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727A - 팬츠형 기저귀 - Google Patents

팬츠형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727A
KR20090007727A KR1020087026076A KR20087026076A KR20090007727A KR 20090007727 A KR20090007727 A KR 20090007727A KR 1020087026076 A KR1020087026076 A KR 1020087026076A KR 20087026076 A KR20087026076 A KR 20087026076A KR 20090007727 A KR20090007727 A KR 20090007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ants
diaper
notches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이치카와
나오토 오하시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07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61F13/496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characterized by the s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2013/49087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having breakable lateral stitches or pan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후에 옆 가장자리를 한쪽 손으로 찢을 수 있는 팬츠형 기저귀(1)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앞길(4)과 뒷길(5)을 좌우 양측 가장자리의 접합부(6L, 6R)에서 접합하여 이루어지고, 접합된 앞길(4)과 뒷길(5)의 위쪽 가장자리부에서 형성되는 몸통 둘레 개구(2)와, 좌우 양측 가장자리의 접합부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3)를 가지고, 사용 후에 접합부(6L, 6R)가 파단되어 폐기되는 팬츠형 기저귀(1)에서, 앞길(4)과 뒷길(5)이 접합부(6L, 6R)에서 접합부재(8)를 거쳐 접합되고, 접합부재(8)에는, 접합부재(8)와 일체로 형성되는 파지부(9)와, 파지부(9)에서부터 몸통 둘레 개구(2) 및 다리 둘레 개구(3)를 향하여 연장되는 파단 유도부(10a, 10b)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기저귀(1)로 하였다.

Description

팬츠형 기저귀{PANTS-TYPE DIAPER}
본 발명은 팬츠형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 후에 기저귀의 대향측 가장자리를 파단하여 폐기하는 1회용 팬츠형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 후에 대향측 가장자리부를 파단하는 구조의 1회용 팬츠형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장재를 길이방향으로 겹쳐 접어 대향측 가장자리를 히트 시일 등으로 접합한 사이드 시일 패턴을 가지는 팬츠형 1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한 사이드 시일 패턴이 상하의 떼어냄 방향을 따라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단위 구성 요소의 집합체이고, 이들 각 단위 구성 요소는, 떼어냄 시점에서부터 떼어냄 종점에 이르는 떼어냄 방향으로 직교하는 가로방향 폭의 길이의 변화가, 떼어냄 시점에서부터 시작되어 폭이 완만하게 증가하여 최대 폭에 이른 후, 완만하게 감소하여 종점에 이르는 궤선을 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1회용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3-339772호 공보(단락 0013∼0014, 도 3)
특허문헌 1에 의하면, 떼어냄 방향으로는 찢어지기 쉽고 그 직교방향으로는 찢어지기 어려운 시일 패턴을 가지는 앞길과 뒷길의 대향측 가장자리를 히트 시일 등으로 접합한 팬츠형 기저귀가 제공된다.
그러나, 이 팬츠형 기저귀의 옆 가장자리를 찢을 때는, 먼저 기저귀의 몸통 둘레 개구의 예를 들면 한쪽을 양손으로 잡고 비틀도록 하여 찢고, 다음에 마찬가지로 하여 다른 쪽을 찢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 때문에, 수고가 들고, 특히 유아에게서 팬츠형 기저귀의 양 옆 가장자리를 찢어 벗길 때는 불편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 후에 한쪽 손으로 옆 가장자리를 찢을 수 있는 1회용 팬츠형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앞길과 뒷길을 이것들의 대향측 가장자리의 접합부에서 접합하여, 몸통 둘레 개구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를 형성하고 있고, 사용 후에 상기 접합부가 파단되어 폐기되는 팬츠형 기저귀를 개량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면 점은, 앞길과 뒷길이 접합부에서 접합부재를 거쳐 접합되고, 이 접합부재에는, 접합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파지부와, 파지부에서부터 몸통 둘레 개구 및 다리 둘레 개구를 향하여 연장되는 파단 유도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는,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파지부가 접합부재의 일부에 절단선을 넣어 형성된 손잡이이고, 손잡이가 붙어 있는 부분에서부터 파단 유도부가 연장되어 있다.
파단 유도부가, 파지부에서 몸통 둘레 개구 및 다리 둘레 개구를 향하여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늘어서는 복수의 노치이다.
노치는, 파지부에서 몸통 둘레 개구 및 다리 둘레 개구를 향하여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계단형상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노치이며,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투영하였을 때 인접하는 노치끼리 일부 겹친다.
