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959A - 만가닥버섯 균주 및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만가닥버섯 균주 및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959A
KR20110109959A KR1020110027732A KR20110027732A KR20110109959A KR 20110109959 A KR20110109959 A KR 20110109959A KR 1020110027732 A KR1020110027732 A KR 1020110027732A KR 20110027732 A KR20110027732 A KR 20110027732A KR 20110109959 A KR20110109959 A KR 20110109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mandrel
magnesium
mushroom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나미 마에다
리에 코지마
카츠히코 쿠사카베
Original Assignee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9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95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40Cultivation of spaw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종균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만가닥버섯 균주 및 그 균주를 사용한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제조방법,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만가닥버섯 균주의 선별방법을 제공하는 것. 침엽수톱밥 및 쌀겨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고, 건조 중량비로 약 6.4중량%의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한 재배에 있어서, 고형 재배용 배지표면의 종균부분의 갈변을 발생시키지 않는 만가닥버섯 균주, 당해 균주를 사용한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제조방법. 또 침엽수톱밥 및 쌀겨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고, 다량의 마그네슘 화합물을 함유하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한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만가닥버섯 균주의 선별방법. 본 발명의 선별방법에 의해, 사전에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만가닥버섯 균주를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대규모인 상업적 제조의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수율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양질인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만가닥버섯 균주 및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제조방법{HYPSIZIGUS MARMOREUS STRA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FRUITING BODY OF HYPSIZIGUS MARMOREUS}
본 발명은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만가닥버섯 균주 및 그 균주를 사용하는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만가닥버섯 균주의 선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버섯의 인공적인 재배기술이 개발되고, 여러 종류의 식용버섯의 자실체(표고버섯,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검은비늘버섯, 잎새버섯, 만가닥버섯, 잿빛만가닥버섯, 땅찌만가닥버섯 등)가 제공되게 되어 오고 있다.
통상, 버섯의 인공적인 재배방법은 졸참나무, 너도밤나무, 상수리 나무 등의 원목을 종균용 원목으로 사용하는 원목재배와, 톱밥, 콘코브 등에 쌀겨, 밀기울, 옥수수겨(corn bran) 등의 영양원을 혼합한 배지를 병, 봉지, 상자 등의 용기에 충전한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하는 균상재배가 있다. 이들 재배방법 중, 폴리프로필렌제의 병을 사용한 균상 재배방법은 대형화, 기계화가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대형설비의 공장 시스템에서 실시가 추진되고 있다. 그렇지만, 대형설비의 공장 시스템에 있어서 소량재배에서는 그다지 볼 수 없었던 버섯 재배 시에 있어서의 각종 장애가 볼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면, 만가닥버섯에 있어서는, 배양 숙성 중에 균상 상의 종균부분이 갈색으로 변색하여 경화하는 현상을 볼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 이 때에는 상당한 빈도로 부패 악취의 발생을 동반한다. 이것들의 현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균긁기 후, 균상면에까지 갈변이 이르고, 균사가 재생하지 않거나, 혹은 재생이 매우 늦고, 싹 틔움에 이르지 않는, 즉 자실체를 수확할 수 없는 예를 많이 볼 수 있다. 이 현상은 종균 경화증이라고 불리며, 자실체의 생산효율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중요과제가 되고 있다. 그렇지만, 종균 경화증의 원인이나 메커니즘은 해명되고 있지 않고, 또 대처방법도 배양온도를 내리는 등의 방책이 시도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및 2).
균상버섯ㆍ재배장애 사례집, 제64-66쪽, 나가노현경제사업농업협동 연합회 1995년 03월 발행 나가노현 야채 화훼 시험장 보고, 제11호, 23-26쪽, 2001년
상기의 현재의 상태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만가닥버섯의 대규모 제조에 있어서 종래에 비해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만가닥버섯 균주 및 그 균주를 사용한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만가닥버섯 균주의 선별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대규모 제조에 있어서 중요과제가 된 종균 경화증에 대해서 예의검토한 결과, 놀랍게도, 통상,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소량이 사용되고 있는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과 같은 마그네슘 화합물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고형 재배용 배지(균상 재배용 배지 또는 배양기)를 사용해서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재배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대규모 제조에서 발생하고 있는 종균 경화증과 동일한 현상을 인위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발견하였다. 또, 당해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하여,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만가닥버섯 균주를 선별하는 것이 가능함을 발견하고, 당해 방법을 사용해서 종균 경화증이 매우 발생하기 어려운 만가닥버섯 균주를 발견하였다. 또, 당해 균주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대규모 제조에 있어서 수량이 좋은 안정된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제조가 가능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에 관한 것이다.
[1] 침엽수톱밥 및 쌀겨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고, 건조 중량비로 약 6.4중량%의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한 재배에 있어서, 고형 재배용 배지표면의 종균부분의 갈변을 발생시키지 않는 만가닥버섯 균주.
[2] 상기 [1]에서, 침엽수톱밥, 쌀겨, 콘코브 밀, 대두피, 겨, 및 마그네슘 화합물로부터 이루어지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한 재배에 있어서, 종균부분의 갈변을 발생시키지 않는 만가닥버섯 균주.
[3] 상기 [1] 또는 [2]에서, Hypsizygus marmoreus K-4975(FERM BP-11321), Hypsizygus marmoreus K-4979(FERM BP-11322), Hypsizygus marmoreus K-4980(FERM BP-11323), Hypsizygus marmoreus K-4981(FERM BP-11324), 또는 이들 균주 유래의 변이주로서, 이들 균주와 동등한 성질을 가지는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만가닥버섯 균주.
[4] 상기 [1]에 기재된 만가닥버섯 균주를 사용하는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제조방법.[5] 침엽수 톱밥 및 쌀겨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고, 건조 중량비로 약 5.2중량% 이상의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건조 중량비로 약 0.5중량% 이상의 산화마그네슘 및 건조 중량비로 약 2% 이상의 수산화 알루미나 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마그네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해서 만가닥버섯 균주를 재배하는 것을 포함하는,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만가닥버섯 균주의 선별방법.
[6] 상기 [5]에서, 고형 재배용 배지가 침엽수톱밥, 쌀겨, 콘코브 밀, 대두피, 겨, 및 마그네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만가닥버섯 균주의 선별방법.
[7] 상기 [5] 또는 [6]에서, 고형 재배용 배지표면의 종균부분의 갈변을 발생시키지 않는 만가닥버섯 균주를 선택하는 선별방법인 만가닥버섯 균주의 선별방법.
