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4098A - 안경 렌즈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안경 렌즈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098A
KR20090014098A KR1020080072815A KR20080072815A KR20090014098A KR 20090014098 A KR20090014098 A KR 20090014098A KR 1020080072815 A KR1020080072815 A KR 1020080072815A KR 20080072815 A KR20080072815 A KR 20080072815A KR 20090014098 A KR20090014098 A KR 20090014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ocessing
lens
supply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8530B1 (ko
Inventor
모토시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ublication of KR20090014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3/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 B24B13/0031Machines having several working posts; Feeding and manipulating devices
    • B24B13/0037Machines having several working posts; Feeding and manipulating devices the lenses being worked by different tools, e.g. for rough-grinding, fine-grinding, pol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optical work, e.g. lenses,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3/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 B24B13/005Blocking means, chucks or the like; Alignmen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2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과제
물의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또, 오염 배수의 배출을 억제하여 여과 장치의 여과 (탈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안경 렌즈 가공 장치는, 안경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척과, 렌즈를 가공하는 조가공 숫돌 및 마무리가공 숫돌이 내부에 배치된 가공실과, 그곳에서 분사된 연삭수가 숫돌에 의해 가공되는 렌즈의 가공점을 향하여 분사되는 제 1 노즐과, 연삭수를 수도관 또는 물탱크로부터 제 1 노즐에 공급하는 제 1 튜브와, 제 1 노즐로의 연삭수의 공급을 ON/OFF 하는 제 1 전환 유닛을 갖는 연삭수 공급 유닛과, 그곳에서 분사된 세정수가 가공실 내에 비산된 렌즈의 가공 찌꺼기를 씻어내는 제 2 노즐과, 세정수를 수도관 또는 물탱크로부터 제 2 노즐에 공급하는 제 2 튜브와, 제 2 노즐로의 세정수의 공급을 ON/OFF 하는 제 2 전환 유닛을 갖는 세정수 공급 유닛과, 렌즈의 재질의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렌즈 재질 선택 유닛과, 렌즈의 재질의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및 제 2 전환 유닛의 각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갖고, 제어 유닛은, 플라스틱의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전환 유닛을 제어하여 전체 가공 공정에서 연삭수의 공급을 ON 으로 하고, 또, 제 2 전환 유닛을 제어하여 전체 가공 공정에서 세정수의 공급을 OFF 로 하거나, 또는 전체 가공 공정의 시 간에 비하여 짧은 시간 일시적으로 세정수의 공급을 ON 으로 한다.
안경 렌즈 가공 장치

Description

안경 렌즈 가공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EYEGLASS LENS}
본 발명은, 안경 렌즈를 가공하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공실 내에 배치된 조가공 (roughing) 숫돌 및 마무리가공 (finishing) 숫돌에 의해 렌즈척 (렌즈 회전 샤프트) 에 협지된 안경 렌즈를 가공하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장치는 숫돌과 렌즈의 접촉 부분에 냉각용 연삭수를 공급하여 가공시에 발생하는 열의 영향을 저감시킴과 함께 렌즈에 부착된 가공 찌꺼기를 씻어내기 위한 연삭수 공급 수단을 갖고 있다. 또, 렌즈의 가공시 (특히 가공시에 열을 필요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렌즈 등의 가공시) 에는 숫돌의 회전에 의해 렌즈의 가공 찌꺼기가 가공실 내에 비산되거나 가공실의 저부의 배수구에 퇴적되거나 하기 때문에, 가공실의 하측을 향하여 세정수를 흐르게 하는 세정수 공급 수단을 갖는 장치가 있다.
가공실 내로의 물의 공급 방법으로서는, 물탱크 내에 저장된 물을 펌프에 의해 퍼 올려 공급하는 물 순환식과, 수도관으로부터 연장된 배관에 전자 밸브를 장착하여 수도관으로부터의 수압에 의해 물을 직접 공급하는 수도 직결식이 있다.
또, 가공실로부터의 배수에는 가공 찌꺼기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물과 가 공 찌꺼기를 분리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 등의 여과 장치를 갖는 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여과 장치는 물 순환식의 장치에서는 병용이 필수이고, 수도 직결식 장치에서도 병용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장치에서는, 렌즈의 재질에 관계없이, 렌즈의 가공시에는 세정수 공급 수단으로부터 세정수가 항상 공급되고 있었기 때문에, 수도 직결식에서는 물이 대량으로 소비되어 버린다. 또, 여과 장치를 사용할 때에도, 오염된 배수의 배출을 억제하여 여과 (탈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공시에 사용되는 물의 양을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물의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 과제로 한다. 또, 오염 배수의 배출을 억제하여 여과 장치의 여과 (탈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 과제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안경 렌즈 가공 장치 (1) 의 개략 외관도이다. 가공 장치 (1) 에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2) 가 접속되어 있다. 측정 장치 (2) 로서는, 예를 들어, US5,347,762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12661) 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가공 장치 (1) 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부 (5) 및 스위치부 (7) 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 (5) 는 터치 패널 기능을 갖고, 가공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가공 조건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겸한다. 창 (6) 은 가공실 (20) (도 4 참조) 내에 렌즈를 배치하거나 가공실 (20) 내로부터 렌즈를 꺼내거나 하기 위해서 개폐된다.
가공 장치 (1) 의 하방에는, 여과 장치인 원심 분리기 (650) (도 4 참조) 를 갖는 물처리 장치 (3) 가 배치되어 있다. 가공 장치 (1) 로부터의 렌즈의 가공 찌꺼기를 함유하는 배수는 배수관 (3a) 을 통하여 물처리 장치 (3) 로 유도된다.
