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674A -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674A
KR20150053674A KR1020130147453A KR20130147453A KR20150053674A KR 20150053674 A KR20150053674 A KR 20150053674A KR 1020130147453 A KR1020130147453 A KR 1020130147453A KR 20130147453 A KR20130147453 A KR 20130147453A KR 20150053674 A KR20150053674 A KR 20150053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pring
fixed
movable gear
steer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3921B1 (ko
Inventor
홍성종
김진우
Original Assignee
남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공업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53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는, 차체에 고정되어 스티어링 칼럼을 지지하는 브라켓과, 브라켓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기어와, 브라켓의 타측에 구비된 틸트 레버와 결합되며, 스티어링 칼럼과 브라켓과 고정기어를 관통하는 틸트 볼트와, 틸트 볼트에 결합되어 고정기어와 치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가동기어와, 틸트 볼트에 체결되어 가동기어를 마감하는 고정부재와, 고정기어와 가동기어 사이에 구비되어 가동기어가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며, 틸트 레버가 잠금 작동하면 고정부재가 가동기어를 고정기어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기어와 가동기어가 맞물려 스티어링 칼럼을 브라켓이 가압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동기어의 내측에는 제1스프링이 구비되고 외측에는 제2스프링이 구비되며, 가동기어와 제1스프링 사이에 멈춤링이 구비되어 제1스프링이 외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어함에 따라 제1스프링의 장력이 상쇄되어 제2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고정기어와 가동기어의 치결합이 유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STEERING COLUMN TIL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칼럼을 지지하는 브라켓과 브라켓에 구비된 틸트 레버와 고정부를 통해 사용자가 스티어링 칼럼의 기울기를 조절하고 고정하며, 이때 고정부를 기어물림방식으로 구비하여 스티어링 칼럼의 팝업을 방지하는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조향장치에는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스티어링 휠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틸팅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틸팅장치는, 스티어링 칼럼을 지지하는 브라켓과, 브라켓에 구비되는 캠과 틸트 레버가 구비되며, 틸트 레버를 작동하여 캠의 동작원리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을 가압하여 브라켓에 고정된다.
하지만, 위와 같은 단순 마찰방식의 틸팅장치는 스티어링 칼럼을 고정하는 마찰력보다 더 큰 충격하중이 사고에 의해 작용한다면 그 충격력으로 인해 스티어링 칼럼이 위로 젖혀지는 현상(이하, '팝업(Pop-up)현상'이라 한다)이 발생하여 운전자에게 이중 상해를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틸팅장치의 구성에서 한 쌍의 기어를 적용하여 스티어링 칼럼의 기울기를 조절하고 고정할 수 있는 틸팅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틸팅장치에 관한 그 대표적인 예가 하기 특허문헌 1(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1은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틸팅장치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30)과 마운팅 브라켓(10) 사이에 스티어링 칼럼(1)의 팝업을 방지하기 위해 한 쌍의 가동기어(60)와 고정기어(70)를 구비하고, 마운팅 브라켓(10)에서 돌출된 조절볼트(25)의 축방향으로 틸트 레버(35)가 유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80)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에 있어서, 가동기어(60)는, 조절볼트(25)가 끼워지는 조절볼트끼움구멍을 중심으로 고정기어(70)에 형성된 치형과 치합되도록 중앙부에만 돌출되어 형성된 각각의 치형으로 이루어진 치형부를 포함한다.
하지만, 선행문헌에 개시된 종래기술의 틸팅장치는, 틸팅 시에 가동기어(60)가 고정기어(70)에 치합되는 과정에서 치합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동기어와 고정기어의 산과 산이 서로 대면하여 고정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후, 산과 골의 치물림이 발생하면 소음이 발생하거나 충격에 의해 기어가 손상된다.
