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567Y1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567Y1
KR880003567Y1 KR2019840004194U KR840004194U KR880003567Y1 KR 880003567 Y1 KR880003567 Y1 KR 880003567Y1 KR 2019840004194 U KR2019840004194 U KR 2019840004194U KR 840004194 U KR840004194 U KR 840004194U KR 880003567 Y1 KR880003567 Y1 KR 880003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pair
support rod
baby carriag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4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272U (ko
Inventor
겐조우 갓사이
Original Assignee
아프리까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겐조우 갓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까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겐조우 갓사이 filed Critical 아프리까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2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2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5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2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foldable widthw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모차
제1도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사시도.
제1a도는 푸시로드 연결부재의 절첩상태 도시도.
제1b도는 폭방향 연결부분의 절첩상태 도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유모차의 우측면도.
제3도는 유모차의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도에 해당하는 우측면도.
제4a도 및 제4b도는 유모차의 개방상태로부터 절첩상태로 바뀌는 도중에 있어서 뒷다리, 상부 및 하부 지지로드, 및 시트 지지로드의 연결을 도시한 2개의 우측면도.
제5도는 개방된 상태에 있는 유모차에 있어서 팔걸이, 앞다리, 슬라이더, 뒷다리, 및 앞다리 연결부재를 위한 연결배열에서 정면에서 본 사시도.
제6도는 슬라아더 및 다른 부재를 위한 연결배열을 도시한 것으로서 유모차의 좌측편에 위치한 슬라이더의 사시도.
제7도 앞아리의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도시도.
제8도는 개방된 상태에서의 유모차 후면 사시도.
제8a도 및 제8b도는 버팀로드 및 보강로드와 관련된 부분의 구조를 도해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제9도는 유모차의 오른쪽만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된 유모차의 푸시로드에 부착된 회전 정지부재를 유모차 안쪽에서 본 사시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슬라이더 5 : 푸시로드(상부 지지로드)
6 : 하부 지지로드 7 : 시트 지지로드
8 : 당김로드 11 : 앞다리 연결부재
12 : 뒷다리 연결부재 13 : 중앙 연결부재
18 : 팔걸이 연결부재 23 : 잠금홈
25 : 피버트점 28 : 이동부재
29 : 바아링크 31 : 아암
40 : 버팀로드 43 : 보강로드
45 : 푸시로드 46 : 회전정지부재
[실용신안의 상세한 서명]
본 고안은 유모차의 계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의자형 구조의 유모차에서 사용되는 접철식 기구의 계량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여러가지 형태의 기본구조를 가진 유모차가 제안되어 왔고 실제 사용되여 왔다. 그와 같은 기본 구조의 유모차 가운데서 의자형 기본구조를 가진 것이 제안되었다. 게다가 , 의자형 기본구조의 그와 같은 유모차의 접철식 변경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의자형 기본구조의 그와 같은 접철식 유모차는 개선되어야 할 점이 많다. 물론 당연한 일이지만, 특히 그와같은 형태의 유모차는 그 안에 놓인 유아와 함께 안정되어야할 것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유아가 유모차내에 있을 때 유아의 다리는 전방에 위치하며 유아몸체의 대부분은 후방에 위치된다. 그 결과, 유모차에 의해 지지된 유아의 중력중심은 유모차의 후방에 위치한다. 최근 등받이에 기대는 기구가 달린 유모차가 가끔 제안되어 왔으며, 그와 같은 유모차에서 등받이에 기댈 때 유아의 중력중심은 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와 같은 상황에서 유아를 안정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뒷바퀴를 가지는 뒷다리는 후방쪽으로 비교적 길게 연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유모차에서, 길다란 뒷다리를 가지는 구조 때문에 유모차를 접으면 앞다리에 부착된 앞바퀴는 뒷바퀴에 위치하고 따라서 유모차는 절첩된 상태에서 자립시키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아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 유모차가 절첩되었을 때 앞 및 뒷바퀴가 같은 높이에서 위치되어 자립될 수 있는 구조의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는 기본적으로 1쌍의 팔걸이, 1쌍의 앞다리, 1쌍의 슬라이더 , 1쌍의 뒷다리, 1쌍의 상부지지로드, 1쌍의 하부 지지로드, 1쌍의 시트 지지로드, 1쌍의 당김로드 및 폭방향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폭방향 연결수단은 팔걸이, 앞다리, 슬라이더, 뒷다리, 상부 지지로드, 하부지지로드, 시트 지지로드 및 당김 로드로 이루어진 유모차의 좌우측면을 연결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각 팔걸이는 후방 및 전방으로 연장하도록 위치되고 다소 전방위치에서 피버트가능하게 연결된 앞다리를 가진다. 각 앞다리는 그 하단부에 앞바퀴를 가진다. 각 슬라이더는 관련 앞다리에 부착되고, 앞다리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각 뒷다리는 관련 슬라이더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게다가, 각 뒷다리는 그 하단부에 뒷바퀴를 가진다.