접합부재가 섬유부직포이고,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일 방향으로의 배향성을 가지고, 섬유의 길이보다 노치의 길이쪽이 짧고, 또한 인접하는 노치 사이의 간격은 노치의 길이와 같거나 짧고, 노치의 길이방향이 섬유부직포의 섬유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가 몸통 둘레 개구와 다리 둘레 개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팬츠형 기저귀는, 앞길과 뒷길을 접합부에서 접합부재를 거쳐 접합하고, 접합부재에는, 이 접합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파지부와, 파지부에서부터 몸통 둘레 개구 및 다리 둘레 개구를 향하여 연장되는 파단 유도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 손으로 파지부를 잡고 잡아 당김으로써, 접합부재의 파지부에서부터 연장되는 파단 유도부를 따라 몸통 둘레 개구 및 다리 둘레 개구까지 파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팬츠형 기저귀의 앞길과 뒷길이 분리되어, 팬츠형 기저귀를 착용자에게서 벗겨 내어 폐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팬츠형 기저귀의 앞길과 뒷길을 파단 유도부가 설치된 접합부재로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몸통 둘레 개구부를 양손으로 잡고 파단할 필요는 없고, 한쪽 손으로 옆 가장자리를 찢을 수 있는 1회용 팬츠형 기저귀가 제공된다.
파단 유도부가, 파지부에서부터 몸통 둘레 개구 및 다리 둘레 개구를 향하여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늘어서는 복수의 노치로 구성되는 형태에서는, 접합부재를 복수의 노치를 따라 간단하게 파단할 수 있다.
또한, 노치가 파지부에서부터 몸통 둘레 개구 및 다리 둘레 개구를 향하여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계단형상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노치이며, 그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투영하였을 때 인접하는 노치끼리가 일부 서로 겹치는 형태에서는, 파지부에서부터 그 바로 근처의 노치를 향하여 힘이 집중적으로 가해지고, 마침내는 파지부가 붙어 있는 부분과 그 바로 근처의 노치의 사이가 파단에 이른다. 마찬가지로 하여, 파단된 노치에서부터 인접하는 노치로 파단이 차례차례 전해져 감으로써 접합부재를 복수의 노치를 따라 간단하게 파단할 수 있다.
섬유부직포에서 일 방향으로의 섬유 배향성이 높은 것은, 섬유 배향방향의 강도가 높고, 섬유 배향방향을 따라 힘을 가하여 잡아찢기 쉽다.
접합부재가 섬유부직포이고,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일 방향으로의 배향성을 가지고, 섬유의 길이보다 노치의 길이쪽이 짧으며, 또한 인접하는 노치 사이의 간격은 노치의 길이와 같거나 짧고, 노치의 길이방향이 섬유부직포의 섬유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형태에서는, 파단이 진행되기 어려운 섬유 배향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노치를 통하여 파단을 진행시키고, 계속해서 찢기 쉬운 섬유 배향방향을 따라 파단을 진행시킴으로써, 접합부재를 간단하게 파단시킬 수 있다.
또한, 부직포 섬유의 길이보다 노치의 길이쪽이 짧기 때문에, 부직포의 섬유길이가 유지되어 강도가 손상되지 않고, 또 노치 사이의 간격은 노치의 길이와 같거나 짧기 때문에 섬유 배향방향을 따른 파단이 진행되기 쉬워진다. 이 결과, 접합부재는, 기저귀 착용 중은 파단하기 어렵고, 한편 기저귀를 폐기할 때는 간단하게 파단시킬 수 있다.
도 1은 팬츠형 기저귀의 부분 파단 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접합부재의 모식도,
도 3은 파단한 접합부재의 모식도,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접합부재의 모식도,
도 5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접합부재의 모식도,
도 6은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손잡이의 모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팬츠형 기저귀 2 : 몸통 둘레 개구
3 : 다리 둘레 개구 4 : 앞길
5 : 뒷길 6L, 6R : 접합부
8 : 접합부재 9 : 파지부(손잡이)
1Oa, 1Ob : 파단 유도부 11 : 노치
< 제 1 실시형태 >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팬츠형 기저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팬츠형 기저귀(1)[이하, 기저귀(1)라고 기재한다]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기저귀(1)는,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여 투액성을 가지는 내면 시트(21)와, 내면 시트(2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비투액성의 외면 시트(22)와, 양자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 패널(23)을 주된 구성으로 하는 복합 패널을 포함한다. 기저귀(1)는 앞길(4)과 뒷길(5)로 구분된다.