상기 [3] 발명의 하나의 형태로서는, 침엽수톱밥 및 쌀겨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고, 건조 중량비로 약 6.4중량%의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한 재배에 있어서, 고형 재배용 배지표면의 종균부분의 갈변을 발생시키지 않는 Hypsizygus marmoreus K-4975(FERM BP-11321), Hypsizygus marmoreus K-4979(FERM BP-11322), Hypsizygus marmoreus K-4980(FERM BP-11323), Hypsizygus marmoreus K-4981(FERM BP-11324)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균주유래의 변이주로서, 이들 균주와 동등한 성질을 가지는 만가닥버섯 균주도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만가닥버섯 균주가 제공되고, 그 균주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안정된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대규모인 상업적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만가닥버섯 균주의 간편한 선별방법이 제공된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종균 경화증」이란,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제조에 있어서, 고형 재배용 배지에 종균을 접종한 후, 배양 숙성 중에 고형 재배용 배지표면의 종균부분이 갈색으로 변색되어 경화하고, 부패 악취를 발생시키고, 균긁기 후, 균상표면에 균사가 재생하지 않거나, 혹은 재생이 매우 지연되는 현상을 말한다. 본 현상을 발생한 배양배지에서는 싹 틔움에 이르지 않는, 즉 자실체를 수확할 수 없다.
본원 명세서에의 만가닥버섯의 균상 재배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톱밥, 콘코브 등에 쌀겨, 밀기울, 옥수수겨 등의 영양원을 혼합한 고형 재배용 재비를 병, 봉지, 상자 등의 용기에 충전한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하는 재배방법을 들 수 있다. 고형 재배용 배지로서는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재배 시에 사용되는 공지의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침염수 톱밥 및 쌀겨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침염수 톱밥, 쌀겨, 콘코브 밀, 대두피, 겨, 및 마그네슘 화하물을 포함하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들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침엽수 톱밥 및 쌀겨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고」란, 고형 재배용 배지에 있어서, 배지기재로서 침엽수 톱밥이 주된 성분이고, 영양재으로서 쌀겨가 주된 성분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즉, 배지기재로서 침엽수 톱밥만 또는 다른 배지기재보다 침엽수 톱밥이 많이 사용되고, 영양원으로 쌀겨만 또는 다른 영양재보다 쌀겨가 많이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병재배에 있어서, 850㎖ 병을 사용한 경우, 침엽수 톱밥은 건조중량으로 50~95g, 바람직하게는 60~75g이고, 쌀겨는 건조중량으로 45~110g, 바람직하게는 45~90g이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마그네슘 화합물」이란,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화합물이라면 특별하게 한정은 없고, 마그네슘의 옥소산염, 할로겐화물, 산화물, 수산화물, 무기염 또는 유기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옥소산염으로서는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질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탄산수소마그네슘, 과탄산마그네슘, 할로겐화물로서는 불화마그네슘, 불화수소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브롬화마그네슘, 요오드화마그네슘, 산화물로서는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물로서는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나마그네슘(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마그네슘의 공침물), 무기염으로서는 알루민산마그네슘, 수소화마그네슘, 황화마그네슘, 황화수소마그네슘(수황화 마그네슘), 과망간산마그네슘, 크롬산마그네슘, 염소산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마그네슘 화합물은 1종류 또는 복수 종류를 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만가닥버섯 균주의 선별방법에 있어서는, 특히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 알루미나 마그네슘이 호적하게 사용된다. 또, 당해 선별방법에 있어서의 고형 재배용 배지 중의 마그네슘 화합물 함유량은 사용하는 마그네슘 화합물에 따라 다르고,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을 사용하는 경우, 고형 재배용 배지의 전체 건조중량에 대한 건조 중량비로 약 5.2중량%(예를 들면, 시판품의 건조감량 18%의 경우, 습중량으로 약 12g/850㎖병) 이상, 호적하게는 약 5.2∼8.4중량%(예를 들면, 시판품의 건조감량 18%의 경우, 습중량으로 약 12∼20g/850㎖병), 더 호적하게는 약 6.4중량%(예를 들면, 시판품의 건조감량 18%인 경우, 습중량으로 약 15g/850㎖병), 산화마그네슘의 경우, 고형 재배용 배지의 전체 건조중량에 대한 건조 중량비로 약 0.5중량%(예를 들면, 시판품의 약 1g/850㎖병) 이상, 호적하게는 약 0.5∼3중량%(예를 들면, 시판품의 약 1∼6g/850㎖병), 더 호적하게는 약 0.8중량%(예를 들면, 시판품의 약 1.5g/850㎖병), 수산화 알루미나 마그네슘 화합물의 경우는, 고형 재배용 배지의 전체 건조중량에 대한 건조 중량비로 약 2중량%(예를 들면, 시판품의 건조감량 10%의 경우, 습중량으로 약 4g/850㎖병) 이상, 호적하게는 약 2∼4중량%(예를 들면, 시판품의 건조감량 10%의 경우, 습중량으로 약 4∼8g/850㎖병), 더 호적하게는 약 2.5중량%(예를 들면, 시판품의 건조감량 10%의 경우, 습중량으로 약 5g/850㎖병)이다.
또, 본원 명세서에서의 %나 비율은 특별하게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기준의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만가닥버섯 균주의 선별방법은 균상재배 방법인 병 재배, 봉지재배, 상자재배 등에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례로서 병 재배에 의한 본 발명의 선별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만가닥버섯의 균상재배 방법은 균상배지 조제, 입병, 살균, 종균의 접종, 균상배양, 균긁기(만두긁기), 싹 틔움, 생육, 수확 등의 각 공정으로 이루어진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H05-267942호). 이들 공정 중, 균상배지 조제공정에 있어서, 마그네슘 화합물, 예를 들면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을 고형 재배용 배지의 전체 건조중량에 대한 건조 중량비로 약 5.2중량%가 되도록 고형 재배용 배지에 첨가한다. 본 발명의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만가닥버섯 균주의 선별방법에 있어서, 마그네슘 화합물을 다량으로 함유시키는 고형 재배용 배지로서는, 특별하게 한정은 없고,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재배 시에 사용되는 공지의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침엽수톱밥(예를 들면, 삼나무재) 및 쌀겨를 주성분으로 하는 배지가 호적하게 사용되고, 예를 들면 침엽수톱밥, 쌀겨, 콘코브 밀, 대두피, 겨, 마그네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입병 이후의 공정을 실시한다. 접종하는 종균으로서는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지 아닌지의 선별을 실시하고 싶은 만가닥버섯 균주의 액체 종균 또는 고체 종균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만가닥버섯 균주의 선별방법이 실시 가능한 만가닥버섯의 균주로서는, 리오필룸 울마리움(Lyophyllum ulmarium)으로 표시되고 있는 균주, Hypsizygus marmoreus로 표시되고 있는 균주 및 재배에 적합한 이것들의 변이주, 이들 균주를 친주로 한 공지의 교배 육종에 의해 수득된 교배주 등이 예시된다.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인지의 여부는 균긁기 전ㆍ후의 균상표면의 상태, 균긁기 후의 막재생의 상태, 자실체의 생육상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태 또는 모든 상태를 관찰하는 것에 의해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쉬운 만가닥버섯 종균의 경우, 균긁기 전의 균상면의 상태에 있어서는 갈색 및/또는 이취(異臭)가 나는 상태가 된다. 또 이러한 경우, 균긁기 후의 균상면도 갈색 및/또는 이취가 나는 상태가 되어 있는 것이 많다. 또, 균긁기 후의 막재생에 있어서는, 막재생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또는 일부만 막재생하는 상태가 된다. 자실체의 생육상태에 있어서는, 마그네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혹은 소량 함유하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해서, 자실체의 극단적인 수량 저하나 자실체의 품질(형상)이 저하된다. 하기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균긁기 후의 균상면이 갈변한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자실체가 발생하여도 그 수량의 저하를 볼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슘 화합물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고형 재배용 배지에 있어서, 고형 재배용 배지표면의 종균부분의 갈변을 발생시키지 않는 균주는 종균 경화증을 발생시키기 어려운 우량균주라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가 되지 않는 만가닥버섯 균주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혹은 발생하지 않는 만가닥버섯 균주를 선별할 수 있다. 또,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종래 알려져 있는 만가닥버섯 균주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혹은 발생하지 않는 만가닥버섯 균주를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별방법에 있어서는, 1균주에 대해서, 동일시기, 동일배지, 동일한 조건으로 5개 이상, 적합하게는 8개 이상 재배를 실시하고,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혹은 발생하지 않았는지의 여부를 선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해서 선별한 만가닥버섯 균주로서는 이하의 균주를 언급할 수 있다.
