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087B1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 Google Patents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087B1
KR102297087B1 KR1020200085159A KR20200085159A KR102297087B1 KR 102297087 B1 KR102297087 B1 KR 102297087B1 KR 1020200085159 A KR1020200085159 A KR 1020200085159A KR 20200085159 A KR20200085159 A KR 20200085159A KR 102297087 B1 KR102297087 B1 KR 102297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roller
wagon
couple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200085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087B1/ko
Priority to PCT/KR2021/007149 priority patent/WO202201011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5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the body being a rigid seat, e.g. a sh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6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dismoun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2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foldable widthw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2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length or wid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유모차와 유아용 웨건을 각각 구입할 경우 2중으로 초기 구입비용이 발생하고, 유모차는 아이의 성장에 따라 사용 기간이 길지 않아 효율적이지 못하고 사용시기가 지나면 부피를 차지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유아용 웨건은 개월수가 적은 아이가 탑승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자녀의 나이 터울이 있는 가정의 경우와 같이, 유모차와 유아용 웨건을 모두 구비하여 큰 아이는 웨건에 탑승시키고, 작은 아이는 유모차에 탑승시킬 수 있지만, 보호자가 유모차와 유아용 웨건을 동시에 운전하기 어렵고, 보관시에도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체 프레임, 웨건 프레임, 차륜부, 유모차 프레임, 웨건 캐노피 프레임이 구성됨으로써, 유아의 성장에 따라 웨건의 상단에 유모차 시트를 탈결합하여 유아기부터 어린이가 될 때까지 형태를 가변하여 사용가능기간을 대폭 향상시키고, 아이가 정면만을 응시하지 않고 탑승 방향을 바꿔서 보호자와 시선을 마주치며 안정감을 가질 수 있고, 간편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유모차 시트를 탈결합할 수 있고, 부분적인 폴딩이 용이하여 사용상태에 따라 형태를 가변할 수 있고, 상단에 결합되는 캐노피 또는 유모차 시트를 탈착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전체적인 폴딩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MULTIFUNCTIONAL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본 발명에서는 웨건의 상단에 유모차 시트를 용이하게 탈결합하여 자녀의 개월수에 따라 유아기부터 성장기 어린이까지 사용가능기간을 대폭 향상시키고, 유모차 시트의 결합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하여 아이와 보호자가 시선을 마주쳐 아이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고, 부분적인 폴딩이 용이하여 사용상태에 따라 형태를 가변하고, 전체적인 폴딩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에 관한 것이다.
유아가 있는 일반 가정에서 외출시 유모차는 필수품이 되어 다양한 형태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유모차는 유아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생산되는데 비해 유아는 개월 수에 따라 키와 몸무게가 부쩍 성장하여 2~3년이 지나면 공간이 상대적으로 비좁아져 유모차를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짧고, 유모차에 탈 나이가 지난 5세 이상의 어린이도 외출시에 힘들거나 피곤함을 느끼면 보호자에게 업거나 안아달라고 하는 등 부모의 피로를 가중시키고 아이도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상대적으로 내부공간이 넓어 야외 이동시 아이가 편안함을 느끼고 안락하게 쉴 수 있는 이동수단으로 유아용 웨건을 추가로 구매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유모차와 유아용 웨건을 각각 구입할 경우 2중으로 초기 구입비용이 발생하고, 유모차는 아이의 성장에 따라 사용 기간이 길지 않아 효율적이지 못하고 사용시기가 지나면 부피를 차지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유아용 웨건은 개월수가 적은 아이가 탑승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녀의 나이 터울이 있는 가정의 경우와 같이, 유모차와 유아용 웨건을 모두 구비하여 큰 아이는 웨건에 탑승시키고, 작은 아이는 유모차에 탑승시킬 수 있지만, 보호자가 유모차와 유아용 웨건을 동시에 운전하기 어렵고, 보관시에도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4460호(2018.08.28. 등록)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유아의 성장에 따라 웨건의 상단에 유모차 시트를 탈결합하여 유아기부터 어린이가 될 때까지 형태를 가변하여 사용가능기간을 대폭 향상시키고, 아이가 정면만을 응시하지 않고 탑승 방향을 바꿔서 보호자와 시선을 마주치며 안정감을 가질 수 있고, 간편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유모차 시트를 탈결합할 수 있고, 부분적인 폴딩이 용이하여 사용상태에 따라 형태를 가변할 수 있고, 상단에 결합되는 캐노피 또는 유모차 시트를 탈착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전체적인 폴딩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은
