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268B1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 - Google Patents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268B1
KR101995268B1 KR1020180146478A KR20180146478A KR101995268B1 KR 101995268 B1 KR101995268 B1 KR 101995268B1 KR 1020180146478 A KR1020180146478 A KR 1020180146478A KR 20180146478 A KR20180146478 A KR 20180146478A KR 101995268 B1 KR101995268 B1 KR 101995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gon
canopy
coupled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80146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268B1/ko
Priority to US17/052,396 priority patent/US11097761B2/en
Priority to PCT/KR2019/015791 priority patent/WO20201059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1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by folding down the body to the wheel carriage or by retracting projecting parts into the box-shaped body
    • B62B7/105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by folding down the body to the wheel carriage or by retracting projecting parts into the box-shaped body with the wheels staying in a fixed relation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7Coaster wag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3/02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folding down the body to the wheel carriage or by retracting project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13Protection covers, e.g. against 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36Arrangements of motors
    • B62B5/0043One motor drives on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7Stowable or retractable handl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for two or more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2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foot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6Securing devices for bags or toys ; Arrangements of racks, bins, trays or other devices for transpor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10Detachable wheels
    • B62B2205/104Detachable wheel units, e.g. together with the wheel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2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remotely controlled, e.g. from the handle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 B62B2301/046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 B62B2301/0463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by blocking the rotation at a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5Details of the attachment of the wheel assembly to the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20Resilient wheel suspension usin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4Safety guards for children, e.g. harness
    • B62B9/245Removable front guards, e.g. with a tr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웨건이 접어서 보관되어 있는 웨건 프레임을 펼치기 위해 잠금·풀림 버튼을 누르고 프레임을 회전시키는데 본체 프레임 구조상 최소한 3~4단계 이상의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작되고, 부수적으로 분리되는 캐노피나 수납 바구니까지 따로 설치해야 함으로 보호자의 손이 많이 가 신속한 설치가 어려워 휴대·이동성이 떨어지고, 반대로 사용을 마친 웨건을 접을 때에도 용이하지 않아 웨건을 접해보지 않은 보호자나 지인들이 설치 및 보관에 따른 조작시 어려움을 겪고, 바퀴 및 캐노피의 결합구조가 복잡하여 탈착 및 결합시 보호자의 손이 많이 가고, 특히 캐노피를 탈착한 상태에서만 웨건 프레임을 접을 수 있도록 제작되어 사용하거나 보관시 캐노피를 매번 탈결합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체 프레임, 시트 프레임, 캐노피 프레임, 차륜부로 이루어져 프레임의 접이식 구조를 간편하게 제작하여 보관되어 있는 웨건을 설치시 단시간에 펼치고 접을 수 있어 휴대·이동성이 향상되고, 전체적인 프레임을 용이하게 접고 펼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캐노피와 구동바퀴의 탈결합이 간단하여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무엇보다 시트 프레임과 캐노피를 따로 분리할 필요없이 접거나 펼치는 것이 용이하여 누구나 손쉽게 설치 및 보관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본 발명은 프레임의 접이식 구조를 간편하게 제작하여 보관되어 있는 웨건을 설치시 단시간에 펼치고 접을 수 있어 휴대·이동성이 향상되고, 전체적인 프레임을 용이하게 접고 펼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시트 프레임과 캐노피를 따로 분리할 필요없이 접거나 펼치는 것이 용이하여 누구나 손쉽게 설치 및 보관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에 관한 것이다.
