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086B1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 Google Patents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7086B1 KR102297086B1 KR1020200060468A KR20200060468A KR102297086B1 KR 102297086 B1 KR102297086 B1 KR 102297086B1 KR 1020200060468 A KR1020200060468 A KR 1020200060468A KR 20200060468 A KR20200060468 A KR 20200060468A KR 102297086 B1 KR102297086 B1 KR 1022970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baby carriage
- canopy
- coupled
- strol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06—Carriages supporting a rigid se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4—Safety guards for children, e.g. harness
- B62B9/245—Removable front guards, e.g. with a tr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1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by folding down the body to the wheel carriage or by retracting projecting parts into the box-shaped body
- B62B7/105—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by folding down the body to the wheel carriage or by retracting projecting parts into the box-shaped body with the wheels staying in a fixed relation to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5—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the body being a rigid seat, e.g. a she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4—Safety guards for children, e.g. har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6—Securing devices for bags or toys ; Arrangements of racks, bins, trays or other devices for transporting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6—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dismoun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10—Detachable wheels
- B62B2205/104—Detachable wheel units, e.g. together with the wheel sha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06—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기존의 유모차는 탑승 공간이 유아기의 아이를 탑승시키기에 적합하게 제작되어 유아기의 아이가 편안한 승차감을 느끼며 승차할 수 있지만, 부피가 크고 상대적으로 무거우며, 접은 상태에도 부피가 커 외출시에 차량 트렁크에 원활히 들어가지 않거나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유모차의 무게 및 크기로 인해 휴대가 용이하지 못하고, 사용 연령대가 비교적 짧아 아이의 성장에 따라 유아기가 지나 신장이 커진 아이는 협소한 탑승 공간으로 기존의 유모차에 탑승하기 불편해하여 유모차의 사용기간이 비교적 짧고, 의차 형태로 착석할 수 있는 간단한 형태의 유모차가 개발되었지만 사용 상태에 따라 펼침 또는 접힘 모드 전환시 보호자의 손이 많이 가고, 캐노피 분리·결합이 따로 이루어져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체 프레임, 시트 프레임, 차륜부로 구성됨으로써, 내구성을 유지하며 전체적인 프레임의 구조를 최소화하여 제품의 생산원가를 줄이고, 캐노피를 간단한 방식으로 탈결합할 수 있고, 캐노피를 탈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펼침 또는 접이식 모드 전환이 용이하고, 접이식 모드 전환시 전체적인 크기를 컴팩트하게 줄일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의자 형태로 등받아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하고, 다리 사이에 안전바가 형성되어 탑승한 아이가 유모차의 앞으로 고꾸라지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 용도에 따라 전방에 아이가 간단한 간식을 먹거나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트레이를 간편하게 탈결합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모차의 내구성을 유지하며 전체적인 프레임의 구조를 최소화하여 제품의 생산원가를 줄이고, 유모차의 펼침 또는 접이식 모드 전환이 용이하고, 접이식 모드 전환시 전체적인 크기를 최소화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유모차에 탑승한 아이가 안정적이며 편안한 승차감을 유지하며 사용상태에 따라 편안하게 휴식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유모차는 탑승 공간이 유아기의 아이를 탑승시키기에 적합하게 제작되어 유아기의 아이가 편안한 승차감을 느끼며 승차할 수 있지만, 부피가 크고 상대적으로 무거우며, 접은 상태에도 부피가 커 외출시에 차량 트렁크에 원활히 들어가지 않거나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유모차의 무게 및 크기로 인해 휴대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유모차는 사용 연령대가 비교적 짧아 아이의 성장에 따라 유아기가 지나 신장이 커진 아이는 협소한 탑승 공간으로 기존의 유모차에 탑승하기 불편해하여 유모차의 사용기간이 비교적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의차 형태로 착석할 수 있는 간단한 형태의 유모차가 개발되었지만 사용 상태에 따라 펼침 또는 접힘 모드 전환시 보호자의 손이 많이 가고, 캐노피 분리·결합이 따로 이루어져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내구성을 유지하며 전체적인 프레임의 구조를 최소화하여 제품의 생산원가를 줄이고, 캐노피를 간단한 방식으로 탈결합할 수 있고, 캐노피를 탈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펼침 또는 접이식 모드 전환이 용이하고, 접이식 모드 전환시 전체적인 크기를 컴팩트하게 줄일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의자 형태로 등받아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하고, 다리 사이에 안전바가 형성되어 탑승한 아이가 유모차의 앞으로 고꾸라지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 용도에 따라 전방에 아이가 간단한 간식을 먹거나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트레이를 간편하게 탈결합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는