각 상부 지지로드는 다소 후방위치에서 관련 팔걸이에 그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각 하부 지지로드는 한 단부에서 관련 뒷다리의 중간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서 관련 상부 지지로드에 열결된다.
각 시트 지지로드는 그 전방 단부에서 관련 앞다리의 중간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방 단부에서 상부 및 하부 지지로드 사이의 연결부분에 인접한 지점에 연결된다. 각 당김로드는 슬라이더에 앞다리의 피버트점의 전방에 위치된 팔걸이의 부분을 연결한다.
상술된 기본 구조에서, 상부 지지로드 및 뒷다리는 하부 지지로드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따라서 하부 지지로드가 상부 위치또는 하부위치로 회전되는가에 따라, 상부지지로드의 하단부는 뒷다리에 대해 비교적 상부 또는 하부위치에 오게 된다. 상부 지지로등의 하단부가 뒷다리에 대해 비교적 상부위치에 올 때, 시트 지지로드, 하부 지지로드 및 뒷다리는 삼각형을 이루며 따라서 유모차의 개방상태를 이룬다. 관련부재의 형상 및 구조는 상부 지지로드의 하단부가 뒷다리에 대해 비교적 하부위치에 올때 시트 지지로드, 하부 지지로드 및 뒷다리가 서로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선택되며 따라서, 유모차의 접첩상태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접철식 의자형 유모차의 기본 구조가 얻어진다.
그와 같은 기본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유모차에 의하면, 뒷다리가 유모차의 절첩작동으로 앞다리를 따라 상방으로 미끄러지도록 된 슬라이더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유모차의 개방상태에서 유아를 안정하게 지지하도록 뒷다리는 후방으로 비교적 길게 연장할 수 있으며, 유모차의 절첩상태에서 앞바퀴 및 뒷바퀴는 같은 높이로 위치될 수 있으므로 절첩된 상태에서 유모차를 자립시킬 수 있게 한다. 종래 접철시 유모차의 대부분은 팔걸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뒷다리를 가지나, 그와 같은 구조의 유모차에 비해서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는 팔걸이 아래 및 인접한 지점에서 산뜻한 구조를 가지며 외양에서도 개선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 및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고한 다음의 기술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유모차는 상술된 기본배열을 가지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서 유모차의 우측 및 좌측을 연결하는 폭방향 연결수단은 앞바퀴(9)를 가지는 1쌍의 앞다리(2) 사이에 연결된 앞다리 연결부재(11)와, 뒷바퀴(10)를 가지는 1쌍의 뒷다리(4) 사이에 연결된 뒷다리 연결부재(12)와 , 1쌍의 시트지지로드(7) 사이에 연결된 중앙 연결부재(13)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유모차는 유모차가 절첩되었을 때 그 폭치수가 감소되도록 설계된다. 즉, 앞다리 연결부재(11), 뒷다리 연결부재(12) 및 중앙 연결부재(13)는 그 중간에서 절첩될 수 있으며, 절첩작용에 의해 유모차의 우측 및 좌측은 서로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로드(5)는 각 팔걸이(1)을 넘어서 상방으로 연장하여 1쌍의 푸시로드를 형성한다. 푸시로드 연결부재(14)는 상기 푸시로드(5) 사이에서 연결된다. 이러한 푸시로드 연결부재(14)역시 상기 폭방향 연결수단의 한 부재이다. 푸시로드 연결부재(14)는 그 양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푸시로드(5)에 연결되며 그 중간에서 절첩될 수 있다. 즉, 푸시로드 연결부재(14)는 3개의 부재(14a, 14b, 14c)로 구성되고, 부재(14b, 14c)는 각각 그 일단이 푸시로드(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타단은 부재(14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유모차의 절첩상태에 있어서는 양측부에 위치하는 부재(14b, 14c)가 각각 회전하면서 그에 따라 중앙에 위치하는 부재(14a)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제1a도 참조). 게다가, 푸시로드(5)의 비교적 상부부분에는 등받이 부재(15)가 부착된다. 등받이 부재(15)는 눕힘장치(16)에 의해 도시된 상태보다도 더 후 방쪽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부재(15)는 폭방향 연결수단의 하나인 폭방향 연결부분(17)을 가진다. 이러한 폭방향 연결 부분(17)은 다른 부재와 같이 그 중간에서 절첩될 수 있으며(제1b도 참조). 그 구성은 푸시로드 연결부재(14)와 거의 같다. 또 폭방향은 연결수단은, 가요성 재료로 되어있고 팔걸이(1)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 팔걸이 연결부재(18)을 포함한다.