도 1의 기저귀(1)는, 앞/뒷길(4, 5)의 경계를 중심으로 하는 밑 아래 길이부의 대향측부가 서로 안쪽으로 오목해져 있는 형태(도시 생략)를 가진다. 따라서, 전개하면 모래시계와 같은 형상이 된다. 기저귀(1)는, 이 모래시계 형상의 복합 패널을 앞길(4)과 뒷길(5)이 겹치도록 그 중간부(밑 아래 길이부)에서 되접어, 앞/뒷길(4, 5)의 대향측부 사이에 접합부재(8)를 개재시켜 접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기저귀(1)에는, 몸통 둘레 개구(2)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3, 3)가 형성된다. 또한, 몸통 둘레 개구(2)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각각 몸통 둘레 탄성부재(24a, 24b)가, 다리 둘레 개구(3)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다리 둘레 탄성부재(25)가 각각 신장하(伸長下)에 부착되어 있다. 흡액 패널(23)은, 적어도 착용자의 고간부(股間 ; 두 다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내면 시트(21)와 외면 시트(2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앞길(4)과 뒷길(5)은, 그것들의 대향측 가장자리에서 몸통 둘레 개구(2)에서부터 다리 둘레 개구(3)에 이르는 영역에 있는 접합부(6L, 6R)에서 접합부재(8, 8) 를 거쳐 접합되어 있다. 접합부재(8, 8)는 어느 것이나 내면 시트(21)에 접합되어 있다. 또, 각 접합부재(8)에는 파지부인 손잡이(9)와, 손잡이(9)에서부터 몸통 둘레 개구(2)를 향할 수 있는 연장되는 제 1 파단 유도부(10a)와, 다리 둘레 개구(3)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파단 유도부(10b)가 설치되어 있다.
기저귀(1)의 대향측 가장자리의 접합부(6L, 6R)에서는 앞/뒷길(4, 5)의 한쪽 끝(4L, 5L) 및 다른쪽 끝(4R, 5R)이 마주 향하고 있고, 서로 접촉 가능하나 접합되어 있지 않고, 손으로 펴서 넓히면 공극(27)이 열리도록 되어 있다. 손잡이(9)는 이 공극(27)에 면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1)의 바깥쪽으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몸통 둘레 탄성부재(24a, 24b)와 다리 둘레 탄성부재(25)는, 공극(27)에서 분리하고 있다.
앞/뒷길(4, 5)을 접합하는 접합부재(8, 8)는, 대향측 가장자리에서, 몸통 둘레 개구(2)의 근방에서부터 다리 둘레 개구(3)의 근방까지를 덮도록 하여 설치되고, 그 세로방향 길이는 몸통 둘레 개구(2)에서부터 다리 둘레 개구(3)까지의 길이보다 약간 짧다.
접합부재(8)의 재질은, 통기성이 있는 섬유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판 본드법으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의 장섬유부직포를 사용하고 있고, 섬유 배향방향의 강도는 40∼55 N/25 mm, 섬유 배향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강도가 28∼30 N/25 mm 이다.
이밖에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단섬유 또는 장섬유를 에어레이법, 스판 본드법, 멜트 블로우법 등 공지의 제법으로 부직포로 한 섬유부직포를 사 용할 수도 있다.
접합부재(8)에는, 기저귀(1)가 착용되어 있을 때는 파단되지 않고, 폐기할때는 파단되기 쉽다는, 상반되는 성능이 요구된다. 장섬유의 섬유부직포에서 일 방향으로의 섬유 배향성이 높은 것은 단섬유의 부직포보다 강도가 높고, 섬유 배향방향을 따라 힘을 가하여 잡아찢기 쉽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요구를 충족하는 것이 가능하여, 접합부재(8)의 재료에 적합하다.
또한, 접합부재(8)의 섬유 배향방향은, 도 2의 양방향 화살표(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1)의 가로방향과 평행한 몸통 둘레 방향(W)과 직교하는 방향, 즉 기저귀(1)의 세로방향이다.
