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922A -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922A
KR20090010922A KR1020080071570A KR20080071570A KR20090010922A KR 20090010922 A KR20090010922 A KR 20090010922A KR 1020080071570 A KR1020080071570 A KR 1020080071570A KR 20080071570 A KR20080071570 A KR 20080071570A KR 20090010922 A KR20090010922 A KR 20090010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culture
mushrooms
mushroom
frui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카와이
가쯔시코 쿠사카베
아키히코 키타
이쿠노신 카토
Original Assignee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0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92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10Mycorrhiza; Mycorrhizal associ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40Cultiv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서 배양조건 하에 광 조사를 수행함으로써, 자실체 원기 유도를 수행하게 하는 땅지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 및 배양 중에 자실체 원기 형성을 수행하게 한 배양 중의 땅지만가닥 버섯 재배용 배양물이 제공된다. 해당 배양물은 청정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자실체 원기 형성이 청정 환경하에서 수행할 수 있는 점, 자실체 원기 형성 후의 배양물을 그대로, 청정 조건 하에서 원격지의 버섯 재배시설로 이송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도 유용하다.
땅지만가닥 버섯, 균상 재배, 자실체, 원기형성, 재배용 배양물

Description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MUSHROOM BED CULTIVATION METHOD OF LYOPHYLLUM SHIMEJI}
본 발명은 땅찌만가닥 버섯(Lyophyllum shimeji)의 균상 배용 방법 및 균상 재배용 배양물에 관한 것이다.
땅찌만가닥 버섯은 10월 중순경에 졸참나무림 또는 졸참나무ㆍ적송 혼생림의 지상에 발생하는 버섯으로, 「향은 송이버섯, 맛은 만가닥버섯」이라고 불리어 지고 있는 바와 같이, 송이버섯과 함께 일본에 있어서의 식용 버섯 중에서, 최고급 버섯으로 되어 있다. 최근,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검은비늘버섯, 만년버섯, 잎새버섯 등의 식용버섯은 주로 톱밥과 쌀겨ㆍ밀기울 등의 영양원인을 혼합한 배양기를 사용해서 인공적으로 재배를 실시하는 균상 재배방법이 확립되어, 1년을 통해서 계절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버섯을 수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땅찌만가닥 버섯도 매우 맛있는 버섯이기 때문에 인공적으로 재배하는 방법의 확립이 요구되고 있지만, 전술한 팽이버섯 등이 목재 노후균인 것에 대해, 땅찌만가닥 버섯은 균근균이기 때문에 인공적인 균상 재배는 곤란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 땅찌만가닥 버섯의 인공적인 균상재배는 시가현 삼림센터의 오오타에 의 해 처음으로 성공되었으며, 특허문헌 1에서는 맥류를 사용한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이, 비특허문헌 1에서는 맥류를 사용한 배지에서의 땅찌만가닥 버섯 자실체의 발생실험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서는 피트모스를 기재로 하고, 전분 등을 첨가한 배양기에 의한 균근균의 균사배양 방법이 개시되고 있으며, 동발명자들은 비특허문헌 2에서 피트모스를 기재로 하고, 전분 등을 첨가한 배양기에서의 땅찌만가닥 버섯의 자실체 발생실험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발명자들의 방법에서는 배지에 사용하는 맥류가 비싸기 때문에 배지 코스트가 높아지게 된다. 또, 특허문헌 2의 발명자들의 방법에서는 발생한 자실체의 수량이 낮아, 아직 상업생산 레벨에까지는 이르지 않고 있다.
