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4824A - 접이식 유모차 왜건 - Google Patents

접이식 유모차 왜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4824A
KR20230054824A KR1020237002235A KR20237002235A KR20230054824A KR 20230054824 A KR20230054824 A KR 20230054824A KR 1020237002235 A KR1020237002235 A KR 1020237002235A KR 20237002235 A KR20237002235 A KR 20237002235A KR 20230054824 A KR20230054824 A KR 20230054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andle
wagon
assembly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2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렌스 제이 클레머
패트릭 제이 지 바워스
Original Assignee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filed Critical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054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7Coaster wag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3/025Foldable rol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13Protection covers, e.g. against 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1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both ends or periphery of cart fitted with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7Stowable or retractable handl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8Children's seats ; Seats or supports for other persons
    • B62B5/082Children's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다수의 특징을 포함하는 접이식 왜건 조립체가 본원에 개시된다. 일 양태에서, 왜건의 프레임의 종방향으로 최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에 위치된 선회 연결부를 포함하는 푸쉬 핸들(push handle)이 제공된다. 다른 양태에서, 프레임의 상부 단부가 섬유 제품 인클로저를 왜건에 견고하게 부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한다. 왜건의 프레임 상에 형성된 유지 클립을 통해 대체로 직립 위치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풀 핸들(pull handle)도 제공된다.

Description

접이식 유모차 왜건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6월 19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 63/041,194 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의 개시 내용이 본원에 전체적으로 명시된 바와 같이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개시는 개괄적으로, 접이식 유모차 왜건에 관한 것이다.
보호자에게 밀기 모드와 당김 모드 모두의 조종성을 제공하는 여러 유모차 왜건이 시판되고 있다. 현재, 상기 두 가지 모드의 조종성을 제공하는 유모차 왜건은 핸들을 사용하지 않을 때 푸쉬 핸들(push handle) 또는 풀 핸들(pull handle)을 컴팩트하게 보관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 그 결과, 핸들이 매달린 채로 남아 있거나 지면 상에 눕혀진 채로 있어, 유모차 왜건이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하게 된다.
섬유 제품(soft goods) 부가물이 있는 유모차 왜건이 잘 알려져 있다. 섬유 제품 부가물이 전형적으로 왜건 프레임의 주위를 감싸고 있어야 하며, 섬유 제품 부가물을 고정하기 위해 몇몇 유형의 체결구 또는 부착 수단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유선형의 현대적으로 보이는 제품을 원하는 소비자에게는 깔끔하지 못하거나 부피가 큰 외관이 매력적이지 않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섬유 제품 인클로저(enclosure)용의 몇몇 부착 구성은, 환경에 노출되어 먼지나 파편이 축적되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달리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후크와 루프 유형의 체결구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푸쉬 핸들 및/또는 풀 핸들의 보관을 모두 해결하며 또한, 섬유 제품 부가물을 왜건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과 관련하여 매끄러운 외관을 제공하는 접이식 왜건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 양태에서, 본 개시는 종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횡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제 1 측면과 제 2 측면; 및 수직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를 구비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왜건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은 내부의 어린이, 어린이들, 및/또는 개인 물품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수용 영역을 획정한다. 횡방향에 대해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선회 연결부에서 핸들이 상기 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대해 핸들이 끼워 넣어지는 수납 위치와 상기 핸들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전개 위치의 사이에서 선회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접이식 왜건 조립체가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중심 힌지가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왜건 조립체는 상기 후방 프레임에 대해 상승되며 하강되도록 구성되는 푸쉬 핸들을 포함한다. 상기 푸쉬 핸들은 길어지거나 짧아질 수 있는 절첩식(telescoping) 핸들일 수 있다. 하부 위치에서는, 상기 푸쉬 핸들이 상기 후방 프레임의 주위에 끼워 넣어지며 상기 후방 프레임의 일부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본 양태는 상기 왜건 조립체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한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왜건 조립체가 상기 후방 프레임의 최외측 단부로부터 내측에 위치된 상기 푸쉬 핸들용 선회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왜건 조립체의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섬유 제품 조립체의 일부를 수용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한다. 본 양태는 섬유 제품 조립체를 상기 왜건 조립체에 부착하기 위한 간단하고 견고하며 매끈한 장치를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예가 아래 및 청구범위에 설명된다.
전술한 요약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과 함께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유모차 왜건 프레임의 전방 프레임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유모차 왜건 프레임의 후방 프레임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일 예에 따른 유모차 왜건 프레임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중심 힌지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일 예에 따른 중심 힌지 조립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3b의 선 3C-3C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3d는 일 예에 따른 중심 힌지 조립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조립 이전의 일 예에 따른 유모차 왜건 프레임의 전방 프레임 부분과 후방 프레임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일 예에 따른 조립 상태의 유모차 왜건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일 예에 따른 조립 상태의 하나의 중심 힌지 조립체의 확대도이다.
도 5c는 일 예에 따른 유모차 왜건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5d는 일 예에 따른 유모차 왜건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2개의 상이한 위치 및 구성의 푸쉬 핸들을 갖는 후방 프레임 부분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6c는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내부에서 내측에 끼워 넣어진 푸쉬 핸들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2개의 상이한 위치 및 구성의 풀 핸들을 갖는 전방 프레임 부분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8a는 일 예에 따른 전방 상측 레일 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전방 상측 레일 튜브의 특징을 보여주는 도 8a의 확대된 부분이다.
