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044A - 차양부착 절첩식 유모차 - Google Patents

차양부착 절첩식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044A
KR20090013044A KR1020080070536A KR20080070536A KR20090013044A KR 20090013044 A KR20090013044 A KR 20090013044A KR 1020080070536 A KR1020080070536 A KR 1020080070536A KR 20080070536 A KR20080070536 A KR 20080070536A KR 20090013044 A KR20090013044 A KR 20090013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baby carriage
sunshade
seat
fron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조우 카사이
이치로 오니시
Original Assignee
그라코 칠드런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라코 칠드런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그라코 칠드런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13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0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2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foldable widthw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4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to hold in the fold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6Arrangements for standing up in fold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과제
유모차 차체의 절첩 조작을 행하면, 차양도 자연스럽게 절첩되는 차양부착 절첩식 유모차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유모차(50)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하방부에 전륜(51)을 갖는 한 쌍의 앞다리(52)와, 그 하방 단부가 앞다리의 상방 단부에 회동축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압봉(57)과, 앞다리(52)에 대해 압봉(57)을 거의 직선형상으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유모차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열린상태 로크 수단(70)과, 압봉(57)의 상방 단부가 앞다리(52)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압봉을 전방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유모차의 절첩상태를 고정하는 닫힌상태 로크 수단(70)과, 폭방향의 양단이 한 쌍의 압봉(57)에 지지된 돔형상의 차양(80)을 구비한다. 차양(80)은, 압봉(57)에 고정하여 부착되는 지지 부재(85)와, 지지 부재(85)에 부착된 축부재와, 쥘부채의 사북모양으로 축부재에 의해 단부가 묶이고, 전개 각도가 가변이 되도록 구성된 차양대(81, 82, 83)를 구비한다.
유모차

Description

차양부착 절첩식 유모차{CANOPIED FOLDABLE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절첩식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돔형상의 차양을 구비한 차양부착 절첩식(折疊式)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과 동일한 출원인은, 일본 특공평7-12824호 공보에, 경량 타입의 유모차를 개시하였다. 이 유모차를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다.
도시한 유모차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각각의 하방부에 전륜(1, 2)을 갖는 한 쌍의 앞다리(3, 4)와, 각각의 하방부에 후륜(5, 6)을 갖는 한 쌍의 뒷다리(7, 8)와, 한 쌍의 좌석 지지봉(9, 10)과, 한 쌍의 좌석 적하봉(吊下棒)(11, 12)과, 한 쌍의 압봉(押棒)(13, 14)과, 유모차의 좌우의 각 측면의 사이를 연결하는 폭방향 연결 수단으로서의 앞다리 연결 부재(15)와, 마찬가지로 폭방향 연결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한 쌍의 교차봉(16, 17)과, 유모차의 열린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열린상태 로크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훅(18)과, 마찬가지로 열린상태 로크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한 쌍의 링크 봉(19, 20)을 구비하고 있다.
앞다리(3, 4)와 뒷다리(7, 8)는 서로 교차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그 교차부분에서 그들은 핀(21, 22)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좌석 지지봉(9, 10)의 전방부는, 핀(23, 24)을 통하여 뒷다리(7, 8)의 상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좌석 적하봉(11, 12)은, 그 하방부가 핀(25, 26)을 통하여 좌석 지지봉(9, 10)의 후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압봉(13, 14)의 하방부는, 핀(27, 28)을 통하여 앞다리(3, 4)의 상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봉(13, 14)과 좌석 적하봉(11, 12)은 서로 교차하여 있고, 그 교차부분에서, 그들은 핀(29, 30)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압봉(13, 14)의 상단부에는, 각각 유모차를 미는 사람이 잡아야 할 손잡이(38, 39)가 마련되어 있다.
앞다리 연결 부재(15)는, 그 양단이 각각 앞다리(3, 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또한 그 중앙 부분에서 화살표(A)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절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 쌍의 교차봉(16, 17)은, X자 형상으로 교차하여 있고, 그 교차부에서 그들은 핀(36)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쪽의 교차봉(16)은, 그 상단부가 우측면에 위치하는 압봉(1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좌측면에 위치하는 뒷다리(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른쪽의 교차봉(17)은, 그 상단부가 좌측면에 위치하는 압봉(1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우측면에 위치하는 뒷다리(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앞다리(3, 4)는, 각각 그 위를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된 앞다리 슬리브(31, 32)를 갖고 있다. 또한, 좌석 지지봉(9, 10)은, 각각, 그 위를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된 좌석 슬리브(33, 34)를 갖고 있다. 앞다리 슬리브(31, 32)와 좌석 슬리브(33, 34)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앞다리 슬리브(31, 32)는, 앞다리(3, 4)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받아들이고, 좌석 슬리브(33, 34)는, 좌석 지지봉(9, 10)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그리고, 앞다리 슬리브(31, 32)와 좌석 슬리브(33, 34)는, 핀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좌석 슬리브(33, 34)의 슬라이드 동작과, 앞다리 연결 부재(15)의 절곡 동작을 연동시키기 위해, 좌석 슬리브(33, 34)와 앞다리 연결 부재(15) 사이에는 돌장봉(突張棒)(40, 41)이 마련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유모차의 열린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 열린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훅(18)이 마련되어 있다. 훅(18)은, 핀(42)을 통하여 앞다리(4)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훅(18)은, 압봉(14)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계합 핀(37)에 계합함에 의해, 앞다리(4)에 대한 압봉(14)의 회동을 금지하고 있다. 유모차의 우측면에 위치하는 앞다리(3)와 압봉(13) 사이에도 같은 훅이 마련된다.
