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736A - 커팅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커팅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736A
KR20090006736A KR1020080061595A KR20080061595A KR20090006736A KR 20090006736 A KR20090006736 A KR 20090006736A KR 1020080061595 A KR1020080061595 A KR 1020080061595A KR 20080061595 A KR20080061595 A KR 20080061595A KR 20090006736 A KR20090006736 A KR 20090006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utting
round blade
base memb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요시 스에하라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6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팅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1 커팅 기구(56)는 회전축(62)에 장착되는 기대 부재(64)를 구비하고, 이 기대 부재(64)에는 회전 둥근 날(66)과 압박 롤러(68)가 부착된다. 우선, 기대 부재(64)에 회전 둥근 날(66)이 장착된 후에 이 회전 둥근 날(66)의 날끝(66a)에 연마 가공이 실시된다. 이어서, 기대 부재(64)에 압박 롤러(68)가 장착된 후에 이 압박 롤러(68)의 외주면(68a)에는 회전 둥근 날(66)의 날 돌출량을 기준으로 해서 연마 가공이 행하여지고, 상기 날 돌출량의 조정이 행하여진다.
Figure P1020080061595
커팅 장치

Description

커팅 장치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둥근 날과, 상기 둥근 날의 피가공물로의 커팅 깊이를 규제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커팅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액정 패널용 기판, 프린트 배선용 기판, PDP 패널용 기판에서는 감광 재료(감광성 수지)층을 갖는 감광성 시트체(감광성 웹)를 기판 표면에 부착해서 구성되어 있다. 감광성 시트체는 가요성 플라스틱 지지체 상에 감광 재료층과 보호 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그래서, 이런 종류의 감광성 시트체의 부착에 사용되는 부착 장치는 통상 유리 기판이나 수지 기판 등의 기판을 소정 간격씩 이간시켜서 반송시킴과 아울러, 상기 기판에 부착되는 감광 재료층의 범위에 대응해서 상기 감광성 시트체로부터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감광성 적층체 필름은 부착 위치에 반송되기 전에 미리 보호 필름을 소정 위치에서 절단할 필요가 있다. 그때, 감광성 적층체 필름에는 적층 방향의 일부를 남기고 적어도 보호 필름이 절단되는, 즉 하프 커팅 처리가 실시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하프 커팅을 행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11-17969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필름 절단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필름 절단 장치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 필름(1)이 가이드 롤러(2a,2b)를 통해서 화살표 방향으로 반송됨과 아울러 이 반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3) 상에는 가동 부재(4)가 진퇴 가능하게 적재되어 있다.
가동 부재(4) 상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축(5)을 통해서 회전축(6)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6)의 끝부에는 디스크 커터(7)가 장착되어 있다. 중공축(5)의 디스크 커터(7)측의 끝부 외주에는 베어링(9)을 통해서 압박 롤러(10)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가동 부재(4) 상에는 디스크 커터(7)를 좌우 반전시킨 구조를 갖는 디스크 커터(11)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적층체 필름(1)을 사이에 둔 디스크 커터(7,11)에 대향해서 커터대(8)가 배치됨과 아울러 이 커터대(8)에는 상기 디스크 커터(7,11)의 절삭날(7a,11a)에 맞물리는 커터 수용부(8a,8b)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는 디스크 커터(7,11)의 절삭날(7a,11a)에 의해 적층체 필름(1)을 정확하게 하프 커팅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디스크 커터(7)의 절삭날(7a)은 압박 롤러(10)의 외주면(10a)으로부터의 날 돌출량을 고정밀하며 또한 균일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날 돌출량이 지나치게 크면 적층체 필름(1) 전체를 절단할 우려가 있는 반면, 이 날 돌출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보호 필름의 덜 잘림 등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날 돌출량의 균일성이 없는 경우에는 적층체 필름(1)을 지나치게 자르 거나 덜 자르는 등 하프 커팅 불량이 야기되어버린다. 