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020B1 -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 - Google Patents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020B1
KR101725020B1 KR1020160124545A KR20160124545A KR101725020B1 KR 101725020 B1 KR101725020 B1 KR 101725020B1 KR 1020160124545 A KR1020160124545 A KR 1020160124545A KR 20160124545 A KR20160124545 A KR 20160124545A KR 101725020 B1 KR101725020 B1 KR 101725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andle
fixed
disposed
ti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천
Original Assignee
(주)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디 filed Critical (주)이디
Priority to KR1020160124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 B62K9/02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후방측에 후륜(112)이 장착되는 메인프레임(110); 수평배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수직 축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동작하는 둔부받이부(120); 상기 둔부받이부(120)의 후방측에 하부가 수평 축결합되어 전후로 회동동작하는 등받이부(130);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방측에 상하로 관통삽입되어 수직 축결합되고 하부에는 전륜(111)이 장착되며 상단에는 고정프레임(162)이 장착된 전륜바(161) 및, 상기 전륜바(161)의 상부위치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손잡이(164)가 마련되며 하단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62)에 지지되어 수평축결합되어 전후방으로 회동동작하는 회동프레임(165)을 포함하는 핸들바(163)를 포함하는 유아핸들(160); 및 상기 고정프레임(162)과 회동프레임(165) 사이에 배치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조절레버(173)의 동작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162)과 회동프레임(165)의 축결합부위를 가압하여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핸들틸팅부(170);를 포함하는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TODDLER BICYCLE HAVING FUNCTION OF ADJUSTING PRONT HANDLE ANGLE}
본 발명은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직립되게 장착되어 탑승한 유아가 파지하기 위한 유아핸들을 선택적으로 전방으로 꺽어지게 회동시켜 유아와 보호자가 대향하는 맞보기 모드가 구현가능한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아용품이 종류와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2세에서 6세까지의 유아가 탑승할 수 있는 유아용 세발자전거가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유아용 세발자전거에는 탑승한 유아가 파지하기 위한 유아용 손잡이는 물론 보호자가 자전거의 진행방향 및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보호자용 손잡이가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유아용 세발자전거는 유아가 전방을 지향하여 착석하도록 둔부받이와 등받이가 장착되며 보호자용 손잡이는 자전거의 후방에 배치되어 보호자가 전방주시하며 자전거를 조종할 수 있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보호자는 유아의 뒷모습만을 관찰할 수 있을 뿐 보호자와 유아가 대향하여 시선을 맞추는 맞보기 기능은 구현되지 못하였다.
또한, 유아의 체격이나 탑승자세에 따라 등받이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 수단이 구비되었다. 더불어, 종래의 각도조절 수단은 외주연에 다수의 키홈을 가지며 등받이와 함께 회동하는 기어열 및, 기어열의 일측에 배치되어 탄성지지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어느 하나의 키홈에 삽입되는 고정키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외향 개구된 키홈의 내부에 고정키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지지되는 구조로 등받이의 각도조절된 상태가 지지되기 때문에 키홈과 고정키 사이의 공차로 인해 유격이 발생하여 등받이나 둔부받이 부분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유동이 발생하여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각도조절 장치는 둔부받이의 일측에만 장착되면서 타측이 고정되지 못해 유아의 작은 움직임에도 흔들림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고정력을 제공하는 키홈과 고정키의 결합부위로 유아의 하중 및 움직임에 따른 외력이 전부 가해지기 때문에 결합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05679호(2016.03.17), 세발 자전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직립되게 장착되어 탑승한 유아가 파지하기 위한 유아핸들을 선택적으로 전방으로 꺽어지게 회동시켜 둔부받이를 180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유아와 보호자가 상호 대향하는 맞보기 모드가 구현가능한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는, 후방측에 후륜(112)이 장착되는 메인프레임(110); 수평배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수직 축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동작하는 둔부받이부(120); 상기 둔부받이부(120)의 후방측에 하부가 수평 축결합되어 전후로 회동동작하는 등받이부(130);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방측에 상하로 관통삽입되어 수직 축결합되고 하부에는 전륜(111)이 장착되며 상부에는 고정프레임(162)이 장착된 전륜바(161) 및, 상기 전륜바(161)의 상부위치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손잡이(164)가 마련되며 하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62)에 수평축결합되어 전후방으로 회동동작하는 회동프레임(165)을 포함하는 핸들바(163)를 포함하는 유아핸들(160); 및 상기 고정프레임(162)과 회동프레임(165) 사이에 배치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조절레버(173)의 동작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162)과 회동프레임(165)의 축결합부위를 가압하여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핸들틸팅부(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162)의 일측에는 회동프레임(165)의 일측을 가압하기 위한 