측면 중앙에 회전축이 형성된 직선형 프레임이 전방으로 경사지고, 중앙 회전축의 하단에 후방으로 경사진 프레임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유모차의 몸체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며, 중앙 회전축을 기준으로 힌지 구조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는 본체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의 좌·우 내측면에 결합된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으로, 중앙 하단에 회전축이 형성되어 중앙 회전축을 기준으로 힌지 구조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하고 웨건 시트를 지지하는 웨건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의 전방 하단에 결합된 전륜부와 후방 하단에 결합된 후륜부가 좌·우측에 대칭으로 결합된 구동바퀴 형상으로 유아용 웨건을 구동시키는 차륜부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아의 성장에 따라 웨건의 상단에 유모차 시트를 탈결합하여 유아기부터 어린이가 될 때까지 형태를 가변하여 사용가능기간을 대폭 향상시키고, 아이가 정면만을 응시하지 않고 탑승 방향을 바꿔서 보호자와 시선을 마주치며 안정감을 가질 수 있고, 간편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유모차 시트를 탈결합할 수 있고, 부분적인 폴딩이 용이하여 사용상태에 따라 형태를 가변할 수 있고, 상단에 결합되는 캐노피 또는 유모차 시트를 탈착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전체적인 폴딩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프레임이 정방향 유모차 프레임 고정모드로 결합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프레임이 역방향 유모차 프레임 고정모드로 결합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프레임이 요람 유모차 프레임 모드로 결합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웨건 캐노피 프레임이 결합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 웨건 프레임, 차륜부로 이루어진 다기능 유아용 웨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의 형상을 도시하고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웨건 프레임의 형상을 분해하여 도시하고,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 웨건 프레임, 차륜부가 결합된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 웨건 프레임, 차륜부가 결합된 측면을 도시하고, 웨건 프레임의 전방 지지 프레임과 후방 지지 프레임이 하단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접혀지는 실시예를 도시한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프레임의 형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프레임이 요람 유모차 프레임 모드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의 결합 브라켓에 유모차 프레임이 결합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웨건 캐노피 프레임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의 결합 브라켓에 웨건 캐노피 프레임이 결합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 웨건 프레임, 차륜부의 미사용시 접혀지는 형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 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본체 프레임(100), 웨건 프레임(200), 차륜부(3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측면 중앙에 회전축이 형성된 직선형 프레임이 전방으로 경사지고, 중앙 회전축의 하단에 후방으로 경사진 프레임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유모차의 몸체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며, 중앙 회전축을 기준으로 힌지 구조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1 전방 경사 프레임(110), 제2 전방 경사 프레임(120), 후방 경사 프레임(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전방 경사 프레임(110)은 중앙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경사지며 전방 하단에 결합된 프레임 형상으로, 차륜부의 전방을 지지하는 전륜부와 결합되고, 웨건 프레임의 전방 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하단 내측 일측이 웨건 프레임(200)의 전방 외측면 일측과 결합되고, 하단면 끝단이 전륜부(310)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전방 경사 프레임(120)은 중앙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 전방 경사 프레임과 대칭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경사지며 후방 상단에 결합된 프레임 형상으로, 후단 끝단에 좌·우측을 연결하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핸들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폴딩 안전 스위치(121), 손잡이 길이조절 스위치(122), 결합 브라켓(123)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폴딩 안전 스위치(121)는 제2 전방 경사 프레임의 평행하는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의 내측면에 각각 대칭으로 길이방향 슬라이드 구조의 폴딩 슬라이드 스위치(121b)가 형성되고, 좌·우 어느 한쪽에 회전축 회전구조로 폴딩 슬라이드 스위치의 슬라이드 이동을 잠금 또는 풀림시키는 폴딩 안전바(121a)가 형성되어, 폴딩 슬라이드 스위치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본체 프레임을 폴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방 경사 프레임의 우측 내측면에 형성되어 폴딩 슬라이드 스위치(121b)의 이동을 제한하는 폴딩 안전바(121a)를 회전시키고, 좌·우방향 대칭으로 형성된 한쌍의 폴딩 슬라이드 스위치(121b)를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시켜야만 본체 프레임을 폴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아용 웨건 운전시 보호자의 손이 닿지 않는 제2 전방 경사 프레임의 내측면 양쪽에 대칭으로 위치한 한쌍의 폴딩 안전 스위치(121)를 동시에 슬라이딩 시켜야 본체 프레임을 접을 수 있는데 비해, 한쪽 부분의 폴딩 안전 스위치가 폴딩 안전바(121a)에 의해 잠금 및 풀림되는 방식으로, 보호자 및 아이의 실수나 유아용 웨건의 고장으로 인해 의도치 않게 폴딩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한 아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유아용 웨건의 미사용시 보호자가 용이하게 접이식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손잡이 길이조절 스위치(122)는 손잡이부의 중앙 하단에 돌출버튼 누름 방식으로 형성되어 제2 전방 경사 프레임의 길이방향 길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돌출버튼을 누를 경우 이중 삽입구조로 이루어진 제2 전방 경사 프레임의 후단이 전방 내부에서 분리되어 길이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하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브라켓(123)은 제2 전방 경사 프레임의 하단 일측 좌·우측에 대칭으로 결합되는 프레임 형상으로, 하단이 제2 전방 경사 프레임에 관통 결합되고, 상단면이 수평을 이루며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상단 결합홈(123a)이 형성되며, 외측면 중앙 일측에 측면 탈착 스위치(123b)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브라켓(123)은 상단 결합홈에 유모차 프레임(400), 웨건 캐노피 프레임(500)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프레임이 탈결합된다.
