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132B1 -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 - Google Patents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132B1
KR101719132B1 KR1020160142405A KR20160142405A KR101719132B1 KR 101719132 B1 KR101719132 B1 KR 101719132B1 KR 1020160142405 A KR1020160142405 A KR 1020160142405A KR 20160142405 A KR20160142405 A KR 20160142405A KR 101719132 B1 KR101719132 B1 KR 101719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gon
stroller
rotatio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예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60142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132B1/ko
Priority to PCT/KR2017/010006 priority patent/WO201808001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5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62B9/203Handle bars; Handles movable from front end to rear en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유아의 개월 수에 따라 키와 몸무게가 부쩍 성장하여 2~3년이 지나면 공간이 상대적으로 비좁아져 유모차를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짧고, 유모차에 탈 나이가 지난 5세 이상의 어린이도 외출시에 힘들거나 피곤함을 느껴 야외 이동시 아이가 편안함을 느끼고 안락하게 쉴 수 있는 이동수단으로 유아용 웨건을 추가로 구매하여, 유모차와 유아용 웨건을 각각 구입하여 구입비용의 부담이 발생하고, 아이의 성장에 따라 사용기간이 길지 않아 효율적이지 못하며, 유모차의 경우 사용시기가 지나면 부피만 차지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체 메인 지지 프레임에 유모차 모드, 쌍둥이 유모차 모드, 웨건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여 탈부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유아의 성장상태에 따라 탈부착 프레임의 조립 및 분해를 통해 유모차 모드, 쌍둥이 유모차 모드, 웨건 모드로 변환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의 축 간격을 단축시켜 필요에 따라 사용활용도를 높이고, 프레임의 탈결합이나 접이시 또는 분해시 프레임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신체의 일부가 끼이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갓난 아이때부터 어린이까지 형태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MULTIFUNCTIONAL BABY WAGON WITH A REMOVABLE FRAME}
본 발명은 유아용 웨건을 유아의 성장 및 인원 등 각기 다른 가정 환경에 따라 프레임을 탈결합하여 유모차 모드, 쌍둥이 유모차 모드, 웨건 모드로 가변하여 영아기, 유아기, 아동청소년기의 성장기간 동안 이동수단의 교체없이 하나의 어린이 이동수단을 지속적으로 활용하여 실용성을 향상시키고, 어린이의 성장속도에 따라 유모차와 웨건을 각각 구입할 필요가 없어 초기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에 관한 것이다.
유아가 있는 일반 가정에서 외출시 유모차는 필수품이 되어 다양한 형태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유모차는 유아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생산되는데 비해 유아는 개월 수에 따라 키와 몸무게가 부쩍 성장하여 2~3년이 지나면 공간이 상대적으로 비좁아져 유모차를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쌍둥이 또는 다자녀의 경우에도 다양한 형태의 쌍둥이 유모차가 판매되고 있지만 역시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길지 않고 유모차에 탈 나이가 지난 5세 이상의 어린이도 외출시에 힘들거나 피곤함을 느끼면 보호자에게 업거나 안아달라고 하는 등 부모의 피로를 가중시키고 아이도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야외 이동시 아이가 편안함을 느끼고 안락하게 쉴 수 있는 이동수단으로 유아용 웨건을 추가로 구매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유모차와 유아용 웨건을 각각 구입할 경우 2중으로 초기 구입비용이 발생하고, 아이의 성장에 따라 사용기간이 길지 않아 효율적이지 못하고 유모차의 경우 사용시기가 지나면 부피만 차지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유아의 성장상태에 따라 탈부착 프레임의 조립 및 분해를 통해 유모차 모드, 쌍둥이 유모차 모드, 웨건 모드로 변환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의 축 간격을 단축시켜 필요에 따라 사용활용도를 높이고, 프레임의 탈결합이나 접이시 또는 분해시 프레임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신체의 일부가 끼이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갓난 아이때부터 어린이까지 형태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은,
직사각 형상의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이 수평으로 형성되고 내측 길이방향으로 받침판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받침 프레임과, 'ㄷ'자 형상으로 받침 프레임의 전면에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웨건 프레임 및 유모차 프레임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경사 프레임이 결합되어 측면이 'ㅅ'자 형상으로 유아용 웨건의 몸체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전면 하단을 기준으로 힌지 구조로 회전되며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는 본체 메인 지지 프레임이 이루어지고,
측면 경사 프레임의 측면중앙 일측 좌·우 내측방향에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이 결합되고, 유모차용 시트를 결합하여 유모차 형태로 사용되는 유모차 모드와,
측면 경사 프레임의 측면중앙 일측 좌·우 내측방향에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제1 유모차 프레임이 결합되고, 받침 프레임의 측면후방 일측 좌·우 내측방향에 직사각형상 테두리 형상의 제2 유모차 프레임이 결합되며 각각 유모차용 시트를 결합하여 쌍둥이 유모차 형태로 사용되는 쌍둥이 유모차 모드와,
측면 경사 프레임의 측면중앙 일측 좌·우방향에 받침 프레임과 수평으로 이격된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이 결합되고, 웨건용 시트를 결합하여 웨건 형태로 사용되는 웨건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여 본체 메인 지지 프레임에 탈부착되어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아의 성장상태에 따라 탈부착 프레임의 조립 및 분해를 통해 유모차 모드, 쌍둥이 유모차 모드, 웨건 모드로 변환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의 축 간격을 단축시켜 필요에 따라 사용활용도를 높이고, 프레임의 탈결합이나 접이시 또는 분해시 프레임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신체의 일부가 끼이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갓난 아이때부터 어린이까지 형태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성장기가 지난 어린이의 가정의 경우 물건을 싣는 짐수레 역할로도 활용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메인 지지 프레임에 유모차 모드, 쌍둥이 유모차 모드, 웨건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여 탈부착하여 형성되는 유아용 웨건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메인 지지 프레임의 측면을 도시하고 구성요소를 표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 프레임의 후면 중앙에 결합된 브레이크부의 구성요소를 상단방향에서 표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 프레임의 후면 중앙에 결합된 브레이크부의 구성요소를 하단방향에서 표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프레임의 형상과 손잡이 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핸들 길이조절 버튼이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경사 프레임의 하단 일측에 상단 잠금 이동브래킷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원통형 프레임의 하단 내측에 길이조절 후크가 와이어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 프레임의 정면에 형성된 메인 축 고정부의 축 회전에 의해 측면 경사 프레임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접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받침 프레임과 측면 경사 프레임의 사이에 결합된 접이식 회전 잠금장치가 대칭 회전 연결봉을 통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결합잠금 버튼과 제2 결합잠금 버튼이 잠겨있는 상태와, 제1 결합잠금 버튼이 눌러지며 제2 결합잠금 버튼의 내측 상단에 돌출된 내측 돌출바가 상승하고, 하단에 연결된 회전잠금 와이어가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방지 프레임이 고정된 상태와, 회전잠금 와이어가 상승하며 회전방지 프레임이 회전방지 탈착핀을 하단방향으로 밀어내며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경사 브래킷에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경사 브래킷의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내부 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결합잠금 버튼을 하강시키고, 제2 결합잠금 버튼을 눌러 결합핀 돌기를 탈착시키는 상태를 투영하여 도시한 내부 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륜 구동부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구성요소를 표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메인지지 프레임에 유모차 모드를 결합하여 형성된 유아용 웨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메인지지 프레임에 유모차 모드를 결합하여 형성된 유아용 웨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구성요소를 표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와 유모차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지지 외측기어에 회전지지 내측 기어가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기어탈착 버튼을 화살표 눌러 회전지지 외측기어에 회전지지 내측 기어가 맞물리도록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캐노피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메인지지 프레임에 쌍둥이 유모차 모드를 결합하여 형성된 유아용 웨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메인지지 프레임에 쌍둥이 유모차 모드를 결합하여 형성된 유아용 웨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구성요소를 표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경사 프레임의 일측에 'ㄱ'자형 중간 체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경사 브래킷의 상단에 삽입되는 'ㄱ'자형 중간 체결부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단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와 