탄성가압편(166)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틸팅부(170)는, 상기 고정프레임(162)과 회동프레임(165)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탄성가압편(166)과 대응되는 회전반경 상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홈의 깊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가압홈부(172)가 형성된 회동뭉치(171) 및, 상기 회동뭉치(171)의 중앙에 키결합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회동뭉치(171)를 회동시키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조절레버(17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프레임(165)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가압편(166)과 대응되는 위치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배치된 삽입홈(16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단은 상기 둔부받이부(120)와 등받이부(130)의 회동중심에 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등받이부(130)에 고정되며 상기 회동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상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복수의 조절공(142)이 이격배치된 구동프레임(141) 및, 상기 둔부받이부(120) 상에서 상기 구동프레임(141)의 측부 위치에 측방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조절공(142)의 회전반경이 중첩되는 위치에는 각 조절공(14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측방 돌출된 삽입돌기(146)가 형성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측방이동되어 상기 삽입돌기(146)가 어느 하나의 조절공(142)에 삽입되면서 등받이부(130)의 각도조절된 상태를 지지하는 조작프레임(145)을 포함하는 틸팅조절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조절부(140)는 상기 둔부받이부(120)의 후방측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틸팅조절부(140)와 대향하는 둔부받이부(120)의 후방측 타측위치에 배치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고정레버(153)의 동작에 따라 상기 둔부받이부(120)와 등받이부(130)의 축결합부위를 가압하여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틸팅고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후방에 체결되는 챔버(181)와, 상기 챔버(181)의 내부에 수평축결합되고 양측에는 상기 후륜(112)이 장착된 후륜바(113)가 체결되며 외주면에는 고정홈(184)과 완충홈(185)이 원주를 따라 이격 배치된 회전축(182)과, 상기 챔버(181)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홈(184) 및 완충홈(185)에 삽입되기 위한 고정키(187)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188)가 장착된 조작부(186) 및, 상기 챔버(181)와 두 후륜바(113)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완충작용하는 쇼버(189)를 포함하는 완충부(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홈(185)은 회전축(18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의 두께가 상기 고정키(187)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에 의하면,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직립되게 장착되어 탑승한 유아가 파지하기 위한 유아핸들을 선택적으로 전방으로 꺽어지게 회동시켜 둔부받이를 180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유아와 보호자가 상호 대향하는 맞보기 모드가 구현가능하다.
또한, 둔부받이를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회동하도록 등받이가 각도조절된 상태에서 유동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둔부받이의 양측에 등받이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각도조절수단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세발자전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핸들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들틸팅부의 세부 타낸 측면도,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들틸팅부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들틸팅부에 의해 유아핸들이 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세발자전거의 맞보기 기능이 구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틸팅조절부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틸팅조절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및 단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가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틸팅조절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가 전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틸팅조절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틸팅고정부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틸팅고정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및 측단면도,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가 메인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는,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직립되게 장착되어 탑승한 유아가 파지하기 위한 유아핸들을 선택적으로 전방으로 꺽어지게 회동시켜 둔부받이를 180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유아와 보호자가 상호 대향하는 맞보기 모드가 구현가능한 유아용 세발자전거로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0), 둔부받이부(120), 등받이부(130), 유아핸들(160) 및 핸들틸팅부(17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자전거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구조물로서, 하나의 전륜과 두 개의 후륜(112)이 장착된다. 상기 전륜(111)은 메인프레임(110)의 전단에 관통삽입되어 장착되는 유아핸들(160)의 하단에 장착되는 방식으로 메인프레임(110)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후단에는 보호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가 장착된 보호자핸들(114)이 장착된다.
