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875A - 차량용 발광체 및 슬라이드 도어 개폐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발광체 및 슬라이드 도어 개폐 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875A
KR20090010875A KR1020080036109A KR20080036109A KR20090010875A KR 20090010875 A KR20090010875 A KR 20090010875A KR 1020080036109 A KR1020080036109 A KR 1020080036109A KR 20080036109 A KR20080036109 A KR 20080036109A KR 20090010875 A KR20090010875 A KR 20090010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lide door
light emitting
vehicle ligh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산 지도샤 고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산 지도샤 고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산 지도샤 고교
Publication of KR20090010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B60Q1/32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on or for doors
    • B60Q1/3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on or for doors for signalling that a door is open or intended to be ope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states or conditions of the vehicle occupants, e.g. for indicating disabled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발광체 및 슬라이드 도어 개폐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에 대하여 용이하게 증설할 수 있는 차량용 발광체 및 이것을 사용한 슬라이드 도어 개폐 알림 장치를 제공한다.
차량용 발광체(1)는 장척(長尺)형의 베이스 부재(2)를 포함하고 있다. 이 베이스 부재(2)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지고 있고, 그 일면 측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3)의 저면 상에는, 플렉시블 기판(4)이 배치되어 있고, 그 일단부에는 베이스 부재(2)의 선단부 측으로부터 삽입 관통된 케이블(5)이 접속되어 있다. 플렉시블 기판(4) 상에는, 저항(6) 및 서지 서프레서 다이오드(7, surge suppressor diode)가 배치되어 있고, 복수개의 LED(8)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3) 내에는 투명 수지(9)가 충전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2)의 타면 측에는, 점착층(10)이 형성되고, 박리지(11, release paper)가 접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발광체 및 슬라이드 도어 개폐 알림 장치{LIGHT EMITTER FOR VEHICLE AND APPARATUS FOR ALERTING OPENING/CLOSING OF SLIDING DO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발광체 및 이것을 사용한 슬라이드 도어 개폐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경첩 도어의 자유단부 등에 발광체가 장착된 자동차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이, 자동차에는 전조등과 같이 운전 시의 조명을 목적으로 하는 발광체 외에, 단지 다른 차량에 대한 경고나 주의 환기를 목적으로 하는 발광체가 설치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1-246932호 공보
이와 같이, 자동차에는 단지 다른 차량에 대한 경고나 주의 환기를 목적으로 하는 발광체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에게는, 자신의 차량 사용 조건 등에 따라 발광체를 더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차체(도어를 포함함)에 장착 구멍 등을 형성하여, 새로 발광체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개조 작업이나 개조 비용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차체에 대하여 용이하게 증설할 수 있는 차량용 발광체 및 이것을 사용한 슬라이드 도어 개폐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광체에서는, 베이스 부재의 일면 측에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베이스 부재의 타면 측에, 차량 표면에 접착시킬 수 있는 점착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차량용 발광체를 점착층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 등을 가지는 차량의 임의의 부위에 접착함으로써, 차량에 용이하게 발광체를 증설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광체에서는, 베이스 부재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자동차의 차체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베이스 부재가 가요성을 가 짐으로써, 어떠한 곡면이라도 이에 추종하게 하여 차량용 발광체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광체에서는, 발광 다이오드를 일렬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차량용 발광체의 전체 형상이 가늘고 긴 형상이 되고, 차체에 추종하여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슬라이드 도어의 후면과 차체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도어의 후면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광체에서는, 베이스 부재의 일면 측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의 저면에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설치하고, 오목부 내에 투명 수지를 충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은, 투명 수지를 통하여 아무 문제없이 외부로 방사되고, 또한 투명 수지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에 