상단 유모차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지지 외측기어에 회전지지 내측 기어가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기어탈착 버튼을 화살표 눌러 회전지지 외측기어에 회전지지 내측 기어가 맞물리도록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상단 유모차 캐노피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와 하단 유모차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지지 외측기어에 회전지지 내측 기어가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기어탈착 버튼을 화살표 눌러 회전지지 외측기어에 회전지지 내측 기어가 맞물리도록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 유모차 캐노피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메인지지 프레임에 웨건 모드를 결합하여 형성된 유아용 웨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메인지지 프레임에 웨건 모드를 결합하여 형성된 유아용 웨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구성요소를 표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웨건 프레임 메인 지지대와 웨건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지지 외측기어에 회전지지 내측 기어가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기어탈착 버튼을 화살표 눌러 회전지지 외측기어에 회전지지 내측 기어가 맞물리도록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웨건 캐노피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웨건 캐노피가 결합된 웨건 모드의 구성요소를 표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웨건 캐노피가 결합된 웨건 모드의 구성요소를 표시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웨건 프레임의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웨건 프레임 보조지지대가 고정 클립 형태로 결합된 상태와 고정 클립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받츰 프레임의 하단 일측에 웨건 프레임 보조 지지대를 내측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눕힌 후, 고정클립 체결부에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웨건 시트부의 360°회전지퍼가 잠긴 상태에서 360°회전지퍼를 열어 내부에 접혀진 시트를 펼쳐 웨건 시트부의 높이를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도,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부를 상하 내측방향으로 접은 후 상단 소켓 원반부와 하단 볼 원반부로 이루어진 스냅 단추를 닫고 웨건 시트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360°회전 지퍼를 닫아 웨건 시트부의 높이를 절반으로 낮추는 상태를 나타낸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메인 지지 프레임에 유모차 모드, 쌍둥이 유모차 모드, 웨건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여 탈부착하여 형성되는 유아용 웨건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본체 메인 지지 프레임(100)에 유모차 모드(200), 쌍둥이 유모차 모드(300), 웨건 모드(400)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여 탈부착됨으로써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메인 지지 프레임(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본체 메인 지지 프레임(100)은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이 수평으로 형성되고 내측 길이방향으로 받침 보조판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받침 프레임과, 'ㄷ'자 형상으로 받침 프레임의 전면에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웨건 프레임 및 유모차 프레임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경사 프레임이 결합되어 측면이 'ㅅ'자 형상으로 유아용 웨건(1)의 몸체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전면 하단을 기준으로 힌지 구조로 회전되며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받침 프레임(110), 측면 경사 프레임(120), 접이식 회전 잠금장치(130), 측면 경사 브래킷(140), 구동 바퀴(15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받침 프레임(1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받침 프레임(110)은 본체 메인 지지 프레임의 하단을 이루고 수평으로 형성된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으로 전면에 측면 경사 프레임과 축 결합되는 메인축 고정부가 형성되고, 전방 일측과 후방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받침 보조 지지봉이 결합되고, 전·후방향 받침 보조 지지봉의 사이에 받침 보조판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후면 프레임 중앙에 브레이크부(111)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브레이크부(111)는 브레이크 프레임(111a), 브레이크 패드 기어부(111b), 브레이크 동력전달기어(111c), 브레이크 마찰 기어부(111d)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레이크 프레임(111a)은 받침 프레임의 후면 중앙에 결합된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전방 측면으로 받침 프레임의 후면 내측에 이격된 후면 지지봉의 중앙에 관통되어 지지되고, 후방 측면으로 측면 받침 프레임의 후면 중앙에 관통되어 지지된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 기어부(111b)는 받침 프레임의 후방 중앙 둘레를 따라 직선기어 형상의 톱니가 형성되고, 상단방향으로 브레이크 프레임의 후단 홈에 일치하는 직사각 형상의 패드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누름제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며 브레이크 동력전달기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레이크 동력전달기어(111c)는 브레이크 프레임에 수용되고 원형 직선기어 형상으로 브레이크 패드 기어부의 톱니와 맞물려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회전력을 브레이크 마찰 기어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레이크 마찰 기어부(111d)는 브레이크 프레임에 수용되고 상단 전면에 마찰패드가 돌출된 직선기어 형상으로, 후면 지지봉 중앙에 결합되며 브레이크 동력전달기어의 톱니와 맞물려 정방향으로 회전되며 마찰패드를 회전시켜 브레이크 프레임의 내측에 마찰력을 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측면 경사 프레임(1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측면 경사 프레임(120)은 전방 좌우측면 끝단이 받침 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된 메인축 고정부에 축 결합된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외부 원통형 프레임(121), 손잡이 프레임(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원통형 프레임(121)은 측면 경사 프레임의 하단부를 이루며 내측방향으로 손잡이 프레임의 좌우측 하단을 수용하며 내측방향으로 길이조절 후크가 탈결합되는 후크 삽입홈이 길이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손잡이 프레임의 상하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 프레임(122)은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외부 원통형 프레임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하단이 각각 삽입되고, 상단 내측 방향으로 핸들 길이조절 버튼이 형성되며, 핸들 길이조절 버튼의 좌우측 끝단에 길이조절 후크가 연결된 와이어가 결합되어 핸들 길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핸들 길이조절 버튼(122a), 핸들 와이어(122b), 길이조절 후크(122c)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프레임(122)은 후방 중앙에 내측 방향으로 핸들 길이조절 버튼(122a)이 돌출되고, 내측방향으로 좌·우측 끝단이 각각 핸들 와이어(122b)와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좌·우측에 대칭으로 연결된 핸들 와이어(122b)는 하단 끝단이 스프링이 내장된 외부 원통형 프레임의 내측 하단 끝단과 연결되고, 하단 일측에 좌·우 대칭으로 길이조절 후크(122c)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길이조절 후크(122c)가 외부 원통형 프레임(121)의 내측면에 길이방향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된 길이조절핀 삽입홈(121a)에 삽입되어 손잡이 프레임(122)을 고정시킨다.
이때 핸들 길이조절 버튼(122a)을 내측 방향으로 누르면 좌·우측 끝단에 연결된 핸들 와이어가 당겨지며 길이조절 후크(122c)가 외부 원통형 프레임의 길이조절핀 삽입홈(121a)에서 탈착되며 핸들 와이어(122b)의 길이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되며 손잡이 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고, 손잡이 프레임의 길이를 보호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하고 길이조절핀 삽입홈에 길이조절 후크(122c)를 일치시켜 결합시킨 후 누르고 있던 핸들 길이조절 버튼(122a)을 놓으면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에 의해 위치가 복원되며 손잡이 프레임(122)이 고정된다.
즉, 핸들 길이조절 버튼(122)을 누르면 손잡이 프레임의 길이방향 이동이 자유로워져 길이조절이 가능해지고, 핸들 길이조절 버튼(122)을 놓으면 손잡이 프레임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인 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외부 원통형 프레임(121)의 상단에 삽입된 손잡이 프레임(122)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손잡이 프레임(122)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접이식 상태에서는 손잡이 프레임(122)이 외부 원통형 프레임(121)에 최대로 삽입되도록 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회전 잠금장치(1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접이식 회전 잠금장치(130)는 좌우측에 대칭으로 결합된 받침 프레임과 측면 경사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고, 측면 경사 프레임의 중앙 일측에 위치한 2중 잠금버튼과 연결되어 메인축 고정부의 축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측면 경사 프레임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회전잠금 버튼(131), 제2 회전잠금 버튼(132), 회전잠금 와이어(133), 상단 잠금 이동브래킷(134), 하단 잠금 고정브래킷(135), 잠금 지지대(136), 대칭 회전 연결봉(137)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회전잠금 버튼(131)은 측면 경사 프레임의 중앙 일측에 내측방향으로 누름 버튼이 돌출되고, 돌출버튼 내측 반대방향으로 스프링(131a)이 삽입되어 형성된 'ㄱ'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제2 회전잠금 버튼의 상승 이동을 차단하여 잠금 지지대의 회전을 1차로 잠궈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회전잠금 버튼(131)은 대칭으로 이루어진 측면 경사 프레임(120)의 우측방향에만 형성된다.