제1도 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방 상태에 있는 유모차를 접칠 필요가 있다면, 조작자는 팔걸이 연결부재를 상방으로 당기면서 푸시로드 연결부재의 중심부를 누르고 푸시로드 연결부재(14)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므로, 푸시로드(5)의 하단부는 뒷다리(4)에 대해 비교적 낮은 위치에 오게 되고 따라서 제3도에 도시된 유모차의 절첩상태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첩이동으로서 폭방향 연결수단의 부재들은 그 중간에서 절첩되고 따라서 유모차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유모차의 우측 및 좌측은 서로 가까이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절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방법은 여러가지로 강구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본원의 요부와는 그다지 관계가 없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각 부분의 배치 및 절첩작동을 이하에 기술한다.
제4도는 뒷다리(4), 푸시로드(5), 하부 지지로드(6) 및 시트 지지로드(7)의 연결부분을 도시한 우측면도로서, 제4a도는 유모차의 개방상태를 도시하고, 제4b도는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하부 지지로드(6)는 그 하단부에 잠금핀(19)을 통해 뒷다리(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다른 단부에서 핀(20)을 통해 푸시로드(5)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시트 지지로드(7)의 후단부는 핀(20)을 통해 푸시로드(5) 및 하부 지지로드(6)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유모차의 개방상태에서, 푸시로드(5)의 하단부는 뒷다리(4)에 접촉할 때까지 연장한다. 잠금레버(21)는 핀(22)을 통해 푸시로드(5)의 하단부 근방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잠금레버(21)는, 유모차의 개방상태에서 하부 지지로드(6)로부터 돌출하는 잠금핀(19)를 잠그도록 되어 있는 잠금홈(23)을 가진다. 잠금레버(21)의 잠금홈(23)에 의해 잠금핀(19)이 로크된 록킹상태에서 하부 지지로드(6)는 잠금핀(19)의 축둘레에서 회전되는 것이 금지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부 지지로드(6), 시트 지지로드(7) 및 뒷다리(4)의 상부는 삼각형을 이루도록 서로 협동하며, 따라서 유모차의 개방상태는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고정상태를 더욱더 확고히 유지하기 위하여, 잠금홈(23)이 잠금핀(19)을 잠그도록 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을 잠금레버(21)에 부착시킬 수 있다.
유모차를 절첩할 때는 먼저 잠금홈(23)과 잠금핀(19) 사이에서의 록킹상태를 없애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레버(21)를 시계방향으로 돌리고, 다음에 푸시로드(5)위에 위치하는 푸시로드 연결부재(14)를 전방으로 눌러 절첩력을 가하게 되므로, 팔걸이(1)에 연결된 연결점(24)(제1도 내지 제3도 참조) 둘레에서 푸시로드(5)가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로드(6)는 잠금핀(19)의 축 둘레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푸시로드(5)의 하단부는 뒷다리(4)에 대해 비교적 하부위치로 이동한다.
제4a도에 도시된 개방상태로 재설정할려고 할때는 상술한 작동을 역으로 수행하면 된다.
제5도는 팔걸이(1), 앞다리(2), 슬라이더(3), 뒷다리(4), 앞다리 연결부재(11)의 연결배치를 도시한 정면사시도로서, 유모차는 개방상태에 있고 편의상 시트 지지로드(7)의 도시는 생략한다. 제6도는 슬라이더와 다른 부재 및 그 위치관계를 위한 연결배치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유모차의 좌측에 위치한 슬라이더를 도시한 상부 사시도이다.