Hypsizygus marmoreus K-4975: 2009년 09월 02일(일본국내 기탁일)자로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미생물기탁센터ㆍ일본 이바라기켄 츠쿠바시 히가지 1쵸메 1반치 1 츄오제6(우편번호 305-8566)에, 일본국내 기탁번호 FERM P-21841로 기탁되고, 그 후, 특허절차 상의 미생물 기탁 등의 국제적 승인에 관한 부다페스트 조약에 의거하여, 2010년 12월 24일에 수탁번호 FERM ABP-11321로 수령되고, 2011년 02월 10일에 국제기탁번호 FERM BP-11321로 수탁
Hypsizygus marmoreus K-4979: 2009년 09월 02일(일본국내 기탁일)자로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미생물기탁센터ㆍ일본 이바라기켄 츠쿠바시 히가지 1쵸메 1반치 1 츄오제6(우편번호 305-8566)에, 일본국내 기탁번호 FERM P-21842로 기탁되고, 그 후, 특허절차 상의 미생물 기탁 등의 국제적 승인에 관한 부다페스트 조약에 의거하여, 2010년 12월 24일에 수탁번호 FERM ABP-11322로 수령되고, 2011년 02월 10일에 국제기탁번호 FERM BP-11322로 수탁
Hypsizygus marmoreus K-4980: 2009년 09월 02일(일본국내 기탁일)자로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미생물기탁센터ㆍ일본 이바라기켄 츠쿠바시 히가지 1쵸메 1반치 1 츄오제6(우편번호 305-8566)에, 일본국내 기탁번호 FERM P-21843으로 기탁되고, 그 후, 특허절차 상의 미생물 기탁 등의 국제적 승인에 관한 부다페스트 조약에 의거하여, 2010년 12월 24일에 수탁번호 FERM ABP-11323로 수령되고, 2011년 02월 10일에 국제기탁번호 FERM BP-11323로 수탁
Hypsizygus marmoreus K-4981: 2009년 09월 02일(일본국내 기탁일)자로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미생물기탁센터ㆍ일본 이바라기켄 츠쿠바시 히가지 1쵸메 1반치 1 츄오제6(우편번호 305-8566)에, 일본국내 기탁번호 FERM P-21844로 기탁되고, 그 후, 특허절차 상의 미생물 기탁 등의 국제적 승인에 관한 부다페스트 조약에 의거하여, 2010년 12월 24일에 수탁번호 FERM ABP-11324로 수령되고, 2011년 02월 10일에 국제기탁번호 FERM BP-11324로 수탁
이들 균주는 건조중량으로 톱밥(삼나무재)을 62g, 습중량으로 쌀겨를 60g(수분함량 약 10%), 콘코브 밀 30g(수분함량 약 10%), 대두피 20g(수분함량 약 10%), 겨 20g(수분함량 10%),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15g(건조감량 18%의 경우)을 혼합한 후, 수분 함유율을 56%로 조정된 고형 재배용 배지에 의한 25℃의 재배에 있어서, 종균 부분의 갈변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 이들 균주를 친주로 하여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상기 균주의 포자를 변이처리, 혹은 상기 균주의 균사와 다른 균주의 균사를 교배처리하여 수득되는 변이주로서, 상기 균주와 등등한 성질, 즉, 균주 경화증을 발생시키기 어렵다는 성질을 가지는 변이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와 같은 변이주는 당업자라면 통상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취득 가능하다. 또, 당해 변이주가 상기 균주와 동일한 성질을 가지는가의 여부에 대해서는,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침엽수 톱밥 및 쌀겨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고, 건조 중량비로 약 6.4중량%의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한 재배에 있어서, 고형 재배용 배지표면의 종균부분의 갈변을 발생시키지 않는 상기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균주와 동등한 성질을 가지는 만가닥버섯 균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Hypsizygus marmoreus K-4975(FERM BP-11321)의 제 성질을 나타낸다.