유모차를 절첩하고자 할 때에는, 우선 훅(18)을 회동시켜서 앞다리(3, 4)와 압봉(13, 14) 사이의 로크 상태를 해제한다. 또한, 한 쌍의 링크 봉(19, 20)의 연결 부분을 약간 상방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한 쌍의 교차봉(16, 17)의 로크 상태를 해제한다. 그 상태에서, 압봉(13, 14)을 전방을 향하여 민다. 그러면, 압봉(13, 14)은, 도 12에서 화살표(B)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28)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 압봉(13, 14)의 회동에 수반하여, 핀(25, 26)(좌석 지지봉(9, 10)과 좌석 적하봉(11, 12)의 연결점)은, 도 12에서 화살표(C)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좌석 지지봉(9 , 10)은, 좌석 슬리브(33, 34) 내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한다. 또한, 좌석 지지봉(9, 10)은, 도 12에서 화살표(D)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석 슬리브(33, 34)와 앞다리 슬리브(31, 32)의 연결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그 결과, 후륜(5, 6)은, 전륜(1, 2)을 향하여 이동한다.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유모차가 절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륜(1, 2)과 후륜(5, 6)은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유모차의 자립(自立)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환언하면, 각 앞다리(3, 4), 각 뒷다리(7, 8), 각 좌석 지지봉(9, 10), 각 좌석 적하봉(11, 12), 각 압봉(13, 14) 및 폭방향 연결 수단은, 상술한 동작을 달성하도록, 즉, 유모차가 절첩될 때에 후륜(5, 6)은 전륜(1, 2)을 향하여 이동하고, 유모차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후륜(5, 6)과 전륜(1, 2)이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여 해당 유모차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도록, 그 길이 및 연결 위치가 선택되어 있다.
일본 특공평7-12824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는, 심플한 구조이며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는 기본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만, 개선하여야 할 여지가 있다. 기본적으로는, 유모차의 열린상태는, 앞다리(4)의 상방 부분에 부착된 훅(18)을, 압봉(14)의 하방부분에 마련된 계합 핀(37)에 계지함에 의해 로크되어 있다.
유모차의 열린상태를 도시하는 도 12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훅(18) 및 계합 핀(37)은, 앞다리(4)와 압봉(14)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핀(28)보다도 하방에 위치하여 있다. 그 때문에, 도 13에 도시하는 유모차의 절첩상태에서는, 전방으로 절곡된 압봉(14)의 하단부는, 앞다리(4)의 상단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하여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압봉(14)의 하단부의 돌출은, 절첩상태의 유모차의 높이를 높게 하여 버린다.
또한, 유모차를 도 13에 도시하는 절첩상태로부터 도 12에 도시하는 열린상태로 이행시킬 때, 압봉(14)의 하단부와 앞다리(4)의 상단부가 간극을 작게 하도록 점차로 근접하여 가기 때문에, 압봉(14)과 앞다리(4) 사이의 손가락 낌의 문제나, 의복을 끼워넣어 버린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경량 타입의 절첩식 유모차에는, 개선하여야 할 여지가 있다.
현재 시장에 제공되고 있는 많은 유모차는, 차양(幌)을 구비하고 있다. 차양은, 차양 기능, 비막이 기능, 바람막이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데, 그것에 더하여 좌석 내의 밝기를 조정하는 기능도 겸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는데는, 큰 공간을 덮을 수 있는 돔형상 형태의 차양이 바람직하다.
돔형상 차양을 구비한 유모차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2-187554호 공보나 일본 특개2004-27687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공평7-12824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2-187554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2004-276874호 공보
돔형상의 차양을 구비한 절첩식 유모차인 경우, 유모차를 절첩하고자 할 때에는, 우선 차양의 전개(展開) 각도가 작아지도록 차양을 개고, 그 후에 유모차 차체의 절첩 조작을 행한다. 이와 같이 우선 차양의 절첩 조작을 행하고, 그 후에 유모차 차체의 절첩 조작을 행한다는 것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번잡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모차 차체의 절첩 조작을 행하면, 차양도 자연스럽게 절첩되는 차양부착 절첩식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차양을 구비하면서 심플한 구조로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절첩상태에서의 유모차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또한 손가락 낌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는 차양부착 절첩식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절첩 동작시에 후륜이 전륜을 향하여 이동하고, 절첩상태에서는 후륜과 전륜이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여 해당 유모차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는 유모차를 전제로 한다.
