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704B1 - 요크 유격 보상장치 - Google Patents

요크 유격 보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704B1
KR102040704B1 KR1020130058642A KR20130058642A KR102040704B1 KR 102040704 B1 KR102040704 B1 KR 102040704B1 KR 1020130058642 A KR1020130058642 A KR 1020130058642A KR 20130058642 A KR20130058642 A KR 20130058642A KR 102040704 B1 KR102040704 B1 KR 102040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pusher
elastic member
fitting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7756A (ko
Inventor
김태윤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8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704B1/ko
Publication of KR20140137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3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pressure yo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20Connecting steering column to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크 유격 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랙바를 지지하는 요크바디와, 요크바디를 랙바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와 접하여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가압부와, 일측이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측이 가압부와 결합되는 요크플러그를 포함하고, 가압부는 요크플러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셔와, 푸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셔요크와, 일측은 요크플러그에 고정되고 타측은 푸셔요크에 고정되어 푸셔요크에 회전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요크 유격 보상장치{CLEARANCE COMPENSATOR OF YOKE}
본 발명은 요크 유격 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어박스의 소음을 저감하고, 조향감을 유지하기 위한 요크 유격 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랙 앤드 피니언 방식의 조향 기어박스는 랙바를 지지해 피니언과 랙바의 기어간 유격을 제거하고, 차량의 주행 안정성과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해 요크 시스템을 적용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스티어링 기어박스에 적용되는 요크장치의 장착 단면도이며, 도 3은 일반적인 차량의 요크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스티어링 기어박스(1)에 적용되는 요크장치는 피니언(4)과 랙바(3)가 기어로 맞물린 구조에서 유격이 발생하므로, 요크장치가 피니언(4)과 랙바(3)사이의 유격을 조정하는 작용을 한다.
일반적인 요크장치는 스티어링 기어박스(1)의 하우징(2)에 요크슬리퍼(21), 요크링(23)이 결합된 요크바디(20), 요크스프링(22) 및 요크플러그(50) 순으로 결합되어 랙바(3)를 지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2579호 (2006.3.22. 공고, 발명의 명칭: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래틀 방지 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요크장치는 내구가 진행됨에 따라 기어의 마모 등에 의하여 요크바디와 요크플러그 사이의 유격이 증가한다. 요크바디와 요크플러그 사이의 유격이 일정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요크장치에 전달될 때, 요크바디와 요크플러그가 부딪히게 되고, 기계적 충격음이 발생하고,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습동력 저하로 인해 차량의 운전성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요크바디와 요크플러그 간의 유격의 발생을 보상하는 요크 유격 보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계적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습동력을 유지하여, 차량의 운전성능을 유지하는 요크 유격 보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션스프링의 토션값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요크 유격 보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요크 유격 보상장치는: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랙바를 지지하는 요크바디; 상기 요크바디를 상기 랙바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와 접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가압부; 및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가압부와 결합되는 요크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요크플러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셔; 상기 푸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셔요크; 및 일측은 상기 요크플러그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푸셔요크에 고정되어 상기 푸셔요크에 회전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셔는 상기 요크플러그에 회전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와 접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푸셔요크는 상기 탄성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푸셔에 끼움 결합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푸셔는 중앙에 푸셔홀부가 구비되는 푸셔판을 포함하고, 상기 푸셔요크는 상기 푸셔홀부에 삽입되는 푸셔요크판을 포함하며, 상기 푸셔홀부의 둘레면에는 끼움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푸셔요크판의 외측면에는 상기 끼움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부는 상기 푸셔홀부의 둘레면에 복수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푸셔요크판의 외측면에 복수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끼움돌기 중 어느 하나가 복수개의 상기 끼움홈부 중 어느 하나에 끼움 결합되면, 복수개의 