앞다리(2)는 피버트점(25) 둘레를 회전할 수 있도록 팔걸이(1)에 연결된다. 각 슬라이더(3)는 앞다리(2)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관련 앞다리(2)에 배치된다. 뒷다리(4)는 핀(26)을 통해 슬라이더(3)의 후방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미 기술한 바와같이, 피버트점(25)의 전방에 위치하 앞다리(2) 부분과 슬라이더(3)는 당김로드(8)에 의해 연결된다. 제6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시트 지지로드(7)의 각각은 전방 단부에서 핀(27)에 의해서 관련 앞다리(2)의 내향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6도에 잘 도시된 바와같이 각 슬라이더 (3)의 내향면은 외향면에 비해 하방 치수로 감소되게 된다. 이것은 슬라이더(3)가 예정된 하부위치로 미끄러질 때 슬라이더(3)와 시트 지지로드(7)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앞다리 연결부재(11)는 그 중간에서 하방으로 절첩될 수 있다. 앞다리 연결부재(11)의 접첩운동을 성취하기 위하여, 앞다리 연결부재는 링크를 통해 유모차의 측면을 이루는 부재에 연결된다. 특히, 링크는 각 앞다리(2)에 부착되고 앞다리(2)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1쌍의 이동부재(28)와, 이동부재(28)와 슬라이더(3) 사이에 연결된 바아링크(29)와, 앞다리(2)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고 또 핀(3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1쌍의 아암(31)을 포함한다. 앞다리 연결부재(11)는 그 양단부에서 핀(32)을 통해 이동부재(28)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게다가 앞다리 연결부재(11)는 각 단부로부터 예정된 거리로 이격된 예정위치에 배치된 피버트핀(33)에 의해서 아암(3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므로, 유모차의 절첩작동은 제5도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팔걸이 연결부재(18)를 상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개시되며, 팔걸이(1)는 제5도 또는 제2도 화살표 방향으로 연결점(24) 둘레를 회전하며, 이때 앞다리(2)는 화살표 방향(35)으로 피버트점(25) 둘레를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운동으로 슬라이더(3)는 앞다리(2)를 따라 화살표 방향(36)으로 상향으로 미끄러지기 위해 당김로드(8)에 의해 당겨진다. 앞다리 연결부재(11)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이동부재(28)는 바아링크(29)에 의해 슬라이더(3)에 연결되므로, 이동부재는 슬라이더(3)의 상방 미끄럼이동에 의하여 앞다리(2)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응하여 아암(31)은 화살표 방향(38)으로 회전하고, 이때 앞다리 연결부재(11)는 화살표 방향(37)으로 핀(32)을 통해 피버트핀(33)의 축둘레를 회전하고 하방으로 절첩된다. 앞다리 연결부재(11)가 하방으로 절첩된 상태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작동에서 생기는 힘과는 반대의 힘, 즉 개방상태에서 유모차의 팔걸이(1)를 하방으로 미는 힘(이힘은 팔걸이(1)를 이용하여 설치된 해먹(hammock)에 있는 유아의 하중에 의해 생김)이 가해질 때, 이동부재(28)는 당김로드(8), 슬라이더(3) 및 바아링크(29)을 통해 하방(제7도의 화살표(39) 방향)으로 가고, 따라서 이동부재(28)에 연결된 앞다리 연결부재(11)의 양단부는 하방으로 즉 화살표 방향(39)으로 움직이며, 따라서 앞다리 연결부재(11)는 상방으로 즉, 화살표 방향(40a)으로 퍼지게 되고 화살표 방향(38)(제5도)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하중이 크면 클수록 유모차의 개방상태는 더욱더 확고히 유지된다.
이 실시예에서, 각 단부의 하나에서 이동부재(28)에 연결되고 또 이동부재(28)를 미끄러지게 하는 힘을 내도록 하는 바아링크(29)는 그 다른 단부에서 슬라이더에 연결되나, 상기 다른 단부는 다른 장소, 예를 들어 팔걸이(1)에 연결될 수 있다.
제8도는 시트 지지로드(7), 중앙 연결부재(13), 뒷다리(4), 뒷다리 연결부재(12)의 작동 연결부분의 후면 사시도로서, 유모차는 개방상태에 있다.
제1도 내지 제8도를 참고하면, 중앙 연결 로드(13)는 그 양단부에서 시트 지지로드(7)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중간에서 절첩될 수 있다. 뒷다리 연결부재(12)역시 그 양단부에서 뒷다리(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중간에 후방 또는 하방으로 절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연결부재(13)와 뒷다리 연결부재(12)의 절첩운동 사이의 작동관계를 설정하기 위해 1쌍의 버팀로드(40)가 중앙 연결부재(13)와 뒷다리 연결부재(12)사이에 교차하여 연결된다. 버팀로드(40)는 중앙 연결부재(13)와 뒷다리 연결부재(12)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제2도, 제3도 및 제8도에 명백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유모차의 절첩작동에서, 뒷다리(4)는 화살표 방향(41)으로 핀(26)의 축둘레를 회전하고 반면 시트 지지로드(7)는 화살표 방향(42)으로핀 (27)의 축둘레를 회전함으로, 중앙 연결부재(13)와 시트 지지로드(7)사이의 연결점과, 뒷다리 연결부재(12)와 뒷다리(4) 사이의 연결점간의 거리는 간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버팀로드(40)는 중앙 연결부재(13)와 뒷다리 연결부재(12)에 버팀힘을 제공하며 따라서, 중앙 연결부재(13)와 뒷다리 연결부재(12)는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절첩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작동에서 생기는 힘과는 반대의 힘이 작용할 때, 즉 유모차의 개방상태로 하기 위하여 중앙 연결부재(13)와 시트 지지로드(7)간의 연결점이 뒷다리 연결부재(12)와 뒷다리(4)간의 연결점으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하는 힘이 작용할 때, 버팀로드(40)는 중앙 연결부재(13)와 뒷다리 연결부재(12)에 당김힘을 가하며 따라서 제8도에 도시된 상태가 이루어 진다.
