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318U -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fpd용 평판유리 반송용 디버팅장치 - Google Patents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fpd용 평판유리 반송용 디버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318U
KR20090005318U KR2020070019163U KR20070019163U KR20090005318U KR 20090005318 U KR20090005318 U KR 20090005318U KR 2020070019163 U KR2020070019163 U KR 2020070019163U KR 20070019163 U KR20070019163 U KR 20070019163U KR 20090005318 U KR20090005318 U KR 200900053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upporting
support frame
til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빅
Priority to KR2020070019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318U/ko
Publication of KR200900053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3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58Conveyor systems, e.g. rollers or bear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물품을 X축에서 Z축방향으로 방향을 전환시켜 이송시킬 때, X축방향의 롤러와 Z축방향의 롤러를 승하강시키므로 X축에서 Z축방향, 또는 Z축에서 X축방향으로 이송방향을 전환시키는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Z축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롤러와, 롤러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X축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롤러를 포함하는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에서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의 타측을 지지하되, 상하방향으로 축첩되는 틸트부와;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의 타측 하면에서 지지하되, 틸트부의 축첩에 따라 하측방향으로 회전되는 서포팅부와; 힌지고정되어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이 일측 하면을 지지하는 힌지부를 포함한다.
디버팅장치, 평판유리이송장치, 이송컨베이어

Description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FPD용 평판유리 반송용 디버팅장치{DIVERTING APPARATUS OF TILTING CONVEYOR FOR CARRYING FPD FLAT GLASSES}
본 고안은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을, 특히 FPD용 평판유리를 X축에서 Z축방향으로 방향을 전환시켜 이송시킬 때, X축방향의 롤러와 Z축방향의 롤러를 승하강시키므로 X축에서 Z축방향, 또는 Z축에서 X축방향으로 이송방향을 전환시키는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FPD용 평판유리 반송용 디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이송컨베이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이송컨베이어는 도면번호 1로서 표시된 X축방향의 이송컨베이어(1)와, 도면번호 2로서 표시된 Z축방향의 이송컨버이어(3) 사이에서 X축방향의 이송컨베이어(1)에서 이송된 물건을 Z축방향의 이송컨베이어(3)에 전달하기 위한 디버팅장치(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버팅장치(2)는 상기 X축방향 이송컨베이어(1)로부터 이송되는 물품을 Z축방향의 이송컨베이어(3)에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X축 이송컨베이어(1)로부터 물건을 전달받을 때는 X축방향의 이송롤러(21)를 구동시켜서 상기 X축 이송컨 베이어(1)로부터 물건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기 디버팅장치(2)는 상기 Z축방향의 이송컨베이어(3)에 물건을 이송하기 위해서, 상기 X축 롤러(21)를 정지시키고, 상기 Z축롤러(22)를 구동시켜 상기 X축 방향의 이송컨베이어(1)로부터 전달되는 물건을 상기 Z축방향의 이송컨베이어(3)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디버팅장치에서 종래의 X축과 Z축방향으로의 방향전환은 하기의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a는 종래의 디버팅장치에서 x축방향의 이동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b는 종래의 디버팅장치에서 Z축방향의 이동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먼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종래의 디버팅장치는 X축방향으로 회전되는 X축롤러(21)와, Z축방향으로 회전되는 Z축롤러(22)와, 상기 Z축롤러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장치(23)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버팅장치(2)는 상기 X축 이송컨베이어(1)로부터 물건이 이동되면, 상기 X축롤러(21)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디버팅장치는 상기 X축 이송컨베이어(1)로부터 이송된 물건이 일정지점까지 이송되면, 상기 X축롤러(21)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리프트장치를 구동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Z축롤러(22)는 상기 리프트장치(23)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X축롤러(21)의 상면에서 이동되는 물건, 예를들면, 평판유리(A)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버팅장치(2)의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Z축 롤러(22)가 일정높이 이상 승강되므로, 상기 X축롤러의 상면과 상기 평판유리(A)가 이격되어 상기 X축 롤러(21)의 상면에 위치한 평판유리(A)를 상기 Z축 롤러(22)가 지지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디버팅 장치(2)의 제어부는 상기 Z축 롤러(22)의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므로 상기 평판유리(A)는 Z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Z축 이송 컨베이어(3) 위로 옮겨진다. 