상기 둔부받이부(120)는 자전거에 탑승한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평배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상부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둔부받이부(120)는 하부에는 수직축(123)이 장착되어 메인프레임(110)에 구비된 고정브라켓(115)에 수직축 결합되어 등받이부(130)가 수평방향으로 180도 또는 360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등받이부(130)는 둔부받이부(120)에 탑승한 유아의 등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둔부받이부(120)의 후방측에 하부가 수평축 결합되어 전후로 회동동작한다.
상기 유아핸들(160)은 자전거의 전방에 배치되어 유아가 탑승간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으로서,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방측에 상하로 관통삽입되어 수직 축결합되고 하부에는 전륜(111)이 장착되며 상단에는 고정프레임(162)이 장착된 전륜바(161) 및, 상기 전륜바(161)의 상부위치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손잡이(164)가 마련되며 하단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62)에 지지되어 수평축결합되어 전후방으로 회동동작하는 회동프레임(165)을 포함하는 핸들바(16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핸들틸팅부(170)는 유아핸들(160)의 각도조절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고정프레임(162)과 회동프레임(165) 사이에 배치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조절레버(173)의 동작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162)과 회동프레임(165)의 축결합부위를 가압하여 선택적으로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162)의 일측에는 회동프레임(165)의 일측을 가압하기 위한 탄성가압편(16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핸들틸팅부(170)는 상기 고정프레임(162)과 회동프레임(165)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탄성가압편(166)과 대응되는 회전반경 상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홈의 깊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가압홈부(172)가 형성된 회동뭉치(171) 및, 상기 회동뭉치(171)의 중앙에 키결합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회동뭉치(171)를 회동시키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조절레버(17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홈부(172)의 일측에는 홈부의 형성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홈부(172a)가 형성되어 탄성가압편(166)이 보다 긴길이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가압홈부(172)의 타측에는 가압편(152)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면(172b)이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회동프레임(165)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가압편(166)과 대응되는 위치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배치된 삽입홈(167)이 형성되어, 전방으로 전륜바(161)가 꺽어져 회동하거나 직립배치되게 회동하는 경우 탄성가압편(166)의 단부가 삽입홈(167)에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9의 첫번째 도면과 같이 조절레버(173)가 전방을 지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두번째 도면과 같이 직립배치되도록 90도 회전시키면 가압홈부(172)의 가압면부(172b)에 위치하던 탄성가압편(166)이 가압홈부(172)를 따라 이동하면서 삽입홈부(172a)에 삽입되며 이과정에서 가압홈부(172)의 점차적으로 깊어지는 삽입홈의 깊이에 따라 가압력이 사라져 고정프레임(162)으로부터 회동프레임(165)이 회전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의 세번째 도면과 같이 상기 조절레버(173)가 전방을 지향하도록 90도 회전시키면, 가압홈부(172)의 삽입홈부(172a)에 위치하던 탄성가압편(166)이 가압홈부(172)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압홈부(172)의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삽입홈의 깊이에 따라 점차적으로 강해지는 가압력을 받게 되고 단부에 이르러서는 가압면부(17)에 의해 가장 강하게 가압되면서 회동뭉치(171)에 의해 회동프레임(165)과 고정프레임(162) 사이에 압박되어 유아핸들(160)의 각도조절된 상태가 고정된다.
