (ko) * 2006-03-08 2007-09-12 주식회사 만도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 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US20090174164A1 (en) * 2006-04-24 2009-07-09 Hidetoshi Kaida Rack-and-pinion type steer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0058A (ja) * 1982-11-30 1984-06-09 Toyota Motor Corp ラツクアンド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900002221B1 (ko) * 1984-07-09 1990-04-06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조타기어장치
US5718149A (en) * 1995-03-21 1998-02-17 Techco Corporation Yoke apparatus for rack and pinion
DE19749274C1 (de) * 1997-11-07 1999-04-15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Zahnstangen-Lenkgetriebe
US6067713A (en) * 1999-04-13 2000-05-30 Trw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US6539821B2 (en) * 2001-03-09 2003-04-01 Trw Inc.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with low friction yoke assembly
US6736021B2 (en) * 2001-04-20 2004-05-18 Trw Inc.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with low friction roller yoke design
DE10126423A1 (de) * 2001-05-31 2002-12-05 Zf Lenksysteme Gmbh Lenkung für Kraftfahrzeuge
DE10208948A1 (de) * 2002-02-28 2003-09-18 Zf Lenksysteme Gmbh Druckstückeinheit für Zahnstangen-Lenkgetriebe
US20050126328A1 (en) * 2003-12-16 2005-06-16 Delphi Technologies Inc.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adjuster clearance enhancement
DE102004053462A1 (de) * 2004-11-05 2006-05-11 Zf Lenksysteme Gmbh Vorrichtung zum Andrücken einer Zahnstange
JP2006231934A (ja) * 2005-02-22 2006-09-07 Hitachi Ltd 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US20080034910A1 (en) * 2006-08-09 2008-02-14 Roline Eric A Dynamic adjustment of a steering system yoke
KR100854784B1 (ko) * 2007-02-27 2008-08-27 주식회사 만도 요크 클리어런스 자동 조절장치를 구비한 조향장치
US7487984B1 (en) * 2007-10-01 2009-02-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teering rack wear compensator
US7930951B2 (en) * 2008-03-07 2011-04-26 Nexteer (Beijing) Technology Co., Ltd.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with self-adjusting rack bearing
JP5397665B2 (ja) * 2008-07-23 2014-01-2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ラック軸支持装置および車両用操舵装置
JP5218831B2 (ja) * 2008-07-31 2013-06-26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ラック軸支持装置および車両用操舵装置
KR101215723B1 (ko) * 2008-11-18 2012-12-2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DE102008054782B4 (de) * 2008-12-17 2012-10-25 Zf Lenksysteme Gmbh Vorrichtung zum Andrücken einer Zahnstange
DE112011101464A5 (de) * 2010-04-28 2013-03-07 Zf Lenksysteme Gmbh Vorrichtung zum andrücken einer zahnstange
US9010208B2 (en) * 2012-07-13 2015-04-21 Trw Automotive U.S. Llc Yoke assembly for a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4717A (en) * 1986-09-02 1988-02-16 Nippon Seiko Kabushiki Kaisha Rack shaft supporting device
JPH11286277A (ja) * 1998-02-05 1999-10-19 Oiles America Corp 分割ロ―ララックバ―支持体を具備したラック及びピニオン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70092018A (ko) * 2006-03-08 2007-09-12 주식회사 만도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 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US20090174164A1 (en) * 2006-04-24 2009-07-09 Hidetoshi Kaida Rack-and-pinion type steering apparatu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20619A1 (en) * 2012-03-14 2015-01-22 Korea Delphi Automotive Systems Corporation Rack bar supporting device for steering gear
US9638297B2 (en) * 2012-03-14 2017-05-02 Erae Automotive Systems Co., Ltd. Rack bar supporting device for steering gear
KR20150080223A (ko) * 2013-12-31 2015-07-09 주식회사 센트랄 자동 유격 보상이 가능한 랙바 지지 장치
KR101583696B1 (ko) 2013-12-31 2016-01-11 주식회사 센트랄 자동 유격 보상이 가능한 랙바 지지 장치
KR20160112849A (ko) * 2015-03-20 2016-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용 랙 서포트 장치
KR102187452B1 (ko) 2015-03-20 2020-1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용 랙 서포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21477B2 (en) 2016-04-26
CN103889822B (zh) 2016-10-26
CN103889822A (zh) 2014-06-25
US20140260719A1 (en) 2014-09-18
WO2013062229A1 (ko)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936B1 (ko)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KR101206836B1 (ko)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KR101095979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JP5782956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095978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20130003312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US9527522B2 (en) Clearance compensator of yoke
KR102147866B1 (ko) 요크 유격 보상장치
US10053140B2 (en) Tilting structure of electrically powered steering apparatus and electrically powered steer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EP2671238B1 (en) Control device
KR20060097517A (ko) 디스크재생기의 픽업구동장치
KR101734125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의 유격 보상 장치
KR20150053674A (ko)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
US10059365B2 (en) Tilting structure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including same
EP1120329A1 (en) Improvements in casings and racks for rack and pinion steering systems
KR102041632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1734123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KR102342113B1 (ko) 요크 유격 보상장치
KR100562579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래틀 방지 구조
KR102040704B1 (ko) 요크 유격 보상장치
JP2014189117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20040104139A (ko) 스티어링 장치의 서포트 요크 소음 방지구조
KR20200066807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JP2013184501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2096678A (ja) ラックアンド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