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074B1 -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 - Google Patents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074B1
KR102404074B1 KR1020220015215A KR20220015215A KR102404074B1 KR 102404074 B1 KR102404074 B1 KR 102404074B1 KR 1020220015215 A KR1020220015215 A KR 1020220015215A KR 20220015215 A KR20220015215 A KR 20220015215A KR 102404074 B1 KR102404074 B1 KR 102404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crank
coupled
plat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남
Original Assignee
김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남 filed Critical 김정남
Priority to KR1020220015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18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a single stationary weighing mechanism
    • B07C5/20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a single stationary weighing mechanism for separating articles of less than a predetermined weight from those of more than that weight

Landscapes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는 크랭크에 구비된 크랭크댐퍼를 이용하여 컨베이이어가 승강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에어실린더의 속도를 보다 빠르게 구동함으로써, 고속에서도 안정되게 컨베이어를 틸팅시킬 수 있어 물품을 보다 빠르게 선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Conveyor-type High-speed Sel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이어의 일측이 상하로 승강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로드와 로드엔드베어링과, 상기 로드엔드베어링과 실린더 사이에 크랭크가 구비됨으로써, 과도한 승하강을 방지하고 고속으로 물품을 선별할 수 있는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물품을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며, 선별장치는 이송중인 물품의 부피나 중량을 기준으로 불량품을 판별하여 구분하거나 다음 공정단계로 이송시킴으로써 다양한 물품을 이동시키며 분류하게 된다.
예를들어, 포장박스에 수납된 물품을 컨베이어 벨트상에 탑재하여 이송시키며, 해당 포장박스에 정량의 물품이 수납되었는지를 중량을 기준으로 판별하여 기준에 부합되지 않은 물품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포장 박스의 중량 측정 방법으로는 기계식 방식과 전자식 방식이 있으며, 기계식 방식은 시소의 원리를 이용하여 중량을 측정하여 선별하고, 전자식 방식은 센서를 이용하여 포장박스의 중량을 측정하게 된다. 예컨데 컨베이어 상에 별도의 중량 측정용 컨베이어에서 포장 박스의 중량을 측정하여 정상 유무를 후단의 선별기에 신호를 전달하여 선별하게 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2282228호(등록일자 2021.07.21.)에는 컨베이어용 중량 선별 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은 복수의 물품이 수납되어 포장된 포장 박스가 양쪽이 컨베이어 벨트 밖으로 돌출된 형태로 탑재되어 이송되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용 중량 선별 장치로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포장 박스를 정지시키는 측정 스토퍼; 상기 측정 스토퍼에 정지된 포장 박스를 이동 중인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리프팅시켜 상기 포장 박스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기; 및 상기 중량 측정기의 중량 측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포장 박스를 선별하는 선별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 측정기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상기 포장 박스를 리프팅시켜 중량을 측정할 때, 상기 컨베이어벨트 상의 다른 포장 박스를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이동 중인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측정 스토퍼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포장 박스의 양쪽 하단부로 돌출되어 상기 포장 박스를 정지시키고,
상기 중량 측정기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 밖으로 돌출된 상기 포장 박스의 양쪽 하부를 밀어올려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리프팅시키고, 상기 중량 측정기는 상기 측정 스토퍼에 정지된 포장 박스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리프팅시킬 때, 상기 포장 박스를 상기 측정 스토퍼 위로 리프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상기한 종래기술은 측정 스토퍼로 포장박스를 정지시킨 후 리프트로 리프팅 시키는 공정을 거쳐 사용하게 됨으로써, 연속적으로 인입되는 포장박스를 선별하는데 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해진 속도로 구동되는 컨베이어가 고속으로 틸팅되며 물품을 선별할 수 있도록, 에어실린더의 동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크랭크를 통해 전달되고, 물품의 크기에 따라 컨베이어의 틸팅각도가 조절되도록 크랭크와 연결된 로드바가 보스커넥터로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물품을 편리하게 선별할 수 있는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는 지면에서 직립된 지면지지부와, 물품이 이송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지면지지부와 