유모차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하방부에 전륜을 갖는 한 쌍의 앞다리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하방부에 후륜을 가지며, 또한 앞다리에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그 교차부분에서 핀을 통하여 앞다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뒷다리와,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전방부가 뒷다리의 상방부에 회동 가능하 게 연결되는 한 쌍의 좌석 지지봉과,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하방부가 좌석 지지봉의 후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좌석 적하봉과, 좌석 적하봉에 교차하여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하방 단부가 앞다리의 상방 단부에 회동축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좌석 적하봉에 그들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압봉과, 각 앞다리, 각 뒷다리, 각 좌석 지지봉, 각 좌석 적하봉 및 각 압봉으로 각각 구성된 해당 유모차의 좌우의 각 측면의 사이를 연결하는 폭방향 연결 수단과, 앞다리에 대해 압봉을 거의 직선형상으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앞다리에 대한 압봉의 회동을 금지함에 의해 해당 유모차의 열린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열린상태 로크 수단과, 압봉의 상방 단부가 앞다리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압봉을 전방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앞다리에 대한 압봉의 회동을 금지함에 의해 해당 유모차의 절첩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닫힌상태 로크 수단과, 폭방향의 양단이, 한 쌍의 압봉에 지지된 돔형상의 차양을 구비한다.
차양은, 압봉에 고정하여 부착되는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에 부착된 축부재와, 쥘부채의 사북모양으로, 축부재에 의해 단부가 묶이고, 전개 각도가 가변이 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2개의 차양대(幌骨)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차양을 열린상태 그대로에서 압봉을 전방으로 회동시켜서 유모차 차체의 절첩 조작을 행하면, 차체의 절첩 동작의 도중에서 차양의 전방단 부분이 앞다리에 맞닿고, 그 후, 이 차양은, 앞다리와 압봉에 끼워져서 차양의 전개 각도가 작아지도록 절첩된다. 따라서 유모차 차체의 절첩 조작을 행하면, 차양도 자연스럽게 절첩되도록 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있어서 편리한 것 으로 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열린상태 로크 수단 및 닫힌상태 로크 수단은, 공통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개폐상태 로크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개폐상태 로크 수단은, 앞다리의 상방 단부상에 위치하고,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에 따라 마련된 앞다리측 계합 오목부와, 압봉의 하방 단부상에 위치하고,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에 따라 마련된 압봉측 계합 오목부와, 앞다리측 계합 오목부 및 압봉측 계합 오목부에 계합하는 계합 볼록부를 가지며, 회동축에 따르는 제 1의 위치와 제 2의 위치 사이를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 1의 위치에서는 앞다리측 계합 오목부 및 압봉측 계합 오목부의 양자에 계합하여 앞다리에 대한 압봉의 회동을 금지하고, 제 2의 위치에서는 앞다리측 계합 오목부 및 압봉측 계합 오목부중의 한쪽에만 계합하여 앞다리에 대한 압봉의 회동을 허용하는 로크 부재와, 로크 부재를 제 1의 위치로 가져오도록 가세하는 가세 부재와, 로크 부재를 가세 부재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제 2의 위치까지 움직이기 위한 누름부재를 갖는다.
상기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앞다리와 압봉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개폐상태 로크 수단을 구성하는 각 요소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모차의 절첩상태에서 압봉의 하방단이 앞다리의 상방단보다도 돌출하는 일이 없고, 절첩상태에서의 유모차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압봉의 하단부와 앞다리의 상단부는, 유모차의 열린상태 및 절첩상태의 양 상태에서 항상 접촉하고 있고 떨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손가락 낌의 문제나 의복 끼여짐의 문제 등이 생기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로크 부재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치차형상을 가지며, 앞다리측 계합 오목부 및 압봉측 계합 오목부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치차형상의 오목부를 갖고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차양은, 축부재에 대해 그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둘레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 부재에 조립되는 브래킷과, 브래킷을 지지 부재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탄발(彈發) 가세하는 탄발 부재를 구비한다. 브래킷과 지지 부재의 조립부에서의 서로의 대향면에 계탈 자유롭게 감합하는 요철부를 형성한다. 차양대의 1개는 브래킷에 고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요철부의 형상은, 경사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는 사면(斜面)을 교대로 배열한 물결형상으로 형성되고, 브래킷이 회동함에 의해 브래킷의 볼록부가, 탄발 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지지 부재측의 볼록부를 순차적으로 타고넘어 그 오목부에 계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차체의 기본적인 구성 및 절첩 기구 등은, 일본 특공평7-12824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와 실질적으로 같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유모차 차체가, 일본 특공평7-12824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와 상위하는 것은, 유모차의 개폐상태 로크 수단의 구성에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유모차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열린상태 로크 수단과, 유모차의 절첩상태를 고정하는 로크 수단이 공통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개폐상태 로크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이들의 로크 수단을 공통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개소에 떼어서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유모차 차체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유모차(50)는, 절첩 동작시에 후륜(53)이 전륜(51)을 향하여 이동하고, 절첩상태에서는 후륜(53)과 전륜(51)이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여 해당 유모차(50)의 자립을 가능하게 한다.