게다가, 제1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1쌍의 보강로드(43)는, 중앙 연결부재(13)와 시트 지지로드(7)간의 연결점의 후방에 위치된 시트지지로드(7)의 부분과 중앙 연결부재(13) 사이에서 교차하여 연결된다. 보강로드(43)는 그 교차점(44)에서 함게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양단부는 중앙연결부재(13)와 시트 지지로드(7)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중앙 연결부재(13)의 절첩운동과는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다. 보강로드(43)는 유모차의 폭방향 요동을 방지하고 시트 지지로드(7)에 설치된 시트를 충분히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버팀로드 및 보강로드의 작동관계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8a도 및 제8b도는 버팀로드(40) 및 보강로드(43)와 관련된 부분의 구조를 도해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제8a도는 유모차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제8b도는 유모착 절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중앙 연결부재(13)는, 축(100)을 통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2개의 부재(13a,13b)로 구성도며, 한쪽의 부재((13a)는 그 한쪽 단부가 축(101)을 통하여 한쪽의 시트 지지로드(7)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쪽의 부재(13b)는 그 단부가 축(102)를 통하여 다른쪽의 시트 지지로드(7)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또 뒷다리 연결부재(12)는 축(103)을 통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부재(12a,12b)로 구성되며, 한쪽의 부재(12a)는 축(104)를 통하여 한쪽의 뒷다리(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쪽의 부재(12b)는 축(105)을 통하여 다른쪽의 뒷다리(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중앙 연결부재(13)와 뒷다리 연결부재(12)와의 각 절곡동작을 서로 연동시키기 위하여 중앙 연결부재(13)와 뒷다리 연결부재(12)와의 사이에 1쌍의 버팀로드(40a, 40b)가 서로 교차하여 연결된다. 즉 한쪽의 버팀로드(40a)는 그 일단이 중앙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한쪽의 부재(13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단이 뒷다리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한쪽의 부재(12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또, 다른쪽의 버팀로드(40b)는 그 일단이 중앙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다른쪽의 부재(13a)에9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단이 뒷다리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다른쪽의 부재(12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버팀로드(40a, 40b)와 중앙 연결부재(13a, 13b)와의 연결은, 구면 베어링을 통하여 행해지고, 똑같이 버팀로드(40a, 40b)와 뒷다리 연결부재(12a, 12b)와의 연결도 구면 베어링을 통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1쌍의 보강로드(43a, 43b)는 그 교차점(44)에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의 보강로드(43a)는 그 일단이 좌측에 위치하는 시트 지지로드(7)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중앙연결부재를 구성하는 한쪽의 부재(13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다른쪽의 버팀로드(43b)는 그 일단이 우측에 위치하는 시트 지지로드(7)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중앙연결부재를 구성하는 다른쪽의 부재(13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보강로드(43a, 43b)는 유모차의 폭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시트 지지로드(7)상에 설치되는 좌석을 충분히 지지하기 위한 보강의 역할을 한다.
유모차의 절첩동작이 개시되면 중앙 연결부재와 시트 지지로드의 연결점(101,102)고, 뒷다리 연결부재와 뒷다리의 연결점(104, 105)과의 간격이 가까워지게 되고, 그때 버팀로드(40a, 40b)는 중앙 연결부재(13a, 14b) 및 뒷다리 연결부재(12a, 12b)에 대하여 버팀힘을 발휘한다. 따라서, 연결점(101, 102)과 연결점(104,105)이 서로 가깝게 됨에 따라 제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연결부재(13a, 13b)는 전방으로 향하여 절곡되고, 뒷다리 연결부재(12a, 12b)는 후방으로 향해 절곡하게 된다.