도 8c는 일 예에 따른 후방 상측 레일 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8d는 후방 상측 레일 튜브의 특징을 보여주는 도 8c의 확대 부분이다.
도 9a는 일 예에 따른 튜브에 부착된 섬유 제품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일 예에 따른 섬유 제품 조립체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a는 일 예에 따른 접힌 구성의 유모차 왜건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10b는 일 예에 따른 접힌 구성의 유모차 왜건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특정 용어는 이하의 설명에서 단지 편의를 위해 사용되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단어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방향을 지정한다. 단어 "내측으로" 및 "외측으로"는 도면에서 참조된 부분을 향하며 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한다.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여기서 a, b, 및 c는 나열되고 있는 항목을 나타냄)로 인용되는 항목의 목록에 대한 참조는 항목 a, b, 또는 c,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의미한다. 이 용어에는 위에 구체적으로 언급된 단어, 그 파생어 및 유사한 의미의 단어가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또는 종방향이라는 용어는 도 5a의 X1-X2 방향을 지칭하며, 횡방향으로라는 용어는 도 5a의 Z1-Z2 방향을 지칭하며, 용어 수직 방향은 도 5a의 Y1-Y2 방향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프레임(10)으로도 지칭되는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이 개시되어 있으며 도 5a에 완전히 조립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은 전방 단부이거나 후방 단부일 수 있는 제 1 단부와, 제 1 단부의 반대측이며 또한 전방 단부이거나 후방 단부일 수 있는 제 2 단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가 종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일 양태에서, 제 1 단부가 후방 종방향 단부이며, 제 2 단부가 전방 종방향 단부이거나,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제 1 단부가 후방 종방향 단부 상의 프레임(10)의 임의의 부분을 지칭할 수 있으며, 제 2 단부가 전방 종방향 단부 상의 프레임(10)의 임의의 부분을 지칭할 수 있거나,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은 또한, 횡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 1 측면이 우측 또는 좌측 횡방향 측면이며, 제 2 측면이 우측 또는 좌측 횡방향 측면 중 반대쪽 하나이거나,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제 1 측면이 우측 또는 좌측 횡방향 측면 상의 프레임(10)의 임의의 부분을 지칭할 수 있으며, 제 2 측면이 우측 또는 좌측 횡방향 측면 상의 프레임의 임의의 부분을 지칭할 수 있거나,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이 또한, 수직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부 단부가 상측 레일 튜브(22, 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 단부가 하측 레일 튜브(24, 4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내부에 어린이, 어린이들, 또는 개인 물품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 수용 영역을 획정한다. 본원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섬유 제품 조립체가 내부 수용 영역의 내부에 배열되며 어린이, 어린이들, 또는 개인 물품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영역을 획정하도록 구성된다.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의 특정 부분이 프레임 요소, 튜브, 또는 기타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당업자는 기부 또는 바닥 부분, 측면 부분 등을 포함하는 프레임(10)의 임의의 부분이 강성 평면형 표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이에 개구가 획정된 튜브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은 일반적으로, 전방 프레임(20), 후방 프레임(40), 및 적어도 하나의 중심 힌지(60)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중심 힌지(60)는 서로 거울상인 한 쌍의 중심 힌지(60a, 60b)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중심 힌지(6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이 접이식이 아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이 접이식일 수도 있지만, 중심 힌지(60)를 포함하지 않는 대안의 구성 또는 배열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전방 프레임(20)은 적어도 하나의 전방 휠 조립체(23a, 23b)를 포함하며, 후방 프레임(40)은 적어도 하나의 후방 휠 조립체(43a, 43b)를 포함한다. 전방 휠 조립체(23a, 23b) 및 후방 휠 조립체(43a, 43b)는 각각, 한 쌍의 휠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이 4개 미만의 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휠 조립체는 임의의 제동 구성 요소, 베어링, 캐스터, 차축 등과 같은 전체 휠 지지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튜브가 프레임(20, 40)의 다수의 양태에 대해 사용된다. 당업자는 로드, 실린더, 링크 장치, 또는 기타 구성 요소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지지 구조물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튜브는 중실형 구성 요소로서 또는 중공형 내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20)은 전방 상측 레일 튜브(22), 전방 하측 레일 튜브(24), 및 전방 레그 튜브 또는 지지부(26a, 26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전방 상측 레일 튜브(22)가 U-자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일 양태에서, 전방 하측 레일 튜브(24)가 U-자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당업자는 전방 상측 레일 튜브(22) 및 전방 하측 레일 튜브(24)의 형상, 프로파일 및 구성이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양태에서, 전방 프레임(20)이 직각으로 또는 기타 각도로 연결된 복수의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전방 프레임(20)이, 가위형 리프트 지지 프레임과 유사하게, 교차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일련의 링크 장치, 플레이트, 로드, 튜브, 또는 기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어, 전방 프레임(20)이 접힐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전방 프레임(20)의 바닥 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강성 지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 부분이 중실형 지지 표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바닥 부분에 의해 그리드(grid) 또는 격자형 지지 표면이 제공될 수 있다. 당업자는 전방 프레임(20)의 임의의 측면 또는 바닥 부분이 강성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레그 튜브(26a, 26b)가 선회 연결부(29a, 29b, 29c, 29d)를 통해 전방 상측 레일 튜브(22)와 전방 하측 레일 튜브(24)를 연결할 수 있다. 전방 레그 튜브(26a, 26b)의 말단 단부가 전방 휠 조립체(23a, 23b)에 연결될 수 있다. 