컨베이어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컨베이어가 정해진 각도로 틸팅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승강동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동력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중앙부에 동력전달공이 통공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에 결합된 보결합단과, 상기 보결합단의 양측부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브라켓고정단이 구비된 하부고정브라켓과; 상기 보결합단의 상하부로 연장되도록 상기 보결합단의 동력전달공 양측부에 결합된 한 쌍의 크랭크연결대와, 상기 크랭크연결대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샤프트와, 상기 크랭크연결대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샤프트와, 상기 하부샤프트에 중앙 축심이 삽입되어 회동되는 한 쌍의 크랭크회전판과, 상기 크랭크회전판의 하부 내측 사이에 요입되어 상기 크랭크회전판와 일체로 결합된 크랭크댐퍼가 구비된 크랭크와; 상기 상부샤프트와 상기 크랭크회전판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회전판이 정해진 각도로 회동되도록 왕복운동하는 에어실린더와; 상기 크랭크회전판의 외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회전판의 회전동력을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에 전달하는 로드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베이어는 물품이 안착되어 이송되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회동되도록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양측 내단부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한 쌍의 롤러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 하면을 지지토록 정해진거리로 이격된 벨트지지판과, 상기 롤러의 축심 양측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벨트지지판의 전후방 양측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롤러결합단과,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상기 벨트지지판의 양측부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지지판연장단이 구비된 벨트지지대와; 상기 벨트지지대의 지지판연장단 내측 사이에 연결된 승강브라켓과; 상기 롤러 중 후방에 설치된 후방롤러의 양측부에 결합되어 하부로 연장된 한 쌍의 고정측부판과, 상기 고정측부판의 하부 사이에 결합된 한 쌍의 브라켓연결보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브라켓의 하면 일측에는 하부로 연장된 승강동력전달편이 구비되고,
상기 로드바는 양측단부에 상기 승강동력전달편과 결합되는 상부엔드베어링과, 상기 크랭크회전판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하부엔드베어링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엔드베어링은 상기 컨베이어의 틸팅각 조절이 용이토록 상기 크랭크회전판과 결합시 보스커넥터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면지지부는 회전시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구가 하단부에 결합된 다수개의 직립기둥과, 상기 직립기둥의 사이에 연결된 다수개의 수평보와, 상기 수평보의 사이에 연결된 다수개의 보조보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보에는 상기 브라켓고정단의 전후방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고정편이 끼움되어 결합되도록 고정편고정공이 통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결합단에는 상기 크랭크연결대의 끼움시 결합이 용이토록 상기 동력전달공과 인접하여 내측으로 요입된 연결대삽입홈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대삽입홈의 후방 내측부에는 상기 크랭크연결대의 내측부가 지지되도록 전방으로 연장된 연결대지지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실린더와 로드바는 상기 크랭크회전판과 결합시 서로 간섭됨이 방지되도록 일측 크랭크회전판의 전방 내측부와 후방 외측부에 각각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컨베이어가 정해진 각도로 틸팅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승강동력부의 에어실린더의 동력을 댐퍼역할을 수행하는 크랭크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고속에서 안정적으로 동력이 전달하여 물품을 선별할 수 있고,
둘째, 크랭크회전판의 회전동력을 컨베이어의 승강브라켓에 전달하는 로드바의 하단에 구비된 하부엔드베어링이 보스커넥터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로드바와 크랭크회전판과 결합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컨베이어의 틸팅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셋째, 하부고정브라켓의 하부를 구성하는 브라켓고정단이 보조보의 고정편고정공을 통해 지면지지부에 고정되고, 하부고정브라켓의 상부를 구성하는 보결합단이 컨베이어의 고정브라켓에 결합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크랭크연결대를 지지하여 에어실린더의 동력이 보다 안정적으로 전달되고,