이 때문에, 통상 디스크 커터(7) 및 압박 롤러(10)는 미리 원하는 정밀도로 가공된 후 중공축(5)에 대하여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디스크 커터(7)에 대하여 미리 연마기에 의해 날 부착 연마를 행한 후에 이 디스크 커터(7)를 회전축(6)에 부착할 때, 상기 디스크 커터(7)의 날끝 흔들림을 정밀하고 안정된 상태로 억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연마기의 샤프트와의 감합에 의한 백래시(backlash) 등의 기계적 오차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압박 롤러(10)에서는 미리 외주면(10a)을 고정밀도로 가공해도 이 압박 롤러(10)를 중공축(5)에 베어링(9)을 통해서 부착할 때에 이 베어링(9)의 진원도나 감함 백래시 등에 의해 상기 압박 롤러(10)에 회전 진동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압박 롤러(10)의 외주면(10a)을 기준으로 하는 날 돌출량의 설정 정밀도가 저하되기 쉬워짐과 아울러 회전 위치에 의해 상기 날 돌출량이 변화되어버린다. 이것에 의해, 적층체 필름의 폭 방향에 대하여 균일하며 또한 일정한 커팅량을 확보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런 종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간단한 공정으로 날 돌출량을 고정밀도로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날 돌출량의 균일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는 커팅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둥근 날과 상기 둥근 날의 피가공물로의 커팅 깊이를 규제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둥근 날 및 상기 가이드 부재가 부착되는 기대 부재를 구비하는 커팅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제조 방법에서는 기대 부재에 둥근 날을 장착한 후에 상기 둥근 날의 가공을 행하는 공정과, 상기 기대 부재에 가이드 부재를 장착한 후에 상기 둥근 날의 날 돌출량을 기준으로 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외주부의 가공을 행하는 공정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커팅 장치를 구성하는 기대 부재에 둥근 날이 장착된 상태에서 이 둥근 날의 가공이 행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둥근 날의 기대 부재에 대한 진원도 어긋남, 동심도 어긋남 및 감합 백래시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대 부재에 가이드 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이 가이드 부재의 가공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부재 자체의 제작 오차나 장착 오차에 의한 영향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의 외주부에는 둥근 날의 날 돌출량을 기준으로 해서 가공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간단한 공정으로 날 돌출량을 고정밀도로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날 돌출량의 균일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면과 협동하는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예의 설명으로 상기의 목 적, 특징 및 이점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커팅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적용되는 감광성 적층체의 제조 시스템(20)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제조 시스템(20)은 액정 또는 유기 EL용 컬러필터 등의 제작 공정에서 소정의 폭 치수로 이루어지는 장척상 감광성 웹(22)의 감광성 수지층(28)(후술한다)을 유리 기판(24)에 열전사(라미네이트)하는 작업을 행한다.
도 2는 제조 시스템(20)에 사용되는 장척상 감광성 웹(22)의 단면도이다. 이 장척상 감광성 웹(22)은 가요성 베이스 필름(지지체)(26)과, 감광성 수지층(제 1 수지층)(28)과, 보호 필름(제 2 수지층)(30)을 적층해서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조 시스템(20)은 장척상 감광성 웹(22)을 롤상으로 권회시킨 감광성 웹롤(23)을 수용하고, 상기 감광성 웹롤(23)로부터 상기 장척상 감광성 웹(22)을 송출할 수 있는 웹 송출 기구(32)와, 송출된 상기 장척상 감광성 웹(22)에 보호 필름(30) 및 감광성 수지층(28)의 폭 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는 2개소의 경계 부분인 하프 커팅 부위(34a,34b)(도 2 참조)를 형성하는 하프 커팅 장치(커팅 장치)(36)와, 일부에 비접착부(38a)를 갖는 접착 라벨(38)(도 3 참조)을 상기 보호 필름(30)에 접착시키는 라벨 접착 기구(40)를 구비한다.
라벨 접착 기구(40)의 하류에는 장척상 감광성 웹(22)을 택트 송출로부터 연속 송출로 변경하기 위한 리저버 기구(42)와, 상기 장척상 감광성 웹(22)으로부터 보호 필름(30)을 소정 길이 간격으로 박리시키는 박리 기구(44)가 배치된다.
박리 기구(44)의 하류에는 유리 기판(24)을 소정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부착 위치에 공급하는 기판 공급 기구(45)와, 보호 필름(30)의 박리에 의해 노출된 감광성 수지층(28)을 상기 유리 기판(24)에 일체적으로 부착하는 부착 기구(46)와, 기판간 웹 절단 기구(48)가 배치된다.
웹 송출 기구(32)의 하류 근방에는 대략 사용이 완료된 장척상 감광성 웹(22)의 후단과, 새롭게 사용되는 장척상 감광성 웹(22)의 선단을 부착하는 부착대(49)가 배치된다. 부착대(49)의 하류에는 감광성 웹롤(23)의 권취 어긋남에 의한 폭 방향의 어긋남을 제어하기 위해서 필름 단말 위치 검출기(51)가 배치된다.
하프 커팅 장치(36)는 웹 송출 기구(32)에 수용 권회되어 있는 감광성 웹롤(23)의 롤 지름을 산출하기 위한 롤러쌍(50)의 하류에 배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프 커팅 장치(36)는 장척상 감광성 웹(22)의 반송 방향(화살표 X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화살표 Z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 기구(52)를 구비한다.