유모차(50)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하방부에 전륜(51)을 갖는 한 쌍의 앞다리(52)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하방부에 후륜(53)을 가지며, 또한 앞다리(52)에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그 교차부분에서 핀을 통하여 앞다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뒷다리(54)와,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전방부가 뒷다리(54)의 상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좌석 지지봉(55)과,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하방부가 좌석 지지봉(55)의 후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좌석 적하봉(56)과, 좌석 적하봉(56)에 교차하여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하방 단부가 앞다리(52)의 상방 단부에 회동축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좌석 적하봉(56)에 그들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압봉(57)과, 각 앞다리(52), 각 뒷다리(54), 각 좌석 지지봉(55), 각 좌석 적하봉(56) 및 각 압봉(57)으로 각각 구성된 해당 유모차의 좌우의 각 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폭방향 연결 수단과, 앞다리(52)에 대한 압봉(57)의 회동을 금지함에 의해 해당 유모차의 열린상태 및 닫힌상태(절첩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개폐상태 로크 수단(70)과, 폭방향의 양단이 한 쌍의 압봉(57)에 지지된 돔형상의 차양(80)을 구비한다.
도시한 실시 형태의 특징은, 개폐상태 로크 수단(70)의 구성 및 돔형상의 차양(80)에 있다. 이 개폐상태 로크 수단(70) 및 돔형상 차양(80)에 관해서는, 후에,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여기서는 특징적인 개폐상태 로크 수단(70)을 구비함에 의해,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되어 있는 것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개폐상태 로크 수단(70)은, 앞다리(52)와 압봉(57)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각 구성 요소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하는 유모차의 절첩상태에서 압봉(57)의 하방단이 앞다리(52)의 상방단보다도 위로 돌출한 일이 없고, 절첩상태에서의 유모차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압봉(57)의 하단부와 앞다리(52)의 상단부는, 유모차의 열린상태 및 절첩상태의 양 상태에서 항상 접촉하고 있고 떨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손가락 낌의 문제나, 의복 끼여짐의 문제 등이 생기지 않는다.
도 3은, 개폐상태 로크 수단(70)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 3에서는, 앞다리(52)와 압봉(57)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축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개폐상태 로크 수단(70)은, 앞다리(52)에 대한 압봉(57)의 회동을 금지함에 의해, 도 1에 도시하는 유모차(50)의 열린상태 및 도 2에 도시하는 유모차(50)의 닫힌상태를 로크한다.
개폐상태 로크 수단(70)은, 앞다리측 계합 오목부(71)와, 압봉측 계합 오목 부(72)와, 로크 부재(73)와, 가세 부재(74)와, 누름 부재(75)를 구비한다. 앞다리측 계합 오목부(71)는, 앞다리(52)의 상방 단부상에 위치하고,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에 따라 복수 마련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앞다리측 계합 오목부(71)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치차형상의 오목부의 형태를 갖고 있다. 압봉측 계합 오목부(72)는, 압봉(57)의 하방 단부상에 위치하고,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에 따라 복수 마련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압봉측 계합 오목부(72)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치차형상의 오목부의 형태를 갖고 있다.
로크 부재(73)는, 앞다리측 계합 오목부(71) 및 압봉측 계합 오목부(72)에 계합하는 계합 볼록부를 가지며, 회동축에 따르는 제 1의 위치(도 3의 (a))와, 제 2의 위치(도 3의 (c)) 사이를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부재(73)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을 받아들이는 중심구멍(76)을 중심으로 하는 치차형상을 갖고 있다. 도 3의 (a)에 도시하는 제 1의 위치에서는, 로크 부재(73)는, 앞다리측 계합 오목부(71) 및 압봉측 계합 오목부(72)의 양자에 계합하여 앞다리(52)에 대한 압봉(57)의 회동을 금지한다. 한편, 도 3의 (c)에 도시하는 제 2의 위치에서는, 로크 부재(73)는, 앞다리측 계합 오목부(71) 및 압봉측 계합 오목부(72)중의 한쪽에만 계합하여 앞다리(52)에 대한 압봉(57)의 회동을 허용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부재(73)는, 제 2의 위치에 있을 때, 앞다리측 계합 오목부(71)에만 계합하고 , 압봉측 계합 오목부(72)에는 계합하지 않는다.