넷째, 물품이 이송되는 컨베이어의 승강브라켓의 승강동력전달편에 결합되는 로드바의 작용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의 틸팅각도를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물품을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와 승강동력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동력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동력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하부고정브라켓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선별기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서 직립된 지면지지부(10)와, 물품이 이송되는 컨베이어(20) 및 상기 지면지지부(10)와 컨베이어(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컨베이어(20)가 정해진 각도로 틸팅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승강동력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동력부(30)는 하부고정브라켓(31), 크랭크(32), 에어실린더(33) 및 로드바(34)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고정브라켓(31)은 상기 컨베이어(20)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중앙부에 동력전달공(311)이 통공되어 상기 컨베이어(20)의 하부에 결합된 보결합단(31a)과, 상기 보결합단(31a)의 양측부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브라켓고정단(31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32)는 상기 보결합단(31a)의 상하부로 연장되도록 상기 보결합단(31a)의 동력전달공(311) 양측부에 결합된 한 쌍의 크랭크연결대(32a)와, 상기 크랭크연결대(32a)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샤프트(32b)와, 상기 크랭크연결대(32a)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샤프트(32c)와, 상기 하부샤프트(32c)에 중앙 축심이 삽입되어 회동되는 한 쌍의 크랭크회전판(32d)과, 상기 크랭크회전판(32d)의 하부 내측 사이에 요입되어 상기 크랭크회전판(32d)와 일체로 결합된 크랭크댐퍼(32e)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실린더(33)는 상기 상부샤프트(32b)와 상기 크랭크회전판(32d)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회전판(32d)이 정해진 각도로 회동되도록 왕복운동하고, 상기 로드바(34)는 상기 크랭크회전판(32d)의 외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회전판(32d)의 회전동력을 상기 컨베이어(20)의 하부에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실린더(33)는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의 개폐에 따른 공기압 공급을 제어하여 구동된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20)는 물품이 안착되어 이송되는 컨베이어벨트(21)와; 상기 컨베이어벨트(21)가 회동되도록 상기 컨베이어벨트(21)의 양측 내단부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한 쌍의 롤러(22)와; 상기 컨베이어벨트(21)의 상부 하면을 지지토록 정해진거리로 이격된 벨트지지판(23a)과, 상기 롤러(22)의 축심 양측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벨트지지판(23a)의 전후방 양측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롤러결합단(23b)과, 상기 컨베이어벨트(21)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상기 벨트지지판(23a)의 양측부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지지판연장단(23c)이 구비된 벨트지지대(23)와; 상기 벨트지지대(23)의 지지판연장단(23c) 내측 사이에 연결된 승강브라켓(24)과; 상기 롤러(22) 중 후방에 설치된 후방롤러(22a)의 양측부에 결합되어 하부로 연장된 한 쌍의 고정측부판(25a)과, 상기 고정측부판(25a)의 하부 사이에 결합된 한 쌍의 브라켓연결보(25b)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25);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브라켓(25)의 일측부에는 상기 후방롤러(22a)의 일측부에 벨트로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브라켓(24)의 하면 일측에는 하부로 연장된 승강동력전달편(24a)이 구비되고,
상기 로드바(34)는 양측단부에 상기 승강동력전달편(24a)과 결합되는 상부엔드베어링(34a)과, 상기 크랭크회전판(32d)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하부엔드베어링(34b)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엔드베어링(34b)은 상기 컨베이어(20)의 틸팅각 조절이 용이토록 상기 크랭크회전판(32d)과 결합시 보스커넥터(34b')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보스커넥터(34b')는 커플링 보스로도 불리며 상기 하부엔드베어링(34b)이 상기 크랭크회전판(32d)과의 체결과 해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지면지지부(10)는 회전시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구가 하단부에 결합된 다수개의 직립기둥(11)과, 상기 직립기둥(11)의 사이에 연결된 다수개의 수평보(12)와, 상기 수평보(12)의 사이에 연결된 다수개의 보조보(1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구는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컨베이어와 연동시 높이를 조절하여 물품이 이송을 걸림없이 연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보(13)에는 상기 브라켓고정단(31b)의 전후방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고정편(312)이 끼움되어 결합되도록 고정편고정공(13a)이 통공된다. 즉, 상기 고정편고정공(13a)은 상기 보조보(13)에 다수개 통공될 수 있으며, 고정편고정공(13a)이 통공된 다수개의 보조보(13)가 상기 브라켓고정단(31b)과 결합하여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결합단(31a)에는 상기 크랭크연결대(32a)의 끼움시 결합이 용이토록 상기 동력전달공(311)과 인접하여 내측으로 요입된 연결대삽입홈(313)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대삽입홈(313)의 후방 내측부에는 상기 크랭크연결대(32a)의 내측부가 지지되도록 전방으로 연장된 연결대지지편(314)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크랭크(32)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실린더(33)와 로드바(34)는 상기 크랭크회전판(32d)과 결합시 서로 간섭됨이 방지되도록 일측 크랭크회전판(32d)의 전방 내측부와 후방 외측부에 각각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크랭크회전판(32d)이 