당업자는, 전방 레그 튜브(26a, 26b) 대신에, 대안의 구성이 전방 프레임(20)의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전방 휠 조립체(23a, 23b)는 프레임(10)의 다른 부분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적어도 도 1,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핸들(28)이 제공된다. 제 1 핸들(28)이 일반적으로 프레임(10)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연결되는 풀 핸들 또는 전방 핸들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 1 핸들(28)이 프레임(10)에 대한 단일 연결 지점을 가지며, 구체적으로 전방 프레임(20)에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10)에 대한 단일 연결 지점으로 인해, 제 1 핸들(28)이 주로 풀 핸들로서 구성되지만, 당업자는 제 1 핸들(28)이 밀기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제 1 핸들(28)이 프레임(10)과 하나보다 많은 연결 지점을 가질 수 있다. 당업자는 제 1 핸들(28)이 전방 프레임(20) 외에 프레임(10)의 다양한 다른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제 1 핸들(28)에 관한 추가적인 세부 사항이 본원에 제공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프레임(40)은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 후방 하측 레일 튜브(44), 및 후방 레그 튜브 또는 지지부(46a, 46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가 U-자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일 양태에서, 후방 하측 레일 튜브(44)가 U-자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당업자는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 및 후방 하측 레일 튜브(44)의 정확한 형상이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양태에서, 후방 프레임(40)이 직각으로 또는 기타 각도로 연결된 복수의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후방 프레임(40)이, 가위형 리프트 지지 프레임과 유사하게, 교차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일련의 링크 장치, 플레이트, 로드, 튜브, 또는 기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어, 후방 프레임(40)이 접힐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후방 프레임(40)의 바닥 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강성 지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 부분이 중실형 지지 표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그리드(grid) 또는 격자형 지지 표면이 후방 프레임(40)의 바닥 부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당업자는 후방 프레임(40)의 임의의 측면 부분 또는 바닥 부분이 강성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레그 튜브(46a, 46b)가 선회 연결부(49a, 49b, 49c, 49d)를 통해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와 후방 하측 레일 튜브(44)를 연결할 수 있다. 후방 레그 튜브(46a, 46b)의 말단 단부가 후방 휠 조립체(43a, 43b)에 연결될 수 있다. 당업자는 후방 레그 튜브(46a, 46b) 외에 대안의 구성이 후방 프레임(40)의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후방 휠 조립체(43a, 43b)가 프레임(10)의 다른 부분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도 2, 도 5c, 도 5d, 도 6a 및 도 6b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프레임(10)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연결되는 제 2 핸들(48)이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제 2 핸들(48)은 푸쉬 핸들 또는 후방 핸들이다. 당업자는 제 2 핸들(48)이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따라 푸쉬 핸들 또는 풀 핸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 양태에서, 제 2 핸들(48)이 후방 프레임(40)의 일부에 연결된다. 대안으로서, 제 2 핸들(48)이 전방 프레임(20)의 일부, 중심 힌지(60, 60a, 60b)의 일부, 또는 프레임(10)의 임의의 다른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핸들(48)에 관한 추가 세부 사항이 본원에 제공된다.
중심 힌지(60, 60a, 60b)는 일반적으로, 프레임(10)용의 접힘 특징을 제공한다. 당업자는 중심 힌지(60, 60a, 60b)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특징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 양태에서, 중심 힌지(60, 60a, 60b)가 중심 선회부를 제공하여, 이것을 중심으로 프레임(10)의 2개의 절반부가 접힐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2개의 절반부는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 40)(즉, 프레임(10)의 제 1 단부와 제 2 단부)이다. 다른 양태에서, 프레임(10)의 우측과 좌측이 서로를 향해 접히도록 프레임(10)이 접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힌지(60, 60a, 60b)가 수직 방향 힌지 튜브(62), 중심 힌지 슬라이더(64), 중심 힌지 링크 장치(66a, 66b), 상측 중심 힌지 플레이트(68), 및 하측 중심 힌지 플레이트(7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커버(75)가 또한,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중심 힌지 플레이트(68)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d는 외부 커버(75)가 제거된 중심 힌지(60, 60a, 60b)의 도면을 제공한다. 중심 힌지(60, 60a, 60b)는 일반적으로, 전방 프레임(20)과 후방 프레임(4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양태에서, 전방 프레임(20)의 기단 단부(25b)와 후방 프레임(40)의 기단 단부(45b)가 중심 힌지(60, 60a, 60b)에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바와 같이, 기단(proximal)이라는 용어는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의 중심 또는 안쪽 영역(12)을 향하여 종방향으로 내측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말단(terminal)은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의 중심 또는 안쪽 영역(12)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한다. 전방 상측 레일 튜브(22) 및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와 같은 프레임(10)의 2개의 부분이 상측 중심 힌지 플레이트(68)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전방 하측 레일 튜브(24)와 후방 하측 레일 튜브(44)와 같은 프레임(10)의 2개의 상이한 부분이 하측 중심 힌지 플레이트(70)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중심 힌지 링크 장치(66a, 66b)가 또한,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 4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중심 힌지 링크 장치(66a, 66b)가 제공된다. 제 1 중심 힌지 링크 장치(66a)의 일 단부(67a)가 전방 하측 레일 튜브(24)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부(67b)가 중심 힌지 슬라이더(64)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2 중심 힌지 링크 장치(66b)는 유사하게, 선회 연결부에 의해 후방 하측 레일 튜브(44)와 중심 힌지 슬라이더(64)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중심 힌지 링크 장치(66b)의 제 1 단부(67c)가 후방 하측 레일 튜브(44)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 2 중심 힌지 링크 장치(66b)의 제 2 단부(67d)가 중심 힌지 슬라이더(64)에 연결될 수 있다. 