손잡이(9)는, 기저귀(1)에 부착되었을 때 몸통 둘레 개구(2)와 다리 둘레 개구(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접합부재(8)에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9)는 힘이 가해졌을 때에 파단의 시점이 되어 접합부재(8)를 파단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손잡이(9)가 몸통 둘레 개구(2)와 다리 둘레 개구(3)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저귀(1)의 착용 중에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몸통 둘레 개구(2) 또는 다리 둘레 개구(3)를 확경(擴徑)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에도, 손잡이(9)가 부주의하게 파단의 시점이 되어 접합부재(8)가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손잡이(9)는, 접합부재(8)의 중앙 부근에서부터 끝에 걸쳐 2개의 평행한 절단선을 넣어 접합부재(8)와 일체로 형성되고, 평행한 2개의 절단선이 몸통 둘레 방향(W)과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기저귀(1)에 부착되어 있다. 또, 손잡이(9)의 선단부에는, 한쪽 손으로 잡기 쉽게 하고, 또한 파단시에 잡아 당겼을 때 손잡이(9) 가 떨어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합부재(8)보다 강성이 높은 보강부재(20)가 접착되어 있다. 보강부재(20)에는, 접합부재(8)보다 고평량 부직포, 또는 플라스틱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손잡이(9)의 상측이 붙어 있는 부분(9a)에서는 몸통 둘레 개구(2)를 향하여 제 1 파단 유도부(10a)가 연장되고, 손잡이(9)의 하측이 붙어 있는 부분(9b)에서는 다리 둘레 개구(3)를 향하여 제 2 파단 유도부(10b)가 연장되어 있다. 제 1, 제 2 파단 유도부(10a, 10b)는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계단형상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노치(11)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치(11)는 슬릿 형상이고, 그 길이 방향을 기저귀(1)의 몸통 둘레 방향(W)을 향하여, 즉 접합부재(8)의 부직포의 섬유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접합부재(8)는 손잡이(9)를 시점으로 하여 제 1, 제 2 파단 유도부(10a, 10b)를 구성하는 노치(11, 11, …)를 따라 파단된다.
복수의 노치(11)의 길이 및 상호의 기설정된 간격은, 착용 중은 접합부재(8)가 파단되지 않고, 또한 폐기시에는 파단되기 쉽게 고려하여 정한다. 이것을 위해서는, 노치(11)의 길이는 섬유부직포의 섬유길이보다 짧게 하고, 노치(11) 상호의 간격은 노치(11)의 길이보다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11)의 길이를 섬유길이보다 짧게 함으로써 부직포의 강도를 확보하여 착용 중에 접합부재(8)가 파단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노치(11) 상호의 간격을 노치(11)의 길이와 같거나 짧게 함으로써, 접합부재(8)를 파단할 때의 힘을 노치(11) 사이의 매우 좁은 범위에 집중시켜 간단하게 접합부재(8)를 파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 치(11)의 길이는 4∼8 mm, 인접하는 노치(11) 사이의 간격은 1∼5 mm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2, 도 3을 참조하여 접합부재(8)의 부착구조와 파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도면 우측의 접합부재(8) 주변을 기저귀(1)의 안쪽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도이고, 공극(27)이 약간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3은 접합부재(8)가 파단된 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접합부재(8)는 앞길(4)의 제 1 부착부(30)와, 뒷길(5)의 제 2 부착부(31)에 접합되어 있다. 제 1 부착부(30)는 앞길(4)의 우측단(4R)에서부터 기설정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어 손잡이(9)를 피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 2 부착부(31)는, 복수의 노치(11)로 둘러 싸이는 영역(32)에 설치되어 뒷길(5)의 우측단(5R)에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또, 앞길(4)과 뒷길(5)의 사이에 공극(27)이 열려 있고, 손잡이(9)가 붙어 있는 부분(9a, 9b)은 공극(27)에 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앞길(4), 뒷길(5)과 접합부재(8)와의 접합은, 점착제, 열 엠포스, 히트 시일 등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할 수 있다.
손잡이(9)가 붙어 있는 부분(9a, 9b)에서는, 몸통 둘레 개구(2) 및 다리 둘레 개구(3)를 향하여 계단형상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노치(11)로 구성되는 제 1, 제 2 파단 유도부(10a, 10b)가 연장되어 있다. 복수의 노치(11)의 길이방향은 기저귀(1)의 가로방향과 평행인 방향이고, 또,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투영하였을 때 인접하는 노치(11)끼리 일부 서로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9)가 붙어 있는 부분(9a, 9b)에 가장 가까운 노치(11a, 1lb)는, 손잡이(9)가 붙어 있는 부분(9a, 9b)을 연결하는 선과 교차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노치(11)의 길이방향은 기저귀(1)의 가로방향과 평행인 방향, 즉 몸통 둘레 방향(W)과 평행인 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착용 중에 몸통 둘레 개구(2)를 확경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 노치(11)는 변형되지 않고, 섬유부직포가 상기한 힘에 저항한다. 이 때문에, 기저귀(1)의 착용 중에 접합부재(8)가 부주의하게 파단되는 일은 없다.