이동 기구(52)는 화살표(Z)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54)을 갖는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이동 기구(52)에는 각각 높이 조정 가능한 제 1 커팅 기구(56) 및 제 2 커팅 기구(58)가 장착된다. 또한, 이동 기구(52)는 리니어 모터 이외에 랙 피니언을 사용한 자주식 구조 등 여러 가지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제 1 커팅 기구(56)는 제 1 본체부(장치 본체)(60)를 구비함과 아울러, 이 제 1 본체부(60)에는 회전축(샤프트)(62)이 베어링(63)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도 5 참조). 회전축(62)의 선단에는 기대 부재(64)가 상기 회전축(62)과 일 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기대 부재(64)에는 회전날, 예를 들면 회전 둥근 날(커터)(66)과, 상기 회전 둥근 날(66)에 의한 하프 커팅시에 장척상 감광성 웹(22)을 압박 유지하고 또한 상기 장척상 감광성 웹(22)으로의 커팅 깊이를 규제하는 압박 롤러(가이드 부재)(68)가 고착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62)은 일단부측에 소경부(62a)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소경부(62a)의 끝부에는 나사부(62b)가 형성된다. 기대 부재(64)는 단차가 있는 링 형상을 갖고 있고, 그 중앙부에는 회전축(62)의 소경부(62a)가 감합되는 구멍부(64a)가 형성된다. 이 기대 부재(64)의 외주부 일단측에는 나사부(64b)가 형성된다. 기대 부재(64)에는 나사부(64b)의 끝부에 단차부를 통해서 대경이 되는 제 1 원주부(64c)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제 1 원주부(64c)의 끝부에는 이것보다 대경으로 되는 제 2 원주부(64d)가 형성된다.
회전축(62)의 소경부(62a)가 기대 부재(64)의 구멍부(64a)에 감합된 상태에서 이 기대 부재(64)의 끝부로부터 바깥 쪽으로 노정하는 나사부(62b)에는 기대 정지 너트(70)가 나사 결합된다. 기대 부재(64)의 제 1 원주부(64c)에 회전 둥근 날(66)이 감합된 상태에서 이 회전 둥근 날(66)에는 대략 원판상의 날 압박판(72)이 압박됨과 아울러 상기 기대 부재(64)의 나사부(64b)에 압박 너트(74)가 나사 결합된다.
기대 부재(64)의 제 2 원주부(64d)는 압박 롤러(68)의 중앙부에 압입된다. 회전 둥근 날(66)은 양날 또는 편날을 구성하는 날끝(66a)을 갖고 있고, 보호 필름(30)의 박리 방향 후단부를 구성하는 하프 커팅 부위(34a)를 형성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커팅 기구(58)는 제 2 본체부(장치 본체)(78)를 구비함과 아울러 이 제 2 본체부(78)에는 고정축(80)이 소정 각도씩 위치 조정 가능하게 지지된다. 고정축(80)의 선단에는 회전 불능으로 고정된 커터, 예를 들면 고정 둥근 날(82)이 고착된다. 이 고정 둥근 날(82)은 양날 또는 편날을 구성하는 날끝(82a)을 갖는다. 고정축(80)의 선단측에는 베어링(84)을 통해서 압박 롤러(86)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고정 둥근 날(82)은 보호 필름(30)의 박리 방향 선단부를 구성하는 하프 커팅 부위(34b)를 형성한다.
제 2 커팅 기구(58)에서는 고정 둥근 날(82)에 의한 하프 커팅 부위(34b)의 형성시에 고정축(80)을 소정 각도씩 각도 조정해서 상기 고정 둥근 날(82)의 날끝(82a)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변경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면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래칫 기구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이 래칫 기구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11-17969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래칫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둥근 날(66) 및 고정 둥근 날(82)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장척상 감광성 웹(22)을 사이에 둔 컷 수용대(90)가 배치된다. 이 컷 수용대(90)는 금속 플레이트로 구성되어서 화살표(Z) 방향으로 연장된다(도 4 참조). 컷 수용대(90)의 상면에는 회전 둥근 날(66) 및 고정 둥근 날(82)의 화살표(Z)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에 걸쳐서 오목부(91a,91b)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91a,91b)에 수지제 수용부(92a,92b)가 수용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프 커팅 부위(34a,34b)는 적어도 보호 필름(30) 및 감광성 수지층(28)을 절단할 필요가 있고, 실제상 가요성 베이스 필 름(26)까지 커팅하도록 회전 둥근 날(66) 및 고정 둥근 날(82)의 커팅 깊이가 설정된다.