상기 끼움돌기의 나머지도 복수개의 상기 끼움홈부의 나머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부에는 상기 끼움돌기를 상기 끼움홈부의 선단으로 유도하는 유도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에는 상기 유도경사면과 밀착되는 돌기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요크바디와 상기 탄성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요크바디와 상기 탄성부재와 각각 접하는 커버부와, 상기 푸셔요크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를 상기 탄서부재측으로 가압하는 조임부를 갖는 유격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크플러그를 관통하여 상기 푸셔에 안착되어 상기 푸셔와 상기 요크플러그의 나사 결합을 유지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크 유격 보상장치는 요크바디와 요크플러그 사이에 가압부가 구비되고, 가압부는 요크플러그에 나사 결합되어 요크바디를 가압 지지하므로, 요크플러그와 가압부간의 접촉 유지와 동시에 요크바디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부는 푸셔부와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므로, 토션스프링에서 제공되는 회전탄성력에 의해 푸셔부는 요크바디를 지속적으로 가압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부와 요크플러그의 나사 결합을 유지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되므로, 가압부와 요크플러그의 조립 시에 나사 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푸셔부가 푸셔와 푸셔요크로 분리되어 이루어지고, 푸셔요크가 푸셔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위치 고정되므로, 푸셔요크에 결합되는 토션스프링의 비틀림각을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션스프링의 토션값을 원하는 값으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스티어링 기어박스에 적용되는 요크장치의 장착 단면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차량의 요크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 유격 보상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 유격 보상장치에서 푸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 유격 보상장치에서 푸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 유격 보상장치에서 푸셔요크와 푸셔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 유격 보상장치에서 푸셔요크가 푸셔에 대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 유격 보상장치에서 요크플러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 유격 보상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요크 유격 보상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 유격 보상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 유격 보상장치에서 푸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 유격 보상장치에서 푸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 유격 보상장치에서 푸셔요크와 푸셔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 유격 보상장치에서 푸셔요크가 푸셔에 대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 유격 보상장치에서 요크플러그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 유격 보상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 유격 보상장치(100)는 요크바디(120), 탄성부재(130), 가압부(140), 요크플러그(150), 고정부(160) 및 유격조정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요크바디(120)는 하우징(2, 도 1 참조)에 인입되어 랙바(3)를 지지하기 위하여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랙바(3)를 향하는 일측(도 10 기준 좌측)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요크바디(120)의 오목부에는 요크슬리퍼(121)가 설치되고, 요크바디(120)는 요크슬리퍼(121)를 통해 랙바(3)와 접촉된다.
하우징(2)과 요크바디(120)의 간극에는 요크바디(120)의 틸팅(Tilting)으로 인한 래틀(Rattle)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크링(123)이 요크바디(120)의 외측면에 끼워질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요크바디(120)의 타측(도 10 기준 우측) 방향에 배치된다. 탄성부재(130)는 푸셔부(141,145)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격조정부(170)를 통해 요크바디(120)를 랙바(3)측으로 가압한다. 탄성부재(130)는 판형 스프링, 접시형 스프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요크바디(120)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탄성부재(130) 외에 요크바디(120)를 랙바(3)측으로 가압하는 요크스프링(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 도 10을 참조하면, 가압부(140)는 요크플러그(150)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부재(130)를 요크바디(120)측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140)는 푸셔부(141,145)와 토션스프링(149)을 포함한다.
푸셔부(141,145)는 일측이 탄성부재(130)와 접하고, 타측이 요크플러그(150)에 나사 결합되는 구조로 구비된다. 푸셔부(141,145)는 푸셔(141)와 푸셔요크(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푸셔(141)는 요크플러그(150)에 회전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고, 탄성부재(130)에 접하여 탄성부재(130)를 지지한다. 푸셔(141)는 푸셔홀부(144)가 구비되는 푸셔판(142)과, 푸셔판(142)에서 요크플러그(150)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푸셔보스(143)를 포함한다.
푸셔보스(143)는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요크플러그(150)의 내측면에는 푸셔보스(143)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들 나사산간의 나사 결합에 의해 푸셔(141)와 요크플러그(15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푸셔보스(143)의 내부에는 토션스프링(149)이 위치되는 공간부가 마련된다.