기저귀(1)를 폐기하기 위하여 접합부재(8)를 파단할 때는, 공극(27)으로부터 손잡이(9)를 한쪽 손으로 인출하여, 손잡이(9)를 기저귀(1)의 바깥쪽(도 2의 지면에 대하여 수직 안 길이쪽)으로 잡아 당긴다. 이에 의하여, 손잡이(9)가 붙어 있는 부분(9a, 9b)에서 그 바로 근처의 노치(11a, 11b)를 향하여 기저귀(1)의 세로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마침내는 손잡이(9)가 붙어 있는 부분(9a, 9b)과 그 바로 근처의 노치(11a, 11b) 사이가 파단에 이른다. 이 때, 파단은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부직포의 섬유 배향방향, 즉 기저귀(1)의 세로방향을 따라 진행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파단된 노치(11a, 11b)에서 인접하는 노치(11, 11)로 파단이 차례차례 전해져 간다.
더욱 상세하게는, 접합부재(8)를 뒷길(5)에 접합하는 제 2 부착부(31)는, 복수의 노치(11)로 둘러 싸이는 영역(32)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9)를 기저귀 바깥쪽으로 잡아 당겼을 때, 접합부재(8)의 노치(11)로 둘러 싸이는 영역(32)은 뒷길(5)과 함께 기저귀(1)의 바깥쪽을 향하여 이동한다. 그러나, 접합부재(8)의 그 밖의 부분은 이것에 따를 수 없어 뒷길(5)과의 간격이 벌어져 간다. 이 결과, 인접하는 노치(11, 11)의 사이가 차례차례 잡아 당겨져 파단이 진행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부재(8)의 파단이 완료되면, 뒷길(5)에는 접합부재(8)의 복수의 노치(11)로 둘러 싸이는 영역(32)과 손잡이(9)가 남고, 접합부재(8)의 그 밖의 부분은 앞길(4)에 남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앞길(4)과 뒷길(5)이 분리된다. 또한, 접합부재(8)의 파단은, 부직포의 섬유 배향방향을 따라 하나의 노치(11)의 끝에서부터 다음 노치(11)의 중앙 부근을 향하여 진행되기 때문에, 파단 후의 제 1 및 제 2 파단 유도부(10a, 10b)는, 도 3과 같은 파단형상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직포의 섬유가 기저귀(1)의 세로방향으로 배향하고, 계단형상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노치(11)의 길이방향은 몸통 둘레 방향(W)을 향하고, 또한 노치(11)를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투영하였을 때 인접하는 노치끼리가 일부 서로 겹쳐 있기 때문에, 기저귀(1)의 사용 중에는 접합부재(8)가 부주의하게 파단되는 일은 없고, 기저귀(1)를 폐기할 때는 접합부재(8)를 복수의 노치(11)와 부직포의 섬유 배향방향을 따라 한쪽 손으로 간단하게 파단할 수 있다.
< 제 2 실시형태 >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접합부재(8)의 모식도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치(11)의 길이방향은 기저귀(1)의 세로방향과 평행인 방향을 향하고, 부직포의 섬유의 배향방향은, 양방향 화살표(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1)의 몸통 둘레 방향(W)과 평행인 방향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치(11)의 길이와 상호의 간격은 제 1 실시형태보다 크게 하고 있다. 그 외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가능한 한 생략한다.
기저귀(1)의 착용 중에, 몸통 둘레 개구(2)를 확경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노치(11)가 몸통 둘레 방향(W)을 따라 개구하고, 복수의 노치(11) 전체로서 아코디언 형상으로 변형되어 힘을 흡수한다. 또한 노치(11) 상호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크고, 또 부직포의 섬유가 몸통 둘레 방향(W)과 평행인 방향, 즉 기저귀(1)의 가로방향으로 배향하고 있으며, 상기한 힘에 저항할 수 있기 때문에, 접합부재(8)가 착용 중에 부주의하게 파단되는 일은 없다.
기저귀(1)를 폐기할 때, 손잡이(9)를 잡아 당겨 몸통 둘레 방향(W)으로 착용시보다 큰 힘을 가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접합부재(8)는 복수의 노치(11)와 섬유 배향방향을 따라 파단된다. 즉, 파단 개시 시에는 손잡이(9)가 붙어 있는 부분(9a, 9b)에서부터 바로 근처의 노치(11a, 11b)를 향하여 파단되고, 이어서 인접하는 노치(11)로 차례차례 파단이 전파되어 파단이 종료되고, 앞길(4)과 뒷길(5)이 분리된다.