도 2 는 가공 장치 (1) 내에 배치된 렌즈 가공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가 공 장치 (1) 의 베이스 (170) 상에는 캐리지부 (100) 가 배치되어 있고, 캐리지부 (100) 의 캐리지 (101) 가 갖는 렌즈척 (렌즈 회전 샤프트) (102L 및 102R) 에 협지된 렌즈 (LE) 는 모터 (160) 등에 의해 회전되는 숫돌 스핀들 (숫돌 회전 샤프트) (161a) 에 장착된 숫돌 (162) 에 압접되어 연삭 가공된다. 숫돌 (162) 은 플라스틱용 조가공 숫돌 (162a) 과, 베벨 마무리가공 (bevel-finishing) 홈과, 플레인 마무리가공 (plane-finishing) 면을 갖는 마무리가공 숫돌 (162b) 과, 베벨 경면 마무리가공 (bevel-polish-finishing) 홈과, 플레인 경면 마무리가공 (plane-polish-finishing) 면을 갖는 경면 마무리가공 (polish-finishing) 숫돌 (162c) 과, 유리용 가공 숫돌 (162d) 을 포함한다.
캐리지 (101) 의 레프트 아암 (101L) 에는 렌즈척 (102L) 이, 캐리지 (101) 의 라이트 아암 (101R) 에는 렌즈척 (102R) 이 각각 회전할 수 있게 동축으로 유지되어 있다. 렌즈척 (102R) 은, 라이트 아암 (101R) 에 장착 모터 (110) 등에 의해 렌즈척 (102L) 측에 이동되어 렌즈 (LE) 가 렌즈척 (102R 및 102L) 에 의해 협지된다. 또, 렌즈척 (102R 및 102L) 은, 레프트 아암 (101L) 에 장착된 모터 (120) 등에 의해 동기하여 회전된다.
베이스 (170) 상에는, 렌즈척 (102R 및 102L) 과 스핀들 (161a) 과 평행한 X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103 및 104) 가 고정되어 있고, 이동 지지 기부 (140) 가 샤프트 (103 및 104) 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유지되어 있다. 또, 지지 기부 (140) 상에는 렌즈척 (102R 및 102L) 과 스핀들 (161a) 의 회전축 간 거리가 변화되는 Y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156 및 157) 가 고정되어 있고, 캐리 지 (101) 가 샤프트 (156 및 157) 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유지되어 있다. 지지 기부 (140) 는 모터 (145) 등에 의해 X 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지지 기부 (140) 상의 캐리지 (101) 도 X 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또, 캐리지 (101) 는 모터 (150) 등에 의해 Y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써, 렌즈척 (102L 및 102R) 에 협지된 렌즈 (LE) 는 X 축 방향 및 Y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가공 장치 (1) 의 앞측에는, 모따기가공 (chamfering)ㆍ홈형성가공 (grooving) 부 (200) 가 배치되어 있다. 도 3 은 모따기가공ㆍ홈형성가공부 (200) 의 개략 구성도이다. 아암 (220) 에 회전할 수 있게 유지된 숫돌 스핀들 (숫돌 회전 샤프트) (230) 에는, 렌즈 앞 에지용 모따기가공 숫돌 (221a) 과, 렌즈 뒤 에지용 모따기가공 숫돌 (221b) 과, 렌즈 앞 에지용 경면 모따기가공 (polish-chamfering) 숫돌 (223a) 과, 렌즈 뒤 에지용 경면 모따기가공 숫돌 (223b) 과, 홈형성가공 숫돌 (224) 이 동축으로 장착되어 있다. 스핀들 (230) 은 모터 (221) 등에 의해 회전되어 모터 (205) 등에 의해 퇴피 위치와 가공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스핀들 (230) 의 가공 위치는 렌즈척 (102R 및 102L) 과 스핀들 (161a) 사이에서, 양자의 각 회전축이 위치하는 평면 상에서 양자의 각 회전축과 스핀들 (230) 의 회전축이 평행이 되는 위치이다. 숫돌 (162) 에 의한 가공과 동일하게, 모따기가공ㆍ홈형성가공부 (200) 에 의한 가공에서도, 모터 (145) 등에 의해 렌즈 (LE) 가 X 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모터 (150) 등에 의해 렌즈 (LE) 가 Y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가공 장치 (1) 의 안쪽 상측 (캐리지 (101) 의 상방) 에는 렌즈 앞 에지 위 치 (렌즈 앞 에지 궤적) 을 측정하는 렌즈 앞 에지 위치 측정부 (렌즈 앞 형상 측정부) (300F) 와, 렌즈 뒤 에지 위치 (렌즈 뒤 에지 궤적) 을 측정하는 렌즈 뒤 에지 위치 측정부 (렌즈 뒤 형상 측정부) (300R) 가 형성되어 있다. 측정부 (300F 및 300R) 로서는 예를 들어, US6,790,12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45328) 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가공 장치 (1) 에 물 (연삭수 및 세정수) 을 공급하는 물공급 기구와, 렌즈 (LE) 의 가공에 의한 가공 장치 (1) 로부터의 배수를 여과하는 여과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는 물공급 기구 및 여과 기구의 개략 구성도이다.
숫돌 (162) 이 배치되어 있는 가공실 (20) 의 우측 (도 4 의 안측) 의 내측벽 (21a) 에는, 숫돌 (162) 과 렌즈 (LE) 의 접촉 부분 (가공점) 에 연삭수를 분사하는 노즐 (600) 이 배치되어 있다. 노즐 (600) 의 분출구는 분사되는 연삭수가 숫돌 (162) 의 표면을 스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 가공실 (20) 의 안측 (도 4 의 좌측) 의 내측벽 (21a) 에는, 가공실 (20) 내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를 분사하는 노즐 (610) 이 배치되어 있다. 노즐 (610) 은, 숫돌 (162) 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노즐 (610) 의 분출구는 렌즈 (LE) 의 가공시에 숫돌 (162) 의 회전에 수반하여 가공실 (20) 내에 비산된 가공 찌꺼기를 씻어내도록 약간 하측을 향하고 있다. 가공 찌꺼기를 함유하는 배수는, 가공실 (20) 의 저부에 형성된 배수구 (21) 로부터 배수관 (3a) 을 통하여 배출된다.