이는 자녀의 개월수에 따라 대응하며 유모차 모드와, 유모차 + 유아용 웨건모드, 유아용 웨건모드로 용이하게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아이의 개월수가 적은 유아기의 아이가 있는 한자녀가 있는 가정의 경우에는 유모차 프레임(400)을 선택적으로 결합힌 유모차 모드를 형성하여 하단의 유아용 웨건을 짐 싣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고, 유모차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서 짐을 최대한 실을 경우 유모차 + 유아용 웨건모드를 형성하고, 아이의 성장에 따라 키 및 몸무게가 커진 경우에는 유모차 프레임을 탈착하고 웨건 캐노피 프레임(500)을 결합한 유아용 웨건모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아이의 개월수가 적은 유아기의 아이와 신체가 성장한 어린이가 있는 가정의 경우에는 유모차 프레임(400)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유아기의 아이는 유모차 프레임(400)에 탑승시키고, 성장한 어린이는 웨건 프레임(200)에 탑승시켜 유모차와 유아용 웨건을 기능을 동시에 활용하는 유모차 + 유아용 웨건모드를 형성하고, 두 아이가 어린이로 성장할 경우 웨건 캐노피 프레임(500)을 결합하여 유아용 웨건모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가변될 수 있다는 것을 실시예로 기재한 것으로, 일정한 상황에 일정한 형태로 국한되는 것이 아닌, 상황에 따라 대응하여 형태를 가변할 수 있다.
상기 후방 경사 프레임(130)은 중앙 회전축의 하단에 후방으로 경사지며 결합된 프레임 형상으로, 차륜부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륜부와 결합되고, 웨건 프레임의 후방 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하단 내측 일측이 웨건 프레임(200)의 후방 외측면 일측과 결합되고, 하단면 끝단이 후륜부(320)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웨건 프레임(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웨건 프레임(200)은 본체 프레임의 좌·우 내측면에 결합된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으로, 중앙 하단에 회전축이 형성되어 중앙 회전축을 기준으로 힌지 구조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하고 웨건 시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전방 지지 프레임(210), 전방 보조 링크 프레임(220), 후방 지지 프레임(230), 후방 보조 링크 프레임(240), 하단 지지 프레임(250)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210)은 웨건 프레임의 전방을 이루고, 좌·우측 프레임이 대칭으로 평행하고 전방이 수직방향으로 라운드져 연결된 프레임 형상으로, 끝단이 회전축 형상으로 하단 지지 프레임의 전방 일측과 축 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제1 전방 지지 안전 스위치(211), 제2 전방 지지 안전 스위치(21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전방 지지 안전 스위치(211)는 좌·우측 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라운드져 연결된 전방 프레임의 중앙 상단에 좌·우 슬라이드 방식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 이동된다.
여기서, 제2 전방 지지 안전 스위치(212)는 좌·우측 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라운드져 연결된 전방 프레임의 중앙 하단에 돌출버튼 누름 방식으로 형성되어 누름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지지 프레임(210)은 제1 전방 지지 안전 스위치(211), 제2 전방 지지 안전 스위치(212)를 동시에 스위칭하여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및 고정되는 것으로, 제1 전방 지지 안전 스위치(211)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고, 제2 전방 지지 안전 스위치(212)를 누름 방식으로 누르면 회전 잠금이 풀리며 하단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고, 2개의 스위치를 놓으면 스위치가 원위치로 복귀하며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 전방 지지 안전 스위치(211), 제2 전방 지지 안전 스위치(212)를 동시에 스위칭해야 회전 잠금이 풀리는 이중 안전고정구조로, 전방 지지 프레임의 고정되는 각도를 제어하여 보호자 및 아이의 실수나 고장으로 인해 의도치 않게 폴딩되는 것을 방지하고, 웨건 프레임의 사용 용도에 따라 형태를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방 보조 링크 프레임(220)은 전방 끝단이 전방 지지 프레임의 좌·우측 일측에 대칭으로 결합되어 회전축 연결되고, 후방 끝단이 본체 프레임의 전방 하단 일측과 결합되어 회전축 연결되는 링크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전방 지지 프레임(210)과 본체 프레임의 제1 전방 경사 프레임(110)의 사이에 링크 구조로 결합되어, 회전 및 고정되는 제1 전방 경사 프레임의 각도에 대응되며 제1 전방 경사 프레임을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230)은 웨건 프레임의 후방을 이루고, 좌·우측 프레임이 대칭으로 평행하고 후방이 수직방향으로 라운드져 연결된 프레임 형상으로, 끝단이 회전축 형상으로 하단 지지 프레임의 후방 일측과 축 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제1 후방 지지 안전 스위치(231), 제2 후방 지지 안전 스위치(23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제1 후방 지지 안전 스위치(231)는 좌·우측 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라운드져 연결된 후방 프레임의 중앙 상단에 좌·우 슬라이드 방식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 이동된다.