가세 부재(74)는,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링이고, 로크 부재(73)를 제 1의 위치(도 3의 (a)에 도시하는 위치)로 가져오도록 가세하고 있다. 누름 부재(75)는, 가세 부재(74)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로크 부재(73)를 제 2의 위치(도 3의 (c)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움직여서, 앞다리(52)에 대해 압봉(57)을 회동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누름 부재(75)가 불의 또는 부주의에 의해 눌려 유모차의 열린상태 또는 절첩상태의 로크가 해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누름 부재(75)의 압입 조작을 금지하는 스토퍼(77)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하는 누름 부재(75)는, 회동축을 둘러싸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또한 압봉(52)의 하방 단부에 형성된 관통구멍 내에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토퍼(77)는, 누름 부재(75)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위치(도 3의 (a)에 도시하는 위치)와, 외주면 내로 후퇴하는 위치(도 3의 (b) 및 (c)에 도시하는 위치) 사이를 변위할 수 있도록 누름 부재(75)에 지지되어 있다. 스토퍼(77)는, 스프링(78)에 의해, 항상 돌출 위치로 가져오게 되도록 가세되어 있다.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77)가 돌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스토퍼(77)가 압봉(57)의 외벽면에 맞닿아서, 누름 부재(75)의 압입 동작을 금지한다. 한편, 도 3의 (b) 및 도 3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78)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스토퍼(77)를 압입하여 누름 부재(75)의 외주면 내까지 후퇴시키면, 누름 부재(75)의 압입 조작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토퍼(77)를 마련함에 의해, 유모차(50)의 열린상태 및 닫힌상태에 대해 2중 로크가 가능해진다. 즉, 유모차(50)의 열린상태 또는 닫힌상 태의 로크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우선 스토퍼(77)를 압하하고, 또한 누름 부재(75)를 압입한다는 2개의 조작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안전상 바람직한 것이 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77)의 압하 방향과, 누름 부재(75)의 압입 방향이 90도로 교차한 관계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불의에, 또는 부주의로 2개의 요소를 누른다는 것은 생길 수 없고, 안전상 보다 바람직한 것이 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앞다리측 계합 오목부(71) 및 압봉측 계합 오목부(72)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복수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유모차의 열린상태 및 닫힌상태의 양 상태의 로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부재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치차형상을 갖는 것이었지만, 다른 실시 형태로서,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위치하는 봉형상 핀의 형태의 로크 부재라도 좋다. 이 경우, 유모차의 열린상태 및 닫힌상태의 2상태에서의 로크를 실현하기 위해, 앞다리의 상방 단부 및 압봉의 하방 단부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로크 핀의 선단을 받아들이기 위한 계합 오목부를 회동축의 원주상에 2개소 마련한다. 다른쪽에는, 스프링에 의해 가세된 로크 핀과, 이 로크 핀의 베이스부(基部)를 받아들이는 계합 오목부를 1개만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특징인 개폐상태 로크 수단(70)과는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바람직한 구조적 특징으로서, 좌면의 높이가 종래의 유모차보다도 높은 것을 들 수 있다. 유모차의 좌면의 높이가 낮으면, 노면으로부터의 반사열의 영향이나, 노면. 부근에 부유하는 먼지의 영향이 유모차상의 유소아(乳幼兒)에게 미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는, 좌면의 높이를 종래의 유모차보다도 높은 50㎝ 정도로 하여, 노면으로부터의 반사열의 영향이나, 먼지의 영향이 유소아에게 미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좌면의 높이를 50㎝ 정도로 하면, 유아의 눈과 부모의 눈과의 간격이 보다 가까워지기 때문에, 서로의 눈을 통한 애정의 교환을 하기 쉽게 된다.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유모차 차체의 절첩 조작에 추종하여, 돔형상의 차양(80)이 자연스럽게 절첩되도록 하기 위해, 돔형상의 차양(80)의 폭방향의 양단을 한 쌍의 압봉(57)에 연결한 점에 있다. 압봉(57)은, 유모차 차체의 절첩 조작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하고, 절첩상태에서는 압봉(57)의 상방 단부가 앞다리(52)에 근접한 위치에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양(80)은, 압봉(57)에 고정하여 부착되는 지지 부재(85)와, 지지 부재(85)에 고정하여 부착된 축부재(87)(도 5)와, 쥘부채(扇)의 사북(要)과 같이 축부재에 의해 묶이고, 전개 각도가 가변이 되도록 구성된 3개의 차양대(幌骨)(81, 82, 83)와, 이들의 차양대(81, 82, 83)의 위에 펼쳐진 차양포(幌布)(84)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의 양자를 참조하면 분명한 바와 같이, 차양(80)을 열린상태 그대로에서 압봉(57)을 전방으로 회동시켜서 유모차 차체의 절첩 조작을 행하면, 차체의 절첩 동작의 도중에서 차양(80)의 전방단 부분이 앞다리(52)에 맞닿고, 그 후, 이 차양(80)은, 앞다리(52)와 압봉(57)에 끼워져서 차양의 전개 각도가 작아지도록 절첩된다. 따라서, 유모차 차체의 절첩 조작을 행하면, 차양(80)도 자연스럽게 절첩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있어서 편리한 것이 된다. 유모차를 절첩상 태로부터 열린상태로 이행시키는 경우에는, 우선 압봉(57)을 후방에 회동시키고, 앞다리(52)에 대해 압봉(57)을 거의 직선형상으로 정렬시킨 상태로 하여 로크하고, 그 후 차양(80)을 연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유모차의 절첩시에는, 유모차 차체의 절첩 조작만을 행하면 좋지만, 열린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차체의 열린상태로의 이행 조작 및 차양의 여는 조작을 행하는 것이 된다.