< 제 3 실시형태 >
도 5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접합부재(8)의 모식도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치(11)의 길이방향은 기저귀(1)의 세로방향과 평행인 방향의 직선 상에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접합부재(8)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부직포의 섬유의 배향방향은, 양방향 화살표(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1)의 몸통 둘레 방향(W)과 평행인 방향을 향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치(11)의 길이는 5 mm 이고, 노치(11)의 간격은 2∼7 mm 이다. 또, 손잡이(9)가 붙어 있는 부분(9a, 9b)에서부터 그 바로 근처의 노치(11a, 11b)까지의 거리는 3∼7 mm로 되 어 있다. 또한 몸통 둘레 개구(2)와 다리 둘레 개구(3)의 근방에는 노치(11)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몸통 둘레 개구(2)와 다리 둘레 개구(3)로부터 이들에 가장 가까운 노치(11c, 11d)까지의 거리는 28∼32 mm 이다. 그 외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가능한 한 생략한다.
기저귀(1)의 착용 중에, 몸통 둘레 개구(2)를 확경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노치(11)가 몸통 둘레 방향(W)을 따라 개구함과 동시에, 섬유가 몸통 둘레 방향(W)으로 배향한 부직포가 상기한 힘에 저항하기 때문에, 접합부재(8)가 착용 중에 부주의하게 파단되는 일은 없다. 또한, 몸통 둘레 개구(2)와 다리 둘레 개구(3)의 근방에는 노치(11)는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저귀(1) 착용 중에 몸통 둘레 개구(2) 또는 다리 둘레 개구(3)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도, 노치(11c, 11d)가 기점이 되어 부주의하게 접합부재(8)가 파단되는 것이 방지된다.
기저귀(1)를 폐기할 때, 손잡이(9)를 잡아당겨 몸통 둘레 방향(W)으로 착용시보다 큰 힘을 가하면, 손잡이(9)가 붙어 있는 부분(9a, 9b)에서부터 그 바로 근처의 노치(11a, 11b)를 향하여 기저귀(1)의 세로방향으로 힘이 집중하여 가해진다. 이 때, 손잡이(9)가 붙어 있는 부분(9a, 9b)에서부터 그 바로 근처의 노치(11a, 11b)까지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섬유 배향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파단을 진행시킬 수 있다. 이어서 인접하는 노치(11)에 차례차례 파단이 전파되어 파단이 종료되고, 앞길(4)과 뒷길(5)이 분리된다.
< 제 4 실시형태 >
도 6은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접합부재(8)의 손잡이(9)의 부착구조를 나타내 는 모식도이고, 파단 유도부(10a, 1Ob)를 생략하고, 기저귀(1)의 한쪽 가장자리만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길(4)의 한쪽측 가장자리 및 뒷길(5)의 한쪽측 가장자리의 내면 시트(21)끼리를 마주 보게 하여 겹치고, 접합부재(8)를 손잡이(9)가 붙어 있는 부분(9a, 9b)를 연결하는 선을 따라 되접어, 손잡이(9)가 돌출부(33)에 끼워지는 위치에 배치한 후, 접합부재(8)를 거쳐 앞/뒷길(4, 5)을 접합하여 기저귀(1)를 제작하고 있다.
돌출부(33)에서는 앞길(4)과 뒷길(5)은 접합되어 있지 않고,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공극(27)이 형성되록 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9)가 붙어 있는 부분(9a, 9b)은 공극(27)에 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손잡이(9)를 돌출부(33)에서 앞길(4)과 뒷길(5)의 사이에 끼울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접합부재(8)를 파단할 때 손잡이(9)를 용이하게 찾아 내어 한쪽 손으로 잡아 당길 수 있다.
이상,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치(11)를 슬릿 형상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장방형이나 타원형으로 할 수도 있다. 또는 파단이 용이하게 개시되도록, 손잡이(9)가 붙어 있는 부분(9a, 9b)에 가까운 노치(11)의 상호의 간격을, 몸통 둘레 개구(2) 또는 다리 둘레 개구(3)에 가까운 노치(11)의 상호의 간격보다 좁게 하여도 된다. 또, 손잡이(9)를 접합부재(8)에 コ자형의 절단선을 넣어 형성하여도 된다.