이러한 유아핸들(160)의 각도 조절 및 고정 기능을 통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0)의 전방에 직립되게 장착되어 탑승한 유아가 파지하기 위한 유아핸들(160)을 선택적으로 전방으로 꺽어지게 회동시켜 둔부받이부(120)를 180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유아와 보호자가 상호 대향하는 맞보기 모드가 구현가능하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유아핸들(160)이 전방으로 접철되도록 회동 및 고정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후방으로 접철되고 이 상태에서 핸들틸팅부(160)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세발자전거는, 틸팅조절부(140)가 구비되어 둔부받이부(120)를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회동하도록 등받이부(130)가 각도조절된 상태에서 유동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틸팅조절부(140)는 회동되는 등받이부(130)의 각도를 설정된 각도로 조절하고 조절된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프레임(141) 및 조작프레임(145)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구동프레임(141)은 일단이 상기 둔부받이부(120)와 등받이부(130)의 회동중심에 축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130)에 고정되며 상기 회동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상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복수의 조절공(142)이 이격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프레임(145)은 상기 둔부받이부(120) 상에서 상기 구동프레임(141)의 측부 위치에 측방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조절공(142)의 회전반경이 중첩되는 위치에는 각 조절공(14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측방 돌출된 삽입돌기(146)가 형성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측방이동되어 상기 삽입돌기(146)가 어느 하나의 조절공(142)에 삽입되면서 등받이부(130)의 각도조절된 상태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프레임(145)은 둔부받이부(120)에 측방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되 둔부받이부(120)와의 사이에는 조작프레임(145)을 탄성가압하기 위한 탄성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미도시)가 장착되며, 이에 따라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구동프레임(141) 측으로 가압되도록 탄성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조절부(140)는 둔부받이부(120) 상에서 상기 회동중심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일단이 축결합되는 종속프레임(143) 및, 일단은 상기 구동프레임(141)의 일측에 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종속프레임(143)의 타단에 축결합되는 커플러프레임(144)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동프레임(141), 종속프레임(143) 및 커플러프레임(144)이 4절 링크구조를 이룸으로써, 상기 등받이부(130)가 전후로 회동하는 동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틸팅조절부(140)는 상기 둔부받이부(120)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프레임(141), 조작프레임(145), 종속프레임(143) 및 커플러프레임(144)을 외부로부터 커버하기 위한 프레임덮개(147)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덮개(147)에는 상기 조작프레임(145)과 연결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프레임(145)을 탄성압축시키기 위한 조작버튼(148)이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버튼(148)을 가압하는 것으로 조작프레임(145)이 탄성압축되면서 측방이동시켜 조절공(142)에 삽입된 삽입돌기(146)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가압력을 해제하여 조작프레임(145)에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분리된 삽입돌기(146)이 조절공(142)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덮개(147)의 내부에는 상기 회동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커플러프레임(144)은 외측으로 만곡된 호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회전동작하면서 커플러프레임(144)의 단부가 프레임덮개(147)의 내측벽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틸팅조절부(140)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프레임(141)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반경 상에 복수의 조절공(142)이 이격 배치되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둔부받이부(12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등받이부(130)의 회동각도가 80도 내지 130도인 위치에 형성된 제1조절공(142a)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130)가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등받이부(130)의 회동각도가 140도 내지 170도인 위치에 형성된 제2조절공(142b)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130)가 전방으로 젖혀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등받이부(130)의 회동각도가 60도 내지 1도인 위치에 형성된 제3조절공(142c)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돌기(146)가 제1조절공(142a)에 삽입되도록 조작하여 유아가 정자세로 탑승할 수 있는 일반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고, 삽입돌기(146)가 제2조절공(142b)에 