중심 프레임 슬라이더(64)가 수직 방향 힌지 튜브(62)에 활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중심 힌지(60, 60a, 60b)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이 접힐 수 있도록 전방 프레임(20)과 후방 프레임(40)이 서로를 향해 접히거나 선회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을 접기 위해서는 중심 힌지(60, 60a, 60b)를 위쪽으로 당겨야 한다. 당업자가 본 개시에 기초하여 이해할 바와 같이,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을 접기 위한 기타 방식 또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69)가 상측 중심 힌지 플레이트(68)와 중심 힌지 슬라이더(64)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래치(69)가 선택적으로 정합 해제되어 중심 힌지 슬라이더(64)가 상측 중심 힌지 플레이트(68)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합되도록 구성되는 접힘 버튼(73)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접힘 버튼(73)이 정합되거나, 가압되거나, 당겨질 때 래치(69)가 경사면(73a)을 통해 변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래치(69)가 경사면(73a)과 짝을 이루는 대응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중심 힌지 플레이트(68)와 중심 힌지 슬라이더(64)가 서로 연결되도록 일반적으로 래치(69)를 정합 위치(즉, 설정 위치)로 편향시키는 스프링(71)이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71)은 또한, 접힘 버튼(73)을 그 정합 해제 위치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접힘 버튼(73)이 수직 방향으로 정합되거나 당겨짐에 따라, 래치(69)가 경사면으로 인해 수평 방향으로 변위되며, 래치(69)가 정합 해제된다. 다른 양태에서, 접힘 버튼(73)이 수평 방향으로 밀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래치(69)가 또한 정합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개시로부터 일반적으로 중심 힌지 슬라이더(64)를 상측 중심 힌지 플레이트(68)로부터 부착 및 분리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버튼, 액추에이터, 핸들, 래치, 리테이너, 또는 기타 구조물이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일단 래치(69)가 정합 해제되고 나면, 프레임(10)이 상측 중심 힌지 플레이트(68)를 통해 들어올려질 수 있으며,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 40)이 아래쪽으로 회전한다.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 40)이 아래쪽으로 회전함에 따라, 중심 프레임 슬라이더(64)가 링크 장치(66a, 66b)에 의해 수직 방향 힌지 튜브(62)를 따라 아래쪽으로 구동된다. 프레임(10)의 접힘 양태를 실현하기 위해 임의의 다양한 접힘 구성 및 작동화 특징이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접힘 기구가 도면에 도시되고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더 많거나 더 적은 특징을 포함할 수도 있다.
푸쉬 핸들(48) 및 후방 프레임(40)에 관한 더 많은 세부 사항이 도 6a(하부, 수납 위치 또는 보관 위치의 푸쉬 핸들(48)) 및 도 6b(기울어진, 상향, 전개 위치 또는 사용 위치의 푸쉬 핸들(48))에 도시되어 있다. 도 6a는 신장되지 않은 또는 압축된 상태의 푸쉬 핸들(48)을 예시하는 반면, 도 6b는 신장된 또는 절첩 상태의 푸쉬 핸들(48)을 예시한다. 도 6a 및 도 6b에 단지 2개의 상태 또는 위치가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는 푸쉬 핸들(48)이 완전히 조정 가능할 수 있어, 다수의 위치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으며, 절첩 기능에 의해 푸쉬 핸들(48)이 다양한 길이로 길어지거나 짧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푸쉬 핸들(48)이 한 쌍의 선회 연결부(51a, 51b)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연결부를 통해 프레임(10)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푸쉬 핸들(48)이 U-자형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수납 위치에서, 푸쉬 핸들(48)이 프레임(10)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내측으로 끼워 넣어지거나, 프레임(10)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주위에 끼워 넣어질 수 있다. 이 문맥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끼워 넣어지다는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어느 정도 둘러싸는 것을 의미한다. 일 양태에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주변부 또는 둘레의 대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용어 끼워 넣어지다는 다른 구성 요소의 횡방향 내부 측면 또는 횡방향 외부 측면을 둘러싸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전개 위치에서, 핸들(48)이,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0)으로부터 각을 이루며 위쪽으로 연장된다.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푸쉬 핸들(48)의 대안의 구성은 끼워 넣어지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거나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푸쉬 핸들(48)이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 상에 위치한 선회 연결부(51a, 51b)를 통해 프레임(10)에 연결된다. 일 구성에서, 푸쉬 핸들(48)이 사용하지 않을 때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와 일렬로(즉, 평행하게) 아래로 접힐 수 있도록 선회 연결부(51a, 51b)가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선회 연결부(51a, 51b)가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선회 연결부 중 제 1 선회 연결부(51a)가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의 제 1 횡방향 측면 상에 제공되며, 선회 연결부 중 제 2 선회 연결부(51b)가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의 제 2 횡방향 측면 상에 제공된다. 일부 구성에서, 선회 연결부(51a, 51b)가 후방 하측 레일 튜브(44) 상에 제공된다. 다른 구성에서,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와 후방 하측 레일 튜브(44) 사이의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의 부분 상에 선회 연결부(51a, 51b)가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선회 연결부(51a, 51b)가 중심 힌지(60, 60a, 60b)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선회 연결부(51a, 51b)가 후방 레그 튜브(46a, 46b)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선회 연결부(51a, 51b)가 전방 상측 레일 튜브(22), 전방 하측 레일 튜브(24), 전방 레그 튜브(26a, 26b) 등과 같은 전방 프레임(20)의 임의의 유사한 영역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선회 연결부(51a, 51b)가 휠 조립체(23a, 23b, 43a, 43b)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인접하게 부착되거나 배치될 수도 있다.