이는 2중 잠금장치를 좌·우측 양쪽에 설치할 경우 보호자가 양 손으로 잠금장치를 해제하기 번거로움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 회전잠금 버튼(132)은 측면 경사 프레임의 측면전방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측면 경사 프레임의 중앙 일측에 하단방향으로 누름버튼이 돌출되고, 누름 버튼 내측 상단방향으로 내측 돌출바(132a)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측 하단방향 일측에 회전잠금 와이어(133)가 연결되어 승하강을 통해 회전잠금 와이어를 이동시켜 잠금 지지대의 회전을 2차로 잠궈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회전잠금 버튼(131)과 제2 회전잠금 버튼(132)의 2중 잠금구조를 통해 측면 경사 프레임이 부주의 및 보호자의 실수로 고정되지 않고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잠금 와이어(133)는 측면 경사 프레임의 측면전방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단 끝단이 제2 회전잠금 버튼(132)의 내측 하단방향에 연결되고, 하단 끝단이 대칭 회전 연결봉(137)에 연결되며, 중앙 일측에 회전방지 프레임(134a)가 연결되어, 제2 회전잠금 버튼의 승하강 이동에 따라 당김 및 풀림을 반복하며 회전방지 프레임(134a)을 승하강 시키고, 대칭 회전 연결봉(137)의 회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단 잠금 이동브래킷(134)은 측면 경사 프레임의 측면전방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회전방지 프레임(134a)과 회전방지 탈착핀(134b)이 형성되어 하단에 축 결합된 잠금 지지대의 상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회전방지 프레임(134a)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잠금 와이어(133)가 상승하면 하단 맞닿으며 돌출된 회전방지 탈착핀(134b)을 하단방향으로 밀어내며 상승되어 측면 경사 프레임의 상단방향으로 이동되며 메인 축 고정부(112)를 기준으로 측면 경사 프레임을 하단방향으로 회전시켜 접혀지도록 하고, 측면 경사 프레임(120)이 세워진 상태로 회전잠금 와이어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하강하며 회전방지 탈착핀(134b)이 상단 잠금 이동브래킷(134)의 하단 일측을 막아 고정시켜 측면 경사 프레임의 회전을 차단한다.
이때 회전방지 프레임(134a)의 하단에 돌출된 회전방지 탈착핀(134b)은 돌출핀의 반대방향에 스프링(134c)이 형성되어 회전방지 탈착핀(134b)이 상승복원되도록 한다.
즉, 회전방지 탈착핀(134b)을 통해 회전방지 프레임(134a)의 상하방향 이동을 차단제어한다.
상기 하단 잠금 고정브래킷(135)은 받침 프레임의 측면전방 좌·우측에 대칭으로 고정되고, 축 결합된 잠금 지지대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잠금 지지대(136)는 상단이 상단 잠금 이동브래킷(134)과 축 결합되고, 하단이 하단 잠금 고정브래킷(135)과 축 결합되어 형성되고, 하단 잠금 고정브래킷(135)을 기준으로 축방향 회전 및 고정되며 상단 잠금 이동브래킷(134)을 이동 및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대칭 회전 연결봉(137)은 메인 축 고정부의 중심축에 형성되고, 좌·우측 끝단에 회전 각을 조절하는 회전각 조절부(137a)가 결합된 봉 형상으로, 회전잠금 와이어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좌·우 대칭으로 회전되며 측면 경사 프레임(120)을 대칭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측면 경사 브래킷(1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측면 경사 브래킷(140)은 측면 경사 프레임의 측면 중앙 일측 좌·우측에 대칭으로 결합되고, 내측방향으로 상단면이 수평을 이루며 상단면에 체결부 결합핀(211b)이 삽입되는 결합핀 삽입홈(143)이 형성되고, 결합핀 삽입홈의 내측 수직방향으로 결합핀 돌기(211c)를 수용할 수 있는 결합핀 돌기홈(14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제1 결합잠금 버튼(141), 제2 결합잠금 버튼(142), 결합핀 삽입홈(143), 결합핀 돌기홈(144)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결합잠금 버튼(141)은 측면 경사 브래킷의 전면 일측에 내림버튼이 돌출되고, 내림 버튼 내측 상단으로 내측 돌출바(141a)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측 하단방향으로 스프링(142b)가 형성되어 제2 결합잠금 버튼의 움직임을 차단하여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의 탈착을 1차로 잠궈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결합잠금 버튼(141)은 대칭으로 이루어진 측면 경사 프레임(120)의 우측방향에만 형성된다.
이는 2중 결합잠금장치를 좌·우측 양쪽에 설치할 경우 보호자가 양 손으로 잠금장치를 해제하기 번거로움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 결합잠금 버튼(142)은 측면 경사 브래킷의 전면 일측에 돌출된 제1 결합잠금 버튼(141)의 상단에 누름버튼이 돌출되고, 내측이 역'ㄷ'자 형태의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핀 돌기(211c)를 결합 및 분리시켜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의 탈착을 2차로 잠궈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결합잠금 버튼(142)이 눌러지지 않으면 결합핀 돌기(211c)를 내부 고리 형상에 고정시켜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가 탈착되는 것을 차단하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핀 돌기(211c)를 내부 고리 형상에서 분리시켜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가 탈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결합잠금 버튼(141)과 제2 결합잠금 버튼(142)의 2중 잠금구조를 통해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가 부주의 및 보호자의 실수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결합핀 삽입홈(143)은 측면 경사 브래킷(140)의 상단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홈으로,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체결부 결합핀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핀 돌기홈(144)은 결합핀 삽입홈의 내측방향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홈으로, 체결부 결합핀의 내측방향에 형성된 결합핀 돌기의 수직방향 이동 통로 역할을 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바퀴 구동부(1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바퀴 구동부(150)는 유아용 웨건(1)의 전후방향 하단에 체결되어 유아용 웨건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전륜 구동부(151), 후륜 구동부(152)로 구성된다.
상기 전륜 구동부(151)는 받침 프레임의 전방 하단 좌·우 끝단에 대칭으로 각각 결합되고, 상단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전륜 구동부의 수평방향 회전을 제어하는 전륜 회전 고정스위치가 형성되고, 상단 측면에 누름식으로 돌출되며 전륜 구동바퀴를 탈결합시키는 전륜 탈착스위치가 형성되며, 유아용 웨건의 전면 하단을 지지하며 이동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륜 회전 고정스위치(151a)를 상단방향으로 상승시키면 전륜 구동바퀴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정면방향으로 고정되어 웨건이 직선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전륜 회전 고정스위치를 하단방행으로 하강시키면 전륜 구동바퀴가 일정한 방향으로 고정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360°회전되어 원활한 방향전환을 유도하고, 방향전환시 필요한 힘을 줄여주어 보호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준다.