유아 및 어린이 등 어린 자녀를 둔 가정에서 외출 및 산책 시 사용되는 웨건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웨건은 접어서 보관되어 있는 웨건 프레임을 펼치기 위해 잠금·풀림 버튼을 누르고 프레임을 회전시키는데 본체 프레임 구조상 최소한 3~4단계 이상의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작되고, 부수적으로 분리되는 캐노피나 수납 바구니까지 따로 설치해야 함으로 보호자의 손이 많이 가 신속한 설치가 어려워 휴대·이동성이 떨어지고, 반대로 사용을 마친 웨건을 접을 때에도 용이하지 않아 웨건을 접해보지 않은 보호자나 지인들이 설치 및 보관에 따른 조작시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웨건은 바퀴 및 캐노피의 결합구조가 복잡하여 탈착 및 결합시 보호자의 손이 많이 가고, 특히 캐노피를 탈착한 상태에서만 웨건 프레임을 접을 수 있도록 제작되어 사용하거나 보관시 캐노피를 매번 탈결합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의 접이식 구조를 간편하게 제작하여 보관되어 있는 웨건을 설치시 단시간에 펼치고 접을 수 있어 휴대·이동성이 향상되고, 전체적인 프레임을 용이하게 접고 펼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캐노피와 구동바퀴의 탈결합이 간단하여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무엇보다 시트 프레임과 캐노피를 따로 분리할 필요없이 접거나 펼치는 것이 용이하여 누구나 손쉽게 설치 및 보관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은
측면이 'ㅅ'자 형상으로 웨건의 몸체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교차 부분을 기준으로 힌지 구조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는 본체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의 내측 상단면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결합된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으로, 웨건 시트를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과,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프레임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회전축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며 유아용 웨건의 상단을 개폐시키는 캐노피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의 하단 전면의 좌·우측에 대칭으로 결합된 전륜 구동부(410)와 후면의 좌·우측에 결합된 후륜 구동부로 유아용 웨건을 지지하며 구동시키는 차륜부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의 접이식 구조를 간편하게 제작하여 보관되어 있는 웨건을 설치시 단시간에 펼치고 접을 수 있어 휴대·이동성이 향상되고, 전체적인 프레임을 용이하게 접고 펼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캐노피와 구동바퀴의 탈결합이 간단하여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무엇보다 시트 프레임과 캐노피를 따로 분리할 필요없이 접거나 펼치는 것이 용이하여 누구나 손쉽게 설치 및 보관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에 시트를 설치한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의 웨건 프레임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과 시트 프레임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프레임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구성요소를 표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프레임의 일부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프레임의 캐노피 결합 브래킷에 결합되는 캐노피 프레임을 도시하고, 결합부분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륜 구동부와 후륜 구동부로 이루어진 차륜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륜 구동부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구성요소를 표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후륜 구동부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구성요소를 표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후륜 구동부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구성요소를 표시한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의 전체적인 형상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 프레임부의 복수개의 회전부를 통해 단계적으로 회전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회전버튼을 눌러 손잡이 프레임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측면 프레임과, 제2 외측 프레임과 제2 내측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제2 측면 프레임이 축 방향으로 회전되며 접어지는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어져 길이조절 손잡이 프레임에 밀착된 캐노피 프레임부와 손잡이 프레임이 하단방향으로 회전되어 받침 프레임에 밀착되어 부피를 최소화하며 접이지는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본체 프레임(100), 시트 프레임(200), 캐노피 프레임(300), 차륜부(4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프레임(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측면이 'ㅅ'자 형상으로 웨건의 몸체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교차 부분을 기준으로 힌지 구조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는 받침 프레임(110), 측면 지지 프레임(120), 손잡이 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 프레임(110)은 수평으로 눕혀지고 전방 일측이 상단방향으로 굴곡진 사다리 형상의 프레임으로, 전방 끝단 좌·우측에 전륜 결합부(111)가 형성되고, 좌·우 외측면 중앙 일측에 회전 결합축(112)이 형성되어 측면 지지 프레임부와 축 결합된다.
여기서 전륜 결합부(111)는 상단 끝단에 형성된 회전축에 제1 측면 프레임(121)의 하단과 축 결합되고, 하단 내측에 전륜 회전 제어 프레임(411)과 전륜 회전 고정핀(412)이 삽입되고, 하단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전륜 탈착봉(414a)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회전 결합축(112)은 제2 외측 프레임(122a)의 하단과 축 결합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면 지지 프레임(120)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측면이 'ㅅ'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으로, 하단 전·후방 끝단이 회전축 형태로 받침 프레임과 축 결합되고, 상단에 교차되는 지점에 형성된 회전축 프레임이 힌지구조로 형성되어 웨건 프레임의 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제1 측면 프레임(121), 제2 측면 프레임(122), 회전축 프레임(1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21)은 'ㅅ'자 형상의 전방에 위치한 굴곡진 프레임으로 전방 하단이 받침 프레임의 전륜 결합부 상단 회전축에 결합되고, 후방 상단이 회전축 프레임의 고정축 하우징에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유아용 웨건의 접이식 모드로 변환시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단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축 프레임을 하강시키고, 사용 모드로 변환시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 프레임을 상승시켜 고정된다.