삽입되도록 조작하여 유아가 누운 자세로 탑승할 수 있는 후방젖힘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으며, 상기 삽입돌기(146)가 제3조절공(142c)에 삽입되도록 조작하여 보관시나 유아용 세발자전거를 차량에 탑재시킬 수 있도록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방젖힘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조절공(142a 내지 142c)에 삽입돌기(146)를 삽입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유아를 정자세나 누운자세로 탑승시키거나 자전거의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등받이부(130)를 폴딩시키기 위한 최적 각도로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더불어,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둔부받이부(120) 상에서 상기 삽입돌기(146)가 제2조절공(142b)에 삽입될때 상기 구동프레임(141)의 하부와 접하는 위치에는 제1스토퍼(121)가 형성되며,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둔부받이부(120) 상에서 상기 삽입돌기(146)가 제3조절공(142c)에 삽입될때 상기 커플러프레임(144)과 종속프레임(143)이 축결합된 부분과 접하는 위치에는 제2스토퍼(122)가 형성되어, 삽입돌기(146)에 가해지는 부하 및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스토퍼(121)나 제2스토퍼(122)에 의해 틸팅조절부(140)가 정지되는 위치에서 삽입돌기(146)가 각 조절공(142)에 자동적으로 삽입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130)의 각도조절 수단인 틸팅조절부(140)의 경우, 등받이부(130)에 고정되는 구동프레임(141)의 일측에 복수의 조절공(142)이 측방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둔부받이부(120)에 고정되는 조작프레임(145)에는 상기 조절공(14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측방돌출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어느 하나의 조절공(142)에 삽입되면서 등받이부(130)의 각도조절된 상태를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조절공(142)과 삽입돌기(146) 간의 공차로 인해 발생하는 유격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등받이부(130)나 둔부받이부(12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세발자전거는 등받이부(130)를 둔부받이부(120)의 양측에 고정시키기 위해 틸팅고정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틸팅조절부(140)는 상기 둔부받이부(120)의 후방측 일측에 배치되고,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틸팅고정부(150)는 상기 틸팅조절부(140)와 대향하는 둔부받이부(120)의 후방측 타측위치에 배치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고정레버(153)의 동작에 따라 상기 둔부받이부(120)와 등받이부(130)의 축결합부위를 가압하여 선택적으로 고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틸팅고정부(150)는 호형상 또는 원형상의 내벽이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부(130)에 고정장착되어 등받이부(130)와 함께 회동동작하는 라운드프레임(151)과, 상기 라운드프레임(151)의 내벽과 일측면이 대향배치되도록 상기 둔부받이부(120)에 고정장착되는 가압편(152)과, 상기 둔부받이부(120)의 타측에 축결합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회동하며 가압력을 전달받는 고정레버(153)와, 상기 고정레버(153)에 일측이 고정되어 함께 회동하며 상기 고정레버(153)의 회전에 따라 일측면이 상기 가압편(152)의 타측면을 라운드프레임(151)의 내벽측으로 가압하는 회전편(154) 및, 상기 둔부받이부(120) 상에서 상기 가압편(152)과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회전편(154)의 회동반경을 따라 호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회전편(154)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55)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따라서, 도 17과 같이 고정레버(153)가 상하로 배치되도록 회동되어 상기 회전편(154)이 가압편(152)과 지지프레임(155) 사이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등받이부(130)와 둔부받이부(120) 간의 체결부위에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틸팅조절부(140)에 의해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도 18와 같이 고정레버(153)가 수평배치되도록 회동되어 상기 회전편(154)이 가압편(152)과 지지프레임(155) 사이에 삽입되면 등받이부(130)에 고정된 라운드프레임(151)와 둔부받이부(120)에 고정된 지지프레임(155)이 가압편(152)과 회전편(154)에 의해 가압되면서 등받이부(130)를 둔부받이부(1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가압력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틸팅고정부(150)는 상기 둔부받이부(120) 상에서 상기 가압편(152)과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회전편(154)의 회동반경을 따라 호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회전편(154)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55)을 더 포함하여 구비됨으로써, 라운드프레임(151)의 반발력에 의해 가압편(152)이 내측으로 밀리는 것으로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틸팅고정부(150)에 의한 고정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라운드프레임(151)의 내벽에는 굴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라운드프레임(151)의 내벽과 접촉되는 가압편(152)의 일측면에는 마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틸팅고정부(150)의 고정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며, 라운드프레임(151)과 가압편(152) 간의 