여기서 전륜 탈착스위치(151b)를 내측방향으로 누르면 전륜 구동바퀴가 받침 프레임의 하단에서 분리되며 탈착되고, 전륜 탈착스위치를 내측방향으로 누른 상태에서 전륜 구동바퀴를 끼움식 결합하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후륜 구동부(152)는 받침 프레임의 후방 하단 좌·우 끝단에 대칭으로 위치하고, 외측면 중앙에 누름 결합핀이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후륜 결합핀이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고, 유아용 웨건의 후면 하단을 지지하며 이동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모드(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유모차 모드(200)는 측면 경사 프레임의 측면중앙 일측 좌·우 내측방향에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이 결합되고, 유모차용 시트를 결합한 유모차 형태로 본체 메인 지지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210), 유모차 프레임(220), 유모차 캐노피(230)로 구성된다.
상기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210)는 측면 경사 프레임의 측면중앙 일측에 좌·우측 대칭으로 고정되고, 내측 상단으로 돌출되며 좌·우 내측방향으로 유모차 프레임을 축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상단 중앙이 원형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방향으로 회전지지 외측기어(211a)가 형성된 체결부 회전지지축(211)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방향으로 측면 경사 브래킷의 결합핀 삽입홈(143)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체결부 결합핀(212)이 형성되며, 체결부 결합핀의 내측면 중앙 일측에 결합핀 돌기(213)가 돌출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체결부 결합핀(212)이 수직방향으로 결합핀 삽입홈(143)에 돌출될 때 결합핀 돌기(213)가 결합핀 돌기홈(144)을 따라 하강하며 제2 결합잠금 버튼(142)의 내측에 결합되면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2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제2 결합잠금 버튼(142)이 내측방향으로 눌려지며 결합핀 돌기(213)가 분리되면 체결부 결합핀(212)을 수직방향으로 탈착이 가능하다.
상기 유모차 프레임(220)은 직사각 테두리 형상으로 좌·우 측면중앙 외측방향으로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의 상단 중심축과 축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유모차 프레임 중심축 결합부(221), 전방 유모차 프레임(222), 후방 유모차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유모차 프레임 중심축 결합부(221)는 원형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전방 유모차 프레임(222)과 후방 유모차 프레임(223)을 결합할 수 있는 날개가 형성된 프레임으로, 전·후방향 날개의 상단에 유모차 캐노피를 고정·지지하는 캐노피 고정 레일돌기(221a)가 형성되고, 외측 방향으로 회전지지 외측기어와 맞물리는 회전지지 내측기어(221b)가 형성되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기어탈착 버튼(221c)이 형성되고, 기어탈착 버튼(221c)의 돌출부의 내측 반대방향으로 스프링이 형성된다.
이‹š 기어탈착 버튼(221c)을 내측방향으로 누르면 회전지지 내측기어(221b)가 회전지지 외측기어(211a)와 맞물려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유모차 프레임(220)의 상하방향 각도를 설정할 수 있고, 누르고 있던 기어탈착 버튼(221c)을 놓으면 스프링에 의해 회전지지 내측기어(221b)가 회전지지 외측기어(211a)에서 탈착되어 유모차 프레임(220)이 축 회전이 고정된다.
이를 통해 유모차 프레임(220)의 상하방향 고정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유모차 캐노피(230)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좌·우방향 일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며 상단으로 덮혀지는 유모차 캐노피 시트를 지지하고, 상단에 설치되는 캐노피의 각도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캐노피 하단 고정부(231), 유모차 캐노피 프레임(23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캐노피 하단 고정부(231)는 하단면에 캐노피 고정 레일홈(231a)이 형성되어 유모차 프레임 중심축 결합부의 캐노피 고정 레일돌기(221a)와 맞물려 결합되어 유모차 캐노피의 하단을 지지하고, 상단 중앙 외측방향으로 제1 딸깍 회전돌기(231b)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유모차 캐노피 프레임(232)은 하단에 중앙 내측방향으로 제1 딸깍 회전돌기와 맞물리는 제2 딸깍 회전돌기(232a)가 형성되고, 상단이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단 외측면에 결합되는 유모차 캐노피 시트를 지지한다.
이때, 유모차 캐노피 프레임(232)은 보호자의 제어에 따라 좌·우측 하단부를 잡고 제1 딸깍 회전돌기와 맞물린 제2 딸깍 회전돌기를 중심축을 기준으로 톱니 수만큼 시계방향 회전시키거나 반시계방향 회전시키며 고정각을 설정한다.
이를 통해 비가 오거나 자외선이 강할시에는 유모차 프레임 상단에 결합된 유모차 캐노피(230)를 반시계방향으로 덮어 유아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보호하고, 날씨가 화창하거나 실내이동시에는 유모차 프레임 상단에 결합된 유모차 캐노피(230)를 시계방향으로 열어 개방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쌍둥이 유모차 모드(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쌍둥이 유모차 모드(300)는 측면 경사 프레임의 측면중앙 일측 좌·우 내측방향에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제1 유모차 프레임이 결합되고, 받침 프레임의 측면후방 일측 좌·우 내측방향에 직사각형상 테두리 형상의 제2 유모차 프레임이 결합되며 각각 유모차용 시트를 결합하여 쌍둥이 유모차 형태로 본체 메인 지지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상단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310), 상단 유모차 프레임(320), 상단 유모차 캐노피(330), 하단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340), 하단 유모차 프레임(350), 하단 유모차 캐노피(360)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310)는 측면 경사 프레임의 측면중앙 일측에 좌·우측 대칭으로 고정되고, 내측 상단으로 돌출되며 좌·우 내측방향으로 상단 유모차 프레임을 축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ㄱ'자형 중간 체결부(311), 유모차 프레임 체결부(312)로 구성된다.
여기서 'ㄱ'자형 중간 체결부(311)는 'ㄱ'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하단방향으로 측면 경사 브래킷의 결합핀 삽입홈(143)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중간체결부 결합핀(311a)이 형성되고, 중간체결부 결합핀의 내측면 중앙 일측에 결합핀 돌기(311a-1)가 돌출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상단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에 결합되는 상단 유모차 프레임(320)의 결합시 전방으로 이동시키며 결합높이를 상승시켜주어 하단 유모차 프레임(350)이 결합될 공간을 확보해준다.
여기서 유모차 프레임 체결부(312)는 상단 중앙이 원형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방향으로 회전지지 외측기어(312a-1)가 형성된 체결부 회전지지축(312a)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방향으로 측면 경사 브래킷의 결합핀 삽입홈(143)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체결부 결합핀(312b)이 형성되며, 체결부 결합핀의 내측면 중앙 일측에 결합핀 돌기(312c)가 돌출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체결부 결합핀(312b)이 수직방향으로 결합핀 삽입홈(143)에 돌출될 때 결합핀 돌기(312c)가 결합핀 돌기홈(144)을 따라 하강하며 제2 결합잠금 버튼(142)의 내측에 결합되면 상단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3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제2 결합잠금 버튼(142)이 내측방향으로 눌려지며 결합핀 돌기(312c)가 분리되면 체결부 결합핀(312b)을 수직방향으로 탈착이 가능하다.
상기 상단 유모차 프레임(320)은 직사각 테두리 형상으로 좌·우 측면중앙 외측방향으로 상단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의 체결부 회전지지축과 축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유모차 프레임 중심축 결합부(321), 전방 유모차 프레임(322), 후방 유모차 프레임(32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유모차 프레임 중심축 결합부(321)는 원형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전방 유모차 프레임(322)과 후방 유모차 프레임(323)을 결합할 수 있는 날개가 형성된 프레임으로, 전·후방향 날개의 상단에 유모차 캐노피를 고정·지지하는 캐노피 고정 레일돌기(321a)가 형성되고, 외측 방향으로 회전지지 외측기어와 맞물리는 회전지지 내측기어(321b)가 형성되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기어탈착 버튼(321c)이 형성되고, 기어탈착 버튼(321c)의 돌출부의 내측 반대방향으로 스프링이 형성된다.