안정적으로 회동되며 동력을 상기 에어실린더(33)와 로드바(34)의 사이에서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이 이송되는 일반 컨베이어에 연결되며, 컨베이어(20)의 상부를 지나는 물품이 선별되도록 상기 컨베이어(20)를 정해진 각도로 틸팅시키는 승강동력부(30)를 구동함으로써, 사전에 선별해야할 물품을 외부의 보관함에 선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동력부(30)는 하부고정브라켓(31)의 중앙에 통공된 동력전달공(311)을 통해 하부고정브라켓(31)의 상하부로 연장된 에어실린더(33)와 로드바(34)의 사이에 크랭크(32)가 개재되고, 상기 크랭크(32)에 크랭크회전판(32d)와 일체로 결합된 크랭크댐퍼(32e)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에어실린더(33)가 고속으로 왕복운동할 경우 상기 크랭크댐퍼(32e)의 무게에 의한 완충작용으로 상기 컨베이어(20)를 보다 안정되게 틸팅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로드바(34)는 상기 크랭크회전판(32d)와 보스커넥터(34b')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로드바(34)이 크랭크회전판(32d)에 결합된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로드바(34)가 상기 컨베이어(20)의 승강브라켓(24)에 동력전달 범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20)의 틸팅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물품의 부피가 큰 경우 상기 컨베이어(20)의 틸팅각도를 크게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물품을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20)의 고정브라켓(25)은 하부에 구성된 브라켓연결보(25b)를 통해 하부고정브라켓(31)과 결합되고, 상기 컨베이어(20)의 승강브라켓(24)은 로드바(34)의 상부엔드베어링(34a)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바(34)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컨베이어(20)가 정해진 각도로 틸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바(34)는 일측 크랭크회전판(32d)의 후방 외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에어실린더(33)는 동일한 크랭크회전판(32d)의 전방 내측부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에어실린더(33)와 로드바(34)는 서로 엇갈리며 동력전달공(311)의 상부로 연장되어 안정된 상태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는 크랭크댐퍼(32e)의 완충작용으로 상기 컨베이어(20)를 고속으로 틸팅시켜 물품을 선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물품의 부피가 커지더라도 상기 컨베이어(20)의 틸팅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물품을 선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면지지부 11 : 직립기둥
12 : 수평보 13 : 보조보
13a : 고정편고정공 20 : 컨베이어
21 : 컨베이어벨트 22 : 롤러
23 : 벨트지지대 23a : 벨트지지판
23b : 롤러결합단 23c : 지지판연장단
24 : 승강브라켓 24a : 승강동력전달편
25 : 고정브라켓 25a : 고정측부판
25b : 브라켓연결보 30 : 승강동력부
31 : 하부고정브라켓 31a : 보결합단
31b : 브라켓고정단 32 : 크랭크
32a : 크랭크연결대 32b : 상부샤프트
32c : 하부샤프트 32d : 크랭크회전판
32e : 크랭크댐퍼 33 : 에어실린더
34 : 로드바 34a : 상부엔드베어링
34b : 하부엔드베어링 34b' : 보스커넥터
311 : 동력전달공 312 : 고정편
313 : 연결대삽입홈 314 : 연결대지지편

Claims (6)

  1. 지면에서 직립된 지면지지부(10)와, 물품이 이송되는 컨베이어(20) 및 상기 지면지지부(10)와 컨베이어(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물품을 정해진 기준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20)의 전방하부로 선별되도록 상기 컨베이어(20)를 정해진 각도로 틸팅시키는 승강동력부(30)로 이루어진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동력부(30)는 상기 컨베이어(20)의 하부와 연동되도록 중앙부에 동력전달공(311)이 통공된 보결합단(31a)과, 상기 보결합단(31a)의 양측부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브라켓고정단(31b)이 구비된 하부고정브라켓(31)과; 상기 보결합단(31a)의 동력전달공(311) 양측부에 결합된 한 쌍의 크랭크연결대(32a)와, 상기 크랭크연결대(32a)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샤프트(32b)와, 상기 크랭크연결대(32a)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샤프트(32c)와, 상기 하부샤프트(32c)에 중앙 축심이 삽입되어 회동되는 한 쌍의 크랭크회전판(32d)과, 상기 크랭크회전판(32d)의 하부 내측 사이에 요입되어 상기 크랭크회전판(32d)과 일체로 결합된 크랭크댐퍼(32e)가 구비된 크랭크(32)와; 상기 상부샤프트(32b)와 상기 크랭크회전판(32d)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회전판(32d)이 정해진 각도로 회동되도록 왕복운동하는 에어실린더(33)와; 상기 크랭크회전판(32d)의 외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회전판(32d)의 회전동력을 상기 컨베이어(20)의 하부에 전달하는 로드바(34);가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20)는 물품이 안착되어 이송되는 컨베이어벨트(21)와; 상기 컨베이어벨트(21)가 회동되도록 상기 컨베이어벨트(21)의 양측 내단부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한 쌍의 롤러(22)와; 상기 컨베이어벨트(21)의 상부 하면을 지지토록 정해진거리로 이격된 벨트지지판(23a)과, 상기 롤러(22)의 축심 양측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벨트지지판(23a)의 전후방 양측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롤러결합단(23b)과, 상기 컨베이어벨트(21)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상기 벨트지지판(23a)의 양측부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지지판연장단(23c)이 구비된 벨트지지대(23)와; 상기 벨트지지대(23)의 지지판연장단(23c) 내측 사이에 연결된 승강브라켓(24)과; 상기 롤러(22) 중 후방에 설치된 후방롤러(22a)의 양측부에 결합되어 하부로 연장된 한 쌍의 고정측부판(25a)과, 상기 고정측부판(25a)의 하부 사이에 결합된 한 쌍의 브라켓연결보(25b)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25);이 구비되며,