유모차의 몸체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힌지 구조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는 본체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의 전방 상단에 결합된 의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외측 표면 둘레에 좌석 시트가 씌워져 형성되는 시트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의 하단 전면과 후면 좌·우측에 대칭으로 결합된 구동바퀴 형상으로 유모차를 구동시키는 차륜부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내구성을 유지하며 전체적인 프레임의 구조를 최소화하여 제품의 생산원가를 줄이고, 캐노피를 간단한 방식으로 탈결합할 수 있고, 캐노피를 탈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펼침 또는 접이식 모드 전환이 용이하고, 접이식 모드 전환시 전체적인 크기를 컴팩트하게 줄일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의자 형태로 등받아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하고, 다리 사이에 안전바가 형성되어 탑승한 아이가 유모차의 앞으로 고꾸라지는 것을 방지하며 용도에 따라 전방에 아이가 간단한 간식을 먹을 수 있는 트레이를 간편하게 탈결합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가 선택적으로 결합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바가 선택적으로 결합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시트 프레임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바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시트 프레임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엉덩이 받침 프레임에 결합되는 안전바 및 트레이의 결합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엉덩이 받침 프레임에 결합되는 안전바 및 수평바의 결합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부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캐노피 탈착부의 외측 둘레 삼각돌기와 맞물리는 제1 캐노피 회전부의 내측 둘레 삼각돌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륜 구동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륜 구동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의 접이식 모드 전환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 실시예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바가 선택적으로 결합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시트 프레임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바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시트 프레임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엉덩이 받침 프레임에 결합되는 안전바 및 트레이의 결합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엉덩이 받침 프레임에 결합되는 안전바 및 수평바의 결합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부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캐노피 탈착부의 외측 둘레 삼각돌기와 맞물리는 제1 캐노피 회전부의 내측 둘레 삼각돌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륜 구동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륜 구동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의 접이식 모드 전환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 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본체 프레임(100), 시트 프레임(200), 차륜부(3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유모차의 몸체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힌지 구조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하단 메인 프레임(110), 하단 전방 연결 프레임(120), 하단 후방 지지 프레임(130), 시트 받침 프레임(140), 길이조절 손잡이 프레임(150)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100)은 탈결합될 수 있는 캐노피부(16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단 메인 프레임(110)은 본체 프레임의 하단에 좌·우 대칭으로 전방이 수평으로 평행을 이루며 형성되고, 후방이 외측 방향으로 굴곡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전방 끝단과 후방 끝단에 전륜 구동부, 후륜 구동부로 이루어진 차륜부가 결합되어 지지되고, 전방 일측 좌·우 내측에 하단 전방 연결 프레임(120)이 결합되고, 후방 일측 좌·우 내측에 하단 후방 지지 프레임(130)이 결합되어 지지된다.
상기 하단 전방 연결 프레임(120)은 하단 메인 프레임의 전방 좌·우 내측 방향을 연결하며 지지하는 프레임 형상으로, 후방 중앙에 좌·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축(121)이 형성되어 길이조절 손잡이 프레임의 하단 끝단 일측과 축 결합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 회전축(121)은 후방 중앙에 좌·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축 형상으로, 길이조절 손잡이 프레임(150)의 하단 끝단과 연결되어 유모차(1)의 접힘 및 펼침 모드시 회전되는 길이조절 손잡이 프레임(150)의 하단 끝단을 1차로 지지한다.
상기 하단 후방 지지 프레임(130)은 하단 메인 프레임의 후방 좌·우측에 외측방향 홀이 각각 관통 결합되고, 좌·우 내측 방향에 동일한 회전축을 갖으며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회전축(131)이 형성되고, 제2 회전축의 둘레에 형성된 일측홈에 시트 받침 프레임의 하단 끝단이 결합되어 지지된다.