하프 커팅 부위(34a,34b)는 감광성 수지층(28)을 유리 기판(24)에 부착했을 때, 예를 들면 상기 유리 기판(24)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5㎜씩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가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유리 기판(24) 사이의 보호 필름(30)의 잔존 부분(B)은 후술하는 부착 기구(46)에 있어서 감광성 수지층(28)을 상기 유리 기판(24)에 프레임상으로 부착할 때의 마스크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라벨 접착 기구(40)는 유리 기판(24) 사이에 대응해서 보호 필름(30)의 잔존 부분(B)을 남기기 위해서 하프 커팅 부위(34a)측의 박리 부분(A)과 하프 커팅 부위(34b)측의 박리 부분(A)을 연결하는 접착 라벨(38)을 공급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 라벨(38)은 직사각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보호 필름(30)과 동일한 수지재로 형성된다. 접착 라벨(38)은 중앙부에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비접착부(미점착을 포함한다)(38a)를 가짐과 아울러 이 비접착부(38a)의 양측, 즉 상기 접착 라벨(38)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전방의 박리 부분(A)에 접착되는 제 1 접착부(38b)와, 후방의 박리 부분(A)에 접착되는 제 2 접착부(38c)를 갖는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벨 접착 기구(40)는 최대 7장의 접착 라벨(38)을 소정 간격씩 이간시켜서 부착 가능한 흡착 패드(94a~94g)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흡착 패드(94a~94g)에 의한 상기 접착 라벨(38)의 부착 위치에는 장척상 감광성 웹(22)을 하방으로부터 유지하기 위한 수용대(96)가 승강 가능하게 배치 된다.
리저버 기구(42)는 상류측의 장척상 감광성 웹(22)의 택트 반송과, 하류측의 상기 장척상 감광성 웹(22)의 연속 반송의 속도차를 흡수하기 위해서 화살표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댄서 롤러(100)를 구비한다.
리저버 기구(42)의 하류에 배치되는 박리 기구(44)는 장척상 감광성 웹(22)의 송출측의 텐션 변동을 차단하고, 라미네이트시의 텐션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석션 드럼(102)을 구비한다. 석션 드럼(102)의 근방에는 박리 롤러(103)가 배치됨과 아울러 이 박리 롤러(103)를 통해서 장척상 감광성 웹(22)으로부터 예각의 박리각으로 박리되는 보호 필름(30)은 잔존 부분(B)을 제외하고 보호 필름 권취부(104)에 권취된다.
박리 기구(44)의 하류측에는 장척상 감광성 웹(22)에 텐션을 부여할 수 있는 텐션 제어 기구(106)가 배치된다. 텐션 제어 기구(106)는 실린더(108)의 구동 작용하에 텐션 댄서(110)가 요동 변위함으로써 장척상 감광성 웹(22)의 텐션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텐션 제어 기구(106)는 필요에 따라서 사용하면 되고, 삭제할 수도 있다.
기판 공급 기구(45)는 유리 기판(24)을 끼우도록 배치되는 기판 가열부(예를 들면 히터)(114)와, 이 유리 기판(24)을 화살표(Y)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부(116)를 구비한다.
부착 기구(46)는 장척상 감광성 웹(22)과 유리 기판(24)을 끼워서 라미네이트하는 라미네이트 롤러쌍(120)을 구비한다. 라미네이트 롤러쌍(120)은 구동측 고 무 롤러(120a)와, 회전 가능하며 또한 상기 구동측 고무 롤러(120a)에 대하여 진퇴하는 종동측 고무 롤러(120b)를 갖는다.
구동측 고무 롤러(120a) 및 종동측 고무 롤러(120b)에는 백업 롤러(124a,124b)가 미끄럼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백업 롤러(124b)는 롤러 클램프부(126)를 통해서 종동측 고무 롤러(120b)에 압박된다.
유리 기판(24)은 부착 기구(46)로부터 화살표(Y)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송로(130)를 통해서 반송된다. 이 반송로(130)에는 필름 반송 롤러(132a,132b) 및 기판 반송 롤러(134)가 배치된다. 구동측 고무 롤러(120a) 및 종동측 고무 롤러(120b)와 기판 반송 롤러(134)의 간격은 유리 기판(24) 1장분의 길이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시스템(20)에서는 웹 송출 기구(32), 하프 커팅 장치(36), 라벨 접착 기구(40), 리저버 기구(42), 박리 기구(44) 및 텐션 제어 기구(106)가 부착 기구(46)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상기 웹 송출 기구(32)로부터 상기 텐션 제어 기구(106)까지를 상기 부착 기구(46)의 하방에 배치하여 장척상 감광성 웹(22)의 상하가 반대로 되어서 감광성 수지층(28)을 유리 기판(24)의 하측에 부착하는 구성이어도 되고, 또한 장척상 감광성 웹(22)의 반송로를 직선상으로 구성해도 된다.