여기서, 제2 후방 지지 안전 스위치(232)는 좌·우측 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라운드져 연결된 후방 프레임의 중앙 하단에 돌출버튼 누름 방식으로 형성되어 누름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방 지지 프레임(230)은 제1 후방 지지 안전 스위치(231), 제2 후방 지지 안전 스위치(232)를 동시에 스위칭하여 하단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및 고정되는 것으로, 제1 후방 지지 안전 스위치(231)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고, 제2 후방 지지 안전 스위치(232)를 누름 방식으로 누르면 회전 잠금이 풀리며 하단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고, 2개의 스위치를 놓으면 스위치가 원위치로 복귀하며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 후방 지지 안전 스위치(231), 제2 후방 지지 안전 스위치(232)를 동시에 스위칭해야 회전 잠금이 풀리는 이중 안전고정구조로, 후방 지지 프레임의 고정되는 각도를 제어하여 보호자 및 아이의 실수나 고장으로 인해 의도치 않게 폴딩되는 것을 방지하고, 웨건 프레임의 사용 용도에 따라 형태를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후방 보조 링크 프레임(240)은 후방 끝단이 후방 지지 프레임의 좌·우측 일측에 대칭으로 결합되어 회전축 연결되고, 전방 끝단이 본체 프레임의 후방 하단 일측과 결합되어 회전축 연결되는 링크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후방 지지 프레임(230)과 본체 프레임의 후방 경사 프레임(130)의 사이에 링크 구조로 결합되어, 회전 및 고정되는 후방 지지 프레임의 각도에 대응되며 후방 지지 프레임을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단 지지 프레임(250)은 전방 지지 프레임, 후방 지지 프레임의 내측 하단에 회전축 결합된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하단 중앙 링크 프레임(251)이 형성되고, 중앙 링크 프레임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전방에 위치한 전방 받침 프레임(252)과 후방에 위치한 후방 받침 프레임(253)이 대칭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하단 중앙 링크 프레임(251)은 하단 지지 프레임의 하단 중앙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된 링크 구조의 프레임으로, 전방 받침 프레임(252), 후방 받침 프레임(253)의 사이에 축 형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유아용 웨건(1)의 접이식 모드 시 웨건 시트의 하단 중앙에 형성된 폴딩 개폐부를 개방하여 보호자가 하단 중앙 링크 프레임(251)의 중앙 일측을 상단방향으로 잡아당길 경우, 전방 받침 프레임(252), 후방 받침 프레임(253)이 링크 구조로 대칭을 이루며 접혀져 웨건 프레임이 절반의 크기로 접혀진다.
여기서, 전방 받침 프레임(252)은 하단 지지 프레임의 전면을 이루며 수평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좌·우측 프레임 사이 전방과 후방 일측에 직각으로 프레임이 연결된 형상으로, 전방 끝단 외측방향에 제1 전방 경사 프레임(110)이 결합되고, 전방 상단 끝단에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방 지지 프레임(21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후방 받침 프레임(253)은 하단 지지 프레임의 후면을 이루며 수평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좌·우측 프레임 사이 전방과 후방 일측에 직각으로 프레임이 연결된 형상으로, 후방 끝단 외측방향에 후방 경사 프레임(130)이 결합되고, 후방 상단 끝단에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후방 지지 프레임(23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륜부(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차륜부(300)는 본체 프레임의 전방 하단에 결합된 전륜부와 후방 하단에 결합된 후륜부가 좌·우측에 대칭으로 결합된 구동바퀴 형상으로 유아용 웨건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전륜부(310), 후륜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전륜부(310)는 제1 전방 경사 프레임의 하단 좌·우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유아용 웨건의 정면 하단을 지지하며 회전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 및 고정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며, 내부에 서스펜션이 형성되어 웨건 정면방향의 외부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륜부(320)는 후방 경사 프레임의 하단 좌·우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유아용 웨건의 후면 하단을 지지하며 회전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 및 고정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며, 내부에 서스펜션이 형성되어 웨건 후면방향의 외부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프레임(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유모차 프레임(400)은 유모차의 몸체를 형성하는 직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좌·우 대칭 중앙에 위치한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의 전·후방을 기준으로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이 형성되어 유모차 시트(401)를 지지하고, 중심축 결합부를 기준으로 유모차 시트의 고정 각도를 가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유모차 시트(401)는 전방 하단면 일측에 좌·우측에 암버클과 수버클이 각각 끈으로 연결되어 결합되는 유모차 시트 의자형상 버클(401a)이 형성되어, 유모차 시트 의자형상 버클(401a)의 암버클과 수버클을 체결할 경우 유모차 시트의 전방 하단면이 의자형상으로 경사각을 형성하고, 암버클과 수버클을 분리할 경우 유모차 시트의 전방 하단면이 평평하게 펼쳐진다.