제1도 내지 제8도에 기술된 실시예에서 팔걸이(1)의 비교적 후방부분에서 그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 지지로드(5)는 팔걸이(1)를 넘어 상방으로 연장하며, 따라서 1쌍의 푸시로드를 형성한다. 그러나, 상부지지로드가 푸시로드로부터 분리하여 만들어진 유모차일 수도 있다. 그와 같은 실시예가 제9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9도에 도시된 유모차에서, 제1도에 도시된 것과 비교하면 푸시로드(45)가 상부 지지로드(5)와 분리된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알수 있다. 각 푸시로드(45)는 하부 지지로드(6), 상부 지지로드(5) 및 시트 지지로드(7)를 연결하는 핀(20)(제4도)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상선으로 도시된 푸시로드(45)의 위치는 전방으로 기울여진 상태를 나타낸다. 푸시로드(45)의 회전운동은 실선으로 도시된 후방위치와, 가상선으로 도시된 전방 위치에서 금지될 필요가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배치가 이루어진다.
푸시로드(45)는 회전정지 부재(46)를 가지며, 그 부재는 푸시로드를 따라 수직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제10도는 유모차내에서 회전정지 부재(46)를 본 사시도이다.도면에서 명확한 바, 회전정지 부재(46)는 유모차 내측으로 향한 표면상에 돌출부(47)를 가진다. 돌출부(47)는 하방으로 개방된 잠금홈(48)으로 형성된다. 푸시로드(45)는 수직으로 연장하는 긴 개구(49)로 형성되며, 회전정지 부재(46)는 상기 긴 개구(49)를 통해 연장하는 핀(50)을 가진다. 이와같이, 회전 정지 부재(46)는 핀(50)이 긴 개구(49)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범위에서 수직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푸시로드(45)는 긴 개구(49) 아래의 부분에 부착된 핀(51)을 가진다. 핀(50,51)은 인장 스프링(52)에 의해 연결되며 따라서 회전정지 부재(46)는 일정하게 하방으로 미끄러지는 힘을 받는다.
푸시로드(45) 때문에 제9도에서는 완전히 볼 수 없지만, 상부 지지로드(5)는 측방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잠금핀을 가지며, 상기 잠금핀은 회전정지 부재(46)의 잠금홈(48)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게다가, 팔걸이(1) 역시 측방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잠금핀(53)을 가지며, 상기 잠금핀은 회전정지 부재(46)의 잠금홈(48)에 의해 결합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푸시로드(45)가 후방위치에 있을 때 그 회전은 잠금홈(48)과 상부 지지로드(5)에 고정된 잠금핀간의 결합에 의해 금지되며, 반면 전방위치에 있을 때는 그 회전은 잠금홈(48)과 핀(53) 사이의 결합에 의해 금지된다. 푸시로드를 후방위치로부터 전방위치로 또는 그 역으로 회전시킬려고 할 때 조작자는 잠금홈(48)과 잠금핀간의 결합을 없애기 위해 인장 스프링(52)의 힘에 대해 회전 정지 부재(46)를 상방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제11도는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사시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것과의 차이점은 유모차의 좌측및 우측을 연결하는 폭방향 연결수단에 있다. 그외는 차이점은 없다. 즉, 제11도에 도시된 유모차는 유모차가 절첩되었을 때 그 폭방향 치수가 감소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앞다리 연결부재(11) 뒷다리 연결부재(12), 중앙연결 부재(13), 푸시로드 연결부재(14) 및 폭방향 연결부분(17)은 앞의 실시예와는 달리 절첩될 수 없다.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했지만, 그것은 설명과 예를 들어서 한 것을로서 제한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7)

  1. 후방 및 전방으로 연장하는 1쌍의 팔걸이와, 상기 팔걸이의 비교적 전방부분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각각 앞바퀴를 가지는 1쌍의 앞다리와, 상기 앞다리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앞다리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1쌍의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부착되고 각각 뒷바퀴를 가지는 1쌍의 뒷다리와, 각각 그 상단부가 상기 팔걸이의 비교적 후방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1쌍의 상부 지지로드와, 그 각 단부가 상기 뒷다리의 각 중간부분에 회전가증하게 부착되고 다른 단부가 상기 상부 지지로드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1쌍의 하부 지지로드와, 그 전방 단부가 상기 앞다리의 각 중간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단부가 상기 상부 지지로드 및 상기하부 지지로드간의 연결부근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1쌍의 시트 지지로드와, 상기 앞다리의 피버트점 전방에 위치하는 팔걸이 부분과 상기 슬라이더를 연결하는 1쌍의 당김로드와, 각각 앞다리, 슬라이더, 상부 지지로드 , 하부 지지로드, 시트 지지로드 및 당김로드로 이루어진 유모차의 좌, 우측을 연결하는 폭방향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 연결수단은, 상기 앞다리 사이에 연결된 앞다리 연결부재와, 상기 뒷다리 사이에 연결된 뒷다리 연결부재와, 시트 지지로드 사이에 연결된 중앙 연결부재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앞다리 연결부재, 뒷다리 연결부재, 및 중앙연결부재 절첩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모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앞다리 연결부재, 뒷다리 연결부재, 및 중앙 연결부재는 그 중간에서 절첩될 수 있고, 그 절첩 운동은 유모차 좌, 우측을 서로 가깝게 하며, 앞다리 연결부재가 접쳐질 수 있도록 유모차의 각 측면을 형성하는 부재를 앞다리 연결부재에 