접촉부위에 슬립이 발생하여 각도고정된 상태가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세발자전거는 후륜(112)을 통해 둔부받이부(120)로 전달되어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완충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도 19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18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후방에 체결되는 챔버(181)와, 상기 챔버(181)의 내부에 수평축결합되고 양측에는 상기 후륜(112)이 장착된 후륜바(113)가 체결되며 외주면에는 고정홈(184)과 완충홈(185)이 원주를 따라 이격 배치된 회전축(182)과, 상기 챔버(181)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홈(184) 및 완충홈(185)에 삽입되기 위한 고정키(187)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188)가 장착된 조작부(186) 및, 상기 챔버(181)와 두 후륜바(113)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완충작용하는 쇼버(189)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도 21 및 도 22에서와 같이 상기 조작부(186)와 챔버(181) 사이에는 상기 고정키(187)를 회전축(116) 방향으로 탄성가압하기 위한 탄성스프링(192)이 배치되며, 이에 따라 손잡이(188)를 잡아당기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 탄성스프링(19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조작부(186)가 가압되어 고정키(187)가 고정홈(184) 또는 완충홈(185)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홈(185)은 회전축(116)의 외주면 상에서 후륜바(113)가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키(187)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후륜바(113)의 펼쳐진 상태를 고정시키며, 이러한 고정기능은 쇼버(189)에 의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더불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고정홈(184)은 회전축(116)의 외주면 상에서 후륜바(113)가 접어진 상태에서 고정키(187)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후륜바(113)의 접어진 상태를 고정시키며, 이러한 고정기능은 자전거를 보관하거나 차량에 탑재하기 위해 폴딩시키는 경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쇼버(189)는 상단이 챔버(181)에 고정장착되고 하단은 각 후륜바(113)에 마련된 지지판(193)에 지지되어 챔버(181)와 지지판(193) 사이에서 완충작용하도록 하며, 상기 후륜바(113)가 접철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193)과는 접철되는 방향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홈(184)과 완충홈(185) 사이에는 회전축(116)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두 홈을 상호 연통시키는 키이동홈(191)이 형성되며, 이러한 키이동홈(191)을 통해 고정키(187)를 챔버(181)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 홈으로의 위치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완충홈(185)은 외전축(18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의 두께가 삽입된 고정키(187)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쇼버(189)에 의한 완충작용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륜바(183) 측으로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완충부(180)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해 고정키(187)는 완충홈(185)의 상부면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반면에 상기 후륜바(183)으로 쇼버(189)의 완충력보다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후륜바(183)가 좀더 벌어지면서 고정키(187)는 완충홈(185) 내에서 하향 이동하게 되어 하부면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 과정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감쇄되는 효과가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완충부(180)에 완충작용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메인프레임 120...둔부받이부
130...등받이부 140...틸팅조절부
141...구동프레임 142...조절공
143...종속프레임 144...커플러프레임
145...조작프레임 146...삽입돌기
150...틸팅고정부 151...원형프레임
152...가압편 153...고정레버
154...회전편 155...지지프레임
160...유아핸들 161...전륜바
162...고정프레임 163...핸들바
170...핸들틸팅부 171...회동뭉치
173...조절레버 180...완충부

Claims (6)

  1. 후방측에 후륜(112)이 장착되는 메인프레임(110); 수평배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수직 축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동작하는 둔부받이부(120); 상기 둔부받이부(120)의 후방측에 하부가 수평 축결합되어 전후로 회동동작하는 등받이부(130);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방측에 상하로 관통삽입되어 수직 축결합되고 하부에는 전륜(111)이 장착되며 상부에는 고정프레임(162)이 장착된 전륜바(161) 및, 상기 전륜바(161)의 상부위치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손잡이(164)가 마련되며 하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62)에 수평축결합되어 전후방으로 회동동작하는 회동프레임(165)을 포함하는 핸들바(163)를 포함하는 유아핸들(160); 및 상기 고정프레임(162)과 회동프레임(165)의 축결합부위를 가압하여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핸들틸팅부(17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162)의 