그러므로 상기 평판유리(A)는 Z축 이송컨베이어(3)에 의해 목적지까지 운송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디버팅장치는 구동원 및 안내면장치가 복잡하여 빈번한 고장이 발생하고, 구동체의 구동순서 및 거리에 차이가 없도록 조정이 어려워서 고난이도의 셋팅작업을 필요로 하므로 제조단가가 매우 고가이고, 또한 고장발생시에 수리가 불편하여 유지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동원 및 안내장치가 매우 간단하여 고장발생시 수리가 간단하고 진동등에 의한 이송물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송컨베이어의 틸트디버팅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Z축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롤러와, 롤러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X축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롤러를 포함하는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에 서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의 타측을 지지하되, 상하방향으로 축첩되는 틸트부와,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의 타측 하면에서 지지하되, 틸트부의 축첩에 따라 하측방향으로 회전되는 서포팅부와; 힌지고정되어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이 일측 하면을 지지하는 힌지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상기 틸트부에 관한 것으로, 상기 틸트부는 내측에 빈공간이 형성되는 틸트수용바와, 상측에서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측이 상기 틸트수용바의 내측으로 승하강되는 틸트삽입바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상기 서포팅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서포팅부는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의 하측에 고정되는 서포팅연결바와, 하측의 제1서포팅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서포팅바와, 상기 서포팅연결바 하측과 상기 서포팅바의 상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제2서포팅힌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는, 전면과 후면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롤러부를 지지하는 중심프레임과, 상기 중심프레임의 하측에서 상기 서포팅부와 틸트부의 하측끝단이 고정되는 하부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5실시예는, 제4실시예의 상기 롤러부에 관한 것으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1롤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롤러축과, 상기 제1롤러축을 상기 중심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1롤러지지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의 틸트 디버팅장치는 이송물건의 이송방향으로 변환시킬때, 이전방향의 회전롤러구조를 하향 경사지도록 제어하므로 구동원 및 안내면이 대폭 단순화되고, 고부가 요소품 대신 저렴한 비용의 부품을 사용함에 따라 구성의 단순하고 가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어 별도의 셋팅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제작 및 조립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의 틸트디버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송되는 물품의 이송방향을 변환시켜 전달하는 롤러부(200)와, 상기 롤러부(200)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롤러부(200)의 하방에서 하중을 분산시키고 지지하는 서포팅부(500)와, 상기 롤러부(200)의 일측이 회전가능하도록 힌지(410)구조를 갖고 상기 롤러부(200)를 지지하는 힌지부(400)와, 상기 롤러부(200)의 타측을 상하로 승하강시켜 상기 롤러부(200)가 일정경사를 갖는 경사면이 되도록 하는 틸트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전면프레임(111)과 후면프레임(112), 상부프레임(117) 및 하부프레임(113)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프레임(111)과 후면프레임(112)의 중간높이에서 상호 연결되는 중심프레임(114)과 상기 중심프레임(114)의 중간위치에서 후술되 는 서포팅부(500)와 틸트부(300)를 지지하고, 상기 롤러부(200)를 지지하는 하기의 롤러지지프레임(213)을 지지하도록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115)과, 상기 하부프레임(113)의 하측에서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고정대(116)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부(200)는 X축방향의 제2롤러(211)와 Z축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롤러(201)를 포함하며, 상기 X축 이송 컨베이어(1)로부터 물건, 예를들면, 평판유리(A)가 이송되면, 상기 제1롤러(201)가 회전되어 상기 평판유리(A)를 이송시킨다. 그리고 상기 평판유리(A)가 Z축방향의 이송컨베이어(3)의 전송위치에 도달되면, 상기 제1롤러(201)가 회전되어 상기 Z축 이송 컨베이어(3)로 상기 평판유리(A)를 이송시킨다.