연결하는 링크와 뒷다리 연결부재와 중앙 연결부재의 절첩운동간의 작동관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뒷다리 연결부재와 중앙 연결부재 사이에 연결된 버팀로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앞다리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앞다리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1쌍의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연결된 바아링크와, 상기 앞다리로부터 각각 연장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1쌍의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앞다리 연결부재는 그 양단부에서 상기 이동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단부로부터 예정된 거리로 이격된 피버트점에서 상기 아암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로드는 1쌍의 푸시로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팔걸이를 넘어서 상방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7. 제1항에 있어서, 그 하단부에서 유모차의 좌, 우측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부착된 1쌍의 푸시로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2019840004194U 1983-05-04 1984-05-04 유모차 KR88000356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079804A JPS59202974A (ja) 1983-05-04 1983-05-04 乳母車
JP58-79804 1983-05-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272U KR840006272U (ko) 1984-12-03
KR880003567Y1 true KR880003567Y1 (ko) 1988-10-12

Family

ID=13700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4194U KR880003567Y1 (ko) 1983-05-04 1984-05-04 유모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610460A (ko)
JP (1) JPS59202974A (ko)
KR (1) KR880003567Y1 (ko)
AU (1) AU563509B2 (ko)
DE (1) DE3416401A1 (ko)
FR (1) FR2545435A1 (ko)
GB (1) GB2139161B (ko)
IT (1) IT12131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600079U1 (de) * 1986-01-03 1986-02-27 Chai, Mong-Hsiang, Tainan Vorrichtung zum Richtungsändern des Handgriffs eines Kinderwagens
JP3040496B2 (ja) * 1991-01-11 2000-05-15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折りたたみ式乳母車およびそこに用いられる折りたたみ機構
DE9101318U1 (de) * 1991-02-06 1991-04-25 Emil Leipold GmbH, 8637 Ahorn Kinderwagen mit neigungsverstellbarer Rückenlehne
US5257799A (en) * 1991-10-04 1993-11-02 Cosco, Inc. Foldable stroller
US5472224A (en) * 1992-04-04 1995-12-05 Jane, S.A. Foldable baby carriage frame and cradle seat couplable to same
US5205578A (en) * 1992-05-20 1993-04-27 Liu Kun Hei Structure of folding baby carriage frame assembly
FR2693162B1 (fr) * 1992-07-02 1994-09-16 Ampafrance Poussette pliante pour enfant à pliage compact.
US6189914B1 (en) * 1993-10-01 2001-02-20 Worth Pfaff Innovations, Inc. Folding stroller
US5499831A (en) * 1993-10-01 1996-03-19 Worth Pfaff Innovations, Inc. Folding stroller for child's car seat
US5702120A (en) * 1995-08-09 1997-12-30 Piccolino, Llc Rollable child carrier structure
US5662380A (en) * 1995-11-09 1997-09-02 Fisher-Price, Inc. Folding seat back for stroller
DE69619876T2 (de) * 1996-12-19 2002-06-27 Form Design Corp Aufhängung für kinderwagen
US6068284A (en) * 1997-07-29 2000-05-30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with one hand release mechanism and one hand release mechanism thereof
US6557885B1 (en) 1997-08-15 2003-05-06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with release latch
US6155740A (en) * 1998-10-14 2000-12-05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and a fold latch assembly thereof
US6666473B2 (en) 2000-05-08 2003-12-2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stroller with passenger support base
US7044497B2 (en) 2000-05-08 2006-05-16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stroller
US6478327B1 (en) 2000-05-08 2002-11-12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stroller
JP2003095114A (ja) * 2001-09-26 2003-04-03 Combi Corp 飲料台付きガードアーム及びベビーカー