최근, 땅찌만가닥 버섯의 상업재배를 목적으로 한 땅찌만가닥 버섯의 재배방법이 여러 가지로 개시되고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수수아과 식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용 배양기 및 해당 배양기를 사용한 땅찌만가닥 버섯의 재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4에서는 적어도 옥수수분과 활엽수의 톱밥을 함유하는 혼합배지를 조제하고, 그 혼합배지를 수 습윤상태에 있어서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사를 접종하고, 30℃ 이하의 온도에서 배양하는 것에 의해, 자실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서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수 습윤상태에 있어서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사를 접종하고, 배양하는 것에 의해 자실체를 발생 가능 하게 하는 배지에 대해서, 분쇄한 굴껍데기를 첨가 혼합하고, 또한, 배지의 pH가 7을 넘지 않는 범위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6에서는 배지로서 옥수수 및 톱밥을 함유하는 배지에 소량의 맥류 및/또는 쌀류를 첨가 혼합하여 조제한 혼합배지를 사용하고, 그 혼합배지를 수 습윤상태에 있어서 땅찌만가닥 버섯을 접종 배양 후, 자실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그 실시예에 있어서, 땅찌만가닥 버섯 균주를 23℃에서 70일간 배양 후, 온도를 15℃로 내리고, 자실체 원기의 형성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또 피트모스로 배지표면을 덮는 것에 의해, 자실체 형성율을 상승시키고 있다. 또 비특허문헌 1에서는 22℃의 배양공정에서 균사가 만연하였을 때, 피트모스를 배지 상에 두께가 1cm가 되도록 첨가하고, 그 후 추가로 2주일 배양하고, 배양 종료 후 15℃의 발생실로 옮기고, 자실체를 발생시키고 있다.
비특허문헌 2에서는 땅찌만가닥 버섯 균주를 배양기에 접종 후, 23℃에서 배양ㆍ숙성 후, 16℃의 발생실에서 발생조작을 실시하고, 그 13∼15일째에 자실체 원기의 형성을 인정하고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병재배방법으로서, 배지조제, 입병, 살균, 접종, 배양, 싹 띄움, 생육, 수확의 각 공정이 개시되고 있고, 배양 후의 싹 띄움 공정에 있어서 자실체 원기를 형성시키고 있다. 또, 그 실시예에서는 싹 띄움 공정을 적옥토 피복하에서 수행하고 있다.
특허문헌 4에서는 그 실시예에 있어서, 땅찌만가닥 버섯 균주를 23℃에서 60일간 배양 후, 녹소토로 배지상면을 피복하고, 추가로 7일간 배양한 후, 15℃의 발생실로 옮기고, 자실체의 발생을 촉진시키고 있다.
특허문헌 5에서는 그 실시예에 있어서, 땅찌만가닥 버섯 균주를 23℃에서 70일간 재배 후, 15℃의 발생실로 옮기고, 작은 자실체가 나타났을 때에 캡을 제거하고, 자실체의 우산이 열릴때 까지 성장한 단계에서 수확하고 있다.
특허문헌 6에서는 그 실시예에 있어서, 땅찌만가닥 버섯 균주를 23℃에서 55일간 배양 후, 녹소토로 배지상면을 피복하고, 추가로 10일간 배양한 후, 15℃의 발생실로 옮기고, 자실체의 발생을 촉진시키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H07-115844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H06-153695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06752호
(특허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47917호
(특허문헌 5)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7585호
(특허문헌 6)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54044호
(비특허문헌 1) 일본 균학회보, 제39권, 제13∼20쪽, 1998년
(비특허문헌 2) 일본 균학회보, 제35권, 제192∼195쪽, 1994년
본 발명자들은 상기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기술을 바탕으로 땅찌만가닥 버섯의 상업재배, 특히 대형 땅찌만가닥 버섯의 상업재배를 개시하고 있지만, 상업재배의 성공을 위해서는 기술의 개발이 한층 더 요구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현재의 상태를 감안하여, 상업재배에 있어서 땅찌만가닥 버섯의 안정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균상 재배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땅찌만가닥 버섯의 재배에 있어서는 균사배양 후에 복토를 실시하고, 자실체를 발생시키는 것이 주류로 이루어져 있다. 그렇지만 복토에 의한 자실체의 유기(誘起)는, 복토작업에 부가해서 복토를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번잡하다. 복토를 실시하는 경우도, 실시하지 않는 경우도, 배양온도보다 저온으로 제어된 환경하에서 자실체 원기 발생을 유기시켜 있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다. 본 발명자들은 복토를 실시하지 않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의 개발에 주력해 왔지만, 생산규모가 배지 조제량으로 하여 1로트, 4톤을 넘으면 자실체 수량의 불안정성이 밝혀졌다. 해당 불안정성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땅찌만가닥 버섯 균상 재배에 영향을 끼치는 여러 가지 인자별로 재배연구를 실시하고, 대규모재배에 대한 영향을 예의 검토해 왔다. 