따라서, 치물림을 향상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틸팅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틸팅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국내공개특허 제2006-0081095호 (2006. 07. 12.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기어와 가동기어의 산과 산이 대면하여 고정되지 않도록 하고, 고정기어와 가동기어의 치물림률을 향상시킴으로써, 스티어링 칼럼의 팝업을 방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는, 차체에 고정되어 스티어링 칼럼을 지지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기어;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 구비된 틸트 레버와 결합되며, 상기 스티어링 칼럼과 브라켓과 상기 고정기어를 관통하는 틸트 볼트; 상기 틸트 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기어와 치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가동기어; 상기 틸트 볼트에 체결되어 가동기어를 마감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기어와 상기 가동기어 사이에 구비되어 가동기어가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틸트 레버가 잠금 작동하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가동기어를 고정기어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기어와 가동기어가 맞물려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상기 브라켓이 가압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기어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가동기어가 상기 고정기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가동기어와 상기 제1스프링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틸트 볼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스프링이 외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어하는 멈춤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기어에는 제1스프링이 수용되는 제1스프링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기어의 내측에는 제1스프링의 탄성력 작동 범위를 확보하도록 멈춤링이 수용되는 멈춤링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멈춤링은 상기 틸트 볼트에 구비되며, 상기 제1스프링은 멈춤링의 위치까지만 탄성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틸트 볼트에는 상기 멈춤링이 수용되는 멈춤링 수용홈이 형성되며, 멈춤링은 멈춤링 수용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기어 사이에 베어링이 배치되고, 가동기어와 상기 베어링 사이에 와셔가 구비되며, 상기 와셔의 내경부에 상기 제2스프링이 수용되되, 와셔는 가동기어를 잠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틸트 볼트에는 상기 가동기어가 상기 고정기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틸트 볼트의 이동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돌기가 구비되거나, 상기 틸트 볼트의 직경보다 큰 대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에 의하면, 가동기어와 제1스프링 사이에 멈춤링이 구비되어 제1스프링이 외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어함에 따라 제1스프링의 장력이 상쇄되어 제2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고정기어와 가동기어의 치결합이 유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고정기어와 가동기어의 산과 산이 대면하여 고정되는 치걸림 현상으로 인한 소음과 기어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틸트 볼트에는 돌기가 구비되거나, 틸트 볼트의 직경보다 큰 대경부가 형성되어 가동기어가 고정기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외력을 가함으로써, 제1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가동기어의 치물림 동작을 보완해주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립도이다.
도 4a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6a, 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조립도이며, 도 4a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6a, 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A)는, 차체에 고정되어 스티어링 칼럼(10)을 지지하는 브라켓(100)과, 브라켓(100)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기어(200)와. 브라켓(100)의 타측에 구비된 틸트 레버(500)와 결합되며, 스티어링 칼럼(10)과 브라켓(100)과 고정기어(200)를 관통하는 틸트 볼트(400)와, 틸트 볼트(400)에 결합되어 고정기어(200)와 치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가동기어(300)와, 틸트 볼트(400)에 체결되어 가동기어(200)를 마감하는 고정부재(820)와, 고정기어(200)와 가동기어(300) 사이에 구비되어 가동기어(200)가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스프링(700)을 포함하며, 틸트 레버(500)가 잠금 작동하면 고정부재(820)가 가동기어(300)를 고정기어(200)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기어(200)와 가동기어(300)가 맞물려 스티어링 칼럼(10)을 브라켓(100)이 가압 고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스티어링 칼럼(10)은 공지된 기술의 스티어링 칼럼이 적용되며, 본 발명인 틸팅장치에 속하는 구성은 아니므로 자세한 구조 등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상에서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되지 않는 부분은 가는 선 및 파선으로 도시하여 구분한다.
먼저, 브라켓(100)은 "ㅛ"자 형상으로 각각의 플레이트를 용접으로 결합하여 구비되며, 수직방향의 복수 개로 구비된 플레이트를 제1플레이트(110),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플레이트를 제2플레이트(120)라고 한다.