노즐 (600) 에는 튜브 (601) 가 접속되어 있고, 튜브 (601) 는 전자 밸브 (602) 를 통하여 급수관 (9) 에 접속되어 있다. 노즐 (600), 튜브 (601), 전자 밸브 (602) 등에 의해 냉각용 연삭수를 공급하는 제 1 물공급 유닛이 구성된다. 또, 노즐 (610) 에는 튜브 (611) 가 접속되어 있고, 튜브 (611) 는 전자 밸브 (612) 를 통하여 급수관 (9) 에 접속되어 있다. 노즐 (610), 튜브 (611), 전자 밸브 (612) 등에 의해,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 2 물공급 유닛이 구성된다. 급수관 (9) 은 수도관에 접속되어 있다. 전자 밸브 (602 및 612) 는 후술하는 제어부 (50) (도 5 참조) 에 의해 그 개폐가 제어된다. 또한, 전자 밸브 (602 및 612) 는 급수관 (9) (수도관) 의 수도꼭지 부분에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노즐 (610) 로부터의 세정수는 가공실 (20) 의 내측벽 (21a) 에 부착된 가공 찌꺼기나 저면에 퇴적된 가공 찌꺼기를 씻어낼 목적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광범위에 걸쳐 확산되듯이 분사된다.
물처리 장치 (3) 의 케이싱 (640) 내에는, 배수의 여과 기구인 원심 분리기 (650) 와, 물포집 케이스 (642) 와, 물탱크 (630) 가 배치되어 있다. 가공 장치 (1) 로부터의 배수관 (3a) 은 케이싱 (640) 에 장착된 배수관 (641) 에 접속되어 있다. 배수관 (641) 은, 원심 분리기 (650) 의 회전 중심에 위치하도록 케이싱 (640) 의 천판 (天板) (상면) 에 장착되어 있다.
원심 분리기 (650) 는 케이싱 (640) 의 하측에 장착 모터 (653) 와, 모터 (653) 에 접속된 회전 샤프트 (651) 와, 회전 샤프트 (651) 에 장착된 탈수조 (652) 를 갖는다. 탈수조 (652) 의 저부는 중앙 부분이 주변 부분에 비하여 높게 되어 있다.
탈수조 (652) 의 상부에는, 배수를 여과하기 위한 고리형의 필터 (654) 가, 원반상의 고정 부재 (655)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필터 (654) 는 물은 투과시키지만, 가공 찌꺼기는 투과하기 어려운 정도의 메시 구조를 갖는다.
원심 분리기 (650) 에 의한 배수의 여과 동작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가공 장치 (1) (가공실 (20)) 로부터의 가공 찌꺼기를 함유하는 배수가, 배수관 (3a) 및 배수관 (641) 을 통하여 원심 분리기 (650) 의 탈수조 (652) 내에 유입된다. 모터 (653) 에 의한 탈수조 (652) 의 회전에 의해, 배수에 함유된 가공 찌꺼기는, 탈수조 (652) 의 내측에 퇴적되고, 가공 찌꺼기가 분리된 물은 탈수조 (652) 상 외측으로 튕겨져 필터 (654) 에 의해 여과되어 물포집 케이스 (642) 내에 모인다. 물포집 케이스 (642) 내에 모인 물은 배수관 (643) 을 통하여 물탱크 (630) 에 일단 모아져, 그 후 배수관 (8) 을 통하여 하수도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가공 장치 (1) 로부터의 가공 찌꺼기를 함유하는 배수가 여과 (원심 분리) 에 의해 물과 가공 찌꺼기로 분리되고, 정화된 물이 배수관 (8) 을 통하여 하수도로 배출된다.
도 5 는 물처리 장치 (3) 를 포함하는 가공 장치 (1) 의 물처리 관련의 제어계의 개략 블록도이다. 가공 장치 (1) 는 전원 스위치 (60) 를 ON 으로 함으로써 전력이 공급된다. 가공 장치 (1) 에 형성된 전원 아울렛 (61) 에는 원심 분리기 (650) 의 전원 케이블이 접속할 수 있게 되고, 전원 스위치 (60) 를 ON 으로 함으로써 원심 분리기 (650) 에도 전력이 공급된다. 또, 가공 장치 (1) 에는 전자 밸브 (602 및 612) 의 전원 케이블이 접속되는 전원 아울렛 (62 및 63) 이 형성되어 있다. 전원 아울렛 (62 및 63) 에 대한 전력 공급 라인의 도중에는 릴 레이 스위치 (64 및 65) 가 형성되어 있다. 전자 밸브 (602 및 612) 의 개폐는 가공 장치 (1) 의 제어부 (50) 에 의한 릴레이 스위치 (64 및 65) 의 ON/OFF 에 의해 실시된다.
또, 원심 분리기 (650) 의 제어부 (70) 는 신호 접속구 (67) 를 통하여 제어부 (50) 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 (70) 는 모터 (653), 렌즈의 가공 매수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72) 등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렌즈 (LE) 의 가공 조건이 입력된다. 측정 장치 (2) 에 의해 얻어진 안경 프레임, 형판 (template (pattern)), 더미 렌즈 (dummy lens (model lens)), 등의 렌즈형 (target lens shape (target outline)) 의 데이터는, 스위치부 (7) 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어 메모리 (51) 에 기억된다. 디스플레이부 (5) 의 화면 (501) 에는 얻어진 좌우의 렌즈형의 도형이 표시된다. 그리고, 착용자의 동공간 거리 (PD), 좌우 렌즈형의 기하 중심간 거리 (FPD), 렌즈형의 기하 중심에 대한 광학 중심의 높이 등의 레이아웃 데이터가 레이아웃 키 (502) 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다. 또, 렌즈 재질 선택 키 (503a) 에 의해, 가공되는 렌즈 (LE) 의 재질로서 플라스틱, 폴리카보네이트, 트라이벡스, 아크릴, 유리 등이 선택된다. 또, 가공 모드 선택 키 (503b) 에 의해 베벨 마무리가공, 플레인 마무 가공 및 홈형성가공의 각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가공 모드 선택 키 (503c) 에 의해 경면 마무리가공의 유무가 선택되고, 가공 모드 선택 키 (503d) 에 의해 모따기가공의 유무가 선택된다.