이‹š 기어탈착 버튼(321c)을 내측방향으로 누르면 회전지지 내측기어(321b)가 회전지지 외측기어(312a-1)와 맞물려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상단 유모차 프레임(320)의 상하방향 각도를 설정할 수 있고, 누르고 있던 기어탈착 버튼(321c)을 놓으면 스프링에 의해 회전지지 내측기어(321b)가 회전지지 외측기어(312a-1)에서 탈착되어 상단 유모차 프레임(320)이 축 회전이 고정된다.
이를 통해 상단 유모차 프레임(320)의 상하방향 고정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상단 유모차 캐노피(330)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좌·우방향 일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며 상단으로 덮혀지는 유모차 캐노피 시트를 지지하고, 상단에 설치되는 캐노피의 각도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캐노피 하단 고정부(331), 유모차 캐노피 프레임(33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캐노피 하단 고정부(331)는 하단면에 캐노피 고정 레일홈(331a)이 형성되어 유모차 프레임 중심축 결합부의 캐노피 고정 레일돌기(321a)와 맞물려 결합되어 유모차 캐노피의 하단을 지지하고, 상단 중앙 외측방향으로 제1 딸깍 회전돌기(331b)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유모차 캐노피 프레임(332)은 하단에 중앙 내측방향으로 제1 딸깍 회전돌기와 맞물리는 제2 딸깍 회전돌기(332a)가 형성되고, 상단이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단 외측면에 결합되는 유모차 캐노피 시트를 지지한다.
이때, 유모차 캐노피 프레임(332)은 보호자의 제어에 따라 좌·우측 하단부를 잡고 제1 딸깍 회전돌기와 맞물린 제2 딸깍 회전돌기를 중심축을 기준으로 톱니 수만큼 시계방향 회전시키거나 반시계방향 회전시키며 고정각을 설정한다.
이를 통해 비가 오거나 자외선이 강할시에는 유모차 프레임 상단에 결합된 상단 유모차 캐노피(330)를 반시계방향으로 덮어 유아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보호하고, 날씨가 화창하거나 실내이동시에는 유모차 프레임 상단에 결합된 상단 유모차 캐노피(330)를 시계방향으로 열어 개방한다.
상기 하단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340)는 받침 프레임의 측면후방 일측에 좌·우측 대칭으로 고정되고, 내측 상단으로 돌출되며 좌·우 내측방향으로 하단 유모차 프레임을 축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상단 중앙이 원형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방향으로 회전지지 외측기어(342a-1)가 형성된 체결부 회전지지축(343a)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방향으로 받침 프레임 브래킷의 결합핀 삽입홈(342b)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체결부 결합핀(343b)이 형성되며, 체결부 결합핀의 내측면 중앙 일측에 결합핀 돌기(343c)가 돌출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체결부 결합핀(343b)이 수직방향으로 결합핀 삽입홈(342b)에 돌출될 때 결합핀 돌기(343c)가 결합핀 돌기홈(342c)을 따라 하강하며 제2 결합잠금 버튼(342)의 내측에 결합되면 하단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34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제2 결합잠금 버튼(342)이 내측방향으로 눌려지며 결합핀 돌기(343c)가 분리되면 체결부 결합핀(343b)을 수직방향으로 탈착이 가능하다.
상기 하단 유모차 프레임(350)은 직사각 테두리 형상으로 좌·우 측면중앙 외측방향으로 하단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의 상단 중심축과 축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유모차 프레임 중심축 결합부(351), 전방 유모차 프레임(352), 후방 유모차 프레임(35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유모차 프레임 중심축 결합부(351)는 원형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전방 유모차 프레임(352)과 후방 유모차 프레임(353)을 결합할 수 있는 날개가 형성된 프레임으로, 후방향 날개의 상단에 유모차 캐노피를 고정·지지하는 캐노피 고정 레일돌기(351a)가 형성되고, 외측 방향으로 회전지지 외측기어와 맞물리는 회전지지 내측기어(351b)가 형성되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기어탈착 버튼(351c)이 형성되고, 기어탈착 버튼(351c)의 돌출부의 내측 반대방향으로 스프링이 형성된다.
이‹š 기어탈착 버튼(351c)을 내측방향으로 누르면 회전지지 내측기어(351b)가 회전지지 외측기어(343a-1)와 맞물려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하단 유모차 프레임(350)의 상하방향 각도를 설정할 수 있고, 누르고 있던 기어탈착 버튼(351c)을 놓으면 스프링에 의해 회전지지 내측기어(351b)가 회전지지 외측기어(343a-1)에서 탈착되어 하단 유모차 프레임(350)이 축 회전이 고정된다.
이를 통해 하단 유모차 프레임(350)의 상하방향 고정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하단 유모차 캐노피(360)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좌·우방향 일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며 상단으로 덮혀지는 유모차 캐노피 시트를 지지하고, 상단에 설치되는 캐노피의 각도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캐노피 하단 고정부(361), 유모차 캐노피 프레임(36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캐노피 하단 고정부(361)는 하단면에 캐노피 고정 레일홈(361a)이 형성되어 유모차 프레임 중심축 결합부의 캐노피 고정 레일돌기(351a)와 맞물려 결합되어 유모차 캐노피의 하단을 지지하고, 상단 중앙 외측방향으로 제1 딸깍 회전돌기(361b)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유모차 캐노피 프레임(362)은 하단에 중앙 내측방향으로 제1 딸깍 회전돌기와 맞물리는 제2 딸깍 회전돌기(362a)가 형성되고, 상단이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단 외측면에 결합되는 유모차 캐노피 시트를 지지한다.
이때, 유모차 캐노피 프레임(362)은 보호자의 제어에 따라 좌·우측 하단부를 잡고 제1 딸깍 회전돌기와 맞물린 제2 딸깍 회전돌기를 중심축을 기준으로 톱니 수만큼 시계방향 회전시키거나 반시계방향 회전시키며 고정각을 설정한다.
이를 통해 비가 오거나 자외선이 강할시에는 유모차 프레임 상단에 결합된 하단 유모차 캐노피(360)를 반시계방향으로 덮어 유아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보호하고, 날씨가 화창하거나 실내이동시에는 유모차 프레임 상단에 결합된 유모차 캐노피(360)를 시계방향으로 열어 개방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웨건 모드(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웨건 모드(400)는 측면 경사 프레임의 측면중앙 일측 좌·우방향에 받침 프레임과 수평으로 이격된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이 결합되고, 웨건용 시트를 결합하여 웨건 형태로 본체 메인 지지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웨건 프레임 메인 지지대(410), 웨건 프레임(420), 웨건 프레임 보조지지대(430), 제1 웨건 캐노피(440), 제2 웨건 캐노피(450), 웨건 시트부(460)로 구성된다.
상기 웨건 프레임 메인 지지대(410)는 측면 경사 프레임의 측면중앙 일측에 좌·우측 대칭으로 고정되고, 내측 상단으로 돌출되며 좌·우 내측방향으로 웨건 프레임을 축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상단 중앙이 원형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방향으로 회전지지 외측기어(411a)가 형성된 체결부 회전지지축(411)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방향으로 측면 경사 브래킷의 결합핀 삽입홈(143)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체결부 결합핀(412)이 형성되며, 체결부 결합핀의 내측면 중앙 일측에 결합핀 돌기(413)가 돌출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체결부 결합핀(412)이 수직방향으로 결합핀 삽입홈(143)에 돌출될 때 결합핀 돌기(413)가 결합핀 돌기홈(144)을 따라 하강하며 제2 결합잠금 버튼(142)의 내측에 결합되면 웨건 프레임 메인 지지대(4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제2 결합잠금 버튼(142)이 내측방향으로 눌려지며 결합핀 돌기(413)가 분리되면 체결부 결합핀(412)을 수직방향으로 탈착이 가능하다.