이와 같이, 유모차 시트 의자형상 버클(401a)의 체결 및 분리를 통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유모차 시트의 하단면 형상을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410), 유모차 전방 프레임(420), 유모차 후방 프레임(430), 유모차 캐노피 프레임(440), 핸드바(450)로 구성된다.
상기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410)는 유모차 프레임의 상단 중앙에 좌·우측 대칭으로 회전축을 이루는 원형 프레임 형상으로, 하단에 돌출된 결합핀(411)이 결합 브라켓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유모차 프레임을 축 결합시켜 회전 및 고정시키고, 유모차 프레임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결합핀(411)은 내측면 하단 중앙에 돌기삽입홈이 형성되어, 결합핀이 전체적으로 결합 브라켓의 상단 결합홈(123a)에 삽입되고, 돌기삽입홈(411a)에 측면 탈착 스위치(123b)의 내측 돌기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여기서, 결합 브라켓의 외측면 중앙에 형성된 측면 탈착 스위치(123b)를 내측방향으로 누르면 돌기삽입홈(411a)에 삽입되었던 내측 돌기가 분리되어 결합핀(411)을 상단방향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체 프레임(100)에서 유모차 프레임(400)을 용이하게 탈결합할 수 있다.
상기 유모차 전방 프레임(420)은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의 상단 회전축 전방에 축 결합된 프레임 형상으로,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전방을 형성하며 유모차 프레임의 전방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모차 후방 프레임(430)은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의 상단 회전축 후방에 축 결합된 프레임 형상으로,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후방을 형성하며 유모차 프레임의 후방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유모차 각도조절 손잡이(431), 유모차 캐노피 결합돌기(432)가 포함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유모차 각도조절 손잡이(431)는 유모차 후방 프레임의 후면 외측 중앙에 형성된 손잡이 형성으로, 손잡이를 들어올리면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와 내부에 연결된 와이어가 당겨지며 회전축을 분리시켜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410)를 기준으로 유모차 프레임(400)을 회전시킬 수 있고, 손잡이를 내려놓으면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와 내부에 연결된 와이어가 풀리며 회전축을 고정시켜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410)를 기준으로 유모차 프레임(400)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유모차 캐노피 결합돌기(432)는 유모차 후방 프레임의 좌·우측 정면 상단에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상단에 유모차 캐노피 프레임의 유모차 캐노피 결합홈(441)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결합된다.
상기 유모차 캐노피 프레임(440)은 유모차 후방 프레임의 상단 전방 일측에 좌·우 대칭으로 결합되고, 좌·우 측면이 평행을 이루며 끝단이 라운드져 직각으로 연결된 프레임이 회전축을 통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며 유모차 프레임의 상단에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좌·우측 하단에 대칭으로 유모차 캐노피 결합홈(441)이 형성되어 유모차 캐노피 결합돌기(432)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고, 후방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상단 지퍼가 유모차 후방 프레임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하단 지퍼와 지퍼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체결된다.
상기 핸드바(450)는 좌·우 길이방향으로 라운드져 형성된 바(bar) 형상으로 좌·우측 끝단이 직각으로 평행을 이루며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 내측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드 결합부(451)가 형성되고, 내측면 일측에 중심축 결합부의 내측면 중앙에 형성되는 핸드바 탈착 돌기와 맞물리는 탈착홈(451a)이 형성되어 고정된다.
이는 유모차 모드 형상으로 탑승한 아이가 진행방향으로 고꾸라지는 것을 방지하고, 아이가 팔을 편안히 내려놓거나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프레임(400)은 정방향 유모차 프레임 고정 모드(400a), 역방향 유모차 프레임 고정 모드(400b), 요람 유모차 프레임 모드(400c)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모드로 결합된다.
상기 정방향 유모차 프레임 고정 모드(400a)는 유모차 프레임의 전방이 정면을 바라보도록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41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핀(411)을 결합 브라켓(123)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형상이다.
이는 아이가 유아용 웨건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을 바라보도록 하여 시야가 트이고 개방감을 준다.
상기 역방향 유모차 프레임 고정 모드(400b)는 유모차 프레임의 전방이 후면을 바라보도록 전체적으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41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핀(411)을 결합 브라켓(123)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형상이다.
이는 아이가 유아용 웨건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을 바라보도록 하여 보호자와 시선을 마주치도록 하여 아이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고, 보호자가 아이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요람 유모차 프레임 모드(400c)는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를 기준으로 유모차 전방 프레임과 유모차 후방 프레임이 수평을 이루도록 유모차 프레임을 회전시키고, 유모차 시트의 전방과 후방 바닥면이 평평하게 펼쳐진 형상이다.