다음으로, 렌즈 (LE) 의 재질에 따른 연삭수 및 세정수의 공급에 대해, 도 6a ∼ 6c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a 는 플라스틱 렌즈인 경우의 물공급 타이밍 차트이고, 도 6b 는 폴리카보네이트 렌즈인 경우의 물공급 타이밍 차트이고, 도 6c 는 아크릴 렌즈인 경우의 물공급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도 6a ∼ 6c 의 각 가공에서는 홈형성가공 모드 (조가공+플레인 마무리가공+홈형성가공) 가 선택되고, 추가로 모따기가공이 설정 (있음이 선택) 된 것으로 한다.
<플라스틱 렌즈 가공>
렌즈 (LE) 의 재질로 플라스틱이 선택되면, 제어부 (50) 는 플라스틱 렌즈 가공용 가공 제어 프로그램을 메모리 (51) 로부터 판독하여 가공을 개시한다.
렌즈 (LE) 가 렌즈척 (102L 및 102R) 에 협지된 후, 스위치부 (7) 의 스타트 스위치가 눌리면, 측정부 (300F 및 300R) 에 의해 렌즈형 데이터에 기초하는 렌즈 (LE) 의 전후 에지 위치가 측정된다.
이 때, 제어부 (50) 는 스타트 스위치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 (70) 에 가공 개시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 (70) 는 제어부 (50) 로부터의 가공 개시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 (653) 에 지령 신호를 보내어 탈수조 (652) 의 회전을 개시시킨다.
렌즈 (LE) 의 전후 에지 위치의 측정이 종료되면 조가공으로 이행된다. 렌즈척 (102R 및 102L) 에 협지된 렌즈 (LE) 가 조가공 숫돌 (162a) 상에 위치하도록 캐리지 (101) 의 X 축 방향의 위치가 제어된 후, 렌즈 (LE) 의 회전과 캐리지 (101) 의 Y 축 방향의 위치가 조가공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되고, 렌즈 (LE) 가 조가공 숫돌 (162a) 에 의해 조가공된다. 이 때, 렌즈 (LE) 는 최종 형상인 렌즈형에 마무리가공값을 남긴 (더한) 형상으로 조가공된다.
조가공이 종료되면 마무리가공으로 이행된다. 홈형성가공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무리가공 숫돌 (162b) 의 플레인 마무리가공면에 의해 조가공 후의 렌즈 (LE) 가 플레인 마무리가공되고, 그 후, 홈형성가공 숫돌 (224) 이 가공 위치로 이동되어 홈 궤적 데이터 (베벨 궤적 데이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연산된다) 에 기초하는 홈형성가공 데이터에 기초하여 렌즈 (LE) 의 회전과 캐리지 (101) 의 X 축 방향 및 Y 축 방향의 각 위치가 제어되어, 홈형성가공 숫돌 (224) 에 의해 플레인 마무리가공 후의 렌즈 (LE) 의 에지면에 홈이 형성된다. 모따기가공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추가로 렌즈의 앞 에지각 및 뒤 에지각이 모따기가공 숫돌 (221a 및 221b) 에 의해 모따기가공된다.
또한, 베벨 마무리가공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베벨 궤적 데이터에 기초하는 베벨 마무리가공 데이터에 기초하여 렌즈 (LE) 의 회전과 캐리지 (101) 의 X 축 방향 및 Y 축 방향의 각 위치가 제어되어 마무리가공 숫돌 (162b) 의 베벨 마무리가공 홈에 의해 조가공 후의 렌즈 (LE) 의 에지에 베벨이 형성된다. 베벨 궤적 데이터는, 렌즈 (LE) 의 전후 에지 위치의 측정 데이터와 렌즈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주지된 방법에 의해 연산된다.
상기와 같은 가공 공정에 있어서, 렌즈 (LE) 의 재질로 플라스틱이 선택된 경우, 도 6a 와 같이 제어부 (50) 에 의해 조가공의 개시 신호에 기초하여 조가공 개시시에 전자 밸브 (602) 가 개방되어 노즐 (600) 로부터의 연삭수의 공급이 개시 된다. 플라스틱 렌즈 (LE) 에서는 렌즈 (LE) 의 가공 부분을 냉각시키면서 가공함으로써, 숫돌 및 렌즈 (LE) 에 가공 찌꺼기가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고, 고정밀도로 가공할 수 있다. 연삭수는 기본적으로 각 가공 공정에서 항상 공급된다 (각 가공 공정으로 이행될 때에 일시적으로 연삭수의 공급을 정지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리고, 최종 가공 공정 (여기에서는 모따기가공) 의 종료 신호에 기초하여 연삭수의 공급이 정지된다.
한편, 노즐 (610) 로부터의 세정수의 공급은 조가공의 개시 신호가 있어도 개시되지 않고, 도 6a 와 같이 최종 가공 공정의 종료시 (종료 전후도 포함한다) 에 전자 밸브 (602) 가 개방되고, 일정 시간 (t1) (예를 들어, 5 초 정도) 만큼 일시적으로 세정수가 공급된다. 예를 들어, 최종 가공 공정의 진행 정도 (나머지의 가공량이 일정량이 되었을 때) 에 기초하여 세정수의 공급이 개시되고, 종료 신호에 기초하여 세정수의 공급이 정지된다.