여기서 상기 롤러부(200)는 상기 제1롤러(201)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롤러축(202)과, 상기 제1롤러축(202)을 상기 중심프레임(114)에 고정시키는 제1롤러지지대(203)와, 상기 제2롤러(211)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롤러축(212)과 상기 제2롤러(211)를 지지하는 롤러지지프레임(213)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롤러(201)는 상기 볼트와 너트로서 구성되는 제1롤러지지대(203)에 의해 상기 중심프레임(114)에 고정된 제1롤러축(202)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Z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측에 올려지는 평판유리(A)를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제1롤러(201)는 상기 제2롤러(211)가 구동시에는 상기 제2롤러(211)보다 하측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롤러(211)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롤러축(212)에 의해 X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의 상면에 배열된다. 상기 제1롤 러(201)가 구동시에는 후술되는 상기 틸트부(300)에 의해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의 타측이 하강되므로 상기 제1롤러(201) 보다 낮은 높이로 하강 된다.
상기 힌지부(400)는 일측이 상기 후면프레임(112)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410)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의 일측을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의 타측이 회전시에 상기 후면프레임(112)에 고정된 힌지가 회전되므로 상기 하향경사되는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의 일측을 지지한다.
상기 힌지부(400)는 이를 위해 상기 후면프레임(112)에 힌지고정되는 힌지(410)(도 5참조)와 상기 힌지(410)와 연결되어 그 끝단이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의 하면에 고정되는 힌지바(4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의 타측이 상하로 승하강됨에 따라서 회전되어 상기 롤러부(200)의 일측을 지지한다.
상기 서포팅부(500)는 정면에 쌍으로서 구성되며, 하측이 하부프레임(113)에 고정되고, 상측이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에 고정되어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의 일측이 힌지(410) 고정되고 타측이 하강될시에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의 타측를 지지하여 하중을 분산시킨다. 이는 도 6a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에 따른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에서 서포팅부를 확대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서포팅부(500)는 상기 하측이 상기 하부프레임(113)에 제1서포팅힌지(510)와, 일측끝단이 상기 제1서포팅힌지(510)에 힌 지(410)고정되는 서포팅바(520)와, 상기 서포팅바(520)의 타측끝단이 힌지(410)고정되는 제2서포팅힌지(530)와, 상기 제2서포팅힌지(530)를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에 고정시키는 서포팅연결바(540)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팅연결바(540)는 상기 제2서포팅힌지(5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을 지지하여 그 하중을 하측으로 전달하고, 상기 서포팅바(520)는 상기 제1서포팅힌지(510)와 제2서포팅힌지(530)와 각각 힌지(410)고정되므로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의 타측이 하향되면, 일측과 타측이 회전되므로 상기 서포팅연결바(540)를 지지한다.
상기 틸트부(300)는 하측이 상기 하부프레임(113)에 고정되고, 상측이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에 고정되어 그 길이가 축첩되므로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의 타측을 상하로 하강 또는 승강시킨다. 즉, 상기 틸트부(300)는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을 하측으로 하향시킬 때는 그 길이가 짧아지도록 축첩되고, 하향된 롤러지지프레임(213)의 타측을 승강시킬때는 그 길이가 연장되므로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의 타측을 상하로 승하강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틸트부(300)는 상기 하부프레임(113)에 고정되는 틸트하부고정수단(310)과, 하측이 상기 틸트하부고정수단(310)에 연결되고 내측에 빈공간을 갖는 틸트수용바(330)와, 상기 틸트수용바(3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틸트삽입바(320)와, 상기 틸트삽입바(320)의 상측에서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에 고정되는 틸트삽입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틸트하부고정수단(310)은,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프레임(113)의 상면에서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여 상기 틸트수용바(330)의 하측끝단을 고정시킨다.
상기 틸트수용바(330)는 내측에 빈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틸트삽입바(320)가 상기 빈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틸트삽입바(320)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구동에 따른 구동력으로 상기 틸트수용바(330)의 빈공간을 상하로 승하강 하므로서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을 승하강시킨다.