푸쉬 핸들(48)이 일반적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끼워 넣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푸쉬 핸들(48)이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의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단부와 끼워 넣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쉬 핸들(48)이 후방 프레임(40)과 같은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의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단부 내부에 또는 주위에 끼워 넣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푸쉬 핸들(48)이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와 끼워 넣어질 수 있다. 일 예에서, 푸쉬 핸들(48)이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의 주위에 끼워 넣어진다. 푸쉬 핸들(48)이 도 5c에 도시된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와 같은 프레임(10)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주변부 또는 외부 둘레를 둘러싸는 하부 위치로 선회하도록 푸쉬 핸들(48)이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 핸들(148)이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 또는 프레임(10)의 임의의 다른 부분의 내측에 끼워 넣어지도록 푸쉬 핸들(148)이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의 프레임보다 더 작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4, 도 5a,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 연결부(51a, 51b)가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의 말단 단부(45a)로부터 종방향으로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선회 연결부(51a, 51b)가 선회 연결부(49a, 49b)에 대해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의 안쪽 영역(12)을 향해 종방향으로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선회 연결부(51a, 51b)가 중심 힌지(60)에 연결되는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의 기단 단부(45b)와 선회 연결부(49a, 49b)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푸쉬 핸들(48)이 수납된 상태 또는 하부 위치에서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와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수납된 상태가 푸쉬 핸들(48)의 하부 또는 최하측 위치에 대응한다. 푸쉬 핸들(48)이 사용 상태 또는 전개 상태에서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의 일부에 대해 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푸쉬 핸들(48)이 전개된 상태에서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에 대해 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푸쉬 핸들(48)이 전개된 위치에서 프레임의 단일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며, 푸쉬 핸들(48)이 수납된 상태에서 프레임의 동일한 단일 부분에 대해 끼워 넣어지도록 구성된다.
선회 연결부(51a, 51b)는 또한, 도 5d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후방 휠 조립체(43a, 43b)에 대해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의 안쪽 영역(12)을 향해 종방향으로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당업자는 선회 연결부(51a, 51b)가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의 내측 영역(12),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의 말단 단부(45a),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 핸들(48)의 제 1 섹션(48a)(즉, 절첩식 부분)이 푸쉬 핸들(48)의 제 2 또는 기부 섹션(48b)에 대해 신장 가능하도록 푸쉬 핸들(48)이 절첩식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접첩식 부분(48a)이 보호자나 사용자가 왜건을 밀면서 걸을 수 있는 적절한 간극을 제공하도록 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푸쉬 핸들(48)이 절첩식 특징이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짧아지거나 길어질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푸쉬 핸들(48)이 고정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푸쉬 핸들(48)이 절첩식 구성 이외의 다른 특징에 기초하여 길어지거나 짧아질 수 있다.
푸쉬 핸들(48)이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절첩식 특징을 가질 수 있으므로, 푸쉬 핸들(48)이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와 같은 프레임(10)의 일부와 일렬로 접힐 수 있으며, 푸쉬 핸들(48)이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와 같은 프레임(10)의 일부 주위에 밀접하게 배치되도록 비절첩식 위치로 압축되거나 활주 이동할 수 있다. 이것은 푸쉬 핸들(48)이 사용되지 않을 때와 제품이 접힐 때 모두 원치 않는 부피를 감소시킨다. 다른 구성에서는, 푸쉬 핸들(48)의 이러한 콤팩트한 보관이 또한, 절첩식 섹션(48a) 없이, 대신에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와 같은 프레임의 일부와 일렬로 자체적으로 접힐 수 있도록 푸쉬 핸들(48) 상의 제 2 선회부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도 5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 핸들(48)이 프레임(20, 40)의 임의의 다른 부분뿐만 아니라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보다 횡방향으로 더 넓을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핸들(48)을 견고한 위치에 잠그기 위한 잠금 기어 또는 기구를 포함하는 잠금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도 2, 도 5a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 버튼 또는 제어부와 같은 액추에이터(54)가 잠금 기어 또는 기구를 작동시키며 해제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액추에이터(54)가 핸들(48) 자체 또는 임의의 다른 위치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전방 상측 레일 튜브(22)와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가 지면에 평행한 단일 공통 수평면(P)에 배열된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P)은, 바람직하게는, 푸쉬 핸들(48)이 하부 수납 위치(즉, 도 6a에 도시된 위치)에 배치될 때 푸쉬 핸들(48)을 통해 연장된다. 수평면(P)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이 사용 중이거나 접히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 중심 힌지(60, 60a, 60b)를 통해 연장된다. 전방 및 후방 상측 레일 튜브(22, 42)의 말단 단부(즉, 종방향으로 외측 단부)의 사이에 중단되지 않은 연속적인 상부 표면을 구비함으로써,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이 컵 홀더 트레이, 섬유 제품 와이어 프레임 등과 같은 보조 구성 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더 넓은 표면적을 제공한다.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의 전체 높이가 또한, 푸쉬 핸들 또는 풀 핸들의 부착 지점을 정의하기 위해 독점적으로 제공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다른 유모차 왜건 프레임에 비해 감소된다.