푸셔판(142)의 중앙에는 푸셔요크(145)의 푸셔요크판(147)이 삽입되는 푸셔홀부(144)가 구비되고, 푸셔홀부(144)의 둘레면에는 푸셔요크판(147)의 끼움돌기(148)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부(144a)가 형성된다.
이로써 푸셔요크판(147)이 푸셔홀부(144)에 삽입될 때 끼움돌기(148)가 끼움홈부(144a)에 끼움 결합되므로, 푸셔요크(145)는 푸셔(141)에 대해 위치가 고정된다.
끼움홈부(144a)는 푸셔홀부(144)의 둘레면에 복수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끼움홈부(144a)는 푸셔홀부(144)의 둘레면에 3개가 120도 회전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2개 또는 4개 이상의 끼움홈부(144a)가 푸셔홀부(144)의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부(144a)에는 끼움돌기(148)를 끼움홈부(144a)의 선단(도 6 기준 상단)으로 유도하는 유도경사면(144b)이 구비된다. 끼움홈부(144a)에는 끼움돌기(148)와의 끼움 결합을 위해 서로 마주 보는 면에 끼움돌기(148)의 폭만큼 이격된 공간부가 구비되는데, 유도경사면(144b)은 끼움홈부(144a)의 선단측으로 갈수록 이격된 공간부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경사면을 이룬다.
끼움돌기(148)는 유도경사면(144b)과 맞닿게 되면 유도경사면(144b)을 따라 끼움홈부(144a)의 선단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끼움돌기(148)와 끼움홈부(144a)의 선단을 정확히 일치시키지 않은 경우에도 유도경사면(144b)에 의한 유도에 의해 끼움돌기(148)를 끼움홈부(144a)의 선단에 안착시킬 수 있다.
푸셔요크(145)는 탄성부재(130)를 관통하고, 푸셔(1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푸셔요크(145)는 푸셔(141)에 끼움 결합되면서 위치 고정되고, 끼움 결합되는 위치를 변경함에 의해 푸셔(141)에 대해서 회전을 이룰 수 있다.
푸셔요크(145)는 푸셔홀부(144)에 삽입되는 푸셔요크판(147)과, 푸셔요크판(147)에서 요크바디(120)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관통돌기부(146)와, 푸셔요크판(147)에서 요크플러그(150)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돌기부(147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돌기부(146)와 고정돌기부(147a)는 푸셔요크판(147)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관통돌기부(146)는 요크바디(120)를 향해 돌출되어 탄성부재(130)와 커버부(172)를 챠례로 관통한다. 탄성부재(130)는 관통돌기부(146)에 끼워지면서 이탈이 방지된다.
관통돌기부(146)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임부(17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나사 결합된다. 조임부(171)는 관통돌기부(146)와의 나사 결합을 통해 커버부(172)를 탄성부재(130)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고정돌기부(147a)는 요크플러그(150)를 향해 돌출되고, 토션스프링(149)의 일단은 고정돌기부(147a)에 끼워진다. 토션스프링(149)의 타단은 요크플러그(150)에 끼워지므로, 토션스프링(149)에서 제공되는 회전탄성력에 의해 회전되는 푸셔요크(145)는 푸셔(141)를 회전시킨다. 토션스프링(149)의 회전탄성력에 의해 푸셔(141)가 회전되면, 푸셔(141)는 요크플러그(150)와 나사 결합이 다소 풀리면서 랙바(3)측을 향해 이동된다.
끼움돌기(148)는 푸셔요크판(147)의 외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끼움홈부(144a)에 끼움 결합된다. 끼움돌기(148)는 끼움홈부(144a)와 마찬가지로 푸셔요크판(147)의 외측면에 복수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끼움돌기(148)는 120도 간격으로 3개가 형성된다.