여기서, 제2 회전축(131)은 하단 후방 지지 프레임의 좌·우 내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좌·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축 형상으로, 둘레 일측에 삽입되는 시트 받침 프레임(14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시트 받침 프레임(140)은 디귿자 형상의 봉 형상 프레임으로, 하단 좌·우측 끝단이 제2 회전축(131)의 둘레에 형성된 일측홈에 삽입되고, 좌·우 평행하는 프레임 중앙 내측에 길이조절 손잡이 프레임의 하단 일측 후면을 지지하는 손잡이 프레임 받침부(141)가 형성되고, 제2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상단에 결합되는 시트 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손잡이 프레임 받침부(141)는 시트 받침 프레임(150)의 하단 일측 후면을 지지하며 유모차(1)의 접힘 및 펼침 모드시 회전되는 길이조절 손잡이 프레임(150)의 하단 일측 후면을 2차로 지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받침 프레임(140)은 상단 끝단 좌·우측이 봉 형상으로 돌출되어 엉덩이 받침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레일 프레임(212)의 내측에 좌·우측이 각각 삽입되어, 접힘 모드 및 펼침 모드시 레일 프레임의 전·후방향 레일홈을 따라 이동되며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한다.
상기 길이조절 손잡이 프레임(150)은 후방 상단으로 경사진 바(bar) 형상으로 하단 끝단 일측이 하단 전방 연결 프레임에 결합되고, 하단 일측 후면이 하단 시트 받침 프레임의 일측에 지지되며, 후방 상단 끝단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길이를 가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제1 길이조절 프레임(151), 제2 길이조절 프레임(152), 제3 길이조절 프레임(15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길이조절 프레임(151)은 후방 상단으로 기울어진 직사각 바(bar) 형상의 프레임으로 하단 끝단이 하단 전방 연결 프레임에 결합되고, 하단 일측이 시트 받침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단 끝단 전면에 제1 잠금 스위치(151a)가 형성되고, 상단 내측 방향에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제2 길이조절 프레임(152), 제3 길이조절 프레임(15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 잠금 스위치(151a)는 내측에 돌출핀이 형성되어 제2 길이조절 프레임의 상·하단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탈착될 수 있도록 탄성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잠금 스위치(151a)는 유모차(1)의 펼침 모드시에는 내측 돌출핀이 제2 길이조절 프레임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제2 길이조절 프레임이 길이방향 상단에 인출된 상태에서 고정시키고, 접힘 모드시에는 내측 돌출핀이 제2 길이조절 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제2 길이조절 프레임이 길이방향 하단에 인입된 상태에서 고정시킨다.
상기 제2 길이조절 프레임(152)은 제1 길이조절 프레임의 후방 상단에 삽입된 중공형 원통 형상의 프레임으로, 제1 길이조절 프레임의 길이방향 상단으로 인입 및 인출되며 고정되어 길이를 가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 프레임(153)은 제2 길이조절 프레임의 후방 상단에 삽입된 중공형 원통 형상으로 상단 끝단에 좌·우측 대칭으로 길이방향 수평 손잡이 형태의 손잡이부(153a)가 형성된 프레임으로, 손잡이부의 좌·우측 끝단 전방에 대칭으로 캐노피 회전 고정축(153a-1)이 형성되고, 손잡이부의 중앙 일측에 제2 잠금 스위치(153b)가 형성되고, 제2 길이조절 프레임의 길이방향 상단으로 인입 및 인출되며 고정되어 길이를 가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캐노피 회전 고정축(153a-1)은 손잡이부(153a)의 좌·우측 끝단 전방에 대칭으로 형성된 원형 회전축 프레임으로, 원형 회전축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삼각돌기가 형성되고, 내부에 좌·우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탄성스프링이 내장되고, 좌·우 외측방향으로 캐노피부(160)가 결합되며 회전 및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캐노피 회전 고정축(153a-1)은 외측방향으로 캐노피부(160)의 결합시 외측면 둘레에 형성된 삼각돌기가 제1 캐노피 회전부(161a)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삼각돌기와 대응되며 맞물려 고정되고, 제1 캐노피 회전부의 회전시 맞물린 삼각돌기가 이격되며 회전되고, 내장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캐노피 회전 고정축의 삼각돌기와 제1 캐노피 회전부의 삼각돌기가 서로 맞물리며 고정된다.