오염물이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광체에서는, 투명 수지를 베이스 부재의 일면 측에서의 표면과 면 일치형으로 충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차량용 발광체는 베이스 부재의 일면 측에서 요철이 없고 면 일치형으로 되어, 오염물의 부착이 방지된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광체에서는, 점착층의 표면에 박리지(release paper)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 전의 상태는 박리지에 의해 점착층이 보호되고, 사용 시에는 박리지를 제거하 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개폐 알림 장치에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발광체를, 슬라이드 도어를 가지는 차체의 후부 또는 슬라이드 도어의 후면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하고,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이 검지 수단에 의한 슬라이드 도어의 열림 검지에 따라서 차량용 발광체의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키고, 슬라이드 도어의 닫힘 검지에 따라서 차량용 발광체의 발광 다이오드를 소등시키는 제어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이드 도어는, 회동하여 개폐하는 경첩 도어와는 상이하고, 차체를 따라서 개폐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도어는 후방 차량으로부터의 시인(視認)에 의한 개폐 판단이 경첩 도어보다 곤란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도어가 열리기 시작하면 차량용 발광체가 점등된다. 이로써, 슬라이드 도어가 열려서, 차내로부터 하차하는 아이 등이 있는 것을 후방의 차량 등에 경고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도어가 닫히면 차량용 발광체가 소등된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개폐 알림 장치에서는, 제어 수단은, 검지 수단에 의한 슬라이드 도어의 소정 간격의 열림 검지에 따라서 차량용 발광체의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키고, 슬라이드 도어의 소정 간격의 닫힘 검지에 따라서 차량용 발광체의 발광 다이오드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도어가 소정 간격만큼 열려서 아이 등이 하차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차량용 발광체가 점등된다. 이로써, 차내로부터 하차하는 아이 등이 있는 것을 후방의 차량 등에 경고할 수 있고, 아이 등이 하차 불가능한 간격이 될 때까지는 불필요한 차량용 발광체의 발광이 방지된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개폐 알림 장치에서는, 차량용 발광체를, 슬라이드 도어를 가지는 차체의 후부와 슬라이드 도어의 후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후속 차량 등에 대하여, 차체의 후부와 슬라이드 도어의 후면에 설치된 발광체에 의해 효과적인 경고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개폐 알림 장치에서는, 상기 차체 후부는 후방 필러(rear pilla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후방 필러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후속 차량 등에 대하여 효과적인 경고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광체에 의하면, 슬라이드 도어 등을 가지는 차량의 임의의 부위에 발광체를 접착할 수 있으므로, 차량에 발광체를 용이하게 증설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도어는, 회동하여 개폐하는 경첩 도어와는 상이하고, 차체를 따라서 개폐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도어에서는 후방 차량으로부터의 시인에 의한 개폐 판단이 경첩 도어보다 곤란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개폐 알림 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드 도어가 열리기 시작하면 차량용 발광체가 점등된다. 이로써, 슬라이드 도어가 열려서, 차내로부터 하차하는 아이 등이 있는 것을 후방의 차량 등에 경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발광체(1)는 장척형의 베이스 부재(2)를 포함하고 있다. 이 베이스 부재(2)는, EPDM(에틸렌프로필렌 고무)나 일반적인 고무 등으로 성형되어 가요성을 가지고 있고, 그 일면 측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3)의 저면 상에는, 플렉시블 기판(4)이 배치되어 있고, 그 일단부에는 베이스 부재(2)의 선단부 측으로부터 삽입 관통된 케이블(5)이 접속되어 있다. 플렉시블 기판(4) 상에는, 저항(6) 및 서지 서프레서 다이오드(7, surge suppressor diode)가 배치되어 있고, 복수개(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8개)의 LED(8)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3) 내에는, 실리콘 등의 투명 수지(9)가 충전되어 있다. 이 투명 수지(9)는, 베이스 부재(2)의 일면 측에서의 표면과 면 일치형으로 충전되어 있고, 이에 의해 오목부(3)는 면 일치형으로 폐쇄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2)의 타면 측에는 점착층(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점착층(10)은,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접착한 것으로서, 표면에는 박리지(11)가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용 발광체(1)는, 예를 들면, 길이: 125mm, 폭: 13mm, 두께: 6mm정도이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발광체(1)를 배치하는 차량(20)은, 차체(21)의 후부에 승강용 개구부(22)를 형성하고, 후방 필러(23)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차량(20)은, 승강용 개구부(22)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도어(24)를 가지고 있고, 슬라이드 도어(24)는 후면(25)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른 본 실시예에서, 차량용 발광체(1)는 사용 전의 상태에서는, 박리지(11)에 의해 점착층(10)이 보호되고 있으므로, 점착층(10)에 티끌이나 먼지가 쉽게 부착되지 않으므로 그 점성은 저하되지 않는다.