그리고, 제1플레이트(110) 사이에 스티어링 칼럼(10)이 개재되며, 이때 스티어링 칼럼(10)에는 제1플레이트(110) 사이폭과 동일한 너비의 블럭(12)이 구비되고, 블럭(12)에는 틸트볼트(400)가 관통하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됨에 따라 스티어링 칼럼(10)이 브라켓(100)에 지지된다.
또한, 제2플레이트(120)에는 스티어링 칼럼이 조립되는 대상에 고정될 수 있는 볼트 홀이 형성된다.
한편, 제1플레이트(110)의 일단에는 틸트레버(500)가 구비되며, 틸트레버(500)와 고정된 틸트볼트(400)가 일측의 제1플레이트(110)부터 블럭(12)과 타측의 제1플레이트(110)까지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제1플레이트(110)에는 틸트볼트(400)가 수용되는 가이드홀(112)이 형성되며, 가이드홀(112)을 따라 틸트볼트(400)가 이동하여 스티어링 칼럼(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틸트레버(500)와 일측의 제1플레이트(110) 사이에는 캠(510)이 구비되어 틸트레버(500)를 작동함에 따라 틸트볼트(400)가 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한다.
이와 같이, 제1플레이트(110)를 관통한 틸트볼트(400)가 틸트레버(500)와 캠(510)의 작동원리에 따라 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하여 제1플레이트(110) 사이에 개재된 블럭(12)이 고정되거나 유동되어진다.
또한, 제1플레이트(110)의 타단에는 고정기어(200)가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고정기어(200)는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로 구비되며, 제1플레이트(110)와 맞닿는 면의 반대방향으로 제1기어부(220)가 형성되고, 기어부(220)는 두 줄로 평행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1기어부(220) 사이에는 틸트볼트(400)가 수용되는 가이드홀(202)이 형성되어 스티어링 칼럼(10)의 상, 하운동이 원활하게 작동된다.
이때, 가이드홀(202)에는 제1스프링(700)이 수용되는 제1스프링 수용부(210)가 구비된다.
한편, 제1플레이트(110)와 고정기어(200)를 관통한 틸트볼트(400)의 돌출부에는 가동기어(300)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가동기어(300)는 고정기어(200)의 너비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고정기어(200)의 제1기어부(220)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2기어부(320)가 구비되고, 제2기어부(320) 사이에는 틸트볼트(400)에 결합되는 홀(302)이 더 구비된다.
이때, 홀(302)에는 제1스프링(700)이 수용되는 멈춤링 수용부(310)가 형성된다.
여기서, 멈춤링 수용부(310)는 제1스프링(700)의 탄성력 자가동 범위를 확보하도록 가동기어(300)의 내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가동기어(300)의 홀(302)를 통과한 틸트볼트(400)의 돌출부에는 고정부재(820)가 체결되어 가동기어(300)를 고정한다.
또한, 가동기어(300)와 고정부재(820) 사이에 베어링(600)을 구비하여 틸트볼트(400)의 직선운동 시에 수반되는 회전운동을 상쇄하여 가동기어(300)가 고정기어(200)에 원활히 맞물리게 된다.
여기서, 베어링(600)은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강한 쓰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을 사용하며, 본 발명에 적용된 베어링(600)은 쓰러스트 니들 베어링(Thrust needle bearing)이다.
아울러, 가동기어(300)의 원활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베어링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고정기어(200)의 외측으로 돌출된 틸트볼트(400)에는 제1스프링(700)이 수용되며, 제1스프링(700)은 제1스프링 수용부(210)와 멈춤링 수용부(310)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가동기어(300)와 고정부재(820) 사이에 배치되어 가동기어(300)가 고정기어(20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스프링(800)이 구비된다.
그리고, 가동기어(300)와 제1스프링(700) 사이에 구비되어 틸트 볼트(4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스프링(700)이 외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어하는 멈춤링(900)이 더 포함된다.
이때, 제1스프링(700)과 가동기어(300) 사이에 멈춤링(900)이 구비되며, 멈춤링(900)은 틸트볼트(400)에 수용되도록 하며, 제1스프링(700)은 멈춤링(900)의 위치까지만 탄성력을 인가한다.