이를 통해 캐노피 회전 고정축을 기준으로 외측면에 결합된 제1 캐노피 회전부(162a)를 회전 및 고정시킨다.
여기서, 제2 잠금 스위치(153b)는 내측에 와이어로 연결된 돌출핀이 형성되어 제2 길이조절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탈결합될 수 있도록 탄성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잠금 스위치(153b)는 유모차(1)의 펼침 모드시에는 내측 돌출핀이 제2 길이조절 프레임의 내측 상단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손잡이 프레임(153)이 길이방향 상단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고정시키고, 접힘 모드시에는 내측 돌출핀이 손잡이 프레임(153)의 내측 하단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손잡이 프레임이 길이방향 하단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캐노피부(160)는 길이조절 손잡이 프레임 상단 좌·우 끝단 전방에 형성된 캐노피 회전 고정축의 외측면에 대칭으로 결합되고, 캐노피 회전 고정축을 기준으로 외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며 캐노피 시트가 펼쳐지는 캐노피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는 캐노피 회전부(161), 캐노피 프레임부(162)로 구성된다.
상기 캐노피 회전부(161)는 복수개의 원형 프레임이 길이조절 손잡이 프레임의 상단 좌·우 일측 외측면에 순차적으로 회전축 결합되고, 순차적으로 좌·우 대칭으로 결합된 원형 프레임의 외측 삽입홈에 캐노피 프레임의 좌·우측 후방 끝단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회전 및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제1 캐노피 회전부(161a), 제2 캐노피 회전부(161b), 제3 캐노피 회전부(161c)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캐노피 회전부(161a)는 길이조절 손잡이 프레임의 상단 좌·우 일측에 형성된 캐노피 회전 고정축의 외측면에 결합된 원통 형상으로 내측홈 둘레를 따라 캐노피 회전 고정축의 외측 둘레 삼각돌기와 맞물리는 내측 둘레 삼각돌기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제2 캐노피 회전부의 내측 둘레 삼각돌기와 맞물리는 외측 둘레 삼각돌기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 일측에 캐노피 프레임 삽입홈이 형성되어 제1 캐노피 프레임을 지지하며 회전 및 고정된다.
이는 캐노피부(160)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축방향 회전에 따라 제1 캐노피 프레임(162a)의 고정각도를 설정하고, 제2 캐노피 회전부를 축방향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캐노피 회전부(161b)는 제1 캐노피 회전부의 좌·우 외측면에 결합된 원통 형상으로, 내측홈 둘레를 따라 제1 캐노피 회전부의 외측 둘레 삼각돌기와 맞물리는 내측 둘레 삼각돌기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제3 캐노피 회전부의 내측 둘레 삼각돌기와 맞물리는 외측 둘레 삼각돌기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 일측에 캐노피 프레임 삽입홈이 형성되어 제2 캐노피 프레임을 지지하며 회전 및 고정된다.
이는 축방향 회전에 따라 제2 캐노피 프레임(162b)의 고정각도를 설정하고, 제3 캐노피 회전부를 축방향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캐노피 회전부(161c)는 제2 캐노피 회전부의 좌·우 외측면에 결합된 원통 형상으로, 내측홈 둘레를 따라 제2 캐노피 회전부의 외측 둘레 삼각돌기와 맞물리는 내측 둘레 삼각돌기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 일측에 캐노피 프레임 삽입홈이 형성되어 제3 캐노피 프레임을 지지하며 회전 및 고정된다.
이는 축방향 회전에 따라 제3 캐노피 프레임(162c)의 고정각도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 회전부(161)는 좌·우 대칭으로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제1 캐노피 회전부(161a), 제2 캐노피 회전부(161b), 제3 캐노피 회전부(161c)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축방향 회전시 원활한 회전 또는 고정되도록 하여 결합된 캐노피 프레임부의 펼침 모드 및 접이식 모드를 원활히 가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캐노피 프레임부(162)는 좌·우측 끝단이 대칭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정면이 라운드져 연결된 봉형상의 프레임이 크기별로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캐노피 회전부의 좌·우측 둘레면 일측에 형성된 캐노피 프레임 삽입홈 끝단에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며 부채꼴 형상으로 접힘 및 펼침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부(162)는 제1 캐노피 프레임(162a), 제2 캐노피 프레임(162b), 제3 캐노피 프레임(162c)의 외측에 캐노피 시트가 고정되어 이루어져 순차적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며 시트 프레임의 상단을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캐노피부(160)가 접혀진 상태에서 보호자가 제3 캐노피 프레임(162c)을 펼침 회전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3 캐노피 프레임(162c)이 결합된 제3 캐노피 회전부(161c), 제2 캐노피 프레임(162b)이 결합된 제2 캐노피 회전부(161b), 제1 캐노피 프레임(162a)이 결합된 제1 캐노피 회전부(161a)가 순차적으로 회전되며 펼쳐진다.