제조 시스템(20) 내는 분리벽(140)을 통해서 제 1 클린룸(142a)과 제 2 클린룸(142b)으로 구분된다. 제 1 클린룸(142a)과 제 2 클린룸(142b)은 관통부(144)를 통해서 연통된다. 제조 시스템(20)은 제어부(146)를 통해서 제어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제조 시스템(20)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방법과의 관련에 의해 설명한다.
우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62)의 소경부(62a)를 기대 부재(64)의 구멍부(64a)에 감합시키고, 이 기대 부재(64)의 끝부로부터 외부에 노정하는 상기 회전축(62)의 나사부(62b)에 기대 정지 너트(70)가 나사 결합된다. 이것에 의해, 회전축(62)에 기대 부재(64)가 고착된다.
다음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대 부재(64)의 제 1 원주부(64c)에 회전 둥근 날(66)이 감합됨과 아울러 이 회전 둥근 날(66)에 날 압박판(72)이 압박된다. 이 상태에서, 기대 부재(64)의 나사부(64b)에는 압박 너트(74)가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 둥근 날(66)은 날 압박판(72) 및 압박 너트(74)를 통해서 기대 부재(64)에 고정된다.
그래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62)의 양끝에 형성되어 있는 센터 구멍(62c)에는 센터 지지축(150)이 맞물려 상기 회전축(62)이 회전된다. 이 상태에서, 숫돌(152)이 회전 둥근 날(66)의 날끝 연마를 행하고, 양날 또는 편날을 구성하는 날끝(66a)이 형성된다. 날끝(66a)의 연마 공정이 종료된 후에 기대 부재(64)의 제 2 원주부(64d)에는 압박 롤러(68)가 압입된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62)의 양끝이 센터 지지축(150)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이 회전축(62)이 회전된다. 이 때문에, 숫돌(154)을 통해서 압박 롤러(68)의 외주면(68a)에 연마 가공이 실시된다.
그때,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박 롤러(68)의 외주면(68a)으로부터 회전 둥근 날(66)의 날끝(66a)이 돌출되는 거리, 즉 날 돌출량(h)을 기준으로 해서 상기 외주면(68a)의 연마가 행하여진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날끝(66a)의 외경을 사전에 측정해 두고, 원하는 날 돌출량(h)으로부터 산출된 연마값을 구하고, 압박 롤러(68)의 외주면(68a)을 이 연마값에 의거하여 연마하면 된다.
날 돌출량(h)이 원하는 값이 될 때까지 외주면(68a)의 연마가 행하여진 후에 회전축(62)이 센터 지지축(150)으로부터 인출된다. 이 회전축(62)은 제 1 커팅 기구(56)를 구성하는 제 1 본체부(60)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커팅 기구(56)가 제조된다. 또한, 제 2 커팅 기구(58)에서는 상기 제 1 커팅 기구(56)와 같은 공정에 의거하여 제조해도 된다.
이어서, 제조 시스템(2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웹 송출 기구(32)에 부착되어 있는 감광성 웹롤(23)로부터 장척상 감광성 웹(22)이 송출된다. 장척상 감광성 웹(22)은 하프 커팅 장치(36)에 반송된다.
하프 커팅 장치(36)에서는, 도 4,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상 감광성 웹(22)이 화살표(X) 방향으로 송출되면서 이동 기구(52)가 이 장척상 감광성 웹(22)에 동기해서 화살표(Z)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장척상 감광성 웹(22)에 하프 커팅 가공이 행하여진다. 또한, 하프 커팅 가공은 장척상 감광성 웹(22)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행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기구(52)에는 제 1 커팅 기구(56) 및 제 2 커팅 기구(58)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 1 커팅 기구(56)의 회전 둥근 날(66)과 상기 제 2 커팅 기구(58)의 고정 둥근 날(82)은 일체로 화살표(Z)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때, 회전 둥근 날(66)은 장척상 감광성 웹(22)의 하프 커팅 부위(34a)에 날끝(66a)을 원하는 깊이까지 커팅한 상태에서 화살표(Z)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한다(동반 회전). 이 때문에, 장척상 감광성 웹(22)에는 보호 필름(30)으로부터 원하는 깊이로 커팅한 하프 커팅 부위(34a)가 형성된다(도 2 참조).