US6783135B1 (en) * 2002-03-29 2004-08-31 Lydia J. Nord Transformable infant transporter
JP4184761B2 (ja) * 2002-11-11 2008-11-19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折畳式乳母車
US7445229B2 (en) 2004-04-13 2008-11-04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including movable basket assembly
US7686322B2 (en) 2004-04-30 2010-03-30 Chicco Usa, Inc. Foldable stroller with memory recline
CN102963411A (zh) * 2007-02-19 2013-03-13 索利产业公司 婴儿推车
CN101952156B (zh) 2007-11-01 2013-04-03 智高美国股份有限公司 折叠式婴儿车致动系统
US8100429B2 (en) 2008-03-31 2012-01-24 Artsana Usa, Inc. Three dimensional folding stroller with infant carrier attachment and one hand actuated seat recline
ES2533792T3 (es) 2008-08-15 2015-04-14 Artsana Usa Inc. Cochecito
US8240700B2 (en) 2008-08-15 2012-08-14 Artsana Usa, Inc. Stroller with travel seat attachment
WO2010022571A1 (zh) * 2008-08-29 2010-03-04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童车
AU2009289601B2 (en) * 2008-09-05 2013-12-05 Thorley Industries, Llc Collapsible stroller
USD636300S1 (en) 2009-08-14 2011-04-19 Artsana Usa, Inc. Stroller
USD651140S1 (en) 2010-12-20 2011-12-27 Artsana Usa, Inc. Stroller frame tubing
CN106541977B (zh) * 2015-09-16 2019-08-30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承载装置
CN107416003B (zh) * 2017-06-15 2023-04-28 安徽酷豆丁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折叠的婴儿推车
USD880799S1 (en) * 2018-03-19 2020-04-07 Qingdao Zhengtao Tool Co., Ltd. Multi-functional folding car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76517A (en) * 1967-07-08 1970-01-07 Raleigh Industries Ltd Improvements to Push Chairs, Perambulators and the like
IT1066314B (it) * 1976-07-15 1985-03-04 Kassai Kk Perfezionamento nelle carrozzine per bambini
US4317581A (en) * 1979-10-13 1982-03-02 Kassai Kabushikikaisha Baby carriage
JPS5832064B2 (ja) * 1980-01-30 1983-07-11 葛西株式会社 乳母車
GB2074106B (en) * 1980-03-10 1984-02-08 Kassai Kk Baby carriage
US4412689A (en) * 1981-04-30 1983-11-01 Lee Byron D Folding support frame for stroller or the like
US4428598A (en) * 1981-07-27 1984-01-31 Kassai Kabushikikaisha Baby carriage
DE3147657A1 (de) * 1981-12-02 1983-06-09 Hermann 4800 Bielefeld Möcking "faltbarer kinderwagen"
JPS5984664A (ja) * 1982-11-06 1984-05-16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開状態ロツク機構
JPS59106366A (ja) * 1982-12-11 1984-06-20 象印ベビ−株式会社 ベビ−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272U (ko) 1984-12-03
FR2545435A1 (fr) 1984-11-09
US4610460A (en) 1986-09-09
GB8411072D0 (en) 1984-06-06
DE3416401A1 (de) 1984-11-29
GB2139161A (en) 1984-11-07
IT8420768A0 (it) 1984-05-02
JPH0126910B2 (ko) 1989-05-25
AU563509B2 (en) 1987-07-09
AU2751684A (en) 1984-11-08
JPS59202974A (ja) 1984-11-16
IT1213162B (it) 1989-12-14
GB2139161B (en) 1987-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3567Y1 (ko) 유모차
US4706986A (en) Mechanism for locking opened state of baby carriage
CA1153034A (en) Baby carriage
JP3040496B2 (ja) 折りたたみ式乳母車およびそこに用いられる折りたたみ機構
US4386790A (en) Baby carriage
US5988670A (en) Child carrier
US4362315A (en) Baby carriage
US4848787A (en) Baby carriage
US4746140A (en) Baby carriage
US4428598A (en) Baby carriage
US4762335A (en) Baby carriage
JP3980349B2 (ja) ベビーカー
KR100923261B1 (ko) 유모차
JPS59149868A (ja) 乳母車用ベツド
US4515389A (en) Baby carriage and armrest for such baby carriage
USRE31760E (en) Baby carriage
JPS6238972B2 (ko)
CN208789750U (zh) 折叠式婴儿推车车架
KR920009592B1 (ko) 절첩가능한 유모차
JPS6134200Y2 (ko)
JPH0712824B2 (ja) 乳母車
JPS5838349B2 (ja) 乳母車
EP3862247B1 (en) Stroller seat with a backrest folding mechanism
CN211795493U (zh) 摇椅
CN209051481U (zh) 一种可折叠的儿童手推车车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