그 결과, 배양조건하에, 일정한 광조사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자실체원기 유도가 가능하게 되는 것을 발견하고, 배양조건하에, 해당 자실 체 원기 유도를 종료하게 하는 것에 의해, 땅찌만가닥 버섯 재배가 안정적일 뿐만 아니라, 총 재배기간의 단축, 땅찌만가닥 버섯 자실체 수량의 증수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1 발명은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에 있어서, 배양 중에 자실체 원기형성을 실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형태로서는, 배양 중의 균상 재배용 배양기에 광조사를 실시하고, 자실체 원기형성을 실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을 들 수 있다. 또 그 바람직한 형태는, 배양 공정 중에 자실체 원기형성을 종료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의 형태로서는 광조사시기가 배양 공정 중의 배양후기인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을 들 수 있다. 땅찌만가닥 버섯의 배양 공정 중의 광조사 조건으로서는 배양 중에 자실체 원기발생을 유기시킬 수 있는 조건이라면 좋고, 특별하게 한정은 없지만, 적산조도로서 20 럭스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럭스시간 이상이다. 자실체의 균병의 부분에 공동(空洞)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배양은 충분하게 실시할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배양을 충분하게 실행하게 하고, 그 배양 후기의 20∼30일 사이에 광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발명은 배양 중에 자실체 원기형성을 실행하게 한 배양 중의 땅찌만가닥 버섯 균상 재배용 배양물에 관한 것이다. 해당 배양물은 청정상태로 유 지되고 있고, 그 상태로 원격지의 버섯 재배시설로 이송할 수 있는 점에 있어서도 유용하다.
본 발명에 의해, 대규모상업재배에 있어서 땅찌만가닥 버섯의 안정생산을 가능하게 하고, 경제성이 우수한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땅찌만가닥 버섯은 분류학상, Lyophyllum shimeji로 분류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주에 대해서는, 인공적으로 재배가능한 것을 선택 할 수 있고, 특별한 한정은 없고, 공지의 땅찌만가닥 버섯 균주, 예를 들면 Lyophyllum shimeji La 01-27(FERM BP-10960), Lyophyllum shimeji La 01-20(FERM BP-10959), Lyophyllum shimeji La 01-37(FERM P-17456), Lyophyllum shimeji La 01-45(FERM P-17457), Lyophyllum shimeji La 01-46(FERM P-17458)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땅찌만가닥 버섯의 재배방법으로서는, 병재배, 봉지재배, 상자재배 등의 인공적인 균상방법 재배를 적용할 수 있고, 그 배양 중에 자실체 원기를 형성 및/또는 형성을 종료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땅찌만가닥 버섯의 생육온도와 자실체 원기형성 온도를 변화시키지 않는 재배방법이 확립되었다. 이하, 일례로서 병 재배에 의한 본 발명의 버섯의 균상 재 배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그 방법은 배지조제, 입병, 살균, 접종, 배양(원기형성을 포함한다), 싹 띄움(배양중의 싹 띄움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서 싹의 선별, 생육, 수확 등의 각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이것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지조제는 균상 재배에 사용하는 각종 기재를 계량, 교반하고, 물을 첨가해서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에 적합한 수 습윤상태가 이루어지도록 수분 조정될 때까지의 공정을 말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용 배양기에 한정은 없으며, 재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좋지만, 옥수수류와 침엽수 유래의 톱밥, 예를 들면 삼나무 유래의 톱밥(삼나무 톱밥)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옥수수류와 침엽수 유래의 톱밥의 혼합비율을, 예로서 가열 압편 옥수수와 삼나무 유래의 톱밥(삼나무 톱밥)의 경우로 설명한다. 옥수수류와 침엽수 유래의 톱밥의 혼합비율은 땅찌만가닥 버섯의 재배 가능한 비율이라면 좋지만, 고수량을 실현시키게 하는 관점에서는, 가열 압편 옥수수 함량의 하한은 그 건조 중량비로 균상 재배용 배양기 중의 40%이상, 바람직하게는 50%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60%이상이다. 40%미만이 되면 수득되는 땅찌만가닥 버섯의 수량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 가열 압편 옥수수는 흡수성이 낮기 때문에, 균상 재배용 배양기 중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게 되면, 균상 재배용 배양기의 수분 보유력이 낮아져서, 배양병 하부에 물이 체류하고, 그 결과 균 스프레딩 불량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즉, 가열 압편 옥수수 함량의 상한은 그 건조 중량비로 균상 재배용 배양기 중의 80%이하, 바람직하게는 75%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70%이하이다.