그리고, 틸트 볼트(400)에는 멈춤링(900)이 수용되도록 멈춤링 수용홈(410)이 구비되며, 멈춤링 수용홈(410)은 멈춤링(900)이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기계요소 설계방법에 의거하여 형성한다.
이를 통해, 제1스프링(700)은 틸트 볼트(400)에 형성된 멈춤링 수용홈(410)에 고정된 멈춤링(900)과 제1스프링 수용부(210)에 사이에 수용되어 틸트볼트(400)가 가동기어(30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게 된다.
아울러, 다른 실시 예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멈춤링 수용홈(410)의 폭을 멈춤링(90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하여 멈춤림(900)을 틸트 볼트(400)에 수용할 수도 있으며, 이때의 멈춤링(900)은 멈춤링 수용홈(410)의 외측 단과 제1스프링(70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조립 작업 간에 능률의 향상을 목적으로 멈춤링 수용홈(410)의 폭을 멈춤링(900)의 두께에 대응하여 형성하거나 더 넓은 폭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820)와 가동기어(300) 사이에 베어링(600)이 배치되고, 가동기어(300)와 베어링(600) 사이에 와셔(8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와셔(810)의 내경부에 제2스프링(800)이 수용되되, 와셔(810)는 가동기어(300)를 잠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가동기어(300)는 제2스프링(800)에 의해 유동적인 동작으로 고정기어(200)에 치물림되어 가동기어(300)와 고정기어(200)의 치물림 간에 발생하는 치걸림 현상을 해소하게 된다.
아울러,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볼트(400)에는 돌기(400a)가 구비됨에 따라, 돌기(400a)가 가하는 외력은 제1스프링(700)의 탄성력과 더해지고, 이를 통해 가동기어(300)는 고정기어(200) 방향으로 더욱 용이하게 이동된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400a) 이외에 틸트볼트(400)의 직경보다 더 큰 대경부(400b)를 형성함으로써, 돌기(400a)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A)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틸트레버(500)를 잠금 작동하면, 틸트레버(500)와 제1플레이트(110) 사이에 구비된 캠(510)에 의해 틸트레버(500)가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틸트레버(500)와 결합된 틸트볼트(400)도 함께 틸트레버(5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틸트 볼트(400)의 이동과 함께 고정부재(820)가 와셔(81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와셔(810)가 가동기어(300)를 가압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동기어(300)는 제2스프링(800)에 의해 유동적으로 고정기어(200)에 치결합되어 치걸림현상을 해소하게 되며, 멈춤링(900)에 의해 제1스프링(700)의 탄성력을 상쇄시켜 제2스프링(800)의 탄성력에 영향을 주지 않아 원활한 치결합이 이루어진다.
덧붙여, 고정기어(200)와 가동기어(300) 간의 치결합 시에 산과 산이 대면하여 치걸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가동기어(300)의 외측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스프링(800)과 가동기어(300)를 가압하도록 구비된 와셔(810)에 의해 유동적으로 작동하여 치걸림 현상을 해소하게 된다.
이때, 가동기어(300)의 내측에 구비된 제1스프링(700)은 멈춤링(900)에 의해 탄성력이 상쇄되어 제2스프링(800)의 탄성력이 가동기어(300)에 온전히 전달된다.
그리고, 제1스프링(700)은 멈춤링(900)이 구비됨에 따라, 틸트레버(500)와, 제1플레이트(110)와 고정기어(200) 간에 발생하는 유격을 방지하고, 틸트레버(500)의 복귀 시에 가동기어(300)와 고정기어(200)가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한다.
또한, 제2스프링(800)은 가동기어(300)가 고정기어(200)에 치결합될 시에 유동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멈춤링(900)에 의해 제1스프링(700)의 탄성력이 상쇄되어 원활한 가동기어(300)의 움직임이 가능하다.