한편, 고정 둥근 날(82)은 장척상 감광성 웹(22)의 하프 커팅 부위(34b)에 원하는 깊이까지 커팅한 상태에서 회전 불능으로 고정된 채 화살표(Z)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장척상 감광성 웹(22)에는 보호 필름(30)으로부터 원하는 깊이로 커팅하고, 또한 하프 커팅 부위(34a)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간하는 하프 커팅 부위(34b)가 형성된다(도 2 참조).
이 경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우선 회전축(62)에 기대 부재(64)가 고정된 후에 이 기대 부재(64)에 회전 둥근 날(66)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62)을 양끝 센터 지지해서 회전시키면서 상기 회전 둥근 날(66)의 날끝(66a)의 연마 가공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 때문에, 회전 둥근 날(66)을 단독으로 연마 장치에 부착해서 날끝(66a)의 연마 처리를 행한 후에 이 회전 둥근 날(66)을 회전축(62)에 장착하는 방법에 비하여, 상기 회전 둥근 날(66)의 상기 기대 부재(64)에 대한 진원도 어긋남, 동심도 어긋남 및 감합 백래시 등의 발생을 가급적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둥근 날(66)의 연마 작업이 행하여진 후에 기대 부재(64)에 압박 롤러(68)가 장착된 상태에서 이 압박 롤러(68)의 외주면(68a)의 연마 처리가 실시되고 있다. 따라서, 압박 롤러(68) 자체의 제작 오차나 장착 오차에 의한 영향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박 롤러(68)의 외주면(68a)에는 회전 둥근 날(66)의 날 돌출량(h)(도 12 참조)을 기준으로 해서 연마 처리가 실시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간단한 공정으로 날 돌출량(h)을 고정밀도로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날 돌출량(h)의 균일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 때문에, 장척상 감광성 웹(22)의 하프 커팅 처리가 고정밀도로 또한 안정되게 행하여지고, 예를 들면 상기 장척상 감광성 웹(22)의 절단이나, 보호 필름(30)의 덜 잘림 등이 야기되는 일이 없어 생산 효율의 향상을 꾀함과 아울러 비용 절감이 수행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상 감광성 웹(22)은, 라벨 접착 기구(40)로 반송되어서 보호 필름(30)의 소정의 부착 부위가 수용대(96) 상에 배치된다. 라벨 접착 기구(40)에서는 소정 매수의 접착 라벨(38)이 흡착 패드(94a~94g)에 의해 흡착 유지된다. 그리고, 각 접착 라벨(38)은 보호 필름(30)의 잔존 부분(B)에 걸쳐서 전방의 박리 부분(A)과 후방의 박리 부분(A)에 일체로 접착된다(도 3 참조).
예를 들면, 7장의 접착 라벨(38)이 접착된 장척상 감광성 웹(22)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저버 기구(42)를 통해서 송출측의 텐션 변동을 막은 후에 박리 기구(44)에 연속적으로 반송된다. 박리 기구(44)에서는 장척상 감광성 웹(22)의 가요성 베이스 필름(26)이 석션 드럼(102)에 흡착 유지됨과 아울러, 보호 필름(30)이 잔존 부분(B)을 남기고 상기 장척상 감광성 웹(22)으로부터 박리된다. 이 보호 필름(30)은 박리 롤러(103)를 통해서 박리되고 보호 필름 권취부(104)에 권취된다(도 1 참조).
박리 기구(44)의 작용 하에 보호 필름(30)이 잔존 부분(B)을 남기고 가요성 베이스 필름(26)으로부터 박리된 후에 장척상 감광성 웹(22)은 텐션 제어 기구(106)에 의해 텐션 조정이 행하여진다.
이어서, 장척상 감광성 웹(22)은 부착 기구(46)에 반송됨으로써 유리 기판(24)에 대한 감광성 수지층(28)의 열전사 처리(라미네이트)가 행하여진다. 부착 기구(46)에서는 미리 구동측 고무 롤러(120a) 및 종동측 고무 롤러(120b)가 이간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측 고무 롤러(120a) 및 종동측 고무 롤러(120b) 사이의 소정 위치에 장척상 감광성 웹(22)의 하프 커팅 부위(34b)가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장척상 감광성 웹(22)의 반송이 일단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백업 롤러(124b) 및 종동측 고무 롤러(120b)가 상승하고, 구동측 고무 롤러(120a) 및 종동측 고무 롤러(120b) 사이에는 유리 기판(24)이 소정의 프레스 압력으로 끼워진다. 또한, 구동측 고무 롤러(120a)가 회전함으로써 유리 기판(24)에는 감광성 수지층(28)이 가열 용융에 의해 열전사(라미네이트)된다.