(1) 맥아엑스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맥아엑스 한천배지(맥아엑스 5%, 한천 3%)를 사용. 7일째에서 왕성한 생육, 콜로로 직경은 52mm. 백색이고 조밀한 균사, 기균사를 발생시킴. 12일째에서 배양접시 전체에 균사가 생육. 균사는 백색이고 조밀, 직선상으로 자람.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2) 마령저ㆍ포도당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PDA 한천배지(DifcoTM Potato Dextrose Agar,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USA)를 사용. 7일째에서 왕성한 생육, 콜로니 직경은 55mm. 백색이고 조밀한 균사, 기균사를 다량으로 발생시킴. 12일째에 배양접시 전체에 균사가 생육. 20일째에는 표면전체를 조밀한 균사가 덮고, 매트상으로 부풀어 오름. 기균사가 매우 많음.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3) Czapek-Dox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Czapek-Dox 한천배지(NaNO2 0.2%, K2HPO4 0.1%, MgSO4ㆍ7H2O 0.05%, KCl 0.05%, FeSO4 ㆍ7H2O 0.001%, 수크로오스 3%, 한천 1.5%)를 사용. 7일째에서 중정도의 생육, 콜로니 직경은 45mm. 균사는 수상(樹狀)으로 신장하고, 매우 희박, 기균사는 적다. 10일째에서 콜로니 직경은 65mm, 15일째에서 배양접시 전체에 균사가 생육. 균사는 수상이고 백색, 희박하다.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4) 사부로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사부로 한천배지(글루코오스 4%, 펩톤 0.1%, 한천 1.5%)를 사용. 10일째에서 소정도의 생육, 콜로니 직경은 31mm. 백색이고 얇은 면상(綿狀)의 균사, 20일째에서 콜로니 직경은 55mm. 균사는 백색이고 조밀.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5) 오트밀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오트밀 한천배지(오트밀 30g에 1000㎖ 이하의 물을 첨가하고, 온수배쓰 상에서 1시간 펄펄 끓인다. 이것을 2~3중의 거어즈로 여과한 후, 수득된 여과액에 물을 첨가하여 1000㎖로 하고, 한천 2%를 첨가한다.)를 사용. 7일째에서 왕성한 생육, 콜로니 직경은 54mm. 균사는 잘 분지하여 자라고, 기균사는 많다. 10일째에서 배양접시 전체에 균사가 생육, 면상의 기균사를 다량으로 발생시킴. 균사는 백색.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6) 합성 털곰팡이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합성 털곰팡이 한천배지(글루코오스 4%, 아스파라긴 0.2%, KH2PO4 0.05%, MgSO4ㆍ7H2O 0.025g/ℓ, 티아민 0.5mg/ℓ, 한천 1.5%)를 사용. 10일째에서 중정도의 생육, 콜로니 직경은 50mm. 균사는 백색이고 직선상으로 자람. 15일째에서 균사는 배양접시 전체에 생육하고, 기균사를 발생시킴. 균사는 백색.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7) YpSs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YpSs 한천배지(가용성 전분 1.5%, 이스트엑스 0.4%, K2HPO4 0.1%, MgSO4ㆍ7H2O 0.05%, 한천 2%)를 사용. 7일째에서 왕성한 생육, 콜로니 직경은 64mm. 균사는 백색 조밀하고, 기균사를 다량으로 발생. 매트상으로 생육. 10일째에서 균사는 배양접시 전체에 생육하고, 기균사를 다량을 발생시킴.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8) 페놀옥시다아제 검정용 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0.5% 갈릭산 첨가 PDA한천배지에서, 7일째에서 소정도의 생육, 콜로니 직경은 27mm. 균사는 백색이고 면상, 기균사를 발생시킴. 배지는 갈변, 갈변반경은 26mm, 15일째에서 균사는 배양접지 전체에 생육하고, 균사 표면에는 균사의 농염이 관찰되고, 기균사를 발생시킴. 배지전체가 갈변. 이면도 한결같이 갈변이 보여짐.
(9) 최적생육온도:
PDA한천배지에 전배양한 직경 5mm의 한천종균을 접종하고, 25℃에서 예비배양하여 균사의 재생을 갖추었다. 그 후, 각 온도에서 7일간 배양하여 일방향의 균사의 신장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7일간의 균사 신장을 측정한 바, 최적생육온도는 24~26℃이었다. 또, 5℃에서 다소 생육이 인정되었지만, 35℃에서는 거의 생육하지 않았다.
(10) 최적생육 pH:
PGY액체배지(글루코오스 2%, 폴리펩톤 0.2%, 효모엑스 0.2%, KH2PO4 0.5%, MgSO4ㆍ7H2O 0.5%) 60㎖씩을 100㎖용 삼각 플라스크에 분주하여 살균하고, 산 또는 알칼리로 각 pH로 조정 후에 직경 5mm의 한천 종균을 접종하고, 25℃에서 15일간 움직이지 않고 배양한 후, 균체의 건조중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최적생육 pH는 6~8이었다. 또, 본 균주의 생육 가능한 pH범위는 3.5~10이었다.
이하, 상기와 동일한 배지 및 조건으로 균주의 제 성질의 검토를 실시하였다.
Hypsizygus marmoreus K-4979(FERM BP-11322)의 제 성질을 나타낸다.
(1) 맥아엑스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7일째에서 왕성한 생육, 콜로로 직경은 46mm. 백색이고 조밀한 균사, 기균사를 발생시킴. 13일째에서 배양접시 전체에 균사가 생육. 균사는 백색이고 조밀, 직선상으로 자람.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2) 마령저ㆍ포도당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7일째에서 왕성한 생육, 콜로니 직경은 53mm. 백색이고 조밀한 균사, 기균사를 다량으로 발생시킴. 12일째에 배양접시 전체로 균사가 생육. 20일째에는 표면전체를 조밀한 균사가 덮고, 매트상으로 부풀어 오름. 기균사가 매우 많음.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3) Czapek-Dox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7일째에서 소정도의 생육, 콜로니 직경은 33mm. 균사는 수상(樹狀)으로 신장하고, 매우 희박, 기균사는 적다. 10일째에서 콜로니 직경은 50mm, 17일째에서 배양접시 전체에 균사가 생육. 균사는 수상이고 백색, 희박하다.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4) 사부로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10일째에서 소정도의 생육, 콜로니 직경은 34mm. 백색이고 얇은 면상의 균사, 20일째에서 콜로니 직경은 65mm. 균사는 백색이고 조밀.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5) 오트밀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7일째에서 왕성한 생육, 콜로니 직경은 51mm. 균사는 잘 분지하여 자라고, 기균사는 많다. 12일째에서 배양접시 전체에 균사가 생육, 면상의 기균사를 다량을 발생시킨다. 균사는 백색.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6) 합성 털곰팡이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10일째에서 중정도의 생육, 콜로니 직경은 55mm. 균사는 백색이고 직선상으로 자람. 15일째에서 균사는 배양접시 전체에 생육하고, 기균사를 발생시킨다. 균사는 백색.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7) YpSs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7일째에서 왕성한 생육, 콜로니 직경은 62mm. 균사는 백색 조밀하고, 기균사를 다량으로 발생. 매트상으로 생육. 10일째에서 균사는 배양접시 전체에 생육하고, 기균사를 다량을 발생시킴.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8) 페놀옥시다아제 검정용 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7일째에서 소정도의 생육, 콜로니 직경은 21mm. 균사는 백색이고 면상, 기균사를 발생시킴. 배지는 갈변, 갈변반경은 26mm, 15일째에서 균사는 배양접지 전체에 생육하고, 균사 표면에는 균사의 농염을 볼 수 있고, 기균사를 발생시킴. 배지전체가 갈변. 이면도 한결같이 갈변이 보여짐.
(9) 최적생육온도:
7일간의 균사 신장을 측정한 바, 최적생육온도는 24~26℃이었다. 또, 5℃에서 다소 생육이 인정되었지만, 35℃에서는 거의 생육하지 않았다.
(10) 최적생육 pH:
최적생육 pH는 6~8이었다. 또, 본 균주의 생육 가능한 pH범위는 3.5~10이었다.
Hypsizygus marmoreus K-4980(FERM BP-113423)의 제 성질을 나타낸다.