상기 틸트상부고정수단(340)은, 도 7b 참조,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의 하면에서 상기 틸트삽입바(320)의 상측을 고정시키며, 상기 틸트삽입바(320)의 축첩에 따라서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에 지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포함하며, 그 작용설명은 하기의 도 8과 도 9를 이용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의 X축방향의 이동실시예를 도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에서 Z축방향의 이동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X축 이송컨베이어벨트로부터 평판유리(A)가 이송되면, 상기 디버팅장치의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제2롤러(211)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2롤러(211)가 회전되므로 상기 X축 이송 컨베이어(1)로부터 이송된 평판유리(A)가 X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롤러(201)는 상기 제1롤러지지대(203)에 의해 상기 중심프레임(114)에 고정되어 제2롤러(211) 보다 아래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평판유리(A)가 일정지점에 도달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틸트삽 입바(320)를 축첩하도록 모터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틸트삽입바(320)는 상기 틸트수용바(330)의 내측으로 일정깊이 삽입되므로 상기 제2롤러(211)를 지지하는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의 타측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된다. 따라서 상기 제2롤러(211) 및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은 일측은 원래의 높이를 유지하되, 타측이 하향되므로 전체적으로 일정경사면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힌지바(420)는 상기 힌지(410)의 회전에 의해 그 타측이 상기 틸트부(3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의 타측이 하강됨과 함께 하측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의 일측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서포팅부(500)는 상기 틸트부(300)의 축첩에 의해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의 타측이 하향되면, 상기 제1서포팅힌지(510)와 제2서포팅힌지(530)에 의해 상기 서포팅바(520)와 서포팅연결바(540)가 회전되면서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의 타측을 지지하므로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의 하측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롤러지지프레임(213)의 타측이 하향경사되므로, 상기 제2롤러(211)는 상기 제1롤러(201)보다 낮은 위치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롤러(211)의 상면에 위치된 평판유리(A)는 자연스럽게 상기 제1롤러(201)의 상면에 안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서 상기 제1롤러(201)의 구동모터를 제어하면, 상기 제1롤러축(202)에 의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롤러(201)가 Z축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롤러(201)의 상면에 위치된 평판유리(A) 는 Z축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Z축 이송컨베이어의 상면으로 이송된다.
즉, 본 고안은 Z축방향의 제1롤러(201)를 승하강시키지 않고 고정시키면서, X축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롤러(211)를 지지하는 롤러지지프레임(213)의 타측을 하향경사시키므로 상기 제1롤러(201)와 제2롤러(211)의 위치를 변경하므로서 상기 제2롤러(211)의 상면에 위치한 평판유리(A)를 상기 제1롤러(201)의 상면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므로 X축방향으로 이송되는 평판유리(A)가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의 일측 지점까지 이송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제1롤러(201)의 상면으로 이이동되므로 종래와 같이 정밀한 롤러의 위치나 구동순서를 셋팅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일반적인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a는 종래의 디버팅장치에서 x축방향의 이동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b는 종래의 디버팅장치에서 Z축방향의 이동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에서 힌지부를 확대도시한 정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에 따른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에서 서포팅부를 확대도시한 정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에서 틸트를 확대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의 X축방향의 이동실시예를 도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에서 Z축방향의 이동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부호의 설명*
100 : 프레임 111 : 전면프레임
112 : 후면프레임 113 : 하부프레임
114 : 중심프레임 115 : 지지프레임
116 : 프레임고정대 117 : 상부프레임
200 : 롤러부 201 : 제1롤러
202 : 제1롤러축 203 : 제1롤러지지대
211 : 제2롤러 212 : 제2롤러축
213 : 롤러지지프레임 300 : 틸트부
310 : 틸트하부고정수단 320 : 틸트삽입바
30 : 틸트수용바 340 : 틸트상부고정수단
400 : 힌지부 410 : 힌지
420 : 힌지바 500 : 서포팅부
510 : 제1서포팅힌지 520 : 서포팅바
530 : 제2서포팅힌지 540 : 서포팅연결바

Claims (5)

  1. Z축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롤러와, 롤러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X축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롤러를 포함하는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에서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의 타측을 지지하되, 상하방향으로 축첩되는 틸트부와;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의 타측 하면에서 지지하되, 틸트부의 축첩에 따라 하측방향으로 회전되는 서포팅부와;
    힌지고정되어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이 일측 하면을 지지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부는
    내측에 빈공간이 형성되는 틸트수용바와, 상측에서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측이 상기 틸트수용바의 내측으로 승하강되는 틸트삽입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부는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의 하측에 고정되는 서포팅연결바와,
    하측의 제1서포팅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서포팅바와,
    상기 서포팅연결바 하측과 상기 서포팅바의 상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키 는 제2서포팅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로 하는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는
    전면과 후면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롤러부를 지지하는 중심프레임과, 상기 중심프레임의 하측에서 상기 서포팅부와 틸트부의 하측끝단이 고정되는 하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1롤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롤러축과, 상기 제1롤러축을 상기 중심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1롤러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디버팅장치.