상기 제2 측면 프레임(122)은 'ㅅ'자 형상의 후방에 위치한 2중 구조의 굴곡진 프레임으로 하단 끝단이 받침 프레임의 회전 결합축에 결합되고, 중앙 일측이 제2 내측 프레임과 힌지구조로 결합되는 제2 외측 프레임(122a)과;, 하단 끝단이 제2 외측 프레임의 내측 중앙에 힌지구조로 결합되고, 상단 끝단이 회전축 프레임의 회전축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내측 프레임(122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 외측 프레임(122a)은 상단에 수직으로 직립되고 내측방향으로 회전방지 핀(122a-2)이 돌출된 프레임 지지봉(122a-1)이 형성되어 회전축 하우징(123a)의 하단에 삽입되고, 회전방지 핀(122a-2)이 내측 홀(123a-1)에 삽입되어 제2 외측 프레임과 회전축 하우징을 연결하여 회전을 방지한다.
즉, 유아용 웨건의 사용 모드시에는 회전방지 핀이 회전축 하우징의 내측 홀에 삽입되어 측면 지지 프레임의 회전을 차단하여 유아용 웨건(1)이 사용중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접이식 모드로 변환시에는 회전방지 핀이 회전축 하우징의 내측 홀에서 탈착되어 제2 외측 프레임과 회전축 프레임을 분리시켜 접혀지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 프레임(123)은 측면으로 세워진 2중 원통구조의 프레임으로, 제1 측면 프레임의 상단과 제2 측면 프레임의 상단이 교차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힌지구조로 회전되고, 내측방향으로 시트 프레임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회전축 프레임(123)은 회전축 하우징(123a), 결합핀 회전안내판(123b), 결합핀 이동안내판(123c), 결합핀 프레임(123d), 결합핀 지지 프레임(123e), 고정축 하우징(123f)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 하우징(123a)은 측면으로 세워진 원통구조의 외측방향에 위치한 프레임으로, 내측면에 고정축 하우징과 축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내측면 하단 일측에 내측 홀(123a-1)이 형성되어 제2 외측 프레임의 회전방지 핀과 탈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하우징(123a)은 하단 내측에 제2 측면 프레임(122)이 힌지구조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회전축 하우징(123a)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내측 홀(123a-1)에 제2 측면 프레임(122)의 상단에 형성된 프레임 지지봉(122a-1)의 회전방지 핀(122a-2)이 결합되면 제2 측면 프레임의 회전을 방지하고, 내측 홀(123a-1)에 회전방지핀(122a-2)이 탈착되면 제2 측면 프레임이 회전축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어 회전된다.
상기 결합핀 회전안내판(123b)은 일측이 비어있는 파이 형상의 원판으로 결합핀의 고정 및 회전을 유도하는 결합핀 이동홀(123b-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결합핀 이동홀(123b-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핀 회전안내판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호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호형성의 후방 끝단에 중심축 방향으로 직선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내측에 결합핀 프레임의 돌출핀(123d-1)을 수용하여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중심축 방향으로 직선형상의 홈에 돌출핀이 삽입되면 회전축 하우징의 회전을 방지하고, 호형상의 홈으로 돌출핀이 이동되면 회전축 하우징이 돌출핀의 이동 경로를 따라 회전된다.
상기 결합핀 이동안내판(123c)은 전방이 둥근 판 형상으로 후면이 직사각 판 형태로 결합핀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에 삽입되고, 중앙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장(長) 홀 형태의 결합핀 안내홀(123c-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결합핀 안내홀(123c-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핀 이동홀의 직선형상의 홈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돌출핀(123d-1)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핀 프레임(123d)은 좌·우측 방향으로 돌출핀(123d-1)이 돌출된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와이어와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승·하강 및 회전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돌출핀(123d-1)은 외측방향으로 결합핀 이동홀(123b-1), 결합핀 안내홀(123c-1)에 관통되고, 내측방향으로 결합핀지지 프레임(123e-1), 결합핀 이동홀(123f-1)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단에 연결된 와이어를 통해 접이식 회전버튼(132)과 연결되어 상승 및 하강한다.