일측에는 회동프레임(165)의 일측을 가압하기 위한 탄성가압편(166)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틸팅부(170)는, 상기 고정프레임(162)과 회동프레임(165)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탄성가압편(166)과 대응되는 회전반경 상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홈의 깊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가압홈부(172)가 형성된 회동뭉치(171) 및, 상기 회동뭉치(171)의 중앙에 키결합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회동뭉치(171)를 회동시키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조절레버(173)를 포함하는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홈부(172)는 홈의 깊이가 가장 낮은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가압편(166)의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부(172a)가 형성된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프레임(165)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가압편(166)과 대응되는 위치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배치된 삽입홈(167)이 형성된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
  4. 후방측에 후륜(112)이 장착되는 메인프레임(110);
    수평배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수직 축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동작하는 둔부받이부(120);
    상기 둔부받이부(120)의 후방측에 하부가 수평 축결합되어 전후로 회동동작하는 등받이부(130);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방측에 상하로 관통삽입되어 수직 축결합되고 하부에는 전륜(111)이 장착되며 상부에는 고정프레임(162)이 장착된 전륜바(161) 및, 상기 전륜바(161)의 상부위치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손잡이(164)가 마련되며 하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62)에 수평축결합되어 전후방으로 회동동작하는 회동프레임(165)을 포함하는 핸들바(163)를 포함하는 유아핸들(160);
    상기 고정프레임(162)과 회동프레임(165) 사이에 배치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조절레버(173)의 동작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162)과 회동프레임(165)의 축결합부위를 가압하여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핸들틸팅부(170); 및
    일단은 상기 둔부받이부(120)와 등받이부(130)의 회동중심에 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등받이부(130)에 고정되며 상기 회동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상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복수의 조절공(142)이 이격배치된 구동프레임(141) 및, 상기 둔부받이부(120) 상에서 상기 구동프레임(141)의 측부 위치에 측방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조절공(142)의 회전반경이 중첩되는 위치에는 각 조절공(14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측방 돌출된 삽입돌기(146)가 형성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측방이동되어 상기 삽입돌기(146)가 어느 하나의 조절공(142)에 삽입되면서 등받이부(130)의 각도조절된 상태를 지지하는 조작프레임(145)을 포함하는 틸팅조절부(140);를 포함하는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조절부(140)는 상기 둔부받이부(120)의 후방측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틸팅조절부(140)와 대향하는 둔부받이부(120)의 후방측 타측위치에 배치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고정레버(153)의 동작에 따라 상기 둔부받이부(120)와 등받이부(130)의 축결합부위를 가압하여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틸팅고정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
  6. 후방측에 후륜(112)이 장착되는 메인프레임(110);
    수평배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수직 축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동작하는 둔부받이부(120);
    상기 둔부받이부(120)의 후방측에 하부가 수평 축결합되어 전후로 회동동작하는 등받이부(130);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방측에 상하로 관통삽입되어 수직 축결합되고 하부에는 전륜(111)이 장착되며 상부에는 고정프레임(162)이 장착된 전륜바(161) 및, 상기 전륜바(161)의 상부위치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손잡이(164)가 마련되며 하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62)에 수평축결합되어 전후방으로 회동동작하는 회동프레임(165)을 포함하는 핸들바(163)를 포함하는 유아핸들(160);
    상기 고정프레임(162)과 회동프레임(165) 사이에 배치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조절레버(173)의 동작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162)과 회동프레임(165)의 축결합부위를 가압하여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핸들틸팅부(170); 및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후방에 체결되는 챔버(181)와, 상기 챔버(181)의 내부에 수평축결합되고 양측에는 상기 후륜(112)이 장착된 후륜바(113)가 체결되며 외주면에는 고정홈(184)과 완충홈(185)이 원주를 따라 이격 배치된 회전축(182)과, 상기 챔버(181)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홈(184) 및 완충홈(185)에 삽입되기 위한 고정키(187)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188)가 장착된 조작부(186) 및, 상기 챔버(181)와 두 후륜바(113)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완충작용하는 쇼버(189)를 포함하는 완충부(180);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홈(185)은 회전축(18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의 두께가 상기 고정키(187)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