Claims (6)

  1. 앞길과 뒷길을 이것들의 대향측 가장자리의 접합부에서 접합하여, 몸통 둘레 개구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를 형성하고 있고, 사용 후에 상기 접합부가 파단되어 폐기되는 팬츠형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앞길과 상기 뒷길이 상기 접합부에서 접합부재를 거쳐 접합되고,
    상기 접합부재에는,
    상기 접합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서부터 상기 몸통 둘레 개구 및 상기 다리 둘레 개구를 향하여 연장되는 파단 유도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기저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가 상기 접합부재의 일부에 절단선을 넣어 형성된 손잡이이고,
    상기 손잡이가 붙어 있는 부분에서부터 상기 파단 유도부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기저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 유도부가, 상기 파지부에서부터 상기 몸통 둘레 개구 및 상기 다리 둘레 개구를 향하여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늘어서는 복수의 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기저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상기 파지부에서부터 상기 몸통 둘레 개구 및 상기 다리 둘레 개구를 향하여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계단형상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노치이고, 상기 노치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투영하였을 때 인접하는 노치끼리 일부 서로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기저귀.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가 섬유부직포이고,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일 방향으로의 배향성을 가지며, 상기 섬유의 길이보다 상기 노치의 길이쪽이 짧고,
    또한 인접하는 상기 노치 사이의 간격은 상기 노치의 길이와 같거나 짧고,
    상기 노치의 길이방향이 상기 섬유부직포의 섬유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기저귀.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가 상기 몸통 둘레 개구와 상기 다리 둘레 개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기저귀.
KR1020087026076A 2006-03-28 2007-02-19 팬츠형 기저귀 KR200900077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89188A JP4951257B2 (ja) 2006-03-28 2006-03-28 パンツ型おむつ
JPJP-P-2006-00089188 2006-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727A true KR20090007727A (ko) 2009-01-20

Family

ID=38540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076A KR20090007727A (ko) 2006-03-28 2007-02-19 팬츠형 기저귀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686795B2 (ko)
EP (1) EP2000120B1 (ko)
JP (1) JP4951257B2 (ko)
KR (1) KR20090007727A (ko)
CN (1) CN101394820B (ko)
AT (1) ATE502613T1 (ko)
AU (1) AU2007230468B2 (ko)
BR (1) BRPI0706817A2 (ko)
CA (1) CA2640964A1 (ko)
DE (1) DE602007013371D1 (ko)
MX (1) MX2008010928A (ko)
MY (1) MY146498A (ko)
TW (1) TW200735851A (ko)
WO (1) WO200711105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52171A (zh) * 2013-08-30 2013-12-18 上海德内克水处理设备有限公司 一种符合gmp认证要求的空气隔断式排污装置
KR101501315B1 (ko) * 2008-05-30 2015-03-16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폐기 탭을 갖는 개인 착용 흡수 용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7216B2 (en) * 2006-07-05 2010-06-01 Unicharm Corporation Diaper for adults
FR2909474B1 (fr) * 2006-12-04 2009-05-15 Canon Kk Procede et dispositif de codage d'images numeriques et procede et dispositif de decodage d'images numeriques codees
JP5421547B2 (ja) * 2008-05-15 2014-02-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形状の着用物品
JP2011193968A (ja) * 2010-03-18 2011-10-06 Livedo Corporation 吸収性物品
JP5602523B2 (ja) 2010-07-05 2014-10-08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おむつ
CN104994824B (zh) * 2013-02-15 2019-07-05 宝洁公司 与吸收制品一起使用的扣紧系统
US9789010B2 (en) * 2014-03-31 2017-10-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tear away section
JP5690966B1 (ja) * 2014-07-25 2015-03-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展開型使い捨ておむつ
US11154433B2 (en) 2014-10-31 2021-10-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rticle with reinforced handle
JP6412811B2 (ja) * 2015-01-30 2018-10-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展開型使い捨ておむつ
JP5934815B1 (ja) * 2015-01-30 2016-06-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展開型使い捨ておむつ
JP6387322B2 (ja) * 2015-04-27 2018-09-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展開型使い捨ておむつ
JP6583854B2 (ja) * 2015-09-29 2019-10-02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EP3397222B1 (en) 2015-12-30 2021-11-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side panel method of fastening
USD942619S1 (en) 2020-08-31 2022-02-01 Brenda Moore-Jones Diaper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1608U (ko) * 1980-07-15 1982-02-04
JPH01141711U (ko) * 1988-03-14 1989-09-28
MY106077A (en) * 1990-05-09 1995-03-31 Kao Corp Disposable diapers.