이때, 접이식 회전버튼(132)을 누르면 상승하여 내측방향으로 결합된 결합핀 이동홀(123f-1)과 외측방향으로 결합된 결합핀 이동홀(123b-1)의 호형상의 홈으로 이동되어 이동 경로를 따라 회전축 하우징(123a)이 회전되고, 접이식 회전버튼(132)을 원위치시키면 내측방향으로 결합된 결합핀 이동홀(123f-1)과 외측방향으로 결합된 결합핀 이동홀(123b-1)의 직선형상의 홈 내측으로 이동되어 회전축 하우징(123a)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결합핀 지지 프레임(123e)은 전방이 측면으로 세워진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축 하우징의 내측면에 수용되고, 후방이 직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내측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장(長) 홀 형태의 결합핀 프레임 삽입홈(123e-1)이 형성되고, 하단 중앙 일측에 고정핀(123f-2)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핀 삽입홀(123e-2)이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핀 지지 프레임(123e)의 내측면은 손잡이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결합핀 프레임 삽입홈(123e-1)을 따라 이동되는 결합핀 프레임(123d)이 길이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핀 지지 프레임(123e)은 상단 후면 일측에 손잡이 프레임(130)이 고정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고정축 하우징(123f)은 측면으로 세워진 원통구조의 내측방향에 위치한 프레임으로, 결합핀의 고정 및 회전을 유도하는 결합핀 이동홀(123f-1)이 형성되고, 고정핀 삽입홀(123e-2)의 위치에 일치되는 하단 중앙 일측에 고정핀(123f-2)이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핀(123f-2)은 고정핀 삽입홀(123e-2)에 탈결합되어 회전축 하우징의 회전 및 고정을 보조적으로 지지한다.
이는 접이식 회전버튼(132)이 눌러지면 결합핀 지지 프레임(123e)이 외측방향으로 이동되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정핀 삽입홀에서 고정핀이 탈착되고, 접이식 회전버튼(132)이 원위치가 되면 결합핀 지지 프레임(123e)이 내측방향으로 이동되어 회전이 고정되도록 고정핀 삽입홀에 고정핀이 삽입된다.
이를 통해 돌출핀(123d-1)의 이동에 따른 회전 및 고정을 보조적으로 지지하여 회전축 프레임의 안정적인 회전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축 하우징(123f)은 하단 정면 일측에 제1 측면 프레임(121)과 고정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 프레임(130)은 중공형 외측 프레임에 삽입되어 길이를 가변하여 고정되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좌·우 하단 끝단이 측면 지지 프레임의 회전축 프레임에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캐노피 결합 브래킷(131), 접이식 회전버튼(132), 손잡이 길이조절버튼(133)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캐노피 결합 브래킷(131)은 중공형 외측 프레임의 중앙 일측 둘레에 좌·우 대칭으로 2개의 브래킷이 이격되어 이루어지고, 외측면 돌출부 상단면에 결합핀이 삽입되는 결합핀 삽입홈(131a)이 형성되고, 결합핀 삽입홈의 수직방향 외측면에 결합핀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돌기 홈(131b)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결합핀 삽입홈(131a)은 캐노피 탈착부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부가 삽입되고, 외측면에 형성된 돌기 홈(131b)에 탈착 돌기(301b)가 삽입되어 캐노피 프레임부를 캐노피 결합 브래킷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접이식 회전버튼(132)은 중공형 외측 프레임의 상부 하단 일측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누름식으로 본체 프레임을 전체적으로 폴딩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회전버튼(132)은 결합핀 프레임(123d)의 후방에 형성된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접이식 회전버튼을 길이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접이식 회전버튼(132)을 누르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가 당겨지며 결합핀 프레임(123d)이 상승하여 좌·우측에 형성된 돌출핀(123d-1)이 호형상의 홈을 따라 회전이 가능하여 회전축 하우징과 결합된 손잡이 프레임을 전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접이식 회전버튼(132)을 놓아 원위치 시키면 당겨진 와이어가 풀어지며 결합핀 프레임(123d)이 하강하여 좌·우측에 형성된 돌출핀(123d-1)이 직선형상의 홈을 따라 중심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손잡이 프레임의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축 하우징이 회전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외측 프레임(122a)의 상단과, 제2 내측 프레임(122b)의 하단이 후방 하단으로 회전되며, 제1 측면 프레임이 하단으로 회전되어 측면 지지 프레임(120)이 하단방향으로 접어지고, 회전축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된 시트 프레임이 하단방향으로 접어진다.
이를 통해 원터치 누름방식으로 본체 프레임과 시트 프레임을 접거나 펼칠 수 있어 유아용 웨건(1)의 휴대·이동성이 향상되고, 전체적인 프레임을 용이하게 접고 펼칠 수 있어 누구나 손쉽게 설치 및 보관할 수 있고 사용을 편리하게 한다.