돔형상의 차양(80)은, 전개 각도가 가변이라면, 어떤 구조의 것이라도 좋다. 도 5 내지 도 10은, 차양(80)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각 차양대의 사북모양 부분의 상세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차양(80)은 3개의 차양대(81, 82, 83)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차양대(81, 82, 83)는 쥘부채의 뼈대와 같이 열리거나 닫히거나 가능하고, 가장 열린 상태에서는 차양포(84)가 느슨함 없이 펼쳐진다. 또한, 차양 전체가, 압봉(57)에 고정하여 부착된 지지 부재(85)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차양대(81, 82, 83)는, 지지 부재(85)에 축부재(87)를 통하여 축지(軸支)되어 있다. 즉, 축부재(87)는, 지지 부재(85)와 함께 각 차양대(81, 82, 83)의 단부를 관통해 정확하게 쥘부채의 사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85)는, 유모차의 압봉(57)의 하방부분에 고정하여 부착된다. 지지 부재(85)의 상부는, 축부재(87)가 관통한 사북모양부(89)로 형성되어 있다. 사북모양부(89)의 한쪽의 단면(端面)에는, 도 6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재(87)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이른바 「톱니모양 형상」의 요철부(9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재(87)가 관통한 부분에는 보스부(91)가 형성되어 있 다.
사북모양부(89)의 요철부(90) 및 보스부(91)가 형성되는 측의 단면에는, 이 형상에 감합하는 단면을 갖는 브래킷(92)이 조립되어 있다. 이 브래킷(92)에는 차양대(81)가 끼워져서, 차양대(81)와 브래킷(92)은 일체적으로 동작하도록 서로 고정되어 있다. 축부재(87)의 한쪽 단부와 차양대(81)의 단부 사이에는 축부재(87)를 삽통시켜서 코일 스프링(93)이 압축 상태로 끼워져 있다. 코일 스프링(93)의 일단은 와셔(94)로 지지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93)의 탄발(彈發) 가세력은 항상 차양대(81)를 통하여 브래킷(92)을 지지 부재(85)에 가압하고 있다. 브래킷(92)의 단면에는, 지지 부재(85)에 형성된 요철부(90)에 맞물리기 위해, 이것과 동일한 요철부(95)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요철부(90, 95)에 관해 더욱 상세히 기술하면, 요철을 형성하는 각 사면(斜面)은, 서로 경사 방향의 균배가 반대가 되는 평탄면을 교대로 인접시켜서 배열하고, 산형상(山狀)의 볼록부와 골자기형상(谷狀)의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사면이 교차하는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120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브래킷(92) 또는 차양대(81)를 축부재(87)의 주위에 둘레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브래킷(92)측의 볼록부가 지지 부재(85)측의 볼록부를 순차적으로 타고넘어 다음의 오목부에 끼워진다. 이 때, 브래킷(92)은 코일 스프링(93)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축부재(87)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대측의 산형상 볼록부를 순차적으로 타고넘는다.
차양대(82, 83)는 각각 지지 부재(85)에 대해 차양대(81)의 반대측에 마련되고, 각 차양대(82, 83)는, 그 단부에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차양 대 커버(96, 97)에 의해 덮여 있다. 축부재(87)의 단부는 차양대 커버(97)의 단면에 맞닿아서 전술한 코일 스프링(93)의 탄발력에 의해 항상 지지 부재(85)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로써 차양대 커버(96)에 각각 꽉 눌리기 때문에 각각의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생긴다. 차양대(82, 83)는 이 마찰력에 의해 임의의 회동 위치 또는 전개 위치에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유모차용 차양은, 우선 차양대(81)가 지지 부재(85)에 대해 어떤 회동 위치에 있어도 요철부(90와 95)의 계합에 의해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차양대(82, 83)도, 차양포(84)가 펴질수 있는 범위 내에서, 차양대(81)에 대해 어떤 위치에서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양 전체로서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고, 유모차의 전방 위치 또는 후방 위치 또한 중간 위치의 어느 위치에서도 이 차양을 세트할 수 있다. 그리고 차양이 열리는 각도도 활짝 연 상태로부터 완전히 닫힌 상태까지 소망하는 어떤 전개 각도로도 세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차양대를 3개로 하였지만, 예를 들면 차양대(82) 또는 차양대(83)를 제거하여 차양대를 2개로 한 구성이라도 본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요철부(90 및 95)에 관해서는, 지지 부재(85) 및 브래킷(92)의 원주 방향에 따라 연속하여 형성하였지만, 소정의 간격마다 배치 형성하여도 좋다.
이상,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한 것 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심플한 구조로 경량화를 도모한 차양부착 절첩식 유모차에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유모차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유모차의 절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개폐상태 로크 수단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a)는 유모차의 열린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로크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b)는 누름부재의 압입 조작이 가능한 상태를 도시하고, (c)는 압봉의 회동 조작이 가능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로크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각 차양대의 사북모양 부분의 상세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측면도.
도 6은 차양의 지지 부재의 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차양의 브래킷의 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브래킷의 종단면도.
도 9는 차양대 커버의 측면도.
도 10은 차양대 커버의 종단면도.
도 11은 일본 특공평7-12824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의 사시도.
도 12는 일본 특공평7-12824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의 측면도.