또, 균상 재배용 배양기의 수분함량에 대해서도 가열 압편 옥수수와 삼나무 톱밥의 경우로 설명한다. 균상 재배용 배양기의 수분함량은 당업자의 상식에 따라서, 배양병 하부에 물이 체류하지 않을 정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별하게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68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66중량% 이하이다. 다만 수분함량이 64중량%을 넘는 경우에는, 배지 중의 공극이 감소해서 균 스프레딩 불량이 일어날 경우가 있고, 그 결과 수득되는 자실체의 수량 및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64중량% 이하로 조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수분함량이 지나치게 낮아도, 배지의 건조 등의 영향에 의해, 균 스프레딩 불량이나 자실체의 기형, 발생불량이 일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상으로 수분함량이 조정된다. 이것들의 수분함량에 대해서는, 수분 조정된 배지 성상을 보고,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입병은 균상 재배용 배양기를 병에 채우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400∼2300㎖용량의 내열성 광구배양병에 조제한 균상 재배용 배양기를, 예를 들면 1100㎖병의 경우에는 700∼1000g, 바람직하게는 750∼850g 압축하여 넣고, 구경 1∼3cm 정도의 구멍을 1 내지 복수 개 형성하고, 마개막기하는 공정을 말하지만, 균좌 중심부에 구경 1.5cm, 그 주위에 구경 1cm의 4개의 구멍을 뚫음으로써, 더 호적하게 땅찌만가닥 버섯의 배양이 가능하다.
살균은 배지 중의 모든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공정이라면 좋고, 통상 증기에 의한 상압 살균에서는 98∼100℃, 4∼12시간, 고압살균에서는 101∼125℃, 바람직 하게는 118℃, 30∼90분간 이루어진다.
접종은 살균 후 방냉된 배지에 종균을 이식하는 공정으로, 통상 종균으로서는 땅찌만가닥 버섯 균사를 PGY액체 배양지, 1/2PGY액체 배양지 등의 글루코오스, 펩톤 및 효모엑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배지에서 25℃, 10∼15일간 배양한 것을 액체 종균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액체종균은 예를 들면 1100㎖의 광구 배양병의 1병당 약 10∼50㎖을 무균적으로 이식한다. 또한 공지의 고체 종균을 사용 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여기까지 설명한 공정에서 수득되는 액체 종균 접종된 균상 재배용 배양기를 25℃에서 60∼150일간 배양하고, 균 스프레딩한 것도 고체 종균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고체 종균은 예를 들면 1100㎖의 광구 배양병의 1병당 15g 정도를 무균적으로 이식한다.
배양은 균사를 생육, 숙성시키는 공정이다. 통상, 접종된 균상 재배용 배양기를 온도 20∼25℃, 습도 50∼80%에 있어서 균사를 만연시키고, 추가로 숙성시킨다. 또한, 숙성은 생략할 수도 있다. 배양공정은 배양기의 용량에 의해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고, 1100㎖병 재배의 경우에는 통상 80∼120일간, 바람직하게는 100일간 전후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배양후기의 20∼30일간에 적산조도 20 럭스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럭스시간 이상의 광조사를 실시하고, 배양조건하에서 자실체 원기를 형성하게 한다. 즉, 본 발명의 땅찌만가닥 버섯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자실체 원기의 형성은 복토나 재배온도의 저하에 의하지 않고 유도된다. 또, 본 공정에 있어서는 형성된 자실체 원기를 어린 자실체로 성장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싹 띄움은 자실체 원기로부터 싹(어린 자실체)을 형성시키는, 및/또는 어린 자실체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공정이다. 배양 중에 원기 및/또는 어린 자실체를 형성시킨 병의 마개를 제거하고, 통상 10∼20℃, 바람직하게는 15℃ 전후, 습도 80% 이상, 조도 1000 럭스 이하로 5∼15일간 실시한다. 또, 상기의 배양 공정전이나 싹 띄움 공정 전에 균상면에 복수의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해당 구멍의 형성에 의해, 배지의 통기성이 양호하게 되고, 또 구멍으로부터의 자실체의 재배를 실시함으로써, 양호한 형질의 땅찌만가닥 버섯 자실체를 재배할 수 있다. 싹 띄움 공정 중은 가습에 의해 결로수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젖음을 방지할 목적으로 균상면을 구멍이 있는 폴리시트나 골함석 등으로 덮을 수 있고, 배양병을 반전시켜 배양할 수도 있다.