상기 손잡이 길이조절버튼(133)은 손잡이 프레임의 후방 중앙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길이조절버튼(133)은 중공형 외측 프레임(130a)의 내측에 삽입된 길이조절 손잡이 프레임(130b)을 길이방향으로 고정 및 이동시키며 손잡이 프레임(130)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손잡이 길이조절버튼(133)을 누르면 길이조절 손잡이 프레임(130b)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손잡이 길이조절버튼(133)을 놓으면 내부에 형성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며 길이조절 손잡이 프레임(130b)의 길이방향 움직임을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프레임(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시트 프레임(200)은 본체 프레임의 내측 상단면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결합된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으로, 웨건 시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후방 내측면 일측에 바구니 프레임(210)이 축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프레임(200)은 회전축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어 회전축 프레임이 상승된 유아용 웨건의 사용 모드시에는 수평으로 상승되어 웨건시트를 수직으로 지지하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회전축 프레임이 하강한 유아용 웨건의 접이식 모드시에는 수평으로 하강되어 웨건 시트가 접어지도록 하여 수직방향의 부피를 최소화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 프레임(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캐노피 프레임(300)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프레임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회전축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며 유아용 웨건의 상단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전방 캐노피 프레임(310), 후방 캐노피 프레임(3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 캐노피 프레임(310)은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좌·우측 하단 끝단에 캐노피 탈착부(301)와 축 결합되는 제1 회전부(311a)가 형성되고, 중앙 일측에 사다리꼴 형태의 굴곡이 형성되고, 굴곡부분 상단에 대칭으로 제2 회전부(311b)가 결합되는 제1 캐노피 프레임(311)과;,
직선형 프레임으로 후방 끝단이 제2 회전부(311b)에 축 결합되고, 전방 끝단이 제3 회전부(312a)에 축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2 캐노피 프레임(312)과;,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좌·우측 후방 끝단이 제3 회전부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3 캐노피 프레임(313)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캐노피 프레임(310)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에 위치한 제3 캐노피 프레임을 후방 상단으로 회전시키며 잡아당기면 제2 캐노피 프레임, 제1 캐노피 프레임이 차례로 회전되며 접혀지며 손잡이 프레임 방향으로 밀착되어 접혀진다.
이를 통해 전방 캐노피 프레임을 원터치로 회전하여 사용 및 접이식 상태로 가변할 수 있어 캐노피를 단시간 내에 간편하게 설치하거나 접을 수 있다,
또한, 손잡이 프레임이 밀착되도록 접혀져 캐노피 프레임부(300)를 탈착하지 않고도 유아용 웨건(1)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여, 유아용 웨건의 설치 및 보관모드 변경시 신속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캐노피 프레임의 상단 둘레를 따라 형성된 캐노피 천에 지퍼가 형성되어 제1 캐노피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의 캐노피를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다.
이는 캐노피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의 캐노피 천을 나눠서 탈착 및 결합할 수 있어 세탁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후방 캐노피 프레임(320)은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좌·우측 하단 끝단에 캐노피 탈착부(301)와 축 결합되는 제4 회전부(320a)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는 후방까지 펼쳐진 캐노피 프레임부의 끝단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보호자가 언제든 유아용 웨건에 탑승한 유아를 관찰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륜부(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차륜부(400)는 본체 프레임의 하단 전면의 좌·우측에 대칭으로 결합된 전륜 구동부(410)와 후면의 