상기 웨건 프레임(420)은 직사각 테두리 형상으로 좌·우 측면중앙 외측방향으로 웨건 프레임 메인 지지대의 상단 중심축과 축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웨건 프레임 중심축 결합부(421), 전방 웨건 프레임(422), 후방 웨건 프레임(42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웨건 프레임 중심축 결합부(421)는 원형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전방 웨건 프레임(422)과 후방 웨건 프레임(423)을 결합할 수 있는 날개가 형성된 프레임으로, 전·후방향 날개의 상단에 웨건 캐노피를 고정·지지하는 캐노피 고정 레일돌기(421a)가 형성되고, 외측 방향으로 회전지지 외측기어와 맞물리는 회전지지 내측기어(421b)가 형성되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기어탈착 버튼(421c)이 형성되고, 기어탈착 버튼(421c)의 돌출부의 내측 반대방향으로 스프링이 형성된다.
이‹š 기어탈착 버튼(421c)을 내측방향으로 누르면 회전지지 내측기어(421b)가 회전지지 외측기어(411a)와 맞물려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웨건 프레임(420)의 상하방향 각도를 설정할 수 있고, 누르고 있던 기어탈착 버튼(421c)을 놓으면 스프링에 의해 회전지지 내측기어(421b)가 회전지지 외측기어(411a)에서 탈착되어 웨건 프레임(420)이 축 회전이 고정된다.
이를 통해 웨건 프레임(420)의 상하방향 고정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웨건 프레임 보조지지대(430)는 받침 프레임의 전·후방향 받침 보조 지지봉의 좌·우측 끝단 일측에 하단이 결합되고, 수직으로 직립된 막대 형상의 클립 지지대(431c)가 형성되고 상단 끝단이 클립 집게(431a)와 클립 고정부(431b)로 이루어진 고정 클립(431)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웨건 프레임(420)과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클립 지지대(431c)가 수직방향으로 직립되었을 때 클립 집게의 높이에 웨건 프레임(420)이 위치하여 웨건 프레임(420)의 전·후방을 좌·우 대칭으로 결합하여 웨건 프레임 메인 지지대(410)에 결합된 웨건 프레임(420)을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웨건 프레임(420)의 충격에 의한 흔들림이나 기울어짐을 억제하고, 수평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웨건 모드형태의 내부에 탑승한 유아 및 어린이의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웨건 프레임 보조지지대(430)는 본체 메인 지지 프레임에 웨건 모드(400)로 결합될 때 웨건 프레임(420)을 지지하고, 유모차 모드(200)나 쌍둥이 유모차 모드(300)로 결합될 때에는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 프레임의 내측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고, 받침 프레임의 좌·우측 중앙 내측방향에 형성된 고정 클립 체결부(432)에 체결되어 보관된다.
상기 제1 웨건 캐노피(440)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좌·우방향 일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며 상단으로 덮혀지는 웨건 캐노피 시트를 지지하고, 상단에 설치되는 캐노피의 각도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캐노피 하단 고정부(441), 웨건 캐노피 프레임(44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캐노피 하단 고정부(441)는 하단면에 캐노피 고정 레일홈(441a)이 형성되어 웨건 프레임 중심축 결합부의 캐노피 고정 레일돌기(421a)와 맞물려 결합되어 웨건 캐노피의 하단을 지지하고, 상단 중앙 외측방향으로 제1 딸깍 회전돌기(441b)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웨건 캐노피 프레임(442)은 하단에 중앙 내측방향으로 제1 딸깍 회전돌기와 맞물리는 제2 딸깍 회전돌기(442a)가 형성되고, 상단이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단 외측면에 결합되는 웨건 캐노피 시트를 지지한다.
이때, 웨건 캐노피 프레임(442)은 보호자의 제어에 따라 좌·우측 하단부를 잡고 제1 딸깍 회전돌기와 맞물린 제2 딸깍 회전돌기를 중심축을 기준으로 톱니 수만큼 시계방향 회전시키거나 반시계방향 회전시키며 고정각을 설정한다.
이를 통해 비가 오거나 자외선이 강할시에는 웨건 프레임 상단에 결합된 제1 웨건 캐노피(440)를 반시계방향으로 덮어 유아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보호하고, 날씨가 화창하거나 실내이동시에는 웨건 프레임 상단에 결합된 제1 웨건 캐노피(440)를 시계방향으로 열어 개방한다.
상기 제2 웨건 캐노피(450)는 'ㄷ'자 형상의 복수개의 프레임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회전되고, 좌·우방향 일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며 상단으로 덮혀지는 웨건 캐노피 시트를 지지하고, 상단에 설치되는 캐노피의 각도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캐노피 하단 고정부(451), 부채꼴 캐노피 프레임(45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캐노피 하단 고정부(451)는 하단면에 캐노피 고정 레일홈(451a)이 형성되어 웨건 프레임 중심축 결합부의 캐노피 고정 레일돌기(421a)와 맞물려 결합되어 제2 웨건 캐노피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부채꼴 캐노피 프레임(452)은 하단에 중앙 내측방향으로 캐노피 하단 고정부와 축 결합되고, 상단이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단 외측면에 결합되는 웨건 캐노피 시트를 지지한다.
이때, 부채꼴 캐노피 프레임(452)은 보호자의 제어에 따라 좌·우측 하단부를 잡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회전시키거나 반시계방향 회전시키며 고정각을 설정한다.
이를 통해 비가 오거나 자외선이 강할시에는 웨건 프레임 상단에 결합된 제2 웨건 캐노피(450)를 반시계방향으로 덮어 유아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보호하고, 날씨가 화창하거나 실내이동시에는 웨건 프레임 상단에 결합된 제2 웨건 캐노피(450)를 시계방향으로 열어 개방한다.
상기 웨건 시트부(460)는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웨건 프레임 둘레를 따라 상단이 결합된 직사각 형태로,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중앙 둘레를 따라 360° 회전지퍼(461)가 형성되고, 상단 지퍼부(461a)와 하단 지퍼부(461b) 사이의 시트가 내측방향으로 절반으로 접히며 내측 상단부와 상단방향으로 접혀진 지퍼 내측 상단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스냅단추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웨건 시트부(460)는 360° 회전지퍼(461)가 둘레를 따라 잠겨진 상태에서 내측 상하 방향으로 시트 높이의 절반이 내측방향으로 접혀지고, 시트부 내측 상단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된 상단 소켓 원반부(462)와 내측으로 절반이 접혀지고 상단방향으로 회전되는 시트면의 내측방향 둘레를 따라 상단 소켓 원반부와 일치하는 위치에 하단 볼 원반부(463)가 형성되고, 상단 소켓 원반부(462)와 하단 볼 원반부(463)를 스냅단추 형태로 결합하면 시트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시트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결합된 소켓 원반부(462)와 하단 볼 원반부(463)를 탈착한 후 360° 회전지퍼(461)를 둘레를 따라 열면 절반으로 접혀져 있던 시트부가 펼쳐지며 시트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이는 시트의 수직높이를 활용 여견에 따라서 높이거나 줄여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접혀져 보관되어 있는 유아용 웨건의 우측에 형성된 접이식 회전 잠금장치의 제1 회전잠금 버튼을 누른 후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된 제2 회전잠금 버튼을 눌러 측면 경사 프레임을 상단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한다.
다음으로, 외부 원통형 프레임의 하단까지 삽입된 손잡이 프레임을 핸들 길이조절 버튼을 눌러 길이조절 후크를 길이조절핀 삽입홈에서 탈착한 후 보호자의 신장에 맞게 높이를 설정한 후 길이조절 후크를 지정한 높이의 길이조절핀 삽입홈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첫째, 한명의 유아가 있는 가정의 경우 본체 메인 지지 프레임에 유모차 모드를 결합한다.