아울러, 틸트볼트(400)에 형성된 돌기(400a)나 대경부(400b)에 의해 더욱 효과적인 치걸림회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A :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 10 : 스티어링 칼럼
12 : 블럭 100 : 브라켓
110 : 제1플레이트 112 : 가이드홀
120 : 제2플레이트 200 : 고정기어
202 : 가이드홀 210 : 제1스프링 수용부
220 : 제1기어부 300 : 가동기어
302 : 홀 310 : 멈춤링 수용부
320 : 제2기어부 400 : 틸트볼트
410 : 멈춤링 수용홈 500 : 틸트레버
510 : 캠 600 : 베어링
700 : 제1스프링 800 : 제2스프링
900 : 멈춤링

Claims (7)

  1. 차체에 고정되어 스티어링 칼럼을 지지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기어;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 구비된 틸트 레버와 결합되며, 상기 스티어링 칼럼과 브라켓과 상기 고정기어를 관통하는 틸트 볼트;
    상기 틸트 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기어와 치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가동기어;
    상기 틸트 볼트에 체결되어 가동기어를 마감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기어와 상기 가동기어 사이에 구비되어 가동기어가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틸트 레버가 잠금 작동하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가동기어를 고정기어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기어와 가동기어가 맞물려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상기 브라켓이 가압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기어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가동기어가 상기 고정기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가동기어와 상기 제1스프링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틸트 볼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스프링이 외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어하는 멈춤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어에는 제1스프링이 수용되는 제1스프링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기어의 내측에는 제1스프링의 탄성력 작동 범위를 확보하도록 멈춤링이 수용되는 멈춤링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링은 상기 틸트 볼트에 구비되며, 상기 제1스프링은 멈춤링의 위치까지만 탄성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볼트에는 상기 멈춤링이 수용되는 멈춤링 수용홈이 형성되며, 멈춤링은 멈춤링 수용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기어 사이에 베어링이 배치되고, 가동기어와 상기 베어링 사이에 와셔가 구비되며, 상기 와셔의 내경부에 상기 제2스프링이 수용되되, 와셔는 가동기어를 잠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볼트에는 상기 가동기어가 상기 고정기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틸트 볼트의 이동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돌기가 구비되거나, 상기 틸트 볼트의 직경보다 큰 대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
KR1020130147453A 2013-11-08 2013-11-29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 KR1015539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808 2013-11-08
KR20130135808 2013-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674A true KR20150053674A (ko) 2015-05-18
KR101553921B1 KR101553921B1 (ko) 2015-09-22

Family

ID=53390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453A KR101553921B1 (ko) 2013-11-08 2013-11-29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9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162A (ko) * 2015-05-27 2016-12-07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 래치구조
KR20170121792A (ko) * 2016-04-25 2017-11-03 남양공업주식회사 차량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장치
KR20190047375A (ko) 2017-10-27 2019-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의 팝업 방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407B1 (ko) 2005-12-13 2007-07-11 주식회사 만도 고정 기어와 가동 기어를 구비한 조향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162A (ko) * 2015-05-27 2016-12-07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 래치구조
KR20170121792A (ko) * 2016-04-25 2017-11-03 남양공업주식회사 차량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장치
KR20190047375A (ko) 2017-10-27 2019-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의 팝업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921B1 (ko) 201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3714B2 (en) Steering system
US8997602B2 (en) Position adjustable steering device
KR101095979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EP3000690A1 (en) Position adjusting-type steering device
KR101095978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1553921B1 (ko)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
JP2012245811A (ja) ラック・アンド・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CN115107857A (zh) 转向装置
JP2008105610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9051353A (ja) 位置調整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6103294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101553918B1 (ko)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
JP5045255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6084066A (ja) 車体補強装置
JP2008307966A (ja) ラックガイド装置
JP6440580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EP1120329A1 (en) Improvements in casings and racks for rack and pinion steering systems
KR20140094266A (ko)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및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JP2015140021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20170010134A (ko)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
JP6409551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734123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KR20130098813A (ko)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JP2014189117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13126832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