그리고, 차량(20)에 발광체를 증설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이 박리지(11)가 접착되어 있는 상태의 차량용 발광체(1)로부터 박리지(11)를 제거하여,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후방 필러(23)의 표면에 차량용 발광체(1)를 접착하여 고정시키고, 슬라이드 도어(24)의 후면(25)에 차량용 발광체(1)를 접착하여 고정시킨다. 그후에, 케이블(5)을 접속하고, 슬라이드 도어(24)의 개폐에 동기하여, 차량용 발광체(1)가 점등 및 소등하도록 배선을 행한다. 그리고, 차량용 발광체(1)의 점등 및 소등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따라서, 차량용 발광체(1)를 점착층(10)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24)를 가지는 차량의 임의의 부위에 접착함으로써, 차량용 발광체(1)를 용이하게 증설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2)는 가요성을 가지므로, 어떠한 곡면이라도 이에 추종하게 하여 차량용 발광체(1)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발광체(1)는 전체적인 형상이 가늘고 긴 형상이므로, 슬라이드 도어(24)의 후면(25)과 차체(21)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도어(24)의 후면(25)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후방 필러(23)나 슬라이드 도어(24)의 후면(25)에 장착된 차량용 발광체(1)의 LED(8)로부터의 광은, 투명 수지(9)를 통하여 아무 문제없이 외부로 방사되고, 또한 투명 수지(9)에 의해 LED(8)에 오염물이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차량용 발광체(1)는 베이스 부재(2)의 일면 측에서 요철이 없고 면 일치형으로 되어, 오염물의 부착이 방지된다.
그리고, 차량용 발광체(1)의 배치 형태는, 도 5에 나타낸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24)의 후면(25)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3개)를 배치하는 등, 어떤 배치 형태라도 된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31)는CPU(32), ROM(33) 및 RAM(34)을 포함하고 있다. ROM(33)에는 후술하는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32)가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RAM(34)은 CPU(32)의 작업 영역 등으로서 사용된다.
CPU(32)는, 개폐 센서(35), 전원(36) 및 복수개의 차량용 발광체(1)가 접속되어 있다. 개폐 센서(35)는, 슬라이드 도어(24)의 전개(entire opening) 및 전폐(entire closing)를 검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개폐 스위치 등)이다. 전원(36)은 차량용 발광체(1)의 LED(8)를 발광시키기 위한 전원으로서, 차량(20)에 탑재되어 있는 차량 탑재 배터리, 이 차량 탑재 배터리와는 별도로 설치되는 태양 전지, 및 차량용 발광체(1) 전용의 배터리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른 본 실시예에서, CPU(32)는, 프로그램에 따라 도 8의 흐 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를 실행한다. 즉, 개폐 센서(35)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도어(24)의 열림 동작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단계 S101), 열림 동작이 검출될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탑승자가 하차하기 위하여, 수동으로 슬라이드 도어(24)를 여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시작하면, 단계 S101의 판단이 "YES"로 된다. 따라서, 단계 S101로부터 단계 S102로 진행하고, 전원(36)으로부터의 전력을 차량용 발광체(1)에 공급함으로써, 차량용 발광체(1)의 LED(8)를 점등시킨다(단계 S102). 따라서, 슬라이드 도어(24)가 열리기 시작했을 때는, 차량용 발광체(1)의 LED(8)가 점등되는 것에 의해, 차내로부터 하차하는 아이 등이 있는 것을 후방의 차량 등에 경고할 수 있다.