좌·우측에 결합된 후륜 구동부(420)로 유아용 웨건을 지지하며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륜 구동부(410)는 전륜 회전 제어 프레임(411), 전륜 회전 고정핀(412), 전륜 탈착 프레임(413), 전륜 충격 흡수 프레임(414), 전륜 바퀴(4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륜 회전 제어 프레임(411)은 본체 프레임의 전방 하단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된 전륜 결합부의 하단에 삽입되고, 전방 일측이 경사면을 따라 직각삼각 구조로 돌출되어 후단 스위치의 회전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며 하단에 위치한 전륜 회전 고정핀을 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륜 회전 고정핀(412)은 전륜 회전 제어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고, 호형상의 평면을 가지고 하단 좌·우측에 탈착핀이 돌출되며 하단 중앙에 탄성스프링이 수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전륜 탈착 프레임(413)은 본체 프레임의 전방 하단에 위치한 수평 프레임의 좌·우측 외측 둘레를 따라 삽입되어 결합되고, 내측에 전륜 탈착바와 결합된 탈착 스프링이 내장되어 좌·우측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전륜 충격 흡수 프레임(414)은 상단 중앙에 수직으로 직립된 전륜 탈착봉이 형성되고, 전륜 바퀴의 프레임 상단 홈에 삽입되며, 전방 좌·우측으로 축 결합되며 후방 하단 일측에 탄성 스프링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전륜 바퀴(415)는 본체 프레임의 전방 하단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된 전륜 결합부(111)의 하단에 결합되고, 유아용 웨건의 전면 하단을 지지하며 회전되어 웨건 전면의 이동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후륜 구동부(420)는 후륜 결합 브래킷(421), 후륜 지지 프레임(422), 후륜 바퀴(423), 브레이크 회전축(424), 후륜지지 프레임(4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륜 결합 브래킷(421)은 본체 프레임의 후방 하단 좌·우측에 대칭으로 결합되고, 하단 일측에 후방으로 경사진 브래킷이 형성되고, 경사진 브래킷 내측에 충격완화 탄성부(421a)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후륜 지지 프레임(422)은 측면방향으로 세워진 원통형상의 프레임으로 상단 일측에 전방으로 경사진 브래킷이 후륜 결합 브래킷에 축 결합되고, 외측면 중앙홈에 후륜 바퀴의 후륜 탈착봉(423a)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후면 하단 일측에 누름식의 후륜 탈착버튼이 돌출되고, 내측면 중앙에 브레이크 회전축(424)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후륜 바퀴(423)는 바퀴 형상으로 내측면 중앙에 돌출된 후륜 탈착봉(423a)이 후륜 지지 프레임의 외측면 중앙에 결합되어 유아용 웨건의 후면 하단을 지지하며 회전되어 웨건 후면의 이동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레이크 회전축(424)은 원형 봉 형상의 프레임으로 후륜지지 프레임(422)의 내측면 중앙에 좌·우방향으로 결합되고, 중앙에 브레이크 패드(424a)가 형성되어 후륜 바퀴의 회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륜지지 프레임(425)은 후륜 결합 브래킷의 후방 내측면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결합되어 후륜 구동부의 좌·우측 결합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접이식 상태로 보관되어 받침 프레임과 밀착되어 눕혀진 손잡이 프레임을 후방 상단방향으로 들어올린다.
이때, 눕혀져 있던 제1 측면 프레임과 제2 측면 프레임이 세워지며 회전축 프레임이 상승하고, 회전축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된 시트 프레임이 상승하여 수평으로 고정된다.
다음으로, 손잡이 프레임에 밀착되어 접혀진 캐노피 프레임의 제3 캐노피 프레임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제1 캐노피 프레임과 제2 캐노피 프레임이 펼쳐지며 캐노피 프레임이 전방으로 펼쳐진다.
다음으로, 시트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한 바구니 프레임을 후방으로 회전시켜 설치하여 펼쳐진 유아용 웨건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사용이 끝난 유아용 웨건을 보관시 캐노피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한 제1 캐노피 프레임을 후방으로 회전시켜 제2 캐노피 프레임, 제3 캐노피 프레임이 접어지며 손잡이 프레임에 밀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바구니 프레임을 시트 프레임 내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접는다.
마지막으로, 손잡이 프레임의 후면 하단에 위치한 접이식 회전버튼을 누르고, 회전축 프레임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제1 측면 프레임과 제2 측면 프레임이 하단방향으로 회전되며 회전축 프레임이 하강함에 따라 시트 프레임이 받침 프레임과 밀착되도록 회전되어 접혀진다.
이때, 보관상황에 따라 공간이 협소할 경우 전륜 바퀴와 후륜 바퀴를 탈착하여 따로 보관이 가능하다.