플라스틱 렌즈 (LE) 의 경우, 숫돌 (162) 에 의해 가공실 (20) 내에 비산된 가공 찌꺼기는 분상으로서, 가공실 (20) 의 저면에 떨어진 분상의 가공 찌꺼기는 노즐 (600) 로부터의 연삭수에 녹아 흐르게 된다. 이 때문에, 노즐 (610) 로부터의 세정수의 공급이 없어도, 가공실 (20) 의 저부의 배수구 (22) 가 막히는 일 없이 가공 찌꺼기를 함유하는 배수가 배수관 (3a) 을 통하여 배출된다.
또한, 플라스틱 렌즈 (LE) 의 경우, 전체 가공 공정에 있어서 노즐 (610) 로부터의 세정수의 공급이 없어도 되지만, 가공실 (20) 의 내측벽 (21a) 의 청소용으로서 상기와 같이 렌즈 (LE) 의 가공 종료의 단계에서 세정수가 공급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또는, 최종 가공 공정의 종료 신호에 기초하여 세정수의 공급이 개시되고, 일정 시간 (t1) 후에 세정수의 공급이 정지되도록 해도 된다. 혹은, 각 가공 공정의 종료 신호 (다음의 가공 공정으로의 이행 신호) 에 기초하여 세정수의 공급이 개시되고, 일정 시간 (t1) 후에 세정수의 공급이 정지되도록 해도 된다. 즉, 전체 또는 각 가공 공정의 도중에 일시적으로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해도 된다.
상기와 같이, 플라스틱 렌즈 (LE) 의 가공에 있어서는, 노즐 (610) 로부터의 세정수의 공급이 정지 또는 짧은 시간만 일시적으로 공급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물의 사용량을 큰 폭으로 절약할 수 있다. 또, 가공 중에 원심 분리기 (650) 에 유입되는 배수의 양이 저감됨으로써 원심 분리기 (650) 에 의한 물과 가공 찌꺼기의 분리 효율 (여과 (탈수) 효율) 도 향상된다. 추가로, 하수도로 배출되는 배수의 양도 저감시킬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렌즈 가공>
렌즈 (LE) 의 재질로서 폴리카보네이트가 선택되면, 제어부 (50) 는 폴리카보네이트 렌즈 가공용 가공 제어 프로그램을 메모리 (51) 로부터 판독하여 가공을 개시한다. 플라스틱 렌즈와 동일한 가공 공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카보네이트의 렌즈 (LE) 에 있어서는, 렌즈 (LE) 의 가공시에 열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연삭수의 공급을 정지시켜 가공하는 제 1 단계와, 렌즈 (LE) 의 가공 부분의 탄 부분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하기 (윤기를 낸다) 위해 연삭수를 공급하여 가공하는 제 2 단계로 나누어 실시된다.
도 6b 와 같이, 렌즈 (LE) 의 전후 에지 위치 측정 후, 노즐 (600) 로부터의 연삭수의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 조가공 숫돌 (162a) 에 의한 조가공과, 마무리가공 숫돌 (162b) 에 의한 제 1 단계의 마무리가공과, 홈형성가공 숫돌 (224) 에 의한 제 1 단계의 홈형성가공과, 모따기가공 숫돌 (221a 및 221b) 에 의한 제 1 단계의 모따기가공이 실시된다. 이들 제 1 단계의 각 가공 공정에서는 각각 제 2 단계의 윤기 내기의 가공값을 남기고 가공이 실시된다. 제 1 단계의 최종 가공 공정 (여기서는 모따기가공) 이 종료되면, 계속해서 마무리가공 숫돌 (162b) 에 의한 제 2 단계의 마무리가공과, 홈형성가공 숫돌 (224) 에 의한 제 2 단계의 홈형성가공과, 모따기가공 숫돌 (221a 및 221b) 에 의한 제 2 단계의 모따기가공이 실시된다. 제 2 단계의 가공 공정에서는, 그 개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 (50) 에 의해 전자 밸브 (602) 가 개방되어, 노즐 (600) 로부터의 연삭수의 공급이 개시된다. 폴리카보네이트의 제 2 단계의 마무리가공에서는 연삭수가 공급됨으로써 렌즈 (LE) 의 가공 부분의 열을 낮출 수 있고, 윤기가 나도록 가공된다. 제 2 단계의 홈형성가공 및 제 2 단계의 모따기가공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연삭수가 공급됨으로써 윤기가 나도록 가공된다.
이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렌즈 (LE) 에 있어서는, 조가공 및 제 1 단계의 각 가공 공정에서는, 렌즈 (LE) 의 가공 부분의 온도가 높지 않으면 고정밀도로 가공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연삭수의 공급은 정지되어 있다. 한편, 폴리카보네이트 렌즈 (LE) 의 가공 찌꺼기는 플라스틱 렌즈 (LE) 의 가공 찌꺼기와는 상이하고, 가공실 (20) 의 내측벽 (21a) 등에 부착되어 덩어리가 되기 쉽고, 또, 가공 찌꺼기 의 덩어리가 가공실 (20) 의 저면에 퇴적되기 쉽다. 그대로 가공 찌꺼기의 덩어리가 배수구 (22) 에 퇴적되어 버리면, 배수구 (22) 가 막혀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조가공 개시부터 제 1 단계의 모따기가공 종료까지 (노즐 (600) 로부터의 연삭수의 공급이 정지되어 있는 동안), 노즐 (610) 로부터의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전자 밸브 (612) 의 개폐가 제어부 (50) 에 의해 제어된다. 그리고, 제 2 단계의 마무리가공이 개시되어 노즐 (600) 로부터의 연삭수가 공급되게 되면 노즐 (610) 로부터의 세정수의 공급이 정지된다. 제 2 단계의 각 가공 공정에 있어서는, 거의 가공 찌꺼기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가공 찌꺼기의 퇴적이나 배수구 (22) 가 막혀버리는 상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적어도 조가공에서는 세정수가 공급되지만, 제 1 단계의 각 가공 공정에 있어서도 가공 찌꺼기의 발생은 많지 않기 때문에, 이 단계로부터 세정수의 공급이 정지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세정수의 공급은 조가공의 종료 신호에 기초하여 정지되면 된다.