(1) 맥아엑스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7일째에서 왕성한 생육, 콜로로 직경은 45mm. 백색이고 조밀한 균사, 기균사를 발생시킴. 13일째에서 배양접시 전체에 균사가 생육. 균사는 백색이고 조밀, 직선상으로 자람.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2) 마령저ㆍ포도당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7일째에서 왕성한 생육, 콜로니 직경은 47mm. 백색이고 조밀한 균사, 기균사를 다량으로 발생시킴. 12일째에 배양접시 전체로 균사가 생육. 20일째에는 표면전체를 조밀한 균사가 덮고, 매트상으로 부풀어 오름. 기균사가 매우 많음.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3) Czapek-Dox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7일째에서 소정도의 생육, 콜로니 직경은 38mm. 균사는 수상(樹狀)으로 신장하고, 매우 희박, 기균사는 적다. 10일째에서 콜로니 직경은 55mm, 15일째에서 배양접시 전체에 균사가 생육. 균사는 수상이고 백색, 희박하다.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4) 사부로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10일째에서 소정도의 생육, 콜로니 직경은 41mm. 백색이고 얇은 면상의 균사, 20일째에서 콜로니 직경은 61mm. 균사는 백색이고 조밀.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5) 오트밀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7일째에서 왕성한 생육, 콜로니 직경은 46mm. 균사는 잘 분지하여 자라고, 기균사는 많다. 13일째에서 배양접시 전체에 균사가 생육, 면상의 기균사를 다량을 발생시킨다. 균사는 백색.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6) 합성 털곰팡이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10일째에서 중정도의 생육, 콜로니 직경은 47mm. 균사는 백색이고 직선상으로 자람. 15일째에서 균사는 배양접시 전체에 생육하고, 기균사를 발생시킨다. 균사는 백색.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7) YpSs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7일째에서 왕성한 생육, 콜로니 직경은 59mm. 균사는 백색 조밀하고, 기균사를 다량으로 발생. 매트상으로 생육. 10일째에서 균사는 배양접시 전체에 생육하고, 기균사를 다량을 발생시킴.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8) 페놀옥시다아제 검정용 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7일째에서 소정도의 생육, 콜로니 직경은 29mm. 균사는 백색이고 면상, 기균사를 발생시킴. 배지는 갈변, 갈변반경은 27mm, 15일째에서 균사는 배양접지 전체에 생육하고, 균사 표면에는 균사의 농염을 볼 수 있고, 기균사를 발생시킴. 배지전체가 갈변. 이면도 한결같이 갈변이 보여짐.
(9) 최적생육온도:
7일간의 균사 신장을 측정한 바, 최적생육온도는 24~26℃이었다. 또, 5℃에서 다소 생육이 인정되었지만, 35℃에서는 거의 생육하지 않았다.
(10) 최적생육 pH:
최적생육 pH는 6~8이었다. 또, 본 균주의 생육 가능한 pH범위는 3.5~10이었다.
Hypsizygus marmoreus K-4981(FERM BP-11324)의 제 성질을 나타낸다.
(1) 맥아엑스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7일째에서 왕성한 생육, 콜로로 직경은 48mm. 백색이고 조밀한 균사, 기균사를 발생시킴. 12일째에서 배양접시 전체에 균사가 생육. 균사는 백색이고 조밀, 직선상으로 자람.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2) 마령저ㆍ포도당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7일째에서 왕성한 생육, 콜로니 직경은 48mm. 백색이고 조밀한 균사, 기균사를 다량으로 발생시킴. 13일째에 배양접시 전체로 균사가 생육. 20일째에는 표면전체를 조밀한 균사가 덮고, 매트상으로 부풀어 오름. 기균사가 매우 많음.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3) Czapek-Dox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7일째에서 소정도의 생육, 콜로니 직경은 30mm. 균사는 수상(樹狀)으로 신장하고, 매우 희박, 기균사는 적다. 10일째에서 콜로니 직경은 45mm, 17일째에서 배양접시 전체에 균사가 생육. 균사는 수상이고 백색, 희박하다.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4) 사부로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10일째에서 소정도의 생육, 콜로니 직경은 36mm. 백색이고 얇은 면상의 균사, 20일째에서 콜로니 직경은 68mm. 균사는 백색이고 조밀.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5) 오트밀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7일째에서 왕성한 생육, 콜로니 직경은 48mm. 균사는 잘 분지하여 자라고, 기균사는 많다. 12일째에서 배양접시 전체에 균사가 생육, 면상의 기균사를 다량을 발생시킨다. 균사는 백색.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6) 합성 털곰팡이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10일째에서 중정도의 생육, 콜로니 직경은 50mm. 균사는 백색이고 직선상으로 자람. 15일째에서 균사는 배양접시 전체에 생육하고, 기균사를 발생시킨다. 균사는 백색.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7) YpSs 한천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7일째에서 왕성한 생육, 콜로니 직경은 55mm. 균사는 백색 조밀하고, 기균사를 다량으로 발생. 매트상으로 생육. 10일째에서 균사는 배양접시 전체에 생육하고, 기균사를 다량을 발생시킴. 이면은 한결같고 변색은 없음.
(8) 페놀옥시다아제 검정용 배지(25℃)에서의 생육상태:
7일째에서 소정도의 생육, 콜로니 직경은 30mm. 균사는 백색이고 면상, 기균사를 발생시킴. 배지는 갈변, 갈변반경은 27mm, 15일째에서 균사는 배양접지 전체에 생육하고, 균사 표면에는 균사의 농염을 볼 수 있고, 기균사를 발생시킴. 배지전체가 갈변. 이면도 한결같이 갈변이 보여짐.
(9) 최적생육온도:
7일간의 균사 신장을 측정한 바, 최적생육온도는 24~26℃이었다. 또, 5℃에서 다소 생육이 인정되었지만, 35℃에서는 거의 생육하지 않았다.
(10) 최적생육 pH:
최적생육 pH는 6~8이었다. 또, 본 균주의 생육 가능한 pH범위는 3.5~10이었다.
이들 4균주는 어느 것이나 다른 3균주와의 대치배양에 있어서 밴드선을 형성하였다. 추가로, 이들 균주는 리오필룸 울마리움 M-8171(FERM BP-1415) 및 여러 공지의 균주와의 대치배양에 있어서 밴드선을 형성하고, 신균주임이 명백하게 되었다. 또, 침엽수톱밥 및 쌀겨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고, 건조 중량비로 약 6.4중량%(예를 들면, 시판품의 건조감량 18%의 경우, 약 15g/850㎖병)의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한 재배에 있어서, 종균 경화증을 발생시키지 않는 신균주이다. 또, 침엽수톱밥 및 쌀겨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고, 건조 중량비로 약 6.4중량%(예를 들면, 시판품의 건조감량 18%의 경우, 습중량으로 약 15g/850㎖병)의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한 재배에 있어서, 어느 쪽의 균주도 리오필룸 울마리움 M-8171(FERM BP-1415)과 비교해서 고수량이다. 또, 통상의 배지, 즉 마그네슘 화합물을 다량으로 함유하지 않는 배지에서 재배를 실시한 경우에도, 상기의 균주에서는 종래 균주에 비교해서 종균 경화증의 발생 빈도가 낮다.
또, 리오필룸 울마리움M-8171(Lyophyllum ulmarium M-8171)은 1987년 07월 17일자로 통상산업성 공업기술원 미생물산업기술종합연구소ㆍ일본국 이바라기켄 츠쿠군아타베마치1쵸메1반3(우편번호305)(현,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미생물기탁센터ㆍ일본이바라기켄추쿠바시히가시1쵸메1반치1 츄오제6(우편번호 305-8566))에, 국제기탁번호 FERM BP-1415로 기탁되어 있다.