일 양태에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힌지(60, 60a, 60b)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방 상측 레일 튜브(22)와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의 둘레가 중심 힌지(60, 60a, 60b)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방 상측 레일 튜브(24)와 후방 하측 레일 튜브(44)의 둘레보다 더 클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이 상측 레일 튜브(22, 42)로부터 하측 레일 튜브(24, 44)까지 내측으로 테이퍼형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중심 힌지(60, 60a, 60b)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방 상측 레일 튜브(22)와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에 의해 정의되는 둘레가 중심 힌지(60, 60a, 60b)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방 하측 레일 튜브(24)와 후방 하측 레일 튜브(44)에 의해 정의되는 둘레와 동일한 크기이거나 더 작을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 핸들(28)이, 바람직하게는, 전방 하측 레일 튜브(24)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풀 핸들(28)이 프레임(10)의 임의의 다른 부분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풀 핸들(28)은 풀 핸들(28)이 신장되어 사용자나 간병인에게 보행을 위한 추가적인 여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절첩식 섹션(28a)을 포함한다. 유지 클립(29)이 프레임(1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유지 클립(29)은, 일 양태에서,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의 최상측 부분인 전방 상측 레일 튜브(2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구부리거나 아래로 손을 뻗지 않고도 풀 핸들(28)을 유지 클립(29) 상에 더 쉽게 클립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지 클립(29)이 전방 상측 레일 튜브(22)의 말단 단부(25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풀 핸들(28)이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 위치에 보관될 수 있도록 풀 핸들(28)이 유지 클립(29) 내로 클립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8)은 상측 레일 튜브(22, 42)와 하측 레일 튜브(24, 44) 사이의 테이퍼형에 일치하는 기울어진 위치에 보관될 수 있다. 유지 클립(29)은 풀 핸들(28)이 유지 클립(29)과 정합되도록 밀어질 때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풀 핸들(28)을 고정하기 위해 부착 스트랩 및 스냅핑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당업자는 풀 핸들(28)을 고정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유지 특징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전방 레그 튜브(26a, 26b)가, 전방 상측 레일 튜브(22)로부터 전방 하측 레일 튜브(24)로 가는 방향을 참조하여,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의 종방향으로 안쪽 영역(12)을 향해(즉, 도 5a 및 도 5d의 X2 방향으로부터 X1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진 구성으로 배향될 수 있다. 후방 레그 튜브(46a, 46b)가 또한,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로부터 후방 하측 레일 튜브(44)로 가는 방향을 참조하여,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의 종방향으로 안쪽 영역(12)을 향해(즉, 도 5a 및 도 5d의 X1 방향으로부터 X2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진 구성으로 배향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전방 및 후방 레그 튜브(26a, 26b, 46a, 46b)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지지 표면의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종방향으로 각을 이룬다. 이러한 배열은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킨다. 사용 또는 접히지 않은 위치에서, 전방 및 후방 휠 조립체(23a, 23b, 43a, 43b)가 각각,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에 의해 정의된 외부 둘레에 대해 종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한다. 당업자는 본 개시에 기초하여 전방 및 후방 레그 튜브(26a, 26b, 46a, 46b)가, 대안으로서, 직선 방식으로(즉,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상측 레일 튜브(22)와 후방 상측 레일 튜브(42)가 모두 튜브 프로파일에 통합된 채널(22b, 42b)을 포함하는 중공형 튜브(22a, 42a)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들 채널(22b, 42b)이 튜브의 압출 프로파일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당업자는 튜브에 홈을 기계 가공하거나 절단하는 것과 같은 기타 방법이 채널(22b, 42b)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당업자는 프레임(10)의 임의의 다른 부분이 채널을 포함하는 중공형 튜브로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8b 및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22c, 42c)이 프레임(10)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과 일체로 형성된다. 다른 양태에서, 슬롯(22c, 42c)이 프레임(10)과 일체로 형성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임의의 유형의 슬롯, 리테이너, 리셉터클, 포켓, 또는 기타 요소가 섬유 제품 조립체(80)의 일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10)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 양태에서, 슬롯(22c, 42c)이 튜브(22, 42)와 함께 형성된다. 일 양태에서, 슬롯(22c, 42c)이 섬유 제품 조립체(80)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치수로 형성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 제품 조립체(80)가 보강재(82) 및 섬유 제품 인클로저(84)를 포함한다. 일단 프레임(10)에 부착된 섬유 제품 인클로저(84)는 일반적으로,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에 의해 운반되는 어린이, 어린이들 및/또는 개인 물품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영역을 획정한다.