또한, 라미네이트 조건으로서는 속도가 1.0m/min~10.0m/min, 구동측 고무 롤러(120a) 및 종동측 고무 롤러(120b)의 온도가 80℃~150℃, 상기 구동측 고무 롤러(120a) 및 상기 종동측 고무 롤러(120b)의 고무 경도가 40도~90도, 상기 구동측 고무 롤러(120a) 및 상기 종동측 고무 롤러(120b)의 프레스압(선압)이 50N/㎝~400N/㎝이다.
유리 기판(24)에 대하여 장척상 감광성 웹(22)의 1장분의 라미네이트가 종료되면 구동측 고무 롤러(120a) 및 종동측 고무 롤러(120b)의 회전이 정지된다. 한편,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상 감광성 웹(22)이 라미네이트된 유리 기판(24)인 감광성 적층체(170)의 선단부는 기판 반송 롤러(134)에 의해 클램핑된다. 이때, 구동측 고무 롤러(120a) 및 종동측 고무 롤러(120b) 사이의 소정 위치에는 하프 커팅 부위(34a)가 배치된다.
그리고, 종동측 고무 롤러(120b)는 구동측 고무 롤러(120a)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퇴피해서 클램핑이 해제된다. 이 때문에, 백업 롤러(124b) 및 종동측 고무 롤러(120b)가 하강해서 클램핑의 해제가 행하여진다.
다음에, 기판 반송 롤러(134)의 회전이 저속으로 다시 개시된다. 감광성 적층체(170)는 화살표(Y) 방향으로 보호 필름(30)의 잔존 부분(B)의 폭(M)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반송되고, 다음 하프 커팅 부위(34b)가 구동측 고무 롤러(120a)의 하방 부근의 소정 위치로 반송된 후에 구동측 고무 롤러(120a)의 회전이 정지된다.
한편, 상기 상태에 있어서, 기판 공급 기구(45)를 통해서 다음의 유리 기판(24)이 부착 위치를 향해서 반송된다. 이상의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감광성 적층체(170)가 연속적으로 제조된다.
부착 기구(46)에 의해 라미네이트된 감광성 적층체(170)는 절단 기구(48)에 의해 유리 기판(24) 사이의 장척상 감광성 웹(22)이 절단됨으로써 분리된다. 분리된 감광성 적층체(170)에는 가요성 베이스 필름(26)이 장착되어 있고, 이 가요성 베이스 필름(26)이 유리 기판(24) 사이의 보호 필름(30)과 함께 박리된 후에 다음 처리 공정으로 공급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커팅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13~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62)에 대응하는 가공용 기준 샤프트(180)가 준비된다. 그리고, 가공용 기준 샤프트(180)의 소경부(180a)를 기대 부재(64)의 구멍부(64a)에 감합시키고, 이 기대 부재(64)의 끝부로부터 외부에 노정하는 상기 가공용 기준 샤프트(180)의 나사부(180b)에 기대 정지 너트(70)가 나사 결합한다. 이것에 의해, 가공용 기준 샤프트(180)에 기대 부재(64)가 고착된다.
또한, 회전 둥근 날(66)이 날 압박판(72) 및 압박 너트(74)를 통해서 기대 부재(64)에 고정된 후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공용 기준 샤프트(180)의 양끝에 형성되어 있는 센터 구멍(180c)에는 센터 지지축(150)이 맞물리고, 상기 가공용 기준 샤프트(180)가 회전된다. 이 상태에서 숫돌(152)이 회전 둥근 날(66)의 날끝 연마를 행하고, 양날 또는 편날을 구성하는 날끝(66a)이 형성된다. 날끝(66a)의 연마 공정이 종료된 후에 기대 부재(64)의 제 2 원주부(64d)에는 압박 롤러(68)가 압입된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공용 기준 샤프트(180)의 양끝이 센터 지지축(150)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이 가공용 기준 샤프트(180)가 회전된다. 이 때문에, 숫돌(154)을 통해서 압박 롤러(68)의 외주면(68a)에 연마 가공이 실시된다.