반대로, 캐노피부(160)가 펼쳐진 상태에서 보호자가 제3 캐노피 프레임(162c)을 접힘 회전방향으로 밀면 제3 캐노피 프레임(162c)이 결합된 제3 캐노피 회전부(161c), 제2 캐노피 프레임(162b)이 결합된 제2 캐노피 회전부(161b), 제1 캐노피 프레임(162a)이 결합된 제1 캐노피 회전부(161a)가 순차적으로 회전되며 접혀진다.
이와 같이 캐노피부(160)는 제3 캐노피 프레임을 펼침 회전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접힘 회전방향으로 미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펼침 모드 및 접힘 모드가 이루어져 유모차의 사용 상태에 따라 펼침 또는 접힘 모드 전환시 캐노피부를 분리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모드 전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프레임(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시트 프레임(200)은 본체 프레임의 전방 상단에 결합된 의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외측 표면 둘레에 좌석 시트가 씌워져 형성된다.
이는 엉덩이 받침 프레임(210), 등받이 프레임(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엉덩이 받침 프레임(210)은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 판 형상의 프레임으로 전방 중앙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타원형상으로 관통된 안전바 삽입홀(211)이 형성되고, 하단면 좌측과 우측에 전·후 내측 길이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된 레일 프레임(212)이 형성되고, 후면 좌·우측에 등받이 프레임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엉덩이 받침 프레임(210)은 안전바(213)가 결합되고, 안전바(213)의 상단에 트레이(214) 또는 수평바(215)가 선택적으로 탈결합된다.
상기 안전바(213)는 직립된 타원형 바(bar) 형상으로 후면 상단 중앙에 탄성 누름식의 탈착핀(213a)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단 일측 좌·우 측면에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 버튼(213b)이 형성되고, 하단 끝단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어 엉덩이 받침 프레임의 안전바 삽입홀(211)에 관통 삽입시 안전바를 고정시키는 안전바 잠금부(213c)가 형성된다.
여기서, 탈착핀(213a)은 탄성력에 의해 제자리로 복원되는 형태로 트레이의 하단에 형성된 트레이 탈착홈(214a-1)에 삽입될 경우 트레이(214)를 고정시키고, 수평바의 하단에 형성된 수평바 탈착홈(215a-1)에 삽입될 경우 수평바(215)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회전 버튼(213b)은 탄성력에 의해 제자리로 복원되는 형태로 안전바(213)를 회전 버튼을 기준으로 전방이나 후방으로 회전시켜 눕힘으로써 유모차(1)의 부피를 줄이거나, 아이가 유모차에 승·하차시 걸리는 부분 없이 탑승 및 하차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안전바 잠금부(213c)는 엉덩이 받침 프레임의 안전바 삽입홀(211)에 삽입되어 하단이 관통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90°의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안전바를 고정시킨다.