이와 같이 세정수의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물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또, 가공 장치 (1) 로부터의 배수의 양이 저감되기 때문에, 원심 분리기 (650) 에 의한 분리 효율 (여과 (탈수) 효율) 도 향상된다. 또한, 플라스틱 렌즈의 경우와 동일하게, 최종 가공 공정의 종료시 또는 종료 전후에 일정 시간 (t2) (예를 들어, 5 초 정도) 동안, 물의 사용량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로, 가공실 (20) 의 청소용으로 일시적으로 노즐 (610) 로부터의 세정수를 공급해도 된다.
또한, 트라이벡스는 폴리카보네이트와 동일하게 가공시에 열을 필요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카보네이트와 거의 동일한 가공 시퀀스이면 되는 재질이므로, 렌즈 (LE) 의 재질로서 트라이벡스가 선택된 경우에도, 폴리카보네이트가 선택된 경우와 동일하게 연삭수 및 세정수의 공급이 제어된다.
<아크릴 렌즈>
폴리카보네이트 렌즈가 선택된 경우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아크릴은 폴리카보네이트보다 융점이 낮기 때문에, 조가공시에 연삭수가 공급된다. 그 후에는 연삭수의 공급이 없는 제 1 단계의 마무리가공과, 제 1 단계의 홈형성가공과, 제 1 단계의 모따기가공이 실시된 후, 윤기를 내기 위해서 연삭수가 공급되는 제 2 단계의 마무리가공과, 제 2 단계의 홈형성가공과, 제 2 단계의 모따기가공이 실시된다. 세정수에 대해서는, 조가공시에 연삭수가 공급되고 있으므로 이 동안에는 세정수의 공급이 정지된다. 그리고, 연삭수의 공급이 없는 각 가공 공정에서는 비산된 가공 찌꺼기를 씻어내기 위해 세정수가 공급되고, 그 후의 연삭수의 공급이 있는 각 가공 공정에서는 세정수의 공급이 다시 정지된다.
<유리 렌즈>
렌즈 (LE) 의 재질로서 유리가 선택된 경우에는, 종래와 동일하게 기본적으로 조가공시 및 마무리가공시에 연삭수가 공급됨과 함께 세정수도 공급된다. 유리 렌즈의 가공인 경우, 숫돌 (162) 의 회전에 의해 유리 렌즈의 가공 찌꺼기는 유리편으로서 가공실 (20) 내에 비산된다. 세정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유리편 (가공 찌꺼기) 이 가공실 (20) 내에 비산되어 창 (6) 에도 부착되거나 한다. 이 때문에 유리 렌즈의 경우에는 종래와 동일하게 가공시에 연삭수 및 세정수의 양방이 항상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하여 각 가공 공정의 개시 신호 및 종료 신호에 기초하여, 연삭수 및 세정수의 공급의 ON/OFF 가 제어됨과 함께, 렌즈 (LE) 의 재질에 따라 연삭수 및 세정수의 공급 패턴이 변경됨으로써, 장치 (1) 에서 사용되는 물의 양이 저감된다. 이로써, 수도 비용이 저감됨과 함께, 배수의 하수도에 대한 배출량도 저감된다.
또, 렌즈 1 매당의 배수량이 저감되기 때문에, 배수에 함유되는 가공 찌꺼기의 밀도가 높아져, 원심 분리기 (650) 에 의한 물과 가공 찌꺼기와의 분리 효율 (여과 (탈수) 효율) 이 향상된다. 이로써, 하수도에 배출되는 배수에 함유되는 가공 찌꺼기가 저감된다.
이상에서는, 조가공 및 마무리가공에 더하여 홈형성가공 및 모따기가공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예를 설명했는데, 홈형성가공 및 모따기가공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마무리가공까지의 설정에서는 상기의 최종 가공 공정의 종료는 마무리가공의 종료로서 제어된다.
다음으로, 도 1 에 나타낸 장치 구성의 변용예를 도 7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 의 장치 구성은 물공급 기구를 순환식의 기구로 한 예이다. 또, 플라스틱 렌즈 (특히 고굴절 플라스틱 렌즈) 의 가공시에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 장치 (700) 가 부가되어 있다. 설명의 간편을 위해, 상기 서술한 요소는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가공 장치 (1) 의 가공실 (20) 에는 배기관 (701) 이 일방의 단부가 접속되 어 있고, 배기관 (701) 의 타방의 단부는 탈취 필터 (705) 및 배기팬 (707) 이 배치된 탈취실 (703) 에 접속되어 있다. 배기팬 (707) 이 회전됨으로써 배기관 (701) 을 통하여 가공실 (20) 내의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가 흡인된다. 그리고, 탈취 필터 (705) 에 의해 악취가 저감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또, 물처리 장치 (3) 에는 물탱크 (630) 가 배치되어 있고, 전자 밸브 (602) 대신에 흡인 펌프 (670) 가, 전자 밸브 (612) 대신에 흡인 펌프 (672)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흡인 펌프 (670) 에 의해 물탱크 (630) 내의 물이 튜브 (601) 를 통하여 노즐 (600) 에 공급된다. 또, 흡인 펌프 (672) 에 의해 물탱크 (630) 내의 물이 튜브 (611) 를 통하여 노즐 (610) 에 공급된다. 흡인 펌프 (670) 의 전원 케이블은 가공 장치 (1) 의 전원 아울렛 (62) 에 접속되어 있다. 또, 가공 장치 (1) 의 전원 아울렛 (63) 은 탈취 장치 (700) 의 전원 인렛 (710) 과 케이블로 접속되어 있다. 또, 흡인 펌프 (672) 의 전원 케이블은 탈취 장치 (700) 의 전원 아울렛 (714) 에 접속되어 있고, 전원 인렛 (710) 과 전원 아울렛 (714) 은 릴레이 스위치 (712) 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릴레이 스위치 (712) 에는 타이머 (716) 가 접속되어 있고, 가공 장치 (1) 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개시된 시점에서 타이머 (716) 가 작동된다. 타이머 (716) 에 의해 배기팬 (707) 이 구동되어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타이머 (716) 에 의해 배기팬 (707) 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 변용예에서는, 도 1 의 전자 밸브 (602 및 612) 대신에, 연삭수 공급 유닛을 구성하는 펌프 (670) 와, 세정수 공급 유닛을 구성하는 펌프 (672) 가 제어부 (50) 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의 연삭수 및/또는 세정수의 공급의 정지는, 물의 사용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로 근소하게 노즐 (600 및/또는 610) 로부터 분사시키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실시 양태에서는, 노즐 (610) 로부터의 세정수는 주로 가공실 (20) 의 내측벽 (21a) 를 세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가공실 (20) 의 저면을 세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안경 렌즈 가공 장치의 개략 외관도이다.