일 양태에서, 보강재(82)가 세장형 로드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당업자는 슬롯(22c, 42c)과 정합하기 위한 강성 지지 요소를 제공하는 기타 유형의 보강재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 양태에서, 보강재(82)가 섬유 제품 인클로저(84)의 리셉터클(83) 내로 활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일 양태에서, 리셉터클(83)이 보강재(82)용 포켓 또는 터널을 획정하도록 섬유 제품 인클로저(84)의 자유 단부에 직접 재봉된다. 섬유 제품 인클로저(84)에 대한 보강재(82)의 기타 부착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9b는 보강재(82)와의 정합을 보여주기 위해 예시적인 목적으로 섬유 제품 인클로저(84) 및 리셉터클(83)을 점선으로 예시한다. 당업자는 본 개시에 기초하여 보강재 요소를 필요로 하거나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는 프레임(10)에 섬유 제품 조립체(80)를 고정하기 위해 대안의 구성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할 것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83)의 내부에 고정된 보강재(82)가 상측 레일 튜브(22, 42)의 슬롯(22c, 42c)을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일 양태에서, 보강재(82)가 슬롯(22c, 42c)의 가장 좁은 부분보다 더 커서, 섬유 제품 인클로저(84)가 튜브(22, 42)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단단하게 당겨질 수 있다. 슬롯(22c, 42c)은 보강재(82)를 수용하기 위한 치수의 제 1 영역 및 제 1 영역 바로 위에 배치된 제 1 영역보다 좁은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22c, 42c)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이 서로 연결된다. 제 2 영역이 더 좁으면 보강재(82)가 슬롯(22c, 42c)의 더 큰 제 1 영역의 내부에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일 양태에서, 상측 레일 튜브(22, 42)가 각각,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의 외부 둘레 모서리 주위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슬롯(22c, 42c)이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의 외부 둘레 모서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슬롯(22c, 42c)이 상측 레일 튜브(22, 42)의 U-자형 프로파일과 일치하는 연속적인 U-자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이 구성은, 프레임의 모서리 주위에 연속적으로 획정된 슬롯을 갖지 않는 기존의 유모차 왜건 프레임과 비교하여, 유모차 왜건 프레임(10)에 대해 섬유 제품 조립체(80)용의 개선된 부착 구성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슬롯(22c, 42c)은 중심 힌지(60, 60a, 60b) 사이의 프레임(10)의 영역에서 연속적이며 중단되지 않는다. 일 양태에서, 슬롯(22c, 42c)이 프레임(10)의 상부 단부를 따라 전체 둘레에 대해 연장된다.
적어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 지지부(즉, 전방 및 후방 레그 튜브(26a, 26b, 46a, 46b))용 선회 연결부(29a, 29b, 49a, 49b)가 상측 레일 튜브(22, 42)와 같은 프레임(10)의 상부 단부의 밑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기초하여, 선회 연결부(29a, 29b, 49a, 49b)는 섬유 제품 조립체(80)를 또는 프레임(10)에 대한 그 부착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섬유 제품 조립체(8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방해받지 않은 내부 수용 영역이 프레임(10)에 의해 획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섬유 제품을 부착함으로써, 전방 상측 레일 튜브(22)와 후방 상측 레일 튜브(4) 모두가 유모차 왜건의 외측 또는 외부에 노출되며, 섬유 제품 인클로저(84)가 내부 측면(즉, 도 9a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탑승자 영역) 상에서 튜브(22, 42)를 덮는다. 일 양태에서, 섬유 제품 조립체(80)가 프레임(10)에 부착될 때 프레임(10)(즉, 튜브(22, 42))의 상측 단부의 상측 표면 및/또는 외부 표면이 노출된 채로 남아 있다. 이 예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외부는 프레임(10)의 내부 수용 영역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이 구성은, 섬유 제품을 유모차 왜건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다른 부착 수단에 비해, 보다 유선형의, 세련되고 현대적인 외관을 제공한다. 당업자는 섬유 제품 인클로저(84)가, 대안으로서, 유모차 왜건의 외부 표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82)가 슬롯(22c, 42c)에 배치되어 섬유 제품 인클로저(84)가 프레임(10)의 내부 수용 영역 내로 아래로 매달릴 때 상측 레일 튜브(22, 42) 또는 프레임(10)의 상부 단부의 임의의 다른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는 프레임(10)의 상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많은 물리적 변화(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단지 몇 가지만 예시됨)가 본원에 구현된 독창적인 개념과 원리를 변경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만을 포함하는 수많은 실시예가, 이러한 부분에 대해, 본원에 구현된 독창적인 개념 및 원리를 변경하지 않고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 및 선택적 구성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며 및/또는 설명적이고 비제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하며,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보다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표시되며, 따라서 상기 청구범위의 등가의 의미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대체 실시예 및 본 실시예에 대한 변경이 본원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종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횡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제 1 측면과 제 2 측면; 및 수직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를 구비하며, 내부 수용 영역을 획정하는 프레임; 및
    횡방향에 대해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선회 연결부에서 상기 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는 핸들로서, 상기 핸들이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대해 끼워 넣어지는 수납 위치와 상기 핸들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전개 위치 사이에서 선회하도록 구성된 핸들
    을 포함하는 왜건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선회 연결부 각각은, 상기 프레임의 제 1 단부 및 상기 프레임의 제 2 단부로부터 종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것인, 왜건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수납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의 제 1 단부의 주위에 끼워 넣어지며, 상기 핸들은 전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의 제 1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것인, 왜건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수납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내측에 끼워 넣어지는 것인, 왜건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U-자형 프로파일을 갖는 것인, 왜건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선회 연결부 중 제 1 선회 연결부가 상기 프레임의 제 1 측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선회 연결부 중 제 2 선회 연결부가 상기 프레임의 제 2 측면 상에 위치하는 것인, 왜건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 단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 단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레그 지지부(leg support)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부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휠 조립체에 연결되는 것인, 왜건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 단부는 섬유 제품 조립체의 보강재(stiffner)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하는 것인, 왜건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 단부의 상부 표면 상에 획정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 단부의 외부 둘레 모서리 주위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인, 왜건 조립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섬유 제품 조립체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섬유 제품 조립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 내부에서의 상기 보강재의 정합을 통해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며 또한 상기 섬유 제품 조립체의 섬유 제품 인클로저(soft goods enclosure)가 상기 프레임의 내부 수용 영역 내부에 매달릴 때 상기 프레임의 상부 단부의 적어도 외부 표면이 노출되는 것인, 왜건 조립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 단부는 프레임의 상부 단부의 밑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선회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선회 연결부는 복수의 레그 지지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왜건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부 각각은, 상기 프레임의 하부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부의 각각의 말단 단부가 적어도 하나의 휠 조립체에 연결되는 것인, 왜건 조립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제 2 단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핸들
    을 추가로 포함하는 왜건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 단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핸들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유지 클립
    을 추가로 포함하는 왜건 조립체.