또한, 안전바(213)는 트레이 또는 수평바가 선택적으로 탈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안전바는 하단면 중앙 일측에 안전바의 상단이 삽입되는 삽입홈(214a)이 형성되고, 삽입홈의 후면 일측에 트레이 탈착홈(214a-1)이 형성되는 쟁반 형태의 트레이(214) 또는 하단면 중앙 일측에 안전바의 상단이 삽입되는 삽입홈(215a)이 형성되고, 삽입홈의 후면 일측에 수평바 탈착홈(215a-1)이 형성되는 수평으로 형성된 바 형태의 수평바(215)가 선택적으로 탈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탑승한 아이의 필요에 따라 음식 및 간식을 먹거나, 장난감을 올려놓거나, 스마트 단말기를 통한 영상 시청 등의 경우에는 트레이(214)를 결합하고, 유모차를 타고 이동하거나 잠을 자는 등의 경우에는 수평바(215)를 결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220)은 디귿자 봉 형상의 프레임으로 좌·우측 하단 끝단이 엉덩이 받침 프레임의 후방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단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손잡이 당김 방식의 각도조절 손잡이(221)를 통해 각도를 가변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각도조절 손잡이(221)를 상단방향으로 당기면 등받이 프레임의 하단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당기던 각도조절 손잡이(221)를 놓으면 탄성에 의해 제자리로 복귀하며 등받이 프레임이 더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를 통해 아이의 요구에 따라 등받이 프레임(220)의 각도롤 간편하게 가변하여 고정시킬 수 있어 유모차에 탑승한 아이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고, 유모차의 펼침 모드 전환 또는 접이식 모드 전환이 용이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륜부(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차륜부(300)는 본체 프레임의 하단 전면과 후면 좌·우측에 대칭으로 결합된 구동바퀴 형상으로 유모차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전륜 구동부(310), 후륜 구동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전륜 구동부(310)는 본체 프레임의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하단 메인 프레임 전방에 전륜 프레임(311)이 결합되고, 전륜 프레임(311)의 좌·우측 하단에 전륜 바퀴부(312)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륜 프레임(311)은 좌측면 끝단 일측과 우측면 끝단 일측에 각각 좌·우 전륜 바퀴부(312)를 탈착할 수 있도록 탄성구조의 탈착 스위치(311a)가 형성된다.
여기서, 전륜 바퀴부(312)는 전륜 프레임의 좌·우측 하단에 대칭으로 결합된 바퀴 형상으로,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서스펜션이 내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전륜 바퀴부(312)는 상단에 수직방향으로 직립된 원형 봉 형상의 탈착봉(312a)이 형성되고, 탈착봉의 상단 일측에 탈착홈(312a-1)이 형성된다.
이때, 탈착홈(312a-1)은 전륜 프레임의 탈착 스위치(311a)를 누르면 내부에 결합된 핀이 탈착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전륜 바퀴부가 탈착되고, 전륜 프레임의 좌·우측 하단홈에 전륜 바퀴부의 탈착봉을 삽입하면 탄성구조의 탈착 스위치(311a)의 내부에 결합된 핀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탈착홈에 삽입되어 전륜 바퀴부가 결합된다.
상기 후륜 구동부(320)는 본체 프레임의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하단 메인 프레임 후방에 후륜 프레임(321)이 결합되고, 후륜 프레임(321)의 좌·우측 외측면 방향에 후륜 바퀴부(322)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후륜 프레임(321)은 좌측면 하단 일측과 우측면 하단 일측에 각각 좌·우 후륜 바퀴부(322)를 탈착할 수 있도록 탄성구조의 탈착 스위치(322a)가 형성된다.
여기서. 후륜 바퀴부(322)는 후륜 프레임의 좌·우측 외측면 중앙에 대칭으로 결합된 바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후륜 바퀴부(322)는 내측면 중앙에 내측 수직방향으로 원형 봉 형상의 탈착봉(322a)이 형성되고, 탈착봉의 내측 끝단 일측에 탈착홈(322a-1)이 형성된다.
이때, 탈착홈(322a-1)은 후륜 프레임의 탈착 스위치(321a)를 누르면 내부에 결합된 핀이 탈착홈으로부터 분리되어 후륜 바퀴부가 탈착되고, 후륜 프레임의 좌·우측 외측홈에 후륜 바퀴부의 탈착봉을 삽입하면 탄성구조의 탈착 스위치(321a)의 내부에 결합된 핀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탈착홈에 삽입되어 후륜 바퀴부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은 전륜 바퀴부(312), 후륜 바퀴부(322)를 개별적으로 탈착할 수 있어, 보관 및 휴대에 따른 유모차(1) 미사용시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유모차의 펼침 모드 전환시 길이조절 손잡이 프레임의 제1 잠금 스위치, 제2 잠금 스위치를 눌러 제1 길이조절 프레임의 후방 상단으로 제2 길이조절 프레임, 손잡이 프레임이 인출되도록 고정시킨다.