복수개의 끼움돌기(148) 중 어느 하나가 복수개의 끼움홈부(144a) 중 어느 하나에 끼움 결합되면, 나머지 끼움돌기(148)도 나머지 끼움홈부(144a)에 끼움 결합된다. 따라서 하나의 끼움돌기(148)를 하나의 끼움홈부(144a)에 끼움 결합하는 것만으로 모든 끼움돌기(148)를 모든 끼움홈부(144a)에 정확하게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끼움돌기(148)에는 유도경사면(144b)과 밀착되는 돌기경사면(148b)이 형성된다. 끼움돌기(148)의 돌기면(148a)이 유도경사면(144b)에 의해 유도되어 끼움홈부(144a)의 선단에 다다르게 되면 돌기경사면(148b)이 유도경사면(144b)과 밀착된다. 이로써 끼움돌기(148)와 끼움홈부(144a)의 끼움 결합 시 돌기경사면(148b)과 유도경사면(144b)간의 밀착에 의해 끼움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푸셔부(141,145)는 푸셔(141)와 푸셔요크(145)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나, 푸셔요크판(147)의 푸셔홀부(144)로의 삽입과 끼움돌기(148)의 끼움홈부(144a)에의 끼움 결합에 의해 푸셔(141)와 푸셔요크(145)는 일체화된다. 즉, 푸셔(141)와 푸셔요크(145)는 서로 간의 결합에 의해 일체화되므로, 일체화된 이후부터는 애초부터 일체로 형성된 것과 동일하게 작동된다.
토션스프링(149)의 일측은 푸셔요크(145)에 고정되고, 타측은 요크플러그(150)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토션스프링(149)의 일단은 푸셔요크(145)의 고정돌기부(147a)에 감김 결합되고, 타단은 요크플러그(150)의 홈부에 끼움 결합되면서 푸셔요크(145)에 회전탄성력을 제공한다.
푸셔부(141,145)는 푸셔(141)와 푸셔요크(145)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므로, 토션스프링(149)의 비틀림각 제어에 의해 토션스프링(149)의 토션값, 즉 회전탄성력 제공값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토션스프링(149)의 비틀림각은 토션스프링(149)을 얼마나 비틀었는지에 대한 각도로 정의된다.
종래에는 토션스프링(149)의 비틀림각은 조립에 의해 하나의 특정각으로만 지정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토션스프링(149)이 감긴 푸셔요크(145)가 푸셔(141)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므로, 푸셔요크(145)의 회전을 통해 토션스프링(149)의 비틀림각을 조정할 수 있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토션스프링(149)의 비틀림각은 푸셔요크(145)의 끼움돌기(148)가 푸셔(141)의 끼움홈부(144a)에 끼움 결합되는 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끼움돌기(148)는 도 7에 도시된 끼움돌기(148)에 비해 푸셔(141)에 대해 120도 더 회전된 상태로 끼움홈부(144a)에 끼움 결합된 것이다. 즉, 도 7에서 제일 좌측의 끼움홈부(144a)에 끼움 결합된 끼움돌기(148)는 푸셔요크(145)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도 8에서는 중앙의 끼움홈부(144a)에 끼움 결합된다. 따라서 도 8에서의 토션스프링(149)의 비틀림각은 도 7에서의 토션스프링(149)의 비틀림각보다 120도 더 늘어나게 된다. 만약 도 7에서 제일 좌측의 끼움홈부(144a)에 끼움 결합된 끼움돌기(148)를 제일 우측의 끼움홈부(144a)에 끼움 결합시키게 되면 토션스프링(149)의 비틀림각은 240도 더 늘어나게 된다.