생육이란, 어린 자실체로부터 성숙 자실체를 형성시키는 공정이다. 통상, 조도를 2000 럭스 이하로 하는 이외는 싹 띄움 공정과 거의 같은 조건으로 5∼15일간 실시한다. 생육공정에서는 결로수에 의한 젖음의 영향을 받기 어려우므로, 구멍이 있는 폴리시트나 골함석 등의 피복은 실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독립된 상품가치가 높은 자실체를 얻을 목적으로 동 공정의 초기(5일째까지)에, 균좌 상에 돋아 나온 싹 중 자실체로 성장시키고 싶은 몇 개의 싹을 남겨 두고, 그 밖의 싹을 제거한다, 싹의 선별공정을 첨가할 수 있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성숙 자실체를 얻을 수 있고, 수확을 실시해서 재배의 전체 공정을 종료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병 재배방법에 의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버섯의 균상 재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병재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해, 종래 10∼20일을 필요로 하였던 병의 마개를 제거하고 나서부터의 싹 띄움 기간이 5∼15일로 단축되어,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 총 일수의 단축이 이루어진다. 또 병의 마개를 제거하지 않고, 청정 환경하에서 자실체 원기형성이 유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총 재배 일수가 단축되며, 또한 수량의 유의한 향상을 볼 수 있음이 현저한 효과이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의 범위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PGY액체 배양지(조성: 글루코오스 2.0%(w/v), 펩톤 0.2%(w/v), 효모엑스 0.2%(w/v), KH2PO4 0.05%(w/v), MgSO4ㆍ7H2O 0.05%(w/v)) 100㎖에 Lyophyllum shimeji La 01-27주(FERM BP-10960)의 균사를 접종하고, 25℃에서, 7일간 진탕배양(100rpm) 후, 2㎖을 200㎖의 동 배지에 이식하고, 7일간 진탕배양(100rpm)후, 추가로 배양물의 전량을 160ℓ의 동 배지가 들어 간 200ℓ 용량의 Jar fermenter(코마쯔카와제작소 제)에 접종하고 6일간 교반배양(교반속도: 100rpm, 환기량 25ℓ/분)을 실시하고, 액체 종균을 조제하였다. 한편, 압편 옥수수(이이자카정맥사 제) 와 침엽수톱밥의 삼나무 톱밥[(유)토모에물산]을 건물 중량비로 2:1(압편 옥수수: 침엽수톱밥)로 혼합하고, 배지의 수분이 최종적으로 62중량%이 되도록 물을 첨가해서 충분하게 교반ㆍ혼합한 것을, 1로트당 약 5000개의 폴리프로필렌제의 광구 배양병(1100㎖)에 각각 넣고(병 및 뚜껑을 포함시킨 중량합계 800g) 압축하였다. 압축물 표면의 중앙에 구경 2.0cm의, 압축물 표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한 직경 4cm의 원주 상에 균등하게 4개의 구경 1cm의 각각 깊이가 10cm 정도의 구멍을 형성한 후, 배양병에 캡을 하고, 118℃에서 30분간 고압 증기살균을 실시하고, 20℃까지 방냉한 것을 균상 재배용 배양기(고형배지)로서 조제하였다. 이 고형배지에 상기의 액체 종균을 약 25㎖ 접종하고, 어두운 곳에서 온도 20℃, 습도 70∼75%의 조건하에서 약 75∼85일간 균사를 배양하고, 배지전체에 균사를 만연시킨 후, 1일당 8시간 챔버의 조명을 점등하는 이외는 동일한 조건으로 추가로 배양을 25∼35일간을 계속하고, 합계 약 110일간 배양을 실시하고, 자실체 원기를 형성시켰다. 배양물에 조사되는 조도를 조도계(코니카미놀타제 T-10M)에 의해 측정한 바, 0.1∼600럭스의 범위이고, 적산조도에서는 20∼12,0000 럭스시간의 빛이 각 배양물에 조사되게 되었지만, 어느 조도에 있어서도 양호한 자실체 원기 유도가 관찰되었다. 