도 13은 일본 특공평7-12824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의 절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전륜 3, 4 : 앞다리
5, 6 : 후륜 7, 8 : 뒷다리
9, 10 : 좌석 지지봉 11, 12 : 좌석 적하봉
13, 14 : 압봉 15 : 앞다리 연결 부재
16, 17 : 교차봉 18 : 훅
19, 20 : 링크 봉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핀
31, 32 : 앞다리 슬리브 33, 34 : 좌석 슬리브
36 : 핀 37 : 계합 핀
38, 39 : 손잡이 42 : 핀
50 : 유모차 51 : 전륜
52 : 앞다리 53 : 후륜
54 : 뒷다리 55 : 좌석 지지봉
56 : 좌석 적하봉 57 : 압봉
70 : 개폐상태 로크 수단 71 : 앞다리측 계합 오목부
72 : 압봉측 계합 오목부 73 : 로크 부재
74 : 스프링 75 : 누름 부재
76 : 중심구멍 77 : 스토퍼
78 : 스프링 80 : 차양
81, 82, 83 : 차양대 84 : 차양포
85 : 지지 부재 87 : 축부재
89 : 사북모양부 90 : 요철부
91 : 보스부 92 : 브래킷
93 : 코일 스프링 94 : 와셔
95 : 요철부 96, 97 : 차양대 커버

Claims (5)

  1. 절첩 동작시에 후륜이 전륜을 향하여 이동하고, 절첩상태에서는 후륜과 전륜이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여 해당 유모차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하방부에 전륜을 갖는 한 쌍의 앞다리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하방부에 후륜을 가지며, 또한 상기 앞다리에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그 교차부분에서 핀을 통하여 상기 앞다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뒷다리와,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전방부가 상기 뒷다리의 상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좌석 지지봉과,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하방부가 상기 좌석 지지봉의 후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좌석 적하봉과,
    상기 좌석 적하봉에 교차하여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하방 단부가 상기 앞다리의 상방 단부에 회동축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좌석 적하봉에 그들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압봉과,
    상기 각 앞다리, 각 뒷다리, 각 좌석 지지봉, 각 좌석 적하봉 및 각 압봉으로 각각 구성된 해당 유모차의 좌우의 각 측면의 사이를 연결하는 폭방향 연결 수단과,
    상기 앞다리에 대해 상기 압봉을 거의 직선형상으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 기 앞다리에 대한 상기 압봉의 회동을 금지함에 의해 해당 유모차의 열린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열린상태 로크 수단과,
    상기 압봉의 상방 단부가 상기 앞다리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상기 압봉을 전방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앞다리에 대한 상기 압봉의 회동을 금지함에 의해 해당 유모차의 절첩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닫힌 상태 로크 수단과,
    폭방향의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압봉에 지지된 돔형상의 차양을 구비하고,
    상기 차양은,
    상기 압봉에 고정하여 부착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부착된 축부재와,
    쥘부채의 사북모양으로, 상기 축부재에 의해 단부가 묶이고, 전개 각도가 가변이 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2개의 차양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부착 절첩식 유모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린상태 로크 수단 및 상기 닫힌상태 로크 수단은, 공통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개폐상태 로크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것이고,
    상기 개폐상태 로크 수단은, 상기 앞다리의 상방 단부상에 위치하고,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에 따라 마련된 앞다리측 계합 오목부와,
    상기 압봉의 하방 단부상에 위치하고,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에 따라 마련된 압봉측 계합 오목부와,
    상기 앞다리측 계합 오목부 및 상기 압봉측 계합 오목부에 계합하는 계합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회동축에 따르는 제 1의 위치와 제 2의 위치 사이를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 1의 위치에서는 상기 앞다리측 계합 오목부 및 상기 압봉측 계합 오목부의 양자에 계합하여 상기 앞다리에 대한 상기 압봉의 회동을 금지하고, 상기 제 2의 위치에서는 상기 앞다리측 계합 오목부 및 상기 압봉측 계합 오목부중의 한쪽에만 계합하여 상기 앞다리에 대한 상기 압봉의 회동을 허용하는 로크 부재와,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제 1의 위치에 가져오도록 가세하는 가세 부재와,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가세 부재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제 2의 위치까지 움직이기 위한 누름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부착 절첩식 유모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치차형상을 가지며,
    상기 앞다리측 계합 오목부 및 상기 압봉측 계합 오목부는,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치차형상의 오목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부착 절첩식 유모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은, 상기 축부재에 대해 그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둘레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지지 부재에 조립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을 상기 지지 부재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탄발 가세하는 탄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과 지지 부재와의 조립부에서의 서로의 대향면에 계탈 자유롭게 감합되는 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차양대의 1개가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부착 절첩식 유모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의 형상은, 경사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는 사면을 교대로 배열한 물결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이 회동함에 의해 브래킷의 볼록부가, 상기 탄발 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지지 부재측의 볼록부를 순차적으로 타고넘어 그 오목부에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부착 절첩식 유모차.