이렇듯 본 실시예에 의하면 푸셔요크(145)의 끼움돌기(148)가 끼움 결합되는 푸셔(141)의 끼움홈부(144a)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토션스프링(149)의 비틀림각을 조정할 수 있어 토션스프링(149)의 토션값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토션스프링 자체를 교체하여야지만 토션스프링의 토션값을 바꿀 수 있었는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르면 푸셔요크(145)의 회전만으로 토션스프링(149)의 토션값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푸셔요크(145)의 회전을 통한 토션스프링(149)의 비틀림각 조정은 푸셔(141)를 먼저 요크플러그(150)에 나사 결합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푸셔요크(145)에 끼움돌기(148)가 구비되고 푸셔(141)에 끼움홈부(144a)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와 반대로 푸셔(141)에 끼움돌기가 구비되고 푸셔요크(145)에 끼움홈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요크플러그(150)는 내측면에 푸셔(141)의 외측면과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하우징(2)의 내측면과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요크플러그(150)의 내부에는 토션스프링(149)의 위치 고정을 위해 토션스프링(149)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홈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부(160)는 요크플러그(150)의 조립홀(155)을 통과하여 가압부(140)에 안착된다. 이를 통해 가압부(140)와 요크플러그(150)의 나사 결합이 풀리는 것을 차단한다.
가압부(140)가 요크플러그(150)에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2)에 조립되는 경우, 푸셔부(141,145)가 토션스프링(149)에 의하여 회전력을 받으므로 푸셔부(141,145)와 요크플러그(150)간의 나사 결합이 풀릴 수 있다. 이때, 고정부(160)의 선단부(도 10 기준 좌측단부)는 요크플러그(150)의 조립홀(155)을 통과하여 푸셔부(141,145)에 안착되므로, 푸셔부(141,145)와 요크플러그(150)간의 나사 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160)의 미단부(도 10 기준 우측단부)는 선단부가 푸셔부(141,145)에 안착될 때 요크플러그(15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요크 유격 보상장치(100)를 스티어링 기어박스(1)에 조립한 후에 고정부(160)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유격조정부(170)는 요크바디(120)와 탄성부재(130)의 사이에 배치되고, 요크 유격 보상장치(100) 내에서 유격을 조정한다. 유격조정부(170)는 일측(도 10 기준 좌측)이 요크바디(120)와 접하고 타측(도 10 기준 우측)이 탄성부재(130)와 접하는 커버부(172)와, 커버부(172)의 일측(도 10 기준 좌측)에 배치되어 푸셔요크(145)에 결합되면서 커버부(172)를 탄성부재(130)측으로 가압하는 조임부(171)를 포함한다.
조임부(171)는 너트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임부(171)는 푸셔부(141,145), 구체적으로 푸셔요크(145)와 나사 결합되고, 커버부(172)를 랙바(3)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 지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 유격 보상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요크 유격 보상장치(100)에서 탄성부재(13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요크바디(120)는 랙바(3)를 좌측(도 1 기준)으로 가압한다.
차량의 운행에 의해 랙바(3)와 피니언(4) 사이의 기어가 마모되면, 랙바(3)는 기어 마모 등에 기인하여 최초 위치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요크바디(120)는 탄성부재(130)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랙바(3)의 좌측 이동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랙바(3)의 이동에 따른 유격은 탄성부재(130)에 의한 요크바디(120)의 연동 이동으로 보상된다.
푸셔부(141,145)는 토션스프링(149)에 의하여 회전탄성력을 받고 있으므로, 요크바디(12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푸셔부(141,145)는 토션스프링(149)에 의하여 요크플러그(150)와의 나사 결합이 풀리면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푸셔부(141,145)의 좌측 이동에 따라 푸셔부(141,145)가 지지하는 탄성부재(130) 또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탄성부재(130)는 여전히 요크바디(120)를 탄성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스티어링 기어박스 2: 하우징
3: 랙바 4: 피니언
100: 요크 유격 보상장치 120: 요크바디
123: 요크링 130: 탄성부재
140: 가압부 141: 푸셔
142: 푸셔판 144: 푸셔홀부
144a: 끼움홈부 144b: 유도경사면
145: 푸셔요크 147: 푸셔요크판
148: 끼움돌기 148b: 돌기경사면
149: 토션스프링 150: 요크플러그
155: 조립홀 160: 고정부
170: 유격조정부 171: 조임부
172: 커버부

Claims (8)

  1.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랙바를 지지하는 요크바디;
    상기 요크바디를 상기 랙바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와 접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가압부; 및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가압부와 결합되는 요크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요크플러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셔;
    상기 푸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셔요크; 및