이어서, 캡을 제거하고, 병을 반전한 후, 온도 15℃, 가습을 휴미아이 100[(주)사기노미야제작소 제]의 표시값으로 115∼120%가 되도록 제어한 발이실로 이동시키고, 100 럭스 이하의 조명 하, 7일간 싹 띄움을 실시하였다. 그 후, 병을 정회전시키고, 배지 표면에 발생한 복수의 싹 중에서 자실체로 성장시킬 4∼5개의 형태가 좋은 싹 이외의 불필요한 싹을 스파툴라를 사용해서 제거한 후, 추가로 10∼11일간, 온도 15℃, 가 습을 휴미아이 100[(주)사기노미야제작소제]의 표시값으로 105∼120%가 되도록 제어한 생육실로 이동시키고, 50∼100 럭스 이하의 조명 하, 9∼11일간 생육시키는 것에 의해, 성숙 자실체를 얻고, 수확을 실시하였다. 총 재배일수는 126∼128일이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10로트의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52864355-PA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양병 1개당의 평균수량이 하기의 비교예 1과 비교해서 위험율 5%의 검정에 있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06).
비교예 1
배양공정의 전기간을 통해서 조명을 켜지 않고 배양을 실시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재배를 실시하였다. 배양공정 중에 자실체 원기는 형성되지 않고, 다음 공정에서 자실체 원기를 형성시키기 위한 싹 띄움 공정은 10일간이 되고, 그 결과 총 재배일수는 129∼131일간이 되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10로트의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52864355-PAT00002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비교하고, 배양병 1개당의 평균 수량은 적은 값이 되었다.
본 발명에 의해 땅찌만가닥 버섯의 안정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균상 재배방법 및 배양 중에 자실체 원기형성을 실행하게 한 배양 중의 땅찌만가닥 버섯 균상 재배용 배양물이 제공된다. 해당 배양물은 청정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자실체 원기형성이 청정환경하에서 수행할 수 있는 점, 자실체 원기형성 후의 배양물을 그대로 청정조건하에서 원격지의 버섯 재배시설로 이송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도 유용하다. 본 발명에 의해 총 재배일수가 단축되고, 또한 땅찌만가닥 버섯 생산이 안정된 효율이 좋은 대규모 상업재배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5)

  1. 땅지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으로서, 배양 중에 자실체 원기 형성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지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배양 중인 균상 재배용 배양기에 광조사를 실시하고, 자실체 원기 형성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지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광 조사시기가 배양후기인 땅지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조사가 적산조도로 20 럭스시간 이상인 땅지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
  5. 배양 중에 자실체 원기 형성을 수행하게 한 배양 중의 땅지만가닥 버섯 균상 재배용 배양물.