KR1020080070536A 2007-07-31 2008-07-21 차양부착 절첩식 유모차 KR200900130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99497A JP2009035066A (ja) 2007-07-31 2007-07-31 幌付折畳式乳母車
JPJP-P-2007-00199497 2007-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044A true KR20090013044A (ko) 2009-02-04

Family

ID=39846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536A KR20090013044A (ko) 2007-07-31 2008-07-21 차양부착 절첩식 유모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90033065A1 (ko)
EP (1) EP2020359B1 (ko)
JP (1) JP2009035066A (ko)
KR (1) KR20090013044A (ko)
CN (1) CN101357645A (ko)
DE (1) DE602008000619D1 (ko)
ES (1) ES2340442T3 (ko)
TW (1) TW2009325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5423B2 (en) 2011-11-09 2016-11-29 Thorley Industries Llc Lightweight collapsible stroller
CN101898577B (zh) * 2010-07-27 2012-05-16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车辆
CN201961358U (zh) * 2010-09-08 2011-09-07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一种可收折的婴儿车骨架结构
ES2630308T3 (es) * 2011-11-01 2017-08-21 Combi Corporation Silla de bebé plegable
US8985617B2 (en) 2011-11-09 2015-03-24 Thorley Industries Llc Lightweight collapsible stroller
EP2760725A4 (en) 2011-11-09 2016-04-13 Thorley Ind Llc LIGHT FOLDING STROLLER
JP6026118B2 (ja) * 2012-03-16 2016-11-16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US9199658B2 (en) * 2012-06-22 2015-12-01 Khai Gan Chuah Baby stroller folding mechanism
JP6017244B2 (ja) * 2012-09-26 2016-10-26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用の幌及び乳母車
US9315205B2 (en) * 2014-09-18 2016-04-19 Khai Gan Chuah Folding mechanism of baby stroller
CN105460065B (zh) * 2015-12-11 2018-01-09 上海童歌母婴用品有限公司 一种一步收合到位的婴儿车
NL2021678B1 (en) * 2018-09-20 2020-05-07 Mutsy Bv Child seat and device for transporting a child comprising the same
KR102297086B1 (ko) * 2020-05-20 2021-09-02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KR102415226B1 (ko) 2021-11-15 2022-06-29 최예진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2653Y (es) * 1974-01-25 1976-04-01 Perego-Pines, S.P.A. Cochecito para ninos.
JPS54102862U (ko) * 1977-12-29 1979-07-19
US4616844A (en) * 1983-07-15 1986-10-14 Aprica Kassai Kabushikikaisha Mechanism for locking opened state of baby carriage
JPS61139555A (ja) * 1984-12-12 1986-06-26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用幌
JPH0712824B2 (ja) * 1986-03-28 1995-02-15 アツ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
US5454584A (en) * 1993-04-20 1995-10-0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ollapsable stroller
US5687985A (en) * 1994-11-04 1997-11-18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reclining and canopy tensioning mechanisms thereof
US6099022A (en) * 1998-02-09 2000-08-08 Pring; Dara Convertible multi-function stroller
JP2000159121A (ja) * 1998-11-26 2000-06-13 Aprica Kassai Inc 乳母車
GB2366254B (en) * 2000-08-25 2002-09-25 Yinka Davies Child-vehicle pusher's raincover
JP4489927B2 (ja) 2000-10-11 2010-06-23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乳母車用の幌
US6629801B2 (en) * 2001-10-18 2003-10-07 Pao-Hsien Cheng Position adjusting device for a stroller handle
JP2004276874A (ja) 2003-03-19 2004-10-07 Aprica Kassai Inc 幌を備えた乳母車
US20060131841A1 (en) * 2004-12-16 2006-06-22 Huang Mien C Frame structure for baby stroller with detachable infant carrier
PT1764281E (pt) * 2005-09-17 2011-03-03 Link Treasure Ltd Estrutura de carrinho de bebé com mecanismo de mudança de direcção do assen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57645A (zh) 2009-02-04
ES2340442T3 (es) 2010-06-02
US20090033065A1 (en) 2009-02-05
EP2020359A1 (en) 2009-02-04
TW200932593A (en) 2009-08-01
JP2009035066A (ja) 2009-02-19
DE602008000619D1 (de) 2010-03-25
EP2020359B1 (en)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3044A (ko) 차양부착 절첩식 유모차
US8696015B2 (en) Stroller
JP5028166B2 (ja) 乳母車
JP4416881B2 (ja) ベビーカーの折畳み操作装置
JP6753576B2 (ja) 折り畳み式椅子
KR880003567Y1 (ko) 유모차
CA1153034A (en) Baby carriage
JP4937473B2 (ja) ベビーカーの折り畳み操作装置
NL1009718C2 (nl) Wandelwagen.
US6692015B2 (en) Stroller with folding frame and retractable handlebar
EP1847439B1 (en) Foldable stroller
JP7446749B2 (ja) プレイヤード
AU2008100321A4 (en) A device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folded and unfolded positions of an infant pushchair
KR20230054824A (ko) 접이식 유모차 왜건
JP4841879B2 (ja) ベビーカー
CA2486747A1 (en) Folding push chair
JP4738919B2 (ja) ベビーカー
KR20060054073A (ko) 유모차 및 그 차양
JP2000159121A (ja) 乳母車
JP4549712B2 (ja) ベビーカーのハンドルロック連動装置
JP5220895B2 (ja) ベビーカー
KR101923732B1 (ko) 접이식 왜건
GB2430181A (en) Foldable stroller
JP4689227B2 (ja) ベビーカーの幌
CN112888617A (zh) 儿童座椅以及包括儿童座椅的儿童运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