    일측은 상기 요크플러그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푸셔요크에 고정되어 상기 푸셔요크에 회전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비틀림각의 조정은 상기 푸셔에 대한 상기 푸셔요크의 회전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크 유격 보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요크플러그에 회전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와 접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푸셔요크는 상기 탄성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푸셔에 끼움 결합되어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크 유격 보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중앙에 푸셔홀부가 구비되는 푸셔판을 포함하고, 상기 푸셔요크는 상기 푸셔홀부에 삽입되는 푸셔요크판을 포함하며,
    상기 푸셔홀부의 둘레면에는 끼움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푸셔요크판의 외측면에는 상기 끼움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크 유격 보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부는 상기 푸셔홀부의 둘레면에 복수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푸셔요크판의 외측면에 복수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끼움돌기 중 어느 하나가 복수개의 상기 끼움홈부 중 어느 하나에 끼움 결합되면, 복수개의 상기 끼움돌기의 나머지도 복수개의 상기 끼움홈부의 나머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크 유격 보상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부에는 상기 끼움돌기를 상기 끼움홈부의 선단으로 유도하는 유도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크 유격 보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에는 상기 유도경사면과 밀착되는 돌기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크 유격 보상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바디와 상기 탄성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요크바디와 상기 탄성부재와 각각 접하는 커버부와, 상기 푸셔요크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를 상기 탄성부재측으로 가압하는 조임부를 갖는 유격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크 유격 보상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플러그를 관통하여 상기 푸셔에 안착되어 상기 푸셔와 상기 요크플러그의 나사 결합을 유지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크 유격 보상장치.
KR1020130058642A 2013-05-23 2013-05-23 요크 유격 보상장치 KR102040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642A KR102040704B1 (ko) 2013-05-23 2013-05-23 요크 유격 보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642A KR102040704B1 (ko) 2013-05-23 2013-05-23 요크 유격 보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756A KR20140137756A (ko) 2014-12-03
KR102040704B1 true KR102040704B1 (ko) 2019-11-27

Family

ID=52457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642A KR102040704B1 (ko) 2013-05-23 2013-05-23 요크 유격 보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7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3772A (ja) 2008-07-23 2010-02-04 Jtekt Corp ラック軸支持装置および車両用操舵装置
KR101206836B1 (ko) * 2012-03-14 2012-11-30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1090A (ko) * 2011-11-09 2013-05-20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3772A (ja) 2008-07-23 2010-02-04 Jtekt Corp ラック軸支持装置および車両用操舵装置
KR101206836B1 (ko) * 2012-03-14 2012-11-30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756A (ko)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7136B2 (ja) ステアリングギヤのラックバー支持装置
KR102058895B1 (ko) 요크 유격 보상장치
US9321477B2 (en) Rack bar support device of a steering gear
US9517792B2 (en) Clearance compensator of yoke
KR20080105547A (ko) 서포트 요크 클리어런스 자동 조정장치
US20080022796A1 (en) Steering apparatus equipped with ring type support yoke
KR20150093975A (ko)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장치
KR102040704B1 (ko) 요크 유격 보상장치
JP4390135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047647B1 (ko) 요크 유격 보상장치
KR101734125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의 유격 보상 장치
KR102342113B1 (ko) 요크 유격 보상장치
KR102096989B1 (ko) 차량의 요크유격보상장치
US10059365B2 (en) Tilting structure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101583696B1 (ko) 자동 유격 보상이 가능한 랙바 지지 장치
KR20150051558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KR102041632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20160060175A (ko) 요크 유격 보상장치
KR101734126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KR20110008551A (ko) 스티어링 기어 어셈블리의 랙바 지지장치
KR20150124754A (ko) 요크 유격 보상장치
KR20080083981A (ko) 자동차용 텔레스코프 컬럼의 어져스트 스톱퍼 어셈블리
KR20070091821A (ko) 자동차용 텔레스코프 칼럼의 고정 장치
JP2008038994A (ja) ラック軸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