도 2 는 렌즈 가공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 은 모따기가공ㆍ홈형성가공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 는 물공급 기구 및 여과 기구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 는 물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가공 장치의 물처리 관련의 제어계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 는 플라스틱 렌즈, 폴리카보네이트 렌즈 및 아크릴 렌즈의 각각의 물공급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7 은 장치 구성의 변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안경 렌즈 가공 장치 102L, 102R 렌즈척
2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162 숫돌
20 가공실 50 제어부
600, 610 노즐 601, 611 튜브
602, 612 전자 밸브 670, 672 흡인 밸브

Claims (8)

  1. 안경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척과, 렌즈를 가공하는 조가공 숫돌 및 마무리가공 숫돌이 내부에 배치된 가공실과,
    그곳에서 분사된 연삭수가 숫돌에서 가공되는 렌즈의 가공점을 향하여 분사되는 제 1 노즐과, 연삭수를 수도관 또는 물탱크로부터 제 1 노즐에 공급하는 제 1 튜브와, 제 1 노즐로의 연삭수의 공급을 ON/OFF 하는 제 1 전환 유닛을 갖는 연삭수 공급 유닛과,
    그곳에서 분사된 세정수가 가공실 내에 비산된 렌즈의 가공 찌꺼기를 씻어내는 제 2 노즐과, 세정수를 수도관 또는 물탱크로부터 제 2 노즐에 공급하는 제 2 튜브와, 제 2 노즐로의 세정수의 공급을 ON/OFF 하는 제 2 전환 유닛을 갖는 세정수 공급 유닛과,
    렌즈의 재질의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렌즈 재질 선택 유닛과,
    렌즈의 재질의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및 제 2 전환 유닛의 각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갖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로서,
    제어 유닛은, 플라스틱의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전환 유닛을 제어하여 전체 가공 공정에서 연삭수의 공급을 ON 으로 하고, 또, 제 2 전환 유닛을 제어하여 전체 가공 공정에서 세정수의 공급을 OFF 로 하거나, 또는 전체 가공 공정의 시간에 비하여 짧은 시간 일시적으로 세정수의 공급을 ON 으로 하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전환 유닛은, 제 1 전자 밸브 또는 제 1 흡인 펌프인 안경 렌즈 가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전환 유닛은, 제 2 전자 밸브 또는 제 2 흡인 펌프인 안경 렌즈 가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플라스틱의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전환 유닛을 제어하여 전체 또는 각 가공 공정의 종료 후에 일시적으로 세정수의 공급을 ON 으로 하거나, 또는 전체 또는 각 가공 공정의 도중에 일시적으로 세정수의 공급을 ON 으로 하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트라이벡스의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전환 유닛을 제어하여 조가공 및 제 1 단계의 마무리가공에서는 연삭수의 공급을 OFF 로 하고 제 2 단계의 마무리가공에서는 연삭수의 공급을 ON 으로 하고, 또, 제 2 전환 유닛을 제어하여 조가공 또는 조가공 및 제 1 단계의 마무리가공에서는 세정수의 공급을 ON 으로 하고, 제 2 단계의 마무리가공에서는 세정수의 공급을 실질적으로 OFF 로 하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제 2 전환 유닛을 제어하여 제 2 단계의 마 무리가공의 종료 후 또는 종료 직전에 일시적으로 세정수의 공급을 ON 으로 하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아크릴의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전환 유닛을 제어하여 조가공에서는 연삭수의 공급을 ON 으로 하고 제 1 단계의 마무리가공에서는 연삭수의 공급을 OFF 로 하고 제 2 단계의 마무리가공에서는 연삭수의 공급을 ON 으로 하고, 또, 제 2 전환 유닛을 제어하여 조가공에서는 세정수의 공급을 OFF 로 하고 제 1 단계의 마무리가공에서는 세정수의 공급을 ON 으로 하고 제 2 단계의 마무리가공에서는 세정수의 공급을 실질적으로 OFF 로 하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제 2 전환 유닛을 제어하여 제 2 단계의 마무리가공의 종료 후 또는 종료 직전에 일시적으로 세정수의 공급을 ON 으로 하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
KR20080072815A 2007-08-03 2008-07-25 안경 렌즈 가공 장치 KR101488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03471 2007-08-03
JP2007203471A JP5057881B2 (ja) 2007-08-03 2007-08-03 眼鏡レンズ周縁加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098A true KR20090014098A (ko) 2009-02-06
KR101488530B1 KR101488530B1 (ko) 2015-01-30

Family

ID=40242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72815A KR101488530B1 (ko) 2007-08-03 2008-07-25 안경 렌즈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13912B2 (ko)
EP (1) EP2030730B1 (ko)
JP (1) JP5057881B2 (ko)
KR (1) KR1014885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410A (ko) * 2017-09-27 2019-04-04 주식회사 휴비츠 안경 렌즈 가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0672B2 (ja) * 2005-04-28 2009-07-08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周縁加工装置
JP5328195B2 (ja) * 2008-03-26 2013-10-30 株式会社トプコン レンズ研削加工装置の研削水処理方法及び装置
WO2010023941A1 (ja) * 2008-08-29 2010-03-04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レンズ加工管理システム
FR2949368B1 (fr) * 2009-08-28 2011-12-16 Essilor Int Dispositif et procede d'usinage de lentilles ophtalmiques