이는 개월수가 적어 앉기 어려운 유아기의 아이를 탑승시킬 경우 사용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웨건 캐노피 프레임(5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웨건 캐노피 프레임(500)은 웨건 캐노피의 몸체를 형성하는 캐노피 형상으로, 좌·우 대칭 중앙에 위치한 캐노피 중심축 결합부(510)의 전·후방을 기준으로 좌·우 측면이 평행을 이루며 끝단이 라운드져 직각으로 연결된 프레임이 회전축을 통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며 본체 프레임의 상단에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캐노피 중심축 결합부(510)는 캐노피 프레임의 중앙 하단에 좌·우 대칭으로 회전축을 이루는 원형 프레임 형상으로, 하단에 돌출된 결합핀(511)이 결합 브라켓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유모차 프레임을 축 결합시켜 회전 및 고정시키고, 유모차 프레임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결합핀(511)은 내측면 하단 중앙에 돌기삽입홈(511a)이 형성되어, 결합핀이 전체적으로 결합 브라켓의 상단 결합홈(123a)에 삽입되고, 돌기삽입홈(511a)에 측면 탈착 스위치(123b)의 내측 돌기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여기서, 결합 브라켓의 외측면 중앙에 형성된 측면 탈착 스위치(123b)를 내측방향으로 누르면 돌기삽입홈(511a)에 삽입되었던 내측 돌기가 분리되어 결합핀(511)을 상단방향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체 프레임(100)에서 웨건 캐노피 프레임(400)을 용이하게 탈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본체 프레임의 구성인 제1 전방 경사 프레임, 제2 전방 경사 프레임, 후방 경사 프레임을 펼치며 웨건 프레임의 하단 지지 프레임이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웨건 프레임의 전방 지지 프레임과 후방 지지 프레임을 수직으로 회전시켜 고정한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유아기의 아이를 탑승시킬 경우 본체 프레임의 결합 브라켓 상단에 유모차 프레임을 결합한다.
이때, 아이의 개월수 및 컨디션에 따라 요람 유모차 프레임 모드, 정방향 유모차 프레임 고정모드, 역방향 유모차 프레임 고정모드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모드로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자녀의 신체성장 및 자녀 명수에 따라 유모차 모드, 유모차 + 유아용 웨건모드 , 유아용 웨건모드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모드를 형성한다.
이때,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아이의 개월수가 적은 유아기의 아이가 있는 한자녀 가정의 경우에 적은 짐을 실을 경우, 본체 프레임의 상단에 유모차 프레임을 설치하고, 웨건 프레임의 전방 지지 프레임을 제1 전방 경사 프레임과 평행을 이루도록 접고, 후방 지지 프레임을 후방 경사 프레임과 평행을 이루도록 접어서 유모차 모드를 형성한다.
이때,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아이의 개월수가 적은 유아기의 아이가 있는 한자녀 가정의 경우에 많은 짐을 실을 경우나, 유아기의 아이와 어린이가 있는 두자녀 가정의 경우, 본체 프레임의 상단에 유모차 프레임을 설치하고, 웨건 프레임의 전방 지지 프레임, 후방 지지 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세워 유모차 + 유아용 웨건모드를 형성한다.
이때,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아이의 성장에 따라 키 및 몸무게가 커진 어린이가 있는 한자녀 또는 두자녀 가정의 경우, 본체 프레임의 상단에 웨건 캐노피 프레임을 설치하고, 웨건 프레임의 전방 지지 프레임, 후방 지지 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세워 유아용 웨건모드를 형성한다.