  15. 제 1 항에 있어서,
    단일의 공통 수평면(P)이 지면 지지 표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단일의 공통 수평면(P)은 또한 핸들이 수납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프레임의 상부 단부와 상기 핸들을 통해 연장되는 것인, 왜건 조립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절첩식 구성(telescoping configuration)을 통해 길어지거나 짧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인, 왜건 조립체.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왜건 조립체는 접히도록 구성되는 것인, 왜건 조립체.
  18.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획정하는 상부 단부를 포함하며, 내부 수용 영역을 획정하는 프레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 내부에 수용되는 치수로 형성된 보강재 및 이 보강재에 부착된 섬유 제품 인클로저를 포함하는 섬유 제품 조립체
    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재가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슬롯 내부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섬유 제품 인클로저가 상기 프레임의 내부 수용 영역 내부에 매달릴 때 상기 프레임의 상부 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것인, 왜건 프레임 조립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은 상기 프레임에 의해 획정된 외부 둘레 모서리 주위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인, 왜건 프레임 조립체.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가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슬롯 내부에 고정될 때 상기 프레임의 상부 단부의 외부 표면이 노출되며,
    상기 프레임의 상부 단부는, 상부 단부의 밑면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복수의 선회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선회 연결부 각각은, 레그 지지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왜건 프레임 조립체.
KR1020237002235A 2020-06-19 2021-06-17 접이식 유모차 왜건 KR202300548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41194P 2020-06-19 2020-06-19
US63/041,194 2020-06-19
PCT/US2021/037820 WO2021257824A1 (en) 2020-06-19 2021-06-17 Foldable stroller wag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824A true KR20230054824A (ko) 2023-04-25

Family

ID=79268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2235A KR20230054824A (ko) 2020-06-19 2021-06-17 접이식 유모차 왜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42168A1 (ko)
EP (1) EP4168286A1 (ko)
KR (1) KR20230054824A (ko)
CN (1) CN116075456A (ko)
CA (1) CA3187613A1 (ko)
TW (2) TW202332609A (ko)
WO (1) WO20212578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9113B (zh) * 2020-10-23 2024-04-23 张相山 一种片状折叠拖车
CN216301111U (zh) * 2021-12-06 2022-04-15 青岛华天车辆有限公司 一种车把固定装置及工具车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9692A2 (en) * 2006-03-20 2007-09-27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soft goods attachment
US8973940B2 (en) * 2013-08-05 2015-03-10 Zhaosheng Chen Folding wagon
US9145154B1 (en) * 2014-09-19 2015-09-29 Brian Horowitz Folding wagon
TWM510268U (zh) * 2015-06-17 2015-10-11 Hong-Tai Shou 手推車結構
WO2018071955A1 (en) * 2016-10-18 2018-04-26 Benjamin John Newman Combination luggage and child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7824A1 (en) 2021-12-23
CN116075456A (zh) 2023-05-05
TW202332609A (zh) 2023-08-16
EP4168286A1 (en) 2023-04-26
CA3187613A1 (en) 2021-12-23
TWI801910B (zh) 2023-05-11
US20230242168A1 (en) 2023-08-03
TW202208217A (zh) 202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7766B2 (en) Folding wagon
KR102472358B1 (ko) 접이식 왜건
US20180297622A1 (en) Expanding wheel frame wagon
JP6352356B2 (ja) テールゲートを備える折畳み式ワゴン
US7731221B2 (en) Collapsible and portable wheeled dolly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by students or others in the transport of items
US8696015B2 (en) Stroller
US10667489B2 (en) Pet stroller with oversize enclosure
RU2501698C2 (ru) Складная детская коляска
KR20230054824A (ko) 접이식 유모차 왜건
US7390012B2 (en) Folding baby buggy
EP0537433A1 (en) Expandable and compressible carrier
KR102463434B1 (ko) 접이식 간이 침대
JP2009539469A (ja) 車輪付き製品のための格納式ホイール付きシャシー
US6701547B2 (en) Foldable frame for bassinet, playyard, pen, stroller, and the like
US20190135323A1 (en) Convertible Stroller
CN112914300A (zh) 可折叠手提式婴儿床
EP2700559B1 (en) Foldable stroller frame
US20150084313A1 (en) Folding chassis for an umbrella-fold child's pushchair
CN213921106U (zh) 一种折叠车
TWI824338B (zh) 童車車架
US11825925B2 (en) Luggage comprising two sections foldable between a deployed use configuration and a folded storage configu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