US5074854A (en) * 1990-08-24 1991-12-24 The Procter & Gamble Co. Disposable undergarment having a break-away panel
AU648112B2 (en) * 1990-10-25 1994-04-14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wearing article of pants type
JP3096152B2 (ja) 1992-05-22 2000-10-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JPH0631725U (ja) 1992-10-02 1994-04-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SE508612C2 (sv) 1994-04-12 1998-10-19 Sca Hygiene Prod Ab Förfarande för att tillverka en byxblöja eller byxbinda samt en sådan artikel
US5531732A (en) 1994-06-14 1996-07-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djustable fit disposable training pant or incontinence garment having disposable means
US5662638A (en) 1995-10-10 1997-09-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angeless seam for use in disposable articles
US5624428A (en) 1995-11-29 1997-04-29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a pantlike pull down feature
EP0839507A1 (en) * 1996-10-30 1998-05-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pening tab for disposable pull-on diapers
US6287287B1 (en) * 1998-06-19 2001-09-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passive side bonds and adjustable fastening systems
US6972012B1 (en) 1998-12-18 2005-12-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nt-lik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6579275B1 (en) 2000-09-28 2003-06-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nt-lik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releasable seams and a folded fastening feature
US7988682B2 (en) * 2002-04-02 2011-08-02 Sca Hygiene Products Ab Prefastened absorbent product with releasable fasteners and flaps having welds
JP2003339772A (ja) * 2002-05-29 2003-12-02 Crecia Corp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US20060089616A1 (en) 2002-08-22 2006-04-27 Kimberly-Clark World,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dual pattern bonding
SE0203462L (sv) 2002-11-22 2004-06-16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ad förslutningsmekanism
JP4279190B2 (ja) * 2004-04-19 2009-06-17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EP1600132A1 (en) * 2004-05-28 2005-11-30 Hyga S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adjustable and prefastening tape
JP5014595B2 (ja) 2005-06-14 2012-08-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315B1 (ko) * 2008-05-30 2015-03-16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폐기 탭을 갖는 개인 착용 흡수 용품
CN103452171A (zh) * 2013-08-30 2013-12-18 上海德内克水处理设备有限公司 一种符合gmp认证要求的空气隔断式排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00120A2 (en) 2008-12-10
CN101394820B (zh) 2012-10-24
EP2000120B1 (en) 2011-03-23
DE602007013371D1 (de) 2011-05-05
AU2007230468B2 (en) 2013-02-28
US20070233033A1 (en) 2007-10-04
CA2640964A1 (en) 2007-10-04
EP2000120A4 (en) 2010-09-08
BRPI0706817A2 (pt) 2011-04-05
CN101394820A (zh) 2009-03-25
EP2000120A9 (en) 2009-03-11
WO2007111057A1 (ja) 2007-10-04
JP2007260145A (ja) 2007-10-11
ATE502613T1 (de) 2011-04-15
TW200735851A (en) 2007-10-01
AU2007230468A1 (en) 2007-10-04
US7686795B2 (en) 2010-03-30
TWI325774B (ko) 2010-06-11
MX2008010928A (es) 2008-09-03
JP4951257B2 (ja) 2012-06-13
MY146498A (en) 2012-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7727A (ko) 팬츠형 기저귀
KR101369354B1 (ko) 팬츠형 착용 물품
JP5568369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02119536A (ja) 伸縮性の使い捨てパンツ
KR20080019004A (ko) 일회용 팬츠형 착용 물품
JP5980054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JP6465824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RU2536551C2 (ru) Одноразовый адсорбирующий используемый при недержании подгузник, имеющий боковые части
JP5047548B2 (ja) 着用物品の止着構造
JP2005312907A (ja) 着用物品
WO2018222457A1 (en) Front or rear opening closed-sided absorbent articles
JP5766855B1 (ja) パンツ型の着用物品
EP3630035A1 (en) Front or rear opening closed-sided absorbent articles
JP5497375B2 (ja) 使い捨ておむつ
AU2018278108B2 (en) Front or rear opening closed-sided absorbent articles
WO2021241553A1 (ja) 吸収性物品
JP6456221B2 (ja) 使い捨ての着用物品
JP6433363B2 (ja) 使い捨ての着用物品
JP6067062B2 (ja) パンツ型の着用物品
JP6374616B2 (ja) 着用物品
JP6453146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6487234B2 (ja) 吸収性物品およ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