이상, 병 재배에 대해서 예를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병 재배에 의한 선별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선별방법으로 수득된 균주를 사용해서, 병재배, 봉지재배, 상자재배 등으로 만가닥버섯 자실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병재배에 의한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그 방법은 균상배지 조제, 입병, 살균, 종균의 접종, 균상배양, 균긁기(만두긁기), 싹 틔움, 생육, 수확 등의 각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H05-268942호에 기재된 균상재배를 실시할 때의 균주로 하고, 상술한 선별방법으로 수득된 균주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의 범위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톱밥(삼나무재)을 건조중량으로 62g, 습중량의 쌀겨60g(수분함량 10%), 콘코브 밀 30g(수분함량 10%), 대두피20g(수분함량 10%), 겨 20g(수분함량 10%)을 잘 혼합하고, 여기에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건조감량 18%, 후지화학공업사, 상품명: Neusilin)을 2.5g 또는 15g/병(각각 고형 재배용 배지의 전체 건조중량에 대한 건조 중량비로 약 1.1중량%, 6.4 중량%)으로 첨가하고, 수분 함유율을 65%로 조제한 후, 폴리프로필렌제 850㎖의 광구 배양병(블로 병S-850, 신에츠노자이사사)에 압력을 가해서 넣고, 결과물 표면의 중앙에 직경 1cm정도의 접종 구멍부를 뚫고, 마개를 한 후, 120℃, 60분간 고압살균을 실시하고, 상온까지 냉각한 것을 고형 재배용 배지로 조제하였다.
본 발명자들이 보유하는 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균주11주에 대해서 이면 교배를 실시하고, 계434주의 교배주를 얻었다. 각 교배주를 상기의 배지에 접종하는 재배시험을 실시하고, 15g/850㎖ 병의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고형 재배용 배지에서 균긁기 전의 균상표면이 갈변하지 않았던 신규 교배주인 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K-4975(FERM BP-11321), K-4979(FERM BP-11322), K-4980(FERM BP-11323), K-4981(FERM BP-11324)의 4주를 선발하였다.
상기의,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을 2.5g 또는 15g/850㎖ 병으로 함유하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조제하였다. K-4975, K-4979, K-4980, K-4981, K-4529(상기 교배주에서 선발공정을 거치지 않고 선택한 주), 비교로서 JA전농 나가노에서 시판되고 있는 만가닥버섯으로부터의 공지방법에 의해 분리한 균주(이하, ‘시판균주’라고 기재한다.) 및 리오필룸 울마리움M-8171(FERM BP-1415)의 별도 조제한 고체 종균을 각 8개씩 고형 재배용 배지에 접종하고, 25℃, 습도 55%의 조건하에서30일간 균사체를 배양하고, 추가로45일 배양해서 자실체 발생기를 얻었다. 그 후에 캡을 제거하고, 균상면 상부의 균사층 1cm를 중앙부에 남기고 균긁기를 실시하고, 균긁기 시의 균상표면의 상태를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제조에 있어서 수량 증가를 위해서 사용되는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2.5g을 첨가한 경우에는, 어느 균주도 정상적으로 생육한 것에 대해서,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제조에 있어서 통상은 사용되지 않는 량인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15g을 첨가한 경우에는, 신규로 취득한 교배주인 5주 중 4주(K-4975, K-4979, K-4980, 및 K-4981)은 정상이었다. 그렇지만, 1주(K-4529)는 모든 시험구에 있어서 균상표면의 갈변이나 이취의 발생을 동반하는 것이었다. 추가로, 시판균주 및 M-8171에 대해서도, 모든 시험구에 있어서 갈변이나 이취의 발생을 볼 수 있었다.
다음에, 이들 모든 배지에 대해서 수도물 20㎖을 첨가해서 충분하게 급수시킨 후, 반전 탈수에 의해 과잉의 물을 제거하고, 그 후에 환경을 조도 20럭스, 온도 15℃, 가습은 휴미아이100(사기노미야제작소)의 표시값으로 하여 습도 90% 이상으로 제어하고, 탄산가스 농도는 1000∼3000ppm의 범위로 제어한 싹 틔움ㆍ생육실에서 14일간 싹 틔움 및 생육을 실시한 후, 막재생 상태의 확인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2.5g을 첨가한 경우에는, 모든 균주에 있어서 막재생 상태는 정상이었다. 이에 대해서, 15g을 첨가한 경우에는, K-4975, K-4979, K-4980, K-4981, 및 시판 균주의 막재생 상태는 정상이었지만, K-4529 및 M-8171에 대해서는, 일부 밖에 막재생하지 않는 것과 막재생이 전혀 없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 그대로 동일한 조건으로 생육을 계속하여 만가닥버섯 자실체(성숙 자실체)를 얻었다. 수득된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평균 수량과 생육 일수(균긁기 후, 성숙 자실체를 수확할때 까지의 일수)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중, 평균 수량은 「자실체의 평균 수량 = 자실체 총중량/발생시험병 수(불발생 병도 포함)」, 생육 일수는 「생육일수=성숙 자실체 소요 생육 일수 합계/수확병 수(불발생 병은 포함하지 않음)」의 식을 사용해서 산출하였다.
Figure pat00003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15g를 첨가한 경우, K-4975, K-4979, K-4980 및 K-4981은 수량도 좋고, 생육 일수도 특별한 지연도 없고, 자실체의 품질도 양호한 것이었다. 이에 대해서, K-4529, 시판 균주 및 M-8171에 대해서는 수량의 현저한 저하나 품질의 악화가 인정되었다.
표 1∼3의 결과로부터, 마그네슘 화합물인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K-4975, K-4979, K-4980 및 K-4981은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에 균주임이 명백하게 되었다. 이것으로, 이것들 균주는 통상의 배지, 즉 마그네슘 화합물을 다량으로 함유하지 않는 배지를 사용한 대규모인 상업적 제조에 있어서도, 종래 균주와 비교해서 종균 경화증을 일으키지 않거나, 발생빈도가 극단적으로 낮은 것이 명백해졌다. 또, 마그네슘 화합물인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혹은 일어나지 않는 균주를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실시예 2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15g을 첨가한 경우에 있어서의, 균사체의 배양시의 온도에 의해,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혹은 일어나지 않는 균주의 선별에 영향을 주는지의 여부는, 이하와 같이 검토하였다.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15g을 첨가한 배양기를 사용하고, 균사체의 배양시의 온도를 25℃와 27℃로 한 이외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K-4975(FERM BP-11321), K-4979(FERM BP-11322), K-4980(FERM BP-11323), K-4981(FERM BP-11324), K-4529, 비교로서 시판 균주 및 리오필룸 울마리움 M-8171(FERM BP-1415)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하였다. 우선, 균긁기 시의 균상면의 상태를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15g첨가하는 조건으로, 또한 균사체의 배양온도가 25℃인 경우, 실시예 1과 동일한 결과가 되었다. 동일 배지에서 균사체의 배양온도가 27℃인 경우에 있어서도, 2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신규로 취득한 교배주인 5주 중 4주(K-4975, K-4979, K-4980, 및 K-4981)은 정상이었다. 그렇지만, 1 주(K-4529)는 모든 시험구에 있어서 갈변이나 이취를 동반하는 것이었다. 또 시판 균주 및 M-8171 에 대해서도, 모든 시험구에 있어서 갈변이나 이취를 동반하는 것이었다.