100 : 본체 프레임 110 : 받침 프레임
120 : 측면 지지 프레임 121 : 제1 측면 프레임
122 : 제2 측면 프레임 123 : 회전축 프레임
130 : 손잡이 프레임 131 : 캐노피 결합 브래킷
200 : 시트 프레임 300 : 캐노피 프레임부
310 : 전방 캐노피 프레임부 320 : 후방 캐노피 프레임부
400 : 차륜부 410 : 전륜 구동부
420 : 후륜 구동부

Claims (8)

  1. 측면이 'ㅅ'자 형상으로 웨건의 몸체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교차 부분을 기준으로 힌지 구조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수평으로 눕혀지고 전방 일측이 상단방향으로 굴곡진 사다리 형상의 프레임으로, 전방 끝단 좌·우측에 전륜 결합부가 형성되고, 좌·우 외측면 중앙 일측에 회전 결합축이 형성되어 측면 지지 프레임부와 축 결합되는 받침 프레임(110)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측면이 'ㅅ'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으로, 하단 전·후방 끝단이 회전축 형태로 받침 프레임과 축 결합되고, 상단에 교차되는 지점에 형성된 회전축 프레임이 힌지구조로 형성되어 웨건 프레임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 프레임(120)와,
    중공형 외측 프레임에 삽입되어 길이를 가변하여 고정되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좌·우 하단 끝단이 측면 지지 프레임의 회전축 프레임에 결합되는 손잡이 프레임(1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 지지 프레임(120)은
    'ㅅ'자 형상의 전방에 위치한 굴곡진 프레임으로 전방 하단이 받침 프레임의 전륜 결합부 상단 회전축에 결합되고, 후방 상단이 회전축 프레임의 고정축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 측면 프레임(121)과,
    'ㅅ'자 형상의 후방에 위치한 2중 구조의 굴곡진 프레임으로 하단 끝단이 받침 프레임의 회전 결합축에 결합되고, 중앙 일측이 제2 내측 프레임과 힌지구조로 결합되는 제2 외측 프레임(122a)과;, 하단 끝단이 제2 외측 프레임의 내측 중앙에 힌지구조로 결합되고, 상단 끝단이 회전축 프레임의 회전축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내측 프레임(122b)으로 이루어진 제2 측면 프레임(122)과,
    측면으로 세워진 2중 원통구조의 프레임으로, 제1 측면 프레임의 상단과 제2 측면 프레임의 상단이 교차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힌지구조로 회전되고, 내측방향으로 시트 프레임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회전축 프레임(123)으로 구성되는 본체 프레임(100)과,
    본체 프레임의 내측 상단면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결합된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으로, 웨건 시트를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200)과,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프레임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회전축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며 유아용 웨건의 상단을 개폐시키는 캐노피 프레임(300)과,
    본체 프레임의 하단 전면의 좌·우측에 대칭으로 결합된 전륜 구동부(410)와 후면의 좌·우측에 결합된 후륜 구동부(420)로 유아용 웨건을 지지하며 구동시키는 차륜부(400)로 구성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프레임(123)은
    측면으로 세워진 원통구조의 외측방향에 위치한 프레임으로, 내측면에 고정축 하우징과 축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축 하우징(123a)과,
    일측이 비어있는 파이 형상의 원판으로 결합핀의 고정 및 회전을 유도하는 결합핀 이동홀이 형성되는 결합핀 회전안내판(123b)과,
    전방이 둥근 판 형상으로 후면이 직사각 판 형태로 결합핀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에 삽입되고, 중앙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장(長) 홀 형태의 결합핀 안내홀이 형성되는 결합핀 이동안내판(123c)과,
    좌·우측 방향으로 돌출핀(123d-1)이 돌출된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와이어와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승·하강 및 회전 이동되는 결합핀 프레임(123d)과,
    전방이 측면으로 세워진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축 하우징의 내측면에 수용되고, 후방이 직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고, 내측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장(長) 홀 형태의 결합핀 프레임 삽입홈이 형성되는 결합핀 지지 프레임(123e)과,
    측면으로 세워진 원통구조의 내측방향에 위치한 프레임으로, 외측면에 고정축 하우징과 축 결합되어 축 방향으로의 회전을 지지하는 고정축 하우징(123f)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146478A 2018-07-18 2018-11-23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 KR101995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478A KR101995268B1 (ko) 2018-07-18 2018-11-23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
US17/052,396 US11097761B2 (en) 2018-11-23 2019-11-19 Wagon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PCT/KR2019/015791 WO2020105997A1 (ko) 2018-11-23 2019-11-19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1140765.5 2018-07-18
CN201821140813.0 2018-07-18
CN201821135663.4 2018-07-18
CN201810793382.6 2018-07-18
KR1020180146478A KR101995268B1 (ko) 2018-07-18 2018-11-23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268B1 true KR101995268B1 (ko) 2019-07-03

Family

ID=6725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478A KR101995268B1 (ko) 2018-07-18 2018-11-23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97761B2 (ko)
KR (1) KR101995268B1 (ko)
WO (1) WO202010599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997A1 (ko) * 2018-11-23 2020-05-28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
KR20210074848A (ko) *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디카트 자동 및 수동 조작의 전환이 가능한 전동보드