100 : 본체 프레임 110 : 제1 전방 경사 프레임
120 : 제2 전방 경사 프레임 130 : 후방 경사 프레임
200 : 웨건 프레임 210 : 전방 지지 프레임
220 : 전방 보조 링크 프레임 230 : 후방 지지 프레임
240 : 후방 보조 링크 프레임 250 : 하단 지지 프레임
300 : 차륜부 310 : 전륜부
320 : 후륜부 400 : 유모차 프레임
410 :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 420 : 유모차 전방 프레임
430 : 유모차 후방 프레임 440 : 유모차 캐노피 프레임
450 : 핸드바 500 : 웨건 캐노피 프레임

Claims (9)

  1. 측면 중앙에 회전축이 형성된 직선형 프레임이 전방으로 경사지고, 중앙 회전축의 하단에 후방으로 경사진 프레임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유모차의 몸체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며, 중앙 회전축을 기준으로 힌지 구조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는 본체 프레임(100)과,
    본체 프레임의 좌·우 내측면에 결합된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으로, 중앙 하단에 회전축이 형성되어 중앙 회전축을 기준으로 힌지 구조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하고 웨건 시트를 지지하는 웨건 프레임(200)과,
    본체 프레임의 전방 하단에 결합된 전륜부와 후방 하단에 결합된 후륜부가 좌·우측에 대칭으로 결합된 구동바퀴 형상으로 유아용 웨건을 구동시키는 차륜부(300)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중앙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경사지며 전방 하단에 결합된 프레임 형상으로, 차륜부의 전방을 지지하는 전륜부와 결합되고, 웨건 프레임의 전방 측면을 지지하는 제1 전방 경사 프레임(110)과,
    중앙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 전방 경사 프레임과 대칭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경사지며 후방 상단에 결합된 프레임 형상으로, 후단 끝단에 좌·우측을 연결하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핸들 역할을 하도록 제2 전방 경사 프레임의 하단 일측 좌·우측에 대칭으로 결합되는 프레임 형상으로, 하단이 제2 전방 경사 프레임에 관통 결합되고, 상단면이 수평을 이루며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상단 결합홈이 형성되며, 외측면 중앙 일측에 측면 탈착 스위치가 형성되는 결합 브라켓(123)이 포함되는 제2 전방 경사 프레임(120)과,
    중앙 회전축의 하단에 후방으로 경사지며 결합된 프레임 형상으로, 차륜부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륜부와 결합되고, 웨건 프레임의 후방 측면을 지지하는 후방 경사 프레임(130)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 브라켓(123)은
    유모차의 몸체를 형성하는 직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좌·우 대칭 중앙에 위치한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의 전·후방을 기준으로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이 형성되어 유모차 시트를 지지하고, 중심축 결합부를 기준으로 유모차 시트의 고정 각도를 가변하는 유모차 프레임(400)과,
    웨건 캐노피의 몸체를 형성하는 캐노피 형상으로, 좌·우 대칭 중앙에 위치한 캐노피 중심축 결합부의 전·후방을 기준으로 좌·우 측면이 평행을 이루며 끝단이 라운드져 직각으로 연결된 프레임이 회전축을 통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며 본체 프레임의 상단에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웨건 캐노피 프레임(500)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프레임이 탈결합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방 경사 프레임(120)은
    제2 전방 경사 프레임의 평행하는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의 내측면에 각각 대칭으로 길이방향 슬라이드 구조의 폴딩 슬라이드 스위치가 형성되고, 좌·우 어느 한쪽에 회전축 회전구조로 폴딩 슬라이드 스위치의 슬라이드 이동을 잠금 또는 풀림시키는 폴딩 안전바가 형성되어, 폴딩 슬라이드 스위치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본체 프레임을 폴딩시키는 폴딩 안전 스위치(121)와,
    손잡이부의 중앙 하단에 돌출버튼 누름 방식으로 형성되어 제2 전방 경사 프레임의 길이방향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 스위치(122)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유모차 프레임(400)은
    유모차 프레임의 전방이 정면을 바라보도록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41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핀(411)을 결합 브라켓(123)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정방향 유모차 프레임 고정 모드(400a)와,
    유모차 프레임의 전방이 후면을 바라보도록 전체적으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41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핀(411)을 결합 브라켓(123)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역방향 유모차 프레임 고정 모드(400b)와,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를 기준으로 유모차 전방 프레임과 유모차 후방 프레임이 수평을 이루도록 유모차 프레임을 회전시키고, 유모차 시트의 전방과 후방 바닥면이 평평하게 펼쳐진 요람 유모차 프레임 모드(400c)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모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7. 제1항에 있어서 유모차 프레임(400)은
    유모차 프레임의 상단 중앙에 좌·우측 대칭으로 회전축을 이루는 원형 프레임 형상으로, 하단에 돌출된 결합핀이 결합 브라켓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유모차 프레임을 축 결합시켜 회전 및 고정시키고, 유모차 프레임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410)와,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의 상단 회전축 전방에 축 결합된 프레임 형상으로,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전방을 형성하며 유모차 프레임의 전방을 지지하는 유모차 전방 프레임(420)과,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의 상단 회전축 후방에 축 결합된 프레임 형상으로,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후방을 형성하며 유모차 프레임의 후방을 지지하는 유모차 후방 프레임(430)과,
    유모차 후방 프레임의 상단 전방 일측에 좌·우 대칭으로 결합되고, 좌·우 측면이 평행을 이루며 끝단이 라운드져 직각으로 연결된 프레임이 회전축을 통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며 유모차 프레임의 상단에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유모차 캐노피부(440)와,
    좌·우 길이방향으로 라운드져 형성된 바(bar) 형상으로 좌·우측 끝단이 직각으로 평행을 이루며 유모차 중심축 결합부 내측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드 결합부(451)가 형성되고, 내측면 일측에 중심축 결합부의 내측면 중앙에 형성되는 핸드바 탈착 돌기와 맞물리는 탈착홈(451a)이 형성되어 고정되는 핸드바(4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8. 제1항에 있어서 웨건 프레임(200)은