이때, 길이조절 손잡이 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제1 회전축, 제2 회전축이 회전되어 제1 길이조절 프레임과 시트 받침 프레임이 교차되며 세워져 고정된다.
다음으로, 등받이 프레임의 상단에 형성된 각도조절 손잡이를 당겨 접혀져 있던 등받이 프레임을 세운다.
다음으로, 엉덩이 받침 프레임의 안전바 삽입홀에 안전바의 하단을 삽입하고, 안전바 삽입홀에 관통된 안전바 잠금부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안전바를 고정시킨 후, 회전 버튼을 눌러 안전바를 직립시킨다.
다음으로, 안전바의 상단에 필요에 따라 트레이 및 수평바를 결합시킨다.
이때, 안전바의 후면 상단에 형성된 탈착핀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트레이 탈착홈 또는 수평바 탈착홈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다음으로, 길이조절 손잡이 프레임의 상단 캐노피 회전 고정축에 결합된 캐노피부의 제3 캐노피 프레임을 펼침 회전방향으로 잡아당겨 제3 캐노피 프레임, 제2 캐노피 프레임, 제1 캐노피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펼쳐지도록 하여 캐노피부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유모차의 사용이 끝나면 펼침 모드의 역순인 접이식 모드로 전환하여 보관한다.
100 : 본체 프레임 110 : 하단 메인 프레임
120 : 하단 전방 연결 프레임 130 : 하단 후방 지지 프레임
140 : 시트 받침 프레임 150 : 길이조절 손잡이 프레임
160 : 캐노피부 200 : 시트 프레임
210 : 엉덩이 받침 프레임 220 : 등받이 프레임
300 : 차륜부 310 : 전륜 구동부
320 : 후륜 구동부
120 : 하단 전방 연결 프레임 130 : 하단 후방 지지 프레임
140 : 시트 받침 프레임 150 : 길이조절 손잡이 프레임
160 : 캐노피부 200 : 시트 프레임
210 : 엉덩이 받침 프레임 220 : 등받이 프레임
300 : 차륜부 310 : 전륜 구동부
320 : 후륜 구동부
Claims (7)
- 유모차의 몸체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힌지 구조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는 본체 프레임(100)과,
본체 프레임의 전방 상단에 결합된 의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외측 표면 둘레에 좌석 시트가 씌워져 형성되는 시트 프레임(200)과,
본체 프레임의 하단 전면과 후면 좌·우측에 대칭으로 결합된 구동바퀴 형상으로 유모차를 구동시키는 차륜부(300)로 구성되고,
상기 시트 프레임(200)은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 판 형상의 프레임으로 전방 중앙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타원형상으로 관통된 안전바 삽입홀(211)이 형성되고, 하단면 좌측과 우측에 전·후 내측 길이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된 레일 프레임(212)이 형성되고, 후면 좌·우측에 등받이 프레임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엉덩이 받침 프레임(210)과,
좌·우측 하단 끝단이 엉덩이 받침 프레임의 후방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단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손잡이 당김 방식의 각도조절 손잡이(221)를 통해 각도를 가변 및 고정하는 등받이 프레임(220)으로 구성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받침 프레임(210)은
직립된 타원형 바(bar) 형상으로 후면 상단 중앙에 탄성 누름식의 탈착핀(213a)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단 일측 좌·우 측면에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 버튼(213b)이 형성되고, 하단 끝단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어 엉덩이 받침 프레임의 안전바 삽입홀(211)에 관통 삽입시 안전바를 고정시키는 안전바 잠금부(213c)가 형성되는 안전바(213)와,
하단면 중앙 일측에 안전바의 상단이 삽입되는 삽입홈(214a)이 형성되고, 삽입홈의 후면 일측에 트레이 탈착홈(214a-1)이 형성되는 쟁반 형태의 트레이(214) 또는 하단면 중앙 일측에 안전바의 상단이 삽입되는 삽입홈(215a)이 형성되고, 삽입홈의 후면 일측에 수평바 탈착홈(215a-1)이 형성되는 수평으로 형성된 바 형태의 수평바(215)가 선택적으로 탈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0468A KR102297086B1 (ko) | 2020-05-20 | 2020-05-20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
US17/371,237 US20210362764A1 (en) | 2020-05-20 | 2021-07-09 | Baby carriage with improved ease of u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0468A KR102297086B1 (ko) | 2020-05-20 | 2020-05-20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7086B1 true KR102297086B1 (ko) | 2021-09-02 |
Family
ID=77794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0468A KR102297086B1 (ko) | 2020-05-20 | 2020-05-20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362764A1 (ko) |
KR (1) | KR10229708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I129266B (en) * | 2018-03-21 | 2021-10-29 | Hartwall K Oy Ab | Chassis for a rolling container and rolling container comprising the chassis |