KR1020080071570A 2007-07-24 2008-07-23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 KR200900109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92495 2007-07-24
JP2007192495 2007-07-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922A true KR20090010922A (ko) 2009-01-30

Family

ID=40294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570A KR20090010922A (ko) 2007-07-24 2008-07-23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71388B2 (ko)
JP (1) JP5270245B2 (ko)
KR (1) KR20090010922A (ko)
CN (1) CN101361447B (ko)
TW (1) TWI43213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7463A (zh) * 2013-08-01 2013-11-13 青河县隆濠发展有限公司 一种黑木耳的栽培方法及其栽培培养料
CN103960062A (zh) * 2014-05-29 2014-08-06 黄秀英 一种黑木耳的立体栽培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77905B (en) * 2009-12-02 2012-12-01 Endemic Species Res Inst C O A Method for incubating fruiting bodies of antrodia cinnamomea
KR20110109959A (ko) * 2010-03-31 2011-10-06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만가닥버섯 균주 및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제조방법
TWI543706B (zh) * 2013-08-19 2016-08-01 東海大學 牛樟芝之培養方法
CA3115544A1 (en) * 2018-10-24 2020-04-30 Philip Ross Monokaryon mycelial material and related method of production
US10993386B1 (en) * 2019-01-25 2021-05-04 John D'Amico System and method for commercially growing mushrooms
CN111480511A (zh) * 2020-04-27 2020-08-04 李建华 一种芦苇鲜菌的培育与生产工艺
CN114045222A (zh) * 2021-11-12 2022-02-15 福州大学 一种适用于细菌真菌培养的牡蛎壳培养基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9440U (ja) * 1984-02-27 1985-09-14 株式会社 千曲化成 ほんしめじの栽培装置
JP2850080B2 (ja) 1992-11-25 1999-01-27 水石 藤本 菌根性茸類菌糸の培地
JPH084427B2 (ja) 1993-10-25 1996-01-24 滋賀県 ホンシメジの人工栽培方法及びそのための培地
JP4202541B2 (ja) 1998-08-06 2008-12-24 タカラバイオ株式会社 ホンシメジの人工栽培方法
JP2001269053A (ja) * 2000-03-29 2001-10-02 Hokuto Corp 光照射によるきのこ栽培方法
JP2002247917A (ja) 2001-02-23 2002-09-03 Hiroshima Pref Gov ホンシメジの人工栽培方法及びホンシメジの人工栽培用混合培地
JP2005027585A (ja) 2003-07-08 2005-02-03 Hiroshima Pref Gov ホンシメジの人工栽培方法及びホンシメジの人工栽培用混合培地
JP4925169B2 (ja) 2005-07-26 2012-04-25 ヤマサ醤油株式会社 ホンシメジの人工栽培法及び培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7463A (zh) * 2013-08-01 2013-11-13 青河县隆濠发展有限公司 一种黑木耳的栽培方法及其栽培培养料
CN103960062A (zh) * 2014-05-29 2014-08-06 黄秀英 一种黑木耳的立体栽培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61447B (zh) 2011-12-14
TW200913872A (en) 2009-04-01
JP5270245B2 (ja) 2013-08-21
JP2009045062A (ja) 2009-03-05
US7971388B2 (en) 2011-07-05
TWI432135B (zh) 2014-04-01
CN101361447A (zh) 2009-02-11
US20090025286A1 (en)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79901B (zh) 一种香菇菌株及其在香菇栽培方法中的应用
KR20090010922A (ko)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
JP5622897B2 (ja) きのこの菌床栽培方法
CN103907481B (zh) 一种羊肚菌优质菌种的生产方法
CN103563644A (zh) 一种大朵红灵芝的栽培方法
JP5183429B2 (ja) ホンシメジの菌床培養物
JP2007053928A (ja) 新規菌株および新規子実体の栽培方法
CN106856984A (zh) 一种珊瑚状猴头菌树花及其栽培方法
KR100483333B1 (ko) 발효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방법
KR101006734B1 (ko) 접 붙이기 수단을 이용한 관상용 영지버섯 제조방법
JP5551921B2 (ja) ホンシメジの菌床栽培方法
CN109429900B (zh) 一种灵芝仿野生栽培方法
CN108901670A (zh) 百香果套种灵芝的栽培方法
CN108076962A (zh) 一种干巴菌人工栽培方法
JP3542945B2 (ja) ハタケシメジの人工栽培方法
JP3085332B2 (ja) ハタケシメジの室内栽培法
JP2000354419A (ja) きのこ種菌用培地支持体
CN111771606A (zh) 一种无皮松木种植茯神的方法
KR20210073849A (ko)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곰보버섯의 재배방법
JPH08172905A (ja) リオフィラム ウルマリウム子実体の栽培方法
JPH0370449B2 (ko)
JPH03297327A (ja) きのこの人工栽培方法
JPH0744A (ja) ハタケシメジの室内栽培法
JPS60153720A (ja) 万年茸の栽培法
JPH05176649A (ja) 新菌株の培養及び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