    웨건 프레임의 전방을 이루고, 좌·우측 프레임이 대칭으로 평행하고 전방이 수직방향으로 라운드져 연결된 프레임 형상으로, 끝단이 회전축 형상으로 하단 지지 프레임의 전방 일측과 축 결합되는 전방 지지 프레임(210)과,
    전방 끝단이 전방 지지 프레임의 좌·우측 일측에 대칭으로 결합되어 회전축 연결되고, 후방 끝단이 본체 프레임의 전방 하단 일측과 결합되어 회전축 연결되는 링크 프레임 형상의 전방 보조 링크 프레임(220)과,
    웨건 프레임의 후방을 이루고, 좌·우측 프레임이 대칭으로 평행하고 후방이 수직방향으로 라운드져 연결된 프레임 형상으로, 끝단이 회전축 형상으로 하단 지지 프레임의 후방 일측과 축 결합되는 후방 지지 프레임(230)과,
    후방 끝단이 후방 지지 프레임의 좌·우측 일측에 대칭으로 결합되어 회전축 연결되고, 전방 끝단이 본체 프레임의 후방 하단 일측과 결합되어 회전축 연결되는 링크 프레임 형상의 후방 보조 링크 프레임(240)과,
    전방 지지 프레임, 후방 지지 프레임의 내측 하단에 회전축 결합된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하단 중앙 링크 프레임이 형성되고, 중앙 링크 프레임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전방에 위치한 전방 받침 프레임과 후방에 위치한 후방 받침 프레임이 대칭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키는 하단 지지 프레임(2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9. 제8항에 있어서 전방 지지 프레임(210)은
    좌·우측 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라운드져 연결된 전방 프레임의 중앙 상단에 좌·우 슬라이드 방식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 전방 지지 안전 스위치(211)와,
    좌·우측 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라운드져 연결된 전방 프레임의 중앙 하단에 돌출버튼 누름 방식으로 형성되어 누름 이동되는 제2 전방 지지 안전 스위치(212)를 동시에 스위칭하여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KR1020200085159A 2020-07-10 2020-07-10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KR102297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159A KR102297087B1 (ko) 2020-07-10 2020-07-10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PCT/KR2021/007149 WO2022010111A1 (ko) 2020-07-10 2021-06-08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159A KR102297087B1 (ko) 2020-07-10 2020-07-10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087B1 true KR102297087B1 (ko) 2021-09-02

Family

ID=77794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159A KR102297087B1 (ko) 2020-07-10 2020-07-10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7087B1 (ko)
WO (1) WO20220101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2462B1 (en) 2021-11-15 2022-10-18 Bran-New International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5951A (ja) * 2014-06-16 2016-01-14 サイベックス ゲーエムベーハー ベビーカーフレーム及びベビーカー
KR101672853B1 (ko) * 2016-06-24 2016-11-04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101697544B1 (ko) * 2016-09-01 2017-01-18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101719132B1 (ko) * 2016-10-28 2017-03-23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
KR200483642Y1 (ko) * 2016-12-21 2017-06-09 신진숙 유아용 웨건
KR101894460B1 (ko) 2018-04-10 2018-09-04 김미진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5951A (ja) * 2014-06-16 2016-01-14 サイベックス ゲーエムベーハー ベビーカーフレーム及びベビーカー
KR101672853B1 (ko) * 2016-06-24 2016-11-04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101697544B1 (ko) * 2016-09-01 2017-01-18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101719132B1 (ko) * 2016-10-28 2017-03-23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
KR200483642Y1 (ko) * 2016-12-21 2017-06-09 신진숙 유아용 웨건
KR101894460B1 (ko) 2018-04-10 2018-09-04 김미진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2462B1 (en) 2021-11-15 2022-10-18 Bran-New International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0111A1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548B2 (en) Standing baby stroller
US4836573A (en) Combination infant stroller and baby bassinet
KR101894460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US6585284B2 (en) Child stroller with height-adjustable rear seat
US7017924B1 (en) Foldable baby walker
US20020002741A1 (en) Baby bouncer/bassinet
US11097761B2 (en) Wagon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US20160128491A1 (en) A combination of child carrier and stroller
KR102297086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US11465664B1 (en)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US20210291886A1 (en) Wagon for carrying children
KR950007778B1 (ko) 안전시트 겸용 유모차
KR102372031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102297087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EP0832811B1 (en) Bicycle baby-seat
CN209898878U (zh) 一种可折叠的床边床
KR102297090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CN205652181U (zh) 一种新型婴儿车
KR102415226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US3094339A (en) Convertible baby carriage
TWM453624U (zh) 雙人座嬰兒車結構
JPH0427065B2 (ko)
CN216416629U (zh) 一种多功能床边床
KR20240034034A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200495263Y1 (ko) 절첩식 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