다음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흡수, 반전 탈수, 싹 틔움 및 생육을 실시한 후, 막재생 상태의 확인을 실시한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5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15g첨가하는 조건으로, 또한 균사체의 배양온도가 25℃인 경우, 실시예 1과 동일한 결과가 되었다. 동일 배지에서 균사체의 배양온도가 27℃인 경우에 있어서도, K-4975, K-4979, K-4980, K-4981, 및 시판 균주의 막재생 상태는 정상이었지만, K-4529 및 M-8171에 대해서는, 일부 밖에 막재생하지 않는 것과 막재생이 전혀 없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음에,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평균 수량과 생육 일수(균긁기 후, 성숙 자실체를 수확할때 까지의 일수)의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6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15g을 첨가하는 조건으로, 또한 균사체의 배양온도가 25℃의 경우, 실시예 1과 동일한 결과가 되었다. 동일 배지에서 균사체의 배양온도가 27℃인 경우에 있어서도, K-4975, K-4979, K-4980 및 K-4981은 수량도 좋고, 생육일수도 특별한 지연은 없고, 자실체의 품질도 양호한 것이었다. 이에 대해서 K-4529, 시판 균주 및 M-8171에 대해서는 수량의 현저한 저하나 품질의 악화가 인정되었다.
표 4∼6의 결과로부터, 마그네슘 화합물인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K-4975, K-4979, K-4980 및 K-4981은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균주임이 분명하게 되었다. 또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하는 경우, 균사체의 배양온도의 변화에서는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혹은 일어나지 않는 균주의 선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실시예 3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대신에 수산화 알루미나 마그네슘(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마그네슘의 공침물, 건조감량 10%, 교와화학공업사, 상품명: 쿄와도300) 5g/병(고형 재배용 배지의 전체 건조중량에 대한 건조 중량비로 약 2.5중량%)을 첨가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 K-4975(FERM BP-11321), K-4979(FERM BP-11322), K-4980(FERM BP-11323), K-4981(FERM BP-11324), K-4529, 비교로서 시판 균주 및 리오필룸 울마리움 M-8171(FERM BP-1415)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하였다. 우선, 균긁기 시의 균상면의 상태를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7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산화 알루미나 마그네슘 5g첨가하는 조건으로, 또한, 균사체의 배양온도가 25℃ 및 27℃의 어느 쪽의 경우에 있어서도, 실시예 2와 동일한 결과가 되었다.
다음에, 이들 모든 배지에 대해서, 수도물 20㎖을 첨가해서 충분하게 급수시킨 후, 반전 탈수에 의해 과잉의 물을 제거하고, 그 후에 환경을 조도 20럭스, 온도 15, 습은 휴미아이100(사기노미야제작소)의 표시값으로 하여 습도 90% 이상으로 제어하고, 탄산가스 농도는 1000∼3000ppm의 범위로 제어한 싹 틔움ㆍ생육실에서 12일간 싹 틔움 및 생육을 계속하였다. 추가로 K-4980 및 K-4981은 9일간, K-4975은 10일간, K-4979, K-4529 및 시판 균주는 14일간, M-8171은 15일간 생육을 실시한 후, 만가닥버섯 자실체를 얻었다.
상기의 싹 틔움 및 생육시에 있어서의 14일째의 막재생 상태의 확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8
표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산화 알루미나 마그네슘 5g첨가하는 조건, 또한, 균사체의 배양온도가 25℃인 경우에 있어서, 시판 균주에서 일부 밖에 막재생하지 않는 것과 막재생이 전혀 없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기타 균주에 대해서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결과가 되었다. 또, 동일 배지에서 균사체의 배양온도가 27℃의 경우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결과가 되었다.
다음에,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평균 수량과 생육일수(균긁기 후, 성숙 자실체를 수확할때 까지의 일수)의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9
표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산화 알루미나 마그네슘 5g첨가하는 조건에 있어서도, K-4975, K-4979, K-4980 및 K-49-81은 수량도 좋고, 생육 일수도 특별한 지연은 없고, 자실체의 품질도 양호한 것이었다. 이에 대해서, K-4529, 시판 균주 및 M-8171에 대해서는, 자실체가 발생하지 않는 또는 수량의 현저한 저하나 품질의 악화가 인정되었다.
표 7∼9의 결과로부터, 마그네슘 화합물인 수산화 알루미나 마그네슘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K-4975, K-4979, K-4980 및 K-4981은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균주인 것이 분명하다게 되었다. 또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대신에 수산화 알루미나 마그네슘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혹은 일어나지 않는 균주를 선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분명하게 되고, 다른 마그네슘 화합물에서도 동일한 효과가 수득되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의해, 상업제조용 고형 재배용 배지에서의 재배에 있어서, 배지표면의 종균부분의 갈변을 발생시키지 않는 만가닥버섯 균주가 제공된다. 그 균주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안정된 대규모인 상업적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해,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만가닥버섯 균주의 간편한 선별방법이 제공된다. 당해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사전에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쉬운 만가닥버섯 균주 인지 여부를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대규모인 상업적 제조의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수율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독립행정법인산업기술연합연구소특허생물기탁센터 0011321 20090902 독립행정법인산업기술연합연구소특허생물기탁센터 0011322 20090902 독립행정법인산업기술연합연구소특허생물기탁센터 0011323 20090902 독립행정법인산업기술연합연구소특허생물기탁센터 0011324 20090902 통상산업성공업기술원미생물공업기술연구소 0001415 19860823

Claims (7)

  1. 침엽수톱밥 및 쌀겨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고, 건조 중량비로 약 6.4중량%의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한 재배에 있어서, 고형 재배용 배지표면의 종균부분의 갈변을 발생시키지 않는 만가닥버섯 균주.
  2. 제 1 항에 있어서, 침엽수톱밥, 쌀겨, 콘코브 밀, 대두피, 겨,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한 재배에 있어서, 종균부분의 갈변을 발생시키지 않는 만가닥버섯 균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Hypsizygus marmoreus K-4975(FERM BP-11321), Hypsizygus marmoreus K-4979(FERM BP-11322), Hypsizygus marmoreus K-4980(FERM BP-11323), Hypsizygus marmoreus K-4981(FERM BP-11324), 또는 이들 균주 유래의 변이주로서, 이들 균주와 동등한 성질을 가지는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만가닥버섯 균주.