다음에, 개폐 센서(35)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도어(24)의 전폐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단계 S103), 전폐가 검출되기까지 점등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탑승자가 하차를 완료하거나, 또는 승차를 완료하여, 수동으로 슬라이드 도어(24)를 조작함으로써 슬라이드 도어(24)가 전폐 상태로 되면, 단계 S103의 판단이 "YES"로 된다. 따라서, 단계 S103으로부터 단계 S104로 진행하고, 전원(36)으로부터의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차량용 발광체(1)의 LED(8)를 소등시킨다(단계 S104).
(제3 실시예)
도 9는 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31) 는, CPU(32), ROM(33) 및 RAM(34)을 포함하고 있다. ROM(33)에는, 후술하는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32)가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RAM(34)은 CPU(32)의 작업 영역 등으로서 사용된다.
CPU(32)는, 개폐 센서(35), 전원(36), 슬라이드 도어 구동 장치(37), 및 복수개의 차량용 발광체(1)가 접속되어 있다. 개폐 센서(35)는, 슬라이드 도어(24)의 전개 및 전폐를 검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개폐 스위치 등)이다. 전원(36)은, 차량용 발광체(1)의 LED(8)를 발광시키기 위한 전원으로서, 차량(20)에 탑재되어 있는 차량 탑재 배터리, 이 차량 탑재 배터리와는 별도로 설치된 태양 전지, 및 차량용 발광체(1) 전용의 배터리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슬라이드 도어 구동 장치(37)는, 슬라이드 도어(24)를 구동하는 모터, 기어 기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복수개의 차량용 발광체(1)는, 도 5나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24)의 후면(25)에 배치된 것이다.
그리고, CPU(32)는 타이머를 내장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른 본 실시예에서, CPU(32)는, 프로그램에 따라 도 10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를 실행한다. 즉, 개폐 센서(35)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도어(24)의 열림 동작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단계 S201), 열림 동작이 검출되기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탑승자가 하차하기 위하여, 스위치 조작을 행함으로써, 슬라이드 도어 구동 장치(37)가 동작하여 슬라이드 도어(24)가 열림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단계 S201의 판단이 "YES"로 된다. 따라서, 단계 S201로부터 단계 S202로 진 행하고, CPU(32)내의 타이머에 의해 계측된 슬라이드 도어 구동 장치(37)의 동작 시간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도어(24)의 열림 이동량을 연산한다(단계 S202). 다음에, 이 연산한 열림 이동량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도어(24)가 소정량만큼 열렸는지의 여부, 아이가 하차할 수 있는 정도로 열렸는지(예를 들면, 200mm)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3).
그리고, 아이가 하차할 수 있는 정도로 열려서, 단계 S203의 판단이 "YES"가 된 시점에서, 전원(36)으로부터의 전력을 차량용 발광체(1)에 공급함으로써, 차량용 발광체(1)의 LED(8)를 점등시킨다(단계 S204). 따라서, 슬라이드 도어(24)가 아이가 하차할 수 있는 정도로 열렸을 때는, 차량용 발광체(1)의 LED(8)가 점등되는 것에 의해, 차내로부터 하차하는 아이 등이 있는 것을 후방의 차량 등에 경고할 수 있다.
다음에, 슬라이드 도어 구동 장치(37)의 동작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도어(24)가 닫힘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고(단계 S205), 슬라이드 도어(24)의 닫힘 방향으로의 이동이 검지될 때까지 점등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탑승자가 하차를 완료하거나, 또는 승차를 완료하여, 스위치 조작을 행함으로써, 슬라이드 도어 구동 장치(37)가 동작하여 슬라이드 도어(24)가 전개 위치로부터 닫힘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단계 S205의 판단이 "YES"로 된다. 따라서, 단계 S205로부터 단계 S206으로 진행하고, CPU(32) 내의 타이머에 의해 계측된 슬라이드 도어 구동 장치(37)의 동작 시간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도어(24)의 닫힘 이동량을 연산한다(단계 S206). 다음에, 이 연산된 닫힘 이동량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도어(24)가 소정량만큼 닫혔는지의 여부, 즉 아이가 하차할 수 없는 정도로 닫혔는지(예를 들면, 남아있는 개방 거리가 150mm)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7).