    상기 승강브라켓(24)의 하면 일측에는 하부로 연장된 승강동력전달편(24a)이 구비되고, 상기 로드바(34)는 양측단부에 상기 승강동력전달편(24a)과 결합되는 상부엔드베어링(34a)과, 상기 크랭크회전판(32d)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하부엔드베어링(34b)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엔드베어링(34b)은 상기 컨베이어(20)의 틸팅각 조절이 용이토록 상기 크랭크회전판(32d)과 결합시 보스커넥터(34b')로 결합되며,
    상기 지면지지부(10)는 회전시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구가 하단부에 결합된 다수개의 직립기둥(11)과, 상기 직립기둥(11)의 사이에 연결된 다수개의 수평보(12)와, 상기 수평보(12)의 사이에 연결된 다수개의 보조보(13)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보(13)에는 상기 브라켓고정단(31b)의 전후방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고정편(312)이 끼움되어 결합되도록 고정편고정공(13a)이 통공되고,
    상기 보결합단(31a)에는 상기 크랭크연결대(32a)의 끼움시 결합이 용이토록 상기 동력전달공(311)과 인접하여 내측으로 요입된 연결대삽입홈(313)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대삽입홈(313)의 후방 내측부에는 상기 크랭크연결대(32a)의 내측부가 지지되도록 전방으로 연장된 연결대지지편(314)이 구비되며,
    상기 에어실린더(33)와 로드바(34)는 상기 크랭크회전판(32d)과 결합시 서로 간섭됨이 방지되도록 일측 크랭크회전판(32d)의 전방 내측부와 후방 외측부에 각각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20015215A 2022-02-07 2022-02-07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 KR102404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215A KR102404074B1 (ko) 2022-02-07 2022-02-07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215A KR102404074B1 (ko) 2022-02-07 2022-02-07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074B1 true KR102404074B1 (ko) 2022-05-30

Family

ID=81800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215A KR102404074B1 (ko) 2022-02-07 2022-02-07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0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835Y1 (ko) * 2003-02-20 2003-05-27 조강훈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KR20090005318U (ko) * 2007-11-29 2009-06-03 주식회사 유니빅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fpd용 평판유리 반송용 디버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835Y1 (ko) * 2003-02-20 2003-05-27 조강훈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KR20090005318U (ko) * 2007-11-29 2009-06-03 주식회사 유니빅 틸팅컨베이어에 의한 fpd용 평판유리 반송용 디버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18281C (en) Apparatus for the automatic sele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fruit
WO2016108936A2 (en) Slide sorter pop-up diverting conveyor with transfer rate based on article characteristics
KR102404074B1 (ko)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
CN112027500A (zh) 一种用于轴承生产的提升过渡装置
CN209647018U (zh) 农用分拣机
WO2023284096A1 (zh) 一种用于果蔬分选的滚轮式输送装置
CN210304601U (zh) 快递称重分拣装置
EP0982570A2 (en) Automatic weighing machine for fruit and the like
KR101541691B1 (ko) 자동 분류기용 틸팅 장치
CN211077575U (zh) 一种带限位装置的垂直转向输送带
JP4875426B2 (ja) 農産物の選別装置
KR101885866B1 (ko) 농산물 낙하 높이 제어 장치
EP1584561B1 (en) Packag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ckaging lanes
KR102070069B1 (ko) 중량을 이용한 과일선별기
KR102650398B1 (ko) 독립형 단위소터 및 그것을 구비한 물품분류장치
US5044504A (en) Self-singulating weight sizer
KR100879846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
KR100195307B1 (ko) 포장 스테이션에서의 허용용기 범위 자동화 기구체
AU2004265203A1 (en) Apparatus for weighing and conveying objects
JP2001002023A (ja) カップ状商品の倒立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114433B1 (ko) 경사면을 가지는 벨트 소터
CN220277622U (zh) 一种包裹摆臂分拣机
KR102236161B1 (ko)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
KR102554317B1 (ko) 선별기용 두께측정장치
EP4375626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gathering a number of articles with a target total we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