압박 롤러(68)의 연마가 종료되면, 기대 부재(64)는 회전 둥근 날(66) 및 상 기 압박 롤러(68)가 장착된 상태에서 가공용 기준 샤프트(180)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기대 부재(64)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62)의 소경부(62a)에 대하여 기대 정지 너트(70)에 고정됨으로써 제 1 커팅 기구(56)의 제 1 본체부(6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둥근 날(66) 및 압박 롤러(68)의 가공시에 회전축(62) 대신에 가공용 기준 샤프트(180)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공물 전체의 경량화가 꾀해짐과 아울러 취급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팅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적용되는 감광성 적층체의 제조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상기 제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장척상 감광성 웹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장척상 감광성 웹에 접착 라벨이 접착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상기 커팅 장치의 개략 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상기 커팅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커팅 장치를 구성하는 제 1 커팅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커팅 장치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8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상기 제 1 커팅 기구의 날 돌출량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커팅 장치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필름 절단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Claims (4)

  1. 둥근 날(66)과, 상기 둥근 날(66)의 피가공물로의 커팅 깊이를 규제하는 가이드 부재(68)와, 상기 둥근 날(66) 및 상기 가이드 부재(68)가 부착되는 기대 부재(64)를 구비하는 커팅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기대 부재(64)에 상기 둥근 날(66)을 장착한 후에 상기 둥근 날(66)의 가공을 행하는 공정; 및
    상기 기대 부재(64)에 상기 가이드 부재(68)를 장착한 후에 상기 둥근 날(66)의 날 돌출량을 기준으로 해서 상기 가이드 부재(68) 외주부(68a)의 가공을 행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장치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 부재(64)는 샤프트(62)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부재(68)의 외주부(68a)에 가공을 행한 후에 상기 기대 부재(64)를 장치 본체(60)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장치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 부재(64)는 가공용 기준 샤프트(18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68)의 외주부(68a)에 가공을 행한 후에 상기 기대 부재(64)를 상기 가공용 기준 샤프트(180)로부터 분리하고, 또한 상기 기대 부재(64)를 장치 본체(60)의 샤프트(62)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장치의 제조 방법.
  4. 제 1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은 적어도 제 1 수지층(28) 상에 제 2 수지층(30)이 적층된 적층체 필름(22)이고,
    상기 둥근 날(66)은 상기 제 2 수지층(30)측으로부터 적층 방향의 일부를 남기고서 하프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80061595A 2007-07-12 2008-06-27 커팅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900067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83293A JP2009018389A (ja) 2007-07-12 2007-07-12 カッタ装置の製造方法
JPJP-P-2007-00183293 2007-07-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36A true KR20090006736A (ko) 2009-01-15

Family

ID=40244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595A KR20090006736A (ko) 2007-07-12 2008-06-27 커팅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9018389A (ko)
KR (1) KR20090006736A (ko)
CN (1) CN101342708B (ko)
TW (1) TW20090916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6743A (ja) * 2013-05-21 2014-12-08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カッタユニット、切断装置、切断方法及びホルダー
CN113815026A (zh) * 2021-10-18 2021-12-21 惠州市世博鑫科技有限公司 一种防碎边线路板切割打磨一体机
WO2023068095A1 (ja) * 2021-10-19 2023-04-27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印刷装置および切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2839A (ja) * 1999-05-17 2000-11-30 Sony Corp 信号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JP3687607B2 (ja) * 2001-12-25 2005-08-24 松下電工株式会社 プリプレグの切断方法
EP1488896B1 (en) * 2003-06-19 2006-10-04 Fuji Photo Film Co., Ltd. Coated sheet cutting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18389A (ja) 2009-01-29
CN101342708A (zh) 2009-01-14
TW200909162A (en) 2009-03-01
CN101342708B (zh)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4043B2 (ja) 接合膜貼付装置
JP2007260865A (ja) 積層体フイルムのハーフカット方法及び装置
JP2006334715A (ja) 積層体フイルムのハーフカット方法及び装置
KR20080088433A (ko) 장척상 웹의 부착 방법
TW200831291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hotosensitive laminated body
TW200903178A (en) Film feeding apparatus and film feeding method
TW200848346A (en) Apparatus for cutting an adhesive film, equipment for sticking an adhesive film having the same, method for cutting an adhesive film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sticking an adhesive film using the same
JP2007084200A (ja) 積層体の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JP4674142B2 (ja) 感光性積層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20090006736A (ko) 커팅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7083666A (ja) ウエブの貼り付け方法
KR20090010905A (ko) 적층체 필름의 부착 방법
JP2007320678A (ja) 外層体の剥離方法及び剥離装置
KR20080038030A (ko) 감광성 웹의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JP4674145B2 (ja) 接着ラベル及び接着ラベルロール
JP2008238762A (ja) 感光性ウエブの貼り付け装置及び貼り付け方法
JP2008132776A (ja) 感光性積層体の製造装置
TW201247412A (en) Lamination apparatus
JP3546876B2 (ja) ラミネータ
JP4657069B2 (ja) 接着ラベル貼り付け装置及び方法
JP2008105361A (ja) 感光性積層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8110480A (ja) 感光性積層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9172965A (ja) 感光性ウエブの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JP2008297028A (ja) 感光性ウエブの貼り付け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KR20090032952A (ko) 감광성 적층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