이때, 측면 경사 브래킷에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를 고정시키고, 결합핀 돌기가 제2 결합잠금 버튼에 삽입되도록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유모차 프레임의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된 기어탈착 버튼을 누른 후 유모차 프레임의 각도를 설정하여 고정시킨 후 기어탈착 버튼을 놓는다.
다음으로, 유모차 프레임의 상단에 유모차 캐노피를 고정시킨 후 유모차 캐노피 프레임의 각도를 설정한다.
둘째, 두명의 유아가 있는 가정의 경우 본체 메인 지지 프레임에 쌍둥이 유모차 모드를 결합한다.
이때, 측면 경사 브래킷에 상단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를 고정시키고, 받침 프레임 브래킷에 하단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를 고정시키고, 각각의 결합핀 돌기가 제2 결합잠금 버튼에 삽입되도록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단 유모차 프레임과 하단 유모차 프레임의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된 기어탈착 버튼을 누른 후 유모차 프레임의 각도를 각각 설정하여 고정시킨 후 기어탈착 버튼을 놓는다.
다음으로, 상단 유모차 프레임의 상단에 상단 유모차 캐노피를 고정시킨 후 유모차 캐노피 프레임의 각도를 설정하고, 하단 유모차 프레임의 상단에 하단 유모차 캐노피를 고정시킨 후 유모차 캐노피 프레임의 각도를 설정한다.
셋째, 유모차에 탈 시기가 지난 어린이가 있는 가정의 경우 본체 메인 지지 프레임에 웨건 모드를 결합한다.
이때, 측면 경사 브래킷에 웨건 프레임 메인 지지대를 고정시키고, 결합핀 돌기가 제2 결합잠금 버튼에 삽입되도록 고정시킨다.
또한, 전·후방에 좌우 대칭으로 받침 프레임과 웨건 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웨건 프레임 보조지지대를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웨건 프레임의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된 기어탈착 버튼을 누른 후 웨건 프레임의 각도를 설정하여 고정시킨 후 기어탈찰 버튼을 놓는다.
다음으로, 웨건 프레임의 상단에 유모차 캐노피를 고정시킨 후 유모차 캐노피 프레임의 각도를 설정한다.
1 : 유아용 웨건 100 : 본체 메인 지지 프레임
110 : 받침 프레임 120 : 측면 경사 프레임
130 : 접이식 회전 잠금장치 140 : 측면 경사 브래킷
150 : 구동 바퀴 200 : 유모차 모드
210 :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 220 : 유모차 프레임
230 : 유모차 캐노피 300 : 쌍둥이 유모차 모드
310 : 상단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 320 : 상단 유모차 프레임
330 : 상단 유모차 캐노피 340 : 하단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
350 : 하단 유모차 프레임 360 : 하단 유모차 캐노피
400 : 웨건 모드 410 : 웨건 프레임 메인 지지대
420 : 웨건 프레임 430 : 웨건 캐노피
440 : 웨건 시트부

Claims (9)

  1. 직사각 형상의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이 수평으로 형성되고 내측 길이방향으로 받침판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받침 프레임과, 'ㄷ'자 형상으로 받침 프레임(110)의 전면에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웨건 프레임 및 유모차 프레임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경사 프레임(120)이 결합되어 측면이 'ㅅ'자 형상으로 유아용 웨건(1)의 몸체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전면 하단을 기준으로 힌지 구조로 회전되며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는 본체 메인 지지 프레임(100)이 이루어지고,
    측면 경사 프레임의 측면중앙 일측 좌·우 내측방향에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이 결합되고, 유모차용 시트를 결합하여 유모차 형태로 사용되는 유모차 모드(200)와,
    측면 경사 프레임의 측면중앙 일측 좌·우 내측방향에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제1 유모차 프레임이 결합되고, 받침 프레임의 측면후방 일측 좌·우 내측방향에 직사각형상 테두리 형상의 제2 유모차 프레임이 결합되며 각각 유모차용 시트를 결합하여 쌍둥이 유모차 형태로 사용되는 쌍둥이 유모차 모드(300)와,
    측면 경사 프레임의 측면중앙 일측 좌·우방향에 받침 프레임과 수평으로 이격된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이 결합되고, 웨건용 시트를 결합하여 웨건 형태로 사용되는 웨건 모드(400)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여 본체 메인 지지 프레임에 탈부착되는 유아용 웨건에 있어서,
    상기 받침 프레임(110)은
    받침 프레임의 후면 중앙에 결합된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전방 측면으로 받침 프레임의 후면 내측에 이격된 후면 지지봉의 중앙에 관통되어 지지되고, 후방 측면으로 측면 받침 프레임의 후면 중앙에 관통되어 지지되는 브레이크 프레임(111a)과,
    받침 프레임의 후방 중앙 둘레를 따라 직선기어 형상의 톱니가 형성되고, 상단방향으로 브레이크 프레임의 후단 홈에 일치하는 직사각 형상의 패드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누름제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며 브레이크 동력전달기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브레이크 패드 기어부(111b)와,
    브레이크 프레임에 수용되고 원형 직선기어 형상으로 브레이크 패드 기어부의 톱니와 맞물려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회전력을 브레이크 마찰 기어부에 전달하는 브레이크 동력전달기어(111c)와,
    브레이크 프레임에 수용되고 상단 전면에 마찰패드가 돌출된 직선기어 형상으로, 후면 지지봉 중앙에 결합되며 브레이크 동력전달기어의 톱니와 맞물려 정방향으로 회전되며 마찰패드를 회전시켜 브레이크 프레임의 내측에 마찰력을 일으키는 브레이크 마찰 기어부(111d)로 이루어진 브레이크부(111)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메인 지지 프레임(100)은
    측면 경사 프레임의 중앙 일측에 내측방향으로 누름 버튼이 돌출되고, 돌출버튼 내측 반대방향으로 스프링(131a)이 삽입되어 형성된 'ㄱ'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제2 회전잠금 버튼의 상승 이동을 차단하여 잠금 지지대의 회전을 1차로 잠궈주는 제1 회전잠금 버튼(131)과,
    측면 경사 프레임의 측면전방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측면 경사 프레임의 중앙 일측에 하단방향으로 누름버튼이 돌출되고, 누름 버튼 내측 상단방향으로 내측 돌출바(132a)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측 하단방향 일측에 회전잠금 와이어(133)가 연결되어 승하강을 통해 회전잠금 와이어를 이동시켜 잠금 지지대의 회전을 2차로 잠궈주는 제2 회전잠금 버튼(132)과,
    측면 경사 프레임의 측면전방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단 끝단이 제2 회전잠금 버튼(132)의 내측 하단방향에 연결되고, 하단 끝단이 대칭 회전 연결봉(137)에 연결되며, 중앙 일측에 회전방지 프레임(134a)가 연결되어, 제2 회전잠금 버튼의 승하강 이동에 따라 당김 및 풀림을 반복하며 회전방지 프레임(134a)을 승하강시키고, 대칭 회전 연결봉(137)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잠금 와이어(133)와,
    측면 경사 프레임의 측면전방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회전방지 프레임(134a)과 회전방지 탈착핀(134b)이 형성되어 하단에 축 결합된 잠금 지지대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단 잠금 이동브래킷(134)과,
    받침 프레임의 측면전방 좌·우측에 대칭으로 고정되고, 축 결합된 잠금 지지대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 잠금 고정브래킷(135)과,
    상단이 상단 잠금 이동브래킷(134)과 축 결합되고, 하단이 하단 잠금 고정브래킷(135)과 축 결합되어 형성되고, 하단 잠금 고정브래킷(135)을 기준으로 축방향 회전 및 고정되며 상단 잠금 이동브래킷(134)을 이동 및 고정시키는 잠금 지지대(136)와,
    메인 축 고정부의 중심축에 형성되고, 좌·우측 끝단에 회전 각을 조절하는 회전각 조절부(137a)가 결합된 봉 형상으로, 회전잠금 와이어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좌·우 대칭으로 회전되며 측면 경사 프레임(120)을 대칭 회전시키는 대칭 회전 연결봉(137)으로 구성된 접이식 회전 잠금장치(1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
  5. 제1항에 있어서 메인 지지 프레임(100)은
    측면 경사 브래킷의 전면 일측에 내림버튼이 돌출되고, 내림 버튼 내측 상단으로 내측 돌출바(141a)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측 하단방향으로 스프링(142b)가 형성되어 제2 결합잠금 버튼의 움직임을 차단하여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의 탈착을 1차로 잠궈주는 제1 결합잠금 버튼(141)과,
    측면 경사 브래킷의 전면 일측에 돌출된 제1 결합잠금 버튼(141)의 상단에 누름버튼이 돌출되고, 내측이 역'ㄷ'자 형태의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핀 돌기(211c)를 결합 및 분리시켜 유모차 프레임 메인 지지대의 탈착을 2차로 잠궈주는 제2 결합잠금 버튼(142)과,
    측면 경사 브래킷(140)의 상단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홈으로,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체결부 결합핀을 지지하는 결합핀 삽입홈(143)과,
    결합핀 삽입홈의 내측방향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홈으로, 체결부 결합핀의 내측방향에 형성된 결합핀 돌기의 수직방향 이동 통로 역할을 하는 결합핀 돌기홈(144)으로 구성된 측면 경사 브래킷(14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웨건 모드(400)는