CN212423263U (zh) * | 2020-02-16 | 2021-01-29 |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 婴儿车 |
CN115320696B (zh) * | 2022-08-24 | 2023-05-26 | 平湖岳氏车业股份有限公司 | 一种可收纳遮挡顶棚结构及童车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033065A1 (en) * | 2007-07-31 | 2009-02-05 | Kenzou Kassai | Canopied foldable baby carriage |
WO2016098671A1 (ja) * | 2014-12-18 | 2016-06-23 | コンビ株式会社 | ベビーカー連結装置 |
KR20160081539A (ko) * | 2014-12-31 | 2016-07-08 | (주)한스이엔지 |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동 캐리어 |
KR101725020B1 (ko) * | 2016-09-28 | 2017-04-10 | (주)이디 |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 |
KR101894460B1 (ko) | 2018-04-10 | 2018-09-04 | 김미진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
US20200010107A1 (en) * | 2018-07-03 | 2020-01-09 | Zhongshan Aifubao Daily Products Co., Ltd. | Trailer for stroller |
US20200086906A1 (en) * | 2018-09-18 | 2020-03-19 | B & B Best Industrial Co., Ltd. | Foldable Cart Frame |
-
2020
- 2020-05-20 KR KR1020200060468A patent/KR10229708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7-09 US US17/371,237 patent/US20210362764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033065A1 (en) * | 2007-07-31 | 2009-02-05 | Kenzou Kassai | Canopied foldable baby carriage |
WO2016098671A1 (ja) * | 2014-12-18 | 2016-06-23 | コンビ株式会社 | ベビーカー連結装置 |
KR20160081539A (ko) * | 2014-12-31 | 2016-07-08 | (주)한스이엔지 |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동 캐리어 |
KR101725020B1 (ko) * | 2016-09-28 | 2017-04-10 | (주)이디 |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 |
KR101894460B1 (ko) | 2018-04-10 | 2018-09-04 | 김미진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
US20200010107A1 (en) * | 2018-07-03 | 2020-01-09 | Zhongshan Aifubao Daily Products Co., Ltd. | Trailer for stroller |
US20200086906A1 (en) * | 2018-09-18 | 2020-03-19 | B & B Best Industrial Co., Ltd. | Foldable Cart Fr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10362764A1 (en) | 2021-1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97086B1 (ko)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 |
KR101894460B1 (ko)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 |
CA2300309C (en) | Collapsible bassinet/infant seat with canopy | |
US6594840B2 (en) | Baby bouncer/bassinet | |
US11097761B2 (en) | Wagon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 |
KR20120030621A (ko) | 유모차 | |
GB2186793A (en) | Child's push-chair with an adjustable cradle | |
KR102372031B1 (ko)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 |
CN213962679U (zh) | 多功能摇椅 | |
KR102297087B1 (ko)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 |
CN205652181U (zh) | 一种新型婴儿车 | |
US20200324801A1 (en) | Baby carriage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 |
CN210502819U (zh) | 一种可调折叠婴儿推车 | |
KR102415226B1 (ko)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 |
JP4279969B2 (ja) | 携帯ベビーカー | |
CN110550082A (zh) | 一种双向婴儿推车 | |
US20030122352A1 (en) | Device for mounting accessory wheels on stroller | |
KR102297090B1 (ko)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 |
CN214607686U (zh) | 一种新型折叠儿童推车 | |
CN213921190U (zh) | 一种溜娃车 | |
CN219056330U (zh) | 一种儿童推车 | |
US10588423B1 (en) | Folding booster chair | |
JP3071381U (ja) | 携帯ベビーカー | |
KR20240034034A (ko)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 |
BR102015016156A2 (pt) | aperfeiçoamentos introduzidos em carrinho multifuncio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