그리고, 아이가 하차할 수 없는 정도로 닫혀져서, 단계 S207의 판단이 "YES"가 된 시점에서, 전원(36)으로부터의 차량용 발광체(1)에 공급되는 전력을 공급 중지함으로써, 차량용 발광체(1)의 LED(8)를 소등시킨다(단계 S208).
그리고, 제2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도어(24)의 전개 및 전폐를 검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개폐 센서(35)만 설치하도록 했다. 그러나, 슬라이드 도어(24)가 개방 방향으로 소정량(예를 들면, 200mm)만큼 이동한 시점에서 신호를 발생하는 개방 방향 검지 센서와, 슬라이드 도어(24)가 닫힘 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량 닫힌(예를 들면, 남아있는 개방 거리가 150mm) 시점에서 신호를 발생하는 닫힘 방향 검지 센서를 더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수동식 슬라이드 도어(24)라 하더라도,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아이가 하차할 수 있을 정도로 개방되어, 단계 S203의 판단이 "YES"가 된 시점에서, 전원(36)으로부터의 전력을 차량용 발광체(1)에 공급함에 의해, 차량용 발광체(1)의 LED(8)를 점등시키고(단계 S204), 아이가 하차할 수 없을 정도로 닫혀져서, 단계 S207의 판단이 "YES"가 된 시점에서, 전원(36)으로부터의 전력을 차량용 발광체(1)에 공급중지함으로써, 차량용 발광체(1)의 LED(8)를 소등시키도록(단계 S208)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는, 개폐 센서(35)를 설치하여 슬라이드 도어(24)의 개 폐를 검지하도록 했지만, 이것을 설치하지 않고 슬라이드 도어 구동 장치(37)의 동작에만 따라서 슬라이드 도어(24)의 개폐를 검지하도록 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광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장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다른 장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의 처리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처리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차량용 발광체 2: 베이스 부재
3: 오목부 4: 플렉시블 기판
5: 케이블 8: LED
9: 투명 수지 10: 점착층
11: 박리지 20: 차량
21: 차체 22: 승강용 개구부
23: 후방 필러 24: 슬라이드 도어
25: 후면 31: 컨트롤러
32: CPU 33: ROM
34: RAM 35: 개폐 센서
36: 전원 37: 슬라이드 도어 구동 장치

Claims (10)

  1. 베이스 부재의 일면 측에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베이스 부재의 타면 측에 차량 표면에 접착시킬 수 있는 점착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발광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차량용 발광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일렬로 배치한, 차량용 발광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 측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 상기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설치하고, 상기 오목부 내에 투명 수지를 충전한, 차량용 발광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를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 측에서의 표면과 면 일치형으로 충전한, 차량용 발광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표면에 박리지(release paper)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발광체.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발광체를, 슬라이드 도어를 가지는 차체의 후부 또는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후면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한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열림 검지에 따라 상기 차량용 발광체의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키고,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닫힘 검지에 따라 상기 차량용 발광체의 발광 다이오드를 소등시키는 제어 수단
    을 설치한 슬라이드 도어 개폐 알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한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소정 간격의 열림 검지에 따라 상기 차량용 발광체의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키고,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소정 간격의 닫힘 검지에 따라 상기 차량용 발광체의 발광 다이오드를 소등시키는, 슬라이드 도어 개폐 알림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발광체를, 슬라이드 도어를 가지는 차체의 후부와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후면에 배치한, 슬라이드 도어 개폐 알림 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후부는 후방 필러(rear pillar)인, 슬라이드 도어 개폐 알림 장치.