    측면 경사 프레임의 측면중앙 일측에 좌·우측 대칭으로 고정되고, 내측 상단으로 돌출되며 좌·우 내측방향으로 웨건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웨건 프레임 메인 지지대(410)와,
    직사각 테두리 형상으로 좌·우 측면중앙 외측방향으로 웨건 프레임 메인 지지대의 상단 중심축과 축 결합되는 웨건 프레임(420)과,
    받침 프레임의 전·후방향 받침 보조 지지봉의 좌·우측 끝단 일측에 하단이 결합되고, 수직으로 직립된 막대 형상의 클립 지지대(431c)가 형성되고 상단 끝단이 클립 집게(431a)와 클립 고정부(431b)로 이루어진 고정 클립(431)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웨건 프레임(420)과 결합되는 웨건 프레임 보조지지대(430)와,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좌·우방향 일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며 상단으로 덮혀지는 웨건 캐노피 시트를 지지하고, 상단에 설치되는 캐노피의 각도를 설정하는 제1 웨건 캐노피(440)와,
    'ㄷ'자 형상의 복수개의 프레임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회전되고, 좌·우방향 일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며 상단으로 덮혀지는 웨건 캐노피 시트를 지지하고, 상단에 설치되는 캐노피의 각도를 설정하는 제2 웨건 캐노피(450)와,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웨건 프레임 둘레를 따라 상단이 결합된 직사각 형태로,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중앙 둘레를 따라 360° 회전지퍼(461)가 형성되고, 상단 지퍼부(461a)와 하단 지퍼부(461b) 사이의 시트가 내측방향으로 절반으로 접히며 내측 상단부와 상단방향으로 접혀진 지퍼 내측 상단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스냅단추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웨건 시트부(460)가 구성되어 본체 메인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
KR1020160142405A 2016-10-28 2016-10-28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 KR101719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405A KR101719132B1 (ko) 2016-10-28 2016-10-28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
PCT/KR2017/010006 WO2018080011A1 (ko) 2016-10-28 2017-09-12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405A KR101719132B1 (ko) 2016-10-28 2016-10-28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132B1 true KR101719132B1 (ko) 2017-03-23

Family

ID=5849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405A KR101719132B1 (ko) 2016-10-28 2016-10-28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9132B1 (ko)
WO (1) WO2018080011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268B1 (ko) * 2018-07-18 2019-07-03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
WO2019168339A1 (ko) * 2018-02-27 2019-09-06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CN110329327A (zh) * 2019-08-12 2019-10-15 青岛正韬工具有限公司 一种带有尾框的折叠车
WO2019198968A1 (ko) * 2018-04-10 2019-10-17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KR102297087B1 (ko) * 2020-07-10 2021-09-02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KR102297090B1 (ko) * 2020-07-28 2021-09-02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US11472462B1 (en) 2021-11-15 2022-10-18 Bran-New International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956Y1 (ko) * 2002-08-23 2002-12-05 최진태 캐스터를 구비한 접이식 유아 캐리어
KR20080085560A (ko) * 2007-03-20 2008-09-24 신형준 복합적 유모차 자전거
JP2010089557A (ja) * 2008-10-06 2010-04-22 Matsunaga Seisakusho:Kk 角度調整機構
JP3174293U (ja) * 2011-10-25 2012-03-15 穩正企業股▲ふん▼有限公司 乳母車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767Y1 (ko) * 2003-07-05 2003-10-01 김의진 쇼핑카트를 겸한 유모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956Y1 (ko) * 2002-08-23 2002-12-05 최진태 캐스터를 구비한 접이식 유아 캐리어
KR20080085560A (ko) * 2007-03-20 2008-09-24 신형준 복합적 유모차 자전거
JP2010089557A (ja) * 2008-10-06 2010-04-22 Matsunaga Seisakusho:Kk 角度調整機構
JP3174293U (ja) * 2011-10-25 2012-03-15 穩正企業股▲ふん▼有限公司 乳母車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4754B2 (en) 2018-02-27 2021-04-13 Bran-New International Baby carriage with storage basket and canopy
WO2019168339A1 (ko) * 2018-02-27 2019-09-06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WO2019198968A1 (ko) * 2018-04-10 2019-10-17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US10913481B2 (en) 2018-04-10 2021-02-09 Bran-New International Baby carriage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KR101995268B1 (ko) * 2018-07-18 2019-07-03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
WO2020105997A1 (ko) * 2018-11-23 2020-05-28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
US11097761B2 (en) 2018-11-23 2021-08-24 Bran-New International Wagon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CN110329327A (zh) * 2019-08-12 2019-10-15 青岛正韬工具有限公司 一种带有尾框的折叠车
KR102297087B1 (ko) * 2020-07-10 2021-09-02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WO2022010111A1 (ko) * 2020-07-10 2022-01-13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KR102297090B1 (ko) * 2020-07-28 2021-09-02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WO2022025418A1 (ko) * 2020-07-28 2022-02-03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US11472462B1 (en) 2021-11-15 2022-10-18 Bran-New International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0011A1 (ko)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132B1 (ko)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
KR101894460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KR101894463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US7775548B2 (en) Standing baby stroller
TWI516397B (zh) 可收合嬰兒承載裝置
US20080179848A1 (en) Adjustable carrying device for a people carrier, such as a perambulator or stroller
EP0637290B2 (en) Push-chair
US20010013688A1 (en) Tandem stroller & brake assembly thereof
US5833261A (en) Footrest movable between two positions
US7878515B1 (en) Infant stroller
US20150272341A1 (en) Child supporting device
KR20120030621A (ko) 유모차
EP3484758A1 (en) Z-foldable stroller and accessories
GB2482611A (en) Adjustable child seat and stroller apparatus
JPS6361601A (ja) ベビ−カ−におけるキヤスタ−のストツパ−機構
KR102372031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GB2481138A (en) A stroller with a longitudinally slidable and detachable second seat
WO2020029751A1 (zh) 一种婴儿推车
KR102297087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유아용 웨건
KR20040069374A (ko) 다기능 유아운반장치
GB2560550B (en) Improved basket and stroller incorporating the same
TWI620678B (zh) 改良之嬰兒車結構
TWI409187B (zh) The combination of baby carriages and baby carriages and car seats
CN206437039U (zh) 一种婴幼儿双人座手推车
KR102161195B1 (ko)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