FR2949369B1 (fr) * 2009-08-28 2011-10-07 Essilor Int Dispositif d'usinage de lentilles ophtalmiques
US20130072088A1 (en) * 2010-10-04 2013-03-21 Schneider Gmbh & Co. Kg Apparatus and method for working an optical lens and also a transporting containing for optical lenses
JP5935407B2 (ja) * 2012-03-09 2016-06-15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装置
JP6051884B2 (ja) * 2012-05-31 2016-12-27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装置
CN108481115B (zh) * 2018-06-07 2023-11-17 长沙航空职业技术学院 一种磨床
JP7354615B2 (ja) * 2019-06-28 2023-10-03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装置
CN111774983A (zh) * 2020-06-19 2020-10-16 上饶市西中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粉尘收集功能的镜片边缘磨削装置
CN113560990B (zh) * 2021-06-29 2022-08-12 望江县天长光学仪器有限公司 一种光学镜片加工用辅助设备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3366B2 (ja) * 1992-01-31 2000-11-27 株式会社トプコン レンズ加工機
JP3011526B2 (ja) 1992-02-04 2000-02-21 株式会社ニデック レンズ周縁加工機及びレンズ周縁加工方法
JPH0929597A (ja) * 1995-07-17 1997-02-04 Topcon Corp レンズ周縁加工装置及びレンズ周縁加工方法
US5833523A (en) * 1996-09-03 1998-11-10 Hykes; Timothy W. Variable volume coolant system
JP3688449B2 (ja) * 1997-09-24 2005-08-31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研削装置及び眼鏡レンズ研削方法
DE19804542C5 (de) * 1998-02-05 2009-04-30 Wernicke & Co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arbeiten von Brillengläsern
US20040053654A1 (en) * 2000-07-25 2004-03-18 Hitoshi Kokumai Secret information record medium, secret information protection method, secret information protective storing method, and system for reporting emergency such as theft or confinement when secret information is accessed
JP3990106B2 (ja) * 2000-12-27 2007-10-10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装置
JP2002283236A (ja) * 2001-03-26 2002-10-03 Megane Drug Co Ltd プラスチックレンズ研削液配給システム
US20030008603A1 (en) * 2001-07-03 2003-01-09 Nidek Co., Ltd. Grinding water tank unit for use in processing eyeglass lens, device for separating processing debris, and eyeglass len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tank unit or device
JP4290395B2 (ja) * 2001-07-31 2009-07-01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の研削水タンク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眼鏡レンズ加工装置、並びに加工粕分離装置
JP3916445B2 (ja) * 2001-11-08 2007-05-16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装置
JP3920091B2 (ja) * 2001-12-26 2007-05-30 株式会社トプコン レンズ研削加工装置
JP4290672B2 (ja) * 2005-04-28 2009-07-08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周縁加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410A (ko) * 2017-09-27 2019-04-04 주식회사 휴비츠 안경 렌즈 가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30730A3 (en) 2013-07-10
EP2030730B1 (en) 2014-09-10
JP2009034798A (ja) 2009-02-19
KR101488530B1 (ko) 2015-01-30
JP5057881B2 (ja) 2012-10-24
US8113912B2 (en) 2012-02-14
EP2030730A2 (en) 2009-03-04
US20090036040A1 (en)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4098A (ko) 안경 렌즈 가공 장치
JP5111006B2 (ja) 眼鏡レンズ周縁加工装置
JP2009034798A5 (ko)
CN106239341A (zh) 五轴联动电解机械复合曲面抛光机
US6672948B2 (en) Grinding water tank apparatus, and eyeglass lens machi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401093B1 (ko) 안경렌즈 연마수의 재생장치
JP5328195B2 (ja) レンズ研削加工装置の研削水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4243452A (ja) レンズ研削加工システム
JP2002200559A (ja) 眼鏡レンズ加工装置
CN213795703U (zh) 一种具有收集废屑功能的磨边机
CN213351893U (zh) 一种具有集尘功能的机械加工用打磨装置
KR200233269Y1 (ko) 안경렌즈 연마수의 재생장치
KR102287904B1 (ko) 안경렌즈 연마가공용 절삭수 정수장치
CN218856624U (zh) 一种数控车床配件的自动生产装置
KR101809080B1 (ko) 안경 렌즈 가공 장치
JPH0790455B2 (ja) レンズの加工装置
CN218017664U (zh) 一种模具加工用磨床
CN220445922U (zh) 一种刀具加工用数控磨床冷却装置
CN218697024U (zh) 一种减少镜片跳动的望远镜目镜镜片精磨装置
CN213438940U (zh) 一种金属件加工用精密数控磨床
CN218254508U (zh) 一种具有除尘功能的管件加工用抛光装置
CN219945803U (zh) 一种磨边机吸尘装置
CN218533956U (zh) 一种用于铅酸电池加工的铅件修整机
CN213105929U (zh) 一种能够循环用水的耐火材料平面磨床
CN220806615U (zh) 一种便于清理的石材打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