KR1020080036109A 2007-07-24 2008-04-18 차량용 발광체 및 슬라이드 도어 개폐 알림 장치 KR200900108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91902 2007-07-24
JP2007191902A JP2009029156A (ja) 2007-07-24 2007-07-24 車両用発光体及びスライドドア開閉報知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875A true KR20090010875A (ko) 2009-01-30

Family

ID=39858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109A KR20090010875A (ko) 2007-07-24 2008-04-18 차량용 발광체 및 슬라이드 도어 개폐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051517A1 (ko)
EP (1) EP2018996A3 (ko)
JP (1) JP2009029156A (ko)
KR (1) KR20090010875A (ko)
CN (1) CN101353030A (ko)
TW (1) TW2009183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338Y1 (ko) * 2011-07-20 2012-03-27 이태희 엘이디 조명기구
WO2012109551A2 (en) * 2011-02-10 2012-08-16 Osram Sylvania Inc. Solid state light source-based module convertible between linear and non-linear shap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6313A (ja) * 2007-11-22 2009-06-11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モール
DE102009008845A1 (de) * 2009-02-13 2010-08-26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Leuchtmodu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Leuchtmoduls
US20120176789A1 (en) * 2009-09-30 2012-07-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 output sticker
JP5466981B2 (ja) * 2010-04-08 2014-04-09 林テレンプ株式会社 ドア開放発光警告装置
DE102010019764B4 (de) * 2010-05-07 2013-09-19 Knorr-Bremse Gmbh Leuchtfähige Fingerschutzvorrichtung für eine Tür eines Fahrzeugs
US8388214B1 (en) 2012-01-09 2013-03-05 Azek Building Products, Inc. Lighted railing and similar structures
US9539932B2 (en) 2012-03-22 2017-01-10 Lux Lighting Systems, Inc.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system
TWM446122U (zh) * 2012-10-04 2013-02-01 Hon Yu Auto Parts Co Ltd 可調控光源之車用門檻發光踏板
TWM473959U (zh) * 2013-06-28 2014-03-11 ming-xiu Li 車門開啓自動強化照光及警示之安全裝置
ES2538738B1 (es) * 2013-12-23 2016-04-14 Francisco José SÁNCHEZ MARTÍNEZ Dispositivo laminar de iluminación y proceso de fabricación
US9550450B2 (en) * 2015-01-20 2017-01-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xit warn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having a sliding door
US10145552B2 (en) 2015-03-26 2018-12-04 Lux Lighting Systems, Llc Magnetic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ing system
RU2017101366A (ru) * 2016-01-26 2018-07-20 ФОРД ГЛОУБАЛ ТЕКНОЛОДЖИЗ, ЭлЭлСи Люминесцентная декоративная накладк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FR3055348B1 (fr) * 2016-09-01 2019-05-03 Etablissements L.Rustin Dispositif de signaletique du fonctionnement d'une porte a ventaux
US20180336786A1 (en) * 2017-05-19 2018-11-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llision avoidance method and system
DE102017112133A1 (de) * 2017-06-01 2018-12-06 Gummi-Welz Gmbh U. Co. Kg Gummi-Kunststofftechnik-Schaumstoffe Sicherheitsprofilleiste und Tür mit Sicherheitsprofilleiste
US10137825B1 (en) * 2017-10-02 2018-1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amp assembly
JP6588998B2 (ja) 2018-01-25 2019-10-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
US10780820B1 (en) * 2019-05-23 2020-09-22 Inview Vehicle Trim Corp. Vehicle door pillar light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DE102019004209A1 (de) * 2019-06-13 2020-12-17 Daimler Ag Beleuchtung eines Fahrzeugtürspalts zur Unterstützung der Bedienbarkeit von automatischen Türöffnungssystemen