KR2020070019163U 2007-11-29 2007-11-29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fpd용 평판유리 반송용 디버팅장치 KR200900053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163U KR20090005318U (ko) 2007-11-29 2007-11-29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fpd용 평판유리 반송용 디버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163U KR20090005318U (ko) 2007-11-29 2007-11-29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fpd용 평판유리 반송용 디버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318U true KR20090005318U (ko) 2009-06-03

Family

ID=4129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163U KR20090005318U (ko) 2007-11-29 2007-11-29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fpd용 평판유리 반송용 디버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531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411B1 (ko) * 2012-08-14 2013-01-22 (주)우신시스템 워크 이송용 스키드 투입 및 회수 장치
KR200484811Y1 (ko) 2016-12-28 2017-10-31 (주) 제이디피이에스 방향전환 컨베이어
KR102404074B1 (ko) * 2022-02-07 2022-05-30 김정남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411B1 (ko) * 2012-08-14 2013-01-22 (주)우신시스템 워크 이송용 스키드 투입 및 회수 장치
KR200484811Y1 (ko) 2016-12-28 2017-10-31 (주) 제이디피이에스 방향전환 컨베이어
KR102404074B1 (ko) * 2022-02-07 2022-05-30 김정남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0155C (zh) 用于传送面板的装置
CN109132552B (zh) 用于玻璃基板的传送过渡装置
JP5811553B2 (ja) 工作機械における機械加工のための棒材ローディング装置
JP6140468B2 (ja) 被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JP5247606B2 (ja) 移載装置
KR20100081153A (ko) 이송 시스템
JP3686975B2 (ja) ローラコンベアにおける搬送方向切り換え装置
KR20090005318U (ko)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fpd용 평판유리 반송용 디버팅장치
JP5648865B2 (ja) 天井搬送車及び物品搬送設備
JP3163138U (ja) 昇降機能付搬送装置
CN211687361U (zh) 一种用于陶瓷砖自动转弯的传输结构
CN101339316A (zh) 基板输送装置
KR100560959B1 (ko) 기판이송축의 처짐방지용 마그네트 베어링이 구비된기판반송장치
JP2006005362A (ja) 基板搬送装置
KR20010086272A (ko) 트레이식 물품반송장치
KR20210137262A (ko) 타워 리프트
JP6669457B2 (ja) 移送システムおよび物品移送手段
CN111547508B (zh) 基板搬运系统及基板搬运系统的控制方法
JP2006264966A (ja) リフト装置
JP7473412B2 (ja) 曲面ガラスの搬送コンベア構造
KR20140082879A (ko) 대면적 기판의 경사 공급장치
CN214692126U (zh) 整体旋转的两段组合式落板装置
JP5494563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
KR100581172B1 (ko) 수평 이송장치
CN220866443U (zh) 接驳输送装置和提升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