KR1020160124545A 2016-09-28 2016-09-28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 KR101725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545A KR101725020B1 (ko) 2016-09-28 2016-09-28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545A KR101725020B1 (ko) 2016-09-28 2016-09-28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020B1 true KR101725020B1 (ko) 2017-04-10

Family

ID=58581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545A KR101725020B1 (ko) 2016-09-28 2016-09-28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02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086B1 (ko) * 2020-05-20 2021-09-02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KR102347193B1 (ko) 2020-09-01 2022-01-07 김영두 캐릭터 변신 세발 자전거
KR20220021967A (ko) * 2020-08-13 2022-02-23 하태홍 자세변동 가능한 구조의 자전거 핸들
CN114590351A (zh) * 2022-03-04 2022-06-07 福建省贝思瑞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可折叠式儿童三轮车及其工作方法
US11472462B1 (en) 2021-11-15 2022-10-18 Bran-New International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US20230001975A1 (en) * 2021-05-18 2023-01-05 Id Development Limited Vehicle for An Infa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8235A (ja) * 1995-10-24 1997-05-06 Atex Co Ltd 農作業用運搬車
KR20090077247A (ko) * 2008-01-10 2009-07-15 최인섭 자전거
KR20090010043U (ko) * 2008-03-31 2009-10-06 김찬우 각도 조절이 가능한 빗자루
KR20150075920A (ko) * 2013-12-26 2015-07-06 조용훈 뒤보기와 슬라이딩 가능한 시트를 갖는 어린이용 자전거
KR101605679B1 (ko) 2014-04-23 2016-03-23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세발 자전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8235A (ja) * 1995-10-24 1997-05-06 Atex Co Ltd 農作業用運搬車
KR20090077247A (ko) * 2008-01-10 2009-07-15 최인섭 자전거
KR20090010043U (ko) * 2008-03-31 2009-10-06 김찬우 각도 조절이 가능한 빗자루
KR20150075920A (ko) * 2013-12-26 2015-07-06 조용훈 뒤보기와 슬라이딩 가능한 시트를 갖는 어린이용 자전거
KR101605679B1 (ko) 2014-04-23 2016-03-23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세발 자전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086B1 (ko) * 2020-05-20 2021-09-02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KR20220021967A (ko) * 2020-08-13 2022-02-23 하태홍 자세변동 가능한 구조의 자전거 핸들
KR102422641B1 (ko) * 2020-08-13 2022-07-21 하태홍 자세변동 가능한 구조의 자전거 핸들
KR102347193B1 (ko) 2020-09-01 2022-01-07 김영두 캐릭터 변신 세발 자전거
US20230001975A1 (en) * 2021-05-18 2023-01-05 Id Development Limited Vehicle for An Infant
US11891104B2 (en) * 2021-05-18 2024-02-06 Id Development Limited Vehicle for an infant
US11472462B1 (en) 2021-11-15 2022-10-18 Bran-New International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CN114590351A (zh) * 2022-03-04 2022-06-07 福建省贝思瑞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可折叠式儿童三轮车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020B1 (ko)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
JP5889551B2 (ja) 乳母車
JP4994925B2 (ja) ベビーカー
US20180022413A1 (en) Toddler bike
JP5436911B2 (ja) ベビーカー
JP6378991B2 (ja) 乳母車
JP5755344B2 (ja) 折り畳み式乳母車
JP5020655B2 (ja) ベビーカー
JP2018070123A (ja) 乳母車
KR101859838B1 (ko) 등받이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
CN113276926B (zh) 婴儿车
JP2010208413A (ja) 電動車両の緊急停止機構
JP6938071B1 (ja) 乳母車
KR20200014212A (ko) 유모차
KR102477428B1 (ko) 유모차
JP6910665B1 (ja) 育児器具およびガード装置
JP6923930B2 (ja) 乳母車
KR200486835Y1 (ko) 손 페달이 구비된 휠체어
KR20160003435U (ko) 등받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륜 자전거용 좌석
FR3024426A1 (fr) Engin roulant modulaire pour enfant a roue avant directrice actionnable
FR3024427A1 (fr) Engin roulant modulaire pour enfant a siege amovi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