KR102415226B1 (ko) * 2021-11-15 2022-06-29 최예진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20230001990U (ko) 2022-04-11 2023-10-18 황현동 2단 수납구조를 갖는 접이식 웨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8337B2 (en) * 2019-10-23 2023-08-08 Radio Flyer Inc. Handle release and locking mechanism
CN114771632B (zh) * 2022-04-07 2024-02-2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副篷组件及儿童推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132B1 (ko) * 2016-10-28 2017-03-23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
KR200483642Y1 (ko) * 2016-12-21 2017-06-09 신진숙 유아용 웨건
KR101834474B1 (ko) * 2017-09-13 2018-03-06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541617U (zh) * 2012-04-26 2012-11-21 伍轮实业有限公司 推车及其防脱机构
US9221487B2 (en) * 2013-04-30 2015-12-29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onvertible stroller seat
US9108656B1 (en) * 2013-09-12 2015-08-18 Dragonfly Gear, LLC Collapsible wagon
US9302694B2 (en) * 2014-07-18 2016-04-05 Marina Velichko Convertible baby stroller assembly
US9469324B2 (en) * 2014-07-29 2016-10-18 Dragonfly Gear, LLC Wagon with displaceable wall for installing child seat
ES2800282T3 (es) * 2016-02-03 2020-12-29 Wonderland Switzerland Ag Aparato de cochecito de niños que tiene una estructura extensible
US10239550B2 (en) * 2016-04-29 2019-03-26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stroller apparatus
GB2552465A (en) * 2016-07-19 2018-01-31 Stroller Tech Ltd A foldable stroller frame
CN107662633B (zh) * 2016-07-28 2019-06-04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置物篮及其婴儿车设备
US10850760B2 (en) * 2016-08-03 2020-12-01 Richard Neal Shapiro Foldable wheeled carrier including wheel folding actuation handle
TWI635011B (zh) * 2017-08-18 2018-09-11 侯雀厘 寵物推車的可調式支撐桿及頂棚結構
US11647732B2 (en) * 2017-09-07 2023-05-16 Yuanzhen XIANG Pet stroller
KR101894460B1 (ko) * 2018-04-10 2018-09-04 김미진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KR101995268B1 (ko) * 2018-07-18 2019-07-03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
US11001289B2 (en) * 2019-01-10 2021-05-11 Evenflo Company, Inc. Stroller convertible for multiple modes of use
US11370468B2 (en) * 2019-06-06 2022-06-28 David Young Modular stroller platform
US10913478B1 (en) * 2019-08-27 2021-02-09 Xiying Zhou Outdoor stroller for children
US10988153B1 (en) * 2020-01-07 2021-04-27 Brian Horowitz Wagon having fold-down seats and a detachable hand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132B1 (ko) * 2016-10-28 2017-03-23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
KR200483642Y1 (ko) * 2016-12-21 2017-06-09 신진숙 유아용 웨건
KR101834474B1 (ko) * 2017-09-13 2018-03-06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997A1 (ko) * 2018-11-23 2020-05-28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
US11097761B2 (en) 2018-11-23 2021-08-24 Bran-New International Wagon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KR20210074848A (ko) *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디카트 자동 및 수동 조작의 전환이 가능한 전동보드
KR102328238B1 (ko) * 2019-12-12 2021-11-19 주식회사 디카트 자동 및 수동 조작의 전환이 가능한 전동보드
KR102415226B1 (ko) * 2021-11-15 2022-06-29 최예진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US11472462B1 (en) 2021-11-15 2022-10-18 Bran-New International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KR20230001990U (ko) 2022-04-11 2023-10-18 황현동 2단 수납구조를 갖는 접이식 웨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5997A1 (ko) 2020-05-28
US11097761B2 (en) 2021-08-24
US20210229728A1 (en)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268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
US9540028B2 (en) Infant stroller apparatus
US10913481B2 (en) Baby carriage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CN111907578B (zh) 多人座婴幼儿推车
TWM524141U (zh) 嬰兒床的折疊式床架
CA2580167C (en) Control device of lower frame assembly for a playpen
GB2431140A (en) Baby stroller frame
KR20120030621A (ko) 유모차
GB2186793A (en) Child's push-chair with an adjustable cradle
EP2749188B1 (en) Baby dining chair
EP1842760A2 (en) Collapsible stroller frame
US6814368B2 (en) Foldable stroller
TWI823422B (zh) 床架收合機構以及床架
GB2428967A (en) Baby swing framework folding mechanism
TWI603820B (zh) 可收折的支撐架
US20200187653A1 (en) Folding rocking chair
CN213799844U (zh) 便于折叠的婴儿推车
EP0972473B1 (en) Split lockable hinge for a baby bed
CN106428183B (zh) 儿童手推车及其推手杆、推手杆收折方法
KR920009592B1 (ko) 절첩가능한 유모차
KR101221493B1 (ko) 유모차
CN215436573U (zh) 一种儿童推车
GB2438686A (en) Collapsible stroller frame
CN217672790U (zh) 一种推车
JP2023506206A (ja) 折り畳み可能な子供キャリ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