DE102020004412A1 (de) * 2020-07-22 2022-01-27 Knorr-Bremse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Lichtleisteneinrichtung für einen Türflügel eines Einstiegssystems eines Schienenfahrzeugs
US11739905B1 (en) 2022-06-21 2023-08-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ght assembly providing pillar lamp for mot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3718U (ja) * 1984-08-01 1986-03-01 株式会社川常商店 自動車における開扉警告安全装置
US4761720A (en) * 1987-05-14 1988-08-02 Wolo Manufacturing Corporation Illuminated tape
JPH07110596B2 (ja) * 1990-12-13 1995-11-2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ドア開閉警告表示灯
US5193895A (en) * 1990-01-18 1993-03-16 Koito Manufacturing Co., Ltd. Warning light
US5828299A (en) * 1997-01-30 1998-10-27 Chen; Ing-Wen Car door warning system
SE514839C2 (sv) * 1998-12-18 2001-04-30 Volvo Ab Motorfordon
JP2001246932A (ja) 2000-03-06 2001-09-11 Denso Corp 車両用空気清浄器
US6252500B1 (en) * 2000-09-27 2001-06-26 Hung-Pin Chueh Warning edge strip for car doors
US6425679B1 (en) * 2000-10-16 2002-07-30 Chen Ru Yu Auxiliary safety or turning light device for vehicle
US6461028B1 (en) * 2001-06-15 2002-10-08 Chin-Jeng Huang Vehicle side bumper and signal light assembly
US6710710B1 (en) * 2002-07-02 2004-03-23 Ping-Shih Wang Warning module on rear approaching cars
JP2004276843A (ja) * 2003-03-18 2004-10-07 Kiyoshi Kuroki 自動車の乗り降りを知らせるドア−開閉告知灯
US7468710B2 (en) * 2003-06-09 2008-12-23 Rohm Co., Ltd.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7226112B2 (en) * 2003-10-02 2007-06-05 Nicholas Plastics Incorporated Pinch warning and illumination system
US7068160B2 (en) * 2004-04-19 2006-06-27 Daimlerchrysler Corporation Open automotive door aler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9551A2 (en) * 2011-02-10 2012-08-16 Osram Sylvania Inc. Solid state light source-based module convertible between linear and non-linear shapes
WO2012109551A3 (en) * 2011-02-10 2013-01-17 Osram Sylvania Inc. Solid state light source-based module convertible between linear and non-linear shapes
US9599318B2 (en) 2011-02-10 2017-03-21 Osram Sylvania Inc. Solid state light source-based module convertible between linear and non-linear shapes
KR200459338Y1 (ko) * 2011-07-20 2012-03-27 이태희 엘이디 조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18365A (en) 2009-05-01
JP2009029156A (ja) 2009-02-12
EP2018996A2 (en) 2009-01-28
EP2018996A3 (en) 2010-06-02
US20090051517A1 (en) 2009-02-26
CN101353030A (zh) 200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0875A (ko) 차량용 발광체 및 슬라이드 도어 개폐 알림 장치
US8475017B2 (en) Hidden lamp manufacture process
JP3187899U (ja) 車両ドア開放時における照明自動強化および警告用の安全装置
KR101594273B1 (ko) 차량의 도어 가드
US20180201184A1 (en) Light emitting device for car belt molding
JP3962712B2 (ja) 発光手摺装置
KR101189584B1 (ko) 도어 트림의 조명장치
US9807850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artion of road stud
JP2009083565A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US20220203914A1 (en) Lighted vehicle step pad and vehicle light source
US7872571B2 (en) Vehicle alarm device
KR200217297Y1 (ko) 도어손잡이의 조명장치
JP3147748U (ja) 車両用発光体及びヒンジドア開閉報知装置
EP3293049A1 (en) Wireless warning light for vehicle door
CN207298783U (zh) 无线式车门警示灯
KR200389207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중앙선 표시구
JP2005219566A (ja) 車両の挙動表示装置
JP3016126U (ja) 道路の誘導表示灯装置
JPH07110596B2 (ja) 車両用ドア開閉警告表示灯
CN215793463U (zh) 水切组件及汽车
JP2546850Y2 (ja) 車両用ドア開閉警告表示灯
JPH11198721A (ja) 自動車のドア端部表示装置
JP4726847B2 (ja) 自発光照明装置
CN210881949U (zh) 一种电动汽车用门槛条
KR200352261Y1 (ko) 발광구동부를 구비한 전조등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