  4. 제 1 항에 기재된 만가닥버섯 균주를 사용하는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제조방법.
  5. 침엽수톱밥 및 쌀겨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고, 건조 중량비로 약 5.2중량% 이상의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건조 중량비로 약 0.5중량% 이상의 산화마그네슘 및 건조 중량비로 약 2% 이상의 수산화 알루미나 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마그네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고형 재배용 배지를 사용해서 만가닥버섯 균주를 재배하는 것을 포함하는, 종균 경화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만가닥버섯 균주의 선별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고형 재배용 배지가 침엽수톱밥, 쌀겨, 콘코브 밀, 대두피, 겨, 마그네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만가닥버섯 균주의 선별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고형 재배용 배지표면의 종균부분의 갈변을 발생시키지 않는 만가닥버섯 균주를 선택하는 선별방법인 만가닥버섯 균주의 선별방법.
KR1020110027732A 2010-03-31 2011-03-28 만가닥버섯 균주 및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제조방법 KR201101099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81069 2010-03-31
JP2010081069 2010-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959A true KR20110109959A (ko) 2011-10-06

Family

ID=4469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732A KR20110109959A (ko) 2010-03-31 2011-03-28 만가닥버섯 균주 및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16026B2 (ko)
KR (1) KR20110109959A (ko)
CN (1) CN102204476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04464A (zh) * 2012-11-12 2013-04-03 上海丰科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真姬菇新菌株
CN104541982A (zh) * 2015-01-20 2015-04-29 邵武市玖发菇业有限公司 一种真姬菇的栽培方法
KR20150110128A (ko) 2014-03-24 2015-10-02 이재달 해송이 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해송이 버섯
CN110172412A (zh) * 2019-06-20 2019-08-27 福建农林大学 一种真姬菇的原生质体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68889B (zh) * 2012-06-07 2013-11-13 山东荣丰食用菌有限公司 一种真姬菇杂交选育方法
CN103503780B (zh) * 2013-01-25 2015-07-22 上海丰科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纯白色真姬菇菌株
CN103477993B (zh) * 2013-01-25 2015-07-01 上海丰科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纯白色真姬菇菌株
CN103503779B (zh) * 2013-01-25 2015-07-22 上海丰科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纯白色真姬菇菌株
CN103503778B (zh) * 2013-01-25 2015-07-22 上海丰科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纯白色真姬菇菌株
CN105165635B (zh) * 2015-10-22 2017-05-24 青岛丰科生物科技有限公司 真姬菇菌株及其应用
EP4019623A4 (en) 2019-08-21 2023-08-23 SETOLAS Holdings, Inc. ADDITIVE FOR FUNGI GROWTH MEDIUM
CN113637591B (zh) * 2020-04-27 2023-10-03 西充星河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真姬菇菌株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8301A (en) * 1988-06-14 1991-05-28 Takara Shuzo Co., Ltd. Method of cultivating mushrooms
JP3436768B2 (ja) * 1991-11-19 2003-08-18 タカラバイオ株式会社 新菌株の培養及び栽培方法
JP2673796B2 (ja) * 1995-05-26 1997-11-05 ホクト産業株式会社 キノコ培養基
JP2000354419A (ja) * 1999-06-14 2000-12-26 Takara Aguri Kk きのこ種菌用培地支持体
JP4127806B2 (ja) * 2003-04-17 2008-07-30 協和化学工業株式会社 きのこ培養基用添加剤およびきのこ培養基
JP2006149257A (ja) * 2004-11-29 2006-06-15 Kyowa Chem Ind Co Ltd きのこ培養基
JP4695907B2 (ja) * 2005-03-30 2011-06-08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きのこの人工培養基およびそれを用いたきのこの人工栽培方法
KR20080043816A (ko) * 2005-08-09 2008-05-19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느티만가닥 버섯 유래 추출물의 제조 방법
TWI432135B (zh) * 2007-07-24 2014-04-01 Takara Bio Inc The cultivation method of the fecal umbrella and the culture of the bed
CN101580425A (zh) * 2008-05-18 2009-11-18 李畅 一种真姬菇配养料的配制方法
JP5818419B2 (ja) * 2009-10-27 2015-11-18 タカラバイオ株式会社 ブナシメジ子実体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04464A (zh) * 2012-11-12 2013-04-03 上海丰科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真姬菇新菌株
KR20150110128A (ko) 2014-03-24 2015-10-02 이재달 해송이 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해송이 버섯
CN104541982A (zh) * 2015-01-20 2015-04-29 邵武市玖发菇业有限公司 一种真姬菇的栽培方法
CN110172412A (zh) * 2019-06-20 2019-08-27 福建农林大学 一种真姬菇的原生质体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04476A (zh) 2011-10-05
JP2011223995A (ja) 2011-11-10
JP5916026B2 (ja) 2016-05-11
CN102204476B (zh)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9959A (ko) 만가닥버섯 균주 및 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제조방법
CN103327805B (zh) 香菇菌株gna01
JP2007053928A (ja) 新規菌株および新規子実体の栽培方法
KR101433040B1 (ko) 아위느타리버섯 신균주
JP5124670B2 (ja) きのこの人工栽培方法
JP2007135565A (ja) コムラサキシメジに属する新菌株と人工栽培法
KR101485491B1 (ko) 신균주 아위느타리버섯 ddl01 및 그 재배방법
JP4959287B2 (ja) バイリング新菌株
KR101485485B1 (ko) 아위느타리버섯 신균주 라인 및 상기 신균주 라인으로부터 얻어진 자실체
JPH02215314A (ja) 茸菌成長促進剤並びに茸裁培用培地
JP5106837B2 (ja) 実用バイリング・エリンギ交配株
KR101110487B1 (ko) 신규한 참바늘버섯 균주 및 이를 인공배양하는 방법
KR101485487B1 (ko) 신균주 아위느타리버섯 mmw7622 및 상기 신균주로부터 얻어진 자실체
KR101455702B1 (ko) 아위느타리버섯 신균주 p49ab64
JP4340707B2 (ja) 糸状菌胞子の製造方法
Yamanaka Commercial cultivation of Lyophyllum shimeji.
KR101439973B1 (ko) 아위느타리버섯 신균주 및 상기 신균주로부터 얻어진 백색의 갓을 갖는 자실체
KR20150069248A (ko) 아위느타리버섯 신균주 P48-24s 및 이의 자손
JP2008017754A (ja) ホンシメジ新菌株
KR102358458B1 (ko) 천사 흰 잎새버섯 품종의 형성 방법 및 이의 속성 병 재배방법
US5571717A (en) Biologically pure culture of Lyophyllum ulmarium
JP4397047B2 (ja) ホンシメジ新菌株
JP4063707B2 (ja) きのこの人工栽培方法
Isikhuemhen et al. Preliminary studies on mating and improved strain selection in the tropical culinary-medicinal mushroom Lentinus squarrosulus Mont.(Agaricomycetideae)
JP2024043828A (ja) ヒユ科の苗、その生産方法、及び、菌の培養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